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4440B1 - 안전성이 향상된 공구 고정구 - Google Patents

안전성이 향상된 공구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4440B1
KR102144440B1 KR1020200059312A KR20200059312A KR102144440B1 KR 102144440 B1 KR102144440 B1 KR 102144440B1 KR 1020200059312 A KR1020200059312 A KR 1020200059312A KR 20200059312 A KR20200059312 A KR 20200059312A KR 102144440 B1 KR102144440 B1 KR 102144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fixing
tool
hol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9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두오
이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테크
Priority to KR1020200059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44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65D63/10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Filamentary elements, e.g. strings, threads or wire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B65D63/1018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integral securing members, e.g. buckles, wedges, tongue and slot, locking head and teeth or the like
    • B65D63/1027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integral securing members, e.g. buckles, wedges, tongue and slot, locking head and teeth or the like the integral securing member being formed as a female and male locking member, e.g. locking head and locking teeth,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of magnetic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성이 향상된 공구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도체, 자동차의 장치 생산라인 또는 건축물의 신축 또는 보수의 공사 현장 등의 각종 생산라인 또는 공사 현장에서 작업자가 사용하는 작업용 공구를 공구 거치대에 거치하거나 작업자가 착용하고 있는 작업용 밴드에 거치할 때 작업용 공구를 거치대 또는 작업용 밴드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작업용 공구와 거치대 또는 작업용 밴드 사이를 연결하고, 직경의 조절 및 재사용이 가능하여 활용도를 향상시킨 안전성이 향상된 공구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고정용 톱니가 형성된 자유단과 길이 방향 타측에 형성된 고정단을 포함한 밴드; 상기 밴드의 고정단 단부에 구비되며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측벽과, 상기 측벽의 하단을 잇는 바닥판과, 상기 측벽과 상기 바닥판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밴드의 자유단이 출입하는 출입공을 포함한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출입공을 통해 출입하는 밴드의 이동을 제어하는 시건부;를 포함하되, 상기 시건부는, 상기 메인바디에 형성된 고정모듈과, 상기 고정모듈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출입공으로 인입된 밴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잠금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안전성이 향상된 공구 고정구{Improved safety tool fixture}
본 발명은 안전성이 향상된 공구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도체, 자동차의 장치 생산라인 또는 건축물의 신축 또는 보수의 공사 현장 등의 각종 생산라인 또는 공사 현장에서 작업자가 사용하는 작업용 공구를 공구 거치대에 거치하거나 작업자가 착용하고 있는 작업용 밴드에 거치할 때 작업용 공구를 거치대 또는 작업용 밴드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작업용 공구와 거치대 또는 작업용 밴드 사이를 연결하고, 직경의 조절 및 재사용이 가능하여 활용도를 향상시킨 안전성이 향상된 공구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생산라인 또는 자동차 생산라인은 부품의 공급, 이동, 조립이 자동화 또는 반자동화된 공정으로써 작업자가 생산라인에 배치된 장비의 정상 작동 유무, 샘플의 채취 및 육안 검사, 조립 상태를 확인한다.
이러한 생산라인 또는 건축물의 신축 또는 보수 공사 현장에서는 생산장비 또는 건설에 필요한 각종 공구가 구비되며, 이러한 공구는 작업자의 사용 및 관리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소정의 위치에 공구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준비하고 해당 거치대에 공구를 걸거나 끼워 넣은 상태에서 거치한다.
종래 거치대 또는 작업자가 착용하는 작업용 밴드에 공구를 거치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방법은 와이어, 케이블타이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끈을 공구의 일측을 감싸면서 고리 형태를 형성한 후 형성된 고리를 거치대에 구비된 고정핀에 걸거나 작업용 밴드에 끼워 넣는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타이(cable tie)는 전선, 통신용선 등의 케이블을 한 다발로 묶어 고정시키는 것으로, 긴 띠 형태이며 일면에 톱니가 형성된 밴드와 상기 밴드의 길이 방향 일측단에 구비되며 내부에 상기 톱니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가 형성된 몸체를 포함한다.
