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7598B1 - 두부 보호 장비 - Google Patents

두부 보호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7598B1
KR102627598B1 KR1020220054711A KR20220054711A KR102627598B1 KR 102627598 B1 KR102627598 B1 KR 102627598B1 KR 1020220054711 A KR1020220054711 A KR 1020220054711A KR 20220054711 A KR20220054711 A KR 20220054711A KR 102627598 B1 KR102627598 B1 KR 102627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ment
coupled
visor
movement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4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55180A (ko
Inventor
윤만근
이창섭
Original Assignee
(주) 에이치제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이치제이씨 filed Critical (주) 에이치제이씨
Priority to KR1020220054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598B1/ko
Priority to PCT/KR2023/004283 priority patent/WO2023214690A1/ko
Publication of KR20230155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5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1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 A42B3/222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in an articulated manner, e.g. hing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두부 보호 장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는 전방 측에 프레임 개구부가 개방 형성된 외부 프레임; 상기 외부 프레임의 상기 전방 측을 부분적으로 덮으며 상기 외부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 바이저; 상기 외부 프레임 및 상기 서브 바이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서브 바이저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서브 바이저와 결합되어 상기 서브 바이저와 함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서브 바이저가 상기 프레임 개구부를 개방하는 제1 위치; 및 상기 서브 바이저가 상기 프레임 개구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두부 보호 장비{Head part protector}
본 발명은 두부 보호 장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의 빛 등을 차단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부재의 조작이 용이한 구조의 두부 보호 장비에 관한 것이다.
두부 보호 장비는 흔히 헬멧(helmet)이라 지칭되는 장비로, 착용자의 두부를 보호하기 위해 활용된다.
두부 보호 장비는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착용자의 두부를 수용할 수 있다. 수용된 두부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두부 보호 장비는 두부를 외측에서 감싸게 형성됨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두부 보호 장비의 상기 공간 및 수용된 착용자의 두부는 외부와의 연통이 차단된다.
두부 보호 장비에는 바이저(visor)라 명명되는 부재가 구비된다. 통상 바이저는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어, 두부 보호 장비를 착용한 착용자가 전방 측을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동시에, 바이저는 주행시 두부 보호 장비의 내부로의 외기의 유입을 방지하여, 착용자의 안구를 보호한다.
최근에는 외기의 유입 차단 뿐만 아니라 햇빛 등 빛을 차단하기 위한 추가 바이저가 구비되는 경우가 증가되고 있다. 이때, 기 구비된 바이저, 즉 외기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구비되는 바이저와 상기 추가 바이저는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추가 바이저는 외기의 유입 차단을 위한 바이저의 내부에 위치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착용자가 상기 추가 바이저의 위치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외기의 유입 차단을 위한 바이저를 선조작해야만 하는 불편이 존재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문헌 제20-0439851호는 오토바이 헬멧용 선바이저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헬멧에 기 구비되는 보안경의 전방 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선바이저를 개시한다.
그런데, 상기 선행문헌이 개시하는 오토바이 헬멧용 선바이저는 기 구비된 보안경의 전방 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주행시 외부의 이물질 등에 의해 선바이저가 쉽게 손상될 우려가 있다.
더욱이, 상기 선행문헌이 개시하는 선바이저는 자력에 의해 헬멧에 결합된다. 따라서, 기구적인 결합에 의한 경우에 비해, 선바이저와 헬멧의 결합 안정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2040534호는 헬멧용 실드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실드 상에 구비되며 실드와 다른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선바이저를 구비한 헬멧용 실드를 개시한다.
그런데, 상기 선행문헌이 개시하는 헬멧용 실드 역시 선바이저가 실드의 외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주행시 외부의 이물질 등에 의해 선바이저가 쉽게 손상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선행문헌이 개시하는 헬멧용 실드는 실드 및 선바이저가 같은 부재에 결합된다. 따라서, 실드 및 선바이저의 회전이 반복됨에 따라, 이들을 지지하는 부재가 쉽게 손상될 우려가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선행문헌들이 개시하는 선바이저는 착용자가 직접 파지하고 가압하거나 당김으로써 이동된다. 따라서, 착용자의 의도에 어긋나게 선바이저 뿐만 아니라 그 내측에 위치되는 실드가 함께 이동될 가능성 또한 배제되기 어렵다.
한국등록실용신안문헌 제20-0439851호 (2008.05.08.)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2040534호 (2019.11.0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의 빛 등을 차단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부재의 위치가 용이하게 조작될 수 있는 구조의 두부 보호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부재가 기 설정된 위치에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는 구조의 두부 보호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기 설정된 위치가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는 구조의 두부 보호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부재가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게 이동될 수 있는 구조의 두부 보호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방 측에 프레임 개구부가 개방 형성된 외부 프레임; 상기 외부 프레임의 상기 전방 측을 부분적으로 덮으며 상기 외부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 바이저; 상기 외부 프레임 및 상기 서브 바이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서브 바이저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서브 바이저와 결합되어 상기 서브 바이저와 함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서브 바이저가 상기 프레임 개구부를 개방하는 제1 위치; 및 상기 서브 바이저가 상기 프레임 개구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지지 부재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 몸체; 및 상기 지지 몸체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지지 몸체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어, 상기 이동 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홈을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홈은, 전방 측 및 후방 측 중 어느 하나에 중심을 갖고, 소정의 제1 곡률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와 연속되고, 전방 측 및 후방 측 중 다른 하나에 중심을 가지며, 소정의 제2 곡률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연장부의 상기 제1 곡률 및 상기 제2 연장부의 상기 제2 곡률은 서로 상이한,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장부의 상기 제1 곡률은, 상기 제2 연장부의 상기 제2 곡률 이상으로 형성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연장부의 상기 제1 곡률 및 상기 제2 연장부의 상기 제2 곡률 중 어느 하나의 곡률은 영(zero)인,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홈은, 그 일부를 각각 형성하며, 서로 연속되는 복수 개의 연장부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연장부 중 서로 인접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상기 연장부는, 전방 측 및 후방 측 중 서로 다른 측에 각각 중심을 갖고, 서로 다른 곡률로 연장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이동 홈과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지지 몸체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어, 결합된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게 구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지지 몸체의 내부에 관통 형성된 가이드 홈; 및 상기 가이드 홈을 외측에서 덮으며,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연장되어, 결합된 상기 이동 부재를 지지하게 구성되는 가이드 모서리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서브 바이저가 결합되는 바이저 결합부; 및 상기 지지 부재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 부재의 가이드 홈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가이드 돌기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지지 부재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 부재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는 이동 홈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돌기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지지 부재 및 상기 이동 부재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조정 부재; 및 상기 조정 부재 및 상기 이동 부재와 각각 결합되어 함께 이동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정 부재는, 일 방향으로 소정의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외부 프레임에 결합되는 다단 조정부; 및 타 방향을 따라 상기 다단 조정부를 향하는 방향 및 이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외부 프레임 및 상기 와이어와 결합되는 이동 조정부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단 조정부는, 상기 소정의 경로의 일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이동 조정부와 이격되는 제1 상태; 상기 소정의 경로의 상기 일 단부 및 타 단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이동 조정부와 접촉되는 제2 상태; 및 상기 소정의 경로의 상기 타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이동 조정부와 접촉되는 제3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유지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단 조정부는, 상기 일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이동 조정부와 접촉되는 제1 조정 단부; 및 상기 제1 조정 단부와 연속되며, 상기 제3 상태에서 상기 이동 조정부와 접촉되는 제2 조정 단부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 조정부가 상기 다단 조정부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최대로 이동되면,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제1 위치로 이동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는 외부의 빛 등을 차단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부재의 위치가 용이하게 조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는 상기 부재가 기 설정된 위치에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는 상기 기 설정된 위치가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는 상기 부재가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게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두부 보호 장비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두부 보호 장비에 구비되는 서브 바이저, 지지 부재, 이동 부재 및 조정 부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두부 보호 장비에 구비되는 지지 부재 및 이동 부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지지 부재 및 이동 부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지지 부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지지 부재 및 이에 결합된 이동 부재의 위치 관계가 제1 위치(a) 및 제2 위치(b)인 경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두부 보호 장비에 구비되는 조정 부재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조정 부재에 구비되는 다단 조정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조정 부재에 구비되는 이동 조정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9의 조정 부재가 제1 상태(S1)로 조정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9의 조정 부재가 제2 상태(S2)로 조정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9의 조정 부재가 제3 상태(S3)로 조정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가 있을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곡률(curvature)"이라는 용어는 선 또는 면이 굽어진 정도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곡률은 곡률반경(radius of curvature)의 역수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곡률이 클수록 선 또는 면이 더 굽어지고, 곡률이 작을수록 선 또는 면이 직선 또는 평면에 가까워짐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곡률이 크다."라는 표현은 상대적으로 더 굽어진 상태를, "곡률이 작다."라는 표현은 상대적으로 더 편평한 상태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와이어(W)"라는 용어는, 서로 다른 부재를 연결하여, 어느 하나의 부재의 이동을 다른 하나의 부재에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부재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와이어(W)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며, 탄성 계수가 작은 줄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와이어(W)는 두부 보호 장비(10)의 일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상측", "하측", "좌측", "우측", "전방 측" 및 "후방 측"이라는 용어는 도 1에 걸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는 빛 등을 차단하기 위해 추가 부재(즉, 구비되는 추가 부재(즉, 서브 바이저(220))가 구비된다. 서브 바이저(220)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되어, 착용자의 시선에 맞춰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는 서브 바이저(220)와 결합되는 이동 부재(400) 및 조정 부재(500)를 포함한다. 착용자는 서브 바이저(220)가 직접 파지되지 않고도, 조정 부재(500)를 조작하여 서브 바이저(22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에 구비되는 조정 부재(500)는 다단계로 조정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조정 부재(500)에 의해 서브 바이저(220)가 이동될 수 있는 거리가 다단으로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조정 부재(500)를 미세하게(delicate) 조정하지 않고도, 서브 바이저(220)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는 외부 프레임(100), 바이저부(200), 지지 부재(300), 이동 부재(400) 및 조정 부재(500)를 포함한다.
