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8994B1 - 시야 차단식 강제 체결 안전모 - Google Patents

시야 차단식 강제 체결 안전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8994B1
KR101408994B1 KR1020130084661A KR20130084661A KR101408994B1 KR 101408994 B1 KR101408994 B1 KR 101408994B1 KR 1020130084661 A KR1020130084661 A KR 1020130084661A KR 20130084661 A KR20130084661 A KR 20130084661A KR 101408994 B1 KR101408994 B1 KR 101408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hin strap
blocking plate
wear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4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성
Original Assignee
김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성 filed Critical 김규성
Priority to KR1020130084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89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8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8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8Chin straps or similar reten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4Suspension devices
    • A42B3/147Anchoring mean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턱끈을 착용해야만 정상적인 착모가 가능한 시야 차단식 강제 체결 안전모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야 차단식 강제 체결 안전모는, 착용자의 두부를 감싸는 모체; 및 상기 모체의 내측에 결합되고, 턱끈의 체결에 따라 상기 착용자의 시야를 차단 또는 개방할 수 있는 시야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야 차단식 강제 체결 안전모{SIGHT BLOCKING-TYPE FORCED FASTENING SAFETY HELMET}
본 발명은 시야 차단식 강제 체결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 현장 등에서 안전 사고 방지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시야 차단식 강제 체결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공장이나 건설 공사 현장 등에서 발생하는 각종 안전 사고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나, 낙하물에 의한 사고 또는 추락사고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안전 사고에 의해 가장 치명적인 부상 및 주요 사망 원인은 머리의 충격에 의한 사고이다.
안전모는 공장이나 건설 공사 현장 등에서 각종 안전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근로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모자이다. 산업안전보건법상 근로자의 의무 사항에 따라 근로자는 반드시 안전모를 착용하도록 규정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장에서 일하는 모든 근로자들은 안전모를 착용한다.
하지만, 많은 근로자들은 불편하거나 번거롭다는 이유로 안전모를 착용하지 않거나, 착용하는 경우에도 턱끈을 고정시키지 않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턱끈을 고정시키지 않는 경우에 안전 사고 시 안전모가 벗겨져 머리 부상이 발생할 수 있고, 특히 근로자의 추락시에 안전모가 쉽게 벗겨지므로 사상률을 높이는 주요인이 된다. 따라서, 인명 손실 및 부상 증가로 인하여 작업 공정의 차질이 발생은 물론 사회적 손실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 현장에서는 안전모 착용 시에 반드시 턱끈을 고정하도록 하여 사상률을 줄이고자 하고 있고, 안전 교육을 강화하고 있으나 많은 인원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에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다. 예를 들어 현장 관리 감독의 안전모 턱끈의 미고정 지적에도 형식적인 조치 흉내만 낼 뿐인 경우가 많다. 또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외국의 사례와 같이 규정 위반 시에 벌금을 부과하는 페널티를 적용하기에 우리나라 현실에서 시행이 어려운 실정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안전모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낙하물이나 구조물과의 충돌 시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모체(10),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모체의 내측에 결합되는 충격 흡수재(20), 모체의 내면 둘레에 설치되어 착용자의 머리 둘레에 밀착되는 머리 고정대(30), 착용자 머리의 정수리를 감싸 지지하는 머리 받침끈(15), 및 머리 고정대(30)의 후 측에서 착용자의 후두부를 지지하여 착용자의 머리 둘레에 밀착되도록 하는 안전모 조절대(40) 및 착용자의 턱을 감싸 밀착되어 착용자의 머리로부터 안전모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턱끈(55)을 포함한다.
