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4970B1 - 두부 보호 장비 - Google Patents

두부 보호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4970B1
KR102604970B1 KR1020220052614A KR20220052614A KR102604970B1 KR 102604970 B1 KR102604970 B1 KR 102604970B1 KR 1020220052614 A KR1020220052614 A KR 1020220052614A KR 20220052614 A KR20220052614 A KR 20220052614A KR 102604970 B1 KR102604970 B1 KR 102604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or
sub
main
protrusion
protection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2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52988A (ko
Inventor
이윤행
Original Assignee
(주) 에이치제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이치제이씨 filed Critical (주) 에이치제이씨
Priority to KR1020220052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4970B1/ko
Priority to PCT/KR2023/004277 priority patent/WO2023210987A1/ko
Publication of KR20230152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2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두부 보호 장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외부 프레임; 상기 수용 공간의 일 부분을 덮으며 상기 외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 바이저; 및 상기 수용 공간의 다른 부분을 덮으며 상기 메인 바이저를 향하는 일 방향 및 그에 반대되는 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메인 바이저에 결합되는 서브 바이저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바이저는, 외측으로 노출되는 면적이 최소가 되는 제1 위치; 및 외측으로 노출되는 면적이 최대가 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수용 공간 중 상기 메인 바이저 및 상기 서브 바이저에 의해 덮이는 면적이 조정되게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두부 보호 장비{Head part protector}
본 발명은 두부 보호 장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행 소음 및 외기의 유입에 따른 눈 시림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구조의 두부 보호 장비에 관한 것이다.
두부 보호 장비는 흔히 헬멧(helmet)이라 지칭되는 장비로, 착용자의 두부를 보호하기 위해 활용된다.
헬멧은 착용자의 두부를 덮는 정도에 따라 하프 페이스(half face), 오픈 페이스(open face) 및 풀 페이스(full face)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가장 안전성이 높은 것은 풀 페이스 타입의 헬멧으로, 착용자의 턱 부위를 포함한 두부 대부분의 부위를 커버하게 구성된다.
그런데, 풀 페이스 타입의 헬멧의 경우 무게가 상당하고, 특히 통풍 등의 문제로 주행자가 불편을 겪는 경우가 많다. 이에, 최근에는 하프 페이스 타입과 풀 페이스 타입의 장점을 취사한 오픈 페이스 타입의 헬멧이 각광받고 있다.
주행 중, 외기는 헬멧에 구비되는 바이저(visor)에 의해 헬멧 내부로의 유입이 차단된다. 그런데, 오픈 페이스 타입의 헬멧은 착용자의 턱 부분을 포함한 두부의 하측 부분이 개방 형성된다. 따라서, 외기가 정면으로 유입되는 상황은 방지될 수 있으나, 외기가 바이저의 하측을 통해 헬멧의 내부로 들어오는 상황까지 방지하기는 어렵다.
외기가 헬멧의 내부로 유입될 경우, 주행 중 외기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인 주행 소음이 착용자에게 직접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유입된 외기가 착용자의 안구로 유입되어 시야 확보에 어려워질 수 있다. 따라서, 안전을 위해 필수적인 헬멧 착용을 기피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19-0014960호는 헬멧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헬멧 내부에 구비되는 공기 정화부를 포함하여, 헬멧 내부의 공기 순환을 도모할 수 있는 헬멧을 개시한다.
그런데, 상기 선행문헌이 개시하는 헬멧은 외기가 이미 헬멧의 내부로 유입됨을 전제로, 유입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방안만을 개시한다. 즉, 상기 선행문헌은, 헬멧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다.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17-0108413호는 타입 가변형 헬멧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하프 페이스 유닛의 하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자의 두부 하부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된 언더페이스 유닛을 포함하는 타입 가변형 헬멧을 개시한다.
그런데, 상기 선행문헌은 헬멧의 타입 자체를 변경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함에 그친다. 즉, 상기 선행문헌이 개시하는 헬멧은 추가 부재를 부착하여 하프 페이스 타입의 헬멧을 풀 페이스 타입의 헬멧으로 변경함을 목적으로 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선행문헌은 하프 페이스 타입을 유지하면서 외기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을 개시하지 못한다.
더 나아가, 상기 선행문헌들은 바이저의 면적 자체를 가변하여 주행 중 공기 저항 또는 공기 유입을 조정하기 위한 방안을 개시하지 못한다.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19-0014960호 (2019.02.13.)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17-0108413호 (2017.09.2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바이저의 면적이 용이하게 가변될 수 있는 구조의 두부 보호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행 중 내부로 유입되는 외기의 양이 최소화될 수 있는 구조의 두부 보호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행 중 발생되는 주행 소음이 최소화될 수 있는 구조의 두부 보호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부재가 추가로 구비되지 않고도 바이저의 면적이 가변될 수 있는 구조의 두부 보호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편한 조작으로 바이저의 면적이 용이하게 가변될 수 있는 구조의 두부 보호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면적이 가변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구조의 두부 보호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외부 프레임; 상기 수용 공간의 일 부분을 덮으며 상기 외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 바이저; 및 상기 수용 공간의 다른 부분을 덮으며 상기 메인 바이저를 향하는 일 방향 및 그에 반대되는 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메인 바이저에 결합되는 서브 바이저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바이저는, 외측으로 노출되는 면적이 최소가 되는 제1 위치; 및 외측으로 노출되는 면적이 최대가 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수용 공간 중 상기 메인 바이저 및 상기 서브 바이저에 의해 덮이는 면적이 조정되게 구성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서브 바이저의 표면적은, 상기 메인 바이저의 표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바이저 및 상기 서브 바이저와 각각 결합되어, 상기 서브 바이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바이저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이저 결합 부재는, 상기 서브 바이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서브 바이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 결합 돌기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바이저는, 상기 바이저 결합 부재를 향하는 일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그 내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서브 결합 돌기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 결합공을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이저 결합 부재는, 상기 서브 바이저를 향하는 일 모서리를 형성하며, 상기 서브 바이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서브 바이저와 접촉되어 상기 서브 바이저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게 구성되는 제한 모서리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바이저는, 상기 바이저 결합 부재를 향하는 일 모서리를 형성하며, 상기 제한 모서리를 마주하게 배치되는 서브 모서리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바이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서브 모서리와 상기 제한 모서리가 이격되고, 상기 서브 바이저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서브 모서리와 상기 제한 모서리가 접촉되어, 상기 서브 바이저의 회전이 제한되게 구성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바이저는, 상기 수용 공간을 둘러싸며 연장되고, 상기 메인 바이저의 회전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메인 