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44095A1 - 밴드, 제어 장치 및 밴드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밴드, 제어 장치 및 밴드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44095A1
WO2018044095A1 PCT/KR2017/009546 KR2017009546W WO2018044095A1 WO 2018044095 A1 WO2018044095 A1 WO 2018044095A1 KR 2017009546 W KR2017009546 W KR 2017009546W WO 2018044095 A1 WO2018044095 A1 WO 201804409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and
external force
side wall
uni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954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류양석
Original Assignee
류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11294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832430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13564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850763B1/ko
Application filed by 류양석 filed Critical 류양석
Priority to CN201780054033.6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9688862B/zh
Priority to JP2019500204A priority patent/JP6707170B2/ja
Publication of WO201804409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4409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16Strap held by spring ac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nd, a control device and a band adjus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rol device for providing convenience to a user while miniaturizing the device.
  • the buckle device used for such an attachment is basically composed of a band and a buckle, and the buckle is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band or is provided at the waist portion of the pants or a skirt, so that the waist circumference of the pants or skirt is attached to the waistline of the wearer. It provides the function to adjust accordingly.
  • the buckle used for this purpose is provided with a free slide movement by pulling the ban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nd is tightened, that is, the forward direction, but the movement is interrup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nd is released, that is, the reverse direction The tightening state is not released.
  • Conventional buckle has a buckle housing through which the band passes, a button mounted to be rotatable in the buckle housing and the locking means for positioning the band is controlled by the butt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d to the button It includes a spring that provides an elastic force.
  • the button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buckle is rotatable protruding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buckle housing, and when the user releases the tightening state of the band, by rotating the button protrud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buckle housing to implement this.
  • the conventional buckle has a problem that is broken by the repeated use of the button is not excellent durabilit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ssembly process is complicated by a large number of parts.
  • the conventional band used in the conventional buckle is to be inserted into the buckle housing, it is caught in the buckle housing when inserted, there was a problem to simply insert.
  •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device that provides convenience to the user, implements miniaturization, and prevents unintended release of the tightening state of the band.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nd and a band adjus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which is developed to provide convenience to a user.
  • the movement of the band in the first direction is free, but the movement in the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is selectively implemented, one side of the band A body part having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an end is inserted and an outlet space from which one end of the b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flows out; And position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portion so as not to protrude to the outside, the position change is possible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on the basis of the rotation axis, in the case of the first position the band in contact with the band A band control unit for freely moving in the first direction, but freeing the band in the second direction while being in non-contact with the band in the second position; Positioned at a third position such that the band control unit is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and the band control unit is in contact with the band control unit to change the position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at the third position It may include; an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that is changed in position to the fourth position.
  •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of the control device by rotating the band control unit by a linear motion from the third position to the fourth position to change the position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It may be characterized by.
  •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of the control device the contact portion and the inside which is located in the inner space to change the band control unit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by contact with the band control unit It may be characterized by having an external force applying portion which is located outside the space to apply the external force required for the movement of the position of the contact portion.
  • the body portion of the control device includes a front side wall, a rear side wall, an upper side wall and a lower side wall defining the internal space, wherein the internal space is between the front side wall and the rear side wall.
  • the band control unit may have a constant size regardless of whether the position of the band control unit is the first position or the second position.
  • the band control part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part.
  • the band control unit of the control device after bending from the body portion, and provided with a change portion formed to be inclined or rounded toward the band located in the inner space,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The band control unit may be chang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by contact with the change unit by an external force.
  • the band control unit of the control device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band control unit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ity retained by itself to return to the first position from the second position.
  • the body portion of the control device includes a front side wall, a rear side wall, an upper side wall and a lower side wall defining the inner space, wherein the upper side wall and the lower side wall are moving directions of the band.
  • the through force is formed to be penetrated along the length
  •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portion is arranged to be movable in the through portion
  • the band control portion is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front side wall
  • the band control unit when the band control unit is chang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by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by the external force, and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band control unit It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portion located in the inner space to return to the first position from the second position.
  • the body portion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ixing portion provided on the insertion space side to prevent the band control portion is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by the pressing force by the elastic portion It can be characterized by including.
  • the body portion of the control device when the band control portion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by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portion, the elastic portion is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fixing part provided at the side of the outlet space and in contact with the elastic part so as to prevent it.
  • the control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external force providing unit connected to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unit and providing an external force necessary for moving the position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unit.
  •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part of the control device may be disposed outside the body part to cover at least one of a front side wall of the body part and a rear side wall of the body part.
  •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part of the control device may be disposed outside the body part to cover at least one of an upper side wall of the body part and a lower side wall of the body part.
  •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unit of the control device may be characterized by moving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from the third position to the fourth position by a linear motion.
  • the number of parts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prior art, thereby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 the sliding of the band can be made smooth and at the same time easy to operate the sliding can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 the band can be smoothly inserted into the control device to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 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band adjusting device including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schematic front view for explaining a band adjusting device including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 FIG. 4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5 and 6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that the band is moved by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of a method in which a band control unit provided in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to a body part.
  •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dification of the band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band adjusting device including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1 and 12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that the band is moved by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band adjusting device including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band adjusting device including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5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4.
  • 17 and 1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that the band is moved by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9 shows a first modification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1 and 22 illustrate examples of use of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4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23;
  • 2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unlocking the locking part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6 is another schematic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23; FIG.
  • FIG. 2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unlocking the lock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FIG.
  • FIG. 2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9 and 30 are schematic 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28;
  • 31 and 32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showing a band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3 and 34 are views showing the band and the control device provided in the band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5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EE of FIG. 31;
  • FIG. 36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band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7 to 40 are views for explaining a band provided in the band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1 is a view showing an initial state where a band is inserted into a control device.
  • FIG 42 and 43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that the band is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from the control device provided in the band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44 and 4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use of the band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 46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band provided to the band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ovement of the band in the first direction is free, but the movement in the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is selectively implemented, one side of the band A body part having an insertion space into which an end is inserted and an outlet space from which one end of the b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flows out; And position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portion so as not to protrude to the outside, the position change is possible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on the basis of the rotation axis, in the case of the first position the band in contact with the band A band control unit for freely moving in the first direction, but freeing the band in the second direction while being in non-contact with the band in the second position; Positioned at a third position such that the band control unit is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and the band control unit is in contact with the band control unit to change the position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at the third position It may include; an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that is changed in position to the fourth position.
  • control device may be utilized in various products such as bags, shoes, clothing, belts and watch bands, and may also be used to enable fine adjustment of the length to be used in suspenders.
  • 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nd adjusting device including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llustrates a band adjusting device including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front view for doing this.
  • FIG.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 FIG. 4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and adjusting device 10 may include a band B and a control device 100.
  • the control device 100 frees the movement of the band B in the first direction D1, while the control device 100 moves the band B in the second direction D2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D1. May be a kind of buckle to be selectively implemented.
  • the control device 100 may include a body part 110, a band control part 120, and an external force transmission part 140, and schematically, the body part 110 provides an appearance of the control device 100. can do.
  • the body 110 has an insertion space S1 into which one end of the band B is inserted and an outlet space S2 through which one end of the band B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S1 flows out. It may be a component having.
  • the band control unit 120 is located in the internal space (S3) of the body portion 110 so as not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body portion 110, the position change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 the band B In the first position, the band B may move freely in the first direction D1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band B.
  •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140 is located at a third position such that the band control unit 120 is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and the band control unit 120 is positioned at the second position. It may be a component that changes the position from the third position to the fourth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band control unit 120 to change.
  • the first location and the third location may be the location shown in FIG. 3, and the second location and the fourth location may be the location shown in FIG. 6.
  •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140 may be a kind of switch for implementing the movement in the second direction D2 of the band B, and may perform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 external force of the user to the band control unit 120. have.
  •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unit 140 may linearly move from the third position to the fourth position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band control unit 120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 the band control unit 120 may be rotated by the linear motion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140, the position change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by this rotational movement.
  •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may be a position defined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band control unit 120, wherein the third position and the fourth position,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140 It may be a position defined by linear motion.
  • the third position and the fourth position may be positions defined by linear motion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14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140 may be located between the band control unit 120 and the band (B), and implements the positional movement between the third position and the fourth position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140
  • the body part 110 may include a through part 111 formed therethrough.
  • the through part 111 is the upper side wall (112) of the front side wall 112, the rear side wall 114, the upper side wall 116 and the lower side wall 118 defining the internal space (S3) of the body portion 110 ( 116 and the lower side wall 118.
  • the through part 111 may be formed to penetrate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a moving direction of the band B, that is,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art 140 may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part 111.
  • the position movement may be arranged in the through part 111.
  •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140 is located in the internal space S3 and the contact unit 142 for changing the band control unit 120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by contact with the band control unit 120.
  • an external force applying unit 144 positioned outside the internal space S3 to apply an external force necessary for moving the position of the contact unit 142.
  • At least one of the external force applying unit 144 may be detachable from the contact unit 142 for ease of assembly.
  • the external force applying unit 144 may be a component that receives an external force by a user's finger, and the contact unit 142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force applying unit 144 to move in conjunction with the contact unit 142. It may be a component.
  • the band control unit 120 is formed to be inclined or round the band (B) located in the internal space (S3) from the reference portion 122 and the reference portion 122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front side wall (112). It may be provided with a change unit 124 is formed forklift.
  • the reference unit 122 may provide a rotation axis for changing the band control unit 120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 the reference unit 122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to form a spac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 the reference unit 122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a dense structure inside.
  • the contact surface of the reference portion 12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side wall 112 of the body portion 110 may be rounded to facilitate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band control unit 120.
  • the band control unit 120 may be limited in movement in the first direction D1 by the first protrusion 119 protruding from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ront side wall 112.
  • the band control unit 120 is chang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by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140 by the external force, if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band control unit 120 is the internal space
  • the elastic part 130 positioned at S3 may automatically return to the first position from the second position.
  • the band control unit 120 may be pressed toward the insertion space S1 by the elastic unit 130, that is, pressed in the second direction D2, but may be pressed by the elastic unit 130. Nevertheless, it may be stably positioned at the insertion space S1 of the body 110 by the first fixing part 117 formed at the insertion space S1 of the body 110.
  • the band control unit 120 contacts the inner side of the front side wall 112 of the reference unit 122 and the body unit 110 and the reference unit 122 and the first fixing unit 117. Due to the contact with the support load is maximized with respect to the load applied to the band control unit 120.
  • the first fixing part 117 may be formed by bending the body part 11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by various methods.
  • the elastic unit 130 may be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band control unit 120 is changed in position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by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unit 140.
  •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unit 140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is removed, the band control unit 120 may be returned to the first position from the second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by the elastic deformation.
  • the body portion 110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fixing portion 115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elastic portion 130 on the outlet space (S2) side.
  • the second fixing unit 115 moves the elastic unit 130 in the first direction. It may be a component that is provided on the outlet space (S2) side in contact with the elastic portion 130 to prevent movement to (D1).
