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447B1 - 버클 - Google Patents
버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47447B1 KR101847447B1 KR1020170157021A KR20170157021A KR101847447B1 KR 101847447 B1 KR101847447 B1 KR 101847447B1 KR 1020170157021 A KR1020170157021 A KR 1020170157021A KR 20170157021 A KR20170157021 A KR 20170157021A KR 101847447 B1 KR101847447 B1 KR 1018474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nd
- shaft
- buckle
- wall portion
- external for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Landscapes
- Buckl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은, 밴드 - 상기 밴드는, 나란하게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걸림홈을 구비함 - 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자유로우나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은 선택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구조물로, 상기 밴드의 일측단이 삽입되는 삽입공간과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기 밴드의 일측단이 배출되는 배출공간을 구비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와 연결되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위치 변화가 가능하며, 상기 제1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와 접촉된 채 상기 밴드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되 상기 밴드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밴드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차단하며, 상기 제2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와 비접촉되어 상기 밴드의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버튼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는, 상기 버튼부가 상기 제1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를 향한 상기 버튼부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기 밴드를 상기 삽입공간과 상기 배출공간 사이에서 지지하는 지지벽부 및, 상기 지지벽부의 일측 및 타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 측벽부 및 제2 측벽부를 구비하며, 상기 버튼부는, 상기 제1 측벽부의 내면 및 상기 제2 측벽부의 내면 각각으로부터 연장되는 일측 제1 축 및 타측 제1 축을 구비하여 상기 바디부와 일체화되며, 상기 일측 제1 축과 상기 타측 제1 축과 일정한 거리에 위치하는 제2 축을 구비하여 외력에 의한 상기 일측 제1축과 상기 타측 제1축의 비틀림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제2 축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위치 변화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버클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물체들을 서로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동시에 밴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물체의 구속 범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버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의류나 가방 등의 피착물에서 폭을 줄이거나 넓히는 목적으로 버클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피착물에 사용되는 버클 장치는 기본적으로 밴드와 버클로 이루어지며, 버클은 밴드의 양단부를 결속하거나 또는 바지나 스커트 등의 허리단 부분에 구비되어 바지나 스커트 등의 허리둘레를 착용자의 허리둘레에 맞게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가방이나 핸드백 등에서 입구를 축소하거나 확장 등의 목적에도 활용되며, 시계줄 등에도 사용되어 시계줄의 둘레를 착용자의 손목에 맞게 조절하는 목적에도 활용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버클은 밴드가 조여지는 방향, 즉, 순방향으로는 밴드의 당김에 의해 자유로운 슬라이드 이동이 제공되나, 밴드가 풀어지는 방향, 즉, 역방향으로는 이동이 단속되어 밴드가 풀어지지 않는 조임 상태가 유지된다.
종래의 버클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밴드가 통과하는 버클하우징, 상기 버클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버튼 및 상기 버튼에 의해 위치 이동되어 밴드의 단속 여부를 조절하는 걸림수단 및 상기 버튼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종래의 버클에 제공되는 버튼은 버클하우징의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회전 가능하며, 사용자가 밴드의 조임 상태를 해제하는 경우 상기 버클하우징의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버튼을 회전시켜 이를 구현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버클은 버튼의 반복적인 사용에 의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되어 내구성이 탁월하지 못하였으며, 부품수가 많아 조립 공정이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버클에 사용되는 종래의 밴드는 버클하우징 내로 삽입되게 되는데, 삽입 시 버클하우징에 걸리게 되어 간단하게 삽입하는데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의 버클 및 밴드는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소형화와 생산성 향상을 구현하는 동시에 풀림 해제 기능을 갖는 재활용이 가능한 케이블 타이 등 활용 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버클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비의도적인 밴드의 조임 상태의 해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버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은, 밴드 - 상기 밴드는, 나란하게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걸림홈을 구비함 - 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은 자유로우나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은 선택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구조물로, 상기 밴드의 일측단이 삽입되는 삽입공간과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기 밴드의 일측단이 배출되는 배출공간을 구비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와 연결되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위치 변화가 가능하며, 상기 제1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와 접촉된 채 상기 밴드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되 상기 밴드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밴드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차단하며, 상기 제2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와 비접촉되어 상기 밴드의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버튼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는, 상기 버튼부가 상기 제1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를 향한 상기 버튼부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기 밴드를 상기 삽입공간과 상기 배출공간 사이에서 지지하는 지지벽부 및, 상기 지지벽부의 일측 및 타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 측벽부 및 제2 측벽부를 구비하며, 상기 버튼부는, 상기 제1 측벽부의 내면 및 상기 제2 측벽부의 내면 각각으로부터 연장되는 일측 제1 축 및 타측 제1 축을 구비하여 상기 바디부와 일체화되며, 상기 일측 제1 축과 상기 타측 제1 축과 일정한 거리에 위치하는 제2 축을 구비하여 외력에 의한 상기 일측 제1축과 상기 타측 제1축의 비틀림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제2 축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위치 