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214690A1 - 두부 보호 장비 - Google Patents

두부 보호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214690A1
WO2023214690A1 PCT/KR2023/004283 KR2023004283W WO2023214690A1 WO 2023214690 A1 WO2023214690 A1 WO 2023214690A1 KR 2023004283 W KR2023004283 W KR 2023004283W WO 2023214690 A1 WO2023214690 A1 WO 202321469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djustment
coupled
visor
sub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0428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윤만근
이창섭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제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제이씨 filed Critical (주)에이치제이씨
Publication of WO202321469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21469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1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 A42B3/222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in an articulated manner, e.g. hing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head protection equipment, and more specifically, to head protection equipment with a structure in which the member can be easily manipulated to block or reduce external light, etc.
  • Head protection equipment commonly referred to as a helmet, is used to protect the wearer's head.
  • Head protection equipment may have a space formed therein to accommodate the wearer's head.
  • head protection equipment In order to safely protect the received head, head protection equipment is generally formed to surround the head from the outside. Accordingly,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is blocked between the space of the head protection equipment and the head of the accommodated wearer.
  • Head protection equipment is provided with a member called a visor.
  • the visor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a wearer wearing head protection can visually identify the front side.
  • the visor prevents external air from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head protection equipment when driving, thereby protecting the wearer's eyes.
  • the provided visor that is, the visor provided to block the inflow of external air, and the additional visor may be rota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the additional visor is generally located inside the visor to block the inflow of external air. Therefore, in order for the wearer to manipulate the position of the additional visor,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first manipulate the visor to block the inflow of external air.
  •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Document No. 20-0439851 discloses a sun visor for a motorcycle helmet. Specifically, a sun visor rotatably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safety glasses provided on a helmet is disclosed.
  • the sun visor for a motorcycle helmet disclosed in the above prior literature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provided safety glasses. Therefore, there is a risk that the sun visor may be easily damaged by external foreign substances while driving.
  • the sun visor disclosed in the above prior literature is coupled to the helmet by magnetic force. Therefore, there is a risk that the stability of the combination between the sun visor and the helmet may be reduced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combination is mechanical.
  • Korean Patent Document No. 10-2040534 discloses a shield for a helmet. Specifically, a shield for a helmet including a sun visor provided on the shield and rotatable about a rotation center different from that of the shield is disclosed.
  • the sun visor is also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shield. Therefore, there is a risk that the sun visor may be easily damaged by external foreign substances while driving.
  • the shield and the sun visor are coupled to the same member. Therefore, as the shield and sun visor rotate repeatedly, there is a risk that the members supporting them may be easily damaged.
  • the sun visor disclosed in the above prior literature is moved by directly being held and pressed or pulled by the wearer.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rule out the possibility that not only the sun visor but also the shield located inside the sun visor may be moved against the wearer's int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head protection equipment with a structur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member can be easily manipulated to block or reduce external ligh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head protection equipment with a structure in which the member can be easily moved to a preset position.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head protection equipment with a structure in which the preset position can be easily adjusted.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head protection equipment with a structure in which the member can be moved stably and reliably.
  • an external frame having an open frame opening on the front side; a sub-visor that partially covers the front side of the external frame and is movably coupled to the external frame; Support member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external frame and the sub-visor to movably support the sub-visor; and a movable member movably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and coupled to the sub-visor to be movable together with the sub-visor, wherein the movable member allows the sub-visor to open the frame opening. location; and a second position wherein the sub-visor at least partially covers the frame opening.
  • the support member includes a support body extending in one direction; and a movement groove formed through the inside of the support body and extending between each end in an extension direction of the support body, to which the movement member is movably coupled.
  • Head protection equipment may be provided.
  • the moving groove includes a first extension portion having a center at one of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and extending at a predetermined first curvature;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that is continuous with the first extension portion, has a center on the other of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and extends at a predetermined second curvature.
  • head protection equipment may be provided in which the first curvature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and the second curvature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 head protection equipment may be provided in which the first curvature of the first extension is formed to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curvature of the second extension.
  • head protection equipment may be provided in which one of the first curvature of the first extension and the second curvature of the second extension is zero.
  • the moving grooves each form a part thereof and include a plurality of extension parts that are continuous with each other, and a pair of the extension parts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extension part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mong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 Head protection equipment may be provided, each centered on the sides and extending at different curvatures.
  • the support member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moving groove, extends between each end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upport body, and includes a guide portion configured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coupled moving member, head protection equipment. may be provided.
  • the guide portion includes a guide groove formed through the inside of the support body; and a guide edge that covers the guide groove from the outside, extends along the guide groove, and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coupled moving member.
  • Head protection equipment may be provided.
  • the moving member includes a visor coupling portion to which the sub-visor is coupled; and a guide protrusion that protrudes toward the support member and is movably coupled to a guide groove of the support member.
  • the movable member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uide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support member, and includes a movable protrusion movably coupled to a movable groove formed through the interior of the support member. may be provided.
  • an adjustment member is movably provided on the external frame and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member and the moving member;
  • head protection equipment can be provided, including a wire that i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adjustment member and the moving member and is moved together.
  • the adjustment member may include a multi-stage adjustment portion coupled to the external frame so as to be movable along a predetermined path in one direction; and a movable adjustment unit coupled to the external frame and the wire so as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toward an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ulti-stage adjustment unit along other directions.
  • Head protection equipment may be provided.
  • the multi-stage adjustment unit is located in a first state adjacent to one end of the predetermined path and spaced apart from the movement adjustment unit; a second state positioned between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predetermined path and in contact with the movement adjusting unit; and a third state positioned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predetermined path and in contact with the movement adjustment unit.
  • the multi-stage adjusting part may include a first adjusting end that protrudes in the one direction and contacts the moving adjusting part in the second state; and a second adjustment end that is continuous with the first adjustment end and is in contact with the movable adjustment portion in the third state.
  • head protection equipment may be provided in which the moving member is moved to the first position.
  • the position of the member for blocking or reducing external light, etc. in the head prote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anipulated.
  • the member of the head protection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ved to a preset position.
  • the preset position of the head prote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djusted.
  • the member of the head protection equipm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ved stably and reliably.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head protection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ead protection equipment of FIG. 1.
  •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bvisor, support member, moving member, and adjustment member provided in the head protection equipment of FIG. 1.
  •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a support member and a moving member provided in the head protection equipment of FIG. 1.
  • Figures 5 and 6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upport member and the moving member of Figure 4.
  • Fig. 7 is a side view showing the support member of Fig. 4;
  • FIG. 8 is a side view showing a case where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support member of FIG. 4 and the moving member coupled thereto is the first position (a) and the second position (b).
  •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djustment member provided in the head protection equipment of FIG. 1.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stage adjustment unit provided in the adjustment member of FIG. 9.
  •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vement adjustment unit provided in the adjustment member of FIG. 9.
  • FIG. 12 is a side view showing the adjustment member of FIG. 9 adjusted to the first state S1.
  • FIG. 13 is a side view showing the adjustment member of FIG. 9 adjusted to the second state (S2).
  • FIG. 14 is a side view showing the adjustment member of FIG. 9 adjusted to the third state S3.
  • curvature refers to the degree to which a line or surface is curved.
  • curvature may be defined as the reciprocal of the radius of curvature. In the above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greater the curvature, the more curved the line or surface is, and the smaller the curvature, the closer the line or surface is to a straight line or plane.
  • the expression “curvature is large” may be used to indicate a relatively more curved state
  • the expression “curvature is small” may be used to indicate a relatively flat state
  • wire (W)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refers to any member that connects different members and can transmit the movement of one member to another member.
  • the wire W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tring with a small elastic modulus.
  • the wire W may be provided as a component of the head protection equipment 10.
  • head protection equipmen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 Head protection equipment 10 is provided with an additional member (i.e., an additional member (i.e., sub-visor 220)) to block light, etc.
  • the sub-visor 220 is simple to operate. It can be moved to one side or the other to align with the wearer's gaze.
  • the head protection equipment 10 includes a moving member 400 and an adjustment member 500 that are coupled to the subvisor 220.
  • the wearer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sub-visor 220 by manipulating the adjustment member 500 without directly holding the sub-visor 220.
  • the adjustment member 500 provided in the head protection equipment 10 can be adjusted in multiple steps.
  • the distance at which the subvisor 220 can be moved by the adjustment member 500 can be adjusted in multiple steps. Accordingly, the wearer can easily adjust the position of the sub-visor 220 without delicately adjusting the adjustment member 500.
  • the head protection equipment 10 includes an external frame 100, a visor portion 200, a support member 300, a moving member 400, and an adjustment member 500. ) includes.
  • the external frame 100 forms the outline of the head protection equipment 10.
  • a space (accommodating space 110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inside the external frame 100 to accommodate the wearer's head (head part).
  • the external frame 100 can protect the wearer's head from external impacts, etc.
  • the external frame 100 may be made of a lightweight yet highly rigid material. This is to effectively protect the wearer's head while minimizing the feeling of foreign body or weight felt by the wearer.
  • the external frame 100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reinforced plastic.
  • the external frame 100 may be shaped to accommodate and protect the wearer's head and minimize air resistance while driving.
  • the outer frame 100 is shaped like a sphere, similar to the wearer's head.
  • the visor portion 20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external frame 100.
  • the frame opening 120 that communicates the receiving space 110 with the outside may be opened or closed by the visor portion 200.
  • the visor unit 200 includes a main visor 210 that mainly performs the function of blocking external air and a sub-visor 220 that mainly performs the function of blocking light, etc. is provided.
  • the main visor 210 and sub-visor 220 can each be moved independently.
  • a support member 300 is coupled to the external frame 100.
  • the support member 300 is fixedly coupled to the external frame 100.
  • the support member 300 movably supports the subvisor 220 through the movable member 400.
  • a moving member 400 is coupled to the external frame 100. Specifically, the moving member 400 is movably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300 that is fixedly coupled to the external frame 100.
  • the subvisor 220 is coupled to the moving member 400 and can be moved together with the moving member 400.
  • An adjustment member 500 is coupled to the external frame 100. Some components of the adjustment member 500 are provided to be movable and are coupled with the movable member 400. Accordingly, when the above-described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adjustment member 500 is manipulated, the moving member 400 and the subvisor 220 coupled thereto may be moved.
  • the external frame 100 includes a receiving space 110 and a frame opening 120.
  • the accommodation space 110 is a space formed inside the external frame 100.
  • the receiving space 11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wearer's head and can accommodate the wearer's head.
  • the accommodation space 110 may be formed in a sphe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external frame 100.
  • One side of the receiving space 110 is open so that the head or neck of the wearer can be accommodated.
  • the other side of the receiving space 11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front side, communicates with the frame opening 120 .
  • the frame opening 120 communicates with the receiving space 110 formed inside the external frame 100 and the outside.
  • the frame opening 120 forms one side of the external frame 100 that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In the depicted embodiment, frame opening 120 is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outer frame 100.
  • the frame opening 120 may be open to or covered with the visor portion 200 . Specifically, the frame opening 120 may be entirely covered by the main visor 210. Additionally, the frame opening 120 may be partially covered by the subvisor 220.
  • the frame opening 120 may be opened to allow the receiving space 110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 the frame opening 120 is closed to block communication between the receiving space 110 and the outside.
  • the lower side of the external frame 100 is open so that the wearer's head can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110.
  • head protection equipmen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isor portion 200.
  • the visor portion 20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external frame 100 to open or close the frame opening 120. That is, the visor portion 200 is formed to partially cover the frame opening 120. While driving, the visor unit 200 closes the frame opening 120 to prevent external air or foreign substances from flowing into the receiving space 110 of the head protection equipment 10.
  • the visor portion 200 may be made of a lightweight yet highly rigid material. Additionally, the visor portion 200 may be formed of a light-transmissive material. In one embodiment, the visor portion 200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such as reinforced plastic.
  • the visor portion 200 is coupled to the external frame 100. Specifically, the visor portion 200 mounted on the external frame 10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external frame 100. As described above, the frame opening 120 can be opened or closed by rotating the visor portion 200.
  • the visor portion 200 is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300.
  • the sub-visor 220 provided in the visor portion 200 is coupled to a moving member 400 that is movably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300. Accordingly, it can be said that the subvisor 220 is movably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300 via the movable member 400.
  • the visor portion 200 is coupled to the adjustment member 500.
  • the sub-visor 220 provided in the visor portion 200 is coupled to the moving member 400 that is coupled to the adjustment member 500. Accordingly, it can be said that the subvisor 220 is coupled to the adjustment member 500 via the moving member 400.
  • the visor unit 200 includes a main visor 210 and a sub-visor 220.
  • the main visor 210 blocks communication between the accommodation space 110 and the outside, preventing outside air in the driving direction from flowing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110.
  • the main function of the main visor 210 is to prevent the inflow of external air.
  • the main visor 21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external frame 100.
  • the main visor 210 may be rotated clockwise and moved upward. In this state, the frame opening 120 can be opened.
  • the main visor 210 may be rotated counterclockwise and moved downward. In this state, the main visor 210 can close the frame opening 120.
  • the main visor 210 is arranged to overlap the sub-visor 220. Specifically, the main visor 210 is located outside the sub-visor 220 and covers the sub-visor 220 and the frame opening 120. In other words, the main visor 210 partially overlaps the sub-visor 220 and is disposed to cover the frame opening 120.
  • a sub-visor 220 is located between the main visor 210 and the frame opening 120.
  • the sub-visor 220 blocks or reduces light that passes through the main visor 210 and flows into the receiving space 110. Accordingly, the intensity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subvisor 220 and reaching the wearer's eyeballs is reduced, thereby reducing glare for the wearer. As a result, safe driving for the wearer may be possible.
  • the subvisor 220 may be formed of a light-transmissive material that can reduce the intensity of light, or may be coated with the material.
  • the main function of the subvisor 220 is to reduce the intensity of light passing into the receiving space 110.
  • the sub-visor 220 may be referred to as a sun visor.
  • the subvisor 220 is movably coupled to the external frame 100.
  • the subvisor 220 is coupled to the external frame 100 to be movable upward or downward.
  • the coupling can be achieved by movably coupling the movable member 400 coupled with the subvisor 220 to the support member 300.
  • the subvisor 220 is disposed to partially cover the frame opening 120. As the subvisor 220 is moved, the portion of the frame opening 120 covered by the subvisor 220 may change.
  • the sub-visor 220 is located between the main visor 210 and the receiving space 110. That is, the sub-visor 220 is surrounded by the main visor 210, and the sub-visor 220 is arranged to surround the accommodation space 110 and the frame opening 120 communicating with the accommodation space 110.
  • the subvisor 220 is not randomly exposed to the outside, and damage to the subvisor 220 due to external foreign substances, etc. can be minimized.
  • the subvisor 220 is coupled to the adjustment member 500 by a moving member 400.
  • the subvisor 220 may be moved together with the moving member 400.
  • the movement path of the subvisor 220 may be formed by the movement groove 320 and the guide portion 330 formed on the support member 300.
  • the sub-visor 220 includes a sub-visor body 221, a sub-protrusion 222, and a sub-opening 223.
  • the subvisor body 221 forms the body of the subvisor 220.
  • the subvisor body 221 extends curv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xternal frame 10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o cover the frame opening 120.
  • the horizontal cross-section of the subvisor body 221 has an arc shape that is rounded to be convex outward.
  • a sub protrusion 222 and a sub opening 223 are provided at each end of the sub visor body 221 in the extension direction.
  • the sub protrusion 222 is a part where the sub visor body 221 is coupled to the moving member 400.
  • the sub protrusion 222 is located at the end of the sub visor body 221 in the extension direction.
  • the sub protrusion 222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end of the sub visor body 221 in a direction toward the moving member 40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oward the rear side.
  • a plurality of sub protrusions 222 may be provided.
  • the plurality of sub protrusions 22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ranged to form a space therebetween.
  • two sub protrusions 222 are provided and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space formed by the pair of sub protrusions 222 being spaced apart may be defined as the sub opening 223.