종래 케이블타이는 결속 대상물을 묶는 밴드부가 몸체에 형성된 출입공을 관통하여 묶음 상태를 이루게 되고, 밴드부에 형성된 톱니가 몸체에 구비된 스톱퍼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밴드부를 일방향으로 당겨 조임 조작은 가능하나 반대 방향으로 밴드부를 빼내는 조작이 불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케이블타이는 묶은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칼이나 니퍼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밴드부를 절단해야 하기 때문에 재사용이 불가능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당겨서 조임 조작만 가능하기 때문에 고리의 직경은 줄일 수 있으나 넓힐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회용으로 한정되기 때문에 자원 및 비용의 낭비를 초래하고 다량의 폐기물이 배출되어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다.
이어서 종래 케이블타이를 이용하여 공구를 거치대 또는 작업용 밴드에 걸거나 끼워 넣는 과정에서 공구와 거치대 또는 공구와 작업용 밴드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해야 하는데, 특히 공구를 작업자가 착용하는 작업용 밴드에 걸거나 끼워 넣는 경우 작업용 밴드와 공구 사이의 간격이 넓을수록 작업자가 이동하거나 작업하는 과정에서 공구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작업자가 흔들리는 공구에 의해 부상을 입는 사고를 방지하고 공구가 작업용 밴드에서 낙하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타이의 경우 고리의 직경은 줄이는 것만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용 밴드에 걸거나 끼워 넣는 과정에서 작업용 밴드와의 간격을 짧게 형성할 수 있으나 공구를 작업용 밴드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케이블타이를 절단해야만 하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다량의 폐기물은 물론 작업 때마다 공구를 작업용 밴드에 결속하거나 분리하는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재사용이 가능한 케이블 타이가 제안된 바 있는데,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9-99982호(2009.09.23., 공개)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재사용이 가능한 다용도 케이블 타이’에 관한 것으로, 긴 띠 형상을 가지며 그 양측면은 길이 방향으로 톱니 모양의 걸림돌기가 서로 대칭되게 복수개로 형성된 밴드부, 상기 밴드부의 일단에서 연장되며 상기 서로 대칭되는 걸림돌기의 양 끝단을 잇는 제1폭 보다 조금 더 넓은 제2폭을 갖는 관통된 수용공, 상기 수용공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폭보다 좁은 제3 폭을 갖는 관통도니 걸림공을 갖는 고정부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부의 걸림공으로 상기 밴드부의 걸림돌기가 고정되어 상기 수용공으로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걸림공의 하부에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걸림공으로 상기 걸림돌기가 용이하게 체결 및 분리가 되도록 하는 이탈 방지턱이 형성된다.
이어서 상기 밴드부의 정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체결공 및 상기 밴드부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과 대응되도록 상기 체결공의 상부에 위치하는 체결돌기를 포함한 것으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기술은 결속 상태에서 해제될 때 밴드를 절단해야 하므로 재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990778호(2019.06.13., 등록)에서는 ‘재사용이 가능한 케이블 타이’를 제안하고 있는데, 밴드부가 끼워지도록 좌우 양측에 각각 측면판이 형성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밴드부의 선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매립부, 상기 매립부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는 밴드부, 상기 매립부의 내측으로 끼워진 상기 밴드부가 잠금 또는 해제 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몸체부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버튼부를 마련하여 밴드부의 선단을 매립부에 내장시킴에 따라 밴드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한 재사용이 가능한 케이블 타이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기술은 몸체부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버튼부가 밴드부에 형성된 톱니와 맞닿아 위치 이동을 제한하거나 톱니와 이격되어 밴드부의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나, 몸체부와 일체로 성형되며 대략 ‘ㅗ’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버튼부가 접합부에 의해 몸체부에 접합된 상태이다.
