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1639A - 안정적 고정과 착탈이 용이한 안전모 - Google Patents

안정적 고정과 착탈이 용이한 안전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1639A
KR20170061639A KR1020170051379A KR20170051379A KR20170061639A KR 20170061639 A KR20170061639 A KR 20170061639A KR 1020170051379 A KR1020170051379 A KR 1020170051379A KR 20170051379 A KR20170051379 A KR 20170051379A KR 20170061639 A KR20170061639 A KR 20170061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met
wearer
head
support
helme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1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6047B1 (ko
Inventor
하덕명
Original Assignee
하덕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덕명 filed Critical 하덕명
Priority to KR1020170051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6047B1/ko
Publication of KR20170061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1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6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6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8Chin straps or similar retention devices
    • A42B3/085Occipital retent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2Cushio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4Suspension devices
    • A42B3/142Suspension devices with restraining or stabilizing means, e.g. nape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4Suspension devices
    • A42B3/145Size adjustment device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적 고정이 가능하면서도 착탈이 용이한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 착용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되어 수용부가 형성된 안전모 본체(10)와; 안전모 본체(10)의 수용부에 설치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20)와; 안전모 본체(10)의 수용부 내부에 설치되면서 충격흡수부재(20)의 하부쪽에 위치되어 착용자의 머리가 닿지 않도록 지지하는 머리받침끈(30)과; 안전모 본체(10)의 하부 내측에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착용자의 머리 둘레를 감싸는 헤드밴드(40)와; 안전모 본체(10)의 내부에 위치되면서 착용자가 안전모를 머리에 착용할 때 착용자의 머리에 의해 눌리도록 설치되는 누름동작부재(50) 및; 헤드밴드(40)에 설치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설치되면서 상부는 상기 누름동작부재(50)에 연결되고, 하부는 착용자의 후두턱(A)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후두턱지지부재(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착용자가 자신의 머리에 안전모를 착용하는 것만으로도 안전모가 머리에 쉽게 고정되며, 이와 함께 안전모의 설치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Description

안정적 고정과 착탈이 용이한 안전모{Helmet with Stable Fixing and Wearing}
본 발명은 안정적 고정이 가능하면서도 착탈이 쉬운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모를 착용할 때 안전모를 머리에 쉽게 고정할 수 있으며, 또한 안전모를 벗을 때에는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안전모를 쉽게 벗을 수 있는 안정적 고정과 착탈이 용이한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타기 등 스포츠 및 레저 활동과 공장이나 건설 공사 현장 등에서 작업 중에 외부 물체와 부딪치거나 전락 등에 의해 큰 인명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할 수 있도록 안전모를 착용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안전모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안전모를 착용하기가 불편하거나 번거롭다는 이유로 안전모의 착용을 회피하고 있으며, 특히 여름철에 안전모를 착용하는 경우는 땀 등으로 인해 불편하여 턱끈을 제대로 고정하지 않고 쓰는 경우가 많고, 이 경우에는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안전모가 착용자의 머리에서 쉽게 이탈되어 외력이나 추락시의 충격 등이 착용자의 머리에 그대로 전달됨으로써 정작 안전모가 머리를 보호하는 본래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 현장 등에서는 안전 교육을 통해 반드시 안전모의 턱끈을 조여 착용하도록 종용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고, 따라서 최근에는 착용자가 안전모를 착용할 때 턱끈을 고정하지 않고도 안전모를 자신의 머리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구조의 안전모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예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1-262423호에 개시된 헬멧(안전모)을 들 수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헬멧(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2개의 호형의 헤드밴드(110, 120)를 마주보도록 설치함으로써 전체적으로 환상이 되도록 배치한 것으로 안전모 착용 시에 헤드밴드(110, 120)가 서로에 대해 접근 및 이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상태에서 조작수단(130)을 이용하여 이들 양측의 헤드밴드(110, 120)를 고정함으로써 안전모가 머리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방식이다.
상기와 같은 헤드밴드(110, 120)와 조작수단(130)의 작용에 의해 일측의 헤드밴드(120)의 설치 위치가 조절되며, 이에 의해 한 쌍의 헤드밴드(110, 120)가 착용자의 머리와 후두부가 지지되면서 착용자의 머리에 고정되기 때문에 안전모를 쉽게 착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이와 같이 헤드밴드(120)가 후두부를 지지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착용자가 두 손을 이용하여 조작수단(130)을 조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안전모의 고정과 해제가 번거로우며, 또한 현장 관리자 등이 착용자가 안전모를 제대로 착용하였는지를 확인하기가 쉽지 않아 안전모의 착용 관리가 곤란하다.
