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5947B1 -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 - Google Patents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5947B1
KR101995947B1 KR1020180006176A KR20180006176A KR101995947B1 KR 101995947 B1 KR101995947 B1 KR 101995947B1 KR 1020180006176 A KR1020180006176 A KR 1020180006176A KR 20180006176 A KR20180006176 A KR 20180006176A KR 101995947 B1 KR101995947 B1 KR 101995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member
pad
opening
helmet body
helm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6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8802A (ko
Inventor
이윤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Priority to US16/619,240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00163401A1/en
Priority to PCT/KR2018/003994 priority patent/WO2019017565A1/ko
Priority to EP18835301.5A priority patent/EP3656236A4/en
Publication of KR20190008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8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32Collapsible helmets; Helmets made of separable parts ; Helmets with movable parts, e.g. adjustable
    • A42B3/328Collapsible helmets; Helmets made of separable parts ; Helmets with movable parts, e.g. adjustable with means to facilitate removal, e.g. after an accident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2Cushioning devices
    • A42B3/125Cushioning devices with a padded structure, e.g. foam
    • A42B3/127Cushioning devices with a padded structure, e.g. foam with removable or adjustable pads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은 헬멧 본체(100), 헬멧 본체(100)의 내부에 결합되는 패드(200), 및 패드(200)와 헬멧 본체(100)의 내부를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체결수단(300)을 포함하고, 체결수단(300)은 패드(200)와 헬멧 본체(100)의 내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막대형으로 형성된 제1 체결부재(400), 및 패드(200)와 헬멧 본체(100)의 내부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고, 제1 체결부재(400)가 삽입되도록 제1 체결부재(400)를 둘러싸되, 일측에 개방된 개방부(510)가 형성된 제2 체결부재(500)을 포함하며, 패드(200)가 당겨질 때, 제1 체결부재(400)가 제2 체결부재(500)의 개방부(510)를 통해서 제2 체결부재(500)로부터 분리된다.

Description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Helmet being capable of removing pad in case of emergency}
본 발명은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높은 속도가 동반되는 이륜차 탑승시 착용자의 두부를 보호하기 위해 승차용 안전모 착용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기술에 따른 승차용 안전모는 하기 선행기술문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전방시계를 확보하기 위해서 전방에 개방부가 형성된다. 또한, 개방부에는 운행 중 유입되는 바람, 먼지의 차단을 위해서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한 실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승차용 안전모는 착용자의 머리를 전체적으로 둘러싸는 형태이고 머리가 통과하는 하단부가 상대적으로 좁으므로, 머리로부터 승차용 안전모를 분리하기 쉽지 않다. 특히, 승차용 안전모는 안정감이나 장착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내부에 구비된 내장 패드가 착용자의 머리나 안면에 밀착되므로, 머리로부터 승차용 안전모를 분리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만약 사고가 발생한 경우, 구호자 등이 승차용 안전모를 착용자의 머리로부터 벗겨내기 매우 힘든 문제점이 존재한다.
KR 10-0649944 B1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패드를 헬멧 본체로부터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체결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사고 등이 발생한 경우, 패드를 제거하여 헬멧 본체를 착용자의 머리로부터 쉽게 벗겨낼 수 있는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은 헬멧 본체, 헬멧 본체의 내부에 결합되는 패드, 및 상기 패드와 헬멧 본체의 내부를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패드와 상기 헬멧 본체의 내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막대형으로 형성된 제1 체결부재, 및 상기 패드와 상기 헬멧 본체의 내부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 체결부재를 둘러싸되, 일측에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된 제2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패드가 당겨질 때,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기 제2 체결부재의 상기 개방부를 통해서 상기 제2 체결부재로부터 분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부재는, 평판형의 베이스부, 상기 제1 체결부재와 마주보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로부터 돌출된 제1 연장부, 일단이 상기 제1 연장부의 말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부와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상기 개방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재는 외면이 4개의 면을 포함하고, 상기 4개의 면을 제1 면, 제2 면, 제3 면, 및 제4 면으로 정의할 때, 상기 제1 체결부재의 제1 면은 상기 베이스부와 마주보고, 상기 제1 체결부재의 제2 면은 상기 제1 연장부와 마주보며, 상기 제1 체결부재의 제3 면은 상기 제2 연장부와 마주보고, 상기 제1 체결부재의 제4 면에 상기 돌기부가 걸린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에 있어서,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패드와 상기 헬멧 본체의 내부 중 어느 하나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자유단(Free