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2043A - 헬멧 - Google Patents

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2043A
KR20110012043A KR1020090069582A KR20090069582A KR20110012043A KR 20110012043 A KR20110012043 A KR 20110012043A KR 1020090069582 A KR1020090069582 A KR 1020090069582A KR 20090069582 A KR20090069582 A KR 20090069582A KR 20110012043 A KR20110012043 A KR 20110012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helmet
locker
elastic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9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0796B1 (ko
Inventor
조범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90069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0796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Priority to CN201210197288.7A priority patent/CN102697229B/zh
Priority to PCT/KR2010/003725 priority patent/WO2011013902A2/ko
Priority to CN201080033168.2A priority patent/CN102469840B/zh
Priority to EP12171353.1A priority patent/EP2517586B1/en
Priority to EP10804615.2A priority patent/EP2460425B1/en
Priority to ES12171353.1T priority patent/ES2646419T3/es
Priority to US13/387,388 priority patent/US8745763B2/en
Publication of KR20110012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2043A/ko
Priority to US13/489,484 priority patent/US891891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0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0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1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 A42B3/222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in an articulated manner, e.g. hinge devices
    • A42B3/223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in an articulated manner, e.g. hinge devices with means for locking the visor in a fully open, intermediate or clos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8Chin straps or similar reten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양단에 내측 결합구를 가지는 실드가 헬멧 본체부에 형성된 실드 결합 뭉치의 뭉치 결합구를 통해 형상 맞춤 결합되며, 상기 실드에 의해 개폐되는 개방부를 포함하는 헬멧에 있어서, 상기 헬멧 본체부에 고정 부착된 잠금 지지 부재 및 상기 실드에 고정 부착되어 상기 잠금 지지 부재와 체결 또는 해제되는 록커를 포함하되, 실드가 아래로 내려져 상기 개방부를 완전히 밀폐하게 되는 경우 상기 잠금 지지 부재에 자동으로 잠금되며, 실드의 폐쇄 위치에서 한 번의 조작으로 상기 잠금 지지 부재로부터 잠금 해제되는 것인 헬멧이 제공된다.
헬멧, 실드, 록커, 원터치, 원터치 오픈형, 오토바이 헬멧

Description

헬멧 {HELMET}
본 발명은 전면에 형성된 개방부의 개폐가 가능한 실드를 가지는 헬멧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 번의 터치로 실드를 개방하고, 실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원터치 오픈형 헬멧에 관한 것이다.
헬멧은 오토바이 등 이륜차의 운행 시 착용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운행자의 전방시계 확보를 위해 헬멧 본체부 전면에는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헬멧은 개방부를 통해 운행 중 유입되는 바람, 먼지의 차단을 위해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한 실드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를 위해, 헬멧은 헬멧 본체부에 실드를 결합시키기 위한 소정의 결합부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 상기 결합부는 헬멧 본체부의 양 측면에 구비되는 실드 결합 뭉치와 실드의 양단 내측에 구비되어 실드 결합 뭉치와 형상 맞춤 결합 가능한 결합구를 포함한다.
한편, 헬멧은 그 내부가 외부와 통기가 잘 되지 않는 밀폐된 구조를 가지는 특성상, 착용자가 답답함을 많이 느끼게 되거나, 내부에 습기가 차 시야를 가리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종래에는 시야를 가리는 실드를 개방하거나 별도로 형성된 통풍구를 통해 외기를 헬멧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였다. 나아가 개방 가능한 실드를 구비하는 경우, 실드가 착용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실드 잠금 장치를 구비하는 헬멧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실드를 내리면 자동으로 실드가 잠겨 착용자의 의도와 상관없는 실드 개방을 방지하는 한편, 실드가 원터치로 개방되어 헬멧 내부로 외기 유입이 가능하되 전방에서 유입되는 바람에 의해 시야가 방해되지 않을 정도로만 개방될 수 있도록 한 개선된 헬멧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양단에 내측 결합구를 가지는 실드가 헬멧 본체부에 형성된 실드 결합 뭉치의 뭉치 결합구를 통해 형상 맞춤 결합되며, 상기 실드에 의해 개폐되는 개방부를 포함하는 헬멧에 있어서, 상기 헬멧 본체부에 고정 부착된 잠금 지지 부재 및 상기 실드에 고정 부착되는 실드 장착부 및 일단은 상기 실드 장착부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축이 형성되며, 타단은 상기 잠금 지지 부재와 체결 또는 해제되는 록커 걸림턱을 포함하는 록커가 형성된 헬멧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록커는, 상기 실드의 바깥쪽으로 돌출 형성된 손잡이부가 형성된 터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헬멧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록커 걸림턱이 상기 잠금 지지 부재와 체결되는 경우, 상기 잠금 지지 부재에 형상 결합되는 록커 걸림턱의 체결이 유지되도록 설정된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인 헬멧으로도 구성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드는 양단 내측에 돌출 형성된 실드 탄성 제공구를 포함하며, 상기 실드 결합 뭉치는 실드의 폐쇄 위치에서, 상기 실드의 개방 방향으로 상기 실드 탄성 제공구를 탄성 지지하는 것인 헬멧의 제공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실드 결합 뭉치는 상기 헬멧 본체부의 양측면에 조립 부착되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에 부착 지지되어 상기 실드의 상기 내측 결합구와 형상 맞춤 결합되며 상기 실드가 상기 헬멧 본체부로부터의 분리없이 상·하 회동 하도록 지지하는 회동 안내부 및 실드의 폐쇄 위치에서 상기 실드의 개방 방향으로 상기 실드 탄성 제공구에 설정된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으로도 헬멧의 구성이 가능하며, 상기 탄성부는 상기 받침판에 탄성 결합되는 탄성 가압체 및 상기 탄성 가압체와 상기 받침판 개재되는 탄성체를 포함하되, 상기 실드가 폐쇄 위치로부터 해제되는 경우, 상기 탄성체는 상기 실드의 개방 위치 방향으로 상기 실드 탄성 제공구에 상기 설정된 탄성을 제공하여 상기 실드가 일부 개방되는 형태의 헬멧도 구성 가능하다.
