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272U - 테더벨트 조임 감지 시스템 및 유아 카시트 - Google Patents

테더벨트 조임 감지 시스템 및 유아 카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272U
KR20190000272U KR2020180003353U KR20180003353U KR20190000272U KR 20190000272 U KR20190000272 U KR 20190000272U KR 2020180003353 U KR2020180003353 U KR 2020180003353U KR 20180003353 U KR20180003353 U KR 20180003353U KR 20190000272 U KR20190000272 U KR 201900002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ther belt
tether
mobile device
trigger assembly
ca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3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1694Y1 (ko
Inventor
리홍 수
Original Assignee
닝보 베이비 퍼스트 베이비 프로덕츠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닝보 베이비 퍼스트 베이비 프로덕츠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닝보 베이비 퍼스트 베이비 프로덕츠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002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2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6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6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06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seat to the vehicle
    • B60N2/2809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seat to the vehicle with additional tether connected to the top of the child seat and passing above the top of the back-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002/2815Adaptations for seat belts with additional belt accessories, e.g. a belt tension det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66Displaying or indicating arrangemen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66Displaying or indicating arrangements thereof
    • B60R2022/4875Displaying or indicating arrangements thereof on vehicle exterior

Abstract

본 고안은 테더벨트 조임 감지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유아 카시트를 제공한다. 상기 유아 카시트는 시트 및 테더벨트를 포함하고, 시트의 뒷면에는 테더벨트 장착홈이 구비되며, 테더벨트의 단부는 테더벨트 장착홈 내에 설치되고, 유아 카시트는 테더벨트 조임 감지 시스템을 더 포함하며, 테더벨트 조임 감지 시스템은, 테더벨트 장착홈 내에 설치되어 테더벨트의 단부와 배합되고, 테더벨트가 조여질 경우 테더벨트의 작용을 받아 신호를 발생하는 트리거 어셈블리; 및 트리거 어셈블리와 신호 연결되어 트리거 어셈블리의 신호를 모바일 기기에 송신하는 통신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테더벨트 조임 감지 시스템은 테더벨트의 조임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모바일 기기에 발송하여 모바일 기기를 통해 언제 어디서든 모니터링할 수 있어 유아 카시트 사용 시의 안전 성능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테더벨트 조임 감지 시스템 및 유아 카시트{TOP TETHER BELT TENSION MONITORING SYSTEM AND INFANT CAR SEAT}
본 고안은 유아 카시트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테더벨트 조임 감지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유아 카시트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유아 카시트는 ISOFIX 브라켓 및 LATCH 브라켓을 통해 차량 시트에 고정된다. LATCH 브라켓은 카시트의 테더벨트와 연결되어 카시트의 상부에 대해 고정 작용을 한다. 실제 장착 과정에서 테더벨트가 잘 조여졌는지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기기 또는 장치가 없기에 사용자는 테더벨트가 잘 조여지지 않았음을 발견하기 어렵다. 일단 테더벨트가 제대로 조여지지 않으면 차량 충돌이 발생할 경우 카시트가 흔들리기 쉬워 카시트 위의 유아가 다치게 된다.
선행 기술의 부족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고안의 첫 번째 목적은 유아 카시트의 테더벨트 조임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테더벨트 조임 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두 번째 목적은 테더벨트 조임 감지 시스템을 구비하는 유아 카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첫 번째 목적은 하기 기술적 해결수단을 사용하여 실현된다.
테더벨트 조임 감지 시스템은,
테더벨트와 유아 카시트의 연결 부분에 장착되고, 테더벨트가 조여질 경우 상기 테더벨트의 작용을 받아 신호를 발생하는 트리거 어셈블리; 및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와 신호 연결되어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의 신호를 모바일 기기에 송신하는 통신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는 유아 카시트의 뒷면에 설치되는 압력 센서와 트리거부를 포함하고, 테더벨트의 단부는 상기 트리거부와 연결되어 상기 테더벨트가 조여질 경우 상기 트리거부가 상기 압력 센서를 눌러 상기 압력 센서가 신호를 송신하게 한다.
