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8344B1 - 머리 스타일 보존 헬멧 - Google Patents
머리 스타일 보존 헬멧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28344B1 KR102228344B1 KR1020200099587A KR20200099587A KR102228344B1 KR 102228344 B1 KR102228344 B1 KR 102228344B1 KR 1020200099587 A KR1020200099587 A KR 1020200099587A KR 20200099587 A KR20200099587 A KR 20200099587A KR 102228344 B1 KR102228344 B1 KR 1022283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ace forming
- slide
- space
- main body
- forming pa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4—Suspension devices
- A42B3/145—Size adjustment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4—Suspension devices
- A42B3/147—Anchor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A42B3/06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specially adapted for cycling helmets, e.g. for soft shelled helmet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쪽 공간을 확보해서 확보한 공간만큼 착용자의 머리 부분에 대한 공간을 제공하여 착용 시에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함과 동시에 머리 스타일도 보존해 주도록 구현한 머리 스타일 보존 헬멧에 관한 것으로, 상부 및 양측부에 개방 공간을 구비하고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본체부; 본체부의 상부 개방 공간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본체부의 상부에 안쪽 상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상공간형성부; 및 본체부의 양측부 개방 공간에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본체부의 양측부에 안쪽 측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두 개의 측공간형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머리 스타일 보존 헬멧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쪽 공간을 확보해서 확보한 공간만큼 착용자의 머리 부분에 대한 공간을 제공하여 착용 시에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함과 동시에 머리 스타일도 보존해 주도록 구현한 머리 스타일 보존 헬멧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오토바이, 자전거, 퀵 보드 등과 같은 탈것을 탈 경우에 사고 시 위험을 줄이기 위해 헬멧을 반드시 써야 한다. 이러한 헬멧은 기본적으로 머리 상부의 반구 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며, 이 반구 부분은 대략 머리에서 머리카락이 있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헬멧의 사이즈는, 앞쪽에서는 눈썹 위쪽 10 ~ 15mm에서 좌우로 귀 위쪽을 통과하여, 뒤쪽으로는 뒤통수라고 불리는 뒤쪽으로 머리가 튀어나온 부분까지의 머리 둘레 길이, 즉 이 부분을 둘러싸는 자연스런 곡선의 길이가 된다. 따라서 이러한 헬멧은 얼굴 전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거나, 귀와 목덜미 위쪽을 보호하는 부분을 더 설치하기도 하지만, 머리 둘레 측정선 위쪽의 상부 반구를 보호할 수 있도록 반구 영역을 기본적으로 가지며, 특히 완충재 층은 이 부분을 위주로 배치된다.
이러한 헬멧은 그 기능 및 디자인에 있어 많은 발전을 해 오고 있으며, 그 착용은 착용자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지만, 밀폐 구조로 인해 여름철과 같은 때에는 매우 덮고, 땀이 차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헬멧은 안전을 위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단단한 재질로 일정 두께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자연히 헬멧의 무게가 증가되고, 헬멧의 무게에 의해 머리카락이 눌리고, 따라서 머리 스타일이 흐트러지게 된다. 따라서 멋을 내고, 머리 스타일을 살리는 것이 중요한 행사에 참가하거나, 머리 스타일을 중시하는 사람들에게 탈것을 이동 수단으로 이용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탈것으로 이동한 후에 다시 머리 스타일을 손보아야 하는 불편한 단점도 있었다.
이러한 헬멧을 쓰지 않고 탈것을 타는 것은 무엇보다 안전 문제가 되고, 법규 위반의 문제를 가지지만, 머리가 외부에 노출되어 바람에 의해 머리 스타일이 망가질 수 있으므로 여전히 채용하기 어려운 선택이 된다. 이러한 탈것의 라이딩 단점은 멋과 스타일을 중시하는 사람들이 탈것 타기를 즐기고 교통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19163호(2016.02.19. 공개)는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헬멧에 설치되어 헬멧 착용 시 착용자의 머리카락이 눌리고 머리 스타일이 흐트러지는 것을 억제, 방지할 수 있는 착용자의 헤어스타일 보호용 오토바이 헬멧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외각과, 외각 내측에 위치하는 완충재 층을 구비하며, 완충재 층에는 착용 시 좌우 방향 중앙부에서 앞뒤 방향으로 길게 홈이나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74064호(2018.07.03. 공개)는 모자 내부를 신축성이 뛰어나고 가벼운 물질로 구성하여 모자 내부가 머리 모양에 맞게 스스로 변형 가능한 헤어스타일 유지모자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헤어스타일 유지 모자에 있어서, 햇빛을 차단해주는 모자의 창; 헤어스타일에 맞춰서 모자의 내부 모양을 잡아주는 가벼운 기체층; 헤어스타일에 맞춰진 기체층에 따라 모양이 변하고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신축성이 뛰어난 소재로 구성된 모자 내부의 천; 사용자 머리의 크기에 따라 모자의 크기를 조절해 주는 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예능에서 한껏 꾸미고 나왔는데 햇빛을 피하기 위해서 모자를 쓰고 난 후 헤어스타일을 다시 정돈해야 하는 연예인 혹은 모자와 헤어스타일 둘 다 포기할 수 없는 고민에 빠진 사람들에게 있어서 선택의 폭을 넓혀줄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안쪽 공간을 확보해서 확보한 공간만큼 착용자의 머리 부분에 대한 공간을 제공하여 착용 시에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함과 동시에 머리 스타일도 보존해 주도록 구현한 머리 스타일 보존 헬멧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상부 및 양측부에 개방 공간을 구비하고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 개방 공간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안쪽 상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상공간형성부; 및 상기 본체부의 양측부 개방 