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1406B1 - 두부 보호 장비 - Google Patents

두부 보호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1406B1
KR102571406B1 KR1020220052615A KR20220052615A KR102571406B1 KR 102571406 B1 KR102571406 B1 KR 102571406B1 KR 1020220052615 A KR1020220052615 A KR 1020220052615A KR 20220052615 A KR20220052615 A KR 20220052615A KR 102571406 B1 KR102571406 B1 KR 102571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space
unit
head protection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2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행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제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제이씨 filed Critical (주)에이치제이씨
Priority to KR1020220052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1406B1/ko
Priority to PCT/KR2023/004282 priority patent/WO202321098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1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1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 A42B3/281Air duct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Ink Jet (AREA)

Abstract

두부 보호 장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외부 프레임; 상기 외부 프레임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게 구성되는 통기부; 및 상기 통기부와 상기 수용 공간의 연통이 차단되는 제1 위치 및 상기 통기부와 상기 수용 공간의 연통이 허용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통기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 공간과 외부의 연통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기부는, 상기 수용 공간과 연통되는 통기 공간; 및 개방 형성되어 외부 및 상기 통기 공간과 각각 연통되는 복수 개의 연통 개구부를 포함하여, 상기 조작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통기 공간이 복수 개의 상기 연통 개구부 모두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어 상기 통기 공간에 유입된 외기가 외부로 유출되고, 상기 조작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통기 공간이 복수 개의 상기 연통 개구부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만 외부와 연통되어 상기 통기 공간에 유입된 외기가 상기 수용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Description

두부 보호 장비{Head part protector}
본 발명은 두부 보호 장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조작으로 외부와 내부의 연통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 구조의 두부 보호 장비에 관한 것이다.
두부 보호 장비는 흔히 헬멧(helmet)이라 지칭되는 장비로, 착용자의 두부를 보호하기 위해 활용된다.
두부 보호 장비는 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착용자의 두부를 수용할 수 있다. 수용된 두부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두부 보호 장비는 두부를 외측에서 감싸게 형성됨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두부 보호 장비의 상기 공간 및 수용된 착용자의 두부는 외부와의 연통이 차단된다.
상기와 같은 연통 차단에 의해, 착용자가 장시간 동안 두부 보호 장비를 착용할 경우 착용자는 답답함을 느끼게 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최근에는 착용된 상태로 상기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기 위한 구조의 두부 보호 장비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연통을 위한 부재가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공간과 외부가 복수 개의 지점에서 연통될 수 있는 구조의 두부 보호 장비가 각광받고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문헌 제20-2012-0003190호는 통풍이 가능한 헬멧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헬멧의 내부로 강제 통풍을 위한 송풍팬이 형성된 공기 흡입구 및 외부의 공기를 공기 흡입구로 유도하기 위한 공기 도입부를 포함하는 통풍이 가능한 헬멧을 개시한다.
그런데, 상기 선행문헌이 개시하는 통풍이 가능한 헬멧은 송풍팬 등을 작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액추에이터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 공급을 위한 부재가 추가로 요구된다. 따라서, 상기 선행문헌이 개시하는 통풍이 가능한 헬멧은 구조의 간명화를 달성하면서도 헬멧의 내부를 통풍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지 못한다.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20-0052179호는 통풍제어 기능을 갖는 오토바이 헬멧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흡기부, 흡기부를 개폐하는 슬라이드 방식의 개폐판 및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부를 포함하는 통풍제어 기능을 갖는 오토바이 헬멧을 개시한다.
그런데, 상기 선행문헌이 개시하는 통풍제어 기능을 갖는 오토바이 헬멧은 전방 측으로만 공기가 유입되는 구조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기 위해서는 송풍팬이 작동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선행문헌 역시 상술한 선행문헌과 마찬가지로 별도의 전력 및 제어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추가 구성이 요구된다.
한국공개실용신안문헌 제20-2012-0003190호 (2012.05.09.)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20-0052179호 (2020.05.1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기가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는 구조의 두부 보호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부 공간이 효과적으로 통풍될 수 있는 구조의 두부 보호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부 공간의 통풍이 요구되지 않는 상황에서 주행에 따른 공기 저항이 최소화될 수 있는 구조의 두부 보호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관이 미려하게 유지될 수 있는 구조의 두부 보호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외부 프레임; 상기 외부 프레임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게 구성되는 통기부; 및 상기 통기부와 상기 수용 공간의 연통이 차단되는 제1 위치 및 상기 통기부와 상기 수용 공간의 연통이 허용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통기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 공간과 외부의 연통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기부는, 상기 수용 공간과 연통되는 통기 공간; 및 개방 형성되어 외부 및 상기 통기 공간과 각각 연통되는 복수 개의 연통 개구부를 포함하여, 상기 조작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통기 공간이 복수 개의 상기 연통 개구부 모두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어 상기 통기 공간에 유입된 외기가 외부로 유출되고, 상기 조작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통기 공간이 복수 개의 상기 연통 개구부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만 외부와 연통되어 상기 통기 공간에 유입된 외기가 상기 수용 공간으로 유입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통기 공간의 내부에 위치되며, 관통 형성되어 상기 통기 공간과 상기 수용 공간을 연통하는 통기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통기 관통공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통기 관통공을 폐쇄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통기 관통공을 개방하게 구성되는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기부는, 상기 통기 공간의 일 부분을 둘러싸는 통기 베이스; 및 상기 통기 베이스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통기 공간의 다른 부분을 둘러싸는 통기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통기 관통공을 덮으며 상기 통기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통기 리브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연통 개구부는, 상기 통기 공간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연통 개구부 및 상기 일측에 반대되는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연통 개구부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통기 공간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제1 연통 개구부 및 상기 제2 연통 개구부의 연통을 차단하여, 상기 통기 공간에 유입된 유체는 상기 통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수용 공간으로 유동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기부는, 상기 통기 공간을 내측에서 둘러싸는 통기 베이스; 및 상기 통기 베이스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통기 공간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상기 조작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통기 리브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기부는, 상기 통기 공간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조작부의 일부를 수용하는 제1 결합 공간; 및 상기 통기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결합 공간을 마주하게 위치되어, 상기 조작부의 다른 일부를 수용하는 제2 결합 공간을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기 리브는, 상기 통기 공간과 상기 제1 결합 공간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 결합 공간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제1 통기 리브; 및 상기 통기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통기 리브를 마주하게 위치되어, 상기 제2 결합 공간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제2 통기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통기 리브 및 상기 제2 통기 리브에는, 상기 조작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통기 함몰부가 형성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기 공간 및 상기 통기 공간에 수용된 상기 조작부의 일부를 덮으며 상기 통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커버 몸체; 및 상기 커버 몸체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조작부의 다른 일부가 관통되는 커버 개구부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작부는, 상기 통기 리브에 함몰 형성되는 통기 함몰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체부; 상기 회전체부와 결합되며, 외부에 노출되어 외력에 의해 조작 가능하게 구비되는 다이얼부; 및 상기 회전체부와 결합되며,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되어 상기 통기부에 구비되는 통기 관통공을 개방하거나 폐쇄하게 구성되는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얼부는, 상기 회전체부의 소재 또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소재보다 마찰 계수(coefficient of friction)가 더 큰 소재로 형성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이얼부는, 일 측의 외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 접촉 면; 및 상기 일 측의 외면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접촉 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속되는 제2 접촉 면을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기부는, 상기 통기 공간에 수용된 상기 다이얼부 및 상기 회전체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 개의 면을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면은, 상기 제1 접촉 면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수용 공간을 향해 연장되는 제1 면; 및 상기 제2 접촉 면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수용 공간을 향해 연장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작부가 상기 제1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제1 접촉 면은 상기 제1 면과 접촉되고, 상기 조작부가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제2 접촉 면은 상기 제2 면과 접촉되는, 두부 보호 장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는 외기가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는 내부 공간이 효과적으로 통풍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는 내부 공간의 통풍이 요구되지 않는 상황에서 주행에 따른 공기 저항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는 외관이 미려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두부 보호 장비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도 1의 두부 보호 장비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위치에서의 도 1의 두부 보호 장비의 통기부 및 조작부를 도시하는 부분 개방 사시도이다.