또한, 상기 트리거부는 왈자버클이고, 상기 테더벨트의 단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트리거부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테더벨트 조임 감지 시스템은 상기 통신 어셈블리와 신호 연결되는 모바일 기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기기는 수신된 상기 통신 어셈블리의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상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본 고안의 두 번째 목적은 하기 기술적 해결수단을 사용하여 실현된다.
유아 카시트는 시트 및 테더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의 뒷면에는 테더벨트 장착홈이 구비되고, 상기 테더벨트의 단부는 상기 테더벨트 장착홈 내에 설치되며, 상기 유아 카시트는 테더벨트 조임 감지 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상기 테더벨트 조임 감지 시스템은, 상기 테더벨트 장착홈 내에 설치되어 상기 테더벨트의 단부와 배합되고, 상기 테더벨트가 조여질 경우 상기 테더벨트의 작용을 받아 신호를 발생하는 트리거 어셈블리; 및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와 신호 연결되어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의 신호를 모바일 기기에 송신하는 통신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는 압력 센서 및 트리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부는 상기 테더벨트 장착홈 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테더벨트의 단부는 상기 테더벨트 장착홈의 개구를 관통하여 상기 트리거부와 연결되고,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테더벨트 장착홈의 내벽에 설치되어 상기 테더벨트가 조여질 경우 상기 트리거부가 상기 압력 센서에 접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트리거부는 왈자버클이고, 상기 테더벨트의 단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트리거부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는 상기 테더벨트 장착홈의 내벽에 대칭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압력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시트의 뒷면에는 두 개의 이격 설치된 상기 테더벨트 장착홈이 구비되고, 상기 테더벨트의 양단은 각각 두 개의 상기 테더벨트 장착홈에 설치되며, 각각의 상기 테더벨트 장착홈 내에는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와 상기 통신 어셈블리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테더벨트 조임 감지 시스템은 상기 통신 어셈블리와 신호 연결되는 모바일 기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기기는 수신된 상기 통신 어셈블리의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상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상기 트리거부는 왈자버클이고, 상기 테더벨트의 단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트리거부와 연결된다.
선행기술에 비해 본 고안은 하기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구비한다.
(1) 본 고안에 따른 테더벨트 조임 감지 시스템은 테더벨트의 조임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감지 결과를 모바일 기기에 발송하여 모바일 기기를 통해 언제 어디서든 모니터링할 수 있어 유아 카시트 사용 시의 안전 성능을 향상시킨다.
(2) 본 고안은 구조가 간단하고 유아 카시트 및 테더벨트의 원래 구조를 거의 변화시키지 않기에 원가의 대폭 상승이 필요없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바람직한 실시예의 분해 모식도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용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바람직한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모바일 기기의 일 바람직한 실시예의 모식도이다.
이하, 도면 및 구체적인 실시양태를 결부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 전제하에 하기에서 설명되는 각 실시예 및 각 기술특징은 서로 임의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유아 카시트는 시트(1), 테더벨트(2) 및 테더벨트 조임 감지 시스템을 포함한다. 시트(1)의 뒷면에는 테더벨트 장착홈(10)이 구비되고, 테더벨트(2)의 단부(21)는 테더벨트 장착홈(10) 내에 설치되며, 테더벨트 조임 감지 시스템은 테더벨트(2)의 단부(21)의 조임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테더벨트 조임 감지 시스템은 트리거 어셈블리(31)와 통신 어셈블리(도면에서 미도시)를 포함한다. 트리거 어셈블리(31)는 테더벨트 장착홈(10) 내에 설치되어 테더벨트의 단부(21)와 배합되고, 테더벨트(2)가 조여질 경우 트리거 어셈블리(31)가 테더벨트(2)의 작용을 받아 신호를 발생한다. 통신 어셈블리는 트리거 어셈블리(31)와 신호 연결되어 트리거 어셈블리(31)의 신호를 모바일 기기(4)에 송신한다.