공간에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의 양측부에 안쪽 측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두 개의 측공간형성부를 포함하는 머리 스타일 보존 헬멧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머리 스타일 보존 헬멧은, 상기 본체부의 전부에 형성된 개방 공간에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의 전부에 안쪽 전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전공간형성부; 및 상기 본체부의 후부에 형성된 개방 공간에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의 후부에 안쪽 후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후공간형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머리 스타일 보존 헬멧은, 상기 본체부의 상부와 상기 상공간형성부 사이 또는 상기 본체부의 측부와 상기 측공간형성부 사이 또는 상기 본체부의 전부와 상기 전공간형성부 사이 또는 상기 본체부의 후부와 상기 후공간형성부 사이에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서 상기 상공간형성부를 상하로 슬라이딩시키거나, 상기 본체부의 측부에서 상기 측공간형성부를 좌우로 슬라이딩시키거나, 상기 본체부의 전부에서 상기 전공간형성부를 전후로 슬라이딩시키거나, 상기 본체부의 후부에서 상기 후공간형성부를 전후로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슬라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상공간형성부를 원터치할 시에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서 바깥으로 상기 상공간형성부를 밀어내어 안쪽 상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상공간형성부를 한 번 더 원터치할 시에 상기 상공간형성부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측공간형성부를 원터치할 시에 상기 본체부의 측부에서 바깥으로 상기 측공간형성부를 밀어내어 안쪽 측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측공간형성부를 한 번 더 원터치할 시에 상기 측공간형성부가 상기 본체부의 측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전공간형성부를 원터치할 시에 상기 본체부의 전부에서 바깥으로 상기 전공간형성부를 밀어내어 안쪽 전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전공간형성부를 한 번 더 원터치할 시에 상기 전공간형성부가 상기 본체부의 전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후공간형성부를 원터치할 시에 상기 본체부의 후부에서 바깥으로 상기 후공간형성부를 밀어내어 안쪽 후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후공간형성부를 한 번 더 원터치할 시에 상기 후공간형성부가 상기 본체부의 후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상공간형성부를 복수의 회수만큼 원터치할 때마다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서 복수 개의 단계로 바깥으로 상기 상공간형성부를 밀어내어 안쪽 상공간이 단계별로 넓어지도록 형성하며, 상기 상공간형성부를 한 번 더 원터치할 시에 상기 상공간형성부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전공간형성부를 복수의 회수만큼 원터치할 때마다 상기 본체부의 전부에서 복수 개의 단계로 바깥으로 상기 전공간형성부를 밀어내어 안쪽 전공간이 단계별로 넓어지도록 형성하며, 상기 전공간형성부를 한 번 더 원터치할 시에 상기 전공간형성부가 상기 본체부의 전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후공간형성부를 복수의 회수만큼 원터치할 때마다 상기 본체부의 후부에서 복수 개의 단계로 바깥으로 상기 후공간형성부를 밀어내어 안쪽 후공간이 단계별로 넓어지도록 형성하며, 상기 후공간형성부를 한 번 더 원터치할 시에 상기 후공간형성부가 상기 본체부의 후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나 측부에 고정 형성된 고정몸통수단; 상기 상공간형성부나 상기 측공간형성부의 테두리 부분에 고정 형성되고, 외면에 복수 개의 슬라이드돌기를 구비해서 상기 고정몸통수단의 내부로부터 승강이나 좌 또는 우 이동하거나, 상기 고정몸통수단의 내부로 하강이나 우 또는 좌 이동하여 상기 상공간형성부나 상기 측공간형성부를 승하강이나 좌 또는 우 이동 및 우 또는 좌 이동시키는 슬라이드수단; 상기 고정몸통수단의 내면에 복수 개의 슬라이드홈을 구비해서, 상기 슬라이드수단이 상기 고정몸통수단의 내부로부터 승강이나 좌 또는 우 이동하거나, 상기 고정몸통수단의 내부로 하강이나 우 또는 좌 이동하도록 상기 슬라이드돌기를 삽입시켜 슬라이드 안내해 주는 슬라이드안내수단; 상기 슬라이드수단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수단을 한 번 누름으로 상기 슬라이드수단의 하강이나 우 또는 좌 이동 시에 상기 슬라이드안내수단의 하부에 걸리도록 해 주거나, 상기 슬라이드수단을 또 한 번 누름으로 상기 슬라이드수단의 상승이나 좌 또는 우 이동 시에 상기 슬라이드안내수단의 하부에 걸린 것을 해제하도록 해 주는 걸림수단; 및 상기 고정몸통수단의 내면 하부와 상기 걸림수단의 하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수단이 승강이나 좌 또는 우 이동되도록 승강이나 좌 또는 우 방향으로 탄력을 상기 걸림수단에 제공해 주는 탄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고정몸통수단은, 상기 본체부의 상부나 측부에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슬라이드수단은, 상기 고정몸통수단에 대응되도록, 상기 상공간형성부나 상기 측공간형성부의 테두리 부분에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고정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슬라이드수단은, 하부의 테두리에 경사면을 가지며, 경사면에 의해 한 번 누름 시마다 상기 걸림수단에 구비된 피회전돌기의 경사면을 비스듬히 밀어 상기 걸림수단을 회전시켜 주는 복수 개의 주회전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슬라이드수단은, 상기 주회전돌기의 뾰족한 부분이 상기 피회전돌기의 경사면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슬라이드안내수단은, 하부 내면에 경사면을 가지며, 경사면에 의해 한 번 누름 시마다 상기 걸림수단에 구비된 피회전돌기의 경사면의 회전을 안내해 주는 복수 개의 회전안내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슬라이드안내수단은, 상기 회전안내홈 옆에 한 번은 슬라이드홈을 구비하고 또 한 번은 경사면을 가진 걸림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슬라이드안내수단은, 상기 슬라이드수단을 한 번 누름으로 상기 슬라이드수단의 하강이나 우 또는 좌 이동 시에 상기 피회전돌기가 상기 걸림홈 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걸림홈에 의해서 상기 피회전돌기를 걸어 주며, 상기 슬라이드수단을 또 한 번 누름으로 상기 슬라이드수단의 상승이나 좌 또는 우 이동 시에 상기 피회전돌기가 상기 슬라이드홈 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슬라이드홈에 의해서 상기 피회전돌기의 걸림을 해제시켜 상기 피회전돌기가 상기 슬라이드홈을 따라 상승이나 좌 또는 우 이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걸림수단은, 상부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고 경사면을 가지며, 