도 6은 제2 위치에서의 도 1의 두부 보호 장비의 통기부 및 조작부를 도시하는 부분 개방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두부 보호 장비의 조작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도 7의 조작부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두부 보호 장비의 커버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통기부가 폐쇄된 제1 위치에서 공기의 흐름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통기부가 개방된 제2 위치에서 공기의 흐름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가 있을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상측", "하측", "좌측", "우측", "전방 측" 및 "후방 측"이라는 용어는 도 1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외기가 두부 보호 장비(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외기가 유입되지 않는 상태(즉, 후술될 조작부(300)가 제1 위치(P1)인 상태)에서 두부 보호 장비(1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재의 표면적은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태에서 주행 성능의 저하가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는 외부 프레임(100), 통기부(200), 조작부(300) 및 커버부(400)를 포함한다.
외부 프레임(100)은 두부 보호 장비(10)의 외형을 형성한다. 외부 프레임(10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착용자의 두부(head part)를 수용할 수 있다. 외부 프레임(100)은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착용자의 두부를 보호할 수 있다.
외부 프레임(100)은 경량이면서도 고강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착용자가 느끼는 이물감 또는 중량감을 최소화하면서도, 착용자의 두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 프레임(100)은 강화 플라스틱 등의 합성 수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외부 프레임(100)은 착용자의 두부를 수용, 보호하고, 주행 중 공기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외부 프레임(100)은 착용자의 두부와 유사하게 구(sphere) 형상이다.
외부 프레임(100)에는 통기부(200)가 구비된다. 통기부(200)는 외부 프레임(100)과 결합되어, 외부 프레임(10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게 구성될 수 있다.
외부 프레임(100)에는 조작부(300)가 결합된다. 조작부(300)는 외부 프레임(100)에 결합된 통기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착용자는 조작부(300)를 조작하여 통기부(200)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프레임(100)의 내부와 외부의 연통이 허용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외부 프레임(100)에는 커버부(400)가 결합된다. 커버부(400)는 외부 프레임(100)에 결합된 통기부(200)를 덮으며 통기부(200)에 결합된다. 이때, 커버부(400)는 통기부(200)에 고정 결합되어, 외기가 외부 프레임(100)의 내부로 유입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같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프레임(100)의 내부와 외부의 연통 여부와 무관하게 외기에 의한 공기 저항이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외부 프레임(100)은 외면(110), 수용 공간(120) 및 프레임 관통공(130)을 포함한다.
외면(110)은 외부 프레임(100)의 외측 면을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외부 프레임(100)은 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 외면(110)은 구의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면(110)은 외부 프레임(10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120)을 외측에서 둘러싼다. 달리 표현하면, 외면(110)은 수용 공간(120)의 방사상 외측에서 수용 공간(120)의 외주를 따라 연장 형성된다.
외면(110)에는 프레임 관통공(130)이 관통 형성된다. 프레임 관통공(130)에 의해, 외부 프레임(100)의 외부와 수용 공간(120)이 연통될 수 있다.
외면(110)의 일측에는 통기부(200)가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외면(110)의 상기 일측은 함몰 형성되어, 통기부(200)가 수용,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외면(110)의 전방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통기부(200)가 결합된다.
외면(110)의 상기 일측에는 조작부(30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면(110)의 상기 일측에 결합된 통기부(200)에 조작부(3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외면(110)의 상기 일측에는 커버부(400)가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부(400)는 통기부(200) 및 통기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조작부(300)를 덮으며 외면(110)의 상기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수용 공간(120)은 외부 프레임(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이다(도 11 내지 도 12 참조). 수용 공간(120)은 착용자의 두부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두부를 수용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수용 공간(120)은 외부 프레임(100)의 형상에 상응하게 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용 공간(12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은 개방 형성되어 착용자의 두부 또는 목 부위가 수용될 수 있다. 수용 공간(120)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은 바이저(도면 부호 미부여)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상기 바이저(도면 부호 미부여)는 외부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수용 공간(120)은 외면(110)에 둘러싸인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수용 공간(120)의 상기 일측 및 상기 타측, 즉 하측 및 전방 측을 제외한 다른 부분은 외면(110)에 둘러싸인다.
수용 공간(120)은 프레임 관통공(130)에 의해 외부와 연통된다.
프레임 관통공(130)은 외면(110)에 관통 형성되어, 수용 공간(120)과 외부를 연통한다. 구체적으로, 수용 공간(120)은 프레임 관통공(130) 및 이와 연통되는 통기 관통공(250)에 의해 통기부(200)를 통해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연통은 후술될 조작부(300)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프레임 관통공(130)은 통기부(200)에 구비되는 통기 관통공(250)과 연통된다. 일 실시 예에서, 프레임 관통공(130) 및 통기 관통공(250)은 그 연장 방향, 또는 외면(110)의 두께 방향으로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 관통공(130)은 조작부(300)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술될 조작부(300)는 통기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통기 관통공(250)을 개방하거나 폐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기 관통공(250)과 연통되는 프레임 관통공(130) 또한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프레임 관통공(130)은 수용 공간(120)과 통기 관통공(250)을 연통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프레임 관통공(130)은 원형의 단면을 갖고, 외면(110)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원통 형상이다. 프레임 관통공(130)의 형상은 통기 관통공(250)의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 관통공(13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프레임 관통공(130)은 서로 이격되어 다른 위치에서 수용 공간(120)과 통기 관통공(250)을 각각 연통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프레임 관통공(130)은 두 개 구비되어, 각각 좌측 및 우측에 위치된다. 좌측의 프레임 관통공(130)은 좌측에 배치되는 통기부(200)의 통기 관통공(250)과, 우측의 프레임 관통공(130)은 우측에 배치되는 통기부(200)의 통기 관통공(250)과 각각 연통된다.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는 통기부(200)를 포함한다.
통기부(200)는 외부 프레임(100)에 구비되어, 수용 공간(120)과 외부를 연통한다. 또한, 통기부(200)에는 조작부(3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용 공간(120)과 외부의 연통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통기부(200)에는 커버부(400)가 결합되어, 통기부(200) 및 조작부(300)가 덮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두부 보호 장비(10)의 외측 표면의 형상이 미려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두부 보호 장비(10)의 외관이 미려해지고, 주행시 공기 저항이 최소화되어 주행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통기부(200)는 외부 프레임(10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통기부(200)는 외면(110)에 결합되어, 외부 프레임(100)의 외측에 위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통기부(200)는 외면(110)의 부분 중 함몰 형성된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또는 우측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통기부(200)는 외부 프레임(100)과 별도로 형성되어 외부 프레임(100)에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통기부(200)는 외부 프레임(1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통기부(20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통기부(200)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각각 외부 프레임(100)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통기부(200)는 각각 프레임 관통공(130)과 연통되어, 수용 공간(120)과 외부를 연통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통기부(200)는 두 개 구비되어, 외부 프레임(1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위치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 후술될 조작부(300) 및 커버부(400) 또한 복수 개 구비되어, 통기부(200)에 각각 결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통기부(200)는 통기 베이스(210), 통기 리브(220), 통기 공간(230), 연통 개구부(240), 통기 관통공(250), 결합 공간(260), 면(270) 및 통기 함몰부(280)를 포함한다.
통기 베이스(210)는 통기부(200)의 몸체를 형성한다. 통기 베이스(210)는 통기부(200)가 외부 프레임(100)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일 실시 예에서, 통기 베이스(210)는 외면(110)의 부분 중 함몰 형성된 부분,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통기부(200)의 다른 구성은 통기 베이스(210)에 결합 또는 형성된다. 따라서, 통기부(200)의 다른 구성은 통기 베이스(210)를 매개로 외부 프레임(100)과 결합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통기 베이스(210)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통기 베이스(210)는 외면(110)의 형상에 상응하는 곡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통기 베이스(210)는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통기 베이스(210)의 외주에서 방사상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통기 베이스(210)가 수용 공간(120)을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통기 베이스(210)가 판형으로 형성되는 실시 예에서, 통기 베이스(210)는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표면 중 외부 프레임(100)을 향하는 일 표면은 외면(110)에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표면 중 외부 프레임(100)에 반대되는 타 표면에는 통기부(200)의 다른 구성이 결합 또는 형성될 수 있다.
통기 베이스(210)에는 통기 리브(220)가 형성된다.
