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0466B1 - 스마트 안전모 - Google Patents

스마트 안전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0466B1
KR102100466B1 KR1020190078379A KR20190078379A KR102100466B1 KR 102100466 B1 KR102100466 B1 KR 102100466B1 KR 1020190078379 A KR1020190078379 A KR 1020190078379A KR 20190078379 A KR20190078379 A KR 20190078379A KR 102100466 B1 KR102100466 B1 KR 102100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unit
pair
helmet
hard h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성규
이우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굳브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굳브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굳브로
Priority to KR1020190078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04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66Means for detecting that the user is wearing a helmet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06Means for transporting or storing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6Means for detecting hazards or acciden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8Chin straps or similar retention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 그 내부 공간에 착용자의 머리가 수용되어 안착되는 본체 및 착용자의 턱을 감싸며 상기 본체의 착용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상호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턱끈부재를 포함하는 안전모, 및 상기 안전모에 설치되고 착용자가 상기 안전모를 정상적으로 착용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안전모착용판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관리기기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안전모 착용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안전모 {SMART SAFETY HELMET}
본 발명은 스마트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자가 안전모를 안정적으로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판단 가능하게 하여 각종 사고의 위험성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스마트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안전모는 착용자로 하여금 외부 물체와의 충돌 등에 의한 사고 발생 시 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안전용품이다.
안전모는 착용자가 오토바이, 자전거 등의 운송수단을 이용하는 경우, 산악자전거, 번지점프 등의 레저 스포츠 활동을 하는 경우 또는 공장, 건설 등의 노동 산업 현장에서 일하는 경우 등 다양한 상황(이하, '각종 산업 현장'이라 함) 하에서 착용자의 안전을 최소한으로 확보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안전모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안전모를 착용하기 불편하거나 번거롭다는 이유로 안전모의 착용을 회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각종 산업 현장에서 작업자 등(이하, '작업자 등'은 운송 수단을 이용하는 자, 레저 스포츠 활동을 하는 자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한다.)이 더워서 땀이 난다는 이유로 턱끈을 제대로 고정하지 않고 쓰는 경우가 있는데, 만일 해당 작업자 추락 등의 사고를 당하게 되면 안전모가 착용자의 머리에서 이탈되어 외부 물체(예를 들어, 지면)와의 충돌에 의한 충격이 착용자의 머리에 그대로 전달됨으로써 안전모를 정상 착용 하였을 경우보다 큰 피해를 입게 된다.
이에 따라, 각종 산업 현장에서는 작업자 등의 안전 교육을 통해 반드시 안전모의 턱끈을 조여 정상 착용하도록 교육하고 있으나, 작업자 등의 실제 이행이 담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작업자 등이 안전모를 정상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관리기기(예를 들어, 안전관리부서의 컴퓨터, 착용자의 스마트 단말 등)의 필요성이 생겨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안전모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61639호(특허문헌 1)가 개시된 바 있다.
특허문헌 1은, 안정적 고정이 가능하면서도 착탈이 용이한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 착용자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하부가 개방되어 수용부가 형성된 안전모 본체와, 안전모 본체의 수용부에 설치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와, 안전모 본체의 수용부 내부에 설치되면서 충격흡수부재의 하부쪽에 위치되어 착용자의 머리가 닿지 않도록 지지하는 머리받침끈과, 안전모 본체의 하부 내측에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착용자의 머리 둘레를 감싸는 헤드밴드와, 안전모 본체의 내부에 위치되면서 착용자가 안전모를 머리에 착용할 때 착용자의 머리에 의해 눌리도록 설치되는 누름동작부재 및 헤드밴드에 설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설치되면서 상부는 상기 누름동작부재에 연결되고 하부는 착용자의 후두턱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후두턱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착용자가 자신의 머리에 안전모를 착용하는 것만으로도 안전모가 머리에 쉽게 고정될 수 있게 하는 기술 효과를 도모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을 포함하는 종래의 안전모는 착용자의 안전모 착용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하고 있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61639호 (2017.06.05. 공개)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함에 있어, 본 발명의 목적은 턱끈부재가 착용자의 피부에 가압되는 정도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안전모 정상 착용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관리기기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안전모 착용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스마트 안전모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위 변화 정도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위험 상황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관리기기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위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스마트 안전모를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자 주변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관리기기를 이용하여 착용자 주변의 공기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스마트 안전모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모는, 그 내부 공간에 착용자의 머리가 수용되어 안착되는 본체 및 착용자의 턱을 감싸며 상기 본체의 착용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상호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턱끈부재를 포함하는 안전모, 및 