한 번 누름 시마다 상기 주회전돌기의 경사면의 밀음과 상기 회전안내홈의 경사면의 안내에 의해 경사면이 비스듬하게 밀려 회전하는 복수 개의 피회전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슬라이드수단을 한 번 누름으로 상기 슬라이드수단의 하강이나 우 또는 좌 이동 시에 상기 피회전돌기가 상기 걸림홈 측으로 회전하여 걸려 상기 슬라이드안내수단의 하부에 걸리도록 해 주며, 상기 슬라이드수단을 또 한 번 누름으로 상기 슬라이드수단의 상승이나 좌 또는 우 이동 시에 상기 피회전돌기가 상기 슬라이드홈 측으로 회전하여 걸림을 해제시켜 상기 피회전돌기가 상기 슬라이드홈을 따라 상승이나 좌 또는 우 이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피회전돌기는, 상기 슬라이드수단의 승강이나 좌 또는 우 이동, 또는 하강이나 우 또는 좌 이동 시에 상기 슬라이드홈을 따라서 승강이나 좌 또는 우 이동, 또는 하강이나 우 또는 좌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탄력수단은, 상기 걸림수단에 탄력을 제공하여 상기 슬라이드수단을 상승이나 좌 또는 우 이동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탄력수단은, 상기 슬라이드수단을 한 번 누름으로 상기 슬라이드수단의 하강이나 우 또는 좌 이동 시에 상기 걸림수단에 의해 압축되어 있다가, 상기 슬라이드수단을 또 한 번 누름으로 상기 슬라이드수단의 상승이나 좌 또는 우 이동 시에 압축된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림수단을 상승이나 좌 또는 우 이동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슬라이드안내수단에서 경사면을 가진 걸림홈을 복수 개의 단계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머리 스타일 보존 헬멧은, 상기 본체부의 상부나 측부나 전부나 후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상공간형성부나 상기 측공간형성부나 상기 전공간형성부나 상기 후공간형성부를 케이싱해서 보호해 주기 위한 케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상공간형성부나 상기 측공간형성부나 상기 전공간형성부나 상기 후공간형성부를 원터치할 시에 누를 수 있도록 후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머리 스타일 보존 헬멧은, 상기 본체부의 측부와 상기 측공간형성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측부에서 상기 측공간형성부를 좌우로 회동시켜 주기 위한 두 개의 힌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측공간형성부를 원터치할 시에 상기 본체부의 측부에서 바깥으로 상기 측공간형성부를 회동시켜 안쪽 측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측공간형성부를 한 번 더 원터치할 시에 상기 측공간형성부가 상기 본체부의 측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원터치회전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머리 스타일 보존 헬멧은, 상기 힌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측공간형성부를 원터치할 시에 상기 본체부의 측부에서 바깥으로 상기 측공간형성부를 회동시키도록 탄성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부재; 및 상기 본체부의 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측공간형성부를 원터치할 시에 상기 측공간형성부를 상기 본체부의 측부에서 고정 해제시켜 주고, 상기 측공간형성부를 한 번 더 원터치할 시에 상기 측공간형성부를 상기 본체부의 측부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걸림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머리 스타일 보존 헬멧은, 상기 본체부의 전부 내면에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 설치되어, 착용자의 이마 부분을 기 설정된 거리를 두고 지지하여 상기 본체부의 전부에 안쪽 전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두 개의 전공간형성부; 및 상기 본체부의 후부 내면에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 설치되어, 착용자의 뒤통수 부분을 기 설정된 거리를 두고 지지하여 상기 본체부의 후부에 안쪽 후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두 개의 후공간형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공간형성부는, 착용자의 이마 폭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여 착용자의 이마 부분을 지지하는 두 개의 이마지지수단; 및 상기 본체부의 전부 내면에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어, 상기 이마지지수단을 좌우로 슬라이딩시켜 주는 두 개의 슬라이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후공간형성부는, 착용자의 뒤통수 폭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여 착용자의 뒤통수 부분을 지지하는 두 개의 뒤통수지지수단; 및 상기 본체부의 후부 내면에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어, 상기 뒤통수지지수단을 좌우로 슬라이딩시켜 주는 두 개의 슬라이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로는, 안쪽 공간을 확보해서 확보한 공간만큼 착용자의 머리 부분에 대한 공간을 제공하여 착용 시에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함과 동시에 머리 스타일도 보존해 주도록 구현한 머리 스타일 보존 헬멧을 제공함으로써, 오토바이, 자전거, 퀵 보드 등과 같은 탈것을 타는 경우에 사고 시에 머리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면서도 몇 시간을 착용하여도 머리모양의 스타일을 흐트러짐 없이 보존해 줄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머리 스타일 보존 헬멧을 제1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도 1에 있는 슬라이드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머리 스타일 보존 헬멧을 제2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머리 스타일 보존 헬멧을 제3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머리 스타일 보존 헬멧을 제4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도 1에 있는 슬라이드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머리 스타일 보존 헬멧을 제2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머리 스타일 보존 헬멧을 제3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머리 스타일 보존 헬멧을 제4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머리 스타일 보존 헬멧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머리 스타일 보존 헬멧을 제1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머리 스타일 보존 헬멧(100)은, 본체부(110), 상공간형성부(120), 두 개의 측공간형성부(130)를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 및 양측부에 개방 공간(111, 112)을 구비한다.
