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1285B1 - 헬멧 - Google Patents

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1285B1
KR100871285B1 KR1020027017374A KR20027017374A KR100871285B1 KR 100871285 B1 KR100871285 B1 KR 100871285B1 KR 1020027017374 A KR1020027017374 A KR 1020027017374A KR 20027017374 A KR20027017374 A KR 20027017374A KR 100871285 B1 KR100871285 B1 KR 100871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
head
delete delete
helmet
venti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7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7231A (ko
Inventor
하루오 다나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쇼우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쇼우에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쇼우에이
Publication of KR20030037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7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1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1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 A42B3/281Air ducting systems
    • A42B3/283Air inlets or outlets, with or without closure shutte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93Aerodynamic helmets; Air guid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전단으로부터 후단에 걸쳐 두부보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점차 멀어지는 기류편향면(63)을 갖는 스테빌라이저부 또는 통기구형성부(61)을 갖는 스테빌라이저구성부재 또는 통기구형성부재(51)가 두부보호체의 외측에 배치된다. 한 관점에 따라서, 상기 기류편향면(63)의 후단부근으로부터 두부보호체의 외주면을 향하여 연장된 단차면(64)에 배기구(55a∼55c)이 형성되어 있다. 다른 한 관점에 따라서, 통기구형성부재(51)는 양갈래형의 돌조부(66)로 둘러싸이는 배기구(54a)(54b)를 갖는 기류분할부(62a)(62b)를 갖는다.
이로써, 두부보호체의 내부 공기를 배기구(55a-55c) 및/또는 배기구(54a)(54b)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관점에서, 두부보호체의 주행안정성을 달성할 수 있다.
헬멧, 벤틸레이터, 기류편향면, 통기구형성부재.

Description

헬멧{HELMET}
본 발명은 자동이륜차의 탑승자와 같은 헬멧착용자(이하 간단히 "착용자"라 함)가 두부(頭部)의 보호를 위하여 두부에 착용하는 두부보호체를 구비하고 이 두부보호체의 내부의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벤틸레이터기구를 상기 두부보호체에 설치한 헬멧에 관한 것이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두부보호체의 내부에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시일드판의 내측면에 입김이 서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두부보호체에 벤틸레이터기구를 설치한 풀 페이스형 헬멧이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5,093,938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와 같은 미국특허 제5,093,938호에 기술된 풀 페이스형 헬멧(이하 간단히 "상기 종래의 헬멧"이라 함)은 착용자의 두부에 착용하는 풀 페이스형 두부보호체에 착용자의 안면에 대향되게 형성된 창공(窓孔)의 상하에 이마부분 벤틸레이터기구와 턱부분 벤틸레이터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이마부분 벤틸레이터기구와 턱부분 벤틸레이터기구는 이마부분 급기공과 턱부분 급기공을 다수 가지며 이들 이마부분 및 턱부분 급기공은 이마부분 셔터부재 및 턱부분 셔터부재에 의하여 각각 개폐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헬멧에 있어서는 이마부분 급기공을 개방상태에 있도록 함으로서 두부보호체의 내부(그리고, 부두보호체 자체의 내부조직과/또는 두부보호체의 두부수용공간)에 외부공기를 도입하여 두부보호체의 내부에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턱부분 급기공을 개방상태가 되게 하여 시일드판의 내측면의 하단부근에서 두부보호체이 내부에 외부공기를 도입함으로서 이와 같이 도입되는 외부공기를 시일드판의 내측면을 따라서 상승시켜 시일드판에 김이 서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상기 종래의 헬멧에 있어서는 이마부분 급기공을 통하여 두부보호체의 내부로 도입되는 외부공기는 두부보호체의 내부에 광범위하게 자연확산되므로 두부보호체의 내부를 환기하고자 하는 통풍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가 없다. 