따라서 안전모를 머리에 착용하는 것만으로도 착용자의 머리에 쉽게 고정할 수 있으며, 또한 안전모의 착용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의 안전모의 개발이 요구된다.
JP 2001-262423 A KR 10-2010-0092433 A KR 10-2016-0131548 A KR 10-2016-0109756 A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안전모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안전모를 머리에 착용하는 것만으로도 착용자의 머리에 쉽게 고정할 수 있으며, 또한 안전모의 착용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안전모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모를, 머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되어 수용부가 형성된 안전모 본체와; 안전모 본체의 수용부에 설치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와; 안전모 본체의 수용부 내부에 설치되면서 충격흡수부재의 하부쪽에 위치되어 착용자의 머리가 닿지 않도록 지지하는 머리받침끈과; 안전모 본체의 하부 내측에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착용자의 머리 둘레를 감싸는 헤드밴드와; 안전모 본체의 내부에 위치되면서 착용자가 안전모를 머리에 착용할 때 착용자의 머리에 의해 눌리도록 설치되는 누름동작부재 및; 헤드밴드에 설치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설치되면서 상부는 누름동작부재에 연결되고, 하부는 착용자의 후두턱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후두턱지지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누름동작부재가 안전모 본체의 전방에 형성된 차양 하부에 위치하는 고정해제부와; 고정해제부와 연결되면서 안전모 본체의 내측으로 호형 만곡진 형상의 연장부와; 연장부의 선단에 위치하면서 착용자의 머리에 의해 눌리는 눌림부 및; 눌림부와 후두턱지지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해제부가 안전모 본체의 전방쪽 차양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결합부와; 힌지결합부의 길이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가 구비되고, 안전모 본체에는 누름동작부재의 누름 동작에 의해 회전되는 걸림돌기를 탄성 지지하여 누름동작부재의 위치를 유지하는 탄성판을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탄성판이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안전모 본체에 장착되는 구조를 가지거나 또는 안전모 본체와 탄성판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후두턱지지부재가 그 하부가 일정 폭만큼 절개된 링 형상의 연결밴드와; 연결밴드의 절개된 하부를 연결하면서 착용자의 후두턱을 지지하는 지지패드로 이루어지고, 연결밴드에 단면의 형상이 물결모양을 가지는 신축부가 구비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지지패드의 양측에는 각각 연결밴드의 관통공에 끼움 삽입되는 끼움고정부가 구비되고, 지지패드에는 좌우 길이를 따라 가운데 부분이 절개됨으로써 상하로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지지부의 길이가 제1지지부에 비해 짧게 형성되거나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가 일정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헤드밴드가 외측면, 상부 또는 하부에 톱니 형상이나 돌기 모양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위치조절부와, 위치조절부를 감싸면서 헤드밴드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위치가 조절되는 슬라이딩밴드 및, 슬라이딩밴드의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면서 후두턱지지부재가 관통 삽입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모를 자신의 머리에 착용하는 것(올려놓는 것)만으로도 헤드밴드와 후두턱지지부재의 작용에 의해 착용자의 머리에 견고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착용이 쉬우며, 또한 안전모의 턱끈을 굳이 매지 않더라도 안전모를 착용하였다는 것을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안전모의 머리에의 견고한 고정이 담보되기 때문에 관리자 등이 착용자의 안전모의 착용과 고정 여부에 대한 모니터링이 쉽다.