외부 프레임(100)은 두부 보호 장비(10)의 외형을 형성한다. 외부 프레임(100)의 내부에는 공간(후술될 수용 공간(110))이 형성되어, 착용자의 두부(head part)를 수용할 수 있다. 외부 프레임(100)은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착용자의 두부를 보호할 수 있다.
외부 프레임(100)은 경량이면서도 고강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착용자가 느끼는 이물감 또는 중량감을 최소화하면서도, 착용자의 두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 프레임(100)은 강화 플라스틱 등의 합성 수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외부 프레임(100)은 착용자의 두부를 수용, 보호하고, 주행 중 공기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외부 프레임(100)은 착용자의 두부와 유사하게 구(sphere) 형상이다.
외부 프레임(100)에는 바이저부(2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수용 공간(110)을 외부와 연통하는 프레임 개구부(120)는 바이저부(200)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특히, 후술될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이저부(200)는 외기를 차단하는 기능을 주로 수행하는 메인 바이저(210) 및 빛 등을 차단하는 기능을 주로 수행하는 서브 바이저(220)가 구비된다. 메인 바이저(210) 및 서브 바이저(220)는 각각 독립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외부 프레임(100)에는 지지 부재(300)가 결합된다. 지지 부재(300)는 외부 프레임(100)에 고정 결합된다. 지지 부재(300)는 이동 부재(400)를 통해 서브 바이저(22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외부 프레임(100)에는 이동 부재(400)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이동 부재(400)는 외부 프레임(100)에 고정 결합되는 지지 부재(3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동 부재(400)에는 서브 바이저(220)가 결합되어, 이동 부재(40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외부 프레임(100)에는 조정 부재(500)가 결합된다. 조정 부재(500)의 일부 구성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이동 부재(400)와 결합된다. 따라서, 조정 부재(500)의 상기 일부 구성이 조작되면, 이에 결합된 이동 부재(400) 및 서브 바이저(220)가 이동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외부 프레임(100)은 수용 공간(110) 및 프레임 개구부(120)를 포함한다.
수용 공간(110)은 외부 프레임(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이다. 수용 공간(110)은 착용자의 두부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두부를 수용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수용 공간(110)은 외부 프레임(100)의 형상에 상응하게 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용 공간(1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은 개방 형성되어 착용자의 두부 또는 목 부위가 수용될 수 있다. 수용 공간(110)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은 프레임 개구부(120)와 연통된다.
프레임 개구부(120)는 외부 프레임(10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110)과 외부를 연통한다.
프레임 개구부(120)는 외부 프레임(100)이 외부와 연통되는 일 측을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프레임 개구부(120)는 외부 프레임(100)의 전방 측에 위치된다.
프레임 개구부(120)는 바이저부(200)에 개방되거나 덮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 개구부(120)는 메인 바이저(210)에 의해 전체적으로 덮일 수 있다. 또한, 프레임 개구부(120)는 서브 바이저(220)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을 기준으로 바이저부(2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프레임 개구부(120)는 개방되어 수용 공간(110)이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을 기준으로 바이저부(200)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프레임 개구부(120)는 폐쇄되어 수용 공간(110)과 외부의 연통이 차단된다. 물론, 이 경우에도 외부 프레임(100)의 하측은 개방되어 착용자의 두부가 수용 공간(110)에 수용될 수 있음은 알려진 바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는 바이저부(200)를 포함한다.
바이저부(200)는 외부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프레임 개구부(120)를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즉, 바이저부(200)는 프레임 개구부(120)를 부분적으로 덮게 형성된다. 주행 중, 바이저부(200)는 프레임 개구부(120)를 폐쇄하여 외부의 공기 또는 이물질 등이 두부 보호 장비(10)의 수용 공간(110)으로 유입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바이저부(200)는 경량이면서도 고강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이저부(200)는 광 투과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바이저부(200)는 강화 플라스틱 등의 합성 수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바이저부(200)는 외부 프레임(100)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외부 프레임(100)에 안착된 바이저부(200)는 회전 가능하게 외부 프레임(100)과 결합된다. 바이저부(200)의 회전에 의해 프레임 개구부(120)가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바이저부(200)는 지지 부재(30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바이저부(200)에 구비되는 서브 바이저(220)는 지지 부재(3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부재(400)와 결합된다. 따라서, 서브 바이저(220)는 이동 부재(400)를 매개로 지지 부재(3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바이저부(200)는 조정 부재(50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바이저부(200)에 구비되는 서브 바이저(220)는 조정 부재(500)와 결합되는 이동 부재(400)와 결합된다. 따라서, 서브 바이저(220)는 이동 부재(400)를 매개로 조정 부재(500)에 결합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바이저부(200)는 메인 바이저(210) 및 서브 바이저(220)를 포함한다.
메인 바이저(210)는 수용 공간(110)과 외부의 연통을 차단하여, 주행 방향의 외기가 수용 공간(110)으로 유입되는 상황을 방지한다. 즉, 메인 바이저(210)의 주된 기능은 외기의 유입 방지에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메인 바이저(210)는 외부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을 기준으로, 메인 바이저(21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상태에서, 프레임 개구부(120)가 개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을 기준으로, 메인 바이저(210)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상태에서, 메인 바이저(210)는 프레임 개구부(120)를 폐쇄할 수 있다.
메인 바이저(210)는 서브 바이저(220)와 겹쳐지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메인 바이저(210)는 서브 바이저(220)의 외측에 위치되어, 서브 바이저(220) 및 프레임 개구부(120)를 덮게 배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메인 바이저(210)는 서브 바이저(220)와 부분적으로 겹쳐지며 프레임 개구부(120)를 덮게 배치된다.
메인 바이저(210)와 프레임 개구부(120) 사이에는 서브 바이저(220)가 위치된다.
서브 바이저(220)는 메인 바이저(210)를 통과하여 수용 공간(110)으로 유입되는 빛 등을 차단하거나 감소시킨다. 이에 따라, 서브 바이저(220)를 통과하여 착용자의 안구로 진행되는 빛의 세기가 감소되어, 착용자의 눈부심이 감소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착용자의 안전한 주행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브 바이저(220)는 광 투과성 소재이되, 빛의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거나, 해당 소재로 코팅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바이저(220)의 주된 기능은 수용 공간(110)으로 진행되는 빛의 세기를 감소시킴에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실시 예에서, 서브 바이저(220)는 선 바이저(sun visor)로 지칭될 수 있을 것이다.
서브 바이저(220)는 외부 프레임(1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바이저(220)는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외부 프레임(100)에 결합된다. 상기 결합은 서브 바이저(220)와 결합되는 이동 부재(400)가 지지 부재(3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달성될 수 있다.
서브 바이저(220)는 프레임 개구부(120)를 부분적으로 덮게 배치된다. 서브 바이저(220)가 이동됨에 따라, 서브 바이저(220)에 의해 덮이는 프레임 개구부(120)의 부분은 변경될 수 있다.
서브 바이저(220)는 메인 바이저(210)와 수용 공간(110) 사이에 위치된다. 즉, 서브 바이저(220)는 메인 바이저(210)에 의해 둘러싸이고, 서브 바이저(220)는 수용 공간(110) 및 수용 공간(110)과 연통되는 프레임 개구부(120)를 둘러싸게 배치된다.
따라서, 서브 바이저(220)는 외부로 임의 노출되지 않게 되어, 외부의 이물질 등에 의한 서브 바이저(220)의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서브 바이저(220)는 이동 부재(400)에 의해 조정 부재(500)와 결합된다. 착용자가 조정 부재(500)를 조작하면, 서브 바이저(220)는 이동 부재(40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서브 바이저(220)의 이동 경로는 지지 부재(300)에 형성된 이동 홈(320) 및 가이드부(33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바이저(220)는 서브 바이저 몸체(221), 서브 돌기(222) 및 서브 개구부(223)를 포함한다.