또한, 턱부분 급기공을 통하여 시일드판의 내측면의 하단부근에서 두부보호체의 내부로 도입되는 외부공기가 시일드판의 내측면을 따라서 상승하지 않고 그 외부공기의 상단부분이 두부보호체의 내부에 광범위하게 자연확산됨으로서 시일드판의 김서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헬멧은 비가 오거나 습도가 상당히 높은 경우에는 두부보호체 내부의 환기 및 시일드판의 김서림방지효과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된 종래 헬멧의 결점을 비교적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관점에 의하면, 헬멧착용자가 두부에 착용하는 두부보호체를 구비하고 이 두부보호체에 벤틸레이터기구를 배치한 헬멧에 있어서, 스테빌라이저부를 갖는 스테빌라이저구성부재가 상기 두부보호체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테빌라이저부가 그 전단으로부터 후단에 걸쳐 상기 두부보호체의 외부면으로부터 점차 멀어지는 기류편향면과, 상기 기류편향면의 후단부근으로부터 상기 두부보호체의 외주면을 향하여 연장된 단차면을 가지며, 상기 벤틸레이터기구의 제2의 배기구로서 작용하는 제2의 통기구가 상기 단차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관점에 의하면, 헬멧착용자가 두부에 착용하는 두부보호체를 구비하고 이 두부보호체에 벤틸레이터기구를 배치한 헬멧에 있어서, 스테빌라이저부와, 이 스테빌라이저부와는 별도로 배치된 기류분할부를 공통으로 갖는 스테빌라이저구성부재가 상기 두부보호체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테빌라이저부가 그 전단으로부터 후단에 걸쳐 상기 두부보호체의 외부면으로부터 점차 멀어지는 기류편향면을 가지며, 상기 기류분할부가 실질적으로 V자형 또는 U자형 등의 실질적인 양갈래형의 돌조부와, 이러한 실질적인 양갈래형 돌조부에 둘러싸여 상기 벤틸레이터기구의 배기구로서 작용하는 통기구를 갖는 헬멧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제2관점에 있어서, 그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스테빌라이저부가 상기 기류편향면의 후단부근으로부터 상기 두부보호체의 외주면을 향하여 연장된 단차면을 가지고, 상기 벤틸레이터기구의 제2배기구로서 작용하는 제2통기구가 상기 단차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제3에 의하면, 헬멧착용자가 두부에 착용하는 두부보호체를 구비하고 이 두부보호체에 벤틸레이터기구를 배치한 헬멧에 있어서, 통기구형성 부와, 이 통기구형성부와는 별도로 형성된 기류분할부를 공통으로 구비하는 통기구형성부재가 상기 두부보호체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통기구형성부재는 그 전단으로부터 후단에 걸쳐 상기 두부보호체의 외부면으로부터 점차 멀어지는 기류편향면과, 이 기류편향면의 후단부근으로부터 상기 두부보호체의 외주면을 향하여 연장된 단차면을 가지며, 상기 기류분할부가 실질적으로 V자형 또는 U자형 등의 실질적인 양갈래형의 돌조부와, 이러한 실질적인 양갈래형 돌조부에 둘러싸여 상기 벤틸레이터기구의 배기구로서 작용하는 통기구를 가지고, 상기 벤틸레이터기구의 제2배기구로서 작용하는 제2통기구가 상기 단차면에 형성된 헬멧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관점의 상기 제1실시형태 및 본 발명의 상기 제3관점에 있어서, 상기 제2관점의 제2실시형태 및 상기 제3관점의 제1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두부보호체의 외측셀에 제1 및 제2 통기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측셀의 상기 제1통기구로부터 상기 기류분할부의 상기 통기구까지 적어도 하나의 제1배기통로와, 상기 외측셀의 상기 제2통기구로부터 상기 단차면의 상기 제2통기구까지 적어도 하나의 제2배기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배기통로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배기통로를 함께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셔터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관점의 제2실시형태와 상기 제3관점의 상기 제1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관점의 제3실시형태와 상기 제3관점의 제2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1배기통로를 좌우 한쌍 비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2배기통로를 좌우 한쌍 비치하고, 상기 셔터기구는 상기 좌우 한쌍의 제1배기통로와 상기 좌우 한쌍의 제2배기통로를 함께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시킬 수 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관점의 제1실시형태와 상기 제3관점에서, 상기 제2관점의 제4실시형태와 상기 제3관점의 제3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두부보호체의 외측셀에 제1 및 제2통기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측셀의 상기 제1통기구로부터 상기 단차면의 상기 제2통기구까지 이르는 제1 배기통로와, 상기 외측셀의 상기 제2통기구로부터 상기 기류분할부의 상기 통기구까지 제2배기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배기통로를 개폐하는 셔터기구를 구비함이 없이 상기 제2배기통로를 개폐할 수 있는 셔터기구를 또한 구비하고 있더라도 좋다.