또한 양단에 내측 결합구를 가지는 실드가 헬멧 본체부에 형성된 실드 결합 뭉치의 뭉치 결합구를 통해 형상 맞춤 결합되며, 상기 실드에 의해 개폐되는 개방부를 포함하는 헬멧에 있어서, 상기 헬멧 본체부에 고정 부착된 잠금 지지 부재 및 상기 실드에 고정 부착되어 상기 잠금 지지 부재와 체결 또는 해제되는 록커를 포함하되, 상기 실드의 폐쇄 위치에서 상기 록커는 상기 잠금 지지 부재와 체결되고, 상기 실드의 개방 위치에서 상기 록커는 상기 잠금 지지 부재와 해제되며, 상기 실드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회동하는 때, 상기 록커는 상기 잠금 지지 부재에 걸림으로써 자동 체결되는 헬멧의 제공도 고려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드의 폐쇄 위치에서, 상기 실드는 개방 위치의 방향으로 설정된 탄성을 갖도록 상기 실드 결합 뭉치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상기 실드가 폐쇄 위치로부터 해제되는 경우, 상기 탄성 지지된 실드는 개방 위치 방향으로 일부 개방되는 것인 헬멧으로도 구성 가능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헬멧 착용자는 실드에 고정 부착된 록커를 통해 단순히 실드를 내리는 것만으로도 손쉽게 실드를 잠글 수 있게 된다.
또한 실드는 원터치만으로도 시야가 방해되지 않을 정도로 개방되어 외기 유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착용자는 주행 중에도 쉽게 실드 개방이 가능하게 되며, 추가적인 통풍구 형성이 불필요해져 헬멧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실드는 실드 결합 뭉치와 맞춤 결합을 통해 실드 개방 정도를 단계별로 조정하고 조정된 실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8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의 사시도로, 도 1 은 실드(110)가 헬멧 본체부(11)에 결합된 상태의 헬멧을, 도 2 는 실드(110)가 헬멧 본체부(11)에서 분리된 상태의 헬멧을 나타내고 있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10)은 헬멧 본체부(11), 개방부(12), 패킹(13), 잠금 지지 부재(14), 실드(110), 실드 결합 뭉치(130) 및 록커(150)를 포함한다.
헬멧(10)은 오토바이나 경주용 자동차 등의 운행자나 탑승자가 운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사고 시 머리 보호를 위해 착용하는 것으로, 운행자가 착용할 수 있는 헬멧 본체부(11)와 전면에 시야 확보를 위한 개방부(12)가 형성되어 있다.
헬멧 본체부(11)는 헬멧(10)의 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착용자의 머리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은 우레탄과 같은 탄성체를 구비하여, 운행자 등의 머리형에 꼭 맞도록 밀폐형으로 제작된다. 또한 헬멧 본체부(11)는 미려함과 머리 보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재질과 소재, 디자인으로 형성된 외관을 가지며, 전 면에는 시야 확보를 위한 개방부(12)가 형성되어 있다.
개방부(12)는 헬멧 본체부(11)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로, 헬멧(10) 착용자는 개방부(12)를 통해 전방 시야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개방부(12)의 테두리를 따라 패킹(13)이 형성되기도 한다.
패킹(13)은 개방부(12)의 테두리를 따라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 것으로, 고무, 우레탄 등 다양한 재질의 활용이 가능하다. 패킹(13)은 실드(110)가 이하 후술할 실드의 폐쇄 위치로 이동 시 발생할 수 있는 헬멧 본체부(11)와의 불필요한 충돌을 방지하고 효과적인 밀폐를 기능을 제공한다. 패킹(13)은 잠금 지지 부재(14)를 사이에 두고 개방부(12)의 테두리를 두르고 있는 형태로도 구성될 수도 있다.
잠금 지지 부재(14)는 개방부(12)의 정면 하단부에 위치하도록 헬멧 본체부(11)에 고정 부착된 것으로 패킹(13)과 다른 금속 소재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잠금 지지 부재(14)는 록커(150)를 통한 실드 체결을 위해 이하 후술할 록커 걸림턱(154)이 실드의 폐쇄 위치에서 잠금 지지 부재(14)에 걸릴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체결 해제 시에는 록커 걸림턱(154)이 잠금 지지 부재(14)로부터 걸림 해제가 용이한 구조를 가진다. 다만 상술한 체결 및 체결 해제 기능의 수행이 가능한 이상, 잠금 지지 부재(14)의 장착 위치나 형태 및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도 1 에서의 A 로 표시된 부분은 실드 결합 뭉치(130)를, B 로 표시된 부분은 록커(150)를 가리키며, 이에 대해서는 이하 도 4 및 도 5 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 도 3 을 이용해 개방부(12)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실드(1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드(110)의 사시도이다.
실드(110)는 주행 시 전방에서 전달되는 바람이나 비, 눈에 의해 시야가 방해되지 않도록 개방부(12)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투명한 형태의 창이다. 실드(110)는 내측 결합구(111)를 가지며, 결합 리브(111a), 실드 개폐 조정구(113), 조정구 리브(113a), 탄성 제공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내측 결합구(111)는 개방부(12)의 선택적 개폐를 위해 양단 측면에 안쪽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의 부재이며, 실드(110)와 같은 재질로 일체형으로 구성되거나 실드(110)에 추가적으로 장착된 형태의 부재로 구성 가능하다.
또한 내측 결합구(111)는 보다 안정적인 체결 및 동작을 위해 단부에서 돌출 형성된 결합 리브(111a)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내측 결합구(111)는 이하 후술할 실드 결합 뭉치(130)의 뭉치 결합구(131)와 형상 맞춤 결합되며, 결합 리브(111a)는 이하 후술할 결합 리브 안내 공간(132)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실드 개폐 조정구(113)는 실드(110)의 양단 내측에서 안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부재이며, 실드(110)와 같은 재질로 일체형으로 구성되거나 실드(110)에 추가적으로 장착된 형태의 부재로 구성 가능하다. 실드 개폐 조정구(113)는 실드(110)의 상·하 개방 정도를 단계별로 조정 가능하도록 하며, 착용자가 선택한 실드(110) 개방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실드 개폐 조정구(113)는 보다 안정적인 체결 및 동작을 위해 단부에서 돌출 형성된 조정구 리브(113a)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실드 개폐 조정구(113)는 이하 후술할 실드 결합 뭉치(130)의 실드 개폐 조정용 돌기(133)와 맞물려 움직이며, 조정구 리브(113a)는 이하 후술할 조정 리브 안내 공간(134)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실드 개폐 조정구(113)가 실드 개폐 조정용 돌기(133)와 맞물려 상하로 개폐됨에 따라, 실드(110)의 개폐 단계를 조정하고 개방된 실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탄성 제공부는 실드(110)의 폐쇄 위치에서 이하 후술할 실드 결합 뭉치(130)의 탄성부 또는 탄성 가압체(135)로부터 탄성을 제공받을 수 있는 것으로, 실드 탄성 제공구(115)의 형태로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실드(110)는 실드 탄성 제공구(115)를 포함하며, 이하 후술할 실드 결합 뭉치(130)는 실드(110)의 폐쇄 위치에서, 실드(110)의 개방 방향으로 실드 탄성 제공구(115)를 탄성 지지하게 할 수 있다.