  • the pair of sub protrusions 222 penetrate the coupling opening 441 provided in the movable member 400 and are accommodated in the coupling space 442.
  • a pair of sub protrusions 222 surround the coupling protrusions 443 and are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s 443. That is, the pair of sub protrusions 222 are arranged to surround the coupling protrusion 443 accommodated in the sub opening 223.
  • the coupling protrusion 443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 circular cross section.
  • the inner edges (i.e., each corner facing each other) of the pair of sub protrusions 222 are formed to be rounded outward, so that the sub opening 223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oupling protrusion 443. It can be formed to have.
  • a pair of sub protrusions 222 and a plurality of sub openings 223 may each be provided.
  • a plurality of pairs of sub protrusions 222 and a plurality of sub openings 223 may be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and each may be coupled to the moving member 400.
  • two pairs of sub protrusions 222 and two sub openings 223 are provided, and are located at the left end and right end of the sub visor body 221, respectively.
  • head protection equipment 10 includes a support member 300.
  • the support member 300 movably supports the movable member 400 and the subvisor 220 coupled thereto.
  • a moving groove 320 and a guide portion 330 may be formed inside the support member 300 to form a movement path for the moving member 400 and the subvisor 220 coupled thereto.
  • the support member 300 is coupled to the external frame 100.
  • the support member 300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external frame 100 and disposed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 the support member 300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external frame 100.
  • the sub-visor 220 of the visor portion 200 is movably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300. As described above, the coupling is formed by the movable member 400 coupled to the subvisor 220 being movably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300.
  •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300 may be provided.
  •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300 may be coupled to the external frame 100 at different positions to support the plurality of movable members 400 in a movable manner.
  • a pair of support members 300 may be provided and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xternal frame 100, respectively.
  • Each support member 300 may movably support each end of the plurality of movable members 400 and the subvisor 220 coupled thereto.
  • the support member 300 includes a support body 310, a moving groove 320, and a guide portion 330.
  • Support body 310 forms the body of support member 300.
  • the support body 310 extends in one direction and can support the moving member 400 and the subvisor 220 coupled thereto, which move along the moving path.
  • the support body 310 extends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its upper portion extending obliquely toward the rear side and its lower portion extending perpendicularly compared to the upper portion.
  • the support body 31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external frame 10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ccordingly,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upport body 310 may be said to be formed in a polygonal plate shape.
  • the support member 300 movably supports the movable member 400 and may have any shape capable of forming a movement path of the subvisor 220 .
  • the support body 310 is coupled to the external frame 100.
  • the support body 310 is fixed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external frame 100, and random fluctuation can be prevented.
  • a moving groove 320 and a guide portion 330 are disposed inside the support body 310.
  • the movement groove 320 forms a movement path of the movement member 400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300.
  • the moving member 400 and the sub-visor 220 coupled thereto may be moved along the moving groove 320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visor portion 200, that is, upward or downward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 the moving member 400 is movably coupled to the moving groove 320.
  • the movement groove 320 is formed through the inside of the support body 310.
  • the moving groove 320 may be recessed on the side of the support body 310 facing the moving member 400, that is, on the outer surfac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 the moving groove 320 may extend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upport body 310.
  • the movement groove 320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cludes a curved portion.
  • a plurality of movement grooves 320 may be formed.
  • the plurality of movement grooves 32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may be coupled to each movement member 400 to enable movement.
  • two moving grooves 320 are provided, including a first moving groove 320a located on the front side and a second moving groove 320b located on the rear side.
  • the first movement groove 320a and the second movement groove 320b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pport body 310, in the front-back direc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 the first movement groove 320a may be formed to have a smaller width than the second movement groove 320b.
  • the shape and arrangement method of the first moving groove 320a and the second moving groove 320b change depending on the shape and arrangement method of the first moving protrusion 421 and the second moving protrusion 422 of the moving member 400. It can be.
  • the moving groove 320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A plurality of parts constituting the moving groove 320 may be formed to have different centers and curvatures. As best shown in FIG. 7 , the moving groove 320 includes a first extension portion 321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322 .
  • the first extension 321 forms a portion of the moving groove 32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first extension 321 forms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groove 320.
  • the first extension portion 321 may be curved and extended at a predetermined curvature.
  • the first extension 321 has its center, that is, the first center (Center1), on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pport body 310, the rear sid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nd is curved and extended at the first curvature (C1). It is a curved shape.
  • the first center (Center1) may be located on the outer rear side of the support body 310.
  • the first extension part 321 is continuous with the second extension part 322.
  • the first extension part 321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322 communicate with each other.
  • the second extension 322 forms another part of the moving groove 320 .
  • the second extension 322 forms the lower portion of the moving groove 320.
  •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322 may be curved and extended at a predetermined curvature.
  •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322 has its center, that is, the second center (Center2), on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the front sid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nd has a curved shape that is curved and extended at the second curvature (C2).
  • the second center (Center2) may be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outside of the support body 310.
  • the first curvature C1 of the first extension part 321 may be different from the second curvature C2 of the second extension part 322. That is, in the above embodiment, the first extension part 321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322 may be bent and extended to different degrees.
  • the first curvature C1 of the first extension part 321 may be greater than the second curvature C2 of the second extension part 322. That is, in the above embodiment, the first extension part 321 may be bent and extend more than the second extension part 322.
  • the first curvature C1 of the first extension part 321 or the second curvature C2 of the second extension part 322 may be zero (0, zero). That is, in the above embodiment, the first extension part 321 or the second extension part 322 may extend straight in a straight line.
  • the movement paths of the moving member 400 and the subvisor 220 coupled thereto, which move along the first and second extension parts 321 and 322,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 first center (Center1) of the first extension part 321 and the second center (Center2) of the second extension part 322 may be arranged in opposite directions. That is, the first center (Center1) and the second center (Center2) may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support body 310 in between.
  • first extension part 321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322 may be formed to be round and convex in different directions, toward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respectively.
  • the moving member 400 moving along the first extension part 321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322 and the subvisor 220 coupled thereto may change direction and move at least once.
  • the guide unit 330 movably supports the moving member 400 coupled to the moving groove 320. By the guide portion 330, the moving member 400 can be moved while remaining coupled to the moving groove 320.
  • the guide portion 330 is disposed on the support body 310.
  • the guide portion 330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moving groove 320.
  • the guide portion 330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moving groove 320 and is located adjacent to the front side edge of the support body 310.
  • the guide unit 330 may extend along the movement path of the moving member 400. As described above, the movement groove 320 that forms the movement path of the movement member 400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guide portion 330 also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guide portion 330 may be formed to have a different shape from the movement groove 320. 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moving groove 320 includes a first extension part 321 having a first center (Center1) and a second extension part 322 having a second center (Center2) in opposite directions. Includes.
  • the guide portion 330 may be formed to have a single center located outside the support body 310.
  • the guide portion 330 is formed to be round and convex toward the front side, and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center of the guide portion 330 is located at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body 310.
  • each end of the guide portion 330 in its extension direction may be positioned to be biased to one side compared to each end of the guide portion 330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movement groove 320 . That i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guide portion 330 are positioned to be biased upward compar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ovement groove 320, respectively.
  • the moving member 400 coupled to the moving groove 320 and the guide portion 330 is moved along the moving path, but at a predetermined angle due to the different shapes of the moving groove 320 and the guide portion 330. It can be rotated as much as
  • the guide portion 330 includes a guide groove 331 and a guide edge 332.
  • the guide groove 331 is coupled to the guide protrusion 430 of the moving member 400.
  • the guide groove 331 is formed through the inside of the support body 310, so that the guide protrusion 430 can be coupled thereto.
  • the guide groove 331 may be recess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body 310 to accommodate the guide protrusion 430.
  • the guide groove 331 extend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body 310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guide groove 331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with a single center.
  • a guide edge 332 is disposed adjacent to the guide groove 331.
  • the guide edge 332 supports the guide protrusion 430 (that is, of the moving member 400) coupled to the guide groove 331 from the outside.
  • the guide edge 332 is formed to partially cover the guide groove 331.
  • the guide edge 332 extends from the front side of the guide groove 331 toward the rear side, and may cover the front side portion of the guide groove 331.
  • the guide edge 332 extends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guide groove 331.
  • the guide edge 332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like the guide groove 331, but is formed in a curved shape with a single center located outside the support body 310.
  • the guide protrusion 430 can be inserted into or extracted from the guide groove 331 only when it is manipul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Accordingly, random separation of the guide protrusion 430 is prevented, and the coupling between the guide groove 331 and the guide protrusion 430 can be maintained stably.
  • head protection equipment 10 includes a moving member 400.
  • the moving member 400 is movably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300.
  • the subvisor 220 is coupled to the moving member 400 and can be moved together with the moving member 400.
  • the moving member 400 is coupled to the external frame 100. Specifically, the moving member 400 is movably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300 that is fixedly coupled to the external frame 100. Accordingly, it can be said that the movable member 400 is movably coupled to the external frame 100 via the support member 300.
  • the moving member 400 is coupled to the subvisor 220. Specifically, the sub protrusion 222 and the sub opening 223 located at the end of the sub visor 220 are coupled to the moving member 400. The combined subvisor 220 may be moved together with the moving member 400.
  • the moving member 400 is movably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300.
  • the moving member 400 is coupled to the moving groove 320 and moves along the moving groove 320, and may also be coupled to the guide portion 330 to guide its movement.
  • the moving member 400 is coupled with the adjusting member 500. Specifically, the moving member 400 is coupled to the adjusting member 500 through a wire W, and can be moved by being pressed or pulled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adjusting member 500.
  • a plurality of moving members 400 may be provided.
  • the plurality of moving members 400 may b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sub protrusions 222, the sub openings 223,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300, and the adjustment member 500.
  • two moving members 400 are provided and can be respectively coupled to a pair of support members 300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 the two moving members 400 may b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sub protrusion 222 and the sub opening 223 located at each end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sub visor 220.
  • the movable member 400 includes a movable body 410, a movable protrusion 420, a guide protrusion 430, and a visor coupling portion 440.
  • the movable body 410 forms the body of the movable member 400.
  • the movable body 410 is movably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300. Specifically, the moving body 410 may be moved along the moving groove 320 formed in the supporting body 31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ing body 310 extend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 the moving body 410 may be formed to have a smaller size than the support body 310. Accordingly, even if the movable body 410 is moved while coupled to the support body 310, the area of the movable body 41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body 310 along the moving direction can be minimized.
  • the movable body 410 can be moved without interfering with or being interfered with other components provided in the external frame 100.
  • the movable body 410 is coupled with the movable protrusion 420.
  • the movable body 410 may be movably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300 through the movable protrusion 420 .
  • the moving body 410 is coupled to the guide protrusion 430.
  • the movement of the mobile body 410 may be guided by the guide protrusion 430.
  • a visor coupling portion 440 is formed inside the moving body 410.
  • the movable body 410 may be coupled to the sub-visor 220 by a visor coupling portion 440.
  • the movable body 410 is coupled to the subvisor 220 and may have any shape that can be moved along the support member 300.
  • the moving body 410 has a polygonal cross-sec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edges and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300, o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 the moving body 410 is coupled with the wire (W). Accordingly, when the wire W is pulled or pressed, the moving member 400 and the subvisor 220 coupled thereto may be moved upward or downward.
  • a moving protrusion 42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oving body 410 facing the support member 300, the left sid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 the moving protrusion 420 is a part where the moving member 400 is coupled to the moving groove 320.
  • the movable protrusion 420 may b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movable groove 320.
  • the moving protrusion 420 may be coupled through the moving groove 320.
  • the movable protrusion 42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urface of the movable body 410 toward the support member 300 .
  • the movable protrusion 420 is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vable body 410 facing the support member 300.
  • the movable protrusion 420 may be of any shape that can be movably coupled to the movable groove 320 .
  • the moving protrusion 420 has a circular cross-section with a diameter less than or equal to the width of the moving groove 320, and has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in the direction toward the support member 300, that is, inward.
  • the distance that the moving member 400 moves while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300 may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moving protrusion 420 and the moving groove 320.
  • the moving distance in one direction of the moving member 400 may be defined as the distance until the moving protrusion 420 contacts the upper end of the moving groove 320. there is.
  • the moving distance of the moving member 400 in the other direction, or the downward moving distanc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may be defined as the distance until the moving protrusion 420 contacts the lower end of the moving groove 320. there is.
  • a plurality of moving protrusions 420 may be provided.
  • the plurality of movable protrusions 420 may each be movab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movable grooves 320 .
  • two moving protrusions 420 are provided, including a first moving protrusion 421 and a second moving protrusion 422.
  • the first movable protrusion 421 is movably coupled to the first movable groove 320a.
  • the second movable protrusion 422 is movably coupled to the second movable groove 320b. Therefore, the shape and arrangement method of the first movable protrusion 421 and the second movable protrusion 422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shape and arrangement method of the first movable groove 320a and the second movable groove 320b. You will understand.
  • the guide protrusion 430 is movably coupled to the guide portion 330 of the support member 300 and guides the movement of the movable member 400.
  • the guide protrusion 430 and the guide portion 330 By combining the guide protrusion 430 and the guide portion 330, idling of the moving member 400 can be prevented. Accordingly, the moving member 400 can be moved reliably while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300.
  • the guide protrusion 430 is continuous with the moving body 410.
  • the guide protrusion 430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moving body 410 where the moving protrusion 420 is formed, or at one corner of the left sid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guide protrusion 430 is located at the front edge of the one surface of the moving body 410.
  • the guide protrusion 430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one edge of the moving body 41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from the front edg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guide protrusion 430 protrudes toward the front side.
  • the guide protrusion 430 is movably coupled to the guide groove 331.
  • the guide protrusion 430 may be movably inserted and coupled to the guide groove 331.
  • the guide protrusion 430 may be coupled through the guide groove 331.
  •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protrusion 430 movably coupled to the guide groove 331 is supported by the guide edge 332.
  • the right-facing side of the guide protrusion 430 is supported by the guide edge 332. Accordingly, the guide protrusion 430 can be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guide groove 331 only in a preset direction or angle.
  • the coupled state of the guide protrusion 430 coupled to the guide groove 331 can be maintained stably.
  • the guide protrusion 430 is movably coupled to the guide portion 330 and may have any shape capable of guiding the movement of the moving member 400.
  • the guide protrusion 430 is formed to be rounded so that its outer end is convex outward, and its inner end is formed to be flat.
  • the visor coupling portion 440 is a portion where the sub-visor 220 is coupled.
  • the visor coupling portion 440 supports the sub-visor 220. Accordingly, the subvisor 220 can be moved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moving member 400.
  • the visor coupling portion 440 is formed inside the movable body 410.
  • the visor coupling portion 440 communicates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movable body 410 so that the sub-visor 220 can b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movable member 400.
  • the visor engaging portion 440 includes an engaging opening 441, an engaging space 442, and an engaging protrusion 443.
  • the coupling opening 441 forms a passage for the subvisor 220 to advance into the coupling space 442.
  • the coupling opening 441 is open on one side of the moving body 410 and communicates with the coupling space 442 and the outside.
  • the engaging opening 441 is recessed in the front side of the movable body 410.
  • the sub protrusion 222 of the sub visor 220 penetrates the coupling opening 441.
  • a pair of sub protrusions 222 disposed at each end of the sub visor 220 may be provided and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ccordingly, the coupling opening 441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ir of sub-protrusions 222 are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 the coupling opening 441 communicates with the coupling space 442.
  • the sub protrusion 222 passing through the coupling opening 441 may advance into the coupling space 442 .
  • the coupling space 442 is a space that accommodates the sub protrusion 222.
  • the coupling space 442 is formed inside the moving body 410.
  • the coupling space 442 may be formed through the movable body 410 in the thickness direction, in the left-right direc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 the coupling space 442 communicates with the coupling opening 441.
  • the front side of the coupling space 442 communicates with the coupling opening 441.
  • a coupling protrusion 443 is located inside the coupling space 442.