  • the elastic portion 130 is a support portion 132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outlet portion (S2) side of the body portion 110, the elastic force providing portion extending inclined toward the band (B) from the support portion 132 ( 134), an anti-rolling part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wing part 136 and the wing part 136 which is bent at a first angle after being cut from the support part 132 and bent at a second angle greater than the first angle ( 138).
  • the second angle may be approximately 90 degrees based on the support part 132.
  • the second fixing part 115 may be formed by bending the body part 110 a plurality of times, and spaces S4 for allowing the wing part 136 of the elastic part 130 to be inserted at both sides thereof. Can be formed.
  • the anti-rolling part 138 may be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part 115 on which the space S4 is formed.
  • the anti-rolling part 138 may prevent a phenomenon in which the elastic force providing part 134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part 115 to be pushed toward the outflow space S2. .
  • the elastic part 130 may be stably fixed by the second protrusion 113 protruding from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ront side wall 112 of the body part 110.
  • 5 and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that the band is moved by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and B when the band B is introduced into the insertion space S1 into the contro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d B is the band control unit 120. Movement in the first direction D1 may be free.
  • an external force may be applied to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unit 140 to move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unit 140 in the first direction D1.
  • the band control unit 120 rotates based on the rotation axis, and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unit B1 of the band B.
  • the band B may move freely in the second direction D2.
  • the elastic unit 130 may be elastically deformed.
  • the band control unit 120 and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unit 140 may be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by the restoring force due to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elastic unit 130. Can be returned.
  • the inner space S3 may be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when the band B is located between the front side wall 112 and the rear side wall 114 of the body 110. It may have a constant size regardless of the second position.
  • the internal space S3 may have a predetermined size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140 and the position of the band control unit 120.
  • the supporting load is improved to prevent breakage of the band B, and the overall slimming is possible.
  • the user grips only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unit 140 with one hand and grips the band B with the other hand. If only the external force for moving the band (B) in the second direction (D2) is applied, the band control unit 120 that is caught on the locking portion (B1) of the band (B) is naturally released, thereby increasing convenience It will work.
  • control device 100 may be provided with a component that can adjust whether the linear force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140, for example, the wedge-shaped switch body It is mounted to the part 100 so as to be movable in position, it is possible to disable the linear movement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140 by the switch.
  • a component that can adjust whether the linear force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140 for example, the wedge-shaped switch body It is mounted to the part 100 so as to be movable in position, it is possible to disable the linear movement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140 by the switch.
  • the switch may be moved to release the interference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140.
  •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various embodiments of a method in which a band control unit provided in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to a body part
  • FIG. 8 is a contro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the modified example of the band control part provided in an apparatus.
  • the band controller 120 may be fixed to the body 110 by a pin P1. At this time, the pin P1 is inserted into the space provided by the reference unit 122.
  • the band control unit 120 a part of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upper side wall 116 and the lower side wall 118 of the body portion 110 protrudes into the internal space (S3) and the protruding portion is provided by the reference portion 122. It may be inserted into the space to be fixed to the body portion 110.
  • the band controller 120 may be bent and fixed to the body 110 after the predetermined region R of the body 110 is cut. . 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region R is inserted into the space provided by the reference unit 122.
  • the band control unit 120 may be fixed to the body 110 by a pin P2 whose length is adjustable by a spring. At this time, the pin P2 is inserted into the space provided by the reference unit 122.
  • the reference part 122 'of the band control part 120' may be bent toward the front side wall 112 from the change part 124 'as shown in FIG. 8 (a), and FIG. 8 (b). As shown in FIG. 2, the reference part 122 ′′ of the band control part 120 ′′ may be bent toward the rear side wall 114 from the change part 122 ′′.
  • the band control parts 120 ′ and 120 ′′ may be rotatably fixed to the body part 110.
  • the band control unit 120 ′ may be stably rotatable on the body part 110 by a pin P1 or the like.
  • the band control parts 120 ′ and 120 ′′ have auxiliary parts 126 ′ and 126 ′′ in contact with the first fixing part 117 to maximize stable position fixing on the body part 110. can do.
  • the auxiliary parts 126 ′ and 126 ′′ may be formed to be rounded or inclined from the change parts 124 ′ and 124 ′′ between the reference parts 122 ′ and 122 ′′, and the band control part 120 may be formed. '120' may be stably fixed on the body portion 110 despite the pressing force by the elastic portion 130 due to the auxiliary portions 126 'and 126' '.
  • It may be bent and formed toward the front side wall 112 or the rear side wall 114, and may be rotatably fixed on the body portion 110 by the metho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 FIG. 9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control devic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astic part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130 may be omitted.
  • the control device 200 may include a band controller 220, and the band controller 22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210.
  • the band control unit 220 may be bent in a portion of the insertion space (S1) side of the body portion 210 is located in the internal space (S3).
  • the band control unit 220 is bent from the body portion 210, the change unit 224 is formed to be inclined or rounded toward the band (B) that can be located in the internal space (S3) It may be provided.
  •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240 may change the band control unit 220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by contact with the change unit 224 by the external force.
  • the band control unit 220 may be returned to the first position from the second position by the elastic retaining itself.
  • FIG. 10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band adjusting device including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1 and Figure 12 is a band movement by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the principle.
  • control device 30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n external force providing unit 350 is further included as compared with the previous embodiments.
  •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unit 350 may be a component that enables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unit 340 to move in the through part 311. When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unit 350 moves by an external force by a user,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unit 350 may move.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unit 340 may be moved.
  •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unit 350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340 as shown in FIGS. 11 and 12, and the interference with the body unit 310 is released by the rotation to release the external force. Position transfer of the transfer unit 340 may be implemented.
  • At least one of the upper side wall 316 and the lower side wall 318 of the body portion 310 is formed to protrude so as to restrain the rotation of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unit 350 by the contact with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unit 350.
  • the unit 359 may be provided.
  •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unit 350 is located at the rear side wall 314 side in FIGS. 10 to 12,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located at the front side wall side.
  • FIG. 1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band adjusting device including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control device 400 may include belt connecting parts 416a and 418a for allowing the band B to be connected to the belt V connected thereto.
  • the body portion 410 may include a front side wall 412, an upper side wall 416, and a lower side wall 418 defining an inner space, and the belt connecting portions 416 a and 418 a may be the upper side walls 416. ) And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lower side wall 418 in the first direction D1 and then bent toward each other to connect the belt V to which the band B is connected.
  • the belt connection parts 416a and 418a may be bent to prevent the belt V from being folded.
  • belt connection parts 416a and 418a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ntegrally formed.
  • FIG. 1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and adjusting device including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5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4.
  • control device 50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n external force providing unit 550 is further included as compared with the foregoing embodiments.
  •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unit 550 may be a component that enables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540 to move in position in the through part 511. When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unit 550 moves by an external force by a user,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unit 550 may move.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unit 540 may be moved.
  •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unit 540 may be moved from the third position to the fourth position.
  •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unit 550 may form a front side appearance of the control device 5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unlike the previous embodiments, the body portion 510 will be described below.
  • the definition for the sidewall of the is different.
  • the body part 510 may include a front side wall 512, a rear side wall 514, an upper side wall 516, and a lower side wall 518 that define the internal space S3, and the through part 511.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upper side wall 516 and the lower side wall 518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and B.
  •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unit 550 may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540 through a screw fastening method, and the rear side wall 514 to provide an external force necessary for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540. It may be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r on the rear side wall 514 side.
  •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unit 550 may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side wall 516 and the lower side wall 518, and specifically, a front side cover part disposed on a side opposite to the rear side wall 514. 552, an upper cover part 554 and a lower cover part 556 extending from the front side cover part 552 to the upper side wall 516 and the lower side wall 518, respectively. .
  •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540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side cover portion 554 and the lower side cover portion 556, the front side cover portion 552 is to be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ont side wall 512. Can be.
  •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part 550 is disposed outside the body part 510 to at least one of the front side wall 512 of the body part 510 and the rear side wall 514 of the body part 510. It may cover, and may cover at least one of the upper side wall 516 of the body portion 510 and the lower side wall 518 of the body portion.
  • 17 and 1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moving the band by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and B when the band B is introduced into the insertion space S1 into the control device 5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d B is the band control unit 520. Movement in the first direction D1 may be free.
  • an external force may be applied to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unit 550 to move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unit 540 in the first direction D1.
  • the band control unit 520 is rotated based on the rotation axis, and the engaging portion of the band B is rotated.
  • the band B may be freely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D2.
  • the elastic unit 530 may be elastically deformed,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band control unit 520,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unit 540, and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unit 550 may be formed of the elastic unit 530. It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by the elastic deformation.
  • the position of the band control unit 520 is set to the first space. It may have a constant size regardless of the position or the second position.
  • the internal space S3 may have a constant size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540 and the position of the band control unit 520.
  • FIG. 19 is a view showing a first modification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ront side wall 512 of the body portion 510 is removed. It may be a structure.
  • FIG 20 is a view showing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rear cover part 558 of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unit 550 is shown. ) May be added structure.
  •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part 550 may further include a rear side cover part 558 facing the front side cover part 552, and thus may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body part 510.
  • 21 and 22 illustrate examples of use of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control device can be utilized in various products such as bags, shoes, clothing, belts and watch bands.
  • control device may be utilized as a buckle of the belt.
  • connection ring 360 and the belt connection part 370 may be required.
  • connection ring 360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C-shape, the belt connection portion 370 may include a connection body 372 and the pressing portion 374.
  • connection body 372 may include an insertion hole H1 into which the band B may be inserted, and a rear portion thereof may be partially opened.
  • the pressing part 374 When the belt V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H1, the pressing part 374 may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body 372, and the side wall 373 is formed at the rear side of the connection body 372. Departure to the rear side can be prevented by this.
  • the pressing unit 374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screw holes H2 to which the screw K and the like may be fastened.
  • the belt V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H1 and the pressing unit When 374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body 372, the belt (V) is fix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by the screw (K) or the lik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 the pressing part 374 is connected to the side wall 375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belt V.
  • the contact force of the side wall 373 of the body 372 is increased so that the detachment of the belt V does not occur.
  • FIG. 2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23
  • FIG. 25 is a view of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the principle of unlocking a lock part.
  • control device 60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locking part 670 is further included as compared with the previous embodiments.
  • the locking part 670 is a component for blocking the non-ideal positional movement of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unit 650 and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unit 640, it may be a kind of locking device.
  • the locking part 670 may control whether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part 640 moves by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upper side wall 616 and the lower side wall 618 of the body part 610.
  • the locking portion 670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640, and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may be in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defining a path through which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640 is moved, that is, the through part 611. 640 may implement a locked state (state shown in FIG. 24) in which the position movement is impossible in the through part 611.
  • the locking portion 670 is not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defining the through portion 611 by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640 so that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640 within the through portion 611.
  • a release state (state shown in FIG. 25) capable of moving a position may be implemented.
  • the position movement direction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640 for implementing the release state may be a direction from the upper side wall 616 toward the lower side wall 618 or the opposite direction.
