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2613B1 - 오토바이용 헬멧 - Google Patents

오토바이용 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2613B1
KR101402613B1 KR1020130072187A KR20130072187A KR101402613B1 KR 101402613 B1 KR101402613 B1 KR 101402613B1 KR 1020130072187 A KR1020130072187 A KR 1020130072187A KR 20130072187 A KR20130072187 A KR 20130072187A KR 101402613 B1 KR101402613 B1 KR 101402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sun visor
helmet
opening
cush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2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Priority to KR1020130072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26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613B1/ko
Priority to EP14173480.6A priority patent/EP28180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6Visors with sunscreens, e.g. tinted or dual visor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토바이용 헬멧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오토바이용 헬멧은 전방에 개방된 개방부(105)가 형성된 헬멧 본체(100), 및 개방부(105)의 일부를 차단할 수 있도록, 개방부(105)의 좌우측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회동수단(200)을 축으로 회동가능한 선바이저(110)를 포함하고, 회동수단(200)은, 일단에 호형 테두리(211)가 형성되되, 호형 테두리(211)의 양단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211a)가 형성되고, 호형 테두리(211)의 중앙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211b)가 형성된 장착부(210), 일단이 장착부(210)의 타단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에 호형 테두리(2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완충부(230), 및 일단에 선바이저(110)가 결합되고, 완충부(230)의 타단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단에는 회동시 호형 테두리(211)와 접촉하면서 이동하는 이동돌기(245)가 형성된 작동부(2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오토바이용 헬멧{MOTORCYCLE HELMET}
본 발명은 오토바이용 헬멧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토바이용 헬멧은 오토바이의 운행시 운행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도로주행시 반드시 착용하도록 법규화되어 있다. 이러한 오토바이용 헬멧은 운행자의 전방시계를 확보하기 위해서 전방에 개방부가 형성된다. 또한, 개방부에는 운행 중 유입되는 바람, 먼지의 차단을 위해서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한 실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실드의 내부에는 태양광이 눈으로 직접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서 개폐가능한 선바이저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오토바이용 헬멧의 선바이저(차양)는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오토바이용 헬멧은 편리하게 제어하면서도 선바이저를 정확한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KR 10-0649944 B1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으면서도, 선바이저를 정확한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는 회동수단을 구비한 오토바이용 헬멧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헬멧은 전방에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된 헬멧 본체, 및 상기 개방부의 일부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개방부의 좌우측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회동수단을 축으로 회동가능한 선바이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수단은,
일단에 호형 테두리가 형성되되, 상기 호형 테두리의 양단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호형 테두리의 중앙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장착부, 일단이 상기 장착부의 타단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에 상기 호형 테두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완충부, 및 일단에 상기 선바이저가 결합되고, 상기 완충부의 타단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단에는 회동시 상기 호형 테두리와 접촉하면서 이동하는 이동돌기가 형성된 작동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개방부의 좌우측 중 일측에 구비된 제1 회동수단, 및 상기 개방부의 좌우측 중 타측에 구비된 제2 회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회동수단의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회동수단의 돌출부보다 외측으로 적게 돌출된다.
또한, 상기 작동부의 타단에는 연결홀이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작동부에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연결홀에 삽입되는 연결돌기가 형성된 제어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홀의 일방향 길이는 상기 연결돌기의 직경에 비해서 길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은,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돌기의 측면을 양쪽에서 압박하는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돌기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되, 상기 레일의 양단에는 상기 연결돌기를 정지시키도록 상기 연결돌기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굴곡진 정지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작동부의 회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해서,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작동부의 측면과 접촉하도록 연장된 제1 회동제한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작동부와 상기 제1 회동제한부 사이의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상기 제1 회동제한부에 구비된 완충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선바이저의 말단에는 평행하게 연장된 두개의 다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의 일단에는 두개의 상기 다리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돌출된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를 고정하도록, 두개의 상기 다리부의 말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결합돌기의 직경보다 작고, 두개의 상기 다리부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굴곡진 체결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길이방향에 대해서 일정한 각도로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의 일단은 상기 연장부의 말단에 구비된 제1 축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다.
또한, 상기 완충부의 회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해서,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완충부의 측면과 접촉하도록 연장된 제2 회동제한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완충부의 타단에 구비된 제2 축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다.
