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5396A - 작업자의 보호장비 착용 여부의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 - Google Patents

작업자의 보호장비 착용 여부의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5396A
KR20220135396A KR1020210040992A KR20210040992A KR20220135396A KR 20220135396 A KR20220135396 A KR 20220135396A KR 1020210040992 A KR1020210040992 A KR 1020210040992A KR 20210040992 A KR20210040992 A KR 20210040992A KR 20220135396 A KR20220135396 A KR 20220135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er
hard hat
detection module
object detection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준
Original Assignee
비앤피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앤피이노베이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앤피이노베이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0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5396A/ko
Publication of KR20220135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53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08B21/0208Combination with audio or video communication, e.g. combination with "baby phone"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8Chin straps or similar retention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업자의 안전모에 센서를 장착하는 것이 아니라 작업자가 착용하는 작업복이나 안전의복과 같은 의복에 장착되어 작업자가 안전모를 착용하였는지 턱끈을 체결하였는지 등의 감지를 정확하게 하고 작업자가 안전모의 착용 등을 정상적으로 유지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확한 모니터링과 그 결과에 따른 알람을 하도록 하는, 작업자의 보호장비 착용 여부의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작업자의 보호장비 착용 여부의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WHETHER WORKERS WEAR PROTECTIVE EQUIPMENT}
본 발명은 산업 현장 등에 있어서 현장의 위험 영역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안전모와 같은 보호장비를 제대로 착용하였는지 감지하여 그 감지 결과에 따라 작업자에게 알람을 제공하도록 하는 작업자의 보호장비 착용 여부의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이나 산업현장에서는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성이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작업자를 보호하고 안전을 담보하기 위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항상 안전모 등의 개인보호장비를 착용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안전모는 산업현장 등에서 작업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보호장비이며, 작업자가 산업현장 등에서 반드시 안전모를 착용하도록 하기 위한 여러 가지 기술적인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광범위한 작업 현장에서 다수의 작업자 각자가 안전모를 착용하고 있는지 일일이 확인하는 것은 상당히 번거롭고 비효율적이며, 현장에 대한 영상 모니터링 등을 통해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은 작업자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것도 상당히 어렵고 정확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또한, 작업자에 따라 안전모를 착용하더라도 턱끈을 체결하지 않은 경우도 상당수 존재할 수 있는 바, 안전모를 착용하였지만 턱끈을 체결하지 않으면 안전모사 쉽게 분리되어 버릴 수 있는 위험성이 있으므로, 이 역시 상당히 위험한 것이기 때문에 안전모를 착용한 작업자들 중에서도 턱끈을 제대로 체결하였는지 감지하는 것 역시 안전모 감지에 있어서 상당히 중요한 부분이다.
그러나, 작업자들이 안전모를 착용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모니터링을 하더라도 턱끈을 체결하였는지 여부까지 확인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작업자가 보호장비를 정상적으로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기술과 관련한 선행기술로서 특허출원 제10-2019-0089502호, 특허출원 제10-2009-0033242호, 특허출원 제10-2018-0092210호 등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한 선행기술들은 가속도 센서 등의 관성센서를 이용하거나 포토다이오드와 같은 광센서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안전모를 정상적으로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안전모를 착용한 상태에서 턱끈을 체결하였는지 여부까지 감지하도록 하는 기술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들은 안전모 등의 착용을 감지하는 센서를 안전모의 일측에 장착하거나 턱끈에 설치하여, 작업자가 안전모를 불량 착용하였거나 턱끈을 불량 체결하는 등을 주로 감지하는 기술에 대해 개시하고 있을 뿐, 작업자가 처음부터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를 전혀 감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한 선행기술들은 안전모에 센서가 장착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안전모를 처음부터 착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한 선행기술들은 전혀 의미 없는 기술이 되어 버리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업자의 안전모에 센서를 장착하는 것이 아니라 작업자가 착용하는 작업복이나 안전의복과 