KR102558430B1 - 헬멧 - Google Patents

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8430B1
KR102558430B1 KR1020210174126A KR20210174126A KR102558430B1 KR 102558430 B1 KR102558430 B1 KR 102558430B1 KR 1020210174126 A KR1020210174126 A KR 1020210174126A KR 20210174126 A KR20210174126 A KR 20210174126A KR 102558430 B1 KR102558430 B1 KR 102558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vot
cam
helmet
fixing
guid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4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85699A (ko
Inventor
박범오
Original Assignee
(주) 에이치제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이치제이씨 filed Critical (주) 에이치제이씨
Priority to KR1020210174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8430B1/ko
Priority to PCT/KR2022/018526 priority patent/WO2023106696A1/ko
Publication of KR20230085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5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8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8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1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 A42B3/222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in an articulated manner, e.g. hing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헬멧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헬멧은, 사용자의 머리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헬멧 본체; 상기 헬멧 본체의 측면에 고정되고, 안착부를 구비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전후방으로 선형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안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부를 구비하는 이동부재; 및 상기 관통부를 통과하여 상기 안착부에 피벗 가능하게 배치되는 캠을 구비하고, 상기 캠의 피벗에 따라 피벗되는 피벗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헬멧{HELMET}
본 발명은 헬멧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머리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착용자의 머리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헬멧에 관한 것이다.
이륜차는 사고 시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는 수단이 부족하며, 사고 발생 시 충격이 탑승자에게 그대로 전달될 위험이 매우 높다. 이에 따라 이륜차의 탑승자에게는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승차용 안전모 즉, 헬멧의 착용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헬멧은 사용자의 머리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헬멧 본체와, 헬멧 본체의 개방부를 덮으며 결합되고 피벗을 통해 상하로 여닫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쉴드를 포함한다. 쉴드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져 착용자의 시야를 확보하는 동시에 외부의 바람, 이물질 등으로부터 사용자의 눈을 보호하여 준다. 또한, 쉴드 외에도 햇빛을 차폐하는 선바이저 등이 헬멧 본체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종래 헬멧은 쉴드, 선바이저 등의 부재를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피벗시킬 때 피벗 경로 상에서 헬멧 본체와 간섭이 발생하거나 피벗되는 부재가 헬멧 본체에 밀착되어 피벗이 부드럽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쉴드, 선바이저 등의 부재의 피벗을 위해 과도한 힘을 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이로 인해 헬멧의 사용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5099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헬멧 본체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재의 피벗이 부드럽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헬멧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머리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헬멧 본체; 상기 헬멧 본체의 측면에 고정되고, 안착부를 구비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전후방으로 선형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안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부를 구비하는 이동부재; 및 상기 관통부를 통과하여 상기 안착부에 피벗 가능하게 배치되는 캠을 구비하고, 상기 캠의 피벗에 따라 피벗되는 피벗부재;를 포함하는 헬멧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안착부의 전방에 상기 캠이 접할 수 있는 캠 표면을 제공하며, 상기 피벗부재가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를 향해 피벗 시 상기 캠이 상기 캠 표면을 가압하며 상기 이동부재가 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캠의 피벗 축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헬멧은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이동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부재에 후방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벗부재가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를 향해 피벗하며 상기 캠이 상기 캠 표면을 가압할 때,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가압력을 극복하고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캠은 서로 소정 각도 이격되어 구비된 3개의 캠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캠 및 상기 관통부는 삼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는 상기 관통부보다 넓게 형성되며, 상기 캠은 피벗 과정 중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상기 캠의 외측면이 상기 관통부의 테두리에 걸려 상기 안착부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헬멧은 상기 캠이 상기 안착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관통부의 일부분을 커버하며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관통부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가 전방의 소정 위치에 도달한 상태에서 상기 캠은 상기 커버부재와 접하지 않고 상기 관통부를 통과하여 상기 안착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전방의 소정 위치에 도달한 상태에서 상기 피벗부재와 상기 안착부 사이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도록 상기 이동부재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전방의 소정 위치에 도달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탄성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이동부재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안착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피벗부재의 피벗을 가이드하도록 피벗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피벗 가이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피벗부재는 피벗 시 상기 피벗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는 피벗 피가이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벗 프로파일은 중앙 부분이 전방으로 볼록한 아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벗부재가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를 향해 피벗 시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는 상기 캠이 상기 캠 표면을 가압하여 상기 이동부재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피벗 피가이드부가 상기 피벗 가이드부의 전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벗부재가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피벗하는 경로 상의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는 상기 피벗 축이 하측 또는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헬멧은 헬멧 본체에 결합되는 피벗부재의 피벗 시 피벗 축이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피벗부재의 피벗이 부드럽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해주며, 이를 통해 헬멧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에서 피벗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에서 피벗부재의 피벗과 관련된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피벗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의 고정부재, 이동부재, 탄성부재 및 커버부재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의 고정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의 고정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A-A'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의 이동부재의 외측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의 이동부재의 내측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B-B'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의 피벗부재가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피벗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의 피벗부재의 분리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에서 피벗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에서 피벗부재의 피벗과 관련된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피벗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의 고정부재, 이동부재, 탄성부재 및 커버부재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은 헬멧 본체(100), 고정부재(200), 이동부재(300), 피벗부재(400), 탄성부재(500) 및 커버부재(600)를 포함한다.
