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448B1 - 버클 - Google Patents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7448B1
KR101847448B1 KR1020170183633A KR20170183633A KR101847448B1 KR 101847448 B1 KR101847448 B1 KR 101847448B1 KR 1020170183633 A KR1020170183633 A KR 1020170183633A KR 20170183633 A KR20170183633 A KR 20170183633A KR 101847448 B1 KR101847448 B1 KR 101847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shaft
button
fine movement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3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양석
Original Assignee
류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양석 filed Critical 류양석
Priority to KR1020170183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4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44B11/1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sliding wedge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은, 밴드 - 상기 밴드는, 나란하게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걸림홈을 구비함 - 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은 자유로우나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은 선택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밴드의 일측단이 삽입되는 삽입공간과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기 밴드의 일측단이 배출되는 배출공간을 구비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 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위치 변화가 가능하며, 상기 제1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와 접촉된 채 상기 밴드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되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상기 밴드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차단하며,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변화되는 경우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해제되어 상기 밴드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버튼부; 상기 바디부 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3 위치와 제4 위치 사이에서 위치 변화가 가능하며, 상기 버튼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위치 변화되는 경우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상기 밴드를 상기 제1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동시켜 상기 밴드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정도를 미세 조절하는 미세이동부; 및 상기 버튼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변화되는 경우 탄성 변형에 의한 제1 복원력에 의해 상기 버튼부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고, 상기 미세이동부가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변화되는 경우 탄성 변형에 의한 제2 복원력에 의해 상기 미세이동부를 상기 제3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버클{Buckle}
본 발명은 버클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밴드의 미세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버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의류나 가방 등의 피착물에 폭을 줄이거나 넓히는 목적으로 버클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피착물에 사용되는 버클 장치는 기본적으로 밴드와 버클로 이루어지며, 버클은 밴드의 양단부를 결속하거나 또는 바지나 스커트 등의 허리단 부분에 구비되어 바지나 스커트 등의 허리둘레를 착용자의 허리둘레에 맞게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가방이나 핸드백 등에서 입구를 축소하거나 확장 등의 목적에도 활용되며, 시계줄 등에도 사용되어 시계줄의 둘레를 착용자의 손목에 맞게 조절하는 목적에도 활용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버클은 밴드가 조여지는 방향, 즉, 순방향으로는 밴드의 당김에 의해 자유로운 슬라이드 이동이 제공되나, 밴드가 풀어지는 방향, 즉, 역방향으로는 이동이 단속되어 밴드가 풀어지지 않는 조임 상태가 유지된다.
여기서, 종래의 버클은 밴드의 당김에 의해 순방향으로의 이동은 자유롭기는 하나 이동되는 정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없어 착용자 또는 사용자는 밴드를 조이고 푸는 과정을 반복해야만 정밀한 조절이 가능할 수 밖에 없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종래의 버클은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여지는 방향에 대한 밴드의 이동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부품수를 최소화하여 생산 단가를 저감시킬 수 있는 버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은, 밴드 - 상기 밴드는, 나란하게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걸림홈을 구비함 - 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은 자유로우나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은 선택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밴드의 일측단이 삽입되는 삽입공간과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기 밴드의 일측단이 배출되는 배출공간을 구비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 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위치 변화가 가능하며, 상기 제1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와 접촉된 채 상기 밴드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되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상기 밴드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차단하며,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변화되는 경우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해제되어 상기 밴드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버튼부; 상기 바디부 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3 위치와 제4 위치 사이에서 위치 변화가 가능하며, 상기 버튼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위치 변화되는 경우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상기 밴드를 상기 제1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동시켜 상기 밴드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정도를 미세 조절하는 미세이동부; 및 상기 버튼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변화되는 경우 탄성 변형에 의한 제1 복원력에 의해 상기 버튼부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고, 상기 