또한, 상기 완충부의 타단에 상기 호형 테두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완충부의 타단과 상기 장착부 사이에 구비된 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작동부의 타단에는 연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홀에 연결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헬멧 본체의 형성된 슬릿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작동부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으면서도, 선바이저를 정확한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는 회동수단을 구비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헬멧의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회동수단의 분해사시도,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에 도시된 회동수단의 평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헬멧의 회동수단과 제어수단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에 도시된 회동수단과 제어수단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도 4a에 도시된 연결홀과 연결돌기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4a에 도시된 유도편의 레일과 연결돌기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평면도,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헬멧의 회동수단과 제어수단의 평면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오토바이용 헬멧에 제1,2 회동수단을 정의한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제1,2 회동수단의 평면도,
도 10a 내지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헬멧의 선바이저와 작동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및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헬멧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와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일면", "타면"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헬멧의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회동수단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에 도시된 회동수단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헬멧은 전방에 개방된 개방부(105)가 형성된 헬멧 본체(100), 및 개방부(105)의 일부를 차단할 수 있도록, 개방부(105)의 좌우측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회동수단(200)을 축으로 회동가능한 선바이저(110)를 포함하고, 회동수단(200)은, 일단에 호형 테두리(211)가 형성되되, 호형 테두리(211)의 양단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211a)가 형성되고, 호형 테두리(211)의 중앙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211b)가 형성된 장착부(210), 일단이 장착부(210)의 타단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에 호형 테두리(2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완충부(230), 및 일단에 선바이저(110)가 결합되고, 완충부(230)의 타단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단에는 회동시 호형 테두리(211)와 접촉하면서 이동하는 이동돌기(245)가 형성된 작동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헬멧 본체(100)는 운행자의 머리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헬멧 본체(100)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며, 전방에는 운행자의 전방시계를 확보하기 위해서 개방된 개방부(105)가 형성된다. 또한, 헬멧 본체(100)의 개방구에는 바람, 먼지 등을 차단할 수 있는 실드(10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선바이저(110)는 태양광이 눈으로 직접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선바이저(110)는 개방부(105)의 일부(상단)를 차단할 수 있고, 통상 실드(107)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선바이저(110)는 개방부(105)의 좌우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된 회동수단(200)을 축으로 회동가능하다. 따라서, 선바이저(110)가 회동수단(200)을 축으로 회동하면서, 개방부(105)의 일부를 차단하거나 개방할 수 있다.