상기 안전모에 설치되고 착용자가 상기 안전모를 정상적으로 착용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안전모착용판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안전모착용판단부는, 상기 안전모착용판단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한 쌍의 턱끈부재와 착용자의 피부 간의 접촉 정도를 감지하는 접촉감지부, 및 상기 접촉감지부에서 획득된 접촉 정도에 관한 정보를 토대로 상기 한 쌍의 턱끈부재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의 압력으로 상기 착용자의 피부에 가압 접촉된 경우 착용자가 상기 안전모를 정상적으로 착용한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안전모착용판단부는,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의해 착용자가 상기 안전모를 정상적으로 착용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 신호를 관리기기 측으로 송출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안전모착용판단부는, 판 형태를 가지고 그 내부에 제 1 회로기판이 설치되며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반대측 면에 상기 한 쌍의 턱끈부재의 일부가 끼워지는 한 쌍의 클립부를 구비하는 베이스커버, 및 상기 베이스커버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내부에 제 2 회로기판이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커버와 결합 시 서로 마주보는 부분에 관통홀을 형성하면서 상기 한 쌍의 클립부에 끼워지는 상기 한 쌍의 턱끈부재의 일부에서 연장되는 다른 부분을 샌드위치 구조로 관통시키는 바디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바디커버는 상기 베이스커버와 마주보는 면 측에 자석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커버는 상기 바디커버와 마주보는 면 측에 상기 자석과 대응되는 위치에 금속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디커버는 상기 관통홀을 형성하도록 그 너비 방향의 양 측에 상기 베이스커버를 향해 돌출 형성되되 후크 단부를 가지는 돌출벽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커버는 상기 바디커버와 마주보는 반대측 면의 너비 방향 양측에 상기 후크 단부가 걸리는 단차진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 1 회로기판과 상기 제 2 회로기판은 포고핀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모는, 상기 안전모에 설치되고 방위 변화를 토대로 착용자가 위험 상황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위험상황판단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위험상황판단부는, 상기 위험상황판단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방위 변화 정도를 감지하는 위험감지부, 및 상기 위험감지부에서 획득된 방위 변화 정보를 토대로 기 설정된 값 이상의 방위 변화가 있는 경우 착용자가 위험 상황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모는, 상기 안전모에 설치되고 착용자 주변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측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안전모는 턱끈부재가 착용자의 피부에 가압되는 정도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안전모 정상 착용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관리기기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안전모 착용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안전모는 방위 변화 정도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위험 상황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관리기기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위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안전모는 착용자 주변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관리기기를 이용하여 착용자 주변의 공기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모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전모착용판단부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전모착용판단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턱끈부재를 제거한 안전모착용판단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베이스커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바디커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안전모착용판단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모를 구성하는 위험상황판단부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미세먼지측정부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종래 기술과의 차별성 및 명료성, 그리고 기술 파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된 표현으로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로써,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권리범위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모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전모착용판단부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전모착용판단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턱끈부재를 제거한 안전모착용판단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베이스커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바디커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안전모착용판단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모를 구성하는 위험상황판단부의 블록 구성도이며,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미세먼지측정부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모(100)는 안전모(110) 및 안전모착용판단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모(100)는 위험상황판단부(130) 및 미세먼지측정부(14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전모(110)는 본체(111) 및 한 쌍의 턱끈부재(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11)는 그 내부 공간(111a)에 착용자의 머리가 수용되어 안착되는 구성이다.
상기 한 쌍의 턱끈부재(112)는 착용자의 턱을 감싸며 상기 본체(111)의 착용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상호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상기 한 쌍의 턱끈부재(112)는 결착구(112a)를 매개로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턱끈부재(112)는 부분적으로 내측(상기 한 쌍의 턱끈부재(112)가 결합된 경우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되는 측) 턱끈부재(112-1)와 외측 턱끈부재(112-2)로 분리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안전모(110)는 상기 본체(111) 그 내부 공간(111a)에 충격 완충 부재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안전모(110)는 관련된 다수의 기술이 공지되어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안전모착용판단부(120)는 상기 안전모(110)에 설치되고, 착용자가 상기 안전모(110)를 정상적으로 착용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이다.