실드 탄성 제공구(115)는 실드(110)의 양단 내측에서 안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부재이며, 실드(110)와 같은 재질로 일체형으로 구성되거나 실드(110)에 추가적으로 장착된 형태의 부재로 구성 가능하다. 실드 탄성 제공구(115)는 실드(110)가 록커(150)에 의해 잠금 상태에 있게 되는 실드의 폐쇄 위치에서 이하 후술할 실드 결합 뭉치(130)의 탄성부 또는 탄성 가압체(135)와 가압 접촉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실드 탄성 제공구(115)에 의해 가압 접촉된 탄성 가압체(135)는 실드 탄성 제공구(115)를 통해 반발력을 전달하게 하되, 록커(150)가 잠금 해제 되는 경 우 반발력에 의해 실드(110)를 개방될 수 있도록 살짝 밀어 올리게 된다. 또한 실드 탄성 제공구(115)는 실드의 폐쇄 위치에서 탄성 가압체(135)와 가압 접촉해, 탄성 가압체(135)의 반발력을 실드(110)로 전달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도면에 도시된 탄성 가압체(135)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와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도 4 를 이용해 헬멧 본체부(11)의 양 측면에 부착 형성되는 실드 결합 뭉치(130)를 설명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멧(10)의 실드 결합 뭉치(130)의 분해 사시도이다.
실드 결합 뭉치(130)는 실드(110)를 헬멧 본체부(11)의 양 측면에 결합시켜, 실드(110)가 상·하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연결부재로, 헬멧 본체부(11)의 측면에 직접 조립 부착되는 받침판(139), 받침판(139)에 부착 지지되어 실드(110)의 내측 결합구(111)와 형상 맞춤 결합되며 실드(110)가 헬멧 본체부(11)로부터의 분리없이 상·하 회동 하도록 지지할 수 있는 회동 안내부 및 실드의 폐쇄 위치에서 실드(110)의 개방 방향으로 실드(110)에 설정된 탄성을 제공할 수 있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회동 안내부는 뭉치 결합구(131), 결합 리브 안내 공간(132), 실드 개폐 조정용 돌기(133) 및 조정 리브 안내 공간(13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는 탄성 가압체(135), 탄성체(137)를 포함할 수 있다.
뭉치 결합구(131)는 제 1 뭉치 결합부재(131a) 및 제 2 뭉치 결합부재(131b)가 받침판(139)에 결합되는 경우 실드 결합 뭉치(130)에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함몰된 지점이다. 뭉치 결합구(131)는 원통 형상을 가지는 실드(110)의 내측 결합 구(111)와 형상 맞춤 결합 가능하되, 실드(110)의 내측 결합구(111) 형태에 따라 원통 이외에도 다양한 맞춤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1 뭉치 결합부재(131a)의 안쪽은 결합 리브(111a)가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 리브 안내 공간(132)을 가질 수 있다.
결합 리브 안내 공간(132)은 제 1 뭉치 결합부재(131a)의 하부면의 안쪽 일부가 개방되어, 결합부재(131a)가 받침판(139)과 결합 시 제 1 뭉치 결합부재(131a)와 받침판(139)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공간이다. 실드(110)는 내측 결합구(111)에 형성된 결합 리브(111a)가 결합 리브 안내 공간(132)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됨으로써 헬멧 본체부(11)로부터 실드(110)가 분리될 염려 없이 선택적으로 상·하 개폐가 가능하게 된다.
실드 개폐 조정용 돌기(133)는 받침판(139)에 하부면의 일부가 지지되어 부착되고, 헬멧 본체부(11)에 받침판(139)이 부착되는 경우, 그 아래에 조정 리브 안내 공간(134)을 형성할 수 있는 결합 부재이다. 실드 개폐 조정용 돌기(133)는 실드 개폐 조정구(113)와 맞물리는 일단부에 하나 이상의 물결 형상의 굴곡부를 가진다. 실드(110)의 개폐 위치에 따라 실드 개폐 조정용 돌기(133)와 맞물려 움직이는 실드 개폐 조정구(113)는 돌기(133)상의 다른 위치의 굴곡부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물결 형상의 굴곡부는 조정구(113)의 이동에 큰 힘을 요구하지 않는다. 조정구(113)는 선택된 실드 위치에서 돌기(133)상의 굴곡부와 맞춤 결합을 하게 됨으로써 착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실드(110)의 흘러내림이나 실드(110)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조정구(113)가 다수의 물결 형상의 굴곡부를 가지는 조정용 돌기(133)와 맞물려 회동하도록 됨에 따라 착용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서도 실드(110)의 개방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며, 일단 선택된 실드(110)의 개방 위치는 인위적인 조정이 없는 한 계속 같은 위치를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실드 개폐 조정용 돌기(133)의 하부에는 조정구 리브(113a)가 회동할 수 있는 조정 리브 안내 공간(134)이 추가적으로 형성된다. 다만 실드 개폐 조정용 돌기(133)의 일단부에 형성된 물결 형상의 굴곡부는 본 발명에 적용 가능한 일 예에 불과하며, 실드 개폐 조정구(113)와 맞춤 결합 가능한 다양한 형상이 채용될 수 있다.
조정 리브 안내 공간(134)는 조정용 돌기(133)의 하부면 일부만이 받침판(139)에 지지 부착된 결과 형성되는 빈 공간으로, 헬멧 본체부(11) 또는 받침판(139)과 조정용 돌기(133) 사이의 리브 안내 공간(134)을 통해 조정구 리브(113a)가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실드 개폐 조정구(113)가 조정용 돌기(133)를 따라 맞물려 움직이게 되는 경우 조정 리브 안내 공간(134)을 따라 조정구 리브(113a)도 같이 맞물려 움직이게 됨으로써 조정구(113)가 조정용 돌기(133)로부터 이탈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탄성 가압체(135)는 탄성체(137)를 통해 받침판(139)과 탄성 결합되며, 실드 탄성 제공구(115)와 실드의 폐쇄 위치에서 가압 접촉하게 된다. 탄성 가압체(135)는 실드(110) 개방 상태에서는 실드 탄성 제공구(115)와 접촉하지 않고, 따라서 탄성 반발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반면, 실드(110)가 개방부(12)를 완전히 덮어 밀폐되는 실드의 폐쇄 위치에서 탄성 가압체(135)는 접촉되는 실드 탄성 제공구(115)에 의해 개방부(12)의 반대편으로 밀리는 힘을 받게 된다. 탄성 제공구(115)에 의해 힘을 전달받는 탄성 가압체(135)는 헬멧 본체부(11)에 고정된 받침판(139)을 지지대로 삼아 탄성체(137)를 압축시킬 수 있다. 실드의 폐쇄 위치에 있던 실드(110)가 개방되는 경우 탄성 가압체(135)를 개방부(12)의 반대편으로 밀고 있었던 실드 탄성 제공구(115)는 더 이상 탄성 가압체(135)를 밀지 못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탄성 가압체(135)는 압축된 탄성체(137)가 원래 형태로 복귀하는 탄성력을 받아 실드 탄성 제공구(115)를 개방부(12) 방향, 다시 말해 실드(11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밀게 된다. 헬멧(10) 착용자는 이러한 원리를 통해 실드(110)를 보다 쉽게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도 4 에 도시된 탄성 가압체(1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제 2 뭉치 결합부재(131b)와 하나의 부재로 구성된 일체형 또는 분리되어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단면과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체(137)는 탄성 가압체(135)와 받침판(139)간의 탄성 결합을 시키는 것으로 탄성체(137)는 실드 탄성 제공구(115), 탄성 가압체(135) 순으로 전달되는 힘을 비축할 수 있다. 탄성체(137)는 실드(110)가 폐쇄 위치에서 개방되어 실드 탄성 제공구(115)에서 제공되는 힘이 없어지는 순간, 탄성 가압체(135)로 비축한 힘을 전달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탄성체(137)는 용수철 이외에도 탄성 가압체(135)와 받침판(139) 사이에서 탄성 결합을 제공해 줄 수 있는 다양한 탄성체의 활용도 가능하다.