상기 제1관점에 따른 본 발명에 있어서, 스테빌라이저부의 단차면에 벤틸레이터기구의 배기구로서 작용하는 통기구를 형성하고, 이 통기구를 형성한 단차면이 기류편향면의 후단부근으로부터 두부보호체의 외주면을 향하여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배기구의 외측에는 부압(負壓)이 형성되어 두부보호체의 내부공기를 상기 통기구로부터 외부로 양호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비교적 간단한 기구로서 배기구로부터 두부보호체의 내부공기를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관점 및 상기 제2관점에 따른 본 발명에 있어서, 두부보호체의 외주면을 따라서 유동하는 주행풍(走行風)이 스테빌라이저부의 기류편향면을 따라서 두부보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강제적으로 분리되어져서 실질적으로 층상의 상태로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두부보호체의 후부에 급격히 되돌아 오는 주행풍의 양을 적게 할 수 있고 두부보호체에 대한 저항력 및 양력이 각각 작아지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비교적 간단한 구성만으로 두부보호체의 주행안정성을 달성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관점 및 제3관점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벤틸레이터기구의 배기구로서 작용하는 기류분할부의 통기구가 실질적으로 양갈래형인 돌조부로 둘러싸여 있어 상기 통기구의 외측에는 부압이 형성됨으로서 두부보호체의 내부공기를 상기 통기구로부터 외부로 양호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관점의 상기 제1실시형태 및 상기 제3관점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벤틸레이터기구의 제1배기구로서 작용하는 기류분할부의 통기구와는 별도로 스테빌라이저부 또는 통기구형성부의 단차면에 벤틸레이터기구의 제2배기구로서 작용하는 제2통기구가 형성되고 이 통기구가 형성된 단차면이 기류편향면의 후단부근으로부터 두부보호체의 외주면에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배기구의 외측에도 부압이 형성되어 두부보호체의 내부공기를 상기 제2통기구로부터 외부로 양호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두 종류의 배기구(즉, 제1 및 제2배기구)로부터 두부보호체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제2관점의 상기 제2실시형태 및 상기 제3관점의 상기 제1실시형태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1배기구를 끝으로 하고 있는 제1배기통로와 상기 제2배기구를 끝으로 하고 있는 제2배기통로를 공통의 셔터기구로 함께 개폐 할 수 있으므로 이들 두 종류의 배기통로(즉, 제1 및 제2배기통로)의 개폐조작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제2관점의 상기 제3실시형태 및 상기 제3관점의 상기 제2실시형태 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및 제2배기통로를 좌우 한쌍씩 형성하였으므로 두부보호체의 내부공기를 한층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그러나, 좌우 한쌍의 제1배기통로와 좌우 한쌍의 제2배기통로를 공통의 셔터기구에 의하여 함께 개폐할 수 있어 이들 두 종류로써 합계 4개의 배기통로의 개폐조작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관점의 상기 제4실시형태 및 상기 제3관점의 상기 제3실시형태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셔터기구의 구성과 조작을 간소화 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풀 페이스형 헬멧에 적용한 제1실시형태에 의한 헬멧 전체를 우측상방의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헬멧의 우측면도.
