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6269B1 -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 Google Patents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6269B1
KR101126269B1 KR1020090090524A KR20090090524A KR101126269B1 KR 101126269 B1 KR101126269 B1 KR 101126269B1 KR 1020090090524 A KR1020090090524 A KR 1020090090524A KR 20090090524 A KR20090090524 A KR 20090090524A KR 101126269 B1 KR101126269 B1 KR 101126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 visor
helmet
sliding
sliding rod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0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2824A (ko
Inventor
이창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Priority to KR1020090090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6269B1/ko
Priority to EP09173611.6A priority patent/EP2301369B1/en
Priority to US12/880,687 priority patent/US8341771B2/en
Publication of KR20110032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2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6Visors with sunscreens, e.g. tinted or dual visor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헬멧 착용자가 헬멧을 착용한 상태에서 선바이저를 쉽게 개폐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동시에 선바이저의 개폐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헬멧용 선바이저 개폐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헬멧에 관한 것이다.
헬멧, 선바이저, 개폐장치, 선바이저 개폐장치, 헬멧용 선바이저 개폐장치, 오토바이 헬멧

Description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APPARATUS FOR OPENING/CLOSING AND HELMET INCLUDING SAME}
본 발명은 헬멧 전면에 형성된 안면부의 개폐가 가능한 선바이저의 개폐장치 및 헬멧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폐되는 선바이저의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지원하는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에 관한 것이다.
헬멧은 오토바이 등 이륜차의 운행 시 착용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운행자의 전방시계 확보를 위해 헬멧 본체부 전면에는 안면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헬멧은 안면부를 통해 운행 중 유입되는 바람, 먼지의 차단을 위해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한 실드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실드의 내부에는 주간에 태양 빛이 눈으로 직접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개폐식 선바이저가 구비되기도 한다.
이러한 선바이저는 헬멧 본체부의 양 측면에 형성된 힌지축에 선바이저의 양 단부가 체결되며, 체결된 선바이저의 양 단부 중 어느 한쪽 또는 헬멧의 상부에 구비된 조작 레버나 조작 손잡이를 통해 전, 후진 회동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조작 레버가 양 단부 중 어느 한쪽에 구비된 선바이저의 경우, 조작 레버가 없는 반대쪽은 피동적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개폐 조작 시 힘의 불균형에 따른 불안정한 동작 발생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조작 레버가 헬멧의 상부에 구비된 선바이저의 경우에도, 조작 레버에 제공되는 힘의 크기에 따라 선바이저의 개폐 속도가 지나치게 빠르거나 느린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빠른 속도로 헬멧 본체부 내로 삽입되는 선바이저가 헬멧 본체부와 충돌하여 발생되는 충돌 소음 및 잦은 충돌로 인한 선바이저의 수명 단축도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본 발명은 헬멧의 상부에 조작 가능한 개폐장치를 제공하여, 선바이저 개폐 조작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동시에 최소한의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헬멧용 선바이저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폐 되는 선바이저가 헬멧 본체부와 충돌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선바이저의 수명을 연장하고, 충돌 소음을 감소시키는 선바이저의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헬멧 본체부의 안면부 전면에서 개폐되는 선바이저를 헬멧의 상부에서 조작 가능한 개폐장치에 있어서, 일단부는 상기 선바이저의 중앙 상단부에 체결되고 타단부는 전,후진 회동을 돕는 손잡이부가 형성된 슬라이딩 밀대, 상기 헬멧 본체부의 내측 상부에 부착되어 상기 슬라이딩 밀대의 전,후진 회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홀더 및 상기 가이드 홀더의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슬라이딩 밀대가 설정된 속도로 전,후진 회동하도록 지지하는 댐퍼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딩 밀대의 일측면에는 톱니 형태의 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요철부는, 상기 슬라이딩 밀대가 상기 댐퍼와 맞물려 전,후진 회동하여 상기 선바이저가 일정한 속도로 걔폐 되도록 하는 개폐장치의 제공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밀대는, 일단이 상기 슬라이딩 밀대의 일단부 후면과 체결되고 타단은 가이드 홀더의 밑면에 체결되는 복귀용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복귀용 스프링은 상기 슬라이딩 밀대가 전진 회동하게 되는 경우 탄성력을 가지며, 상기 복귀용 스프링의 상기 탄성력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 밀대가 전진된 위치로부터 본래의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하여, 상기 선바이저를 자동적으로 폐쇄 위치로 이동 시키는 개폐장치의 제공을 통해서도 달성 가능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밀대는, 상기 선바이저의 중앙 상단부와 체결되는 일단부에 착탈부를 포함하되, 상기 착탈부는 상기 선바이저의 중앙 상단부에 형성된 삽입식 걸림턱이 끼워져 체결되는 결합홈인 개폐장치의 구성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홀더는, 지정된 위치에서 돌출 형성되어 버튼 조립체를 수용하는 버튼 조립체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버튼 조립체가 상기 버튼 조립체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밀대의 하부면과 체결되어 상기 선바이저의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슬라이딩 밀대의 하부면과 체결 해제되어 상기 선바이저의 위치를 고정 해제하는 개폐장치로도 고려 가능하다.
