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6058A -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를 구비한 안전 헬멧 - Google Patents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를 구비한 안전 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6058A
KR20130016058A KR1020120078874A KR20120078874A KR20130016058A KR 20130016058 A KR20130016058 A KR 20130016058A KR 1020120078874 A KR1020120078874 A KR 1020120078874A KR 20120078874 A KR20120078874 A KR 20120078874A KR 20130016058 A KR20130016058 A KR 20130016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re visor
visor
safety helmet
glare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8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9456B1 (ko
Inventor
가포리오 루카
토마소니 가브리엘
살베티 알베르토
Original Assignee
옵티코스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옵티코스 에스.알.엘. filed Critical 옵티코스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130016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6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9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9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6Visors with sunscreens, e.g. tinted or dual visor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0Face guards, e.g. for ice hockey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안전 헬멧은, 전방 개구부(3)가 제공된 외관(2), 충격 흡수 재질로 제작된 내관(26), 상기 외관(2)에 강제 삽입되고 상기 전방 개구부(3)와의 적어도 하나의 착용 위치와 상기 전방 개구부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탈거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 상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동작 전달 케이블(14)을 통해서, 상기 외관(2)에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17)에 슬라이드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는 컨트롤 슬라이더(18)에 의해서 제어되는 작동 부재(8a)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컨트롤 슬라이더(18)는 상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가 적어도 하나의 탈거 위치에 놓이게 되는 비활성 위치와 상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가 적어도 하나의 착용 위치에 놓이게 되는 활성 위치 사이를 수동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의 동작 전달 케이블(14)은 외관(2)과 일체로 결합하는 한쪽 선단부(15)와 상기 컨트롤 슬라이드(18)와 일체로 결합하는 다른 쪽 선단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의 동작을 위해서, 상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의 작동 부재(8a)에 강제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브(13)와 체결되어 있다.

Description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를 구비한 안전 헬멧{Safety helmet with anti-dazzle visor}
본 발명은 안전 헬멧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터사이클리스트 또는 다른 운송 수단의 사용자를 위한 것으로 실질적으로 견고한 재료,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로 제작하고 전방 개구부가 제공된 외관, 충격 흡수재료, 예를 들면 발포 폴리스티렌으로 만들어진 내관,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주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섬유가 덮여 있는 발포 고무로 만들어진 내부 캡과, 그리고, 상기 전방 개구부와 가역적으로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로 이루어져 있는 안전 헬멧에 관한 것이다.
모터사이클이나 스노우모빌과 같은 비이클(vehicles)의 사용자를 위해서 보통 광택이 나거나 어떤 경우에는 외부 광선을 필터링할 수 있도록 제조된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anti-dazzle visor)를 겸비한 안전 헬멧을 제공하는 것은 종래부터 잘 알려져 왔다. 상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는 외관(outer shell)에 대해 축회전하거나 강제 삽입되어 있고, 적당한 작동 메커니즘 따라 헬멧의 전방 개구부의 착용 위치, 예를 들면 사용자의 시야를 보호할 수 있는 위치와 상기 개구부로부터의 탈거 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하게 된다.
특히, 견고한 합성 재료로 제작하고 충격 흡수 재료, 보통 발포 재료로 제작한 보완적인 내관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외관으로 이루어지고 다음에 사용자의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해 캡과 연계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밖을 볼 수 있도록 하는 전방 개구부와 헬멧 속으로 넣을 수 있도록 하는 하부 개구부를 갖도록 하는 방식으로 형태를 갖는 안전 헬멧을 생산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이미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일부 안전 헬멧으로, "오픈 페이스(open face)" 헬멧이 알려져 있는데,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두 군데의 개구부가 서로 방해 없이 연결되어 있는 반면에, 다른 헬멧에서는 외관의 특정 부위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는데, 이것은 상응하는 충격 흡수층이 제공되어 있고, 사용자의 턱 부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결과적으로 "턱 보호대"라고 불리고 있다. 후자의 경우에, 외관의 나머지 부분과 일체로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는 턱 보호대의 제작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풀 페이스(full face)" 헬멧이다. 반면에 턱 보호대의 제작은 축회전하고, 어떤 경우에 최소한 자유도로서 상기 외관에 강제 삽입되어 있으며, 그래서 언제나 상기 외관을 중심으로 들어 오르게 되는데 이러한 헬멧은 "풀립업 풀페이스(flip-up full face)"로 알려져 있다.
어떤 경우에, 안전 헬멧의 타입과 관계없는 경우는 상기 외관에 턱 가이드를 강제 삽입하거나 임의로 턱 보호대를 연장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것을 플립업할 수 있는 타입으로 하는 경우, 사용자의 얼굴을 보호하기 위한 바이저가 상기 전방 개구부를 가역적으로 커버하게 되며, 일부 경우에, 사용자의 시야 영역을 최소한으로 할 목적으로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를 외관에 강제 삽입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는 사용자가 특정 매뉴얼을 통해서 상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를 상기 헬멧의 전방 개구부에 착용 및 탈거할 수 있도록 상기 외관에 대해 바이저를 동작시키기 위한 작동 메커니즘의 수단에 의해서 언제나 상기 외관에 강제 삽입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외관에 대해 인하 위치와 항상 일치하는 상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의 착용 위치로부터 상기 외관에 대해 인상 위치와 일치하는 탈거 위치로 사용자가 신속하고 빠르게 전환할 수 있게 하는 상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의 다른 작동 메커니즘이 알려져 있다.
헬멧을 착용하고 있는 사람이 여행을 하는 동안 불가피한 상황으로, 주변 환경상 빛의 조건이 급작스럽게 변하는 경우, 예를 들면 터널에 들어가고 나올 때, 사용자의 시야 영역을 커버하기 위한 위치, 즉, 상기 헬멧의 전방 개구부에 착용한 위치에서 사용자의 시야 영역을 벗어나는 위치, 즉 상기 전방 개구부로부터 탈거하는 위치로 신속하고 간단한 사용법으로 상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를 동작하게 할 필요가 있다.
상기 헬멧의 전방 개구부에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의 착용 위치에서 상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의 탈거 위치로의 변경이 요구될 때 이러한 변화가 신속히 일어나게 하는 것이 특히 중요한 것이다.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에 대해 중요한 점은, 사용자에 의해서 가장 적합한 위치에 놓이게 하면, 견고하게 제 위치를 유지하고 있어야 하며, 예를 들어 안전 헬멧이 받게 되는 진동이나 약간의 충격 때문에 의도하지 않게 반대 위치로 움직이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요구는 사용자가 야간 또는 주변의 빛이 부족한 조건하에서 비이클을 운전할 때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를 겸비한 안전 헬멧을 이용하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를 헬멧의 전방 개구부로부터 탈거하여 인상 위치에 있는 경우에 특히 중요하다. 실제로, 비이클을 운전할 때, 진동이나 충격 때문에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가 헬멧의 전방 개구부에 착용되는 위치로 뜻하지 않게 내려오는 경우에 사용자에 대해 유효한 문제점을 일으킨다.
따라서,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의 작동 메커니즘은 진동과 미약한 충격이 있을 경우에도 사용자가 위치를 정해 놓은 이후에 상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의 인상 위치가 최소한 견고하게 유지되어야 하는 안전의 확보가 필요하다.