즉, 사용하는 과정에서 접합부가 탄성부 및 걸림돌기의 회전시 회전중심축의 역할을 하여 힘이 집중되는 부위가 되며, 이로 인해 사용 중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케이블타이 자체의 크기가 크지 않기 때문에 몸체부 및 버튼부의 크기 역시 작고, 몸체부와 버튼부를 연결하는 유일한 부위인 접합부의 전체적인 면적도 절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동작 중 또는 외부로부터의 작은 충격에 의해서도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버튼부가 외부 충격에 의해서 쉽게 회전하기 때문에 결속대상물을 결속한 상태에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버튼부가 회전하여 결속된 상태가 풀리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9-99982호(2009.09.23., 공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990778호(2019.06.13.,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반도체, 자동차의 장치 생산라인 또는 건축물의 신축 또는 보수의 공사 현장 등의 각종 생산라인 또는 공사 현장에서 작업자가 사용하는 작업용 공구를 공구 거치대에 거치하거나 작업자가 착용하고 있는 작업용 밴드에 거치할 때 작업용 공구를 거치대 또는 작업용 밴드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작업용 공구와 거치대 또는 작업용 밴드 사이를 연결하고, 직경의 조절 및 재사용이 가능하여 활용도를 향상시킨 안전성이 향상된 공구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고정용 톱니가 형성된 밴드의 위치 이동을 제어하는 시건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사용 중 풀림을 방지함으로써 공구가 거치대 또는 작업용 밴드에서 낙하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안전성이 향상된 공구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고정용 톱니가 형성된 자유단과 길이 방향 타측에 형성된 고정단을 포함한 밴드;
상기 밴드의 고정단 단부에 구비되며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측벽과, 상기 측벽의 하단을 잇는 바닥판과, 상기 측벽과 상기 바닥판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밴드의 자유단이 출입하는 출입공을 포함한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출입공을 통해 출입하는 밴드의 이동을 제어하는 시건부;를 포함하되,
상기 시건부는,
상기 메인바디에 형성된 고정모듈과,
상기 고정모듈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출입공으로 인입된 밴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잠금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측벽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상기 출입공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한 쌍이 상호 대칭되게 배치된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에 각각 형성된 축공과, 상기 한 쌍의 측벽에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 가이드공과, 상기 한 쌍의 측벽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잠금모듈이 진입하는 진입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잠금모듈은, 상기 한 쌍의 고정편 사이에 배치되는 몸체와, 상기 축공과 연통되도록 상기 몸체에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몸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진입로를 통해 진입된 후 상기 가이드공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봉과,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출입공을 통해 인입된 밴드의 톱니와 맞닿거나 이격되면서 밴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돌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밴드의 고정단과 자유단에는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자유단이 상기 메인바디의 출입공에 인입된 이후 상기 고정단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착탈수단은, 상기 밴드의 고정단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고정자석과, 상기 밴드의 자유단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자석의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금속 소재의 고정판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공구에 결합한 상태에서 고리를 형성하여 상기 고리를 거치대에 구비된 고정용 핀 또는 작업자가 착용한 작업용 밴드에 걸거나 끼워 넣어 작업용 공구를 안정적으로 거치하되, 상기 고리의 직경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작업용 공구를 작업자의 작업용 밴드에 결속하는 과정에서 공구와 작업용 밴드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하여 공구와 작업자의 충돌 사고를 방지하고 동시에 공구가 작업자의 움직임에 의해서도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하여 생산 장비, 건설 현장에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또한, 시건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내구성을 향상시켜 사용 수명을 연장함은 물론 외부 충격에 의해서도 회전하지 않도록 하여 밴드가 임의로 변위되는 것을 차단하여 사고를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된 공구 고정구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된 공구 고정구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메인바디 및 시건부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시건부의 