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3027B1 - 밴드와 버클의 슬라이드 어져스터 - Google Patents

밴드와 버클의 슬라이드 어져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3027B1
KR100953027B1 KR1020097008303A KR20097008303A KR100953027B1 KR 100953027 B1 KR100953027 B1 KR 100953027B1 KR 1020097008303 A KR1020097008303 A KR 1020097008303A KR 20097008303 A KR20097008303 A KR 20097008303A KR 100953027 B1 KR100953027 B1 KR 100953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le
band
slide adjuster
engagement
ceil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8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0357A (ko
Inventor
쇼지 시라이
고헤이 무샤
Original Assignee
비루마테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루마테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비루마테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60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0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3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3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garments
    • A41F1/008Adjustable fasteners comprising a track and a slide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engaging holes or the like in strap
    • A44B11/24Buckle with movable pro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14Bale and package ties, hose clamps
    • Y10T24/1498Plastic ba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0Buckles
    • Y10T24/4072Pivoted lev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251Resilient element [e.g., with sp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602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 Y10T24/45623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 Y10T24/4566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including slidably connected and guided element on receiving member
    • Y10T24/45665Receiving member includes either movable connection between interlocking components or variable configuration cavity and operator therefor including slidably connected and guided element on receiving member for shifting pivotally connected interlocking compon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버클부의 외관이 눈에 띄지 않고, 일체 성형 가능한 합성수지제 슬라이드 어져스터를 제공한다. 밴드 외표면에 형성한 톱니 형상의 걸어맞춤홈에 버클의 걸어맞춤조를 걸어맞춤시키고 상기 걸어멈춤상태에 있어서 밴드는 버클에 자유롭게 접근 가능하지만 후퇴 불가능하게 한 밴드와 버클의 슬라이드 어져스터에 있어서, 상기 버클을, 대향하는 저판과 천정틀 및 양자를 접속하는 양 측판으로 이루어지고 내부를 밴드의 삽입통과공간으로 한 버클 본체와, 상기 천정틀의 안쪽에 수평 설치되고, 일단부 하면에 상기 밴드의 걸어맞춤홈에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조를 갖고, 타단부를 압압부로 하는 조작판으로 구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조작판을 상기 걸어맞춤조와 상기 압압부의 중간점에서 상기 양 측판을 연결하는 연결축으로 지지하는 것에 의해 상기 중간점을 지점으로서 자유롭게 요동 가능하게 하여, 상기 밴드의 외표면과 상기 압압부에, 상기 버클과 밴드를 한쪽 손가락 끝으로 끌어당길 수 있는 한 쌍의 걸어멈춤 돌기를 설치한다.

Description

밴드와 버클의 슬라이드 어져스터{SLIDE ADJUSTER FOR BELT AND BUCKLE}
이 발명은, 밴드를 버클에 대해서 슬라이드시키고, 밴드의 길이를 조절하여 고정하기 위한 슬라이드 어져스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밴드(또는 벨트)에 걸어맞춤홈을 설치하여, 이 홈에 버클의 훅을 탄성적으로 걸어맞춤하여, 수시로, 이 걸어멈춤 상태를 해방 가능하게 하는 버클과 밴드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드 어져스터가 알려져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일본 공개특허 2000-135103호(특허문헌 1)에 있어서, 제작이 용이하고, 경량인 합성수지제 버클로서, 대향하는 저판(底板)과 천정틀 및 양자를 접속하는 양 측판으로 이루어지고, 내부가 걸어맞춤홈을 갖는 밴드의 삽입통과 공간이 된 버클 본체와, 상기 천정틀의 안쪽에 수평 설치되고, 일단부 하면에 상기 밴드의 걸어맞춤홈에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조를 갖고, 타단부 상면을 압압부로 하는 조작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조작판을 상기 걸어맞춤조와 상기 압압부의 중간점에서, 대향하는 천정틀의 2변에 각각 연결하는 것에 의해, 상기 중간점을 지점으로 하여 자유롭게 요동 가능하게 한 합성 수지제 버클로서, 상기 밴드의 외표면과 상기 천정틀에, 상기 버클 본체에 상기 밴드를 한쪽 손가락 끝으로 끌어당길 수 있는 한 쌍의 걸어멈춤 돌기를 설치한 합성 수지제 버클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 합성 수지제 버클은 기능적으로 매우 우수하고, 헬멧의 헤드밴드용 버클로서는 최적이지만, 모자, 바지 또는 스커트 등의 외관 디자인이 극히 중요시되는 복식품(服飾品)에 이용하는 밴드와 버클의 슬라이드 어져스터로서는, 더 경량이고 심플한 구성으로서, 버클부가 눈에 띄지 않는 외관을 갖는 것의 개발이 촉망되고 있다. 특히, 합성 수지제의 간단하고 쉬운 구조이고, 일체 성형 가능한 슬라이드 어져스터가 요구되고 있다.