받침판(139)은 제 1 및 제 2 뭉치 결합부재(131a, 131b), 실드 개폐 조정용 돌기(133), 탄성 가압체(135) 및 탄성체(137)와 조립되며, 이들을 포함하는 실드 결합 뭉치(130)가 최종적으로 헬멧 본체부(11)에 고정 부착된다. 받침판(139)은 하나 이상의 나사를 이용해 헬멧 본체부(11)에 고정 부착될 수 있으며, 체결되는 제 1 및 제 2 뭉치 결합부재(131a, 131b) 등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상과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5 를 이용해 잠금 지지 부재(14)에 실드(110)를 탈, 부착 가능하도록 결합시킬 수 있는 록커(150)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록커(150)의 분해 사시도이다.
록커(150)는 실드(110)를 헬멧 본체부(11) 일단에 고정 부착된 잠금 지지 부재(14)에 체결하여 실드(110)가 탈착 또는 부착 가능토록 결합하는 것으로, 록커(150)는 실드(110)에 고정 부착되는 실드 장착부(151) 및 일단은 실드 장착부(151)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축이 형성되며, 타단은 잠금 지지 부재(14)와 체결 또는 해제되는 이하 후술할 록커 걸림턱(154)을 포함하는 것으로도 구성 가능하다. 또한 록커(150)는 착용자의 편의를 위해 실드(110)의 바깥쪽으로 돌출 형성된 손잡이부(155)가 형성된 터치부(153)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실드 장착부(151)는 실드(110)의 일단부에 록커(150)를 고정 부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록커(150)가 실드(110)로부터 임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드 장착부(151)는 실드(110)와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배면에 장착판(152)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실드 장착부(151)에 형성되는 장착판(152)은 실드(110)와의 안정적인 결합을 할 수 있다면, 배면이 아닌 다른 실드 장착부(151)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거나 오목하게 삽입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장착판(152)은 실드 장착부(151)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거나 오목하게 삽입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드(110)에 실드 장착부(151)를 용이하게 고정 부착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실드(110)의 일단부는 장착판(152)와 실드 장착부(151)의 배면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 사이로 끼워져 최종적으로는 록커(150)가 실드(110)로부터 임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장착판(152)은 이하 후술할 록커 샤프트(156)를 통해 터치부(153)와 회동 가능한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돌출 부분에는 길이 방향으로 천공된 구멍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예시에 불과하며 길이 방향으로 천공된 구멍 이외에도 장착판(152)이 록커 샤프트(156)와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구성이 채용될 수 있다.
터치부(153)는 록커(150)를 잠금 지지 부재(14)에 체결시키거나 해제시킬 수 있다. 실드(110)가 실드의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록커(150)는 잠금 지지 부재(14)에 체결되어 실드(110)가 개방부(12)를 폐쇄시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반면 실드(110)가 실드의 폐쇄 위치로부터 해제되는 경우, 록커(150)는 잠금 지지 부재(14)로부터 해제되어 실드(110)가 개방부(12)를 개방시키게 된다. 터치부(153)는 실드 장착부(151)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축을 중심으로 잠금 지지 부재(14)와 체결될 수 있는 록커 걸림턱(154) 및 실드(110)의 바깥쪽으로 돌출 형성된 손잡이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록커 걸림턱(154)은 터치부(153)에서 실드(110)의 안쪽 방향으로 돌출된 고리 형상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터치부(153)가 잠금 지지 부재(14)와 체결 또는 해제된다. 록커 걸림턱(154)과 체결되는 잠금 지지 부재(14)는 록커 걸림턱(154)의 체결 또는 해제가 용이하도록 이하 후술할 도 6a 또는 도 7a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앞쪽은 볼록하고 뒤쪽은 오목한 단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록커 걸림턱(154)과 잠금 지지 부재(14)는 탈, 부착 가능한 잠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면 고리 형상 이외에도 다양한 단면 형상의 부재와 소재의 채용이 가능하다.
손잡이부(155)는 터치부(153)에서 실드(110)의 바깥쪽 방향으로 돌출된 손잡이 형태의 부재이며, 헬멧(10) 착용자는 손잡이부(155)를 잡아 당기거나 손가락으로 밀어 실드(110)를 상하로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155)는 실드 장착부(151)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결합축을 중심으로 록커 걸림턱(154)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손잡이부(155)가 밀리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록커 걸림턱(154)이 향하게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실드(110)가 록커(150)를 통해 잠금 지지 부재(14)에 체결된 상태에서 착용자가 손잡이부(155)를 위쪽 방향으로 밀게 되는 경우(도 7a 에서 화살표 a 방향) 록커 걸림턱(154)은 아래쪽 방향으로 향하게 되어(도 7a 에서 화살표 b 방향) 결과적으로 록커(150)가 잠금 지지 부재(14)로부터 해제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실드(110)에 의해 폐쇄되었던 개방부(12)가 개방될 수 있게 된다.
터치부(153)의 결합축 일단은 실드 장착부(151)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록커 걸림턱(154) 및 손잡이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부(153)의 결합축 일단은 실드 장착부(151)와 회동 가능한 결합 제공을 위해 천공된 구멍이 형성될 수 있으며, 길이 방향으로 천공된 구멍을 통해 이하 후술할 록커 샤프트(156)가 관통 체결될 수 있다.