  • a cover part 657 may be provided as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lock part 670 so that the state can be changed to a state.
  •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portion 640 When the other side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portion 640 protruding from the upper side cover portion 654 of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portion 650 is pressed,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portion 640 is a lower side wall 618 from the upper side wall 616.
  • the lock portion 670 is moved from the inner surface defining the through portion 611 to the cover portion 657 of the lower cover portion 656.
  •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unit 650 and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unit 640 may be moved in position to allow the band B to move in the second direction.
  •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640 may be moved in a direction from the lower side wall 618 toward the upper side wall 616, that is, the original position Can be returned to.
  • This may be implemented by a return part E, which is a kind of elastic spring, and the return part E corresponds to an upper side cover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part 640 and the other side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part 640.
  • the locking unit 670 disposed between the unit 654 or the lower side cover unit 656 may be returned to the locked state.
  • FIG. 26 is another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23, and FIG. 2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unlocking the lock of the control device of FIG. 26.
  • the locking portion 670 ′ illustrated in FIGS. 26 and 27 may be an annular cutout, and thus, the through portion 611 may also correspond to the locking portion 670 ′. It may include a circular shape. In this case, the through part 611 may include a circular shape and a portion that is smaller than a circular shape but somewhat longer than the circular shape in order to implement the linear motion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640 '.
  • the locking portion 670 ′ may be formed in an annular shape with a part cut away from the lower side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640 ′ and fixed to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ortion 640 ′.
  • FIG. 2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29 and 30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28.
  • control device 70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locking part 770 is further included as compared with the previous embodiments.
  • the locking unit 770 is a component for blocking the non-ideal positional movement of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unit 750 and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740, may be a kind of locking device.
  • the locking unit 770 may control whether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740 moves by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upper side wall 716 and the lower side wall 718 of the body 710.
  • At least one of the upper side wall 716 and the lower side wall 718 of the body portion 710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713 formed through or recessed to accommod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locking portion 770. It can be provided.
  • the locking part 77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art 713 to implement a locked state in which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part 740 is not movable in the through part 711, and the receiving part by position moving (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part 740 may be released in the through part 711 by the separation from the 713.
  • the locking portion 770 may implement the locked state and the released state by a rotational movement, and may be formed of one member as shown in FIG. 29 or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members as shown in FIG. 30. It may be.
  • the locking part 770 When an external force for changing the state from the locked state to the released state is provided to the locking part 770, the external force providing part 750 and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art 740 move in the second direction D2 of the band B.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locking part 770 may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return part E, which is a kind of elastic spring, and then changed back to the locked state.
  • the return part E which is a kind of elastic spring
  • FIGS. 31 and 32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showing a band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33 and 34 are a control device and a band provided in the band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gure is shown separately.
  • FIG. 3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EE of FIG. 31, and FIG. 36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band adju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and adjusting device 80 may include a band 900 and a control device 800.
  • the control device 800 frees the movement of the band 900 in the first direction D1, while the control device 800 moves the band 900 in the second direction D2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D1. May be a kind of buckle to be selectively implemented.
  • the control device 800 may include a body part 810, a band control part 820, and an external force transmission part 840, and the body part 810 schematically provides an appearance of the control device 800. can do.
  • the body portion 810 has an insertion space S1 into which one end of the band 900 is inserted and an outlet space S2 through which one end of the band 90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S1 flows out. It may be a component having.
  • the band control unit 820 is located in the internal space S3 of the body 810 so as not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body 810, the position change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In the first position, the band 900 may move freely in the first direction D1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band 900, but in the second position, the band 900. It may be a component that allows the movement of the band 900 in the second direction (D2) freely in contact with.
  •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840 is located at a third position such that the band control unit 820 is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and the band control unit 820 is positioned at the second position. It may be a component that changes the position from the third position to the fourth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band control unit 820 to change.
  • the first position and the third position may be positions shown in FIG. 35
  • the second position and the fourth position may be positions shown in FIGS. 42 and 43. Can be.
  •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840 may be a kind of switch for implementing the movement in the second direction D2 of the band 900, and may perform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 external force of the user to the band control unit 820. have.
  •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840 may linearly move from the third position to the fourth position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band control unit 820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 the band control unit 820 may be rotated by the linear motion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840, and may be changed in position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by the rotational movement.
  •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may be a position defined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band control unit 820, wherein the third position and the fourth position,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840 It may be a position defined by linear motion.
  • the third position and the fourth position may be positions defined by linear movement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840 in a horizontal direction (first direction or second direction).
  •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840 may be located between the band control unit 820 and the band 900, and implements the positional movement between the third position and the fourth position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840
  • the body portion 810 may have a through portion 811 formed therethrough.
  • the through part 811 is an upper side wall 812 of the front side wall 812, the rear side wall 814, the upper side wall 816, and the lower side wall 818 that define the internal space S3 of the body 810. 816 and the lower side wall 818 may be formed.
  • the through part 811 may be formed to penetrate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and 900, that is,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art 840 may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part 811. Position movement within the through part 811 may be arranged.
  • the through part 811 is not limited to being formed to penetrate long by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a horizontal direction, and is formed in a section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section formed to be inclined or rounded toward the rear side wall 814.
  • the third position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840 may be the end position of the section that is formed to be inclined or rounded, in this case,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840 to the fourth position by an unintentional external force The movement can be prevented beforehand.
  •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unit 840 is located in the internal space S3 and changes the band control unit 820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by contact with the band control unit 820. And an external force applying unit 844 positioned outside the internal space S3 to apply an external force necessary for moving the position of the contact unit 842.
  • At least one of the external force applying unit 844 may be detachable from the contact unit 842 for ease of assembly.
  • the external force applying unit 844 may be a component that receives an external force by a finger of the user, and the contact unit 842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force applying unit 844 and moves in conjunction with the contact unit 842. It may be a component.
  • the band control unit 820 is formed to be inclined or round the reference portion 822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front side wall 812 and the band 900 located in the internal space S3 from the reference portion 822. It may be provided with a change unit 824 is formed forklift.
  • the reference unit 822 may provide a rotation axis for changing the band control unit 820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 the reference unit 822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forming a spac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s shown in the drawing,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a tight structure.
  • the contact surface of the inner side of the reference portion 822 and the front side wall 812 of the body portion 810 may be rounded to facilitate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band control unit 820.
  • the band control unit 820 may be restricted in movement in the first direction D1 by the first protrusion 819 protruding from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ront side wall 812.
  • the band control unit 820 is chang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by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840 by the external force, if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band control unit 820 is the internal space
  • the elastic part 830 positioned at S3 may automatically return to the first position from the second position.
  • the band control unit 820 may be pressed into the insertion space (S1) by the elastic portion 830, in spite of the pressing force by the elastic portion 830 (insertion space of the body portion 810 ( The first fixing part 817 formed at the side of S1 may be stably positioned at the insertion space S1 of the body 810.
  • the first fixing part 817 may be formed by bending the body part 8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by various methods.
  • the elastic part 830 may be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band control part 820 is changed in position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by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art 840, and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art 840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is removed, the band control unit 820 may be returned to the first position from the second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by the elastic deformation.
  • the body portion 810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fixing portion 815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elastic portion 830 on the outlet space (S2) side.
  • the elastic portion 830 is a support portion 832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outlet space (S2) side of the body portion 810, the elastic force providing portion extending inclined toward the band 900 from the support portion 832 ( 834, a bending preventing part 836 that is cut between the support part 832 and then bent at a first angle and is bent at a second angle greater than the first angle between the bent part 836 and the bent part 836. 838).
  • the second angle may be approximately 90 degrees based on the support part 832.
  • the second fixing part 815 may be formed by bending the body part 810 a plurality of times, and a space S4 for allowing the bent part 836 of the elastic part 830 to be inserted at both sides thereof. Can be formed.
  • the anti-rolling portion 838 may be in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portion 815 on which the space S4 is formed.
  • the anti-rolling part 838 may prevent a phenomenon in which the elastic force providing part 834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second fixing part 815 to be pushed toward the outflow space S2. .
  • the elastic part 830 may be stably fixed by the second protrusion 813 protruding from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front side wall 812 of the body part 810.
  • Figure 41 is a view showing an initial state that the band is inserted into the control device.
  • the band 900 has a front surface 916 and a rear surface 918 and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first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910 and the body portion 910. It is connected to the (D1) side includes a guide portion 920 for guiding the insertion of at least a portion of the body portion 910 into the internal space (S3) provided by the body portion 810 of the control device 800 can do.
  • the body portion 910 connects the pair of wing portions 912 and the pair of wing portions 912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S3 provided by the body portion 810 to each other.
  • the body part 910 is to be caught in the band control unit 820 when the band control unit 820 of the control device 800 is to move the band 900 in the second direction in a state where it is located in the first position.
  • a caught part 940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916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caught part 940 may b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art 914 on each of the pair of wing parts 912, and a concave part 942 formed by being recessed from the front surface 916.
  • a convex portion 944 adjacent to the concave portion 942 and protruding may be provided.
  • the caught portion 940 is not necessarily implemented as the concave portion 942 and the convex portion 944, it may be implemented in any one of the two.
  • the convex portion 944 is the band 900 when the band 900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D1 within the internal space S3 of the body portion 810, despite the contact with the band control unit 820.
  • One surface 944a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movement in the first direction D1 is implemented.
  • the band 900 may be moved while repeating the position movement (rotation) of the band control unit 820.
  • the guide portion 920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difference from the body portion 910, and specifically, may include a front surface that forms a predetermined height difference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portion 910. Can be.
  • the guide part 920 has a body part 810 when the pair of wing parts 912 ar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S3 and the band 900 tries to move in the first direction D1.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rear side wall 814 of the pair of wings 912 which is at least a portion of the body portion 910 may guide the insertion into the interior space (S3).
  • the guide portion 920 is a pair of wings 912 is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S3) to the body portion 910 or the band 900 is to move in the first direction (D1) In this case, it may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side wall 814.
  • the guide part 920 may enter one side of the rear side wall 814 to face the outer side of the rear side wall 814 and face the outer side of the rear side wall 814.
  • One surface may have an entrance surface 922 which is formed to be inclined or rounded.
  • the entry surface 922 may be in contact with the rear side wall 814 of the body portion 810. Due to this can naturally enter the outside of the rear side wall 814, it is possible to smoothly move the band 900.
  • One surface facing the outer surface of the rear side wall 814 is connected to the entry surface 922, the horizontal surface 924 connected to the entry surface 922, and the horizontal surface 924, and are inclined or rounded.
  • Advance surface 926 may be provided.
  • the band 900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art 930 connecting the body part 910 and the guide part 920.
  • connection part 930 is a component that allows the guide part 920 to be positioned with a height difference with respect to the body part 910, and the rear part between the body part 910 and the guide part 920.
  • a space S5 into which the sidewall 814 is inserted may be provided.
  • connection portion 930 may have a smaller width than the body portion 910 and the guide portion 920.