바디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메인 바디의 일 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 공간을 단독으로 덮는 제1 부분; 및 상기 메인 바디의 다른 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부분과 연속되고, 상기 제1 위치의 상기 서브 바이저와 겹쳐지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의 두께는, 상기 제1 부분의 두께 이하로 형성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바이저는, 상기 제2 부분의 단부에서 상기 서브 바이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메인 지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지지 돌기는, 상기 서브 바이저의 상측 단부 및 상기 서브 바이저의 하측 단부 사이에 위치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바이저는, 상기 서브 바이저의 회전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서브 바디; 및 상기 서브 바디에서 상기 메인 바이저를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서브 바이저의 이동에 의해 상기 메인 지지 돌기와 접촉되거나 이격되는 서브 돌기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브 돌기는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서브 바이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되면, 복수 개의 상기 서브 돌기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메인 지지 돌기와 이격되게 위치되고, 상기 서브 바이저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되면, 복수 개의 상기 서브 돌기 중 상기 어느 하나가 상기 메인 지지 돌기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바디의 일 단부에서 상기 메인 지지 돌기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그 연장 방향의 단부가 상기 메인 바이저의 외측에 위치되는 파지 돌기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브 바이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파지 돌기는 상기 메인 지지 돌기와 접촉되고, 상기 서브 바이저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파지 돌기는 상기 메인 지지 돌기와 이격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 돌기는, 상기 서브 바디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는 바이저의 면적이 용이하게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는 주행 중 내부로 유입되는 외기의 양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는 주행 중 발생되는 주행 소음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는 별도의 부재가 추가로 구비되지 않고도 바이저의 면적이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는 간편한 조작으로 바이저의 면적이 용이하게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는 면적이 가변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두부 보호 장비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두부 보호 장비에 구비되는 메인 바이저, 서브 바이저 및 바이저 결합 부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두부 보호 장비에 구비되는 메인 바이저를 도시하는 배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의 두부 보호 장비에 구비되는 서브 바이저를 도시하는 정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1의 두부 보호 장비에 구비되는 바이저 결합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두부 보호 장비에 구비되는 서브 바이저가 제1 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1의 두부 보호 장비에 구비되는 서브 바이저가 제2 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1의 두부 보호 장비의 서브 바이저가 제1 위치로 유지될 때, 두부 보호 장비의 외부에서 발생되는 공기의 흐름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도 1의 두부 보호 장비의 서브 바이저가 제2 위치로 이동될 때, 두부 보호 장비의 외부에서 발생되는 공기의 흐름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가 있을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눈 시림"이라는 용어는, 외기가 착용자의 눈에 유입되어 시야에 방해가 발생되는 임의의 상황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눈 시림은 외기가 착용자의 각막에 직접 접촉되어 착용자가 정상적으로 시야를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상측", "하측", "좌측", "우측", "전방 측" 및 "후방 측"이라는 용어는 도 1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는 주행 중 전방 측에서 유입되는 외기를 차단하기 위한 메인 바이저(200) 및 서브 바이저(300)를 포함한다. 서브 바이저(300)는 외측으로 노출되는 면적이 가변되게 구성되어, 외기의 유동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주행 중 외기에 의한 소음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두부 보호 장비(10)의 개방된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을 통해 두부 보호 장비(1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최소화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착용자의 눈 등에 유입되어 발생될 수 있는 눈 시림 현상 등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는 외부 프레임(100), 메인 바이저(200), 서브 바이저(300) 및 바이저 결합 부재(400)를 포함한다.
외부 프레임(100)은 두부 보호 장비(10)의 외형을 형성한다. 외부 프레임(10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착용자의 두부(head part)를 수용할 수 있다. 외부 프레임(100)은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착용자의 두부를 보호할 수 있다.
외부 프레임(100)은 착용자의 두부를 수용, 보호하고, 주행 중 공기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외부 프레임(100)은 착용자의 두부와 유사하게 구(sphere) 형상이다.
외부 프레임(100)에는 메인 바이저(2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메인 바이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 바이저(300) 또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외부 프레임(100)에는 바이저 결합 부재(400)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이저 결합 부재(400)는 메인 바이저(200) 및 서브 바이저(300)와 각각 결합되어, 메인 바이저(200)의 회전에 의해 바이저 결합 부재(400)가 외부 프레임(100)과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외부 프레임(100)은 수용 공간(110)을 포함한다.
수용 공간(110)은 외부 프레임(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이다. 수용 공간(110)은 착용자의 두부를 수용한다. 수용 공간(110)은 외부 프레임(100)에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수용 공간(110)의 다른 부분은 개방 형성된다. 수용 공간(110)의 다른 부분 중 일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은 메인 바이저(200) 및 서브 바이저(300)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둘러싸인다.
수용 공간(110)의 다른 부분의 다른 일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은 개방 형성된다. 착용자는 개방 형성된 상기 하측 부분을 통해 수용 공간이 자신의 두부를 수용할 수 있다. 수용 공간(110)의 상기 다른 부분의 상기 일부는 메인 바이저(200)에 의해 덮이거나 개방될 수 있다.
메인 바이저(200)는 외부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용 공간(110)의 상기 다른 부분의 상기 일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주행 중, 메인 바이저(200)는 수용 공간(110)의 상기 다른 부분의 상기 일부를 폐쇄하여, 전방 측 공기가 수용 공간(110)으로 유입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메인 바이저(200)는 외부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을 기준으로, 메인 바이저(20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측으로 이동되어 수용 공간(110)의 전방 측이 개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을 기준으로, 메인 바이저(200)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상태에서, 메인 바이저(200)는 수용 공간(110)의 전방 측을 폐쇄할 수 있다.
메인 바이저(200)는 서브 바이저(300)와 결합된다. 서브 바이저(300)는 메인 바이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메인 바이저(200)와 겹쳐지는 면적이 가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두부 보호 장비(10)의 외기의 유동이 제어되어 주행 소음 및 외기의 유입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바이저(200)는 메인 바디(210), 메인 결합 홈(220), 메인 지지 돌기(230) 및 메인 지지 공간(240)을 포함한다.