도 3은 도 1의 헬멧의 배면도.
도 4는 도 1의 헬멧의 정면도.
도 5는 두부후측 벤틸레이터기구의 스테빌라이저구성부재 겸용의 통기구형성부재를 두 부분으로 절단하여 그 일측반부분을 분리한 상태를 보인 것으로, 도 1의 헬멧에 의한 두부후측의 벤틸레이터기구를 우측상방의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6은 두부, 턱부분 및 볼부분의 충격흡수라이너에 취부되는 각종의 부재를 생략한 상태에서 보인 것으로. 도 1의 헬멧을 일부 절개표시하고 우측상방의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인 확대도.
도 8은 도 6과는 다른 위치에서 일부 절개하여 보인 것으로 , 도 1의 헬멧의 도 6과 같은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인 확대도.
도 10은 도 1에서 보인 벤틸레이터의 두부, 턱부분 및 볼부분 충격흡수라이너의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을 풀 페이스형 헬멧에 적용한 제2실시형태에 의한 헬멧 전체를 우측상방의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헬멧의 우측면도.
도 13은 도 11의 헬멧의 배면도.
도 14는 도 11의 헬멧의 정면도.
도 15는 두부후측 벤틸레이터기구의 스테빌라이저구성부재 겸용의 통기구형성부재를 두 부분으로 절단하여 그 일측반부분을 분리한 상태를 보인 것으로, 도 11의 헬멧에 의한 두부후측의 벤틸레이터기구를 우측상방의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6은 도 15에서 보인 셔터기구의 취부부재의 평면도.
도 17은 도 15에서 보인 셔터기구의 셔터부재의 평면도.
도 18은 도 15에서 보인 셔터기구의 조작손잡이 일부를 절단하여 보인 종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을 풀페이스형 헬멧에 적용한 제3실시형태에 의한 두부후측의 벤틸레이터기구를 보인 것으로, 스테빌라이저구성부재 겸용 통기구형성부재를 가상선으로 표시하여 좌측방향에서 본 사시도.
[실시예]
이제, 본 발명을 풀 페이스형 헬멧에 적용한 제1, 제2 및 제3 실시예를 구분하고 도면을 참조하여 차례로 설명한다.
1. 제1실시예
먼저, 제1실시예를 "헬멧 전체", "두부, 턱부분 및 볼부분 충격흡수라이너", "이마부분 및 턱부분 벤틸레이터기구", 그리고 "두부후측 벤틸레이터기구"로 구분하고 도 1-도 10을 참조하여 차례로 설명한다.
(1) 헬멧 전체
풀 페이스형 헬멧(1)은 도 1-도 4에서 보인 바와 같이, 착용자의 두부에 착용하는 풀 페이스형의 캡상 두부보호체(2), 착용자의 이마부분과 턱부분사이(즉, 안면)에 대향되게 두부보호체(2)의 전면에 형성된 창공(3)을 개폐하는 시일드판(4)과, 두부보호체(2)의 내측에 각각 취부되는 좌우 한쌍의 턱받침용 밴드(도 1-도 4에 있어서는 두부보호체 2의 내부에 수용되어 보이지 않아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종래로부터 잘 알려진 것이다)로 구성된다. 그래서, 두부보호체(2)에서의 착용자의 이마부분에 대향하는 이마 영역 및 그 근방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이마부분 벤틸레이터기구(9)가 구성되어 있고, 또한 두부보호체(2)에서의 착용자의 턱부분에 대향되는 턱영역 및 그 근방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턱부분 벤틸레이터기구(10)가 구성되어 있고, 또한 두부보호체(2)에서의 착용자의 정수리부분(즉, 그 전측부분 및 후측부분) 및 후두부의 상측부분에 대향하는 정수리부분 영역(즉, 그 전측부분 및 후측부분), 그리고 후두영역의 상측부분 및 그 근방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두부후측 벤틸레이터기구(8)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문에 있어서, 정수리부분, 정수리 영역의 전측부분 및 후측부분은 정수리부분 및 정수리 영역을 전측부분과 후측부분으로 2분할한 경우의 전측부분 및 후측부분을 각각 의미한다. 또한, 후두부 및 후두영역의 상측부분 및 하측부분은 후두부 및 후두영역을 상측부분과 하측부분으로 2분할한 경우의 상측부분 및 하측부분을 각각 의미한다.