  • the coupling protrusion 443 is accommodated in the sub opening 223, which is a space formed between a pair of sub protrusions 222.
  • the coupling protrusion 443 is configured to support a pair of sub protrusions 222 arrang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sub opening 223 interposed therebetween.
  • the coupling protrusion 443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each corner where the pair of sub-protrusions 222 face each other.
  • the coupling protrusion 443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 circular cross-section and a height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moving body 410, that i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the coupling protrusion 443 may be supported by a coupling rib (reference symbol not given).
  •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coupling protrusion 443 are each supported by coupling ribs (reference symbols not given) and coupl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vable body 410.
  • the sub protrusion 222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443 is supported, and arbitrary rotation of the sub visor 220 can be prevented.
  • FIG. 8 a moving process of the moving member 400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300 is shown.
  • the moving member 400 is shown in a state in which it is moved to the maximum upward.
  • the depicted location may be defined as the first location (P1). It will be understood that in the first position P1, the sub-visor 220 coupled to the moving member 400 is also moved to its maximum upward, so that the area covering the frame opening 120 is minimized.
  • the movable member 400 is shown moved downward to its maximum state.
  • the depicted location may be defined as the second location (P2). It will be understood that in the second position P2, the sub-visor 220 coupled to the moving member 400 is also moved downward to its maximum, so that the area covering the frame opening 120 is maximized.
  • the first position P1 and the second position P2 may be formed by adjusting the adjustment member 500 coupled to the moving member 400 through the wire W. At this time, the distance at which the adjustment member 500 pulls or presses the wire W may be adjusted in multiple steps.
  • the wearer can easily position the sub-visor 220 at a desired height without having to finely adjust the adjustment member 500. Accordingly, the wearer's convenience can be improved.
  • head protection equipment 10 includes an adjustment member 500.
  • the adjustment member 500 is coupled to the moving member 400 through a wire (W).
  • the adjustment member 500 is operated by an external force to press or pull the wire W. Accordingly, the moving member 400 and the sub-visor 220 coupled thereto may be moved upward or downward, there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ub-visor 220.
  • the adjustment member 500 is coupled to the external frame 100. Specifically, the adjustment member 500 is located at a portion of the outer frame 100 that partially surrounds the frame opening 12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t the front side end. In the depicted embodiment, adjustment member 500 is located adjacent the front right lower end of outer frame 100 .
  • the adjustment member 500 may be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external frame 100.
  • some components of the adjustment member 500 are disposed inside the outer frame 100 and other components of the adjustment member 500 are disposed outside the outer frame 100 .
  • the wearer can hold and manipulate the different configurations of the adjustment member 500.
  • the adjustment member 500 is coupled to the moving member 400. Specifically, the adjustment member 500 is coupled to the moving member 400 through a wire (W). As described above, the movable member 400 is coupled to the subvisor 220, so it can be said that the adjustment member 500 is coupled to the subvisor 220 via the movable member 400.
  • the adjustment member 500 includes a cover portion 510, an adjustment body 520, a multi-stage adjustment portion 530, and a movement adjustment portion 540.
  • the cover portion 510 forms the outside of the adjustment member 500.
  • the cover portion 510 is configured to at least partially cover other components of the adjustment member 500 . Some of the other components of the adjustment member 500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ver portion 510 and can be held and manipulated by the wearer. Other parts of different configurations of the adjustment member 500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cover portion 510 .
  • the cover portion 510 is coupled to the adjustment body 520.
  • the cover portion 510 covers a portion of the adjustment member 500 coupled to the adjustment body 520 and is coupled to the adjustment body 520.
  • the cover portion 510 may be coupled to the adjustment body 520 and may have any shape capable of supporting some components of the adjustment member 500 .
  • the cover portion 510 extends in the front-to-back direction, with some corners extending obliquely.
  •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cover part 510 corresponds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adjustment body 520 and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movement adjustment unit 5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a plurality of cover parts 510 may be provided.
  • the plurality of cover parts 510 may b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adjustment body 520 at different positions.
  • the cover portion 510 includes a first cover 511 coupled to the adjustment body 520 on the outside and a second cover 512 coupled to the adjustment body 520 on the inside.
  • the first cover 511 and the second cover 512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adjustment body 520 interposed therebetween.
  • the first cover 511 is a part where the adjustment member 50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refore, it is desirable that the first cover 511 be formed in a shape that can minimize air resistance generated during driving.
  • first cover 511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adjustment body 520. Accordingly, the wearer can operate the multi-stage adjustment unit 530 after removing the first cover 511.
  • the adjustment body 520 forms the body of the adjustment member 500 .
  • the adjustment body 520 is coupled to the cover portion 510 and movably supports other components of the adjustment member 500.
  • the adjustment body 520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over portion 51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adjustment body 520 extends in the front-to-back direction, and some corners extend obliquely.
  • the adjustment body 520 is formed to have a length in the front-to-back direction and a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the length in the front-to-back direction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adjustment body 520 may correspond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vement adjustment unit 540 is moved.
  • the height direction, that is,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adjustment body 520 may correspond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multi-stage adjustment unit 530 is moved.
  • the adjustment body 520 is coupled with the multi-stage adjustment unit 530.
  • the adjustment body 520 movably supports the multi-stage adjustment unit 530.
  • the adjustment body 520 may be coupled to the multi-stage adjustment unit 530 to enable the multi-stage adjustment unit 530 to be raised and lowered in the height direction.
  • the adjustment body 520 is coupled with the moving adjustment unit 540.
  • the adjustment body 520 movably supports the movement adjustment unit 540.
  • the adjustment body 520 may be coupled to the movement adjustment unit 540 so that the movement adjustment unit 540 can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adjustment body 520 includes an adjustment penetration portion 521, a step adjustment portion 522, and a guide extension portion 523.
  • the adjustment penetrating portion 521 movably accommodates the multi-stage adjustment portion 530.
  • the multi-stage adjusting part 530 can be coupled to the adjusting body 520 to be able to be lifted up and down, and the adjusting penetration part 521 can be said to accommodate the multi-stage adjusting part 530 so as to be able to be lifted up and down.
  • the adjustment penetrating portion 521 is recessed inside the adjustment body 520.
  • the adjustment penetrating portion 521 may be formed through the adjustment body 520 in the thickness direction, in the left-right direc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 the adjustment penetrating portion 521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multi-stage adjustment portion 530.
  • the adjustment penetrating portion 521 is formed to have a rectangular cross-section with a width in the front-to-back direction and a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multi-stage adjustment portion 530.
  • the vertical length, or height, of the adjustment penetrating portion 521 may be formed to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height of the multi-stage adjustment portion 530. Accordingly, the multi-stage adjustment unit 530 accommodated in the adjustment penetration part 521 can be moved between the first state (S1), the second state (S2), and the third state (S3).
  • the adjustment penetrating portion 521 forms a predetermined path for the multi-stage adjustment portion 530 to move.
  • the adjustment penetrating portion 521 may be located biased toward one side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adjustment body 520 extend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adjustment penetrating portion 521 is located biased toward the rear side of the adjustment body 520.
  • a step adjustment unit 522 is provided inside the adjustment penetration part 521.
  • the step adjustment unit 522 movably accommodates the adjustment protrusion 532 of the multi-step adjustment unit 530.
  • the multi-stage adjustment unit 530 may be moved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adjustment penetration part 521, that is, the height direction, with the adjustment protrusion 532 coupled to the step adjustment unit 522.
  • the step adjustment unit 522 may be formed to have a plurality of spaces tha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the portion where the plurality of spaces communicate may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each space. That is, the step adjustment unit 522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snowman.
  • the step adjustment unit 522 includes three spaces continuou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djustment penetration part 521 extends, that is, in the vertical direction.
  • Each of the three spaces is formed to have a circular cross-section, and the portion where each pair of spaces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communicates among the three spaces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three spaces.
  • the state in which the adjustment protrusion 532 is accommodated in any space of the step adjustment unit 522 can be stably maintained. Additionally, when an external force (i.e., in a direction directed upward or downward) of a predetermined size or greater is applied to the multi-stage adjustment unit 530, the adjustment protrusion 532 may be moved from one space to another space.
  • the multi-stage adjustment part 530 can be lifted and lower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djustment penetration part 521 extends, that is,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shape of the space of the step adjustment unit 522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adjustment protrusion 532.
  • the step adjustment portion 522 has a circular cross-section and is formed as a space formed through the adjustment penetrating portion 521 in the direction through which it passes, that i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 the guide extension portion 523 movably supports the movable adjustment portion 540 movably coupled to the adjustment body 520.
  • the guide extension portion 523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djustment body 520, in the front-back direc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 the guide extension part 523 forms another part of the adjustment member 500 that is accommodated inside the external frame 100.
  • the guide extension portion 523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adjustment body 520 facing the second cover 512, that is, the inner surface.
  • the guide extension 523 is coupled to the left side of the adjustment body 520.
  • the guide extension part 523 is arranged to be covered by the second cover 512.
  • the multi-stage adjustment unit 530 limits the moving distance of the movement adjustment unit 540 movably coupled to the guide extension unit 523.
  • the distance at which the movement adjustment unit 540 moves may be limited to multiple stages by the multi-stage adjustment unit 530.
  • the wearer can position the subvisor 220 at a preset position simply by manipulating the multi-stage adjusting unit 530 and moving the movement adjusting unit 540 until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multi-stage adjusting unit 530. Accordingly, since the operation for positioning the subvisor 220 at a specific height becomes simple, the wearer's convenience can be improved.
  • the multi-stage adjustment unit 530 is movably coupled to the adjustment body 520. Specifically, the multi-stage adjustment unit 530 is coupled to the adjustment penetration part 521 and the step adjustment unit 522 to be able to lift and lower. In other words, the multi-stage adjusting part 530 is coupled to the adjusting penetrating part 521 and the step adjusting part 522 so as to be movable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adjusting penetrating part 521,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 the step adjustment unit 522 may include a plurality of spaces that are continuous with each other.
  • the multi-stage adjustment unit 530 may be maintained with the adjustment protrusion 532 coupled 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paces.
  • the multi-stage adjustment unit 530 is in a state in which the adjustment protrusion 532 is coupled to any one of the three spaces, that is, the first state (S1), the second state (S2), and the first state (S2). It can be maintained in any one of three states (S3).
  • the position at which the movable adjusting unit 540 contacts the multi-stage adjusting unit 530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adjusting body 520, that is, the position in the front-back direction, may be adjusted. Accordingly,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movement adjusting unit 540 may be limit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provided later.
  • the multi-stage adjustment unit 530 may be selectively exposed to the outside. Specifically, the multi-stage adjustment unit 530 coupled to the adjustment body 520 is covered by the first cover 511 and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first cover 511 is removed, the multi-stage adjustment unit 530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can be manipulated by the wearer, etc.
  • the multi-stage adjustment unit 530 is coupled to the adjustment body 520 with the grip protrusion 53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facing outward, to the right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 the multi-stage adjustment part 530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adjustment penetration part 521.
  • the multi-stage adjustment unit 530 has a rectangular plate-shaped body and is formed to have a polygonal cross-section with a first adjustment end 533 protruding at one end in the extension direction, that is, at the lower end.
  • the multi-stage adjusting unit 530 is located biased on one side of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adjusting body 520. As described above, the adjustment penetrating portion 521 to which the multi-stage adjustment portion 530 is coupled to be capable of being raised and lowered is located biased toward the rear side of the adjustment body 520. Accordingly, the multi-stage adjusting unit 530 is also located biased toward the rear side of the adjusting body 520 to limit the moving distance of the moving adjusting unit 540 to the rear side.
  • the multi-stage adjusting portion 530 includes a gripping protrusion 531, an adjusting protrusion 532, a first adjusting end 533, and a second adjusting end 534.
  • the gripping protrusion 531 is a portion gripped by a wearer or the like.
  • the gripping protrusion 531 is 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toward the first cover 511, that is, toward the outside.
  • the grip protrusion 531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multi-stage adjustment portion 530 facing outward,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on the right side.
  • the gripping protrusion 531 protrudes from the multi-stage adjusting part 530 and may have any shape that can be gripped by a wearer or the lik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grip protrusion 531 extend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djustment body 520 extends, that is,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protrudes toward the outer direction, that is, to the right,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adjustment body 520.
  • a plurality of gripping protrusions 531 may be provided.
  • a plurality of gripping protrusions 531 may b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multi-stage adjustment unit 530.
  • three gripping protrusions 531 are provided and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gripping protrusions 531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s the same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multi-stage adjustment unit 530 is moved.
  • the adjustment protrusion 532 is a part where the multi-stage adjustment part 530 is coupled to the adjustment body 520.
  • the adjustment protrusion 532 is accommodated in one of a plurality of spaces constituting the step adjustment unit 522.
  • the adjustment protrusion 532 is coupled to the step adjustment unit 522 so as to be able to move to another space located adjacent to one of the plurality of spaces.
  • the adjustment protrusion 532 protrudes in a direction toward the second cover 512, that is, toward the inside. Accordingly, it can be said that the adjustment protrusion 532 and the gripping protrusion 531 protrude in different directions.
  • the adjustment protrusion 532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multi-stage adjustment unit 530 facing inward,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on the left side.
  • the adjustment protrusion 532 protrudes from the multi-stage adjustment unit 530 and may be of any shape that can be movably coupled to the step adjustment unit 522.
  • the adjustment protrusion 532 is cylindrical in shape with a circular cross-section and a height oriented inward.
  • the first adjustment end 533 is in contact with the movement adjustment unit 540 when the multi-stage adjustment unit 530 is located at a specific position (i.e., second state (S2)), and limits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movement adjustment unit 540. do.
  • the multi-stage adjustment unit 530 is located biased toward the rear side of the adjustment body 520, and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adjustment end 533 is configured to limit the rearward moving distance of the movement adjustment unit 540. will be.
  • the first adjustment end 533 protrudes outward from one end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multi-stage adjustment section 530.
  • the multi-stage adjustment unit 530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first adjustment end 533 extends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multi-stage adjustment unit 530.
  • the first adjustment end 533 may be located biased toward one side of the multi-stage adjustment portion 530 in the width direction. At this time, the one side on which the first adjustment end 533 is biased may b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one side on which the multi-stage adjustment part 530 is biased with respect to the adjustment body 52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first adjustment end 533 is located biased toward the rear side of the multi-stage adjustment section 530.
  • the second adjustment end 534 is in contact with the movement adjustment unit 540 when the multi-stage adjustment unit 530 is located at another specific position (i.e., third state (S3)), and adjusts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movement adjustment unit 540. limit.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ulti-stage adjustment unit 530 is located biased toward the rear side of the adjustment body 520, the second adjustment end 534 can be said to be configured to limit the rearward movement distance of the movement adjustment unit 540. .
  • the second adjustment end 534 may be defined as one corner of the multi-stage adjustment unit 530.
  • the second adjustment end 534 is defined as a front edg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adjustment end 533 is biased, among the corners of the multi-stage adjustment unit 530.
  • the second adjustment end 534 is located relatively closer to the movement adjustment portion 540 than the first adjustment end 533.
  • the second adjustment end 534 is located relatively on the front side compared to the first adjustment end 533.
  • the first adjustment end 533 may be in contact with the movement adjustment unit 540 in the second state (S2). Additionally, the second adjustment end 534 may be in contact with the movement adjustment unit 540 in the third state S3.
  • the first adjustment end 533 is located biased toward the rear compared to the second adjustment end 534. Accordingly, it will be understood that compared to the third state S3 in which the second adjustment end 534 is in contact with the movement adjustment unit 540, the movement adjustment unit 540 may be moved further to the rear side.
  • the movement adjusting unit 540 is coupled to the moving member 400 through a wire W, and substantially adjusts the positions of the moving member 400 and the subvisor 220 coupled thereto.