End)이며,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기 제2 체결부재의 상기 개방부를 통해서 상기 제2 체결부재로부터 분리되거나,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기 제2 체결부재의 상기 개방부를 통해서 상기 제2 체결부재에 결합될 때, 상기 제2 연장부와 접촉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체결부재에 비해서 상기 패드와 상기 헬멧 본체의 내부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에 있어서, 상기 패드와 상기 헬멧 본체의 내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기 제2 체결부재에 삽입된 때,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이 삽입되는 체결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은 호형(弧形)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에 대응하도록, 상기 체결홈은 호형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에 있어서, 상기 패드와 상기 헬멧 본체의 내부 중 어느 하나의 일면을 커버하도록 평판형으로 형성되고, 개구부가 형성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재는 상기 개구부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에 있어서, 상기 패드와 상기 헬멧 본체의 내부 중 어느 하나의 일면을 커버하도록 평판형으로 형성되고, 개구부가 형성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재는 상기 개구부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의 일단은 상기 개구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에 있어서, 상기 패드와 상기 헬멧 본체의 내부 중 어느 하나의 일면을 커버하도록 평판형으로 형성되고, 개구부가 형성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재는 상기 개구부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은 상기 개구부의 경계에서 돌출된 돌출부에 의해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요부와 철부를 포함하는 요철결합부에 의해서 상기 패드와 상기 헬멧 본체의 내부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에 있어서, 상기 철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타면에 형성되고, 상기 요부는 상기 패드와 상기 헬멧 본체의 내부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에 있어서, 상기 패드를 당기기 위해서, 상기 패드에는 소정물체가 삽입가능한 당김수단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재는 상기 패드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체결부재는 상기 헬멧 본체의 내부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하측 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패드가 하측으로 당겨질 때,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기 제2 체결부재의 상기 개방부를 통해서 상기 제2 체결부재로부터 분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에 있어서,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패드와 상기 헬멧 본체의 내부 중 어느 하나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자유단이며,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기 제2 체결부재의 상기 개방부를 통해서 상기 제2 체결부재로부터 분리되거나,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기 제2 체결부재의 상기 개방부를 통해서 상기 제2 체결부재에 결합될 때, 상기 제2 체결부재와 접촉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기 제2 체결부재의 상기 개방부를 통해서 상기 제2 체결부재로부터 분리된 후, 상기 제2 체결부재와 접촉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는 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곡선으로 돌출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패드를 헬멧 본체로부터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체결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사고 등이 발생한 경우, 패드를 제거하여 헬멧 본체를 착용자의 머리로부터 쉽게 벗겨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체결수단의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d는 도 2에 도시된 체결수단의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패드의 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의 패드의 사시도, 및
도 10a 내지 도 10d는 도 9에 도시된 체결수단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체결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은 헬멧 본체(100), 헬멧 본체(100)의 내부에 결합되는 패드(200), 및 패드(200)와 헬멧 본체(100)의 내부를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체결수단(300)을 포함하고, 체결수단(300)은 패드(200)와 헬멧 본체(100)의 내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막대형으로 형성된 제1 체결부재(400), 및 패드(200)와 헬멧 본체(100)의 내부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고, 제1 체결부재(400)가 삽입되도록 제1 체결부재(400)를 둘러싸되, 일측에 개방된 개방부(510)가 형성된 제2 체결부재(500)을 포함하며, 패드(200)가 당겨질 때, 제1 체결부재(400)가 제2 체결부재(500)의 개방부(510)를 통해서 제2 체결부재(500)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헬멧 본체(100)는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헬멧 본체(100)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헬멧 본체(100)는 경질 합성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강도가 큰 외부쉘(110), 및 외부쉘(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발포폴리스타이렌(Expanded Polystyren, EPS) 등으로 형성되어 적절한 강도와 탄성을 갖는 흡수체(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패드(200)는 흡수체(120)의 내벽에 체결수단(300)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도 2 참조). 