상기 회동수단(200)은 선바이저(110)를 회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회동수단(200)은 장착부(210), 완충부(230), 및 작동부(240)를 포함한다(도 2 내지 도 3 참조). 구체적으로, 장착부(210)는 전체적으로 부체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일단에 호형 테두리(211)가 형성된다. 또한, 완충부(230)는 일단이 장착부(210)의 타단(제1 축(215))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고, 타단에 호형 테두리(2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스프링(237)의 탄성력이 작용할 수 있다. 그리고, 작동부(240)는 일단에 선바이저(110)가 결합되고, 완충부(230)의 타단(제2 축(235))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단에는 회동시 호형 테두리(211)와 접촉하면서 이동하는 이동돌기(245)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240)는 이동돌기(245)가 호형 테두리(211)에 걸린 상태에서 완충부(230)의 타단(제2 축(235))을 기준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때, 완충부(230)의 타단(제2 축(235))에는 호형 테두리(2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므로, 작동부(240)에도 호형 테두리(2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작동부(240)가 회동하면, 이동돌기(245)는 호형 테두리(211)와 계속 접촉을 유지하며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호형 테두리(211)의 양단에는 내측(호형 테두리(211)의 중심 방향)으로 함몰된 함몰부(211a)가 형성되므로, 이동돌기(245)가 호형 테두리(211)의 함몰부(211a)에 배치될 때(도 3a 및 도 3c 참조), 이동돌기(245)는 탄성력에 의해서 함몰부(211a)에 고정되고, 그에 따라 작동부(240)는 정지될 수 있다. 반면, 호형 테두리(211)의 중앙에는 외측(호형 테두리(211)의 방사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211b)가 형성되므로, 이동돌기(245)가 호형 테두리(211)의 돌출부(211b)에 배치될 때(도 3b 참조), 이동돌기(245)는 탄성력에 의해서 곡률을 갖는 돌출부(211b)를 따라 호형 테두리(211)의 양단 중 가까운 쪽으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 작동부(240)는 회동될 수 있다. 즉, 작동부(240)는 탄성력과 호형 테두리(211)에 형성된 함몰부(211a)와 돌출부(211b)에 의해서, 돌출부(211b)에서는 회동하고 함몰부(211a)에서는 정지할 수 있다. 이러한 작동부(240)의 작동 방식에 의해서, 선바이저(110)를 제1 위치(개방부(105) 개방)와 제2 위치(개방부(105) 차단)에 정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동부(240)의 일단에는 선바이저(110)가 결합된다. 따라서, 작동부(240)의 이동돌기(245)가 호형 테두리(211)의 상단 함몰부(211a)에 배치되어 작동부(240)가 정지될 때, 선바이저(110)는 제1 위치에 정지될 수 있다(도 3a 참조). 또한, 작동부(240)의 이동돌기(245)가 호형 테두리(211)의 하단 함몰부(211a)에 배치되어 작동부(240)가 정지될 때, 선바이저(110)는 제2 위치에 정지될 수 있다(도 3c 참조).
한편, 장착부(210), 완충부(230), 및 작동부(240)의 구성을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작동부(240)의 회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해서, 장착부(210)에는 작동부(240)의 측면과 접촉하도록 연장된 제1 회동제한부(216)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회동제한부(216)는 작동부(240)의 상단과 하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작동부(240)의 회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작동부(240)가 제1 회동제한부(216)와 접촉하면서, 작동부(240)와 제1 회동제한부(216) 사이의 충격을 완충하도록, 제1 회동제한부(216)에는 스펀지와 같은 완충부재(22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장착부(210)는 길이방향에 대해서 일정한 각도 연장된(예를 들어, 상측으로 연장된) 연장부(213)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연장부(213)의 말단에 구비된 제1 축(215)을 기준으로 완충부(230)의 일단이 회동가능할 수 있다. 즉, 장착부(210)는 연장부(213)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 또는 "┛"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연장부(2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완충부(230)가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완충부(230)의 회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해서, 연장부(213)에는 완충부(230)의 측면과 접촉하도록 연장된 제2 회동제한부(217)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회동제한부(217)는 연장부(213)의 좌단과 우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완충부(230)의 회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다만, 제2 회동제한부(217)는 반드시 완충부(230)의 회동범위를 반드시 양쪽(좌우측)에서 제한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한쪽에서만(예를 들어, 우측에서만) 제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1 회동제한부(216)와 제2 회동제한부(217)는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기술하였지만, 반드시 별도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동제한부(216)와 제2 회동제한부(217)는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완충부(230)의 타단과 장착부(210)의 일측(예를 들어, 제1 회동제한부(216)의 말단) 사이에는 스프링(237)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237)은 압축스프링의 일종으로 완충부(230)의 타단에 호형 테두리(2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작동부(240)는 완충부(230)의 타단에 구비된 제2 축(235)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다. 