고정모듈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시건부의 잠금모듈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시건부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착탈수단을 도시한 예시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된 공구 고정구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된 공구 고정구(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고정용 톱니(11)가 형성된 자유단(13)과 길이 방향 타측에 형성된 고정단(12)을 포함한 밴드(10)와, 상기 밴드(10)의 고정단(12) 단부에 구비되며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측벽(21)과, 상기 측벽(21)의 하단을 잇는 바닥판(22)과, 상기 측벽(21)과 상기 바닥판(22)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밴드(10)의 자유단(13)이 출입하는 출입공(23)을 포함한 메인바디(20)와, 상기 메인바디(20)에 구비되어 상기 출입공(23)을 통해 출입하는 밴드(10)의 이동을 제어하는 시건부(30)를 포함한 것으로, 상기 시건부(30)를 통해 밴드(10)의 위치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밴드(10)를 통해 형성하는 고리 직경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작업용 밴드에 끼우거나 분리하는 과정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시건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공구를 결속한 상태에서 임의로 밴드가 시건부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공구의 낙하 사고를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밴드(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띠 형태로 이루어져 공구(도면 중 미도시됨)를 감싸거나 공구에 구비된 결속용홈(도면 중 미도시됨)에 관통 삽입된 후 후술하는 메인바디(20)에 삽입되어 시건부(30)에 의해 위치 이동이 제한되는 것으로, 일면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용 톱니(1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용 톱니(11)의 폭 방향 양측면에는 밴드(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걸림판(14)이 더 형성되는데, 상기 걸림판(14)은 상기 고정용 톱니(11)에 맞물린 시건부(30)의 걸림돌기(324)가 고정용 톱니(11)의 폭 방향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메인바디(20)에 형성된 출입공(23)을 통해 출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판(14)이 가이드 역할을 함으로써 출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고정용 톱니(11)로만 이루어지는 경우 쉽게 뒤틀리는 문제가 있고, 이로 인해 출입공(23)에 출입하는 과정 및 공구를 결속한 상태에서도 밴드가 꼬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걸림판(14)을 밴드(10)의 폭 방향 양측 테두리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함으로써 밴드가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밴드(10)는 상기 고정용 톱니(11)가 형성된 자유단(13)과 상기 자유단(13)과 상기 메인바디(20)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단(12)으로 구획되는데, 여기서 상기 고정단(12)에는 고정용 톱니(11)가 배치되지 않고 후술하는 착탈수단(40)의 고정자석(41)이 매립되는 것으로 이러한 자유단과 고정단 및 착탈수단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메인바디(20)는 상기 밴드(10)가 출입하는 출입공(23)이 형성되고 상기 밴드(1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시건부(30)가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밴드(10)의 고정단(12) 길이 방향 단분에 구비되며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측벽(21)과, 상기 측벽(21)의 하단이 각각 결합되고 상기 밴드(10)의 고정단(12) 단부가 결합되는 바닥판(22)과, 상기 측벽(21)과 바닥판(22)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밴드(10)의 자유단(13)이 출입하는 출입공(23)이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측벽(21)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대칭되게 배치되며 하단은 상기 바닥판(22)에 각각 일체로 결합된다. 이때 한 쌍의 측벽(21)은 수직벽(24)에 의해 길이 방향 일단이 연결된다.
상기 바닥판(22)은 상기 한 쌍의 측벽(21)의 하단이 각각 결합되며 상기 밴드(10)의 고정단(12) 단부가 결합되는 것으로, 편평한 플레이트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측벽(21)의 수직도를 보장하며 동시에 후술하는 시건부(30)를 통해 밴드(10)에 형성된 고정용 톱니(11)의 걸림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시건부(30)에 형성된 걸림돌기(324)가 상기 밴드(10)에 형성된 고정용 톱니(11)에 맞물려 밴드(1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돌기(324)가 동작하는 위치에서는 상기 고정용 톱니(11)의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만 걸림과 해제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바닥판(22)은 상기 측벽(21)과 함께 밴드(10)가 지나가는 출입공(23)을 형성하되 출입공(23)을 통해 인입된 밴드(10)가 수평 상태를 이루도록 편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출입공(23)은 상기 한 쌍의 측벽(21)과 바닥판(22)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밴드(10)의 자유단(13)이 출입하는 통로이다.