기능적인 측면에서, 상기 안전모착용판단부(120)는 전원부(121), 접촉감지부(122) 및 제어부(12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안전모착용판단부(120)는 통신부(12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부(121)는 상기 안전모착용판단부(120)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이다. 상기 전원부(121)는 충전단자(121a)를 매개로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는 리튬-폴리머 배터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안전모착용판단부(12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에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접촉감지부(122)는 상기 한 쌍의 턱끈부재(112)와 착용자의 피부 간의 접촉 정도를 감지하는 구성이다. 상기 접촉감지부(122)는, 착용자가 상기 한 쌍의 턱끈부재(112)를 결합한 후 착용자의 턱으로 밀착시켜 조일 때, 착용자의 피부와의 전기적인 상호 작용에 의해 변화되는 유전율을 토대로 상기 한 쌍의 턱끈부재(112)와 착용자의 피부 간의 접촉 정도를 감지하는 압전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23)는 상기 접촉감지부(122)에서 획득된 접촉 정도에 관한 정보를 토대로 상기 한 쌍의 턱끈부재(112)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의 압력으로 상기 착용자의 피부에 가압 접촉된 경우 착용자가 상기 안전모(110)를 정상적으로 착용한 것으로 판단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어부(123)는 상기 한 쌍의 턱끈부재(112)가 기 설정된 값 미만의 압력으로 상기 착용자의 피부에 가압 접촉된 경우에는 착용자가 상기 안전모(110)를 정상적으로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통신부(124)는 상기 제어부(123)의 명령에 의해 착용자가 상기 안전모(110)를 정상적으로 착용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 신호를 관리기기(200) 측으로 송출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관리기기(200)는 착용자가 상기 안전모(110)를 정상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필요성이 있는 안전관리부서의 컴퓨터, 착용자의 스마트 단말일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가 상기 안전모(110)를 정상적으로 착용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 신호는 상기 통신부(124)를 통해 안전관리부서의 컴퓨터로 직접 송출되거나, 착용자의 스마트 단말에 송출된 뒤 다시 스마트 단말이 안전관리부서의 컴퓨터로 신호를 송출하는 방식으로 최종 모니터링 기기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안전모착용판단부(120)는 상기 한 쌍의 턱끈부재(112)가 착용자의 피부에 가압되는 정도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안전모 정상 착용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관리기기(200)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안전모 착용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구조적인 측면에서, 상기 안전모착용판단부(120)는 베이스커버(120a) 및 바디커버(12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커버(120a)는, 개략 직사각형 판 형태를 가지고, 그 내부에 제 1 회로기판(120a-1)이 설치되며,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반대측 면에 상기 한 쌍의 턱끈부재(112)의 일부가 끼워지는 한 쌍의 클립부(120aa)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회로기판(120a-1)은 그 기판 상에 상기 접촉감지부(122)가 설치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촉감지부(122)를 구성하는 압전 센서는 착용자가 상기 한 쌍의 턱끈부재(112)를 결합한 경우 착용자의 피부와 가장 인접하도록 상기 제 1 회로기판(120a-1)의 일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접촉감지부(122)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압전 센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한 쌍의 클립부(120aa)는 상기 한 쌍의 턱끈부재(112)가 상기 내측 턱끈부재(112-1)와 상기 외측 턱끈부재(112-2)로 분리된 형태를 가지는 부분을 끼우는 경우에는 착용자의 피부에 상기 안전모착용판단부(120)가 직접 접촉되어 거부감이 생기지 않도록 상기 외측 턱끈부재(112-2)만이 끼워지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베이스커버(120a)는 상기 내측 턱끈부재(112-1)와 상기 외측 턱끈부재(112-2)의 사이 공간에 개재된다.
상기 한 쌍의 클립부(120aa)는 상기 한 쌍의 턱끈부재(112)가 끼워져 물어잡히도록 하는 구조라면 다른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고, 복수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커버(120a)는, 상기 바디커버(120b)와 마주보는 면 측에 후술하는 자석(120b-2)과 대응되는 위치에 금속부재(120a-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커버(120a)는, 상기 바디커버(120b)와 마주보는 반대측 면의 너비 방향 양측에 후술하는 후크 단부(120baa)가 걸리는 단차진 걸림턱(120a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커버(120a)는, 상기 제 1 회로기판(120a-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제 1 플런저(120a-3)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디커버(120b)는, 상기 베이스커버(120a)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내부에 제 2 회로기판(120b-1)이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커버(120a)와 결합 시 서로 마주보는 부분에 관통홀(120bb)을 형성하면서 상기 한 쌍의 클립부(120aa)에 끼워지는 상기 한 쌍의 턱끈부재(112)의 일부에서 연장되는 다른 부분을 샌드위치 구조로 관통시키는 구성이다.