서브 바이저 몸체(221)는 서브 바이저(220)의 몸체를 형성한다. 서브 바이저 몸체(221)는 프레임 개구부(120)를 덮도록 외부 프레임(100)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만곡되게 연장된다. 달리 표현하면, 서브 바이저 몸체(221)의 수평 방향의 단면은 외측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진 호(arc) 형상이다.
서브 바이저 몸체(221)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에는 서브 돌기(222) 및 서브 개구부(223)가 구비된다.
서브 돌기(222)는 서브 바이저 몸체(221)가 이동 부재(40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서브 돌기(222)는 서브 바이저 몸체(221)의 연장 방향의 단부에 위치된다. 서브 돌기(222)는 서브 바이저 몸체(221)의 상기 단부에서 이동 부재(400)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서브 돌기(222)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서브 돌기(222)는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돌기(222)는 두 개 구비되어,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한 쌍의 서브 돌기(222)가 이격되어 형성되는 공간은 서브 개구부(223)로 정의될 수 있다.
한 쌍의 서브 돌기(222)는 이동 부재(400)에 구비되는 결합 개구부(441)에 관통되어 결합 공간(442)에 수용된다. 한 쌍의 서브 돌기(222)는 결합 돌기(443)를 둘러싸며 결합 돌기(443)와 결합된다. 즉, 한 쌍의 서브 돌기(222)는 서브 개구부(223)에 수용된 결합 돌기(443)를 둘러싸게 배치된다.
후술될 바와 같이, 결합 돌기(443)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서브 돌기(222)의 내측 모서리(즉, 서로 마주하는 각 모서리)는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서브 개구부(223)가 결합 돌기(443)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서브 돌기(222) 및 서브 개구부(223)는 각각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쌍의 서브 돌기(222) 및 복수 개의 서브 개구부(223)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각각 이동 부재(400)와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돌기(222)는 두 쌍, 서브 개구부(223)는 두 개 구비되어, 각각 서브 바이저 몸체(221)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위치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는 지지 부재(300)를 포함한다.
지지 부재(300)는 이동 부재(400) 및 이에 결합된 서브 바이저(22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지지 부재(300)의 내부에는 이동 홈(320) 및 가이드부(330)가 형성되어, 이동 부재(400) 및 이에 결합된 서브 바이저(220)의 이동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300)는 외부 프레임(100)에 결합된다. 지지 부재(300)는 외부 프레임(100)의 내부에 수용되어, 외부로 임의 노출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부재(300)는 외부 프레임(10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지지 부재(300)에는 바이저부(200)의 서브 바이저(220)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결합은 서브 바이저(220)와 결합된 이동 부재(400)가 지지 부재(3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형성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지지 부재(30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지지 부재(300)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외부 프레임(100)에 결합되어, 복수 개의 이동 부재(400)를 각각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 부재(300)는 한 쌍 구비되어, 각각 외부 프레임(100)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각 지지 부재(300)는 복수 개의 이동 부재(400) 및 이에 결합된 서브 바이저(220)의 각 단부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부재(300)는 지지 몸체(310), 이동 홈(320) 및 가이드부(330)를 포함한다.
지지 몸체(310)는 지지 부재(300)의 몸체를 형성한다. 지지 몸체(310)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 부재(400) 및 이에 결합된 서브 바이저(220)를 지지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몸체(31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되, 그 상측 부분은 후방 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고, 그 하측 부분은 상측 부분에 비해 수직하게 연장된다.
또한, 지지 몸체(310)는 외부 프레임(100)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몸체(310)는 다각판형으로 형성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지지 부재(300)는 이동 부재(40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서브 바이저(220)의 이동 경로를 형성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지지 몸체(310)는 외부 프레임(100)에 결합된다. 지지 몸체(310)는 외부 프레임(100)의 내부에 고정 결합되어, 임의 요동이 방지될 수 있다.
지지 몸체(310)의 내부에는 이동 홈(320) 및 가이드부(330)가 배치된다.
이동 홈(320)은 지지 부재(300)에 결합된 이동 부재(400)의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이동 부재(400) 및 이에 결합된 서브 바이저(220)는 이동 홈(320)을 따라, 바이저부(200)의 높이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동 홈(320)에는 이동 부재(400)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동 홈(320)은 지지 몸체(310)의 내부에 관통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이동 홈(320)은 지지 몸체(310)의 면 중 이동 부재(400)를 향하는 면,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외면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동 홈(320)은 지지 몸체(3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이동 홈(32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되, 만곡된 부분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동 홈(320)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이동 홈(320)은 서로 이격되어, 각각 이동 부재(400)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이동 홈(320)은 전방 측에 위치되는 제1 이동 홈(320a) 및 후방 측에 위치되는 제2 이동 홈(320b)을 포함하여 두 개 구비된다.
제1 이동 홈(320a) 및 제2 이동 홈(320b)은 지지 몸체(310)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이동 홈(320a)은 제2 이동 홈(320b)보다 작은 폭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이동 홈(320a) 및 제2 이동 홈(320b)의 형상 및 배치 방식은 이동 부재(400)의 제1 이동 돌기(421) 및 제2 이동 돌기(422)의 형상 및 배치 방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동 홈(320)은 복수 개의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동 홈(320)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부분은 서로 다른 중심 및 곡률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홈(320)은 제1 연장부(321) 및 제2 연장부(322)를 포함한다.
제1 연장부(321)는 이동 홈(320)의 일 부분을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연장부(321)는 이동 홈(320)의 상측 부분을 형성한다.
제1 연장부(321)는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며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장부(321)는 지지 몸체(310)의 폭 방향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 그 중심, 즉 제1 중심(Center1)을 갖고, 제1 곡률(C1)로 만곡되며 연장되는 곡선 형상이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중심(Center1)은 지지 몸체(310)의 외부의 후방 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연장부(321)는 제2 연장부(322)와 연속된다. 제1 연장부(321)와 제2 연장부(322)는 서로 연통된다.
제2 연장부(322)는 이동 홈(320)의 다른 부분을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연장부(322)는 이동 홈(320)의 하측 부분을 형성한다.
제2 연장부(322)는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며 연장될 수 있다. 제2 연장부(322)는 폭 방향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그 중심, 즉 제2 중심(Center2)을 갖고, 제2 곡률(C2)로 만곡되며 연장되는 곡선 형상이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중심(Center2)은 지지 몸체(310)의 외부의 전방 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연장부(321)의 제1 곡률(C1)은 제2 연장부(322)의 제2 곡률(C2)과 상이할 수 있다. 즉, 상기 실시 예에서, 제1 연장부(321)와 제2 연장부(322)는 서로 다른 정도로 굽어지며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연장부(321)의 제1 곡률(C1)은 제2 연장부(322)의 제2 곡률(C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실시 예에서, 제1 연장부(321)는 제2 연장부(322)보다 굽어지며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제1 연장부(321)의 제1 곡률(C1) 또는 제2 연장부(322)의 제2 곡률(C2)은 영(0, zero)일 수 있다. 즉, 상기 실시 예에서, 제1 연장부(321) 또는 제2 연장부(322)는 직선 형태로 곧게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연장부(321) 및 제2 연장부(322)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 부재(400) 및 이에 결합된 서브 바이저(220)의 이동 경로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연장부(321)의 제1 중심(Center1) 및 제2 연장부(322)의 제2 중심(Center2)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중심(Center1) 및 제2 중심(Center2)은 지지 몸체(3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연장부(321) 및 제2 연장부(322)는 서로 다른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및 후방 측을 향해 볼록하도록 각각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연장부(321) 및 제2 연장부(322)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 부재(400) 및 이에 결합된 서브 바이저(220)는 적어도 한 번 방향이 변경되며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부(330)는 이동 홈(320)에 결합된 이동 부재(40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가이드부(330)에 의해, 이동 부재(400)는 이동 홈(320)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며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부(330)는 지지 몸체(310)에 배치된다. 가이드부(330)는 이동 홈(320)과 이격되게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부(330)는 이동 홈(320)의 전방 측에 배치되어, 지지 몸체(310)의 전방 측 모서리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가이드부(330)는 이동 부재(400)의 이동 경로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부재(400)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이동 홈(32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바, 가이드부(330) 또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가이드부(330)는 이동 홈(320)과 상이한 형상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홈(320)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에 제1 중심(Center1)을 갖는 제1 연장부(321) 및 제2 중심(Center2)을 갖는 제2 연장부(322)를 포함한다.
반면, 가이드부(330)는 지지 몸체(310)의 외부에 위치되는 단일의 중심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부(330)는 전방 측을 향해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바, 가이드부(330)의 중심은 지지 몸체(310)의 후방 측에 위치됨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가이드부(330)는 그 연장 방향의 각 단부가 이동 홈(320)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에 비해 일측으로 치우치게 위치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부(330)의 상측 단부 및 하측 단부는, 각각 이동 홈(320)의 상측 단부 및 하측 단부에 비해 상측으로 치우치게 위치된다.
