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1337B1 - 제어 장치,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제어 장치,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1337B1
KR101721337B1 KR1020150161682A KR20150161682A KR101721337B1 KR 101721337 B1 KR101721337 B1 KR 101721337B1 KR 1020150161682 A KR1020150161682 A KR 1020150161682A KR 20150161682 A KR20150161682 A KR 20150161682A KR 101721337 B1 KR101721337 B1 KR 101721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contact
side wall
external force
band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1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양석
Original Assignee
류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양석 filed Critical 류양석
Priority to KR1020150161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1337B1/ko
Priority to US14/952,700 priority patent/US10130131B2/en
Priority to CN201510857636.2A priority patent/CN105768382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1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1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 A44C5/20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for open straps, chai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0/00General types of fasteners
    • A44D2200/10Details of construction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는, 밴드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은 자유로우나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은 선택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Description

제어 장치,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Control device, band and band adjus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제어 장치,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치의 소형화를 구현하면서도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토록 하는 제어 장치,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의류나 가방 등의 피착물에서 폭을 줄이거나 넓히는 목적의 버클장치의 용도에 관해서는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피착물에 사용되는 버클장치는 기본적으로 밴드와 버클로 이루어지며, 버클은 밴드의 양단 부를 결속하거나 또는 바지나 스커트 등의 허리 단부분에 구비되어 바지나 스커트 등의 허리둘레를 착용자의 허리둘레에 맞게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가방이나 핸드백 등에서 입구를 축소하거나 확장 등의 목적에도 활용되며, 시계줄 등에도 사용되어 시계줄의 둘레를 착용자의 손목에 맞게 조절하는 목적에도 활용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버클은 밴드가 조여지는 방향, 즉, 순방향으로는 밴드의 당김에 의해 자유로운 슬라이드 이동이 제공되나, 밴드가 풀어지는 방향, 즉, 역방향으로는 이동이 단속되어 밴드가 풀어지지 않는 조임 상태가 유지된다.
종래의 버클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밴드가 통과하는 버클하우징, 상기 버클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버튼 및 상기 버튼에 의해 위치 이동되어 밴드의 단속 여부를 조절하는 걸림수단 및 상기 버튼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종래의 버클에 제공되는 버튼은 버클하우징의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회전 가능하며, 사용자가 밴드의 조임 상태를 해제하는 경우 상기 버클하우징의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버튼을 회전시켜 이를 구현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버클은 버튼의 반복적인 사용에 의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되어 내구성이 탁월하지 못하였으며, 부품수가 많아 조립 공정이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여 제조 단가를 절감시키는 동시에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고 소형화를 구현토록 하는 제어 장치,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는, 밴드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은 자유로우나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은 선택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장치로, 상기 밴드의 일측단이 삽입되는 삽입공간과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기 밴드의 일측단이 유출되는 유출공간을 구비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바디부의 내부공간에 위치하여 회전축을 기준으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위치 변화가 가능하며, 상기 제1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와 접촉된 채 상기 밴드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되, 상기 제2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와 비접촉된 채 상기 밴드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밴드제어부; 상기 밴드제어부가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되는 경우 탄성 변형되고,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밴드제어부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원시키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탄성부; 및 상기 밴드제어부와 접촉된 상태로 제3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밴드제어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밴드제어부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시키도록 상기 밴드제어부와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제3 위치에서 제4 위치로 위치 변화되는 외력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밴드제어부를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시키도록 직선 운동을 통해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위치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바디부는, 상기 내부공간을 규정하는 전방측벽, 후방측벽, 상방측벽 및 하방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상방측벽 및 상기 하방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바디부 상에 위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밴드제어부와 접촉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와 연결되되 상기 내부공간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노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노출부 및 상기 접촉부는, 상기 상방측벽 및 상기 하방측벽 상에서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면서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위치 변화되어 상기 접촉부가 상기 밴드제어부를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바디부는, 상기 삽입공간과 상기 유출공간을 규정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밴드제어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밴드제어부와 접촉되어 상기 밴드제어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프레임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이탈방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접촉부가 상기 밴드제어부와 접촉된 상태로 위치하도록 상기 접촉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밴드제어부는, 상기 밴드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구현하기 위한 상기 외력을 상기 접촉부와의 접촉을 통해 인가받는 외력제공부, 상기 외력제공부와 연동되고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밴드와의 접촉이 해제되는 걸림부, 상기 외력제공부 및 상기 걸림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력제공부는, 상기 접촉부의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의 위치 변화에 의해 상기 접촉부와 접촉되는 위치가 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외력제공부는, 상기 접촉부가 상기 제3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접촉부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도록 접촉되는 부분이 라운드지거나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상방측벽으로부터 상기 하방측벽을 향한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1 외력전달부 및 상기 하방측벽으로부터 상기 상방측벽을 향한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2 외력전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외력전달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밴드제어부와 접촉하는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1 접촉부와 연결되되 상기 내부공간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1 노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외력전달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밴드제어부와 접촉하는 제2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와 연결되되 상기 내부공간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2 노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는,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위치 변화되어 상기 밴드제어부를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제1 외력전달부는, 상기 제3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상방측벽과 접촉되어 상기 제1 접촉부가 상기 내부공간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노출부와 상기 제1 접촉부의 경계에 돌출 형성되는 제1스톱퍼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외력전달부는, 상기 제3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하방측벽과 접촉되어 상기 제2 접촉부가 상기 내부공간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노출부와 상기 제2 접촉부의 경계에 돌출 형성되는 제2스톱퍼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바디부는, 상기 삽입공간과 상기 유출공간을 규정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밴드제어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밴드제어부와 접촉되어 상기 밴드제어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프레임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이탈방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가 상기 밴드제어부와 접촉된 상태로 위치하도록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되,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가 상기 후방측벽을 향한 위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제1 접촉부는, 상기 상방측벽으로부터 상기 하방측벽을 향한 방향을 향하여 상기 전방측벽과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은 제1 접촉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접촉부는, 상기 하방측벽으로부터 상기 상방측벽을 향한 방향을 향하여 상기 전방측벽과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은 제2 접촉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제1 접촉면 및 상기 제2 접촉면은, 상기 밴드제어부와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여 상기 밴드제어부의 회전 운동을 원활히 하도록 상기 밴드제어부와 접촉되는 부분이 라운드지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밴드제어부는, 상기 밴드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구현하기 위한 상기 외력을 상기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와의 접촉을 통해 인가받는 외력제공부, 상기 외력제공부와 연동되고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밴드와의 접촉이 해제되는 걸림부, 상기 외력제공부 및 상기 걸림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력제공부는,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 각각과 접촉되는 제1 외력제공부 및 제2 외력제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외력제공부는, 상기 하방측벽으로부터 상기 상방측벽을 향하여 상기 후방측벽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외력제공부는, 상기 상방측벽으로부터 상기 하방측벽을 향하여 상기 후방측벽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밴드제어부와 접촉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와 연결되되 상기 내부공간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노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노출부는,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위치 변화되도록 상기 제1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접촉부가 상기 밴드제어부를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1 방향을 향하여 상기 전방측벽과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은 접촉면을 구비하며, 상기 접촉면은, 상기 밴드제어부와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여 상기 밴드제어부의 회전 운동을 원활히 하도록 상기 밴드제어부와 접촉되는 부분이 라운드지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바디부는, 상기 삽입공간과 상기 유출공간을 규정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밴드제어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밴드제어부와 접촉되어 상기 밴드제어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프레임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이탈방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이탈방지부는, 사이에 상기 접촉부가 상기 밴드제어부와 접촉된 상태로 위치하도록 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되, 상기 접촉부가 상기 바디부의 후방측벽을 향하여 위치 이동되는 것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밴드제어부는, 상기 밴드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구현하기 위한 상기 외력을 상기 접촉부와의 접촉을 통해 인가받는 외력제공부, 상기 외력제공부와 연동되고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밴드와의 접촉이 해제되는 걸림부, 상기 외력제공부 및 상기 걸림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력제공부는, 상기 노출부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동 시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한 회전을 원활히 하도록 상기 제2 방향을 향하여 상기 후방측벽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위치 변화된 후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부의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3 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탄성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위치하며, 상기 바디부는, 상기 탄성부가 상기 내부공간 내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상기 탄성부와 접촉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탄성부가 상기 내부공간 내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상기 탄성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상기 바디부는, 상기 삽입공간과 상기 유출공간을 규정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밴드제어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밴드제어부와 접촉되어 상기 밴드제어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프레임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이탈방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밴드제어부는,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구현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상호 간의 위치 변화가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밴드제어부가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회전구현부가 통과하도록 상기 바디부 사이에 소정 크기의 통과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장치,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에 의하면, 종래에 비해 부품수가 절감되어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조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밴드의 슬라이딩을 원활히 할 수 있는 동시에 슬라이딩 조작을 손쉽게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소형화가 가능하여 적용 분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시계 등에 적용되는 경우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시계 등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밴드와 버클의 결합상태 배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밴드와 버클의 결합상태 정면도.
도 3은 도 2의 V-V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VI-VI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밴드와 버클의 배면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밴드와 버클의 전면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버클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버클본체를 형성하기 전의 전개도.
도 9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버클본체를 형성하기 전의 절곡 상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밴드와 버클의 결속상태 해제작동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또한, 도 13(a) 및 도 13(b)는 각각 도 1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및 도 1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밴드와 제어 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제어 장치와 피착물의 다양한 연결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제어 장치를 도시한 분해도.