한편, 특허문헌 1 기재의 합성 수지제 버클은 한쪽 손가락 끝 조작용의 걸어멈춤 돌기를, 버클 본체를 구성하는 천정틀에 설치하기 위해서, 버클 본체를 모자, 바지등의 외관으로부터 숨기는 것은 용이하지는 않았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04518호(특허문헌 2)에 있어서, 밴드의 일단부를 타단부에 설치한 통 형상의 버클내에 삽입 통과하여 주위 길이를 조절하면서 고리형상으로 접속되는 버클 부착 밴드로서, 상기 일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톱니 형상의 걸어맞춤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버클의 삽입통과 공간내에 걸어맞춤 볼록부를 설치하고,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와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가 걸어멈춤한 상태에서는, 상기 밴드의 일단부는 상기 삽입통과 공간을 자유롭게 진출 가능하지만, 후퇴 불가능하게 하고, 또한, 상기 삽입통과 공간의 적어도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에 근접하는 위치에, 밴드의 진출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내에 있어서의 밴드의 요동을 규제하는 가이드를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삽입통과 공간에 상기 밴드의 진출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를 갖는 조작편을 배치하고, 상기 조작편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 와 걸어맞춤 볼록부와의 걸어맞춤을 해제 가능하게 한 버클 부착 밴드를 제안하고 있다.
이 버클 부착 밴드는, 버클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으므로, 손목시계 등의 슬라이드 어져스터로서는 적합하지만, 버클 부분이 완전하게 노출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요청에 따르는 것은 아니다
특허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135103호
특허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04518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기 걸어맞춤 해제 버튼을 갖는 버클을, 모자, 바지 또는 스커트 등의 안쪽에 숨겨 외관의 노출을 억제하려고 하면, 버클 본체의 위쪽에서 저면측을 향한 압압력에 의해 밴드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기구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걸어맞춤 해제 버튼 이외의 조작판에 손가락 끝 등이 잘못 접촉하여 버클과 밴드가 걸어맞춤 해제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부분을 후드 등으로 가리는 것으로 불측의 걸어맞춤 해제를 회피하는 것은 가능해지지만, 그러면 금형에 의한 일체 성형을 실시할 수 없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한쪽 손가락 끝 조작에 의한 슬라이드 조절 기능을 유지하면서 버클을 겉으로 노출시키지 않기 위해서는, 걸어멈춤 돌기와 걸어맞춤 해제 버튼을 단부에 집중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지견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밴드 외표면에 형성한 톱니 형상의 걸어맞춤홈에 버클의 걸어맞춤조를 걸어맞춤시키고 상기 걸어멈춤 상태에 있어서 밴드는 버클에 자유롭게 접근 가능하지만 후퇴 불가능하게 한 밴드와 버클의 슬라이드 어져스터에 있어서, 상기 버클을, 대향하는 저판과 천정틀 및 양자를 접속하는 양 측판으로 이루어지고 내부를 밴드의 삽입통과 공간으로 한 버클 본체와, 상기 천정틀의 안쪽에 수평 설치되고, 일단부 하면에 상기 밴드의 걸어맞춤홈에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조를 갖고, 타단부를 상기 걸어맞춤을 해제하기 위한 압압부로 하는 조작판으로 구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조작판을 상기 걸어맞춤조와 상기 압압부의 중간점에서 상기 양 측판을 연결하는 연결축으로 지지하는 것에 의해 상기 중간점을 지점으로 하여 자유롭게 요동 가능하게 하고, 상기 밴드의 외표면과 상기 압압부에, 상기 버클과 밴드를 한쪽 손가락 끝으로 끌어당길 수 있는 한 쌍의 걸어멈춤 돌기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슬라이드 어져스터는, 상기 연결축으로부터 걸어멈춤 돌기에 이르는 조작판에 대해서, 상기 걸어멈춤 돌기 이외의 부분에 수직 방향의 압압력이 직접 작용하는 것을 규제하는 부재가 버클 본체에 설치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천정틀로부터 상기 조작판방향에 수평으로 내뻗은 장출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작판의 일단부 근방과, 상기 천정틀의 적어도 한 변, 또는 대향하는 상기 양 측판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 기재의 슬라이드 어져스터에서는, 특히, 한쪽 손가락 끝 조작용의 걸어멈춤 돌기를, 조작판의 압압부로 한 측의 단부에 해제 버튼으로서 설치했으므로, 밴드의 슬라이드 조정을 한쪽 손가락 끝만으로 행할 수 있어, 신속하고, 용이하게 걸어맞춤 동작을 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한 종래의 밴드와 버클의 슬라이드 어져스터에 비해 구성되는 부품 점수가 적고, 경량이며, 제조 비용도 염가이다.