그리고 본 발명은 착용자가 안전모를 자신의 머리에서 탈착하고자 할 때에도 안전모의 차양 부분에 설치된 누름동작부재의 고정해제부를 차양과 함께 파지(누름)함으로써 쉽게 안전모를 쉽게 벗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후두턱지지부재에 단면의 형상이 물결모양을 가지는 신축부가 구비하고, 이 누름부가 상향 이동할 때 적절히 신축되도록 하여 지지패드가 착용자의 후두턱에 탄성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안전모를 착용자의 머리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안전모의 예를 보인 단면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적 고정과 착탈이 용이한 안전모의 예를 보인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적 고정과 착탈이 용이한 안전모의 예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적 고정과 착탈이 용이한 안전모의 예를 보인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후두턱지지부재와 누름동작부재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7(a, b)은 본 발명에 따른 후두턱지지부재의 슬라이딩부가 헤드밴드의 위치조절부를 따라 이동되는 예를 보인 사용 상태도,
도 8(a, b)은 본 발명에 따른 누름동작부재가 안전모 본체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 동작되는 예를 보인 사용 상태도,
도 9(a, b)는 본 발명에 따른 누름동작부재의 동작에 의해 후두턱지지부재와 지지패드가 연동되는 예를 보인 사용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누름동작부재의 신축부와 지지패드를 보인 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적 고정과 착탈이 용이한 안전모가 착용자의 머리에 착용된 예를 보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착용자가 자신의 머리에 쉬우면서도 견고하게 고장할 수 있는 구조의 안전모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안전모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모 본체(10), 충격흡수부재(20), 머리받침끈(30), 헤드밴드(40), 누름동작부재(50) 및 후두턱지지부재(6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착용자가 안전모를 착용하였을 때 얼굴이 향하는 방향을 "전방", 후두가 향하는 방향을 "후방"이라 지칭한다.
안전모 본체(10)는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기능하며 이를 위해 안전모 본체(10)는 ABS, PE, PC 등의 강도가 우수하면서 제작이 쉬운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안전모 본체(1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개방되어 그 내측에 착용자의 머리가 안착될 수 있도록 반구 또는 타원 모양의 수용부가 형성되고, 전방 쪽에는 햇빛을 가리기 위해 일정폭을 가지는 차양이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상부 외측에는 안전모 본체(1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보강돌기나 통풍구 등(도면부호 없음)이 형성된다.
또한 수용부가 형성된 안전모 본체(10)의 내측면에는 반구 또는 타원 형상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결합부(도면부호 없음)가 형성되어 이 결합부에 머리받침끈(30)이 고정 설치되며, 차양의 저면 쪽에는 후술하는 누름동작부재(50)가 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기 위한 힌지결합부(51)가 구비된다.
안전모 본체(10)의 내측에 형성된 수용부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가 외부 물체 등과 충돌하였을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 및/또는 완화하여 착용자의 머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수용부의 내측 들레를 따라 원형 또는 반구형의 충격흡수부재(20)가 설치되며, 스티로폼, 스펀지 등과 같이 충격흡수부재로서 널리 알려진 재질로 제작된다.
안전모 본체(10)의 내측, 즉 충격흡수부재(20)의 하부쪽에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받침끈(30)이 충격흡수부재(20)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안전모 본체(10)의 내측에 구비된 결합부에 고정 설치되고, 이러한 머리받침끈(30)에 의해 착용자가 머리에 안전모 본체(10)를 착용하더라도 충격흡수부재(20)에 머리가 직접 닿지 않게 되어 외부 충격 등이 안전모 본체(10)에 작용하더라도 머리가 더욱 안전하게 보호되며, 또한 안전모 본체(10)의 내측으로 공기의 유출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적절한 통기성도 담보된다.
안전모 본체(10)의 내측 하부에는 그 둘레를 따라 후두턱지지부재(60)와 더불어 착용자가 안전모 본체(10)를 착용할 때 안전모 본체(10)가 착용자의 머리에 고정될 수 있도록 헤드밴드(4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헤드밴드(40)는 후방 쪽이 일정폭만큼 절개된 링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헤드밴드(40)의 저면 양측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후두턱지지부재(60)의 위치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를 따라 복수 개의 돌기나 톱니 등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구조의 위치조절부(41)가 위치된다.
그리고 헤드밴드(40)에는 위치조절부(41)를 감싸면서 헤드밴드(40)를 따라 슬라이딩됨으로써 그 설치위치가 조절되는 슬라이딩부(42)가 구비되며, 이러한 슬라이딩부(42)의 외측면에는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면서 후두턱지지부재(60)가 관통되어 삽입되는 회전부(43)가 구비된다.