잘 알려진 안전 헬멧의 상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의 작동 메커니즘 중에서 컨트롤 슬라이더로부터의 동작을 전송하기 위해 케이블을 사용하는 메커니즘이 있는데, 이것은 사용자에 의해서 상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에 대해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특히 효과적이고 구조적으로 단순하다.
SCHUBERTH ENGINEERING AG의 국제특허출원 WO 2006/037294에 의하면,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를 위한 작동 메커니즘이 기재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는 2개의 바우던 케이블(Bowden cable : 나선형으로 감긴 철선 케이스 내부에 강철 스프링 철선을 사용한 조정장치의 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케이블은 힘과 동작을 밀고 당길 수 있으며, 그의 한쪽 선단이 헬멧의 외관과 일체로 결합된 가이드 안쪽에서 슬라이딩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트롤 슬라이더와 연결되어 있고, 다른 쪽 선단은 상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의 측면 작동 부위와 각각 연결되어 있다. 사용자에 의한 컨트롤 슬라이더의 작동은, 바우던 케이블 때문에, 상기 슬라이더로부터 상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로 동작의 전송이 일어난다. 그래서 인하 위치인 시야 영역을 커버하는 위치로부터 인상 위치인 시야 영역을 벗어나는 위치로의 이동이 시작된다.
구조적으로 간단하지만, 한 손으로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를 작동하는 메커니즘은 만약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가 착용 위치에서 탈거 위치로 움직이는 속도가 사용자 손의 민첩성에 달려 있다면 비교적 효과적인지 못하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컨트롤 슬라이더를 움직이는데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힘은, 바우던 케이블이 있다면, 실질적으로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의 인상 또는 인하에 필요한 힘과 실질적으로 같게 되고, 따라서 바이저를 신속하게 작동시키는데 장애를 보이고 있다.
LAZER S.A.의 국제특허출원 WO 2010/066278에 의하면, 안전 헬멧의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를 인상 또는 인하시키기 위한 작동 메커니즘에 관한 것으로, 신축성이 있거나 바우던 케이블과 같은 케이블과 슬라이더로 구성되어 있는 바, 이 케이블은 제 위치에서 헬멧의 외관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 내에서 슬라이드할 수 있는 바이저의 컨트롤 슬라이더 사이까지 확장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더는 두 개의 제각각의 레바를 갖는 두 개의 아암에 강제 삽입이 되어 있되 상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의 측면 선단 부위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어 상기 외관 및 전장 개구부에 대해 인상 또는 인하를 일으키게 하고 있다.
상기 가이드 내에서 컨트롤 슬라이더의 수동 동작은 동작 전송 케이블과 슬라이더와 두 개의 레바, 사용자의 시야 영역을 커버하고 있는 인하 위치로부터 시야를 벗어나는 인상 위치로의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의 이동으로 구성된 운동학적인 메커니즘을 통해서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작동 메커니즘이 비교적 적은 힘으로 사용자가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고 할지라도, 그럼에도 두 개의 레바 때문에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다루기가 힘들고 조립하기 어려움을 갖고 있다.
더욱이, WO 2010/066278에 기재된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의 작동 메커니즘은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가 컨트롤 슬라이더에 대해 제한된 힘을 발휘하여 작동하게 하고 있지만, 필요한 경우에, 신속하게 바이저를 인상하는 특별한 기술적인 수단을 제공하고 있지 못하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를 인상된 위치, 헬멧의 전방 개구부로부터의 탈거 위치에 안정되게 남아 있도록 보장하는 어떤 메커니즘에 관해서도 보여주고 있지 못하다.
WITZMANN의 독일 실용신안 DE8534132 U에서는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가 제공된 헬멧에 대해 명확하게 언급하고 있지 못하다. 보안용 바이저를 외관의 전방 개구부를 중심으로 인상 및 인하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기재하고 있고, 2개의 신축성의 동작 전송 케이블을 사용하고 있으며, 기능적으로 컨트롤 슬라이더와 바이저의 하부 측면 선단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바이저의 작동 부재로서 작용을 하고 있다. 상기 헬멧은 또한 외관과 바이저의 사이에 기능적으로 삽입되어 있는 탄성 복귀 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바이저를 인상 위치, 예를 들면 상기 헬멧의 전방 개구부로부터 탈거 위치로 밀어 올릴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컨트롤 슬라이더는 해당 슬라이더의 위치를 안정하게 유지하기에 적합한 단계별 가이드 안쪽에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 복귀 수단의 작동과 반대로 상기 바이저를 인하시키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바이저 작동 메카니즘이 상기 바이저의 상당히 신속한 인상을 보장한다고 할지라도 국제특허출원 WO2006/037294A1와의 관계에서 이미 설정되어 있는 일부 단점이 있다. 상기 슬라이더에 적용하고자 하는 힘이 상기 바이저에 직접 전달된다면 상기 바이저의 인상 또는 인하시에 요구되는 힘과 동일하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가지지 않는 작동 메커니즘을 갖는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를 포함하는 안전 헬멧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관의 전방 개구부와 체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위치와 그로부터 탈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위치 사이를 왕복 운동할 수 있는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를 제공하되 상기 헬멧의 외관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에서 슬라이드 하는 컨트롤 슬라이더로부터 동작을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 및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동시에 상기 컨트롤 슬라이더에 제한적인 힘을 가하여 상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의 이동을 허용하는 상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의 작동 부재로 이루어진 안전 헬멧을 제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상기에 명시한 타입의 안전 헬멧을 제공하며, 상기에 언급한 특성 외에 추가로 사용할 때 상당히 안전하고, 특히 사용자에 의해서 탈거된 위치에 놓인 후에 진동 약간의 타격 또는 다른 사건 때문에 상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가 상기 헬멧의 전방 개구부로부터 탈거된 위치에서 뜻하지 않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 헬멧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 및 다른 목적은 독립 청구항과 일련의 종속청구항에 따른 안전 헬멧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를 구비한 안전 헬멧은, 전방 개구부가 제공된 외관, 충격 흡수 재질로 제작된 내관, 상기 외관에 강제 삽입되어 있고 상기 전방 개구부와의 적어도 하나의 착용 위치와 상기 전방 개구부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탈거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 상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동작 전달 케이블을 통해서, 상기 외관에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에 슬라이드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는 컨트롤 슬라이더에 의해서 제어되는 작동 부재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컨트롤 슬라이더는 상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가 적어도 하나의 탈거 위치에 놓이게 되는 비활성 위치와 상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가 적어도 하나의 착용 위치에 놓이게 되는 활성 위치 사이를 수동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는 안전 헬멧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 전달 케이블은 그의 한쪽 선단부이 상기 외관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다른 쪽 선단부는 상기 컨트롤 슬라이더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의 동작을 위해서 작동 부재에 강제 삽입되어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브와도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외관의 전방 개구부에서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가 탈거 위치에 있을 때의 본 발명의 특정한 구현예에 따른 안전헬멧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2a는 외관의 전방 개구부에서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가 사용자의 시야를 부분적으로 가리게 되는 체결 상태에 있을 때의 도 1에 예시한 안전헬멧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와 동일한 위치에서 나타낸 도 1의 안전헬멧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과 2의 안전헬멧의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와 관계하는 작동 메커니즘 부품들의 분해 조립도이다.