청구항 1 기재의 슬라이드 어져스터는, 모자, 바지 또는 스커트 등의 안쪽에 숨겨 외관의 노출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버클 부착 밴드는 복식품(40,40)의 사이에 개재하여 외관적으로 눈에 띄고 있었다{도 3(2)}. 본 발명의 슬라이드 어져스터는, 걸어멈춤 돌기(15B)를 제거한 버클(20)을 모자 등의 복식품(40)의 안쪽에 넣을 수 있으므로, 모자의 외관으로서 나타나는 것은, 밴드(10)와 2개의 걸어멈춤 돌기(15A,15B)뿐이고, 밴드(10) 뿐인 것과 거의 변함이 없다{도 3(1)}. 또한, 밴드(10)의 슬라이드부가 좌우 대칭이 되어, 상쾌한 디자인이 되는 것과 함께, 이 부분의 의장상의 자유도가 증가하게 된다.
청구항 2 기재의 슬라이드 어져스터에는 규제 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조심성 없거나 또는 돌발적인 락 해제의 우려가 없다.
청구항 3 기재의 슬라이드 어져스터는 일체 성형 가능한 구조를 취하고 있으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또한 제작비도 저렴하다.
청구항 4 기재의 슬라이드 어져스터는, 요동시킨 조작판의 복원력이 높고, 확실한 걸어맞춤·해제 동작을 보증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슬라이드 어져스터의 평면도{도 1(1)}와, 동 도면의 z-z절단선에 있어서의 종단 측면도{도 1(2), (3)}이다.
[도 2는] 버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모자 등의 복식품에 본 발명의 슬라이드 어져스터를 적용했을 때의 외관을, 종래예와 대비하여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 밴드
12 : 걸어맞춤홈
15A : 밴드의 걸어멈춤 돌기
15B : 버클의 걸어멈춤 돌기
20 : 버클
21 : 저판
22 : 천정틀
23 : 측판
24 : 버클 본체
28 : 장출부
30 : 조작판
31 : 걸어맞춤조
32 : 압압부
35 : 연결축
36 : 연결 부재
이하, 본 발명에 관한 합성수지제 슬라이드 어져스터의 최선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밴드(10)와 버클(20)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슬라이드 어져스터가 나타나 있고, 도 1(1)은 그 평면도, 도 1(2)은 도 1(1)의 z-z 절단선에 있어서의 종단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필요한 길이, 폭, 두께를 갖는 밴드(10)의 외표면에는, 선단{버클(20)에 가까운 부분}으로부터 말단에 걸쳐 톱니 형상의 걸어맞춤홈(12)이 형성되고, 걸어맞춤홈(12)의 말단 가까이에는, 손가락 끝이 걸리는 정도의 크기·높이의 걸어멈춤 돌기(15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밴드(10)에 있어서 걸어멈춤 돌기(15A)의 더 말단 가까이에는, 밴드(10)를 도시하지 않은 모자 등에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부착구멍(16)이 뚫어 설치되어 있다.
버클(20)은, 저판(21), 이것에 대향하는 천정틀(22), 및 저판(21)과 천정틀 (22)을 접속하는 측판(23,23)으로 이루어지는 편평하고 통 형상의 버클 본체(24)에 의해 주체가 구성되어 있다. 버클 본체(24)는 밴드(10)의 슬라이드 방향이 삽입통과구로서 개구되고, 그 내부는 밴드(10)의 삽입통과 공간(26)이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저판(21)의 길이방향{밴드(10)의 슬라이드 방향}의 길이를 천정틀(22)의 길이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하는 것에 의해, 저판(21)에 형성한 부착구멍(27)에 의해 모자 등에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는 것과 함께, 밴드(10)의 삽입통과가 원활하게 행하여지도록 하고 있다.
