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5009Y1 - 헬맷의 일부 개폐가 가능하며 보안경을 열었을 때 공기저항이 최소화된 헬맷 - Google Patents

헬맷의 일부 개폐가 가능하며 보안경을 열었을 때 공기저항이 최소화된 헬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5009Y1
KR200315009Y1 KR20-2003-0005760U KR20030005760U KR200315009Y1 KR 200315009 Y1 KR200315009 Y1 KR 200315009Y1 KR 20030005760 U KR20030005760 U KR 20030005760U KR 200315009 Y1 KR200315009 Y1 KR 2003150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met
safety
opening
goggles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57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명철
Original Assignee
정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명철 filed Critical 정명철
Priority to KR20-2003-00057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50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50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50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1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 A42B3/222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in an articulated manner, e.g. hinge devices
    • A42B3/223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in an articulated manner, e.g. hinge devices with means for locking the visor in a fully open, intermediate or closed position

Abstract

본 고안은 헬맷의 보안경과 부분개폐가능부를 장착한 헬맷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보안경이 장착된 헬맷(안전모)착용자가 보안경(2)을 개방하고 주행하는 경우 헬맷(안전모)의 전면에 발생하는 공기저항을 최소화하도록 개선된 보안경과 탈착시 두부가 끼이는 등의 부담을 없애도록 고안된 부분개폐부(12)를 장착한 헬맷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헬맷의 일부 개폐가 가능하며 보안경을 열었을 때 공기저항이 최소화된 헬맷 {The helmats without the air-resist when its and A part opening and shutting is possible}
보안경개방 운전시 헬맷(안전모)전면에 발생하는 공기저항을 해소하기 위해 보안경(2)과 헬맷본체와의 결합부에 요철모양의 골(4)을 내고 스프링방식의고정부(6)와 결합하고 보안경개방시 보안경돌출부(8)와 통풍구돌출부(10)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 보안경(2)을 고안했으며 또한, 탈착시 두부가 끼이지 않도록 헬맷의 입구를 넓힐 수 있는 개폐부(12)를 고안하였다.
원동기등의 운전자가 헬맷을 착용하였을 때의 보안경개방 주행시 헬맷(안전모)전면에 발생하는 공기저항을 해소한다. 또한 full-face형 헬맷의 탈착시 좁은 입구로 인한 두부의 부담을 해소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보안경과 입구를 개선한 헬맷(안전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저항을 최소화하는 보안경과 탈착시 용이하도록 입구에 개폐부를 장착한 헬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헬맷은 보안경을 개방하였을 시 주행속도로 인해 헬맷(안전모)전면에 상당한 공기저항이 발생하여 운전자의 두부와 목이 뒤로 젖혀지는신체적인 부담을 주며 이로 인해 시야확보곤란과 운전자세 불안정등의 문제를 유발해왔으며
또한, 헬맷의 탈착시 입구가 좁아 두부가 끼이는 등의 부담을 주며 헬맷착용을 기피하는 이유가 되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어느정도 개선하기 위해 보안경에 헬맷의 하단부를 플라스틱으로 만들어 결합하는 식의 고안품이 나왔으나 플라스틱으로는 안전도를 보장받을 수 없으며, 특히 경주용 헬맷의 경우, 두부전체의 안전을 보장하기위한 full-face형 헬맷의 안전도를 보장할 수 없다.
본 고안의 목적은 운전자가 보안경 개방시 보안경이 공기저항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일부를 개선 제작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헬맷탈착시에 입구를 넓힐 수 있도록 헬맷구조를 일부 개선하여 full-face형이 요구하는 완벽한 안전운전보장과 편안한 헬맷착용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헬맷과 본 고안에 따른 헬맷의 공기저항발생 비교를 위한 측면도
도 2의 본 고안에 따른 보안경과 개폐부를 장착한 헬맷의 사시도
도 3은 (A)(B)는 상기 실시예의 도시한 보안경의 측면도
도 4는 (A)(B)는 상기 실시예의 도시한 개폐부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보안경 4. 보안경의 요철부
6. 보안경고정부 7.손잡이용 돌기
8. 보안경돌출부
9.보안경 요철부의 맨 하단부
10. 통풍구돌출부
12. 개폐부 13.개폐부상단
14. 경첩부 16. 전방결합부
18. 후방결합부 20. 개폐용스위치부
22. 통풍구 24. 유연성플라스틱관
26.후방걸쇠용와이어 27.전방걸쇠용와이어
28.와이어고정부 30.스위치
31.스위치용관 32.전방잠금장치부
33.스위치용와이어
34.걸쇠
36.스위치틀
38.후방잠금장치부
40.잠금장치부의 틀
