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4175A - 바이저 탈착구조를 가지는 승마헬멧 - Google Patents

바이저 탈착구조를 가지는 승마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4175A
KR20230124175A KR1020220021157A KR20220021157A KR20230124175A KR 20230124175 A KR20230124175 A KR 20230124175A KR 1020220021157 A KR1020220021157 A KR 1020220021157A KR 20220021157 A KR20220021157 A KR 20220021157A KR 20230124175 A KR20230124175 A KR 20230124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or
fastening
helmet
protrusion
r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1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효
Original Assignee
이근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효 filed Critical 이근효
Priority to KR1020220021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4175A/ko
Publication of KR20230124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41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32Collapsible helmets; Helmets made of separable parts ; Helmets with movable parts, e.g. adjustable
    • A42B3/328Collapsible helmets; Helmets made of separable parts ; Helmets with movable parts, e.g. adjustable with means to facilitate removal, e.g. after an accident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1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 A42B3/222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in an articulated manner, e.g. hing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7Visors with sun visors, e.g. peaks above face opening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낙마시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승마헬멧에 관한 것으로, 승마자의 머리 부분에 배치되고 외피를 구성하는 헬멧본체와, 상기 헬멧본체에 자력에 의하여 견인되어 체결가이드 부분에 장착되는 바이저를 포함하는 바이저 탈착구조를 가지는 승마헬멧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바이저 탈착구조를 가지는 승마헬멧{HORSE RIDING HELMET WITH STRUCTURE OF SEPARABLE VISOR}
본 발명은 승마헬멧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낙마시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승마헬멧에 관한 것이다.
승마는 사람이 말을 타고 부리는 여러 가지 동작 또는 그런 경기를 말한다. 근대 승마는 14~15세기 이탈리아에서 시작되어 16세기 유럽으로 확산되었으며, 1900년 제2회 파리올림픽대회에서 정식종목으로 채택된 뒤 일시 제외되었다가 1912년 제5회 스톡홀름올림픽대회부터 다시 경기를 치렀으며, 1928년 제9회 암스테르담올림픽대회부터 지금의 마장마술·장애물 비월·종합마술 개인 및 단체 종목으로 정비되었다. 이밖에 국제승마연맹이 공인하는 종목은 지구력·마차·마상체조·레인닝 등이 있다.
승마가 스포츠화된 근대에는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승마헬멧을 착용하고 있다. 이러한 승마헬멧은 낙마나 충돌시 기수의 머리 부분을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것을 말한다. 최근에는 승마 기수의 머리뿐 아니라 눈을 보호한다거나 비상 상황을 신속하게 알릴 수 있도록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84060호는 종래기술의 승마헬멧을 공개하고 있으며, 도 1은 이에 대한 측면도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승마 헬멧(100)은 머리 보호부(102)와 눈 보호부(104)를 포함한다. 머리 보호부(102)는 승마 기수의 머리에 착용되어 승마 기수의 머리를 보호하도록 제공되고, 눈 보호부(104)는 머리 보호부(102)의 일측에 제공되어 승마 기수의 눈을 선택적으로 보호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눈 보호 부재(104d)는 눈 보호 안경, 시력이 측정된 안경, 썬글라스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제공되며 사용을 선택할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한다.
상기와 같은 승마 헬멧의 경우 머리 보호부 전방에 바이저(Visor)를 구성하고 있고 이는 주로 볕을 가리거나 빗물이 들이닥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승마 헬멧은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외피(Shell)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바이저 부분과 일체로 성형되어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승마자의 낙상시 상기 바이저 부분이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지면이나 구조물에 쉽게 충돌하고 이러한 경우 바이저 부분이 부러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렇게 부러진 바이저 부분이 신체에 긁히거나 안면 부분을 찔러 상해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상기와 같이 안전을 위하여 착용하는 헬멧의 바이저 부분이 오히려 안전을 해치는 결과를 야기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승마 과정에서 우발적 상황의 발생시 바이저의 부러짐으로 발생할 수 있는 신체 상해를 방지하고 안전성과 사용상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는 바이저 탈착구조를 가지는 승마헬멧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머리를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쉘(101)과, 상기 쉘의 전방 하측에 형성되는 체결가이드(110)를 구비하는 헬멧본체(100) 및 차양 기능을 하는 챙부(201)와, 상기 챙부(201)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상기 체결가이드에 결합되는 융기부(210)를 구비하는 바이저(200)를 포함하는 바이저 탈착구조를 가지는 승마헬멧을 제공한다.
