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0763B1 -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0763B1
KR101850763B1 KR1020160135649A KR20160135649A KR101850763B1 KR 101850763 B1 KR101850763 B1 KR 101850763B1 KR 1020160135649 A KR1020160135649 A KR 1020160135649A KR 20160135649 A KR20160135649 A KR 20160135649A KR 101850763 B1 KR101850763 B1 KR 101850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body portion
side wall
rear sid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양석
Original Assignee
류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양석 filed Critical 류양석
Priority to KR1020160135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763B1/ko
Priority to CN201780054033.6A priority patent/CN109688862B/zh
Priority to PCT/KR2017/009546 priority patent/WO2018044095A1/ko
Priority to JP2019500204A priority patent/JP6707170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44B11/06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with strap tighte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0/00General types of fasteners
    • A44D2200/10Details of construction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는, 바디부 및 밴드제어부를 구비하는 제어장치 - 상기 밴드제어부는, 상기 바디부에 장착되어 밴드가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은 자유로우나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은 선택적으로 구현되도록 함 - 에 사용되는 것으로, 전방면 및 후방면을 구비하며,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기 제1 방향 측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바디부에 의해 제공되는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Band and band adjus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의류나 가방 등의 피착물에서 폭을 줄이거나 넓히는 목적의 버클장치의 용도에 관해서는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피착물에 사용되는 버클장치는 기본적으로 밴드와 버클로 이루어지며, 버클은 밴드의 양단 부를 결속하거나 또는 바지나 스커트 등의 허리단 부분에 구비되어 바지나 스커트 등의 허리둘레를 착용자의 허리둘레에 맞게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가방이나 핸드백 등에서 입구를 축소하거나 확장 등의 목적에도 활용되며, 시계줄 등에도 사용되어 시계줄의 둘레를 착용자의 손목에 맞게 조절하는 목적에도 활용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버클은 밴드가 조여지는 방향, 즉, 순방향으로는 밴드의 당김에 의해 자유로운 슬라이드 이동이 제공되나, 밴드가 풀어지는 방향, 즉, 역방향으로는 이동이 단속되어 밴드가 풀어지지 않는 조임 상태가 유지된다.
종래의 버클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밴드가 통과하는 버클하우징, 상기 버클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버튼 및 상기 버튼에 의해 위치 이동되어 밴드의 단속 여부를 조절하는 걸림수단 및 상기 버튼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종래의 버클에 사용되는 종래의 밴드는 버클하우징 내로 삽입되게 되는데, 삽입 시 버클하우징에 걸리게 되어 간단하게 삽입하는데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의 버클 및 밴드는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도록 개발된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는, 바디부 및 밴드제어부를 구비하는 제어장치 - 상기 밴드제어부는, 상기 바디부에 장착되어 밴드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은 자유로우나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은 선택적으로 구현되도록 함 - 에 사용되는 상기 밴드로, 전방면 및 후방면을 구비하며,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기 제1 방향 측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바디부에 의해 제공되는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밴드제어부가 제1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밴드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경우, 상기 밴드제어부가 걸려 상기 밴드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이 차단되도록, 상기 전방면에 형성되는 피걸림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몸체부의 전방면과 소정의 높이차를 형성하는 전방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몸체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바디부의 후방측벽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몸체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몸체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후방측벽의 외측면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몸체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후방측벽의 외측으로 진입하여 상기 후방측벽의 외측면과 대향하는 일면이 형성되며, 상기 후방측벽의 외측면과 대향하는 일면은, 경사지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진입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의 상기 후방측벽의 외측면과 대향하는 일면은, 상기 진입면과 연결되는 수평면 및 상기 수평면과 연결되고 경사지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진출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는, 상기 몸체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몸체부와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 상기 후방측벽이 삽입되기 위한 공간이 제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몸체부 및 상기 가이드부보다 작은 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몸체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바디부의 후방측벽과 접촉이 되더라도, 상기 바디부의 후방측벽 중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 사이로 유도되어 슬라이딩되도록 경사지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일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의 상기 몸체부는, 상기 밴드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바디부의 후방측벽의 내측으로 진입하여 상기 후방측벽의 내측과 대향하는 일면이 형성되며, 상기 후방측벽의 내측과 대향하는 일면은, 경사지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안내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의 상기 몸체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한 쌍의 날개부 및 상기 한 쌍의 날개부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한 쌍의 날개부를 지지하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후방면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바디부의 후방측벽 중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 사이로 슬라이딩 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의 상기 피걸림부는, 상기 한 쌍의 날개부 각각에 상기 지지부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의 상기 피걸림부는, 상기 전방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와 인접하고 돌출되어 형성되는 볼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는, 상기 몸체부의 상기 제2 방향 측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한 한계를 제공하는 스톱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의 상기 스톱퍼부는, 상기 몸체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날개의 후방면과 높이차를 가지는 후방면을 구비하여, 상기 바디부의 후방측벽이 걸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의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한 쌍의 날개부의 후방측에 형성되도록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날개부와의 사이에 상기 후방측벽이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는, 밴드; 및 상기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밴드의 일측단이 삽입되는 삽입공간과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기 밴드의 일측단이 유출되는 유출공간을 