다만, 헬멧 본체(100)가 반드시 흡수체(120)를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패드(200) 역시 반드시 흡수체(120)의 내벽에 결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헬멧 본체(100)의 내부 중 어디든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헬멧 본체(100)는 앞쪽에 사용자의 시계를 확보하도록 개방된 개구(1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130)는 바람, 먼지 등을 차단하는 실드(140)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여기서, 실드(140)의 양단은 헬멧 본체(100)의 개구(130) 양측에 구비된 회동부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하면서 헬멧 본체(100)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패드(200)는 헬멧 착용자에게 착용 안정감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패드(200)는 헬멧 본체(100)의 내부(예를 들어, 흡수체(120)의 내벽)에 체결수단(300)에 의해서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헬멧 본체(100)의 내부에 결합된 패드(200)는 착용자가 헬멧 본체(100)를 착용한 때 착용자의 빰(Cheek)이나 턱(Chin) 등에 접촉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200)는 착용자의 빰이나 턱의 전방에 접촉하는 중심부(210), 중심부(210)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 가지부(220), 및 중심부(210)의 상단으로부터 경사지게 상방으로 연장된 제2 가지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가지부(220)와 제2 가지부(230) 사이에는 착용자의 귀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패드(200)를 기준으로 볼 때, 중심부(210), 제1 가지부(220), 및 제2 가지부(230)에 각각 제1 체결부재(400)가 하나씩 구비되어 총 3개가 구비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헬멧 본체(100)의 내부에는 제2 체결부재(500)가 3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하나의 패드(200) 마다 3개의 체결수단(300)이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패드(200)는 충분한 탄성을 갖도록 형성되고, 패드(200)의 일면(착용자와 접촉하는 면의 반대면)에는 패드(200)의 일면을 커버하도록 평판으로 형성되는 커버부(80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800)에는 제1 체결부재(400), 가이드부(600), 및 돌출부(750) 등이 배치되는 개구부(810)가 형성되고, 이러한 개구부(810) 이외에도 커버부(800)에는 유연성을 향상시키고 경량화를 위해서 다수의 보조개구부(8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300)은 패드(200)와 헬멧 본체(100)의 내부를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으로, 제1 체결부재(400)와 제2 체결부재(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체결부재(400)는 패드(200)에 구비되고, 막대형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체결부재(400)는 패드(200)의 일면을 커버하는 커버부(800)의 개구부(810)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체결부재(500)는 헬멧 본체(100)의 내부(예를 들어, 흡수체(120)의 내벽)에 구비되고, 제1 체결부재(400)가 삽입되도록 제1 체결부재(400)를 둘러싸되, 일측에 개방된 개방부(51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패드(200)가 일방향으로 당겨지면, 패드(200)에 구비된 제1 체결부재(400)는 제2 체결부재(500)의 개방부(510)를 통해서 제2 체결부재(5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체결부재(500)의 개방부(510)는 하측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고, 패드(200)가 하측으로 당겨지면, 패드(200)에 구비된 제1 체결부재(400)가 제2 체결부재(500)의 개방부(510)를 통해서 제2 체결부재(500)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분리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2 체결부재(500)는 베이스부(520), 제1 연장부(530), 제2 연장부(540), 및 돌기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도 3 참조). 여기서, 베이스부(520)는 평판형으로 형성되고, 제1 연장부(530)는 제1 체결부재(400)와 마주보는 베이스부(520)의 일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된다. 또한, 제2 연장부(540)는 일단이 제1 연장부(530)의 말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베이스부(520)와 나란하게 연장된다. 그리고, 돌기부(550)는 제2 연장부(540)의 타단으로부터 베이스부(520)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때, 돌기부(550)와 베이스부(520) 사이에는 개방부(510)가 형성된다. 즉, 제2 체결부재(500)는 베이스부(520)에서부터 제1 연장부(530)→제2 연장부(540)→돌기부(550) 순으로 형성되어, 막대형의 제1 체결부재(400)를 둘러쌀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 연장부(530)의 길이에 비해서 돌기부(550)의 길이가 짧아, 돌기부(550)와 베이스부(520) 사이에는 개방부(510)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1 체결부재(400)는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외면이 4개의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체결부재(400)의 4개의 면을 순서대로 제1 면(410), 제2 면(420), 제3 면(430), 및 제4 면(440)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제1 면(410)은 제2 면(420)과 모서리를 공유하고, 제2 면(420)은 제3 면(430)과 모서리를 공유하며, 제3 면(430)은 제4 면(440)과 모서리를 공유하고, 제4 면(440)은 제1 면(410)과 모서리를 공유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 체결부재(400)의 제1,2,3,4 면(410, 420, 430, 440)을 정의할 때, 제1 체결부재(400)의 제1 면(410)은 베이스부(520)와 마주보고, 제1 체결부재(400)의 제2 면(420)은 제1 연장부(530)와 마주볼 수 있다. 또한, 제1 체결부재(400)의 제3 면(430)은 제2 연장부(540)와 마주보고, 제1 체결부재(400)의 제4 면(440)은 돌기부(550)가 걸린다. 즉, 제1 체결부재(400)의 제1,2,3,4 면(410, 420, 430, 440)은 제2 체결부재(500)의 베이스부(520), 제1 연장부(530), 제2 연장부(540), 및 돌기부(550)에 의해서 순서대로 둘러싸이는 것이다. 따라서, 패드(200)가 일방향으로(하측 방향) 당겨지면, 패드(200)에 구비된 제1 체결부재(400)는 패드(200)와 함께 일방향으로(하측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2 체결부재(500)의 제2 연장부(540)가 휘어져 돌기부(550)와 베이스부(520) 사이의 개방부(510)가 확장되어(도 4b 참조), 제1 체결부재(400)가 개방부(510)를 통해서 제2 체결부재(5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도 4c 내지 도 4d 참조).