도 17(a), 도 17(b) 및 도 17(c)는 각각 도 16에 도시된 제어 장치에 제공되는 바디부, 밴드제어부 및 탄성부의 제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8(a), 도 18(b) 및 도 18(c)는 각각 도 16에 도시된 제어 장치에 제공되는 바디부, 밴드제어부 및 탄성부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9는 도 16에 도시된 제어 장치에 제공되는 바디부에 밴드제어부가 장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0는 도 19에 도시된 상태에 탄성부가 삽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바디부로부터 밴드가 이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의 제1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3 및 도 2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의 제2 사용예 및 제3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5는 도 24를 참조로 설명한 밴드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6 내지 도 29는 밴드의 또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밴드의 다양한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바디부의 제1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바디부의 제2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바디부의 제3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밴드제어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6은 도 35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37은 도 36의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 38은 도 35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제어 장치를 도시한 분해도.
도 39는 도 38에 따른 제어 장치에 의해 밴드가 이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1은 도 40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42는 도 41의 DD선 및 EE선에 따른 단면도.
도 43은 도 40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제어 장치를 도시한 분해도.
도 44는 도 43에 따른 제어 장치에 의해 밴드가 이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5는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6은 도 45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47은 도 46의 FF선에 따른 단면도.
도 48은 도 45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제어 장치를 도시한 분해도.
도 49는 도 48에 따른 제어 장치에 의해 밴드가 이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밴드와 버클의 결합상태 배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밴드와 버클의 결합상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V-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VI-VI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밴드와 버클의 배면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밴드와 버클의 전면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버클의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버클장치는 밴드(100)와, 상기 밴드(100)의 슬라이드 단속을 제공하는 버클(200)을 포함한다.
밴드(100)는 몸체(110)의 배면에 다수의 걸림돌기(120)가 일정간격으로 나열 형성된다. 밴드(100)는 사출에 의해 소정의 폭과 길이의 몸체(110)를 형성하고, 배면에 엠보싱 돌기 형상으로 걸림돌기(120)가 성형된다.
이때, 몸체(110)는 길이 방향의 중앙에 피착물(P-2)에 고정실(P3)로 봉제되는 봉제홈(140)이 형성된 슬라이드돌기부(130)가 돌출 성형된 상태에서 상기 봉제홈(140)의 양측에 걸림돌기(120)가 일정간격으로 분할된 상태로 나열 성형된다.
버클(200)은 버클본체(210)에 밴드(100)를 순방향 이동 및 역방향 이동을 고정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판스프링(250)과 피착물(P-1)과 고정핀(P-4)이 연결되는 고정부(260)가 형성된 상태로 전, 후면부(201, 202) 및 양쪽 측면부(203, 204)에 의해 삽입구(220)와 배출구(230)를 형성한 사각함체로 형성된다.
버클본체(210)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판금에 의해 성형된 금속판 전개도를 프레스 성형에 의해 도 9와 같이 단계적인 벤딩(굽힘가공)에 의한 절곡으로 후면부(202)에 연이어서 양쪽 측면부(203, 204) 및 전면부(201)가 형성되고, 삽입구(220)와 배출구(230)가 형성되며, 삽입구(220) 측의 절곡에 의해 판스프링(250)과 배출구(230) 측의 절곡에 의해 피착물(P-1)에 연결하기 고정부(260)가 형성된다.
이러한 버클본체(210)의 절곡 성형에 의해 상기 밴드(100)의 슬라이드돌기부(130)가 수용되어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한 가이드슬롯(205)을 후면부(202)에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전면부(201) 내측에 절곡에 의해 판스프링(250)과 피착물(P-1)과 고정핀(P-2)로 연결을 위한 고정부(260)가 일체로 성형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260)는 내부 공간을 만들어 상기 피착물(P-1)을 고정시키는 고정핀(P-2)이 접혀질 수 있도록 하는 고정홈부(261)를 구비한다.
그리고, 고정부(260)는 중앙에 구멍을 형성하고 두개의 다리가 볼록하게 나오게 하여 고정핀(P-2)의 고정시 상기 고정핀(P-2)의 양측 다리가 중앙의 구멍으로 파고 들어가게 하여 견고한 고정이 되도록 한다.
판스프링(250)은 벤딩 성형에 의해 선단부가 밴드(100)의 몸체(210)에 분할된 걸림돌기(120)에 걸림되도록 절곡에 대한 반발력(탄성력)이 부여된다.
판스프링(250)은 버클본체(210)의 배면부(202)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전면부(201) 측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절곡되되, 단부면이 밴드(100)의 분할된 걸림돌기(120)에 걸림되는 양측의 걸림절곡단(251)과 걸림절곡단(251)의 후방 중앙에 탄성받침편(252)을 구비한다.
이때, 버클본체(210)의 내부에 수납된 판스프링(250)의 선단부가 밴드(100)의 몸체(110)에서 이격시키거나 접촉에 의해 걸림돌기(120)의 이동을 단속하는 버클스위치(300)가 상,하면부(203, 204)에 축 설치된다.
그리고, 고정부(260)는 버클본체(210)의 배출구(230)의 전면부(201) 일측에 내측으로 절곡하여 피착물(P-1)과 고정시키는 고정핀(P-2)을 내부 공간에서 접혀져 있도록 고정홈부(261)를 구비한다.
버클스위치(300)는 상기 버클본체(210)의 양쪽 측면부(203, 204)에 관통된 축공(206)에 조립되는 축핀(350)에 의해 중앙 양측에 형성된 힌지너클(340)로 축설되되, 누름부(330)가 밴드(100) 이동방향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판스프링(250)의 걸림절곡단(251)을 축 회전에 의해 강제적으로 들어올려서 걸림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버클스위치(300)는 선단부 양측에 밴드(100)의 양측 걸림돌기(120)에 걸림되는 한쌍의 걸림돌기단(310)이 절곡 돌출된다.
버클스위치(300)의 양측 절곡돌기단(310)은 절곡부(320)에 가압 접촉하는 판스프링(250)의 탄성받침편(252)에 의해 밴드(100)의 몸체(110)에 밀착하여 걸림돌기(120)에 의한 밴드(100)의 슬라이드가 단속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판스프링(250)은 중앙에 축핀(350)이 간섭되지 않고 통과하는 오목홈부(253)로 절곡되고, 버클스위치(300)는 힌지너클(340)이 오목홈부(253)의 상측에 배치된 상태로 축핀(350)에 의해 힌지 결합으로 축 결합되고, 판스프링(250)의 탄성받침편(252)에 의해 눌려 버튼스위치(300)의 누름부(330)가 삽입구(220)의 하단면에 걸림된 상태로 돌출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판스프링(250)의 걸림절곡단(251)과 버클스위치(300)의 절곡돌기단(310)에 의해 밴드(100)의 걸림돌기(120)를 동시에 걸림하여 단속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하여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동 설명에 있어, 밴드(100)을 조이는 방향을 순방향, 밴드(100)을 푸는 방향을 역방향이라 설명한다.
밴드(100)를 조일 경우에는 버클(200)의 버클본체(210)의 배출구(230) 쪽으로 당긴다. 이러한 경우에는 밴드(100)의 당김력이 판스프링(250)의 선단부에 형성된 양측의 걸림절곡단(251)과 판스프링(250)의 탄성받침편(252)에 의해 가압되었던 버튼스위치(300)의 양측의 절곡돌기단(310)의 가압력을 분할된 걸림돌기(120)가 이기면서 자유롭게 슬라이드 된다.
이때, 밴드(100)는 피착물(P-2)에 중앙의 봉제홈(140)에 의해 봉제됨으로서 봉제선의 노출이 최대한 차단되고, 슬라이드돌기부(130)가 버클본체(210)의 배면부(202)에 형성된 가이드슬롯(205)에 의해 가이드됨과 동시에 양측 분할된 배면부(202)가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드 된다.
물론, 버클본체(210)의 고정부(260)에 의해 버클본체(210)가 피착물(P-1)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공된다.
그리고, 밴드(100)를 역방향으로 당기면 판스프링(250)의 걸림절곡단(251)과 버튼스위치(300)의 절곡돌기단(310)이 경사도에 의해 파고드는 힘이 발생됨으로써, 밴드(100)의 걸림돌기(120)가 이탈이 억제되어 밴드(100)의 슬라이드가 저지된다.
따라서, 밴드(100)을 풀 경우에는 버클스위치(300)의 누름부(330)를 눌러 축핀(350)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이러한 버클스위치(300)의 회전에 의해 절곡돌기단(310)이 들리면서 절곡부(320)가 판스프링(250)의 탄성받침편(252)을 밀고 회전하여 걸림절곡단(251)을 동시에 들어 밴드(100)의 걸림돌기(120)의 높이를 이탈하여 밴드(100)의 역방향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제공되어 풀림이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예에 있어서는 버클(200)을 구성하는 버클본체(210)에 일체로 벤딩 성형으로 형성되는 판스프링(250)은 버클본체(210)와 분리된 분리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이 설명될 것이며,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기재하였음을 밝혀둔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13(a) 및 도 13(b)는 각각 도 1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및 도 12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밴드와 제어 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제어 장치와 피착물의 다양한 연결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1000)는 밴드(1100)와 제어 장치(1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1200)는 밴드(1100)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반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으로의 상기 밴드(1100)의 이동은 선택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일종의 버클일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1200)는 바디부(1210), 밴드제어부(1220) 및 탄성부(12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개략적으로 상기 바디부(1210)는 상기 제어 장치(1200)의 외관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밴드(1100)의 일측단이 삽입되는 삽입공간(S1)과 상기 삽입공간(S1)에 삽입된 상기 밴드(1100)의 일측단이 유출되는 유출공간(S2)을 구비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밴드제어부(1220)는 회전축(R)을 기준으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위치 변화가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부(121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1100)와 접촉된 채 상기 밴드(1100)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되, 상기 제2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1100)와 비접촉된 채 상기 밴드(1100)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탄성부(1230)는 상기 밴드제어부(1220)가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되는 경우 탄성 변형되고,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밴드제어부(1220)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원시키도록 상기 바디부(1210)의 내부공간(S3)에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위치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여기서, 앞서 언급한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상기 제1 방향은 밴드(1100)가 바디부(1210)의 내부공간(S3)에 삽입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방향은 내부공간(S3)에 위치하는 상기 밴드(1100)가 내부공간(S3)의 외부로 유출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도 14 참조).