록커 샤프트(156)는 실드 장착부(151)와 터치부(153)의 회동 가능한 체결을 가능하도록 체결할 수 있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록커 샤프트(156)는 장착판(152)과 터치부(153)의 결합축 일단에 길이 방향으로 각각 천공된 구성을 관통하여 실드 장착부(151)와 터치부(153)를 체결할 수 있다. 다만, 도 5 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록커 샤프트(156)는 회동 가능한 체결을 지원하는 한 실드 장착부(151)의 일단부에 터치부(153)의 일단이 직접 체결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록커 샤프트(156)에 의해 결합되는 실드 장착부(151)의 장착판(152)과 터치부(153)의 일단 사이에 추가적으로 탄성 부재의 제공을 통한 회동 가능한 탄성 체결도 지원 가능하다.
탄성 부재는 록커 걸림턱(154)이 잠금 지지 부재(14)와 체결되는 경우, 잠금 지지 부재(14)에 형상 결합되는 록커 걸림턱(154)의 체결이 유지되도록 설정된 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는 록커 걸림턱(154)이 잠금 지지 부재(14)로부터 해제되는 경우, 다시 록커(150)를 원래의 형태로 복귀시키게 된다. 탄성 부재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토션 스프링(157)의 형태로도 제공 가능하다.
토션 스프링(157)은 장착판(152)과 터치부(153)간의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된 결합 부위 사이에서 록커 샤프트(156)에 의해 추가적으로 체결되는 탄성 부재이다. 토션 스프링(157)은 접촉하고 있는 장착판(152)과 터치부(153) 사이에 탄성력을 제 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손잡이부(155)가 위쪽 방향으로 밀리게 되는 경우, 장착판(152)과 록커 샤프트(156)에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된 터치부(15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며(도 7a에서 화살표 b 방향), 이에 의해 토션 스프링(157)은 압축된다. 이후 손잡이부(155)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는 경우, 압축된 토션 스프링(157)은 다시 원래 형태로 복귀하면서 터치부(153)가 원래 위치로 돌아갈 수 있도록 밀어 주게 된다. 다만 도 5 에 도시된 토션 스프링(15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실드 장착부(151)와 터치부(153)간의 회동 가능한 체결에 탄성을 제공해 줄 수 있는 다양한 형태와 구조를 가지는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록커(150)가 실드(110)에 보다 밀실하고 안정적인 결합을 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결합 부재의 형성 또는 제공도 가능하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드(110)의 일단부에는 실드 장착부(151)가 실드(110)에 효과적으로 고정 부착 되기 위한 안내홈(112)이 형성 될 수 있다.
안내홈(112)은 실드(110)의 일단부에 형성된 홈으로, 실드 장착부(151) 및 장착판(152)의 형상에 대응하여 실드 장착부(151)가 쉽게 실드(110)에 끼워져 고정 부착될 수 있도록 형상화 될 수 있다. 또한 안내홈(112)은 실드 장착부(151)와 장착판(152)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실드(110)의 일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안내홈(12) 이외에 추가적으로 실드 장착부(151)와 체결 가능한 나사 결합도 고려될 수 있다.
록커(150)의 실드 장착부(151)가 실드(110)에 보다 밀실하고 안정적인 고정 부착이 될 수 있도록 나사 결합도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실드 장착부(151)의 배면에는 나사홈(159)이 형성되고, 실드(110)에도 나사가 관통할 수 있는 나사 구멍(119)이 실드 장착부(151)의 나사홈(159)과 접촉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드(110)에 형성된 나사 구멍(119)을 통해 실드(110) 안쪽으로부터 나사(158)가 삽입되며, 삽입된 나사(158)는 실드 장착부(151)의 나사홈(159)까지 체결되어 실드 장착부(151)를 실드(110)에 고정 부착 하게 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예시에 불과하며, 나사와 나사 구멍을 통한 부착 방법 이외에도 록커(150)가 실드(110)를 고정 부착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구성도 적용 가능하다.
이하 도 6a 내지 도6b 를 이용해 실드(110)가 실드의 폐쇄 위치에 있게 되는 경우에 있어서, 실드 결합 뭉치(130) 및 록커(150) 구조를 설명한다.
도 6a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드의 폐쇄 위치에서의 록커(150)와 잠금 지지 부재(14)가 체결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드의 폐쇄 위치에서의 실드 결합 뭉치(130)의 측면도이다.
실드의 폐쇄 위치는 실드(110)가 개방부(12)를 완전히 밀폐하고 있는 상태, 즉 록커(150)의 터치부(153)가 잠금 지지 부재(14)와 체결되어 잠금 된 상태를 의미한다.
도 6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드의 폐쇄 위치에서, 록커(150)의 실드 장착부(151)와 장착판(152) 사이에 실드(110)가 끼워진 형태에 나사(158)에 의해 추가적으로 고정 부착될 수 있다. 실드 장착부(151)와 록커 샤프트(156)와 토션 스프 링(157)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탄성 체결된 터치부(153)은 실드(110) 바깥쪽으로 돌출 형성된 손잡이부(155)를 가지며, 실드 안쪽으로 록커 걸림턱(154)이 형성되어 있다. 록커 걸림턱(154)은 헬멧 본체부(11)에 고정 부착된 잠금 지지 부재(14)와 체결된 상태에 있다. 이 때 잠금 지지 부재(14)는 록커 걸림턱(154)의 원활한 체결 및 해제를 위해 앞쪽은 볼록하고 뒤쪽은 오목한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 6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드의 폐쇄 위치에서, 실드(110)의 내측 결합구(111)가 실드 결합 뭉치(130)의 뭉치 결합구(131)에 형상 맞춤 결합되며, 결합 리브(111a)가 제 1 뭉치 결합부재(131a)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 리브 안내 공간(132)에 위치한다. 또한 실드 개폐 조정구(113)는 실드 개폐 조정용 돌기(133)의 제일 아래쪽에 형성된 물결 형상의 굴곡부와 맞춤 결합되며, 조정구 리브(113a)는 조정 리브 안내 공간(134)에 위치한다. 받침대(139)에 의해 지지된 탄성체(137)에 의해 실드 탄성 제공구(115)는 탄성 가압체(135)와 가압 접촉된다.
이하 도 7a 내지 도7b 를 이용해 실드(110)가 실드의 폐쇄 위치에서 개방 되는 순간에 있어서, 실드 결합 뭉치(130) 및 록커(150)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7a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따른 실드의 폐쇄 위치에서 개방 되는 순간에서의 록커(150)와 잠금 지지 부재(14)가 잠금 해제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드의 폐쇄 위치에서 개방 되는 순간에서의 실드 결합 뭉치(130)의 측면도이다.
실드의 폐쇄 위치에서 개방 되는 순간이란, 록커 걸림턱(154)이 잠금 지지 부재(14)로부터 잠금 해제되어, 실드(110)에 의해 밀폐되었던 개방부(12)가 열리게 되는 순간을 의미한다.