통기 리브(220)는 수용 공간(120)의 방사상 외측을 향해 연장 또는 돌출 형성되어, 통기 베이스(210)에 둘러싸여 형성되는 공간을 복수 개로 구획한다. 통기 리브(220)에 의해 구획된 복수 개의 상기 공간은, 통기 리브(220)에 의해 임의 연통되지 않게 구성된다. 또한, 통기 리브(220)는 통기부(200)에 결합되는 조작부(3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통기 리브(220)는 통기 베이스(21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통기 리브(220)는 통기 베이스(210)의 상기 타 면, 즉 외측을 향하는 면에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통기 리브(220)와 통기 베이스(21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통기 리브(220)는 통기 베이스(210)가 연장되는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통기 리브(220)는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또는 이들이 조합된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어느 경우라도, 통기 리브(220)가 통기 베이스(210)에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는 공간을 복수 개로 구획하여, 서로 간의 연통을 차단할 수 있으면 족하다.
통기 리브(22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통기 리브(220)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서로 다른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통기 리브(220)는 통기부(200)에 결합된 조작부(300)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통기 리브(220)는 상대적으로 내측(즉, 우측에 위치되는 통기부(200)의 좌측)에 위치되는 제1 통기 리브(221) 및 상대적으로 외측(즉, 우측에 위치되는 통기부(200)의 우측)에 위치되는 제2 통기 리브(222)를 포함하여 두 개 구비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좌측 및 우측에 대한 설명은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부(200)가 외부 프레임(100)의 우측에 구비됨을 전제하여 설명한다.
제1 통기 리브(221)는 통기 베이스(210)의 일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에 위치된다. 제1 통기 리브(221)는 통기 베이스(210)의 좌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제1 결합 공간(261)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제1 통기 리브(221)에 의해, 제1 결합 공간(261)과 통기 공간(230)의 임의 연통이 차단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통기 리브(221)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 및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2 부분을 포함한다.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통기 리브(221)는 좌측이 개방 형성된 브라켓(bracket)의 형상이다.
제1 통기 리브(221)는 조작부(3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제1 통기 리브(221)의 상기 제1 부분의 외측 단부,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 면에는 제1 통기 함몰부(281)가 함몰 형성된다. 제1 통기 리브(221)는 제1 통기 함몰부(281)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회전축부(340)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통기 리브(221)는 커버부(400)를 부분적으로 지지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통기 리브(221)는 커버부(400)의 좌측 부분을 지지한다.
제1 통기 리브(221)는 통기 공간(230)을 사이에 두고 제2 통기 리브(222)를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2 통기 리브(222)는 통기 베이스(210)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에 위치된다. 제2 통기 리브(222)는 통기 베이스(210)의 우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제2 결합 공간(262)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제2 통기 리브(222)에 의해, 제2 결합 공간(262)과 통기 공간(230)의 임의 연통이 차단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통기 리브(222)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 및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제2 부분을 포함한다.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통기 리브(222)는 우측이 개방 형성된 브라켓의 형상이다.
제2 통기 리브(222)는 조작부(3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제2 통기 리브(222)의 상기 제1 부분의 외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단부 면에는 제2 통기 함몰부(282)가 함몰 형성된다. 제2 통기 리브(222)는 제2 통기 함몰부(282)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회전축부(340)를 지지할 수 있다.
제2 통기 리브(222)는 커버부(400)를 부분적으로 지지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통기 리브(222)는 커버부(400)의 우측 부분을 지지한다.
제1 통기 리브(221) 및 제2 통기 리브(222)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공간은 통기 공간(230)으로 정의될 수 있다.
통기 공간(230)은 외부와 연통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공간이다. 두부 보호 장비(10)의 외부의 공기는 통기 공간(230)으로 유입된 후, 통기 관통공(250) 및 프레임 관통공(130)을 통해 수용 공간(120)으로 유입될 수 있다.
통기 공간(230)은 제1 통기 리브(221) 및 제2 통기 리브(222) 사이에 위치된다. 통기 공간(230)은 제1 통기 리브(221) 및 제2 통기 리브(222)에 부분적으로 둘러싸여 정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통기 공간(230)의 폭 방향, 즉 좌측 및 우측이 각각 제1 통기 리브(221) 및 제2 통기 리브(222)에 둘러싸인다.
통기 공간(230)의 길이 방향의 각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및 후방 측은 각각 개방 형성된다. 통기 공간(230)의 상기 전방 측은 제1 연통 개구부(241)와 연통된다. 통기 공간(230)의 상기 후방 측은 제2 연통 개구부(242)와 연통된다.
통기 공간(230)은 커버부(400)가 통기부(200)를 덮으며 결합된 상태에서도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 공간(230)은 전방 측에 위치되는 제1 연통 개구부(241)에 의해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기 관통공(250)이 폐쇄된 상태, 즉 조작부(300)가 제1 위치(P1)에 위치되는 경우, 제1 연통 개구부(241)로 유입된 외기는 통기 공간(230)을 거쳐 제2 연통 개구부(242)로 유동될 수 있다. 후술될 바와 같이, 제2 연통 개구부(242)는 커버부(400)와 통기부(20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외부와 연통된다.
따라서, 조작부(300)가 제1 위치(P1)에 위치되는 경우, 외부의 외기는 제1 연통 개구부(241), 통기 공간(230) 및 제2 연통 개구부(242)를 차례로 통과하여 다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기에 의한 공기 저항 및 이에 따른 주행 성능의 저하가 최소화될 수 있다.
통기 공간(230)은 통기 관통공(250)과 연통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통기 관통공(250)은 통기 베이스(210)의 부분 중 통기 공간(230)을 외부 프레임(100)을 향하는 일측, 즉 하측에서 둘러싸는 부분에 관통 형성된다. 상기 연통에 의해, 통기 공간(230)은 프레임 관통공(130) 및 수용 공간(120)과 연통된다.
통기 공간(230)에는 조작부(300)가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통기 공간(230)에는 조작부(300)의 플레이트부(330)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후술될 바와 같이, 플레이트부(330)는 통기 관통공(250)을 폐쇄하는 제1 위치(P1) 및 통기 관통공(250)을 개방하는 제2 위치(P2)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부(330)가 제1 위치(P1)에 위치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의 공기가 통기 공간(230)을 통과하여 다시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플레이트부(330)가 제2 위치(P2)에 위치되면, 외부의 공기가 통기 공간(230) 및 통기 관통공(250)을 차례로 통과하여 수용 공간(120)으로 유입될 수 있다.
특히, 플레이트부(330)가 제2 위치(P2)에 위치될 경우, 통기 공간(230)과 제2 연통 개구부(242)의 연통이 플레이트부(330)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기 공간(230)으로 유입된 외기의 대부분은 통기 관통공(250)으로 유동될 수 있다.
연통 개구부(240)는 통기 공간(230)과 외부를 연통한다. 두부 보호 장비(10)의 외부에서 체류되는 공기는 연통 개구부(240)를 통해 통기 공간(230)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제1 위치(P1)에서, 통기 공간(230)에 유입된 공기는 연통 개구부(240)를 통해 두부 보호 장비(10)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연통 개구부(240)는 개방 형성된다. 연통 개구부(240)는 제1 통기 리브(221) 또는 제2 통기 리브(222)에 부분적으로 둘러싸여 형성된다. 커버부(400)가 통기부(200)를 덮으며 결합된 상태에서, 조작부(300)의 위치와 무관하게 연통 개구부(240)는 외부와 연통된다.
연통 개구부(24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연통 개구부(240)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통기 공간(230)과 외부를 각각 연통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연통 개구부(240)는 통기 공간(230)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1 연통 개구부(241) 및 제2 연통 개구부(242)를 포함한다.
제1 연통 개구부(241)는 통기 공간(230)의 전방 측에서 외부 및 통기 공간(230)과 각각 연통된다. 제2 연통 개구부(242)는 통기 공간(230)의 후방 측에서 외부 및 통기 공간(230)과 각각 연통된다. 제1 연통 개구부(241) 및 제2 연통 개구부(242)는 통기 공간(230)을 통해 연통된다. 제1 연통 개구부(241) 및 제2 연통 개구부(242)의 연통은 플레이트부(330)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제1 연통 개구부(241)는 제1 통기 리브(221) 및 제2 통기 리브(222)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연통 개구부(241)의 좌측은 제1 통기 리브(221)에, 제1 연통 개구부(241)의 우측은 제2 통기 리브(222)에 각각 둘러 싸인다.
