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2607B1 - 헬멧 - Google Patents
헬멧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22607B1 KR101622607B1 KR1020140170695A KR20140170695A KR101622607B1 KR 101622607 B1 KR101622607 B1 KR 101622607B1 KR 1020140170695 A KR1020140170695 A KR 1020140170695A KR 20140170695 A KR20140170695 A KR 20140170695A KR 101622607 B1 KR101622607 B1 KR 1016226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ir
- button
- shield
- members
- hoo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1—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헬멧(100)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헬멧(100)은 양단에 버튼공(122)이 형성되고, 버튼공(122)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한 쌍의 후크(124)를 포함하는 실드(120), 및 양단에 버튼공(122)과 결합하는 조립체(130)를 포함하는 헬멧 본체(110)를 포함하고, 조립체(130)는, 헬멧 본체(110)의 양단에 결합하는 받침판(132), 버튼(140), 받침판(132) 내부에 구비되고, 버튼(140)이 체결되는 버튼 체결구(150), 버튼 체결구(150)를 사이에 두고 일단이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의 제1 압축스프링(134)을 포함하며, 상기 버튼(140)을 누르면, 상기 한 쌍의 제1 압축스프링(134)이 압축되어 상기 실드(120)가 상기 조립체(130)로부터 분리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헬멧에 관한 것이다.
헬멧은 오토바이 등 이륜차의 운행 시 착용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운행자의 전방 시야 확보를 위해 헬멧 본체부 전면에는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헬멧은 개방부를 통해 운행 중 유입되는 바람, 먼지의 차단을 위해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한 실드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헬멧은 내부와 외부가 통기가 잘 되지 않는 밀폐된 구조를 가지는 특성상, 착용자가 답답함을 느끼고, 내부에 습기가 차게 되면 시야를 가리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종래에는 시야를 가리는 실드를 개방하거나 별도로 형성된 통풍구를 통해 외기를 헬멧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거나, 실드를 헬멧으로부터 분리가능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헬멧은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버튼을 누른 후에도, 사용자가 후크를 풀기 위해 별도로 일측 방향으로 밀거나 당겨야 했다. 따라서, 실드를 헬멧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이 번거로워 사용에 불편함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측면은 실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정도를 단계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헬멧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실드를 헬멧으로부터 분리가능하면서도, 버튼을 누르는 조작만으로도 간단히 실드가 분리가능한 헬멧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은 양단에 버튼공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공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한 쌍의 후크를 포함하는 실드, 및 양단에 상기 버튼공과 결합하는 한 쌍의 조립체를 포함하는 헬멧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체는, 상기 헬멧 본체의 양단에 결합하는 받침판, 버튼, 상기 받침판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버튼이 체결되는 버튼 체결구, 상기 버튼 체결구를 사이에 두고 일단이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의 제1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버튼을 누르면, 상기 한 쌍의 제1 압축스프링이 압축되어 상기 실드가 상기 조립체로부터 분리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상기 버튼 체결구의 외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압축스프링의 상기 일단을 고정하는 한 쌍의 고정구, 및 상기 버튼 체결구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의 작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작동부재는, 상기 한 쌍의 제1 압축스프링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실드의 상기 한 쌍의 후크에 걸리는 한 쌍의 걸림부재, 상기 한 쌍의 제1 압축스프링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한 쌍의 걸림부재로부터 상기 버튼 체결구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의 일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을 누르면 상기 한 쌍의 제1 압축스프링이 압축되고, 상기 한 쌍의 작동부재가 상기 버튼 체결구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한 쌍의 걸림부재와 상기 한 쌍의 후크가 이격됨으로써, 상기 실드가 상기 조립체로부터 분리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부재는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와 둔각을 이루도록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버튼은, 터치부, 및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부재의 슬라이딩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부재와 대응되는 경사를 형성하고, 상기 버튼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마주보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터치부의 테두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체결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에 있어서, 상기 버튼의 상기 터치부의 하부면에 이격되어 마주보는 한 쌍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는, 상기 한 쌍의 끼움홈으로부터 상기 버튼의 하측으로 연장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의 외면에 제1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버튼 체결구의 내측면에 상기 제1 체결돌기와 체결되도록 대응하는 제2 체결돌기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상기 버튼 체결구로부터 상기 연결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지지부재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작동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후크는, 제1 후크 및 제2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걸림부재는, 상기 제1 후크에 걸리는 제1 걸림부재, 및 상기 제2 후크에 걸리는 제2 걸림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회동가능한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로부터 상기 제1 걸림부재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디부를 포함하는 실드 개폐조정부 및 상기 버튼 