  • connection part 930 When the body 910 is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D1, the connection part 930 is rearward of the body part 810 even when the body part 910 is in contact with the rear side wall 814 of the body part 810.
  • One side surface 932 may be provided to be inclined or rounded so as to slide between one of the side walls 814 and the other.
  • the pair of wing portions 912 of the body portion 910 has the pair of wing portions 912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S3 so that the band 900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D1.
  • one side of the rear side wall 814 may enter and face the inner side of the rear side wall 814.
  • One surface facing the inner side of the rear side wall 814 may include a guide surface 919 that is formed to be inclined or rounded, and the pair of wings 912 is formed on the rear side wall by the guide surface 919. Sliding smoothly to the inside of 814.
  • the band 9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second direction side of the body portion 910 stopper for providing a limit for the movement in the first direction (D1) of the body portion (910) ( 950.
  • the stopper part 950 has a rear surface having a height difference from a rear surface of the pair of wings 912 when the body portion 910 is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D1, and the body The back side wall 814 of the portion 810 can be caught.
  • the stopper part 950 may be a part in which the band 900 is fixed to the adherend.
  • the stopper part 950 prevents lifting of the band 900 from the adherend, which may be generated by an unintentional external force when the body part 910 is moved to the maximum in the first direction D1. , Durability can be maximized.
  • the front surface of the stopper portion 95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whereby when connecting to the adherend by sewing,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sewing.
  • FIG 42 and 43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that the band is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from the control device provided in the band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and 900 when the band 900 is introduced into the insertion space (S1) into the control device 800 provided in the band adjusting device 8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d 900 is the band
  • the movement in the first direction D1 may be free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controller 820.
  • the movement in the second direction D2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D1 may be impossible because the band controller 820 is caught by the caught part 940 of the band 900.
  • an external force may be applied to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unit 840 to move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unit 840 in the first direction D1.
  • the band control unit 820 When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840 is moved in the first direction D1, the band control unit 820 is rotated based on the rotation axis, and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unit B1 of the band 900.
  • the band 900 may move freely in the second direction D2.
  • the elastic part 830 may be elastically deformed,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band control part 820 and the external force transmitting part 840 are return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by the restoring force by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elastic part 830. Can be returned.
  • the position of the band control unit 820 is the first space. It may have a constant size regardless of the position or the second position.
  • the internal space S3 may have a predetermined size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external force transmission unit 840 and the position of the band control unit 820.
  • 44 and 4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use example of the band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 Band adjustment device 80 can be used in a variety of products, such as bags, shoes, clothing, belts and watch bands, and may also be used to enable fine adjustment of the length to be used in suspenders.
  • the band adjusting device 80 may be applied to a watch band of a watch.
  • the control device 800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watch band, and the band 900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 the other end of the watch band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and 900 by an adhesive method using an adhesive or a sewing method by a thread or the like, and in the case of FIG. 45, the support part of the band 900.
  • One side of 914 and one side of guide portion 920 are connected by an adhesive method with an adhesive or a sewing method with a thread or the like.
  • a space S6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914 may be formed between a portion of the watch band connected to the support 914 of the band 900, and the space S6 may be formed.
  • the band 900 When the band 900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space S3 of the body 810, the band 900 may be a space into which the rear side wall 814 of the body 810 is inserted.
  • 46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band provided to the band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guide part 920 ′ is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914 such that the guide part 920 ′ is also formed at the rear side of the pair of wing parts 912.
  • the rear side wall 814 of the body portion 810 has a pair of wings 912 and the rear side. It may be inserted between the sidewalls 814.
  • connection between the band 900 'and the adherend in which the band 900' is used may be implemented by the connection by the stopper portion 950 ', and eventually, the rear side wall 814 may be Contact with the complex can be completely blocked, so that breakage of the deposit by the rear side wall 814 can be prevented.
  • control device to which the above-described band can be applie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ntrol device, and as long as the control unit includes a rear side wall of the body portion and a support portion of the band can slide between the rear side walls, It may be applicable.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Labeling Devices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는, 밴드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은 자유로우나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은 선택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장치로, 상기 밴드의 일측단이 삽입되는 삽입공간과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기 밴드의 일측단이 유출되는 유출공간을 구비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바디부의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회전축을 기준으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위치 변화가 가능하며, 상기 제1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와 접촉된 채 상기 밴드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되, 상기 제2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와 비접촉된 채 상기 밴드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밴드제어부; 제3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밴드제어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밴드제어부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시키도록 상기 밴드제어부와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제3 위치에서 제4 위치로 위치 변화되는 외력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밴드, 제어 장치 및 밴드 조절 장치
본 발명은 밴드, 제어 장치 및 밴드 조절 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치의 소형화를 구현하면서도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토록 하는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의류나 가방 등의 피착물에서 폭을 줄이거나 넓히는 목적의 버클장치의 용도에 관해서는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피착물에 사용되는 버클장치는 기본적으로 밴드와 버클로 이루어지며, 버클은 밴드의 양단 부를 결속하거나 또는 바지나 스커트 등의 허리단 부분에 구비되어 바지나 스커트 등의 허리둘레를 착용자의 허리둘레에 맞게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가방이나 핸드백 등에서 입구를 축소하거나 확장 등의 목적에도 활용되며, 시계줄 등에도 사용되어 시계줄의 둘레를 착용자의 손목에 맞게 조절하는 목적에도 활용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버클은 밴드가 조여지는 방향, 즉, 순방향으로는 밴드의 당김에 의해 자유로운 슬라이드 이동이 제공되나, 밴드가 풀어지는 방향, 즉, 역방향으로는 이동이 단속되어 밴드가 풀어지지 않는 조임 상태가 유지된다.
종래의 버클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밴드가 통과하는 버클하우징, 상기 버클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버튼 및 상기 버튼에 의해 위치 이동되어 밴드의 단속 여부를 조절하는 걸림수단 및 상기 버튼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종래의 버클에 제공되는 버튼은 버클하우징의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회전 가능하며, 사용자가 밴드의 조임 상태를 해제하는 경우 상기 버클하우징의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버튼을 회전시켜 이를 구현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버클은 버튼의 반복적인 사용에 의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되어 내구성이 탁월하지 못하였으며, 부품수가 많아 조립 공정이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버클에 사용되는 종래의 밴드는 버클하우징 내로 삽입되게 되는데, 삽입 시 버클하우징에 걸리게 되어 간단하게 삽입하는데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의 버클 및 밴드는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소형화를 구현하며, 의도하지 않은 밴드의 조임 상태의 해제를 미연에 방지하는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도록 개발된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는, 밴드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은 자유로우나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은 선택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장치로, 상기 밴드의 일측단이 삽입되는 삽입공간과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기 밴드의 일측단이 유출되는 유출공간을 구비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바디부의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회전축을 기준으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위치 변화가 가능하며, 상기 제1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와 접촉된 채 상기 밴드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되, 상기 제2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와 비접촉된 채 상기 밴드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밴드제어부; 제3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밴드제어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밴드제어부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시키도록 상기 밴드제어부와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제3 위치에서 제4 위치로 위치 변화되는 외력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의 직선 운동에 의해 상기 밴드제어부를 회전시켜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밴드제어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밴드제어부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변화시키는 접촉부 및 상기 내부공간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접촉부의 위치 이동에 필요한 외력이 인가되도록 하는 외력인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바디부는, 상기 내부공간을 규정하는 전방측벽, 후방측벽, 상방측벽 및 하방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공간은, 상기 전방측벽과 상기 후방측벽 사이에 상기 밴드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밴드제어부의 위치가 상기 제1 위치이거나 상기 제2 위치인 경우에 상관없이 일정한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밴드제어부는, 상기 바디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밴드제어부는, 상기 바디부로부터 절곡된 후,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한 상기 밴드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변화부를 구비하며, 상기 외력전달부는, 외력에 의한 상기 변화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밴드제어부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밴드제어부는,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탄성에 의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바디부는, 상기 내부공간을 규정하는 전방측벽, 후방측벽, 상방측벽 및 하방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상방측벽 및 상기 하방측벽은, 상기 밴드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부 내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밴드제어부는, 상기 전방측벽의 내측면에 위치하는 기준부 및 상기 기준부로부터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한 상기 밴드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변화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준부는, 상기 밴드제어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변화되기 위한 회전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는, 외력에 의한 상기 외력전달부의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밴드제어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변화된 후,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밴드제어부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바디부는, 상기 밴드제어부가 상기 탄성부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삽입공간 측에 제공되는 제1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바디부는, 상기 외력전달부에 의해 상기 밴드제어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유출공간 측에 제공되어 상기 탄성부와 접촉되는 제2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는, 상기 외력전달부와 연결되어 상기 외력전달부의 위치 이동에 필요한 외력을 제공하는 외력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외력제공부는, 상기 바디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바디부의 전방측벽 및 상기 바디부의 후방측벽 중 적어도 하나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외력제공부는, 상기 바디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바디부의 상방측벽 및 상기 바디부의 하방측벽 중 적어도 하나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외력제공부는, 직선 운동에 의해 상기 외력전달부를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제어 장치 및 밴드 조절 장치에 의하면, 종래에 비해 부품수가 절감되어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조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밴드의 슬라이딩을 원활히 할 수 있는 동시에 슬라이딩 조작을 손쉽게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소형화가 가능하여 적용 분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의도하지 않은 밴드의 조임 상태의 해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밴드가 제어 장치 내로 삽입되는 것을 원활히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밴드의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한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에에 따른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정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개략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분해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에 의해 밴드가 이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에 제공되는 밴드제어부가 바디부에 장착되는 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에 제공되는 밴드제어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내부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에 의해 밴드가 이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도시한 개략분해사시도.
도 16은 도 14의 BB선에 따른 개략단면도.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에 의해 밴드가 이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도 24는 도 23의 CC선에 따른 개략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잠금부의 잠금 해제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6은 도 23의 CC선에 따른 다른 개략단면도.
도 27은 도 26에 따른 제어 장치의 잠금부의 잠금 해제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도 29 및 도 30은 도 28의 DD선에 따른 개략단면도.
도 31 및 도 32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도 33 및 도 34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제어 장치와 밴드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35는 도 31의 EE선에 따른 개략단면도.
도 36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분해사시도.