도 4는 도 1과 2의 안전헬멧의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와 관계하는 작동 메커니즘 부품의 개략적인 측면도로서, 외관의 전방 개구부가 탈거된 상태이다.
도 5는 도 1과 2의 안전헬멧의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와 관계하는 작동 메커니즘 부품의 개략적인 측면도로서, 외관의 전방 개구부가 체결된 상태이다.
도 6a~6c는 본 발명에 따른 특정 구현예에 따른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의 작동을 위해 컨트롤 슬라이더와 이에 관계하는 임시 유지 수단을 부분 측면도로 예시한 것으로, 서로 다른 작동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특정 구현예에 따른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의 작동을 위해 컨트롤 슬라이더와 이에 관계하는 임시 유지 수단을 부분 측면도로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헬멧은 전방 개구부가 제공되어 있고 충격 흡수 재질로 만들어진 내관과 연결되어 있는 외관, 상기 외관에 강제 삽입되어 있고 상기 전방 개구부와의 적어도 하나의 착용 위치와 상기 전방 개구부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탈거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 상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운동 전달 케이블을 통해서, 상기 외관에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에서 슬라이드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는 컨트롤 슬라이더에 의해서 제어되는 작동 부재를 포함하고 있되 상기 컨트롤 슬라이더는 상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가 적어도 하나의 탈거 위치에 놓이게 되는 비활성 위치와 상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가 적어도 하나의 착용 위치에 놓이게 되는 활성 위치 사이를 수동적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작 전달 케이블은 그의 한쪽 선단부가 상기 외관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다른 쪽 선단부는 상기 컨트롤 슬라이더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의 왕복 이동을 위해서 작동 부재에 강제 삽입되어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브와도 맞물려 있다.
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드라이브는 도르래 또는 풀리로 구성되어 있고, 동작 전달 케이블이 그를 감싸면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외관의 전방 개구부와의 탈거 위치로부터 착용 위치로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컨트롤 슬라이더에 적용하는 힘을 줄여주게 된다.
여기서 항목 "드라이브"는 케이블이 처리하고자 하는 어떤 동작을 전달하게 되는 상기한 작동 케이블과 체결하고자 하는 어떤 구조적인 부품을 의미하며, 상기 동작은 상기 케이블로부터 드라이브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작동 부재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드라이브는 상기 작동 부재, 또는 도르래나 동작하는 풀리와 회전축이 일체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의 작동 부재에 강제 삽입되어 있게 된다.
실제로, 동작하는 도르래 또는 풀리의 경우에, 주어진 하중(이 경우에는,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의 무게이며, 아래에서 설명하겠지만, 필요하다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 복귀 스프링에 의해서 발휘되는 하중을 추가할 수 있다)을 견디며, 동작의 전달을 위한 로프나 케이블로 감싸여지게 되고, 그의 한쪽 선단에 강제 삽입되며, 이상 조건에서 시스템의 운동학적인 평형, 즉 상기 도르래 또는 풀리가 상기 로프의 자유 선단에 적용되는 힘의 2배와 같아질 경우 상기 로프의 자유 선단에 적용된 힘이 도르래, 또는 풀리의 하중과 평형을 이루게 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단순하게 그리고 기계학적으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이것이 기계적인 이점과 비교할 수 있는 운동학적인 메카니즘이다.
본 발명에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안전 헬멧은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를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탈거 위치로 밀어내기 위해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작용하는 탄성 복귀 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에게는 명백한 바와 같이, 이러한 탄성 복귀 수단의 사용은, 사용자에 의해서 위치가 한번 설정되어 있거나 안전 헬멧이 처리할 수 있는 뜻밖의 타격에 의한 진동의 경우에도 상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가 그의 승강 위치, 예를 들면 상기 헬멧의 전방 개구부로부터의 탈거 위치를 효과적으로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더욱이, 탄성 복귀 수단은 바람직하게 상기 외관과 상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 사이에 강제 삽입되는 스프링에 의해서 구성되어지며, 이것은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것을 풀어서 컨트롤 슬라이더의 특별한 임시 유지 수단을 작동시키고자 할 때 상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를 자동적으로 외관의 전방 개구부로부터 그의 탈거 위치(사용자의 시야를 벗어남)로 복귀시키게 된다.
실제로, 본 발명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안전 헬멧은 수동적으로 작동하는 임시 유지 수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것은 컨트롤 슬라이더 상에서 활동하며, 상기 컨트롤 슬라이더가 앞에서 언급한 활성 위치에 있을 때 이 위치에서 컨트롤 슬라이더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이들 임시 유지 수단은 몸체, 바람직하게 스톱 폴이 제공되어 있는 레바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레바는 상기 스톱 폴과의 일시적인 체결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시트가 적절하게 제공되어 있는 상기 컨트롤 슬라이더와 체결되는 잠김 위치와 상기 컨트롤 슬라이더와 탈거되는 해제 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하게 된다. 이것은 동작 몸체가 그의 잠김 위치, 예를 들면 상기 스톱 폴이 컨트롤 슬라이더 상에 만들어져 있는 시트와 체결되어지는 위치로 탄력적으로 밀어내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컨트롤 슬라이더는 탄성 레바의 스톱 폴을 위해서 2개 이상의 시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임시 유지 수단을 구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에 대해 다음에서 첨부하는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며, 다음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 1과 2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특정한 구현예에 따른 안전 헬멧(1)은 보통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다른 열가소성 수지, 예를 들면 ABS 또는 다른 복합 재료로 제작되는 외관(2)으로 이루어져 있되, 그의 하부에는 상기 헬멧(1)을 내려놓을 수 있는 하부 개구부(28)가 제공되어 있고, 그의 전방에는 사용자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전방 개구부(3)가 있다.
특히 도 2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안전 헬멧(1)은 어떤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적당한 재질, 예를 들어 발포 폴리스티렌으로 만들어진 내관(26)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머리와 상기 내관 사이에 캡(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이 있으며, 이 캡은 상기 내관(26)의 내부면(27)에 언제나 제거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접촉하게 되는 캡은 종래 기술에 의하면, 특수한 섬유로 감싼 발포 고무로 만들며, 헬멧을 착용할 때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개선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권리 청구를 위하여 예시한 도 1, 2, 2b의 안전 헬멧(1)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턱을 보호하도록 헬멧의 부위가 얼굴 전체에 제공되거나 플립업으로 얼굴 전체에 제공되는 "턱 보호대"가 제공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그러나 이 기술 분야의 기술자들은 어떤 특별한 개조 없이 본 발명을 외관에 일체로 턱 보호대가 있는 헬멧, 플립업 형태로 턱 보호대가 있는 헬멧, 제거 가능한 형태로 턱 보호대가 있는 헬멧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분명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예시한 안전 헬멧(1)은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실질적으로 투명하고, 안전 헬멧(1)의 전방 개구부(3)를 덮는 위치와 이 전방 개구부(3)로부터 탈거하게 되는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보안용 바이저(도면에 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되어 있다. 이 보안용 바이저는 전방 개구부(3)의 측면에서 안전 헬멧(1)의 외관(2)에 대해 축회전되어지고 또는 어떤 경우에는 최소한 프리 스타일로 구속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예시하지는 않았지만, 안전 헬멧(1)의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보안용 바이저는 헬멧(1)에 임의로 제공될 수 있는 이동 가능한 턱 보호대에 대해 회전축에 의해 회전되게 할 수 있고 어떤 경우에는 구속되게 될 수 있다.