  • the movable adjustment unit 540 is coupled to the adjustment body 520 so as to be movabl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adjustment body 520 extends, in the front-back direc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 the movement adjustment unit 540 is movably coupled to the adjustment body 520. Specifically, the movement adjustment unit 540 is coupled to the guide extension 523 and may be mo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guide extension 523 extends, in the front-back direc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 the movable adjustment unit 540 is located at the position where the guide extension part 523 is disposed, that is, between the adjustment body 520 and the second cover 512.
  • the movement adjustment unit 540 is covered with the second cover 512 and is coupled to the adjustment body 520.
  •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movement adjusting unit 540 on the front side may be limited by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front end of the guide extension portion 523. Additionally, the rear moving distance of the movement adjusting unit 540 may be limited by the inner wall of the second cover 512 or the multi-stage adjusting unit 530.
  • the rear movement distance of the movement adjustment unit 540 is limited by the inner wall of the second cover 512.
  • the rear side movement distance of the moving adjusting unit 540 is relative to the first adjusting end 533 or the second adjusting end 534. may be limited by
  • the movement adjustment unit 540 includes a gripping unit 541, a wire fastening unit 542, a guide space 543, and a contact end 544.
  • the gripping portion 541 is a portion gripped by the wearer or the like.
  • the grip portion 541 is dispos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ead protection equipment 10.
  • the grip portion 541 forms one end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movement adjusting portion 540, or a lower end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ccordingly, the grip part 541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ead protection equipment 10 through the lower side of the cover part 510. The wearer or the like may move the movement adjustment unit 540 by pressing or pulling the grip unit 541.
  • the wire fastening part 542 is a part where the movement adjustment part 540 is coupled to the wire (W).
  • the wire fastening portion 542 penetrates or is recessed into the interior of the movement adjusting portion 540 and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wire (W).
  • the wire fastening part 542 may be positioned opposite to the gripping part 541. That is, the wire fastening portion 542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other end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movement adjusting portion 540, or,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djacent to the upper end.
  • a plurality of wire fastening units 542 may be provided.
  • the plurality of wire fastening units 542 may b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plurality of wires (W).
  • two wire fastening portions 542 are provided.
  • the number of wire fastening portions 542 may change depending on the number of wires (W).
  • a guide space 543 and a contact end 544 are formed between the grip portion 541 and the wire fastening portion 542.
  • the guide space 543 is a space where the guide extension part 523 is coupled.
  • the guide space 543 is formed to penetrate the interior of the movement adjustment unit 540, so that the guide extension part 523 can be coupled thereto.
  • the guide space 543 is formed penetrating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ement adjusting unit 540, that is, in the front-back direction.
  • a contact end 544 is located adjacent to the guide space 543.
  • the contact end 544 is in contact with any one of the rear end, the first adjustment end 533, and the second adjustment end 534 of the guide extension portion 523 as the movement adjustment portion 540 moves. Due to the contact,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movement adjusting unit 540 to the rear side may be limited.
  • the contact end 544 is formed on one side facing the adjustment body 52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on the right side.
  • the contact end 544 protrudes in a direction toward the adjustment body 520, that is, toward the right.
  • the contact end 544 may be located biased toward the rear side in one direction toward the multi-stage adjustment unit 530 among the moving directions of the movement adjustment unit 54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ccordingly, as the movable adjustment portion 540 moves to the rear side, the contact end 544 first touches the rear end of the guide extension 523, whichever of the first adjustment end 533 and the second adjustment end 534. You can come into contact with one.
  • the head protection equipment 10 includes a sub-visor 220 for blocking or reducing light.
  • the subvisor 220 can be moved together by being coupled with a moving member 400 that is movably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300.
  • the movable member 400 is coupled to the adjustment member 500 by a wire W, so that the movable member 400 and the subvisor 220 can be moved by adjusting the adjustment member 500.
  • the adjustment member 500 is provided with a multi-stage adjustment unit 530 and a movement adjustment unit 540.
  • the moving distance of the movement adjustment unit 540 is limited by the multi-stage adjustment unit 530. Accordingly, the wearer or the like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sub-visor 220 simply by moving the movement adjustment unit 540 until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multi-stage adjustment unit 530.
  • a state in which the multi-stage adjustment unit 530 is positioned at the uppermost side that is, a first state (S1)
  • the multi-stage adjustment portion 530 is located adjacent to one end of the adjustment penetrating portion 521 in the extending direc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djacent to the upper end.
  • the adjustment protrusion 532 is accommodated in the uppermost space among the plurality of spaces constituting the step adjustment unit 522.
  • the first adjustment end 533 of the multi-stage adjustment part 530 is located above the guide extension part 523. Accordingly, even if the movement adjusting unit 540 coupled to the guide extension 523 is mov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multi-stage adjusting unit 53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oward the rear side, the contact end 544 and the multi-stage adjusting unit 530 are in contact. It won't happen.
  • the movement adjusting unit 540 may be moved rearward until the contact end 544 contacts one end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guide extension part 523, that is, the rear end.
  • the moving member 400 moves in one direction of the extension of the moving groove 320.
  • the end may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see (b) of FIG. 8).
  • the movement adjusting unit 540 moves to the rear side to its maximum in the first state (S1), the subvisor 220 is moved to the second position (P2) where the area covering the frame opening 120 is maximum.
  • a state in which the multi-stage adjustment unit 530 is located in the middle portion that is, a second state (S2)
  • the multi-stage adjusting portion 530 is located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adjusting penetrating portion 521,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between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 the adjustment protrusion 532 is accommodated in a space located in the middle of a plurality of spaces constituting the step adjustment unit 522.
  • the first adjustment end 533 of the multi-stage adjustment unit 530 is located adjacent to the guide extension 523, and the second adjustment end 534 is located above the guide extension 523. is located in Accordingly, when the movement adjusting part 540 coupled to the guide extension part 523 is mov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multi-stage adjusting part 53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o the rear side, the contact end 544 is connected to the first adjusting end 533. comes into contact
  • the movement adjustment unit 540 may be moved rearward until the contact end 544 contacts the first adjustment end 533.
  • the first adjustment end 533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Accordingly,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at which the contact end 544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adjustment end 533 is located on the front side compared to the position at which the contact end 544 is in contact with the rear end of the guide extension 523. will be.
  • the movement adjusting unit 540 has a reduced movement distance to the rear side compared to the first state (S1). That is, the movement adjusting unit 540 moved all the way to the rear in the second state (S2) is located on the front side compared to the movement adjusting unit 540 that is moved all the way to the rear in the first state (S1).
  • the moving member 400 moves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moving groove 320. It may be located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 the subvisor 220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second position (P2) and partially covers the frame opening 120. .
  • a state in which the multi-stage adjustment unit 530 is positioned at the lowest position that is, a third state (S3).
  • the multi-stage adjusting portion 530 is located adjacent to the other end,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lower end,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adjusting penetrating portion 521.
  • the adjustment protrusion 532 is accommodated in the lower space among the plurality of spaces constituting the step adjustment unit 522.
  • the first adjustment end 533 of the multi-stage adjustment portion 530 is located below the guide extension portion 523, and the second adjustment end 534 is adjacent to the guide extension portion 523. It is located well. Accordingly, when the movement adjusting part 540 coupled to the guide extension part 523 is mov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multi-stage adjusting part 53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o the rear side, the contact end 544 is connected to the second adjusting end 534. comes into contact
  • the movement adjustment portion 540 may be moved rearward until the contact end 544 contacts the second adjustment end 534.
  • the second adjustment end 534 is located relatively on the front side compared to the first adjustment end 533. Accordingly,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at which the contact end 544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adjustment end 534 is located on the front side compared to the position at which the contact end 544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adjustment end 533.
  • the movement adjusting unit 540 has a reduced movement distance to the rear side compared to the second state (S2). That is, the movement adjusting unit 540 moved all the way to the rear in the third state (S3) is located on the front side compared to the movement adjusting unit 540 that is moved all the way to the rear in the second state (S2).
  • the moving member 400 moves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moving groove 320. It may be located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At this time,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moving member 400 is located relatively above the second state (S2).
  • the subvisor 220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second position (P2) and partially covers the frame opening 120. . At this time,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area where the subvisor 220 covers the frame opening 120 is reduced compared to the second state (S2).
  • the moving member 400 moves to the other end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moving groove 32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In the example, it may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see (a) of FIG. 8).
  • the sub-visor 220 moves to the first position P1 where the area covering the frame opening 120 is minimum.
  •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moving member 40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ovement adjusting unit 540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 the moving member 400 when the movement adjusting unit 540 is moved to the front side, the moving member 400 is raised, and when the moving adjusting unit 540 is moved to the rear side, the moving member 400 is lowered.
  • the moving member 400 may be lowered when the movement adjusting unit 540 is moved to the front side, and the moving member 400 may be raised when the movement adjusting unit 540 is moved to the rear side.
  • accommodation space 120 frame opening
  • subvisor 221 subvisor body
  • support member 310 support body
  • moving protrusion 421 first moving protrusion
  • Second moving protrusion 430 Guide protrusion
  • visor coupling portion 441 coupling opening
  • Adjustment member 510 Cover portion
  • Adjustment body 521 Adjustment penetration part
  • Step adjustment unit 523 Guide extension unit
  • multi-stage adjustment unit 531 grip protrusion
  • adjustment protrusion 533 first adjustment end
  • gripping part 542 wire fastening part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두부 보호 장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는 전방 측에 프레임 개구부가 개방 형성된 외부 프레임; 상기 외부 프레임의 상기 전방 측을 부분적으로 덮으며 상기 외부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 바이저; 상기 외부 프레임 및 상기 서브 바이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서브 바이저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서브 바이저와 결합되어 상기 서브 바이저와 함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서브 바이저가 상기 프레임 개구부를 개방하는 제1 위치; 및 상기 서브 바이저가 상기 프레임 개구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두부 보호 장비
본 발명은 두부 보호 장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의 빛 등을 차단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부재의 조작이 용이한 구조의 두부 보호 장비에 관한 것이다.
두부 보호 장비는 흔히 헬멧(helmet)이라 지칭되는 장비로, 착용자의 두부를 보호하기 위해 활용된다.
두부 보호 장비는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착용자의 두부를 수용할 수 있다. 수용된 두부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두부 보호 장비는 두부를 외측에서 감싸게 형성됨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두부 보호 장비의 상기 공간 및 수용된 착용자의 두부는 외부와의 연통이 차단된다.
두부 보호 장비에는 바이저(visor)라 명명되는 부재가 구비된다. 통상 바이저는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어, 두부 보호 장비를 착용한 착용자가 전방 측을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다. 동시에, 바이저는 주행시 두부 보호 장비의 내부로의 외기의 유입을 방지하여, 착용자의 안구를 보호한다.
최근에는 외기의 유입 차단 뿐만 아니라 햇빛 등 빛을 차단하기 위한 추가 바이저가 구비되는 경우가 증가되고 있다. 이때, 기 구비된 바이저, 즉 외기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구비되는 바이저와 상기 추가 바이저는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추가 바이저는 외기의 유입 차단을 위한 바이저의 내부에 위치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착용자가 상기 추가 바이저의 위치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외기의 유입 차단을 위한 바이저를 선조작해야만 하는 불편이 존재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문헌 제20-0439851호는 오토바이 헬멧용 선바이저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헬멧에 기 구비되는 보안경의 전방 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선바이저를 개시한다.
그런데, 상기 선행문헌이 개시하는 오토바이 헬멧용 선바이저는 기 구비된 보안경의 전방 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주행시 외부의 이물질 등에 의해 선바이저가 쉽게 손상될 우려가 있다.
더욱이, 상기 선행문헌이 개시하는 선바이저는 자력에 의해 헬멧에 결합된다. 따라서, 기구적인 결합에 의한 경우에 비해, 선바이저와 헬멧의 결합 안정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2040534호는 헬멧용 실드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실드 상에 구비되며 실드와 다른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선바이저를 구비한 헬멧용 실드를 개시한다.
그런데, 상기 선행문헌이 개시하는 헬멧용 실드 역시 선바이저가 실드의 외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주행시 외부의 이물질 등에 의해 선바이저가 쉽게 손상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선행문헌이 개시하는 헬멧용 실드는 실드 및 선바이저가 같은 부재에 결합된다. 따라서, 실드 및 선바이저의 회전이 반복됨에 따라, 이들을 지지하는 부재가 쉽게 손상될 우려가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선행문헌들이 개시하는 선바이저는 착용자가 직접 파지하고 가압하거나 당김으로써 이동된다. 따라서, 착용자의 의도에 어긋나게 선바이저 뿐만 아니라 그 내측에 위치되는 실드가 함께 이동될 가능성 또한 배제되기 어렵다.
한국등록실용신안문헌 제20-0439851호 (2008.05.08.)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2040534호 (2019.11.0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의 빛 등을 차단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부재의 위치가 용이하게 조작될 수 있는 구조의 두부 보호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부재가 기 설정된 위치에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는 구조의 두부 보호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기 설정된 위치가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는 구조의 두부 보호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부재가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게 이동될 수 있는 구조의 두부 보호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방 측에 프레임 개구부가 개방 형성된 외부 프레임; 상기 외부 프레임의 상기 전방 측을 부분적으로 덮으며 상기 외부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 바이저; 상기 외부 프레임 및 상기 서브 바이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서브 바이저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서브 바이저와 결합되어 상기 서브 바이저와 함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서브 바이저가 상기 프레임 개구부를 개방하는 제1 위치; 및 상기 서브 바이저가 상기 프레임 개구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지지 부재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 몸체; 및 상기 지지 몸체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지지 몸체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어, 상기 이동 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홈을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홈은, 전방 측 및 후방 측 중 어느 하나에 중심을 갖고, 소정의 제1 곡률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와 연속되고, 전방 측 및 후방 측 중 다른 하나에 중심을 가지며, 소정의 제2 곡률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연장부의 상기 제1 곡률 및 상기 제2 연장부의 상기 제2 곡률은 서로 상이한,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장부의 상기 제1 곡률은, 상기 제2 연장부의 상기 제2 곡률 이상으로 형성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연장부의 상기 제1 곡률 및 상기 제2 연장부의 상기 제2 곡률 중 어느 하나의 곡률은 영(zero)인,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홈은, 그 일부를 각각 형성하며, 서로 연속되는 복수 개의 연장부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연장부 중 서로 인접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상기 연장부는, 전방 측 및 후방 측 중 서로 다른 측에 각각 중심을 갖고, 서로 다른 곡률로 연장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이동 홈과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지지 몸체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어, 결합된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게 구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지지 몸체의 내부에 관통 형성된 가이드 홈; 및 상기 가이드 홈을 외측에서 덮으며,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연장되어, 결합된 상기 이동 부재를 지지하게 구성되는 가이드 모서리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서브 바이저가 결합되는 바이저 결합부; 및 상기 지지 부재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 부재의 가이드 홈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가이드 돌기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지지 부재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 부재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는 이동 홈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돌기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지지 부재 및 상기 이동 부재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조정 부재; 및 상기 조정 부재 및 상기 이동 부재와 각각 결합되어 함께 이동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정 부재는, 일 방향으로 소정의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외부 프레임에 결합되는 다단 조정부; 및 타 방향을 따라 상기 다단 조정부를 향하는 방향 및 이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외부 프레임 및 상기 와이어와 결합되는 이동 조정부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단 조정부는, 상기 소정의 경로의 일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이동 조정부와 이격되는 제1 상태; 상기 소정의 경로의 상기 일 단부 및 타 단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이동 조정부와 접촉되는 제2 상태; 및 상기 소정의 경로의 상기 타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이동 조정부와 접촉되는 제3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유지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단 조정부는, 상기 일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이동 조정부와 접촉되는 제1 조정 단부; 및 상기 제1 조정 단부와 연속되며, 상기 제3 상태에서 상기 이동 조정부와 접촉되는 제2 조정 단부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 조정부가 상기 다단 조정부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최대로 이동되면,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제1 위치로 이동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는 외부의 빛 등을 차단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부재의 위치가 용이하게 조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는 상기 부재가 기 설정된 위치에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는 상기 기 설정된 위치가 용이하게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는 상기 부재가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게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두부 보호 장비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두부 보호 장비에 구비되는 서브 바이저, 지지 부재, 이동 부재 및 조정 부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두부 보호 장비에 구비되는 지지 부재 및 이동 부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지지 부재 및 이동 부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지지 부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지지 부재 및 이에 결합된 이동 부재의 위치 관계가 제1 위치(a) 및 제2 위치(b)인 경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두부 보호 장비에 구비되는 조정 부재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조정 부재에 구비되는 다단 조정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조정 부재에 구비되는 이동 조정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9의 조정 부재가 제1 상태(S1)로 조정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9의 조정 부재가 제2 상태(S2)로 조정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9의 조정 부재가 제3 상태(S3)로 조정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가 있을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곡률(curvature)"이라는 용어는 선 또는 면이 굽어진 정도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곡률은 곡률반경(radius of curvature)의 역수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곡률이 클수록 선 또는 면이 더 굽어지고, 곡률이 작을수록 선 또는 면이 직선 또는 평면에 가까워짐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곡률이 크다"라는 표현은 상대적으로 더 굽어진 상태를, "곡률이 작다"라는 표현은 상대적으로 더 편평한 상태를 지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와이어(W)"라는 용어는, 서로 다른 부재를 연결하여, 어느 하나의 부재의 이동을 다른 하나의 부재에 전달할 수 있는 임의의 부재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와이어(W)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며, 탄성 계수가 작은 줄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와이어(W)는 두부 보호 장비(10)의 일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상측", "하측", "좌측", "우측", "전방 측" 및 "후방 측"이라는 용어는 도 1에 걸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는 빛 등을 차단하기 위해 추가 부재(즉, 구비되는 추가 부재(즉, 서브 바이저(220))가 구비된다. 서브 바이저(220)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되어, 착용자의 시선에 맞춰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는 서브 바이저(220)와 결합되는 이동 부재(400) 및 조정 부재(500)를 포함한다. 착용자는 서브 바이저(220)가 직접 파지되지 않고도, 조정 부재(500)를 조작하여 서브 바이저(22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에 구비되는 조정 부재(500)는 다단계로 조정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조정 부재(500)에 의해 서브 바이저(220)가 이동될 수 있는 거리가 다단으로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조정 부재(500)를 미세하게(delicate) 조정하지 않고도, 서브 바이저(220)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는 외부 프레임(100), 바이저부(200), 지지 부재(300), 이동 부재(400) 및 조정 부재(500)를 포함한다.