결국, 작동부(240)는 완충부(230)에 구비된 제2 축(235)을 기준으로 회동하고, 완충부(230)는 연장부(213)에 구비된 제1 축(215)을 기준으로 회동하므로, 제2 축(235)의 위치는 호형 테두리(211)에 대응하여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작동부(240)의 이동돌기(245)는 함몰부(211a)와 돌출부(211b)에 의해서 변화하는 호형 테두리(211)의 반지름을 흡수하며, 호형 테두리(211)를 따라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다. 만약, 완충부(230) 없이, 작동부(240)가 고정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한다면, 변화하는 호형 테두리(211)의 반지름에 의해서 작동부(240)의 이동돌기(245)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한편,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헬멧의 회동수단과 제어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240)는 제어수단(250)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동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수단(250)은 레일(252)이 형성된 유도편(251), 연결돌기(254)가 형성된 결합편(253), 가이드편(256)이 형성된 가이드본체(255), 및 슬라이드(25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수단(250)은 유도편(251), 결합편(253), 가이드본체(255), 및 슬라이드(257)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본체(255)는 헬멧 본체(100)에 결합되고, 가이드본체(255)의 가이드편(256)을 사이에 두고, 결합편(253)과 슬라이드(257)가 결합되어, 결합편(253)과 슬라이드(257)는 가이드편(256)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운행자의 손가락 등으로 헬멧 본체(100)의 외부로 노출된 슬라이드(257)를 상하방향으로 밀면, 결합편(253)에 형성된 연결돌기(254) 역시 슬라이드(257)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연결돌기(254)는 작동부(240)의 타단에 형성된 연결홀(247)에 삽입되어 결합되므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작동부(240)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다만, 연결돌기(254)는 가이드편(256)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반면, 작동부(240)의 연결홀(247)은 제2 축(235)을 기준으로 회동하므로, 연결돌기(254)와 연결홀(247)은 이동방향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돌기(254)와 연결홀(247) 사이의 이동방향이 상이함에도, 자연스럽게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홀(247)과 연결돌기(254) 사이에는 유격(C, Clearance)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홀(247)의 일방향 길이(L1, 작동부(24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 길이)가 연결돌기(254)의 직경(D1)에 비해서 길게 형성됨으로써, 유격(C)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작동부(240)의 연결홀(247)과 연결돌기(254)는 반드시 직접 삽입되어 연결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수단(250)으로 링크부재(258)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동부(240)의 연결홀(247)에는 링크부재(258)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고, 링크부재(258)의 타단(일단의 반대쪽 말단)은 헬멧 본체(100)에 형성된 슬릿(Slit, 259)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링크부재(258)의 타단에 구비된 손잡이(258a)는 슬릿(259)을 통해서 헬멧 본체(10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따라서, 운행자가 손잡이(258a)를 밀면 링크부재(258)가 이동하면서 작동부(240)를 회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편(251)에 형성된 레일(252)은 평행하게 형성되어 연결돌기(254)의 측면을 양쪽에서 압박하고, 이때 연결돌기(254)는 레일(252)을 따라 이동한다. 또한, 레일(252)의 양단에는 연결돌기(254)를 정지시키도록 연결돌기(254)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굴곡진 정지부(252a)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돌기(254)는 일정한 곡률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정지부(252a)는 연결돌기(254)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을 갖도록 굴곡질 수 있다. 따라서, 연결돌기(254)는 레일(252)의 상단과 하단에서 정지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돌기(254)의 작동 방식에 의해서, 선바이저(110)를 제1 위치(개방부(105) 개방)와 제2 위치(개방부(105) 차단)에 정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257)를 하측으로 밀어 연결돌기(254)가 레일(252)의 하단에 형성된 정지부(252a)에 정지되면, 작동부(240)의 이동돌기(245)는 호형 테두리(211)의 상단에 형성된 함몰부(211a)에 배치되어 정지되고, 최종적으로 선바이저(110)는 제1 위치(개방부(105) 개방)에 정지될 수 있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257)를 상측으로 밀어 연결돌기(254)가 레일(252)의 상단에 형성된 정지부(252a)에 정지되면, 작동부(240)의 이동돌기(245)는 호형 테두리(211)의 하단에 형성된 함몰부(211a)에 배치되어 정지되고, 최종적으로 선바이저(110)는 제2 위치(개방부(105) 차단)에 정지될 수 있다.