변화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상기 버튼부는, 상기 일측 제1 축으로부터 상기 제2 측벽부 및 상기 지지벽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일측 연결축, 및 상기 타측 제1 축으로부터 상기 제1 측벽부 및 상기 지지벽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타측 연결축을 구비하여, 상기 제2 축이 상기 일측 제1 축 및 상기 타측 제1 축과 일체화되도록 하며, 상기 일측 제1 축과 상기 타측 제1 축은, 동축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상기 일측 연결축과 상기 타측 연결축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상기 버튼부는, 상기 제2 축으로부터 상기 삽입공간을 향하여 연장되어 외력을 인가 받는 외력인가부 및 상기 제2 축으로부터 상기 배출공간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걸림홈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외력인가부에 인가되는 상기 외력에 의한 상기 일측 제1 축 및 상기 타측 제1 축의 비틀림에 의해 상기 일측 제1 축 및 상기 타측 제1 축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상기 일측 제1 축 및 상기 타측 제1 축은,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비틀림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상기 일측 연결축 및 상기 타측 연결축은,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일측 제1 축 및 상기 타측 제1 축이 비틀리는 경우, 길이가 변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 위치인 경우, 상기 걸림홈 중 제1 걸림홈을 가압하는 제1 가압부 및 상기 제1 걸림홈을 기준으로 상기 배출공간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제2 걸림홈을 가압하는 제2 가압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가압부 및 상기 제2 가압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상기 제2 가압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되는 경우의 이동되는 정도가 상기 제1 가압부의 이동되는 정도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상기 버튼부는, 상기 외력인가부와 상기 가압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걸림홈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가이드홈와 대응되는 제1 가이드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밴드가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되고 상기 배출공간으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밴드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이드홈을 기준으로 동일선 상의 일측 방향 및 타측 방향에 각각 형성되는 일측걸림홈 및 타측 걸림홈을 각각 가압하는 일측 가압부 및 타측 가압부를 구비하며, 상기 일측 가압부 및 상기 타측 가압부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각각 상기 일측 방향 및 상기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일측 가압부의 일면 중 상기 삽입공간을 향한 일면은, 상기 제1 측벽부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단차부의 제1 단차면과 대응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밴드의 상기 제2 방향을 향한 외력에 의한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상기 버튼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상기 바디부는, 상기 제1 측벽부의 내면 및 상기 제2 측벽부의 내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벽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삽입공간의 크기를 규정하는 삽입측벽부 및, 상기 제1 측벽부의 내면 및 상기 제2 측벽부의 내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벽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배출공간의 크기를 규정하는 배출측벽부를 구비하며, 상기 삽입측벽부와 상기 배출측벽부는,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삽입측벽부 및 상기 배출측벽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걸림홈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가이드홈과 대응되는 제2 가이드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밴드가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되고 상기 배출공간으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밴드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상기 지지벽부는, 플라스틱 수지를 이용한 사출에 의해 상기 버클이 구현되도록, 상기 플라스틱 수지가 이동되기 위한 개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클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소형화를 구현하는 동시에 케이블 타이, 즉, 풀림 해제 기능을 갖는 케이블 타이로활용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또한, 비의도적인 밴드의 조임 상태의 해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밴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물체의 구속 범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을 도시한 개략 저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을 도시한 개략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을 도시한 개략 절개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에 제공되는 버튼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7은 도 2의 AA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밴드의 삽입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밴드의 풀림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BB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풀림 방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버튼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을 도시한 개략 저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을 도시한 개략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을 도시한 개략 절개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에 제공되는 버튼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7은 도 2의 AA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밴드의 삽입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밴드의 풀림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BB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풀림 방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버튼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밴드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물체의 구속 범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BU)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상기 버클(BU)이 활용될 수 있는 활용 범위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버클(BU)은 가방, 신발, 스키복 및 작업복 등을 포함하는 의류, 밸트, 멜빵, 시계, 여성용 브레지어, 케이블 타이 등 길이 또는 폭 등을 조절(구속 범위 조절)할 필요가 있는 제품에 모두 사용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BU)이 일 사용예로 각종 전선 또는 물건 등을 묶는 용도로 사용되는 케이블 타이에 적용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BU)은 밴드(BA)의 제1 방향(D1)으로의 이동은 자유로우나 상기 제1 방향(D1)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은 선택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장치일 수 있다.