헬멧 본체(100)는 사용자의 머리를 감싸도록 구비된다. 헬멧 본체(100)는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헬멧 본체(100)는 사용자의 시야 확보를 위해 전방 부분에 개방부(100a)를 구비할 수 있다.
헬멧 본체(100)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헬멧 본체(100)는 경질 합성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높은 강도를 갖는 외부쉘과, 외부쉘의 내부에 구비되는 충격 흡수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충격 흡수체는 발포폴리스타이렌(Expanded Polystyren, EPS)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200)는 헬멧 본체(100)의 측면에 고정되고, 이동부재(300)와 피벗부재(400)가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부재(200)는 헬멧 본체(100)의 좌우 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고정부재(200)는 고정 몸체(210), 이동부재 체결부(220), 안착부(230), 고정수단(240), 피벗 가이드부(250), 피벗 보조 가이드부(260) 및 제 1 탄성부재 고정부(270)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 몸체(210)는 헬멧 본체(100)에 체결된다. 고정 몸체(210)는 플레이트(211), 플레이트(211)의 상측 모서리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상부 측벽(212)과 플레이트(211)의 하측 후방 모서리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하부 측벽(213)을 포함한다. 여기서, 외측은 헬멧 본체(100)로부터 상대적으로 먼 측을 의미하고, 내측은 헬멧 본체(100)와 상대적으로 가까운 측을 의미한다. 한편, 플레이트(211)는 상하 폭이 전방으로 갈수록 커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플레이트(211)의 하측은 하부 측벽(213)이 구비된 후방 부분을 제외하고는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플레이트(211)의 하측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이동부재(300)의 거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플레이트(211)의 후방 부분도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플레이트(211)의 개방된 후방 부분은 커버부재(60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이동부재 체결부(220)는 이동부재(300)가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부재 체결부(220)는 플레이트(211)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체결 벽체(221), 제 1 체결 벽체(221)의 하측에 위치하는 플레이트(211)의 하측 모서리 부분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체결 벽체(222)를 포함한다. 이때, 제 1 체결 벽체(221)와 제 2 체결 벽체(222)는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 체결 벽체(221)는 외측 부분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제 1 돌출부(221a)를 구비한다. 또한, 제 2 체결 벽체(222)는 외측 부분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제 2 돌출부(222a)를 구비한다(도 9 참조). 이에 따라 후크 형상을 가지는 이동부재(300)의 제 3 체결 벽체(321) 및 제 4 체결 벽체(322)가 제 1 돌출부(221a) 및 제 2 돌출부(222a)에 각각 맞물릴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이동부재(300)가 고정부재(200)에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부재 체결부(220)는 상부 측벽(212)과 제 1 체결 벽체(221) 사이에서 플레이트(211)를 관통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장홀 형태의 제 1 가이드홀(2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가이드홀(223)을 따라 이동부재(300)의 제 3 체결 벽체(321)가 전후방으로 거동할 수 있다. 또한, 이동부재 체결부(220)는 플레이트(211) 중 제 1 체결 벽체(221)와 제 2 체결 벽체(222) 사이에 배치된 부분의 전방 부분을 관통하며 형성된 제 2 가이드홀(224) 및 제 2 가이드홀(224)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플레이트(211)를 관통하며 형성된 제 3 가이드홀(2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가이드홀(224)에는 이동부재(300)의 캠 접촉부(330)가 전후방으로 거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제 3 가이드홀(225)에는 이동부재(300)의 후방 벽체(312)가 전후방으로 거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안착부(230)는 피벗부재(400)의 캠(420)이 안착가능하게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안착부(230)는 이동부재 체결부(220)를 구성하는 제 1 체결 벽체(221)와 제 2 체결 벽체(222)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즉, 안착부(230)는 제 1 체결 벽체(221)와 제 2 체결 벽체(22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고정수단(240)은 이동부재(300)가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이동부재(300)를 고정하기 위해 제공된다. 고정수단(240)은 이동부재(300)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소정의 위치에 도달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탄성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수단(240)은 플레이트(211)에서 제 2 가이드홀(224)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며, 전방 부분이 탄성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는 판형의 스프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고정수단(240)은 플레이트(211)와 단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피벗 가이드부(250)는 안착부(230)의 전방에 배치되어 피벗부재(400)의 피벗을 가이드하도록 피벗 프로파일을 제공한다. 피벗 프로파일은 중앙 부분이 전방으로 볼록한 아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피벗 가이드부(250)는 상기 피벗 프로파일을 제공하며 플레이트(211)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벽체로 제공될 수 있다.