도 37 내지 도 40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1은 밴드가 제어 장치에 삽입되는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2 및 도 43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제어 장치로부터 밴드가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4 및 도 4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6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밴드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는, 밴드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은 자유로우나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은 선택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장치로, 상기 밴드의 일측단이 삽입되는 삽입공간과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기 밴드의 일측단이 유출되는 유출공간을 구비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바디부의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회전축을 기준으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위치 변화가 가능하며, 상기 제1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와 접촉된 채 상기 밴드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되, 상기 제2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와 비접촉된 채 상기 밴드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밴드제어부; 제3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밴드제어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밴드제어부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시키도록 상기 밴드제어부와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제3 위치에서 제4 위치로 위치 변화되는 외력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는 가방, 신발, 의류, 밸트 및 시계줄 등 다양한 제품에 활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멜빵 등에 사용되어 길이의 미세조절이 가능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에에 따른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정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개략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10)는 밴드(B)와 제어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100)는 밴드(B)의 제1 방향(D1)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반면, 상기 제1 방향(D1)과 반대인 제2 방향(D2)으로의 상기 밴드(B)의 이동은 선택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일종의 버클일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100)는 바디부(110), 밴드제어부(120) 및 외력전달부(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개략적으로 상기 바디부(110)는 상기 제어 장치(100)의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10)는 상기 밴드(B)의 일측단이 삽입되는 삽입공간(S1)과 상기 삽입공간(S1)에 삽입된 상기 밴드(B)의 일측단이 유출되는 유출공간(S2)을 구비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밴드제어부(120)는 상기 바디부(1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바디부(110)의 내부공간(S3)에 위치하고, 회전축을 기준으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위치 변화가 가능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B)와 접촉된 채 상기 밴드(B)의 상기 제1 방향(D1)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되, 상기 제2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B)와 비접촉된 채 상기 밴드(B)의 상기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력전달부(140)는 제3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밴드제어부(120)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밴드제어부(120)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시키도록 상기 밴드제어부(120)와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제3 위치에서 제4 위치로 위치 변화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여기서, 위치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3 위치는 도 3에 도시된 위치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위치 및 상기 제4 위치는 도 6에 도시된 위치일 수 있다.
상기 외력전달부(140)는 상기 밴드(B)의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을 구현하기 위한 일종의 스위치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외력을 밴드제어부(12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외력전달부(140)는 상기 밴드제어부(120)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직선 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밴드제어부(120)는 상기 외력전달부(140)의 직선 운동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밴드제어부(120)의 회전 운동에 의해 규정되는 위치일 수 있으며, 상기 제3 위치 및 상기 제4 위치는, 상기 외력전달부(140)의 직선 운동에 의해 규정되는 위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위치 및 상기 제4 위치는, 상기 외력전달부(140)의 수평 방향으로의 직선 운동에 의해 규정되는 위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력전달부(140)는 상기 밴드제어부(120)와 밴드(B)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외력전달부(140)의 제3 위치 및 상기 제4 위치 상호 간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바디부(110)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부(11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관통부(111)는 상기 바디부(110)의 내부공간(S3)을 규정하는 전방측벽(112), 후방측벽(114), 상방측벽(116) 및 하방측벽(118) 중 상기 상방측벽(116)과 상기 하방측벽(118)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111)는 상기 밴드(B)의 이동 방향, 즉, 수평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길게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외력전달부(140)는 상기 관통부(111)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부(111) 내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외력전달부(140)는 상기 내부공간(S3)에 위치하여 상기 밴드제어부(120)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밴드제어부(120)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변화시키는 접촉부(142) 및 상기 내부공간(S3)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접촉부(142)의 위치 이동에 필요한 외력이 인가되도록 하는 외력인가부(144)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력인가부(144) 중 적어도 하나는 조립의 용이성을 위해 상기 접촉부(142)와 착탈 가능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외력인가부(144)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외력을 제공받는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상기 접촉부(142)는 상기 외력인가부(144)와 연결되어 상기 접촉부(142)와 연동되어 이동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밴드제어부(120)는 상기 전방측벽(112)의 내측면에 위치하는 기준부(122) 및 상기 기준부(122)로부터 상기 내부공간(S3)에 위치한 상기 밴드(B)를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변화부(124)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부(122)는 상기 밴드제어부(120)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변화되기 위한 회전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준부(12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크기의 공간을 형성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가 밀실한 구조일 수도 있다.
상기 기준부(122)와 상기 바디부(110)의 전방측벽(112)의 내측면의 접촉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밴드제어부(120)의 회전 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밴드제어부(120)는 상기 전방측벽(112)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돌출부(119)에 의해 제1 방향(D1)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밴드제어부(120)가 외력에 의한 외력전달부(140)의 위치 이동에 의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변화된 후,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밴드제어부(120)는 상기 내부공간(S3)에 위치하는 탄성부(130)에 의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밴드제어부(120)는 상기 탄성부(130)에 의해 삽입공간(S1) 측으로 가압, 즉, 상기 제2 방향(D2)으로 가압될 수 있으나, 상기 탄성부(130)에 의한 가압력에도 불구하고 상기 바디부(110)의 삽입공간(S1) 측에 형성되는 제1 고정부(117)에 의해 상기 바디부(110)의 삽입공간(S1) 측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결국, 상기 밴드제어부(120)는 상기 기준부(122)와 상기 바디부(110)의 전방측벽(112)의 내측면과의 접촉 및 상기 기준부(122)와 상기 제1 고정부(117)와의 접촉으로 인해, 상기 밴드제어부(120)에 걸리는 하중에 대하여 지지하중이 극대화되게 된다.
상기 제1 고정부(117)는 상기 바디부(110)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130)는 상기 밴드제어부(120)가 상기 외력전달부(140)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되는 경우,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외력전달부(140)에 가해지던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밴드제어부(120)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디부(110)는 유출공간(S2) 측에 탄성부(130)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2 고정부(11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115)는 상기 외력전달부(140)에 의해 상기 밴드제어부(120)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130)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유출공간(S2) 측에 제공되어 상기 탄성부(130)와 접촉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탄성부(130)는 상기 바디부(110)의 유출공간(S2) 측 내측면에 접촉하는 지지부(132), 상기 지지부(132)로부터 상기 밴드(B)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탄성력제공부(134), 상기 지지부(132)로부터 절개된 후 제1 각도로 절곡되는 날개부(136) 및 상기 날개부(136)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각도보다 더 큰 제2 각도로 절곡되는 밀림방지부(13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각도는 상기 지지부(132)를 기준으로 대략 90도일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115)는 상기 바디부(110)가 복수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양측에는 상기 탄성부(130)의 날개부(136)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S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간(S4)에 상기 날개부(136)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공간(S4)이 형성된 상기 제2 고정부(115)의 일면에는 밀림방지부(138)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밀림방지부(138)는 상기 제2 고정부(115)의 일면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탄성력제공부(134)가 탄성 변형되어 발생되는 유출공간(S2) 측으로의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130)는 상기 바디부(110)의 전방측벽(112)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돌출부(113)에 의해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에 의해 밴드가 이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100)에 밴드(B)가 삽입공간(S1)으로 유입되면, 상기 밴드(B)는 상기 밴드제어부(120)와 접촉된 채 제1 방향(D1)으로의 이동은 자유로울 수 있다.
다만,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D2)으로 이동은 상기 밴드제어부(120)가 밴드(B)의 걸림부(B1)에 걸리게 되어 불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서, 외력을 외력전달부(140)에 인가하여 상기 외력전달부(140)를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외력전달부(140)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되면, 상기 밴드제어부(120)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밴드(B)의 걸림부(B1)로부터 분리되게 되며, 상기 밴드(B)는 제2 방향(D2)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130)는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밴드제어부(120) 및 외력전달부(140)는 상기 탄성부(130)의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S3)은 바디부(110)의 전방측벽(112)과 후방측벽(114) 사이에 상기 밴드(B)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밴드제어부(120)의 위치가 상기 제1 위치이거나 상기 제2 위치인 경우에 상관없이 일정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내부공간(S3)은 상기 외력전달부(140)의 위치 및 상기 밴드제어부(120)의 위치에 상관없이 일정한 크기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밴드(B)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되는 경우 및 상기 밴드제어부(120)가 상기 밴드(B)의 걸림부(B1)에 걸리게 되는 경우, 상기 밴드(B)의 걸림부(B1)가 형성되는 일면의 반대면은 상기 후방측벽(114)과 접촉되게 되어 상기 후방측벽(114)이 상기 밴드(B)를 지지하는 구조가 된다.
이로 인해, 상기 밴드제어부(120)가 상기 밴드(B)에 가해지는 하중에도 불구하고 지지하중이 향상되어 상기 밴드(B)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슬림화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밴드(B)를 상기 제2 방향(D2)으로 이동시키려 하는 경우, 사용자는 한 손으로 상기 외력전달부(140)만을 파지하고 다른 한 손으로 상기 밴드(B)를 파지한 후 상기 밴드(B)를 상기 제2 방향(D2)으로 이동시키는 외력만 인가하게 되면, 상기 밴드(B)의 걸림부(B1)에 걸려있던 밴드제어부(120)가 자연스럽게 해제되게 되므로,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100)는 상기 외력전달부(140)의 직선 운동 여부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요소를 구비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쐐기 형태의 스위치가 바디부(100)에 위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스위치에 의해 상기 외력전달부(140)의 직선 운동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외력전달부(140)의 직선 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스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외력전달부(140)의 간섭을 해제하면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에 제공되는 밴드제어부가 바디부에 장착되는 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에 제공되는 밴드제어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밴드제어부(120)는 바디부(110)에 핀(P1)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기준부(122)에 의해 제공되는 공간에 상기 핀(P1)이 삽입된다.
한편, 밴드제어부(120)는 바디부(110)의 상방측벽(116) 및 하방측벽(118)의 내면 중 일부가 내부공간(S3)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이 기준부(122)에 의해 제공되는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바디부(110)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제어부(120)는 바디부(110)의 소정 영역(R)이 절개된 후, 절곡되어 상기 바디부(1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기준부(122)에 의해 제공되는 공간에 상기 소정 영역(R)의 삽입된다.
도 7(c)를 참조하면, 밴드제어부(120)는 바디부(110)에 스프링에 의해 길이 조절이 가능한 핀(P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기준부(122)에 의해 제공되는 공간에 상기 핀(P2)이 삽입된다.