체결구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개폐조정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실드의 상기 제2 후크가 걸려 상기 실드의 회동을 보조하는 보조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에는, 상기 헤드부가 결합하는 위치에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조립체는, 상기 받침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헤드부의 맞은편에 배치되어, 상기 체결공을 통해 상기 받침판 및 상기 헤드부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받침판에 상기 헤드부를 결합하는 체결도구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상기 바디부의 내측면 및 상기 버튼 체결구의 외측면 사이에 구비되는 제2 압축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상기 헤드부의 외측면을 둘러싸고, 일측에 바디부가 통과하는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의 양단이 상기 바디부의 양 측면에 걸림으로써, 상기 바디부가 제3 위치 및 제4 위치 사이에서만 회동하도록 제한하는 제한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에 있어서, 상기 제1 후크의 일측면에는, 돌출부 및 함몰부가 반복되는 제1 요철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 요철구조와 맞물릴 수 있도록, 대응하는 제2 요철구조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요철구조 및 상기 제2 요철구조는 라운딩(rounding) 처리되고, 상기 제1 요철구조와 상기 제2 요철구조가 맞물려 상기 실드의 개폐를 단계적으로 조정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재의 외면에는, 상기 제1 요철구조가 맞물릴 수 있도록 대응되고, 상기 제2 요철구조와 연속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연장되며, 라운딩(rounding)처리된 제3 요철구조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재는, 제1 위치에서의 상기 제2 걸림부재와 연속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제2 걸림부재와 동일선상에 형성되고, 상기 실드의 상기 제2 후크의 회동경로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실드의 상기 제2 후크가 걸려 상기 실드의 회동을 보조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에 있어서, 제1 위치에서의 상기 제1 걸림부재는, 상기 바디부와 연속성이 단절되도록, 상기 바디부와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보다 상기 버튼 체결구로부터 외측에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에 있어서, 제1 위치에서의 상기 제2 걸림부재는, 상기 보조부재와 연속성이 단절되도록, 상기 보조부재와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부재보다 상기 버튼 체결구로부터 외측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드의 개방 또는 폐쇄 정도를 단계적으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환경에 따라 사용자가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것만으로 실드가 헬멧으로부터 간단히 분리가능하므로, 사용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의 실드의 개폐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의 실드의 일단을 나타낸 평면도,
도 2b는 도 2a의 A-A`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의 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4는 실드 헬멧 본체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조립체의 작동을 나타낸 개념도,
도 5a는 실드가 헬멧 본체에 고정된 조립체를 나타낸 평면도,
도 5b는 실드가 헬멧 본체로부터 분리되기 위한 조립체의 작동을 나타낸 평면도,
도 6a는 도 5a에 나타난 조립체의 단면도,
도 6b는 도 5b에 나타난 조립체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
도 7a 내지 도 7b는 실드의 개폐를 단계적으로 조정하는 조립체의 작동을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도 7a의 B-B`에 대한 단면도, 및
도 9a 및 도 9b는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의 실드의 일단을 나타낸 평면도,
도 2b는 도 2a의 A-A`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의 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4는 실드 헬멧 본체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조립체의 작동을 나타낸 개념도,
도 5a는 실드가 헬멧 본체에 고정된 조립체를 나타낸 평면도,
도 5b는 실드가 헬멧 본체로부터 분리되기 위한 조립체의 작동을 나타낸 평면도,
도 6a는 도 5a에 나타난 조립체의 단면도,
도 6b는 도 5b에 나타난 조립체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
도 7a 내지 도 7b는 실드의 개폐를 단계적으로 조정하는 조립체의 작동을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도 7a의 B-B`에 대한 단면도, 및
도 9a 및 도 9b는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의 실드의 개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의 실드의 양단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A-A`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의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실드 헬멧 본체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조립체의 작동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5a는 실드가 헬멧 본체에 고정된 조립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b는 실드가 헬멧 본체로부터 분리되기 위한 조립체의 작동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a는 도 5a에 나타난 조립체의 단면도이며, 도 6b는 도 5b에 나타난 조립체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100)은 양단에 버튼공(122)이 형성되고, 버튼공(122)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한 쌍의 후크(124)를 포함하는 실드(120), 및 양단에 버튼공(122)과 결합하는 한 쌍의 조립체(130)를 포함하는 헬멧 본체(110)를 포함하고, 조립체(130)는, 헬멧 본체(110)의 양단에 결합하는 받침판(132), 버튼(140), 받침판(132) 내부에 구비되고, 버튼(140)이 체결되는 버튼 체결구(150), 버튼 체결구(150)를 사이에 두고 일단이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의 제1 압축스프링(134)을 포함하며, 상기 버튼(140)을 누르면, 상기 한 쌍의 제1 압축스프링(134)이 압축되어 상기 실드(120)가 상기 조립체(130)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헬멧(100)은 오토바이나 경주용 자동차 등의 사용자가 운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사고 발생시에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구비되고, 전면은 시야 확보를 위하여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실드(120)는 햇빛이나 먼지, 바람으로부터 사용자의 눈과 안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실드(120)는 썬바이저(sunvisor), 선글라스(sunglass), 고글(goggle)등의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모든 보호 안경을 포함한다.