따라서, 이동 홈(320) 및 가이드부(330)에 각각 결합된 이동 부재(400)는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되되, 이동 홈(320) 및 가이드부(330)의 상이한 형상에 기인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부(330)는 가이드 홈(331) 및 가이드 모서리(332)를 포함한다.
가이드 홈(331)은 이동 부재(400)의 가이드 돌기(430)와 결합된다. 가이드 홈(331)은 지지 몸체(310)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어, 가이드 돌기(430)가 관통 결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가이드 홈(331)은 지지 몸체(310)의 외측 면에 함몰 형성되어, 가이드 돌기(430)를 수용할 수 있다.
가이드 홈(331)은 지지 몸체(310)의 연장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가이드 홈(331)은 단일의 중심을 갖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가이드 홈(331)에 인접하게 가이드 모서리(332)가 배치된다.
가이드 모서리(332)는 가이드 홈(331)에 결합된 가이드 돌기(430)(즉, 이동 부재(400)의)를 외측에서 지지한다.
가이드 모서리(332)는 가이드 홈(331)을 부분적으로 덮게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 모서리(332)는 가이드 홈(331)의 전방 측에서 후방 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가이드 홈(331)의 전방 측 부분을 덮을 수 있다.
가이드 모서리(332)는 가이드 홈(33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 모서리(332)는 가이드 홈(331)처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되, 지지 몸체(310)의 외측에 위치되는 단일의 중심을 갖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가이드 돌기(430)는 소정의 각도로 조작된 경우에만 가이드 홈(331)에 삽입되거나 가이드 홈(331)에서 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돌기(430)의 임의 이탈이 방지되어, 가이드 홈(331)과 가이드 돌기(430)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는 이동 부재(400)를 포함한다.
이동 부재(400)는 지지 부재(3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동 부재(400)에는 서브 바이저(220)가 결합되어, 이동 부재(40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이동 부재(400)는 외부 프레임(10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이동 부재(400)는 외부 프레임(100)에 고정 결합되는 지지 부재(3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이동 부재(400)는 지지 부재(300)를 매개로 외부 프레임(1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동 부재(400)는 서브 바이저(22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이동 부재(400)에는 서브 바이저(220)의 단부에 위치되는 서브 돌기(222) 및 서브 개구부(223)가 결합된다. 결합된 서브 바이저(220)는 이동 부재(40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이동 부재(400)는 지지 부재(3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동 부재(400)는 이동 홈(320)과 결합되어 이동 홈(320)을 따라 이동되되, 가이드부(330)와도 결합되어 그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이동 부재(400)는 조정 부재(50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이동 부재(400)는 와이어(W)를 통해 조정 부재(500)와 결합되어, 조정 부재(500)의 조작에 따라 가압되거나 당겨져서 이동될 수 있다.
이동 부재(40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이동 부재(400)는 복수 개의 서브 돌기(222), 서브 개구부(223), 복수 개의 지지 부재(300) 및 조정 부재(500)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이동 부재(400)는 두 개 구비되어, 좌측 및 우측에 위치되는 한 쌍의 지지 부재(300)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두 개의 이동 부재(400)는 서브 바이저(220)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에 위치되는 서브 돌기(222) 및 서브 개구부(223)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이동 부재(400)는 이동 몸체(410), 이동 돌기(420), 가이드 돌기(430) 및 바이저 결합부(440)를 포함한다.
이동 몸체(410)는 이동 부재(400)의 몸체를 형성한다. 이동 몸체(410)는 지지 부재(3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이동 몸체(410)는 지지 몸체(310)에 형성된 이동 홈(320)을 따라 지지 몸체(310)의 연장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동 몸체(410)는 지지 몸체(310)보다 작은 크기를 갖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몸체(410)가 지지 몸체(3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되더라도, 이동 몸체(410)가 그 이동 방향을 따라 지지 몸체(3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몸체(410)는 외부 프레임(100)에 구비된 다른 구성을 간섭하거나, 상기 다른 구성에 의해 간섭받지 않고 이동될 수 있다.
이동 몸체(410)는 이동 돌기(420)와 결합된다. 이동 몸체(410)는 이동 돌기(420)를 통해 지지 부재(3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몸체(410)는 가이드 돌기(430)와 결합된다. 이동 몸체(410)의 이동은 가이드 돌기(430)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이동 몸체(410)의 내부에는 바이저 결합부(440)가 형성된다. 이동 몸체(410)는 바이저 결합부(440)에 의해 서브 바이저(22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몸체(410)는 서브 바이저(220)와 결합되어, 지지 부재(30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이동 몸체(410)는 복수 개의 모서리를 포함하는 다각형상의 단면을 갖고, 지지 부재(300)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의 두께를 갖게 형성된다.
이동 몸체(410)는 와이어(W)와 결합된다. 따라서, 와이어(W)는 당겨지거나 가압되면, 이동 부재(400) 및 이에 결합된 서브 바이저(220)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동 몸체(410)의 면 중 지지 부재(300)를 향하는 일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면에는 이동 돌기(420)가 형성된다.
이동 돌기(420)는 이동 부재(400)가 이동 홈(320)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일 실시 예에서, 이동 돌기(420)는 이동 홈(320)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동 홈(320)이 관통 형성되는 실시 예에서, 이동 돌기(420)는 이동 홈(320)에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돌기(420)는 이동 몸체(410)의 면에서 지지 부재(300)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이동 돌기(420)는 이동 몸체(410)의 면 중 지지 부재(300)를 향하는 내면에 위치된다.
이동 돌기(420)는 이동 홈(3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이동 돌기(420)는 이동 홈(320)의 폭 이하의 직경을 갖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지지 부재(300)를 향하는 방향, 즉, 내측을 향해 연장 형성된 원통 형상이다.
이때, 이동 부재(400)가 지지 부재(300)에 결합되어 이동되는 거리는 이동 돌기(420)와 이동 홈(320)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이동 부재(400)의 일 방향으로의 이동 거리,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으로의 이동 거리는 이동 돌기(420)가 이동 홈(320)의 상측 단부에 접촉될 때까지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동 부재(400)의 타 방향으로의 이동 거리,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으로의 이동 거리는 이동 돌기(420)가 이동 홈(320)의 하측 단부에 접촉될 때까지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이동 돌기(42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이동 돌기(420)는 복수 개의 이동 홈(320)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이동 돌기(420)는 제1 이동 돌기(421) 및 제2 이동 돌기(422)를 포함하여 두 개 구비된다.
제1 이동 돌기(421)는 제1 이동 홈(320a)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이동 돌기(422)는 제2 이동 홈(320b)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제1 이동 돌기(421) 및 제2 이동 돌기(422)의 형상 및 배치 방식은 제1 이동 홈(320a) 및 제2 이동 홈(320b)의 형상 및 배치 방식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가이드 돌기(430)는 지지 부재(300)의 가이드부(33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동 부재(400)의 이동을 안내한다. 가이드 돌기(430)와 가이드부(330)의 결합에 의해, 이동 부재(400)의 공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부재(400)가 지지 부재(3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신뢰성 있게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430)는 이동 몸체(410)와 연속된다. 가이드 돌기(430)는 이동 몸체(410)의 면 중 이동 돌기(420)가 형성된 상기 일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면의 일 모서리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 돌기(430)는 이동 몸체(410)의 상기 일 면의 전방 측 모서리에 위치된다.
가이드 돌기(430)는 이동 몸체(410)의 상기 일 모서리,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모서리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 돌기(430)는 전방 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가이드 돌기(430)는 가이드 홈(33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 돌기(430)는 가이드 홈(331)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홈(331)이 관통 형성되는 실시 예에서, 가이드 돌기(430)는 가이드 홈(331)에 관통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홈(33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가이드 돌기(430)의 외측 방향의 면은 가이드 모서리(332)에 의해 지지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 돌기(430)의 우측 방향의 면은 가이드 모서리(332)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가이드 돌기(430)는 기 설정된 방향 또는 각도로만 가이드 홈(331)과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홈(331)과 결합된 가이드 돌기(43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430)는 가이드부(33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동 부재(40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 돌기(430)는 외측 단부가 외측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내측 단부는 편평하게 형성된다.
바이저 결합부(440)는 서브 바이저(220)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바이저 결합부(440)는 서브 바이저(220)를 지지한다. 이에 따라, 서브 바이저(220)는 이동 부재(400)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
바이저 결합부(440)는 이동 몸체(410)의 내부에 형성된다. 바이저 결합부(440)는 이동 몸체(41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여, 서브 바이저(220)가 이동 부재(400)에 삽입 결합될 수 있게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바이저 결합부(440)는 결합 개구부(441), 결합 공간(442) 및 결합 돌기(443)를 포함한다.
결합 개구부(441)는 서브 바이저(220)가 결합 공간(442)으로 진행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한다. 결합 개구부(441)는 이동 몸체(410)의 일 측에 개방 형성되어, 결합 공간(442)과 외부를 연통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개구부(441)는 이동 몸체(410)의 전방 측 면에 함몰 형성된다.
