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1763B1 - 안전모 착용에 대한 스마트 안전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안전모 착용에 대한 스마트 안전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1763B1
KR102651763B1 KR1020230092813A KR20230092813A KR102651763B1 KR 102651763 B1 KR102651763 B1 KR 102651763B1 KR 1020230092813 A KR1020230092813 A KR 1020230092813A KR 20230092813 A KR20230092813 A KR 20230092813A KR 102651763 B1 KR102651763 B1 KR 102651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helmet
wearing
worker
signal
detec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2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성
오승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지쿼터스
서한정보통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지쿼터스, 서한정보통신(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지쿼터스
Priority to KR1020230092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17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8Chin straps or similar retention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2Manually actuated calamity alarm transmitting arrangements emergency non-personal manually actuated alarm, activators, e.g. details of alarm push buttons mounted on an infrastruc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모 착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작업자의 안전모 착용 여부를 감지하여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는 감지 모듈, 감지 모듈로부터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여 관제서버로 전달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벤트 신호를 기반으로 경고신호를 생성하여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관제서버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감지 모듈이 작업자가 턱끈을 착용함으로써 발생하는 미세전류를 통해 작업자의 안전모 착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감지수단에 의해 착용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적외선 센서를 통해서도 작업자의 안전모 착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작업환경에 적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두건을 착용하고 작업하는 경우에도 작업자의 안전모 착용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모 착용에 대한 스마트 안전관리시스템{SMART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WEARING SAFETY HELMET}
본 발명은 안전모 착용에 대한 스마트 안전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현장에서 작업자의 안전모 착용 여부를 감지 및 관리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안전모 착용에 대한 스마트 안전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토목, 조선, 플랜트 등 산업현장에는 각종 기기 및 구조물이 존재하고, 다수의 작업자가 배치되어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만큼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산업현장에서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작업자의 부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안전모, 안전화, 보안경 등의 안전장비 착용을 의무화하고 있다.
이러한 안전장비 중 안전모는 각종 기기 및 낙하물과의 충돌, 추락 및 감전 등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안전사고로부터 작업자의 머리 및 안면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안전모의 착용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따라서, 산업현장에는 관리자를 배치하여 작업자의 안전모 착용을 확인하고 관리하도록 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현장은 작업장의 특성상 작업공간이 넓고, 구조물에 의한 사각지대가 많기 때문에 모든 작업자의 안전모 착용 여부를 확인하고 관리기 어려우며, 현장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에 신속하게 대응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이를 위해 더 많은 관리자를 배치하는 경우 비용적인 손실이 발생하고 작업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선행문헌 1 및 선행문헌 2는 압력, 온도 및 자이로 센서 등을 통해 작업자의 안전모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동시에 작업자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안전모를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작업자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압전 센서가 포함된 접촉감지부가 턱끈에 구비되어 있어 착용성이 떨어지며, 이로 인해 작업자의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컨디션 및 신체조건, 현장의 작업환경에 따라 온도감지 센서가 센싱하는 작업자의 체온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착용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현장의 특성상 작업환경이 상이하므로 작업자 머리의 방위 변화 또는 체온을 통해 작업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이로 인해 비상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에 즉각적인 대응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1: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2100466호 (등록일:2020.04.07) 특허문헌2: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22-0164360호 (공개일:2022.12.13)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산업현장에서 작업자의 안전모 착용 여부를 감지 및 관리할 수 있는 안전모 착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안전모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에 의해 작업자의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작업자의 구조 지연으로 인해 위급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안전모의 내측에 미리 지정한 측정 거리(d) 이내의 물체를 감지하여 제 1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제 1 센서부, 안전모에 구비되고 작업자의 피부와 접하는 적어도 일 부분에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는 턱끈, 전도성 재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피부가 전도성 재질과 접함으로써 발생되는 미세전류를 감지해 제 2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제 2 센서부, 제 1 감지신호 및 제 2 감지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작업자의 안전모 착용 여부를 판별해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감지 