우선, 상기 버클(BU)에 의해 물체의 구속 범위를 조절하기 위한 밴드(BA)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밴드(BA)는 나란하게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걸림홈(210) 및 상기 걸림홈(210)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가이드홈(22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걸림홈(210)은 상기 버클(BU)의 일 구성요소인 버튼부(120)에 의해 상기 밴드(BA)의 상기 제2 방향(D2)으로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홈일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홈(220)은 상기 밴드(BA)가 상기 버클(BU)의 내부로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홈일 수 있다.
상기 걸림홈(210) 및 상기 가이드홈(220)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BU)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서 다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버클(BU)은 바디부(110) 및 버튼부(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바디부(110) 및 상기 버튼부(120)는 플라스틱 수지를 이용한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밴드(BA)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클(BU)과 핀(P)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버클(BU)과 함께 플라스틱 수지를 이용한 사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바디부(110)는 상기 밴드(BA)의 일측단이 삽입되는 삽입공간(S1, 도 7 참조)과 상기 삽입공간(S1)에 삽입된 상기 밴드(BA)의 일측단이 배출되는 배출공간(S2, 도 7 참조)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튼부(120)는 상기 바디부(110)와 연결되어 제1 위치(도 8(a)에 도시된 위치)와 제2 위치(도 9에 도시된 위치) 사이에서 위치 변화가 가능하며, 상기 제1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와 접촉된 채 상기 밴드의 상기 제1 방향(D1)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되 상기 밴드(BA)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밴드의 상기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을 차단하며, 상기 제2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BA)와 비접촉되어 상기 밴드(BA)의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바디부(110) 및 상기 버튼부(120)의 구체적인 구성 및 상기 버클(BU)의 사용상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을 도시한 개략 저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을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을 도시한 개략 절개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에 제공되는 버튼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2의 AA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버클(BU)은 바디부(110)와 버튼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디부(110)는 상기 버튼부(120)가 제1 위치(도 8(a)에 도시된 위치)인 경우, 밴드(BA)를 향한 상기 버튼부(120)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기 밴드(BA)를 삽입공간(S1)과 배출공간(S2) 사이에서 지지하는 지지벽부(112), 및 상기 지지벽부(112)의 일측 및 타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 측벽부(114) 및 제2 측벽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부(120)는 상기 제1 측벽부(114)의 내면 및 상기 제2 측벽부(116)의 내면 각각으로부터 연장되는 일측 제1 축(121) 및 타측 제1 축(122)을 구비하여 상기 바디부(110)와 일체화될 수 있으며, 상기 일측 제1 축(121)과 상기 타측 제1 축(122)과 일정한 거리에 위치하는 제2 축(123)을 구비하여 외력에 의한 상기 일측 제1 축(121)과 상기 타측 제1 축(233)의 비틀림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제2 축(123)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변치 변화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버튼부(120)는 상기 일측 제1 축(121)으로부터 상기 제2 측벽부(116) 및 상기 지지벽부(112)를 향하여 연장되는 일측 연결축(124), 및 상기 타측 제1 축(122)으로부터 상기 제1 측벽부(114) 및 상기 지지벽부(112)를 향하여 연장되는 타측 연결축(125)을 구비하여, 상기 제2 축(123)이 상기 일측 제1 축(121) 및 상기 타측 제1 축(122)과 일체화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일측 연결축(124) 및 상기 타측 연결축(125)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일측 제1 축(121)과 상기 타측 제1 축(122)은 동축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버튼부(120)는 상기 제2 축(123)으로부터 상기 삽입공간(S1)을 향하여 연장되어 외력을 인가 받는 외력인가부(126) 및 상기 제2 축(123)으로부터 상기 배출공간(S2)을 향하여 연장되어 밴드(BA)에 형성된 걸림홈(210)을 가압하는 가압부(12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외력인가부(126)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에 의한 외력을 직접적으로 인가받는 구성요소로 일종의 스위치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외력 인가의 편의를 위해 소정의 두께와 소정의 면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127)는 상기 걸림홈(210)에 삽입되어 실질적으로 밴드(BA)의 이동을 구속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버튼부(120)는 상기 외력인가부(126)와 상기 가압부(127)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128)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외력인가부(126), 상기 연결부(128) 및 상기 가압부(127)는 서로 연동되어 위치 변화될 수 있다.