상기 시건부(30)는 상기 메인바디(20)에 구비되어 메인바디(20)의 출입공(23)을 통해 인입된 밴드(10)의 위치 이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시건부(30)는 상기 메인바디(20)에 형성된 고정모듈(31)과 상기 고정모듈(31)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출입공(23)으로 인입된 밴드(10)의 고정용 톱니(11)와 맞닿거나 이격됨으로써 밴드(10)의 위치 이동을 제어하는 잠금모듈(32)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모듈(31)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벽(21)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상기 출입공(23)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한 쌍이 상호 대칭되게 배치된 고정편(311)과, 상기 고정편(311)에 각각 형성된 축공(312)과, 상기 한 쌍의 측벽(21)에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 가이드공(313)과, 상기 한 쌍의 측벽(21)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잠금모듈(32)이 진입하는 진입로(314)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편(311)은 한 쌍이 상기 출입공(23)을 사이에 두고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각각의 고정편(311)이 상기 측벽(21)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편(311)의 형태 및 크기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 것으로 도시된 원형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한 쌍의 고정편(311)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후술하는 잠금모듈(32)의 몸체(321)가 배치되는 것으로, 여기서 한 쌍의 고정편(311) 사이의 공간은 상기 몸체(321)가 회전 가능하도록 이격되되,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321)의 양면에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고정편(311) 사이에 배치되는 잠금모듈(32)의 몸체(321)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고정편(311)은 상기 측벽(21)으로부터 멀어지는 단부가 상호 근접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상기 잠금모듈(32)을 구성하는 몸체(321)의 양면에 상기 고정편(311)의 일부가 상시 맞닿아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몸체(321)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밴드(10)의 위치 또는 밴드(10)를 통해 형성된 고리의 직경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축공(312)은 한 쌍의 고정편(311)에 각각 형성되어 후술하는 잠금모듈(32)의 몸체(321)에 형성된 관통공(322)과 연통되며 회전축(315)이 삽입된다.
상기 가이드공(313)은 상기 한 쌍의 측벽(21)에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 것으로, 각각의 가이드공(313)은 상기 측벽(21)에 형성된 진입로(314)의 말단부에서 상기 고정편(311)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공(313)은 상기 진입로(314)를 통해 진입한 잠금모듈(32)에 형성된 가이드봉(323)이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봉(323)을 안내하여 잠금모듈(32)을 구성하는 몸체(321)가 한 쌍의 고정편(311) 사이에 정렬되도록 한다.
상기 진입로(314)는 한 쌍의 측벽(21)에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어 잠금모듈(32)을 고정모듈(31)에 배치하는 과정에서 잠금모듈(32)이 진입하는 경로이다.
이러한 진입로(314)는 도면 중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벽(21)의 상단에서 상기 메인바디의 바닥판(22)측을 향해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것으로, 잠금모듈(32)을 구성하는 몸체(321)에 형성된 가이드봉(323)이 측벽(21)의 상단으로부터 진입한 후 상기 가이드공(313)으로 삽입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잠금모듈(32)은 상기 고정모듈(31)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출입공(23)을 통해 인입된 밴드(10)의 위치 이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고정편(311) 사이에 배치되는 몸체(321)와, 상기 축공(312)과 연통되도록 상기 몸체(321)에 형성된 관통공(322)과, 상기 몸체(321)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진입로(314)를 통해 진입된 후 상기 가이드공(313)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봉(323)과, 상기 몸체(321)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출입공(23)을 통해 인입된 밴드(10)의 톱니(11)와 맞닿거나 이격되면서 밴드(1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돌기(324)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321)는 상기 한 쌍의 고정편(311)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면 중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편(311)에 상응하는 형태 및 크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편(311)에 형성된 축공(312)과 동일한 직경 및 위치에 관통공(32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321)의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몸체(321)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325)가 더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325)의 형태 및 위치는 몸체(321)의 외주면 곡률 또는 몸체(321)의 크기에 따라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다양하게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가이드봉(323)은 상기 몸체(321)의 외측으로 돌출 되되 바람직하게는 한 쌍이 몸체(321)의 양면에서 대칭되게 구비되고, 상기 고정모듈(31)을 구성하는 진입로(314)를 통해 진입한 후 상기 가이드공(313)에 삽입된다.
상기 걸림돌기(324)는 상기 몸체(321)의 일측에 형성되어 출입공(23)을 통해 인입된 밴드(10)의 고정용 톱니(11)와 맞닿아 위치 이동을 제한하거나 이격되어 밴드(10)의 위치 이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도면 중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21)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쐐기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걸림돌기(324)는 고정용 톱니(11)와 상호 대칭되게 형성됨으로써 걸림돌기(324)가 고정용 톱니(11)에 맞닿아 있는 상태에서는 일방향으로만 밴드(10)가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다른 방향으로는 걸림돌기(324)에 의해 이동이 제한된다.
이러한 걸림돌기(324)과 고정용 톱니(11)의 형상 및 동작 관계는 종래의 케이블타이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은 이하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자가 손잡이(325)를 조작하여 몸체(321)를 이동시켜 상기 걸림돌기(324)가 고정용 톱니(11)로부터 이격되고, 이를 통해 상기 밴드(10)가 양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다.