밴드제어부(120')의 기준부(122')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화부(124')로부터 전방측벽(112)을 향하여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밴드제어부(120'')의 기준부(122'')는 변화부(122'')로부터 후방측벽(114)을 향하여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7을 참조로 설명한 방법으로 상기 밴드제어부(120', 120'')는 바디부(1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밴드제어부(120')는 핀(P1) 등에 의해 상기 바디부(110) 상에 안정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밴드제어부(120', 120'')는 상기 바디부(110) 상에서의 안정적인 위치 고정을 극대화하기 위해 제1 고정부(117)와 접촉하는 보조부(126', 12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조부(126', 126'')는 상기 기준부(122', 122'') 사이에서 변화부(124', 124'')로부터 라운드지거나 경사지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밴드제어부(120', 120'')는 상기 보조부(126', 126'')로 인해 탄성부(130)에 의한 가압력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으로 상기 바디부(110) 상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전방측벽(112) 또는 후방측벽(114)을 향하여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도 7을 참조로 설명한 방법으로 바디부(1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내부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200)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100)와 비교할 때, 탄성부(130)가 생략된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200)는 밴드제어부(2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밴드제어부(220)는 바디부(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밴드제어부(220)는 상기 바디부(210)의 삽입공간(S1) 측의 일부가 절곡되어 내부공간(S3)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밴드제어부(220)는 상기 바디부(210)로부터 절곡된 후, 상기 내부공간(S3)에 위치할 수 있는 밴드(B)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변화부(22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외력전달부(240)는 외력에 의한 상기 변화부(224)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밴드제어부(220)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변화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밴드제어부(220)는 상기 외력전달부(24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탄성에 의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이며,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에 의해 밴드가 이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300)는 앞선 실시예들과 비교할 때, 외력제공부(350)가 더 포함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외력제공부(350)는 외력전달부(340)를 관통부(311) 내에서 위치 이동 가능하게 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한 외력에 의해 상기 외력제공부(350)가 이동하게 되면, 외력전달부(340)가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외력제공부(35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력전달부(34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에 의해 상기 바디부(310)와의 간섭이 해제되어 상기 외력전달부(340)의 위치 이동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바디부(310)의 상방측벽(316) 및 하방측벽(318)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외력제공부(350)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외력제공부(350)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회전구속부(359)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력제공부(250)를 회전시켜 상기 바디부(310)와의 간섭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회전구속부(359)를 지나갈 수 있도록 하는 외력이 필요하게 된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2에서는 상기 외력제공부(350)가 후방측벽(314) 측에 위치한 것을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방측벽 측에 위치하여도 무방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400)는 밴드(B)가 연결된 벨트(V)와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벨트연결부(416a, 418a)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디부(410)는 내부공간을 규정하는 전방측벽(412), 상방측벽(416) 및 하방측벽(418)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벨트연결부(416a, 418a)는 상기 상방측벽(416) 및 상기 하방측벽(418)의 단부로부터 각각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 후 서로를 향하여 절곡되어 상기 밴드(B)가 연결된 벨트(V)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벨트연결부(416a, 418a)는 상기 벨트(V)가 접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벨트연결부(416a, 418a)는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도시한 개략분해사시도이며, 도 16은 도 14의 BB선에 따른 개략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500)는 앞선 실시예들과 비교할 때, 외력제공부(550)가 더 포함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외력제공부(550)는 외력전달부(540)를 관통부(511) 내에서 위치 이동 가능하게 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한 외력에 의해 상기 외력제공부(550)가 이동하게 되면, 외력전달부(540)가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외력제공부(550)가 직선 운동을 하게 되면, 상기 외력전달부(540)는 제3 위치에서 제4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력제공부(550)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500)의 전방측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앞선 실시예들과 달리 이하에서는 바디부(510)의 측벽에 대한 정의를 달리한다.
즉, 바디부(510)는 내부공간(S3)을 규정하는 전방측벽(512), 후방측벽(514), 상방측벽(516) 및 하방측벽(518)을 구비할 수 있으며, 관통부(511)는 상기 상방측벽(516) 및 상기 하방측벽(518)에 밴드(B)의 이동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길게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외력제공부(550)는 나사 체결 방식 등을 통해 상기 외력전달부(54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외력전달부(540)의 위치 이동에 필요한 외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후방측벽(514)과 대향하는 측에 배치되거나, 후방측벽(514)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외력제공부(550)는 상기 상방측벽(516) 및 상기 하방측벽(518)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후방측벽(514)과 대향하는 측에 배치되는 전방측커버부(552), 상기 전방측커버부(552)로부터 상기 상방측벽(516) 및 상기 하방측벽(518)으로 각각 연장되는 상방측커버부(554) 및 하방측커버부(55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외력전달부(540)는 상기 상방측커버부(554) 및 상기 하방측커버부(556)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전방측커버부(552)는 전방측벽(512)의 전방측에 위치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외력제공부(550)는 상기 바디부(510)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바디부(510)의 전방측벽(512) 및 상기 바디부(510)의 후방측벽(514) 중 적어도 하나를 커버할 수 있으며, 상기 바디부(510)의 상방측벽(516) 및 상기 바디부의 하방측벽(518) 중 적어도 하나를 커버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의 편의성에 따라 외력제공부(550)가 커버하는 대상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에 의해 밴드가 이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500)에 밴드(B)가 삽입공간(S1)으로 유입되면, 상기 밴드(B)는 상기 밴드제어부(520)와 접촉된 채 제1 방향(D1)으로의 이동은 자유로울 수 있다.
다만,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D2)으로 이동은 상기 밴드제어부(520)가 밴드(B)의 걸림부(B1)에 걸리게 되어 불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서, 외력을 외력제공부(550)에 인가하여 상기 외력전달부(540)를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외력제공부(550) 및 상기 외력전달부(540)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되면, 상기 밴드제어부(520)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밴드(B)의 걸림부(B1)로부터 분리되게 되며, 상기 밴드(B)는 제2 방향(D2)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530)는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밴드제어부(520), 상기 외력전달부(540) 및 상기 외력제공부(550)는 상기 탄성부(530)의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부공간(S3)은 바디부(510)의 전방측벽(512)과 후방측벽(514) 사이에 상기 밴드(B)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밴드제어부(520)의 위치가 상기 제1 위치이거나 상기 제2 위치인 경우에 상관없이 일정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내부공간(S3)은 상기 외력전달부(540)의 위치 및 상기 밴드제어부(520)의 위치에 상관없이 일정한 크기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로 설명한 실시예에서 바디부(510)의 전방측벽(512)이 제거된 구조일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4 내지 도 18을 참조로 설명한 실시예에서 외력제공부(550)의 후방측커버부(558)가 추가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외력제공부(550)는 전방측커버부(552)와 대향하는 후방측커버부(558)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바디부(510)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장치는 가방, 신발, 의류, 밸트 및 시계줄 등 다양한 제품에 활용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 장치는 밸트의 버클로 활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밴드(B)가 연결된 벨트(V)를 제어 장치의 바디부에 연결할 수 있는 구성요소가 필요하며, 구체적으로, 연결고리(360) 및 벨트연결부(370)가 필요할 수 있다.
상기 연결고리(360)는 대략 C자 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벨트연결부(370)는 연결바디(372) 및 가압부(37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바디(372)는 밴드(B)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H1)을 구비할 수 있으며, 후방측은 일부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374)는 상기 삽입홀(H1)로 벨트(V)가 삽입되면, 상기 연결바디(372)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바디(372)의 후방측에 형성되는 측벽(373)에 의해 후방측으로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374)는 나사(K) 등이 체결될 수 있는 나사홀(H2)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삽입홀(H1)로 벨트(V)가 삽입되고, 상기 가압부(374)가 상기 연결바디(372)에 삽입되면, 상기 나사(K) 등에 의해 상기 벨트(V)는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어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삽입홀(H2)에 상기 벨트(V)가 삽입되고, 상기 가압부(374)가 상기 연결바디(372)에 삽입되면, 상기 가압부(374)의 단차지게 형성되는 측벽(375)은 상기 연결바디(372)의 측벽(373)과 접촉되고, 이러한 접촉에 의한 접촉력에 의해 상기 벨트(V)의 이탈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사(K)가 상기 나사홀(H2) 내에서 회전되어 상기 벨트(V)를 가압하면 할수록, 상기 가압부(374)는 상기 벨트(V)와 멀어지면서 측벽(375)과 상기 연결바디(372)의 측벽(373)의 접촉력은 증가되어 상기 벨트(V)의 이탈은 발생되지 않는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며, 도 24는 도 23의 CC선에 따른 개략단면도이고, 도 25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잠금부의 잠금 해제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600)는 앞선 실시예들과 비교할 때, 잠금부(670)가 더 포함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잠금부(670)는 외력제공부(650) 및 외력전달부(640)의 비이상적인 위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일종의 시건장치일 수 있다.
상기 잠금부(670)는 바디부(610)의 상방측벽(616) 및 하방측벽(618) 중 적어도 하나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외력전달부(640)의 위치 이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670)는 외력전달부(64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으며, 외력전달부(640)가 위치 이동되는 경로, 즉, 관통부(611)를 규정하는 내면에 접촉되어 상기 외력전달부(640)가 상기 관통부(611) 내에서 위치 이동이 불가능한 잠금상태(도 24에 도시된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잠금부(670)는 상기 외력전달부(640)의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관통부(611)를 규정하는 내면에 비접촉되어 상기 외력전달부(640)가 상기 관통부(611) 내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한 해제상태(도 25에 도시된 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해제상태를 구현하는 상기 외력전달부(640)의 위치 이동 방향은 상방측벽(616)으로부터 하방측벽(618)을 향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력전달부(640)의 일측과 대응되는 외력제공부(650)의 상방측커버부(654) 또는 하방측커버부(656)는 상기 잠금부(670)가 상기 잠금상태에서 상기 해제상태로 상태 변화가 가능하도록 상기 잠금부(67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인 도피부(65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외력제공부(650)의 상방측커버부(654)로부터 돌출된 상기 외력전달부(640)의 타측을 누르게 되면, 상기 외력전달부(640)는 상방측벽(616)으로부터 하방측벽(618)을 향하는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게 되며, 이로 인해, 잠금부(670)는 관통부(611)를 규정하는 내면으로부터 상기 하방측커버부(656)의 도피부(657)로 이동되게 된다.
결국, 이 상태에서 외력제공부(650) 및 외력전달부(640)는 밴드(B)의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위치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외력전달부(640)의 타측을 누르던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외력전달부(640)는 하방측벽(618)으로부터 상방측벽(616)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다시 말해서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이는 탄성스프링의 일종인 복귀부(E)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복귀부(E)는 상기 외력전달부(640)의 타측과 상기 외력전달부(640)의 타측과 대응되는 상방측커버부(654) 또는 하방측커버부(656)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해제상태인 상기 잠금부(670)를 상기 잠금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도 26은 도 23의 CC선에 따른 다른 개략단면도이며, 도 27은 도 26에 따른 제어 장치의 잠금부의 잠금 해제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잠금부(670')는 도 24 및 도 25와는 달리, 일부가 절개된 환형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관통부(611)도 상기 잠금부(670')와 대응되는 원형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통부(611)는 원형 형상과 함께 외력전달부(640')의 직선 운동을 구현하기 위해 원형 형상인 부분보다 작지만 다소 길게 형성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670')는 일부가 절개된 환형으로 형성되어 외력전달부(640')의 하측으로부터 끼워져 상기 외력전달부(64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며, 도 29 및 도 30은 도 28의 DD선에 따른 개략단면도이다.
도 28 내지 도 3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700)는 앞선 실시예들과 비교할 때, 잠금부(770)가 더 포함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잠금부(770)는 외력제공부(750) 및 외력전달부(740)의 비이상적인 위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일종의 시건장치일 수 있다.