구비하는 상기 바디부 및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위치 변화가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와 접촉된 채 상기 밴드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되, 상기 제2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와 비접촉된 채 상기 밴드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밴드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에 의하면, 밴드가 제어 장치 내로 삽입되는 것을 원활히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밴드의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한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를 도시한 개략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제어 장치와 밴드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의 AA선에 따른 개략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분해사시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밴드가 제어 장치에 삽입되는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제어 장치로부터 밴드가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 및 도 1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밴드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는 가방, 신발, 의류, 밸트 및 시계줄 등 다양한 제품에 활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멜빵 등에 사용되어 길이의 미세조절이 가능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를 도시한 개략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제어 장치와 밴드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도 1의 AA선에 따른 개략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10)는 밴드(200)와 제어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100)는 밴드(200)의 제1 방향(D1)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반면, 상기 제1 방향(D1)과 반대인 제2 방향(D2)으로의 상기 밴드(200)의 이동은 선택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일종의 버클일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100)는 바디부(110), 밴드제어부(120) 및 외력전달부(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개략적으로 상기 바디부(110)는 상기 제어 장치(100)의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10)는 상기 밴드(200)의 일측단이 삽입되는 삽입공간(S1)과 상기 삽입공간(S1)에 삽입된 상기 밴드(200)의 일측단이 유출되는 유출공간(S2)을 구비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밴드제어부(120)는 상기 바디부(1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바디부(110)의 내부공간(S3)에 위치하고, 회전축을 기준으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위치 변화가 가능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200)와 접촉된 채 상기 밴드(200)의 상기 제1 방향(D1)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되, 상기 제2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200)와 비접촉된 채 상기 밴드(200)의 상기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력전달부(140)는 제3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밴드제어부(120)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밴드제어부(120)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시키도록 상기 밴드제어부(120)와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제3 위치에서 제4 위치로 위치 변화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여기서, 위치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3 위치는 도 5에 도시된 위치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위치 및 상기 제4 위치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위치일 수 있다.
상기 외력전달부(140)는 상기 밴드(200)의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을 구현하기 위한 일종의 스위치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외력을 밴드제어부(12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외력전달부(140)는 상기 밴드제어부(120)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시키기 위해,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직선 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밴드제어부(120)는 상기 외력전달부(140)의 직선 운동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밴드제어부(120)의 회전 운동에 의해 규정되는 위치일 수 있으며, 상기 제3 위치 및 상기 제4 위치는, 상기 외력전달부(140)의 직선 운동에 의해 규정되는 위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위치 및 상기 제4 위치는, 상기 외력전달부(140)의 수평 방향(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의 직선 운동에 의해 규정되는 위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력전달부(140)는 상기 밴드제어부(120)와 밴드(2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외력전달부(140)의 제3 위치 및 상기 제4 위치 상호 간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바디부(110)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부(11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관통부(111)는 상기 바디부(110)의 내부공간(S3)을 규정하는 전방측벽(112), 후방측벽(114), 상방측벽(116) 및 하방측벽(118) 중 상기 상방측벽(116)과 상기 하방측벽(118)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111)는 상기 밴드(200)의 이동 방향, 즉, 수평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길게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외력전달부(140)는 상기 관통부(111)에 삽입되어 상기 관통부(111) 내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통부(111)는 수평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로 길게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구간과 후방측벽(114)을 향하여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구간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이때, 상기 외력전달부(140)의 제3 위치는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구간의 끝단 위치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비의도적인 외력에 의해 상기 외력전달부(140)가 상기 제4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외력전달부(140)는 상기 내부공간(S3)에 위치하여 상기 밴드제어부(120)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밴드제어부(120)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변화시키는 접촉부(142) 및 상기 내부공간(S3)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접촉부(142)의 위치 이동에 필요한 외력이 인가되도록 하는 외력인가부(144)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력인가부(144) 중 적어도 하나는 조립의 용이성을 위해 상기 접촉부(142)와 착탈 가능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외력인가부(144)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외력을 제공받는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상기 접촉부(142)는 상기 외력인가부(144)와 연결되어 상기 접촉부(142)와 연동되어 이동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밴드제어부(120)는 상기 전방측벽(112)의 내측면에 위치하는 기준부(122) 및 상기 기준부(122)로부터 상기 내부공간(S3)에 위치한 상기 밴드(200)를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변화부(124)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부(122)는 상기 밴드제어부(120)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변화되기 위한 회전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기준부(12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크기의 공간을 형성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가 밀실한 구조일 수도 있다.