천정틀(22)의 안쪽에는, 그 안에 넣어지는 크기의 조작판(30)이 수평으로 설치된다. 조작판(30)의 일단부 하면에는, 밴드(10)의 걸어맞춤홈(12)에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조(31)를 돌출설치하고, 타단부의 상면은 걸어맞춤 해제용의 압압부 (32)가 된다.
조작판(30)의 길이방향의 중간 지점에는, 연결축(35)이 형성되고, 이 연결축 (35)은 양 측판(23,23)의 상부 내벽에 연결되어 있다. 연결축(35)의 단면 형상은, 원형, 타원형, 그 외 여러 가지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연결축(35)은 조작판(30)을 자유롭게 요동되도록 축으로 지지하는 것과 함께, 반복적인 요동에 의해 파손되지 않는 형상이면 지장 없다. 한편, 연결축(35)은 양 측판(23,23)에 한정하지 않고, 조작판(30)과 대향하는 천정틀(22)의 2변에 지지되어 있어도, 후술하는 작용과 같은 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
조작판(30)의 타단부{압압부(32)}에는 걸어멈춤 돌기(15B)가 위쪽에 돌출설치되어 있다. 걸어멈춤 돌기(15B)나 상기 밴드(10)의 외표면에 설치한 걸어멈춤 돌기(15A)와 같이, 쌍방으로 손가락 끝을 거는 것에 의해 밴드(10)를 버클(20)에 한 손으로 끌어당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기 때문에, 손가락 끝에 걸리는 정도의 크기와 형상을 가지고 있으면 좋다. 또한, 의복 용도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소형의 걸어멈춤 돌기로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조작판(30)에 있어서, 압압부(32)와 연결축(35) 사이의 가로폭 W는, 조작판(30)의 요동과 강도를 충족하는 한에 있어서 가능한 한 좁게 설정되는 것과 함께, 버클 본체(24)에 있어서는, 대향하는 천정틀(22,22)로부터, 규제 부재로서의 장출부(28,28)가 안쪽을 향하여 수평으로 신장시키고 있다.
이 규제 부재는, 연결축(35)으로부터 걸어멈춤 돌기(15B) 가까이의 조작판 (30)에 있어서, 걸어멈춤 돌기(15B) 이외의 부분에 수직 방향의 압압력이 직접 작용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부재이며, 걸어멈춤 돌기(15B)를 조작할 때에 잘못하여 손가락 끝이 작용하거나 혹은, 상기 부분이 모자의 안쪽에 숨어 있기 때문에, 조심성 없이 눌러 내릴 수 있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버클(20)의 변형예로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출부(28,28)는, 수평 방향으로의 신장한 길이를 길게 한 장출부(28,28){도 2(1)}나, 선단을 곡선 형상으로 한 장출부(28,28){도 2(2)}로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 있어서 도 1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와 같은 부재에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에서는, 조작판(30)의 일단부{걸어맞춤조(31)가 설치된 측}를, 대향하는 양 측판(23,23)의 내벽에 연결하고 있다. 상기 연결은, 조작판(30)의 우각부로부터 이어지는 굴곡한 연결 부재(36,36)에 의해 이루어져 있고, 압압부(32)를 눌러 내린 후, 압압부(32)로부터 손가락을 떼어놓은 시점에서 조작판 (30)이 원래의 수평 상태로 복원하기 쉽게 한 것이다. 따라서, 연결 부재(36)의 형상으로서는 이 외에도, 물결판 등, 여러 가지의 것을 적용할 수 있다. 환언하면, 연결 부재(36)는 조작판(30)의 요동 동작에 대한 덤퍼로서의 기능을 갖는 것이다.
한편, 조작판(30)과 측판(23)과의 연결은, 연결축(35)을 사이에 두고 압압부 (32)의 반대측이면 좋고, 상기 일단부 이외인 조작판(30)의 측가장자리부라도 좋고, 측판(23)을 대신하여 천정틀(12)에 연결해도 좋다.