따라서, 두부보호체(2)는 도 6에서 보인 바와 같이, 그 두부보호체(2)의 외주벽을 구성하는 풀 페이스형의 외측셀(5), 이 외측셀(5)의 하단의 전주위에 걸쳐 접착되어 취부된 단면이 거의 U자형인 하단주연부재(6)와, 두부보호체(2)의 창공(3)을 형성하기 위하여 외측셀(5)에 형성시킨 창공의 전주위에 걸쳐 접착등에 의하여 취부된 단면이 거의 E자형인 창공주연부재(7)로 구성되고, 또한, 착용자의 머리 앞부분, 정수리 부분, 좌우양측두부 및 후두부에 각각 대향하는 머리앞부분 영역, 정수리 영역, 좌우양측두부 영역 및 후두 영역에서의 외측셀(5)의 내주면에 접하여 접착등으로 취부시킨 캡형태의 두부용 안쪽 부재(14)와, 착용자의 턱부분과 볼부분에 대향하는 턱 영역 및 볼 영역에서의 외측셀(5)의 내주면에 접하여서 접착등으로 부착시킨 반원형의 턱, 볼부분용 안쪽부재(15)로 되어 있다.
그리고, 외측셀(5)은 FRP, 또는 기타 다른 경질합성수지 등으로 된 강도가 큰 셀본체의 내주면에 부직포 등의 유연성 시이트를 내장한 복합재료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또한, 하단주연부재(6)는 발포성 염화비닐, 합성고무 또는 기타 다른 연질합성수지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창공주연부재(7)는 합성고무 또는 기타 다른 가요성이 풍부한 탄성재료로 하는 것이 좋다.
도 6 및 도 8에서 보인 두부이면부재(14)는 종래로부터 잘 알려진 것으로, 캡상의 두부충격흡수라이너(11)와, 착용자의 좌우양측 두부에 각각 대향하는 좌우양측 두부영역을 제외한 머리 앞부분, 정수리부분 및 후두부 영역에 두부충격흡수라이너(11)의 내주면을 거의 덮도록 접착이나 테이프 막음 등에 의하여 취부시킨 통기성의 두부내면커버(도시하지 않았음)등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그리고, 도 6 및 도 8에서 보인 바와 같이, 턱부분 및 볼부분이면부재(15)는 종래로부터 잘 알려진 것으로, 거의 반원환상의 턱부분 및 볼부분 충격흡수라이너(12)와, 착용자의 좌우양측 볼부분에 대향하여 좌우양측 볼부분 영역에 있는 턱부분 및 볼부분 충격흡수라이너(12)의 내주면에 각각 접착되어 취부되는 좌우 한쌍의 블록상 패드(도시하지 않았음)로 구성된다.
시일드판(4)은 종래로부터 잘 알려진 것으로, 좌우 한쌍의 취부볼트(16)에 의하여 두부보호체(2)에 회전가능하게 취부된다. 그리고, 이 시일드판(4)은 도 2 및 도 4에서 보인 하향회전위치에서는 창공(3)을 폐쇄하고, 또한 이러한 하향회전위치로부터 상측으로 회전시킨 상향회전위치에서는 창공(3)을 개방하며, 이들의 중간위치에서는 창공(3)을 부분적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시일드판(4)은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기타 다른 합성수지 등의 투명 또는 반투명의 경질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도 2 및 도 4에 있어서, 부호 17은 착용자가 시일드판(4)을 상측 또는 하측으로 회전시키고자 할 때 손가락으로 잡기 위하여 시일드판(4)에 형성된 손잡이를 나타낸다. 또한 부호 18은 착용자가 하향위치에 있는 시일드판(4)을 상측으로 약간 회전시키고자 할 때 이 시일드판(4)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두부보호체(2)에 구성되어 있는 작동레바이다.