제1 연통 개구부(241)의 전방 측은 개방 형성되어 외부와 연통된다. 제1 연통 개구부(241)의 후방 측은 개방 형성되어 통기 공간(230)과 연통된다.
제2 연통 개구부(242)는 제1 통기 리브(221) 또는 제2 통기 리브(222)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연통 개구부(242)의 좌측은 제1 통기 리브(221)에 둘러싸인다. 제2 연통 개구부(242)의 우측은 개방 형성된다.
제2 연통 개구부(242)의 전방 측은 개방 형성되어 통기 공간(230)과 연통된다. 제2 연통 개구부(242)의 후방 측은 개방 형성되어 외부와 연통된다.
통기 관통공(250)은 통기 공간(230)과 프레임 관통공(130) 및 수용 공간(120)을 연통한다. 통기 공간(230)으로 유입된 외기는 통기 관통공(250)을 통해 프레임 관통공(130) 및 수용 공간(120)으로 유입된다.
통기 관통공(250)은 통기 베이스(210)의 내부에 관통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통기 관통공(250)은 통기 베이스(210)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프레임 관통공(130)과 연통된다. 일 실시 예에서, 통기 관통공(250) 및 프레임 관통공(130)은 그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통기 관통공(250)은 프레임 관통공(130)과 연통되고, 플레이트부(330)에 의해 개방 및 폐쇄가 조정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통기 관통공(250)은 원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원통 형상의 공간으로 형성된다.
통기 관통공(250)은 통기 공간(230)과 연통된다. 이를 위해, 통기 관통공(250)은 통기 베이스(210)의 부분 중 통기 공간(230)이 위치되는 부분,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통기 베이스(210)의 폭 방향으로 제1 통기 리브(221) 및 제2 통기 리브(22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통기 관통공(250)은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통기 베이스(210)의 길이 방향으로 통기 베이스(210)의 부분 중 제1 연통 개구부(241) 및 제2 연통 개구부(24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통기 관통공(250)은 플레이트부(330)에 의해 폐쇄되거나 개방될 수 있다. 플레이트부(330)가 통기 관통공(250)을 폐쇄하는 제1 위치(P1)에 위치되면, 통기 관통공(250)과 통기 공간(230)의 연통이 차단된다. 플레이트부(330)가 통기 관통공(250)을 개방하는 제2 위치(P2)에 위치되면, 통기 관통공(250)과 통기 공간(230)의 연통이 허용된다.
결합 공간(260)은 통기 리브(220)에 부분적으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공간이다. 결합 공간(260)은 조작부(300)를 부분적으로 수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부(300)의 플레이트부(330)는 통기 공간(230)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바, 결합 공간(260)은 플레이트부(330)를 제외한 다른 구성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결합 공간(260)은 통기 공간(230) 및 통기 관통공(250)과의 연통이 차단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통기 리브(220)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결합 공간(260)과 통기 공간(230)의 연통이 차단됨에 따라, 통기 공간(230)으로 유입된 외기는 수용 공간(120)으로 유입되거나, 제2 연통 개구부(240)를 거쳐 외부로 유출되게 유동된다. 따라서, 유입된 외기가 결합 공간(260)에 유입되거나 결합 공간(260)에 체류되지 않게 된다.
결합 공간(260)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결합 공간(260)은 서로 이격되어 연통이 차단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결합 공간(260)은 복수 개의 통기 리브(220)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여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공간(260)은 제1 결합 공간(261) 및 제2 결합 공간(262)을 포함하여 두 개 구비된다. 제1 결합 공간(261)은 통기 베이스(210)의 폭 방향의 일 측, 즉 좌측에, 제2 결합 공간(262)은 통기 베이스(210)의 폭 방향의 타측, 즉 우측에 치우치게 위치된다.
제1 결합 공간(261) 및 제2 결합 공간(262)은 통기 공간(230) 및 통기 공간(230)의 내부에 위치되는 통기 관통공(250)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배치된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결합 공간(261) 및 제2 결합 공간(262)은 서로 연통되지 않는다.
제1 결합 공간(261)에는 조작부(300)의 다이얼부(310) 및 회전체부(320)가 수용된다. 일 실시 예에서, 다이얼부(310) 및 회전체부(320)는 제1 결합 공간(261)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제2 결합 공간(262)에는 조작부(300)의 회전축부(340)의 일부가 수용된다. 일 실시 예에서, 회전축부(340)는 제2 결합 공간(262)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면(270)은 통기 베이스(210)의 면 중 일 부분을 형성한다. 면(270)은 조작부(300)의 회전을 제한하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 착용자는 조작부(300)를 시각적으로 확인하지 않고도, 면(270)에 접촉될 때까지 조작부(300)를 회전시켜 제1 위치(P1) 또는 제2 위치(P2)에 조작부(300)를 위치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조작부(300)의 조작 및 이에 따른 통기 관통공(250)의 개방 및 폐쇄가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면(270)은 조작부(300)의 다이얼부(310) 및 회전체부(32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조작부(300)의 회전에 따라, 다이얼부(310)에 구비되는 접촉 면(314) 또는 회전체부(320)에 구비되는 지지 면(324)은 면(270)과 접촉되거나 이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이얼부(310) 및 회전체부(320)는 제1 결합 공간(261)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다. 이에 따라, 면(270) 또한 제1 결합 공간(261)에, 다이얼부(310) 및 회전체부(320)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면(27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면(270) 중 어느 하나의 면은 조작부(300)가 제1 위치(P1)로 조작되었을 때 접촉 면(314) 또는 지지 면(324)과 접촉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면(270) 중 다른 하나의 면은 조작부(300)가 제2 위치(P2)로 조작되었을 때 접촉 면(314) 또는 지지 면(324)과 접촉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면(270)은 제1 면(271) 및 제2 면(272)을 포함하여 두 개 구비된다. 제1 면(271) 및 제2 면(272)은 서로 연속되되, 다른 방향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면(271)은 전방 측을 향해, 제2 면(272)은 후방 측을 향해 연장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조작부(300)가 제1 위치(P1)로 조작되면, 접촉 면(314) 및 지지 면(324)은 전방 측에 위치되는 제1 면(271)과 접촉된다. 상기 상태에서, 플레이트부(330)는 통기 관통공(250)을 폐쇄하여 제1 연통 개구부(241) 및 제2 연통 개구부(242)가 연통된다.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조작부(300)가 제2 위치(P2)로 조작되면, 접촉 면(314) 및 지지 면(324)은 후방 측에 위치되는 제2 면(272)과 접촉된다. 상기 상태에서, 플레이트부(330)는 통기 관통공(250)을 개방하여 통기 공간(230)과 통기 관통공(250)이 연통된다. 이때, 제1 연통 개구부(241) 및 제2 연통 개구부(242)는 연통이 차단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면(271)과 제2 면(272)은 수용 공간(120)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접촉 면(314) 또는 지지 면(324)이 제1 면(271) 및 제2 면(272) 중 어느 하나의 면과 접촉된 후 다른 하나의 면과 접촉되기 위해 회전되는 각도는 30° 내지 40°일 수 있다.
통기 함몰부(280)는 통기 리브(220)에 함몰 형성되어, 조작부(3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통기 함몰부(280)는 통기 리브(220)의 돌출 방향의 단부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또는 수용 공간(120)을 기준으로 방사상 외측 단부 면에 함몰 형성된다.
통기 함몰부(280)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통기 함몰부(280)는 복수 개의 통기 리브(220)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통기 함몰부(280)는 제1 통기 리브(221)에 형성되는 제1 통기 함몰부(281) 및 제2 통기 리브(222)에 형성되는 제2 통기 함몰부(282)를 포함하여 두 개 구비된다.
통기 함몰부(280)는 조작부(300)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통기 함몰부(280)는 조작부(300)의 회전축부(34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게 형성된다.
이때, 회전축부(340)가 수용된 통기 함몰부(280)는 폐쇄되어, 통기 공간(230)과 결합 공간(260)의 연통이 차단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는 조작부(300)를 포함한다.