도 1a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드(120)의 양단에는 버튼공(122)이 형성되고, 버튼공(122)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한 쌍의 후크(124)를 포함한다. 이때, 버튼공(122)은 버튼(140)이 끼워지는 공간으로서, 사용자가 버튼(140)을 누를 수 있도록 개방되고, 버튼(140)에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후크(12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립체(130)의 걸림부재(162)에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후크(124)가 걸림부재(162)에 걸리는지, 또는 걸림부재(162)와 이격되는지에 따라, 실드(120)가 조립체(130)에 고정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헬멧 본체(110)는 활동 중에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헬멧 본체(110)는 사용자의 머리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이 구비되고, 내부 공간은 우레탄과 같은 탄성체를 구비하여, 운행자 등의 머리형에 맞도록 제작된다. 또한, 헬멧 본체(110)는 미려함과 머리 보호 기능을 위해 다양한 재질과 소재, 디자인으로 형성된 외관을 가지고, 전면에는 시야 확보를 위하여 개방부가 형성된다. 한편, 헬멧 본체(110)는 실드(120)와 결합하는 조립체(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립체(130)는 실드(120)가 헬멧 본체(110)와 고정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매개체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체(130)에 구비된 걸림부재(162)가 실드(120)의 후크(124)에 걸리게 되면, 실드(120)는 헬멧 본체(11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체(130)에 구비된 걸림부재(162)가 후크(124)와 이격되면, 실드(120)가 헬멧 본체(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작동부재(160)의 구성과 작동방식과 함께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받침판(132)은 조립체(130)가 헬멧 본체(110)에 부착될 수 있도록 지지면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조립체(130)의 구성들이 배치될 공간을 제공한다. 여기서, 받침판(132)은 원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받침판(132)은 헬멧 본체(110)의 양단에 결합하며, 나사 결합등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결합방식을 모두 포함한다. 예를 들어, 나사 결합을 하는 경우, 도 5a 내지 도 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나사공(1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튼(140)은,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힘을 인가할 대상이고, 힘이 가해지면 후술하는 작동부재(160)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버튼(140)은 원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140)은 사용자가 힘을 가하는 공간인 터치부(142), 한 쌍의 가이드부재(144) 및 한 쌍의 체결부재(14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버튼(140)을 누름으로써, 상기와 같은 구성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버튼(140)의 구성, 작동부재(160)의 구성 및 작동방식과 함께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버튼 체결구(150)는 사용자가 버튼(140)을 눌렀을 때, 버튼(140)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여기서, 버튼 체결구(150)는 버튼(14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버튼(14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한 깊이를 가진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체결구(150)는 양측에 한 쌍의 작동부재(160)가 배치되므로, 버튼 체결구(150)의 양측은 폐쇄되지 않고, 개방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 압축스프링(134)은, 사용자가 버튼(140)에서 손을 떼면, 작동부재(160)를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압축스프링(compression spring)이란, 압축되도록 가해지는 힘에 저항하는 스프링으로서, 탄성에 의한 복원력(elastic restoring force)을 가진다. 여기서, 제1 위치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140)을 누르지 않았을 때, 작동부재(160)의 초기 위치를 가리킨다. 또한, 제2 위치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140)을 눌렀을 때, 작동부재(160)가 버튼 체결구(150) 내측으로 이동한 위치를 가리킨다(도 3참조).
한편, 도 5a 내지 도 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압축스프링(134)은 버튼 체결구(150)를 사이에 두고 일단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마주보는 각 일단은 버튼 체결구(150) 측에 위치하고, 각 타단은 버튼 체결구(150)의 반대측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립체(130)는, 버튼 체결구(150)의 외측면에 구비되고, 한 쌍의 제1 압축스프링(134)의 일단을 고정하는 한 쌍의 고정구(136), 및 버튼 체결구(150)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의 작동부재(160)를 포함하며, 한 쌍의 작동부재(160)는, 한 쌍의 제1 압축스프링(134)의 타단에 연결되어, 실드(120)의 상기 한 쌍의 후크(124)에 걸리는 한 쌍의 걸림부재(162), 한 쌍의 제1 압축스프링(134)의 길이방향을 따라 한 쌍의 걸림부재(162)로부터 버튼 체결구(150)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168), 및 한 쌍의 연결부재(168)의 일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부재(169)를 포함하고, 버튼(140)을 누르면 한 쌍의 제1 압축스프링(134)이 압축되고, 한 쌍의 작동부재(160)가 버튼 체결구(150) 방향으로 이동하여, 한 쌍의 걸림부재(162)와 한 쌍의 후크(124)가 이격됨으로써, 실드(120)가 조립체(130)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한 쌍의 고정구(136)는, 상기 한 쌍의 제1 압축스프링(134)의 각 일단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고정구(136)는 버튼 체결구(150)의 외측면에 구비되고, 제1 압축스프링(134)의 각 일단이 연결된다.
상기 한 쌍의 작동부재(160)는, 실드(120)가 조립체(130)에 고정 또는 조립체(130)로부터 분리되도록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작동부재(160)는 후술하는 한 쌍의 걸림부재(162), 한 쌍의 연결부재(168) 및 한 쌍의 슬라이드부재(169)를 포함한다. 이하, 작동부재(160)가 포함하는 각각의 구성과 작동방식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한 쌍의 걸림부재(162)는, 실드(120)의 후크(124)에 걸림으로써, 실드(120)를 헬멧 본체(110)에 고정하거나 또는, 실드(120)의 후크(124)와 이격됨으로써, 실드(120)가 헬멧 본체(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체(130)에 구비된 걸림부재(162)가 실드(120)의 후크(124)에 걸리게 되면, 실드(120)는 헬멧 본체(11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체(130)에 구비된 걸림부재(162)가 후크(124)와 이격되면, 실드(120)가 헬멧 본체(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걸림부재(162)는 한 쌍의 제1 압축스프링(134)의 각 타단에 연결된다. 또한, 걸림부재(162)의 상부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실드(120)의 후크(124)와 대응되어, 걸림부재(162)의 외측면에 후크(124)가 걸릴 수 있다(도 6a 내지 도 6b 참조).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168)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재(169)와 걸림부재(162)를 연결시켜, 슬라이드부재(169)와 걸림부재(162) 중 어느 하나가 이동하면 다른 하나도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한 쌍의 연결부재(168)는 제1 압축스프링(134)의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부재(162)와 버튼 체결구(150) 사이에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연결부재(168)의 일단에는 슬라이드부재(169)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연결부재(168)의 타단에는 걸림부재(162)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연결부재(168), 슬라이드부재(169) 및 걸림부재(16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부재(169)는 사용자가 버튼(140)을 누르면, 작동부재(160)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슬라이드부재(169)는 연결부재(168)의 일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슬라이드부재(169)는 한 쌍의 연결부재(168)와 둔각을 이루도록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슬라이드부재(169)가 가이드부재(144)를 따라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도 6a 내지 도 6b 참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가이드부재(144)와 함께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140)은 터치부(142)와, 한 쌍의 가이드부재(1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부(142)는 사용자가 버튼(140)을 누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해 일정한 면적을 가진다. 여기서, 터치부(142)는 버튼공(122)에 직접적으로 결합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터치부(142)에 힘을 인가하여 버튼(140)을 누를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144)는, 한 쌍의 슬라이드부재(169)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슬라이드부재(169)와 대응되는 경사를 형성하고, 버튼(140)의 하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마주보도록 한 쌍이 구비된다(도 6a 내지 도 6b 참조).