안전 헬멧(1)은 또한 광택이 나거나 어떤 경우에는 빛을 투과시킬 수 있는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이저는 비록 일부분이긴 하지만, 사용자의 시야를 막는 강하 위치에 해당하는, 전방 개구부(3)에서의 착용 위치(도 2a와 2b에 표시함)에서, 사용자의 시야를 벗어나는 승강 위치에 해당하는, 상기 개구부(3)에서의 탈거 위치(도 1에 나타냄)로 사용자에 의도에 따라 움직일 수 있다.
도 1, 2a 및 2b에 예시한 안전 헬멧(1)의 특정한 구현예에서, 외관(2)과 내관(26) 사이에 시트(128) 또는 리세스가 만들어져 있으며, 상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전방 개구부(3)로부터 탈거 위치로 이동을 할 때, 그 안쪽으로 수용되어진다. 이러한 해결수단에 의하면, 투명한 보안용 바이저(도면에 도시하지 않음)는 상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의 정상, 예를 들면 상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에 비해서 상기 외관(2)의 전방 개구부(3)에서 상당히 먼 위치에 설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외관(2)의 외측에 설치되게 된다.
여기서 기재한 안전 헬멧(1)의 다른 구현예로서,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를 보안용 바이저의 외측에 놓을 수 있고,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의 부존재, 또는 보안용 바이저가 없는 경우도 첨부하는 청구항에서 정의하고 있는 보호범위속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도 3, 4 및 5와 관련해서, 본 발명에 따른 특정한 구현예로서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는 미리 정해진 방식으로 빛을 투과시킬 수 있는 중앙 영역과, 예를 들어 전방 개구부(3)에 대해 외관(2)의 한쪽 측면에 있는 제1 측면 작동 지지부재(8a)와 상기 전방 개구부(3)에 대해 외관(2)의 다른 쪽 측면에 있는 제2 측면 작동 지지부재(8b)와 각각 연동하거나 병렬로 설치하는 것과 같이 일체로 체결하도록 U자형으로 되어 있는 2개의 측면선단부(5a,5b)로 이루어져 있다.
두 개의 측면 작동 지지부재(8a,8b)는 상기 외관(2)에 일체로 결합하여 단단하게 고정되는 인터페이스 지그로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체결될 수 있는 시트를 포함하고 있으며 하나의 조각으로 만들어져 있고, 그래서,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가 상기의 외관(2)과 상기의 측면 작동 지지부재(8a,8b)의 사이에 끼워져 있으므로 그의 측면 선단부(5a,5b)를 통해서 축회전되어지게 된다.
특히,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의 측면 선단부(5a)와 일체를 구성하는 제1 측면 작동 지지부재(8a)에는, 상기 안전 헬멧(1)의 외관(2)에 일체로 단단하게 고정되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제로 된 마운팅 브라켓(6b)에서 돌출되어 있는 회전축(7b)과 맞물릴 수 있도록 홀(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관(2)의 내부 표면의 형상화 된 영역(6a)은 예를 들어 나사 또는 그러브나사를 통해서 상기 브래킷(6b)과 한 쌍으로 연결될 수 있고 그래서 정확한 위치에서 상기 제1 측면 작동 지지부재(8a)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실제로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의 제1 측면 작동 지지부재(8a)는 상기 마운팅 브래킷(6b)과 상기 형상화된 영역(6b) 사이에 상기 측면 작동 지지부재(8a)가 회전될 수 있게 강제 삽입되어 끼워져 있으면서 안전 헬멧의 전방 개구부(3)에 대해 측면 위치에서 상기 형상화된 영역(6b)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상기 마운팅 브래킷(6b)을 통해서 상기 외관(2)에 대해 회전되게 유지되어 있다.
여기서 예시한 안전 헬멧(1)의 특정 구현예에서, 상기 형상화된 영역(6a)은 보안용 바이저(도면에 나타내지 않음) 또는 상기 안전 헬멧(1)을 위한 풀립업 턱 가이드의 축회전을 위해 돌출형 시트(7a)로 이루어져 있다.
제2 측면 작동 지지부재(8b)와 관련해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것은 상기 전방 개구부(3)와 대하여 형상화된 영역(6a)의 반대편에서 상기 헬멧(1) 외관(2)의 내부 표면의 관련 영역에 대해 예를 들면, 나사 또는 핀에 의해서 간단하게 회전되어지므로 상기 외관(2)에 대하여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의 회전을 허용하게 된다.
상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를 위해서 안전 헬멧(1)에 제공되는 강제 삽입식은 상기 외관(2)에 대해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의 축회전을 통해서 회전하는 타입의 강제 삽입이다. 다른 타입의 강제 삽입, 예를 들면 관련된 가이드 내부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더와 함께 "쐐기" 타입을 선택적으로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를 상기 외관(2)에 강제 삽입하는데 제공할 수 있다. 단 이러한 강제 삽입은 상기 외관(2)의 전방 개구부(3)를 체결하는 위치와 탈거하는 위치 사이로의 눈부심 장지용 바이저(4)의 이동은 허용하게 된다.
상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의 측면 작동 지지부재(8a)는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의 작동 부위를 구성하며, 여기서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특정 구현예에 의하면, 두 개의 아암(9,22)을 갖는 레바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되 이들 아암은 상기 측면 작동 지지부재(8a)의 축회전을 위해서 상기 홀(10)을 중심으로 서로 기하학적으로 반대편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측면 작동 지지부재(8a)의 두 개의 아암(9) 중 하나는 첨부 도면에서, 상기 외관(2)의 하부 부위와 마주하고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안전 헬멧(1)의 하부 개구부(28)와 마주하고 있으며, 이론적으로 늘릴 수 없는 케이블(14)을 위해서, 중앙에 회전축을 갖는 디스크 형태의 도르래 형태로 된 드라이브(13)를 수용하는 시트(12)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케이블(14)은 슬라이더(18)로부터 상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의 측면 작동 지지부재(8a)의 아암(9)으로 운동을 전달하게 된다.
비록 안전 헬멧(1)의 구현예에서 측면 작동 지지부재(8a)의 아암(9)이 해당 안전 헬멧(1)의 하부 개구부(28)와 마주하고 있는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후반의 다른 구현예에서는 본 발명에 대해 여기서 청구하는 보호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상기 측면 작동 부재의 아암(9)이 상기 외관(2)의 정상부를 향해서, 예를 들어, 여기에서 나타낸 것과 반대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케이블(14)은,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진 방호용 외장(29)으로 감싸여진 신축성의 강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 선단부(15)는 브래킷(6b)을 통해서 외관(2)에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되 어떤 경우에는 상기 외관(2)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으며, 제2 선단부(16)는 슬라이더(18)에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이 슬라이더(18)는 사용자에 의해서 수동적으로 작동하게 되며, 반드시 직선 방향뿐만 아니라 외관(2)과 일체로 선형 가이드를 따라서 슬라이드하게 된다.
방호용 외장(29)은 또한 그의 선단(외장 선단)이, 안전헬멧(1)의 내부에서 배치가 변하지 않고 유지하는 방식과, 이 방식에서 상기 케이블(14)이 미리 정해진 경로를 따라 활주하는 것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래킷(6b)과 가이드(17)에 각각 강제 삽입되어 있다.