상기 기준부(122)와 상기 바디부(110)의 전방측벽(112)의 내측면의 접촉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밴드제어부(120)의 회전 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밴드제어부(120)는 상기 전방측벽(112)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돌출부(119)에 의해 제1 방향(D1)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밴드제어부(120)가 외력에 의한 외력전달부(140)의 위치 이동에 의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변화된 후,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밴드제어부(120)는 상기 내부공간(S3)에 위치하는 탄성부(130)에 의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밴드제어부(120)는 상기 탄성부(130)에 의해 삽입공간(S1) 측으로 가압될 수 있으나, 상기 탄성부(130)에 의한 가압력에도 불구하고 상기 바디부(110)의 삽입공간(S1) 측에 형성되는 제1 고정부(117)에 의해 상기 바디부(110)의 삽입공간(S1) 측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117)는 상기 바디부(110)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130)는 상기 밴드제어부(120)가 상기 외력전달부(140)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되는 경우,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외력전달부(140)에 가해지던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밴드제어부(120)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디부(110)는 유출공간(S2) 측에 탄성부(130)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2 고정부(11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130)는 상기 바디부(110)의 유출공간(S2) 측 내측면에 접촉하는 지지부(132), 상기 지지부(132)로부터 상기 밴드(200)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탄성력제공부(134), 상기 지지부(132)로부터 절개된 후 제1 각도로 절곡되는 절곡부(136) 및 상기 절곡부(136)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각도보다 더 큰 제2 각도로 절곡되는 밀림방지부(13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각도는 상기 지지부(132)를 기준으로 대략 90도일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115)는 상기 바디부(110)가 복수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양측에는 상기 탄성부(130)의 절곡부(136)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S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간(S4)에 상기 절곡부(136)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공간(S4)이 형성된 상기 제2 고정부(115)의 일면에는 밀림방지부(138)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밀림방지부(138)는 상기 제2 고정부(115)의 일면과의 접촉에 의해 상기 탄성력제공부(134)가 탄성 변형되어 발생되는 유출공간(S2) 측으로의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130)는 상기 바디부(110)의 전방측벽(112)의 내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돌출부(113)에 의해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밴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1은 밴드가 제어 장치에 삽입되는 초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밴드(200)는 전방면(216) 및 후방면(218)을 구비하고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몸체부(210) 및 상기 몸체부(210)의 제1 방향(D1) 측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210)의 적어도 일부가 제어 장치(100)의 바디부(110)에 의해 제공되는 내부공간(S3)으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가이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210)는 상기 바디부(110)에 의해 제공되는 내부공간(S3)에 삽입되는 한 쌍의 날개부(212) 및 상기 한 쌍의 날개부(212)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한 쌍의 날개부(212)를 지지하되, 길이 방향(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을 따라 후방면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바디부(110)의 후방측벽(114) 사이로 슬라이딩 되는 지지부(21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210)는 제어 장치(100)의 밴드제어부(120)가 제1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밴드(200)를 제2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경우, 상기 밴드제어부(120)가 걸리도록 하여 상기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전방면(216)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피걸림부(24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피걸림부(240)는 한 쌍의 날개부(212) 각각에 상기 지지부(214)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방면(216)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오목부(242)와 상기 오목부(242)와 인접하고 돌출되어 형성되는 볼록부(244)를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피걸림부(240)는 반드시 상기 오목부(242)와 상기 볼록부(244)로 구현될 필요는 없으며, 둘 중 어느 하나만으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여기서, 상기 볼록부(244)는 상기 밴드(200)가 바디부(110)의 내부공간(S3) 내에서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는 경우, 밴드제어부(120)와의 