다만, 개방부(105)의 좌우측에 구비된 2개의 회동수단(200)에 모두 제어수단(250)이 구비되어야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부(105)의 좌우측 중 일측(우측)에 구비된 회동수단(200)을 제1 회동수단(200a)으로 정의하고, 개방부(105)의 좌우측 중 타측(좌측)에 구비된 회동수단(200)을 제2 회동수단(200b)으로 정의할 때, 제어수단(250)은 제1 회동수단(200a)에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동수단(200a)의 작동부(240)에는 제어수단(250)의 연결돌기(254)가 삽입되는 연결홀(247)이 형성되지만, 제2 회동수단(200b)의 작동부(240)에는 연결홀(247)이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제1 회동수단(200a)만 제어수단(250)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고, 제2 회동수단(200b)은 제1 회동수단(200a)의 구동력을 선바이저(110)를 통해서 전달받아 작동부(240)가 회동된다. 하지만, 제2 회동수단(200b)의 작동부(240)가 선바이저(110)의 구동력을 통해서 회동될 때, 제2 회동수단(200b)의 이동돌기(245)가 호형 테두리(211)의 함몰부(211a)에 배치되어 고정된 상태이므로, 선바이저(110)에는 비틀림 모멘트(Torsion Moment)이 인가되어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제2 회동수단(200b)의 돌출부(211b)를 제1 회동수단(200a)의 돌출부(211b)보다 외측으로 적게 돌출되도록 형성함으로써(P2<P1), 제2 회동수단(200b)의 이동돌기(245)가 호형 테두리(211)의 함몰부(211a)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회동수단(200b)의 이동돌기(245)가 호형 테두리(211)의 함몰부(211a)로부터 상대적으로 쉽게 분리되면, 선바이저(110)에 인가되는 비틀림 모멘트(Torsion Moment)를 감소시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0a 내지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헬멧의 선바이저와 작동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바이저(110)의 말단과 작동부(240)의 일단이 결합되는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선바이저(110)의 말단에는 평행하게 연장된 두개의 다리부(115)가 형성되고, 작동부(240)의 일단에는 두개의 다리부(115)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는 삽입구(128)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작동부(240)의 일단에는 두개의 다리부(115) 사이에 배치되도록 돌출된 결합돌기(219)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두개의 다리부(115)의 말단 사이의 거리(L2)는 결합돌기(219)의 직경(D2)보다 작다. 따라서, 선바이저(110)의 다리부(115)가 작동부(240)의 삽입구(128)에 삽입되면, 두개의 다리부(115)의 말단 사이가 벌어지면서 결합돌기(219)가 삽입되고, 결합돌기(219)가 삽입된 후 다리부(115)의 말단은 탄성으로 본래 형상으로 돌아와 결합돌기(219)를 고정한다. 또한, 두개의 다리부(115)에는 결합돌기(219)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굴곡진 체결부(117, 도 10a 참조)가 형성되어, 두개의 다리부(115) 사이에 삽입된 결합돌기(219)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돌기(219)는 일정한 곡률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체결부(117)는 결합돌기(219)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을 갖도록 굴곡질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헬멧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와 평면도로,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헬멧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바이저(110)가 제1 위치(개방부(105) 개방)에 배치된 경우, 작동부(240)의 이동돌기(245)는 호형 테두리(211)의 상단에 구비된 함몰부(211a)에 배치된다. 이때, 작동부(240)에는 완충부(230)를 통해서 호형 테두리(2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므로, 작동부(240)의 이동돌기(245)는 함몰부(211a)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연결홀(247)과 연결돌기(254)를 통해서 작동부(240)에 연결된 슬라이드(257)는 가이드본체(255)의 하단에 배치되고, 연결돌기(254)는 레일(252)의 하단에 형성된 정지부(252a)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다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행자의 손가락 등으로 슬라이드(257)를 상측 방향으로 밀면, 슬라이드(257)에 결합된 작동부(240)가 제2 축(235)을 기준으로 회동한다. 작동부(240)가 회동하면, 이동돌기(245)는 호형 테두리(211)의 상단에 구비된 함몰부(211a)로부터 호형 테두리(211)의 중심에 구비된 돌출부(211b)로 이동된다. 이때, 완충부(230)가 제1 축(215)을 기준으로 회동하므로, 제2 축(235)은 호형 테두리(211)의 돌출부(211b)에 대응하여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돌기(245)는 돌출부(211b)에 의해서 변화하는 호형 테두리(211)의 반지름 흡수하며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동돌기(245)가 곡률을 갖는 돌출부(211b)의 일정부분 이상을 지나면, 작동부(240)에 작용하는 탄성력에 의해서 호형 테두리(211)의 하단에 구비된 함몰부(211a)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동시에, 선바이저(110)는 제1 위치(개방부(105) 개방)에서 제2 위치(개방부(105) 차단)로 이동한다.