그리고, 앞서 언급한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면, 상기 제1 위치는 도 13(a)에 도시된 위치로 상기 밴드(1100)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은 자유로우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은 불가능한 위치일 수 있으며, 제2 위치는 도 21에 도시된 위치로 상기 밴드(1100)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이 자유롭게 되는 위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성요소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바디부(1210)는 상기 삽입공간(S1)과 상기 유출공간(S2)을 규정하는 프레임부(1212), 상기 프레임부(1212)로부터 연장되어 피착물과 연결되는 피착물연결부(1214) 및 상기 밴드제어부(1220)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밴드제어부(1220)와 접촉되어 상기 밴드제어부(122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프레임부(1212)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이탈방지부(1216)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피착물연결부(1214)부터 설명하면, 상기 피착물연결부(1214)는 상기 프레임부(1212)를 기준으로 유출공간(S2) 측에 위치하여 프레임부(1212)를 피착물과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요소로, 제1 전방측벽(1214a), 제1 후방측벽(1214b), 제1 상방측벽(1214c) 및 제1 하방측벽(1214d)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방측벽(1214a), 상기 제1 후방측벽(1214b), 상기 제1 상방측벽(1214c) 및 상기 제1 하방측벽(1214d)은 벤딩 성형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전방측벽(1214a)과 상기 제1 후방측벽(1214b)에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연결공간(H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방측벽(1214a) 및 상기 제1 후방측벽(1214b)에 형성되는 연결공간(H1)은 피착물이 상기 제1 전방측벽(1214a) 및 상기 제1 후방측벽(1214b)을 매개로 하여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방측벽(1214a)에 형성된 연결공간(H1)은 피착물연결부(1214)와 피착물을 서로 연결하는 고정핀(1300)의 첨예부(1310)가 상기 피착물을 관통한 후 삽입되는 공간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후방측벽(1214b)에 형성된 연결공간(H1)은 상기 제1 전방측벽(1214a)에 형성된 연결공간(H)을 통과한 첨예부(1310)를 코킹하기 위한 별도의 코킹지그가 삽입되는 공간일 수 있다(도 14(b) 참조).
여기서, 상기 제1 전방측벽(1214a) 및 상기 제1 후방측벽(1214b)은 상기 코킹지그가 삽입되는 공간을 확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변형된 피착물 연결 방식을 구현하는 수단(도 15(b) 및 도 15(c) 참조)이 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고정핀(1300)이 피착물연결부(1214)에 장착되면, 상기 제1 전방측벽(1214a)과 상기 제1 후방측벽(1214b) 사이의 공간은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여 폐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전방측벽(1214a)에 형성된 연결공간(H1)의 수는 고정핀(1300)의 첨예부(1310)의 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전방측벽(1214a)에 형성된 연결공간(H1) 및 상기 제1 전방측벽(1214b)에 형성된 연결공간(H)의 형상은 피착물연결부(1214)와 피착물이 고정핀(1300) 이외의 방식으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달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b)를 참조하면, 제1 전방측벽(1214a)에 형성된 연결공간(H1) 및 제1 후방측벽(1214b)에 형성된 연결공간(H1)은 대략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단일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공간(H1)에 피착물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피착물연결부(1214)와 피착물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15(c)를 참조하면, 도 15(a) 및 도 15(b)와 달리 상기 제1 전방측벽(1214a) 및 상기 제1 후방측벽(1214b)에는 연결공간(H1)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기 제1 상방측벽(1214c) 및 상기 제1 하방측벽(1214d)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연결공간(H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피착물연결부(1214)와 피착물과의 연결이 상기 제1 상방측벽(1214c)과 상기 제1 하방측벽(1214d)에서 구현되는 것으로, 클립(C) 이나 핀(C) 등으로 연결이 구현되는 경우일 수 있다.
결국, 상기 제1 상방측벽(1214c) 및 상기 제1 하방측벽(1214d)에 형성되는 연결공간(H2)은 피착물이 상기 제1 상방측벽(1214c) 및 상기 제1 하방측벽(1214d)을 매개로 하여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제1 전방측벽(1214a)과 제1 후방측벽(1214b)에 형성될 수 있는 연결공간( H1) 또는 제1 상방측벽(1214c)과 제1 하방측벽(1214d)에 형성될 수 있는 연결공간(H2)을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이 아닌 함입되어 형성되는 일종의 홈으로 구현되어도 무방함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 피착물연결부(1214)는 피착물과의 연결 시 상기 피착물이 상기 프레임부(1212)부보다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프레임부(1212)를 기준으로 후방측에 위치(도 14(b) 참조)할 수 있으며, 이는 벤딩 성형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피착물연결부(1214)가 상기 프레임부(1212)를 기준으로 후방측에 위치하여 앞서 언급한 고정핀(1300)이 상기 프레임부(1212)와 동일한 평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으며, 설령, 상기 프레임부(1212)보다 돌출되더라도 돌출되는 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부(1212)는 내부공간(S3)을 규정하는 제2 전방측벽(1212a), 제2 후방측벽(1212b), 제2 상방측벽(1212c), 제2 하방측벽(1212d) 및 상기 제2 후방측벽(1212b)과의 관계에 의해 상기 유출공간(S2)이 규정되도록 하는 유출공간규정측벽(1212e)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출공간규정측벽(1212e)은 상기 피착물연결부(1214)의 내측벽일 수 있으나, 상기 피착물연결부(1214)가 생략되는 경우, 즉, 피착물이 상기 프레임부(1212)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에는 제2 전방측벽(1212a) 또는 제2 후방측벽(1212b)으로부터 벤딩되어 형성되는 측벽이 될 수도 있다.
밴드제어부(1220)는 회전축(R)인 제2 상방측벽(1212c) 및 제2 하방측벽(1212d)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관통핀(P)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밴드(1100)의 제2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선택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구성요소로, 일종의 버클스위치일 수 있다.
상기 밴드제어부(1220)는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탄성부(1230)의 탄성력에 의해 제1 위치에 위치할 수 있으며,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상기 탄성부(1230)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1230)는 바디부(1210)의 내부공간(S3) 내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상기 바디부(1210), 즉, 유출공간규정측벽(1212e)에 접촉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회전축(R)인 관통핀(P)에 접촉되거나 상기 밴드제어부(1220)에 접촉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탄성부(1230)는 상기 내부공간(S3) 내에서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밴드(1100)는 전방면(1112) 및 후방면(1114)을 구비하며,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몸체부(1110), 상기 몸체부(1110)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1110)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밴드제어부(1220)가 걸리도록 상기 전방면(1112)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피걸림부(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1110)는 상기 바디부(1210)에 의해 제공되는 내부공간(S1)에 삽입되는 한 쌍의 날개부(1116) 및 상기 한 쌍의 날개부(1116)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한 쌍의 날개부(1116)를 지지하되 길이 방향을 따라 후방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바디부(1210)의 제2 후방측벽(1212b) 사이로 슬라이딩되는 지지부(1118)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걸림부(1120)는 상기 한 쌍의 날개부(1116) 각각에 상기 지지부(1118)를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걸림부(1120)는 상기 몸체부(1110)의 전방면(1112)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밴드제어부(1220)가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밴드제어부(1220)의 끝단은 상기 피걸림부(1120)에 걸린 상태가 되어 상기 몸체부(1110)의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은 차단된다.
한편, 상기 몸체부(1110)가 상기 내부공간(S3)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날개부(1116)는 제2 후방측벽(1212b)의 내면과 접촉된 채 슬라이딩 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1118)는 상기 제2 후방측벽(1212b) 사이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제어 장치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1000)에 제공되는 제어 장치(1200)는 바디부(1210), 밴드제어부(1220) 및 탄성부(1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밴드제어부(1220)는 회전축(R)인 관통핀(P)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구현부(1222)를 구비하여 제1 위치와 제2 위치 상호 간의 위치 변화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밴드제어부(1220)는 밴드(1100)의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구현하기 위한 외력을 인가받는 외력제공부(1224), 상기 외력제공부(1224)와 연동되고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밴드(1100)와의 접촉이 해제되는 걸림부(1226), 상기 외력제공부(1224), 상기 걸림부(1226) 및 상기 회전구현부(1222)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1228)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구현부(1222)는 상기 연결부(1228)로부터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며 연장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상기 내부공간(S3) 내에서 상기 회전구현부(1222)가 차지하는 비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회전구현부(1222)는 상기 연결부(1228)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조 방식에 따라 절곡에 의한 방식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탄성부(1230)는 제2 전방측벽(1212a)에 안착되는 안착부(1232), 상기 안착부(1232)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내부공간(S3) 내에서 유출공간규정측벽(1212e)과 접촉되어 제1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부(1234) 및 상기 밴드제어부(1220)의 위치 변화에 의해 탄성 변형되도록 상기 안착부(1234)로부터 연장되는 탄성변형부(123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한부(1234) 및 상기 탄성변형부(1236)는 상기 안착부(1232)로부터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안착부(1232)와 상기 탄성변형부(1236)의 경계는 상기 회전축(R)인 관통핀(P)에 접촉되어 내부공간(S3) 내에서 제2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더불어 도 18 내지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변형부(1236)가 상기 걸림부(1226)에 접촉되어 상기 탄성부(1230)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제한될 수도 있다.