결합 개구부(441)에는 서브 바이저(220)의 서브 돌기(222)가 관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브 바이저(220)의 각 단부에 배치되는 서브 돌기(222)는 한 쌍 구비되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 개구부(441)는 한 쌍의 서브 돌기(222)가 이격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다.
결합 개구부(441)는 결합 공간(442)과 연통된다. 결합 개구부(441)를 통과한 서브 돌기(222)는 결합 공간(442)으로 진행될 수 있다.
결합 공간(442)은 서브 돌기(222)를 수용하는 공간이다. 결합 공간(442)은 이동 몸체(410)의 내부에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결합 공간(442)은 이동 몸체(410)의 두께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결합 공간(442)은 결합 개구부(441)와 연통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공간(442)의 전방 측이 결합 개구부(441)와 연통된다.
결합 공간(442)의 내부에는 결합 돌기(443)가 위치된다.
결합 돌기(443)는 한 쌍의 서브 돌기(222) 사이에 형성된 공간인 서브 개구부(223)에 수용된다. 결합 돌기(443)는 서브 개구부(223)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서브 돌기(222)를 지지하게 구성된다.
결합 돌기(443)는 한 쌍의 서브 돌기(222)가 서로 마주하는 각 모서리의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돌기(443)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이동 몸체(410)의 두께 방향, 즉 좌우 방향의 높이를 갖는 원통 형상이다.
결합 돌기(443)는 결합 리브(도면 부호 미부여)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돌기(443)의 전방 측 및 후방 측은 각각 결합 리브(도면 부호 미부여)에 의해 지지되어, 이동 몸체(410)의 내주면과 결합된다.
따라서, 결합 돌기(443)에 결합된 서브 돌기(222)가 지지되어, 서브 바이저(220)의 임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지지 부재(300)에 결합된 이동 부재(400)의 이동 과정이 도시된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이동 부재(400)가 상측을 향해 최대로 이동된 상태가 도시된다. 도시된 위치는 제1 위치(P1)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위치(P1)에서, 이동 부재(400)에 결합된 서브 바이저(220) 또한 상측을 향해 최대로 이동되어, 프레임 개구부(120)를 덮는 면적이 최소가 됨이 이해될 것이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이동 부재(400)가 하측을 향해 최대로 이동된 상태가 도시된다. 도시된 위치는 제2 위치(P2)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위치(P2)에서, 이동 부재(400)에 결합된 서브 바이저(220) 또한 하측을 향해 최대로 이동되어, 프레임 개구부(120)를 덮는 면적이 최대가 됨이 이해될 것이다.
제1 위치(P1) 및 제2 위치(P2)는 와이어(W)를 통해 이동 부재(400)와 결합되는 조정 부재(500)가 조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조정 부재(500)가 와이어(W)를 당기거나 가압하는 거리는 다단계로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조정 부재(500)를 세밀하게 조정하지 않고도, 원하는 높이에 서브 바이저(220)를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는 조정 부재(500)를 포함한다.
조정 부재(500)는 와이어(W)를 통해 이동 부재(400)와 결합된다. 조정 부재(500)는 외력에 의해 조작되어, 와이어(W)를 가압하거나 당기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 이동 부재(400) 및 이에 결합된 서브 바이저(220)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되어, 서브 바이저(220)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조정 부재(500)는 외부 프레임(10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조정 부재(500)는 외부 프레임(100)의 부분 중 프레임 개구부(120)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일 부분,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단부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조정 부재(500)는 외부 프레임(100)의 전방 우측의 하측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이때, 조정 부재(500)는 외부 프레임(100)의 외측으로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조정 부재(500)의 일부 구성은 외부 프레임(100)의 내측에 배치되고, 조정 부재(500)의 다른 구성은 외부 프레임(100)의 외측에 배치된다. 착용자는 조정 부재(500)의 상기 다른 구성을 파지 및 조작할 수 있다.
조정 부재(500)는 이동 부재(40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조정 부재(500)는 와이어(W)를 통해 이동 부재(400)와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부재(400)는 서브 바이저(220)와 결합되는 바, 조정 부재(500)는 이동 부재(400)를 매개로 서브 바이저(220)와 결합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조정 부재(500)는 커버부(510), 조정 몸체(520), 다단 조정부(530) 및 이동 조정부(540)를 포함한다.
커버부(510)는 조정 부재(500)의 외측을 형성한다. 커버부(510)는 조정 부재(500)의 다른 구성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게 구성된다. 조정 부재(500)의 다른 구성 중 일부는 커버부(51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착용자에 의해 파지, 조작될 수 있다. 조정 부재(500)의 다른 구성의 다른 일부는 커버부(51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커버부(510)는 조정 몸체(520)와 결합된다. 커버부(510)는 조정 몸체(520)와 결합되는 조정 부재(500)의 일부 구성을 덮으며 조정 몸체(520)와 결합된다.
커버부(510)는 조정 몸체(520)와 결합되어, 조정 부재(500)의 일부 구성을 지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버부(51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일부 모서리가 경사지게 연장된다. 커버부(510)의 연장 방향은 조정 몸체(520)의 연장 방향 및 후술될 이동 조정부(540)의 이동 방향에 대응된다.
커버부(51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커버부(510)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조정 몸체(520)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버부(510)는 외측에서 조정 몸체(520)와 결합되는 제1 커버(511) 및 내측에서 조정 몸체(520)와 결합되는 제2 커버(512)를 포함한다. 제1 커버(511) 및 제2 커버(512)는 조정 몸체(520)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배치된다.
이때, 제1 커버(511)는 조정 부재(500)가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제1 커버(511)는 주행시 발생되는 공기 저항이 최소화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커버(511)는 탈거 가능하게 조정 몸체(5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용자는 제1 커버(511)를 탈거한 후 다단 조정부(530)를 조작할 수 있다.
조정 몸체(520)는 조정 부재(500)의 몸체를 형성한다. 조정 몸체(520)는 커버부(510)와 결합되어, 조정 부재(500)의 다른 구성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조정 몸체(520)는 커버부(51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조정 몸체(52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되, 일부 모서리가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다.
즉, 조정 몸체(520)는 전후 방향의 길이 및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갖게 형성되되, 전후 방향의 길이가 상하 방향의 높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이때, 조정 몸체(520)의 연장 방향, 즉 전후 방향은 이동 조정부(540)가 이동되는 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조정 몸체(520)의 높이 방향, 즉 상하 방향은 다단 조정부(530)가 이동되는 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조정 몸체(520)는 다단 조정부(530)와 결합된다. 조정 몸체(520)는 다단 조정부(53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조정 몸체(520)는 다단 조정부(530)가 높이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다단 조정부(530)와 결합될 수 있다.
조정 몸체(520)는 이동 조정부(540)와 결합된다. 조정 몸체(520)는 이동 조정부(54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조정 몸체(520)는 이동 조정부(540)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이동 조정부(540)와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조정 몸체(520)는 조정 관통부(521), 단계 조정부(522) 및 가이드 연장부(523)를 포함한다.
조정 관통부(521)는 다단 조정부(530)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단 조정부(530)는 승강 가능하게 조정 몸체(520)에 결합될 수 있는 바, 조정 관통부(521)는 다단 조정부(530)를 승강 가능하게 수용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조정 관통부(521)는 조정 몸체(520)의 내부에 함몰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조정 관통부(521)는 조정 몸체(520)의 두께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조정 관통부(521)는 다단 조정부(53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조정 관통부(521)는 다단 조정부(530)의 형상에 상응하게, 전후 방향의 폭을 갖고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갖는 사각형의 단면을 갖게 형성된다.
이때, 조정 관통부(521)의 상하 방향의 길이, 즉 높이는 다단 조정부(530)의 높이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정 관통부(521)에 수용된 다단 조정부(530)는 제1 상태(S1), 제2 상태(S2) 및 제3 상태(S3)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조정 관통부(521)는 다단 조정부(530)가 이동되기 위한 소정의 경로를 형성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조정 관통부(521)는 조정 몸체(520)의 연장 방향 중 일측에 치우치게 위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조정 관통부(521)는 조정 몸체(520)의 후방 측에 치우치게 위치된다.
조정 관통부(521)의 내부에는 단계 조정부(522)가 구비된다.
단계 조정부(522)는 다단 조정부(530)의 조정 돌기(532)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한다. 다단 조정부(530)는 조정 돌기(532)가 단계 조정부(522)에 결합된 상태에서, 조정 관통부(521)의 연장 방향, 즉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단계 조정부(522)는 서로 연통되는 복수 개의 공간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상기 공간이 연통되는 부분은, 각 공간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단계 조정부(522)는 눈사람(snowman)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단계 조정부(522)는 조정 관통부(521)의 연장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연속되는 세 개의 공간을 포함한다. 세 개의 각 공간은 원형의 단면을 갖게 형성되어, 세 개의 공간 중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각 쌍의 공간이 연통되는 부분은, 세 개의 공간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단계 조정부(522)의 어느 하나의 공간에 조정 돌기(532)가 수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다단 조정부(530)에 소정의 크기 이상의 외력(즉, 상측 또는 하측을 향하는 방향의)이 인가될 경우, 조정 돌기(532)는 상기 어느 하나의 공간에서 다른 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단 조정부(530)가 조정 관통부(521)의 연장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
단계 조정부(522)의 상기 공간의 형상은 조정 돌기(532)의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단계 조정부(522)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조정 관통부(521)의 관통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공간으로 형성된다.