상기와 같은 구성을 바탕으로 도 4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의 작동방식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버튼(140)을 누르면, 슬라이드부재(169)가 가이드부재(144)를 따라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한다. 이때, 작동부재(160)는 초기 위치인 제1 위치로부터 버튼 체결구(150)의 내측인, 제2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후크(124)와 걸림부재(162)가 서로 이격되고, 실드(120)와 조립체(130)가 분리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버튼(140)을 누름으로써, 실드(120)가 헬멧 본체(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도 6a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압축스프링(134)의 일단은 고정구(136)에 의해 고정이 되어있으므로, 걸림부재(162)에 연결된 타단만이, 걸림부재(162)를 따라 버튼 체결구(150)의 내측으로 이동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제1 압축스프링(134)이 압축될 수 있다.
한편, 손가락을 버튼(140)에서 떼면, 제1 압축스프링(134)이 가지는 탄성에 의한 복원력으로 인해, 제1 압축스프링(134)은 스프링백(spring back)되어 본래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때, 제1 압축스프링(134)의 일단은 고정구(136)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이므로, 타단만이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타단에 연결된 걸림부재(162)가 버튼 체결구(150)의 외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걸림부재(162)에 연결된 연결부재(168) 및 슬라이드부재(169)를 포함하는 작동부재(160)가 본래의 제1 위치로 돌아올 수 있다. 이때, 버튼(140)은 솟아오르면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버튼(140)을 누르기 전의 상태로 되돌아 온다.
추가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140)은 한 쌍의 체결부재(14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체결부재(146)는 사용자가 버튼(140)을 누를 때, 버튼(140)이 버튼 체결구(150)에 삽입, 체결되는 것을 수월하게 한다. 또한, 한 쌍의 체결부재(146) 사이에 가이드부재(144)가 형성되며, 슬라이드부재(169)는 가이드부재(144)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부재(169)의 양단이, 각 체결부재(146)의 일단 및 타단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결국, 슬라이드부재(169)가 이탈하지 않고, 가이드부재(144)를 따라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도 6a 내지 도 6b 참조).
여기서, 체결부재(146)는 터치부(142)의 테두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한 쌍의 가이드부재(144) 사이에서 마주보는 형태로 한 쌍이 구비된다. 또한, 체결부재(146)는 버튼 체결구(150)의 깊이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버튼(140)이 버튼 체결구(150)에 더욱 안정적으로 삽입, 체결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146)의 외면에 제1 체결돌기(15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버튼 체결구(150)의 내측면에는 제1 체결돌기(152)와 체결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제2 체결돌기(154)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버튼(140)이 버튼 체결구(150)에 삽입될 때, 제1 체결돌기(152)와 제2 체결돌기(154)가 서로 끼워질 수 있다. 결국, 버튼(140)이 흔들리지 않고, 버튼 체결구(150)에 안정적으로 체결, 삽입될 수 있다(도 6a 내지 도 6b참조).
추가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140)의 터치부(142)의 하부면에 이격되어 마주보는 한 쌍의 끼움홈(14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홈(148)은 슬라이드부재(169)가 끼워지는 공간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버튼(140)을 누르면, 슬라이드부재(169)가 가이드부재(144)를 따라서 슬라이딩되어 버튼(140)의 하부면에 접촉한다. 이때, 슬라이드부재(169)가 끼움홈(148)에 끼워짐으로써, 슬라이드부재(169)가 더이상 미끄러지지 않고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도 6b 참조). 여기서, 한 쌍의 가이드부재(144)는 한 쌍의 끼움홈(148)으로부터 버튼(140)의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조립체(130)는 버튼 체결구(150)로부터 상기 연결부재(168)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부재(1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184)는 작동부재(160)를 양측에서 측방향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84)는 버튼 체결구(15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되, 연결부재(168)의 양측에 배치되므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작동부재(160)가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지지부재(184)가 작동부재(160)의 이동을 안내하고 지지함으로써, 작동부재(160)가 측방향으로 이탈하지 않고 작동부재(160)의 길이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지지부재(184)에는 지지부재(184)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연결부재(168)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작동부재(160)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돌기(186)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돌기(186)는 도 6a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168)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작동부재(160)가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때, 작동부재(160)가 상하방향으로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지지돌기(186)의 하부면이 연결부재(168)의 상부면과 접촉할 수 있으나, 반드시 그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작동부재(16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걸림부재(162)가 지지돌기(186)의 일단에 접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도 6b 참조). 따라서, 작동부재(160)가 제2 위치보다 버튼 체결구(150)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여,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것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결국, 지지부재(184) 및 지지돌기(186)에 의해 작동부재(160)는 제1 위치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이탈하지 않고 정하여진 경로를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후크(124)는 제1 후크(126) 및 제2 후크(128)을 포함하고,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걸림부재(162)는 제1 후크(126)에 걸리는 제1 걸림부재(164) 및 제2 후크(128)에 걸리는 제2 걸림부재(16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b는 실드의 개폐를 단계적으로 조정하는 조립체의 작동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a의 B-B`에 대한 단면도이다.