조작부(300)는 회전 가능하게 통기부(200)에 결합되어, 통기 관통공(250)을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착용자는 조작부(300)를 조작하여 수용 공간(120)으로의 외기의 유입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조작부(300)는 두부 보호 장비(10)의 외부에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300)의 다이얼부(310)는 외부로 노출되어, 착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이때, 조작부(300)의 다른 구성은 두부 보호 장비(10)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두부 보호 장비(10)의 외관이 미려해지고, 노출된 부재에 의한 공기 저항이 감소되어 주행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조작부(300)는 외부 프레임(10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조작부(300)는 외부 프레임(100)에 결합되는 통기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조작부(300)는 통기부(200)를 매개로 외부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조작부(300)는 통기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조작부(300)는 통기 관통공(250)을 폐쇄하는 제1 위치(P1) 및 통기 관통공(250)을 개방하는 제2 위치(P2)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을 기준으로, 조작부(300)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1 위치(P1)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2 위치(P2)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조작부(300)는 후술될 접촉 면(314) 또는 지지 면(324)이 제1 면(271) 및 제2 면(272)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접촉된 후, 다른 하나의 면에 접촉될 때까지의 회전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각도가 각도는 30° 내지 40°일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조작부(300)는 커버부(400)에 덮이게 배치된다. 즉, 커버부(400)가 통기부(200)를 덮으며 결합되면, 커버부(400)는 통기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조작부(300) 또한 덮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조작부(300)의 다이얼부(310)만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조작부(300)는 다이얼부(310), 회전체부(320), 플레이트부(330) 및 회전축부(340)를 포함한다.
다이얼부(310)는 두부 보호 장비(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착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부분이다. 착용자는 다이얼부(310)를 밀거나 당겨서 조작부(300)를 회전시켜 통기 관통공(250)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다이얼부(310)는 회전 가능하게 통기부(200)에 수용된다. 또한, 다이얼부(310)는 면(27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다이얼부(310)는 회전 가능하게 제1 결합 공간(261)에 수용되어, 면(270)의 외측, 즉 수용 공간(120)을 기준으로 방사상 외측에 위치된다.
다이얼부(310)는 외력에 의해 밀거나 당겨짐으로써 회전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다이얼부(310)는 전체적으로 부채꼴(fan shape)로 형성되되, 그 중심각이 둔각을 갖게 형성된다.
다이얼부(310)는 회전체부(32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다이얼부(31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회전체부(320)는 상기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다이얼부(310)는 수용된 회전체부(32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다이얼부(310)는 플레이트부(33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다이얼부(310)는 회전체부(320)를 매개로 플레이트부(330)와 결합된다. 다이얼부(310)는 회전체부(320)를 사이에 두고 플레이트부(330)를 마주하게 배치된다.
다이얼부(310)는 회전축부(34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다이얼부(310)는 회전체부(320) 및 플레이트부(330)를 매개로 회전축부(340)와 결합된다.
다이얼부(310)는 마찰 계수(coefficient of friction)가 큰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이얼부(310)를 형성하는 소재는 회전체부(320), 플레이트부(330) 또는 회전축부(340)의 소재보다 마찰 계수가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용자는 다이얼부(310)를 용이하게 파지하고 다이얼부(310)를 회전 조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다이얼부(310)는 고무(rubber)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다이얼부(310)는 조작 돌기(311), 삽입 공간(312), 축 수용부(313) 및 접촉 면(314)을 포함한다.
조작 돌기(311)는 다이얼부(310)가 두부 보호 장비(1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이다. 착용자는 조작 돌기(311)를 회전시켜 조작부(300)의 회전을 조작할 수 있다.
조작 돌기(311)는 다이얼부(310)의 외주에서 돌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조작 돌기(311)는 다이얼부(310)의 외주의 상측 부분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조작 돌기(311)는 커버부(400)의 커버 개구부(420)를 관통하여 커버부(40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조작 돌기(311)의 연장 길이는 착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파지 및 조작되되, 공기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을만큼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 공간(312)은 다이얼부(3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이다. 삽입 공간(312)은 회전체부(320)의 회전 몸체(321), 회전 돌기(322) 및 지지 플레이트(323)를 수용한다.
삽입 공간(312)은 수용되는 회전 몸체(321), 회전 돌기(322) 및 지지 플레이트(323)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삽입 공간(312)은 다이얼부(310)의 외형과 유사하게, 부채꼴 형상의 단면을 갖게 형성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 삽입 공간(312)의 단면의 중심각은 둔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 공간(312)은 다이얼부(310)의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삽입 공간(312)의 두께는 회전체부(320)의 두께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삽입 공간(312)은 회전체부(320)를 부분적으로 수용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삽입 공간(312)의 두께 방향의 양측은 개방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삽입 공간(312)의 두께 방향의 일측에는 리브(rib)(도면 부호 미부여)가 형성되어, 회전체부(320)가 삽입되는 정도가 제한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기 리브는 삽입 공간(312)의 좌측에 형성된다.
삽입 공간(312)은 축 수용부(313)와 연통된다.
축 수용부(313)는 개방 형성되어, 회전축부(340)가 관통되는 공간이다. 축 수용부(313)는 회전축부(340) 중 회전체부(320)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회전축부(340)를 수용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부(320)의 좌측에 구비되는 회전축부(340)는 축 수용부(313)를 관통하여 다이얼부(31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축부(340)는 다이얼부(310) 및 다이얼부(310)에 결합된 회전체부(3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축 수용부(313)는 회전축부(340)를 수용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축 수용부(313)는 회전축부(340)의 단면보다 큰 부채꼴의 형상을 갖게 형성된다.
축 수용부(313)에 인접하게 접촉 면(314)이 구비된다.
접촉 면(314)은 조작부(300)의 회전에 따라 제1 면(271) 또는 제2 면(272)에 접촉되는 부분이다. 접촉 면(314)이 제1 면(271) 또는 제2 면(272)과 접촉됨에 따라, 조작부(300)의 회전 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접촉 면(314)은 다이얼부(310)의 외면의 일부를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접촉 면(314)은 다이얼부(310)의 하측 외면의 일부를 형성한다. 달리 표현하면, 접촉 면(314)은 다이얼부(310)의 외면 중 통기 베이스(210) 또는 통기 베이스(210)에 형성된 면(270)을 향하는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접촉 면(314)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접촉 면(314)은 서로 연속되되, 다른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접촉 면(314)은 상대적으로 전방 측에 위치되어 전방 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접촉 면(314a) 및 상대적으로 후방 측에 위치되어 후방 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접촉 면(314b)을 포함한다.
플레이트부(330)가 통기 관통공(250)을 폐쇄하는 제1 위치(P1)로 조작되면, 제1 접촉 면(314a)과 제1 면(271)이 접촉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부(330)가 통기 관통공(250)을 개방하는 제2 위치(P2)로 조작되면, 제2 접촉 면(314b)과 제2 면(272)이 접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접촉 면(314a) 및 제2 접촉 면(314b)은 통기 베이스(2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 접촉 면(314a)은 전방 측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제2 접촉 면(314b)은 후방 측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각각 상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접촉 면(314a) 및 제2 접촉 면(314b)의 형상과, 상술한 제1 면(271) 및 제2 면(272)의 형상에 의해 조작부(300)가 회전될 수 있는 각도가 확보될 수 있다.
회전체부(320)는 다이얼부(310)의 회전을 플레이트부(330)에 전달한다. 회전체부(320)는 다이얼부(310) 및 플레이트부(330)와 각각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회전체부(320)의 일 부분, 도시된 실시 예에서 좌측 부분은 다이얼부(310)의 삽입 공간(312)에 수용될 수 있다. 회전체부(320)는 다이얼부(31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회전체부(320)의 다른 부분, 도시된 실시 예에서 우측 부분은 플레이트부(330)와 결합된다. 회전체부(320)는 플레이트부(33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이얼부(310)의 회전이 플레이트부(330)에 전달되어 다이얼부(310) 및 플레이트부(330)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회전체부(320)는 회전 몸체(321), 회전 돌기(322), 지지 플레이트(323) 및 지지 면(324)을 포함한다.
회전 몸체(321)는 회전체부(320)의 몸체를 형성한다. 회전 몸체(321)는 삽입 공간(312)에 수용되어, 다이얼부(310)와 함께 회전된다.