본 고안에 따르면, 개방시 공기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보안경(2)과 탈착이 용이하도록 개폐부(12)가 장착된 헬맷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 구조개선된 보안경을 제시한 것으로써, 자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보안경(2)의 전체적인 모양은 종래의 것과 대체로 같다. 헬맷과의 결합부에 도3에 제시된 요철모양의 골(4)을 만들어 개선한다. 요철부(4)는 스프링방식의 고정부(6)를 기준으로 보안경이 상하이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에는 고정부(6)를 기준으로 도1의 (b-1)과 같이 개폐되었으나 4와 같은 요철부모양으로 보안경의 일부를 개선한다면 도1의 (b-2)와 같이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보안경개폐시 운전자는 보안경에 손잡이용으로 제작된 볼록나온 돌기(7)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보안경의 전방에는 보안경 개방시 요철결합형식으로 고정할 수 있는 돌출부를보안경의 하단돌출부(8) 와 통풍구돌출부(10)에 만들어준다. 이는 종래의 통풍구에 보안경 개방시 공기저항에 의해 보안경이 뒤로 더 넘어가지 않도록 하는 보안경과의 결합부를 만들어 주는 것이다.
그리고 보안경 상하이동시 요철부(4)를 부드럽게 넘나들 수 있도록 고정부(6)에는 도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생활용품(가방류)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스프링이 내장되어 유격이 발생하는 단추'류를 사용한다. 이는 현재 여러가지 종류가 판매되고 있다.
그리고 보안경이 도1의 (b-2)와 같이 공기저항없이 완벽히 고정되기 위해서는 도3에서 볼 수 있는 통풍구돌출부(10)와 고정부(6)사이의 거리와 보안경돌출부(8)과 보안경 요철부의 맨 하단부(9)의 거리가 같아야 한다. 본 고안은 보안경이 장착된 모든 종류의 헬맷(안전모)에 적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라 개폐부가 장착된 헬맷(안전모)의 결합부의 단면도을 제시한 것으로써, 자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개폐부(12)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도2의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결합부(16과 18)와 경첩부
(14) 그리고 스위치부(20)가 필요하다.
이는 도4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4의 (A)'열쇠부측단면도'는 개폐부 내부의 구조를 제시한 헬맷측면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헬맷내부에는 충격완충재(스티로폼류)가 들어 있는데 이것의 내부에 외부충격시 안전에 해를 끼치지 않는 유연성플라스틱관 (24)(이하 '관'이라 지칭)을 고정설치하고 그 안에 자전거 브레이크 등에사용되는 강화와이어를 사용한 후방걸쇠용와이어(26)를 삽입하고 전방걸쇠용와이어(27)와 함께 와이어고정부(28)에 고정한다. 관(24)은 전방과 후방에 하나씩 있으며 와이어고정부(28)가까이에서 개방되어 있다.
이는 스위치용와이어(33)와의 연결을 위한 것이다.
전방잠금장치부(32)는 후방잠금장치부(38)와 그 원리가 같으며 여기서는 전방잠금장치부(32)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잠금장치(32)는 기존 출입문의 걸쇠와 그 원리가 대체로 같으며 잠금장치부의 틀(40)안에 스프링(36)과 걸쇠(34)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다. 관(24)은 잠금장치부의 틀(40)과 연결되어 와이어를 삽입, 걸쇠(34)와 연결되도록 하며, 스프링(36)의 탄성력은 걸쇠(34)의 잠기어 고정되는 힘과 원위치로의 스위치(30)복원력을 제공한다. 또한 걸쇠(34)는 전후방이 동일하게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닫히기 쉽도록 경사를 두어 제작한다. 이는 일반 주택의 출입문 잠금장치에 내장된 걸쇠와 그 원리가 같다. 도4의 (B)처럼 헬맷(안전모)아래에서 본 단면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30)는 스위치틀(36) 내에서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스위치(30)를 오른손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헬맷후방으로 밀면 스위치용관(31)에 삽입된 스위치용와이어 (33)가 전후방잠금장치(32와38)를 열게 되고 이에 의해 개폐부(12)가 열리고 닫히게 된다. 결합부(16과18)는 전후방 동일하게 개폐를 위해 절단되어있다.
개폐부상단(13)에는 헬맷본체와 분리된 내장재와 잠금장치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헬맷외부의 금속과 같은 재질로 감쌀 수 있다.
충격완충용내장재 중 결합부표면에는 개폐시의 발생하는 마찰에 대해 내구력을 증가하기위해서 비닐코팅등의 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후방결합부(18)는 정후방에 위치시키되 전방결합부(16)는 기존제품에 장착된 통풍구(22)를 간섭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가장 전방으로 위치시켜 개폐부 (12)를 장착한 효과를 최대화하도록 한다. 이는 도4의 (C)에서 a와 b의 위치로 알아볼 수 있다
도안에서 개폐부(12)를 오른쪽에 위치시킨 이유는 오른손을 주로 사용하는 이들이 많음을 고려한 이유이다
또한, 고안에서의 헬맷이 안전성에서 또다른 추가적인 보장이 요구될 경우 외부에 다른 잠금장치를 부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헬맷(안전모)의 보안경을 개방했을 시 운행속도에 의해 전면에 발생하는 공기저항을 없애므로 운전자 신체의 부담을 없앨 수 있고 동시에 자세와 시야의 안정된 확보로 안전운전을 보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보안경을 절반만 개방할 경우에도 공기저항없이 외부공기는 자연순환되며 동시에 위에서 내리쬐는 햇빛을 막을 있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헬맷(안전모)의 탈착시 종래의 제품은 입구가 좁아 두부가 끼이는 등의 불쾌감을 발생시켜 운전자로 하여금 착용기피등의 태도를 유발하였으나 본 고안에 의하면 개폐부를 이용함으로써 탈착시 어려움을 배재할 수 있고 쓰고 벗기가 편리해짐으로써 헬맷착용이 생활습관화될 수 있으며 특히 두부전체를 다 덮는(full-face형)헬맷에서 요구되는 완전한 두부안전보장이 확실시될 수 있다. 이는 곧 레이서를 포함한 모든 운전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효과를 유발할 수있다.