추가적으로, 도 7a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체(130)는 실드(120)의 개폐 정도를 조정하는 개폐조정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개폐조정부(170)는 회동가능한 헤드부(172) 및 헤드부(172)로부터 제1 걸림부재(164)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디부(17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실드(120)는 완전히 개방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안면을 충분히 가리도록 완전히 폐쇄할 수 있다. 다만, 사용환경에 대한 적절한 대처와 사용편의성을 위해 실드(120)를 일부 개방 또는 폐쇄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개폐조정부(170)는 사용자가 실드(120)의 일부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정도를 단계적으로 조정하고, 일부가 개방 또는 폐쇄된 상태를 고정적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헤드부(172)는 개폐조정부(170)가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헤드부(172)는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실드(120)에 힘을 인가하여 실드(120)를 개폐할 때, 제1 후크(126)에 형성된 제1 요철구조(190)와 바디부(174)의 제2 요철구조(192)가 맞물리면서 바디부(174)에 압력이 전달된다. 이로 인하여, 개폐조정부(170)는 회동하게 되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제2 압축스프링(176)의 작동과 함께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받침판(132)에는, 상기 헤드부(172)가 결합하는 위치에 체결공(178)이 형성되고, 상기 조립체(130)는, 상기 받침판(132)을 사이에 두고, 상기 헤드부(172)의 맞은편에 배치되어, 상기 체결공(178)을 통해 상기 받침판(132) 및 상기 헤드부(172)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받침판(132)에 상기 헤드부(172)를 결합하는 체결도구(17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도구(179)는 상기 헤드부(172)가 받침판(132)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당업계에 공지된 모든 체결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도구(179)가 볼트로 구비되어, 받침판(132)의 후면으로부터 체결공(178)을 통해, 헤드부(172)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74)는 실드(120)를 개폐할 때 제1 후크(126)가 걸릴 수 있는 부재로서의 역할을 하고, 실드(120)의 개폐를 단계적으로 조정하여, 실드(120)를 특정 개폐의 단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바디부(174)는 제1 걸림부재(164)와 마찬가지로, 제1 후크(126)에 걸리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74)는 상부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후크(126)와 대응되어, 바디부(174)의 외측면에 제1 후크(126)가 걸릴 수 있다.
또한, 바디부(174)의 외측면과 실드(120)의 제1 후크(126)의 일측면에 요철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요철구조가 서로 맞물리도록 하여, 실드(120)의 개폐를 단계적으로 조정가능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후크(126)의 일측면에는, 돌출부와 함몰부가 반복되는 제1 요철구조(190)가 형성되고, 바디부(174)의 외측면에는, 제1 요철구조(190)와 맞물릴 수 있도록 대응되는 제2 요철구조(19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실드(120)가 회동하여 개폐되는 과정에서, 어느 하나의 요철구조의 돌출부가 다른 하나의 요철구조의 함몰부에 삽입될 때, 실드(120)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실드(120)의 특정한 개폐 정도를 고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요철구조(190) 및 제2 요철구조(192)는 라운딩(rounding)처리 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요철구조의 돌출부 및 함몰부가 연속적으로 맞물릴 수 있도록 하여, 실드(120)의 개폐를 수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조립체(130)는 바디부(174)의 내측면 및 버튼 체결구(150)의 외측면 사이에 제2 압축스프링(17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압축스프링(176)의 양단은 바디부(174)의 내측면 및 바디부(174)의 상기 내측면에 인접한 버튼 체결구(150)의 외측면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제2 압축스프링(176)은 개폐조정부(170)가 제4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 복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3 위치는 제1 요철구조(190)와 제2 요철구조(192) 중 어느 하나의 돌출부가 다른 하나의 요철구조의 함몰부에 삽입되었을 때의 위치이다(도 7a 참조), 또한, 제4 위치는 실드(120)를 개폐할 때, 제1 요철구조(190)와 제2 요철구조(192)의 돌출부가 맞물려 바디부(174)에 힘이 가해질 때의 바디부(174)의 위치이다(도 7b 참조). 따라서, 제3 위치는 실드(120)가 고정되어 있을 때의 바디부(174)의 위치이고, 제4 위치는 실드(120)를 개폐하면서 회동시키고자 할 때의 바디부(174)의 위치가 된다.
제2 압축스프링(176)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실드(120)의 개폐와 관련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조립체(130)는 개폐조정부(170)의 회동을 제한하는 제한부재(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한부재(180)는 헤드부(172)의 외측면을 둘러싸고, 일측에 바디부(174)가 통과하도록 개방부(182)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바디부(174)가 회동할 때, 개방부(182)의 양단 중 일단이 바디부(174)의 일측면에 걸림으로써, 바디부(174)가 제3 위치 및 제4 위치 및 사이에서만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실드(120)를 회동시키기 위해 실드(120)에 힘을 인가할 때, 제1 요철구조(190)의 돌출부와 제2 요철구조(192)의 돌출부가 맞물리면서 실드(120)로부터 바디부(174)에 압력이 가해진다. 이때, 헤드부(172)가 회동함에 따라 바디부(174)는 제3 위치로부터 회동하게 되고, 바디부(174)의 일측면이 제한부재(180)의 일측 단부와 접촉하면서, 더 이상 바디부(174)가 회동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바디부(174)는 제4 위치에서 정지하며, 바디부(174)의 말단은 제1 걸림부재(164)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여 제1 요철구조(190)와 제2 요철구조(192)의 연속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 압축스프링(176)은 압축된 상태가 된다.