한편, 바디부(110)를 구성하는 지지벽부(112)는 플라스틱 수지를 이용한 사출에 의해 상기 버클(BU)이 구현되도록, 제조 공정 상에서 상기 플라스틱 수지가 이동되기 위한 개구부(S3)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구부(S3)는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을 포함하는 사출 금형 내에서 플라스틱 수지가 이동되어 바디부(110) 및 버튼부(120)가 일체화된 상기 버클(BU)이 구현되도록 하는 일종의 플라스틱 수지 이동 통로로, 그 크기에는 제한이 없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BU)은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을 합형한 후 플라스틱 수지를 상기 상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 사이의 공간으로 주입하면 한번에 구현 가능하게 되므로, 금형비가 저감되고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상기 개구부(S3)는 필연적으로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밴드의 삽입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밴드의 풀림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8을 참조하여 밴드(BA)의 삽입 과정을 설명한다.
버클(BU)에 밴드(BA)의 일측단이 삽입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밴드(BA)로 각종 전선 등을 감싼 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밴드(BA)의 일측단을 바디부(110)의 삽입공간(S1)으로 삽입한다.
여기서, 상기 삽입공간(S1)으로 삽입되는 상기 밴드(BA)는 안정적으로 가이드 될 수 있으며, 이는 삽입측벽부(111, 도 6 참조)에 형성된 제2 가이드 돌출부(113, 도 6 참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디부(110)는 상기 제1 측벽부(114)의 내면 및 상기 제2 측벽부(116)의 내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벽부(112)와의 사이에서 상기 삽입공간(S1)의 크기를 규정하는 삽입측벽부(1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삽입측벽부(111)는 밴드(BA)의 걸림홈(210)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가이드홈(220)과 대응되는 제2 가이드 돌출부(113)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밴드(BA)의 일측단이 상기 삽입공간(S1)으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삽입측벽부(111)에 형성된 상기 제2 가이드 돌출부(113)가 상기 밴드(BA)의 가이드홈(220)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밴드(BA)가 이동되게 되어, 안정적인 삽입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밴드(BA)의 일측단이 상기 삽입공간(S1)으로 삽입되게 되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밴드(BA)에 형성된 최전방 걸림홈(210)은 상기 가압부(127)의 직전까지 도달하게 된다.
상기 밴드(BA)가 상기 삽입공간(S1)에 삽입되고 난 뒤 상기 배출공간(S2)으로 배출되는 과정, 즉, 상기 밴드(BA)가 상기 삽입공간(S1)에 삽입되고 난 뒤 상기 최전방 걸림홈(210)이 상기 가압부(127)의 직전까지 도달하는 과정에서 상기 밴드(BA)는 연결부(128)에 형성된 제1 가이드 돌출부(129, 도 5 참조)에 의해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128)는 밴드(BA)의 걸림홈(210)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가이드홈(220)과 대응되는 제1 가이드 돌출부(129)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가이드 돌출부(129)가 상기 가이드홈(220)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밴드(BA)가 이동되게 되어, 안정적인 이동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밴드(BA)가 상기 삽입공간(S1)으로 삽입되고 상기 배출공간(S2)으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도 8(c) 및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밴드(BA)에 형성된 걸림홈(210)은 상기 가압부(127)를 지나가게 된다.