미세이동부가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변화되는 경우 탄성 변형에 의한 제2 복원력에 의해 상기 미세이동부를 상기 제3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상기 버튼부는, 상기 미세이동부가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변화되는 경우, 상기 제1 위치에서 변화되되, 상기 제2 위치에 도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상기 제1 복원력과 상기 제2 복원력은, 크기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상기 버튼부는, 상기 바디부 상에 장착된 제1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거나 상기 제1 축과 연동되어 회전 가능하며, 상기 미세이동부는, 상기 바디부 상에 장착된 제2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거나 상기 제2 축과 연동되어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3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밴드와 비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상기 미세이동부는,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변화되는 도중 상기 제2 축과 함께 상기 밴드를 향하여 이동되어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며, 상기 미리 정해진 거리는, 상기 제4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상기 바디부는, 상기 제2 축이 삽입되며, 상기 제2 축이 이동되어 상기 제2 축과 상기 밴드와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제2 축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상기 제2 축홀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상기 바디부는, 상기 미세이동부가 상기 제3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제2 축이 상기 제2 축홀의 하단부에 위치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미세이동부는,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지지부를 넘어 상기 제4 위치로 이동되되, 상기 지지부를 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축이 상기 제2 축홀의 상단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상기 탄성부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상기 제2 축에 삽입되며, 상기 제2 축에 삽입된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탄성부의 일측단은, 상기 버튼부의 저면에 접촉되거나 상기 버튼부와 연결되어 상기 버튼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변화되는 경우 탄성 변형되며, 상기 제2 축에 삽입된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탄성부의 타측단은, 상기 미세이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미세이동부가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상기 탄성부의 일측단은, 상기 제2 축에 삽입된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적어도 1회 이상 벤딩되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상기 탄성부 중 벤딩된 부분은, 상기 바디부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상기 탄성부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상기 제1 축에 삽입되며, 상기 제1 축에 삽입된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탄성부의 일측단은, 상기 버튼부의 저면에 접촉되거나 상기 버튼부와 연결되어 상기 버튼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변화되는 경우 탄성 변형되며, 상기 제1 축에 삽입된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탄성부의 타측단은, 상기 미세이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미세이동부가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클의 상기 탄성부의 일측단은, 상기 제1 축에 삽입된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적어도 1회 이상 벤딩되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클에 의하면, 미세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부품수의 최소화로 인하여 생산 단가를 현저하게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클과 이에 사용되는 밴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클을 도시한 개략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클에 대한 내부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클에 제공되는 버튼부가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밴드가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클에 제공되는 버튼부가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밴드가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 6 내지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클에 제공되는 미세이동부의 위치 변화에 의해 제1 방향으로의 밴드의 미세 이동이 조절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버클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버클에 제공되는 탄성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버클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버클에 제공되는 탄성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버클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버클에 제공되는 탄성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버클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클과 이에 사용되는 밴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클을 도시한 개략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클에 대한 내부구성도이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버클(1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상기 버클(100)이 활용될 수 있는 활용 범위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버클(100)은 가방, 신발, 스키복 및 작업복 등을 포함하는 의류, 밸트, 멜빵, 시계, 브래지어, 케이블 타이 등 길이 또는 폭 등을 조절할 필요가 있는 제품에 모두 사용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클(100)은 밴드(BA)의 제1 방향(D1)으로의 이동은 자유로우나 상기 제1 방향(D1)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은 선택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장치일 수 있다.
우선, 버클(100)에 의해 구속 범위를 조절하기 위한 밴드(BA)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밴드(BA)는 나란하게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걸림홈(G)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걸림홈(G)은 상기 버클(100)의 일 구성요소인 버튼부(120)에 의해 상기 밴드(BA)의 상기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을 차단하기 위한 홈인 동시에 상기 버클(100)의 일 구성요소인 미세이동부(130)에 의해 상기 밴드(BA)의 상기 제1 방향(D1)으로의 이동 정도를 미세 조절하기 위한 홈일 수 있다.