또한 상기 버튼 조립체는, 몸체를 형성하는 몸체부와, 상기 슬라이딩 밀대가 전,후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관통하여 형성된 공동과, 상기 공동의 바닥면에서 위쪽으로 돌출 형성된 체결 돌기 및 상기 몸체부의 하부면에서 아래쪽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 돌기를 포함하는 조작 버튼 및 상기 돌출 돌기가 삽입되고 상기 조작 버튼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 돌기는, 상기 슬라이딩 밀대가 전진 회동을 통해 상기 공동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슬라이딩 밀대의 하 부면에 형성된 체결부와 체결되는 것을 통해 전진 회동된 상기 슬라이딩 밀대가 상기 전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개폐장치를 통해서도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선바이저에 의해 개폐되는 안면용 안면부가 전면에 형성되고 양 측면에는 선바이저와 체결되는 힌지축이 각각 형성된 헬멧 본체부를 포함하는 헬멧에 있어서, 양단에 형성된 관통구를 통해 상기 힌지축과 착탈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안면부의 전면에서 전,후진 회동하는 선바이저 및 일단부는 상기 선바이저의 중앙 상단부에 체결되고 타단부는 전진 회동을 지원하는 손잡이부가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톱니 형태의 요철부가 형성된 슬라이딩 밀대와, 상기 헬멧 본체부의 상부에 부착되어 상기 슬라이딩 밀대의 전,후진 회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홀더 및 상기 가이드 홀더의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슬라이딩 밀대가 설정된 속도로 전,후진 회동하도록 지지하는 댐퍼로 이루어진 개폐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요철부는, 상기 슬라이딩 밀대의 전,후진 회동 시, 상기 댐퍼와 맞물려 회동하여 상기 슬라이딩 밀대의 전,후진 회동 속도가 설정된 속도로 유지되어, 상기 선바이저가 일정한 속도로 개폐되도록 하는 헬멧의 제공을 통해 달성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슬라이딩 밀대의 상기 일단부 후면과 상기 가이드 홀더의 밑면 사이에서, 일단과 타단이 각각 체결되는 복귀용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복귀용 스프링은 상기 슬라이딩 밀대가 전진 회동하게 되는 경우 탄성력을 가지며, 상기 복귀용 스프링의 상기 탄성력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 밀대가 전진된 위치로부터 본래의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하여, 상기 선바이저를 자동적으로 폐쇄 위치로 이동 시키는 헬멧으로도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밀대는, 상기 선바이저의 중앙 상단부와 체결되는 일단부에 착탈부를 포함하되, 상기 착탈부는 상기 선바이저의 중앙 상단부에 형성된 삽입식 걸림턱이 끼워져 체결되는 결합홈인 헬멧으로도 제공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 홀더는, 지정된 위치에서 돌출 형성되어 버튼 조립체를 수용하는 버튼 조립체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버튼 조립체가 상기 버튼 조립체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밀대의 하부면과 체결되어 상기 선바이저의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슬라이딩 밀대의 하부면과 체결 해제되어 상기 선바이저의 위치를 고정 해제하는 헬멧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버튼 조립체는, 몸체를 형성하는 몸체부와, 상기 슬라이딩 밀대가 전,후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관통하여 형성된 공동과, 상기 공동의 바닥면에서 위쪽으로 돌출 형성된 체결 돌기 및 상기 몸체부의 하부면에서 아래쪽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 돌기를 포함하는 조작 버튼 및 상기 돌출 돌기가 삽입되고 상기 조작 버튼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 돌기는, 상기 슬라이딩 밀대가 전진 회동을 통해 상기 공동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슬라이딩 밀대의 하부면에 형성된 체결부와 체결되는 것을 통해 전진 회동된 상기 슬라이딩 밀대가 상기 전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헬멧도 제공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슬라이딩 밀대가 상기 복귀용 스프링의 상기 탄성력에 의해 본래의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하는 경우, 상기 댐퍼가 상기 요철부와 맞물려 회전하여 상기 탄성력을 감쇠함으로써,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상기 선바이 저가 상기 헬멧 본체부와 충돌을 피할 수 있게 되는 헬멧으로도 제공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헬멧 본체부 양 측면의 힌지축을 통해 상기 헬멧 본체부 내부에 체결되는 선바이저를 포함하는 헬멧에 있어서, 양단에 형성된 관통구를 통해 상기 힌지축과 착탈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안면부의 전면에서 전,후진 회동하는 선바이저, 일단부는 상기 선바이저의 중앙 상단부에 체결되고 타단부는 전진 회동을 지원하는 손잡이부가 형성된 슬라이딩 밀대 및 상기 헬멧 본체부의 상부에 부착되어 상기 슬라이딩 밀대의 전,후진 회동을 안내하고 버튼 조립체를 수용하는 버튼 조립체 수용부가 지정된 위치에서 돌출 형성된 가이드 홀더로 이루어진 개폐장치, 상기 슬라이딩 밀대의 상기 일단부 후면과 상기 가이드 홀더의 밑면 사이에서 일단과 타단이 각각 체결되는 복귀용 스프링 및 상기 버튼 조립체 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슬라이딩 밀대의 하부면과 체결되는 버튼 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버튼 조립체는 상기 슬라이딩 밀대의 하부면과 체결되어 상기 선바이저의 개폐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슬라이딩 밀대의 하부면과 체결 해제되어 상기 선바이저의 개폐 위치를 고정 해제하는 것인 헬멧의 제공을 통해서도 달성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헬멧 착용자는 헬멧을 벗는 등의 불편함 없이 착용한 상태에서 손쉽게 선바이저를 안정적이면서도 손쉽게 개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선바이저의 개폐 속도가 지나치게 빨라지게 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여 헬멧 본체부와 선바이저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선바이저의 수명도 연장 가능하게 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용 선바이저 개폐장치 및 헬멧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10)의 사시도로, 본 발명에 따른 헬멧(10)은 헬멧(10)의 상부에서 조작 가능한 선바이저(20), 개폐장치(30) 및 버튼 조립체(40)를 포함한다.
헬멧(10)은 오토바이나 경주용 자동차 등의 운행자나 탑승자가 운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사고 시 머리 보호를 위해 착용하는 것으로, 착용자의 머리가 수용될 수 있는 헬멧 본체부(11)를 가진다.
헬멧 본체부(11)는 헬멧(10)의 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착용자의 머리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은 우레탄과 같은 탄성체를 구비하여 제작되며, 착용자의 머리형에 맞도록 밀폐형으로 제작된다. 헬멧 본체부(11)는 전면에 안면부(12)가 형성되며, 양 측면에는 힌지축(13)이 형성되어 선바이저(20)가 개폐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선바이저(20)는 차광 성능을 가지는 플라스틱 등의 소재로 제작되며, 주간에 태양 빛이 눈으로 직접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여 운전자의 눈을 보호하게 되며, 강한 햇빛이나 반사광 속에서도 충분한 시야 확보가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선바이저(20)는 힌지축(13)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헬멧 본체부(11) 내부에 수용되며, 안면부(12) 전면에서 개폐된다. 또한 선바이저(20)는 헬멧 본체부(11) 내부에 수용되어 개폐될 수 있는 한, 다양한 모양과 형상, 색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바이저(20)는 헬멧 본체부(11)의 전면에 형성된 안면부(12)로 개방(개방 위치)될 수 있으며, 선바이저(20)가 불필요한 야간에는 보다 밝은 시야 확보를 위해 헬멧 본체부(11) 내부로 삽입(폐쇄 위치)된다. 이를 위해 선바이저(20)는 양 단부에 형성된 축 삽입홈(23)을 포함하며, 축 삽입홈(23)을 관통하는 힌지축(13)에 의해 선바이저(20)는 헬멧 본체부(11)에 체결된다. 또한 착용자가 안정적이면서도 간편하게 선바이저(20)를 개폐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선바이저(20)는 이하 후술할 개폐장치(30)와 체결될 수 있다.
개폐장치(30)는 헬멧(10)의 상부에서 선바이저(20)의 개폐 동작을 조작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개폐장치(30)는 헬멧 본체부(11)의 상부에 부착되며 일부는 헬멧(10)의 외부로 노출된다. 개폐장치(30)가 헬멧 본체부(11)의 상부에 부착되고 일부는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착용자는 헬멧(10)의 상부에서 힘의 균형을 유지한 채 간편하게 선바이저(20)의 개폐 조작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착용자가 헬멧(10)의 상부로 손을 올려 이하 후술할 슬라이딩 밀대(31)의 손잡이부(31b)를 앞쪽으로 밀게 되는 경우(전진 회동) 선바이저(20)가 안면으로 개방(개방 위치)되고, 착용자는 선바이저(2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반대로, 착용자가 손잡이부(31b)를 뒤쪽으로 밀게 되는 경우(후진 회동) 선바이저(20)가 헬멧 본체부(11) 내부로 삽입(폐쇄 위치)되도록 하여 선바이저(20)의 사용을 중단할 수도 있다. 개폐장치(30)는 헬멧(10) 상부로부터 먼지 등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개폐장치(3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덮개부(39)를 포함할 수도 있다.
덮개부(39)는 헬멧(10) 상부로 노출되는 개폐장치(30)를 덮어 보호하는 커버를 지칭하는 것으로, 외부로 노출되는 개폐장치(30)와 버튼 조립체(40)의 작동에 방해 되지 않고 헬멧(10) 상부의 개방부를 폐쇄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된다.