상기 바이저는, 융기부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체결가이드에 형성되는 체결홈(120)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돌부(221)와, 상기 체결돌부 측에 결합되어 체결홈 측에 배치된 체결마그네트(121)와 자력에 의하여 헬멧본체 측으로 견인되도록 하는 마그네트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체결가이드는, 상하측으로 상기 융기부의 두께에 대응되는 단차(11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가이드는, 바이저의 충격시 바이저의 단부측 하향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측에 단차가 제거된 개방부(113)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저는, 단부측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체결가이드의 양측에 형성되는 걸림부(130)에 삽입되는 걸림돌부(2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바이저가 헬멧본체와의 결합시 자력에 의하여 헬멧본체 측으로 견인되면서 걸림돌부가 배치되는 부위가 쉘과의 접촉에 의하여 외측으로 변형되고 내측으로 탄성복원력을 작용하여 걸림돌부가 걸림부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여, 헬멧본체 및 바이저가 상호 자력에 의하여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었기 때문에 승마시 차양으로 원활하게 기능하면서도 낙마와 같은 유사 상황에서 쉽게 이탈되어 신체로부터 멀어지기 때문에 사용자 안전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력과 탄성복원력과 삽입에 의한 체결력을 복합적으로 작용시켜 바이저를 결합시키기 때문에 승마시 사용상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승마헬멧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저 탈착구조를 가지는 승마헬멧의 헬멧본체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저 탈착구조를 가지는 승마헬멧에서 바이저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이저 탈착구조를 가지는 승마헬멧에서 쉘과 바이저의 결합과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이저 탈착구조를 가지는 승마헬멧에서 지면에 충격시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이저 탈착구조를 가지는 승마헬멧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품이나 장치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승마자의 머리 부분에 배치되고 외피를 구성하는 헬멧본체와, 상기 헬멧본체에 자력에 의하여 견인되어 체결가이드 부분에 장착되는 바이저를 포함하는 바이저 탈착구조를 가지는 승마헬멧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헬멧은 승마헬멧을 기본으로 하나 그 용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헬멧본체 및 바이저 부분의 형상과 재질은 본 발명의 개념이 적용된다면 도면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저 탈착구조를 가지는 승마헬멧의 헬멧본체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헬멧본체(100)는 전체적으로 머리를 덮을 수 있는 쉘(101)을 가지며, 상기 쉘(101)은 충격에 대해 머리를 보호할 수 있는 정도의 탄성과 강성을 가질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쉘(101)은 통상적으로 수지물의 사출 방식으로 성형되는 것이 경제적인데 다만 이러한 방식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헬멧본체(100)는 쉘(101) 및 상기 쉘(101) 내부에서 머리와 직접 접촉되거나 완충하는 추가적인 부속물을 가질 수 있으며 이를 완충부(102)로 정의하도록 한다.
상기 쉘(101)의 전방 하측에는 외면을 따라 체결가이드(110)가 형성된다. 이러한 체결가이드(110)는 바이저 부분이 탈착될 수 있는 형상과 구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헬멧본체(100)와 바이저가 자력에 의한 견인 과정을 통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자력은 충격에 의하여 바이저가 헬멧본체(100)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정도의 힘을 가한다. 바이저의 이탈과 관련하여 구체적인 작동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체결가이드(110)는 쉘(101)의 전방 하측에서 좌우 측면으로 이어지는 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미관적인 우수성과 견고성을 고려하여 상기 체결가이드(110)의 전체적인 형상은 후술될 바이저의 융기부에 대응된다.
이러한 체결가이드(110)는 상방 및/또는 하방에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쉘(101)의 다른 부분에서 내측으로 함몰된 단차(111)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차(111)는 체결가이드(110)의 상측에 형성되는 단차와 하측에 형성되는 단차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하측의 단차(111) 사이에 체결면(112)이 형성된다.