회전 몸체(321)는 삽입 공간(312)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회전 몸체(321)는 삽입 공간(312)에 대응되게 부채꼴 형상의 단면을 갖고, 좌우 방향의 두께를 갖게 형성된다. 상기 실시 예에서, 회전 몸체(321)의 단면의 중심은 둔각일 수 있다.
회전 몸체(321)에는 회전 돌기(322)가 결합된다. 회전 몸체(321)는 회전 돌기(322)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회전 몸체(321)는 지지 플레이트(323)와 결합된다. 회전 몸체(321)는 지지 플레이트(323)와 함께 회전된다.
회전 돌기(322)는 회전 몸체(321)의 외면에 형성된다. 회전 돌기(322)는 다이얼부(310)의 내주에, 조작 돌기(311)에 상응하게 함몰 형성된 홈(미도시)에 삽입 결합된다. 이에 따라, 삽입 공간(312)에 삽입된 회전체부(320)가 겉도는 상황이 방지될 수 있다.
회전 돌기(322)는 회전 몸체(321)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회전 돌기(322)는 회전 몸체(321)의 외주면의 상측에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회전 돌기(322)는 조작 돌기(311)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회전 돌기(322)는 조작 돌기(311)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회전 돌기(322)는 회전 몸체(321)의 외주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그 단면적이 감소되게 형성된다.
지지 플레이트(323)는 회전체부(320)가 다이얼부(310) 및 플레이트부(33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지지 플레이트(323)는 회전 몸체(321) 및 플레이트부(330)와 각각 결합된다.
지지 플레이트(323)는 삽입 공간(312) 또는 회전 몸체(321)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플레이트(323)는 원호(arc) 또는 부채꼴 형상의 단면을 갖고, 좌우 방향의 두께를 갖게 형성된다.
지지 플레이트(323)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지지 플레이트(323)는 서로 이격되어, 각각 회전 몸체(321)와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플레이트(323)는 두 개 구비되어, 회전 몸체(321)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배치된다.
좌측에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323)는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갖게 형성되어, 회전 몸체(321) 및 다이얼부(310)와 각각 결합된다. 우측에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323)는 부채꼴 형상의 단면을 갖게 형성되어, 회전 몸체(321) 및 플레이트부(330)와 각각 결합된다.
이때, 우측에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323)의 외주면의 일부는 지지 면(324)으로 정의될 수 있다.
지지 면(324)은 조작부(300)의 회전에 따라 제1 면(271) 또는 제2 면(272)에 접촉되는 부분이다. 지지 면(324)은 제1 면(271) 또는 제2 면(272)과 접촉됨에 따라, 조작부(300)의 회전 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지지 면(324)은 지지 플레이트(323), 구체적으로 우측에 배치되며 부채꼴 형상의 단면을 갖는 지지 플레이트(323)의 외면의 일부를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면(324)은 지지 플레이트(323)의 하측 외면의 일부를 형성한다. 달리 표현하면, 지지 면(324)은 지지 플레이트(323)의 외면 중 통기 베이스(210) 또는 통기 베이스(210)에 형성된 면(270)을 향하는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지지 면(324)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지지 면(324)은 서로 연속되되, 다른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면(324)은 상대적으로 전방 측에 위치되어 전방 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지지 면(324a) 및 상대적으로 후방 측에 위치되어 후방 측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지지 면(324b)을 포함한다.
플레이트부(330)가 통기 관통공(250)을 폐쇄하는 제1 위치(P1)로 조작되면, 제1 지지 면(324a)과 제1 면(271)이 접촉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부(330)가 통기 관통공(250)을 개방하는 제2 위치(P2)로 조작되면, 제2 지지 면(324b)과 제2 면(272)이 접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지지 면(324a) 및 제2 지지 면(324b)은 통기 베이스(2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 지지 면(324a)은 전방 측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제2 지지 면(324b)은 후방 측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각각 상측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지지 면(324a) 및 제2 지지 면(324b)의 형상과, 상술한 제1 면(271) 및 제2 면(272)의 형상에 의해 조작부(300)가 회전될 수 있는 각도가 확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접촉 면(314) 또한 지지 면(324)과 동일한 과정을 통해 면(270)과 접촉되거나 이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접촉 면(314)과 지지 면(324)은 같은 평면 상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접촉 면(314) 및 지지 면(324)이 복수 개 구비되는 실시 예에서, 제1 접촉 면(314a) 및 제1 지지 면(324a)이, 제2 접촉 면(314b) 및 제2 지지 면(324b)이 서로 같은 평면 상에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면(270)과의 접촉은 접촉 면(314) 및 지지 면(324)에 의해 수행될 수 있어, 조작부(300)의 회전 각도가 보다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게 조작될 수 있다.
플레이트부(330)는 다이얼부(310)와 함께 회전되어, 통기 관통공(250)을 개방하거나 페쇄하게 구성된다.
플레이트부(330)는 통기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플레이트부(330)는 통기 관통공(250)에 인접하게, 통기 공간(230)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다.
제1 위치(P1)에서, 플레이트부(330)는 통기 관통공(250)을 폐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기 공간(230)은 제1 연통 개구부(241) 및 제2 연통 개구부(242)와 각각 연통되어, 유입된 외기는 다시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제2 위치(P2)에서, 플레이트부(330)는 통기 관통공(250)을 개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기 공간(230)으로 유입된 외기는 통기 관통공(250)을 통해 수용 공간(120)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때, 제2 위치(P2)에서, 플레이트부(330)는 통기 공간(230)과 제2 연통 개구부(242)의 연통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통기 공간(230)으로 유입된 외기는 수용 공간(120)으로 유동되되, 제2 연통 개구부(242)를 통해 외부로 임의 유출되지 않게 된다.
결과적으로, 조작부(300)가 제2 위치(P2)로 조작된 경우, 수용 공간(120)의 통풍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플레이트부(330)는 통기 공간(23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레이트부(330)는 사각의 판형으로 형성되되, 제1 연통 개구부(241)를 향하는 일측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단부가 우측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후방 측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다.
플레이트부(330)의 형상은 통기 공간(230) 또는 통기 공간(230)을 덮으며 통기부(200)에 결합되는 커버부(400)의 내측 면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플레이트부(330)는 회전체부(320)와 결합된다. 플레이트부(330)는 회전체부(32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레이트부(330)의 좌측 단부가 회전체부(320)의 지지 플레이트(323), 즉 우측에 위치되는 지지 플레이트(323)와 결합된다. 플레이트부(330)는 회전체부(320)를 사이에 두고 다이얼부(310)를 마주하게 배치된다.
플레이트부(330)는 회전축부(340)와 결합된다. 플레이트부(330)는 회전축부(34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레이트부(330)의 우측 단부가 우측에 위치되는 회전축부(340)와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레이트부(330)는 결합 함몰부(331)를 포함한다.
결합 함몰부(331)는 플레이트부(330)의 면 중 통기 관통공(250)을 향하는 일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면에 함몰 형성된다. 조작부(300)가 제1 위치(P1)로 조작되어 플레이트부(330)가 통기 관통공(250)을 덮으면, 결합 함몰부(331)는 통기 관통공(250)을 방사상 외측에서 둘러싸게 된다.
이에 따라, 결합 함몰부(331)의 방사상 내측에 형성되는 보스(boss)부(도면 부호 미부여)가 통기 관통공(250)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위치(P1)에서, 통기 관통공(250)의 폐쇄가 신뢰성 있게 수행될 수 있다.
결합 함몰부(331)는 통기 관통공(250)을 방사상 외측에서 둘러쌈으로써, 그 내부에 형성된 보스부(도면 부호 미부여)가 통기 관통공(250)을 폐쇄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함몰부(331)는 통기 관통공(250)의 단면의 외주 형상과 같이 환형(ring shape)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결합 함몰부(331)의 방사상 내측에 형성되는 보스부(도면 부호 미부여) 또한 원형의 단면을 갖게 형성된다. 보스부(도면 부호 미부여)의 상기 형상이 통기 관통공(250)의 단면의 형상에 상응됨이 이해될 것이다.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는 커버부(400)를 포함한다.