또한 슬라이딩부(42)는 위치조절부(41)에 구비된 톱니나 돌기에 탄성 고정됨으로써 그 설치위치가 고정되는데, 이와 같이 슬라이딩부(42)의 설치위치를 조절할 때에는 먼저 슬라이딩밴드(42)의 고정을 수동으로 해제한 상태에서 헤드밴드(40)를 따라 적절하게 이동시킴으로써 착용자의 후두턱(A)(후두에 형성된 단턱에 의해 턱이 형성된 부분)이 형성된 위치에 맞추어 후술하는 후두턱지지부재(60)의 설치위치를 적절히 조절한 다음, 슬라이딩부(42)를 다시 위치조절부(41)의 톱니 또는 돌기에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와 기능을 가지는 슬라이딩부(42)는 그 내부에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판(S)에 의해 상향 돌출되도록 지지되는 손잡이(42A)가 구비되고, 손잡이(42A)의 하단은 슬라이딩부(42)의 저면을 관통한 다음 하향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에 의해 착용자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42)의 하부 쪽으로 하향 돌출된 손잡이(42A)를 아래로 당긴 채 슬라이딩부(42)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한 상태에서 손잡이(42A)를 놓게 되면 탄성판(S)의 탄성력에 의해 손잡이(42A)가 상승되어 손잡이(42A)의 상단 부분이 톱니 및/또는 돌기에 걸리게 되면서 설치위치가 조절된 슬라이딩부(42)가 고정된다.
안전모 본체(10)의 내측 수용부에는 누름동작부재(50)가 설치되고, 누름동작부재(50)는 착용자가 머리에 안전모 본체(10)를 착용할 때 착용자의 머리에 눌리면서 후술하는 후두턱지지부재(60)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지지패드(62)가 후두턱(A)에 밀착되도록 끌어당겨 착용자의 머리에 안전모 본체(10)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때 누름동작부재(50)는 필요에 따라 충격흡수부재(20)와 머리받침끈(30) 사이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거나 또는 머리받침끈(30)의 아래쪽에 위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가지는 누름동작부재(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모 본체(10)의 전방쪽 차양 하부에 위치되는 고정해제부(51)와, 이 고정해제부(51)와 연결되면서 안전모 본체(10)의 내측으로 호형 만곡진 형상을 가지는 연장부(52)와, 연장부(52)의 선단에 위치되면서 착용자의 머리에 닿아 눌리는 눌림부(53) 및 눌림부(53)와 후두턱지지부재(60)가 서로 연동되도록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5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고정해제부(51)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모 본체(10)의 차양 하부에 구비된 힌지결합부(1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힌지결합부(51A)가 구비되고, 이 힌지결합부(51A)의 상부 외측면에는 길이를 따라 걸림돌기(51B)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안전모 본체(10)에는 누름동작부재(50)의 눌림 동작에 의해 회전하는 걸림돌기(51B)를 탄성 지지함으로써 누름동작부재(50)의 위치를 고정하는 탄성판(S', S")이 구비되고, 이러한 탄성판(S', S")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안전모 본체(10)에 장착되는 구조의 탄성판(S')으로 실시되거나 또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모 본체(10)와 탄성판(S")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걸림돌기(51B)의 선단 부분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길이를 따라 단면의 형상이 역 "ㄴ"자 모양인 걸림홈(51B')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걸림홈(51B')은 누름동작부재(50)가 힌지결합부(51A)를 중심으로 회전될 때 안전모 본체(10)가 착용되어 고정되는 위치와, 안전모 본체(10)의 착용이 해제되는 위치, 및 고정과 해제의 중간 위치의 3개의 위치로 구분되어 회전되며, 이에 의해 착용자가 후두턱지지부재(60)의 위치와 길이 등을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걸림홈(51B')에 탄성판(S', S")이 걸리도록 누름동작부재(50)를 회전시켜 위치를 고정한 상태에서 후두턱지지부재(60)의 길이와 헤드밴드(40) 사이의 위치 등을 적절히 조절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누름동작부재(50)의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은 착용자가 안전모를 자신의 머리에 착용하면 안전모 본체(10)의 내측에 위치된 눌림부(53)가 착용자의 머리에 눌리면서 이에 의해 누름동작부재(50)가 힌지결합부(51A)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눌림부(53)가 상향 이동하게 되고, 이 눌림부(53)의 상향 이동에 의해 힌지결합부(51A)의 걸림돌기(51B)가 탄성판(S', S")을 누르면서 적정 각도로 회전되고 나면, 탄성판(S', S")의 눌림이 해제되면서 탄성판(S', S")의 형상이 복원되며, 이에 의해 걸림돌기(51B)가 다시 탄성판(S', S")에 의해 탄성 지지되면서 누름동작부재(50)가 착용자의 머리에 의해 눌린 상태(눌림부(53)가 상향 이동된 상태)로 고정 유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에 의해 누름동작부재(50)의 눌림부(53)가 상승 이동되어 고정되고 나면 도 9(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후두턱지지부재(60)가 누름동작부재(50)의 작용에 의해 착용자의 머리(후두부) 쪽으로 끌어당겨짐과 동시에 회전되며, 이에 의해 지지패드(62)가 착용자의 단턱진 후두턱(A)에 밀착됨으로써 안전모가 착용자의 머리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착용자가 안전모 본체(10)의 차양 하부 쪽에 위치하는 누름동작부재(50)의 고정해제부(51)를 누르게 되면 탄성판(S', S")이 힌지결합부(51A)의 걸림돌기(51B)에 의해 눌리면서 고정해제부(51)가 상향 이동하게 되며, 이에 의해 눌림부(53)가 힌지결합부(51A)를 기준으로 하향 이동되면서 지지패드(62)가 후두턱(A)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안전모의 고정이 해제된다.