다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257)가 완전히 가이드본체(255)의 상단으로 이동하면, 연결돌기(254)는 레일(252)의 상단에 형성된 정지부(252a)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작동부(240)의 이동돌기(245)는 호형 테두리(211)의 하단에 구비된 함몰부(211a)에 배치된다. 이때, 작동부(240)에는 완충부(230)를 통해서 호형 테두리(2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므로, 작동부(240)의 이동돌기(245)는 함몰부(211a)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선바이저(110)는 완전히 제2 위치(개방부(105) 차단)로 이동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작동과정은 선바이저(110)가 제1 위치(개방부(105) 개방)에서 제2 위치(개방부(105) 차단)로 이동하는 과정을 기술한 것이고, 선바이저(110)가 제2 위치(개방부(105) 차단)에서 제1 위치(개방부(105) 개방)로 이동하는 과정은 상술한 작동과정을 역순으로 진행하면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헬멧 본체 105: 개방부
107: 실드 110: 선바이저
115: 다리부 117: 체결부
200: 회동수단 200a: 제1 회동수단
200b: 제2 회동수단 210: 장착부
211: 호형 테두리 211a: 함몰부
211b: 돌출부 213: 연장부
215: 제1 축 216: 제1 회동제한부
217: 제2 회동제한부 218: 삽입구
219: 결합돌기 220: 완충부재
230: 완충부 235: 제2 축
237: 스프링 240: 작동부
245: 이동돌기 247: 연결홀
250: 제어수단 251: 유도편
252: 레일 252a: 정지부
253: 결합편 254: 연결돌기
255: 가이드본체 256: 가이드편
257: 슬라이드 258: 링크부재
258a: 손잡이 259: 슬릿
L1: 연결홀의 일방향 길이 D1: 연결돌기의 직경
P1, P2: 돌출부의 돌출된 정도 C: 유격
L2: 다리부의 말단 사이의 거리 D2: 결합돌기의 직경

Claims (13)

  1. 전방에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된 헬멧 본체; 및
    상기 개방부의 일부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개방부의 좌우측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회동수단을 축으로 회동가능한 선바이저;
    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수단은,
    일단에 호형 테두리가 형성되되, 상기 호형 테두리의 양단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되고, 상기 호형 테두리의 중앙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장착부;
    일단이 상기 장착부의 타단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에 상기 호형 테두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완충부; 및
    일단에 상기 선바이저가 결합되고, 상기 완충부의 타단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단에는 회동시 상기 호형 테두리와 접촉하면서 이동하는 이동돌기가 형성된 작동부;
    를 포함하는 오토바이용 헬멧.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개방부의 좌우측 중 일측에 구비된 제1 회동수단; 및
    상기 개방부의 좌우측 중 타측에 구비된 제2 회동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회동수단의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1 회동수단의 돌출부보다 외측으로 적게 돌출되는 오토바이용 헬멧.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의 타단에는 연결홀이 형성되고,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작동부에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연결홀에 삽입되는 연결돌기가 형성된 제어수단;
    을 더 포함하는 오토바이용 헬멧.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홀의 일방향 길이는 상기 연결돌기의 직경에 비해서 긴 오토바이용 헬멧.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돌기의 측면을 양쪽에서 압박하는 레일;
    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돌기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되,
    상기 레일의 양단에는 상기 연결돌기를 정지시키도록 상기 연결돌기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굴곡진 정지부가 형성된 오토바이용 헬멧.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의 회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해서, 상기 장착부에는 상기 작동부의 측면과 접촉하도록 연장된 제1 회동제한부가 형성된 오토바이용 헬멧.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와 상기 제1 회동제한부 사이의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상기 제1 회동제한부에 구비된 완충부재;
    를 더 포함하는 오토바이용 헬멧.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바이저의 말단에는 평행하게 연장된 두개의 다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의 일단에는 두개의 상기 다리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돌출된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를 고정하도록, 두개의 상기 다리부의 말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 결합돌기의 직경보다 작고, 두개의 상기 다리부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굴곡진 체결부가 형성된 오토바이용 헬멧.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길이방향에 대해서 일정한 각도로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의 일단은 상기 연장부의 말단에 구비된 제1 축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한 오토바이용 헬멧.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의 회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해서, 상기 연장부에는 상기 완충부의 측면과 접촉하도록 연장된 제2 회동제한부가 형성된 오토바이용 헬멧.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완충부의 타단에 구비된 제2 축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한 오토바이용 헬멧.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의 타단에 상기 호형 테두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완충부의 타단과 상기 장착부 사이에 구비된 스프링;
    을 더 포함하는 오토바이용 헬멧.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의 타단에는 연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홀에 연결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제어수단;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헬멧 본체의 형성된 슬릿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작동부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오토바이용 헬멧.