도 17(a), 도 17(b) 및 도 17(c)는 각각 도 16에 도시된 제어 장치에 제공되는 바디부, 밴드제어부 및 탄성부의 제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8(a), 도 18(b) 및 도 18(c)는 각각 도 16에 도시된 제어 장치에 제공되는 바디부, 밴드제어부 및 탄성부의 제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우선, 도 17(a)를 참조하면, 판금에 의해 성형된 금속판(PL1)을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벤딩 공정을 통해 제2 전방측벽(1212a), 한 쌍의 제2 후방측벽(1212b), 제2 상방측벽(1212c) 및 제2 하방측벽(1212d)을 구비하는 바디부(1210)를 형성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바디부(1210)와 연결되는 피착물연결부(1214) 및 밴드제어부(1220)가 상기 제1 위치 또는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밴드제어부(1220)와 접촉되어 상기 밴드제어부(122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탈방지부(1216)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1216)는 밴드제어부(1220)가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밴드제어부(1220)와 접촉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밴드제어부(1220)가 제1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밴드(1100)에 인가될 수 있는 제2 방향의 외력에 의한 지지하중을 극대화하여 회전축(R) 등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1216)는 바디부(1210)에 상기 밴드제어부(1220)를 장착하는 경우 상기 밴드제어부(1220)의 장착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7(b)를 참조하면, 판금에 의해 성형된 금속판(PL2)을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벤딩 공정을 통해 밴드(1100)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구현하기 위한 상기 외력을 인가받는 외력제공부(1224), 상기 외력제공부(1224)와 연동되고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밴드(1000)와의 접촉이 해제되는 걸림부(1226), 상기 외력제공부(1224), 상기 걸림부(1226) 및 상기 회전구현부(1222)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1228)를 구비하는 밴드제어부(1220)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1228)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상기 외력제공부(1224)로부터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다시 말해서, 도면부호 1221로 표시된 부분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면부호 1221로 표시된 부분이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 인하여, 상기 밴드제어부(1220)가 회전축(R)을 기준으로 위치 변화하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밴드(1100)의 피걸림부(1120)와의 접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부(1228)가 외력제공부(1224)로부터 라운드지게 벤딩되어 형성되는 경우, 도면부호 1221로 표시된 부분의 끝단과 회전축(R)까지의 거리는 짧아지게 되며, 이 경우, 상기 밴드제어부(1220)의 위치 변화시 상기 끝단의 회전 반경은 짧아지게 된다.
따라서, 바디부(1200)의 소형화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연결부(1228)와 밴드(1100)의 간섭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7(c)를 참조하면, 판금에 의해 성형된 금속판(PL3)을 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벤딩 공정을 통해 제2 전방측벽(1212a)에 안착되는 안착부(1232), 상기 안착부(1232)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내부공간(S3) 내에서 상기 유출공간규정측벽(1212e)과 접촉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부(1234, 도 20 참조) 및 밴드제어부(1220)의 위치 변화에 의해 탄성 변형되도록 상기 안착부(1232)로부터 연장되는 탄성변형부(1236)를 구비하는 탄성부(1230)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변형부(1236)는 상기 안착부(1232)로부터 라운드지게 벤딩되어 대략 S자 형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밴드제어부(1220)의 위치 변화에 따른 반복적인 탄성 변형 시 하중을 분산시킴으로써 복원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탄성변형부(1236)는 반드시 라운드지게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직선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안착부(1232)와 탄성변형부(1236)의 경계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R)인 관통핀(P)과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탄성부(1230)의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부(1230)는 탄성변형부(1236)가 서로 분리되어 한 쌍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도 19는 도 16에 도시된 제어 장치에 제공되는 바디부에 밴드제어부가 장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0는 도 19에 도시된 상태에 탄성부가 삽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도 17(a) 및 도 18(a)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바디부(1210)의 내부공간(S3)에 도 17(b) 및 도 18(b)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밴드제어부(1220)를 삽입한다.
이때, 상기 밴드제어부(1220)를 삽입하는 방향은 외부에서 삽입공간(S1)을 향한 방향일 수 있으며, 상기 밴드제어부(1220)의 회전구현부(1222)는 이탈방지부(1216)와 제2 상방측벽(1212c) 사이에 형성된 소정 크기의 통과공간(S4) 및 상기 이탈방지부(1216)와 제2 하방측벽(1212d) 사이에 형성된 소정 크기의 통과공간(S4)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통과공간(S4)의 폭은 상기 회전구현부(1222)의 두께에 대응되거나 다소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통과공간(S4)으로 인해 바디부(1210)의 두께, 즉, 제2 전방측벽(1212a)과 제2 후방측벽(1212b)의 이격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만약 상기 통과공간(S4)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회전구현부(1222)는 이탈방지부(1216)와 제2 후방측벽(1212b) 사이를 통해 내부공간(S3)에 삽입되어야 하므로, 그만큼 상기 바디부(1210)의 두께는 두꺼워질 수 밖에 없게 된다.
삽입공간(S1)을 통해 내부공간(S3)에 밴드제어부(1220)가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면, 관통핀(P)을 바디부(1210)에 형성된 홀(H3)과 회전구현부(1222)의 삽입공(H4)을 관통시켜 상기 회전구현부(1222)가 회전축(R)인 관통핀(P)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관통핀(P)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개로 구현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며, 이는 당업자의 의도에 맞게 선택 가능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바디부(1210)에 밴드제어부(1220)의 장착이 완료되면, 도 17(c) 및 도 18(c)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탄성부(1230)를 삽입한다.
이때, 밴드제어부(1220)를 제2 위치 상태로 한 뒤 상기 탄성부(1230)를 삽입할 수 있으며, 삽입하는 방향은 외부에서 유출공간(S2)을 향한 방향일 수 있다.
상기 탄성부(1230)를 상기 유출공간(S2)을 통해 삽입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안착부(1232)는 제2 전방측벽(1212a)에 안착되게 되며, 회전축(R)인 관통핀(P)에 안착부(1232)로부터 라운드지게 벤딩된 탄성변형부(1236) 또는 상기 안착부(1232)와 탄성변형부(1236)의 경계가 접촉되어 더 이상의 삽입이 제한되게 된다.
한편, 제한부(1234)는 내부공간(S3) 내에서 유출공간규정측벽(1212e)과 접촉되어 제1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제한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한부(1234)는 안착부(1232)의 폭보다 작게 대략 중앙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밴드제어부(112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걸림부(1226)의 끝단 또는 탄성변형부(1230)의 끝단과의 간섭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한부(1234)는 상기 안착부(1232)를 기준으로 수직이 되도록 벤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사지게 되도록 벤딩되어도 무방하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바디부로부터 밴드가 이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우선, 도 13(a)를 참조하여, 밴드(1100)가 제1 방향으로 이동되어 바디부(1210)의 내부공간(S3)에 삽입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밴드제어부(1220)는 탄성부(1230)의 탄성변형부(1236)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되어 제1 위치 상태에 위치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밴드(1100)를 삽입공간(S1)으로부터 유출공간(S2)을 향한 외력을 인가하면, 밴드(1100)의 몸체부(1110)에 돌출 형성되는 피걸림부(1120)는 탄성부(1230)의 걸림부(1236)에 접촉되나 상기 걸림부(1236)를 제2 위치를 향한 방향으로 다소 이동시키면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다음으로 도 21을 참조하여, 밴드(1100)가 제2 방향으로 이동되어 바디부(1210)의 내부공간(S3)으로부터 외부로 유출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밴드제어부(1220)가 제1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밴드(1100)를 유출공간(S2)으로부터 삽입공간(S3)을 향한 외력을 인가하더라도, 피걸림부(1120)가 밴드제어부(1220)의 걸림부(1226)에 걸린 상태이므로, 상기 밴드(1100)의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은 구현되지 못한다.
이때,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제어부(1220)의 외력인가부(1224)에 외력을 인가하면, 상기 밴드제어부(1220)는 회전축(R)인 관통핀(P)을 기준으로 탄성변형부(1230)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회전되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되게 된다.상기 밴드제어부(1220)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걸림부(1226)는 피걸림부(1120)와 비접촉 상태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밴드(1100)는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이 구현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밴드제어부(1220)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밴드제어부(1220)와 상기 탄성부(1230)의 접촉은 걸림부(1226)에서만 구현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상기 밴드제어부(1220)의 위치 변화에 따른 상기 탄성부(1230)의 탄성 변형을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라운드진 탄성변형부(1230)로 인해,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반복적인 탄성 변형 시 발생될 수 있는 복원력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한편, 탄성부(1230)의 제한부(1234)는 안착부(1232)의 폭보다 작게 대략 중앙 부분에 형성되어 밴드제어부(1220)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걸림부(1226)의 끝단 또는 탄성변형부(1230)의 끝단와의 간섭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의 제1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도 1 내지 도 21을 참조로 설명한 밴드 조절 장치(1000)가 바지에 적용되어 있다.