또한 개폐장치(30)는 착용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임의로 선바이저(20)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버튼 조립체(4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버튼 조립체(40) 역시 헬멧(10)의 상부에서 선바이저(20)의 개폐 동작을 조작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것으로, 개폐장치(30)의 일부에서 돌출 형성되거나 독립된 부재로 제공될 수 있다. 버튼 조립체(40)는 개폐장치(30)와 간편하게 체결되고 체결 해제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를 통해 선바이저(20) 위치는 추가적인 조작이 없는 한 계속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여 선바이저(20), 개폐장치(30) 및 버튼 조립체(40)의 구조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a 는 선바이저(20), 개폐장치(30) 및 버튼 조립체(40)의 조립 횡 단면도이다. 도 3a 에서 A 로 표시된 부분은 슬라이딩 밀대(31)를 전,후 회동 가능하도록 수용하고 있는 버튼 조립체(40)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3b 는, 도 3a 의 A 부분에 대한 확대 횡 단면도로, 슬라이딩 밀대(31)의 하부면에 형성된 체결부(33)가 버튼 조립체(40)의 체결 돌기(41c)와 체결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선바이저(20)는 헬멧(10)의 상부에서 조작 가능하도록 중앙 상단부에서 개폐장치(30)와 체결된다. 선바이저(20)와 개폐장치(30)간의 체결은 선바이저(20)와 개폐장치(30)의 전부 또는 일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반면,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바이저(20)는 중앙 상단부에 형성되는 삽입식 걸림턱(21a)을 포함하여, 개폐장치(30)의 일단부와 삽입되어 끼워지는 방식을 통해 체결되고, 체결 해제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개폐장치(30)는, 헬멧(10) 상부에서, 선바이저(20) 개폐 조작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기 위해 슬라이딩 밀대(31), 가이드 홀더(35), 복귀용 스프링(36), 댐퍼(37) 및 덮개부(39)를 포함할 수 있다. 선바이저(20)는 개폐장치(30)의 전진 회동에 따라 개방 위치로 이동하게 되며, 개폐장치(30)의 후진 회동에 따라 선바이저(20)는 폐쇄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슬라이딩 밀대(31)는 이하 후술할 가이드 홀더(35)에 의해 가이드 되어 슬라이딩 전,후진 회동을 하는 부재로, 일단부는 선바이저(20)와 체결된다. 슬라이딩 밀대(31)는 이를 위해 착탈부(31a), 손잡이부(31b), 요철부(32) 및 체결부(33)을 포함할 수 있다.
착탈부(31a)는 슬라이딩 밀대(31)의 일단부에 형성될 수 있는 체결 부재로, 선바이저(20)의 중앙 상단부에 형성된 삽입식 걸림턱(21a)이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착탈부(31a)에 끼워진 삽입식 걸림턱(21a)를 삽입 해제하여 손쉽게 개폐장치(30)로부터 선바이저(20)를 분리하고, 필요한 경우 선바이저(20) 교체도 할 수 있다.
손잡이부(31b)는 슬라이딩 밀대(31)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전,후진 회동을 돕는 부재로, 착용자가 헬멧(10)의 상부로 손을 올려 슬라이딩 밀대(31)를 앞쪽이나 뒤쪽으로 밀거나 당길 수 있는 손잡이이다. 이를 위해 손잡이부(31b)는 헬멧(10)의 외부로 노출되며, 착용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쉽게 밀거나 당길 수 있는 돌출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요철부(32)는 톱니 형태의 복수개 요철이 형성된 슬라이딩 밀대(31)의 일측면 부분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하 후술할 댐퍼(37)와 맞물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 요철부(32)는 슬라이딩 밀대(31)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나, 슬라이딩 밀대(31)의 전,후진 회동 속도 조절을 위해 좌, 우 양측면 모두에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댐퍼(37)도 각각 부착될 수도 있다. 요철부(32)는 댐퍼(37)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바, 손잡이부(31b)를 통해 강한 힘(손잡이부를 강하게 밀거나 당기는 경우)이 전달되는 경우에도 댐퍼(37)에 의해 슬라이딩 밀대(31)의 전,후진 회동 속도는 설정된 속도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갑작스러운 선바이저(20)의 개폐에 따른 착용상의 불편함과 헬멧 본체부(11)와의 충돌로 인한 소음과 선바이저(20) 수명 감소 문제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체결부(33)는 슬라이딩 밀대(31)가 전진 회동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슬라이딩 밀대(31)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체결 부재이다. 체결부(33)는 이하 후술할 버튼 조립체(40)의 체결 돌기(41c)와 체결될 수 있는 결합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돌기 형태로 하부면에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체결부(33)는 체결 돌기(41c)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와 면적을 가지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33)는 슬라이딩 밀대(31)가 전진 회동되어 개방 위치로 이동한 선바이저(20)가 개방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체결 돌기(41c)와 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체결부(33)는 슬라이딩 밀대(31)의 하부면 전체 또는 일부에만 설정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33)가 하부면 일부에만 설정된 폭으로 형성되는 경우란, 슬라이딩 밀대(31)의 하부면 중 손잡이부(31b)가 형성된 타단부로부터 설정된 길이만큼 떨어져 시작되고 설정된 길이만큼만 일단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로 체결부(33)는 슬라이딩 밀대(31)의 하부면 중 타단부로부터 1cm 떨어진 곳으로부터 형성 시작되어 착탈부(31a) 방 향으로 2cm 길이로 연장된, 체결 돌기(41c)를 수용할 수 있는 충분한 폭을 가진 결합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선바이저(20)가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초기의 경우에는 타단부 근처에만 형성된 체결부(33)가 체결 돌기(41c)와 체결되지 않는 바, 슬라이딩 밀대(31)의 전진 회동은 방해 받지 않게 된다. 또한 설정된 폭을 가지는 체결부(33)가 하부면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체결부(33)는 체결 돌기(41c)와 전진 또는 후진 회동 시 단계별로 체결될 수 있게 되는 바, 선바이저(20)의 개방 또는 폐쇄 위치를 단계별로 유지, 조정 가능하게 된다.
또한 체결부(33)는 슬라이딩 밀대(31)의 하부면 전체 또는 하부면의 일부에만 설정된 폭으로 톱니 모양으로 성형되어, 슬라이딩 밀대(31)의 일방향 회동이 단속되는 형태로 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체결부(33)가 하부면에 일측은 경사면을 구비하고 타측은 대략 수직면을 구비한 다수의 톱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슬라이딩 밀대(31)의 전진 회동 시, 일측 톱니(경사면)는 체결 돌기(41c)를 슬라이딩하여 전진할 뿐 체결되지 않으며, 따라서 슬라이딩 밀대(31)는 전진 회동 가능하다. 반면, 슬라이딩 밀대(31)의 후진 회동 시, 타측 톱니(대략 수직면)는 체결 돌기(41c)에 걸리게 되며, 따라서 슬라이딩 밀대(31)의 후진 회동은 제한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제공을 통해 개방 위치에 있는 선바이저(20)가, 착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임의로 다른 개폐 위치나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편안한 착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체결부(33)는 슬라이딩 밀대(31)의 일측면 또는 상부면 등에 형성되고 체결 돌기(41c)가 이에 대응 체결될 수 있는 위치에 형 성되어, 슬라이딩 밀대(31)의 전,후진 회동을 제한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가이드 홀더(35)는 헬멧 본체부(11)의 내측 상부에 부착되고 슬라이딩 밀대(31)를 수용하는 가이드 부재를 지칭하는 것으로, 고정부(35a) 및 버튼 조립체 수용부(35b)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홀더(35)는 수용된 슬라이딩 밀대(31)가 전,후진 회동할 때, 정해진 방향과 길이만큼 슬라이딩 밀대(31)가 회동할 수 있도록 회동 경로를 유지하고 가이드 한다.
