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8571B1 - 신축조절기 - Google Patents

신축조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8571B1
KR101008571B1 KR1020080038752A KR20080038752A KR101008571B1 KR 101008571 B1 KR101008571 B1 KR 101008571B1 KR 1020080038752 A KR1020080038752 A KR 1020080038752A KR 20080038752 A KR20080038752 A KR 20080038752A KR 101008571 B1 KR101008571 B1 KR 101008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fixing member
rope
recepto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8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2950A (ko
Inventor
박갑환
Original Assignee
박갑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갑환 filed Critical 박갑환
Priority to KR1020080038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8571B1/ko
Publication of KR20090112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2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8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8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프를 누르는 고정구 어셈블리가 회전에 의해 수용체로부터 회동하여 수용체 내측을 개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로프를 누르는 구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속기구가 구비되는 신축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로프의 외주면을 감싸 수용하는 수용체; 상기 수용체의 내측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로프를 선택적으로 눌러 고정하는 고정구 어셈블리; 상기 수용체와 고정구 어셈블리를 연결하며, 상기 수용체와 상기 고정구 어셈블리의 회동 및 축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연결수단; 상기 수용체의 일측에 제공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고정구 어셈블리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구속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 편의성 및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신축조절기, 로프, 구속, 회동

Description

신축조절기 { A elasticity regulator }
본 발명은 신축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전탑이나 전신주, 고층건물 등 높이가 높은 곳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대와 로프, 신축조절기 등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신축조절기의 사용을 보인 사용 상태도를 보인 것으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살펴보면, 작업자는 높은 곳에서의 작업시 벨트 형식 또는 조끼 형식으로 된 안전대(1)를 착용하게 된다.
그리고, 작업 공간에는 작업자의 위치 이동 방향에 따라 수직구명로프(2, 이하, 로프로 통일함)가 설치되며, 상기 로프(2)에는 신축조절기(10)가 상기 로프(2)를 따라 상기 신축조절기(1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상기 신축조절기(10)의 일측과 작업자가 착용하고 있는 상기 안전대(1)의 D링(3)은 죔줄(4)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죔줄(4)은 작업자의 원활한 작업을 위해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거나 신축성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작업 위치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신축조절기(10)의 위치를 상기 로프(2)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도록 조작하게 되며, 상기 신축조절기(10)는 추락의 방지를 위해 손잡이(11)의 조작시에만 상하방으로 원활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신축조절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작업위치에서 작업자가 최초 작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상기 신축조절기(10)를 상기 로프(2)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로프(2)의 맨 아래쪽에서 상기 로프(2)의 단부를 통해서 상기 신축조절기(10)를 끼워 넣어야 한다.
따라서, 로프(2)의 단부로부터 작업위치가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상기 신축조절기(10)의 손잡이(11)를 지속적으로 조작하여 이동하여야 하므로 작업의 불편을 초래하게 되며, 이런 작업의 불편으로 작업자가 안전장구를 미착용하게 하는 등의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또한, 다른 작업장으로의 이동시에도 상기 신축조절기(10)의 최초 장착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다시 분리하기 위해서는 다시 로프(2)의 단부에서 상기 신축조절기(10)를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작업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작업을 위한 작업자의 이동 거리가 길거나, 다른 안전장치에 의해 상기 신축조절기(10)의 사용이 불필요한 경우 등 상기 신축조절기(10)를 상기 로프(2)로부터 작업도중 분리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은 로프를 누르는 고정구 어셈블리가 회전에 의해 수용체로부터 회동하여 수용체 내측을 개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로프를 누르는 구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속기구가 구비되는 신축조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신축조절기는, 로프의 외주면을 감싸 수용하는 수용체; 상기 수용체의 내측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로프를 선택적으로 눌러 고정하는 고정구 어셈블리; 상기 수용체와 고정구 어셈블리를 연결하며, 상기 수용체와 상기 고정구 어셈블리의 회동 및 축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연결수단; 상기 수용체의 일측에 제공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고정구 어셈블리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구속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 어셈블리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에 축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로프를 누르는 복수의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와 손잡이 사이에 게재되며, 상기 고정구가 상기 로프를 누르도록 강제하는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고정구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수단은, 수용체의 일측에 