상기 바지의 허리단의 일측단에는 제어 장치(1200)가 부착될 수 있으며, 타측단에는 밴드(1100)가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지의 허리단의 일측단은 고정핀(1300)에 의해 제어장치(1200)의 피착물연결부(1214)에 연결될 수 있으며, 타측단은 밴드(1100)의 지지부(1118)의 일면과 접착제에 의한 접착 방식 또는 실 등에 의한 봉제 방식 등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타측단과 상기 밴드(1100)의 한 쌍의 날개부(1116) 사이는 상기 지지부(1118)의 두께만큼의 이격공간(S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격공간(S5)은 상기 밴드(1100)가 상기 제어 장치(1200)의 바디부(1210)의 내부공간(S3)으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바디부(1210)의 제2 후방측벽(1212b)이 삽입되는 공간일 수 있다.
도 23 및 도 2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의 제2 사용예 및 제3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도 1 내지 도 21을 참조로 설명한 밴드 조절 장치(1000)가 시계에 적용되어 있다.
시계줄의 일측단에는 제어 장치(1200)가 연결될 수 있으며, 타측단에는 밴드(1100)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도 23의 경우는 시계줄의 타측단이 밴드(1100)의 일측과 연결되는 경우이며, 도 24의 경우는 도 22를 참조로 설명한 방식으로 밴드(1100)와 시계줄의 타측단이 연결되는 경우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밴드(1100)의 지지부(1118)와 연결된 시계줄의 일부 사이에는 상기 지지부(1118)의 두께 만큼의 이격공간(S5)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격공간(S5)은 상기 밴드(1100)가 상기 제어 장치(1200)의 바디부(1210)의 내부공간(S3)으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바디부(1210)의 제2 후방측벽(1212b)이 삽입되는 공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밴드(1100)와 상기 밴드(1100)와 연결된 시계줄은 모듈화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밴드(1100)의 지지부(1118)와 연결된 시계줄은 밴드(1100)의 일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다시 말해서, 상기 한 쌍의 날개부(1116)와 이격된 채 상기 지지부(1118)와 연결되어 상기 바디부(1210)의 제2 후방측벽(1212b)이 삽입되는 이격공간(S5)이 제공되도록 하는 몸체연결부라 정의될 수 있는 것이다.
도 25는 도 24를 참조로 설명한 밴드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25(a)를 참조하면, 밴드(1100)는 상기 한 쌍의 날개부(1116)와 이격된 채 몸체연결부(1130)의 전방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이동차단부(1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차단부(1132)는 한 쌍의 날개부(1116)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밴드제어부(1220)가 피걸림부(1120) 모두와 걸림이 해제되는 경우, 바디부(1210)의 제2 후방측벽(1212b)에 걸리게 되어 상기 한 쌍의 날개부(1116)의 더 이상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일시적으로 제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시계를 손목에서 푸는 경우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낙하에 의한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 2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시계를 손목에서 분리하려고 하는 경우, 밴드제어부(1220)에 외력을 인가한 후 밴드(1100)을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 경우, 밴드제어부(1220)의 걸림부(1226)가 피걸림부(1120) 모두와 걸림이 해제되더라도 몸체연결부(1130)로부터 돌출되는 이동차단부(1132)가 바디부(1210)의 제2 후방측벽(1212b)에 걸리게 되어 밴드(1100)의 바디부(1100)로부터의 완전한 분리가 일시적으로 차단되게 된다.
따라서, 갑작스런 시계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도 25(b)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자는 외력으로 이동차단부(1132)을 위치 변화시켜 안정적으로 시계를 손목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도 26 내지 도 29는 밴드의 또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26을 참조하면, 밴드(1100) 및 도 1 내지 도 21을 참조로 설명한 제어 장치(1200)가 시계에 적용되어 있다.
시계줄의 일측단에는 제어 장치(1200)가 연결될 수 있으며, 타측단에는 밴드(1100)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밴드(1100)의 몸체부(1110)는 지지부(1118)로부터 상기 한 쌍의 날개부(1116)와 이격된 채 상기 한 쌍의 날개부(1116)와 나란하게 연장되어 바디부(1210)의 제2 후방측벽(1212b)이 삽입되는 이격공간(S5)이 제공되도록 하는 한 쌍의 보조 날개부(1119)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격공간(S5)은 상기 밴드(1100)가 상기 제어 장치(1200)의 바디부(1210)의 내부공간(S3)으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바디부(1210)의 제2 후방측벽(1212b)이 삽입되는 공간일 수 있다.도 27을 참조하면, 도 26과 비교하여 한 쌍의 보조 날개부(1119)가 한 쌍의 날개부(1116)보다 돌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상기 밴드(1100)가 상기 제어 장치(1200)의 바디부(1210)의 내부공간(S3)으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밴드(1100)를 가이드할 수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도 27과 비교하여 지지부(1118)가 한 쌍의 날개부(1116)보다 돌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상기 밴드(1100)가 상기 제어 장치(1200)의 바디부(1210)의 내부공간(S3)으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밴드(1100)를 가이드할 수 있다.도 29를 참조하면, 밴드(1100)는 상기 한 쌍의 날개부(1116)와 이격된 채 상기 한 쌍의 보조 날개부(1119)의 전방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이동차단부(1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차단부(1132)는 상기 한 쌍의 날개부(1116)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밴드제어부(1220)의 걸림부(1226)가 상기 피걸림부(1120) 모두와 걸림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바디부(1210)의 제2 후방측벽(1212b)에 걸리게 되어 상기 한 쌍의 날개부(1116)의 더 이상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일시적으로 제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효과는 도 25를 참조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밴드의 다양한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30(a)를 참조하면, 밴드(1100a)의 지지부(1118a)는 몸체부(1110a)의 전방면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함입되고 후방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30(b)를 참조하면, 밴드(1100b)의 피걸림부(1120b)는 상기 몸체부(1110b)의 전방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30(c)를 참조하면, 밴드(1100c)의 피걸림부(1120c)는 상기 몸체부(1110c)의 전방면으로부터 함입되어 형성된 오목부(1120c-1)와 상기 오목부(1120c-1)와 인접하고 돌출되어 형성되는 볼록부(1120c-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걸림부(1226)가 피걸림부(1120c)에 걸리는 면적을 크게 하여 지지하중 및 사용수명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30(d)를 참조하면, 밴드(1100d)는 몸체부(1110d)의 후방면에 장착되어 제2 후방측벽(1212b)과의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박막부(11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박막부(1111)로 인해 밴드(1100d)의 슬라이딩을 원활히 할 수 있고, 지지하중 및 사용수명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부(1110d)는 고무 등의 수지로 사출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박막부(1111)는 상기 몸체부(1110d)의 재질과 다른 재질일 수 있다.
상기 박막부(1111)의 재질은 재질의 성능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박막부(1111)는 상기 몸체부(1110d)와 이중 사출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박막부(1111)의 다수의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몸체부(1110d)의 접합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몸체부(1110d)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바디부의 제1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바디부(1200a)는 플라스틱계의 수지를 이용한 사출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구성 및 효과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바디부의 제2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바디부(1200b)는 도 1 내지 도 21을 참조로 설명한 바디부(1200)의 피착물연결부(1214)가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피착물과 바디부(1220b)의 연결은 제2 전방측벽(1212a)에 형성된 관통공(H5)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전방측벽(1212a)은 피착물과의 연결을 위한 피착물고정부인 고정핀(1300)의 첨예부(1312)가 통과하도록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공(H5)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전방측벽(1212a)에 형성된 관통공(H5)을 통과한 첨예부(1312)를 코킹하기 위한 별도의 코킹지그가 삽입되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밴딩제어부(1220)의 걸림부(1226)는 복수로 구비되되, 상기 상기 피착물고정부가 간섭되지 않도록 서로 이격되어 간섭방지공간(S6)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1230)의 안착부(1232)의 대략 중앙부에도 절개되어 상기 코킹지그 삽입을 위한 공간(S7)을 확보할 수 있다.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바디부의 제3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도 1 내지 도 21을 참조로 설명한 바디부(1210)와 밴드제어부(1220)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관통핀(P)이 생략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핀(P)의 기능을 제2 상방측벽(1212c)의 소정 영역 및 제2 하방측벽(1212d)의 소정 영역이 대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밴드제어부(1220)가 회전하기 위한 회전축(R)은 상기 바디부(1210)의 소정 영역, 즉, 제2 상방측벽(1212c)의 소정 영역 및 제2 하방측벽(1212d)의 소정 영역이 절개된 후 절곡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우선, 제2 상방측벽(1212c)의 소정 영역 및 제2 하방측벽(1212d)의 소정 영역이 절개된 상태로 바디부(1210)의 제조가 완료되면, 밴드제어부(1220)를 내부공간(S3)에 삽입하여 소정의 위치에 위치시킨 후 절곡에 의해 밴드제어부(1220)의 회전구현부(1222)의 삽입공(H4)에 삽입시킨다.