트리거 어셈블리(31)는 압력 센서(311) 및 트리거부(312)를 포함한다. 트리거부(312)는 테더벨트 장착홈(10) 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테더벨트의 단부(21)는 테더벨트 장착홈(10)의 개구를 관통하여 트리거부(312)와 연결된다. 트리거부(312)의 크기는 테더벨트 장착홈(10)의 개구의 크기보다 크고, 테더벨트(2)가 조여질 경우 테더벨트(2)가 트리거부(312)를 테더벨트 장착홈(10)의 개구 부분에 접촉시켜, 테더벨트(2)가 시트(1)를 고정시킨다. 압력 센서(311)는 테더벨트 장착홈(10)의 개구 부근의 내벽에 설치되어 테더벨트(2)가 조여질 경우 트리거부(312)가 압력 센서(311)에 접촉하여 압력 센서(311)가 압력을 받아 신호를 발생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트리거부(312)는 왈자버클이고 테더벨트의 단부(21)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트리거부(312)에 설치된다. 테더벨트(2)가 제대로 조여지지 않을 경우 사용자는 트리거부(312)를 이용하여 테더벨트(2)의 길이를 조절해 테더벨트(2)가 잘 조여지도록 한다.
통신 어셈블리는 프로세서 및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프로세서는 압력 센서(311)와 연결되어 압력 센서(311)가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처리한다.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된 정보는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모바일 기기(4)에 송신된다. 바람직하게, 무선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이다.
모바일 기기(4)는 휴대폰, 태블릿PC, 스마트워치 등 휴대가 용이한 스마트 전자 기기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4)는 디스플레이 모듈(41)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모듈(41)은 사용자가 관련 조작을 진행하도록 압력 센서의 데이터 및 스마트 분석 결과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트리거 어셈블리(31)는 테더벨트 장착홈(10)의 내벽에 대칭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압력 센서(311)를 포함하고, 두 개의 압력 센서(311)를 설치하는 것을 통해 테더벨트(2)가 힘을 받는 방향이 정상적인지의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두 개의 압력 센서(311)의 압력 수치 차이가 크지 않을 경우 테더벨트(2)가 기본적으로 테더벨트(2)의 방향을 따라 힘을 받는 것을 의미하고, 두 개의 압력 센서(311)의 압력 수치 차이가 클 경우 테더벨트(2)가 비교적 큰 편이가 발생하였음을 의미하기에, 이때 사용자는 테더벨트(2)의 연결 상황을 체크하여야 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시트(1)의 뒷면에는 두 개의 테더벨트 장착홈(10)이 구비되고, 두 개의 테더벨트 장착홈(10)은 시트(1)의 뒷면 상단에 이격 설치된다. 테더벨트(2)의 양단은 각각 두 개의 테더벨트 장착홈(10) 내에 설치된다. 각각의 테더벨트 장착홈(10) 내에는 모두 트리거 어셈블리(31)와 통신 어셈블리가 설치된다. 두 개의 통신 어셈블리는 각각의 압력 센서(311)의 데이터를 모바일 기기(4)에 송신하고, 압력 센서(311)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테더벨트(2)가 잘 조여졌는지 및 조임 정도가 어떠한지를 알 수 있다. 이밖에, 테더벨트(2)의 두 개의 단부(21)의 압력 센서(311)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테더벨트(2)가 대칭되게 힘을 받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4)에 디스플레이된 데이터에 따라, 사용자는 테더벨트(2)를 조절할 수 있고, 모바일 기기(4)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관찰하는 것을 통해 조절이 잘 되었는지 실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밖에, 테더벨트(2)는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조절가능하게 테더벨트 장착홈(10) 내에 장착될 수도 있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테더벨트(2)는 복수개의 밴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시트(1)의 뒷면에는 상응하게 복수개의 테더벨트 장착홈(10)이 구비된다.
상기 실시양태는 단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 이로써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가 본 고안의 기초상에서 진행한 임의의 실질적이지 않은 변화 및 대체는 모두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해야 할 것이다.