메인 바디(210)는 메인 바이저(200)의 몸체를 형성한다. 메인 바디(210)는 수용 공간(110)의 부분 중 개방된 부분,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메인 바디(210)는 외부 프레임(10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210)는 수용 공간(110)의 외측을 향해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고, 수용 공간(110)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달리 표현하면, 메인 바디(210)의 수평 방향의 단면은 그 중심이 수용 공간(110)에 위치되고 수용 공간(110)의 폭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원호 형상이다. 따라서, 메인 바디(210)는 수용 공간(110)의 높이 방향 및 폭 방향 모두를 따라 각각 연장 형성된 곡면 형상임이 이해될 것이다.
메인 바디(210)는 수용 공간(110)을 둘러싸며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210)는 수용 공간(110)의 좌측 및 우측의 부분과 전방 측을 둘러싸며 연장된다. 메인 바디(210)는 소정의 높이를 갖게 형성된다. 즉, 메인 바디(210)는 메인 바이저(200)의 회전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소정의 높이를 갖게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바디(210)는 제1 부분(211) 및 제2 부분(212)을 포함한다.
제1 부분(211)은 메인 바디(210)의 일 부분을 형성한다. 제1 부분(211)은 수용 공간(110)의 전방 측의 일부를 단독으로 덮어, 주행 중 외기가 전방 측을 통해 수용 공간(110)으로 유입되는 상황을 방지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부분(211)은 메인 바디(210)의 상측을 형성한다.
제1 부분(211)은 그 폭 방향의 연장 방향의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가 각각 외부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부분(211)의 내측 면(즉, 수용 공간(110)을 향하는 면)에는 외부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부재(도면 부호 미부여)가 구비된다.
제1 부분(211)은 제2 부분(212)에 비해 큰 면적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부분(211)은 주행 중 전방 측에 위치되는 외기의 유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주로 수행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제1 부분(211)은 제2 부분(212)과 연속된다.
제2 부분(212)은 메인 바디(210)의 다른 부분을 형성한다. 제2 부분(212)은 수용 공간(110)의 전방 측의 다른 일부를 덮어, 주행 중 외기가 전방 측을 통해 수용 공간(110)으로 유입되는 상황을 방지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부분(212)은 메인 바디(210)의 하측을 형성한다.
제2 부분(212)의 그 폭 방향의 연장 방향의 단부에는 서브 바이저(3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서브 바이저(300)는 바이저 결합 부재(400)에 의해 제2 부분(2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서브 바이저(300)의 회전에 의해, 제2 부분(212)은 서브 바이저(300)와 겹쳐질 수 있다.
제2 부분(212)은 제1 부분(211)보다 작은 면적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부분(212)은 제1 부분(211)보다 작은 두께를 갖게 형성될 수 있다. 후술될 바와 같이, 제2 부분(212)에 결합되는 서브 바이저(300)는 회전되어 제2 부분(212)과 겹쳐지는 면적이 가변될 수 있다(도 7 내지 도 8 참조).
상기와 같은 구조에 기인하여, 제2 부분(212)의 두께가 제1 부분(211)보다 작게 형성됨에 따라, 메인 바디(210) 전체 두께의 과다한 증가가 방지될 수 있다.
도면 부호가 부여되지는 않았으나, 제1 부분(211) 및 제2 부분(212)이 연속되는 부분에 인접하게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서브 바이저(300)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1 서브 돌기(32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서브 바이저(300)와 메인 바이저(20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메인 결합 홈(220)은 메인 바이저(200)가 바이저 결합 부재(40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메인 결합 홈(220)은 메인 바디(210)의 모서리에서 함몰 형성되어, 바이저 결합 부재(400)에 구비되는 메인 결합 돌기(410)가 삽입될 수 있다.
메인 결합 홈(220)은 메인 바디(210)의 모서리 중 바이저 결합 부재(400)를 향하는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결합 홈(220)은 폭 방향의 단부 중 바이저 결합 부재(400)를 향하는 모서리, 즉 후방의 하측 모서리에 위치된다.
메인 결합 홈(220)은 복수 개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메인 결합 홈(220)은 각각 서로 다른 바이저 결합 부재(400)와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결합 홈(220)은 메인 바디(210)의 후방의 하측의 좌측 및 우측 단부에 각각 위치된다.
메인 결합 홈(220)은 메인 결합 돌기(41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결합 홈(220)은 직선 형태로 소정의 길이만큼 함몰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결합 홈(220)은 제1 메인 결합 홈(221) 및 제2 메인 결합 홈(222)을 포함한다.
제1 메인 결합 홈(221)은 복수 개의 메인 결합 돌기(410) 중 어느 하나의 메인 결합 돌기(410)를 인출 가능하게 수용한다. 제1 메인 결합 홈(221)은 메인 바디(210)의 후방의 하측 모서리 중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일 모서리에 함몰 형성된다.
제1 메인 결합 홈(221)에 인접하게 제2 메인 결합 홈(222)이 위치된다.
제2 메인 결합 홈(222)은 복수 개의 메인 결합 돌기(410) 중 다른 하나의 메인 결합 돌기(410)를 인출 가능하게 수용한다. 제2 메인 결합 홈(222)은 메인 바디(210)의 후방의 하측 모서리 중 전후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타 모서리에 함몰 형성된다.
제1 메인 결합 홈(221) 및 제2 메인 결합 홈(222)이 함몰되는 방향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바이저(200)와 바이저 결합 부재(400)가 서로 다른 방향에서 지지, 결합되어, 메인 바이저(200)와 바이저 결합 부재(400) 간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면 부호가 부여되지는 않았으나, 메인 바디(210)의 제2 부분(212)의 단부에, 메인 결합 홈(220)에 인접하게 메인 결합공이 구비될 수 있다. 메인 결합 공(도면 부호 미부여)에는 바이저 결합 부재(400)의 서브 결합 돌기(42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바이저(200)가 서브 바이저(3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메인 지지 돌기(230)는 메인 바이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서브 바이저(300)의 회전 거리를 제한한다. 메인 지지 돌기(230)에 의해, 서브 바이저(300)가 메인 바이저(200)에 대해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회전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메인 지지 돌기(230)는 메인 바디(210)의 제2 부분(212)에 형성된다. 메인 지지 돌기(230)는 제2 부분(212)의 면 중 수용 공간(110)을 향하는 일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면에서 서브 바이저(300)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메인 지지 돌기(230)는 메인 바디(210)의 높이 방향의 단부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지지 돌기(230)는 제2 부분(212)의 높이 방향의 일 단부, 즉 하측 단부에 위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메인 지지 돌기(230)는 제1 부분(211)에 반대되는 일 측 단부에 위치된다.