조작판(30)의 일단부{걸어맞춤조(31)가 설치된 측}에 설치한 돌기(33)는, 걸어맞춤 해제시에 조작판(30)의 걸어멈춤 돌기(15B)가 필요이상으로 눌러 내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이다.
또한, 부호 34도 걸어멈춤 돌기(15B)의 눌러 내릴 때에 장출부(28)의 측면에 접촉하여{도 1(3) 참조}, 걸어멈춤 돌기(15B)가 필요이상으로 눌러 내려져, 조작판 (30)이 밴드(10)의 상면에 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이다. 이들 스토퍼 (33,34)는 어느 한쪽을 구비하면 충분하고, 상기 도 2에 도시하는 실시 형태에서는, 스토퍼(34)를 설치하지 않는다.
버클(20)은, 가요성을 갖는 합성수지에 의해 성형할 수 있고, 특히, 조작판 (30)을 연결축(35)의 주위에 요동시키는 필요로부터, 폴리아세탈, 폴리옥시메틸렌,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에 의해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버클(20)은, 조그마한 부품에 의해 구성되고, 또한, 간단하고 쉬운 구조이기 때문에, 금형으로 용이하게 일체 성형할 수 있다.
계속하여, 상기 슬라이드 어져스터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2)은, 버클(20)의 삽입통과 공간(26)내에 밴드(10)이 삽입되어, 밴드(10)의 외표면에 형성된 걸어맞춤홈(12)에, 버클(20)의 걸어맞춤조(31)가 걸어맞춤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걸어맞춤홈(12)은 슬라이드 방향의 단면 형상이 톱니 형상, 즉, 밴드(10)의 진행 방 향을 향해서 점차 깊어지는 테이퍼면과, 이 가장 깊은 위치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솟아오르는 벽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밴드(10)를 압압부(32)측{도 1(2)에 있어서 좌측}으로부터 버클 본체(24)의 삽입통과 공간(26)내에 진입시켜 가면, 밴드(10)의 상면이 조작판(30)의 걸어맞춤조(31)에 접촉하고, 조작판(30)의 일단부{걸어맞춤조(31)가 형성된 측}를 밀어 올리면서 전진하여, 버클(20)에 대한 밴드(10)의 접근·이격위치가 조절된다. 이 상태에서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조(31)가 소정의 걸어맞춤홈 (12)과 맞물려 걸어멈춤하고 있으므로, 밴드(10)는 버클(20)에 대해 자유롭게 진출 가능하지만, 후퇴 불가능하다.
다른 한편, 버클(20)로부터 밴드(10)를 후퇴시키거나 뽑아내거나 하기 위해서는, 조작판(20)의 압압부(32){걸어멈춤 돌기(15B)}를 가볍게 손가락으로 눌러 내리면,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축(35)을 중심으로 조작판(30)이 회전하는 결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걸어맞춤조(31)가 들어 올려져, 걸어맞춤조(31)가 걸어맞춤홈(12)으로부터 빗나가므로, 밴드(10)를 자유롭게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압압부(32)로부터 손가락을 떼어놓으면, 압압부(32)는 합성수지의 탄성에 의해 원래의 수평 상태로 복귀한다.
본 발명의 밴드와 버클의 슬라이드 어져스터는, 모자, 바지 또는 스커트, 손목시계 등의 복식품, 각종 헬멧, 구두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슬라이드 어져스터는, 본래적으로, 결속구로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4)

  1. 밴드 외표면에 형성한 톱니 형상의 걸어맞춤홈에 버클의 걸어맞춤조를 걸어맞춤시키고 상기 걸어멈춤상태에 있어서 밴드는 버클에 자유롭게 접근 가능하지만 후퇴 불가능하게 한 밴드와 버클의 슬라이드 어져스터에 있어서,
    상기 버클을, 대향하는 저판과 천정틀 및 양자를 접속하는 양 측판으로 이루어지고 내부를 밴드의 삽입통과 공간으로 한 버클 본체와, 상기 천정틀의 안쪽에 수평 설치되어, 일단부 하면에 상기 밴드의 걸어맞춤홈에 걸어맞춤 가능한 걸어맞춤조를 갖고, 타단부를 상기 걸어맞춤을 해제하기 위한 압압부로 하는 조작판으로구성하는 것과 함께, 상기 조작판을 상기 걸어맞춤조와 상기 압압부의 중간점에서 상기 양 측판을 연결하는 연결축으로 지지하는 것에 의해 상기 중간점을 지점으로 하여 자유롭게 요동 가능하게 하고,
    상기 밴드의 외표면과 상기 압압부에, 상기 버클과 밴드를 한쪽 손가락 끝으로 끌어당길 수 있는 한 쌍의 걸어멈춤 돌기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밴드와 버클의 슬라이드 어져스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으로부터 걸어멈춤 돌기에 이르는 조작판에 대해서, 상기 걸어멈춤 돌기 이외의 부분에 수직 방향의 압압력이 직접 작용하는 것을 규제하는 부재가 버클 본체에 설치된 슬라이드 어져스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부재가 상기 천정틀로부터 상기 조작판방향에 수평으로 내뻗은 장출부인 슬라이드 어져스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판의 일단부 근방과, 상기 천정틀의 적어도 한 변, 또는 대향하는 상기 양 측판을 연결한 슬라이드 어져스터.