접촉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1 방향(D1)으로의 이동이 구현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일면(244a)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밴드(200)는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는 경우, 밴드제어부(120)의 위치 이동(회전)을 반복하게 하면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한편, 가이드부(220)는 몸체부(210)로부터 소정의 높이차를 가지며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부(210)의 전방면과 소정의 높이차를 형성하는 전방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220)는 상기 한 쌍의 날개부(212)가 상기 내부공간(S3)으로 삽입되어 상기 밴드(200)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경우, 바디부(110)의 후방측벽(114)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몸체부(210)의 적어도 일부인 상기 한 쌍의 날개부(212)가 상기 내부공간(S3)으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220)는 상기 한 쌍의 날개부(212)가 상기 내부공간(S3)으로 삽입되어 상기 몸체부(210) 또는 상기 밴드(200)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경우, 상기 후방측벽(114)의 외측면과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220)는 상기 후방측벽(114)의 외측으로 진입하여 상기 후방측벽(114)의 외측면과 대향하는 일면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후방측벽(114)의 외측면과 대향하는 일면은 경사지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진입면(222)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몸체부(210)를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시키려는 경우, 상기 가이드부(220)가 바디부(110)의 후방측벽(114)과 접촉되더라도 상기 진입면(222)으로 인하여 상기 후방측벽(114)의 외측으로 자연스럽게 진입될 수 있으므로, 밴드(200)의 이동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상기 후방측벽(114)의 외측면과 대향하는 일면은, 상기 진입면(222), 상기 진입면(222)과 연결되는 수평면(224) 및 상기 수평면(224)과 연결되고 경사지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진출면(226)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밴드(200)는 상기 몸체부(210)와 상기 가이드부(220)를 연결하는 연결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30)는 상기 가이드부(220)가 상기 몸체부(210)를 기준으로 높이차를 가지며 위치하도록 하는 구성요소로, 상기 몸체부(210)와 상기 가이드부(220) 사이에 상기 후방측벽(114)이 삽입되는 공간(S5)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공간(S5)으로 인하여, 상기 밴드(200)를 제1 방향(D1)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후방측벽(114)이 밴드(200)가 부착된 피착물과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피착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여기서, 상기 연결부(230)는 상기 몸체부(210) 및 상기 가이드부(220)보다 작은 폭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30)는 상기 몸체부(210)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바디부(110)의 후방측벽(114)과 접촉이 되더라도, 상기 바디부(110)의 후방측벽(114) 중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 사이로 유도되어 슬라이딩되도록 경사지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일면(23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210)의 상기 한 쌍의 날개부(212)는 상기 한 쌍의 날개부(212)가 상기 내부공간(S3)으로 삽입되어 상기 밴드(200)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후방측벽(114)의 내측으로 진입하여 상기 후방측벽(114)의 내측과 대향하는 일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측벽(114)의 내측과 대향하는 일면은, 경사지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안내면(219)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안내면(219)으로 인해 상기 한 쌍의 날개부(212)는 상기 후방측벽(114)의 내측으로 원활하게 슬라이딩 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밴드(200)는 상기 몸체부(210)의 제2 방향 측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210)의 제1 방향(D1)으로의 이동에 대한 한계를 제공하는 스톱퍼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톱퍼부(250)는 상기 몸체부(210)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날개(212)의 후방면과 높이차를 가지는 후방면을 구비하여, 상기 바디부(110)의 후방측벽(114)이 걸리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톱퍼부(250)는 밴드(200)가 피착물에 고정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스톱퍼부(250)는 상기 몸체부(210)가 제1 방향(D1)으로 최대로 이동된 경우, 비의도적인 외력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피착물로부터의 밴드(200)의 들림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톱퍼부(250)의 전방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재봉에 의해 피착물과 연결시키는 경우, 재봉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제어 장치로부터 밴드가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10)에 제공되는 제어 장치(100)에 밴드(200)가 삽입공간(S1)으로 유입되면, 상기 밴드(200)는 상기 밴드제어부(120)와 접촉된 채 제1 방향(D1)으로의 이동은 자유로울 수 있다.