메인 지지 돌기(230)는 서브 바이저(300)의 높이 방향의 각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 및 하측 단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서브 바이저(300)의 회전에 따라, 메인 지지 돌기(230)는 서브 돌기(320)에 인접하게 위치되거나 이격될 수 있다.
메인 지지 돌기(230)는 제2 부분(212)의 연장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부분(212)이 형성되는 메인 바디(210)는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바, 메인 지지 돌기(230) 또한 그 단면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메인 지지 돌기(230)는 서브 바이저(300)의 제1 서브 돌기(321) 및 제2 서브 돌기(322) 중 어느 하나가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서브 바이저(300)가 회전됨에 따라, 메인 지지 돌기(230)는 한 쌍의 제1 서브 돌기(32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또는 제2 서브 돌기(322)와 파지 돌기(34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다.
즉,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1 위치(P1), 즉 서브 바이저(300)가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이 최소인 상태에서, 메인 지지 돌기(230)는 제2 서브 돌기(322)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상태에서, 메인 지지 돌기(230)는 제2 서브 돌기(322)와 파지 돌기(34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된다.
또한, 제2 위치(P2), 즉 서브 바이저(300)가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이 최대인 상태에서, 메인 지지 돌기(230)는 제1 서브 돌기(321)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상태에서, 메인 지지 돌기(230)는 한 쌍의 제1 서브 돌기(321)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된다.
특히, 제2 위치(P2)에서, 메인 지지 돌기(230)는 한 쌍의 제1 서브 돌기(321) 중 상측에 위치되는 제1 서브 돌기(321)를 지지하여, 서브 바이저(300)의 회전 거리가 제한되고, 서브 바이저(300)의 임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메인 지지 공간(240)은 메인 바디(210)의 제2 부분(212)과 서브 바이저(30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다. 달리 표현하면, 메인 지지 공간(240)은 제2 부분(212)의 면 중 수용 공간(110)을 향하는 면, 즉 내면 중 제2 부분(212)의 높이 방향의 각 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메인 지지 공간(240)은 서브 바이저(300)의 서브 돌기(320)가 이동되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서브 돌기(320)는 서브 바이저(300)와 함께 회전되어, 메인 지지 공간(240)의 연장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위치(P1)에서, 메인 지지 공간(240)은 서브 바이저(300)의 서브 바디(310)에 부분적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즉,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지지 공간(240)의 전방 측은 제2 부분(212)의 내측 면에, 후방 측은 서브 바디(310)의 전방 측 면에 둘러싸인다.
따라서, 메인 지지 공간(240)을 사이에 두고 제2 부분(212)의 내측 면 및 서브 바디(310)의 전방 측 면이 서로 이격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제2 위치(P2)에서, 메인 지지 공간(240)은 수용 공간(110)과 연통되되 그 하측이 서브 바디(310)에 부분적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는 서브 바이저(300)를 포함한다.
서브 바이저(300)는 메인 바이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주행 중 전방 측의 외기를 차단하는 면적을 가변시키게 구성된다. 즉, 달리 표현하면, 서브 바이저(300)는 메인 바이저(200)의 기능을 확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서브 바이저(300)는 메인 바이저(200)보다 작은 표면적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서브 바이저(300)는 그 일부 또는 전부가 메인 바이저(200)에 덮이게(혹은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서브 바이저(300)는 메인 바이저(200)의 제2 부분(212)에 수용된 제1 위치(P1) 및 제2 부분(212)에서 노출된 제2 위치(P2)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다(도 7 내지 도 8 참조). 이에, 제1 위치(P1)는 서브 바이저(300)가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이 최소인 상태, 제2 위치(P2)는 서브 바이저(300)가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이 최대인 상태로 정의될 수 있을 것이다.
서브 바이저(300)는 메인 바이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서브 바이저(300)는 바이저 결합 부재(400)를 매개로 하여 메인 바이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을 기준으로, 서브 바이저(30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상태는, 서브 바이저(300)가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이 최소인 제1 위치(P1)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위치(P1)에서, 서브 바이저(300)와 메인 바이저(200)가 겹쳐지는 면적은 최대가 됨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을 기준으로, 서브 바이저(300)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상태는, 서브 바이저(300)가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이 최대인 제2 위치(P2)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위치(P2)에서, 서브 바이저(300)와 메인 바이저(200)가 겹쳐지는 면적은 최소가 됨이 이해될 것이다. 즉, 서브 바이저(300)의 회전에 의해, 수용 공간(110)이 메인 바이저(200) 또는 서브 바이저(300)에 의해 덮이는 면적이 조정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바이저(300)는 서브 바디(310), 서브 돌기(320), 서브 결합부(330) 및 파지 돌기(340)를 포함한다.
서브 바디(310)는 서브 바이저(300)의 몸체를 형성한다. 서브 바디(310)는 수용 공간(110)의 부분 중 개방된 부분,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서브 바디(310)는 외부 프레임(10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바디(310)는 수용 공간(110)의 외측을 향해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고, 수용 공간(110)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서브 바디(310)는 소정의 높이를 갖게 형성된다. 즉, 서브 바디(310)는 서브 바이저(300)의 회전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소정의 높이를 갖게 형성된다.
달리 표현하면, 서브 바디(310)의 수평 방향의 단면은 그 중심이 수용 공간(110)에 위치되고, 수용 공간(110)의 폭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원호 형상이다. 이때, 서브 바디(310)는 수용 공간(110)의 높이 방향, 즉 상하 방향의 폭이 그 연장 방향의 단부, 즉 좌우 방향의 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감소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서브 바디(310)는 수용 공간(110)의 높이 방향 및 폭 방향 모두를 따라 각각 연장 형성된 곡면 형상임이 이해될 것이다.
이때, 서브 바디(310)의 높이는 메인 바이저(200)의 제2 부분(212)의 높이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위치(P1)에서, 서브 바디(310)는 제2 부분(212)과 겹쳐져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다.