커버부(400)는 통기부(200) 및 통기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조작부(300)를 덮으며 통기부(200)에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기부(200)는 외부 프레임(100)과 결합되는 바, 커버부(400)는 통기부(200)를 매개로 외부 프레임(100)과 결합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커버부(400)가 외부로 노출되는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면은 스무스(smooth)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행 중 공기 저항이 최소화되어 주행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부(400)와 통기부(200)는 스냅 결합(snap fit)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기부(200)의 결합 공간(260) 및 커버부(400)의 내측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 면에는 스냅 결합을 위한 부재(도면 부호 미부여)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버부(400)는 커버 몸체(410), 커버 개구부(420) 및 유입 모서리(430)를 포함한다.
커버 몸체(410)는 커버부(400)의 몸체를 형성한다. 커버 몸체(410)는 통기부(200) 및 통기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작부(300)를 덮으며 통기부(200)와 결합된다. 이에 따라, 커버 몸체(410)는 통기부(200) 및 조작부(300)의 임의 노출을 제한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커버 몸체(410)는 통기부(20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버 몸체(410)는 통기 베이스(210)의 형상과 유사하게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되, 각 모서리가 적어도 한 개의 곡면을 포함하는 다각 형상의 단면을 갖게 형성된다.
이때, 통기부(200)에 결합된 커버 몸체(410)는 연장 방향의 각 측이 개방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버 몸체(410)의 전방 측 및 후방 측은 통기부(200)와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에 의해, 제1 연통 개구부(241) 및 제2 연통 개구부(242)가 외부와 연통되어 외기가 유입되거나 유출될 수 있다.
커버 몸체(410)의 내부에는 커버 개구부(420)가 관통 형성된다.
커버 개구부(420)는 조작부(300)의 다이얼부(310)가 외부로 노출되는 통로로 기능된다. 커버 개구부(420)는 커버 몸체(410)의 내부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커버 개구부(420)는 다이얼부(310)의 위치에 상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커버 개구부(420)는 다이얼부(31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다이얼부(310)의 회전 방향을 따라 소정의 유격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커버 개구부(420)는 사각형의 단면을 갖고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사각기둥 형상의 공간으로 형성된다. 이때, 커버 개구부(420)의 폭, 즉 좌우 방향의 길이는 다이얼부(310)의 좌우 방향의 길이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 개구부(420)의 길이, 즉 전후 방향의 길이는 다이얼부(310)의 회전 거리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커버 개구부(420)에 관통된 다이얼부(310)를 조작하여 조작부(300)를 제1 위치(P1) 또는 제2 위치(P2)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유입 모서리(430)는 커버 몸체(410)의 일 모서리를 형성한다. 유입 모서리(430)는 통기부(200)와 이격되어, 그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게 배치된다. 상기 공간에 의해, 제1 연통 개구부(241)가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도 2 참조).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입 모서리(430)는 커버 몸체(410)의 전방 측 모서리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유입 모서리(430)는 적어도 한 개의 곡면을 갖고, 후방 측에서 전방 측을 향해 내측에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는 통풍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 유입된 외기가 두부 보호 장비(1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기의 유입에 따른 공기 저항이 최소화되어 주행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에서 형성되는 외기의 유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조작부(300)가 제1 위치(P1)로 조작된 상태가 도시된다. 제1 위치(P1)에서, 통기 공간(230)에 배치되는 플레이트부(330)는 통기 관통공(250)을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통기 관통공(250)을 폐쇄한다. 이때, 제1 접촉 면(314a) 및 제1 지지 면(324a)은 전방 측에 위치되는 제1 면(271)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수용 공간(120) 및 프레임 관통공(130)은 통기 공간(230)과의 연통이 차단된다. 또한, 제1 연통 개구부(241) 및 제2 연통 개구부(242)는 통기 공간(230)에 의해 연통된다.
따라서, 제1 연통 개구부(241)를 통해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는 통기 공간(230)을 거쳐 제2 연통 개구부(242)를 통해 다시 외부로 유출된다. 결과적으로, 외기가 수용 공간(120)으로 유입되지 않는 상황에서, 두부 보호 장비(10)에 인가되는 공기 저항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조작부(300)가 제2 위치(P2)로 조작된 상태가 도시된다. 제2 위치(P2)에서, 통기 공간(230)에 배치되는 플레이트부(330)는 통기 관통공(250)에 반대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통기 관통공(250)을 개방한다. 이때, 제2 접촉 면(314b) 및 제2 지지 면(324b)은 후방 측에 위치되는 제2 면(272)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수용 공간(120) 및 프레임 관통공(130)은 통기 관통공(250)에 의해 통기 공간(230)과 연통된다. 또한, 플레이트부(330)에 의해 제1 연통 개구부(241)와 제2 연통 개구부(242)의 연통이 차단된다. 결과적으로, 통기 공간(230)과 제2 연통 개구부(242)의 연통 역시 차단된다.
따라서, 제1 연통 개구부(241)를 통해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는 통기 공간(230) 및 통기 관통공(250)을 거쳐 수용 공간(12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기 공간(230)과 제2 연통 개구부(242) 사이의 연통이 차단되는 바, 유입된 외기는 수용 공간(120)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풍을 위해 수용 공간(120)으로 유입되는 외기의 양이 증가되어, 통풍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두부 보호 장비(10)는 수용 공간(120)과 연통되는 통기 관통공(250)을 포함한다. 통기 관통공(250)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플레이트부(330)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되어, 외부와의 연통이 허용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플레이트부(330)는 다이얼부(310)와 결합되어, 다이얼부(310)와 함께 회전된다. 다이얼부(310)는 두부 보호 장비(10)의 외측으로 노출되되, 외부 프레임(100)의 외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착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파지, 조작될 수 있다.
따라서, 다이얼부(310)의 회전 조작만으로도 수용 공간(120)으로의 외기의 유입이 허용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기를 이용한 수용 공간(120)의 통풍 여부가 용이하게 조작될 수 있다.
또한, 통기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이얼부(310)는 복수 개의 접촉 면(314)을, 다이얼부(310)와 결합되어 함께 회전되는 회전체부(320)는 복수 개의 지지 면(324)을 포함한다. 통기부(200)에는 복수 개의 면(270)이 구비된다.
통기 관통공(250)이 폐쇄되는 제1 위치(P1)에서, 복수 개의 접촉 면(314)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지지 면(324) 중 어느 하나는 복수 개의 면(270) 중 어느 하나와 접촉된다.
통기 관통공(250)이 개방되는 제2 위치(P2)에서, 복수 개의 접촉 면(314) 중 다른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지지 면(324) 중 다른 하나는 복수 개의 면(270) 중 다른 하나와 접촉된다.