단계 조정부(522)에 결합된 조정 돌기(532) 및 다단 조정부(530)의 높이가 단계적으로 조정되는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가이드 연장부(523)는 조정 몸체(5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조정부(54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가이드 연장부(523)는 조정 몸체(520)의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가이드 연장부(523)는 조정 부재(500)의 구성 중 외부 프레임(100)의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다른 부분을 형성한다. 가이드 연장부(523)는 조정 몸체(520)의 면 중 제2 커버(512)를 향하는 일 면, 즉 내면에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 연장부(523)는 조정 몸체(520)의 좌측 면에 결합된다. 가이드 연장부(523)는 제2 커버(512)에 덮이게 배치된다.
다단 조정부(530)는 가이드 연장부(523)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조정부(54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한다. 다단 조정부(530)에 의해 이동 조정부(540)가 이동되는 거리가 다단으로 제한될 수 있다.
착용자는 다단 조정부(530)를 조작하고, 다단 조정부(530)에 접촉될 때까지 이동 조정부(540)를 이동시키는 조작만으로도 서브 바이저(220)를 기 설정된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특정 높이에 서브 바이저(220)를 위치시키기 위한 조작이 간편해지므로, 착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단 조정부(530)는 조정 몸체(5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다단 조정부(530)는 조정 관통부(521) 및 단계 조정부(522)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다. 달리 표현하면, 다단 조정부(530)는 조정 관통부(521)의 연장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정 관통부(521) 및 단계 조정부(522)와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계 조정부(522)는 서로 연속되는 복수 개의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단 조정부(530)는 복수 개의 상기 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에 조정 돌기(532)가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실시 예에서, 다단 조정부(530)는 세 개의 상기 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에 조정 돌기(532)가 결합된 상태, 즉 제1 상태(S1), 제2 상태(S2) 및 제3 상태(S3)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다단 조정부(530)의 상태가 변경됨에 따라, 조정 몸체(5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조정부(540)가 다단 조정부(530)와 접촉되는 위치, 즉 전후 방향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조정부(540)의 이동 거리가 제한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단 조정부(530)는 선택적으로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정 몸체(520)에 결합된 다단 조정부(530)는 제1 커버(511)에 의해 덮여, 외부로 임의 노출되지 않는다. 제1 커버(511)가 탈거되면, 다단 조정부(530)는 외부로 노출되어 착용자 등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다단 조정부(530)는 후술될 파지 돌출부(531)가 외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조정 몸체(520)와 결합된다.
다단 조정부(530)는 조정 관통부(521)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다단 조정부(530)는 사각의 판형의 몸체를 갖되, 그 연장 방향의 일 단부, 즉 하측 단부에 제1 조정 단부(533)가 돌출 형성된 다각형의 단면을 갖게 형성된다.
다단 조정부(530)는 조정 몸체(520)의 연장 방향의 일측에 치우치게 위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단 조정부(530)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정 관통부(521)는 조정 몸체(520)의 후방 측에 치우치게 위치된다. 따라서, 다단 조정부(530) 역시 조정 몸체(520)의 후방 측에 치우치게 위치되어, 이동 조정부(540)의 후방 측 이동 거리를 제한하게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다단 조정부(530)는 파지 돌출부(531), 조정 돌기(532), 제1 조정 단부(533) 및 제2 조정 단부(534)를 포함한다.
파지 돌출부(531)는 착용자 등에 의해 파지되는 부분이다. 파지 돌출부(531)는 제1 커버(511)를 향하는 방향, 즉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파지 돌출부(531)는 다단 조정부(530)의 면 중 외측을 향하는 일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 면에 위치된다.
파지 돌출부(531)는 다단 조정부(530)에서 돌출되어, 착용자 등에 의해 파지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파지 돌출부(531)는 조정 몸체(520)의 연장 방향, 즉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조정 몸체(520)의 두께 방향 중 외측 방향, 즉 우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파지 돌출부(531)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파지 돌출부(531)는 다단 조정부(53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파지 돌출부(531)는 세 개 구비되어,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복수 개의 파지 돌출부(531)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방향은 다단 조정부(530)가 이동되는 방향과 같음이 이해될 것이다.
조정 돌기(532)는 다단 조정부(530)가 조정 몸체(52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조정 돌기(532)는 단계 조정부(522)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에 수용된다. 조정 돌기(532)는 복수 개의 공간 중 상기 어느 하나의 공간과 인접하게 위치되는 다른 하나의 공간으로 이동 가능하게 단계 조정부(522)에 결합된다.
조정 돌기(532)는 제2 커버(512)를 향하는 방향, 즉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조정 돌기(532)와 파지 돌출부(531)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조정 돌기(532)는 다단 조정부(530)의 면 중 내측을 향하는 타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면에 위치된다.
조정 돌기(532)는 다단 조정부(530)에서 돌출되어, 단계 조정부(52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조정 돌기(532)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내측을 향하는 방향의 높이를 갖는 원통 형상이다.
제1 조정 단부(533)는 다단 조정부(530)가 특정 위치에 위치된 상태(즉, 제2 상태(S2))에서 이동 조정부(540)와 접촉되어, 이동 조정부(54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단 조정부(530)는 조정 몸체(520)의 후방 측에 치우치게 위치되는 바, 제1 조정 단부(533)는 이동 조정부(540)의 후방 측 이동 거리를 제한하게 구성됨이 이해될 것이다.
제1 조정 단부(533)는 다단 조정부(530)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다단 조정부(53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1 조정 단부(533)는 다단 조정부(530)의 하측 단부에서 하측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제1 조정 단부(533)는 다단 조정부(530)의 폭 방향의 일측에 치우치게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조정 단부(533)가 치우치는 상기 일측은 다단 조정부(530)가 조정 몸체(520)에 대해 치우치는 일측과 같은 방향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조정 단부(533)는 다단 조정부(530)의 후방 측에 치우치게 위치된다.
제2 조정 단부(534)는 다단 조정부(530)가 다른 특정 위치에 위치된 상태(즉, 제3 상태(S3))에서 이동 조정부(540)와 접촉되어, 이동 조정부(54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단 조정부(530)는 조정 몸체(520)의 후방 측에 치우치게 위치되므로, 제2 조정 단부(534)는 이동 조정부(540)의 후방 측 이동 거리를 제한하게 구성된다고 할 수 있다.
제2 조정 단부(534)는 다단 조정부(530)의 일 모서리로 정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조정 단부(534)는 다단 조정부(530)의 모서리 중 제1 조정 단부(533)가 치우치게 위치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 즉 전방 측 모서리로 정의된다.
따라서, 제2 조정 단부(534)는 제1 조정 단부(533)에 비해 상대적으로 이동 조정부(540)에 더 인접하게 위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제2 조정 단부(534)는 제1 조정 단부(533)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방 측에 위치된다.
제1 조정 단부(533)는 제2 상태(S2)에서 이동 조정부(540)와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제2 조정 단부(534)는 제3 상태(S3)에서 이동 조정부(540)와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제1 조정 단부(533)는 제2 조정 단부(534)에 비해 후방 측에 치우치게 위치된다. 따라서, 제2 조정 단부(534)가 이동 조정부(540)와 접촉되는 제3 상태(S3)에 비해, 이동 조정부(540)가 후방 측으로 더 이동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다단 조정부(530)의 상태가 조정되고, 이에 따라 이동 조정부(540)의 이동 거리가 제한되는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동 조정부(540)는 와이어(W)를 통해 이동 부재(400)와 결합되어, 이동 부재(400) 및 이에 결합된 서브 바이저(220)의 위치를 실질적으로 조정한다. 이동 조정부(540)는 조정 몸체(520)의 연장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정 몸체(520)와 결합된다.
이동 조정부(540)는 조정 몸체(5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이동 조정부(540)는 가이드 연장부(523)에 결합되어, 가이드 연장부(523)의 연장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 조정부(540)는 가이드 연장부(523)가 배치되는 위치, 즉 조정 몸체(520)와 제2 커버(512) 사이에 위치된다. 이동 조정부(540)는 제2 커버(512)에 덮이며 조정 몸체(520)와 결합된다.