상기 단차(111)의 높이는 바이저의 결합되는 부위의 두께에 대응될 수 있으며, 이렇게 구성한 경우 바이저의 결합시 쉘(101)과의 일체감이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바이저의 체결시 상하방향의 결합관계를 더욱 긴밀하게 할 수 있도록 바이저와 접하는 체결면(112)은 상측에서 하측으로 진행되면서 점점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경사 내지는 곡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체결면(112)의 부위에는 내주방향으로 함몰된 체결홈(120)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체결홈(120)은 바이저에 배치되는 체결돌부가 삽입되며, 소정의 자력을 가질 수 있도록 체결마그네트 또는 자화가 가능한 부재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홈(120)은 체결돌부의 배열과 형상 및 크기에 대응되며,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가이드(110)의 양단측은 바이저의 양단의 형상에 대응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측에서 상하방향의 폭이 좁아지는 것이 마감에 의한 미관 및 바이저의 이탈작동시 유리하다.
상기와 같이 체결홈(120)에서 자력 및 걸림상태에 의하여 바이저와 쉘의 체결이 이루어지는데, 체결가이드(110)의 양단측에서는 면적의 문제 및 가공성의 한계로 인하여 자력에 의한 결합구조를 채택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추가적으로 상기 체결가이드(110)의 양단측에서의 기계적인 결합이 가능하도록 걸림부(130)를 구비한다. 상기 걸림부(130)는 소정의 후크나 쐐기 등의 구성이 삽입되어 걸림될 수 있는 홀 내지 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130)가 배치되는 체결가이드(110)의 하측에는 단차(111)가 생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체결가이드(110)의 양단측 부위에서 하측 단차(111)가 생략되는 경우 쉘과의 일체감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바이저 단부의 하향 이탈을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개방부(113)로 정의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저 탈착구조를 가지는 승마헬멧에서 바이저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바이저(200)는 크게 상기 헬멧본체(100)의 체결가이드(110)와 결합되는 융기부(210)와, 상기 융기부(210)의 전방측으로 연장되어 차양 역할을 하는 챙부(201)로 구성된다.
이러한 챙부(201) 및 융기부(210)는 일체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헬멧본체(100)처럼 수지물의 사출방식으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융기부(210)는 전체적으로 호 형상이되, 접촉면(212)이 체결가이드(110)의 체결면(112)에 밀착될 수 있게 이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융기부(210)에는 체결가이드(110)의 체결홈(120)에 대응되도록 후방으로 돌출되는 체결돌부(221)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돌부(221)의 배치되는 개수 및 형상은 상기 체결홈(120)의 배열과 형상에 대응되며 자력에 의하여 후방으로 견인되면 체결홈(120)에 체결돌부(221)가 끼워져 체결력을 가진다. 도시상태에서는 상기 체결돌부(221)가 등간격으로 3개가 배열되었으며 두 번째 체결돌부(221)는 헬멧본체(100)의 좌우 중심에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자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돌부(221)가 배치되는 부위에는 마그네트부(220)가 결합된다.
일실시에로, 상기 체결돌부(221)의 전방측은 후방으로 함몰된 소정의 그루브를 가질 수 있고 마그네트부(220)가 상기 그루브에 전방측에서 삽입되고 전방측 개구가 마감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체결돌부(221)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삽입되는 마그네트부(220)도 원반 내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형상은 선택적이다.
상기 융기부(210)와 챙부(201)는 측면 단부로 갈수록 높낮이 및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변형성이 중심측 전방에 비하여 큰 것을 의미한다. 이는 탄성복원력 및 체결과 관련될 수 있는데 이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체결가이드(110)의 걸림부(130)에 대응되어 걸림돌부(230)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부(221)는 바람직하게는 내측 단부에서 후측으로 돌출된 후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부(220)는 바이저(200)를 전체적으로 후측으로 당겨주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걸림돌부(230)의 체결방향은 측면 바깥 방향에서 내측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체결돌부(221)의 결합방식과는 차이가 있다.