상공간형성부(120)는, 본체부(110)의 상부 개방 공간(111)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본체부(110)의 상부에 안쪽 상공간을 형성해 줌으로써, 착용자의 윗머리의 스타일을 보존해 준다.
측공간형성부(130)는, 본체부(110)의 양측부 개방 공간(112)에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본체부(110)의 양측부에 안쪽 측공간을 형성해 줌으로써, 착용자의 옆머리의 스타일을 보존해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머리 스타일 보존 헬멧(100)은, 본체부(110)의 상부와 양측부에 안쪽 공간을 형성해서 해당 형성한 공간만큼 착용자의 머리 부분에 대한 공간을 확보하여 착용 시에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함과 동시에 머리 스타일도 보존해 주도록 구현함으로써, 오토바이, 자전거, 퀵 보드 등과 같은 탈것을 타는 경우에 사고 시에 머리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면서도 몇 시간을 착용하여도 머리모양의 스타일을 흐트러짐 없이 보존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머리 스타일 보존 헬멧(100)은, 본체부(110)의 전부 또는 후부에도 개방 공간(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이에 본체부(110)의 전부 개방 공간에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본체부(110)의 전부에 안쪽 전공간을 형성해 주기 위한 전공간형성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와, 본체부(110)의 후부 개방 공간에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본체부(110)의 후부에 안쪽 후공간을 형성해 주기 위한 후공간형성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머리 스타일 보존 헬멧(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슬라이드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드부(140)는, 본체부(110)의 상부(즉, 상부 개방 공간(111))와 상공간형성부(120) 사이에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 개(예를 들어, 4개)로 형성되어, 본체부(110)의 상부에서 상공간형성부(120)를 상하로 슬라이딩시켜 주며, 또한 본체부(110)의 측부(즉, 측부 개방 공간(112))와 측공간형성부(130) 사이에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 개(예를 들어, 4개)로 형성되어, 본체부(110)의 측부에서 측공간형성부(130)를 좌우로 슬라이딩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슬라이드부(140)는, 상공간형성부(120)를 원터치할 시에 본체부(110)의 상부(즉, 상부 개방 공간(111))에서 바깥으로 상공간형성부(120)를 밀어내어 안쪽 상공간이 형성되도록 해 줄 수 있으며, 그런 후에 상공간형성부(120)를 한 번 더 원터치할 시에 상공간형성부(120)가 본체부(110)의 상부(즉, 상부 개방 공간(111))에 고정되도록 해 줄 수 있으며, 또한 측공간형성부(130)를 원터치할 시에 본체부(110)의 측부(즉, 측부 개방 공간(112))에서 바깥으로 측공간형성부(130)를 밀어내어 안쪽 측공간이 형성되도록 해 줄 수 있으며, 그런 후에 측공간형성부(130)를 한 번 더 원터치할 시에 측공간형성부(130)가 본체부(110)의 측부(즉, 측부 개방 공간(112))에 고정되도록 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슬라이드부(140)는, 상공간형성부(120)를 기 설정된 회수(예를 들어, 3번)만큼 원터치할 때마다 본체부(110)의 상부(즉, 상부 개방 공간(111))에서 복수 개의 단계(예를 들어, 3단계)로 바깥으로 상공간형성부(120)를 밀어내어 안쪽 상공간이 단계별로 넓어지도록 형성해 줄 수 있으며, 그런 후에 상공간형성부(120)를 한 번 더 원터치할 시에 상공간형성부(120)가 본체부(110)의 상부(즉, 상부 개방 공간(111))에 고정되도록 해 줄 수 있으며, 또한 측공간형성부(130)를 기 설정된 회수(예를 들어, 3번)만큼 원터치할 때마다 본체부(110)의 측부(즉, 측부 개방 공간(112))에서 복수 개의 단계(예를 들어, 3단계)로 바깥으로 측공간형성부(130)를 밀어내어 안쪽 측공간이 단계별로 넓어지도록 형성해 줄 수 있으며, 그런 후에 측공간형성부(130)를 한 번 더 원터치할 시에 측공간형성부(130)가 본체부(110)의 측부(즉, 측부 개방 공간(112))에 고정되도록 해 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해당 형성해 준 공간만큼 머리 부분의 공간을 확보해 줌으로써, 머리 스타일을 눌리지 않게 하여 머리 스타일을 잡아주고 흐트러짐이 없도록 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머리 스타일 보존 헬멧(100)은, 전공간형성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후공간형성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공간형성부, 후공간형성부는 두 개의 측공간형성부(130)(즉, 좌공간형성부, 우공간형성부)와 각각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전공간형성부는, 본체부(110)의 전부 개방 공간(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본체부(110)의 전부에 안쪽 전공간을 형성해 줌으로써, 착용자의 앞머리의 스타일을 보존해 준다.
후공간형성부는, 본체부(110)의 후부 개방 공간(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본체부(110)의 후부에 안쪽 후공간을 형성해 줌으로써, 착용자의 뒷머리의 스타일을 보존해 준다.
슬라이드부(140)는, 본체부(110)의 전부(즉, 전부 개방 공간)와 전공간형성부 사이에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 개(예를 들어, 4개)로 형성되어, 본체부(110)의 전부에서 전공간형성부를 전후로 슬라이딩시켜 줄 수 있으며, 또한 본체부(110)의 후부(즉, 후부 개방 공간)와 후공간형성부 사이에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 개(예를 들어, 4개)로 형성되어, 본체부(110)의 후부에서 후공간형성부를 전후로 슬라이딩시켜 줄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슬라이드부(140)는, 전공간형성부와 후전공간형성부도 상술한 바와 같은 원터치 방식으로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는 도 1에 있는 슬라이드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2는 도 1에 있는 슬라이드부 중 본체부 상부에 형성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있는 슬라이드부를 분해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1에 있는 슬라이드부의 승강 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1에 있는 슬라이드부의 하강 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슬라이드부(140)는, 고정몸통수단(141), 슬라이드수단(142), 슬라이드안내수단(143), 걸림수단(144), 탄력수단(145)을 포함한다.