이때, 이동 조정부(540)의 전방 측 이동 거리는 가이드 연장부(523)의 전방 측 단부에 형성된 돌기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이동 조정부(540)의 후방 측 이동 거리는 제2 커버(512)의 내측 벽 또는 다단 조정부(530)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단 조정부(530)가 제1 상태(S1)로 위치된 경우, 이동 조정부(540)의 후방 측 이동 거리는 제2 커버(512)의 내측 벽에 의해 제한된다. 다단 조정부(530)가 제2 상태(S2) 또는 제3 상태(S3)로 위치된 경우, 이동 조정부(540)의 후방 측 이동 거리는 제1 조정 단부(533) 또는 제2 조정 단부(534)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이동 조정부(540)는 파지부(541), 와이어 체결부(542), 가이드 공간부(543) 및 접촉 단부(544)를 포함한다.
파지부(541)는 착용자 등에 의해 파지되는 부분이다. 파지부(541)는 두부 보호 장비(10)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배치된다.
파지부(541)는 이동 조정부(540)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파지부(541)는 커버부(510)의 하측을 통해 두부 보호 장비(1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착용자 등은 파지부(541)를 가압하거나 당겨서 이동 조정부(54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와이어 체결부(542)는 이동 조정부(540)가 와이어(W)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와이어 체결부(542)는 이동 조정부(540)의 내부에 관통 또는 함몰 형성되어, 와이어(W)의 단부와 결합된다.
와이어 체결부(542)는 파지부(541)와 반대되게 위치될 수 있다. 즉, 와이어 체결부(542)는 이동 조정부(540)의 연장 방향의 타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와이어 체결부(542)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와이어 체결부(542)는 복수 개의 와이어(W)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와이어 체결부(542)는 두 개 구비된다. 와이어 체결부(542)의 개수는 와이어(W)의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파지부(541)와 와이어 체결부(542) 사이에는 가이드 공간부(543) 및 접촉 단부(544)가 형성된다.
가이드 공간부(543)는 가이드 연장부(523)가 결합되는 공간이다. 가이드 공간부(543)는 이동 조정부(540)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어, 가이드 연장부(523)가 관통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 공간부(543)는 이동 조정부(540)의 이동 방향, 즉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가이드 공간부(543)에 인접하게 접촉 단부(544)가 위치된다.
접촉 단부(544)는 이동 조정부(540)의 이동에 따라 가이드 연장부(523)의 후방 측 단부, 제1 조정 단부(533) 및 제2 조정 단부(534) 중 어느 하나와 접촉된다. 상기 접촉에 의해, 이동 조정부(540)의 후방 측으로의 이동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접촉 단부(544)는 조정 몸체(520)를 향하는 방향의 일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 면에 형성된다. 접촉 단부(544)는 조정 몸체(520)를 향하는 방향, 즉 우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접촉 단부(544)는 이동 조정부(540)의 이동 방향 중 다단 조정부(530)를 향하는 일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 치우치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조정부(540)가 후방 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접촉 단부(544)가 가장 먼저 가이드 연장부(523)의 후방 측 단부, 제1 조정 단부(533) 및 제2 조정 단부(534) 중 어느 하나와 접촉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는 빛 등을 차단 또는 감소하기 위한 서브 바이저(220)를 포함한다. 서브 바이저(220)는 지지 부재(3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부재(400)와 결합되어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이동 부재(400)는 와이어(W)에 의해 조정 부재(500)와 결합되어, 조정 부재(500)의 조정에 의해 이동 부재(400) 및 서브 바이저(220)가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조정 부재(500)에는 다단 조정부(530) 및 이동 조정부(540)가 구비된다. 다단 조정부(530)에 의해 이동 조정부(540)의 이동 거리가 제한된다. 이에 따라, 착용자 등은 다단 조정부(530)에 접촉될 때까지 이동 조정부(540)를 이동시키는 간명한 조작만으로 서브 바이저(22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에 구비되는 서브 바이저(220)의 높이가 조정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다단 조정부(530)가 가장 상측에 위치된 상태, 즉 제1 상태(S1)가 도시된다. 제1 상태(S1)에서, 다단 조정부(530)는 조정 관통부(521)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이때, 조정 돌기(532)는 단계 조정부(522)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공간 중 가장 상측에 위치되는 공간에 수용된다.
제1 상태(S1)에서, 다단 조정부(530)의 제1 조정 단부(533)는 가이드 연장부(523)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 연장부(523)에 결합된 이동 조정부(540)가 다단 조정부(530)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으로 이동되더라도, 접촉 단부(544)와 다단 조정부(530)가 접촉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동 조정부(540)는 접촉 단부(544)가 가이드 연장부(523)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 즉 후방 측 단부와 접촉될 때까지 후방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상태(S1)에서 이동 조정부(540)가 다단 조정부(530)를 향하는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으로 끝까지 이동되면, 이동 부재(400)가 이동 홈(320)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에 접촉될 수 있다(도 8의 (b) 참조).
즉, 제1 상태(S1)에서 이동 조정부(540)가 후방 측으로 최대로 이동됨에 따라, 서브 바이저(220)는 프레임 개구부(120)를 덮는 면적이 최대인 제2 위치(P2)로 이동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다단 조정부(530)가 중간 부분에 위치된 상태, 즉 제2 상태(S2)가 도시된다. 제2 상태(S2)에서, 다단 조정부(530)는 조정 관통부(521)의 연장 방향의 상기 일 단부 및 타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 및 하측 단부 사이에 위치된다. 이때, 조정 돌기(532)는 단계 조정부(522)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공간 중 중간에 위치되는 공간에 수용된다.
제2 상태(S2)에서, 다단 조정부(530)의 제1 조정 단부(533)는 가이드 연장부(523)에 인접하게 위치되되, 제2 조정 단부(534)는 가이드 연장부(523)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 연장부(523)에 결합된 이동 조정부(540)가 다단 조정부(530)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으로 이동되면 접촉 단부(544)가 제1 조정 단부(533)와 접촉된다.
즉, 이동 조정부(540)는 접촉 단부(544)가 제1 조정 단부(533)와 접촉될 때까지 후방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제1 조정 단부(533)는 소정의 폭을 갖게 형성된다. 따라서, 접촉 단부(544)가 제1 조정 단부(533)와 접촉되는 위치는, 접촉 단부(544)가 가이드 연장부(523)의 후방 측 단부와 접촉되는 위치에 비해 전방 측에 위치됨에 이해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제2 상태(S2)에서, 이동 조정부(540)는 제1 상태(S1)에 비해 후방 측으로의 이동 거리가 감소된다. 즉, 제2 상태(S2)에서 후방 측으로 끝까지 이동된 이동 조정부(540)는 제1 상태(S1)에서 후방 측으로 끝까지 이동된 이동 조정부(540)에 비해 전방 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제2 상태(S2)에서 이동 조정부(540)가 다단 조정부(530)를 향하는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으로 끝까지 이동되면, 이동 부재(400)가 이동 홈(320)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 및 타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 및 하측 단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제2 상태(S2)에서 이동 조정부(540)가 후방 측으로 최대로 이동됨에 따라, 서브 바이저(220)는 제2 위치(P2)보다 높게 위치되어, 프레임 개구부(120)를 부분적으로 덮게 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다단 조정부(530)가 가장 하측에 위치된 상태, 즉 제3 상태(S3)가 도시된다. 제3 상태(S3)에서, 다단 조정부(530)는 조정 관통부(521)의 연장 방향의 상기 타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이때, 조정 돌기(532)는 단계 조정부(522)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공간 중 하측에 위치되는 공간에 수용된다.
제3 상태(S3)에서, 다단 조정부(530)의 제1 조정 단부(533)는 가이드 연장부(523)의 하측에 위치되되, 제2 조정 단부(534)는 가이드 연장부(523)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 연장부(523)에 결합된 이동 조정부(540)가 다단 조정부(530)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으로 이동되면 접촉 단부(544)가 제2 조정 단부(534)와 접촉된다.
즉, 이동 조정부(540)는 접촉 단부(544)가 제2 조정 단부(534)와 접촉될 때까지 후방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제2 조정 단부(534)는 제1 조정 단부(533)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방 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접촉 단부(544)가 제2 조정 단부(534)와 접촉되는 위치는, 접촉 단부(544)가 제1 조정 단부(533)와 접촉되는 위치에 비해 전방 측에 위치됨에 이해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제3 상태(S3)에서, 이동 조정부(540)는 제2 상태(S2)에 비해 후방 측으로의 이동 거리가 감소된다. 즉, 제3 상태(S3)에서 후방 측으로 끝까지 이동된 이동 조정부(540)는 제2 상태(S2)에서 후방 측으로 끝까지 이동된 이동 조정부(540)에 비해 전방 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제3 상태(S3)에서 이동 조정부(540)가 다단 조정부(530)를 향하는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으로 끝까지 이동되면, 이동 부재(400)가 이동 홈(320)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 및 타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 및 하측 단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이동 부재(400)는 제2 상태(S2)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됨이 이해될 것이다.
즉, 제3 상태(S3)에서 이동 조정부(540)가 후방 측으로 최대로 이동됨에 따라, 서브 바이저(220)는 제2 위치(P2)보다 높게 위치되어, 프레임 개구부(120)를 부분적으로 덮게 된다. 이때, 서브 바이저(220)가 프레임 개구부(120)를 덮는 면적은 제2 상태(S2)에 비해 감소됨이 이해될 것이다.