다만, 상기 걸림돌부(230)와 걸림부(130)의 체결방식은 후크 방식 외에도 쐐기형, 압입형, 스냅버튼, 벨크로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경우에 따라 자력에 의하여 바이저(200)의 단부측이 체결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이저 탈착구조를 가지는 승마헬멧에서 쉘과 바이저의 결합과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체결가이드(110)가 소정의 단차와 하나 이상의 체결홈(120)을 가짐은 상기와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체결홈(120)의 내측에 체결마그네트(121)가 구성되어 체결돌부(221)측에 배치되는 마그네트부(220)와 자력으로 상호 작용한다. 서로 대응되는 부위에 상호 반대되는 극성을 가지고 바라볼 때 결합을 위한 견인력이 발생될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대략 전방측에 3개의 체결홈(120)와 체결돌부(221)가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자력(m)의 작용에 의한 바이저(200)가 받는 견인력은 후측이 되며, 이러한 힘의 합에 의하여 바이저(200)의 융기부(210)는 체결면(112)에 접근하면서 밀착된다.
여기서 중심측에 배치되는 체결홈(120)의 형태는 자력(m)의 방향과 일치되나, 양측에 배치되는 체결홈(120)은 자력의 방향과는 다소 각도를 가지고 있다.
한편, 바이저(200)의 양단측에서는 자력에 의한 견인력을 함께 받아 이동되는 과정에 변형이 발생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저(200)의 측면이 쉘(101)의 외면을 따라 후측으로 진행하면서 체결돌부(221)가 체결면(112) 부위에 접촉하기 시작하고,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바이저(200)의 양측을 다소 벌려준다. 이러한 변형에 따라 쉘(101)의 내측방향으로 탄성복원력(e)이 작용한다.
체결홈(120)과 체결돌부(221)의 체결이 완료되면 걸림돌부(230)가 걸림부(130)의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복원력(e)에 의하여 체결돌부(221)가 걸림부(13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완전한 체결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바이저(200)와 헬멧본체(100)의 체결 과정은 마그네트부(220)의 자력(m)에 의한 견인으로 개시되어 체결홈(120)과 체결돌부(221)의 삽입관계 및 자력(m)에 의하여 유발된 탄성복원력(e)에 의한 걸림부(130)와 걸림돌부(230)의 결합관계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이저 탈착구조를 가지는 승마헬멧에서 지면에 충격시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챙부의 충격시 종래기술에서는 챙부의 파손에 의한 상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음은 상기와 같다. 본 발명에서는 바이저(200)와 헬멧본체(100)를 서로 자력에 의하여 탈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고, 이에 따라 지면이나 구조물에 충격시 바이저(200)가 외부로 이탈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성을 향상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챙부(201)가 지면에 충격한 경우 대략 상방으로 힘을 가한다. 이 경우 중심측에 배치되는 마그네트부(220) 및 체결돌부(221)에서 이탈이 시작되며 소정의 회전동작이 시작된다.
상기와 같이 좌우 중심측 하방으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면 대략 전방 측부에 위치한 마그네트부(220) 및 체결돌부(221)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이 이루어질 것이다.
이러한 챙부(201)의 상향 회동에 따라 바이저(200)의 엣지부(213)는 하향 회동된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엣지부(213)에 대응되는 체결가이드(110)의 부위는 하측의 단차(111)가 생략된 개방부(113)로 이루어져 있고, 바이저(200) 후측의 하향 회동시 걸림 없이 원활한 움직임이 가능하다. 이렇게 움직이는 과정에서 체결홈(120)에서 체결돌부(221)가 이탈되며, 최종적으로 융기부(210) 부위가 체결가이드(110)에서 완전하게 이탈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바이저(200)의 변형에 의한 탄성력은 상기와 같은 이탈 과정에서 헬멧본체(100)로부터 바이저(200)를 멀리 튕겨 내보내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탈된 바이저(200)로 인한 상해 가능성은 완전히 제거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바이저(200)가 제거된 상태에서의 헬멧본체(100)는 전후 및 좌우로 어느 정도 균일한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사람이 지면에 구르더라도 걸리는 부분이 없어 2차적인 충격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짐에 유의하여야 한다.
상술된 본 발명의 바이저 탈착구조를 가지는 승마헬멧에 의하여 헬멧본체 및 바이저가 상호 자력에 의한 탈착 가능하게 구성하였기 때문에 승마시 차양으로 원활하게 기능하면서도 낙마와 같은 유사시에 쉽게 이탈되어 신체로부터 멀어지기 때문에 사용자 안전성이 극대화된다.