절곡에 의해 회전축(R)은 구현되게 되며, 이로 인해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한편, 회전구현부(122)에 형성된 삽입공(H4)은 상기 회전축(R)의 구현을 위해 상기 바디부(1210)의 소정 영역이 절개된 후 절곡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부(1228)와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상기 연결부(1228)에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밴드제어부(1220)의 두께만큼 바디부(1210)가 소형화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밴드제어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4(a) 및 도 34(b)는 각각 회전축(R)이 도 33 을 참조로 설명한 방법 및 도 1 내지 도 21을 참조로 설명한 방법으로 구현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밴드제어부(1220)의 회전구현부(1226)는 회전축(R)을 향한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회전축(R)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제2 방향을 향한 일측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앞선 실시예에서는 밴드제어부(1220)를 바디부(1210)의 내부공간(S3)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시킨 후 관통핀(P)을 삽입하거나 절곡시키는 공정을 진행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구현부(1226)의 구성으로 인해 공정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 34(a)의 경우 바디부(1210)의 제조가 완료되면, 관통핀(P)을 홀(H3)에 삽입한 이후에 밴드제어부(1220)를 바디부(1210)의 내부공간(S3)에 삽입할 수 있으며, 이는 회전구현부(1226)의 개방된 영역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34(b)의 경우 바디부(1210)의 제조가 완료되면, 미리 절곡시켜 회전축(R)을 구현하고 난 뒤, 밴드제어부(1220)를 바디부(1210)의 내부공간(S3)에 삽입할 수 있으며, 이 또한, 회전구현부(1226)의 개방된 영역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구현부(1226)의 개방된 영역에도 불구하고, 상기 밴드제어부(1220)는 탄성부(1230)로 인해 회전축(R)으로부터의 이탈은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은 제조 단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6은 도 35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7은 도 36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38은 도 35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제어 장치를 도시한 분해도이며, 도 39는 도 38에 따른 제어 장치에 의해 밴드가 이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5 내지 도 39에 따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2000)는 도 1 내지 도 34를 참조로 설명한 밴드 조절 장치와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도 1 내지 도 34를 참조로 설명한 밴드 조절 장치의 모든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35 내지 도 3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2000)는, 밴드(2100)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은 자유로우나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은 선택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장치로, 바디부(2200), 밴드제어부(2220), 탄성부(2230) 및 외력전달부(2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2200)는 상기 밴드(2100)의 일측단이 삽입되는 삽입공간(S1)과 상기 삽입공간(S1)에 삽입된 상기 밴드(2100)의 일측단이 유출되는 유출공간(S2)을 구비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밴드제어부(2220)는 상기 바디부(220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바디부(2200)의 내부공간(S3)에 위치하여 회전축(R)을 기준으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위치 변화가 가능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2100)와 접촉된 채 상기 밴드(2100)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되, 상기 제2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2100)와 비접촉된 채 상기 밴드(2100)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2230)는 상기 밴드제어부(2220)가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되는 경우 탄성 변형되고,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밴드제어부(2220)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원시키도록 상기 내부공간(S3)에 위치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외력전달부(2240)는 상기 밴드제어부(2220)와 접촉된 상태로 제3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밴드제어부(2220)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밴드제어부(2220)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시키도록 상기 밴드제어부(2220)와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제3 위치에서 제4 위치로 위치 변화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2000)는, 는 도 1 내지 도 34를 참조로 설명한 밴드 조절 장치와 비교할 때 외력전달부(2240)가 더 포함된 장치일 수 있으며, 상기 외력전달부(2240)로 인해 밴드제어부(2220) 등의 구성이 다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외력전달부(2240)는 밴드(2100)의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구현하기 위한 일종의 스위치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외력을 밴드제어부(222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외력전달부(2240)는 상기 밴드제어부(2220)를 회전축(R)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변화시키도록 직선 운동을 통해 제3 위치에서 제4 위치로 위치변화 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위치는 도 37에 도시된 위치일 수 있고, 상기 제4 위치는 도 39에 도시된 위치일 수 있다.
상기 외력전달부(2240)의 제3 위치 및 제4 위치 상호 간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기 위해, 바디부(2200)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이동공(H6)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공(H6)은 상기 바디부(2200)의 상방측벽(2212c) 및 하방측벽(2212d)에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방향을 향해 하방측벽(2212d) 측으로 경사진 직선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이동공(H6)은 반드시 상기 제2 방향을 향해 하방측벽(2212d) 측으로 경사진 직선 형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라운드지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외력전달부(2240)는 상기 상방측벽(2212c) 및 상기 하방측벽(2212d)을 관통하여 형성된상기 이동공(H6)을 따라 상기 바디부(2200) 상에서 위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접촉부(2242) 및 노출부(224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2242)는 상기 내부공간(S3)에 위치하여 밴드제어부(2220)와 접촉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상기 노출부(2244)는 사용자에 의한 외력을 제공받도록 상기 접촉부(2242)와 연결되되 상기 내부공간(S3)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촉부(2242)는 일종의 가느다란 봉일 수 있으며, 상기 노출부(2244) 및 상기 접촉부(2242)는 상기 상방측벽(2212c) 및 상기 하방측벽(2212d) 상에서 상기 이동공(H6)을 따라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면서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위치변화 될 수 있다.
상기 노출부(2244) 및 상기 접촉부(2242)가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위치 변화되면, 상기 접촉부(2242)는 상기 밴드제어부(2220)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 채 상기 밴드제어부(2220)를 상기 회전축(R)을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촉부(2242)는 이탈방지부(2216)에 의해 제공되는 수용공간(S8) 내에서 상기 밴드제어부(2220)와 접촉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접촉 위치는 상기 밴드제어부(2220)의 외력제공부(2224)일 수 있다.
상기 밴드제어부(2220)는 상기 밴드(2100)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구현하기 위한 상기 외력을 상기 접촉부(2242)와의 접촉을 통해 인가받는 외력제공부(2224), 상기 외력제공부(2224)와 연동되고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밴드(2100)와의 접촉이 해제되는 걸림부(2226), 상기 외력제공부(2224) 및 상기 걸림부(2226)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2228)를 구비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접촉부(2242)는 상기 외력제공부(2224)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외력제공부(2224)는 상기 접촉부(2242)의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의 위치 변화에 의해 상기 접촉부(2242)와 접촉되는 위치가 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력제공부(2224)는 상기 접촉부(2242)가 상기 제3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접촉부(2242)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접촉되는 부분이 라운드지거나 소정의 각도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상기 밴드제어부(2220)는 상기 접촉부(2242)의 위치 변화에 기초하여 회전축(R)을 기준으로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노출부(2244) 및 접촉부(2242)는 상기 이동공(H6)에 원활한 장착을 구현하기 위해 조립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외력전달부(2240)는 바디부(2200)에 밴드제어부(2220) 및 탄성부(2230)가 장착되면, 노출부(2244)를 이동공(H6) 및 수용공간(S8)에 삽입한 후 접촉부(2242)를 체결하여 상기 이동공(H6)에 위치 이동 가능하게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외력전달부(2240)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제3 위치에서 제4 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밴드제어부(2220)를 회전축(R)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시키고 난 후, 상기 사용자의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부(2230)의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4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될 수 있다.
도 40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1은 도 40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2는 도 41의 DD선 및 EE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43은 도 40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제어 장치를 도시한 분해도이며, 도 44는 도 43에 따른 제어 장치에 의해 밴드가 이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0 내지 도 4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3000)는 도 1 내지 도 34를 참조로 설명한 밴드 조절 장치와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도 1 내지 도 34를 참조로 설명한 밴드 조절 장치의 모든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3000)는, 는 도 1 내지 도 34를 참조로 설명한 밴드 조절 장치와 비교할 때 외력전달부(3240)가 더 포함된 장치일 수 있으며, 상기 외력전달부(3240)로 인해 밴드제어부(3220) 등의 구성이 다소 변경될 수 있다.
도 40 내지 도 4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3000)는, 밴드(3100)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은 자유로우나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은 선택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장치로, 바디부(3200), 밴드제어부(3220), 탄성부(3230) 및 외력전달부(3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력전달부(3240)는 밴드(3100)의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구현하기 위한 일종의 스위치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외력을 밴드제어부(322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외력전달부(3240)는 상기 밴드제어부(3220)를 회전축(R)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변화시키도록 직선 운동을 통해 제3 위치에서 제4 위치로 위치변화 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위치는 도 42에 도시된 위치일 수 있고, 상기 제4 위치는 도 44에 도시된 위치일 수 있다.