고정부(35a)는 가이드 홀더(35)가 헬멧 본체부(11)와 나사 결합이 가능하도록 가이드 홀더(35)의 양 단부에 형성되는 고정 단부를 지칭한다. 나사는 양 단부에 형성된 고정부(35a)를 통해 헬멧 본체부(11)에 체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가이드 홀더(35)는 헬멧 본체부(11) 내측 상부에 부착될 수 있다. 다만, 고정부(35a)는 나사 이외에도 볼트, 끼움 돌기 등 통상의 결합 부재를 통해 가이드 홀더(35)가 헬멧 본체부(11)와 부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밖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가이드 홀더(35)가 헬멧 본체부(11)에 직접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가이드 홀더(35)는 버튼 조립체 수용부(35b)를 더 포함하되, 슬라이딩 밀대(31)와 체결 및 체결 해제될 수 있는 버튼 조립체(40)가 버튼 조립체 수용부(35b)에 수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밀대(31)는 버튼 조립체 수용부(35b)에 수용된 버튼 조립체(40)와의 체결을 통해 전진 또는 후진된 회동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버튼 조립체 수용부(35b)는 가이드 홀더(35)의 지정된 위치에서 돌출 형성되고, 이하 후술할 버튼 조립체(40)를 수용할 수 있는 부분을 지칭한다. 버튼 조립체 수용부(35b)는 수용되는 버튼 조립체(40)의 설정된 동작 및 기능이 발휘될 수 있도 록 버튼 조립체(40)의 외관 형태에 따라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버튼 조립체 수용부(35b)는 가이드 홀더(35)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버튼 조립체 수용부(35b)가 형성되는 가이드 홀더(35)의 지정된 위치란, 헬멧(10) 착용자가 이하 후술할 버튼 조립체(40)의 조작 버튼(41)을 손쉽게 조작(조작 버튼을 누르는 것 등) 가능하도록, 조작 버튼(41)이 헬멧(10) 상부로 노출되는 가이드 홀더(35)의 위치를 의미한다.
또한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홀더(35)는 밑면에 체결되는 복귀용 스프링(36)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복귀용 스프링(36)은 슬라이딩 밀대(31)의 일단부의 후면에 일단이 체결되며, 가이드 홀더(35)의 밑면에 타단이 체결되는 탄성 스프링을 지칭한다. 슬라이딩 밀대(31)가 전진 회동 시, 가이드 홀더(35)에 체결된 복귀용 스프링(36)의 타단은 원 위치를 유지하나, 일단은 슬라이딩 밀대(31)를 따라 전진 이동함으로써 원래 길이보다 늘어나게 되고, 복귀용 스프링(36)은 탄성력을 가지게 된다. 슬라이딩 밀대(31)는 복귀용 스프링(36)의 탄성력을 통해,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이 없거나 후진 회동에 대한 제한이 없는 경우, 전진된 위치로부터 본래의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헬멧(10) 착용자는 최소한의 동작만으로도 선바이저(20)를 신속하게 폐쇄 위치(본래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게 된다. 다만, 선바이저(20)가 복귀용 스프링(36)의 탄성력에 의해 폐쇄 위치(본래의 위치)로 지나치게 빠른 속도로 이동하게 되는 경우, 헬멧 본체부(11)와 충돌 발생의 염려가 존재하게 된다. 또한 선바이저(20)가 헬멧 본체부(11)와 충돌하는 경우 착용자에게 전 달될 충돌 소음과 상대적으로 약한 소재로 형성되는 선바이저(20)의 수명 단축의 문제점도 발생 가능하다.
이러한 문제점 극복을 위해, 가이드 홀더(35)는 요철부(32)와 대응되어 맞물려 회전 가능하도록 일측에 부착 형성되는 댐퍼(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댐퍼(37)는 슬라이딩 밀대(31)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요철부(32)와 맞물릴 수 있도록 가이드 홀더(35)의 일측에 부착되는 톱니 형상의 기어 부재이다. 댐퍼(37)는 전,후진 회동하는 슬라이딩 밀대(31)의 요철부(32)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바, 슬라이딩 밀대(31)가 전진 회동하는 경우 댐퍼(37)는 제 1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반대로, 슬라이딩 밀대(31)가 후진 회동하는 경우, 댐퍼(37)는 제 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댐퍼(37)는 손잡이부(31b)를 통해 제공되는 슬라이딩 밀대(31)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게 되는 힘에 대한 저항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강한 힘이 손잡이부(31b)를 통해 제공(슬라이딩 밀대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게 되는 외부의 힘)되더라도, 슬라이딩 밀대(31)의 회동은 댐퍼(37)에 의해 저항 받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밀대(31)에 체결되어 개폐되는 선바이저(20)가 외부의 힘에 의해 갑작스럽게 개방 위치나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착용자는 슬라이딩 밀대(31)의 급격한 회동 및 선바이저(20)의 급격한 개폐에 따른 착용상의 불편함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를 통해 선바이저(20)가 헬멧 본체부(11) 등과 충돌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일정한 속도로 서서히 삽입되는 바, 선바이저(20)의 수명 연장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댐퍼(37)는, 가이드 홀더(35)의 밑면에 체결된 복귀용 스프링(36)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딩 밀대(31)가 전진된 위치로부터 본래의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되도록 구성된 경우에도, 선바이저(20) 보호에 유용한 기능을 발휘한다. 댐퍼(37)는 슬라이딩 밀대(31)의 요철부(32)와 맞물려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를 통해 복귀용 스프링(36)의 탄성력을 서서히 감쇠할 수 있다. 즉, 댐퍼(37)는 복귀용 스프링(36)의 탄성력에 의해 후진 회동하게 되는 슬라이딩 밀대(31)의 요철부(32)에 맞물려 제 2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지만, 댐퍼(37)의 회전 속도는 요철부(32)와의 맞물림, 저항 등에 의해 설정된 속도를 넘을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댐퍼(37)는 복귀용 스프링(36)의 탄성력을 서서히 감쇠시켜 슬라이딩 밀대(31)가 일정한 속도로 서서히 후진 회동하도록 하게 된다. 선바이저(20)는 일정한 속도로 서서히 후진 회동하게 되는 슬라이딩 밀대(31)에 체결된 바, 탄성력에 의해 폐쇄 위치(본래의 위치)로 이동하는 선바이저(20)의 경우에도 헬멧 본체부(11)와 충돌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댐퍼(37)는 슬라이딩 밀대(31)에 형성된 요철부(32)와 대응되는 톱니 형상의 기어 부재인 바, 슬라이딩 밀대(31) 양측면에 각각 요철부(32)가 형성되는 경우, 댐퍼(37)도 이에 대응하여 가이드 홀더(35)의 양측에 각각 부착될 수도 있다. 댐퍼(37)는 가이드 홀더(35)의 일측 또는 양측에 일체형으로 부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반면, 댐퍼(37)는, 가이드 홀더(35)와는 별개인 독립된 부재로, 헬멧 본체부(11) 상부 내측에 체결되고 요철부(32)와 맞물려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댐퍼(37)는, 요철부(32)와 맞물려, 슬라이딩 밀대(31)의 전,후진 회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는 형태라면 톱니 형상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과 모양으로 제공될 수 있다.