모듈이 구비되는 안전모 착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안전모에 구비되어 비상 시 비상신호를 생성하는 비상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이벤트 신호 또는 비상신호를 작업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위성 통신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이벤트 신호 또는 비상신호를 전달받는 관제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제서버는 이벤트 신호 또는 비상신호를 전달받아 휴대용 단말기 또는 현장에 설치된 스피커에 경고음이 재생되도록 경고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턱끈에 구비되고,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는 미끌림 방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제 2 센서부는 미끌림 방지부재의 전도성 재질이 피부와 접함으로써 발생되는 미세전류를 감지해 제 2 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안전모는 브라켓이 더 구비되고, 감지 모듈은 브라켓에 탈부착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센서부는 적외선 센서로 구비되고, 미리 지정한 측정 거리(d)는 20mm 이내의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턱끈을 착용함으로써 발생되는 미세전류를 감지하여 착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감지수단에 의해 착용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턱끈의 미세전류를 감지하거나, 적외선 센서를 통하여 작업자의 안전모 착용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다양한 작업환경에서도 작업자의 안전모 착용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가 비상 시 비상버튼을 통해 구조요청을 할 수 있으므로, 현장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에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 착용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모듈이 안전모에 구비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 및 감지 모듈이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에 형성된 턱끈의 모습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 착용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 모듈(100)이 안전모(10)에 구비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감지 모듈(100), 비상버튼(200), 통신부(300), 휴대용 단말기(400) 및 관제서버(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감지 모듈(100)은 안전모(10) 착용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 1 센서부(110), 턱끈(140), 제 2 센서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하도록 구비되고, 현장에서 작업자가 안전모(10) 착용 시 안전모(10) 및 턱끈(140)의 정상적인 착용 여부를 감지하여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감지 모듈(100)은 안전모(10)에 탈 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어,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고 다양한 안전모(10)에 적용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안전모(10)의 일측에 구비되는 브라켓(600)을 더 포함하고, 감지 모듈(100)이 브라켓(600)에 결합됨으로써 안전모(10)에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감지 모듈(100)과 브라켓(600)은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브라켓(600)은 안전모(10)의 일측에 구비되고, 감지 모듈(100)의 적어도 일부가 브라켓(600)에 삽입되어 결합함으로써, 감지 모듈(100)이 안전모(10)에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
제 1 센서부(110)는 안전모(10)의 내측에 위치하는 물체를 감지하여 제 1 감지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세하게, 제 1 센서부(110)는 적외선 센서로 구비되고, 적외선 센서가 안전모(10)의 내측에 미리 지정한 측정 거리(d) 이내의 물체를 감지하여 제 1 감지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모(10) 착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제 1 센서부(110)는 작업자가 안전모(10) 착용 시 작업자의 얼굴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안전모(10)의 내측에 위치하는 물체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되, 작업자의 피부에 접촉하지 않고 작업자를 감지할 수 있는 적외선 센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외선 센서는 미리 지정한 측정 거리(d) 이내에 물체가 위치하는 경우에만 제 1 감지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안전모(10)의 정상적인 착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상세하게, 적외선 센서는 안전모(10)의 내측 방향으로 20mm 이내의 물체를 감지하여 제 1 감지신호를 생성하기 때문에, 제 1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작업자의 안전모(10) 착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 2 센서부(120)는 턱끈(140)이 작업자의 피부에 접함으로써 발생하는 미세전류를 감지해 제 2 감지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세하게, 제 2 센서부(120)와 턱끈(140)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 2 센서부(120)가 턱끈(140)으로부터 발생되는 미센전류를 감지함으로써, 작업자가 안전모(10) 착용 시 턱끈(140)을 정상적으로 착용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모(10)에 형성된 턱끈(140)의 모습을 확대한 사시도로, 도 4를 참조하면 턱끈(140)은 전도성 재질(f)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턱끈(140)은 비전도성 재질과 전도성 재질(f)로 복합 구성된 직물 또는 비전도성 재질에 전도성 테이프 등의 전도성 재질(f)이 부착된 직물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 2 센서부(120)는 턱끈(140)의 전도성 재질(f)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고, 턱끈(140)의 전도성 재질(f)이 작업자의 피부에 접함으로써 발생되는 미세전류를 감지함으로써 제 2 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4에서 턱끈(140)은 양면 중 작업자의 얼굴을 향하는 내측면에 테이프 형태의 전도성 재질(f)이 부착된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턱끈(140)이 작업자의 피부와 접촉함으로써 미세전류를 발생시키는 형상이면 충분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턱끈(140)에 구비되고, 전도성 재질(f)을 포함하는 미끌림 방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끌림 방지 부재는 턱끈(140)이 작업자의 피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피부와 접촉하여 미세전류를 발생시키고, 제 2 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 2 센서부(120)는 미끌림 방지 부재가 피부와 접촉함으로써 발생한 미세전류를 감지하여 제 2 감지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제 1 감지신호 및 제 2 감지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작업자의 안전모(10) 착용 여부를 판별하여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구성이다.