한편, 어느 하나의 요철구조의 돌출부가 다른 하나의 요철구조의 함몰부에 삽입되면, 제2 압축스프링(176)이 가지는 탄성에 의한 복원력으로 스프링백(spring back)되며, 바디부(174)는 제4 위치로부터 회동할 수 있다. 이때, 바디부(174)의 타측면이 제한부재(180)의 타측 단부와 접촉하면서, 더 이상 바디부(174)가 회동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바디부(174)는 제3 위치에서 정지하며, 이때 바디부(174)의 말단은 제1 걸림부재(164)와 이격된다.
추가적으로, 제1 걸림부재(164)의 외면에는, 제1 요철구조(190)가 맞물릴 수 있도록 대응되고, 제2 요철구조(192)와 연속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연장되며, 라운딩(rounding)처리된 제3 요철구조(194)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드(120)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 제1 후크(126)는 제1 걸림부재(164)에 걸리고, 제2 후크(128)는 제2 걸림부재(165)에 걸린다(도 1a 및 도 5a 참조). 이때, 제1 후크(126)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1 요철구조(190)가 제1 걸림부재(164)의 제3 요철구조(194)에 맞물리게 되어, 실드(120)의 개폐 단계를 조정할 수 있는 범위가 확대된다. 따라서, 앞서 본 실시예와 달리, 실드(120)가 완전히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부터, 실드(120) 개폐의 단계조정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한편, 조립체(130)는, 상기 버튼 체결구(150)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개폐조정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실드의 상기 제2 후크가 걸려 상기 실드의 회동을 보조하는 보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부재(166)는 실드(120)가 회동하여 개폐될 때, 제2 후크(128)의 이동을 안내해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도 7a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부재(166)는 제1 위치에서의 제2 걸림부재(165)와 연속성을 유지하도록, 보조부재(166)의 일단과 제2 걸림부재(165)의 인접한 일단이 동일선상에 형성되어 맞닿을 수 있다. 또한, 보조부재(166)는 실드(120)의 제2 후크(128)의 회동경로를 따라 연장되며, 실드(120)의 제2 후크(128)가 걸려 실드(120)의 회동을 보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드(120)가 회동하면, 제1 후크(126)는 제1 걸림부재(164) 또는 개폐조정부(170)의 바디부(174)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동한다. 이때, 실드(120)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회동하기 위하여, 제2 후크(128)가 걸릴 수 있는 부재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보조부재(166)가 구비됨으로써, 실드(120)가 회동할 때, 보조부재(166)에 의해 걸린 상태로 안정적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때, 도 7a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걸림부재(164)와 제2 걸림부재(165)가 버튼 체결구(150)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것과 마찬가지로, 보조부재(166)는 버튼 체결구(150)를 사이에 두고 개폐조정부(170)의 바디부(174)와 마주보도록 구비된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헬멧에 고정된 조립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한편, 헬멧(100)의 실드(120)가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헬멧(100)으로부터 분리될 위험이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실드(120)가 완전 개방되어, 제1 후크(126)가 제1 걸림부재(164)에, 제2 후크(128)가 제2 걸림부재(165)에 걸릴 때, 버튼(140)이 눌려지면 실드(120)가 분리된다. 만약, 실드(120)가 완전 개방되었을 때, 사고 등이 발생하여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버튼(140)이 눌려진다면, 실드(120)가 분리되어 더 큰 사고를 초래할 위험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실드(120)의 제1 후크(126) 또는 제2 후크(128)가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각각 제1 걸림부재(164) 또는 제2 걸림부재(165)에 걸리는 일이 없도록 방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재(16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이러한 제1 위치에서의 제1 걸림부재(164)는, 바디부(174)와 연속성이 단절되도록, 바디부(174)와 단차가 형성되고, 바디부(174)보다 버튼 체결구(150)로부터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위치에서의 제2 걸림부재(165)는, 보조부재(166)와 연속성이 단절되도록, 보조부재(166)와 단차가 형성되고, 보조부재(166)보다 버튼 체결구(150)로부터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드(120)가 폐쇄된 상태에서 개방되는 과정 중에, 제1 후크(126)는 바디부(174)를 따라서 회동한다. 이때, 제1 후크(126)는 바디부(174)를 지나 제1 걸림부재(164)로 진행하는데, 제1 걸림부재(164)가 바디부(174)보다 버튼 체결구(150)로부터 외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 후크(126)는 제1 걸림부재(164)의 측면에 의해 가로막히게 되어, 더이상 진행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실드(120)는 완전히 개방되지 않으며, 제1 후크(126)는 제1 걸림부재(164)까지 진행하지 못하므로, 제1 걸림부재(164)에 걸리지 않는다. 따라서, 버튼(140)이 눌린다고 하여도, 실드(120)가 분리될 위험이 없다.