한편, 도 4a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체결부재(400)가 제2 체결부재(500)로부터 분리될 때, 제1 체결부재(400)의 제4 면(440)이 제2 체결부재(500)의 돌기부(550)로부터 분리되기 쉽도록, 제4 면(440)과 접촉하는 돌기부(550)의 일면은 경사지도록 제1 경사면(551)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역으로, 제1 체결부재(400)가 제2 체결부재(500)에 결합될 때, 제2 체결부재(500)의 돌기부(550)가 제1 체결부재(400)의 제2 면(420)을 넘어가기 쉽도록, 제2 면(420)과 접촉하는 돌기부(550)의 타면(일면의 반대면) 역시 경사지도록 제2 경사면(553)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1 체결부재(400)가 제2 체결부재(500)의 개방부(510)를 통해서 제2 체결부재(500)로부터 분리되거나, 제1 체결부재(400)가 제2 체결부재(500)의 개방부(510)를 통해서 제2 체결부재(500)에 결합될 때, 제1 체결부재(400)와 제2 체결부재(500)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가이드하기 위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200)에 고정된 가이드부(6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600)는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패드(200)에 고정되고, 타단이 자유단(Free End)이다. 즉, 가이드부(600)는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자유로우므로, 일단을 기준으로 탄성에 의해서 휘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체결부재(400)가 상기 제2 체결부재(500)의 개방부(510)를 통해서 제2 체결부재(500)로부터 분리되거나, 제1 체결부재(400)가 제2 체결부재(500)의 개방부(510)를 통해서 제2 체결부재(500)에 결합될 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600)는 제2 체결부재(500)의 제2 연장부(540)와 접촉하여 헬멧 본체(100)의 내측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부(600)가 제2 체결부재(500)의 제2 연장부(540)와 접촉하면서, 가이드부(600)는 제1 체결부재(400)와 제2 체결부재(500)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가이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가이드부(600)는 제1 체결부재(400)에 비해서 패드(200)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부(600)가 패드(200) 방향으로 함몰됨으로써, 제1 체결부재(400)가 제2 체결부재(500)에 결합될 때, 제2 체결부재(500)의 돌기부(550)가 제1 체결부재(400)의 제2 면(420)을 넘어갈 수 있다.
또한, 제1 체결부재(400)가 제2 체결부재(500)에 삽입된 후, 제2 체결부재(5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홈(7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홈(700)은 패드(200)에 구비되어, 제1 체결부재(400)가 제2 체결부재(500)에 삽입이 완료된 때, 베이스부(520)의 일단이 삽입된다(도 4a 참조). 이러한 체결홈(700)에 의해서 제1 체결부재(400)에 대한 제2 체결부재(500)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억제하여, 제2 체결부재(50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 체결부재(400)와 제2 체결부재(500)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520)의 일단은 호형(弧形, Arc)으로 형성되고, 베이스부(520)의 일단에 대응하도록, 체결홈(700)은 역시 호형(弧形)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부(520)의 일단과 체결홈(700)이 모두 호형으로 형성되면, 베이스부(520)의 일단을 체결홈(700)이 둘러싸는 형태가 되므로, 제1 체결부재(400)에 대한 제2 체결부재(500)의 상대적인 회전을 차단하여, 제2 체결부재(500)가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게다가, 제1 체결부재(400)와 제2 체결부재(500)가 정확히 정렬되지 않은 상태에서 결합을 시도하더라도, 호형인 베이스부(520)의 일단과 호형인 체결홈(700)이 서로 접촉하면서, 제1 체결부재(400)와 제2 체결부재(500)가 정확히 정렬되어, 제1 체결부재(400)와 제2 체결부재(500)의 안정적인 결합을 유도할 수 있다.