서브 돌기(320)는 서브 바이저(300)의 회전에 따라 메인 바이저(200)의 메인 지지 돌기(230)와 결합되거나 이격된다. 상기 결합 및 이격에 의해, 서브 바이저(300)의 회전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서브 돌기(320)는 서브 바디(310)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서브 돌기(320)는 서브 바디(310)의 면 중 메인 바이저(200)의 제2 부분(212)을 향하는 일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면에서 돌출 형성된다.
서브 돌기(320)는 서브 바디(310)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돌기(320)는 그 중심이 수용 공간(110)에 위치되는,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갖게 형성된다.
서브 돌기(320)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서브 돌기(320)는 서브 바디(310)의 높이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위치(P1)에서 복수 개의 서브 돌기(320) 중 어느 하나의 서브 돌기(320)가 메인 지지 돌기(230)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2 위치(P2)에서 복수 개의 서브 돌기(320) 중 다른 하나의 서브 돌기(320)가 메인 지지 돌기(230)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서브 돌기(320)는 서브 바이저(300)의 이동에 따라 메인 지지 돌기(230)와 접촉되거나 이격될 수 있다. 후술될 바와 같이, 서브 돌기(32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는 바, 서브 바이저(300)의 이동에 의해 복수 개의 서브 돌기(320) 중 어느 한 개의 서브 돌기(320)가 메인 지지 돌기(230)와 이격됨이 이해될 것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돌기(320)는 서브 바디(310)의 높이 방향의 일 단부, 즉 상측 단부에 위치되는 제1 서브 돌기(321) 및 타 단부, 즉 하측 단부에 위치되는 제2 서브 돌기(322)를 포함한다.
제1 서브 돌기(321)는 서브 바디(310)의 상측에 위치되어, 제1 위치(P1)에서 메인 지지 돌기(230)와 이격된다. 또한, 서브 바이저(300)가 하측으로 회전되어 제2 위치(P2)가 형성되면, 제1 서브 돌기(321)는 메인 지지 돌기(230)와 접촉된다. 이에 따라, 서브 바이저(300)의 하측으로의 이동 거리가 제한된다. 결과적으로, 서브 바이저(300)가 메인 바이저(200)의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이 제한될 수 있다.
제1 서브 돌기(321)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서브 돌기(321)는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서브 돌기(321)는 한 쌍 구비되어, 한 쌍의 제1 서브 돌기(321)는 서브 바디(310)의 높이 방향, 즉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2 위치(P2)에서, 한 쌍의 제1 서브 돌기(321)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메인 지지 돌기(230)가 삽입된다. 이에 따라, 서브 바이저(300)의 하측으로의 추가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제2 서브 돌기(323)는 서브 바디(310)의 하측에 위치되어, 제1 위치(P1)에서 메인 지지 돌기(230)와 접촉된다. 이에 따라, 서브 바이저(300)의 상측으로의 이동 거리가 제한된다. 결과적으로, 서브 바이저(300)가 메인 바이저(200)와 겹쳐지는 면적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서브 바이저(300)가 하측으로 회전되어 제2 위치(P2)가 형성되면, 제2 서브 돌기(322)는 메인 지지 돌기(230)와 이격되어 메인 바이저(200)의 외부로 노출된다.
제2 서브 돌기(322)는 파지 돌기(34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때, 제2 서브 돌기(322)는 파지 돌기(340)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그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제1 위치(P1)에서, 상기 공간에는 메인 지지 돌기(230)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제1 서브 돌기(321) 및 제2 서브 돌기(322)는 서브 바이저(300)의 이동 방향을 따라 메인 지지 돌기(230)와 부분적으로 겹쳐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서브 돌기(321) 및 제2 서브 돌기(322)와 메인 지지 돌기(230)의 접촉 및 이격은 끼움 결합 및 탈거의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착용자가 소정의 크기 이상의 외력을 인가하지 않는 한, 제1 서브 돌기(321) 및 제2 서브 돌기(322)는 메인 지지 돌기(230)와 임의로 이격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서브 바이저(300)와 메인 바이저(200)의 상대적인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서브 결합부(330)는 서브 바이저(300)가 바이저 결합 부재(400) 및 바이저 결합 부재(400)를 통해 메인 바이저(20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서브 결합부(330)는 서브 바디(310)의 모서리 중 바이저 결합 부재(400)를 향하는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결합부(330)는 폭 방향의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서브 결합부(330)는 바이저 결합 부재(400)를 향하는 일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서브 결합부(330)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서브 결합부(330)는 각각 서로 다른 바이저 결합 부재(400)와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결합부(330)는 서브 바디(310)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각각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결합부(330)는 서브 모서리(331) 및 서브 결합공(332)을 포함한다.
서브 모서리(331)는 서브 바디(310)의 모서리의 일부를 형성한다. 서브 모서리(331)는 바이저 결합 부재(400)의 제한 모서리(430)를 향하는 일 모서리로 정의될 수 있다. 서브 모서리(331)는 서브 바이저(300)의 회전에 따라 바이저 결합 부재(400)의 제한 모서리(430)와 접촉되거나 이격된다.
구체적으로, 제1 위치(P1)에서, 서브 모서리(331)는 제한 모서리(430)와 이격된다. 제2 위치(P2)에서, 서브 모서리(331)는 제한 모서리(430)와 접촉된다. 후술될 바와 같이, 바이저 결합 부재(400)와 메인 바이저(200)는 상대적인 이동이 제한되게 결합된다.
따라서, 서브 바이저(300)가 메인 바이저(20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됨에 따라, 서브 바이저(300)는 바이저 결합 부재(400)에 대해서도 상대적으로 회전된다. 이때, 서브 모서리(331)가 제한 모서리(430)와 접촉되어, 서브 바이저(300)의 회전 거리 또는 회전 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서브 결합공(332)은 서브 바이저(300)가 바이저 결합 부재(40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서브 결합공(332)은 서브 바디(310)에 관통 형성되어, 바이저 결합 부재(400)의 서브 결합 돌기(420)가 결합될 수 있다.
서브 결합공(332)은 서브 바이저(300)와 바이저 결합 부재(40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임의의 구조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결합공(332)은 원형의 단면을 갖게 형성된다.
파지 돌기(340)는 외부로 노출되어, 착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부분이다. 파지 돌기(340)는 제1 위치(P1) 또는 제2 위치(P2)와 무관하게 메인 바이저(20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에, 착용자는 서브 바이저(300)의 위치와 무관하게 서브 바이저(300)를 회전 조작할 수 있다.