슬라이딩 밀대(31)의 전진 회동 이후, 전진된 위치를 유지시키는 동시에, 필요 시 전진된 위치를 해제하여 다시 후진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버튼 조립체(40)도 개폐장치(30) 및 헬멧(10)에 포함될 수 있다.
버튼 조립체(40)는 가이드 홀더(35)의 버튼 조립체 수용부(35b)에 수용될 수 있는 체결 부재를 지칭한다. 이를 통해 버튼 조립체(40)는 슬라이딩 밀대(31)의 하부면과 체결되어 선바이저(20)의 위치를 고정(개폐 위치가 고정)하고, 버튼 조립체(40)가 슬라이딩 밀대(31)의 하부면과 체결 해제되어 선바이저(20)의 위치를 고정 해제(개폐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버튼 조립체(40)는 슬라이딩 밀대(31)의 하부면과 체결되거나 체결 해제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조작 버튼(41) 및 탄성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 버튼(41)은 헬멧(10) 착용자가 헬멧(10) 상부에서 조작(누르기 등)할 수 있으며, 슬라이딩 밀대(31)가 내부에서 전,후진 회동 할 수 있는 버튼 부재를 지칭한다. 이러한 기능 수행을 위해 조작 버튼(41)은 몸체부(41a), 공동(41b), 체결 돌기(41c) 및 탄성 돌기(41d)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41a)는 조작 버튼(41)의 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부는 헬멧(10) 착용자가 조작 버튼(41)을 누르는 조작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헬멧(10)의 외부로 노출되며, 하부는 버튼 조립체 수용부(35b)에 삽입 수용될 수 있다. 몸체부(41a)는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으나,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이 분리 개방되 는 형태로도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버튼 조립체 수용부(35b)에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몸체부(41a)는 본체 중앙부에 공동(cavity, 41b)이 형성될 수 있다.
공동(41b)은 슬라이딩 밀대(31)가 전,후로 회동 가능하도록 몸체부(41a)에 관통하여 형성된 것으로, 슬라이딩 밀대(31)가 관통하여 전진 또는 후진 회동할 수 있도록 충분하게 형성된 폭과 높이를 가지는 관통된 구멍을 지칭한다. 공동(41b)은 바닥면에서 위쪽으로 돌출 형성된 체결 돌기(41c)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 돌기(41c)는 공동(41b)을 통해 전,후진 회동하는 슬라이딩 밀대(31)의 하부면과 체결되어 슬라이딩 밀대(31)의 전진 또는 후진 회동을 제한할 수 있는 단속 부재를 지칭한다. 이를 위해 체결 돌기(41c)는 경사면으로 된 일측과 대략 수직면으로 된 타측으로 형성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톱니로 형성되어, 체결부(33)과 체결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슬라이딩 밀대(31)가 전진 회동 하는 경우, 체결 돌기(41c)의 경사면으로 된 일측에는 체결부(33)가 체결되지 않고, 슬라이딩하여 계속 전진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슬라이딩 밀대(31)는 전진 회동 가능하게 된다. 반면, 슬라이딩 밀대(31)의 후진 회동 시, 체결 돌기(41c)의 대략 수직면으로 형성된 된 타측에 체결부(33)가 걸리게 되며, 따라서 슬라이딩 밀대(31)의 후진 회동은 제한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제공을 통해 개방 위치에 있는 선바이저(20)가, 착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임의로 다른 개폐 위치나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편안한 착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체결 돌기(41c)또는 이와 체결되는 체결부(33)의 단면 형태 변경을 통해, 선바이저(20)가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선바이저(20)가 임의로 개방 및 폐쇄 위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게 된다.
체결부(33)가 하부면 일부에만 설정된 폭으로 형성되는 경우, 슬라이딩 밀대(31)의 초기 전진 회동 시에는 체결 돌기(41c)와 체결되는 사정이 발생되지 않는 바, 슬라이딩 밀대(31)의 자유로운 전,후진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다만, 슬라이딩 밀대(31)가 계속 전진 회동하게 되는 경우 타단부 쪽에 설정된 폭으로 형성된 체결부(33)가 공동(41b) 속으로 진입하게 되며, 이에 따라 체결 돌기(41c)와 체결부(33)가 체결된다. 체결 돌기(41c)의 일측(전진 진입하는 체결부를 맞이하는 단면상의 일측을 의미함)이 경사면으로 형성된 경우, 체결부(33)는 체결 돌기(41c)에 큰 저항을 받지 않으면서 계속 슬라이딩 전진할 수 있게 된다. 반면, 체결 돌기(41c)의 타측은 대략 수직면으로 형성되는 바 체결부(33)가 후진하게 되는 경우 큰 저항을 받게 되며, 이에 따라 슬라이딩 밀대(31)의 후진 회동은 제약 받게 된다. 또한 체결 돌기(41c)의 일측이 대략 수직면으로 형성되고, 타측이 이보다 낮은 경사 각도를 가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슬라이딩 밀대(31)의 전진 회동이 제약 받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체결부(33)는 슬라이딩 밀대(31)의 하부면이 아닌 일측면 또는 상부면 등에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이와 체결되는 체결 돌기(41c)도 공동(41b)의 바닥면이 아닌 공동(41b)의 측면, 상부면 등의 위치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체결 돌기(41c)는 헬멧(10) 착용자가 헬멧(10) 상부로 노출된 조작 버튼(41)의 몸체부(41a) 상부를 아래로 누르는 조작 시, 체결부(33)와 체결 해제될 수 있게 된다. 슬라이딩 밀대(31)는 체결 돌기(41c)와 체결된 체결부(33)에 의해 회동이 제 한 받게 되는 바, 조작 버튼(41)이 아래로 누르는 조작을 통해, 아래로 이동하게 되는 경우 체결부(33)는 체결 돌기(41c)로부터 체결 해제되어 다시 전,후진 회동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또한 복귀용 스프링(36)이 가이드 홀더(35)와 슬라이딩 밀대(31)사이에 체결된 경우라면, 슬라이딩 밀대(31)의 전진 회동에 따라 발생된 복귀용 스프링(36)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딩 밀대(31)는 다시 자동적으로 후진 회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헬멧(10) 착용자는 단 한번의 조작 버튼(41)의 조작(버튼 누르기)만으로도 개방되어 있던 선바이저(20)를 폐쇄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헬멧(10) 착용자가 헬멧(10) 상부에서 조작 버튼(41)을 누르는 조작은 탄성 돌기(41d) 및 탄성부(45)에 의해 반복적으로 가능하게 된다.