상술한 가이드부(600), 및 돌출부(750)는 패드(200)의 일면을 커버하는 커버부(800)의 개구부(810)에 배치될 수 있다(도 3 참조). 구체적으로, 제1 체결부재(400)가 커버부(800)의 개구부(810)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때, 가이드부(600)의 일단은 커버부(800)의 개구부(810)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고, 체결홈(700)은 개구부(810)의 경계에서 돌출된 돌출부(750)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체결부재(400)가 커버부(800)의 개구부(810)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되어 형성되므로, 개구부(810)는 제1 체결부재(400)를 중심으로 제1 영역(810a)과 제2 영역(810b)을 분할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600)는 개구부(810)의 제1 영역(810a)에서 연장될 수 있고, 체결홈(700)은 개구부(810)의 제2 영역(810b)의 경계에서 돌출된 돌출부(750)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부(600)와 체결홈(700)은 제1 체결부재(400)를 중심으로 제1 영역(810a)과 제2 영역(810b)에 각각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2 체결부재(500)의 제2 연장부(540)가 개구부(810)의 제1 영역(810a)을 통과한 후, 제1 체결부재(400)와 제2 체결부재(500)가 결합되므로, 개구부(810)의 제1 영역(810a)의 면적은 제2 연장부(540)의 면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 체결부재(500)가 헬멧 본체(100)의 내부에 결합되기 위해서, 요철결합부(900)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체결부재(500)의 베이스부(520)는 요부(910, 凹部)와 철부(920, 凸部)를 포함하는 요철결합부(900)에 의해서 헬멧 본체(100)의 내부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철부(920)는 베이스부(520)의 타면(제1 연장부(530)가 돌출되는 일면의 반대면)에 형성되고, 요부(910)는 헬멧 본체(100)의 내부(예를 들어, 흡수체(120)의 내벽)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철부(920)는 후크형으로 형성된 말단이 요부(910)에 삽입됨으로써, 철부(920)와 요부(910)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200)를 효과적으로 당기기 위해서, 패드(200)에는 당김수단(1000)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당김수단(1000)은 패드(200)의 하면에 형성되고, 소정물체가 삽입가능하다. 예를 들어, 당김수단(1000)은 패드(200)의 하면에 반고리형으로 형성되므로, 손가락 등을 삽입하여 패드(200)를 하측을 당길 수 있다. 또한, 당김수단(1000)은 구호자 등이 시각적으로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적색 계열의 색상을 갖을 수 있고, 긴급상황을 의미하는 "Emergency" 등의 문자가 기재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패드(200)에 제1 체결부재(400), 가이드부(600), 체결홈(700), 커버부(800) 등이 구비되고, 헬멧 본체(100)의 내부에 제2 체결부재(500), 요철결합부(900) 등이 구비되는 것으로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헬멧 본체(100)의 내부에 제1 체결부재(400), 가이드부(600), 체결홈(700), 커버부(800) 등이 구비되고, 패드(200)에 제2 체결부재(500), 요철결합부(900) 등이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에도, 패드(200)가 당겨질 때, 제1 체결부재(400)가 제2 체결부재(500)의 개방부(510, 상측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음)를 통해서 제2 체결부재(500)로부터 분리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측면도로,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200)에 구비된 제1 체결부재(400)에 제2 체결부재(500)를 결합한 상태에서, 제2 체결부재(500)의 철부(920)를 헬멧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된 요부(910)에 결합한다. 이와 같이, 철부(920)와 요부(910)를 결합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결합부(900)에 의해서 패드(200)가 헬멧 본체(100)의 내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후, 착용자는 머리에 헬멧 본체(100)를 착용할 수 있다.