제공되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봉 형상의 이동축과; 상기 이동축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상기 이동축을 기준 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이동축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연결판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체의 일측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체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 및 길이방향 이동될 수 있도록 절개되어 형성되는 고정부재 가이드부가 더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 가이드부는, 상기 수용체의 일단에서 내측으로 절개되어,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수용체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삽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삽입통로와; 상기 삽입통로의 내측단에서 상기 삽입통로와 교차되는 길이방향으로 절개되는 이동통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속기구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삽입통로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속기구는, 상기 수용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이동에 의해 상기 삽입통로의 개구된 부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차폐로드와; 상기 수용체에 장착되며, 상기 차폐로드에 탄성을 제공하여 상기 삽입통로가 차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과; 상기 차폐로드에 돌출형성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차폐로드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작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체에는 상기 구속기구의 이동 및 고정을 안내하는 구속기구 가이드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구속기구 가이드는, 상기 조작레버가 상기 수용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안내통로와; 상기 안내통로의 단부에서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되고 상기 안내통로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레버가 구속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통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조작레버와 간섭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와 조작레버의 접촉에 의해 상기 조작레버는 고정통로에서 안내통로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와 조작레버는 서로 대응하는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신축조절기는, 로프에 신축조절기를 장착함에 있어 상기 구속수단의 조작 및 상기 고정구 어셈블리의 회동에 의해 상기 로프의 끝부분이 아닌 중간부분, 즉 상기 로프의 측방에서 상기 신축조절기를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도중 상기 신축조절기의 필요시 신속한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작업위치의 원거리이동 또는 작업지의 변경 등 상황발생시 상기 신축조절기의 신속한 탈착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프를 누르고 있는 상기 고정구 어셈블리의 회동에 의해 상기 수용체가 개방되어 상기 로프로부터 상기 신축조절기가 얘기치 않게 탈락되는 것을 은 방지하기 위해 구속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작업도중 상기 신축조절기가 상기 로프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상의 편의성은 물론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신축조절기의 장착모습을 보인 상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작업 현장에는 수직한 방향으로 수직구명로프(2)가 설치되며, 상기 로프(2)에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신축조절기(100)가 상기 로프(2)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신축조절기(100)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죔줄(4)이 연결되며, 상기 죔줄(4)의 타단에는 작업자가 착용하는 안전대의 D링에 걸기 위한 후크(5)가 연결된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상기 로프(2)에 연결되며, 추락상황 발생시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작업 현장에서 이동시 원활한 작업을 위해 이동거리에 따라 상기 신축조절기(100)를 조작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신축조절기를 전방 및 후방에서 본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신축조절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기 신축조절기(100)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신축조절기(100)는 전체적으로 수용체(200)와 고정구 어셈블리(300), 연결수단(400) 그리고 구속기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용체(200)는 상기 로프(2)를 감싸 수용하는 것으로, 상기 로프(2)를 따라 상기 신축조절기(100)가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수용체(200)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금속 판재가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수용체(200)에는 로프(2)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 어셈블리(300)가 출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된 형상을 가지도록 절곡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체(200)는 작업자의 추락 등에 의한 하중에도 파손되거나 변형되지 않는 합금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수용체(200)는 그 종단면 형상이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구된 부분에 해당하는 양단부에는 각각 연결수단(400)과 구속기구(5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속기구 장착부(210)와 연결수단 장착부(240)가 각각 형성된다.
도 3과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구속기구 장착부(210)는 상기 구속기구(500)가 장착 및 동작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연결수단(400)의 고정부재(420)가 출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수용체(200)의 일측면에는 고정부재(420)의 안내를 위한 고정부재 가이드부(220)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 가이드부(220)는 상기 고정부재(420)가 출입 및 이동될 수 있도록 측방에서 볼 때 대략 'ㄴ'자 모양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며, 삽입통로(221)와 이동통로(223)로 구성된다.