상기 바디커버(120b)는 상기 베이스커버(120a)와 결합 시 상기 한 쌍의 클립부(120aa)와 간섭이 없도록 상기 베이스커버(120a)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용자는 상기 한 쌍의 클립부(120aa)에 상기 한 쌍의 턱끈부재(112)의 일부를 끼워 상기 베이스커버(120a)를 설치한 후, 상기 바디커버(120b)를 상기 한 쌍의 턱끈부재(112)를 감싸듯이 상기 베이스커버(120a)에 결합시켜 상기 안전모착용판단부(120)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제 2 회로기판(120b-1)은 그 기판 상에 상기 제어부(123) 및 상기 통신부(124)가 전기 회로화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바디커버(120b)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전원부(12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바디커버(120b)를 상기 베이스커버(120a)로부터 분리시킨 후 상기 바디커버(120b)에 구비되는 충전단자(121a)를 이용하여 상기 전원부(121)를 충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디커버(120b)는, 상기 베이스커버(120a)와 마주보는 면 측에 상기 금속부재(120a-2)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자석(120b-2)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바디커버(120b)는 상기 자석(120b-2)과 상기 금속부재(120a-2)의 인력 작용에 의하여 착용자의 움직임 등의 외력에도 불구하고 상기 베이스커버(120a)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자석(120b-2)을 상기 금속부재(120a-2)와 위치를 변경하는 구조나, 상기 금속부재(120a-2)를 다른 자석으로 대체하는 구조 또한 균등범위 내의 실시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바디커버(120b)는, 그 너비 방향의 양 측에 상기 베이스커버(120a)를 향해 돌출 형성되되 상기 후크 단부(120baa)를 가지는 돌출벽(120ba)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바디커버(120b)는 상기 베이스커버(120a)와 결합 시 상기 관통홀(120bb)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후크 단부(120baa)가 상기 걸림턱(120ab)에 걸려 그 상대적인 위치가 이탈되지 않고 상기 베이스커버(120a)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120ab)과 상기 돌출벽(120ba)은 상기 베이스커버(120a)와 상기 바디커버(120b)의 결합 시 상기 한 쌍의 클립부(120aa)와 간섭 되지 않는 위치라면 상기 바디커버(120b)의 그 너비 방향의 양 측에 복수개 설치될 수도 있고, 상기 바디커버(120b)의 너비 방향의 일 측에는 단수개, 타측에는 복수개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턱(120ab)과 상기 돌출벽(120ba)은, 이러한 구조와 균등범위 내에서, 상기 바디커버(120b)의 너비 방향의 일 측에만 형성되어 상기 자석(120b-2)과 상기 금속부재(120a-2)의 인력 작용에 의한 결합력을 보조하는 수단으로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바디커버(120b)는, 상기 제 2 회로기판(120b-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제 2 플런저(120b-3)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회로기판(120a-1)과 상기 제 2 회로기판(120b-1)은 상기 베이스커버(120a)와 상기 바디커버(120b)의 결합 시 상기 제 1 플런저(120a-3)와 상기 제 2 플런저(120b-3)를 이용한 포고핀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커버(120a)의 상기 제 1 플런저(120a-3)의 설치 부분와 상기 바디커버(120b)의 상기 제 2 플런저(120b-3)의 설치 부분을 서로 맞물리는 돌출된 구조로 함으로써 상기 베이스커버(120a)와 상기 바디커버(120b)의 상대적인 위치가 그 길이 발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전원부(121), 상기 접촉감지부(122), 상기 제어부(123) 및 상기 통신부(124)는 상기 제 1 회로기판(120a-1)과 상기 제 2 회로기판(120b-1)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위험상황판단부(130)는 상기 안전모(110)에 설치되고, 방위 변화를 토대로 착용자가 위험 상황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위험 상황은, 착용자의 추락 상황, 쓰러짐 상황, 또는 외부 물체와의 충돌 상황 등일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에서, 상기 위험상황판단부(130)는 전원부(131), 위험감지부(132) 및 제어부(13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위험상황판단부(130)는 통신부(13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부(131)는 상기 위험상황판단부(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이다. 상기 전원부(131)는 충전단자(131a)를 매개로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는 리튬-폴리머 배터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위험상황판단부(13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에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위험감지부(132)는 방위 변화 정도를 감지하는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위험감지부(132)는 착용자가 상기 안전모(110)를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착용자 머리의 방위 변화 정도를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3)는 상기 위험감지부(132)에서 획득된 방위 변화 정보를 토대로 기 설정된 값 이상의 방위 변화가 있는 경우 