피벗 가이드부(250)는 적어도 일부분이 내측이 외측에 비해 후방으로 함입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피벗 가이드부(250)는 중앙 부분이 전방으로 볼록한 아치 형상의 피벗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내측 피벗 가이드부(251)와, 내측 피벗 가이드부(251)의 외면에서 추가적으로 외측으로 연장되고, 그 전방면이 내측 피벗 가이드부(251)의 전방면에 비해 전방으로 돌출되어 배치되는 외측 피벗 가이드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피벗 가이드부(250)의 이와 같은 형상에 상응하여 피벗부재(400)의 피벗 피가이드부(430)는 피벗 가이드부(250)의 외측 피벗 가이드부(252)를 감싸며 내측 피벗 가이드부(251)에 맞물리는 후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피벗부재(400)의 피벗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피벗 가이드부(250)의 내측 피벗 가이드부(251)의 전방면에는 피벗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요철(251a)이 구비될 수 있다. 요철(251a)은 피벗 피가이드부(430)의 피벗 시 하나 이상의 각도에서 피벗 피가이드부(430)가 안착될 수 있게 해준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피벗부재(400)의 위치를 다양한 각도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내측 피벗 가이드부(251)의 하단과 상단에는 후방으로 함입된 하단 홈(251b)과 상단 홈(251c)이 구비될 수 있다. 피벗부재(400)는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를 향해 피벗할 수 있는데, 제 1 위치는 피벗부재(400)가 헬멧 본체(100)의 개방부(100a)를 완전히 폐쇄하는 위치이고, 제 2 위치는 피벗부재(400)가 헬멧 본체(100)의 개방부(100a)를 최대한 개방하는 위치가 될 수 있다. 피벗부재(400)가 제 1 위치에 있을 경우 피벗 피가이드부(430)가 하단 홈(251b)에 삽입되고, 피벗부재(400)가 제 2 위치에 있을 경우 피벗 피가이드부(430)가 상단 홈(251c)에 삽입됨으로써 피벗부재(400)가 제 1 위치 또는 제 2 위치에서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피벗 가이드부(250)는 하측으로 추가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연장된 피벗 가이드부(250)의 하측 부분에는 후술되는 이동부재(300)의 손잡이부(350)의 이동 피가이드(352)가 통과하도록 내측에서 외측으로 함입된 가이드 그루브(253)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벗 가이드부(250)의 내측 피벗 가이드부(251)와 외측 피벗 가이드부(252)가 하측으로 추가적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단부 부분에서 내측 피벗 가이드부(251)가 전후로 관통됨으로써 가이드 그루브(253)가 형성될 수 있다.
피벗 보조 가이드부(260)는 피벗 가이드부(250)의 전방에 이격되어 플레이트(211)의 외측으로 돌출된 벽체로 구비되며, 중앙 부분이 전방으로 볼록한 아치 형상을 가진다. 피벗 보조 가이드부(260)와 피벗 가이드부(250) 사이의 간격은 피벗부재(400)의 피벗 시 피벗 피가이드부(430)의 이탈을 방지하여 줄 수 있는 거리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피벗 피가이드부(430)가 후크 형상으로 구비될 때, 피벗 보조 가이드부(260)는 피벗 피가이드부(430)의 전방 부분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피벗부재(400)의 피벗 시 피벗 피가이드부(430)의 이탈을 방지한다.