종래의 안전모에 따르면, 작업자의 두부를 보호하여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나, 턱끈을 고정하지 않는 경우에 안전모가 쉽게 벗겨져 안전모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턱끈을 착용해야만 정상적인 착모가 가능한 시야 차단식 강제 체결 안전모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야 차단식 강제 체결 안전모는, 착용자의 두부를 감싸는 모체; 및 상기 모체의 내측에 결합되고, 턱끈의 체결에 따라 상기 착용자의 시야를 차단 또는 개방할 수 있는 시야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야 차단부는, 상기 모체의 내면을 따라 형성되는 턱끈 가이드; 상기 모체의 내면을 따라 형성되는 차단판 가이드; 상기 차단판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고, 불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차단판; 와이어에 의해 상기 차단판과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턱끈 가이드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차단판과 함께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딩 턱끈; 및 상기 모체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턱끈과 잠금부에 의해 체결될 수 있는 고정 턱끈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모가 상기 착용자에게 착용되어 상기 잠금부가 체결되는 경우에 상기 차단판은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착용자의 시야를 개방하며, 상기 안전모가 상기 착용자에게 착용되나 상기 잠금부가 체결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차단판은 하강하여 상기 착용자의 시야를 차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턱끈 가이드는, 상기 모체를 따라 휘어진 판형상을 가지는 턱끈 가이드 판; 및 상기 가이드 판의 양 모서리로부터 상기 모체를 향하여 각각 수직으로 연장되는 턱끈 가이드 벽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판 가이드는, 상기 모체를 따라 휘어진 판형상을 가지는 차단판 가이드 판; 및 상기 가이드 판의 양 모서리로부터 상기 모체를 향하여 각각 수직으로 연장되는 차단판 가이드 벽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턱끈은 상기 턱끈 가이드 내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차단판은 상기 차단판 가이드 내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서로 마주보는 상기 차단판 가이드 벽에는 슬릿(Slit) 형상으로 관통되는 슬라이딩 유도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차단판의 양측에는 슬라이딩 유도공 결합부가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유도공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라이딩 턱끈과 상기 차단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방향을 전환해 줄 수 있는 방향 전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턱끈 가이드와 상기 차단판 가이드 사이의 관통공을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착용자의 두부를 둘레를 감싸 지지할 수 있는 오버 헤드 밴드; 및 상기 모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착용자의 머리 둘레에 밀착되어 지지할 수 있는 링 형상의 헤드 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야 차단식 강제 체결 안전모는, 턱끈을 착용하여 고정시키지 않는 경우에 착용자가 시야를 확보할 수 없으므로 정상적인 착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근로자가 턱끈을 강제적으로 고정시키도록 유도할 수 있어 안전모가 쉽게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한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안전모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야 차단식 강제 체결 안전모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야 차단식 강제 체결 안전모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야 차단식 강제 체결 안전모의 정면 투영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야 차단식 강제 체결 안전모의 측면 투영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야 차단식 강제 체결 안전모의 차단판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야 차단식 강제 체결 안전모의 턱끈 미착용 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야 차단식 강제 체결 안전모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야 차단식 강제 체결 안전모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야 차단식 강제 체결 안전모의 정면 투영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야 차단식 강제 체결 안전모의 측면 투영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야 차단식 강제 체결 안전모는 모체(100), 완충재(200), 내피, 및 시야 차단부(300)를 포함한다.
모체(100)는 낙하물 등으로 인한 외부 충격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대략 반구 형상을 가진다. 완충재(200)는 모체(100)로부터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모체(100)의 내측에 결합된다.
내피는 정수리 및 머리 둘레를 감싸 지지하여 모체(100)가 머리에 착용될 수 있도록 모체(100)의 내부에 결합된다. 내피는 모체(100)의 내면 둘레에 설치되어 착용자의 머리 둘레에 밀착되는 링 형상의 헤드 밴드(미도시), 및 헤드 밴드에 고정되어 착용자 머리의 정수리를 감싸 지지하는 오버 헤드 밴드(미도시)를 포함한다.
시야 차단부(300)는 차단판(320), 모체(100) 내면을 따라 형성되는 턱끈 가이드(310), 및 차단판 가이드(330)를 포함한다.
턱끈 가이드(310)는 모체(100)를 따라 휘어진 판형상을 가지는 턱끈 가이드 판(311), 턱끈 가이드 판(311)의 양 모서리로부터 각각 모체(100)를 향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턱끈 가이드 벽(312)으로 이루어진다.
차단판 가이드(330)는 모체(100)를 따라 휘어진 판형상을 가지는 차단판 가이드 판(331), 차단판 가이드 판(331)의 양 모서리로부터 각각 모체(100)를 향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차단판 가이드 벽(332)으로 이루어진다.
차단판 가이드(330)는 모체(100)의 전면 내측에 형성되고, 턱끈 가이드(310)는 모체(100)의 상부로부터 측면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차단판 가이드(330)와 턱끈 가이드(310)는 모체(100)의 상부에서 내부가 서로 통하도록 관통공(341)에 의해 연결된다.