위에서는 누름동작부재(50)의 고정해제부(51)가 안전모 본체(10)의 차양 하부쪽에 위치되는 것으로만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이와 달리 안전모 본체(10)의 측면 내지 후방 쪽에 위치될 수도 있다.
헤드밴드(40)에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면서 착용자의 후두턱(A)을 지지하도록 후두턱지지부재(6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후두턱지지부재(60)는 착용자가 안전모를 착용할 때 누름동작부(50)의 눌림부(53)가 상향 또는 하향 이동되는 동작과 연동되어 착용자의 후두턱(A)에 지지패드(62)가 밀착되거나 또는 이격되고, 이에 의해 안전모 본체(10)가 착용자의 머리에 고정되거나 또는 그 고정이 해제된다.
상기와 같은 후두턱지지부재(6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일정폭만큼 절개된 링 형상을 가지는 연결밴드(61)와, 이 연결밴드(61)에 형성된 절개된 하부를 연결하면서 착용자의 후두턱(A)을 지지하는 지지패드(6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연결밴드(61)에는 누름부(53)가 상향 이동할 때 적절히 신축될 수 있도록 단면의 형상이 물결모양을 가지는 신축부(61A)가 구비되며, 이러한 신축부(61A)에 의해 착용자의 머리에 안전모를 착용하면 누름동작부재(50)의 상향 이동에 의해 신축부(61A)가 적절히 신축되면서 이에 의해 지지패드(62)가 착용자의 후두턱(A)에 탄성 밀착되게 되고, 그 결과 안전모가 착용자의 머리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연결밴드(61)의 절개된 하부 양측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관통공(61B)이 형성되고, 이 복수 개의 관통공(61B)에는 지지패드(62)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며, 이에 의해 착용자의 머리의 크기 등에 맞추어 지지패드(62)가 삽입 고정되는 위치가 적절히 조절된다.
이에 더하여 지지패드(62)는 신축 가능한 탄성의 재질로 제작되며, 그 양측에는 연결밴드(61)의 관통공(61B)에 끼움 삽입되어 고정되는 끼움고정부(62A)가 구비되고, 가운데 부분은 좌우 길이를 따라 일정 폭만큼 절개됨으로써 상하로 제1지지부(62B)와 제2지지부(62C)가 각각 형성된다.
이때 제2지지부(62C)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부(62B)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거나 제1지지부(62B)와 제2지지부(62C)가 일정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제1, 2지지부(62A, 62B)를 착용자의 후두부에 밀착시키면 후두턱(A) 부분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부(62A)와 제2지지부(62B) 사이에 쉽게 위치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안전모가 착용자의 머리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안전모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가 자신의 머리에 착용하게 되면 착용에 의해 안전모 본체(10)의 내부에 위치하는 누름동작부재(50)의 눌림부(53)가 착용자의 머리에 눌리면서 상향 이동되게 되고, 이에 의해 후두턱지지부재(60)가 적절히 회전하여 당겨지면서 착용자의 후두턱(A)에 밀착되며, 따라서 안전모가 착용자의 머리에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은 착용자가 안전모 본체(10)의 차양 하부에 위치하는 누름동작부재(50)의 고정해제부(51)를 누르게 되면 누름동작부재(50)의 눌림부(53)가 하향 이동되면서 후두턱지지부재(60)를 위쪽으로 끌어당기는 힘이 제거되며, 이에 의해 착용자는 안전모를 자신의 머리에서 쉽게 벗을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착용자가 안전모를 머리에 착용하는 것만으로도 안전모를 자신의 머리에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또한 턱끈을 굳이 조이지 않더라도 안전모가 착용자의 머리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아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착용자의 머리가 안전하게 보호되며, 또한 착용자가 안전모를 착용하였다는 것을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안전모의 머리에의 고정을 확인할 수 있기 있기 때문에 안전모 착용에 대한 관리 감독이 쉽다.