같은 의복에 장착되어 작업자가 안전모를 착용하였는지 턱끈을 체결하였는지 등의 감지를 정확하게 하고 작업자가 안전모의 착용 등을 정상적으로 유지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확한 모니터링과 그 결과에 따른 알람을 하도록 하는, 작업자의 보호장비 착용 여부의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의 보호장비 착용 여부의 감지장치는, 작업자의 의복에 장착되어 상기 작업자의 머리 쪽을 향하는 화각으로 영상을 취득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가 취득한 영상으로부터 안전모에 해당하는 객체의 검출을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객체검출모듈; 상기 작업자에게 음성 안내를 하거나 알람을 제공하는 알람부; 및 상기 객체검출모듈에 의해 상기 안전모에 해당하는 객체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알람부를 제어하여 상기 작업자에게 안전모를 착용할 것을 경고하는 음성 안내 또는 알람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객체검출모듈은, 학습된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가 취득한 영상으로부터 객체를 인식하는 인공지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객체검출모듈은, 서로 다른 시점에 각각 촬영된 복수의 영상에 대한 비교를 통해 객체를 검출하는 영상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검출모듈에 의해 상기 안전모에 해당하는 객체가 검출된 경우, 상기 객체검출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영상으로부터 턱끈에 해당하는 객체의 검출을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검출모듈에 의해 상기 안전모에 해당하는 객체가 검출된 후, 상기 턱끈이 착용되었는지 감지하여 상기 턱끈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알람부를 제어하여 상기 작업자에게 턱끈을 체결할 것을 경고하는 음성 안내 또는 알람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의 보호장비 착용 여부의 감지방법은, 작업자의 의복에 장착된 카메라에 의해 상기 작업자의 머리 쪽을 향하는 화각으로 영상이 취득되는 단계; 상기 카메라가 취득한 영상으로부터 안전모에 해당하는 객체의 검출을 위한 프로세스가 객체검출모듈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 상기 객체검출모듈에 의해 상기 안전모에 해당하는 객체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알람부에 의해 상기 작업자에게 안전모를 착용할 것을 경고하는 음성 안내 또는 알람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객체검출모듈에 의해 상기 안전모에 해당하는 객체가 검출된 경우, 상기 객체검출모듈에 의해 상기 안전모에 연결된 턱끈에 해당하는 객체의 검출을 위한 프로세스가 수행되는 단계; 및 상기 객체검출모듈에 의해 상기 턱끈에 해당하는 객체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알람부에 의해 상기 작업자에게 턱끈을 체결할 것을 경고하는 음성 안내 또는 알람이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의 보호장비 착용 여부의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은, 작업자의 안전모에 센서를 장착하는 것이 아니라 작업자가 착용하는 작업복이나 안전의복과 같은 의복에 장착되어 작업자가 안전모를 착용하였는지 턱끈을 체결하였는지 등의 감지를 정확하게 하고 작업자가 안전모의 착용 등을 정상적으로 유지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확한 모니터링과 그 결과에 따른 알람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작업자가 작업장에서 반드시 착용하여야 할 의복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장치가 장착되어 작업자가 안전모를 착용했는지, 턱끈을 체결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의 보호장비 착용 여부의 감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의 보호장비 착용 여부의 감지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의 보호장비 착용 여부의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건설 현장, 공사 현장, 산업 현장 등과 같은 작업 현장에서 작업자가 작업장에서 반드시 착용하여야 하는 보호장비로서 안전모가 작업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있는지 여부와 안전모의 턱끈이 체결되어 있는지 여부 등을 감지하고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감지장치와 감지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작업자가 작업장에서 반드시 착용하여야 할 의복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장치가 장착되어 작업자가 안전모를 착용했는지, 턱끈을 체결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의 (a) 내지 (c)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의 보호장비 착용 여부의 감지장치는, 작업자가 작업장에서 반드시 착용하여야 하는 작업복, 안전조끼 등과 같은 의복(SC)의 상부 쪽에 장착되는 카메라(100)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머리(HD)를 감지하여 작업자가 안전모(150)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또한 작업자가 안전모(150)를 착용한 후 턱끈(160)을 체결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작업자의 의복(SC)의 상부 쪽에 장착되는 카메라(100)는 작업자의 머리(HD) 쪽을 향하는 화각으로 영상을 취득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카메라(100)는 의복(SC)에 설치되는 지지구(11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지지구(110)는 카메라(100)가 작업자의 머리(HD) 쪽을 향하도록 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의 (a)는 작업자가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이고, 도 1의 (b)는 작업자가 안전모를 착용하였지만 턱끈을 체결하지 않은 상태이며, 도 1의 (c)는 작업자가 안전모를 착용하고 턱끈도 체결한 상태이다.