도1 2a, 2b에 따르면 거의 곡선인 가이드(17)는 사용자의 머리보호를 위한 안전헬멧(1)의 개구부의 측면에서 사용자에 의한 슬라이더(18) 접근이 용이하기 위해 외관(2)의 아래 측면에 배치되어있다.
케이블(14)는 또한 한 방향으로 최소한 도르래(13)로 둘러쌓여 있고 "U" 자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17)를 따라서 슬라이더(18)의 슬라이딩도 같은 방식이다. 따라서 도르래(13)를 움직이게 하고 바이저(4)의 측면 작동 지지부재(8a)를 지지하면서 후방의 축회전을 제약한다.
비록 유연성의 금속 재질로 만들어진 케이블(14)이 여기서 설명되었음에도 그것은 어떠한 종류의 케이블, 로프와 사용이 가능할 것이고 동작을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적어도 슬라이더(18)의 슬라이딩의 한쪽 방향이 슬라이더(18)부터 도르래(13), 혹은 또 다른 동등한 드라이브의 타입까지, 측면 작동 지지부재,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까지라는 것도 주목해야한다. 동작 전송 케이블 수는 수요에 따라 다양화 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유연성의 케이블(14)은 하나 혹은 더 많은 브레이크 케이블로 대체될 수 있으며 슬라이더(18)부터 하나 혹은 더 많은 드라이브까지 동작을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선형 가이드(17)을 따라서 슬라이더(18)의 슬라이딩하는 양 방향으로 전송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경우 브레이크 케이블 혹은 케이블들은 강제 삽입되는데 예를 들어 적어도 측면 작동 지지부재(8a)와 함께 완전히 움직이는 두 개의 드라이브가 있고, 양방향의 슬라이더(18)로부터 오는 동작을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슬라이더(18)과 이와 관련된 가이드(17)는 슬라이더(18)가 가이드(17)을 따라 케이블(14)과 도르래(13)과 측면 작동 지지부재(8a)로 구성된 운동학적인 기계장치를 통해서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의 첫 번째 활성위치로 가정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정헬멧의 전방 개구부(3)를 착용할 수 있다. 그리고 두 번째 비활성 위치는 전방 개구부(3)로부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의 탈거 위치와 일치한다.
도면에서 보듯이 통제 슬라이더(18)의 비활성 위치는 여기 기재된 구현예에서 선형 가이드(17)의 후방 제한 정지부에서 일치한다. 반면에 그것의 활성위치는 대체로 가이드(17)의 전방 제한 정지부와 일치한다.
현 발명의 선호하는 부분에 따르면 이 경우 케이블(14)는 슬라이더(18)가 그것의 방향으로 당긴다고 알려져있는 모션을 전송할 수 있는 탄력성 있는 금속 케이블이다. 그리고 슬라이더(18)가 활성위치로 움직여질 때 헬멧(1)은 여기서 설명된다. 컨트롤 슬라이더(18)의 비활성 위치는 직접, 간접적으로 반응하며 후자에서 눈부심방지 바이저(4)를 위한 탄성 복귀 수단의 존재를 통해서 획득되어진다. 탈거의 위치에서 돌아오기 위해서 그리고 앞서 서술한 비활성위치에서의 컨트롤 슬라이더(18)로 되돌아오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현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서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의 측면 작동 지지부재(8a)의 다른 아암(22)은 아암(22)과 외관(2)사이에 끼워넣어진 탄성 복귀 수단(11)과 기능적으로 한쌍을 이루고 원통형 나선 스프링(11)으로 이루어진 이 부분의 경우 그 선단은 각각 측면 작동 지지부재(8a)와 핀(23)(도면4,5참조), 브래킷(6b)과 차례로 단단히 고정되어있는 외관(2)의 아암(22)을 축으로 하고 있다.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가 헬멧(1)(도 5)의 전방 개구부(3)를 인하 위치에서 착용할 때 , 슬라이더(18)이 활성 위치에 있을 때 늘어난 스프링(11)은 원래 상태로 돌아가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가 그것의 탈거에서 인상 위치로 돌아가며(도 4), 슬라이더(18)의 측면 작동 지지부재(8a)와 도르래(13)와 케이블(14)이 그것의 비활성 위치로 돌아가도록 작동한다.
예를 들어, 스프링(11)과 반대에 위치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케이블(14)의 선단 부분(16)과 이 후방부분이 선단 부분(15)과 외관(2)과 완전하다는 점과 강제 삽입을 통해서 슬라이더(18)에 의한 케이블(14)의 잡아당기는 방향에서 가이드(17)에 따른 슬라이더(18)의 움직임(도 3의 좌측부터 우측까지)은 도르래(13)의 움직임을 일으키고, 슬라이더(18)가 가이드(17)를 따라 그것의 제한 정지부에 도달할 때까지 인하 위치에서 인상 위치인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의 동작을 일으킨다. 이 슬라이더(18)의 위치를 활성 위치라 정의하고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는 헬멧(1)의 전방 개구부(3)에 착용하게 되는 인하 위치이다.
슬라이더(18)에 의한 케이블(14)의 잡아당기는 방향과 반대방향에 있는 가이드(17)에 따른 슬라이더(18)의 동작(도 3의 좌측부터 우측까지)은 도르래(13)에 의해 케이블(14)에서 당기는 힘을 가진 스프링(11)에 의해 대신 일어난다. 앞에 서술한 비활성 위치를 향한 슬라이더(18)의 복귀는 헬멧(1)의 전방 개구부(3)로부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의 탈거의 위치와 일치한다.
비록 스프링과 눈부심 방지 바이저(4)에서 측면 작동 지지부재(8a)의 아암(22)과 브래킷(6b)의 핀(23) 사이에서 끼워 넣어지는 여타 탄성 복귀 수단(11)의 사용이 여기에서 설명되고 있지만 슬라이더(18)가 앞서 서술한 비활성 위치에서 복귀되도록 허용하는 탄성 복귀 수단(11)의 배치와 안전 헬멧(1)의 전방 개구부로부터 인상된 탈거 위치가 대안적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도 4와 5에서 각각 가이드(17)을 따르는 슬라이더(18)의 배치, 케이블(14)의 관련된 구성, 도르래(13), 측면 작동 지지부재(8a), 스프링(11)의 배치의 일치,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가 전방 개구부(3)에 착용되는 인하 위치에 있을 때를 논증한다.
도 6a-6c와 관련해서, 본 발명의 특정한 태양에 따르면, 안전헬멧(1)은 또한 슬라이더(18)의 수동적으로 작동하는 임시 유지 수단(20,21,24,25)을 포함한다. 이 수단들은 슬라이더(18)이 활성 위치에 있을 때 작동하고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의 안전헬멧(1)의 전방 개구부(3)의 착용 위치와도 일치한다.
이들 임시 지지 수단은 도 6a-6c에 예시한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레바(20)를 구성하고 선형가이드(17)의 제한 정지부에서 축(21)을 통해 축회전하고, 스톱 폴(15)을 제공하며, 적어도 슬라이더(18)로 만들어진 한 개의 시트(19)와 맞물리는 모양을 가지며, 후자를 유지하기 위해 잠겨있다.
상기 레바(20)는 또한 레바(20)와 외관(2) 사이, 어떤 경우에는 상기 레바(20)와 상기 외관(2) 사이에 삽입되는 스프링(24)의 추력으로 처리되며, 상기 스톱 폴(25)를 상기 시트(19)와 체결되는 잠금 위치 쪽으로 밀어내게 된다.