착용자가 위험 상황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어부(133)는 기 설정된 값 미만의 방위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착용자가 위험 상황에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통신부(134)는 상기 제어부(133)의 명령에 의해 착용자가 위험 상황에 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 신호를 관리기기(200) 측으로 송출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관리기기(200)는 착용자가 위험 상황에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필요성이 있는 안전관리부서의 컴퓨터, 착용자의 스마트 단말일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가 위험 상황에 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 신호는 상기 통신부(134)를 통해 안전관리부서의 컴퓨터로 직접 송출되거나, 착용자의 스마트 단말에 송출된 뒤 다시 스마트 단말이 안전관리부서의 컴퓨터로 신호를 송출하는 방식으로 최종 모니터링 기기로 전달될 수 있다.
구조적인 측면에서, 상기 위험상황판단부(130)는 상기 안전모착용판단부(120)와 일체화된 모듈로 제작될 수 있다. 즉, 상기 전원부(131)와 충전단자(131a)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커버(120a)에 설치된 상기 전원부(121)와 충전단자(121a)일 수 있고, 상기 위험감지부(13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커버(120b)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33)와 상기 통신부(134)는 상기 제 2 회로기판(120b-1)에 전기 회로화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위험상황판단부(130)는 방위 변화 정도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위험 상황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관리기기(200)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위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상기 미세먼지측정부(140)는, 상기 안전모(110)에 설치되고, 착용자 주변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구성이다.
기능적인 측면에서, 상기 미세먼지측정부(140)는 전원부(141) 및 농도측정부(14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미세먼지측정부(140)는 통신부(14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부(141)는 충전단자를 매개로 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는 리튬-폴리머 배터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미세먼지측정부(14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에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농도측정부(142)는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구성이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다수이 공지될 기술이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통신부(143)는 상기 농도측정부(142)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에 관한 정보 신호를 관리기기(200) 측으로 송출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관리기기(200)는 착용자 주변의 공기 상태를 모니터링할 필요성이 있는 안전관리부서의 컴퓨터, 착용자의 스마트 단말일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가 위험 상황에 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 신호는 상기 통신부(143)를 통해 안전관리부서의 컴퓨터로 직접 송출되거나, 착용자의 스마트 단말에 송출된 뒤 다시 스마트 단말이 안전관리부서의 컴퓨터로 신호를 송출하는 방식으로 최종 모니터링 기기로 전달될 수 있다.
구조적인 측면에서, 상기 미세먼지측정부(1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모착용판단부(120)와 별개로 제작되어 상기 안전모(11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미세먼지측정부(140)는 상기 위험상황판단부(130)와 마찬가지로 상기 안전모착용판단부(120)와 일체화된 모듈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안전모는 턱끈부재가 착용자의 피부에 가압되는 정도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안전모 정상 착용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관리기기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안전모 착용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방위 변화 정도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위험 상황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관리기기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위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며, 착용자 주변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관리기기를 이용하여 착용자 주변의 공기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기초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이하 기술할 청구범위에 의하며, 상술한 발명의 구체적 내용을 토대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 안전용품과 관련된 산업 분야에 이용 가능하다.