고정몸통수단(14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상부(즉, 상부 개방 공간(111))와 측부(즉, 측부 개방 공간(112))에 고정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몸통수단(141)은, 본체부(110)의 상부(즉, 상부 개방 공간(111))에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 개(예를 들어, 4개)로 고정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본체부(110)의 측부(즉, 측부 개방 공간(112))에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 개(예를 들어, 4개)로 고정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수단(142)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공간형성부(120)(그리고, 측공간형성부(130))의 테두리 부분에 고정 형성되고, 외면에 복수 개의 슬라이드돌기(1421)를 구비하여, 슬라이드안내수단(143)을 따라 고정몸통수단(141)의 내부로부터 승강(그리고, 좌 이동 또는 우 이동)하거나 고정몸통수단(141)의 내부로 하강(그리고, 우 이동 또는 좌 이동)하여 상공간형성부(120)(그리고, 측공간형성부(130))를 승하강(그리고, 좌 이동 또는 우 이동 및 우 이동 또는 좌 이동)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슬라이드수단(142)은, 고정몸통수단(141)에 대응되도록, 상공간형성부(120)(그리고, 측공간형성부(130))의 테두리 부분에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 개(예를 들어, 4개)로 고정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슬라이드수단(142)은, 하부의 테두리에 경사면을 가진 복수 개의 주회전돌기(1422)를 구비할 수 있으며, 한 번 누름 시마다 주회전돌기(1422)의 경사면에 의해 걸림수단(144)(피회전돌기(1441)의 경사면)을 비스듬히 밀어 걸림수단(144)을 회전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슬라이드수단(142)은, 주회전돌기(1422)의 뾰족한 부분이 피회전돌기(1441)의 경사면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도록 형성함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한 방향(예로, 시계 방향)으로만 걸림수단(144)을 회전시켜 주도록 할 수 있다.
슬라이드안내수단(143)은, 고정몸통수단(141)의 내면에 복수 개의 슬라이드홈(1431)을 구비하여, 슬라이드수단(142)이 고정몸통수단(141)의 내부로부터 승강(그리고, 좌 이동 또는 우 이동)하거나 고정몸통수단(141)의 내부로 하강(그리고, 우 이동 또는 좌 이동)하도록 슬라이드돌기(1421)를 삽입시켜 슬라이드 안내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슬라이드안내수단(143)은, 하부 내면에 경사면을 가진 복수 개의 회전안내홈(1432)을 구비할 수 있으며, 한 번 누름 시마다 회전안내홈(1432)의 경사면에 의해 걸림수단(144)(피회전돌기(1441)의 경사면)의 회전을 안내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슬라이드안내수단(143)은, 회전안내홈(1432) 옆에 한 번은 슬라이드홈(1431)을 구비하고 또 한 번은 경사면을 가진 걸림홈(1433)을 구비할 수 있는데, 즉 회전안내홈(1432) 옆에 슬라이드홈(1431)과 교번으로 걸림홈(1433)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슬라이드안내수단(14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수단(142)을 한 번 누름으로 슬라이드수단(142)의 하강(그리고, 우 이동 또는 좌 이동) 시에 걸림수단(144)(피회전돌기(1441))이 걸림홈(1433) 측으로 회전되어 걸림홈(1433)에 의해서 걸림수단(144)(피회전돌기(1441))을 걸어 줄 수 있으며,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수단(142)을 또 한 번 누름으로 슬라이드수단(142)의 상승(그리고, 좌 이동 또는 우 이동) 시에 걸림수단(144)(피회전돌기(1441))이 슬라이드홈(1431) 측으로 회전되어 슬라이드홈(1431)에 의해서 걸림수단(144)(피회전돌기(1441))의 걸림을 해제하도록 해 줄 수 있고 이에 따라 걸림수단(144)(피회전돌기(1441))이 슬라이드홈(1431)을 따라 상승(그리고, 좌 이동 또는 우 이동)할 수 있다.
걸림수단(144)은, 슬라이드수단(142)의 하부와 탄력수단(145)의 상부 사이에 형성되어, 슬라이드수단(142)을 한 번 누름으로 슬라이드수단(142)의 하강(그리고, 우 이동 또는 좌 이동) 시에 슬라이드안내수단(143)의 하부에 걸리도록 해 주거나, 슬라이드수단(142)을 또 한 번 누름으로 슬라이드수단(142)의 상승(그리고, 좌 이동 또는 우 이동) 시에 슬라이드안내수단(143)의 하부에 걸린 것을 해제하도록 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걸림수단(144)은, 상부의 외면에 돌출 형성되고 경사면을 가진 복수 개의 피회전돌기(1441)를 구비할 수 있으며, 한 번 누름 시마다 슬라이드수단(142)(주회전돌기(1422)의 경사면)의 밀음과 슬라이드안내수단(143)(회전안내홈(1432)의 경사면)의 안내에 의해 피회전돌기(1441)의 경사면이 비스듬하게 밀려 피회전돌기(1441)가 회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걸림수단(14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수단(142)을 한 번 누름으로 슬라이드수단(142)의 하강(그리고, 우 이동 또는 좌 이동) 시에 피회전돌기(1441)가 슬라이드안내수단(143)의 걸림홈(1433) 측으로 회전하여 걸려 슬라이드안내수단(143)의 하부에 걸리도록 해 줄 수 있으며,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수단(142)을 또 한 번 누름으로 슬라이드수단(142)의 상승(그리고, 좌 이동 또는 우 이동) 시에 피회전돌기(1441)가 슬라이드홈(1431) 측으로 회전하여 걸림이 해제되도록 해 줄 수 있고 이에 따라 피회전돌기(1441)가 슬라이드홈(1431)을 따라 상승(그리고, 좌 이동 또는 우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피회전돌기(1441)는, 슬라이드수단(142)의 승강(그리고, 좌 이동 또는 우 이동) 또는 하강(그리고, 우 이동 또는 좌 이동) 시에 슬라이드홈(1431)을 따라서 승강(그리고, 좌 이동 또는 우 이동) 또는 하강(그리고, 우 이동 또는 좌 이동)할 수 있다.