상기 외력전달부(3240)의 제3 위치 및 제4 위치 상호 간의 위치 이동을 구현하기 위해, 바디부(3200)는 관통되어 형성되는 이동공(H6)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공(H6)은 상기 바디부(3200)의 상방측벽(3212c) 및 하방측벽(3212d)에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과 평행한 직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력전달부(3240)는 상방측벽(3212c)으로부터 하방측벽(3212d)을 향한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1 외력전달부(3242) 및 상기 하방측벽(3212d)으로부터 상기 상방측벽(3212c)을 향한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2 외력전달부(3244)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외력전달부(3242)는 상기 내부공간(S3)에 위치하여 상기 밴드제어부(3220)와 접촉하는 제1 접촉부(3242a) 및 상기 제1 접촉부(3242a)와 연결되되 상기 내부공간(S3)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1 노출부(3242b)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외력전달부(3244)는 상기 내부공간(S3)에 위치하여 상기 밴드제어부(3220)와 접촉하는 제2 접촉부(3244a) 및 상기 제2 접촉부(3244a)와 연결되되 상기 내부공간(S3)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2 노출부(3244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촉부(3242a) 및 상기 제2 접촉부(3244a)는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위치 변화되어 상기 밴드제어부(3220)를 회전축(R)을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외력전달부(3242)는 상기 제3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방측벽(3212c)과 접촉되어 상기 제1 접촉부(3242a)가 상기 내부공간(S3)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방지하도록 상기 제1 노출부(3242b)와 상기 제1 접촉부(3242a)의 경계에 돌출 형성되는 제1 스톱퍼(3242c)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외력전달부(3244)는 상기 제3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하방측벽(3212d)과 접촉되어 상기 제2 접촉부(3244a)가 상기 내부공간(S3)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노출부(3244b)와 상기 제2 접촉부(3244a)의 경계에 돌출 형성되는 제2 스톱퍼(3244c)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외력전달부(3242) 및 상기 제2 외력전달부(3244)는 바디부(3200)에 밴드제어부(3220) 및 탄성부(3230)가 장착되면, 상기 바디부(3200)의 이동공(H6)에 강제로 삽입하는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제1 스톱퍼(3242c) 및 상기 제2 스톱퍼(3244c)는 각각 상방측벽(3212c) 및 하방측벽(3212d)에 걸리면서 상기 이동공(H6)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이동공(H6)을 통과한 상기 제1 스톱퍼(3242c) 및 상기 제2 스톱퍼(3244c)는 내부공간(S3) 내에서 상기 상방측벽(3212c) 및 상기 하방측벽(3212d)의 내면에 걸리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제1 외력전달부(3242) 및 상기 제2 외력전달부(3244)는 상기 바디부(3200)의 외측으로의 이탈이 방지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공(H6)을 통과한 제1 접촉부(3242a) 및 제2 접촉부(3244a)는 이탈방지부(3216)의 수용공간(S8)에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이탈방지부(3216)에 의해 상기 후방측벽(3212b)을 향한 위치 이동이 규제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3200)는 상기 삽입공간(S1)과 상기 유출공간(S2)을 규정하는 프레임부(3210) 및 상기 밴드제어부(3220)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밴드제어부(3220)와 접촉되어 상기 밴드제어부(322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프레임부(321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이탈방지부(321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3216)는 상기 제1 접촉부(3242a) 및 상기 제2 접촉부(3244a)가 상기 밴드제어부(3220)와 접촉된 상태로 위치하도록 상기 제1 접촉부(3242a) 및 상기 제2 접촉부(3244a)를 수용하는 수용공간(S8)을 구비하되, 상기 제1 접촉부(3242a) 및 상기 제2 접촉부(3244a)가 상기 후방측벽(3212b)을 향한 위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상기 제1 외력전달부(3242) 및 상기 제2 외력전달부(3244)는 이탈방지부(3216)의 수용공간(S8)에 안정적으로 위치하고, 상기 이탈방지부(3216)의 일측벽에 의해 하방측벽(3212d)으로의 위치 이동이 차단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 접촉부(3242a)는 상기 상방측벽(3212c)으로부터 상기 하방측벽(3212d)을 향한 방향을 향하여 상기 전방측벽과(3212a)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은 제1 접촉면(3242a-1)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접촉부(3244a)는 상기 하방측벽(3212d)으로부터 상기 상방측벽(3212c)을 향한 방향을 향하여 상기 전방측벽(3212a)과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은 제2 접촉면(3244a-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촉면(3242a-1) 및 상기 제2 접촉면(3244a-1)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밴드제어부(3220)와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여 상기 밴드제어부(3220)의 회전 운동을 원활히 하도록 상기 밴드제어부(3220)와 접촉되는 부분이 라운드지게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밴드제어부(3220)는 상기 제1 외력전달부(3242) 및 상기 제2 외력전달부(3244)로부터 외력 전달이 안정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밴드제어부(3220)는 상기 밴드(3100)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구현하기 위한 상기 외력을 상기 제1 접촉부(3242a) 및 상기 제2 접촉부(3244a)와의 접촉을 통해 인가받는 외력제공부(3224), 상기 외력제공부(3224)와 연동되고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밴드(3100)와의 접촉이 해제되는 걸림부(3226), 상기 외력제공부(3224) 및 상기 걸림부(3226)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3228)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외력제공부(3224)는 상기 제1 접촉부(3242a) 및 상기 제2 접촉부(3244a) 각각과 접촉되는 제1 외력제공부(3224a) 및 제2 외력제공부(3224b)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외력제공부(3224a)는 상기 하방측벽(3212d)으로부터 상기 상방측벽(3212c)을 향하여 상기 후방측벽(3212b)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외력제공부(3224b)는 상기 상방측벽(3212c)으로부터 상기 하방측벽(3212d)을 향하여 상기 후방측벽(3212b)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외력제공부(3224), 제1 접촉부(3242a) 및 제2 접촉부(3244a)로 인해 제1 외력전달부(3242) 및 제2 외력전달부(3244)의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밴드제어부(3220)는 회전축(R)을 기준으로 안정적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력전달부(3240)는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위치 변화된 후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부(3230)의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3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될 수 있다.
도 45는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6은 도 45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7은 도 46의 FF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48은 도 45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에 제공되는 제어 장치를 도시한 분해도이며, 도 49는 도 48에 따른 제어 장치에 의해 밴드가 이동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5 내지 도 4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는 도 1 내지 도 34를 참조로 설명한 밴드 조절 장치와 모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도 1 내지 도 34를 참조로 설명한 밴드 조절 장치의 모든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4000)는, 는 도 1 내지 도 34를 참조로 설명한 밴드 조절 장치와 비교할 때 외력전달부(4240)가 더 포함된 장치일 수 있으며, 상기 외력전달부(4240)로 인해 밴드제어부(4220) 등의 구성이 다소 변경될 수 있다.
도 45 내지 도 4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밴드 조절 장치(4000)는, 밴드(4100)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은 자유로우나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은 선택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장치로, 바디부(4200), 밴드제어부(4220), 탄성부(4230) 및 외력전달부(4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력전달부(4240)는 밴드(4100)의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구현하기 위한 일종의 스위치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외력을 밴드제어부(422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외력전달부(4240)는 상기 밴드제어부(4220)를 회전축(R)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위치 변화시키도록 직선 운동을 통해 제3 위치에서 제4 위치로 위치변화 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위치는 도 47에 도시된 위치일 수 있고, 상기 제4 위치는 도 49에 도시된 위치일 수 있다.
상기 외력전달부(4240)는 상기 바디부(4220)가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연장된 부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여 제3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외력전달부(4240)는 바디부(4200)의 내부공간(S3)에 위치하여 밴드제어부(4220)와 접촉하는 접촉부(4242) 및 상기 접촉부(4242)와 연결되되 상기 내부공간(S3)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노출부(4244)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노출부(4244)는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위치 변화되도록 제1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접촉부(4242)가 상기 밴드제어부(4220)를 상기 회전축(R)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4242)는 제1 방향을 향하여 전방측벽(4212a)과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은 접촉면(4242a)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접촉면(4242a)은 상기 밴드제어부(4220)와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여 상기 밴드제어부(4220)의 회전 운동을 원활히 하도록 상기 밴드제어부(4220)와의 접촉되는 부분이 라운드지게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밴드제어부(4220)는 상기 외력전달부(4240)으로부터 외력 전달이 안정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밴드제어부(4220)는 상기 밴드(4100)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구현하기 위한 상기 외력을 상기 접촉부(4242)와의 접촉을 통해 인가받는 외력제공부(4224), 상기 외력제공부(4224)와 연동되고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밴드(4100)와의 접촉이 해제되는 걸림부(4226), 상기 외력제공부(4224) 및 상기 걸림부(4226)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4228)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외력제공부(4224)는 상기 노출부(4244)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동 시 상기 회전축(R)을 기준으로 한 회전을 원활히 하도록 상기 제2 방향을 향하여 상기 후방측벽(4212b)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4224a)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외력제공부(4224), 접촉부(4242)로 인해 외력전달부(4240)의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밴드제어부(4220)는 회전축(R)을 기준으로 안정적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바디부(4200)는 삽입공간(S1)과 유출공간(S2)을 규정하는 프레임부(4210) 및 상기 밴드제어부(4220)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밴드제어부(4220)와 접촉되어 상기 밴드제어부(422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프레임부(421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이탈방지부(4216)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이탈방지부(4216)는 사이에 상기 접촉부(4242)가 상기 밴드제어부(4220)와 접촉된 상태로 위치하도록 하는 수용공간(S8)을 구비하되, 상기 접촉부(4242)가 상기 후방측벽(4212b)을 향한 위치 이동되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력전달부(4240)는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위치 변화된 후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부(4230)의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3 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0: 밴드 조절 장치
1100: 밴드
1200: 제어 장치
1210: 바디부
1220: 밴드제어부
1230: 탄성부

Claims (20)

  1. 밴드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은 자유로우나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은 선택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밴드의 일측단이 삽입되는 삽입공간과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기 밴드의 일측단이 유출되는 유출공간을 구비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바디부의 내부공간에 위치하여 회전축을 기준으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위치 변화가 가능하며, 상기 제1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와 접촉된 채 상기 밴드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되, 상기 제2 위치인 경우 상기 밴드와 비접촉된 채 상기 밴드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는 밴드제어부;
    상기 밴드제어부가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되는 경우 탄성 변형되고,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밴드제어부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원시키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탄성부; 및
    상기 밴드제어부와 접촉된 상태로 제3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밴드제어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밴드제어부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시키도록 상기 밴드제어부와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제3 위치에서 제4 위치로 위치 변화되는 외력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는,