따라서, 조작부(300)의 회전 거리는 상기 접촉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작부(300)의 회전 거리 및 회전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위치(P1)에서, 플레이트부(330)는 통기 관통공(250)을 폐쇄한다. 이에 따라, 통기 공간(230)과 제2 연통 개구부(242)가 연통되어, 제1 연통 개구부(241)를 통해 유입된 외기는 제2 연통 개구부(242)를 거쳐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용 공간(120)의 통풍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2 위치(P2)에서, 플레이트부(330)는 통기 관통공(250)을 개방하되 통기 공간(230)과 제2 연통 개구부(242)의 연통은 차단한다. 따라서, 외부에서 유입된 외기는 통기 관통공(250)을 거쳐 수용 공간(120)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행 중 발생되는 공기 저항이 최소화되어, 주행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복잡한 구조로 형성되는 통기부(200) 및 조작부(300)는 커버부(400)에 의해 덮이게 배치된다. 즉, 두부 보호 장비(10)의 외부에는 곡면 형상의 외면(110), 다이얼부(310)의 일부 및 커버부(400)의 외면이 노출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두부 보호 장비(10)의 외부에 곡면 형상의 외면(110), 다이얼부(310)의 일부 및 커버부(400)의 외면이 노출됨에 따라, 두부 보호 장비(10)는 전체적으로 라운드진 곡면 형상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두부 보호 장비(10)의 외형이 미려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두부 보호 장비 100: 외부 프레임
110: 외면 120: 수용 공간
130: 프레임 관통공 200: 통기부
210: 통기 베이스 220: 통기 리브
221: 제1 통기 리브 222: 제2 통기 리브
230: 통기 공간 240: 연통 개구부
241: 제1 연통 개구부 242: 제2 연통 개구부
250: 통기 관통공 260: 결합 공간
261: 제1 결합 공간 262: 제2 결합 공간
270: 면 271: 제1 면
272: 제2 면 280: 통기 함몰부
281: 제1 통기 함몰부 282: 제2 통기 함몰부
300: 조작부 310: 다이얼부
311: 조작 돌기 312: 삽입 공간
313: 축 수용부 314: 접촉 면
314a: 제1 접촉 면 314b: 제2 접촉 면
320: 회전체부 321: 회전 몸체
322: 회전 돌기 323: 지지 플레이트
324: 지지 면 324a: 제1 지지 면
324b: 제2 지지 면 330: 플레이트부
331: 결합 함몰부 340: 회전축부
400: 커버부 410: 커버 몸체
420: 커버 개구부 430: 유입 모서리
P1: 제1 위치 P2: 제2 위치

Claims (14)

  1.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외부 프레임;
    상기 외부 프레임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게 구성되는 통기부; 및
    상기 통기부와 상기 수용 공간의 연통이 차단되는 제1 위치 및 상기 통기부와 상기 수용 공간의 연통이 허용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상기 통기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용 공간과 외부의 연통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기부는,
    상기 수용 공간과 연통되는 통기 공간; 및
    개방 형성되어 외부 및 상기 통기 공간과 각각 연통되는 복수 개의 연통 개구부를 포함하여,
    상기 조작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통기 공간이 복수 개의 상기 연통 개구부 모두를 통해 외부와 연통되어 상기 통기 공간에 유입된 외기가 외부로 유출되고,
    상기 조작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통기 공간이 복수 개의 상기 연통 개구부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만 외부와 연통되어 상기 통기 공간에 유입된 외기가 상기 수용 공간으로 유입되는,
    두부 보호 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공간의 내부에 위치되며, 관통 형성되어 상기 통기 공간과 상기 수용 공간을 연통하는 통기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통기 관통공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통기 관통공을 폐쇄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통기 관통공을 개방하게 구성되는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는,
    상기 통기 공간의 일 부분을 둘러싸는 통기 베이스; 및
    상기 통기 베이스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통기 공간의 다른 부분을 둘러싸는 통기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통기 관통공을 덮으며 상기 통기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통기 리브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연통 개구부는,
    상기 통기 공간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연통 개구부 및 상기 일측에 반대되는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연통 개구부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통기 공간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제1 연통 개구부 및 상기 제2 연통 개구부의 연통을 차단하여,
    상기 통기 공간에 유입된 유체는 상기 통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수용 공간으로 유동되는,
    두부 보호 장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는,
    상기 통기 공간을 내측에서 둘러싸는 통기 베이스; 및
    상기 통기 베이스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통기 공간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상기 조작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통기 리브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는,
    상기 통기 공간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조작부의 일부를 수용하는 제1 결합 공간; 및
    상기 통기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결합 공간을 마주하게 위치되어, 상기 조작부의 다른 일부를 수용하는 제2 결합 공간을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리브는,
    상기 통기 공간과 상기 제1 결합 공간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 결합 공간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제1 통기 리브; 및
    상기 통기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통기 리브를 마주하게 위치되어, 상기 제2 결합 공간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제2 통기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통기 리브 및 상기 제2 통기 리브에는, 상기 조작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통기 함몰부가 형성되는,
    두부 보호 장비.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공간 및 상기 통기 공간에 수용된 상기 조작부의 일부를 덮으며 상기 통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커버 몸체; 및
    상기 커버 몸체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조작부의 다른 일부가 관통되는 커버 개구부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통기 리브에 함몰 형성되는 통기 함몰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체부;
    상기 회전체부와 결합되며, 외부에 노출되어 외력에 의해 조작 가능하게 구비되는 다이얼부; 및
    상기 회전체부와 결합되며, 상기 제1 위치 및 상기 제2 위치 사이에서 회전되어 상기 통기부에 구비되는 통기 관통공을 개방하거나 폐쇄하게 구성되는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부는,
    상기 회전체부의 소재 또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소재보다 마찰 계수(coefficient of friction)가 더 큰 소재로 형성되는,
    두부 보호 장비.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부는,
    일 측의 외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1 접촉 면; 및
    상기 일 측의 외면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접촉 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속되는 제2 접촉 면을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는,
    상기 통기 공간에 수용된 상기 다이얼부 및 상기 회전체부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 개의 면을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면은,
    상기 제1 접촉 면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수용 공간을 향해 연장되는 제1 면; 및
    상기 제2 접촉 면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수용 공간을 향해 연장되는 제2 면을 포함하는,
    두부 보호 장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가 상기 제1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제1 접촉 면은 상기 제1 면과 접촉되고,
    상기 조작부가 상기 제2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제2 접촉 면은 상기 제2 면과 접촉되는,
    두부 보호 장비.
KR1020220052615A 2022-04-28 2022-04-28 두부 보호 장비 KR102571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615A KR102571406B1 (ko) 2022-04-28 2022-04-28 두부 보호 장비
PCT/KR2023/004282 WO2023210989A1 (ko) 2022-04-28 2023-03-30 두부 보호 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2615A KR102571406B1 (ko) 2022-04-28 2022-04-28 두부 보호 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1406B1 true KR102571406B1 (ko) 2023-08-28

Family

ID=87806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2615A KR102571406B1 (ko) 2022-04-28 2022-04-28 두부 보호 장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71406B1 (ko)
WO (1) WO2023210989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95439A1 (en) * 2008-10-16 2010-04-22 HaberVision LLC Actively ventilated helmet systems and methods
KR20120003190U (ko) 2010-10-29 2012-05-09 구본엽 통풍이 가능한 헬멧
KR20190014960A (ko) * 2017-08-04 2019-02-13 (주)바이오융합기술 헬멧
KR20200052179A (ko) 2018-11-06 2020-05-14 주식회사 창의산업 통풍제어 기능을 갖는 오토바이 헬멧
KR102211703B1 (ko) * 2019-07-31 2021-02-02 장용호 에어필터가 구비된 미세먼지방지 공기압 에어헬멧
KR20210037345A (ko) * 2019-09-27 2021-04-06 길춘화 방열기능을 구비하는 안전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95439A1 (en) * 2008-10-16 2010-04-22 HaberVision LLC Actively ventilated helmet systems and methods
KR20120003190U (ko) 2010-10-29 2012-05-09 구본엽 통풍이 가능한 헬멧
KR20190014960A (ko) * 2017-08-04 2019-02-13 (주)바이오융합기술 헬멧
KR20200052179A (ko) 2018-11-06 2020-05-14 주식회사 창의산업 통풍제어 기능을 갖는 오토바이 헬멧
KR102211703B1 (ko) * 2019-07-31 2021-02-02 장용호 에어필터가 구비된 미세먼지방지 공기압 에어헬멧
KR20210037345A (ko) * 2019-09-27 2021-04-06 길춘화 방열기능을 구비하는 안전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10989A1 (ko) 2023-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1215B1 (ko) 호흡용 보호구
EP0571065B1 (en) Helmet
KR100871285B1 (ko) 헬멧
JPH04119108A (ja) 乗車用ヘルメット
KR102571406B1 (ko) 두부 보호 장비
US6881139B2 (en) Device for opening or closing car air vents
JP3875650B2 (ja) フルフェースヘルメットにおけるマウスシャッタの支持構造
KR100613712B1 (ko) 차량용 에어 덕트 소음방지구조
TWI253331B (en) Supporting structure of chin-ventilation shutter for full-face type helmet
KR102627599B1 (ko) 두부 보호 장비
CN212899015U (zh) 具有多风路切换功能的风机
CN102734889B (zh) 换气装置
US20090007986A1 (en) Pneumatic tool with dust-blowing effect
US6966809B2 (en) Air supply and exhaust system for buoyancy compensator
KR102099649B1 (ko) 공기조화기
JP3216451U (ja) レジスタ
JP7265935B2 (ja) ヘルメットおよびグロメット
JPH01244912A (ja) 自動車用空調機の送風装置
JPH0441138Y2 (ko)
JP2021070392A (ja) 風向調整装置
CN220923763U (zh) 香氛装置
CN211400252U (zh) 导风机构及空调器
CN221097568U (zh) 多通阀
JP2004042809A (ja) レジスタ
CN215110819U (zh) 船用液动组合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