또한, 실드(120)가 폐쇄된 상태에서 개방되는 과정 중에, 제2 후크(128)는 보조부재(166)를 따라서 회동한다. 이때, 제2 후크(128)는 보조부재(166)를 지나 제2 걸림부재(165)로 진행하는데, 제2 걸림부재(165)가 보조부재(166)보다 버튼 체결구(150)로부터 외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2 후크(128)는 제2 걸림부재(165)의 측면에 의해 가로막히게 되어, 더이상 진행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실드(120)는 완전히 개방되지 않으며, 제2 후크(128)는 제2 걸림부재(165)까지 진행하지 못하므로, 제2 걸림부재(165)에 걸리지 않는다. 따라서, 버튼(140)이 눌린다고 하여도, 실드(120)가 분리되지 않는다. 결국, 실드(120)가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분리될 위험이 없으므로, 사용자의 부상, 상해의 염려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실드(12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9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버튼(140)을 누르면, 작동부재(16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면서 제1 걸림부재(164) 및 제2 걸림부재(165)가 버튼 체결구(150) 내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제1 후크(126) 또는 제2 후크(128)는 더이상 각각 제1 걸림부재(164) 또는 제2 걸림부재(165)의 측면에 가로막히지 않는다. 결국, 사용자는 실드(120)를 완전 개방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실드(120)를 헬멧(10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100: 헬멧 110: 헬멧 본체
120: 실드 122: 버튼공
124: 후크 126: 제1 후크
128: 제2 후크 130: 조립체
132: 받침판 133: 나사공
134: 제1 압축스프링 136: 고정구
140: 버튼 142: 터치부
144: 가이드부재 146: 체결부재
148: 끼움홈 150: 버튼 체결구
152: 제1 체결돌기 154: 제2 체결돌기
160: 작동부재 162: 걸림부재
164: 제1 걸림부재 165: 제2 걸림부재
166: 보조부재 168: 연결부재
169: 슬라이드부재 170: 개폐조정부
172: 헤드부 174: 바디부
176: 제2 압축스프링 178: 체결공
179: 체결도구 180: 제한부재
182: 개방부 184: 지지부재
186: 지지돌기 190: 제1 요철구조
192: 제2 요철구조 194: 제3 요철구조
120: 실드 122: 버튼공
124: 후크 126: 제1 후크
128: 제2 후크 130: 조립체
132: 받침판 133: 나사공
134: 제1 압축스프링 136: 고정구
140: 버튼 142: 터치부
144: 가이드부재 146: 체결부재
148: 끼움홈 150: 버튼 체결구
152: 제1 체결돌기 154: 제2 체결돌기
160: 작동부재 162: 걸림부재
164: 제1 걸림부재 165: 제2 걸림부재
166: 보조부재 168: 연결부재
169: 슬라이드부재 170: 개폐조정부
172: 헤드부 174: 바디부
176: 제2 압축스프링 178: 체결공
179: 체결도구 180: 제한부재
182: 개방부 184: 지지부재
186: 지지돌기 190: 제1 요철구조
192: 제2 요철구조 194: 제3 요철구조
Claims (18)
- 양단에 버튼공이 형성되고, 상기 버튼공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한 쌍의 후크를 포함하는 실드; 및
양단에 상기 버튼공과 결합하는 한 쌍의 조립체를 포함하는 헬멧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체는,
상기 헬멧 본체의 양단에 결합하는 받침판;
버튼;
상기 받침판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버튼이 체결되는 버튼 체결구; 및
상기 버튼 체결구를 사이에 두고 일단이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의 제1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버튼을 누르면, 상기 한 쌍의 제1 압축스프링이 압축되어 상기 실드가 상기 조립체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조립체는,
상기 버튼 체결구의 외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압축스프링의 상기 일단을 고정하는 한 쌍의 고정구; 및
상기 버튼 체결구를 사이에 두고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의 작동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작동부재는,
상기 한 쌍의 제1 압축스프링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실드의 상기 한 쌍의 후크에 걸리는 한 쌍의 걸림부재;
상기 한 쌍의 제1 압축스프링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한 쌍의 걸림부재로부터 상기 버튼 체결구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결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의 일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을 누르면 상기 한 쌍의 제1 압축스프링이 압축되고, 상기 한 쌍의 작동부재가 상기 버튼 체결구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한 쌍의 걸림부재와 상기 한 쌍의 후크가 이격됨으로써, 상기 실드가 상기 조립체로부터 분리되는 헬멧.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부재는 상기 한 쌍의 연결부재와 둔각을 이루도록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버튼은,
터치부; 및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부재의 슬라이딩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부재와 대응되는 경사를 형성하고, 상기 버튼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마주보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헬멧.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터치부의 테두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헬멧.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버튼의 상기 터치부의 하부면에 이격되어 마주보는 한 쌍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는, 상기 한 쌍의 끼움홈으로부터 상기 버튼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헬멧.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의 외면에 제1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버튼 체결구의 내측면에 상기 제1 체결돌기와 체결되도록 대응하는 제2 체결돌기가 형성된 헬멧.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상기 버튼 체결구로부터 상기 연결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헬멧.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지지부재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작동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된 헬멧.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후크는, 제1 후크 및 제2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걸림부재는,
상기 제1 후크에 걸리는 제1 걸림부재; 및
상기 제2 후크에 걸리는 제2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헬멧.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회동가능한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로부터 상기 제1 걸림부재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디부;를 포함하는 실드 개폐조정부; 및