피벗 보조 가이드부(260)는 소정 지점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함입된 함입부(260a)를 구비할 수 있다. 피벗부재(400)를 고정부재(200)에 결합시키거나 피벗부재(400)를 고정부재(200)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있을 때, 피벗부재(400)의 피벗 피가이드부(430)는 함입부(260a)가 형성된 부분을 통해 고정부재(200)의 피벗 가이드부(250)와 맞물리도록 진입하거나, 고정부재(20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제 1 탄성부재 고정부(270)는 탄성부재(500)의 고정을 위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탄성부재 고정부(270)는 피벗 가이드부(250)의 후방에 상하로 연장된 지지 벽체(271)와, 지지 벽체(271)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구비된 제 1 고정 돌기(27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고정 돌기(272)는 상하로 이격되어 한쌍이 구비될 수 있다. 지지 벽체(271)는 2 가이드홀(224)의 전방 부분을 상하로 가로 지르며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벽체(271)는 외측 피벗 가이드부(252)에 비하여 외측으로 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고정부재(200)는 헬멧 본체(100)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B)의 체결을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부재(200)는 플레이트(211)의 전방 상부에 관통 형성된 제 1 체결홀(214), 피벗 가이드부(250)의 하측으로 추가적으로 연장된 부분에 관통 형성되 제 2 체결홀(215) 및 제 3 가이드홀(225)의 후방에서 플레이트(211) 측으로 함입된 체결홈(216)을 포함한다. 또한, 체결홈(216)의 상측과 하측에는 커버부재(600)의 체결 돌기(620)가 삽입되도록 플레이트(211)에 관통 형성된 커버부재 결합홀(217)이 구비될 수 있다.
이동부재(300)는 고정부재(200)에 전후방으로 선형변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동부재(300)는 피벗부재(400)의 피벗 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피벗 축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해준다. 이동부재(30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이동에 따라 캠(420)의 거동이 이루어지는 안착부(230)의 면적이 변화할 수 있다. 즉, 이동부재(300)에 의해 캠(420)이 안착되는 안착부(230)가 가변성을 가질 수 있다. 본원발명은 이동부재(300)의 위치에 따라 캠(420) 주변 영역의 형태가 가변될 수 있는 캠 프로파일을 제공한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이동부재(300)는 이동 몸체(310), 고정부재 체결부(320), 캠 접촉부(330), 제 2 탄성부재 고정부(340) 및 손잡이부(35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동 몸체(310)는 이동부재 체결부(220)에 전후방으로 변위 가능하게 체결된다. 이동 몸체(310)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동 몸체(310)는 안착부(230)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부(311)를 구비한다. 관통부(311)는 삼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관통부(311)의 형상은 캠(420)의 형상에 상응하며, 캠(420)의 형상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관통부(311)는 안착부(230)에 비하여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안착부(230)가 관통부(311)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피벗부재(400)의 캠(420)은 피벗 과정 중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캠(420)의 외측면이 관통부(311)의 테두리(이동몸체(310))에 걸려 안착부(23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동 몸체(310)는 관통부(311)의 후방에 내측으로 돌출된 후방 벽체(312)를 가진다. 후방 벽체(312)는 이동부재(300)의 전후방 변위 시 제 3 가이드홀(225) 내에서 거동할 수 있다. 이동부재(300) 및 피벗부재(400)가 소정의 위치에 있을 때, 후방 벽체(312)는 캠(420)의 캠 돌출부(420a, 420b, 420c) 중 어느 하나와 접하여 캠(420)을 전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피벗부재(400)가 제 2 위치에 도달한 상태에서 이동부재(300)가 전방의 소정 위치까지 도달할 경우, 후방 벽체(312)가 3개의 캠 돌출부(420a, 420b, 420c) 중 후방 상측에 위치한 캠 돌출부(420b)를 가압하여 캠(420)을 피벗시킴으로써 피벗부재(400)가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의 특정 각도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특정 위치는 피벗부재(400)의 분리가 가능한 위치일 수 있다. 한편, 커버부재(600)의 배치를 위해 후방 벽체(312)의 상부는 이동 몸체(310)의 다른 부분보다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 체결부(320)는 고정부재(200)의 이동부재 체결부(220)에 체결된다. 고정부재 체결부(320)는 이동 몸체(310)의 내측면 중 관통부(311)의 상측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제 3 체결 벽체(321)와, 이동 몸체(310)의 내측면 중 관통부(311)의 하측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제 4 체결 벽체(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체결 벽체(321)는 제 1 체결 벽체(221)와 맞물리고, 제 4 체결 벽체(322)는 제 2 체결 벽체(222)와 맞물릴 수 있다. 제 3 체결 벽체(321) 및 제 4 체결 벽체(322)는 제 1 체결 벽체(221)의 제 1 돌출부(221a) 및 제 2 체결 벽체(222)의 제 2 돌출부(222a)와 각각 맞물릴 수 있도록 제 3 돌출부(321a) 및 제 4 돌출부(322a)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도 12 참조). 더욱 상세하게, 제 3 돌출부(321a)는 제 3 체결 벽체(321)의 내측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고, 제 4 돌출부(322a)는 제 4 체결 벽체(322)의 내측에서 상측으로 돌출된다. 이와 같이 제 3 돌출부(321a)는 제 1 돌출부(221a)와 상보적인 형태를 가지고, 제 4 돌출부(322a)는 제 2 돌출부(222a)와 상보적인 형태를 가짐으로써 맞물림 상태가 안정적으로 확보될 수 있다.