100: 스마트 안전모
110: 안전모 111: 본체
111a: 내부 공간 112: 턱끈부재
112-1: 내측 턱끈부재 112-2: 외측 턱끈부재
112a: 결착구
120: 안전모착용판단부 120a: 베이스커버
120aa: 클립부 120ab: 걸림턱
120a-1: 제 1 회로기판 120a-2: 금속부재
120a-3: 제 1 플런저 120b: 바디커버
120ba: 돌출벽 120baa: 후크 단부
120bb: 관통홀 120b-1: 제 2 회로기판
120b-2: 자석 120b-3: 제 2 플런저
121: 전원부 121a: 충전단자
122: 접촉감지부 123: 제어부
124: 통신부
130: 위험상황판단부 131: 전원부
132: 위험감지부 133: 제어부
134: 통신부
140: 미세먼지측정부 141: 전원부
142: 농도측정부 143: 통신부
200: 관리기기

Claims (10)

  1. 그 내부 공간에 착용자의 머리가 수용되어 안착되는 본체 및 착용자의 턱을 감싸며 상기 본체의 착용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상호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턱끈부재를 포함하는 안전모; 및
    상기 안전모에 설치되고, 착용자가 상기 안전모를 정상적으로 착용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안전모착용판단부;
    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모착용판단부는,
    판 형태를 가지고, 그 내부에 제 1 회로기판이 설치되며,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반대측 면에 상기 한 쌍의 턱끈부재의 일부가 끼워지는 한 쌍의 클립부를 구비하는 베이스커버; 및
    상기 한 쌍의 클립부와 간섭없이 상기 베이스커버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내부에 제 2 회로기판이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커버와 결합 시 서로 마주보는 부분에 관통홀을 형성하면서 상기 한 쌍의 클립부에 끼워지는 상기 한 쌍의 턱끈부재의 일부에서 연장되는 다른 부분을 샌드위치 구조로 관통시키는 바디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착용판단부는,
    상기 안전모착용판단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한 쌍의 턱끈부재와 착용자의 피부 간의 접촉 정도를 감지하는 접촉감지부; 및
    상기 접촉감지부에서 획득된 접촉 정도에 관한 정보를 토대로 상기 한 쌍의 턱끈부재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의 압력으로 상기 착용자의 피부에 가압 접촉된 경우 착용자가 상기 안전모를 정상적으로 착용한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착용판단부는,
    상기 제어부의 명령에 의해 착용자가 상기 안전모를 정상적으로 착용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 신호를 관리기기 측으로 송출하는 통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모.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커버는 상기 베이스커버와 마주보는 면 측에 자석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커버는 상기 바디커버와 마주보는 면 측에 상기 자석과 대응되는 위치에 금속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커버는 상기 관통홀을 형성하도록 그 너비 방향의 양 측에 상기 베이스커버를 향해 돌출 형성되되 후크 단부를 가지는 돌출벽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커버는 상기 바디커버와 마주보는 반대측 면의 너비 방향 양측에 상기 후크 단부가 걸리는 단차진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로기판과 상기 제 2 회로기판은 포고핀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모.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에 설치되고, 방위 변화를 토대로 착용자가 위험 상황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위험상황판단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모.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상황판단부는,
    상기 위험상황판단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방위 변화 정도를 감지하는 위험감지부; 및
    상기 위험감지부에서 획득된 방위 변화 정보를 토대로 기 설정된 값 이상의 방위 변화가 있는 경우 착용자가 위험 상황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모.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에 설치되고, 착용자 주변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측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모.
KR1020190078379A 2019-06-28 2019-06-28 스마트 안전모 KR102100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379A KR102100466B1 (ko) 2019-06-28 2019-06-28 스마트 안전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379A KR102100466B1 (ko) 2019-06-28 2019-06-28 스마트 안전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0466B1 true KR102100466B1 (ko) 2020-04-13

Family

ID=70224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379A KR102100466B1 (ko) 2019-06-28 2019-06-28 스마트 안전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046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9359A (ko) * 2020-10-14 2022-04-21 (주) 세이프온 근접 센서 방식의 턱 끈 착용 감지 센서 모듈 및 이를 가진 안전모