한편, 현장의 작업환경에 따라 작업자가 얼굴을 보호하거나 방한, 방열의 목적으로 불가피하게 두건 등을 착용한 상태에서 안전모(10)를 착용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두건 등에 의해 턱끈(140)이 작업자의 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을 수 있으며, 미세전류가 발생하지 않아 작업자의 안전모(10) 착용 여부를 판별하는데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제어부(130)가 제 1 감지신호와 제 2 감지신호 모두를 기반으로 작업자의 안전모(10) 착용 여부를 판별하는 제 1 제어모드, 또는 제 1 감지신호 또는 제 2 감지신호 중 하나를 기반으로 작업자의 안전모(10) 착용 여부를 판별하는 제 2 제어모드로 구동할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작업 환경이 서로 다른 다수의 작업자 각각에 적합한 제어모드로 설정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다양한 작업 현장에 적용 가능하다.
상세하게, 제 1 제어모드는 제어부(130)가 제 1 감지신호와 제 2 감지신호 모두를 기반으로 작업자의 안전모(10) 착용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적외선 센서가 안전모(10) 내측 방향으로 20mm 이내의 물체를 감지하여 생성하는 제 1 감지신호와, 턱끈(140)이 작업자의 피부에 접촉함으로써 발생하는 미세전류를 감지함으로써 생성되는 제 2 감지신호가 동시에 생성되었는지를 판별하고, 이를 기반으로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제어모드는 작업자가 두건 등 별도의 작업장비를 착용하지 않고 안전모(10)를 착용하는 경우에 구동하기 적합하며, 보다 정확하게 작업자의 안전모(10) 착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 2 제어모드는 제 1 감지신호 또는 제 2 감지신호 중 하나를 기반으로 작업자의 안전모(10) 착용 여부를 판별하는 것으로, 제어부(130)는 제 1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거나, 제 2 감지신호를 기반으로 이벤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작업자가 두건 등을 착용하고 안전모(10)를 착용하는 경우, 적외선 센서의 감지에 의해 생성되는 제 1 감지신호만을 기반으로 하여 작업자의 안전모(10) 착용 여부를 판별하고 이벤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안전모(10)의 외측에 브라켓(600)이 구비되고, 단면이 "L"형상인 감지 모듈(100)이 브라켓(600)에 결합하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안전모(10)에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어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한 크기 및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비상버튼(200)은 비상 시 비상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세하게, 비상버튼(200)은 안전모(10)에 구비되고, 비상 시 작업자가 비상버튼(200)을 작동시켜 비상신호를 생성함으로써 구조 요청을 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1에서는 비상버튼(200)이 통신부(300)로 비상신호를 전송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휴대용 단말기(400) 또는 관제서버(500)와 직접 연결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비상버튼(200)은 휴대용 단말기(400)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휴대용 단말기(400)로 비상신호를 직접 송신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비상버튼(200)은 관제서버(500)와 위통 통신으로 연결되어, 관제서버(500)가 비상버튼(200)으로부터 직접 비상신호를 수신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비상버튼(200)은 실시간으로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추적장치를 포함하고, 후술할 통신부(300), 휴대용 단말기(400) 및 관제서버(500)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정보를 무선 통신으로 송신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비상버튼(200)은 감지 모듈(100)과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브라켓(600)과 결합함으로써 안전모(10)에 부착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는, 비상버튼(200)과 감지 모듈(100)은 분리되어 각각 안전모(10)의 내측 또는 외측에 결합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통신부(300)는 이벤트 신호 또는 비상신호를 후술할 휴대용 단말기(400)로 전송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통신부(300)는 감지 모듈(100) 또는 비상버튼(200)으로부터 각각 이벤트 신호 또는 비상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이벤트 신호 또는 비상신호를 후술할 휴대용 단말기(4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300)는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이벤트 신호 또는 비상신호를 휴대용 