한편, 제 3 체결 벽체(321)는 제 1 체결 벽체(221)에 맞물려 제 1 가이드홀(223)의 내부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고, 제 4 체결 벽체(322)는 제 2 체결 벽체(222)에 맞물려 플레이트(211)의 하단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제 3 체결 벽체(321) 및 제 4 체결 벽체(322)의 길이는 제 1 체결 벽체(221) 및 제 2 체결 벽체(222)에 비하여 짧게 형성된다.
캠 접촉부(330)는 안착부(230)의 전방에 상기 캠이 접할 수 있는 캠 표면(330a)을 제공한다. 피벗부재(400)의 캠(420)이 안착부(230) 내에서 피벗할 때, 캠 표면(330a)이 가압되면서 이동부재(300)가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피벗 축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캠 접촉부(330)는 이동 몸체(310)의 내측면 중 관통부(311)의 전방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벽체로 제공되며, 캠 표면(330a)의 캠 접촉부(330)의 후방면에 형성될 수 있다.
캠 접촉부(330)는 고정부재(200)의 제 2 가이드홀(224)의 내부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부재(300)가 전방의 소정 위치까지 이동된 상태에서는 고정수단(240)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동부재(300)가 전방의 소정 위치까지 이동된 상태에서 고정수단(240)이 캠 접촉부(330)의 캠 표면(330a)을 지지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이동부재(300)의 고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고정수단(240)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캠 접촉부(330)의 전후진이 가능해야 하므로 캠 접촉부(330)는 비돌출 상태의 고정수단(240)과 간섭되지 않도록 외측으로 함입된 함입부(330b)를 구비할 수 있다.
제 2 탄성부재 고정부(340)는 탄성부재(500)의 고정을 위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탄성부재 고정부(340)는 캠 접촉부(330)의 전방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제 2 고정 돌기(341)를 포함한다. 제 2 고정 돌기(341)는 제 1 고정 돌기(272)에 상응하도록 상하로 이격되어 한쌍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탄성부재 고정부(340)는 이동 몸체(310)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탄성부재(500)가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 플레이트(3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500)의 전방은 제 1 고정 돌기(272)에 끼워지고, 탄성부재(500)의 후방은 제 2 고정 돌기(341)에 끼워지게 되는데, 탄성부재(500)는 이동부재(300)가 전방으로 변위 시 압축되며 이 과정에서 외측으로 이탈될 위험이 있다. 이때, 고정 플레이트(342)는 탄성부재(500)의 외측면을 커버함으로써 탄성부재(500)의 압축 시 탄성부재(500)가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막아준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탄성부재 고정부(270)의 지지 벽체(271)는 외측 피벗 가이드부(252)에 비하여 외측으로 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고정 플레이트(242)는 이동부재(300)가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지지 벽체(271)의 외측을 커버하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 플레이트(342)는 이동부재(300)가 전방의 소정 위치까지 이동된 상태에서 외측 피벗 가이드부(252)의 후방면에 접촉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이동부재(300)의 전방 변위의 한계가 규정될 수 있다.
손잡이부(350)는 이동 몸체(310)의 하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피벗부재(400)는 이동부재(300)가 전방의 소정 위치까지 변위된 상태에서 이동부재(3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고정부재(200)는 이동부재(300)가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이동부재(300)를 고정하는 고정수단(240)을 구비한다. 손잡이부(350)는 사용자가 이동부재(300)를 전방의 소정 위치까지 변위시키고자 할 때 이동부재(300)에 전방으로 힘을 용이하게 가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부(350)는 이동부재(300)의 전후방 변위를 안정적으로 가이드하기 위해 이동 피가이드(352)를 구비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이동 피가이드(352)는 고정부재(200)의 가이드 그루브(250a)를 통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손잡이부(35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장홀 형태의 관통홀(351)을 구비하고, 이동 피가이드(352)는 관통홀(351)의 상부 테두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피벗부재(400)는 안착부(230)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피벗부재(400)는 헬멧 본체(100)의 개방부(100a)를 개폐할 수 있는 쉴드(바이저)가 될 수 있다.
피벗부재(400)는 피벗 몸체(410), 캠(420) 및 피벗 피가이드부(430)를 구비할 수 있다.
피벗 몸체(410)는 헬멧 본체(100)의 개방부(100a)를 개폐하는 부분이다. 피벗 몸체(410)는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구비될 수 있다.