파지 돌기(340)는 서브 바디(310)의 높이 방향의 타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와 연속된다. 달리 표현하면, 파지 돌기(340)는 서브 바이저(300)의 하측 단부를 형성한다.
파지 돌기(340)는 서브 바디(310)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경사지게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파지 돌기(340)는 서브 바디(310)가 연장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연장된다. 즉, 도 7 내지 도 8을 더 참조하면, 파지 돌기(340)는 전방의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다. 달리 표현하면, 파지 돌기(340)는 서브 바디(310)의 높이 방향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에서 메인 지지 돌기(230)에 멀어지는 바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파지 돌기(340)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는 메인 바디(210)의 면 중 수용 공간(110)에 반대되는 타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면에 비해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육안으로 식별하지 않고도 촉각을 통해 파지 돌기(340)의 위치를 용이하게 인지하고, 파지 돌기(340)를 조작하여 서브 바이저(300)의 회전을 수행할 수 있다.
후술될 바와 같이, 제1 위치(P1)에서, 파지 돌기(340)의 연장 방향의 타 단부는 메인 지지 돌기(230)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접촉에 의해, 서브 바이저(300)가 메인 바이저(200)에 겹쳐지는 방향의 이동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파지 돌기(340)와 제2 서브 돌기(322)는 서로 이격 배치되어, 그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제1 위치(P1)에서, 메인 지지 돌기(230)는 파지 돌기(340)와 제2 서브 돌기(322)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는 바이저 결합 부재(400)를 포함한다.
바이저 결합 부재(400)는 서브 바이저(3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바이저 결합 부재(400)는 메인 바이저(200)와 결합된다. 따라서, 바이저 결합 부재(400)는 서브 바이저(300)를 메인 바이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킨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바이저 결합 부재(400)는 메인 바이저(20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바이저 결합 부재(400)는 메인 바이저(200)의 메인 결합 홈(220)에 삽입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결합 홈(220)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메인 결합 홈(221) 및 제2 메인 결합 홈(222)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바이저 결합 부재(400)와 메인 바이저(200)는 상대적인 회전이 제한되게 결합될 수 있다.
바이저 결합 부재(400)는 서브 바이저(30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바이저 결합 부재(400)는 서브 바이저(300)의 서브 결합부(3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바이저 결합 부재(400)에 의해 서브 바이저(300)의 회전 거리가 제한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바이저 결합 부재(40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바이저 결합 부재(400)는 복수 개의 메인 결합 홈(220) 및 서브 결합부(330)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바이저 결합 부재(400)는 두 개 구비되어, 좌측 및 우측에 위치되는 메인 결합 홈(220) 및 서브 결합부(330)와 각각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바이저 결합 부재(400)가 별도로 구비되어 메인 바이저(200)와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대안적으로, 바이저 결합 부재(400)는 메인 바이저(200)와 결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바이저 결합 부재(400)는 메인 바이저(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바이저 결합 부재(400)는 메인 결합 돌기(410), 서브 결합 돌기(420) 및 제한 모서리(430)를 포함한다.
메인 결합 돌기(410)는 바이저 결합 부재(400)가 메인 바이저(20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메인 결합 돌기(410)는 메인 바이저(200)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메인 결합 돌기(410)는 메인 결합 홈(220)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메인 결합 돌기(410)는 메인 결합 홈(220)에 삽입 결합된다. 이를 위해, 메인 결합 돌기(410)는 메인 결합 홈(220)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 결합 홈(220)은 메인 바디(210)의 모서리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바, 메인 결합 돌기(410) 또한 메인 결합 홈(2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메인 결합 돌기(41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메인 결합 돌기(410)는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복수 개의 메인 결합 홈(220)과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결합 홈(220)의 개수와 같이 두 개 구비되어, 각각 제1 메인 결합 홈(221) 및 제2 메인 결합 홈(222)에 삽입 결합된다.
서브 결합 돌기(420)는 바이저 결합 부재(400)에 서브 바이저(3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이다. 서브 결합 돌기(420)는 서브 바이저(300)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서브 결합 돌기(420)는 서브 결합공(332)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서브 결합 돌기(420)는 서브 결합공(332)에 관통 결합된다. 서브 결합 돌기(420)는 서브 결합공(332)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결합 돌기(420)는 서브 결합공(332)과 같은 형상, 즉 원형의 단면을 갖고 서브 바이저(300)를 향해 연장 형성된 원통 형상이다.
서브 결합 돌기(420)는 상술한 메인 결합공(도면 부호 미부여)과 결합된다. 이때, 메인 결합 돌기(410)가 메인 결합 홈(220)과 결합되어, 바이저 결합 부재(400)와 메인 바이저(200)의 상대적인 회전이 방지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에 따라, 서브 결합 돌기(420)는 메인 바이저(200)에 상대적으로 고정되되, 서브 바이저(3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한 모서리(430)는 서브 바이저(300)의 회전에 따라 서브 모서리(331)와 접촉되거나 이격된다. 제한 모서리(430)와 서브 모서리(331)의 접촉에 의해, 서브 바이저(300)의 하측으로의 회전 거리 또는 회전 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제한 모서리(430)는 바이저 결합 부재(400)의 일 모서리를 형성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한 모서리(430)는 서브 바이저(300)의 서브 모서리(331)를 마주하는 방향의 모서리를 형성한다.
제한 모서리(430)는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한 모서리(430)는 서브 바이저(300)가 제2 위치(P2)로 회전되었을 때, 서브 모서리(331)와 평행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한 모서리(430)는 서브 모서리(331)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서브 바이저(300)의 회전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의 작동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서브 바이저(300)가 제1 위치(P1)에 위치된 상태가 도시된다. 제1 위치(P1)에서, 서브 바이저(300)는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이 최소가 된다. 이에 따라, 제1 위치(P1)에서 서브 바이저(300)가 메인 바이저(200), 구체적으로 제2 부분(212)과 겹쳐지는 면적은 최대가 된다.
도 7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상측의 제1 서브 돌기(321)는 메인 지지 돌기(230)와 이격되어 제2 부분(212)의 상측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또한, 하측의 제2 서브 돌기(322)와 파지 돌기(34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메인 지지 돌기(230)가 끼움 결합된다.