Claims (2)

  1. 헬맷(안전모)에 장착되는 보안경 중
    열고닫기를 위해 보안경(2)의 측면에 제작된 헬맷과의 결합부에 요철모양의 골(4)과 스프링방식의 단추(6)와의 결합으로 보안경결합부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열고닫을 수 있으며 보안경의 전면하단부(8)가 통풍구(10)와 결합되므로 인해 보안경 개방시 운행속도 등에 의해 헬맷(안전모)전면에 발생하는 공기저항을 최소화하여 운전자의 안정된 운행자세와 시야확보를 가능케 하는 특징이 있는 보안경.
  2. 두부전체를 감싸는 형(full-face type)의 헬맷(안전모)의 하단부에 두부의 부담없이 탈착이 용이하도록 경첩부(14)와 결합부(16과18)과 스위치부(20) 등을 그 구조로 하여 열고 닫을 수 있는 개폐부(12)를 장착한 헬맷(안전모).
KR20-2003-0005760U 2003-02-27 2003-02-27 헬맷의 일부 개폐가 가능하며 보안경을 열었을 때 공기저항이 최소화된 헬맷 KR2003150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5760U KR200315009Y1 (ko) 2003-02-27 2003-02-27 헬맷의 일부 개폐가 가능하며 보안경을 열었을 때 공기저항이 최소화된 헬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5760U KR200315009Y1 (ko) 2003-02-27 2003-02-27 헬맷의 일부 개폐가 가능하며 보안경을 열었을 때 공기저항이 최소화된 헬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5009Y1 true KR200315009Y1 (ko) 2003-06-02

Family

ID=49407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5760U KR200315009Y1 (ko) 2003-02-27 2003-02-27 헬맷의 일부 개폐가 가능하며 보안경을 열었을 때 공기저항이 최소화된 헬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500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0033B2 (en) Device for opening-closing sun visor of helmet
US5483699A (en) Face shield with chin contacting element
US5388277A (en) Air intake device in helmet
US5412810A (en) Helmet for riding vehicle
US5093937A (en) Helmet for riding vehicle
US5101517A (en) Sports helmet with transparent windows in the side walls
EP0474939B1 (en) Helmet
EP3366153B1 (en) Protective helmet with flip-up visor/goggles
SK50993A3 (en) Protective headgear and detachable face protector
US4556994A (en) Fullface-type helmet
US5157794A (en) Helmet
BR112013000588A2 (pt) capacete de proteção, em particular para engenheiros florestais
US6256797B1 (en) Helmet and method of removing the same
US4754501A (en) Protective headware for wrestlers
JPS5928642B2 (ja) ヘルメツトを固定するための改良締着装置
JP2007051397A (ja) ヘルメット
JP4428754B2 (ja) ヘルメット
KR200315009Y1 (ko) 헬맷의 일부 개폐가 가능하며 보안경을 열었을 때 공기저항이 최소화된 헬맷
KR100478155B1 (ko) 헬멧용 브레스 가드 조립체
KR101106172B1 (ko) 미닫이식 턱 보호대를 구비한 헬멧
KR101781563B1 (ko) 헬멧
JP3068792U (ja) ヘルメット用後部サンバイザ―
JP3228998U (ja) 紙製フェイスシールド
WO2024089930A1 (ja) ヘルメット
WO2023139471A1 (en) Protective helm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