상기 버클(100)은 바디부(110), 버튼부(120), 미세이동부(130) 및 탄성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10)는 상기 밴드(BA)의 일측단이 삽입되는 삽입공간(S1)과 상기 삽입공간(S1)에 삽입된 상기 밴드(BA)의 일측단이 배출되는 배출공간(S2)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버튼부(120)는 상기 바디부(1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위치 변화가 가능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BA)와 접촉된 채 상기 밴드(BA)의 상기 제1 방향(D1)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되 상기 걸림홈(G)에 삽입되어 상기 밴드(BA)의 상기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부(120)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변화되는 경우 상기 걸림홈(G)으로부터 해제되어 상기 밴드(BA)의 상기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위치는 도 4에 도시된 상기 버튼부(120)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위치는 도 5에 도시된 상기 버튼부(120)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미세이동부(130)는 상기 바디부(1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3 위치와 제4 위치 사이에서 위치 변화가 가능하며, 상기 버튼부(120)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위치 변화되는 경우, 상기 걸림홈(G)에 삽입되어 상기 밴드(BA)를 상기 제1 방향(D1)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동시켜 상기 밴드(BA)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이동되는 정도를 미세 조절할 수 있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위치는 도 6에 도시된 상기 미세이동부(130)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제4 위치는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된 상기 미세이동부(130)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140)는 상기 버튼부(120)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변화되는 경우, 탄성 변형에 의한 제1 복원력에 의해 상기 버튼부(120)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고, 상기 미세이동부(130)가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변화되는 경우 탄성 변형에 의한 제2 복원력에 의해 상기 미세이동부(130)를 상기 제3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일종의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바디부(110)는 상기 버튼부(120)가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밴드(BA)를 향한 상기 버튼부(120)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상기 밴드(BA)를 상기 삽입공간(S1)과 상기 배출공간(S2) 사이에서 지지하는 지지벽부(112), 상기 지지벽부(112)의 일측 및 타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 측벽부(114) 및 제2 측벽부(116), 및 상기 제1 측벽부(114)와 상기 제2 측벽부(116)를 서로 연결하고 본 발명에 따른 버클(100)의 외관을 제공하는 외관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부(120)는 제1 측벽부(114) 및 제2 측벽부(116)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1 축홀(H1)에 삽입되는 제1 축(150)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거나 상기 제1 축(150)과 연동되어 회전 가능할 수 있으며,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 위치인 경우 밴드(BA)의 걸림홈(G)에 삽입되어 상기 밴드(BA)의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라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상기 미세이동부(130)는 제1 측벽부(114) 및 제2 측벽부(116) 상에 장착된 제2 축(160)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거나 상기 제2 축(160)과 연동되어 회전 가능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회전에 의해 제3 위치에서 제4 위치로 변화되는 경우, 밴드(BA)의 걸림홈(G)에 삽입되어 상기 밴드(BA)를 제1 방향(D1)으로 이동시키는 톱니 형상의 걸림턱(13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걸림턱(132)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일개 또는 2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탄성부(140)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상기 제1 측벽부(114) 및 상기 제2 측벽부(116) 상에 장착된 제2 축(160)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축(160)에 삽입된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일측단(142)은 상기 버튼부(120)의 저면에 접촉하거나 상기 버튼부(120)와 연결되어 상기 버튼부(12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변화되는 경우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축(160)에 삽입된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탄성부(140)의 타측단(144)은 상기 미세이동부(130)에 연결되어 상기 미세이동부(130)가 제3 위치에서 제4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140)의 일측단(142)이 상기 버튼부(120)와 연결된다는 의미는 상기 버튼부(120)에 홈 또는 홀 등이 형성되어 상기 홈 또는 상기 홀 등에 상기 탄성부(140)의 일측단(142)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용접, 본딩 등에 의해 일체화되는 경우도 포함한다는 의미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탄성부(140)의 타측단(144)이 상기 미세이동부(130)에 연결된다는 의미도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세이동부(130)에 홈 또는 홀 등이 형성되어 상기 홈 또는 상기 홀 등에 상기 탄성부(140)의 타측단(144)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용접, 본딩 등에 의해 일체화되는 경우도 포함한다는 의미이다.
상기 탄성부(140)의 타측단(144)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미세이동부(130)에 연결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관부(118)의 내면에 접촉된 상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성부(140)는 상기 미세이동부(130)가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변화되는 경우 탄성 변형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미세이동부(130)는 수동으로 상기 제4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140)의 일측단(142)은 상기 제2 축(160)에 삽입된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적어도 1회 이상 벤딩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탄성부(140)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버튼부(120)가 상기 제1 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클에 제공되는 버튼부가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밴드가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클에 제공되는 버튼부가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밴드가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우선, 도 4를 참조하여 밴드(BA)의 삽입 과정, 즉, 제1 방향(D1)으로 이동되는 원리를 설명한다.
밴드(BA)의 일측단이 바디부(110)의 삽입공간(S1)으로 삽입되고 배출공간(S2)으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밴드(BA)의 걸림홈(G)은 버튼부(120)의 일측단을 지나가게 된다.