도 1의 (a) 내지 (c) 각각의 경우에 카메라(100)가 작업자의 머리 쪽으로 향하는 화각으로 취득하는 영상은 서로 다를 수밖에 없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장치는 상기한 각각의 경우마다 취득되는 영상으로부터 안전모에 해당하는 객체와 턱끈에 해당하는 객체를 각각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의 보호장비 착용 여부의 감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인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의 보호장비 착용 여부의 감지장치는 카메라(100), 객체검출모듈(200), 알람부(400), 통신부(500) 및 제어부(300) 등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00)는 일반적으로 디지털 카메라에 이용되는 CCD 이미지 센서나 CMOS를 이용한 영상 취득 장치일 수 있으며 컬러 영상을 취득할 수 있는 카메라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객체검출모듈(200)은 상기 카메라(100)가 취득한 영상으로부터 안전모에 해당하는 객체의 검출을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구성요소인데, 상기 객체검출모듈(200)은 학습된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가 취득한 영상으로부터 객체를 인식하는 인공지능모듈로서 구현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시점에 각각 촬영된 복수의 영상에 대한 비교를 통해 객체를 검출하는 영상처리모듈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한 객체검출모듈로서의 인공지능모듈은 작업자의 몸통 쪽에서 머리 쪽으로 올려다보는 방향으로 촬영한 영상 상의 객체들을 미리 설정된 딥러닝 모델에 의해 학습하고 그에 따라 안전모에 해당하는 객체를 추론하여 검출하고, 또한 안전모에 연결된 턱끈에 해당하는 객체를 추론하여 검출하는 모듈로서 구성될 수 있다.
작업자의 얼굴 아래 쪽에서 올려다보는 뷰는 작업자에 따라, 화각에 따라, 안전모의 형태나 종류 등에 따라 상당히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그와 같이 다양하게 나타나는 영상에서 안전모와 턱끈을 효과적으로 검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영상에 의해 학습된 모델을 통해 검출하고자 하는 객체를 추론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인공지능모듈은 영상을 통해 안전모와 턱끈에 대한 객체의 검출 프로세스를 수행할 때마다 추가로 학습을 함으로써 어떠한 형태나 어떠한 상태에서도 안전모와 턱끈에 대한 검출을 점점 더 정확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영상으로부터 안전모와 턱끈과 같은 객체를 검출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객체검출모듈(200)을 인공지능모듈이 아닌 영상처리모듈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한데, 상기 영상처리모듈은 작업자가 안전모를 착용하기 전의 상태에 대한 영상을 레퍼런스 영상으로 저장하고 있다가 그 이후의 영상을 타깃 영상으로서 취득하여, 상기 레퍼런스 영상과 타깃 영상을 비교하여 안전모를 착용하였는지, 턱끈을 체결하였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알람부(400)는 경고음을 출력하는 사운드 모듈일 수도 있고, 미리 녹음된 안내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모듈일 수도 있으며, TTS(Text To Speech) 방식으로 음성을 출력하는 모듈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어부(300)는 카메라(100)를 통해 취득한 영상으로부터 객체검출모듈(200)이 안전모에 해당하는 객체를 검출하지 못한 경우, 상기 알람부(400)를 제어하여 안전모 미착용에 대한 경고음을 경고 알람으로서 출력하도록 하거나 안전모를 미착용하였음을 안내하는 음성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턱끈에 해당하는 객체를 검출하지 못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알람부(400)가 경고음이나 음성 안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카메라(100)를 통해 취득한 영상으로부터 객체검출모듈(200)이 안전모에 해당하는 객체를 검출한 경우나 턱끈에 해당하는 객체를 검출한 경우, 상기 알람부(400)를 제어하여 안전모를 정상 착용하였다는 안내 음성을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통신부(500)는 작업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단말기(스마트폰이나 무전기 등)와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서로 통신할 수 있는 모듈일 