상기 레바(20)는 또한 아암이 제공되어지며 회전축(21)과는 비교적으로 스톱 폴(25)과 반대적인 위치에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하기에 민감하고 스프링(24)에 의해 반대적인 힘을 갖는 이러한 방식으로 설계되었다. 레바는 시트(19)와 슬라이더(18)의 당연한 결과로부터 스톱 폴(25)의 일시적인 탈거를 허용한다.
컨트롤 슬라이더(18)의 측단면을 나타내는 도 6c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특정한 태양에 따르면 슬라이더(18)는 복수의 시트(19)로 정의되는 톱니부분을 구성하고 내부는 앞서 서술한 스톱 폴(25)가 대안적으로 맞물려있다.
컨트롤 슬라이더(18)에서 복수의 시트(19)의 존재는 선형가이드(17) 연장에 따르면 방향을 따라 서로 떨어져있고 슬라이더(18)의 움직임의 방향에 따라 서로 떨어져있다. 시트(19)중 하나의 탄성 레바(20)의 스톱 폴(25)와 관련된 체결을 통해 공간을 두고 떨어져 있다. 그리고 그 존재는 사용자가 몇몇의 안전헬멧(1)의 전방 개구부(3)의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의 착용 위치를 식별하도록 허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의 인하하는 동작의 정도를 스톱 폴(25)과 맞물리도록 선택된 시트(19)의 기능으로써 다양화한다. 결과적으로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의 시야를 커버하는 방식은 사용자의 특성에 가장 적합한 방식이다.
하지만 도 7에서 나타낸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슬라이더(18)를 간편하게 제작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더(18)는 탄성 레바(20)의 스톱 폴(25)과 체결되게 하기 위해 단일 시트(19')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슬라이더(18)를 위해 스톱 폴(25)이 제공된 레바(20)에 대해 위에 기재하였지만, 어떤 다른 몸체가 컨트롤 슬라이더(18)를 유지하는데 일시적으로 체결될 수 있고, 이 컨트롤 슬라이더(18)외 체결되는 잠금 위치에서 탄성적으로 밀어 낼 수 있으며, 수동적인 밀어냄을 통해서 슬라이더(18)의 해체 위치가 앞애서 언급한 레바(20)의 위치로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된 안전헬멧(1)이 움직이는 슬라이더(18)와 분리된 몸체로 구성이 된 컨트롤 슬라이더(18)의 임시 유지 수단(20, 21, 24, 25)의 사용을 위해 공급되어진다 할지라도 다른 의미로 안전헬멧(1)은 주어진 요구된 위치에서 후자를 유지할 수 있는 슬라이더(18)로 구성이 되어져있고 선택적으로 탄성수단(11)에 의해 돌아오는 힘에 대한 극복이 대안적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다.
더욱이 탄성 복귀 수단(11)의 위치에서 여기 설명되어있지 않은 다른 수단들은 앞서 서술한 탈거의 위치에 있는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와 앞서 서술한 비활성 위치의 슬라이더(18)의 수동 복귀에 제공되어진다. 예를 들어 브레이크 케이블의 사용 혹은 측면 지지 부재(8a)에서 슬라이더(18)와 연결된 버팀대와 앞서 서술한 임시 유지 수단(20, 21, 24, 25)은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안전헬멧(1)의 작동은 위에 설명했고, 도 1부터 6c에 대한 실시예를 참고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의 인상 위치, 즉 도 1, 4,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관(2)의 전방 개구부(3)로부터 상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가 탈거한 위치와 과도한 광선으로부터 시각을 보호하기를 바라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사용자는 가이드(17)를 따라 후방 제한 정지부의 비활성 위치에 있는 슬라이더(18)를 수동적으로 작동시켜서 이 슬라이더(18)를 실질적으로 상기 가이드(17)의 전방 제한 정지부의 위치인 활성 위치로 슬라이딩되게 할 것이다.
비활성 위치(도면에서 오른쪽)에서 활성 위치로 향하는, 예를 들어 상기 선형 가이드(17)의 전방 제한 정지부로 향하는 슬라이더(18)에 부여된 동작은, 케이블(14)과 체결되어 있는 도르래(13)를 통해서 상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에게 전달되는데, 여기서 상기 케이블(14)은 도 4와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그의 선단으로 시작해서 슬라이더(18)에 의해 당겨져 있으며, 도르래(13) 주위를 "U"자로 배열하게 되는 부위가 줄어들게 동작하게 된다.
특히 활성 부위쪽으로 슬라이더(18)의 이동은, 도르래(13) 주위에 U자 형태로 배열되는 케이블(14) 부분이 줄어들게 되고 회전축(7b)에 대해 회전(도면에서 시계 방향으로)하면서 도르래(13)와 측면 작동 지지부재(8a)의 아암(12)이 동작하게 된다. 그래서, 외관(2)의 전방 개구부(3)와 체결되어 있고 상기 측면 작동 지지부재(8a)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가 인하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더(18)의 동작에 의한 측면 작동 지지부재의 회전(8a)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스프링(11)의 복귀력과 반대로 일어나며, 최초의 휴지 위치에서 멀리 확장되게 동일한 측면 작동 지지부재(8a)의 다른 아암(22)에서 작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미 관찰한 바와 같이, 케이블(14)로 감겨져 있는 도르래(13) 또는 다른 드라이브의 사용은 그의 선단(15)이 외관(2)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고 그의 선단(16)의 다른쪽에 강제로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 해결수단과 비교해서, 슬라이더(18)로 사용자에 의해 제한된 힘으로 분부심 방지용 바이저(4)가 동작하는 것을 허용하게 된다.
컨트롤 슬라이더(18)가 활성 위치로 이동된 후, 즉 헬멧(1)의 전방 개구부(3)의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가 착용 위치에 도달한 후, 슬라이더(18)의 톱니는 탄성 레바(20)의 스톱 폴(25)과 체결되고, 스프링(24)에 의해서 슬라이더(18)의 잠겨지는 위치로 일정하게 밀어내게 된다.
관찰된 바에 의하면 정지폴(25)의 슬라이더(18)의 날의 적절한 경사도가 슬라이더(18)가 정지폴(25)에 접근할 때 슬라이더(18)가 슬라이드(18)날의 경사면을 따라순간적으로 올라간다. 그럼 그것에 의하여 축(21)과 관련해서 레바(20)의 한쪽방향으로 회전이 일어나고(도면에서 반시계방향), 스프링(24)과는 반작용을 한다. 정지폴(25)이 시트(19)와 맞물릴 때까지 이와 같이 되고 폴(25)이 스프링(24)에 의해 추진하는 내부는 축(21)에서 레바(20)의 반대방향(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사용자의 중지에 의해 가이드(17)의 내부의 슬라이더(18)가 이동하면 정지폴(25)은 슬라이더(18)의 시트(19) 내부와 안정적으로 맞물린다. 스프링(25)의 움직임을 통해서 활성위치의 슬라이더(18)는 헬멧(1)의 전방 개구부(3)의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의 착용 상태 지점과 일치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를 탈거 상태로 올리기를 원할 때 갑작스런 빛 환경이 변화한다면 어느 누군가든 정지폴(25)의 반대쪽에 있는 레바(20)의 아암을 조정하면 된다. 회전축(21)에 대해 레바(20)를 회전하기 위해(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스톱 폴(25)을 시트(19)로부터 탈거하기 위해 스프링(24)의 저항력을 극복할 수 있다.