상기 삽입통로(221)는 상기 수용체(200)의 일단에서 내측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420)가 외부에서 상기 삽입통로(221)를 통해 상기 수용 체(200)의 내부로 들어올 수 있도록 개구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로(223)는 상기 삽입통로(221)의 내측 단부에서 교차되는 방향 즉,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고정부재(420)가 이동 가능하도록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이동통로(223)는 상기 수용체(20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며, 상기 고정부재(420)가 상기 이동통로(223)의 끝에 위치하게 될 때, 상기 고정구 어셈블리(300)가 상기 수용체(200)의 내측에 고정장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동통로(223)의 단부에는 상기 수용체(200)의 단부를 향하여 함몰된 함몰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함몰부는 상기 고정부재(420)가 안착된 상태에서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420)가 안착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재(420)의 외주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 가이드부(220)가 형성된 상기 수용체(200)의 일측면 단부에는 구속기구 장착부(210)가 더 형성된다. 상기 구속기구 장착부(210)는 상기 구속기구(500)의 장착 및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수용체(200)의 일단부에 상기 구속기구(50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수용체(200)의 단부가 원통 형상 단면을 갖도록 절곡되며,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속기구(500)는 상기 구속기구 장착부(21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수용된다.
상기 구속기구 장착부(210)는 상기 고정부재 가이드부(220)의 삽입통로(221)에 의해 두 부분으로 나뉘어지며, 단면의 형상은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구속기구(500)의 조작에 따라 상기 구속기구(500)가 상기 삽입통로(221)의 개구된 부분을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속기구 장착부(210)에는 상기 구속기구(500)의 이동 및 선택적인 고정을 안내하기 위한 구속기구 가이드(230)가 더 형성된다. 상기 구속기구 가이드(230)는 상기 구속기구 장착부(210)에 길이방향을 따라 천공되며, 상기 구속기구(500)를 구성하는 조작레버(530)가 관통되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기 조작레버(53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구속기구 가이드(230)는 안내통로(233)와 고정통로(231)로 구성된다. 상기 안내통로(233)는 상기 구속기구(500)가 상기 삽입통로(221)를 차폐하는 상태로 이동시키거나, 차폐하는 상태에서 개방하는 상태로 이동될 때 상기 구속기구(500)를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구속기구 장착부(210)를 따라 길게 천공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통로(231)는 상기 안내통로(233)를 지나 이동되는 구속기구(500)를 고정하여 상기 삽입통로(221)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안내통로(233)의 단부에서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후 다시 절곡되어 상기 구속기구(500)가 걸림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구속기구 장착부(210)에 장착되는 상기 구속기구(500)는 차폐로드(510)와 스프링(520) 그리고 조작레버(530)로 구성된다. 상기 차폐로드(510)는 상기 구속기구 장착부(210)의 내측 공간에 수용 가능하고 상기 구속기구 장착부(210)를 따라서 이동 가능한 직경을 가지는 환봉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 기 차폐로드(51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삽입통로(221)가 선택적으로 차폐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차폐로드(510)의 일단에는 스프링(520)이 장착된다. 상기 스프링(520)은 일단이 상기 구속기구 장착부(210)의 내측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차폐로드(510)의 일단에 지지되어 상기 차폐로드(510)의 이동시 선택적으로 압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520)은 상기 차폐로드(510)가 이동되어 상기 조작레버(530)가 상기 안내통로(233)를 지나 고정통로(231) 상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압축되며, 상기 차폐로드(510)가 상기 삽입통로(221)를 차폐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차폐로드(510)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조작레버(530)가 형성되며, 상기 조작레버(530)는 상기 구속기구 가이드(230)를 통해 상기 수용체(200)의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외부에서 상기 구속기구(500)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레버(53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구속기구 가이드(230)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통로(231)상에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4와 도 5 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수용체(200)의 타측단에는 연결수단 장착부(240)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수단 