탄성 돌기(41d)는 조작 버튼(41)의 하부면에서 아래쪽으로 돌출 형성되어 탄성부(45)에 삽입되는 돌기를 지칭하며, 탄성부(45)는 용수철과 같은 탄성 부재를 지칭하는 것으로 버튼 조립체 수용부(35b)의 하부면에 의해 지지된다. 조작 버튼(41)은 헬멧(10) 착용자가 반복하여 누르는 조작을 실시할 수 있도록, 누르는 힘의 방향을 따라 헬멧(10) 안쪽으로 들어갔다가, 누르는 힘이 해제되는 경우 다시 원 위치로 복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조작 버튼(41)은 하부면에 용수철과 같은 탄성부(45)에 의해 지지되어야 하며, 조작 버튼(41)의 반복적인 사용에도 탄성부(45)의 위치가 이탈되지 않고, 정확한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 탄성 돌기(41d)가 탄성부(45)에 삽입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버튼 조립체(40)는 탄성력을 가지며, 탄성부(45)의 위치 이탈로 인한 오작동 없이 반복적인 조작 버튼(41) 누름 과 자동적인 누름 해제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 도 4 및 도 5 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10)의 작동 상태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4 는 댐퍼(37)가 요철부(32)와 맞물려 회동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4a 는 슬라이딩 밀대(31)가 전진 회동 시 모습을, 도 4b 는 슬라이딩 밀대(31)가 후진 회동 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개폐장치(30)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10)은 댐퍼(37)가 헬멧(10)의 상부에서 전,후 회동하는 슬라이딩 밀대(31)의 일측면에 형성된 요철부(32)와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특징을 가진다.
헬멧(10) 착용자는 헬멧(10)의 상부에 노출된 손잡이부(31b)를 앞쪽으로 당기거나 앞쪽으로 미는 동작으로 슬라이딩 밀대(31)를 전진 회동시킬 수 있다. 선바이저(20)는 슬라이딩 밀대(31)의 착탈부(31a)에 체결되고, 힌지축(13)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축 지지되는 바, 슬라이딩 밀대(31)의 전진 회동에 따라 안면부(12)로 개방된다. 댐퍼(37)가 별도로 제공되지 않는 경우, 착용자가 손잡이부(31b)를 통해 가하는 힘의 정도에 따라 슬라이딩 밀대(31)의 회동 속도는 달라지게 되며, 이에 따라 선바이저(20) 개폐 속도 또한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제공되는 힘에 따라 안면부(12)에서 개폐되는 선바이저(20)의 속도가 변화하게 되는 바, 착용자는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또한 복귀용 스프링(36)이 슬라이딩 밀대(31)와 가이드 홀더(35) 사이에 체결될 경우, 슬라이딩 밀대(31)의 전진 회동에 따라 원래 길이보다 늘어난 복귀용 스프링(36)은 원래 길이로 복귀하려는 탄성력을 가진다. 댐퍼(37)가 별도로 제공되지 않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후진 회동하는 슬라이딩 밀대(31)에 의해 선바이저(20)도 폐쇄 위치로 신속하게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착용자의 개폐장치(30) 오작동에 의해 선바이저(20)가 폐쇄 위치로 이동 하는 경우, 착용자는 빠르게 시야에서 사라져버리는 선바이저(20)에 대해 충분한 대응을 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강한 햇빛 등에 착용자의 시야가 순간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빠르게 헬멧 본체부(11) 내부로 삽입되는 선바이저(20)는 가속에 의해 헬멧 본체부(11)와 충돌되는 문제점도 발생 가능하게 된다.
댐퍼(37)가 가이드 홀더(35)에 부착되어 제공되며, 요철부(32)와 맞물려 회동하게 되는 경우, 상기의 문제점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슬라이딩 밀대(31)가 전진 회동하게 되는 경우, 이와 맞물린 댐퍼(37)는 제 1 방향(도 4a 화살표 B)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맞물림 회전을 통해 슬라이딩 밀대(31)의 전진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댐퍼(37)는 복귀용 스프링(36)에 의해 후진 회동하는 슬라이딩 밀대(31)와 맞물려 제 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도 4b 화살표 C)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를 통해 복귀용 스프링(36)의 탄성력을 감쇠시켜 급격한 후진 회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착용자가 개폐장치(30)를 오작동 시킨 경우에도, 서서히 폐쇄 위치로 이동하게 되는 선바이저(20)를 다시 개방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선바이저(20)가 서서히 헬멧 본체부(11) 내부로 삽입되는 바, 충돌을 피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충돌 소음 발생의 문제나 선바이저(20)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조립체(40)의 동작 모습을 나타낸 종 단면도로, 도 5a 는 조작 버튼(41)을 누르기 전의 모습 또는 조작 버튼(41)을 누르고 난 후 다시 원래 위치로 복귀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b 는 헬멧(10) 착용자가 조작 버튼(41)을 누른 직후의 모습으로, 아래쪽으로 누르는 힘에 따라 조작 버튼(41)이 아래쪽으로 내려가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버튼 조립체(40)는 개폐장치(30)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조작 버튼(41)과 탄성부(45)를 포함할 수 있음은 이미 살펴 보았다. 조작 버튼(41)은 중앙부에 슬라이딩 밀대(31)가 전,후 회동 가능하도록 관통할 수 있는 공동(41b)이 형성되며, 공동(41b)의 하부면에는 위쪽으로 돌출 형성된 체결 돌기(41c)가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 밀대(31)의 하부면에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체결부(33)가 형성되어 체결 돌기(41c)와 체결 가능하게 된다. 체결 돌기(41c)와 체결부(33)는 서로 맞춤 체결되어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밀대(31)가 회동하는 것을 단속할 수 있게 된다. 체결 돌기(41c)가 체결부(33)와 체결되는 경우, 슬라이딩 밀대(31)는 전진 또는 후진 회동이 제한 받게 되며, 이에 따라 선바이저(20)도 설정된 위치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반면, 헬멧(10) 착용자는 헬멧(10) 상부로 노출된 조작 버튼(41)의 몸체부(41a) 상부면을 아래 방향으로 누르는 조작만으로 선바이저(20)의 개폐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5b 에서와 같이 착용자가 조작 버튼(41)을 아래 방향으로 누르게 되는 경우, 몸체부(41a) 전체가 아래로 이동하게 되며, 체결 돌기(41c)도 체결부(33)와 체결 해제되어 아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슬라이딩 밀대(31)는 다 시 전진 또는 후진 회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복귀용 스프링(36)이 체결되어 제공된 경우, 슬라이딩 밀대(31)는 더 이상 체결 돌기(41c)에 의해 후진이 제한되지 않는 바, 복귀용 스프링(36)에 의해 슬라이딩 밀대(31)는 후진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착용자는 한 번의 조작만으로도 손쉽게 선바이저(20)를 페쇄 위치로 이동시켜 밝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버튼 조립체(40)는 반복적인 누름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몸체부(41a)의 하부면과 버튼 조립체 수용부(35b)에 탄성부(45)를 포함할 수 있으며, 탄성부(45)에는 탄성 돌기(41d)가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조작 버튼(41)의 상부면에 가해지는 힘이 없어지게 되는 경우, 탄성부(45)에 의해 몸체부(41a)가 다시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되며, 함께 원래 위치로 복귀한 체결 돌기(41c)에 의해 다시 슬라이딩 밀대(31)의 위치는 고정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탄성부(45)는 탄성 돌기(41d)가 삽입되어 상하로 압축되고 반발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므로, 원래 위치에서 이탈되는 사정없이 버튼 조립체(40)의 반복 사용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는 선바이저, 개폐장치 및 버튼 조립체의 조립 횡 단면도이다.