여기서,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127)는 상기 걸림홈(210)에 걸리게 되며, 계속적인 외력에 의해 상기 밴드(BA)가 이동되는 경우, 상기 가압부(127)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홈(210)을 규정하는 일면 중 삽입공간(S1)을 향한 방향에 구비되는 일면에 접촉되어 자동적으로 회전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홈(210)을 규정하는 일면 중 삽입공간(S1)을 향한 방향에 구비되는 일면 및 이 일면과 접촉되는 상기 가압부(127)의 일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밴드(BA)가 이동되는 도중 상기 가압부(127)는 자동적으로 회전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밴드(BA)의 제1 방향(D1)으로의 이동은 자유롭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가압부(127)의 자동적인 회전은 일측 제1 축(121) 및 타측 제1 축(122)의 비틀림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밴드(BA)의 풀림 상태를 설명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밴드(BA)는 배출공간(S2)으로 배출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상기 밴드(BA)는 배출측벽부(117, 도 6 참조)에 형성된 제2 가이드 돌출부(118, 도 6 참조)에 의해 안정적으로 가이드 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10)는 상기 제1 측벽부(114)의 내면 및 상기 제2 측벽부(116)의 내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벽부(112)와의 사이에서 상기 배출공간(S2)의 크기를 규정하는 배출측벽부(117)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배출측벽부(117)는 상기 삽입측벽부(111)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측벽부(117)는 밴드(BA)의 걸림홈(210)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가이드홈(220)과 대응되는 제2 가이드 돌출부(118)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밴드(BA)의 일측단이 상기 배출공간(S2)으로 배출되는 경우, 상기 배출측벽부(117)에 형성된 상기 제2 가이드 돌출부(118)가 상기 밴드(BA)의 가이드홈(220)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밴드(BA)가 이동되게 되어, 안정적인 배출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9를 참조하여 밴드(BA)가 풀리는 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는 버클(BU)의 가압부(127)에 의해 구속된 상태인 밴드(BA)를 풀려고 하는 경우, 사용자는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외력인가부(126)를 가압한다.
상기 외력인가부(126)에 외력이 인가되어 가압되면, 상기 외력인가부(126)에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일측 제1 축(121) 및 타측 제1 축(122)은 비틀림(TW)이 발생되게 되며, 이러한 비틀림(TW)에 의해 상기 가압부(127)는 상기 일측 제1 축(121) 및 상기 타측 제1 축(122)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변화되게 되며, 일종의 크랭크축의 원리과 유사할 수 있다.
이때, 일측 연결축(124) 및 타측 연결축(125)은,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일측 제1 축(121) 및 타측 제1 축(122)이 비틀리는 경우, 길이가 변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일측 연결축(124) 및 상기 타측 연결축(125)은,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일측 제1 축(121) 및 타측 제1 축(122)이 비틀리는 경우, 상기 일측 제1 축(121) 및 상기 타측 제1 축(122)을 기준으로 시계추처럼 회전(진자 운동)될 수 있으며, 그 자체의 길이로 인해 외력인가부(126)에 외력을 인가할 때 작은 크기의 외력으로도 상기 가압부(127)의 회전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가압부(127)가 회전되고 난 뒤 상기 밴드(BA)는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이 자유롭게 되며, 이후 상기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일측 제1 축(121) 및 상기 타측 제1 축(122)은 비틀림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어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위치 변화되게 된다.
상기 비틀림에 의한 복원력은 재료 자체의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재료의 성분에 따라 복원력의 정도는 달라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버클(BU)을 케이블 타이에 이용하는 경우, 상기 버클(BU)이 적용된 케이블 타이는 1회용이 아닌 반복적인 사용이 가능할 수 있으며, 물체의 구속 범위를 조절하기 위한 밴드(BA)의 길이 조절을 통해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BB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또한,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풀림 방지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BU')은 가압부(327)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BU)과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상기 가압부(327) 이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BU')에 제공되는 가압부(327)는 밴드(BA)에 형성된 가이드홈(220)을 기준으로 동일선 상의 일측 방향 및 타측 방향에 각각 형성되는 일측 걸림홈(210A, 도 1 참조) 및 타측 걸림홈(210B, 도 1 참조)을 각각 가압하는 일측 가압부(327A) 및 타측 가압부(327B)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측 가압부(327A) 및 상기 타측 가압부(327B)는 버튼부(320)의 연결부(328)로부터 각각 상기 일측 방향 및 상기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일측 가압부(327A)의 일면 중 삽입공간(S1)을 향한 일면은, 제1 측벽부(314)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단차부(315)의 제1 단차면(315S)과 대응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되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밴드(BA)의 상기 제2 방향(D2)을 향한 외력에 의한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상기 버튼부(32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타측 가압부(327B)의 일면 중 삽입공간(S1)을 향한 일면은, 제2 측벽부(116)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단차부(319)의 제2 단차면과 대응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밴드(BA)의 상기 제2 방향(D2)을 향한 외력에 의한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상기 버튼부(32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밴드(BA)의 상기 제2 방향(D2)을 향한 외력은 상기 밴드(BA)에 의해 각종 전선 등이 구속된 후 의도하지 않게 작용하는 상기 밴드(BA)에 가해지는 외력(예를 들어 구속된 전선 등이 밴드(BA)의 구속력에 대해 대항하는 외력)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단차지게 형성되는 상기 일측 가압부(327A)의 일면 중 삽입공간(S1)을 향한 일면이 상기 제1 단차면(315S)과 맞물리게 되어 상기 버튼부(320)의 회전이 방지되어 의도하지 않은 풀림이 방지되게 된다.