외부 프레임(100)은 두부 보호 장비(10)의 외형을 형성한다. 외부 프레임(100)의 내부에는 공간(후술될 수용 공간(110))이 형성되어, 착용자의 두부(head part)를 수용할 수 있다. 외부 프레임(100)은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착용자의 두부를 보호할 수 있다.
외부 프레임(100)은 경량이면서도 고강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착용자가 느끼는 이물감 또는 중량감을 최소화하면서도, 착용자의 두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 프레임(100)은 강화 플라스틱 등의 합성 수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외부 프레임(100)은 착용자의 두부를 수용, 보호하고, 주행 중 공기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외부 프레임(100)은 착용자의 두부와 유사하게 구(sphere) 형상이다.
외부 프레임(100)에는 바이저부(2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수용 공간(110)을 외부와 연통하는 프레임 개구부(120)는 바이저부(200)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특히, 후술될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이저부(200)는 외기를 차단하는 기능을 주로 수행하는 메인 바이저(210) 및 빛 등을 차단하는 기능을 주로 수행하는 서브 바이저(220)가 구비된다. 메인 바이저(210) 및 서브 바이저(220)는 각각 독립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외부 프레임(100)에는 지지 부재(300)가 결합된다. 지지 부재(300)는 외부 프레임(100)에 고정 결합된다. 지지 부재(300)는 이동 부재(400)를 통해 서브 바이저(22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외부 프레임(100)에는 이동 부재(400)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이동 부재(400)는 외부 프레임(100)에 고정 결합되는 지지 부재(3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동 부재(400)에는 서브 바이저(220)가 결합되어, 이동 부재(40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외부 프레임(100)에는 조정 부재(500)가 결합된다. 조정 부재(500)의 일부 구성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이동 부재(400)와 결합된다. 따라서, 조정 부재(500)의 상기 일부 구성이 조작되면, 이에 결합된 이동 부재(400) 및 서브 바이저(220)가 이동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외부 프레임(100)은 수용 공간(110) 및 프레임 개구부(120)를 포함한다.
수용 공간(110)은 외부 프레임(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이다. 수용 공간(110)은 착용자의 두부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두부를 수용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수용 공간(110)은 외부 프레임(100)의 형상에 상응하게 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용 공간(1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은 개방 형성되어 착용자의 두부 또는 목 부위가 수용될 수 있다. 수용 공간(110)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은 프레임 개구부(120)와 연통된다.
프레임 개구부(120)는 외부 프레임(10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110)과 외부를 연통한다.
프레임 개구부(120)는 외부 프레임(100)이 외부와 연통되는 일 측을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프레임 개구부(120)는 외부 프레임(100)의 전방 측에 위치된다.
프레임 개구부(120)는 바이저부(200)에 개방되거나 덮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 개구부(120)는 메인 바이저(210)에 의해 전체적으로 덮일 수 있다. 또한, 프레임 개구부(120)는 서브 바이저(220)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을 기준으로 바이저부(2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프레임 개구부(120)는 개방되어 수용 공간(110)이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을 기준으로 바이저부(200)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프레임 개구부(120)는 폐쇄되어 수용 공간(110)과 외부의 연통이 차단된다. 물론, 이 경우에도 외부 프레임(100)의 하측은 개방되어 착용자의 두부가 수용 공간(110)에 수용될 수 있음은 알려진 바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는 바이저부(200)를 포함한다.
바이저부(200)는 외부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프레임 개구부(120)를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즉, 바이저부(200)는 프레임 개구부(120)를 부분적으로 덮게 형성된다. 주행 중, 바이저부(200)는 프레임 개구부(120)를 폐쇄하여 외부의 공기 또는 이물질 등이 두부 보호 장비(10)의 수용 공간(110)으로 유입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바이저부(200)는 경량이면서도 고강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이저부(200)는 광 투과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바이저부(200)는 강화 플라스틱 등의 합성 수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바이저부(200)는 외부 프레임(100)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외부 프레임(100)에 안착된 바이저부(200)는 회전 가능하게 외부 프레임(100)과 결합된다. 바이저부(200)의 회전에 의해 프레임 개구부(120)가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바이저부(200)는 지지 부재(30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바이저부(200)에 구비되는 서브 바이저(220)는 지지 부재(3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부재(400)와 결합된다. 따라서, 서브 바이저(220)는 이동 부재(400)를 매개로 지지 부재(3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바이저부(200)는 조정 부재(50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바이저부(200)에 구비되는 서브 바이저(220)는 조정 부재(500)와 결합되는 이동 부재(400)와 결합된다. 따라서, 서브 바이저(220)는 이동 부재(400)를 매개로 조정 부재(500)에 결합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바이저부(200)는 메인 바이저(210) 및 서브 바이저(220)를 포함한다.
메인 바이저(210)는 수용 공간(110)과 외부의 연통을 차단하여, 주행 방향의 외기가 수용 공간(110)으로 유입되는 상황을 방지한다. 즉, 메인 바이저(210)의 주된 기능은 외기의 유입 방지에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메인 바이저(210)는 외부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을 기준으로, 메인 바이저(21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상태에서, 프레임 개구부(120)가 개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을 기준으로, 메인 바이저(210)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상태에서, 메인 바이저(210)는 프레임 개구부(120)를 폐쇄할 수 있다.
메인 바이저(210)는 서브 바이저(220)와 겹쳐지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메인 바이저(210)는 서브 바이저(220)의 외측에 위치되어, 서브 바이저(220) 및 프레임 개구부(120)를 덮게 배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메인 바이저(210)는 서브 바이저(220)와 부분적으로 겹쳐지며 프레임 개구부(120)를 덮게 배치된다.
메인 바이저(210)와 프레임 개구부(120) 사이에는 서브 바이저(220)가 위치된다.
서브 바이저(220)는 메인 바이저(210)를 통과하여 수용 공간(110)으로 유입되는 빛 등을 차단하거나 감소시킨다. 이에 따라, 서브 바이저(220)를 통과하여 착용자의 안구로 진행되는 빛의 세기가 감소되어, 착용자의 눈부심이 감소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착용자의 안전한 주행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브 바이저(220)는 광 투과성 소재이되, 빛의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거나, 해당 소재로 코팅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바이저(220)의 주된 기능은 수용 공간(110)으로 진행되는 빛의 세기를 감소시킴에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실시 예에서, 서브 바이저(220)는 선 바이저(sun visor)로 지칭될 수 있을 것이다.
서브 바이저(220)는 외부 프레임(1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바이저(220)는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외부 프레임(100)에 결합된다. 상기 결합은 서브 바이저(220)와 결합되는 이동 부재(400)가 지지 부재(3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달성될 수 있다.
서브 바이저(220)는 프레임 개구부(120)를 부분적으로 덮게 배치된다. 서브 바이저(220)가 이동됨에 따라, 서브 바이저(220)에 의해 덮이는 프레임 개구부(120)의 부분은 변경될 수 있다.
서브 바이저(220)는 메인 바이저(210)와 수용 공간(110) 사이에 위치된다. 즉, 서브 바이저(220)는 메인 바이저(210)에 의해 둘러싸이고, 서브 바이저(220)는 수용 공간(110) 및 수용 공간(110)과 연통되는 프레임 개구부(120)를 둘러싸게 배치된다.
따라서, 서브 바이저(220)는 외부로 임의 노출되지 않게 되어, 외부의 이물질 등에 의한 서브 바이저(220)의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서브 바이저(220)는 이동 부재(400)에 의해 조정 부재(500)와 결합된다. 착용자가 조정 부재(500)를 조작하면, 서브 바이저(220)는 이동 부재(40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서브 바이저(220)의 이동 경로는 지지 부재(300)에 형성된 이동 홈(320) 및 가이드부(33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바이저(220)는 서브 바이저 몸체(221), 서브 돌기(222) 및 서브 개구부(223)를 포함한다.
서브 바이저 몸체(221)는 서브 바이저(220)의 몸체를 형성한다. 서브 바이저 몸체(221)는 프레임 개구부(120)를 덮도록 외부 프레임(100)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만곡되게 연장된다. 달리 표현하면, 서브 바이저 몸체(221)의 수평 방향의 단면은 외측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진 호(arc) 형상이다.
서브 바이저 몸체(221)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에는 서브 돌기(222) 및 서브 개구부(223)가 구비된다.
서브 돌기(222)는 서브 바이저 몸체(221)가 이동 부재(40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서브 돌기(222)는 서브 바이저 몸체(221)의 연장 방향의 단부에 위치된다. 서브 돌기(222)는 서브 바이저 몸체(221)의 상기 단부에서 이동 부재(400)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서브 돌기(222)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서브 돌기(222)는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돌기(222)는 두 개 구비되어,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한 쌍의 서브 돌기(222)가 이격되어 형성되는 공간은 서브 개구부(223)로 정의될 수 있다.
한 쌍의 서브 돌기(222)는 이동 부재(400)에 구비되는 결합 개구부(441)에 관통되어 결합 공간(442)에 수용된다. 한 쌍의 서브 돌기(222)는 결합 돌기(443)를 둘러싸며 결합 돌기(443)와 결합된다. 즉, 한 쌍의 서브 돌기(222)는 서브 개구부(223)에 수용된 결합 돌기(443)를 둘러싸게 배치된다.
후술될 바와 같이, 결합 돌기(443)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한 쌍의 서브 돌기(222)의 내측 모서리(즉, 서로 마주하는 각 모서리)는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서브 개구부(223)가 결합 돌기(443)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서브 돌기(222) 및 서브 개구부(223)는 각각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쌍의 서브 돌기(222) 및 복수 개의 서브 개구부(223)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각각 이동 부재(400)와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돌기(222)는 두 쌍, 서브 개구부(223)는 두 개 구비되어, 각각 서브 바이저 몸체(221)의 좌측 단부 및 우측 단부에 위치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는 지지 부재(300)를 포함한다.
지지 부재(300)는 이동 부재(400) 및 이에 결합된 서브 바이저(22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지지 부재(300)의 내부에는 이동 홈(320) 및 가이드부(330)가 형성되어, 이동 부재(400) 및 이에 결합된 서브 바이저(220)의 이동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300)는 외부 프레임(100)에 결합된다. 지지 부재(300)는 외부 프레임(100)의 내부에 수용되어, 외부로 임의 노출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부재(300)는 외부 프레임(10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지지 부재(300)에는 바이저부(200)의 서브 바이저(220)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결합은 서브 바이저(220)와 결합된 이동 부재(400)가 지지 부재(3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형성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지지 부재(30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지지 부재(300)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외부 프레임(100)에 결합되어, 복수 개의 이동 부재(400)를 각각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 부재(300)는 한 쌍 구비되어, 각각 외부 프레임(100)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각 지지 부재(300)는 복수 개의 이동 부재(400) 및 이에 결합된 서브 바이저(220)의 각 단부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부재(300)는 지지 몸체(310), 이동 홈(320) 및 가이드부(330)를 포함한다.
지지 몸체(310)는 지지 부재(300)의 몸체를 형성한다. 지지 몸체(310)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 부재(400) 및 이에 결합된 서브 바이저(220)를 지지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몸체(31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되, 그 상측 부분은 후방 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고, 그 하측 부분은 상측 부분에 비해 수직하게 연장된다.
또한, 지지 몸체(310)는 외부 프레임(100)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몸체(310)는 다각판형으로 형성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지지 부재(300)는 이동 부재(40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서브 바이저(220)의 이동 경로를 형성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지지 몸체(310)는 외부 프레임(100)에 결합된다. 지지 몸체(310)는 외부 프레임(100)의 내부에 고정 결합되어, 임의 요동이 방지될 수 있다.
지지 몸체(310)의 내부에는 이동 홈(320) 및 가이드부(330)가 배치된다.
이동 홈(320)은 지지 부재(300)에 결합된 이동 부재(400)의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이동 부재(400) 및 이에 결합된 서브 바이저(220)는 이동 홈(320)을 따라, 바이저부(200)의 높이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동 홈(320)에는 이동 부재(400)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동 홈(320)은 지지 몸체(310)의 내부에 관통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이동 홈(320)은 지지 몸체(310)의 면 중 이동 부재(400)를 향하는 면,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외면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동 홈(320)은 지지 몸체(3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이동 홈(32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되, 만곡된 부분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동 홈(320)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이동 홈(320)은 서로 이격되어, 각각 이동 부재(400)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이동 홈(320)은 전방 측에 위치되는 제1 이동 홈(320a) 및 후방 측에 위치되는 제2 이동 홈(320b)을 포함하여 두 개 구비된다.
제1 이동 홈(320a) 및 제2 이동 홈(320b)은 지지 몸체(310)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이동 홈(320a)은 제2 이동 홈(320b)보다 작은 폭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이동 홈(320a) 및 제2 이동 홈(320b)의 형상 및 배치 방식은 이동 부재(400)의 제1 이동 돌기(421) 및 제2 이동 돌기(422)의 형상 및 배치 방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동 홈(320)은 복수 개의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동 홈(320)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부분은 서로 다른 중심 및 곡률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홈(320)은 제1 연장부(321) 및 제2 연장부(322)를 포함한다.
제1 연장부(321)는 이동 홈(320)의 일 부분을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연장부(321)는 이동 홈(320)의 상측 부분을 형성한다.
제1 연장부(321)는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며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장부(321)는 지지 몸체(310)의 폭 방향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 그 중심, 즉 제1 중심(Center1)을 갖고, 제1 곡률(C1)로 만곡되며 연장되는 곡선 형상이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중심(Center1)은 지지 몸체(310)의 외부의 후방 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연장부(321)는 제2 연장부(322)와 연속된다. 제1 연장부(321)와 제2 연장부(322)는 서로 연통된다.