    상기 삽입공간과 상기 유출공간을 규정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내부공간을 규정하는 전방측벽, 후방측벽, 상방측벽, 하방측벽 및 상기 후방측벽과의 관계에 의해 상기 유출공간이 규정되도록 하는 유출공간규정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전방측벽에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내부공간 내에서 상기 유출공간규정측벽과 접촉되어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부 및 상기 밴드제어부의 위치 변화에 의해 탄성 변형되도록 상기 안착부로부터 연장되는 탄성변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밴드제어부를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위치 변화시키도록 직선 운동을 통해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위치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상방측벽 및 상기 하방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바디부 상에 위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밴드제어부와 접촉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와 연결되되 상기 내부공간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노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노출부 및 상기 접촉부는,
    상기 상방측벽 및 상기 하방측벽 상에서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면서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위치 변화되어 상기 접촉부가 상기 밴드제어부를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밴드제어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밴드제어부와 접촉되어 상기 밴드제어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프레임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접촉부가 상기 밴드제어부와 접촉된 상태로 위치하도록 상기 접촉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제어부는,
    상기 밴드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구현하기 위한 상기 외력을 상기 접촉부와의 접촉을 통해 인가받는 외력제공부, 상기 외력제공부와 연동되고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밴드와의 접촉이 해제되는 걸림부, 상기 외력제공부 및 상기 걸림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력제공부는,
    상기 접촉부의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의 위치 변화에 의해 상기 접촉부와 접촉되는 위치가 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제공부는,
    상기 접촉부가 상기 제3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접촉부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도록 접촉되는 부분이 라운드지거나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상방측벽으로부터 상기 하방측벽을 향한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1 외력전달부 및 상기 하방측벽으로부터 상기 상방측벽을 향한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제2 외력전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외력전달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밴드제어부와 접촉하는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1 접촉부와 연결되되 상기 내부공간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1 노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외력전달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밴드제어부와 접촉하는 제2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와 연결되되 상기 내부공간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2 노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는,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위치 변화되어 상기 밴드제어부를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력전달부는,
    상기 제3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상방측벽과 접촉되어 상기 제1 접촉부가 상기 내부공간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노출부와 상기 제1 접촉부의 경계에 돌출 형성되는 제1스톱퍼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외력전달부는,
    상기 제3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하방측벽과 접촉되어 상기 제2 접촉부가 상기 내부공간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노출부와 상기 제2 접촉부의 경계에 돌출 형성되는 제2스톱퍼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밴드제어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밴드제어부와 접촉되어 상기 밴드제어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프레임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가 상기 밴드제어부와 접촉된 상태로 위치하도록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되,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가 상기 후방측벽을 향한 위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부는,
    상기 상방측벽으로부터 상기 하방측벽을 향한 방향을 향하여 상기 전방측벽과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은 제1 접촉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접촉부는,
    상기 하방측벽으로부터 상기 상방측벽을 향한 방향을 향하여 상기 전방측벽과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은 제2 접촉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면 및 상기 제2 접촉면은,
    상기 밴드제어부와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여 상기 밴드제어부의 회전 운동을 원활히 하도록 상기 밴드제어부와 접촉되는 부분이 라운드지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제어부는,
    상기 밴드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구현하기 위한 상기 외력을 상기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와의 접촉을 통해 인가받는 외력제공부, 상기 외력제공부와 연동되고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밴드와의 접촉이 해제되는 걸림부, 상기 외력제공부 및 상기 걸림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력제공부는,
    상기 제1 접촉부 및 상기 제2 접촉부 각각과 접촉되는 제1 외력제공부 및 제2 외력제공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외력제공부는,
    상기 하방측벽으로부터 상기 상방측벽을 향하여 상기 후방측벽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외력제공부는,
    상기 상방측벽으로부터 상기 하방측벽을 향하여 상기 후방측벽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밴드제어부와 접촉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와 연결되되 상기 내부공간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노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노출부는,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위치 변화되도록 상기 제1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접촉부가 상기 밴드제어부를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1 방향을 향하여 상기 전방측벽과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은 접촉면을 구비하며,
    상기 접촉면은,
    상기 밴드제어부와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여 상기 밴드제어부의 회전 운동을 원활히 하도록 상기 밴드제어부와 접촉되는 부분이 라운드지게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밴드제어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밴드제어부와 접촉되어 상기 밴드제어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프레임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이탈방지부는,
    사이에 상기 접촉부가 상기 밴드제어부와 접촉된 상태로 위치하도록 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되, 상기 접촉부가 상기 바디부의 후방측벽을 향하여 위치 이동되는 것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제어부는,
    상기 밴드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구현하기 위한 상기 외력을 상기 접촉부와의 접촉을 통해 인가받는 외력제공부, 상기 외력제공부와 연동되고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밴드와의 접촉이 해제되는 걸림부, 상기 외력제공부 및 상기 걸림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력제공부는,
    상기 노출부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동 시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한 회전을 원활히 하도록 상기 제2 방향을 향하여 상기 후방측벽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위치 변화된 후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부의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3 위치로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탄성부가 상기 내부공간 내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상기 탄성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밴드제어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밴드제어부와 접촉되어 상기 밴드제어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프레임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밴드제어부는,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구현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 상호 간의 위치 변화가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밴드제어부가 상기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회전구현부가 통과하도록 상기 바디부 사이에 소정 크기의 통과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장치.
KR1020150161682A 2015-01-08 2015-11-18 제어 장치,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 KR101721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682A KR101721337B1 (ko) 2015-11-18 2015-11-18 제어 장치,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
US14/952,700 US10130131B2 (en) 2015-01-08 2015-11-25 Controller, band, and band adjusting device including the controller and the band
CN201510857636.2A CN105768382B (zh) 2015-01-08 2015-11-30 控制器、带和包括该控制器及带的带调整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682A KR101721337B1 (ko) 2015-11-18 2015-11-18 제어 장치,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1337B1 true KR101721337B1 (ko) 2017-03-30

Family

ID=58503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1682A KR101721337B1 (ko) 2015-01-08 2015-11-18 제어 장치,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13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1651A1 (ko) * 2017-08-08 2019-02-14 김재황 자동 텐션 측정기
KR102416505B1 (ko) * 2021-11-18 2022-07-05 (주)더원티앤엠 허리벨트 및 이러한 허리벨트가 일체로 구비된 하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3642A (ja) * 1998-05-19 1999-11-26 Morito Co Ltd アジャスター
JP2001131816A (ja) * 1999-10-25 2001-05-15 Morito Co Ltd ズボン等のウェストサイズのアジャスター
KR200224604Y1 (ko) * 1998-11-24 2001-06-01 신혁주 혁대용버클
KR200407563Y1 (ko) * 2005-11-21 2006-01-31 우성률 혁대용 버클
JP2007154368A (ja) * 2005-12-06 2007-06-21 Ykk Corp 長さ調節具
KR101274672B1 (ko) * 2013-02-21 2013-06-17 류양석 버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3642A (ja) * 1998-05-19 1999-11-26 Morito Co Ltd アジャスター
KR200224604Y1 (ko) * 1998-11-24 2001-06-01 신혁주 혁대용버클
JP2001131816A (ja) * 1999-10-25 2001-05-15 Morito Co Ltd ズボン等のウェストサイズのアジャスター
KR200407563Y1 (ko) * 2005-11-21 2006-01-31 우성률 혁대용 버클
JP2007154368A (ja) * 2005-12-06 2007-06-21 Ykk Corp 長さ調節具
KR101274672B1 (ko) * 2013-02-21 2013-06-17 류양석 버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1651A1 (ko) * 2017-08-08 2019-02-14 김재황 자동 텐션 측정기
CN110996832A (zh) * 2017-08-08 2020-04-10 株式会社Jsr医疗 自动张力测量仪
CN110996832B (zh) * 2017-08-08 2024-01-30 株式会社Jsr医疗 用于人造肠道系统的肠带
US11944504B2 (en) 2017-08-08 2024-04-02 Jsr Medical Co., Ltd. Automatic tension measuring instrument
KR102416505B1 (ko) * 2021-11-18 2022-07-05 (주)더원티앤엠 허리벨트 및 이러한 허리벨트가 일체로 구비된 하의
WO2023090778A1 (ko) * 2021-11-18 2023-05-25 (주)더원티앤엠 허리벨트 및 이러한 허리벨트가 일체로 구비된 하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68382B (zh) 控制器、带和包括该控制器及带的带调整装置
EP3494826B1 (en) Magnetic buckling assembly
US7257865B2 (en) Holder for cord fasteners
US8235585B2 (en) Fastening device for wrist straps
EP3810525B1 (en) Strap adjustment system
KR101721337B1 (ko) 제어 장치,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
EP2815672B1 (en) Slider assembly
KR101721335B1 (ko) 제어 장치,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
GB2419917A (en) Buckle with slidable button and rotatable cover
US20190037973A1 (en) Buckle
TW201238514A (en) Slider for slide fastener with automatic stop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632531B1 (ko) 버클장치
KR20170054332A (ko) 제어 장치,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
EP0466446A1 (en) Detachable two-piece buckle
CN109688862B (zh) 卡条、控制装置以及卡条调节装置
EP3020608A1 (en) Seatbelt device bezel
JP6365945B2 (ja) 留め具、バンド、および時計
KR101850763B1 (ko) 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밴드 조절 장치
CN212650528U (zh) 表带组件及具有其的穿戴设备
JP4407182B2 (ja) 中留具、帯状体、時計、および装身具
WO2007119979A1 (en) Binding tool
US11805855B1 (en) Fastening system and method(s)
US10842232B1 (en) Ratcheting buckle
CN214802847U (zh) 一种卡扣调节式智能手环
US20240138528A1 (en) Fastening system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