이 과정에서 버튼부(120)의 일측단은 상기 걸림홈(G)을 규정하는 일면 중 삽입공간(S1)을 향한 방향에 구비되는 일면에 접촉되어 자동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홈(G)을 규정하는 일면 중 삽입공간(S1)을 향한 방향에 구비되는 일면은 반대면보다 상대적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밴드(BA)가 이동되는 도중 버튼부(120)는 제1 축(150)을 기준으로 자동적으로 회전되게 된다.
결국, 상기 버튼부(120)가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밴드(BA)의 제1 방향(D1)으로의 이동은 자유롭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통해 상기 밴드(BA)는 배출공간(S2)으로 배출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버튼부(120)가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밴드(BA) 제2 방향(D2)으로 이동은 구속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버튼부(120)의 일측단이 걸림홈(G)에 삽입되어 해제될 수 없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밴드(BA)가 제2 방향(D2)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경우 상기 걸림홈(G)을 규정하는 일면 중 배출공간(S2)을 향한 방향에 구비되는 일면은 버튼부(120)의 일측단에 걸리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밴드(BA)의 상기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은 차단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밴드(BA)가 풀리는 과정, 즉, 제2 방향(D2)으로 이동되는 원리를 설명한다.
사용자는 버튼부(120)의 일측단이 걸림홈(G)에 삽입된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상기 버튼부(120)에 외력을 인가한다.
상기 버튼부(120)에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버튼부(120)는 제1 축(150)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며, 도 4에 도시된 제1 위치에서 도 5에 도시된 제2 위치로 변화되게 된다.
상기 버튼부(120)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변화하게 되면, 상기 탄성부(140)는 탄성 변형되게 되고, 상기 버튼부(120)의 일측단(122)은 상기 걸림홈(G)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결국, 상기 버튼부(120)는 상기 밴드(BA)와 비접촉 상태가 되고, 상기 밴드(BA)는 상기 제2 방향(D2)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버튼부(120)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부(140)의 탄성 변형에 의한 제1 복원력에 의해 상기 버튼부(120)는 회전되어 상기 제1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도 6 내지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클에 제공되는 미세이동부의 위치 변화에 의해 제1 방향으로의 밴드의 미세 이동이 조절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밴드(BA)를 제1 방향(D1)으로 미세 이동을 구현하고자 하는 경우, 미세이동부(130)를 제3 위치에서 제4 위치로 변화시키면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위치에 위치한 미세이동부(130)는 밴드(BA)와 비접촉된 상태일 수 있으며, 이는 제2 축(160)이 제1 측벽부(114) 및 제2 측벽부(116)에 형성된 제2 축홀(H2, 도 2 및 도 7 참조)의 하단부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상기 제2 축홀(H2)은 상기 미세이동부(130)의 회전에 대한 회전축인 제2 축(160)이 삽입되는 홀로, 상기 제2 축(160)이 이동되어 상기 제2 축(160)과 상기 밴드(BA)와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제2 축홀(H2)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홀로, 예를 들어, 하트(Heart)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미세이동부(130)가 제3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탄성부(140)의 일측단은 버튼부(120)에 의해 가압된 상태인 동시에 상기 제1 측벽부(114) 및 상기 제2 측벽부(116) 상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지지부(115, 도 2 참조)에 의해 상기 미세이동부(130)가 지지되어 상기 제2 축(160)은 상기 제2 축홀(H2)의 하단부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지지부(115)는 상기 미세이동부(130)에 대해 지지축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미세이동부(130)가 제3 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제2 축(160)은 자연스럽게 상기 제2 축홀(H2)의 하단부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부(115)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측벽부(114) 및 상기 제2 측벽부(116)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미세이동부(130)가 상기 제1 측벽부(114) 및 상기 제2 측벽부(116)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측벽부(114) 및 상기 제2 측벽부(116)의 내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위치에 위치한 미세이동부(130)를 제2 축(160)을 기준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외력을 인가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축(160)은 상기 제2 축홀(H2)의 상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는 상기 미세이동부(130)가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지지부(115)를 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부(115)는 상기 미세이동부(130)의 지지축 기능을 수행하게 되어 상기 미세이동부(130)는 상기 지지부(115)를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회전되기 때문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세이동부(130)가 제3 위치에서 제4 위치로 변화되는 도중 상기 제2 축(160)이 상기 제2 축홀(H2)의 상단부에 위치하게 되면, 미세이동부(130)의 톱니 형상의 걸림턱(132)은 밴드(BA)의 걸림홈(G)에 삽입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 축(160)이 상기 제2 축홀(H2)의 상단부에 위치되는 과정에서 버튼부(120)의 저면에 접촉되어 있는 탄성부(140)의 일측단(142)이 지지벽부(112)를 향하여 이동될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 상기 탄성부(140) 중 제2 축(160)에 삽입된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방향, 벤딩되는 부분의 위치 및 정도 등을 조절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140)의 일측단(142)과 접촉되는 상기 버튼부(120)의 저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기 등을 형성하여 상기 탄성부(140)의 일측단이 상기 지지벽부(112)를 향하여 이동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세이동부(130)가 상기 지지부(115)를 넘어 계속적인 외력이 인가되어 제2 축(160)을 기준으로 회전되게 되면, 상기 걸림턱(132)은 상기 걸림홈(G)을 규정하는 일면 중 배출공간(S2)을 향한 방향에 구비되는 일면을 가압하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세이동부(130)가 제4 위치로 이동되게 되면, 상기 밴드(BA)는 제1 방향(D1)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동되게 되며, 이 경우, 상기 버튼부(120)는 제1 위치에서 변화되되, 상기 제2 위치에 도달하지는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미세이동부(130)가 제3 위치에서 제4 위치로 이동되게 되면, 상기 미세이동부(130)에 연결된 탄성부(140)의 타측단으로 인해, 상기 탄성부(140)는 탄성 변형되게 된다.