단말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400)는 이벤트 신호 또는 비상신호를 관제서버(500)로 전송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세하게, 휴대용 단말기(400)는 통신부(300) 및 후술할 관제서버(500)와 무선 통신 가능한 수단으로서, 통신부(300)로부터 수신한 이벤트 신호 또는 비상신호를 관제서버(500)로 전송하고, 관제서버(500)로부터 전송된 경고신호를 수신하여 통신부(3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 휴대용 단말기(400)는 통신부(3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고, 관제서버(500)와 위성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휴대용 단말기(400)는 통신부(300) 및 관제서버(500)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폰(smart phone),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노트북, 태블릿 컴퓨터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400)는 후술할 관제서버(500)로부터 경고신호를 전달받아 경고문구 또는 경고음 중 적어도 하나를 재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또는 음향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관제서버(500)는 휴대용 단말기(400)로부터 이벤트 신호 또는 비상신호를 전달받아 휴대용 단말기(400) 또는 현장에 구비되는 스피커 등의 출력장치가 경고문구 또는 경고음을 재생하도록 경고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관제서버(500)는 이벤트 신호 또는 비상신호를 기반으로 작업자의 안전모(10) 착용 여부 또는 비상 상황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한 결과를 바탕으로 휴대용 단말기(400) 또는 현장에 구비되는 스피커 등의 출력수단에 경고신호를 전송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400) 또는 스피커 등의 출력수단을 통해 경고문구 또는 경고음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안전모 100: 감지 모듈
110: 제 1 센서부 120: 제 2 센서부
130: 제어부 140: 턱끈
200: 비상버튼 300: 통신부
400: 휴대용 단말기 500: 관제서버
600: 브라켓 f: 전도성 재질

Claims (7)

  1. 안전모(10)의 내측에 미리 지정한 측정 거리(d) 이내의 물체를 감지하여 제 1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제 1 센서부(110);
    상기 안전모(10)에 구비되고 작업자의 피부와 접하는 적어도 일 부분에 전도성 재질(f)을 포함하는 턱끈(140);
    상기 전도성 재질(f)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피부가 상기 전도성 재질(f)과 접함으로써 발생되는 미세전류를 감지해 제 2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제 2 센서부(120); 및
    상기 제 1 감지신호 및 상기 제 2 감지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작업자의 안전모(10) 착용 여부를 판별해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하는 감지 모듈(100)을 구비하고,
    상기 안전모(10)에 구비되어 비상 시 비상신호를 생성하는 비상버튼(200) 및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이벤트 신호 또는 상기 비상신호를 작업자의 휴대용 단말기(400)로 전송하는 통신부(300)를 더 포함하고,
    위성 통신을 통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400)로부터 상기 이벤트 신호 또는 상기 비상신호를 전달받는 관제서버(500)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센서부(110)는 적외선 센서로 구비되고,
    상기 미리 지정한 측정 거리(d)는 20mm이며,
    상기 제어부(130)는 제 1 감지신호와 제 2 감지신호 모두를 기반으로 작업자의 안전모(10) 착용 여부를 판별하는 제 1 제어모드, 또는 제 1 감지신호 또는 제 2 감지신호 중 하나를 기반으로 작업자의 안전모(10) 착용 여부를 판별하는 제 2 제어모드로 구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착용 관리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500)는 상기 이벤트 신호 또는 상기 비상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휴대용 단말기(400)에 또는 현장에 설치된 스피커에 경고음이 재생되도록 경고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착용 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턱끈(140)에 구비되고, 전도성 재질을 포함하는 미끌림 방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센서부(120)는 상기 미끌림 방지부재의 전도성 재질이 피부와 접함으로써 발생되는 미세전류를 감지해 상기 제 2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착용 관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는 브라켓(600)이 더 구비되고, 상기 감지 모듈(100)은 상기 브라켓(600)에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착용 관리 시스템.