또한, 자력과 탄성복원력과 삽입에 의한 체결력을 복합적으로 작용시켜 바이저를 결합시키기 때문에 승마시 사용상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헬멧본체 101...쉘
102...완충부 110...체결가이드
111...단차 112...체결면
113...개방부 120...체결홈
121...체결마그네트 200...바이저
201...챙부 210...융기부
212...접촉면 213...엣지부
220...마그네트부 230...걸림돌부

Claims (5)

  1. 머리를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쉘(101)과, 상기 쉘의 전방 하측에 형성되는 체결가이드(110)를 구비하는 헬멧본체(100);
    차양 기능을 하는 챙부(201)와, 상기 챙부(201)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체결가이드에 결합되는 융기부(210)를 구비하는 바이저(200);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저는,
    융기부의 내측으로 돌출되고 체결가이드에 형성되는 체결홈(120)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돌부(221)와, 상기 체결돌부 측에 결합되어 체결홈 측에 배치된 체결마그네트(121)와 자력에 의하여 헬멧본체 측으로 견인되도록 하는 마그네트부(220)를 구비하는 바이저 탈착구조를 가지는 승마헬멧.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가이드는,
    상하측으로 상기 융기부의 두께에 대응되는 단차(111)가 형성되는 바이저 탈착구조를 가지는 승마헬멧.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가이드는,
    바이저의 충격시 바이저의 단부측 하향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측에 단차가 제거된 개방부(113)를 구비하는 바이저 탈착구조를 가지는 승마헬멧.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저는,
    양 단부측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체결가이드에 형성되는 걸림부(130)에 삽입되는 걸림돌부(230)를 구비하는 바이저 탈착구조를 가지는 승마헬멧.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저는,
    헬멧본체와의 결합시 자력에 의하여 헬멧본체 측으로 견인되면서 걸림돌부가 배치되는 부위가 쉘과의 접촉에 의하여 외측으로 변형되고 내측으로 탄성복원력을 작용하여 걸림돌부가 걸림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바이저 탈착구조를 가지는 승마헬멧.

KR1020220021157A 2022-02-18 2022-02-18 바이저 탈착구조를 가지는 승마헬멧 KR202301241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157A KR20230124175A (ko) 2022-02-18 2022-02-18 바이저 탈착구조를 가지는 승마헬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157A KR20230124175A (ko) 2022-02-18 2022-02-18 바이저 탈착구조를 가지는 승마헬멧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4175A true KR20230124175A (ko) 2023-08-25

Family

ID=87847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1157A KR20230124175A (ko) 2022-02-18 2022-02-18 바이저 탈착구조를 가지는 승마헬멧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417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6841B2 (en) Football helmet with recessed face guard mounting areas
US6983488B2 (en) Equestrian helmet with faceguard
US4233687A (en) Sports helmet with face mask
CN112135541B (zh) 护颏罩附接系统和方法
US4677694A (en) Facial protector for batting helmet
US4028743A (en) Protective head-wear
US6772447B2 (en) Protective sport helmet
CN102370285B (zh) 改进型运动安全头盔
KR101126269B1 (ko)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EP3366153B1 (en) Protective helmet with flip-up visor/goggles
JP2009519381A (ja) 折り畳み保護ヘルメット
US6957447B1 (en) Monolithic paintball mask
CN111820522A (zh) 多部件头盔构造
US20020174480A1 (en) Sports helmet and face guard
US3729745A (en) Protective device for the head
CA2618302A1 (en) Sports helmet with goggle strap retainers
US3230544A (en) Headgear having a neck protecting flap
US5699556A (en) Catcher's face mask with a sun-shade
CA2990250A1 (en) Helmet with flexible structure for improved force attenuation
KR20230124175A (ko) 바이저 탈착구조를 가지는 승마헬멧
US4573222A (en) Crash helmet
CN110381762B (zh) 头盔护目镜带固定夹
CN109744631A (zh) 防护头盔
US6978477B2 (en) Equestrian helmet with faceguard
US10660391B2 (en) Helmet with floating brow b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