10: 안전모 본체 11: 힌지결합부
20: 충격흡수부재 30: 머리받침끈
40: 헤드밴드 41: 위치조절부
42: 슬라이딩부 42A: 손잡이
43: 회전부 50: 누름동작부재
51: 고정해제부 51A: 힌지결합부
51B: 걸림돌기 51B': 걸림홈
52: 연장부 52A: 위치조절공
53: 눌림부 54: 연결부
60: 후두턱지지부재 61: 연결밴드
61A: 신축부 61B: 관통공
62: 지지패드 62A: 끼움고정부
62B: 제1지지부 62C: 제2지지부
A: 후두턱 S, S', S": 탄성판

Claims (8)

  1. 착용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되어 수용부가 형성된 안전모 본체(10)와;
    상기 안전모 본체(10)의 수용부에 설치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20)와;
    상기 안전모 본체(10)의 수용부 내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충격흡수부재(20)의 하부쪽에 위치되어 착용자의 머리가 닿지 않도록 지지하는 머리받침끈(30)과;
    상기 안전모 본체(10)의 하부 내측에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착용자의 머리 둘레를 감싸는 헤드밴드(40)와;
    상기 안전모 본체(10)의 내부에 위치되면서 착용자가 안전모를 머리에 착용할 때 착용자의 머리에 의해 눌리도록 설치되는 누름동작부재(50) 및;
    상기 헤드밴드(40)에 설치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설치되면서 상부는 상기 누름동작부재(50)에 연결되고, 하부는 착용자의 후두턱(A)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후두턱지지부재(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 고정과 착탈이 용이한 안전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름동작부재(50)는 상기 안전모 본체(10)의 전방에 형성된 차양 하부에 위치하는 고정해제부(51)와; 상기 고정해제부(51)와 연결되면서 상기 안전모 본체(10)의 내측으로 호형 만곡진 형상의 연장부(52)와; 상기 연장부(52)의 선단에 위치하면서 착용자의 머리에 의해 눌리는 눌림부(53) 및; 상기 눌림부(53)와 상기 후두턱지지부재(60)를 연결하는 연결부(5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 고정과 착탈이 용이한 안전모.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해제부(51)는 상기 안전모 본체(10)의 전방쪽 차양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결합부(51A)와; 상기 힌지결합부(51A)의 길이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51B)가 구비되고, 상기 안전모 본체(10)에는 상기 누름동작부재(50)의 누름 동작에 의해 회전되는 걸림돌기(51B)를 탄성 지지하여 상기 누름동작부재(50)의 설치위치를 유지하는 탄성판(S', S")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 고정과 착탈이 용이한 안전모.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성판(S', S")은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안전모 본체(10)에 장착되는 구조의 탄성판(S') 이거나 또는 상기 안전모 본체(10)와 탄성판(S")이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 고정과 착탈이 용이한 안전모.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두턱지지부재(60)는 하부가 일정 폭만큼 절개된 링 형상의 연결밴드(61)와; 상기 연결밴드(61)의 절개된 하부를 연결하면서 착용자의 후두턱(A)을 지지하는 지지패드(62)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밴드(61)에는 단면의 형상이 물결모양을 가지는 신축부(61A)가 구비되는 것을 안정적 고정과 착탈이 용이한 안전모.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지지패드(62)의 양측에는 각각 상기 연결밴드(61)의 관통공(61B)에 끼움 삽입되는 끼움고정부(62A)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패드(62)에는 좌우 길이를 따라 가운데 부분이 절개됨으로써 상하로 제1지지부(62B)와 제2지지부(62C)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 고정과 착탈이 용이한 안전모.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62C)의 길이는 상기 제1지지부(62B)에 비해 짧게 형성되거나 상기 제1지지부(62B)와 상기 제2지지부(62C)가 일정 둔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 고정과 착탈이 용이한 안전모.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밴드(40)는 상기 헤드밴드(40)의 외측면, 상부 또는 하부에 톱니 형상이나 돌기 모양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위치조절부(41)와; 상기 위치조절부(41)를 감싸면서 헤드밴드(40)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위치가 조절되는 슬라이딩부(42) 및; 상기 슬라이딩부(42)의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면서 상기 후두턱지지부재(60)가 관통 삽입되는 회전부(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 고정과 착탈이 용이한 안전모.