상기 미세이동부(130)가 도 9에 도시된 제4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인가되었던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탄성부(140)의 탄성 변형에 의한 제2 복원력에 의해 상기 미세이동부(130)는 도 6에 도시된 제3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 복원력은 버튼부(120)가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제1 복원력과 크기가 다를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세이동부(130)가 도 9에 도시된 위치에서 계속적인 외력을 인가하여 추가 회전을 시키게 되면, 상기 걸림턱(132)은 상기 걸림홈(G)을 규정하는 일면 중 배출공간(S2)을 향한 방향에 구비되는 일면을 다시 가압하게 되어 상기 밴드(BA)는 제1 방향(D1)으로 이동하게 된다.
결국, 상기 미세이동부(1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밴드(BA)가 제1 방향(D1)으로 이동되는 미리 정해진 거리는, 제4 위치가 도 9에 도시된 위치인지 아니면 도 10에 도시된 위치인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미리 정해진 거리는 상기 제4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미세이동부(130)의 걸림턱(132)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일개 또는 3개 이상으로도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버클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버클에 제공되는 탄성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버클(200)은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클(100)과 비교할 때, 탄성부(240)를 제외하고는 구성 및 효과가 모두 동일하므로, 상기 탄성부(240) 이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버클(200)에 제공되는 탄성부(240)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제1 측벽부(214) 및 제2 측벽부 상에 장착된 제2 축(260)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축(260)에 삽입된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일측단(242)은 상기 버튼부(220)의 저면에 접촉하거나 상기 버튼부(220)와 연결되어 상기 버튼부(22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변화되는 경우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축(260)에 삽입된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탄성부(240)의 타측단(244)은 상기 미세이동부(230)에 연결되어 상기 미세이동부(230)가 제3 위치에서 제4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240)의 일측단(242)은 상기 제2 축(260)에 삽입된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적어도 1회 이상 벤딩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240) 중 벤딩된 부분은 상기 바디부(210)의 외관부(218)의 내면에 접촉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버클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버클에 제공되는 탄성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또한,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버클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버클에 제공되는 탄성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로 하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버클(300) 및 도 15 및 도 16을 참조로 하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버클(400)은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클(100) 및 도 11과 도 12를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버클(200)과 비교할 때, 탄성부(340, 440)를 제외하고는 구성 및 효과가 모두 동일하므로, 상기 탄성부(340, 440) 이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버클(300)에 제공되는 탄성부(340) 및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버클(400)에 제공되는 탄성부(440)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제1 측벽부(314, 414) 및 제2 측벽부 상에 장착된 제1 축(350, 450)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축(350, 450)에 삽입된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탄성부(340, 440)의 일측단(342, 442)은 버튼부(320, 420)의 저면에 접촉되거나 상기 버튼부(320, 420)와 연결되어 상기 버튼부(420)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변화되는 경우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축(350, 450)에 삽입된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탄성부(340, 440)의 타측단(344, 444)은 미세이동부(330, 440)에 연결되어 상기 미세이동부(330, 440)가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탄성 변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부(330, 440)의 일측단(332, 442)은 상기 제1 축(350, 450)에 삽입된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적어도 1회 이상 벤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버클을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버클(500)은 버튼이동부(58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버튼이동부(580)는 전술한 모든 실시예에 따른 버클(100, 200, 300, 400)에 적용가능할 수 있다.