장착부(240)는 상기 연결수단(400)이 수용체(200)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구속기구 장착부(210)와 대향되는 상기 수용체(200) 의 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연결수단 장착부(240)는 상기 연결수단(400)의 양단부가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결수단(400)이 상기 수용체(200)의 단부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연결수단 장착부(240)는 상기 수용체(200)의 단부 전단과 후단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결수단(400)의 양단을 수용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절곡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수단 장착부(240)의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수용체(200)의 단부는 내측으로 함몰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수단(400)과 결합되는 상기 고정구 어셈블리(300)가 이동하는 데 있어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연결수단(400)은 상기 수용체(200)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고정구 어셈블리(300)가 축방향으로 병진운동함은 물론 결합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고정구 어셈블리(300)의 일부가 상기 수용체(200)의 내부로 선택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연결수단(400)은 이동축(410)과 고정부재(420)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축(41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환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수단 장착부(240)에 양단이 수용되어 고정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축(410)에는 고정부재(420)가 장착된다. 상기 고정부재(420)는 상기 고정구 어셈블리(300)와의 결합에 의해 상기 고정구 어셈블리(300)의 병진 및 회전 운동이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상기 이동축(410)에 의해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이동축(410)이 관통되는 상기 고정부재의 관통구(422)는 상기 이동축(410)의 외경보다 다소 큰 내경을 가지도록 하여 상기 고정부재(420)가 상기 이동축(410)을 따라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이동축(410)을 기준으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420)는 상기 이동축(410)으로부터 교차되는 방향 즉,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 어셈블리(300)의 일측을 관통한 후 상기 수용체(200)의 고정부재 가이드부(220)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수단(400)은 상기 수용체(200)에 결합된 상태가 되며, 상기 고정구 어셈블리(300)와 결합가능하게 제공된다.
한편, 상기 고정구 어셈블리(300)는 상기 연결수단(400)에 의해 상기 수용체(200)와 결합되며, 상기 수용체(200)의 내부로 일부가 선택적으로 수용되어 상기 수용체(200) 내부에 수용된 로프(2)를 선택적으로 눌러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 어셈블리(300)의 조작을 통해 상기 로프(2)의 수용은 물론 상기 로프(2)가 상기 수용체(20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신축조절기(100)가 상기 로프(2)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구 어셈블리(300)의 구성에 관하여 도 5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고정구 어셈블리(300)는 손잡이(320)와 고정구(310), 탄성부재(330) 그리고 연결판(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구(310)는 상기 수용체(200)의 내측에 수용되는 로프(2)와 직접 접하는 수부분으로 상기 로프(2)를 선택적으로 눌러서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 정구(310)는 전체적으로 대략 'ㄴ"자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결합부(311)와 누름부(313)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311)는 상기 고정구(310)가 상기 손잡이(320)와 수용체(200)에 고정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311)의 상부에는 상기 손잡이(320)와의 결합을 위한 힌지축(350)이 삽입되는 상부 관통구(31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350)은 상기 손잡이(320)에 형성된 손잡이 관통구(321)와 상기 상부 관통구(315)를 외부에서 관통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350)에 의해 관통되는 결합부(311)에는 고정구 탄성부재(330)가 제공된다. 상기 고정구 탄성부재(330)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되며, 상기 힌지축(350)의 외주에 권취되는 형상으로 장착된다. 