제2 연장부(322)는 이동 홈(320)의 다른 부분을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연장부(322)는 이동 홈(320)의 하측 부분을 형성한다.
제2 연장부(322)는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며 연장될 수 있다. 제2 연장부(322)는 폭 방향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그 중심, 즉 제2 중심(Center2)을 갖고, 제2 곡률(C2)로 만곡되며 연장되는 곡선 형상이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중심(Center2)은 지지 몸체(310)의 외부의 전방 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연장부(321)의 제1 곡률(C1)은 제2 연장부(322)의 제2 곡률(C2)과 상이할 수 있다. 즉, 상기 실시 예에서, 제1 연장부(321)와 제2 연장부(322)는 서로 다른 정도로 굽어지며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연장부(321)의 제1 곡률(C1)은 제2 연장부(322)의 제2 곡률(C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실시 예에서, 제1 연장부(321)는 제2 연장부(322)보다 굽어지며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서, 제1 연장부(321)의 제1 곡률(C1) 또는 제2 연장부(322)의 제2 곡률(C2)은 영(0, zero)일 수 있다. 즉, 상기 실시 예에서, 제1 연장부(321) 또는 제2 연장부(322)는 직선 형태로 곧게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연장부(321) 및 제2 연장부(322)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 부재(400) 및 이에 결합된 서브 바이저(220)의 이동 경로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연장부(321)의 제1 중심(Center1) 및 제2 연장부(322)의 제2 중심(Center2)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중심(Center1) 및 제2 중심(Center2)은 지지 몸체(3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연장부(321) 및 제2 연장부(322)는 서로 다른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및 후방 측을 향해 볼록하도록 각각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연장부(321) 및 제2 연장부(322)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 부재(400) 및 이에 결합된 서브 바이저(220)는 적어도 한 번 방향이 변경되며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부(330)는 이동 홈(320)에 결합된 이동 부재(40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가이드부(330)에 의해, 이동 부재(400)는 이동 홈(320)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며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부(330)는 지지 몸체(310)에 배치된다. 가이드부(330)는 이동 홈(320)과 이격되게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부(330)는 이동 홈(320)의 전방 측에 배치되어, 지지 몸체(310)의 전방 측 모서리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가이드부(330)는 이동 부재(400)의 이동 경로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부재(400)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이동 홈(32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바, 가이드부(330) 또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가이드부(330)는 이동 홈(320)과 상이한 형상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홈(320)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에 제1 중심(Center1)을 갖는 제1 연장부(321) 및 제2 중심(Center2)을 갖는 제2 연장부(322)를 포함한다.
반면, 가이드부(330)는 지지 몸체(310)의 외부에 위치되는 단일의 중심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부(330)는 전방 측을 향해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바, 가이드부(330)의 중심은 지지 몸체(310)의 후방 측에 위치됨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가이드부(330)는 그 연장 방향의 각 단부가 이동 홈(320)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에 비해 일측으로 치우치게 위치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부(330)의 상측 단부 및 하측 단부는, 각각 이동 홈(320)의 상측 단부 및 하측 단부에 비해 상측으로 치우치게 위치된다.
따라서, 이동 홈(320) 및 가이드부(330)에 각각 결합된 이동 부재(400)는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되되, 이동 홈(320) 및 가이드부(330)의 상이한 형상에 기인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부(330)는 가이드 홈(331) 및 가이드 모서리(332)를 포함한다.
가이드 홈(331)은 이동 부재(400)의 가이드 돌기(430)와 결합된다. 가이드 홈(331)은 지지 몸체(310)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어, 가이드 돌기(430)가 관통 결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가이드 홈(331)은 지지 몸체(310)의 외측 면에 함몰 형성되어, 가이드 돌기(430)를 수용할 수 있다.
가이드 홈(331)은 지지 몸체(310)의 연장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가이드 홈(331)은 단일의 중심을 갖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가이드 홈(331)에 인접하게 가이드 모서리(332)가 배치된다.
가이드 모서리(332)는 가이드 홈(331)에 결합된 가이드 돌기(430)(즉, 이동 부재(400)의)를 외측에서 지지한다.
가이드 모서리(332)는 가이드 홈(331)을 부분적으로 덮게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 모서리(332)는 가이드 홈(331)의 전방 측에서 후방 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가이드 홈(331)의 전방 측 부분을 덮을 수 있다.
가이드 모서리(332)는 가이드 홈(33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 모서리(332)는 가이드 홈(331)처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되, 지지 몸체(310)의 외측에 위치되는 단일의 중심을 갖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가이드 돌기(430)는 소정의 각도로 조작된 경우에만 가이드 홈(331)에 삽입되거나 가이드 홈(331)에서 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돌기(430)의 임의 이탈이 방지되어, 가이드 홈(331)과 가이드 돌기(430)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는 이동 부재(400)를 포함한다.
이동 부재(400)는 지지 부재(3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동 부재(400)에는 서브 바이저(220)가 결합되어, 이동 부재(40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이동 부재(400)는 외부 프레임(10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이동 부재(400)는 외부 프레임(100)에 고정 결합되는 지지 부재(3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이동 부재(400)는 지지 부재(300)를 매개로 외부 프레임(1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동 부재(400)는 서브 바이저(22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이동 부재(400)에는 서브 바이저(220)의 단부에 위치되는 서브 돌기(222) 및 서브 개구부(223)가 결합된다. 결합된 서브 바이저(220)는 이동 부재(40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이동 부재(400)는 지지 부재(3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동 부재(400)는 이동 홈(320)과 결합되어 이동 홈(320)을 따라 이동되되, 가이드부(330)와도 결합되어 그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이동 부재(400)는 조정 부재(50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이동 부재(400)는 와이어(W)를 통해 조정 부재(500)와 결합되어, 조정 부재(500)의 조작에 따라 가압되거나 당겨져서 이동될 수 있다.
이동 부재(40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이동 부재(400)는 복수 개의 서브 돌기(222), 서브 개구부(223), 복수 개의 지지 부재(300) 및 조정 부재(500)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이동 부재(400)는 두 개 구비되어, 좌측 및 우측에 위치되는 한 쌍의 지지 부재(300)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두 개의 이동 부재(400)는 서브 바이저(220)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에 위치되는 서브 돌기(222) 및 서브 개구부(223)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이동 부재(400)는 이동 몸체(410), 이동 돌기(420), 가이드 돌기(430) 및 바이저 결합부(440)를 포함한다.
이동 몸체(410)는 이동 부재(400)의 몸체를 형성한다. 이동 몸체(410)는 지지 부재(3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이동 몸체(410)는 지지 몸체(310)에 형성된 이동 홈(320)을 따라 지지 몸체(310)의 연장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동 몸체(410)는 지지 몸체(310)보다 작은 크기를 갖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몸체(410)가 지지 몸체(3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이동되더라도, 이동 몸체(410)가 그 이동 방향을 따라 지지 몸체(3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몸체(410)는 외부 프레임(100)에 구비된 다른 구성을 간섭하거나, 상기 다른 구성에 의해 간섭받지 않고 이동될 수 있다.
이동 몸체(410)는 이동 돌기(420)와 결합된다. 이동 몸체(410)는 이동 돌기(420)를 통해 지지 부재(3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몸체(410)는 가이드 돌기(430)와 결합된다. 이동 몸체(410)의 이동은 가이드 돌기(430)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이동 몸체(410)의 내부에는 바이저 결합부(440)가 형성된다. 이동 몸체(410)는 바이저 결합부(440)에 의해 서브 바이저(22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몸체(410)는 서브 바이저(220)와 결합되어, 지지 부재(30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이동 몸체(410)는 복수 개의 모서리를 포함하는 다각형상의 단면을 갖고, 지지 부재(300)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의 두께를 갖게 형성된다.
이동 몸체(410)는 와이어(W)와 결합된다. 따라서, 와이어(W)는 당겨지거나 가압되면, 이동 부재(400) 및 이에 결합된 서브 바이저(220)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동 몸체(410)의 면 중 지지 부재(300)를 향하는 일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면에는 이동 돌기(420)가 형성된다.
이동 돌기(420)는 이동 부재(400)가 이동 홈(320)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일 실시 예에서, 이동 돌기(420)는 이동 홈(320)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이동 홈(320)이 관통 형성되는 실시 예에서, 이동 돌기(420)는 이동 홈(320)에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돌기(420)는 이동 몸체(410)의 면에서 지지 부재(300)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이동 돌기(420)는 이동 몸체(410)의 면 중 지지 부재(300)를 향하는 내면에 위치된다.
이동 돌기(420)는 이동 홈(3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이동 돌기(420)는 이동 홈(320)의 폭 이하의 직경을 갖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지지 부재(300)를 향하는 방향, 즉, 내측을 향해 연장 형성된 원통 형상이다.
이때, 이동 부재(400)가 지지 부재(300)에 결합되어 이동되는 거리는 이동 돌기(420)와 이동 홈(320)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이동 부재(400)의 일 방향으로의 이동 거리,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으로의 이동 거리는 이동 돌기(420)가 이동 홈(320)의 상측 단부에 접촉될 때까지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동 부재(400)의 타 방향으로의 이동 거리,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으로의 이동 거리는 이동 돌기(420)가 이동 홈(320)의 하측 단부에 접촉될 때까지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이동 돌기(42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이동 돌기(420)는 복수 개의 이동 홈(320)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이동 돌기(420)는 제1 이동 돌기(421) 및 제2 이동 돌기(422)를 포함하여 두 개 구비된다.
제1 이동 돌기(421)는 제1 이동 홈(320a)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이동 돌기(422)는 제2 이동 홈(320b)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제1 이동 돌기(421) 및 제2 이동 돌기(422)의 형상 및 배치 방식은 제1 이동 홈(320a) 및 제2 이동 홈(320b)의 형상 및 배치 방식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가이드 돌기(430)는 지지 부재(300)의 가이드부(33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동 부재(400)의 이동을 안내한다. 가이드 돌기(430)와 가이드부(330)의 결합에 의해, 이동 부재(400)의 공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부재(400)가 지지 부재(3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신뢰성 있게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430)는 이동 몸체(410)와 연속된다. 가이드 돌기(430)는 이동 몸체(410)의 면 중 이동 돌기(420)가 형성된 상기 일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면의 일 모서리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 돌기(430)는 이동 몸체(410)의 상기 일 면의 전방 측 모서리에 위치된다.
가이드 돌기(430)는 이동 몸체(410)의 상기 일 모서리,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모서리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 돌기(430)는 전방 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가이드 돌기(430)는 가이드 홈(33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가이드 돌기(430)는 가이드 홈(331)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홈(331)이 관통 형성되는 실시 예에서, 가이드 돌기(430)는 가이드 홈(331)에 관통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홈(33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가이드 돌기(430)의 외측 방향의 면은 가이드 모서리(332)에 의해 지지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 돌기(430)의 우측 방향의 면은 가이드 모서리(332)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가이드 돌기(430)는 기 설정된 방향 또는 각도로만 가이드 홈(331)과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홈(331)과 결합된 가이드 돌기(43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430)는 가이드부(33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동 부재(40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 돌기(430)는 외측 단부가 외측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내측 단부는 편평하게 형성된다.
바이저 결합부(440)는 서브 바이저(220)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바이저 결합부(440)는 서브 바이저(220)를 지지한다. 이에 따라, 서브 바이저(220)는 이동 부재(400)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
바이저 결합부(440)는 이동 몸체(410)의 내부에 형성된다. 바이저 결합부(440)는 이동 몸체(41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여, 서브 바이저(220)가 이동 부재(400)에 삽입 결합될 수 있게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바이저 결합부(440)는 결합 개구부(441), 결합 공간(442) 및 결합 돌기(443)를 포함한다.
결합 개구부(441)는 서브 바이저(220)가 결합 공간(442)으로 진행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한다. 결합 개구부(441)는 이동 몸체(410)의 일 측에 개방 형성되어, 결합 공간(442)과 외부를 연통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개구부(441)는 이동 몸체(410)의 전방 측 면에 함몰 형성된다.
결합 개구부(441)에는 서브 바이저(220)의 서브 돌기(222)가 관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브 바이저(220)의 각 단부에 배치되는 서브 돌기(222)는 한 쌍 구비되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 개구부(441)는 한 쌍의 서브 돌기(222)가 이격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다.
결합 개구부(441)는 결합 공간(442)과 연통된다. 결합 개구부(441)를 통과한 서브 돌기(222)는 결합 공간(442)으로 진행될 수 있다.
결합 공간(442)은 서브 돌기(222)를 수용하는 공간이다. 결합 공간(442)은 이동 몸체(410)의 내부에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결합 공간(442)은 이동 몸체(410)의 두께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결합 공간(442)은 결합 개구부(441)와 연통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공간(442)의 전방 측이 결합 개구부(441)와 연통된다.
결합 공간(442)의 내부에는 결합 돌기(443)가 위치된다.
결합 돌기(443)는 한 쌍의 서브 돌기(222) 사이에 형성된 공간인 서브 개구부(223)에 수용된다. 결합 돌기(443)는 서브 개구부(223)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서브 돌기(222)를 지지하게 구성된다.
결합 돌기(443)는 한 쌍의 서브 돌기(222)가 서로 마주하는 각 모서리의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돌기(443)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이동 몸체(410)의 두께 방향, 즉 좌우 방향의 높이를 갖는 원통 형상이다.
결합 돌기(443)는 결합 리브(도면 부호 미부여)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돌기(443)의 전방 측 및 후방 측은 각각 결합 리브(도면 부호 미부여)에 의해 지지되어, 이동 몸체(410)의 내주면과 결합된다.
따라서, 결합 돌기(443)에 결합된 서브 돌기(222)가 지지되어, 서브 바이저(220)의 임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지지 부재(300)에 결합된 이동 부재(400)의 이동 과정이 도시된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이동 부재(400)가 상측을 향해 최대로 이동된 상태가 도시된다. 도시된 위치는 제1 위치(P1)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위치(P1)에서, 이동 부재(400)에 결합된 서브 바이저(220) 또한 상측을 향해 최대로 이동되어, 프레임 개구부(120)를 덮는 면적이 최소가 됨이 이해될 것이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이동 부재(400)가 하측을 향해 최대로 이동된 상태가 도시된다. 도시된 위치는 제2 위치(P2)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위치(P2)에서, 이동 부재(400)에 결합된 서브 바이저(220) 또한 하측을 향해 최대로 이동되어, 프레임 개구부(120)를 덮는 면적이 최대가 됨이 이해될 것이다.
제1 위치(P1) 및 제2 위치(P2)는 와이어(W)를 통해 이동 부재(400)와 결합되는 조정 부재(500)가 조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조정 부재(500)가 와이어(W)를 당기거나 가압하는 거리는 다단계로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조정 부재(500)를 세밀하게 조정하지 않고도, 원하는 높이에 서브 바이저(220)를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는 조정 부재(500)를 포함한다.
조정 부재(500)는 와이어(W)를 통해 이동 부재(400)와 결합된다. 조정 부재(500)는 외력에 의해 조작되어, 와이어(W)를 가압하거나 당기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 이동 부재(400) 및 이에 결합된 서브 바이저(220)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되어, 서브 바이저(220)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조정 부재(500)는 외부 프레임(10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조정 부재(500)는 외부 프레임(100)의 부분 중 프레임 개구부(120)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일 부분,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단부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조정 부재(500)는 외부 프레임(100)의 전방 우측의 하측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이때, 조정 부재(500)는 외부 프레임(100)의 외측으로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조정 부재(500)의 일부 구성은 외부 프레임(100)의 내측에 배치되고, 조정 부재(500)의 다른 구성은 외부 프레임(100)의 외측에 배치된다. 착용자는 조정 부재(500)의 상기 다른 구성을 파지 및 조작할 수 있다.