상기 상태에서, 서브 모서리(331)와 제한 모서리(430)는 서로 이격되어, 서브 바이저(300)가 메인 바이저(200)에 반대되는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는 유격이 형성됨이 이해될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서브 바이저(300)가 제2 위치(P2)에 위치된 상태가 도시된다. 제2 위치(P2)에서, 서브 바이저(300)는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이 최대가 된다. 이에 따라, 제2 위치(P2)에서 서브 바이저(300)가 메인 바이저(200), 구체적으로 제2 부분(212)과 겹쳐지는 면적은 최소가 된다.
도 8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상측의 제1 서브 돌기(321)는 메인 지지 돌기(23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서브 돌기(321)가 한 쌍 구비되는 실시 예에서, 메인 지지 돌기(230)는 한 쌍의 제1 서브 돌기(321)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공간에 끼움 결합된다.
상기 상태에서, 서브 모서리(331)와 제한 모서리(430)는 서로 접촉되어, 서브 바이저(300)가 하측으로 추가 이동되지 않게 된다.
이하,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에 의해 형성되는 외기의 유동(F)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서브 바이저(300)가 제1 위치(P1)에 위치된 상태가 도시된다. 제1 위치(P1)에서, 서브 바이저(300)의 노출 면적이 최소가 되어, 대부분의 외기는 메인 바이저(200)와 충돌 후 유동된다.
제1 위치(P1)에서, 메인 바이저(200) 및 서브 바이저(300)의 하측 부분에서의 외기의 유동(F)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방 측의 외기는 메인 바이저(200)를 따라 하측으로 유동된다. 이때, 서브 바이저(300)는 제1 위치(P1)에 위치되는 바, 외부에 노출되는 면적이 최소가 된다.
외기의 유동(F)은 서브 바이저(300)의 하측 단부에 위치되는 파지 돌기(340)를 지나 후방 측으로 진행된다. 서브 바이저(300)를 통과한 외기의 유동(F) 중 일부는 후방의 상측으로 진행된다.
이때, 파지 돌기(340)는 메인 바이저(200)에 인접하게 위치되므로, 외기의 유동(F) 중 상기 일부는 수용 공간(110)이 개방 형성된 하측으로 진행된다.
이에 따라, 외기의 일부가 수용 공간(110)으로 유입되어, 주행 소음을 유발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수용 공간(110)에 유입된 외기의 일부는 착용자의 눈으로 유입되어 눈 시림 등을 유발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서브 바이저(300)가 제2 위치(P2)에 위치된 상태가 도시된다. 제2 위치(P2)에서, 서브 바이저(300)의 노출 면적이 최대가 되어 외기의 일부는 메인 바이저(200)와, 외기의 다른 일부는 서브 바이저(300)와 충돌 후 유동된다.
제2 위치(P2)에서, 메인 바이저(200) 및 서브 바이저(300)의 하측 부분에서의 외기의 유동(F)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방 측의 외기는 메인 바이저(200)를 따라 하측으로 유동된다. 이때, 서브 바이저(300)는 제2 위치(P2)에 위치되는 바, 외부에 노출되는 면적이 최대가 된다.
외기의 유동(F)은 서브 바이저(300)의 하측 단부에 위치되는 파지 돌기(340)를 지나 후방 측으로 진행된다. 서브 바이저(300)를 통과한 외기의 유동(F) 중 일부는 후방의 상측으로 진행된다.
이때, 파지 돌기(340)는 메인 바이저(200)와 최대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따라서, 외기의 유동(F) 중 상기 일부가 수용 공간(110)으로 연장되기 위해 진행되어야 하는 거리가 증가된다. 상기 거리의 증가에 따라, 수용 공간(110)을 향해 진행되는 외기의 유동(F)에 대한 저항이 증가되어, 대부분의 외기는 수용 공간(110)으로 진입되지 않게 된다.
결과적으로, 수용 공간(110)으로 유입되는 외기의 양이 최소화되어 주행 소음 및 유입된 외기에 의한 눈 시림 등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는 메인 바이저(200) 및 메인 바이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 바이저(300)를 포함한다. 서브 바이저(300)는 외부의 조작에 의해 메인 바이저(200)에 겹쳐지게 배치되거나, 메인 바이저(200)에서 노출되게 배치되어 바이저 전체의 면적이 가변될 수 있다.
서브 바이저(300)가 제2 위치(P2) 즉,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이 최대로 유지될 경우, 메인 바이저(200) 및 서브 바이저(300)를 따라 후방 측으로 유동되는 외기 중 상측으로 유동되는 외기의 유량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두부 보호 장비(10)의 내부, 즉 수용 공간(110)으로 유입되는 외기의 양 또한 최소화되어, 유입된 외기에 의해 발생되는 주행 소음이 최소화될 수 있다. 더불어, 사용자의 안구로 유입되는 외기의 양 역시 최소화되어, 눈 시림 등이 방지될 수 있다.
서브 바이저(300)가 회전 가능하게 메인 바이저(200)에 결합됨에 따라, 별도의 추가 부재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메인 바이저(200) 및 서브 바이저(300) 전체의 면적이 가변될 수 있다.
서브 바이저(300)의 하측 단부에 구비되는 파지 돌기(340)는 메인 바이저(20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착용자는 파지 돌기(340)를 회전시켜 바이저의 전체 면적을 용이하게 가변할 수 있다.