또한, 상기 고정구 탄성부재(330)는 양단이 상기 손잡이(320)와 결합부에 고정되어 상기 손잡이(320)의 조작시 회동하는 상기 고정구(310)가 상기 로프(2)를 누르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결합부(311)의 하부에는 상기 연결판(340)이 장착되기 위한 하부 관통부(317)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 관통부(317)는 상기 연결판(340)이 힌지축(35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되며, 상기 결합부(311)와 누름부(313)의 경계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판(340)은 양측의 상기 고정구(310)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양측의 고정구(310)가 상기 손잡이(320)의 조작에 의해서 함께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고정구 어셈블리(300)가 상기 연결수단(400)에 의해 상기 수용체(200)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판(340)은 소정의 폭을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양측의 고정구(310)에 축결합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판(340)의 중앙부 즉, 상기 양측의 고정구(310) 사이에는 상기 연결수단(400)의 고정부재(420)가 관통되기 위한 연결판 관통구(341)가 더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구 어셈블리(300)는 상기 고정부재(420)에 의해 상기 연결수단(400)과 선택적인 결합이 가능하며, 상기 고정구 어셈블리(300)는 상기 연결수단(400)의 이동축(410)을 기준으로 하여 상하로 이동하거나 이동축(410)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기 연결판(340)은 상기 고정구(310)의 양측면에 밀착되도록 한쌍이 제공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고정구(310)의 양측면 중 어느 일측에만 제공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누름부(313)는 상기 결합부(311)의 하단에서 일측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고정구(310)의 회동시 상기 수용체(200) 내부의 로프(2)를 누를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누름부(313)의 외주면은 하방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며, 표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누름부(313)의 외측면과 상기 로프(2)의 접촉시 상기 로프(2)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구(310)의 상방에는 손잡이(320)가 제공된다. 상기 손잡이(320)는 상기 다수의 고정구(310)를 동시에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양측단이 하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고정구(310)의 결합부(311) 상부와 상기 힌지축(350)에 의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320)의 조작에 의해 상기 다수의 고정구(310)가 동시에 회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손잡이(320)의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구(310)와 손잡이(320)가 결합되는 힌지축(350)에는 연결고리(360)가 장착된다. 상기 연결고리(360)는 상기 죔줄(4)이 연결되기 위한 부분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기도 하며, 일부가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탈착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신축조절기의 작용에 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신축조절기가 로프에 장착되기 위한 동작을 순차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도 2 와 이들 도면을 참고로 하여 살펴보면, 상기 신축조절기(100)가 상기 로프(2)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수용체(200)의 내부에 로프(2)가 위치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구속기구(500)를 조작하여 상기 고정부재 가이드부(220)의 삽입통로(221)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 구속기구(500)는 사용자가 조작레버(530)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이동 가능하며, 상기 수용체(200)에 형성된 상기 구속기구 가이드(230) 즉, 상기 안내통로(233)와 고정통로(231)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고정통로(231)에서 그 위치가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통로(221)는 개방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수용체(200)와 고정구 어셈블리(300)를 각각 파지하고 상기 고정구 어셈블리(300)를 일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고정구 어셈블리(300)가 상기 연결수단(400)의 이동축(410)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고정구 어셈블리(300)의 이동으로 상기 고정부재(420)는 상기 고정부재 가이드부(220)의 상기 이동통로(223)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삽입통로(221)의 일단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구 어셈블리(300)를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연결수단의 이동축(410)을 기준으로하여 상기 고정구 어셈블리(300)가 회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고정부재(420)가 상기 삽입통로(221)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와 도 6과 같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구 어셈블리(300)는 상기 수용체(200)의 내측으로부터 완전하게 벗어나게 되며, 상기 연결수단(400)에 의해 결합상태만 유지하게 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420)와 고정구 어셈블리(300)의 연결판(340)의 결합을 해지시키게 되면, 상기 고정구 어셈블리(300)는 상기 수용체(200)와 완전하게 분리된 상태가 될 수도 있다.