다만,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인 제2 방향(D2)으로 이동은 상기 밴드제어부(120)가 밴드(200)의 피걸림부(240)에 걸리게 되어 불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서, 외력을 외력전달부(140)에 인가하여 상기 외력전달부(140)를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외력전달부(140)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되면, 상기 밴드제어부(120)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밴드(200)의 걸림부(B1)로부터 분리되게 되며, 상기 밴드(200)는 제2 방향(D2)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130)는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밴드제어부(120) 및 외력전달부(140)는 상기 탄성부(130)의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부공간(S3)은 바디부(110)의 전방측벽(112)과 후방측벽(114) 사이에 상기 밴드(200)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밴드제어부(120)의 위치가 상기 제1 위치이거나 상기 제2 위치인 경우에 상관없이 일정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내부공간(S3)은 상기 외력전달부(140)의 위치 및 상기 밴드제어부(120)의 위치에 상관없이 일정한 크기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4 및 도 1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10)는 가방, 신발, 의류, 밸트 및 시계줄 등 다양한 제품에 활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멜빵 등에 사용되어 길이의 미세조절이 가능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10)는 시계의 시계줄에 적용될 수 있다.
시계줄의 일측단에는 제어 장치(100)가 연결될 수 있으며, 타측단에는 밴드(200)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4의 경우는 시계줄의 타측단이 밴드(200)의 일측과 접착제에 의한 접착 방식 또는 실 등에 의한 봉제 방식 등에 의해 연결되는 경우이며, 도 15의 경우는, 밴드(200)의 지지부(214)의 일면 및 가이드부(220)의 일면과 접착제에 의한 접착 방식 또는 실 등에 의한 봉제 방식 등에 의해 연결되는 경우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밴드(200)의 지지부(214)와 연결된 시계줄의 일부 사이에는 상기 지지부(214)의 두께 만큼의 이격공간(S6)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격공간(S6)은 상기 밴드(200)가 바디부(110)의 내부공간(S3)으로 삽입되는 경우, 바디부(110)의 후방측벽(114)이 삽입되는 공간일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밴드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가이드부(220')가 한 쌍의 날개부(212)의 후방측에도 형성되도록 지지부(214)와 연결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해, 밴드(200')를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바디부(110)의 후방측벽(114)은 한 쌍의 날개부(212)와 상기 후방측벽(114)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밴드(200')와 상기 밴드(200')가 사용되는 피착물과의 연결은, 스톱퍼부(250')에 의한 연결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결국, 후방측벽(114)은 피착물과의 접촉이 완전히 차단되어, 후방측벽(114)에 의한 피착물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설명한 밴드가 적용될 수 있는 제어 장치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어 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디부가 후방측벽을 구비하고, 후방측벽 사이로 밴드의 지지부가 슬라이딩될 수 있는 제어 장치라면, 모두 적용 가능할 수 있다.
10: 밴드 조절 장치
100: 제어 장치
200: 밴드

Claims (16)

  1. 바디부 및 밴드제어부를 구비하는 제어장치 - 상기 밴드제어부는, 상기 바디부에 장착되어 밴드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은 자유로우나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은 선택적으로 구현되도록 함 - 에 사용되는 상기 밴드에 있어서,
    전방면 및 후방면을 구비하며,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기 제1 방향 측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바디부에 의해 제공되는 내부공간으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밴드제어부가 제1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밴드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경우, 상기 밴드제어부가 걸려 상기 밴드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이 차단되도록, 상기 전방면에 형성되는 피걸림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몸체부의 전방면과 소정의 높이차를 형성하는 전방면을 구비하며, 상기 몸체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후방면 측에 위치하는 상기 바디부의 후방측벽의 외측으로 진입하여 상기 후방측벽의 외측면과 대향하는 일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몸체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후방측벽의 외측면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측벽의 외측면과 대향하는 일면은,
    경사지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진입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측벽의 외측면과 대향하는 일면은,
    상기 진입면과 연결되는 수평면 및 상기 수평면과 연결되고 경사지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진출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몸체부와 상기 가이드부 사이에 상기 후방측벽이 삽입되기 위한 공간이 제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몸체부 및 상기 가이드부보다 작은 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몸체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후방측벽과 접촉이 되더라도, 상기 후방측벽 중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 사이로 유도되어 슬라이딩되도록 경사지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일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밴드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후방측벽의 내측으로 진입하여 상기 후방측벽의 내측과 대향하는 일면이 형성되며,
    상기 후방측벽의 내측과 대향하는 일면은,
    경사지거나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안내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한 쌍의 날개부 및 상기 한 쌍의 날개부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한 쌍의 날개부를 지지하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후방면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후방측벽 중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 사이로 슬라이딩 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피걸림부는,
    상기 한 쌍의 날개부 각각에 상기 지지부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피걸림부는,
    상기 전방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되는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와 인접하고 돌출되어 형성되는 볼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기 제2 방향 측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한 한계를 제공하는 스톱퍼부;를 더 포함하는 밴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부는,
    상기 몸체부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날개의 후방면과 높이차를 가지는 후방면을 구비하여, 상기 후방측벽이 걸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한 쌍의 날개부의 후방측에 형성되도록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날개부와의 사이에 상기 후방측벽이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16. 제1항, 제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밴드; 및
    상기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밴드의 일측단이 삽입되는 삽입공간과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기 밴드의 일측단이 유출되는 유출공간을 구비하는 상기 바디부 및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위치 변화가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와 접촉된 채 상기 밴드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되, 상기 제2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와 비접촉된 채 상기 밴드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밴드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드 조절 장치.