수도 있고, 관제센터와 데이터 통신을 하는 모듈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카메라(100)를 통해 취득한 영상으로부터 객체검출모듈(200)이 안전모에 해당하는 객체를 검출하지 못하거나 턱끈에 해당하는 객체를 검출하지 못한 경우, 제어부(300)는 상기 통신부(500)를 통해 작업자가 소지하는 모바일 단말기로 안전모 미착용이나 턱끈 미체결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작업자에게 안전모 미착용이나 턱끈 미체결 사실을 알리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부(500)를 통해 관제센터로 안전모 미착용 작업자가 있다는 정보를 전달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의 보호장비 착용 여부의 감지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의복에 장착된 카메라가 작업자의 머리 쪽을 향하는 화각으로 영상을 취득하고, 객체검출모듈이 인공지능에 의해 또는 영상분석에 의해 상기 카메라가 취득한 영상으로부터 안전모/턱끈에 해당하는 객체의 검출을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하는데, 이때 객체검출모듈에 의해 안전모/턱끈에 해당하는 객체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알람부에 의해 작업자에게 안전모를 착용할 것을 경고하는 음성 안내 또는 알람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고, 작업자의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서도 작업자에게 경고를 할 수 있으며, 관제센터로 안전모 미착용 작업자에 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의 보호장비 착용 여부의 감지장치는 안전모나 턱끈 자체에 센서가 장착되는 것이 아니라, 작업자의 의복에 장착된 카메라가 작업자의 머리 쪽을 향하는 화각으로 취득하는 영상을 이용하여 작업자의 안전모 미착용 여부, 턱끈 미체결 여부를 감지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처음부터 안전모를 미착용하거나 턱끈을 미체결하는 경우까지도 감지하여 작업자에게 알람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 안전모나 턱끈 자체에 센서를 장착하는 경우보다 더욱 다양한 경우까지도 작업자의 안전모 착용 여부 등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특장점이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플로우차트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의 보호장비 착용 여부의 감지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의 의복에 장착된 카메라에 의해 작업자의 머리 쪽을 향하는 화각으로 영상을 취득한다(S110).
이와 같이 카메라가 취득하는 영상으로부터 객체검출모듈이 안전모에 해당하는 객체를 검출하는데, 예컨대 객체검출모듈로서 인공지능모듈이 학습된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취득된 영상으로부터 안전모에 해당하는 객체를 추론할 수 있다(S120).
즉, 인공지능모듈은 상당한 수의 영상을 통해 학습한 것을 이용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카메라가 취득한 영상에서 어느 객체가 사람의 얼굴에 해당하는 객체인지, 어느 객체가 안전모에 해당하는 객체인지 등을 추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공지능모듈이 영상으로부터 안전모 객체를 검출한 경우(S130)에는, 제어부는 작업자가 안전모를 착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그 다음 단계로 작업자가 턱끈을 체결하였는지 감지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객체검출모듈로서 인공지능모듈은 영상으로부터 안전모를 검출한 경우, 학습한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으로부터 턱끈에 해당하는 객체를 추론할 수 있으며(S140), 턱끈의 객체를 검출한 경우(S150), 제어부는 작업자가 안전모와 턱끈을 모두 착용하였음을 인증할 수 있다(S160).
작업자가 안전모와 턱끈을 모두 정상적으로 착용한 경우, 제어부는 카메라와 객체검출모듈을 이용하여 영상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작업자가 안전모와 턱끈을 정상적으로 착용하고 있는지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S170).
만약, S130 단계에서 인공지능모듈이 영상으로부터 안전모 객체를 검출하지 못한 경우에는, 제어부는 작업자가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알람부를 제어하여 안전모 미착용에 대한 경고 알람을 하거나 음성안내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S132).