도 3b 는 도 3a 의 A 부분에 대한 확대 횡 단면도로 슬라이딩 밀대의 하부면에 형성된 체결부가 버튼 조립체의 체결 돌기와 체결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4 는 댐퍼가 요철부와 맞물려 회동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4a 는 슬라이딩 밀대가 전진 회동하는 경우의 모습을, 도 4b 는 슬라이딩 밀대가 후진 회동하는 경우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조립체의 동작 모습을 나타낸 종 단면도로, 도 5a 는 조작 버튼을 누르기 전의 모습 또는 조작 버튼을 누르고 난 후 다시 원래 위치로 복귀되는 모습이며, 도 5b 는 헬멧 착용자가 조작 버튼을 누른 직후의 모습으로, 아래쪽으로 누르는 힘에 따라 조작 버튼이 아래쪽으로 내려가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Claims (12)

  1. 헬멧 본체부의 안면부 전면에서 개폐되는 선바이저를 헬멧의 상부에서 조작 가능한 개폐장치에 있어서,
    일단부는 상기 선바이저의 중앙 상단부에 체결되고 타단부는 전,후진 회동을 돕는 손잡이부가 형성된 슬라이딩 밀대,
    상기 헬멧 본체부의 내측 상부에 부착되어 상기 슬라이딩 밀대의 전,후진 회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홀더 및
    상기 가이드 홀더의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슬라이딩 밀대가 설정된 속도로 전,후진 회동하도록 지지하는 댐퍼
    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딩 밀대의 일측면에는 톱니 형태의 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요철부는, 상기 슬라이딩 밀대가 상기 댐퍼와 맞물려 전,후진 회동하여 상기 선바이저가 일정한 속도로 개폐되도록 하는 것인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밀대는,
    일단이 상기 슬라이딩 밀대의 일단부 후면과 체결되고 타단은 가이드 홀더의 밑면에 체결되는 복귀용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복귀용 스프링은 상기 슬라이딩 밀대가 전진 회동하게 되는 경우 탄성력을 가지며, 상기 복귀용 스프링의 상기 탄성력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 밀대가 전진된 위치로부터 본래의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하여,
    상기 선바이저를 자동적으로 폐쇄 위치로 이동 시키는 것인 개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밀대는,
    상기 선바이저의 중앙 상단부와 체결되는 일단부에 착탈부를 포함하되,
    상기 착탈부는 상기 선바이저의 중앙 상단부에 형성된 삽입식 걸림턱이 끼워져 체결되는 결합홈인 것인 개폐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홀더는,
    지정된 위치에서 돌출 형성되어 버튼 조립체를 수용하는 버튼 조립체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버튼 조립체가 상기 버튼 조립체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밀대의 하부면과 체결되어 상기 선바이저의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슬라이딩 밀대의 하부면과 체결 해제되어 상기 선바이저의 위치를 고정 해제 하는 것인 개폐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조립체는,
    몸체를 형성하는 몸체부와, 상기 슬라이딩 밀대가 전,후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관통하여 형성된 공동과, 상기 공동의 바닥면에서 위쪽으로 돌출 형성된 체결 돌기 및 상기 몸체부의 하부면에서 아래쪽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 돌기를 포함하는 조작 버튼 및
    상기 돌출 돌기가 삽입되고 상기 조작 버튼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 돌기는,
    상기 슬라이딩 밀대가 전진 회동을 통해 상기 공동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슬라이딩 밀대의 하부면에 형성된 체결부와 체결되는 것을 통해 전진 회동된 상기 슬라이딩 밀대가 상기 전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인 개폐장치.
  6. 헬멧 본체부 양 측면의 힌지축을 통해 상기 헬멧 본체부 내부에 체결되는 선바이저를 포함하는 헬멧에 있어서,
    양단에 형성된 관통구를 통해 상기 힌지축과 착탈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안면부의 전면에서 전,후진 회동하는 선바이저 및
    일단부는 상기 선바이저의 중앙 상단부에 체결되고 타단부는 전진 회동을 지원하는 손잡이부가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톱니 형태의 요철부가 형성된 슬라이딩 밀대와, 상기 헬멧 본체부의 상부에 부착되어 상기 슬라이딩 밀대의 전,후진 회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홀더 및 상기 가이드 홀더의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슬라이딩 밀대가 설정된 속도로 전,후진 회동하도록 지지하는 댐퍼로 이루어진 개폐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요철부는, 상기 슬라이딩 밀대의 전,후진 회동 시, 상기 댐퍼와 맞물려 회동하여 상기 슬라이딩 밀대의 전,후진 회동 속도가 설정된 속도로 유지되어,
    상기 선바이저가 일정한 속도로 개폐되도록 하는 것인 헬멧.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슬라이딩 밀대의 상기 일단부 후면과 상기 가이드 홀더의 밑면 사이에서, 일단과 타단이 각각 체결되는 복귀용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복귀용 스프링은 상기 슬라이딩 밀대가 전진 회동하게 되는 경우 탄성력을 가지며, 상기 복귀용 스프링의 상기 탄성력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 밀대가 전진된 위치로부터 본래의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하여,
    상기 선바이저를 자동적으로 폐쇄 위치로 이동 시키는 것인 헬멧.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밀대는,
    상기 선바이저의 중앙 상단부와 체결되는 일단부에 착탈부를 포함하되,
    상기 착탈부는 상기 선바이저의 중앙 상단부에 형성된 삽입식 걸림턱이 끼워져 체결되는 결합홈인 것인 헬멧.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홀더는,
    지정된 위치에서 돌출 형성되어 버튼 조립체를 수용하는 버튼 조립체 수용부를 포함하되,
    상기 버튼 조립체가 상기 버튼 조립체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밀대의 하부면과 체결되어 상기 선바이저의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슬라이딩 밀대의 하부면과 체결 해제되어 상기 선바이저의 위치를 고정 해제하는 것인 헬멧.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조립체는,
    몸체를 형성하는 몸체부와, 상기 슬라이딩 밀대가 전,후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에 관통하여 형성된 공동과, 상기 공동의 바닥면에서 위쪽으로 돌출 형성된 체결 돌기 및 상기 몸체부의 하부면에서 아래쪽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 돌기를 포함하는 조작 버튼 및
    상기 돌출 돌기가 삽입되고 상기 조작 버튼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 돌기는,
    상기 슬라이딩 밀대가 전진 회동을 통해 상기 공동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슬라이딩 밀대의 하부면에 형성된 체결부와 체결되는 것을 통해 전진 회동된 상기 슬라이딩 밀대가 상기 전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인 헬멧.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슬라이딩 밀대가 상기 복귀용 스프링의 상기 탄성력에 의해 본래의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하는 경우,
    상기 댐퍼가 상기 요철부와 맞물려 회전하여 상기 탄성력을 감쇠함으로써,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상기 선바이저가 상기 헬멧 본체부와 충돌을 피할 수 있게 되는 것인 헬멧.