도 7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드의 폐쇄 위치에서 개방 되는 순간은, 실드의 폐쇄 위치에서 록커 샤프트(156) 및 토션 스프링(157)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탄성 체결된 터치부(153)의 손잡이부(155)를 위쪽으로 밀어 올리는 경우 발생하게 된다. 손잡이부(155)가 화살표 a 방향으로 살짝 밀어 올려질 경우 이와 터치부(153) 상의 결합축을 사이에 두고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록커 걸림턱(154)은 화살표 b 방향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내려가게 된다. 이를 통해 잠금 지지 부재(14)와 체결되어 있던 록커 걸림턱(154)은 체결 해제 되며, 실드(110)는 헬멧 본체부(11)로부터 해제되어 개방부(12)가 열리게 된다.
도 7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드의 폐쇄 위치에서 개방 되는 순간, 받침대(139)를 지지대로 하여 압축되어 있던 탄성체(137)는 다시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기 위한 탄성력을 탄성 가압체(135)로 전달하게 된다. 탄성 가압체(135)는 탄성체(137)로부터 전달받은 힘을 실드 탄성 제공구(115)로 전달하게 되며 (화살표 a 방향), 실드 탄성 제공구(115)를 통해 실드(110)로 전달되는 힘을 통해 실드의 폐쇄 위치에서 개방 되는 순간, 실드(110)는 자동적으로 살짝 개방된다. 이러한 원리를 통해 원터치 오픈이 가능한 실드(110)를 포함하는 헬멧(10)이 제공될 수 있다. 실드 개폐 조정구(113)는 실드의 폐쇄 위치에서 개방 되는 순간, 실드 개폐 조정용 돌기(133)의 제일 아래쪽에 형성된 굴곡부에서 아래쪽에서 두번째로 형성된 물결 형상의 굴곡부로 이동하여 이와 맞춤 결합된다. 이러한 맞춤 결합을 통해 실드(110)는 착용자의 추가적인 조정이 없는 한 계속적으로 자동적으로 살짝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이하 도 8 을 이용해 실드(110)가 완전 개방 실드 위치에 있게 되는 경우에 있어서, 실드 결합 뭉치(130) 구조를 설명한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전 개방 실드 위치에서의 실드 결합 뭉치(130)의 측면도이다.
완전 개방 실드 위치는 실드(110)가 개방부(12)를 완전히 개방하고 있는 상태, 즉 실드(110)가 헬멧 본체부(11)에 부착된 채로 최대로 올려질 수 있는 상태에 있게 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 개방 실드 위치에서, 실드(110)의 내측 결합구(111)가 실드 결합 뭉치(130)의 뭉치 결합구(131)에 형상 맞춤 결합되며, 결합 리브(111a)는 제 1 뭉치 결합부재(131a)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 리브 안내 공간(132)에서 빠져 나와 제 2 뭉치 결합부재(131b)에 걸려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제 2 뭉치 결합부재(131b)는 하부면의 안쪽 일부가 개방되어 받침판(139)과 결합 시 하부에 결합 리브(111a)를 수용할 수 있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실드 개폐 조정구(113)는 실드 개폐 조정용 돌기(133)의 제일 위쪽에 형성된 물결 형상의 굴곡부를 빠져 나오며, 조정구 리브(113a)가 제 2 뭉치 결합부재(131b)에 걸려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제 2 뭉치 결합부재(131b)는 하부면의 안쪽 일부가 개방되어 받침판(139)과 결합 시 하부에 조정구 리브(113a)를 수용할 수 있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탄성 가압체(135)는 완전 개방 실드 위치에서 최대로 외부와 노출되며, 탄성 가압체(135)를 도 8 의 화살표 a 방향(개방부(12)의 반대 방향)으로 밀게 되는 경 우 이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제 2 뭉치 결합부재(131b)도 화살표 a 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이에 의해 결합 리브(111a) 및 조정구 리브(113a)는 실드 결합 뭉치(130)로부터 분리 가능할 수 있게 되며, 실드(110)도 헬멧 본체부(11)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다만 제 2 뭉치 결합부재(131b)는 탄성 가압체(135)와 분리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 2 뭉치 결합부재(131b)는 받침판(139)을 통해 탄성 가압체(135)에 전달되는 힘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조립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드가 폐쇄 위치에 있는 헬멧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멧의 사시도로 헬멧에서 실드가 분리된 형태로 묘사된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드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헬멧 본체부의 양 측면에 부착되는 실드 결합 뭉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는 실드의 탈, 부착 가능하도록 잠금 가능한 록커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는 실드의 폐쇄 위치에서 록커와 잠금 지지 부재가 체결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b 는 실드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의 실드 결합 뭉치의 측면도이다.
도 7a 는 실드가 폐쇄 위치에서 개방 되는 순간의 록커와 잠금 지지 부재가 잠금 해제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b 는 실드가 폐쇄 위치에서 개방 되는 순간의 실드 결합 뭉치의 측면도이다.
도 8 은 완전 개방 실드 위치에서의 실드 결합 뭉치의 측면도이다.

Claims (9)

  1. 양단에 내측 결합구를 가지는 실드가 헬멧 본체부에 형성된 실드 결합 뭉치의 뭉치 결합구를 통해 형상 맞춤 결합되며, 상기 실드에 의해 개폐되는 개방부를 포함하는 헬멧에 있어서,
    상기 헬멧 본체부에 고정 부착된 잠금 지지 부재 및
    상기 실드에 고정 부착되는 실드 장착부 및 일단은 상기 실드 장착부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축이 형성되며, 타단은 상기 잠금 지지 부재와 체결 또는 해제되는 록커 걸림턱을 포함하는 록커
    를 포함하는 것인 헬멧.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커는,
    상기 실드의 바깥쪽으로 돌출 형성된 손잡이부가 형성된 터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헬멧.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커는,
    상기 록커 걸림턱이 상기 잠금 지지 부재와 체결되는 경우, 상기 잠금 지지 부재에 형상 결합되는 록커 걸림턱의 체결이 유지되도록 설정된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인 헬멧.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는 양단 내측에 돌출 형성된 실드 탄성 제공구를 포함하며,
    상기 실드 결합 뭉치는 실드의 폐쇄 위치에서, 상기 실드의 개방 방향으로 상기 실드 탄성 제공구를 탄성 지지하는 것인 헬멧.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 결합 뭉치는
    상기 헬멧 본체부의 양측면에 조립 부착되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에 부착 지지되어 상기 실드의 상기 내측 결합구와 형상 맞춤 결합되며 상기 실드가 상기 헬멧 본체부로부터의 분리없이 상·하 회동 하도록 지지하는 회동 안내부 및
    실드의 폐쇄 위치에서 상기 실드의 개방 방향으로 상기 실드 탄성 제공구에 설정된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
    를 포함하는 것인 헬멧.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받침판에 탄성 결합되는 탄성 가압체 및
    상기 탄성 가압체와 상기 받침판 개재되는 탄성체를 포함하되,
    상기 실드가 폐쇄 위치로부터 해제되는 경우, 상기 탄성체는 상기 실드의 개방 위치 방향으로 상기 실드 탄성 제공구에 상기 설정된 탄성을 제공하여 상기 실드가 일부 개방되는 것인 헬멧.