캠(420)은 관통부(311)를 통과하여 안착부(230)에 피벗 가능하게 배치된다. 캠(420)은 피벗 몸체(410)의 내측면에 구비된다. 캠(420)의 피벗에 따라 피벗 몸체(410)가 피벗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420)은 서로 소정 각도 이격되어 구비된 3개의 캠 돌출부(420a, 420b, 420c)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캠(420)은 삼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3개의 캠 돌출부(420a, 420b, 420c) 중 어느 하나 이상은 피벗 시 캠 표면(330a)을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캠(420)의 전방 측에 위치하는 캠 돌출부(420a)가 캠 표면(330a)을 가압하도록 캠 프로파일이 설계되어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캠(420)의 형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캠(420)의 형상은 캠 표면(330a)의 가압과 피벗 축의 전방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캠(420)의 형상에 따라 이동부재(300)의 관통부(311)의 형상도 달라질 수 있다.
피벗 피가이드부(430)는 피벗부재(400)의 피벗 시 고정부재(200)의 피벗 가이드부(250)가 제공하는 피벗 프로파일을 따라 가이드되도록 피벗 몸체(410)의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피벗 피가이드부(430)는 캠(420)의 전방에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피벗 피가이드부(430)는 피벗 가이드부(250)의 외측 피벗 가이드부(252)를 감싸며 내측 피벗 가이드부(251)에 맞물리는 후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탄성부재(500)는 고정부재(200)와 이동부재(300) 사이에 배치되어 이동부재(300)에 후방으로 가압력을 제공한다. 피벗부재(400)의 피벗 시 피벗 축의 전방 이동이 이루어진 후 탄성부재(500)가 제공하는 가압력에 의해 소정의 조건에서 피벗 축의 후방 이동이 진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탄성부재(500)는 피벗부재(400)의 피벗 시 피벗 각도별 적절한 장력(tension)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탄성부재(500)는 한쌍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500)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부재(600)는 캠(420)이 안착부(23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관통부(311)의 일부분을 커버하며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커버부재(600)는 관통부(311)의 후방에 배치된다. 또한, 커버부재(600)는 고정부재(200)에 고정될 수 있다. 커버부재(600)는 관통부(311)의 후방 일부분을 커버하며 배치되는 커버 몸체(610), 커버부재 체결부(280)의 삽입홀(282)에 삽입되도록 커버 몸체(610)의 내측면에 돌출되는 체결 돌기(620), 커버부재(600) 및 고정부재(200)를 함께 헬멧 본체(100)에 체결하는 체결부재(B)가 체결되는 체결홀(63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의 피벗부재가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피벗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피벗 과정의 명확한 설명을 위해, 도 13에서 피벗부재(400)의 피벗 몸체(410)는 생략되어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피벗부재(400)는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피벗할 수 있다. 이때, 제 1 위치는 피벗부재(400)가 헬멧 본체(100)의 개방부(100a)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로서 피벗 각도를 기준으로'0도'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 2 위치는 피벗부재(40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서 피벗 각도를 기준으로 '55도'로 표시될 수 있다.
피벗부재(400)가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를 향해 피벗 시 캠(420)이 캠 표면(330a)을 가압하며 이동부재(300)가 탄성부재(500)의 가압력을 극복하고 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캠(420)의 피벗 축이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와 더불어서, 피벗부재(400)의 피벗 피가이드부(430)는 고정부재(200)의 피벗 가이드부(250)가 제공하는 피벗 프로파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캠(420)의 캠 돌출부(420a, 420b, 420c)와 안착부(230) 주위의 영역에 의해 제공되는 캠 프로파일과, 피벗 가이드부(250)의 피벗 프로파일은 피벗부재(400)가 제 1 위치에서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의 소정 위치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상기 피벗 축이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피벗부재(400)의 피벗 시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는 캠(420)이 캠 표면(330a)을 가압하여 이동부재(30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피벗 피가이드부(430)가 피벗 가이드부(250)의 전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 및 작동을 통해 피벗부재(400)의 피벗 과정에서 피벗부재(400)가 헬멧 본체(100)와 간섭되지 않고 피벗이 부드럽고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의 소정 위치는 피벗 각도를 기준으로 '30도'가 될 수 있다. 즉, 캠 프로파일과 피벗 프로파일은 피벗부재(400)가 피벗 각도 기준 '0도'에서 '30도'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피벗 축이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헬멧의 구조 상 피벗부재(400)의 피벗 시 피벗 초기에 헬멧 본체(100)와의 간섭이 가장 크게 일어날 수 있는데, 이러한 피벗 초기 과정에서 상기 피벗 축이 전방으로 변위될 경우 피벗부재(400)의 피벗이 부드럽고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캠 프로파일과 피벗 프로파일은 피벗부재(400)가 상기 소정 위치에서 제 2 위치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상기 피벗 축이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헬멧의 구조 상 피벗부재(400)의 피벗이 어느 정도 이루어진 후에는 피벗부재(400)와 헬멧 본체(100) 사이의 간섭이 줄어들게 되므로 상기 소정 위치에서 제 2 위치까지의 피벗 후기 과정에서 상기 피벗 축이 후방으로 변위될 경우 피벗부재(400)가 제 2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피벗부재(400)와 헬멧 본체(100)가 접하며 안정적인 상태가 확보될 수 있다.