다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고 등이 발생한 경우, 구호자 등이 패드(200)를 하측 방향으로 당기면, 패드(200)에는 하측 방향으로 힘이 인가된다. 이때, 패드(200)에 구비된 제1 체결부재(400)에도 하측 방향으로 힘이 인가되는 반면, 제2 체결부재(500)는 요철결합부(900)에 의해서 헬멧 본체(100)의 내부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제1 체결부재(400)는 제2 체결부재(500)의 개방부(510)를 통해서 분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체결부재(500)의 제2 연장부(540)가 휘어져 개방부(510)가 확장되면서, 제1 체결부재(400)의 제4 면(440)에 걸린 제2 체결부재(500)의 돌기부(550)가 제1 체결부재(4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베이스부(520)의 일단은 체결홈(700)으로부터 분리되고, 제2 체결부재(500)의 제2 연장부(540)는 가이드부(600)에 접촉하여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후, 도 4c 내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체결부재(500)의 제2 연장부(540)는 개구부(810)의 제2 영역(810b)을 통해서 빠져나온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200)가 헬멧 본체(100)의 내부로부터 제거되면, 헬멧 본체(100)의 하단부가 넓어져, 헬멧 본체(100)를 착용자의 머리로부터 쉽게 벗겨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의 패드의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에 비해서 가이드돌기(610)가 추가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은 가이드부(600)에 가이드돌기(610)가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가이드돌기(610)는 제1 체결부재(400)와 제2 체결부재(500)가 분리된 후, 제2 체결부재(500)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200)에는 가이드부(6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600)는 일단이 패드(200)에 고정되고, 타단이 자유단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부(600)는 제1 체결부재(400)가 제2 체결부재(500)의 개방부(510)를 통해서 제2 체결부재(500)로부터 분리되거나, 제1 체결부재(400)가 제2 체결부재(500)의 개방부(510)를 통해서 제2 체결부재(500)에 결합될 때, 제2 체결부재(500)의 제2 연장부(540)와 접촉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부(600)가 제2 체결부재(500)의 제2 연장부(540)와 접촉하면서, 가이드부(600)는 제1 체결부재(400)와 제2 체결부재(500) 사이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가이드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제2 체결부재(500)의 제2 연장부(540)와 접촉하는 가이드부(600)의 일면에는 가이드돌기(610)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돌기(610)는 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가이드부(610)의 일면으로부터 곡선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돌기(610)는 구(球)를 상단만 남기고 절단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2개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도 9 참조).
도 10a 내지 도 10d를 참조하여, 제1 체결부재(400)가 제2 체결부재(500)의 개방부(510)를 통해서 분리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0a 내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체결부재(500)의 제2 연장부(540)가 휘어져 개방부(510)가 확장되면서, 제1 체결부재(400)의 제4 면(440)에 걸린 제2 체결부재(500)의 돌기부(550)가 제1 체결부재(4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제2 체결부재(500)의 제2 연장부(540)는 가이드부(600)에 접촉하여 슬라이딩되다가, 이후 제2 체결부재(500)의 제1 연장부(530)는 가이드돌기(610)와 접촉한다(도 10b 참조). 가이드돌기(610)가 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곡선으로 돌출되므로, 도 10b 내지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체결부재(500)의 제1 연장부(530)와 제2 연장부(540)가 가이드돌기(610)를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제2 체결부재(500)는 개구부(810)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다. 즉, 구호자 등이 패드(200)를 하측 방향으로 당기면서 패드(200)에 인가되는 하측 방향 힘에 의해서, 제2 체결부재(500)는 가이드부(600)에 접촉하여 슬라이딩한 후, 가이드돌기(610)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개구부(8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도 10c 내지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체결부재(500)의 제2 연장부(540)는 개구부(810)의 제2 영역(810b)을 통해서 빠져나옴으로써, 제1 체결부재(400)와 제2 체결부재(500)가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은 가이드부(600)에 가이드돌기(610)를 구비하여, 제2 체결부재(500)를 가이드함으로써, 제2 체결부재(500)를 개구부(810)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은 기본적으로 승차용 헬멧을 중심으로 기술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스키, 봅슬레이, 스켈레톤 등 스포츠 경기시 착용하는 헬멧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헬멧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헬멧 본체 110: 외부쉘
120: 흡수체 130: 개구
140: 실드 200: 패드
210: 중심부 220: 제1 가지부
230: 제2 가지부 300: 체결수단
400: 제1 체결부재 410: 제1 면
420: 제2 면 430: 제3 면
440: 제4 면 500: 제2 체결부재
510: 개방부 520: 베이스부
530: 제1 연장부 540: 제2 연장부
550: 돌기부 551: 제1 경사면
553: 제2 경사면 600: 가이드부