WO2022158360A1 (ja) * 2021-01-19 2022-07-28 ヘルツ電子株式会社 ヘルメット装着検出装置
KR102502912B1 (ko) 2022-10-18 2023-02-23 (주)케이이엔지 스마트 안전모
KR102584239B1 (ko) 2022-08-10 2023-10-05 주식회사 에스오디 태양광 냉온 안전모
KR102651763B1 (ko) 2023-07-18 2024-03-26 주식회사 디지쿼터스 안전모 착용에 대한 스마트 안전관리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394B1 (ko) * 2009-04-16 2011-09-06 주식회사 휴메이트 안전모 착용 인식 센서모듈 및 그 정상 착용 여부 판단 방법
KR101725144B1 (ko) * 2016-06-13 2017-04-10 이강석 스마트 안전모
KR20170061639A (ko) 2017-04-21 2017-06-05 하덕명 안정적 고정과 착탈이 용이한 안전모
KR101838383B1 (ko) * 2016-06-08 2018-03-13 강동락 스마트 안전모 및 스마트 안전모 시스템
KR101955129B1 (ko) * 2014-07-11 2019-03-06 베릴리 라이프 사이언시즈 엘엘시 데이터 수집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배치
KR20190022668A (ko) * 2016-06-23 2019-03-06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보호 헤드 탑을 위한 레트로피트 센서 모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394B1 (ko) * 2009-04-16 2011-09-06 주식회사 휴메이트 안전모 착용 인식 센서모듈 및 그 정상 착용 여부 판단 방법
KR101955129B1 (ko) * 2014-07-11 2019-03-06 베릴리 라이프 사이언시즈 엘엘시 데이터 수집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배치
KR101838383B1 (ko) * 2016-06-08 2018-03-13 강동락 스마트 안전모 및 스마트 안전모 시스템
KR101725144B1 (ko) * 2016-06-13 2017-04-10 이강석 스마트 안전모
KR20190022668A (ko) * 2016-06-23 2019-03-06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보호 헤드 탑을 위한 레트로피트 센서 모듈
KR20170061639A (ko) 2017-04-21 2017-06-05 하덕명 안정적 고정과 착탈이 용이한 안전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9359A (ko) * 2020-10-14 2022-04-21 (주) 세이프온 근접 센서 방식의 턱 끈 착용 감지 센서 모듈 및 이를 가진 안전모
KR102426312B1 (ko) * 2020-10-14 2022-08-03 (주) 세이프온 근접 센서 방식의 턱 끈 착용 감지 센서 모듈 및 이를 가진 안전모
WO2022158360A1 (ja) * 2021-01-19 2022-07-28 ヘルツ電子株式会社 ヘルメット装着検出装置
KR102584239B1 (ko) 2022-08-10 2023-10-05 주식회사 에스오디 태양광 냉온 안전모
KR102502912B1 (ko) 2022-10-18 2023-02-23 (주)케이이엔지 스마트 안전모
KR102651763B1 (ko) 2023-07-18 2024-03-26 주식회사 디지쿼터스 안전모 착용에 대한 스마트 안전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0466B1 (ko) 스마트 안전모
TWI656456B (zh) 集成智能頭戴式設備
KR102061561B1 (ko) 스마트 안전모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
US20150032021A1 (en) Safety monitoring system and fatigue monitoring apparatus and fatigue detecting helmet thereof
KR101774852B1 (ko) 충격감지 안전모 및 이를 이용한 알람 시스템
US10512294B2 (en) Impact awareness device
US9642574B2 (en) Biometric sensors assembly for a hard hat
JP2017528173A (ja) 作業靴、および、安全性システム
KR102052548B1 (ko) 안전모 착용 감지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안전모 및 이의 운용 방법
CN210094846U (zh) 一种卡扣、安全带及防脱落报警系统
KR20190000272U (ko) 테더벨트 조임 감지 시스템 및 유아 카시트
CN209915106U (zh) 一种头盔佩戴监测装置及安全监测系统
KR102151978B1 (ko) 근로자 안전모 정상착용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006624A (ko) 헬멧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이륜차 사고 알림 시스템
CN113243606A (zh) 具备远程通信功能的防护安全帽及安全管理方法
US11617407B2 (en) Helmet and sensor attachment structure
KR102205608B1 (ko) 근로자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스마트 웨어러블 시스템
KR102568921B1 (ko) 안전모용 착탈식 충격감지프레임
KR102426310B1 (ko) 안전모용 턱 끈 센서 모듈 및 이에 의한 안전모 착용 표시 방법
KR102618229B1 (ko) 안전모용 착용자 감지모듈을 이용한 안전감시 시스템
KR20220135396A (ko) 작업자의 보호장비 착용 여부의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
CN104176001A (zh) 一种可显示安全带张紧的显示结构及张紧控制方法
KR102317800B1 (ko) 체결형 안전모 표시 장치
KR102426312B1 (ko) 근접 센서 방식의 턱 끈 착용 감지 센서 모듈 및 이를 가진 안전모
KR102651763B1 (ko) 안전모 착용에 대한 스마트 안전관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