  12. 헬멧 본체부 양 측면의 힌지축을 통해 상기 헬멧 본체부 내부에 체결되는 선바이저를 포함하는 헬멧에 있어서,
    양단에 형성된 관통구를 통해 상기 힌지축과 착탈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안면부의 전면에서 전,후진 회동하는 선바이저,
    일단부는 상기 선바이저의 중앙 상단부에 체결되고 타단부는 전진 회동을 지원하는 손잡이부가 형성된 슬라이딩 밀대 및 상기 헬멧 본체부의 상부에 부착되어 상기 슬라이딩 밀대의 전,후진 회동을 안내하고 버튼 조립체를 수용하는 버튼 조립체 수용부가 지정된 위치에서 돌출 형성된 가이드 홀더로 이루어진 개폐장치,
    상기 슬라이딩 밀대의 상기 일단부 후면과 상기 가이드 홀더의 밑면 사이에서 일단과 타단이 각각 체결되는 복귀용 스프링 및
    상기 버튼 조립체 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슬라이딩 밀대의 하부면과 체결되는 버튼 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버튼 조립체는 상기 슬라이딩 밀대의 하부면과 체결되어 상기 선바이저의 개폐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슬라이딩 밀대의 하부면과 체결 해제되어 상기 선바이저의 개폐 위치를 고정 해제하는 것인 헬멧.
KR1020090090524A 2009-09-24 2009-09-24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KR101126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524A KR101126269B1 (ko) 2009-09-24 2009-09-24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EP09173611.6A EP2301369B1 (en) 2009-09-24 2009-10-21 Opening/closing apparatus and helmet including the same
US12/880,687 US8341771B2 (en) 2009-09-24 2010-09-13 Opening/closing apparatus and helmet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524A KR101126269B1 (ko) 2009-09-24 2009-09-24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824A KR20110032824A (ko) 2011-03-30
KR101126269B1 true KR101126269B1 (ko) 2012-03-19

Family

ID=41257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0524A KR101126269B1 (ko) 2009-09-24 2009-09-24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341771B2 (ko)
EP (1) EP2301369B1 (ko)
KR (1) KR1011262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119B1 (ko) * 2011-03-25 2013-04-12 고환복 레저 스포츠용 헬멧
JP5733858B2 (ja) * 2011-07-28 2015-06-10 株式会社Shoei ヘルメットにおけるバイザ取り付け機構
US9021616B2 (en) * 2012-04-25 2015-05-05 David Baty Protective gear
US20130312164A1 (en) * 2012-05-25 2013-11-28 Doseong Kim Helmet For Leisure Sports
KR101232275B1 (ko) * 2012-07-06 2013-02-12 (주)인터텔론 보호면
ITMI20131006A1 (it) * 2013-06-18 2014-12-19 Kask S R L Casco con visiera
USD744169S1 (en) * 2013-09-05 2015-11-24 SERE Industries Inc. Helmet counterweight shovel head
US10244809B2 (en) 2013-12-18 2019-04-02 Linares Medical Devices, Llc Helmet for attenuating impact event
CN105769439B (zh) * 2016-03-01 2018-05-08 宁波吉欧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防护面屏
RU172085U1 (ru) * 2016-04-01 2017-06-28 Михаил Борисович Киташкин Защитный шлем
GB2552547A (en) * 2016-07-29 2018-01-31 Smallwood Ioan A helmet
CN108646401B (zh) * 2018-06-30 2023-10-27 成都工业学院 一种基于头盔的红外线夜视仪
CN108802997B (zh) * 2018-06-30 2023-10-27 成都工业学院 一种基于头盔的夜视仪
DE102019124245A1 (de) * 2019-09-10 2021-03-11 Schuberth Gmbh Visiermechanik für einen Schutzhelm
CA3168088A1 (en) * 2020-03-02 2021-09-10 FERREIRA DA SILVA, Rodrigo Carlos Structural arrangement for a motor helmet with automated visor
US12064001B2 (en) 2021-02-22 2024-08-20 Gentex Corporation Helmet mounted visor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95273A (en) 1967-01-17 1970-02-17 Gentex Corp Safety helmet with retractable eye shield
US4075714A (en) 1976-11-15 1978-02-28 Sierra Engineering Co. Helmet characterized by negative lift
KR100659170B1 (ko) 2005-12-15 2006-12-19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헬멧용 선바이저 개폐장치
US20080189835A1 (en) 2005-03-25 2008-08-14 Mango Sport System S.R.L. Protective Helmet For Sports Use and For Work Us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74222A (en) * 1939-07-08 1942-02-24 Harvey L Tedrow Safety appliance
US3050735A (en) * 1958-03-28 1962-08-28 Redwing Lt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pivoting a hinged closure into closed position
US3066305A (en) * 1959-08-20 1962-12-04 Leonard P Frieder Eye shield supporting and detent means for helmet
US3400407A (en) * 1966-06-27 1968-09-10 Leonard P Frieder Helmet with retractable visor
US3548411A (en) * 1969-02-26 1970-12-22 Us Navy Retractable goggles for helmet
US3601813A (en) * 1969-08-20 1971-08-31 Gentex Corp Safety helmet with two eye shields
US4170042A (en) * 1978-02-06 1979-10-09 Gentex Corporation Readily releasable powered visor-and-lock assembly for helmet
US20030131396A1 (en) * 2002-01-11 2003-07-17 Park Young Hui Ha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95273A (en) 1967-01-17 1970-02-17 Gentex Corp Safety helmet with retractable eye shield
US4075714A (en) 1976-11-15 1978-02-28 Sierra Engineering Co. Helmet characterized by negative lift
US20080189835A1 (en) 2005-03-25 2008-08-14 Mango Sport System S.R.L. Protective Helmet For Sports Use and For Work Use
KR100659170B1 (ko) 2005-12-15 2006-12-19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헬멧용 선바이저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01369B1 (en) 2013-06-05
KR20110032824A (ko) 2011-03-30
EP2301369A2 (en) 2011-03-30
EP2301369A3 (en) 2012-04-04
US20110067158A1 (en) 2011-03-24
US8341771B2 (en) 2013-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6269B1 (ko)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US7540033B2 (en) Device for opening-closing sun visor of helmet
US9167861B2 (en) Safety helmet with anti-dazzle visor
US8286270B2 (en) Helmet having a guiding mechanism for a compatible visor
EP1714568B1 (en) Helmet wind deflector
JP2007247114A (ja) ヘルメット
KR100875460B1 (ko) 헬멧용 턱 보호대 개폐 장치
US20180242677A1 (en) Protective helmet with flip-up visor/goggles
CN110771981A (zh) 带遮护件的升降机构的保护头盔
JP2000096334A (ja) ヘルメット
US20100132097A1 (en) Structure for safety helmet
CN210598539U (zh) 一种车用把手结构
WO2008034486A1 (en) Crash helmet particularly for motoring and sports use in general
EP3001919B1 (en) Helmet for motorcycling
CN110771984A (zh) 带遮护件的升降机构的保护头盔
EP0895726B1 (en) Crash helmet with openable chinguard
US20100132096A1 (en) Structure for safety helmet
JP4206257B2 (ja) 軽車両用風防及び自転車
US20080016660A1 (en) Child seatbelt release restriction mechanism
CA2594635A1 (en) Visor system
KR101622607B1 (ko) 헬멧
KR200315009Y1 (ko) 헬맷의 일부 개폐가 가능하며 보안경을 열었을 때 공기저항이 최소화된 헬맷
KR100622732B1 (ko) 선바이저용 리테이너 구조
KR200433302Y1 (ko) 헬멧의 바이저 결합구조
KR20230124175A (ko) 바이저 탈착구조를 가지는 승마헬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