610: 가이드돌기 700: 체결홈
750: 돌출부 800: 커버부
810: 개구부 810a: 제1 영역
810b: 제2 영역 820: 보조개구부
900: 요철결합부 910: 요부
920: 철부 1000: 당김수단

Claims (18)

  1. 헬멧 본체;
    헬멧 본체의 내부에 결합되는 패드; 및
    상기 패드와 헬멧 본체의 내부를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체결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패드와 상기 헬멧 본체의 내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고, 막대형으로 형성된 제1 체결부재; 및
    상기 패드와 상기 헬멧 본체의 내부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 체결부재를 둘러싸되, 일측에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된 제2 체결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패드가 당겨질 때,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기 제2 체결부재의 상기 개방부를 통해서 상기 제2 체결부재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기 제2 체결부재의 상기 개방부를 통해서 상기 제2 체결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제2 체결부재는,
    평판형의 베이스부;
    상기 제1 체결부재와 마주보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로부터 돌출된 제1 연장부;
    일단이 상기 제1 연장부의 말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부와 나란하게 연장되는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
    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상기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체결부재는 외면이 4개의 면을 포함하고,
    상기 4개의 면을 제1 면, 제2 면, 제3 면, 및 제4 면으로 정의할 때,
    상기 제1 체결부재의 제1 면은 상기 베이스부와 마주보고, 상기 제1 체결부재의 제2 면은 상기 제1 연장부와 마주보며, 상기 제1 체결부재의 제3 면은 상기 제2 연장부와 마주보고, 상기 제1 체결부재의 제4 면에 상기 돌기부가 걸리는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패드와 상기 헬멧 본체의 내부 중 어느 하나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자유단(Free End)이며,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기 제2 체결부재의 상기 개방부를 통해서 상기 제2 체결부재로부터 분리되거나,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기 제2 체결부재의 상기 개방부를 통해서 상기 제2 체결부재에 결합될 때, 상기 제2 연장부와 접촉되는 가이드부;
    를 더 포함하는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체결부재에 비해서 상기 패드와 상기 헬멧 본체의 내부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배치되는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드와 상기 헬멧 본체의 내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기 제2 체결부재에 삽입된 때,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이 삽입되는 체결홈;
    을 더 포함하는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은 호형(弧形)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에 대응하도록, 상기 체결홈은 호형으로 형성되는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드와 상기 헬멧 본체의 내부 중 어느 하나의 일면을 커버하도록 평판형으로 형성되고, 개구부가 형성되는 커버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재는 상기 개구부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되어 형성되는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패드와 상기 헬멧 본체의 내부 중 어느 하나의 일면을 커버하도록 평판형으로 형성되고, 개구부가 형성되는 커버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재는 상기 개구부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의 일단은 상기 개구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패드와 상기 헬멧 본체의 내부 중 어느 하나의 일면을 커버하도록 평판형으로 형성되고, 개구부가 형성되는 커버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재는 상기 개구부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은 상기 개구부의 경계에서 돌출된 돌출부에 의해서 형성되는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요부와 철부를 포함하는 요철결합부에 의해서 상기 패드와 상기 헬멧 본체의 내부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철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타면에 형성되고,
    상기 요부는 상기 패드와 상기 헬멧 본체의 내부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드를 당기기 위해서, 상기 패드에는 소정물체가 삽입가능한 당김수단이 형성되는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재는 상기 패드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체결부재는 상기 헬멧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하측 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패드가 하측으로 당겨질 때,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기 제2 체결부재의 상기 개방부를 통해서 상기 제2 체결부재로부터 분리되는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
  16. 청구항 1에 있어서,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패드와 상기 헬멧 본체의 내부 중 어느 하나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자유단이며,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기 제2 체결부재의 상기 개방부를 통해서 상기 제2 체결부재로부터 분리되거나,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기 제2 체결부재의 상기 개방부를 통해서 상기 제2 체결부재에 결합될 때, 상기 제2 체결부재와 접촉되는 가이드부;