상기 버튼 체결구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개폐조정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실드의 상기 제2 후크가 걸려 상기 실드의 회동을 보조하는 보조부재를 더 포함하는 헬멧.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에는, 상기 헤드부가 결합하는 위치에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조립체는, 상기 받침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헤드부의 맞은편에 배치되어, 상기 체결공을 통해 상기 받침판 및 상기 헤드부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받침판에 상기 헤드부를 결합하는 체결도구를 더 포함하는 헬멧.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상기 바디부의 내측면 및 상기 버튼 체결구의 외측면 사이에 구비되는 제2 압축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헬멧.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상기 헤드부의 외측면을 둘러싸고, 일측에 바디부가 통과하는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의 양단이 상기 바디부의 양 측면에 걸림으로써, 상기 바디부가 제3 위치 및 제4 위치 사이에서만 회동하도록 제한하는 제한부재를 더 포함하는 헬멧.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후크의 일측면에는, 돌출부 및 함몰부가 반복되는 제1 요철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 요철구조와 맞물릴 수 있도록, 대응하는 제2 요철구조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요철구조 및 상기 제2 요철구조는 라운딩(rounding) 처리되고,
상기 제1 요철구조와 상기 제2 요철구조가 맞물려 상기 실드의 개폐를 단계적으로 조정가능한 헬멧.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부재의 외면에는,
상기 제1 요철구조가 맞물릴 수 있도록 대응되고, 상기 제2 요철구조와 연속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연장되며, 라운딩(rounding)처리된 제3 요철구조가 형성된 헬멧.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재는,
제1 위치에서의 상기 제2 걸림부재와 연속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제2 걸림부재와 동일선상에 형성되고, 상기 실드의 상기 제2 후크의 회동경로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실드의 상기 제2 후크가 걸려 상기 실드의 회동을 보조하는 헬멧.
- 청구항 10에 있어서,
제1 위치에서의 상기 제1 걸림부재는,
상기 바디부와 연속성이 단절되도록, 상기 바디부와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보다 상기 버튼 체결구로부터 외측에 배치되는 헬멧. - 청구항 10에 있어서,
제1 위치에서의 상기 제2 걸림부재는,
상기 보조부재와 연속성이 단절되도록, 상기 보조부재와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부재보다 상기 버튼 체결구로부터 외측에 배치되는 헬멧.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70695A KR101622607B1 (ko) | 2014-12-02 | 2014-12-02 | 헬멧 |
PCT/KR2015/011318 WO2016089010A1 (ko) | 2014-12-02 | 2015-10-26 | 헬멧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70695A KR101622607B1 (ko) | 2014-12-02 | 2014-12-02 | 헬멧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22607B1 true KR101622607B1 (ko) | 2016-05-20 |
Family
ID=56091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70695A KR101622607B1 (ko) | 2014-12-02 | 2014-12-02 | 헬멧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622607B1 (ko) |
WO (1) | WO201608901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4062784A1 (en) * | 2021-03-23 | 2022-09-28 | Manufacturas Tomás, S.A. | Pivoting fastening mechanism for helmet face shield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5079B1 (ko) | 2013-06-03 | 2014-11-26 |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72004A (ja) * | 1992-03-23 | 1993-10-19 | Shoei Kako Kk | ヘルメットのシールド板取付構造 |
JP2810657B2 (ja) * | 1997-05-02 | 1998-10-15 | オージーケー販売株式会社 | ヘルメットのシールド取付装置 |
KR101715384B1 (ko) * | 2009-06-29 | 2017-03-27 | 전달용 | 책형태의 물체에 필기구를 보관가능 하도록 하기 위한 책커버와 이를 위해 사용되는 필기구 |
WO2013047930A1 (ko) * | 2011-09-30 | 2013-04-04 |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
-
2014
- 2014-12-02 KR KR1020140170695A patent/KR10162260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5
- 2015-10-26 WO PCT/KR2015/011318 patent/WO2016089010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5079B1 (ko) | 2013-06-03 | 2014-11-26 |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6089010A1 (ko) | 2016-06-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226803B1 (en) | Helmet | |
KR101878275B1 (ko) | 헬멧의 바이저 장착 기구 | |
JP4895647B2 (ja) | ヘルメット | |
KR100953027B1 (ko) | 밴드와 버클의 슬라이드 어져스터 | |
US9125447B2 (en) | Helmet attachment mechanism for visor | |
KR101126269B1 (ko) |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 |
EP2825070B1 (en) | Protective helmet and screen | |
JP6943670B2 (ja) | 取り外し可能なパッド付きヘルメット | |
US20080134415A1 (en) | Low profile helmet vents and venting system | |
EP2578099A2 (en) | Helmet | |
KR20110012043A (ko) | 헬멧 | |
JP2008544103A (ja) | 保護用ヘルメット | |
EP0972461B1 (en) | Helmet | |
KR101995947B1 (ko) |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 | |
US20160286890A1 (en) | Helmet and visor assembly | |
KR100989524B1 (ko) | 보호용 헬멧 | |
KR20200068372A (ko) |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헬멧 | |
KR101622607B1 (ko) | 헬멧 | |
EP2775877B1 (en) | Helmet-mask adapter locking system | |
KR20170061639A (ko) | 안정적 고정과 착탈이 용이한 안전모 | |
US20070067887A1 (en) | Safety hat with adjustable visor | |
JP4894583B2 (ja) | 電気炊飯器 | |
KR100739464B1 (ko) | 선글라스 홀더 | |
EP3912506A1 (en) | Helmet fitting system | |
KR101701243B1 (ko) | 헬멧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