도 6과 같이 상기 고정구 어셈블리(300)가 상기 수용체(200)의 내측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하게 되면, 상기 수용체(200)는 내부가 개방된 상태가 되고, 상기 수용체(200)의 개구된 부분을 통해 상기 로프(2)가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삽입되는 상기 로프(2)는 그 단부부터 삽입되는 것이 아니라 로프(2) 의 임의의 위치 측방에서 상기 로프(2)가 삽입되어 상기 로프(2)가 상기 수용체(20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로프(2)의 수용 후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420)가 상기 삽입통로(221)의 입구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구 어셈블리(300)를 회동 및 길이방향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구속기구(500)는 상기 삽입통로(221)가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고정된 상태이며, 상기 구속기구(500)의 스프링(520)은 압축되어 상기 차폐로드(51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재(420)가 상기 삽입통로(221)와 접하는 이동통로(223)의 단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구 어셈블리(300)를 회동시킨 다음, 상기 고정구 어셈블리(300)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420)는 상기 고정부재 가이드부(220)의 이동통로(223)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결국 상기 고정부재(420)는 상기 이동통로(223)의 단부에 위치하여 도 8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구 어셈블리(300)의 고정구(310)가 상기 로프(2)에 완전하게 접하여 상기 로프(2)를 눌러 고정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상기 고정구(310)의 누름부(313)가 상기 수용체(20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상기 고정구(310)가 상기 로프(2)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도 8과 같은 상태가 완료된 후에는 상기 구속기구(500)를 조작하여 상기 삽입통로(221)를 차폐함으로써 상기 고정부재(420)의 탈거를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고정구 어셈블리(300)가 상기 수용체(2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조작레버(530)가 상기 고정통로(231) 상에 위치하여 상기 차폐로드(510)가 상기 삽입통로(221)를 개방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레버(530)를 조작하여 상기 조작레버(530)가 상기 고정통로(231)를 벗어나게 하면, 상기 스프링(520)이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차폐로드(510)는 상기 안내통로(233)를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결국, 상기 차폐로드(510)는 상기 삽입통로(221)를 차폐하게 되며, 상기 스프링(520)이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사용자의 상기 조작레버(530) 조작이 있지않는 한 상기 삽입통로(221)를 차폐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도 9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신축조절기(100)를 상기 로프(2)의 임의의 위치에 삽입 장착하는 것을 완료할 수 있으며, 상기 신축조절기(100)의 위치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320)를 눌러 상기 로프(2)와 상기 고정구(310)의 누름부(313) 사이의 접촉을 일시적으로 해지하여 상기 신축조절기(100)를 이동시키고 그 장착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한편, 상기 로프(2)로부터 상기 신축조절기(100)를 탈거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장착의 과정을 역순으로 진행하면 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신축조절기는 전술한 실시예 외에도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며, 이하에서는 이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른 실시예의 구성 중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신축조절기의 구속수단의 동작을 보인 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도시된 신축조절기(100)는 수용체(200)와 고정구 어셈블리(300), 연결수단(400) 및 고정구 어셈블리(300)로 구성되며, 전술한 실시예의 그것과 대부분의 구성에 있어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다만, 상기 고정부재(430)의 형상에 있어서, 외부로 노출되는 상단부의 외주면에 고정부재 접촉부(431)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 접촉부(431)는 상기 구속기구(500)를 구성하는 조작레버(540)와 접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부재(430)가 상기 이동통로(224)의 단부로 이동하게 될 때 상기 조작레버(540)를 밀어 상기 조작레버(540)가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 접촉부(431)는 상기 조작레버(540)에 형성되는 조작레버 접촉부(541)와 대응하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조작레버(54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작레버(540) 또한 상단부의 외주면에 조작레버 접촉부(541)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430)의 이동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430)에 의해 밀려 이동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경사 또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430)의 이동시에 상기 조작레버(540)와의 접촉이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구속기구 가이드(230)가 형성된다. 상기 구속기구 가이드(230)는 상기 안내통로(233)와 고정통로(235)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안내통로(233)는 전술한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하다. 반면, 상기 고정통로(235)는 상기 안내통로(233)의 단부에서 상기 고정부재(43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경사 또는 라운드지도록 연장 및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조작레버(540)가 내측에서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절개된 형상이 고리 형상과 같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430)가 상기 이동통로(224)의 단부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조작레버(540)와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통로(224)는 상기 고정부재(430)가 장착된 안내통로(233)의 단부보다 더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430)의 이동시 상기 조작레버(540)와의 접촉이 원활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신축조절기(100)의 전체적인 동작은 전술한 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하며, 다만 상기 구속기구(5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삽입통로(221)의 