탄력수단(145)은, 고정몸통수단(141)의 내면 하부와 걸림수단(144)의 하부 사이에 형성되어, 걸림수단(144)이 승강(그리고, 좌 이동 또는 우 이동)되도록 승강(그리고, 좌 이동 또는 우 이동)방향으로 탄력을 걸림수단(144)에 제공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탄력수단(145)은,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체를 사용하여, 걸림수단(144)에 탄력을 제공하여 슬라이드수단(142)을 상승(그리고, 좌 이동 또는 우 이동)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탄력수단(145)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수단(142)을 한 번 누름으로 슬라이드수단(142)의 하강(그리고, 우 이동 또는 좌 이동) 시에 걸림수단(144)에 의해 압축되어 있다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수단(142)을 또 한 번 누름으로 슬라이드수단(142)의 상승(그리고, 좌 이동 또는 우 이동) 시에 압축된 탄성력에 의해 걸림수단(144)을 상승(그리고, 좌 이동 또는 우 이동)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슬라이드부(140)는, 원터치 방식으로, 상공간형성부(120)(그리고, 측공간형성부(130))를 원터치할 시에 본체부(110)의 상부(그리고, 측부)에서 바깥으로 상공간형성부(120)(그리고, 측공간형성부(130))를 밀어내어 안쪽 상공간(그리고, 안쪽 측공간)이 형성되도록 해 줄 수 있으며, 그런 후에 상공간형성부(120)(그리고, 측공간형성부(130))를 한 번 더 원터치할 시에 상공간형성부(120)(그리고, 측공간형성부(130))가 본체부(110)의 상부(즉, 그리고, 측부)에 고정되도록 해 줄 수 있다.
다르게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슬라이드부(140)는, 슬라이드안내수단(143)에서 경사면을 가진 걸림홈(1433)을 복수 개의 단계(예를 들어, 3단계)로 형성해 줌으로써, 상공간형성부(120)(그리고, 측공간형성부(130))를 원터치할 때마다 본체부(110)의 상부(그리고, 측부)에서 복수 개의 단계(예를 들어, 3단계)로 바깥으로 상공간형성부(120)(그리고, 측공간형성부(130))를 밀어내어 안쪽 상공간(그리고, 안쪽 측공간)이 단계별로 넓어지도록 형성해 줄 수 있으며, 그런 후에 상공간형성부(120)(그리고, 측공간형성부(130))를 한 번 더 길게 원터치할 시(즉, 마지막 길고 깊게 누를 시에 상공간형성부(120)(그리고, 측공간형성부(130))가 본체부(110)의 상부(그리고, 측부)에 원상 복귀되도록 해 줄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머리 스타일 보존 헬멧을 제2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머리 스타일 보존 헬멧(100)은, 본체부(110), 상공간형성부(120), 두 개의 측공간형성부(130), 슬라이드부(140), 세 개의 케이스부(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부(110), 상공간형성부(120), 측공간형성부(130), 슬라이드부(140)는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케이스부(150)는, 본체부(110)의 상부와 양측부(또는, 전부나 후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공간형성부(120)와 두 개의 측공간형성부(130)(또는, 전공간형성부나 후공간형성부)를 케이싱해서 보호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케이스부(150)는, 후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공간형성부(120)와 두 개의 측공간형성부(130)(또는, 전공간형성부나 후공간형성부)를 원터치할 시에 누를 수 있도록 해 준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머리 스타일 보존 헬멧을 제3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머리 스타일 보존 헬멧(100)은, 본체부(110), 상공간형성부(120), 두 개의 측공간형성부(130), 슬라이드부(140), 두 개의 힌지부(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부(110), 상공간형성부(120), 측공간형성부(130), 슬라이드부(140)는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힌지부(160)는, 본체부(110)의 측부(즉, 측부 개방 공간(112))와 측공간형성부(130) 사이에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본체부(110)의 측부에서 측공간형성부(130)를 좌우로 회동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힌지부(160)는, 원터치회전부재(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할 수 있으며, 해당 원터치회전부재를 이용하여 측공간형성부(130)를 원터치할 시에 본체부(110)의 측부(즉, 측부 개방 공간(112))에서 바깥으로 측공간형성부(130)를 회동시켜 안쪽 측공간이 형성되도록 해 줄 수 있으며, 이에 착용자가 본체부(110)를 착용하거나 벗을 때에 편안하게 해 줄 수 있으며, 그런 후에 측공간형성부(130)를 한 번 더 원터치할 시에 측공간형성부(130)가 본체부(110)의 측부(즉, 측부 개방 공간(112))에 고정되도록 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머리 스타일 보존 헬멧(100)은, 탄성부재(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걸림부재(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탄성부재는, 힌지부(160)에 설치되어, 측공간형성부(130)를 원터치할 시에 본체부(110)의 측부(즉, 측부 개방 공간(112))에서 바깥으로 측공간형성부(130)를 회동시키도록 탄성을 제공해 준다.