KR1020160135649A 2016-09-02 2016-10-19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 KR101850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649A KR101850763B1 (ko) 2016-10-19 2016-10-19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
CN201780054033.6A CN109688862B (zh) 2016-09-02 2017-08-31 卡条、控制装置以及卡条调节装置
PCT/KR2017/009546 WO2018044095A1 (ko) 2016-09-02 2017-08-31 밴드, 제어 장치 및 밴드 조절 장치
JP2019500204A JP6707170B2 (ja) 2016-09-02 2017-08-31 バンド、制御装置およびバンド調節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649A KR101850763B1 (ko) 2016-10-19 2016-10-19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0763B1 true KR101850763B1 (ko) 2018-04-20

Family

ID=62088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649A KR101850763B1 (ko) 2016-09-02 2016-10-19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076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6347B2 (ja) * 1993-02-17 2000-06-26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バックル
JP2012120608A (ja) 2010-12-07 2012-06-28 Shoei Co Ltd ヘルメット用ラチェットバックル
KR101274672B1 (ko) 2013-02-21 2013-06-17 류양석 버클
KR101632531B1 (ko) * 2015-01-08 2016-06-21 류양석 버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6347B2 (ja) * 1993-02-17 2000-06-26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バックル
JP2012120608A (ja) 2010-12-07 2012-06-28 Shoei Co Ltd ヘルメット用ラチェットバックル
KR101274672B1 (ko) 2013-02-21 2013-06-17 류양석 버클
KR101632531B1 (ko) * 2015-01-08 2016-06-21 류양석 버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79383A1 (en) Buckle
US7257865B2 (en) Holder for cord fasteners
EP3165117B1 (en) Buckle
EP2087804A1 (en) Slide adjuster for belt and buckle
EP2918187B1 (en) Buckle
JP2014506808A (ja) 特に腕時計のリストストラップ用、伸長可能なクラスプ
EP2417865B1 (en) Buckle device for length adjustment
US20160198783A1 (en) Controller, band, and band adjusting device including the controller and the band
EP2815672A1 (en) Slider assembly
EP1980171B1 (en) Clasp, band with a clasp, portable device, timepiece, and accessory
KR101850763B1 (ko)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
EP3123890A1 (en) Buckle having easy separation operation
CN110664058A (zh) 一种用于可穿戴设备的吸扣装置及可穿戴设备
US11583042B2 (en) Bracelet with adjustable link for a watch or a piece of jewellery
KR101847448B1 (ko) 버클
CN210642835U (zh) 一种用于可穿戴设备的吸扣装置及可穿戴设备
KR101632531B1 (ko) 버클장치
JP6707170B2 (ja) バンド、制御装置およびバンド調節装置
KR101721335B1 (ko) 제어 장치,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
KR101721337B1 (ko) 제어 장치,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
KR101847447B1 (ko) 버클
KR101832430B1 (ko) 제어 장치
KR101549948B1 (ko) 착탈이 용이한 장신구용 체결장치
KR101633418B1 (ko) 간편하게 이중 구조로 체결되는 손목 시계줄 체결구조
TWI615106B (zh) 帶固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