  7. 양단에 내측 결합구를 가지는 실드가 헬멧 본체부에 형성된 실드 결합 뭉치의 뭉치 결합구를 통해 형상 맞춤 결합되며, 상기 실드에 의해 개폐되는 개방부를 포함하는 헬멧에 있어서,
    상기 헬멧 본체부에 고정 부착된 잠금 지지 부재 및
    상기 실드에 고정 부착되어 상기 잠금 지지 부재와 체결 또는 해제되는 록커를 포함하되,
    상기 실드의 폐쇄 위치에서 상기 록커는 상기 잠금 지지 부재와 체결되고, 상기 실드의 개방 위치에서 상기 록커는 상기 잠금 지지 부재와 해제되며,
    상기 실드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회동하는 때, 상기 록커는 상기 잠금 지지 부재에 걸림으로써 자동 체결되는 것인 헬멧.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의 폐쇄 위치에서, 상기 실드는 개방 위치의 방향으로 설정된 탄성을 갖도록 상기 실드 결합 뭉치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것인 헬멧.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가 폐쇄 위치로부터 해제되는 경우, 상기 탄성 지지된 실드는 개방 위치 방향으로 일부 개방되는 것인 헬멧.
KR1020090069582A 2009-07-29 2009-07-29 헬멧 KR101150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582A KR101150796B1 (ko) 2009-07-29 2009-07-29 헬멧
PCT/KR2010/003725 WO2011013902A2 (ko) 2009-07-29 2010-06-10 헬멧
CN201080033168.2A CN102469840B (zh) 2009-07-29 2010-06-10 头盔
EP12171353.1A EP2517586B1 (en) 2009-07-29 2010-06-10 Shield coupling assembly and helmet having the same
CN201210197288.7A CN102697229B (zh) 2009-07-29 2010-06-10 防护罩联接组件及具有该组件的头盔
EP10804615.2A EP2460425B1 (en) 2009-07-29 2010-06-10 Helmet
ES12171353.1T ES2646419T3 (es) 2009-07-29 2010-06-10 Conjunto de acoplamiento de visera y casco que dispone del mismo
US13/387,388 US8745763B2 (en) 2009-07-29 2010-06-10 Helmet
US13/489,484 US8918912B2 (en) 2009-07-29 2012-06-06 Shield coupling assembly and helmet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582A KR101150796B1 (ko) 2009-07-29 2009-07-29 헬멧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043A true KR20110012043A (ko) 2011-02-09
KR101150796B1 KR101150796B1 (ko) 2012-06-13

Family

ID=43529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9582A KR101150796B1 (ko) 2009-07-29 2009-07-29 헬멧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745763B2 (ko)
EP (2) EP2517586B1 (ko)
KR (1) KR101150796B1 (ko)
CN (2) CN102469840B (ko)
ES (1) ES2646419T3 (ko)
WO (1) WO2011013902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243B1 (ko) * 2015-11-18 2017-02-02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헬멧
WO2022186465A1 (ko) * 2021-03-04 2022-09-09 (주) 에이치제이씨 헬멧용 회동수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796B1 (ko) * 2009-07-29 2012-06-13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헬멧
WO2013047930A1 (ko) * 2011-09-30 2013-04-04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ITVR20120042A1 (it) * 2012-03-13 2013-09-14 Agv Spa Casco di protezione.
US9486363B2 (en) * 2012-06-19 2016-11-08 A.C.E. International Company, Inc. Protective helmet having a cover plate knock out assembly
WO2016067211A1 (en) * 2014-10-29 2016-05-06 Stilo S.R.L. Closing device for full face helmets and relevant full face helmet
ES2683157T3 (es) 2015-03-05 2018-09-25 Tech Design Team, S.L. Casco para motociclistas
EP3298918B1 (en) * 2015-05-19 2021-12-01 Paranhos Torres, Maurício Improvements to skull protection cell
ITUB20153158A1 (it) * 2015-08-18 2017-02-18 Nolangroup Spa Casco di protezione con meccanismo di sollevamento/abbassamento della visiera
EP3939459A1 (en) 2016-04-18 2022-01-19 Stryker Corporation A garment with a transparent face shield for use as part of a personal protection system, and the personal protection system
ES2713100B2 (es) * 2017-11-08 2019-10-16 Tomas Manuf Casco de Protección para motoristas
ES2716000B2 (es) * 2017-12-01 2020-06-08 Tomas Manuf Casco protector para motoristas con visera de protección solar
US10750800B2 (en) * 2018-01-26 2020-08-25 Stryker Corporation Surgical apparel system
JP7350022B2 (ja) 2018-06-27 2023-09-25 ストライカー・コーポレイション レンズ組立体を備えた防護服システム
CA3117672A1 (en) 2018-10-24 2020-04-30 Stryker Corporation Surgical helmet assembly having an adjustment mechanism
US11547169B2 (en) 2019-01-25 2023-01-10 Stryker Corporation Surgical apparel system
US10420386B1 (en) 2019-01-25 2019-09-24 Stryker Corporation Medical garment including a shield
US11213089B2 (en) 2019-06-04 2022-01-04 Msa Technology, Llc Protective helmet with face protection shield and linkage mechanism
USD936905S1 (en) 2019-07-31 2021-11-23 Stryker Corporation Surgical hood
USD979145S1 (en) 2019-07-31 2023-02-21 Stryker Corporation Surgical helmet
CN211323217U (zh) * 2019-12-25 2020-08-25 江门市鹏程头盔有限公司 摩托车头盔镜片安装结构
CN113892719A (zh) 2021-11-15 2022-01-07 东莞市益安运动用品有限公司 一种带有分体式骨架结构的头盔
IT202200005099A1 (it) * 2022-03-16 2023-09-16 Pt Tarakusuma Indah Dispositivo di chiusura/apertura della visiera di un casco.
WO2023214692A2 (ko) * 2022-05-03 2023-11-09 (주)에이치제이씨 두부 보호 장비
KR102611956B1 (ko) * 2022-06-23 2023-12-08 (주)에이치제이씨 두부 보호 장비
FR3139978A1 (fr) 2022-09-28 2024-03-29 Shark Platine d’accouplement pour un écran sur une coque d’un casque, et casque associé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8122834V0 (it) * 1981-09-09 1981-09-09 Nolan Spa Guarnizione attrezzata per visiere di caschi integrali.