걸림부재는, 본체부(110)의 측부(즉, 측부 개방 공간(112))에 설치되어, 측공간형성부(130)를 원터치할 시에 측공간형성부(130)를 본체부(110)의 측부(즉, 측부 개방 공간(112))에서 고정 해제시켜 주고, 측공간형성부(130)를 한 번 더 원터치할 시에 측공간형성부(130)를 본체부(110)의 측부(즉, 측부 개방 공간(112))에 고정시켜 준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머리 스타일 보존 헬멧을 제4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머리 스타일 보존 헬멧(100)은, 본체부(110), 상공간형성부(120), 두 개의 측공간형성부(130), 슬라이드부(140), 두 개의 전공간형성부(170), 두 개의 후공간형성부(18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부(110), 상공간형성부(120), 측공간형성부(130), 슬라이드부(140)는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전공간형성부(170)는, 본체부(110)의 전부 내면(착용자의 이마 부분에 해당함)에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 설치되어, 착용자의 이마 부분을 기 설정된 거리를 두고 지지하여 본체부(110)의 전부에 안쪽 전공간을 형성해 줌으로써, 착용자의 앞머리의 스타일을 보존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전공간형성부(170)는, 안쪽 전공간 형성으로 착용자의 이마 부분 앞머리의 스타일을 보존해 줄 수 있는데, 기 설정된 간격(예를 들어, 3cm)으로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착용자의 머리 유형마다 이에 대응하여 이마 부분의 고정을 포인트 잡게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공간형성부(170)는, 두 개의 이마지지수단과, 각 이마지지수단에 대응하는 두 개의 슬라이드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마지지수단은, 슬라이드수단에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착용자의 이마 폭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여 착용자의 이마 부분을 지지해 준다.
슬라이드수단은, 본체부(110)의 전부 내면(착용자의 이마 부분에 해당함)에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어, 이마지지수단을 좌우로 슬라이딩시켜 줌으로써, 착용자의 이마 폭에 따라 이마지지수단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착용자가 착용 시에 착용자의 앞머리를 안정감 있게 포인트를 줄 수 있도록 해 준다.
후공간형성부(180)는, 본체부(110)의 후부 내면(착용자의 뒤통수 부분에 해당함)에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 설치되어, 착용자의 뒤통수 부분을 기 설정된 거리를 두고 지지하여 본체부(110)의 후부에 안쪽 후공간을 형성해 줌으로써, 착용자의 뒷머리의 스타일을 보존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후공간형성부(180)는, 안쪽 후공간 형성으로 착용자의 뒤통수 부분 뒷머리의 스타일을 보존해 줄 수 있는데, 기 설정된 간격(예를 들어, 3cm)으로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착용자의 머리 유형마다 이에 대응하여 뒤통수 부분의 고정을 포인트 잡게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후공간형성부(180)는, 두 개의 뒤통수지지수단과, 각 뒤통수지지수단에 대응하는 두 개의 슬라이드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뒤통수지지수단은, 슬라이드수단에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착용자의 뒤통수 폭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여 착용자의 뒤통수 부분을 지지해 준다.
슬라이드수단은, 본체부(110)의 후부 내면(착용자의 뒤통수 부분에 해당함)에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어, 뒤통수지지수단을 좌우로 슬라이딩시켜 줌으로써, 착용자의 뒤통수 폭에 따라 뒤통수지지수단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착용자가 착용 시에 착용자의 뒷머리를 안정감 있게 포인트를 줄 수 있도록 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이마지지수단 또는 뒤통수지지수단은, 메모리폼일 수 있으며, 안쪽 안전 패드 부착 방식을 머리 유형 및 모양 별로 패턴에 공간 활용을 위해서 각각에 공간형 패턴으로 굴곡 및 공간이 각각 다르게 제작해 줄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이마지지수단 또는 뒤통수지지수단은, 이마 부분 또는 뒤통수 부분의 패턴을 정수리 부분과 옆머리보다 높게 포인트를 주어, 정수리 부분 머리와 옆머리뿐만 아니라 앞머리와 뒷머리에 대해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여 장시간 헬멧을 착용하여도 불편함이나 머리 모양이 눌려져 변형을 가져오는 것을 없앨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머리 스타일 보존 헬멧
110: 본체부
111: 상부 개방 공간
112: 측부 개방 공간
120: 상공간형성부
130: 측공간형성부
140: 슬라이드부
141: 고정몸통수단
142: 슬라이드수단
1421: 슬라이드돌기
1422: 주회전돌기
143: 슬라이드안내수단
1431: 슬라이드홈
1432: 회전안내홈
1433: 걸림홈
144: 걸림수단
1441: 피회전돌기
145: 탄력수단
150: 케이스부
160: 힌지부
170: 전공간형성부
180: 후공간형성부
110: 본체부
111: 상부 개방 공간
112: 측부 개방 공간
120: 상공간형성부
130: 측공간형성부
140: 슬라이드부
141: 고정몸통수단
142: 슬라이드수단
1421: 슬라이드돌기
1422: 주회전돌기
143: 슬라이드안내수단
1431: 슬라이드홈
1432: 회전안내홈
1433: 걸림홈
144: 걸림수단
1441: 피회전돌기
145: 탄력수단
150: 케이스부
160: 힌지부
170: 전공간형성부
180: 후공간형성부
Claims (5)
- 상부 및 양측부에 개방 공간을 구비하고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 개방 공간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안쪽 상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상공간형성부; 및 상기 본체부의 양측부 개방 공간에 좌우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의 양측부에 안쪽 측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두 개의 측공간형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의 상부와 상기 상공간형성부 사이 또는 상기 본체부의 측부와 상기 측공간형성부 사이에 기 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서 상기 상공간형성부를 상하로 슬라이딩시키거나, 상기 본체부의 측부에서 상기 측공간형성부를 좌우로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슬라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나 측부에 고정 형성된 고정몸통수단; 상기 상공간형성부나 상기 측공간형성부의 테두리 부분에 고정 형성되고, 외면에 복수 개의 슬라이드돌기를 구비해서 상기 고정몸통수단의 내부로부터 승강이나 좌 또는 우 이동하거나, 상기 고정몸통수단의 내부로 하강이나 우 또는 좌 이동하여 상기 상공간형성부나 상기 측공간형성부를 승하강이나 좌 또는 우 이동 및 우 또는 좌 이동시키는 슬라이드수단; 상기 고정몸통수단의 내면에 복수 개의 슬라이드홈을 구비해서, 상기 슬라이드수단이 상기 고정몸통수단의 내부로부터 승강이나 좌 또는 우 이동하거나, 상기 고정몸통수단의 내부로 하강이나 우 또는 좌 이동하도록 상기 슬라이드돌기를 삽입시켜 슬라이드 안내해 주는 슬라이드안내수단; 상기 슬라이드수단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수단을 한 번 누름으로 상기 슬라이드수단의 하강이나 우 또는 좌 이동 시에 상기 슬라이드안내수단의 하부에 걸리도록 해 주거나, 상기 슬라이드수단을 또 한 번 누름으로 상기 슬라이드수단의 상승이나 좌 또는 우 이동 시에 상기 슬라이드안내수단의 하부에 걸린 것을 해제하도록 해 주는 걸림수단; 및 상기 고정몸통수단의 내면 하부와 상기 걸림수단의 하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수단이 승강이나 좌 또는 우 이동되도록 승강이나 좌 또는 우 방향으로 탄력을 상기 걸림수단에 제공해 주는 탄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 스타일 보존 헬멧.