그런데, 인공지능모듈에 의해 안전모 객체의 검출이 정확하게 이루어졌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제어부는 작업자에게 안전모를 착용하였는지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는 인공지능모듈이 영상으로부터 안전모에 해당하는 객체를 검출하지 못한 경우, 일단 작업자에게 경고 알람 등을 하면서 작업자의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할 수 있다(예컨대, 착용하였다는 버튼과 착용하지 않았다는 버튼을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작업자가 안전모를 착용한 것이라는 버튼을 누를 경우, 작업자가 안전모를 착용하였는데도 인공지능모듈이 이를 검출하지 못한 것이므로(S134), 제어부는 작업자가 안전모를 착용한 것으로 판단하고 S140 단계(턱끈 객체의 검출)를 진행할 수 있으며, 인공지능모듈은 해당 영상에 안전모 객체가 포함되어 있다는 점에 대해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S136). 이와 같이 학습을 통해 인공지능모듈의 안전모 객체 검출의 정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한편, 턱끈에 대해서도 인공지능모듈이 객체 검출을 정확하게 하였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았을 수도 있으므로, 제어부는 작업자에게 턱끈을 체결하였는지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는 인공지능모듈이 영상으로부터 턱끈에 해당하는 객체를 검출하지 못한 경우, 일단 작업자에게 경고 알람 등을 하면서(S152) 작업자의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턱끈을 체결하지 않았는지 확인하는 질의를 할 수 있다(예컨대, 체결하였다는 버튼과 체결하지 않았다는 버튼을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작업자가 턱끈을 체결한 것이라는 버튼을 누를 경우, 작업자가 턱끈을 체결하였는데도 인공지능모듈이 이를 검출하지 못한 것이므로(S154), 제어부는 작업자가 턱끈을 체결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인공지능모듈은 해당 영상에 턱끈 객체가 포함되어 있다는 점에 대해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S156). 이와 같이 학습을 통해 인공지능모듈의 턱끈 객체 검출의 정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작업자의 의복에 장착된 카메라에 의해 작업자의 머리 쪽을 향하는 화각으로 영상을 취득하고, 인공지능모듈이 그 영상으로부터 안전모에 해당하는 객체의 검출을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하여 영상에서 안전모에 해당하는 객체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알람부가 작업자에게 안전모를 착용할 것을 경고하는 음성 안내 또는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작업자가 안전모를 착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안전모 착용을 감지하지 못하였다면 인공지능모듈은 그 영상을 통해 안전모 객체에 대해 학습하여 안전모 객체 검출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만약, 인공지능모듈이 영상으로부터 안전모에 해당하는 객체를 검출하였다면, 다음으로 영상에서 턱끈에 해당하는 객체의 검출을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만약, 인공지능모듈이 영상으로부터 턱끈에 해당하는 객체를 검출하였다면, 작업자가 정상적으로 안전모와 턱끈을 착용한 것으로 인정할 수 있으며, 만약 턱끈에 해당하는 객체를 검출하지 못한 경우(체결된 상태의 턱끈에 해당하는 객체를 검출하지 못한 경우), 알람부가 작업자에게 턱끈을 체결할 것을 경고하는 음성 안내 또는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작업자가 턱끈을 체결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턱끈 체결을 감지하지 못하였다면 인공지능모듈은 그 영상을 통해 턱끈 객체에 대해 학습하여 검출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의 보호장비 착용 여부의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은, 작업자의 안전모에 센서를 장착하는 것이 아니라 작업자가 착용하는 작업복이나 안전의복과 같은 의복에 장착되어 작업자가 안전모를 착용하였는지 턱끈을 체결하였는지 등의 감지를 정확하게 하고 작업자가 안전모의 착용 등을 정상적으로 유지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확한 모니터링과 그 결과에 따른 알람을 할 수 있는 특장점이 있다.
100: 카메라, 150: 안전모
160: 턱끈, 200: 객체검출모듈
300: 제어부, 400: 알람부

Claims (6)

  1. 작업자의 의복에 장착되어 상기 작업자의 머리 쪽을 향하는 화각으로 영상을 취득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가 취득한 영상으로부터 안전모에 해당하는 객체의 검출을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객체검출모듈;
    상기 작업자에게 음성 안내를 하거나 알람을 제공하는 알람부; 및
    상기 객체검출모듈에 의해 상기 안전모에 해당하는 객체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알람부를 제어하여 상기 작업자에게 안전모를 착용할 것을 경고하는 음성 안내 또는 알람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작업자의 보호장비 착용 여부의 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검출모듈은,
    학습된 딥러닝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가 취득한 영상으로부터 객체를 인식하는 인공지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의 보호장비 착용 여부의 감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검출모듈은,
    서로 다른 시점에 각각 촬영된 복수의 영상에 대한 비교를 통해 객체를 검출하는 영상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의 보호장비 착용 여부의 감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검출모듈에 의해 상기 안전모에 해당하는 객체가 검출된 경우, 상기 객체검출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영상으로부터 턱끈에 해당하는 객체의 검출을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의 보호장비 착용 여부의 감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객체검출모듈에 의해 상기 안전모에 해당하는 객체가 검출된 후, 상기 턱끈이 착용되었는지 감지하여 상기 턱끈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알람부를 제어하여 상기 작업자에게 턱끈을 체결할 것을 경고하는 음성 안내 또는 알람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의 보호장비 착용 여부의 감지장치.