상기 잠금부(770)는 바디부(710)의 상방측벽(716) 및 하방측벽(718) 중 적어도 하나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외력전달부(740)의 위치 이동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디부(710)의 상방측벽(716) 및 하방측벽(718)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잠금부(77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관통 또는 함입되어 형성되는 수용부(71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770)는 상기 수용부(713)에 수용되어 상기 외력전달부(740)가 상기 관통부(711) 내에서 위치 이동이 불가능한 잠금상태를 구현하고, 위치 이동에 의한 상기 수용부(713)로부터의 분리에 의해 상기 관통부(711) 내에서 상기 외력전달부(740)가 위치 이동이 가능한 해제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770)는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잠금상태와 상기 해제상태를 구현할 수 있으며,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거나,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잠금상태에서 상기 해제상태로 상태 변화되기 위한 외력이 상기 잠금부(770)에 제공되면, 외력제공부(750) 및 외력전달부(740)는 밴드(B)의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위치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잠금부(770)는 탄성스프링의 일종인 복귀부(E)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어 다시 잠금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도 31 및 도 32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며, 도 33 및 도 34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제어 장치와 밴드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35는 도 31의 EE선에 따른 개략단면도이며, 도 36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분해사시도이다.
도 31 내지 도 3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80)는 밴드(900)와 제어 장치(8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800)는 밴드(900)의 제1 방향(D1)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반면, 상기 제1 방향(D1)과 반대인 제2 방향(D2)으로의 상기 밴드(900)의 이동은 선택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일종의 버클일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800)는 바디부(810), 밴드제어부(820) 및 외력전달부(8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개략적으로 상기 바디부(810)는 상기 제어 장치(800)의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810)는 상기 밴드(900)의 일측단이 삽입되는 삽입공간(S1)과 상기 삽입공간(S1)에 삽입된 상기 밴드(900)의 일측단이 유출되는 유출공간(S2)을 구비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밴드제어부(820)는 상기 바디부(8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바디부(810)의 내부공간(S3)에 위치하고, 회전축을 기준으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위치 변화가 가능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900)와 접촉된 채 상기 밴드(900)의 상기 제1 방향(D1)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되, 상기 제2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900)와 비접촉된 채 상기 밴드(900)의 상기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력전달부(840)는 제3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밴드제어부(820)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밴드제어부(820)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시키도록 상기 밴드제어부(820)와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제3 위치에서 제4 위치로 위치 변화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여기서, 위치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3 위치는 도 35에 도시된 위치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위치 및 상기 제4 위치는 도 42 및 도 43에 도시된 위치일 수 있다.
상기 외력전달부(840)는 상기 밴드(900)의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을 구현하기 위한 일종의 스위치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외력을 밴드제어부(82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외력전달부(840)는 상기 밴드제어부(820)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직선 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밴드제어부(820)는 상기 외력전달부(840)의 직선 운동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밴드제어부(820)의 회전 운동에 의해 규정되는 위치일 수 있으며, 상기 제3 위치 및 상기 제4 위치는, 상기 외력전달부(840)의 직선 운동에 의해 규정되는 위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위치 및 상기 제4 위치는, 상기 외력전달부(840)의 수평 방향(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의 직선 운동에 의해 규정되는 위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력전달부(840)는 상기 밴드제어부(820)와 밴드(9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외력전달부(840)의 제3 위치 및 상기 제4 위치 상호 간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바디부(810)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부(81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관통부(811)는 상기 바디부(810)의 내부공간(S3)을 규정하는 전방측벽(812), 후방측벽(814), 상방측벽(816) 및 하방측벽(818) 중 상기 상방측벽(816)과 상기 하방측벽(818)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811)는 상기 밴드(900)의 이동 방향, 즉, 수평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길게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외력전달부(840)는 상기 관통부(811)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부(811) 내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통부(811)는 수평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길게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구간과 후방측벽(814)을 향하여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구간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외력전달부(840)의 제3 위치는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구간의 끝단 위치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비의도적인 외력에 의해 상기 외력전달부(840)가 상기 제4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외력전달부(840)는 상기 내부공간(S3)에 위치하여 상기 밴드제어부(820)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밴드제어부(820)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변화시키는 접촉부(842) 및 상기 내부공간(S3)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접촉부(842)의 위치 이동에 필요한 외력이 인가되도록 하는 외력인가부(844)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력인가부(844) 중 적어도 하나는 조립의 용이성을 위해 상기 접촉부(842)와 착탈 가능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외력인가부(844)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외력을 제공받는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상기 접촉부(842)는 상기 외력인가부(844)와 연결되어 상기 접촉부(842)와 연동되어 이동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밴드제어부(820)는 상기 전방측벽(812)의 내측면에 위치하는 기준부(822) 및 상기 기준부(822)로부터 상기 내부공간(S3)에 위치한 상기 밴드(900)를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변화부(824)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부(822)는 상기 밴드제어부(820)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변화되기 위한 회전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준부(82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크기의 공간을 형성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가 밀실한 구조일 수도 있다.
상기 기준부(822)와 상기 바디부(810)의 전방측벽(812)의 내측면의 접촉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밴드제어부(820)의 회전 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밴드제어부(820)는 상기 전방측벽(812)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돌출부(819)에 의해 제1 방향(D1)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밴드제어부(820)가 외력에 의한 외력전달부(840)의 위치 이동에 의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변화된 후,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밴드제어부(820)는 상기 내부공간(S3)에 위치하는 탄성부(830)에 의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밴드제어부(820)는 상기 탄성부(830)에 의해 삽입공간(S1) 측으로 가압될 수 있으나, 상기 탄성부(830)에 의한 가압력에도 불구하고 상기 바디부(810)의 삽입공간(S1) 측에 형성되는 제1 고정부(817)에 의해 상기 바디부(810)의 삽입공간(S1) 측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817)는 상기 바디부(810)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830)는 상기 밴드제어부(820)가 상기 외력전달부(840)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되는 경우,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외력전달부(840)에 가해지던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밴드제어부(820)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디부(810)는 유출공간(S2) 측에 탄성부(830)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2 고정부(81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830)는 상기 바디부(810)의 유출공간(S2) 측 내측면에 접촉하는 지지부(832), 상기 지지부(832)로부터 상기 밴드(900)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탄성력제공부(834), 상기 지지부(832)로부터 절개된 후 제1 각도로 절곡되는 절곡부(836) 및 상기 절곡부(836)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각도보다 더 큰 제2 각도로 절곡되는 밀림방지부(83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각도는 상기 지지부(832)를 기준으로 대략 90도일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815)는 상기 바디부(810)가 복수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양측에는 상기 탄성부(830)의 절곡부(836)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S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간(S4)에 상기 절곡부(836)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공간(S4)이 형성된 상기 제2 고정부(815)의 일면에는 밀림방지부(838)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밀림방지부(838)는 상기 제2 고정부(815)의 일면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탄성력제공부(834)가 탄성 변형되어 발생되는 유출공간(S2) 측으로의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830)는 상기 바디부(810)의 전방측벽(812)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돌출부(813)에 의해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도 37 내지 도 40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1은 밴드가 제어 장치에 삽입되는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7 내지 도 41을 참조하면, 밴드(900)는 전방면(916) 및 후방면(918)을 구비하고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몸체부(910) 및 상기 몸체부(910)의 제1 방향(D1) 측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910)의 적어도 일부가 제어 장치(800)의 바디부(810)에 의해 제공되는 내부공간(S3)으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가이드부(9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910)는 상기 바디부(810)에 의해 제공되는 내부공간(S3)에 삽입되는 한 쌍의 날개부(912) 및 상기 한 쌍의 날개부(912)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한 쌍의 날개부(912)를 지지하되, 길이 방향(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을 따라 후방면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바디부(810)의 후방측벽(814) 사이로 슬라이딩 되는 지지부(91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910)는 제어 장치(800)의 밴드제어부(820)가 제1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밴드(900)를 제2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경우, 상기 밴드제어부(820)가 걸리도록 하여 상기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전방면(916)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피걸림부(94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피걸림부(940)는 한 쌍의 날개부(912) 각각에 상기 지지부(914)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방면(916)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오목부(942)와 상기 오목부(942)와 인접하고 돌출되어 형성되는 볼록부(944)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피걸림부(940)는 반드시 상기 오목부(942)와 상기 볼록부(944)로 구현될 필요는 없으며, 둘 중 어느 하나만으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여기서, 상기 볼록부(944)는 상기 밴드(900)가 바디부(810)의 내부공간(S3) 내에서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는 경우, 밴드제어부(820)와의 접촉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1 방향(D1)으로의 이동이 구현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일면(944a)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밴드(900)는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는 경우, 밴드제어부(820)의 위치 이동(회전)을 반복하게 하면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한편, 가이드부(920)는 몸체부(910)로부터 소정의 높이차를 가지며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부(910)의 전방면과 소정의 높이차를 형성하는 전방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920)는 상기 한 쌍의 날개부(912)가 상기 내부공간(S3)으로 삽입되어 상기 밴드(900)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경우, 바디부(810)의 후방측벽(814)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몸체부(910)의 적어도 일부인 상기 한 쌍의 날개부(912)가 상기 내부공간(S3)으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920)는 상기 한 쌍의 날개부(912)가 상기 내부공간(S3)으로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910) 또는 상기 밴드(900)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경우, 상기 후방측벽(814)의 외측면과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920)는 상기 후방측벽(814)의 외측으로 진입하여 상기 후방측벽(814)의 외측면과 대향하는 일면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후방측벽(814)의 외측면과 대향하는 일면은 경사지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진입면(922)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몸체부(910)를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시키려는 경우, 상기 가이드부(920)가 바디부(810)의 후방측벽(814)과 접촉되더라도 상기 진입면(922)으로 인하여 상기 후방측벽(814)의 외측으로 자연스럽게 진입될 수 있으므로, 밴드(900)의 이동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후방측벽(814)의 외측면과 대향하는 일면은, 상기 진입면(922), 상기 진입면(922)과 연결되는 수평면(924) 및 상기 수평면(924)과 연결되고 경사지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진출면(926)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밴드(900)는 상기 몸체부(910)와 상기 가이드부(920)를 연결하는 연결부(9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930)는 상기 가이드부(920)가 상기 몸체부(910)를 기준으로 높이차를 가지며 위치하도록 하는 구성요소로, 상기 몸체부(910)와 상기 가이드부(920) 사이에 상기 후방측벽(814)이 삽입되는 공간(S5)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공간(S5)으로 인하여, 상기 밴드(900)를 제1 방향(D1)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후방측벽(814)이 밴드(900)가 부착된 피착물과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피착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930)는 상기 몸체부(910) 및 상기 가이드부(920)보다 작은 폭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930)는 상기 몸체부(910)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바디부(810)의 후방측벽(814)과 접촉이 되더라도, 상기 바디부(810)의 후방측벽(814) 중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 사이로 유도되어 슬라이딩되도록 경사지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일면(93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910)의 상기 한 쌍의 날개부(912)는 상기 한 쌍의 날개부(912)가 상기 내부공간(S3)으로 삽입되어 상기 밴드(900)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후방측벽(814)의 내측으로 진입하여 상기 후방측벽(814)의 내측과 대향하는 일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측벽(814)의 내측과 대향하는 일면은, 경사지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안내면(919)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안내면(919)으로 인해 상기 한 쌍의 날개부(912)는 상기 후방측벽(814)의 내측으로 원활하게 슬라이딩 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밴드(900)는 상기 몸체부(910)의 제2 방향 측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910)의 제1 방향(D1)으로의 이동에 대한 한계를 제공하는 스톱퍼부(9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톱퍼부(950)는 상기 몸체부(910)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날개(912)의 후방면과 높이차를 가지는 후방면을 구비하여, 상기 바디부(810)의 후방측벽(814)이 걸리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톱퍼부(950)는 밴드(900)가 피착물에 고정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스톱퍼부(950)는 상기 몸체부(910)가 제1 방향(D1)으로 최대로 이동된 경우, 비의도적인 외력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피착물로부터의 밴드(900)의 들림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톱퍼부(950)의 전방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재봉에 의해 피착물과 연결시키는 경우, 재봉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2 및 도 43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제어 장치로부터 밴드가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2 및 도 4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80)에 제공되는 제어 장치(800)에 밴드(900)가 삽입공간(S1)으로 유입되면, 상기 밴드(900)는 상기 밴드제어부(820)와 접촉된 채 제1 방향(D1)으로의 이동은 자유로울 수 있다.