  7. 삭제
KR1020230092813A 2023-07-18 2023-07-18 안전모 착용에 대한 스마트 안전관리시스템 KR102651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2813A KR102651763B1 (ko) 2023-07-18 2023-07-18 안전모 착용에 대한 스마트 안전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2813A KR102651763B1 (ko) 2023-07-18 2023-07-18 안전모 착용에 대한 스마트 안전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1763B1 true KR102651763B1 (ko) 2024-03-26

Family

ID=90472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2813A KR102651763B1 (ko) 2023-07-18 2023-07-18 안전모 착용에 대한 스마트 안전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176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548B1 (ko) * 2019-03-08 2019-12-06 주식회사 아이오티융복합연구소 안전모 착용 감지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안전모 및 이의 운용 방법
KR20200001785A (ko) * 2018-06-28 2020-01-07 한국도로공사 안전장치가 구비된 개인 보호구 및 그 운용방법
KR102100466B1 (ko) 2019-06-28 2020-04-13 주식회사 굳브로 스마트 안전모
KR20210094815A (ko) * 2020-01-22 2021-07-30 주식회사 헬티 개인 스마트 안전장비 일원화 및 데이터 관리시스템
US20210361018A1 (en) * 2019-01-12 2021-11-25 Herutu Electronics Corporation Apparatus for detecting wearing of body protection gear
KR102473116B1 (ko) * 2022-05-26 2022-12-01 주식회사 코브 인터내셔날 턱끈 체결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안전모
KR20220164360A (ko) 2021-06-04 2022-12-13 (주)와트 안전모용 착용자 감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안전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785A (ko) * 2018-06-28 2020-01-07 한국도로공사 안전장치가 구비된 개인 보호구 및 그 운용방법
US20210361018A1 (en) * 2019-01-12 2021-11-25 Herutu Electronics Corporation Apparatus for detecting wearing of body protection gear
KR102052548B1 (ko) * 2019-03-08 2019-12-06 주식회사 아이오티융복합연구소 안전모 착용 감지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안전모 및 이의 운용 방법
KR102100466B1 (ko) 2019-06-28 2020-04-13 주식회사 굳브로 스마트 안전모
KR20210094815A (ko) * 2020-01-22 2021-07-30 주식회사 헬티 개인 스마트 안전장비 일원화 및 데이터 관리시스템
KR20220164360A (ko) 2021-06-04 2022-12-13 (주)와트 안전모용 착용자 감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안전감시 시스템
KR102473116B1 (ko) * 2022-05-26 2022-12-01 주식회사 코브 인터내셔날 턱끈 체결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안전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88394B2 (ja) 着用式通信アセンブリおよび通信アセンブリ
KR102065976B1 (ko) 안전모 및 턱끈 정상착용 관리장치
EP2774502A1 (en) Shoe comprising sensors
KR102052548B1 (ko) 안전모 착용 감지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안전모 및 이의 운용 방법
KR102448783B1 (ko) 스마트 안전모 및 이를 이용한 안전모 착용 관리장치
US9998893B2 (en) Mobile function device
KR20120083946A (ko) 공사현장의 안전모 착용 관리장치
US11013288B2 (en) Integrated wireless head protection garment and harness
KR20100050002A (ko) 소방관 헬멧 및 그 제어방법
US20170332907A1 (en) Device for judging state of motion of a user
KR20180137515A (ko) 통합 열 생리적 스트레스 경고 디바이스
KR20200001785A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개인 보호구 및 그 운용방법
KR20130021060A (ko) 헬멧에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 모듈
GB2571118A (en) Eye wear-attachable safety communication apparatus, safety insurance method and a system
KR102333804B1 (ko) 스마트 안전모 및 스마트 안전모의 제어방법
KR102151978B1 (ko) 근로자 안전모 정상착용 모니터링 시스템
KR102651763B1 (ko) 안전모 착용에 대한 스마트 안전관리시스템
US11617407B2 (en) Helmet and sensor attachment structure
US11857339B2 (en) Headgear-type device for hazardous air quality warning and air quality improvement
KR102164508B1 (ko) 안전보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05608B1 (ko) 근로자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스마트 웨어러블 시스템
KR20180082856A (ko) 실시간으로 착용자의 정보를 전송하여 사고 예방 및 구조가 가능한 안전모
KR102618229B1 (ko) 안전모용 착용자 감지모듈을 이용한 안전감시 시스템
KR102582490B1 (ko) 안전 관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212994764U (zh) 一种安全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