KR1020097008303A 2006-10-04 2007-10-02 밴드와 버클의 슬라이드 어져스터 KR1009530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272873 2006-10-04
JP2006272873A JP4005109B1 (ja) 2006-10-04 2006-10-04 バンドとバックルのスライドアジャス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0357A KR20090060357A (ko) 2009-06-11
KR100953027B1 true KR100953027B1 (ko) 2010-04-14

Family

ID=38769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8303A KR100953027B1 (ko) 2006-10-04 2007-10-02 밴드와 버클의 슬라이드 어져스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46211B2 (ko)
EP (1) EP2087804B1 (ko)
JP (1) JP4005109B1 (ko)
KR (1) KR100953027B1 (ko)
CN (1) CN101522067B (ko)
WO (1) WO20080416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62505B2 (ja) * 2008-09-22 2013-08-14 株式会社デンソー センサ装置の取り付け構造
NL2002396C2 (en) * 2009-01-05 2010-07-06 Mmid Products B V CHEST SUPPORT BELT.
JP2010259627A (ja) 2009-05-07 2010-11-18 Ykk Corp スライドアジャスタ
JP5507977B2 (ja) * 2009-11-24 2014-05-28 モリト株式会社 ウエストサイズ調節具
JP5013559B2 (ja) * 2009-11-30 2012-08-29 ビルマテル株式会社 裾周りの長さ調整機構
US9127486B2 (en) * 2010-01-25 2015-09-08 Vision Industries Group, Inc. Sash window and door transportation clip assembly
CN102113744B (zh) * 2010-01-04 2012-11-21 陈建荣 束紧带装置
WO2012106374A1 (en) * 2011-02-01 2012-08-09 Bio Cybernetics International, Inc. Secure adjustable orthotic device
WO2012165591A1 (ja) * 2011-05-31 2012-12-06 ビルマテル株式会社 ロック機構付きバックル
JP5049399B1 (ja) * 2011-05-31 2012-10-17 ビルマテル株式会社 ロック機構付きバックル
CN102908679A (zh) * 2011-08-02 2013-02-06 常熟市赛爱斯医疗器材有限公司 用于悬挂引流集液计量容器的挂带结构
US9351526B1 (en) 2012-04-13 2016-05-31 Slidebelts Inc. Belt with integrated adjustment slots and belt fabrication method
US9149090B1 (en) 2012-04-13 2015-10-06 Slidebelts Inc. Belt adjustment system
US9420839B2 (en) * 2012-10-19 2016-08-23 Builmatel Co., Ltd. Air permeable headwear
EP2918188B1 (en) 2012-11-08 2017-11-22 Builmatel Co., Ltd. Slide adjuster
JP5192607B1 (ja) 2012-11-08 2013-05-08 ビルマテル株式会社 バックル
USD813493S1 (en) * 2014-02-01 2018-03-27 Daniel William Linsell Clothing belt
KR101573906B1 (ko) 2014-07-15 2015-12-02 이수진 길이 조절이 간편한 가방용 버클
CN105747394B (zh) * 2014-12-18 2018-06-26 启碁科技股份有限公司 吊带组件及其扣环单元
US9241543B1 (en) * 2015-01-09 2016-01-26 I-Sin Peng Adjustable belt buckle
USD799125S1 (en) * 2015-03-25 2017-10-03 Aaron + Amanda Holdings, Inc. Animal identification band
US10455869B1 (en) 2016-04-05 2019-10-29 Titan Retention LLC Technologies for tool carrying
NL2017648B1 (en) * 2016-10-20 2018-04-26 Livassured B V Wearable sensing device
USD860857S1 (en) 2017-10-19 2019-09-24 Slidebelts Inc. Belt buckle
TWI636777B (zh) * 2017-11-22 2018-10-01 賈秉坤 Easy to tighten tight band
US11096453B2 (en) * 2018-02-23 2021-08-24 David Shabot Reversible belt strap and buckle