물론, 단차지게 형성되는 상기 타측 가압부(327B)의 일면 중 삽입공간(S1)을 향한 일면이 상기 제2 단차면과 맞물리게 되어 상기 버튼부(320)의 회전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것은 자명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밴드(BA)에 의해 각종 전선 등이 구속된 후 의도하지 않게 작용하는 상기 밴드(BA)에 가해지는 외력(예를 들어 구속된 전선 등이 밴드(BA)의 구속력에 대해 대항하는 외력)이 버튼부(320)에 가해지게 되면, 상기 버튼부(320)는 전체적으로 제2 방향(D2)으로 밀리게 되고, 그 결과, 상기 일측 가압부(327A) 및 상기 타측 가압부(327B)는 각각 상기 제1 단차부(315) 및 상기 제2 단차부(319)에 접촉하게 되어 더 이상의 밀림이 방지되므로, 상기 일측 가압부(327A) 및 상기 타측 가압부(327B)는 각각 상기 일측 걸림홈(210A) 및 타측 걸림홈(210B)으로부터의 분리가 방지되어 의도하지 않은 풀림이 방지되게 된다.
한편, 상기 일측 가압부(327A)의 일면 중 삽입공간(S1)을 향한 일면과 상기 제1 단차면(315S) 사이의 간격은 밴드(BA)의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을 위해 외력을 인가하는 경우 발생되는 상기 일측 가압부(327A)의 회전에 방해되지 않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상부 금형 및 하부 금형을 합형한 후 플라스틱 수지의 주입에 의해 제조되는 버클(BU)의 제조 공정 상 필연적인 부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타측 가압부(327B)의 일면 중 삽입공간(S1)을 향한 일면과 상기 제2 단차면 사이의 간격은 마찬가지로 밴드(BA)의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을 위해 외력을 인가하는 경우 발생되는 상기 타측 가압부(327B)의 회전에 방해되지 않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도 13은 버튼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버클(BU, BU')에 제공되는 가압부(427)는, 제1 위치인 경우, 걸림홈(210) 중 제1 걸림홈을 가압하는 제1 가압부(427) 및 상기 제1 걸림홈을 기준으로 배출공간(S2)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제2 걸림홈을 가압하는 제2 가압부(527)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가압부(427) 및 상기 제2 가압부(527)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가압부(427) 및 상기 제2 가압부(527)로 인해 밴드(BA)를 구속할 수 있는 구속력은 더 크게 될 수 있다.
한편, 외력인가부(426)에 외력을 인가하여 밴드(BA)를 제2 방향(D2)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경우, 상기 제2 가압부(527)는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되는 경우의 이동되는 정도가 상기 제1 가압부(427)의 이동되는 정도보다 더 클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BU: 버클
BA: 밴드
110: 바디부
120: 버튼부
BA: 밴드
110: 바디부
120: 버튼부
Claims (12)
- 밴드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은 자유로우나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은 선택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버클에 있어서,
상기 밴드의 일측단이 삽입되는 삽입공간과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기 밴드의 일측단이 배출되는 배출공간을 구비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와 연결되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위치 변화가 가능하며, 상기 제1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와 접촉된 채 상기 밴드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되 상기 밴드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밴드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차단하며, 상기 제2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와 비접촉되어 상기 밴드의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버튼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는,
상기 버튼부가 상기 제1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를 향한 상기 버튼부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기 밴드를 상기 삽입공간과 상기 배출공간 사이에서 지지하는 지지벽부 및, 상기 지지벽부의 일측 및 타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 측벽부 및 제2 측벽부를 구비하며,
상기 버튼부는,
상기 제1 측벽부의 내면 및 상기 제2 측벽부의 내면 각각으로부터 연장되는 일측 제1 축 및 타측 제1 축을 구비하여 상기 바디부와 연결되며, 상기 일측 제1 축과 상기 타측 제1 축과 일정한 거리에 위치하는 제2 축을 구비하고, 상기 일측 제1 축으로부터 상기 지지벽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일측 연결축 및 상기 타측 제1 축으로부터 상기 지지벽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타측 연결축을 더 구비하여 상기 제2 축이 상기 일측 제1 축 및 상기 타측 제1 축과 일체화되도록 하며,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일측 제1 축 및 상기 타측 제1 축의 비틀림에 의해 상기 일측 연결축 및 상기 타측 연결축이 각각 상기 일측 제1 축 및 상기 타측 제1 축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2 축이 상기 일측 제1 축 및 상기 타측 제1 축을 기준으로 진자 운동됨으로써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위치 변화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연결축은,