  6. 작업자의 의복에 장착된 카메라에 의해 상기 작업자의 머리 쪽을 향하는 화각으로 영상이 취득되는 단계;
    상기 카메라가 취득한 영상으로부터 안전모에 해당하는 객체의 검출을 위한 프로세스가 객체검출모듈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
    상기 객체검출모듈에 의해 상기 안전모에 해당하는 객체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알람부에 의해 상기 작업자에게 안전모를 착용할 것을 경고하는 음성 안내 또는 알람이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객체검출모듈에 의해 상기 안전모에 해당하는 객체가 검출된 경우, 상기 객체검출모듈에 의해 상기 안전모에 연결된 턱끈에 해당하는 객체의 검출을 위한 프로세스가 수행되는 단계; 및
    상기 객체검출모듈에 의해 상기 턱끈에 해당하는 객체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알람부에 의해 상기 작업자에게 턱끈을 체결할 것을 경고하는 음성 안내 또는 알람이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작업자의 보호장비 착용 여부의 감지방법.
KR1020210040992A 2021-03-30 2021-03-30 작업자의 보호장비 착용 여부의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 KR202201353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992A KR20220135396A (ko) 2021-03-30 2021-03-30 작업자의 보호장비 착용 여부의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992A KR20220135396A (ko) 2021-03-30 2021-03-30 작업자의 보호장비 착용 여부의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396A true KR20220135396A (ko) 2022-10-07

Family

ID=83595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992A KR20220135396A (ko) 2021-03-30 2021-03-30 작업자의 보호장비 착용 여부의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539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6339B1 (ko) * 2023-06-29 2024-02-14 주식회사 서경산업 안전 구역 활성화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6339B1 (ko) * 2023-06-29 2024-02-14 주식회사 서경산업 안전 구역 활성화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2669B1 (ko) 작업장 사고방지를 위한 스마트웨어 시스템
KR102185224B1 (ko) 작업자와 작업환경의 모니터링이 가능한 헬멧 및 이를 이용한 작업현장 모니터링 시스템
TWI656456B (zh) 集成智能頭戴式設備
KR101340008B1 (ko) 헬멧에 탈부착 가능한 스마트 모듈
US20150248826A1 (en) Operator system for a machine
KR102295308B1 (ko) 신체 착용형 안전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고 방지 제어방법
US8212211B2 (en) System for protecting and/or guiding persons in dangerous situations
KR102061561B1 (ko) 스마트 안전모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 관리 시스템
KR20100106776A (ko) 안전모 착용 비전 감시 시스템 및 방법
CN107359889A (zh) 基于物联网的消防人员定位系统
JP2010185155A (ja) 指標投射手段付きヘルメット
CN209915106U (zh) 一种头盔佩戴监测装置及安全监测系统
KR20220135396A (ko) 작업자의 보호장비 착용 여부의 감지장치 및 감지방법
US20190133239A1 (en) Integrated wireless head protection garment and harness
CN106875650A (zh) 安全装置及工具
KR102443785B1 (ko) 감시 시스템
KR20210133071A (ko) 스마트 안전 의복 및 그 제어방법
CN113243606A (zh) 具备远程通信功能的防护安全帽及安全管理方法
KR102204640B1 (ko) 안전 자동감지 시스템
KR102025379B1 (ko) 건설현장의 작업자 안전관리용 웨어러블 장치
KR20190029103A (ko) 안전모 부착형 웨어러블 기기로서, 안전모에 부착하여 인원관리 및 안전관리를 할 수 있게 만드는 장치.
JP2020002514A (ja) ヘルメット
KR20180082856A (ko) 실시간으로 착용자의 정보를 전송하여 사고 예방 및 구조가 가능한 안전모
KR101580317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자세 인식 장치
KR102582490B1 (ko) 안전 관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