개방을 위해 사용자는 상기 구속기구(500)의 조작레버(540)를 조작하여 상기 조작레버(540)가 상기 안내통로(233)를 지나 상기 고정통로(235)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조작레버(540)가 상기 고정통로(235)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조작레버(540)가 상기 고정부재(430)가 위치하게 되는 이동통로(224)측으로 향 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고정구 어셈블리(300)가 상기 수용체(200)와 결합되고, 상기 고정구 어셈블리(300)의 회동 및 길이방향 이동 조작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430)는 상기 삽입통로(221)를 지나 이동통로(224)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고정구 어셈블리(300)가 상기 신축조절기(100)의 장착을 위해 상기 이동통로(224) 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고정부재 접촉부(431)와 상기 조작레버 접촉부(541)는 서로 가까워지게 되며, 결국 서로 접하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430)와 상기 조작레버(540)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구 어셈블리(300)를 지속적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고정부재 접촉부(431)와 조작레버 접촉부(541)는 경사에 의해 상대운동 하게 되며, 상기 조작레버(540)가 상기 고정통로(235) 상에서 벗어나는 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430)가 상기 이동통로(224)의 단부로 완전하게 이동하게 되는 순간 상기 조작레버(540)는 상기 고정통로(235)를 벗어나게 되며, 상기 고정통로(235)를 벗어나게 되면, 상기 스프링(520)이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차폐로드(510)가 상기 삽입통로(221)를 차폐하게 된다.
즉, 상기 고정부재(430)가 상기 이동통로(224)의 단부로 위치되도록 하는 조작만으로도 상기 구속기구(500)가 자동으로 동작하여 상기 삽입통로(221)를 차폐함으로써 상기 신축조절기(100)의 장착작업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신축조절기의 사용을 보인 사용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신축조절기의 장착모습을 보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신축조절기를 전방에서 본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신축조절기를 후방에서 본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신축조절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신축조절기가 로프에 장착되기 위한 동작을 순차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신축조절기의 구속수단의 동작을 보인 상태도.

Claims (11)

  1. 로프의 외주면을 감싸 수용하는 수용체;
    상기 수용체의 내측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로프를 선택적으로 눌러 고정하는 고정구 어셈블리;
    상기 수용체를 따라 이동되고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고정구 어셈블리를 관통하도록 연장되는 연결수단;
    상기 수용체의 일측에 절개되며, 상기 연결수단이 걸림 구속되도록 수용하는 고정부재 가이드부;
    상기 수용체의 일측에서 상기 고정부재 가이드부의 절개된 부분을 선택적으로 닫아 상기 고정구 어셈블리를 구속하는 구속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 가이드부는,
    상기 수용체의 일단에서 절개되어,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수용체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삽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삽입통로와;
    상기 삽입통로의 단부에서 상기 삽입통로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절개되어 상기 연결수단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통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신축조절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 어셈블리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에 축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로프를 누르는 복수의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와 손잡이 사이에 게재되며, 상기 고정구가 상기 로프를 누르도록 강제하는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고정구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신축조절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수용체의 일측에 제공되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봉 형상의 이동축과;
    상기 이동축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상기 이동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이동축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연결판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체의 일측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신축조절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기구는,
    상기 수용체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이동에 의해 상기 삽입통로의 개구된 부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차폐로드와;
    상기 수용체에 장착되며, 상기 차폐로드에 탄성을 제공하여 상기 삽입통로가 차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프링과;
    상기 차폐로드에 돌출형성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차폐로드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작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신축조절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에는 상기 구속기구의 이동 및 고정을 안내하는 구속기구 가이드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신축조절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기구 가이드는,
    상기 조작레버가 상기 수용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안내통로와;
    상기 안내통로의 단부에서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되고 상기 안내통로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레버가 구속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통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신축조절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조작레버와 간섭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와 조작레버의 접촉에 의해 상기 조작레버는 상기 고정통로에서 안내통로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신축조절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와 조작레버는 서로 대응하는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신축조절기.