상기 일측 제1 축으로부터 상기 제2 측벽부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타측 연결축은,
상기 타측 제1 축으로부터 상기 제1 측벽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일측 제1 축과 상기 타측 제1 축은,
동축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연결축과 상기 타측 연결축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제2 축으로부터 상기 삽입공간을 향하여 연장되어 외력을 인가 받는 외력인가부 및 상기 제2 축으로부터 상기 배출공간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밴드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압부는,
상기 외력인가부에 인가되는 상기 외력에 의한 상기 일측 제1 축 및 상기 타측 제1 축의 비틀림에 의해 상기 일측 제1 축 및 상기 타측 제1 축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제1 축 및 상기 타측 제1 축은,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비틀림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연결축 및 상기 타측 연결축은,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일측 제1 축 및 상기 타측 제1 축이 비틀리는 경우, 길이가 변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를 가압하는 제1 가압부 및 상기 제1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밴드의 일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배출공간에 더 가까운 상기 밴드의 다른 일부분을 가압하는 제2 가압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가압부 및 상기 제2 가압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압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되는 경우의 이동되는 정도가 상기 제1 가압부의 이동되는 정도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나란하게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걸림홈 및 상기 걸림홈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구비하며,
상기 버튼부는,
상기 외력인가부와 상기 가압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가이드홈과 대응되는 제1 가이드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밴드가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되고 상기 배출공간으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밴드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이드홈을 기준으로 동일선 상의 일측 방향 및 타측 방향에 각각 형성되는 일측 걸림홈 및 타측 걸림홈을 각각 가압하는 일측 가압부 및 타측 가압부를 구비하며,
상기 일측 가압부 및 상기 타측 가압부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각각 상기 일측 방향 및 상기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일측 가압부의 일면 중 상기 삽입공간을 향한 일면은,
상기 제1 측벽부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단차부의 제1 단차면과 대응되도록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밴드의 상기 제2 방향을 향한 외력에 의한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상기 버튼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나란하게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걸림홈 및 상기 걸림홈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구비하며,
상기 바디부는,
상기 제1 측벽부의 내면 및 상기 제2 측벽부의 내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지지벽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삽입공간의 크기를 규정하는 삽입측벽부 및,
상기 제1 측벽부의 내면 및 상기 제2 측벽부의 내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벽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배출공간의 크기를 규정하는 배출측벽부를 구비하며,
상기 삽입측벽부와 상기 배출측벽부는,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며,
상기 삽입측벽부 및 상기 배출측벽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가이드홈과 대응되는 제2 가이드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밴드가 상기 삽입공간으로 삽입되고 상기 배출공간으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밴드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벽부는,
플라스틱 수지를 이용한 사출에 의해 상기 버클이 구현되도록, 상기 플라스틱 수지가 이동되기 위한 개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7021A KR101847447B1 (ko) | 2017-11-23 | 2017-11-23 | 버클 |
CN201811099556.5A CN109820289B (zh) | 2017-11-23 | 2018-09-20 | 卡扣 |
JP2018213694A JP6738394B2 (ja) | 2017-11-23 | 2018-11-14 | バックル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7021A KR101847447B1 (ko) | 2017-11-23 | 2017-11-23 | 버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47447B1 true KR101847447B1 (ko) | 2018-04-10 |
Family
ID=61975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57021A KR101847447B1 (ko) | 2017-11-23 | 2017-11-23 | 버클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6738394B2 (ko) |