차단판(320)은 모체(100)의 형상을 따라 휘어진 판형상을 가지고,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차단판(320)은 차단판 가이드(330)와 모체(100) 사이에 삽입되는데, 차단판 가이드(330)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차단판(320)의 상부에는 와이어(340)가 고정 결합되고, 와이어(340)는 방향 전환부(313)까지 연장된다.
서로 마주보는 차단판 가이드 벽(332)에는 슬릿(Slit) 형상으로 연장 관통되는 슬라이딩 유도공(333)이 각각 형성된다. 차단판(320)의 양측에는 슬라이딩 유도공 결합부(321)가 각각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고, 슬라이딩 유도공 결합부(321)는 마주보는 슬라이딩 유도공(333)에 각각 삽입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유도공 결합부(321)가 슬라이딩 유도공(333)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므로, 차단판(320)은 차단판 가이드(330)를 따라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딩 턱끈(350)은 턱끈 가이드(31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턱끈 가이드(310)와 모체(100) 사이에 삽입되는데, 슬라이딩 턱끈(350)의 상단부와 와이어(340)의 상단부는 서로 고정 결합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턱끈(350)의 상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와이어(340)가 이동하고, 와이어(340)에 결합되는 차단판(320)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와이어(340)는 방향 전환부(313)에 의해 슬라이딩 턱끈(350)을 따라 방향 전환되어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방향 전환부(313)에 의해 와이어(340)의 마찰에 의한 마모가 방지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방향 전환부(313)는 라운딩 된 형상을 가지는 기둥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회전 가능한 롤러, 관통공(341)의 측면에 형성되는 라운딩 부 등, 와이어(340)의 마모 방지, 및 방향 전환이 가능한 어떠한 수단이라도 가능하다.
슬라이딩 턱끈(350)의 하단부는 가이드 몸체(310) 외부로 돌출되도록 연장되고, 모체(100)의 슬라이딩 턱끈(350)이 돌출되는 반대편에는 고정 턱끈(351)이 고정 결합된다. 고정 턱끈(351)과 슬라이딩 턱끈(350)의 하단부에는 각각 잠금부(360)가 결합되는데, 잠금부(360)는 서로 착탈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잠금부(360)의 체결에 의해 턱끈이 착용자의 턱을 감싸 밀착되므로, 모체(100)가 착용자의 머리에 고정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야 차단식 강제 체결 안전모의 차단판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차단판(320)은 차단판 가이드(33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하강한 상태이다. 이때, 차단판(320)의 하강은 중력에 의해 이루어지고, 와이어(340)를 매개로 하여 차단판(320)과 연결된 슬라이딩 턱끈(350)은 차단판(320)에 의해 상부로 당겨져 턱끈 가이드(310)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슬라이딩 턱끈(350)은 턱끈 가이드(310) 내부로 전부 삽입되지 않고, 잠금부(360)를 포함하는 일부가 턱끈 가이드(310) 외부로 노출된다.
도 7b를 참조하면, 잠금부(360)의 체결 상태, 즉 착용자가 턱끈을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착모 과정은 다음과 같다. 착용자가 안전모를 머리에 쓰고 슬라이딩 턱끈(350)을 잡아당기면, 차단판(320)이 차단판 가이드(330)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여 안전모 내부로 삽입되고, 잠금부(360)를 체결하면 착모가 완료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야 차단식 강제 체결 안전모의 턱끈 미착용 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8을 참조하면, 턱끈을 잠금 체결하지 않는 경우에 차단판(320)이 하부로 하강하여 착용자의 얼굴 정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차단판(320)이 착용자의 시야를 가리도록, 안전모가 착용되므로 앞을 볼 수 없어 정상적인 착용이 불가능하다. 즉, 턱끈을 체결하지 않는 경우에 착용이 불가능한 것이다. 하지만, 도 7b를 참조하면, 턱끈을 잠금 체결하는 경우에는 차단판(320)이 상부로 이동하여 안전모 내측으로 삽입되므로, 착용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정상적이 착용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완충재(200)의 일부가 제거되고, 턱끈 가이드(310) 및 차단판 가이드(330)가 모체(100)에 직접 결합되어 모체(100)로부터 돌출하는 높이가 줄어들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용자의 머리와 시야 차단부(300) 사이의 공간이 여유있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부(360)가 구성되지 않고, 고정 턱끈과 슬라이딩 턱끈이 턱끈 길이 조절 수단(미도시)에 의해 상시 연결되어, 턱끈 길이가 착용자에 맞게 기 조절된 상태에서 턱끈을 당겨 안전모를 착용할 수 있다. 즉, 턱끈을 잠그는 과정 없이 안전모를 착용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턱끈 길이 조절 수단은 이미 주지된 관용 기술에 불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딩 턱끈 고정 수단(미도시)이 구성될 수 있는데, 턱끈이 체결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턱끈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슬라이딩 턱끈(350)을 안전모에 고정시킬 수 있다. 차단판(320)이 무거운 경우에 안전모를 착용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턱끈(350)에 장력이 가해질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착용자의 턱에 압력이 가해져 불편할 수 있다. 하지만, 슬라이딩 턱끈(350)이 슬라이딩 이동 불가능하도록 고정되면, 압력이 가해지지 않아 착용 시의 불편함이 완전히 방지될 수 있다. 슬라이딩 턱끈 고정 수단은 버클 또는 고정 클립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슬라이딩 턱끈(350)을 고정시킬 수 있는 어떠한 수단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판에 탄성 수단을 구비하여 턱끈 미착용 시 차단판의 하강을 더욱 확실히 할 수 있다.