조정 부재(500)는 이동 부재(40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조정 부재(500)는 와이어(W)를 통해 이동 부재(400)와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부재(400)는 서브 바이저(220)와 결합되는 바, 조정 부재(500)는 이동 부재(400)를 매개로 서브 바이저(220)와 결합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조정 부재(500)는 커버부(510), 조정 몸체(520), 다단 조정부(530) 및 이동 조정부(540)를 포함한다.
커버부(510)는 조정 부재(500)의 외측을 형성한다. 커버부(510)는 조정 부재(500)의 다른 구성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게 구성된다. 조정 부재(500)의 다른 구성 중 일부는 커버부(51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착용자에 의해 파지, 조작될 수 있다. 조정 부재(500)의 다른 구성의 다른 일부는 커버부(51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커버부(510)는 조정 몸체(520)와 결합된다. 커버부(510)는 조정 몸체(520)와 결합되는 조정 부재(500)의 일부 구성을 덮으며 조정 몸체(520)와 결합된다.
커버부(510)는 조정 몸체(520)와 결합되어, 조정 부재(500)의 일부 구성을 지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버부(51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일부 모서리가 경사지게 연장된다. 커버부(510)의 연장 방향은 조정 몸체(520)의 연장 방향 및 후술될 이동 조정부(540)의 이동 방향에 대응된다.
커버부(51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커버부(510)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조정 몸체(520)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버부(510)는 외측에서 조정 몸체(520)와 결합되는 제1 커버(511) 및 내측에서 조정 몸체(520)와 결합되는 제2 커버(512)를 포함한다. 제1 커버(511) 및 제2 커버(512)는 조정 몸체(520)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배치된다.
이때, 제1 커버(511)는 조정 부재(500)가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제1 커버(511)는 주행시 발생되는 공기 저항이 최소화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커버(511)는 탈거 가능하게 조정 몸체(5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용자는 제1 커버(511)를 탈거한 후 다단 조정부(530)를 조작할 수 있다.
조정 몸체(520)는 조정 부재(500)의 몸체를 형성한다. 조정 몸체(520)는 커버부(510)와 결합되어, 조정 부재(500)의 다른 구성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조정 몸체(520)는 커버부(51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조정 몸체(52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되, 일부 모서리가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다.
즉, 조정 몸체(520)는 전후 방향의 길이 및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갖게 형성되되, 전후 방향의 길이가 상하 방향의 높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이때, 조정 몸체(520)의 연장 방향, 즉 전후 방향은 이동 조정부(540)가 이동되는 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조정 몸체(520)의 높이 방향, 즉 상하 방ㅎ향은 다단 조정부(530)가 이동되는 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조정 몸체(520)는 다단 조정부(530)와 결합된다. 조정 몸체(520)는 다단 조정부(53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조정 몸체(520)는 다단 조정부(530)가 높이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다단 조정부(530)와 결합될 수 있다.
조정 몸체(520)는 이동 조정부(540)와 결합된다. 조정 몸체(520)는 이동 조정부(54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조정 몸체(520)는 이동 조정부(540)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이동 조정부(540)와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조정 몸체(520)는 조정 관통부(521), 단계 조정부(522) 및 가이드 연장부(523)를 포함한다.
조정 관통부(521)는 다단 조정부(530)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단 조정부(530)는 승강 가능하게 조정 몸체(520)에 결합될 수 있는 바, 조정 관통부(521)는 다단 조정부(530)를 승강 가능하게 수용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조정 관통부(521)는 조정 몸체(520)의 내부에 함몰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조정 관통부(521)는 조정 몸체(520)의 두께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조정 관통부(521)는 다단 조정부(53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조정 관통부(521)는 다단 조정부(530)의 형상에 상응하게, 전후 방향의 폭을 갖고 상하 방향의 높이를 갖는 사각형의 단면을 갖게 형성된다.
이때, 조정 관통부(521)의 상하 방향의 길이, 즉 높이는 다단 조정부(530)의 높이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정 관통부(521)에 수용된 다단 조정부(530)는 제1 상태(S1), 제2 상태(S2) 및 제3 상태(S3)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조정 관통부(521)는 다단 조정부(530)가 이동되기 위한 소정의 경로를 형성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조정 관통부(521)는 조정 몸체(520)의 연장 방향 중 일측에 치우치게 위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조정 관통부(521)는 조정 몸체(520)의 후방 측에 치우치게 위치된다.
조정 관통부(521)의 내부에는 단계 조정부(522)가 구비된다.
단계 조정부(522)는 다단 조정부(530)의 조정 돌기(532)를 이동 가능하게 수용한다. 다단 조정부(530)는 조정 돌기(532)가 단계 조정부(522)에 결합된 상태에서, 조정 관통부(521)의 연장 방향, 즉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단계 조정부(522)는 서로 연통되는 복수 개의 공간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상기 공간이 연통되는 부분은, 각 공간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단계 조정부(522)는 눈사람(snowman)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단계 조정부(522)는 조정 관통부(521)의 연장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연속되는 세 개의 공간을 포함한다. 세 개의 각 공간은 원형의 단면을 갖게 형성되어, 세 개의 공간 중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각 쌍의 공간이 연통되는 부분은, 세 개의 공간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단계 조정부(522)의 어느 하나의 공간에 조정 돌기(532)가 수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다단 조정부(530)에 소정의 크기 이상의 외력(즉, 상측 또는 하측을 향하는 방향의)이 인가될 경우, 조정 돌기(532)는 상기 어느 하나의 공간에서 다른 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단 조정부(530)가 조정 관통부(521)의 연장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
단계 조정부(522)의 상기 공간의 형상은 조정 돌기(532)의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단계 조정부(522)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조정 관통부(521)의 관통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공간으로 형성된다.
단계 조정부(522)에 결합된 조정 돌기(532) 및 다단 조정부(530)의 높이가 단계적으로 조정되는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가이드 연장부(523)는 조정 몸체(5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조정부(54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가이드 연장부(523)는 조정 몸체(520)의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가이드 연장부(523)는 조정 부재(500)의 구성 중 외부 프레임(100)의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다른 부분을 형성한다. 가이드 연장부(523)는 조정 몸체(520)의 면 중 제2 커버(512)를 향하는 일 면, 즉 내면에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 연장부(523)는 조정 몸체(520)의 좌측 면에 결합된다. 가이드 연장부(523)는 제2 커버(512)에 덮이게 배치된다.
다단 조정부(530)는 가이드 연장부(523)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조정부(54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한다. 다단 조정부(530)에 의해 이동 조정부(540)가 이동되는 거리가 다단으로 제한될 수 있다.
착용자는 다단 조정부(530)를 조작하고, 다단 조정부(530)에 접촉될 때까지 이동 조정부(540)를 이동시키는 조작만으로도 서브 바이저(220)를 기 설정된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특정 높이에 서브 바이저(220)를 위치시키기 위한 조작이 간편해지므로, 착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단 조정부(530)는 조정 몸체(5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다단 조정부(530)는 조정 관통부(521) 및 단계 조정부(522)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다. 달리 표현하면, 다단 조정부(530)는 조정 관통부(521)의 연장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정 관통부(521) 및 단계 조정부(522)와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계 조정부(522)는 서로 연속되는 복수 개의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단 조정부(530)는 복수 개의 상기 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에 조정 돌기(532)가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실시 예에서, 다단 조정부(530)는 세 개의 상기 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에 조정 돌기(532)가 결합된 상태, 즉 제1 상태(S1), 제2 상태(S2) 및 제3 상태(S3)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다단 조정부(530)의 상태가 변경됨에 따라, 조정 몸체(5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 조정부(540)가 다단 조정부(530)와 접촉되는 위치, 즉 전후 방향의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조정부(540)의 이동 거리가 제한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단 조정부(530)는 선택적으로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정 몸체(520)에 결합된 다단 조정부(530)는 제1 커버(511)에 의해 덮여, 외부로 임의 노출되지 않는다. 제1 커버(511)가 탈거되면, 다단 조정부(530)는 외부로 노출되어 착용자 등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다단 조정부(530)는 후술될 파지 돌출부(531)가 외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조정 몸체(520)와 결합된다.
다단 조정부(530)는 조정 관통부(521)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다단 조정부(530)는 사각의 판형의 몸체를 갖되, 그 연장 방향의 일 단부, 즉 하측 단부에 제1 조정 단부(533)가 돌출 형성된 다각형의 단면을 갖게 형성된다.
다단 조정부(530)는 조정 몸체(520)의 연장 방향의 일측에 치우치게 위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단 조정부(530)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정 관통부(521)는 조정 몸체(520)의 후방 측에 치우치게 위치된다. 따라서, 다단 조정부(530) 역시 조정 몸체(520)의 후방 측에 치우치게 위치되어, 이동 조정부(540)의 후방 측 이동 거리를 제한하게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다단 조정부(530)는 파지 돌출부(531), 조정 돌기(532), 제1 조정 단부(533) 및 제2 조정 단부(534)를 포함한다.
파지 돌출부(531)는 착용자 등에 의해 파지되는 부분이다. 파지 돌출부(531)는 제1 커버(511)를 향하는 방향, 즉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파지 돌출부(531)는 다단 조정부(530)의 면 중 외측을 향하는 일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 면에 위치된다.
파지 돌출부(531)는 다단 조정부(530)에서 돌출되어, 착용자 등에 의해 파지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파지 돌출부(531)는 조정 몸체(520)의 연장 방향, 즉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조정 몸체(520)의 두께 방향 중 외측 방향, 즉 우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파지 돌출부(531)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파지 돌출부(531)는 다단 조정부(53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파지 돌출부(531)는 세 개 구비되어,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복수 개의 파지 돌출부(531)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방향은 다단 조정부(530)가 이동되는 방향과 같음이 이해될 것이다.
조정 돌기(532)는 다단 조정부(530)가 조정 몸체(52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조정 돌기(532)는 단계 조정부(522)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에 수용된다. 조정 돌기(532)는 복수 개의 공간 중 상기 어느 하나의 공간과 인접하게 위치되는 다른 하나의 공간으로 이동 가능하게 단계 조정부(522)에 결합된다.
조정 돌기(532)는 제2 커버(512)를 향하는 방향, 즉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조정 돌기(532)와 파지 돌출부(531)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조정 돌기(532)는 다단 조정부(530)의 면 중 내측을 향하는 타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면에 위치된다.
조정 돌기(532)는 다단 조정부(530)에서 돌출되어, 단계 조정부(52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조정 돌기(532)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내측을 향하는 방향의 높이를 갖는 원통 형상이다.
제1 조정 단부(533)는 다단 조정부(530)가 특정 위치에 위치된 상태(즉, 제2 상태(S2))에서 이동 조정부(540)와 접촉되어, 이동 조정부(54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단 조정부(530)는 조정 몸체(520)의 후방 측에 치우치게 위치되는 바, 제1 조정 단부(533)는 이동 조정부(540)의 후방 측 이동 거리를 제한하게 구성됨이 이해될 것이다.
제1 조정 단부(533)는 다단 조정부(530)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다단 조정부(53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1 조정 단부(533)는 다단 조정부(530)의 하측 단부에서 하측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제1 조정 단부(533)는 다단 조정부(530)의 폭 방향의 일측에 치우치게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조정 단부(533)가 치우치는 상기 일측은 다단 조정부(530)가 조정 몸체(520)에 대해 치우치는 일측과 같은 방향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조정 단부(533)는 다단 조정부(530)의 후방 측에 치우치게 위치된다.
제2 조정 단부(534)는 다단 조정부(530)가 다른 특정 위치에 위치된 상태(즉, 제3 상태(S3))에서 이동 조정부(540)와 접촉되어, 이동 조정부(54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단 조정부(530)는 조정 몸체(520)의 후방 측에 치우치게 위치되므로, 제2 조정 단부(534)는 이동 조정부(540)의 후방 측 이동 거리를 제한하게 구성된다고 할 수 있다.
제2 조정 단부(534)는 다단 조정부(530)의 일 모서리로 정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조정 단부(534)는 다단 조정부(530)의 모서리 중 제1 조정 단부(533)가 치우치게 위치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 즉 전방 측 모서리로 정의된다.
따라서, 제2 조정 단부(534)는 제1 조정 단부(533)에 비해 상대적으로 이동 조정부(540)에 더 인접하게 위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제2 조정 단부(534)는 제1 조정 단부(533)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방 측에 위치된다.
제1 조정 단부(533)는 제2 상태(S2)에서 이동 조정부(540)와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제2 조정 단부(534)는 제3 상태(S3)에서 이동 조정부(540)와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제1 조정 단부(533)는 제2 조정 단부(534)에 비해 후방 측에 치우치게 위치된다. 따라서, 제2 조정 단부(534)가 이동 조정부(540)와 접촉되는 제3 상태(S3)에 비해, 이동 조정부(540)가 후방 측으로 더 이동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다단 조정부(530)의 상태가 조정되고, 이에 따라 이동 조정부(540)의 이동 거리가 제한되는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동 조정부(540)는 와이어(W)를 통해 이동 부재(400)와 결합되어, 이동 부재(400) 및 이에 결합된 서브 바이저(220)의 위치를 실질적으로 조정한다. 이동 조정부(540)는 조정 몸체(520)의 연장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정 몸체(520)와 결합된다.
이동 조정부(540)는 조정 몸체(5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이동 조정부(540)는 가이드 연장부(523)에 결합되어, 가이드 연장부(523)의 연장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 조정부(540)는 가이드 연장부(523)가 배치되는 위치, 즉 조정 몸체(520)와 제2 커버(512) 사이에 위치된다. 이동 조정부(540)는 제2 커버(512)에 덮이며 조정 몸체(520)와 결합된다.
이때, 이동 조정부(540)의 전방 측 이동 거리는 가이드 연장부(523)의 전방 측 단부에 형성된 돌기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이동 조정부(540)의 후방 측 이동 거리는 제2 커버(512)의 내측 벽 또는 다단 조정부(530)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단 조정부(530)가 제1 상태(S1)로 위치된 경우, 이동 조정부(540)의 후방 측 이동 거리는 제2 커버(512)의 내측 벽에 의해 제한된다. 다단 조정부(530)가 제2 상태(S2) 또는 제3 상태(S3)로 위치된 경우, 이동 조정부(540)의 후방 측 이동 거리는 제1 조정 단부(533) 또는 제2 조정 단부(534)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이동 조정부(540)는 파지부(541), 와이어 체결부(542), 가이드 공간부(543) 및 접촉 단부(544)를 포함한다.
파지부(541)는 착용자 등에 의해 파지되는 부분이다. 파지부(541)는 두부 보호 장비(10)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배치된다.
파지부(541)는 이동 조정부(540)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를 형성한다. 따라서, 파지부(541)는 커버부(510)의 하측을 통해 두부 보호 장비(1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착용자 등은 파지부(541)를 가압하거나 당겨서 이동 조정부(54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와이어 체결부(542)는 이동 조정부(540)가 와이어(W)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와이어 체결부(542)는 이동 조정부(540)의 내부에 관통 또는 함몰 형성되어, 와이어(W)의 단부와 결합된다.
와이어 체결부(542)는 파지부(541)와 반대되게 위치될 수 있다. 즉, 와이어 체결부(542)는 이동 조정부(540)의 연장 방향의 타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와이어 체결부(542)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와이어 체결부(542)는 복수 개의 와이어(W)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와이어 체결부(542)는 두 개 구비된다. 와이어 체결부(542)의 개수는 와이어(W)의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파지부(541)와 와이어 체결부(542) 사이에는 가이드 공간부(543) 및 접촉 단부(544)가 형성된다.
가이드 공간부(543)는 가이드 연장부(523)가 결합되는 공간이다. 가이드 공간부(543)는 이동 조정부(540)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어, 가이드 연장부(523)가 관통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 공간부(543)는 이동 조정부(540)의 이동 방향, 즉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가이드 공간부(543)에 인접하게 접촉 단부(544)가 위치된다.