KR1020130072187A 2013-06-24 2013-06-24 오토바이용 헬멧 KR101402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187A KR101402613B1 (ko) 2013-06-24 2013-06-24 오토바이용 헬멧
EP14173480.6A EP2818066B1 (en) 2013-06-24 2014-06-23 Motorcycle helm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187A KR101402613B1 (ko) 2013-06-24 2013-06-24 오토바이용 헬멧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2613B1 true KR101402613B1 (ko) 2014-06-03

Family

ID=50979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2187A KR101402613B1 (ko) 2013-06-24 2013-06-24 오토바이용 헬멧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2818066B1 (ko)
KR (1) KR1014026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23020A (ja) * 2015-06-24 2018-08-16 トロイア、ジョヴァンニ ディ 防眩バイザを備えた保護ヘルメッ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8638A (ja) * 1996-12-17 1998-06-23 Shoei Kako Kk ヘルメットの回動板取付け機構
KR100403482B1 (ko) 2001-05-29 2003-10-30 주식회사 케이비씨산업 헬멧투시창의 쉴드 회전 및 인출장치
KR100659171B1 (ko) 2005-12-15 2006-12-19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헬멧용 턱 보호대의 개폐장치
KR20130016058A (ko) * 2011-08-03 2013-02-14 옵티코스 에스.알.엘.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를 구비한 안전 헬멧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007011933D1 (de) * 2007-09-18 2011-02-24 Opticos Srl Sicherheitshelm mit zusätzlichem Innenvisier
US20100132097A1 (en) * 2008-12-03 2010-06-03 Tsan-Jee Chen Structure for safety helme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8638A (ja) * 1996-12-17 1998-06-23 Shoei Kako Kk ヘルメットの回動板取付け機構
KR100403482B1 (ko) 2001-05-29 2003-10-30 주식회사 케이비씨산업 헬멧투시창의 쉴드 회전 및 인출장치
KR100659171B1 (ko) 2005-12-15 2006-12-19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헬멧용 턱 보호대의 개폐장치
KR20130016058A (ko) * 2011-08-03 2013-02-14 옵티코스 에스.알.엘.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를 구비한 안전 헬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18066B1 (en) 2016-05-25
EP2818066A1 (en) 2014-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5460B1 (ko) 헬멧용 턱 보호대 개폐 장치
US20150351539A1 (en) Acutating drive for moving a moveable furniture part
EP1714568A1 (en) Helmet wind deflector
US20120284906A1 (en) Position control mechanism for a full-faced and open-faced helmet
KR101402613B1 (ko) 오토바이용 헬멧
US20200173216A1 (en) Hinge with opening device for pieces of furniture
US20120205058A1 (en) Semi-automatic sunshade device
KR101654925B1 (ko) 가구용 슬라이딩 도어의 쳐짐 방지장치
JP5633954B2 (ja) 扉装置
CA2291550A1 (en) Helmet windshield with sunshade device
JP6319109B2 (ja) サンバイザ装置
KR102461899B1 (ko) 헬멧용 회동체 고정수단
US20240180282A1 (en) Shield rotation controlling means
JP6410597B2 (ja) 自閉式引戸装置
KR101781577B1 (ko) 헬멧
KR100527142B1 (ko) 자동차용 도어체커장치
EP4268657A1 (en) Chin guard pivoting mechanism
US1679244A (en) Antirattler
KR102466845B1 (ko) 헬멧용 회동수단
KR102492726B1 (ko) 도어 스토퍼
KR102626302B1 (ko) 친가드 고정수단
JP2001318436A (ja) 開閉体のヒンジ
KR101519249B1 (ko) 차량용 후드 개폐장치
KR102393623B1 (ko) 헬멧용 선바이저 제어수단
JP2021504601A (ja) サンバイザーを備えた自動二輪車用保護ヘルメ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