더 이상 레바(20)에 의해 유지하지 않는 슬라이더(18)는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의 측면 작동 지지부재(8a)의 아암(22)의 스프링(11)에 의한 복귀을 통해 비활성모드로 돌아오고 가이드(17)의 후방 제한 정지부와 일치한다.
사실 컨트롤 슬라이더(18)가 스톱 폴(25)로부터 해제되고 나서 복귀 스프링(11)은 압축되는 경향이 있고 초기 상태로 돌아가려는 경향도 보이고 또한 앞서 서술한 아암(22)를 강제삽입하는 것을 통해 외관(2)의 전방 개구부(3)로부터 탈거의 초기 위치로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가 받아들인다. 관련된 축(7b)(도면에서 시계방향) 측면 작동 지지부재(8a)의 회전을 일으킨다.
가이드(17)을 따라 슬라이더(18)의 비활성 위치로 돌아가는 움직임을 일으키는 U자로 케이블(14)을 감싸는 도르래(13)의 축(7b)에 대해 측면 작동 지지부재(8a)의 아암(9)과 관련된 이 회전은 전체를 회전하며 일치한다.
이러한 방법에서, 이 기술분야의 숙련된 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안전헬멧(1)의 초기 상태가 신속하게 회복되고 복귀 스프링(11)의 존재는, 안전 헬멧(1)에 가해지는 어떠한 진동 또는 충격이 존재한다고 할지라도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가 비활성 위치에 도달하여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허용하게 된다.
1 : 안전 헬멧
2 : 외관
3 : 전방 개구부
4 :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
5a,5b : 측면 선단부
6a : 형상화된 영역
6b : 마운팅 브래킷
7b : 회전축
8a,8b : 측면 작동 지지부재
13 : 도르래
14 : 케이블
15 : 스톱 폴
17 : 가이드
18 : 슬라이더
20 : 레바
21 : 회전축
22 : 아암
24 : 스프링
25 : 스톱 폴
26 : 내관
27 : 내부면
28 : 하부 개구부
29 : 방호용 외장

Claims (15)

  1. 전방 개구부(3)가 제공된 외관(2), 충격 흡수 재질로 제작된 내관(26), 상기 외관(2)에 강제 삽입되어 있고 상기 전방 개구부(3)와의 적어도 하나의 착용 위치와 상기 전방 개구부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탈거 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 상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동작 전달 케이블(14)을 통해서, 상기 외관(2)에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17)에 슬라이드될 수 있게 결합되어 있는 컨트롤 슬라이더(18)에 의해서 제어되는 작동 부재(8a)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컨트롤 슬라이더(18)는 상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가 적어도 하나의 탈거 위치에 놓이게 되는 비활성 위치와 상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가 적어도 하나의 착용 위치에 놓이게 되는 활성 위치 사이를 수동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는 안전 헬멧(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 전달 케이블(14)은 그의 한쪽 선단부(15)가 상기 외관(2)과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다른 쪽 선단부(16)는 상기 컨트롤 슬라이더(18)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의 동작을 위해서 작동 부재(8a)에 강제 삽입되어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브(13)와도 맞물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를 구비한 안전 헬멧.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브(13)는 상기 작동 부재에 강제 삽입되어 있고 도르래 또는 풀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 전달 케이블(14)에 의해서 감싸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를 구비한 안전 헬멧.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전달 케이블(14)은 상기 도르래 또는 풀리(13) 주위에 "U" 자형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를 구비한 안전 헬멧.
  4. 상기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를 탈거 위치 방향으로 밀어내도록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에 작용하는 탄성 복귀 수단(11)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를 구비한 안전 헬멧.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복귀 수단(11)은 상기 외관(2)과 상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에 강제 삽입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를 구비한 안전 헬멧.
  6. 상기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8a)는 레바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의 동작을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브(13)에 강제 삽입되어 있는 최소한 제1 아암(9)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를 구비한 안전 헬멧.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바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1)에 강제 삽입되어 있는 제2 아암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를 구비한 안전 헬멧.
  8. 상기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슬라이더(18)의 수동적으로 작동하는 임시 유지 수단(20,24)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임시 유지 수단(20,24)이 활성 위치에 놓여 있을 때 상기 컨트롤 슬라이더(18)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를 구비한 안전 헬멧.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유지 수단은 상기 컨트롤 슬라이더(18)와 체결되는 잠김 위치와 상기 컨트롤 슬라이더(18)와 탈거되는 해제 위치 사이를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몸체(20)로 이루어지되 상기 동작 몸체(20)는 상기 잠김 위치 쪽으로 상기 임시 유지 수단(24)을 탄성적으로 밀어내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를 구비한 안전 헬멧.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몸체(20)는 상기 컨트롤 슬라이더(18) 상에 만들어져 있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19)와 맞물려지게 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지 폴(25)이 제공되어 있는 레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를 구비한 안전 헬멧.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슬라이더(18)는 상기 정지 폴(25)을 위해서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시트(19)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를 구비한 안전 헬멧.
  12. 상기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14)은 신축성의 금속 케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를 구비한 안전 헬멧.
  13. 상기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헬멧은 탈거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를 수용하도록 리세스(128)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리세스(128)는 상기 외관(2)과 상기 내관(26)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만들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를 구비한 안전 헬멧.
  14. 상기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헬멧은 추가로 보안용 바이저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4)가 상기 보안용 바이저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를 구비한 안전 헬멧.
  15. 상기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슬라이더(18)를 위한 상기 가이드(17)는 상기 외관(2)과 일체로 결합되어 잇는 선형 가이드로서 상기 전방 개구부(3)에 대해 측면에 놓여 있는 외관(2)의 한 부위와 왕래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를 구비한 안전 헬멧.