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동작에서는 상기 몸체의 관통공과 고정편의 축공에 삽입되는 회전축에 의해 몸체의 회전이 제한되어 밴드가 일측으로만 이동 가능하고, 상기 회전축을 관통공과 축공에서 분리한 이후 몸체를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시켜 걸림돌기를 밴드의 고정용 톱니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밴드의 도면 중 좌측 또는 우측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잠금모듈(32)을 조작하여 밴드(1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던 걸림돌기(324)를 고정용 톱니(11)에서 이격시켜 밴드(10)를 양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밴드(10)를 통해 형성되는 고리의 직경을 조절함은 물론 재사용도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작업용 공구를 작업자의 작업용 밴드에 걸거나 끼울 때 작업용 공구와 작업용 밴드의 거리를 최소화하도록 밴드를 당겨서 고리의 직경을 줄이고, 사용이 끝난 작업용 공구를 작업용 밴드에서 분리할 때 상기 손잡이를 조작하여 걸림돌기(324)를 고정용 톱니(11)에서 이격시킨 후 밴드를 출입공(23)을 통해 메인바디에서 분리함으로써 작업용 밴드에서 작업용 공구를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밴드(10)의 자유단(13)과 고정단(12)을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수단(40)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착탈수단(40)은, 상기 밴드(10)의 고정단(12)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고정자석(41)과, 상기 밴드(10)의 자유단(13)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자석(41)의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금속 소재의 고정판(42)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착탈수단(40)은 밴드(10)의 자유단(13)이 출입공(23)을 통과한 이후 외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맞닿는 작업자의 피부를 긁거나 생산 장비 또는 생산 중인 제품 또는 건설 현장의 벽면 등에 맞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자유단(13)에 금속 소재의 고정판(42)을 배치하고, 상기 고정단(12)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고정자석(41)을 배치하여 상기 고정판(42)이 고정자석(41)의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하고, 이때 고정판(42)은 자유단(13)의 선단부 또는 선단측에 배치되어 자유단(13)이 고정단(12)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자석(41)은 고정단(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다른 실시예로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배치될 수 있는 것으로 도면 중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착탈수단(40)은 종래기술(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990778호)에 구비된 걸림구에 비해 외부로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작업 또는 이동 중 작업자의 옷, 신체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안전성이 향상된 공구 고정구
10 : 밴드
11 : 고정용 톱니 12 : 고정단
13 : 자유단 14 : 걸림판
20 : 메인바디
21 : 측벽 22 : 바닥판
23 : 출입공 24 : 수직벽
30 : 시건부
31 : 고정모듈
311 : 고정편 312 : 축공
313 : 가이드공 314 : 진입로
315 : 회전축
32 : 잠금모듈
321 : 몸체 322 : 관통공
323 : 가이드봉 324 : 걸림돌기
325 : 손잡이
40 : 착탈수단
41 : 고정자석 42 : 고정판

Claims (5)

  1.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일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의 고정용 톱니(11)가 형성된 자유단(13)과 길이 방향 타측에 형성된 고정단(12)을 포함한 밴드(10);
    상기 밴드(10)의 고정단(12) 단부에 구비되며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측벽(21)과, 상기 측벽(21)의 하단을 잇는 바닥판(22)과, 상기 측벽(21)과 상기 바닥판(22)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밴드(10)의 자유단(13)이 출입하는 출입공(23)을 포함한 메인바디(20);
    상기 메인바디(20)에 구비되어 상기 출입공(23)을 통해 출입하는 밴드(10)의 이동을 제어하는 시건부(30);를 포함하되,
    상기 시건부(30)는,
    상기 메인바디(20)에 형성된 고정모듈(31)과,
    상기 고정모듈(31)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출입공(23)으로 인입된 밴드(1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잠금모듈(32)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모듈(31)은,
    상기 측벽(21)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상기 출입공(23)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한 쌍이 상호 대칭되게 배치된 고정편(311)과,
    상기 고정편(311)에 각각 형성된 축공(312)과,
    상기 한 쌍의 측벽(21)에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 가이드공(313)과,
    상기 한 쌍의 측벽(21)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잠금모듈(32)이 진입하는 진입로(314)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향상된 공구 고정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잠금모듈(32)은,
    상기 한 쌍의 고정편(311) 사이에 배치되는 몸체(321)와,
    상기 축공(312)과 연통되도록 상기 몸체(321)에 형성된 관통공(322)과,
    상기 몸체(321)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진입로(314)를 통해 진입된 후 상기 가이드공(313)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봉(323)과,
    상기 몸체(321)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출입공(23)을 통해 인입된 밴드(10)의 톱니(11)와 맞닿거나 이격되면서 밴드(10)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돌기(324)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향상된 공구 고정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밴드(10)의 자유단(13)과 고정단(12)에는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수단(40)이 구비되어 상기 자유단(13)이 상기 메인바디(20)의 출입공(23)에 인입된 이후 상기 고정단(1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향상된 공구 고정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40)은,
    상기 밴드(10)의 고정단(12)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된 고정자석(41)과,
    상기 밴드(10)의 자유단(13)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자석(41)의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금속 소재의 고정판(42)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향상된 공구 고정구.