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전부에 형성된 개방 공간에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의 전부에 안쪽 전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전공간형성부; 및
상기 본체부의 후부에 형성된 개방 공간에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의 후부에 안쪽 후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후공간형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 스타일 보존 헬멧.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상공간형성부를 원터치할 시에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서 바깥으로 상기 상공간형성부를 밀어내어 안쪽 상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상공간형성부를 한 번 더 원터치할 시에 상기 상공간형성부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 스타일 보존 헬멧.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상공간형성부를 복수의 회수만큼 원터치할 때마다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서 복수 개의 단계로 바깥으로 상기 상공간형성부를 밀어내어 안쪽 상공간이 단계별로 넓어지도록 형성하며, 상기 상공간형성부를 한 번 더 원터치할 시에 상기 상공간형성부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 스타일 보존 헬멧.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9587A KR102228344B1 (ko) | 2020-08-10 | 2020-08-10 | 머리 스타일 보존 헬멧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9587A KR102228344B1 (ko) | 2020-08-10 | 2020-08-10 | 머리 스타일 보존 헬멧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28344B1 true KR102228344B1 (ko) | 2021-03-16 |
Family
ID=75224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99587A KR102228344B1 (ko) | 2020-08-10 | 2020-08-10 | 머리 스타일 보존 헬멧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28344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621Y1 (ko) * | 2000-04-20 | 2000-10-16 | 양성열 | 두개골 및 안면골을 성형시키는 헬멧 |
KR200440757Y1 (ko) * | 2008-04-03 | 2008-06-30 | 최종주 | 차광용 모자 |
KR101408994B1 (ko) * | 2013-07-18 | 2014-07-02 | 김규성 | 시야 차단식 강제 체결 안전모 |
KR101530061B1 (ko) * | 2015-05-04 | 2015-06-18 | (주)케이아이티 | 착용감 개선을 위한 안전진단 점검용 안전모 |
KR20160019163A (ko) | 2014-08-11 | 2016-02-19 | 황지웅 | 착용자의 헤어스타일 보호용 오토바이 헬멧 |
KR20180074064A (ko) | 2016-12-23 | 2018-07-03 | 김경한 | 헤어스타일 유지모자 |
-
2020
- 2020-08-10 KR KR1020200099587A patent/KR10222834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621Y1 (ko) * | 2000-04-20 | 2000-10-16 | 양성열 | 두개골 및 안면골을 성형시키는 헬멧 |
KR200440757Y1 (ko) * | 2008-04-03 | 2008-06-30 | 최종주 | 차광용 모자 |
KR101408994B1 (ko) * | 2013-07-18 | 2014-07-02 | 김규성 | 시야 차단식 강제 체결 안전모 |
KR20160019163A (ko) | 2014-08-11 | 2016-02-19 | 황지웅 | 착용자의 헤어스타일 보호용 오토바이 헬멧 |
KR101530061B1 (ko) * | 2015-05-04 | 2015-06-18 | (주)케이아이티 | 착용감 개선을 위한 안전진단 점검용 안전모 |
KR20180074064A (ko) | 2016-12-23 | 2018-07-03 | 김경한 | 헤어스타일 유지모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253771B2 (en) | Helmet padding system | |
US20150264993A1 (en) | Helmet padding system | |
US6880176B2 (en) | Headgear | |
US7430763B1 (en) | Visor mounted face protector | |
US11659882B2 (en) | Helmet padding system | |
KR102142990B1 (ko) | 가변형 헬멧 | |
US20190090576A1 (en) | Scaled impact protection | |
EP2615935B1 (en) | Hat systems | |
CA2987941A1 (en) | Helmet padding system | |
US6438762B1 (en) | Cover for helmet padding | |
US20170303624A1 (en) | Helmet padding system | |
KR102228344B1 (ko) | 머리 스타일 보존 헬멧 | |
US10993496B2 (en) | Helmet padding system | |
KR20120028556A (ko) | 가체머리 | |
US20180279707A1 (en) | Helmet padding system | |
US11744312B2 (en) | Helmet padding system | |
US20180235303A1 (en) | Helmet padding system | |
US20190133233A1 (en) | Protective helmet | |
US20050108810A1 (en) | Ponytail cap | |
KR20100004347U (ko) | 모자 | |
US11730222B2 (en) | Helmet padding system | |
KR100598319B1 (ko) | 크라운 형태를 유지해주는 모자 | |
WO2017055167A1 (en) | Adjustable protective headgear | |
US20240306757A1 (en) | Cushion pads and related systems | |
KR102435033B1 (ko) | 헤어 눌림 방지 기능이 있는 헬멧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