KR1020120078874A 2011-08-03 2012-07-19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를 구비한 안전 헬멧 KR1019794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006372.4A EP2554067B1 (en) 2011-08-03 2011-08-03 Safety helmet with anti-dazzle visor
EP11006372.4 2011-08-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6058A true KR20130016058A (ko) 2013-02-14
KR101979456B1 KR101979456B1 (ko) 2019-05-16

Family

ID=44773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8874A KR101979456B1 (ko) 2011-08-03 2012-07-19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를 구비한 안전 헬멧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167861B2 (ko)
EP (1) EP2554067B1 (ko)
JP (1) JP6061539B2 (ko)
KR (1) KR101979456B1 (ko)
AU (1) AU2012203924B2 (ko)
BR (1) BR102012001014B1 (ko)
ES (1) ES2467040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613B1 (ko) * 2013-06-24 2014-06-03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오토바이용 헬멧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13270B2 (en) * 2011-07-26 2014-08-26 Vladimiro Pizzi Helmet with flush aligned shield when closed
US9445639B1 (en) * 2012-11-08 2016-09-20 Peter Aloumanis Embedding intelligent electronics within a motorcyle helmet
EP2853168B1 (en) * 2013-09-26 2016-09-21 Strategic Sports Limited Helmet with pivotable shield
WO2016207743A1 (en) * 2015-06-24 2016-12-29 Di Troia Giovanni Protective helmet provided with anti-dazzle visor
US9815474B2 (en) * 2015-10-06 2017-11-14 Honda Motor Co., Ltd. Combined sensors for making recommendations to a driver
USD827208S1 (en) * 2016-05-23 2018-08-28 Marlybag Ski helmet visor
US10610708B2 (en) 2016-06-23 2020-04-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ndicating hazardous exposure in a supplied air respirator system
US11023818B2 (en) 2016-06-23 2021-06-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system having analytics engine with integrated monitoring, alerting, and predictive safety event avoidance
US9848666B1 (en) * 2016-06-23 2017-12-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trofit sensor module for a protective head top
JP6789266B2 (ja) * 2018-05-01 2020-11-25 株式会社Shoei ヘルメット
GB2576752A (en) 2018-08-30 2020-03-04 Jsp Ltd Safety helmet
JP7168480B2 (ja) * 2019-02-08 2022-11-09 株式会社Shoei バイザーのロック機構及びヘルメット
IT201900020162A1 (it) * 2019-10-31 2021-05-01 Piaggio & C Spa Casco protettivo con sistema di attuazione per muovere la visiera
CN113273760A (zh) * 2021-04-08 2021-08-20 广东冠润警用装备有限公司 一种新型骑行头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0757A (en) * 1975-12-11 1976-11-09 Carleton Controls Corporation Connecting device
WO2008035927A1 (en) * 2006-09-21 2008-03-27 Kido Sports Co., Ltd. Helmet
US7376981B2 (en) * 2006-03-17 2008-05-27 Shoei Co., Ltd. Helmet
WO2010066278A1 (fr) * 2008-12-14 2010-06-17 Lazer S.A. Casque de protection a visiere solaire retractabl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95273A (en) * 1967-01-17 1970-02-17 Gentex Corp Safety helmet with retractable eye shield
US3721994A (en) * 1971-03-29 1973-03-27 Us Navy Dual visor headgear
US3792702A (en) * 1972-04-10 1974-02-19 Ulmer & Co Soc Harness for rapidly placing in position a device such as a respirator mask
US3783452A (en) * 1972-04-11 1974-01-08 Us Navy Removable goggles for helmet
DE8534132U1 (de) 1985-12-04 1986-06-26 Witzmann, Josef, 8400 Regensburg Integral-Schutzhelm mit einziehbarem Visier
US4862878A (en) * 1988-01-07 1989-09-05 Richards Medical Company Orthopedic prosthesis to aid and support the shoulder muscles in movement of the human arm
US5752280A (en) * 1993-12-13 1998-05-19 Itech Sport Products, Inc. Eye protection device for headgear
US6226803B1 (en) * 1998-07-16 2001-05-08 Shoei Co., Ltd. Helmet
US6134719A (en) * 1999-11-29 2000-10-24 Kin Yong Lung Industrial Co., Ltd. Helmet windshield with sunshade device
JP2002348719A (ja) * 2001-05-23 2002-12-04 Masao Himeno ワイパー装置
DE60314743T2 (de) * 2003-07-25 2007-12-06 Opticos S.R.L., Brembate Di Sopra Einrrichtung zum Entriegeln der Schwenkung eines Kinnbügels eines Sturzhelms
DE102005001804A1 (de) * 2004-10-04 2006-07-27 Schuberth Engineering Ag Sturzhelm
FR2886521B1 (fr) * 2005-06-03 2007-09-07 Cbm Distrib Entpr Unipersonnel Casque de protection a visiere mobile
ITMI20061774A1 (it) * 2006-09-18 2008-03-19 Locatelli S P A Casco di sicurezza particolarmente per l'uso motoristico e sportivo in generale
DE602007011933D1 (de) * 2007-09-18 2011-02-24 Opticos Srl Sicherheitshelm mit zusätzlichem Innenvisier
ES1068414Y (es) * 2008-07-04 2009-01-16 World Champion Brands S L Casco para la proteccion de la cabeza de un motorista
US8051500B2 (en) * 2008-09-12 2011-11-08 Long Huei Helmet Co. Safety helmet visor setting mechanism
AU2011325854B2 (en) * 2010-11-01 2014-12-18 VHA Holdings Pty Limited A protective helmet
WO2012121878A1 (en) * 2011-03-04 2012-09-13 Martin Harry J Compressed gas lens cleaning apparatus
US20120284905A1 (en) * 2011-05-09 2012-11-15 Hjc Corp. Multi functional helme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0757A (en) * 1975-12-11 1976-11-09 Carleton Controls Corporation Connecting device
US7376981B2 (en) * 2006-03-17 2008-05-27 Shoei Co., Ltd. Helmet
WO2008035927A1 (en) * 2006-09-21 2008-03-27 Kido Sports Co., Ltd. Helmet
WO2010066278A1 (fr) * 2008-12-14 2010-06-17 Lazer S.A. Casque de protection a visiere solaire retractab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613B1 (ko) * 2013-06-24 2014-06-03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오토바이용 헬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54067A1 (en) 2013-02-06
KR101979456B1 (ko) 2019-05-16
JP2013036158A (ja) 2013-02-21
AU2012203924A1 (en) 2013-02-21
ES2467040T3 (es) 2014-06-11
BR102012001014A2 (pt) 2013-07-30
US20130031699A1 (en) 2013-02-07
US9167861B2 (en) 2015-10-27
AU2012203924B2 (en) 2015-12-17
EP2554067B1 (en) 2014-02-26
BR102012001014B1 (pt) 2020-10-20
JP6061539B2 (ja) 201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16058A (ko) 눈부심 방지용 바이저를 구비한 안전 헬멧
KR101126269B1 (ko)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US8250669B2 (en) Safety helmet with supplemental inner visor
EP2063725B1 (en) Helmet
US20110302701A1 (en) Position controlling mechanism for chin guard and visor plate of helmet
EP2229829A2 (en) Helmet having a guiding mechanism for a compatible visor
EP2191738A2 (en) Reversible fastening device for a helmet chinguard
EP3278685B1 (en) Helmet with removable padding element
KR102040534B1 (ko) 헬멧용 실드
CN110771981A (zh) 带遮护件的升降机构的保护头盔
EP2063727B1 (en) Crash helmet particularly for motoring and sports use in general
US20150135416A1 (en) Retrofit Sliding Helmet Visor
CN211493741U (zh) 乘员主动安全防护装置、儿童安全座椅、车辆座椅及车辆
JP2012082567A (ja) 安全ヘルメット
CN110771984A (zh) 带遮护件的升降机构的保护头盔
US20110062741A1 (en) Palm-like Sun Visor
WO2010000899A1 (es) Casco para la protección de la cabeza de un motorista
CN210554334U (zh) 乘员主动安全防护装置、儿童安全座椅、车辆座椅及车辆
CN211684775U (zh) 乘员主动安全防护装置、儿童安全座椅、车辆座椅及车辆
CN116035318A (zh) 用于摩托车手的防护头盔
KR101781577B1 (ko) 헬멧
CN107250620B (zh) 用于车辆变速器的换挡单元
KR101854757B1 (ko) 턱 보호대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헬멧
CN112297968A (zh) 乘员主动安全防护装置、儿童安全座椅、车辆座椅及车辆
CN112977201A (zh) 乘员主动安全防护装置、儿童安全座椅、车辆座椅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