KR1020080038752A 2008-04-25 2008-04-25 신축조절기 KR101008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752A KR101008571B1 (ko) 2008-04-25 2008-04-25 신축조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752A KR101008571B1 (ko) 2008-04-25 2008-04-25 신축조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950A KR20090112950A (ko) 2009-10-29
KR101008571B1 true KR101008571B1 (ko) 2011-01-17

Family

ID=41554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8752A KR101008571B1 (ko) 2008-04-25 2008-04-25 신축조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85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9701B1 (ko) * 2023-07-07 2024-03-20 주식회사 로터스인터내셔날컴퍼니 난간 벽용 로프 피팅 장치
KR102637009B1 (ko) * 2023-07-07 2024-02-15 주식회사 로터스인터내셔날컴퍼니 금속빔용 로프 피팅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1385Y1 (ko) * 1986-02-06 1989-04-05 유종운 주상작업용 로프신축조절구
JP2001029494A (ja) * 1999-07-21 2001-02-06 Sanko Industries Co Ltd 墜落防止用のロープ保持具
KR200227729Y1 (ko) * 2000-12-14 2001-06-15 세진물산주식회사 신축조절기가 장착된 안전대 부착설비
KR20020027729A (ko) * 2000-10-04 2002-04-15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의 수리방법
JP2006255301A (ja) * 2005-03-18 2006-09-28 Sanko Industries Co Ltd 墜落防止用安全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1385Y1 (ko) * 1986-02-06 1989-04-05 유종운 주상작업용 로프신축조절구
JP2001029494A (ja) * 1999-07-21 2001-02-06 Sanko Industries Co Ltd 墜落防止用のロープ保持具
KR20020027729A (ko) * 2000-10-04 2002-04-15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액정표시장치용 어레이기판의 수리방법
KR200227729Y1 (ko) * 2000-12-14 2001-06-15 세진물산주식회사 신축조절기가 장착된 안전대 부착설비
JP2006255301A (ja) * 2005-03-18 2006-09-28 Sanko Industries Co Ltd 墜落防止用安全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950A (ko) 200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1046B1 (ko) 결속기
RU2657412C2 (ru) Веревочный зажим
TWI722079B (zh) 緊線器
JP5850800B2 (ja) 掴線器
EP3432992B1 (en) Shuttle for a climbing protection system
JP2012513906A (ja) 携帯可能な手持ち式電動工具
JP6205076B1 (ja) 掴線器
EP2564995B1 (en) Tool
TWI592193B (zh) 具有可旋轉本體的安全繩索阻擋器
KR102193280B1 (ko) 인출된 로프가 자동 권취되는 화물차량용 적재물 고정클램프
KR101008571B1 (ko) 신축조절기
RU271739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менного крепления грузов
JP2020526343A (ja) 落下抑制デバイスコネクタ
JP2006349183A (ja) ロープ引張具
JP2007075351A (ja) 安全帯用ロープ掛止具
US5415446A (en) Safety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KR890004827B1 (ko) 슬라이더 잠금 및 해제장치를 가진 우산
KR101845055B1 (ko) 케이블 타이 조임장치
KR101805697B1 (ko) 케이블 클램프
JP2019005260A (ja) 安全器
JP5009741B2 (ja) 転落防止装置
EP3065533B1 (en) Pulling member for pruning tool
KR20220056721A (ko) 추락방지용 로프 클램핑장치
KR200180777Y1 (ko) 회전식 가이드 스토퍼
KR200325809Y1 (ko) 훅크 록킹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