한편, 이동 조정부(540)가 다단 조정부(530)에 반대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으로 끝까지 이동되면, 이동 부재(400)가 이동 홈(320)의 연장 방향의 타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에 접촉될 수 있다(도 8의 (a) 참조).
즉, 이동 조정부(540)가 전방 측으로 최대로 이동됨에 따라, 서브 바이저(220)는 프레임 개구부(120)를 덮는 면적이 최소인 제1 위치(P1)로 이동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동 조정부(540)의 이동에 따른 이동 부재(400)의 이동 방향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이동 조정부(540)가 전방 측으로 이동될 경우 이동 부재(400)가 상승되고, 이동 조정부(540)가 후방 측으로 이동될 경우 이동 부재(400)가 하강되게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이동 조정부(540)가 전방 측으로 이동될 경우 이동 부재(400)가 하강되고, 이동 조정부(540)가 후방 측으로 이동될 경우 이동 부재(400)가 상승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두부 보호 장비 100: 외부 프레임
110: 수용 공간 120: 프레임 개구부
200: 바이저부 210: 메인 바이저
220: 서브 바이저 221: 서브 바이저 몸체
222: 서브 돌기 223: 서브 개구부
300: 지지 부재 310: 지지 몸체
320: 이동 홈 320a: 제1 이동 홈
320b: 제2 이동 홈 321: 제1 연장부
322: 제2 연장부 330: 가이드부
331: 가이드 홈 332: 가이드 모서리
400: 이동 부재 410: 이동 몸체
420: 이동 돌기 421: 제1 이동 돌기
422: 제2 이동 돌기 430: 가이드 돌기
440: 바이저 결합부 441: 결합 개구부
442: 결합 공간 443: 결합 돌기
500: 조정 부재 510: 커버부
511: 제1 커버 512: 제2 커버
520: 조정 몸체 521: 조정 관통부
522: 단계 조정부 523: 가이드 연장부
530: 다단 조정부 531: 파지 돌출부
532: 조정 돌기 533: 제1 조정 단부
534: 제2 조정 단부 540: 이동 조정부
541: 파지부 542: 와이어 체결부
543: 가이드 공간부 544: 접촉 단부
P1: 제1 위치 P2: 제2 위치
S1: 제1 상태 S2: 제2 상태
S3: 제3 상태 C1: 제1 곡률
C2: 제2 곡률 Center1: 제1 중심
Center2: 제2 중심 W: 와이어

Claims (16)

  1. 전방 측에 프레임 개구부가 개방 형성된 외부 프레임;
    상기 외부 프레임의 상기 전방 측을 부분적으로 덮으며 상기 외부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 바이저;
    상기 외부 프레임 및 상기 서브 바이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서브 바이저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서브 바이저와 결합되어 상기 서브 바이저와 함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서브 바이저가 상기 프레임 개구부를 개방하는 제1 위치; 및
    상기 서브 바이저가 상기 프레임 개구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 몸체; 및
    상기 지지 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 몸체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어, 상기 이동 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홈을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홈은, 상기 지지 몸체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는,
    두부 보호 장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홈은,
    전방 측 및 후방 측 중 어느 하나에 중심을 갖고, 소정의 제1 곡률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와 연속되고, 전방 측 및 후방 측 중 다른 하나에 중심을 가지며, 소정의 제2 곡률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의 상기 제1 곡률 및 상기 제2 연장부의 상기 제2 곡률은 서로 상이한,
    두부 보호 장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의 상기 제1 곡률은, 상기 제2 연장부의 상기 제2 곡률 이상으로 형성되는,
    두부 보호 장비.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의 상기 제1 곡률 및 상기 제2 연장부의 상기 제2 곡률 중 어느 하나의 곡률은 영(zero)인,
    두부 보호 장비.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홈은,
    그 일부를 각각 형성하며, 서로 연속되는 복수 개의 연장부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연장부 중 서로 인접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상기 연장부는,
    전방 측 및 후방 측 중 서로 다른 측에 각각 중심을 갖고, 서로 다른 곡률로 연장되는,
    두부 보호 장비.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이동 홈과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지지 몸체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어, 결합된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게 구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지지 몸체의 내부에 관통 형성된 가이드 홈; 및
    상기 가이드 홈을 외측에서 덮으며,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연장되어, 결합된 상기 이동 부재를 지지하게 구성되는 가이드 모서리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서브 바이저가 결합되는 바이저 결합부; 및
    상기 지지 부재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 부재의 가이드 홈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가이드 돌기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지지 부재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 부재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는 이동 홈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돌기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지지 부재 및 상기 이동 부재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조정 부재; 및
    상기 조정 부재 및 상기 이동 부재와 각각 결합되어 함께 이동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부재는,
    일 방향으로 소정의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외부 프레임에 결합되는 다단 조정부; 및
    타 방향을 따라 상기 다단 조정부를 향하는 방향 및 이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외부 프레임 및 상기 와이어와 결합되는 이동 조정부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 조정부는,
    상기 소정의 경로의 일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이동 조정부와 이격되는 제1 상태;
    상기 소정의 경로의 상기 일 단부 및 타 단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이동 조정부와 접촉되는 제2 상태; 및
    상기 소정의 경로의 상기 타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이동 조정부와 접촉되는 제3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유지되는,
    두부 보호 장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 조정부는,
    상기 일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이동 조정부와 접촉되는 제1 조정 단부; 및
    상기 제1 조정 단부와 연속되며, 상기 제3 상태에서 상기 이동 조정부와 접촉되는 제2 조정 단부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조정부가 상기 다단 조정부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최대로 이동되면,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제1 위치로 이동되는,
    두부 보호 장비.
KR1020220054711A 2022-05-03 2022-05-03 두부 보호 장비 KR102627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711A KR102627598B1 (ko) 2022-05-03 2022-05-03 두부 보호 장비
PCT/KR2023/004283 WO2023214690A1 (ko) 2022-05-03 2023-03-30 두부 보호 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711A KR102627598B1 (ko) 2022-05-03 2022-05-03 두부 보호 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5180A KR20230155180A (ko) 2023-11-10
KR102627598B1 true KR102627598B1 (ko) 2024-01-23

Family

ID=88646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4711A KR102627598B1 (ko) 2022-05-03 2022-05-03 두부 보호 장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27598B1 (ko)
WO (1) WO202321469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275B1 (ko) * 2011-07-28 2018-07-13 가부시키가이샤 쇼우에이 헬멧의 바이저 장착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7816A (en) * 1991-12-10 1993-01-1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Helmet visor support apparatus
KR200439851Y1 (ko) 2007-02-07 2008-05-08 강일호 오토바이 헬멧용 선바이저
DE602007011933D1 (de) * 2007-09-18 2011-02-24 Opticos Srl Sicherheitshelm mit zusätzlichem Innenvisier
JP6259640B2 (ja) 2013-10-31 2018-01-10 株式会社アライヘルメット ヘルメット用シールド
WO2016207743A1 (en) * 2015-06-24 2016-12-29 Di Troia Giovanni Protective helmet provided with anti-dazzle visor
JP6789266B2 (ja) * 2018-05-01 2020-11-25 株式会社Shoei ヘルメ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275B1 (ko) * 2011-07-28 2018-07-13 가부시키가이샤 쇼우에이 헬멧의 바이저 장착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5180A (ko) 2023-11-10
WO2023214690A1 (ko) 2023-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54386B1 (en) Removable shield for protective headwear
AU2011216973A1 (en) Protective helmet
US20080028501A1 (en) Crash Helmet
KR102627598B1 (ko) 두부 보호 장비
JP2008516095A (ja) 保護ヘルメット
EP3662775B1 (en) Chin guard positioning assembly and helmet having the same
EP2063727B1 (en) Crash helmet particularly for motoring and sports use in general
EP4056063A1 (en) Helmet front cover, helmet shell, and helmet comprising same
JP2003049316A (ja) 顔面保護板付ヘルメット
KR102313737B1 (ko) 통기구를 구비하고 밴드의 탈부착이 가능한 고글
JP6443748B2 (ja) 眼用保護具
JP2010163733A (ja) シールド部材および保護帽
JP4433932B2 (ja) 防護面付きヘルメット
KR102604970B1 (ko) 두부 보호 장비
KR102558430B1 (ko) 헬멧
JP2022045645A (ja) ヘルメット
KR102393623B1 (ko) 헬멧용 선바이저 제어수단
KR102571406B1 (ko) 두부 보호 장비
JP6417069B1 (ja) ヘルメット
JP2005068582A5 (ko)
KR102369782B1 (ko) 안전모의 전면에 부착되는 보안면
CN215511747U (zh) 一种云石机
CN214551127U (zh) 一种用于游戏机的闸门罩
US20230045953A1 (en) Phone case
KR200395300Y1 (ko) 자외선 및 황사 차단용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