GB2572189B (en) 2018-03-22 2021-07-28 Headkayse Ltd Simplified ratchet strap and buckle assembly
CN110152155A (zh) * 2019-03-15 2019-08-23 河南科技大学第一附属医院(河南省显微外科研究所) 一种临床医学用呼吸装置
US11478034B2 (en) * 2019-11-14 2022-10-25 Jesse Newman System for headwear size adjustment
USD923510S1 (en) * 2020-03-25 2021-06-29 Easyrig AB Buck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2408A (ja) 1998-03-18 1999-09-28 Osaka Bijou Kogyo Kk バックル
JP2000135103A (ja) 1998-08-28 2000-05-16 Birumateru Kk 合成樹脂製バックル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087A (en) * 1868-10-13 Improved hames-fastener
US2802248A (en) * 1953-07-24 1957-08-13 James H Wallace Tightening and holding device
JPS6335611Y2 (ko) * 1984-10-23 1988-09-21
US4955115A (en) * 1988-07-11 1990-09-11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Seisakusho Buckle device
JPH04197303A (ja) * 1990-11-29 1992-07-16 Asahi Optical Co Ltd ストラップのバックル
CA2329298C (en) * 1998-04-23 2007-02-13 Builmatel Co., Ltd. Buckle and band with this buckle
JP4368023B2 (ja) 2000-01-31 2009-11-18 ビルマテル株式会社 バックル付きバンド
US7246383B2 (en) * 2004-05-27 2007-07-24 Bell Sports, Inc. Fit adjustment mechanism for helme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2408A (ja) 1998-03-18 1999-09-28 Osaka Bijou Kogyo Kk バックル
JP2000135103A (ja) 1998-08-28 2000-05-16 Birumateru Kk 合成樹脂製バック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0357A (ko) 2009-06-11
CN101522067B (zh) 2010-09-29
US20100175232A1 (en) 2010-07-15
EP2087804A4 (en) 2012-08-01
CN101522067A (zh) 2009-09-02
EP2087804B1 (en) 2016-01-27
JP2008086639A (ja) 2008-04-17
WO2008041688A1 (fr) 2008-04-10
JP4005109B1 (ja) 2007-11-07
US8146211B2 (en) 2012-04-03
EP2087804A1 (en) 2009-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3027B1 (ko) 밴드와 버클의 슬라이드 어져스터
KR100480669B1 (ko) 버클 부착 밴드 및 그 버클
US8650665B2 (en) Bottom periphery length adjustment mechanism
WO2014073255A1 (ja) スライドアジャスタ
EP3012001A1 (en) Underwater mask
JP5049399B1 (ja) ロック機構付きバックル
JP2011120862A (ja) 裾周りの長さ調整機構
JP2010220795A (ja) 合成樹脂製バックル
JP5964194B2 (ja) ロック機構付きスライドアジャスタ
JP2011117089A (ja) 帽子のサイズ調整機構
JP5797158B2 (ja) ストッパー機構付きバックル
JP2011239808A (ja) ロック機構付きバックル
RU204819U1 (ru) Застежка замкового типа
EP4245180A1 (en) Device for opening/closing the visor of a helmet
JP2013103033A (ja) ロック機構付きバックル
JP2014124488A (ja) バンドとバックルのスライドアジャスタ
CN114248887A (zh) 潜水面罩
JP2014124487A (ja) バンドとバックルのスライドアジャスタ
JP2013023783A (ja) スライドアジャスタを備えた帽子
JPH11229220A (ja) ズボン等のウェストサイズのアジャスター
JP2013094301A (ja) ロック機構付きバックル
JP2014039865A (ja) ロック機構付きバックル
JP2012250045A (ja) ロック機構付きバックル
JP2014054429A (ja) ロック機構付きバック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