서브 바이저(300)는 바이저 결합 부재(400)의 서브 결합 돌기(420)에 의해 메인 바이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서브 바이저(300)는 메인 바이저(200)의 메인 지지 돌기(230) 및 바이저 결합 부재(400)의 제한 모서리(430)에 의해 회전 거리 또는 회전 각도가 제한된다. 더 나아가, 서브 바이저(300)는 메인 지지 돌기(230)와 결합되거나 제한 모서리(430)에 지지되어, 회전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두부 보호 장비 100: 외부 프레임
110: 수용 공간 200: 메인 바이저
210: 메인 바디 211: 제1 부분
212: 제2 부분 220: 메인 결합 홈
221: 제1 메인 결합 홈 222: 제2 메인 결합 홈
230: 메인 지지 돌기 240: 메인 지지 공간
300: 서브 바이저 310: 서브 바디
320: 서브 돌기 321: 제1 서브 돌기
322: 제2 서브 돌기 330: 서브 결합부
331: 서브 모서리 332: 서브 결합공
340: 파지 돌기 400: 바이저 결합 부재
410: 메인 결합 돌기 420: 서브 결합 돌기
430: 제한 모서리 P1: 제1 위치
P2: 제2 위치

Claims (15)

  1.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외부 프레임;
    상기 수용 공간의 일 부분을 덮으며 상기 외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 바이저; 및
    상기 수용 공간의 다른 부분을 덮으며 상기 메인 바이저를 향하는 일 방향 및 그에 반대되는 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메인 바이저에 결합되는 서브 바이저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바이저는,
    외측으로 노출되는 면적이 최소가 되는 제1 위치; 및
    외측으로 노출되는 면적이 최대가 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수용 공간 중 상기 메인 바이저 및 상기 서브 바이저에 의해 덮이는 면적이 조정되게 구성되고,
    상기 메인 바이저는,
    상기 수용 공간을 둘러싸며 연장되고, 상기 메인 바이저의 회전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메인 바디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바이저의 표면적은, 상기 메인 바이저의 표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
    두부 보호 장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이저 및 상기 서브 바이저와 각각 결합되어, 상기 서브 바이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바이저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저 결합 부재는,
    상기 서브 바이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서브 바이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 결합 돌기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바이저는,
    상기 바이저 결합 부재를 향하는 일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그 내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서브 결합 돌기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 결합공을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저 결합 부재는,
    상기 서브 바이저를 향하는 일 모서리를 형성하며, 상기 서브 바이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서브 바이저와 접촉되어 상기 서브 바이저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게 구성되는 제한 모서리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바이저는,
    상기 바이저 결합 부재를 향하는 일 모서리를 형성하며, 상기 제한 모서리를 마주하게 배치되는 서브 모서리를 포함하며,
    상기 서브 바이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서브 모서리와 상기 제한 모서리가 이격되고,
    상기 서브 바이저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서브 모서리와 상기 제한 모서리가 접촉되어, 상기 서브 바이저의 회전이 제한되게 구성되는,
    두부 보호 장비.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메인 바디의 일 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 공간을 단독으로 덮는 제1 부분; 및
    상기 메인 바디의 다른 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제1 부분과 연속되고, 상기 제1 위치의 상기 서브 바이저와 겹쳐지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의 두께는, 상기 제1 부분의 두께 이하로 형성되는,
    두부 보호 장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이저는,
    상기 제2 부분의 단부에서 상기 서브 바이저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메인 지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지지 돌기는,
    상기 서브 바이저의 상측 단부 및 상기 서브 바이저의 하측 단부 사이에 위치되는,
    두부 보호 장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바이저는,
    상기 서브 바이저의 회전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서브 바디; 및
    상기 서브 바디에서 상기 메인 바이저를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서브 바이저의 이동에 의해 상기 메인 지지 돌기와 접촉되거나 이격되는 서브 돌기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돌기는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서브 바이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되면, 복수 개의 상기 서브 돌기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메인 지지 돌기와 이격되게 위치되고,
    상기 서브 바이저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되면, 복수 개의 상기 서브 돌기 중 상기 어느 하나가 상기 메인 지지 돌기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두부 보호 장비.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바디의 일 단부에서 상기 메인 지지 돌기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그 연장 방향의 단부가 상기 메인 바이저의 외측에 위치되는 파지 돌기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바이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파지 돌기는 상기 메인 지지 돌기와 접촉되고,
    상기 서브 바이저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파지 돌기는 상기 메인 지지 돌기와 이격되는,
    두부 보호 장비.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돌기는, 상기 서브 바디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두부 보호 장비.
KR1020220052614A 2022-04-28 2022-04-28 두부 보호 장비 KR102604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614A KR102604970B1 (ko) 2022-04-28 2022-04-28 두부 보호 장비
PCT/KR2023/004277 WO2023210987A1 (ko) 2022-04-28 2023-03-30 두부 보호 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614A KR102604970B1 (ko) 2022-04-28 2022-04-28 두부 보호 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2988A KR20230152988A (ko) 2023-11-06
KR102604970B1 true KR102604970B1 (ko) 2023-11-23

Family

ID=88519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2614A KR102604970B1 (ko) 2022-04-28 2022-04-28 두부 보호 장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04970B1 (ko)
WO (1) WO202321098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91185A1 (en) * 2010-02-19 2012-11-22 Msa Gallet Protective helme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08976B1 (fr) * 2000-05-22 2002-08-16 Gallet Sa Casque de protection et ses moyens de connexion d'un accessoire
FR2817713B1 (fr) * 2000-12-12 2003-11-28 Thomson Csf Casque a visieres escamotables a reconfiguration rapide jour/nuit
JP2011017093A (ja) * 2009-07-07 2011-01-27 Meiwa Kosan Kk 防災面付き保護帽
KR101795452B1 (ko) 2016-03-17 2017-11-10 주식회사 기도스포츠 타입 가변형 헬멧
US10869521B2 (en) * 2016-10-14 2020-12-22 Kido Sports Co., Ltd. Helmet
KR20190014960A (ko) 2017-08-04 2019-02-13 (주)바이오융합기술 헬멧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91185A1 (en) * 2010-02-19 2012-11-22 Msa Gallet Protective helm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10987A1 (ko) 2023-11-02
KR20230152988A (ko) 202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7781B2 (en) Sports face guard
AU2002345220B2 (en) Protective headgear
US7555788B2 (en) Integral helmet
US5483699A (en) Face shield with chin contacting element
US11160323B2 (en) Visor carrier assembly
AU2002345220A1 (en) Protective headgear
US5619754A (en) Protective cap with reversible headband
CN104093332A (zh) 保护头盔和屏幕
CN102281782A (zh) 安全帽
JP2008516095A (ja) 保護ヘルメット
KR102604970B1 (ko) 두부 보호 장비
JP4531305B2 (ja) 顔面保護板付ヘルメット
JP2001003220A (ja) ヘルメット
JP2011017093A (ja) 防災面付き保護帽
KR102627598B1 (ko) 두부 보호 장비
JP6417069B1 (ja) ヘルメット
KR100672807B1 (ko) 풀페이스 헬멧
KR102627599B1 (ko) 두부 보호 장비
WO2024218266A1 (en) Protecting device for protecting the front of the head of a welder
EP0953300B1 (en) Protective helmet for vehicle drivers
CA1130502A (en) Crash-helmet
KR20220170155A (ko) 통풍 기능을 갖는 헬멧
EP0741526B1 (en) Face shield with chin contacting element
JP2010163726A (ja) 保護帽
KR19980035027U (ko) 귀덮개가 구비된 안전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