한편, 캠 프로파일과 피벗 프로파일은 피벗부재(400)의 피벗 시 상기 피벗 축이 소정 위치까지는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하측 또는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소정 위치에서 추가적으로 피벗될 때에는 상기 피벗 축이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헬멧 본체(100)가 피벗이 어느 정도 이루어진 후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형상 및 구조를 가지고 있다면, 캠 프로파일과 피벗 프로파일은 피벗부재(400)의 피벗 시 상기 피벗 축이 소정 위치까지는 전방 하측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소정 위치에서 추가적으로 피벗될 때에는 상기 피벗 축이 후방 상측으로 이동하여 초기 위치(제 1 위치에서의 피벗 축의 위치)로 돌아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헬멧 본체(100)가 피벗이 어느 정도 이루어진 후에도 부착물 등으로 인해 간섭이 일어나는 형상 및 구조를 가지고 있다면 캠 프로파일과 피벗 프로파일은 피벗부재(400)의 피벗 시 상기 피벗 축이 소정 위치까지는 전방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소정 위치에서 추가적으로 피벗될 때에는 상기 피벗 축이 후방 하측으로 이동하여 초기 위치(제 1 위치에서의 피벗 축의 위치)로 돌아오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13에는 '피벗부재 이탈 방지 부위'가 표시되어 있다. 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피벗부재(400)가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피벗하는 전 과정에서 피벗부재(400)의 캠(420)의 적어도 일부분이 이동부재(300)의 이동 몸체(310)에 의해 지지되거나 및 피벗 피가이드부(430)가 고정부재(200)의 피벗 가이드부(250)에 맞물린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피벗부재(400)의 이탈이 방지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의 피벗부재의 분리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피벗부재(400)의 분리 과정의 명확한 설명을 위해, 도 14에서 피벗부재(400)의 피벗 몸체(410)는 생략되어 있다.
캠 프로파일과 피벗 프로파일은 피벗부재(400)의 피벗 각도가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의 특정 위치일 때, 피벗부재(400)의 분리가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특정 위치는 피벗 피가이드부(430)가 피벗 보조 가이드부(260)의 함입부(260a)를 통해 외측으로 이탈될 수 있는 위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특정 위치는 피벗 각도 기준으로 '45도' 위치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을 전제로 피벗부재(400)의 분리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피벗부재(400)를 제 2 위치(55도)까지 피벗시킨다. 이어서, 이동부재(300)를 전방의 소정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이때, 이동부재(300)가 전방의 소정의 위치까지 도달하는 과정에서 이동부재(300)의 후방 벽체(312)는 3개의 캠 돌출부(420a, 420b, 420c) 중 후방 상측에 위치한 캠 돌출부(420b)를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캠(420)이 피벗되면서 피벗부재(400)가 상기 특정 위치(45도)로 이동된다. 이 상태에서는 캠(420)의 외면이 더 이상 이동 몸체(310)에 의해 지지되지 않게 되고, 피벗부재(400)의 피벗 피가이드부(430)만이 피벗 가이드부(250)의 외측 피벗 가이드부(252)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며 '피벗부재 이탈 방지 부위'로 기능하게 된다. 이때, 이동부재(300)를 전방의 소정 위치까지 완전히 이동시키고, 고정수단(240)에 의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피벗 피가이드부(430)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피벗 가이드부(250)로부터 이탈가능하게 되며, 피벗 보조 가이드부(260)의 함입부(260a)를 통해 외측으로 분리될 수 있다. 그 결과, 피벗부재(400)의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헬멧 본체 200: 고정부재
300: 이동부재 400: 피벗부재
500: 탄성부재 600: 커버부재

Claims (15)

  1. 사용자의 머리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헬멧 본체;
    상기 헬멧 본체의 측면에 고정되고, 안착부를 구비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전후방으로 선형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안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부를 구비하는 이동부재; 및
    상기 관통부를 통과하여 상기 안착부에 피벗 가능하게 배치되는 캠을 구비하고, 상기 캠의 피벗에 따라 피벗되는 피벗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안착부의 전방에 상기 캠이 접할 수 있는 캠 표면을 제공하며,
    상기 피벗부재가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를 향해 피벗 시 상기 캠이 상기 캠 표면을 가압하며 상기 이동부재가 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캠의 피벗 축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헬멧.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이동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부재에 후방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벗부재가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를 향해 피벗하며 상기 캠이 상기 캠 표면을 가압할 때,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가압력을 극복하고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는 헬멧.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서로 소정 각도 이격되어 구비된 3개의 캠 돌출부를 구비하는 헬멧.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캠 및 상기 관통부는 삼각 형상을 가지는 헬멧.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관통부보다 넓게 형성되며, 상기 캠은 피벗 과정 중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상기 캠의 외측면이 상기 관통부의 테두리에 걸려 상기 안착부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헬멧.