한편, 시야 차단부(300) 등은 안전모 뿐만 아니라 헬멧, 및 일반 모자 등 머리에 착용하는 모든 것들에 사용될 수 있다.
공장이나 건설 현장 등에서 근로자들 턱끈을 고정시키지 않고 안전모를 착용하는 경우에 안전 사고 시 안전모가 벗겨져 머리 부상이 발생할 수 있고, 특히 근로자의 추락시에 안전모가 쉽게 벗겨지므로 사상률을 높이는 주요인이 된다. 따라서, 인명 손실 및 부상 증가로 인하여 작업 공정의 차질이 발생은 물론 사회적 손실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 현장에서는 안전모 착용 시에 반드시 턱끈을 고정하도록 관리 감독을 하고 있고, 안전 교육 또한 강화하고 있다. 하지만, 불편하거나 번거롭다는 이유로 안전모의 턱끈을 고정시키지 않고 착용하는 경우가 빈번하고, 모든 인원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많은 근로자가 사고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턱끈을 착용하여 고정시켜야만 안전모의 정상적인 착용이 가능하므로, 안전모가 쉽게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0: 모체 200: 완충재
300: 시야 차단부 310: 턱끈 가이드
311: 턱끈 가이드 판 312: 턱끈 가이드 벽
313: 방향 전환부 320: 차단판
321: 슬라이딩 유도공 결합부 330: 차단판 가이드
331: 차단판 가이드 판 332: 차단판 가이드 벽
333: 슬라이딩 유도공 340: 와이어
341: 관통공 350: 슬라이딩 턱끈
351: 고정 턱끈 360: 잠금부

Claims (6)

  1. 착용자의 두부를 감싸는 모체; 및
    상기 모체의 내측에 결합되고, 턱끈의 체결에 따라 상기 착용자의 시야를 차단 또는 개방할 수 있는 시야 차단부
    를 포함하는 시야 차단식 강제 체결 안전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 차단부는,
    상기 모체의 내면을 따라 형성되는 턱끈 가이드;
    상기 모체의 내면을 따라 형성되는 차단판 가이드;
    상기 차단판 가이드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고, 불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차단판;
    와이어에 의해 상기 차단판과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턱끈 가이드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차단판과 함께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딩 턱끈; 및
    상기 모체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 턱끈과 잠금부에 의해 체결될 수 있는 고정 턱끈
    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모가 상기 착용자에게 착용되어 상기 잠금부가 체결되는 경우에 상기 차단판은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착용자의 시야를 개방하며, 상기 안전모가 상기 착용자에게 착용되나 상기 잠금부가 체결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차단판은 하강하여 상기 착용자의 시야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 차단식 강제 체결 안전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턱끈 가이드는,
    상기 모체를 따라 휘어진 판형상을 가지는 턱끈 가이드 판; 및
    상기 턱끈 가이드 판의 양 모서리로부터 상기 모체를 향하여 각각 수직으로 연장되는 턱끈 가이드 벽
    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판 가이드는,
    상기 모체를 따라 휘어진 판형상을 가지는 차단판 가이드 판; 및
    상기 차단판 가이드 판의 양 모서리로부터 상기 모체를 향하여 각각 수직으로 연장되는 차단판 가이드 벽
    을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 턱끈은 상기 턱끈 가이드 내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차단판은 상기 차단판 가이드 내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 차단식 강제 체결 안전모.