상기 버튼이동부(580)는 제1 측벽부(514) 및 제2 측벽부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H3)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버튼이동부(580)가 이동되게 되면, 상기 버튼이동부(580)는 버튼부(520)를 가압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버튼부(52)는 회전되게 된다.
결국, 상기 버튼부(520)가 회전되면 밴드(BA)의 제2 방향(D2)으로의 이동은 자유롭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버클
110: 바디부
120: 버튼부
130: 미세이동부
140: 탄성부

Claims (13)

  1. 밴드 - 상기 밴드는, 나란하게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걸림홈을 구비함 - 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은 자유로우나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은 선택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버클에 있어서,
    상기 밴드의 일측단이 삽입되는 삽입공간과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기 밴드의 일측단이 배출되는 배출공간을 구비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위치 변화가 가능하며,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변화되는 경우, 상기 밴드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버튼부 -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버튼부의 끝단이 상기 밴드와 접촉된 채 상기 밴드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되 상기 버튼부의 끝단이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어 상기 밴드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차단하는 위치이며,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버튼부의 끝단이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해제되어 상기 밴드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위치임 - ;
    상기 바디부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제3 위치와 제4 위치 사이에서 위치 변화가 가능하며, 상기 버튼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위치 변화되는 경우 상기 밴드를 상기 제1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동시켜 상기 밴드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는 정도를 미세 조절하는 미세이동부 - 상기 제3 위치는, 상기 미세이동부의 톱니 형상의 걸림턱이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해제되는 위치이며, 상기 제4 위치는, 상기 미세이동부의 톱니 형상의 걸림턱이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위치임 - ; 및
    상기 버튼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변화되는 경우 탄성 변형에 의한 제1 복원력에 의해 상기 버튼부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고, 상기 미세이동부가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변화되는 경우 탄성 변형에 의한 제2 복원력에 의해 상기 미세이동부를 상기 제3 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미세이동부가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변화되는 경우, 상기 제1 위치에서 변화되되, 상기 제2 위치에 도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원력과 상기 제2 복원력은,
    크기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버튼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삽입공간과 상기 배출공간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밴드와 접촉하는 지지벽부, 상기 지지벽부의 일측 및 타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1 측벽부 및 제2 측벽부, 및 상기 제1 측벽부와 상기 제2 측벽부를 서로 연결하는 외관부를 구비하며,
    상기 버튼부는,
    상기 제1 측벽부 및 상기 제2 측벽부 상에 장착된 제1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거나 상기 제1 축과 연동되어 회전 가능하며,
    상기 미세이동부는,
    상기 제1 측벽부 및 상기 제2 측벽부 상에 장착된 제2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거나 상기 제2 축과 연동되어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3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밴드와 비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이동부는,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변화되는 도중 상기 제2 축과 함께 상기 밴드를 향하여 이동되어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며,
    상기 미리 정해진 거리는,
    상기 제4 위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제2 축이 삽입되며, 상기 제2 축이 이동되어 상기 제2 축과 상기 밴드와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제2 축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축홀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미세이동부가 상기 제3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제2 축이 상기 제2 축홀의 하단부에 위치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미세이동부는,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지지부를 넘어 상기 제4 위치로 이동되되, 상기 지지부를 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축이 상기 제2 축홀의 상단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상기 제2 축에 삽입되며,
    상기 제2 축에 삽입된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탄성부의 일측단은,
    상기 버튼부의 일면 중 상기 외관부를 향한 일면에 접촉되거나 상기 버튼부에 고정되어 상기 버튼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변화되는 경우 탄성 변형되며,
    상기 제2 축에 삽입된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탄성부의 타측단은,
    상기 미세이동부의 상기 걸림턱에 고정되어 상기 미세이동부가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의 일측단은,
    상기 제2 축에 삽입된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적어도 1회 이상 벤딩되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 중 벤딩된 부분은,
    상기 바디부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상기 제1 축에 삽입되며,
    상기 제1 축에 삽입된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탄성부의 일측단은,
    상기 버튼부의 일면 중 상기 외관부를 향한 일면에 접촉되거나 상기 버튼부에 고정되어 상기 버튼부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변화되는 경우 탄성 변형되며,
    상기 제1 축에 삽입된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탄성부의 타측단은,
    상기 미세이동부의 상기 걸림턱에 고정되어 상기 미세이동부가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의 일측단은,
    상기 제1 축에 삽입된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적어도 1회 이상 벤딩되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클.