KR1020170051379A 2017-04-21 2017-04-21 안정적 고정과 착탈이 용이한 안전모 KR101906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379A KR101906047B1 (ko) 2017-04-21 2017-04-21 안정적 고정과 착탈이 용이한 안전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379A KR101906047B1 (ko) 2017-04-21 2017-04-21 안정적 고정과 착탈이 용이한 안전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1639A true KR20170061639A (ko) 2017-06-05
KR101906047B1 KR101906047B1 (ko) 2018-10-08

Family

ID=59222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379A KR101906047B1 (ko) 2017-04-21 2017-04-21 안정적 고정과 착탈이 용이한 안전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60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001Y1 (ko) * 2018-01-30 2018-07-24 이미경 안전모
KR102100466B1 (ko) 2019-06-28 2020-04-13 주식회사 굳브로 스마트 안전모
CN112882223A (zh) * 2021-03-05 2021-06-01 遵义市妇幼保健院(遵义市儿童医院遵义市妇产医院) 一种小儿外科手术辅助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4780Y2 (ja) * 1999-11-08 2000-06-05 ミドリ安全株式会社 ヘルメット
JP2001262423A (ja) * 2000-03-17 2001-09-26 Tanizawa Seisakusho Ltd ヘルメッ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001Y1 (ko) * 2018-01-30 2018-07-24 이미경 안전모
KR102100466B1 (ko) 2019-06-28 2020-04-13 주식회사 굳브로 스마트 안전모
CN112882223A (zh) * 2021-03-05 2021-06-01 遵义市妇幼保健院(遵义市儿童医院遵义市妇产医院) 一种小儿外科手术辅助装置
CN112882223B (zh) * 2021-03-05 2023-12-01 遵义市妇幼保健院(遵义市儿童医院遵义市妇产医院) 一种小儿外科手术辅助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6047B1 (ko) 201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4145B1 (ko) 기능성 쿠션 케이스 일체형 헤드 밴드
KR100492208B1 (ko) 보호용 헬멧의 서스펜션 시스템
JP6050748B2 (ja) 保護ヘルメットのための内装構造体
KR101906047B1 (ko) 안정적 고정과 착탈이 용이한 안전모
JP5575877B2 (ja) 調整手段を備えた衝撃吸収ライナー
KR102128634B1 (ko) 등산가와 트리클라이머용 보호헬멧
KR102130875B1 (ko) 스포츠용 분리-방지 보호 헬멧
CN101340829A (zh) 头盔
EP3261475B1 (en) Headgear with self-adaptive, elastomeric nape belt
JP2010507735A (ja) ネックブレース
CN115915990A (zh) 具有系带系统的安全帽
CN106605990B (zh) 用于头盔的前额支撑带和设有这种前额支撑带的头盔
KR101995947B1 (ko)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
KR200461678Y1 (ko) 안전모
KR101392144B1 (ko) 강제 체결 안전모
CN110811052B (zh) 具有前端安置系统弹性连接器的头盔
JP3276603B2 (ja) ヘッドバンド
CN217039038U (zh) 防护头盔
CN210301403U (zh) 一种焊接面罩
KR101309281B1 (ko) 잠금 안전모
KR101408994B1 (ko) 시야 차단식 강제 체결 안전모
KR200280751Y1 (ko) 안전모용 머리받침밴드
KR102416455B1 (ko) 모자 이탈방지 장치
KR101992309B1 (ko) 탄성구속부가 마련된 안전진단 점검용 안전모
KR102435033B1 (ko) 헤어 눌림 방지 기능이 있는 헬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