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캠이 상기 안착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관통부의 일부분을 커버하며 배치되고,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헬멧.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관통부의 후방에 배치되는 헬멧.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가 전방의 소정 위치에 도달한 상태에서 상기 캠은 상기 커버부재와 접하지 않고 상기 관통부를 통과하여 상기 안착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헬멧.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전방의 소정 위치에 도달한 상태에서 상기 피벗부재와 상기 안착부 사이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도록 상기 이동부재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더 구비하는 헬멧.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전방의 소정 위치에 도달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탄성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이동부재를 고정하는 헬멧.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안착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피벗부재의 피벗을 가이드하도록 피벗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피벗 가이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피벗부재는 피벗 시 상기 피벗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는 피벗 피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는 헬멧.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 프로파일은 중앙 부분이 전방으로 볼록한 아치 형상을 가지는 헬멧.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부재가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를 향해 피벗 시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는 상기 캠이 상기 캠 표면을 가압하여 상기 이동부재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피벗 피가이드부가 상기 피벗 가이드부의 전방으로 이격되는 헬멧.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부재가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피벗하는 경로 상의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는 상기 피벗 축이 하측 또는 상측으로 이동되는 헬멧.
KR1020210174126A 2021-12-07 2021-12-07 헬멧 KR102558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126A KR102558430B1 (ko) 2021-12-07 2021-12-07 헬멧
PCT/KR2022/018526 WO2023106696A1 (ko) 2021-12-07 2022-11-22 헬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126A KR102558430B1 (ko) 2021-12-07 2021-12-07 헬멧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5699A KR20230085699A (ko) 2023-06-14
KR102558430B1 true KR102558430B1 (ko) 2023-07-24

Family

ID=86730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4126A KR102558430B1 (ko) 2021-12-07 2021-12-07 헬멧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58430B1 (ko)
WO (1) WO202310669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079B1 (ko) * 2013-06-03 2014-11-26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994B1 (ko) 2005-03-16 2006-12-14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헬멧용 실딩 장치
JP5814726B2 (ja) * 2011-10-03 2015-11-17 株式会社Shoei ヘルメット
KR101781577B1 (ko) * 2016-04-06 2017-09-27 주식회사 제이텍 헬멧
CN109875177B (zh) * 2019-03-04 2024-02-13 江门市鹏程头盔有限公司 一种齿轮约束型可变护颚结构头盔
KR102182661B1 (ko) * 2019-11-04 2020-11-25 주식회사 기도스포츠 헬멧용 프론트 커버, 헬멧용 쉘 및 이들을 포함하는 헬멧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079B1 (ko) * 2013-06-03 2014-11-26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5699A (ko) 2023-06-14
WO2023106696A1 (ko) 2023-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9170B1 (ko) 헬멧용 선바이저 개폐장치
US8341771B2 (en) Opening/closing apparatus and helmet including the same
CN114072021B (zh) 带有面部保护罩和连杆机构的保护头盔
US20100229288A1 (en) Helmet having a guiding mechanism for a compatible visor
US7757309B2 (en) Protective helmet
FR2773051A1 (fr) Perfectionnement pour casque de protection
FR2809286A1 (fr) Perfectionnement pour casque de protection
US20090000015A1 (en) Sun visor assembly and safety helmet having the same
US5224219A (en) Welder's helmet with retractable eye protective lens and easily replaceable cover lens
JP6173128B2 (ja) ヘルメットにおけるシールドの支持構造
KR102558430B1 (ko) 헬멧
JPH04100908A (ja) ヘルメット
US6134719A (en) Helmet windshield with sunshade device
KR102383474B1 (ko) 눈용 보호구
KR20230157137A (ko) 헬멧
CA2536844A1 (en) Helmet with top vent mechanism
KR101156622B1 (ko) 다용도 헬멧
KR102646629B1 (ko) 헬멧용 회동 메커니즘
KR102549784B1 (ko) 헬멧
KR102461899B1 (ko)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
KR101622607B1 (ko) 헬멧
KR101146630B1 (ko) 실드가 내부로 수납되는 헬멧
KR102627598B1 (ko) 두부 보호 장비
KR102433223B1 (ko) 친가드 회동 메커니즘
KR101402613B1 (ko) 오토바이용 헬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