1: 시트 10: 테더벨트 장착홈
2: 테더벨트 21: 단부
31: 트리거 어셈블리 311: 압력 센서
312: 트리거부 4: 모바일 기기
41: 디스플레이 모듈.

Claims (8)

  1. 유아 카시트의 테더벨트의 조임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테더벨트 조임 감지 시스템으로서,
    테더벨트와 유아 카시트의 연결 부분에 장착되고, 상기 테더벨트가 조여질 경우 상기 테더벨트의 작용을 받아 신호를 발생하는 트리거 어셈블리; 및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와 신호 연결되어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의 신호를 모바일 기기에 송신하는 통신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는 상기 유아 카시트의 뒷면에 설치되는 압력 센서와 트리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테더벨트의 단부는 상기 트리거부와 연결되어 상기 테더벨트가 조여질 경우 상기 트리거부가 상기 압력 센서를 눌러 상기 압력 센서가 신호를 송신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벨트 조임 감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부는 왈(曰)자버클이고, 상기 테더벨트의 단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트리거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벨트 조임 감지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벨트 조임 감지 시스템은 상기 통신 어셈블리와 신호 연결되는 모바일 기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기기는 수신된 상기 통신 어셈블리의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상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벨트 조임 감지 시스템.
  4. 시트 및 테더벨트를 포함하는 유아 카시트로서,
    상기 시트의 뒷면에는 테더벨트 장착홈이 구비되고,
    상기 테더벨트의 단부는 상기 테더벨트 장착홈 내에 설치되며,
    상기 유아 카시트는 테더벨트 조임 감지 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상기 테더벨트 조임 감지 시스템은,
    상기 테더벨트 장착홈 내에 설치되어 상기 테더벨트의 단부와 배합되고, 상기 테더벨트가 조여질 경우 상기 테더벨트의 작용을 받아 신호를 발생하는 트리거 어셈블리; 및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와 신호 연결되어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의 신호를 모바일 기기에 송신하는 통신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는 압력 센서 및 트리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부는 상기 테더벨트 장착홈 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테더벨트의 단부는 상기 테더벨트 장착홈의 개구를 관통하여 상기 트리거부와 연결되고, 상기 압력 센서는 상기 테더벨트 장착홈의 내벽에 설치되어 상기 테더벨트가 조여질 경우 상기 트리거부가 상기 압력 센서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카시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부는 왈자버클이고, 상기 테더벨트의 단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트리거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카시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는 상기 테더벨트 장착홈의 내벽에 대칭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카시트.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뒷면에는 두 개의 이격 설치된 상기 테더벨트 장착홈이 구비되고,
    상기 테더벨트의 양단은 각각 두 개의 상기 테더벨트 장착홈에 설치되며,
    각각의 상기 테더벨트 장착홈 내에는 상기 트리거 어셈블리와 상기 통신 어셈블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카시트.
  8.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더벨트 조임 감지 시스템은 상기 통신 어셈블리와 신호 연결되는 모바일 기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기기는 수신된 상기 통신 어셈블리의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상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카시트.