KR1020170183633A 2017-12-29 2017-12-29 버클 KR101847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633A KR101847448B1 (ko) 2017-12-29 2017-12-29 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633A KR101847448B1 (ko) 2017-12-29 2017-12-29 버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982A Division KR20190082036A (ko) 2018-04-04 2018-04-04 버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7448B1 true KR101847448B1 (ko) 2018-04-10

Family

ID=61975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633A KR101847448B1 (ko) 2017-12-29 2017-12-29 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4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164B1 (ko) * 2018-11-16 2020-02-13 (주)피앤디디자인 풀림 방지용 잠금 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7656U (ja) * 1995-05-02 1995-10-31 瑞祥 鄭 ベルトの止め具
JP3068038U (ja) * 1999-10-07 2000-04-21 ▲瑜▼澤 簡 バックル
US6715449B1 (en) * 2003-01-21 2004-04-06 Jordan Brands, Inc. Adjustable animal collar
KR20100111024A (ko) * 2009-04-06 2010-10-14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길이 조절용 버클 장치
KR20130016071A (ko) * 2011-08-03 2013-02-14 옵티코스 에스.알.엘. 헬멧 보호용 스트랩의 조정 및 결박 장치
KR101274672B1 (ko) * 2013-02-21 2013-06-17 류양석 버클
KR101632531B1 (ko) * 2015-01-08 2016-06-21 류양석 버클장치
KR101698149B1 (ko) * 2016-08-16 2017-01-19 성선경 허리둘레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7656U (ja) * 1995-05-02 1995-10-31 瑞祥 鄭 ベルトの止め具
JP3068038U (ja) * 1999-10-07 2000-04-21 ▲瑜▼澤 簡 バックル
US6715449B1 (en) * 2003-01-21 2004-04-06 Jordan Brands, Inc. Adjustable animal collar
KR20100111024A (ko) * 2009-04-06 2010-10-14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길이 조절용 버클 장치
KR20130016071A (ko) * 2011-08-03 2013-02-14 옵티코스 에스.알.엘. 헬멧 보호용 스트랩의 조정 및 결박 장치
KR101274672B1 (ko) * 2013-02-21 2013-06-17 류양석 버클
KR101632531B1 (ko) * 2015-01-08 2016-06-21 류양석 버클장치
KR101698149B1 (ko) * 2016-08-16 2017-01-19 성선경 허리둘레 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164B1 (ko) * 2018-11-16 2020-02-13 (주)피앤디디자인 풀림 방지용 잠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7865B2 (en) Holder for cord fasteners
US5355562A (en) Buckle
US10130131B2 (en) Controller, band, and band adjusting device including the controller and the band
JP4809780B2 (ja) ブレスレット用の調節可能な留め金装置
WO2016025348A1 (en) Magnetic buckle
US7765620B2 (en) Belt support
KR101847448B1 (ko) 버클
KR20190082036A (ko) 버클
US20160037846A1 (en) Adjuster for adjusting a length of a cord
US20160374436A1 (en) Buckle having easy separation operation
KR101632531B1 (ko) 버클장치
US11464296B2 (en) Slidable button on a monorail track for tightening and loosening of a garment
KR101847447B1 (ko) 버클
EP4064920A1 (en) Slidable button on a monorail track for tightening and loosening of a garment
JP6707170B2 (ja) バンド、制御装置およびバンド調節装置
KR101850763B1 (ko)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
KR101832430B1 (ko) 제어 장치
KR101721335B1 (ko) 제어 장치,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
CN218527890U (zh) 一种调节卡扣及具备该调节卡扣的户外用品
JP2016097272A (ja) ベルト調節構造
KR101633418B1 (ko) 간편하게 이중 구조로 체결되는 손목 시계줄 체결구조
JPH11208A (ja) 携帯品の落下防止具
US11478032B2 (en) Pull-release closure apparatus and method
US2852825A (en) Clip
WO2022059731A1 (ja) バン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