접촉 단부(544)는 이동 조정부(540)의 이동에 따라 가이드 연장부(523)의 후방 측 단부, 제1 조정 단부(533) 및 제2 조정 단부(534) 중 어느 하나와 접촉된다. 상기 접촉에 의해, 이동 조정부(540)의 후방 측으로의 이동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접촉 단부(544)는 조정 몸체(520)를 향하는 방향의 일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 면에 형성된다. 접촉 단부(544)는 조정 몸체(520)를 향하는 방향, 즉 우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접촉 단부(544)는 이동 조정부(540)의 이동 방향 중 다단 조정부(530)를 향하는 일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 치우치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조정부(540)가 후방 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접촉 단부(544)가 가장 먼저 가이드 연장부(523)의 후방 측 단부, 제1 조정 단부(533) 및 제2 조정 단부(534) 중 어느 하나와 접촉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는 빛 등을 차단 또는 감소하기 위한 서브 바이저(220)를 포함한다. 서브 바이저(220)는 지지 부재(3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부재(400)와 결합되어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이동 부재(400)는 와이어(W)에 의해 조정 부재(500)와 결합되어, 조정 부재(500)의 조정에 의해 이동 부재(400) 및 서브 바이저(220)가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조정 부재(500)에는 다단 조정부(530) 및 이동 조정부(540)가 구비된다. 다단 조정부(530)에 의해 이동 조정부(540)의 이동 거리가 제한된다. 이에 따라, 착용자 등은 다단 조정부(530)에 접촉될 때까지 이동 조정부(540)를 이동시키는 간명한 조작만으로 서브 바이저(22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에 구비되는 서브 바이저(220)의 높이가 조정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다단 조정부(530)가 가장 상측에 위치된 상태, 즉 제1 상태(S1)가 도시된다. 제1 상태(S1)에서, 다단 조정부(530)는 조정 관통부(521)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이때, 조정 돌기(532)는 단계 조정부(522)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공간 중 가장 상측에 위치되는 공간에 수용된다.
제1 상태(S1)에서, 다단 조정부(530)의 제1 조정 단부(533)는 가이드 연장부(523)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 연장부(523)에 결합된 이동 조정부(540)가 다단 조정부(530)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으로 이동되더라도, 접촉 단부(544)와 다단 조정부(530)가 접촉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동 조정부(540)는 접촉 단부(544)가 가이드 연장부(523)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 즉 후방 측 단부와 접촉될 때까지 후방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상태(S1)에서 이동 조정부(540)가 다단 조정부(530)를 향하는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으로 끝까지 이동되면, 이동 부재(400)가 이동 홈(320)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에 접촉될 수 있다(도 8의 (b) 참조).
즉, 제1 상태(S1)에서 이동 조정부(540)가 후방 측으로 최대로 이동됨에 따라, 서브 바이저(220)는 프레임 개구부(120)를 덮는 면적이 최대인 제2 위치(P2)로 이동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다단 조정부(530)가 중간 부분에 위치된 상태, 즉 제2 상태(S2)가 도시된다. 제2 상태(S2)에서, 다단 조정부(530)는 조정 관통부(521)의 연장 방향의 상기 일 단부 및 타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 및 하측 단부 사이에 위치된다. 이때, 조정 돌기(532)는 단계 조정부(522)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공간 중 중간에 위치되는 공간에 수용된다.
제2 상태(S2)에서, 다단 조정부(530)의 제1 조정 단부(533)는 가이드 연장부(523)에 인접하게 위치되되, 제2 조정 단부(534)는 가이드 연장부(523)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 연장부(523)에 결합된 이동 조정부(540)가 다단 조정부(530)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으로 이동되면 접촉 단부(544)가 제1 조정 단부(533)와 접촉된다.
즉, 이동 조정부(540)는 접촉 단부(544)가 제1 조정 단부(533)와 접촉될 때까지 후방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제1 조정 단부(533)는 소정의 폭을 갖게 형성된다. 따라서, 접촉 단부(544)가 제1 조정 단부(533)와 접촉되는 위치는, 접촉 단부(544)가 가이드 연장부(523)의 후방 측 단부와 접촉되는 위치에 비해 전방 측에 위치됨에 이해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제2 상태(S2)에서, 이동 조정부(540)는 제1 상태(S1)에 비해 후방 측으로의 이동 거리가 감소된다. 즉, 제2 상태(S2)에서 후방 측으로 끝까지 이동된 이동 조정부(540)는 제1 상태(S1)에서 후방 측으로 끝까지 이동된 이동 조정부(540)에 비해 전방 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제2 상태(S2)에서 이동 조정부(540)가 다단 조정부(530)를 향하는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으로 끝까지 이동되면, 이동 부재(400)가 이동 홈(320)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 및 타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 및 하측 단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제2 상태(S2)에서 이동 조정부(540)가 후방 측으로 최대로 이동됨에 따라, 서브 바이저(220)는 제2 위치(P2)보다 높게 위치되어, 프레임 개구부(120)를 부분적으로 덮게 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다단 조정부(530)가 가장 하측에 위치된 상태, 즉 제3 상태(S3)가 도시된다. 제3 상태(S3)에서, 다단 조정부(530)는 조정 관통부(521)의 연장 방향의 상기 타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이때, 조정 돌기(532)는 단계 조정부(522)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공간 중 하측에 위치되는 공간에 수용된다.
제3 상태(S3)에서, 다단 조정부(530)의 제1 조정 단부(533)는 가이드 연장부(523)의 하측에 위치되되, 제2 조정 단부(534)는 가이드 연장부(523)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 연장부(523)에 결합된 이동 조정부(540)가 다단 조정부(530)를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으로 이동되면 접촉 단부(544)가 제2 조정 단부(534)와 접촉된다.
즉, 이동 조정부(540)는 접촉 단부(544)가 제2 조정 단부(534)와 접촉될 때까지 후방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제2 조정 단부(534)는 제1 조정 단부(533)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방 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접촉 단부(544)가 제2 조정 단부(534)와 접촉되는 위치는, 접촉 단부(544)가 제1 조정 단부(533)와 접촉되는 위치에 비해 전방 측에 위치됨에 이해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제3 상태(S3)에서, 이동 조정부(540)는 제2 상태(S2)에 비해 후방 측으로의 이동 거리가 감소된다. 즉, 제3 상태(S3)에서 후방 측으로 끝까지 이동된 이동 조정부(540)는 제2 상태(S2)에서 후방 측으로 끝까지 이동된 이동 조정부(540)에 비해 전방 측에 위치된다.
따라서, 제3 상태(S3)에서 이동 조정부(540)가 다단 조정부(530)를 향하는 방향,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으로 끝까지 이동되면, 이동 부재(400)가 이동 홈(320)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 및 타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 및 하측 단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이동 부재(400)는 제2 상태(S2)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됨이 이해될 것이다.
즉, 제3 상태(S3)에서 이동 조정부(540)가 후방 측으로 최대로 이동됨에 따라, 서브 바이저(220)는 제2 위치(P2)보다 높게 위치되어, 프레임 개구부(120)를 부분적으로 덮게 된다. 이때, 서브 바이저(220)가 프레임 개구부(120)를 덮는 면적은 제2 상태(S2)에 비해 감소됨이 이해될 것이다.
한편, 이동 조정부(540)가 다단 조정부(530)에 반대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으로 끝까지 이동되면, 이동 부재(400)가 이동 홈(320)의 연장 방향의 타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에 접촉될 수 있다(도 8의 (a) 참조).
즉, 이동 조정부(540)가 전방 측으로 최대로 이동됨에 따라, 서브 바이저(220)는 프레임 개구부(120)를 덮는 면적이 최소인 제1 위치(P1)로 이동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동 조정부(540)의 이동에 따른 이동 부재(400)의 이동 방향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이동 조정부(540)가 전방 측으로 이동될 경우 이동 부재(400)가 상승되고, 이동 조정부(540)가 후방 측으로 이동될 경우 이동 부재(400)가 하강되게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이동 조정부(540)가 전방 측으로 이동될 경우 이동 부재(400)가 하강되고, 이동 조정부(540)가 후방 측으로 이동될 경우 이동 부재(400)가 상승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두부 보호 장비 100: 외부 프레임
110: 수용 공간 120: 프레임 개구부
200: 바이저부 210: 메인 바이저
220: 서브 바이저 221: 서브 바이저 몸체
222: 서브 돌기 223: 서브 개구부
300: 지지 부재 310: 지지 몸체
320: 이동 홈 320a: 제1 이동 홈
320b: 제2 이동 홈 321: 제1 연장부
322: 제2 연장부 330: 가이드부
331: 가이드 홈 332: 가이드 모서리
400: 이동 부재 410: 이동 몸체
420: 이동 돌기 421: 제1 이동 돌기
422: 제2 이동 돌기 430: 가이드 돌기
440: 바이저 결합부 441: 결합 개구부
442: 결합 공간 443: 결합 돌기
500: 조정 부재 510: 커버부
511: 제1 커버 512: 제2 커버
520: 조정 몸체 521: 조정 관통부
522: 단계 조정부 523: 가이드 연장부
530: 다단 조정부 531: 파지 돌출부
532: 조정 돌기 533: 제1 조정 단부
534: 제2 조정 단부 540: 이동 조정부
541: 파지부 542: 와이어 체결부
543: 가이드 공간부 544: 접촉 단부
P1: 제1 위치 P2: 제2 위치
S1: 제1 상태 S2: 제2 상태
S3: 제3 상태 C1: 제1 곡률
C2: 제2 곡률 Center1: 제1 중심
Center2: 제2 중심 W: 와이어

Claims (16)

  1. 전방 측에 프레임 개구부가 개방 형성된 외부 프레임;
    상기 외부 프레임의 상기 전방 측을 부분적으로 덮으며 상기 외부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 바이저;
    상기 외부 프레임 및 상기 서브 바이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서브 바이저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서브 바이저와 결합되어 상기 서브 바이저와 함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서브 바이저가 상기 프레임 개구부를 개방하는 제1 위치; 및
    상기 서브 바이저가 상기 프레임 개구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두부 보호 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 몸체; 및
    상기 지지 몸체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지지 몸체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어, 상기 이동 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홈을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홈은,
    전방 측 및 후방 측 중 어느 하나에 중심을 갖고, 소정의 제1 곡률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와 연속되고, 전방 측 및 후방 측 중 다른 하나에 중심을 가지며, 소정의 제2 곡률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의 상기 제1 곡률 및 상기 제2 연장부의 상기 제2 곡률은 서로 상이한,
    두부 보호 장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의 상기 제1 곡률은, 상기 제2 연장부의 상기 제2 곡률 이상으로 형성되는,
    두부 보호 장비.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의 상기 제1 곡률 및 상기 제2 연장부의 상기 제2 곡률 중 어느 하나의 곡률은 영(zero)인,
    두부 보호 장비.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홈은,
    그 일부를 각각 형성하며, 서로 연속되는 복수 개의 연장부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연장부 중 서로 인접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상기 연장부는,
    전방 측 및 후방 측 중 서로 다른 측에 각각 중심을 갖고, 서로 다른 곡률로 연장되는,
    두부 보호 장비.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이동 홈과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지지 몸체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어, 결합된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게 구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지지 몸체의 내부에 관통 형성된 가이드 홈; 및
    상기 가이드 홈을 외측에서 덮으며,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연장되어, 결합된 상기 이동 부재를 지지하게 구성되는 가이드 모서리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서브 바이저가 결합되는 바이저 결합부; 및
    상기 지지 부재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 부재의 가이드 홈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가이드 돌기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지지 부재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 부재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는 이동 홈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돌기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지지 부재 및 상기 이동 부재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조정 부재; 및
    상기 조정 부재 및 상기 이동 부재와 각각 결합되어 함께 이동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부재는,
    일 방향으로 소정의 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외부 프레임에 결합되는 다단 조정부; 및
    타 방향을 따라 상기 다단 조정부를 향하는 방향 및 이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외부 프레임 및 상기 와이어와 결합되는 이동 조정부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 조정부는,
    상기 소정의 경로의 일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이동 조정부와 이격되는 제1 상태;
    상기 소정의 경로의 상기 일 단부 및 타 단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이동 조정부와 접촉되는 제2 상태; 및
    상기 소정의 경로의 상기 타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이동 조정부와 접촉되는 제3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유지되는,
    두부 보호 장비.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 조정부는,
    상기 일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이동 조정부와 접촉되는 제1 조정 단부; 및
    상기 제1 조정 단부와 연속되며, 상기 제3 상태에서 상기 이동 조정부와 접촉되는 제2 조정 단부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조정부가 상기 다단 조정부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최대로 이동되면, 상기 이동 부재가 상기 제1 위치로 이동되는,
    두부 보호 장비.
PCT/KR2023/004283 2022-05-03 2023-03-30 두부 보호 장비 WO202321469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711 2022-05-03
KR1020220054711A KR102627598B1 (ko) 2022-05-03 2022-05-03 두부 보호 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14690A1 true WO2023214690A1 (ko) 2023-11-09

Family

ID=88646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04283 WO2023214690A1 (ko) 2022-05-03 2023-03-30 두부 보호 장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27598B1 (ko)
WO (1) WO2023214690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7816A (en) * 1991-12-10 1993-01-1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Helmet visor support apparatus
JP2009074230A (ja) * 2007-09-18 2009-04-09 Opticos Srl 追加内側バイザ付き安全ヘルメット
KR101878275B1 (ko) * 2011-07-28 2018-07-13 가부시키가이샤 쇼우에이 헬멧의 바이저 장착 기구
JP2018523020A (ja) * 2015-06-24 2018-08-16 トロイア、ジョヴァンニ ディ 防眩バイザを備えた保護ヘルメット
JP6789266B2 (ja) * 2018-05-01 2020-11-25 株式会社Shoei ヘルメッ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851Y1 (ko) 2007-02-07 2008-05-08 강일호 오토바이 헬멧용 선바이저
JP6259640B2 (ja) 2013-10-31 2018-01-10 株式会社アライヘルメット ヘルメット用シールド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7816A (en) * 1991-12-10 1993-01-1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Helmet visor support apparatus
JP2009074230A (ja) * 2007-09-18 2009-04-09 Opticos Srl 追加内側バイザ付き安全ヘルメット
KR101878275B1 (ko) * 2011-07-28 2018-07-13 가부시키가이샤 쇼우에이 헬멧의 바이저 장착 기구
JP2018523020A (ja) * 2015-06-24 2018-08-16 トロイア、ジョヴァンニ ディ 防眩バイザを備えた保護ヘルメット
JP6789266B2 (ja) * 2018-05-01 2020-11-25 株式会社Shoei ヘルメ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7598B1 (ko) 2024-01-23
KR20230155180A (ko) 2023-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60099A1 (en) Display apparatus
WO2010068070A2 (ko) 양면날면도기
WO2020145718A1 (ko) 디스플레이용 기판
WO2018110856A1 (ko) 회전장치
WO2022010061A1 (ko)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WO2012087057A2 (ko) 의류처리장치
WO2017116053A1 (en) Latch assembly for vehicle trunk door
WO2021091228A1 (ko) 헬멧용 프론트 커버, 헬멧용 쉘 및 이들을 포함하는 헬멧
WO2015088175A1 (en) Headrest folding apparatus
WO2020179965A1 (en) Headrest
WO2015142122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17003226A1 (ko) 비이격귀걸이 유닛, 이를 구비한 안경테 및 이를 구비한 안경
WO2020158964A1 (ko) 액션 로봇
WO2018038371A1 (ko) 청소기
WO2020055216A1 (ko) 청소기
WO2022119089A1 (ko) 차량 기어 노브
WO2021071348A1 (ko)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
WO2023214690A1 (ko) 두부 보호 장비
WO2020235705A1 (ko) 액션 로봇
WO2023003112A1 (ko) 셔터 어셈블리, 락킹장치, 배전반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배전반
WO2018038372A1 (ko) 청소기
WO2023249215A1 (ko) 두부 보호 장비
WO2018044095A1 (ko) 밴드, 제어 장치 및 밴드 조절 장치
WO2020235708A1 (ko) 액션 로봇
WO2018155836A1 (ko) 이동단말기의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79957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