KR2020180003353U 2017-07-21 2018-07-20 테더벨트 조임 감지 시스템 및 유아 카시트 KR20049169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20895498.1 2017-07-21
CN201720895498.1U CN207140871U (zh) 2017-07-21 2017-07-21 一种上拉带拉紧检测系统以及儿童安全座椅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272U true KR20190000272U (ko) 2019-01-30
KR200491694Y1 KR200491694Y1 (ko) 2020-05-21

Family

ID=61676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353U KR200491694Y1 (ko) 2017-07-21 2018-07-20 테더벨트 조임 감지 시스템 및 유아 카시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431332B1 (ko)
JP (1) JP3218277U (ko)
KR (1) KR200491694Y1 (ko)
CN (1) CN207140871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23038B (zh) * 2018-07-17 2021-04-13 宁波宝贝第一母婴用品有限公司 一种汽车儿童安全座椅智能控制方法
CN110103786A (zh) * 2018-07-17 2019-08-09 宁波宝贝第一母婴用品有限公司 一种具有安装提示功能的儿童安全座椅及其安装提示方法
CN109177830A (zh) * 2018-09-29 2019-01-11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具有报警系统的儿童安全座椅
CN109367450A (zh) * 2018-12-10 2019-02-22 上海沃雨电子科技有限公司 儿童座椅的上拉带安装到位提示装置
CN113306523B (zh) * 2020-02-26 2023-09-29 宝钜瑞士股份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及其肩带拉紧提示装置
CN114194084A (zh) 2020-09-17 2022-03-18 宝钜瑞士股份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
CN113002477A (zh) * 2021-05-10 2021-06-22 宁波宝贝第一母婴用品有限公司 安全带拉紧检测装置、安全带拉紧检测方法及安全座椅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28802A1 (en) * 2006-04-04 2007-10-04 Said Nakhla Harness tension sensor and crash occurrence sensor
JP2008296629A (ja) * 2007-05-29 2008-12-11 Takata Corp チャイルドシート連結装置及びチャイルドシート
US20150130605A1 (en) * 2013-11-11 2015-05-14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hild restraint monitoring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537952T3 (es) * 2004-06-07 2015-06-16 Delphi Technologies, Inc. Sistema de vigilancia de asiento infantil y método para determinar un tipo de asiento infantil
DE102004036781B4 (de) * 2004-07-29 2008-09-25 Hs Products Engineering Gmbh Kindersitz
US20130201013A1 (en) * 2007-12-14 2013-08-08 Cars-N-Kid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Notifying a Caregiver of the Condition of a Child in a Vehicular Child Safety Restrai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28802A1 (en) * 2006-04-04 2007-10-04 Said Nakhla Harness tension sensor and crash occurrence sensor
JP2008296629A (ja) * 2007-05-29 2008-12-11 Takata Corp チャイルドシート連結装置及びチャイルドシート
US20150130605A1 (en) * 2013-11-11 2015-05-14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hild restraint monito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694Y1 (ko) 2020-05-21
EP3431332A1 (en) 2019-01-23
CN207140871U (zh) 2018-03-27
EP3431332B1 (en) 2020-08-12
JP3218277U (ja) 201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0272U (ko) 테더벨트 조임 감지 시스템 및 유아 카시트
US8253786B2 (en) Site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ATE475156T1 (de) System zur unfallverhütung
US2013000606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lcohol Consumption Monitoring
WO2005120891A3 (en) Child seat and monitoring system
TW564650B (en) Passive communication device and passive access control system
TW200709803A (en) Physiological status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10583804B2 (en) Guide ring sensor
WO2007115301A3 (en) Harness tension sensor and crash occurrence sensor
KR102100466B1 (ko) 스마트 안전모
IT201800010043A1 (it) Centralina elettronica per cinturino di aggancio dei caschi motociclistici e ciclistici con funzionalita’ di sicurezza, emergenza e assistenza alla guida
CA2570525A1 (en) Tire management system
US11562636B2 (en) Child safety seat checking system, and child safety seat checking method
MY146944A (en) Methods for controlling apparatuses having an emergency alert function
DK201900106U3 (da) Sikkerhedssystem til at undgå at efterlade et barn i et motorkøretøj
EP1758022A3 (en) Single event functional interrupt detection method
KR20060111173A (ko) 차량의 운전자 졸음 방지 시스템 및 방법
CN113002477A (zh) 安全带拉紧检测装置、安全带拉紧检测方法及安全座椅
CN207600652U (zh) 汽车后盖压紧力检测装置
KR20140148073A (ko) 수신 초음파의 감도를 이용한 침입 검출 장치 및 방법
CN203659176U (zh) 摄影包防丢弃系统
CN205185977U (zh) 一种汽车儿童安全智能预警系统
CN205345002U (zh) 一种具有警报功能的婴儿车
CN216978217U (zh) 受力感应装置和智能设备
TW200622947A (en) Environment detecting system and its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