KR (1) | KR101847447B1 (ko) |
CN (1) | CN109820289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44440B1 (ko) * | 2020-05-18 | 2020-08-13 | 주식회사 인테크 | 안전성이 향상된 공구 고정구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7656U (ko) * | 1989-06-30 | 1991-02-21 | ||
JPH08322607A (ja) * | 1995-06-06 | 1996-12-10 | Ito Seisakusho:Kk | ウェストサイズ調節用具 |
JPH10179215A (ja) * | 1996-12-27 | 1998-07-07 | Ykk Corp | ベルト調節具 |
JP3068038U (ja) * | 1999-10-07 | 2000-04-21 | ▲瑜▼澤 簡 | バックル |
JP3393329B2 (ja) * | 1998-05-19 | 2003-04-07 | モリト株式会社 | アジャスター |
JP5957082B2 (ja) * | 2012-08-08 | 2016-07-27 | Ykk株式会社 | ベルトアジャスタ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93886B2 (ja) * | 1986-07-31 | 1995-10-11 | 株式会社ニフコ | バツクル |
JP2561462Y2 (ja) * | 1991-10-02 | 1998-01-28 | フルヤ工業株式会社 | 被服用サイズ調節具 |
JP4056022B2 (ja) * | 1998-03-18 | 2008-03-05 | 大阪美錠工業株式会社 | バックル |
CA2329298C (en) * | 1998-04-23 | 2007-02-13 | Builmatel Co., Ltd. | Buckle and band with this buckle |
JP3982955B2 (ja) * | 1998-08-28 | 2007-09-26 | ビルマテル株式会社 | 合成樹脂製バックル |
JP3083514B1 (ja) * | 1999-04-21 | 2000-09-04 | 功 津田 | 衣服用ベルト |
JP4972052B2 (ja) * | 2008-07-30 | 2012-07-11 | 株式会社ニフコ | 管・棒状体若しくはケーブル類の留め具 |
JP2010259627A (ja) * | 2009-05-07 | 2010-11-18 | Ykk Corp | スライドアジャスタ |
JP2011120862A (ja) * | 2010-02-05 | 2011-06-23 | Birumateru Kk | 裾周りの長さ調整機構 |
KR101265461B1 (ko) * | 2012-12-07 | 2013-05-16 | 박준영 | 판재(板材) 재단기용 조기대 고정장치 |
-
2017
- 2017-11-23 KR KR1020170157021A patent/KR10184744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
- 2018-09-20 CN CN201811099556.5A patent/CN109820289B/zh active Active
- 2018-11-14 JP JP2018213694A patent/JP6738394B2/ja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7656U (ko) * | 1989-06-30 | 1991-02-21 | ||
JPH08322607A (ja) * | 1995-06-06 | 1996-12-10 | Ito Seisakusho:Kk | ウェストサイズ調節用具 |
JPH10179215A (ja) * | 1996-12-27 | 1998-07-07 | Ykk Corp | ベルト調節具 |
JP3393329B2 (ja) * | 1998-05-19 | 2003-04-07 | モリト株式会社 | アジャスター |
JP3068038U (ja) * | 1999-10-07 | 2000-04-21 | ▲瑜▼澤 簡 | バックル |
JP5957082B2 (ja) * | 2012-08-08 | 2016-07-27 | Ykk株式会社 | ベルトアジャスタ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실용신안등록 제 3068038호(2000.04.21.) 1부. * |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5957082호(2016.07.27.) 1부. *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44440B1 (ko) * | 2020-05-18 | 2020-08-13 | 주식회사 인테크 | 안전성이 향상된 공구 고정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9820289A (zh) | 2019-05-31 |
JP2019093133A (ja) | 2019-06-20 |
CN109820289B (zh) | 2021-11-05 |
JP6738394B2 (ja) | 2020-08-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20117B2 (en) | Buckle structure | |
EP1326031B1 (en) | Locking device | |
US20060085952A1 (en) | Holder | |
US10588383B2 (en) | Buckle | |
US3402441A (en) | Clasp and apparatus for molding same | |
KR101847447B1 (ko) | 버클 | |
JP2001286307A (ja) | 紐止め具 | |
JP2000300310A (ja) | 紐留め用バックル | |
JP3790094B2 (ja) | 帯状体の長さ調節機能付き接続具 | |
US20160374436A1 (en) | Buckle having easy separation operation | |
US9516924B2 (en) | Fastening arrangement with interlocking members | |
KR100917165B1 (ko) | 결속장치 | |
KR101847448B1 (ko) | 버클 | |
US10798998B2 (en) | Zip fastener | |
KR20190082036A (ko) | 버클 | |
US2781569A (en) | Quick coupling and releasing garter clasp | |
EP0466446A1 (en) | Detachable two-piece buckle | |
JP6707170B2 (ja) | バンド、制御装置およびバンド調節装置 | |
CN220832142U (zh) | 一种拉链结构及其应用的衣物 | |
KR101850763B1 (ko) |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 | |
US1761520A (en) | Belt buckle | |
KR101832430B1 (ko) | 제어 장치 | |
WO2022168701A1 (ja) | 衣服用ベルト | |
US2794226A (en) | Yieldable belt connection | |
JP3377967B2 (ja) | 紐用ストッパ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