다만,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D2)으로 이동은 상기 밴드제어부(820)가 밴드(900)의 피걸림부(940)에 걸리게 되어 불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서, 외력을 외력전달부(840)에 인가하여 상기 외력전달부(840)를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외력전달부(840)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되면, 상기 밴드제어부(820)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밴드(900)의 걸림부(B1)로부터 분리되게 되며, 상기 밴드(900)는 제2 방향(D2)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830)는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밴드제어부(820) 및 외력전달부(840)는 상기 탄성부(830)의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부공간(S3)은 바디부(810)의 전방측벽(812)과 후방측벽(814) 사이에 상기 밴드(900)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밴드제어부(820)의 위치가 상기 제1 위치이거나 상기 제2 위치인 경우에 상관없이 일정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내부공간(S3)은 상기 외력전달부(840)의 위치 및 상기 밴드제어부(820)의 위치에 상관없이 일정한 크기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44 및 도 4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80)는 가방, 신발, 의류, 밸트 및 시계줄 등 다양한 제품에 활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멜빵 등에 사용되어 길이의 미세조절이 가능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4 및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80)는 시계의 시계줄에 적용될 수 있다.
시계줄의 일측단에는 제어 장치(800)가 연결될 수 있으며, 타측단에는 밴드(900)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도 44의 경우는 시계줄의 타측단이 밴드(900)의 일측과 접착제에 의한 접착 방식 또는 실 등에 의한 봉제 방식 등에 의해 연결되는 경우이며, 도 45의 경우는, 밴드(900)의 지지부(914)의 일면 및 가이드부(920)의 일면과 접착제에 의한 접착 방식 또는 실 등에 의한 봉제 방식 등에 의해 연결되는 경우이다.
도 44를 참조하면, 밴드(900)의 지지부(914)와 연결된 시계줄의 일부 사이에는 상기 지지부(914)의 두께 만큼의 이격공간(S6)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격공간(S6)은 상기 밴드(900)가 바디부(810)의 내부공간(S3)으로 삽입되는 경우, 바디부(810)의 후방측벽(814)이 삽입되는 공간일 수 있다.
도 46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밴드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6을 참조하면, 가이드부(920')가 한 쌍의 날개부(912)의 후방측에도 형성되도록 지지부(914)와 연결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해, 밴드(900')를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바디부(810)의 후방측벽(814)은 한 쌍의 날개부(912)와 상기 후방측벽(814)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밴드(900')와 상기 밴드(900')가 사용되는 피착물과의 연결은, 스톱퍼부(950')에 의한 연결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결국, 후방측벽(814)은 피착물과의 접촉이 완전히 차단되어, 후방측벽(814)에 의한 피착물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설명한 밴드가 적용될 수 있는 제어 장치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어 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디부가 후방측벽을 구비하고, 후방측벽 사이로 밴드의 지지부가 슬라이딩될 수 있는 제어 장치라면, 모두 적용 가능할 수 있다.

Claims (15)

  1. 밴드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은 자유로우나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은 선택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밴드의 일측단이 삽입되는 삽입공간과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기 밴드의 일측단이 유출되는 유출공간을 구비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바디부의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회전축을 기준으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위치 변화가 가능하며, 상기 제1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와 접촉된 채 상기 밴드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되, 상기 제2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와 비접촉된 채 상기 밴드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밴드제어부;
    제3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밴드제어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밴드제어부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시키도록 상기 밴드제어부와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제3 위치에서 제4 위치로 위치 변화되는 외력전달부;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의 직선 운동에 의해 상기 밴드제어부를 회전시켜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밴드제어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밴드제어부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변화시키는 접촉부 및 상기 내부공간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접촉부의 위치 이동에 필요한 외력이 인가되도록 하는 외력인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내부공간을 규정하는 전방측벽, 후방측벽, 상방측벽 및 하방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공간은,
    상기 전방측벽과 상기 후방측벽 사이에 상기 밴드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밴드제어부의 위치가 상기 제1 위치이거나 상기 제2 위치인 경우에 상관없이 일정한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제어부는,
    상기 바디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제어부는,
    상기 바디부로부터 절곡된 후,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한 상기 밴드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변화부를 구비하며,
    상기 외력전달부는,
    외력에 의한 상기 변화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밴드제어부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제어부는,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탄성에 의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내부공간을 규정하는 전방측벽, 후방측벽, 상방측벽 및 하방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상방측벽 및 상기 하방측벽은,
    상기 밴드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부 내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밴드제어부는,
    상기 전방측벽의 내측면에 위치하는 기준부 및 상기 기준부로부터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한 상기 밴드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변화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준부는,
    상기 밴드제어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변화되기 위한 회전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외력에 의한 상기 외력전달부의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밴드제어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변화된 후,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밴드제어부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제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밴드제어부가 상기 탄성부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삽입공간 측에 제공되는 제1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외력전달부에 의해 상기 밴드제어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탄성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유출공간 측에 제공되어 상기 탄성부와 접촉되는 제2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전달부와 연결되어 상기 외력전달부의 위치 이동에 필요한 외력을 제공하는 외력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제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제공부는,
    상기 바디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바디부의 전방측벽 및 상기 바디부의 후방측벽 중 적어도 하나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제공부는,
    상기 바디부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바디부의 상방측벽 및 상기 바디부의 하방측벽 중 적어도 하나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제공부는,
    직선 운동에 의해 상기 외력전달부를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PCT/KR2017/009546 2016-09-02 2017-08-31 밴드, 제어 장치 및 밴드 조절 장치 WO2018044095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80054033.6A CN109688862B (zh) 2016-09-02 2017-08-31 卡条、控制装置以及卡条调节装置
JP2019500204A JP6707170B2 (ja) 2016-09-02 2017-08-31 バンド、制御装置およびバンド調節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949 2016-09-02
KR1020160112949A KR101832430B1 (ko) 2016-09-02 2016-09-02 제어 장치
KR1020160135649A KR101850763B1 (ko) 2016-10-19 2016-10-19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
KR10-2016-0135649 2016-10-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44095A1 true WO2018044095A1 (ko) 2018-03-08

Family

ID=61301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9546 WO2018044095A1 (ko) 2016-09-02 2017-08-31 밴드, 제어 장치 및 밴드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707170B2 (ko)
CN (1) CN109688862B (ko)
WO (1) WO20180440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73169A (zh) * 2019-11-07 2021-05-11 宁波利洋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安装窗帘的安装杆组件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267Y1 (ko) * 1994-07-22 1996-05-23 윤기용 혁대용 버클
KR20030073700A (ko) * 2002-03-12 2003-09-19 이명희 벨트해제기구를 갖는 버클
KR200342411Y1 (ko) * 2003-12-02 2004-02-21 강주식 허리벨트
KR20110008700U (ko) * 2010-03-05 2011-09-15 유성호 허리띠용 버클
KR101632531B1 (ko) * 2015-01-08 2016-06-21 류양석 버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07435A1 (de) * 1990-11-12 1992-05-14 Schaeffer Gmbh Bundverschluss
JP2004135724A (ja) * 2002-10-16 2004-05-13 Takaharu Nonoda 衣服用ベルト具
JP2006204691A (ja) * 2005-01-31 2006-08-10 Starlite Co Ltd ヘルメット用ヘッドバンドのバックル構造
JP2007154368A (ja) * 2005-12-06 2007-06-21 Ykk Corp 長さ調節具
KR100885850B1 (ko) * 2008-08-01 2009-02-26 이종태 하의의 허리단 둘레조절장치
KR101059775B1 (ko) * 2009-04-06 2011-08-26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길이 조절용 버클 장치
JP2010259627A (ja) * 2009-05-07 2010-11-18 Ykk Corp スライドアジャスタ
KR101274672B1 (ko) * 2013-02-21 2013-06-17 류양석 버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267Y1 (ko) * 1994-07-22 1996-05-23 윤기용 혁대용 버클
KR20030073700A (ko) * 2002-03-12 2003-09-19 이명희 벨트해제기구를 갖는 버클
KR200342411Y1 (ko) * 2003-12-02 2004-02-21 강주식 허리벨트
KR20110008700U (ko) * 2010-03-05 2011-09-15 유성호 허리띠용 버클
KR101632531B1 (ko) * 2015-01-08 2016-06-21 류양석 버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688862B (zh) 2021-11-05
JP2019509877A (ja) 2019-04-11
CN109688862A (zh) 2019-04-26
JP6707170B2 (ja) 202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16053A1 (en) Latch assembly for vehicle trunk door
WO2015102438A1 (en) Display apparatus
WO2012087057A2 (ko) 의류처리장치
WO2018110856A1 (ko) 회전장치
WO2020179965A1 (en) Headrest
WO2010068070A2 (ko) 양면날면도기
WO2015142122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058561A1 (en) Display apparatus
WO2018199600A1 (ko) 냉장고
WO2019112396A1 (ko) 휴대폰 케이스
WO2021091228A1 (ko) 헬멧용 프론트 커버, 헬멧용 쉘 및 이들을 포함하는 헬멧
WO2021235646A1 (ko) 헤어 드라이어
WO2019009533A1 (ko) 프로파일 조립체
WO2020246730A1 (ko) 청소기
WO2020055216A1 (ko) 청소기
WO2016099145A2 (ko) 스마트 믹서기 및 이의 작동방법
WO2022119089A1 (ko) 차량 기어 노브
WO2021235645A1 (ko) 헤어 드라이어
WO2018044095A1 (ko) 밴드, 제어 장치 및 밴드 조절 장치
WO2021071348A1 (ko)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
WO2017116059A1 (en) Latch assembly for vehicle trunk door
WO2017200150A1 (ko) 렌치
WO2020235705A1 (ko) 액션 로봇
WO2022149739A1 (ko) 힌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8038372A1 (ko)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500204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4702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4702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