KR1020200059312A 2020-05-18 2020-05-18 안전성이 향상된 공구 고정구 KR102144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312A KR102144440B1 (ko) 2020-05-18 2020-05-18 안전성이 향상된 공구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312A KR102144440B1 (ko) 2020-05-18 2020-05-18 안전성이 향상된 공구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4440B1 true KR102144440B1 (ko) 2020-08-13

Family

ID=72043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312A KR102144440B1 (ko) 2020-05-18 2020-05-18 안전성이 향상된 공구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444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667Y1 (ko) * 2007-01-19 2007-12-21 나승엽 기능성 벨트
KR20090099982A (ko) 2008-03-19 2009-09-23 김오종 재사용 가능한 다용도 케이블 타이
KR101847447B1 (ko) * 2017-11-23 2018-04-10 류양석 버클
KR101990778B1 (ko) 2017-01-20 2019-09-30 우종원 재사용이 가능한 케이블 타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667Y1 (ko) * 2007-01-19 2007-12-21 나승엽 기능성 벨트
KR20090099982A (ko) 2008-03-19 2009-09-23 김오종 재사용 가능한 다용도 케이블 타이
KR101990778B1 (ko) 2017-01-20 2019-09-30 우종원 재사용이 가능한 케이블 타이
KR101847447B1 (ko) * 2017-11-23 2018-04-10 류양석 버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3614B1 (ko) 역회전 방지 및 해제장치를 갖는 치차 장력기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가선 및 철거공법
EP3784445B1 (de) Anordnung für eine handwerkzeugmaschine und handwerkzeugmaschine
KR102144440B1 (ko) 안전성이 향상된 공구 고정구
EP1240397B1 (en) Scaffolding safety device
KR20210042600A (ko) 쐐기형 인장클램프 개방장치
KR200457436Y1 (ko) 주상 안전 유닛
CA2077210A1 (en) Two piece cable termination socket assembly
KR20200011284A (ko) 와이어 통과형 지지장치
WO2018128385A1 (ko) 퀵 커플러용 안전장치
KR101958332B1 (ko) 안전걸이장치
KR20200032420A (ko) 망치에 부설되는 거푸집용 타이바 절단공구
JP3307896B2 (ja) 掛止具
JP7462889B2 (ja) 親綱支柱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アタッチメントが付属している親綱支柱
JP2002315122A (ja) 架空送電線用吊金車
JP6309675B1 (ja) 緊急取り外し金具及びワイヤロープ式防護柵
KR101008571B1 (ko) 신축조절기
KR101575355B1 (ko) 와이어하니스 해체 전용 체인형 클램프
KR101438503B1 (ko) 케이블 거치대
JP4144081B2 (ja) ラフィングジブのシーブケース取付装置
JPH1094125A (ja) 金車装置の支持装置
JP4002664B2 (ja) 重量物吊上げ用フック装置
KR102087971B1 (ko) 굴삭기 집게발 안전핀 스토퍼
JP3765677B2 (ja) 安全帯取付装置
JP6673374B2 (ja) 作業機械の連結装置
JP3045351U (ja) 高所作業用命綱連結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