    를 더 포함하는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에는 상기 제1 체결부재가 상기 제2 체결부재의 상기 개방부를 통해서 상기 제2 체결부재로부터 분리된 후, 상기 제2 체결부재와 접촉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는 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곡선으로 돌출되는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
KR1020180006176A 2017-07-17 2018-01-17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 KR101995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619,240 US20200163401A1 (en) 2017-07-17 2018-04-04 Helmet with pads removable in emergency
PCT/KR2018/003994 WO2019017565A1 (ko) 2017-07-17 2018-04-04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
EP18835301.5A EP3656236A4 (en) 2017-07-17 2018-04-04 HELMET WITH AN EMERGENCY REMOVABLE P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90168 2017-07-17
KR1020170090168 2017-07-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802A KR20190008802A (ko) 2019-01-25
KR101995947B1 true KR101995947B1 (ko) 2019-07-03

Family

ID=65280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6176A KR101995947B1 (ko) 2017-07-17 2018-01-17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163401A1 (ko)
EP (1) EP3656236A4 (ko)
KR (1) KR1019959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1228A1 (ko) 2019-11-04 2021-05-14 주식회사 기도스포츠 헬멧용 프론트 커버, 헬멧용 쉘 및 이들을 포함하는 헬멧
KR102296957B1 (ko) 2021-03-24 2021-08-31 홍종구 머리에서 헬멧을 분리하기 위한 두건
KR102441497B1 (ko) 2021-04-07 2022-09-07 (주)에이치제이씨 헬멧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124B1 (ko) * 2015-11-30 2017-09-12 주식회사 기도스포츠 헬멧의 탈착식 패드 체결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3007A (ja) * 2006-05-09 2007-11-22 Shoei Co Ltd ヘルメットおよびその脱着方法
JP2009041126A (ja) * 2007-08-07 2009-02-26 Shoei Co Ltd ヘルメットおよびその脱着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5127B2 (ja) * 1997-05-19 2007-08-08 学 根本 ヘルメット
KR100649944B1 (ko) 2005-12-06 2006-11-27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오토바이용 헬멧
US8549671B2 (en) * 2011-01-06 2013-10-08 Bell Sports, Inc. Helmet having magnetically coupled cheek pads
KR101594146B1 (ko) * 2014-05-15 2016-02-15 주식회사 오토스윙 헤드 밴드용 기능성/다용도 헤드 쿠션
KR101772124B1 (ko) * 2015-11-30 2017-09-12 주식회사 기도스포츠 헬멧의 탈착식 패드 체결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3007A (ja) * 2006-05-09 2007-11-22 Shoei Co Ltd ヘルメットおよびその脱着方法
JP2009041126A (ja) * 2007-08-07 2009-02-26 Shoei Co Ltd ヘルメットおよびその脱着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1228A1 (ko) 2019-11-04 2021-05-14 주식회사 기도스포츠 헬멧용 프론트 커버, 헬멧용 쉘 및 이들을 포함하는 헬멧
KR102296957B1 (ko) 2021-03-24 2021-08-31 홍종구 머리에서 헬멧을 분리하기 위한 두건
KR102441497B1 (ko) 2021-04-07 2022-09-07 (주)에이치제이씨 헬멧
WO2022216037A1 (ko) 2021-04-07 2022-10-13 (주)에이치제이씨 헬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802A (ko) 2019-01-25
US20200163401A1 (en) 2020-05-28
EP3656236A4 (en) 2021-06-16
EP3656236A1 (en) 2020-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5947B1 (ko)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
US4641382A (en) Helmet fastening device
CN112135541B (zh) 护颏罩附接系统和方法
US11612206B2 (en) Detachable pad fastening structure of helmet and helmet including same
CN106605994A (zh) 用于头盔的前额支撑带和设有这种前额支撑带的头盔
CN110338496A (zh) 帽檐更换型帽子
KR101650032B1 (ko) 고글
EP3479714B1 (en) Protective helmet
KR200461678Y1 (ko) 안전모
US4573222A (en) Crash helmet
CN110381762B (zh) 头盔护目镜带固定夹
US20120233746A1 (en) Snowboard and ski head protector
KR101501701B1 (ko) 스포츠용 헬멧
KR100406219B1 (ko) 헬멧
US20190133233A1 (en) Protective helmet
EP3735849A1 (en) Clothing
EP4321047A1 (en) Helmet
EP2526801A1 (en) Safety helmet, particularly for motorcycle and/or motor racing, with improved device for moving the sun visor
KR200430733Y1 (ko) 안전모
KR102435033B1 (ko) 헤어 눌림 방지 기능이 있는 헬멧
KR101532964B1 (ko) 스포츠용 헬멧
KR101559752B1 (ko) 레저 스포츠용 헬멧
KR101443259B1 (ko) 헬멧
WO2019017565A1 (ko) 비상시 패드 제거가 가능한 헬멧
KR20140131164A (ko) 레저 스포츠용 헬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