  4. 제3항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는 상기 차단판 가이드 벽에는 슬릿(Slit) 형상으로 관통되는 슬라이딩 유도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차단판의 양측에는 슬라이딩 유도공 결합부가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유도공에 각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 차단식 강제 체결 안전모.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턱끈과 상기 차단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방향을 전환해 줄 수 있는 방향 전환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턱끈 가이드와 상기 차단판 가이드 사이의 관통공을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야 차단식 강제 체결 안전모.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착용자의 두부를 둘레를 감싸 지지할 수 있는 오버 헤드 밴드; 및
    상기 모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착용자의 머리 둘레에 밀착되어 지지할 수 있는 링 형상의 헤드 밴드
    를 더 포함하는 시야 차단식 강제 체결 안전모.
KR1020130084661A 2013-07-18 2013-07-18 시야 차단식 강제 체결 안전모 KR101408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661A KR101408994B1 (ko) 2013-07-18 2013-07-18 시야 차단식 강제 체결 안전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661A KR101408994B1 (ko) 2013-07-18 2013-07-18 시야 차단식 강제 체결 안전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8994B1 true KR101408994B1 (ko) 2014-07-02

Family

ID=51740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4661A KR101408994B1 (ko) 2013-07-18 2013-07-18 시야 차단식 강제 체결 안전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89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344B1 (ko) * 2020-08-10 2021-03-16 최미정 머리 스타일 보존 헬멧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16997A1 (en) 2005-07-21 2007-01-25 William Reddington Safety hard hat and face shield assembly
KR200441735Y1 (ko) * 2008-05-07 2008-09-04 주식회사 성안세이브 슬라이드식 보안경이 부착된 안전모
KR101146630B1 (ko) 2009-04-16 2012-05-31 박철 실드가 내부로 수납되는 헬멧
KR101309281B1 (ko) 2013-03-28 2013-10-04 씨앤디아이(주) 잠금 안전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16997A1 (en) 2005-07-21 2007-01-25 William Reddington Safety hard hat and face shield assembly
KR200441735Y1 (ko) * 2008-05-07 2008-09-04 주식회사 성안세이브 슬라이드식 보안경이 부착된 안전모
KR101146630B1 (ko) 2009-04-16 2012-05-31 박철 실드가 내부로 수납되는 헬멧
KR101309281B1 (ko) 2013-03-28 2013-10-04 씨앤디아이(주) 잠금 안전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344B1 (ko) * 2020-08-10 2021-03-16 최미정 머리 스타일 보존 헬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38484B1 (en) Suspension connection arrangement for a suspension system of a safety helmet
KR20160146561A (ko) 안면 보호 부재용 경작업모
KR101392144B1 (ko) 강제 체결 안전모
KR101532972B1 (ko) 체결이 간편한 안전모
US20070016997A1 (en) Safety hard hat and face shield assembly
EP3626098B1 (en) Modular personal protection device for the protection of the face and adjacent parts
US11612206B2 (en) Detachable pad fastening structure of helmet and helmet including same
KR101906047B1 (ko) 안정적 고정과 착탈이 용이한 안전모
KR101660000B1 (ko) 안전모가 구비된 용접마스크
KR101408994B1 (ko) 시야 차단식 강제 체결 안전모
KR101309281B1 (ko) 잠금 안전모
KR100834379B1 (ko) 안전모
KR200464007Y1 (ko) 안전 용접헬멧
KR200441735Y1 (ko) 슬라이드식 보안경이 부착된 안전모
KR102049070B1 (ko) 안전모용 걸이구
KR101289968B1 (ko) 작업용 안전모
KR100725345B1 (ko) 두부 전방위 보호용 안전모
KR101397142B1 (ko) 안전모
CN209933171U (zh) 一种头带以及应用所述头带的焊接面罩
KR200487001Y1 (ko) 안전모
KR102134412B1 (ko) 안전진단 및 점검용 안전모
CN217089764U (zh) 安全帽下颏带及安全帽
KR101992309B1 (ko) 탄성구속부가 마련된 안전진단 점검용 안전모
EP4201243A1 (en) Shock absorber assembly,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therewith, deformable element for and method of retrofitting of such an assembly
KR20180023564A (ko) 땀 배출부재가 구비된 안전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