US4581775A (en) * 1983-10-07 1986-04-15 Nava Pier Luigi Tilting vizor for helmets particularly for sports use
US4612675A (en) * 1985-03-07 1986-09-23 Bell Helmets Inc. Helmet with adjustable ventilation
BE1000476A6 (fr) * 1987-04-17 1988-12-20 Menten Jean Francois Casque de protection a ecran integre mobile.
US5084918A (en) * 1990-06-11 1992-02-04 Bayerische Motoren Werke Ag Integral safety helmet
JPH0448219U (ko) * 1990-08-22 1992-04-23
JPH0647762B2 (ja) * 1990-10-24 1994-06-22 昭栄化工株式会社 ヘルメットにおけるシールド板取付構造
JPH0621370B2 (ja) * 1991-05-31 1994-03-23 昭栄化工株式会社 ヘルメットにおけるシールド板取付構造
JPH086202B2 (ja) * 1993-06-18 1996-01-24 昭栄化工株式会社 ヘルメットにおけるシールド板取付構造
EP0686357B1 (en) * 1994-06-07 1999-03-24 E.D.C. Sa Crash helmet for motorcyclists and the like provided with a safety device for locking the visor
JP2990688B2 (ja) * 1997-07-09 1999-12-13 株式会社ホンダアクセス ヘルメット
US6260213B1 (en) * 1997-09-15 2001-07-17 Hong Jin Crown Croporation Shield connector for helmet
KR100344674B1 (ko) * 1998-11-13 2002-07-19 주식회사 홍진크라운 헬멧용 시일드의 결합장치
US6212689B1 (en) * 1999-10-21 2001-04-10 Lung Huei Safety Helmet Co., Ltd. Compound protective helmet
KR100341452B1 (ko) * 1999-12-06 2002-06-21 홍완기 헬멧의 턱보호대장치
CN2417736Y (zh) * 2000-04-13 2001-02-07 王越民 头盔护罩安装座
JP4656756B2 (ja) * 2001-05-18 2011-03-23 株式会社Shoei ヘルメットのシールド板制御装置
EP1293138A1 (en) * 2001-09-14 2003-03-19 OPTICOS S.r.l. Extraction and rotation device for the visor of a crash helmet for motorcycles
KR100415341B1 (ko) * 2002-04-02 2004-01-16 주식회사 에이치제이씨 헬멧의 시일드 또는 차양 회전결합장치
KR100427684B1 (ko) * 2002-05-31 2004-04-28 주식회사 에이치제이씨 헬멧용 시일드 결합장치
KR20040021284A (ko) * 2002-09-03 2004-03-10 주식회사 제이텍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
ES2289253T3 (es) * 2003-07-25 2008-02-01 Opticos S.R.L. Dispositivo para desbloquear la rotacion de un protector de barbilla de casco de proteccion.
US7093302B1 (en) * 2003-09-08 2006-08-22 Burns James A Helmet assembly with accessory attachment features
KR100562853B1 (ko) * 2003-11-13 2006-03-24 주식회사 제이텍 헬멧의 실드 조립 장치
KR100530865B1 (ko) * 2003-12-24 2005-11-25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개폐식 턱 보호대를 가진 헬멧
US7065798B2 (en) * 2004-11-17 2006-06-27 Kin Yong Lung Industrial Co., Ltd. Helmet shield provided with positioning and adjusting device
KR100568946B1 (ko) * 2004-11-25 2006-04-10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
TWM273977U (en) * 2005-04-13 2005-09-01 Bing-Jang Ye Union structure of helmet lens and helmet body
KR100659170B1 (ko) * 2005-12-15 2006-12-19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헬멧용 선바이저 개폐장치
US8069499B2 (en) * 2006-05-15 2011-12-06 Shoei Co., Ltd. Helmet shield attaching mechanism, and helmet attached with the same
USD569557S1 (en) * 2006-09-05 2008-05-20 Hjc Co., Ltd. Shield for helmet
JP4215797B2 (ja) * 2006-12-14 2009-01-28 株式会社アライヘルメット ヘルメットにおけるシールドのロック機構
TW200836655A (en) * 2007-03-05 2008-09-16 Long Huei Helmet Co Compounded safety helmet
US7895678B2 (en) * 2007-08-06 2011-03-01 Bell Sports, Inc. Helmet with improved shield mount and precision shield control
KR100951343B1 (ko) * 2008-01-21 2010-04-08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헬멧
JP5103290B2 (ja) * 2008-06-10 2012-12-19 株式会社Shoei ヘルメット用またはゴーグル用のシールド構造およびこのようなシールド構造を備えているヘルメット
KR101150796B1 (ko) * 2009-07-29 2012-06-13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헬멧
KR101053160B1 (ko) * 2009-09-29 2011-08-02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핀 락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243B1 (ko) * 2015-11-18 2017-02-02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헬멧
WO2022186465A1 (ko) * 2021-03-04 2022-09-09 (주) 에이치제이씨 헬멧용 회동수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45763B2 (en) 2014-06-10
EP2460425A4 (en) 2014-04-16
EP2460425A2 (en) 2012-06-06
EP2460425B1 (en) 2016-10-05
CN102469840B (zh) 2015-11-25
CN102697229B (zh) 2015-02-18
WO2011013902A2 (ko) 2011-02-03
EP2517586A3 (en) 2014-04-16
ES2646419T3 (es) 2017-12-13
CN102469840A (zh) 2012-05-23
US20120117718A1 (en) 2012-05-17
US8918912B2 (en) 2014-12-30
US20120240314A1 (en) 2012-09-27
EP2517586B1 (en) 2017-08-09
CN102697229A (zh) 2012-10-03
KR101150796B1 (ko) 2012-06-13
EP2517586A2 (en) 2012-10-31
WO2011013902A3 (ko) 201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0796B1 (ko) 헬멧
US5093937A (en) Helmet for riding vehicle
JPH0623527Y2 (ja) ヘルメット
KR101148851B1 (ko) 헬멧
US8127375B2 (en) Low profile helmet vents and venting system
EP0474939B1 (en) Helmet
EP1754422B1 (en) Helmet ventilation mechanism which releases from helmet on impact
KR960010938B1 (ko) 승차용 헬멧
JP5180073B2 (ja) 保護用ヘルメット
JP4125761B2 (ja) ヘルメット
US5157794A (en) Helmet
KR20010043845A (ko) 헬멧
AU2019208155A1 (en) Protecting helmet with raising/lowering mechanism of the visor
JP2000096334A (ja) ヘルメット
WO2007093054A1 (en) Helmet with a vent mechanism
EP3598909A1 (en) Protecting helmet with raising/lowering mechanism of the visor
KR101781577B1 (ko) 헬멧
KR101701243B1 (ko) 헬멧
KR101622607B1 (ko) 헬멧
TW201519808A (zh) 安全帽
CN112890348A (zh) 开合式通风头盔
JPH041442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