(2) 두부, 턱부분 및 볼부분 충격흡수라이너
두부충격흡수라이너(11)는 도 6, 도 8 및 도 10에서 보인 바와 같이, 머리 앞부분 영역, 정수리 영역, 좌우양측두부영역 및 후두부영역을 각각 갖는 종래로 부터 잘 알려진 두부충격흡수라이너에 있어서, 그 외주면에 외측요부(21)가 형성된 형상을 갖는 메인 라이너부재(22)와, 그 외측요부(21)에 끼워지도록 메인 라이너부재(22)에 취부되어 있는 외측보조라이너부재(23)로 구성된다. 외측요부(21)는 메인 라이너부재(22)의 머리 앞부분 영역의 하단(22a)부근으로부터 머리 앞부분 영역 및 정수리 영역을 각각 통하여 후두영역의 중간위치 또는 이 보다 약간 상측으로 연장되어 거의 반원환상을 이룬다. 그리고, 외측요부(21)와 머리 앞부분 영역의 하단(22a)사이에는 외측요부(21) 보다 폭이 좁고 외측요부(21)를 상기 하단(22a)에 연통시키고 있는 통기용 공간(3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측보조라이너부재(23)는 외측요부(21)과 거의 동일한 형태인 거의 반원환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외측보조라이너부재(23)은 그 내주면(23a)을 메인 라이너부재(22)의 외측요부(21)의 저면(21a)에 접촉한 상태로 외측요부(21)에 삽입되어 메인 라이너부재(22)에 취부된다. 또한, 내주면(23a)과 저면(21a)의 접촉면은 필요에 따라서 접착제 등으로 접착할 수 있다.
메인 라이너부재(22)의 외측요부(21)의 저면(21a)에는 도 6, 도 7 및 도 10에서 보인 바와 같이, 머리 앞부분 영역의 하단(22a)으로부터 머리 앞부분 영역 및 정수리 영역을 각각 거쳐서 후두영역의 중간위치 또는 이 보다 약간 상측으로(환언컨데, 외측요부 21의 전단으로부터 후단까지 거의 전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좌우 한쌍의 외측요입선(24a)(24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외측요입선(24a)(24b)의 끝단(즉, 후단)은 메인 라이너부재(22)를 두께방향으로 각각 관통하고 있는 좌, 우 한쌍의 관통공(25a)(25b)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메인 라이너부재(22)의 후두영역의 내주면(즉, 착용자의 두부를 수용하는 두부수용공간측의 면)에는 이들 관통공(25a)(25b)으로부터 후두영역의 하단(22b)까지 연장되어 있는 좌, 우 한쌍의 내측요입선(26a)(26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내측요입선(26a)(26b)의 시작단(즉, 상단)은 관통공(25a)(25b)에 각각 연통되어 있다.
거의 반원환상인 외측보조라이너부재(23)의 내주면(23a)에는, 도 6, 도 7 및 도 10에서 보인 바와 같이, 메인 라이너부재(22)의 좌우 한쌍의 외측요입선(24a)(24b)에 각각 대응하도록 좌, 우 한쌍의 내측요입선(27a)(27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내측요입선(27a)(27b)은 외측보조라이너부재(23)의 전후방향으로 거의 전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측보조라이너부재(23)가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메인 라이너부재(22)에 취부된 상태에서는 도 6 및 도 7에서 보인 바와 같이 내측요입선(27a)(27b)이 두부충격흡수라이너(11)의 두께방향에서 외측요입선(24a)(24b)에 각각 거의 겹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요입선(24a)(24b) (27a)(27b)에 의하여 두부충격흡수라이너(11)의 내부(즉, 외주면과 내주면 사이)에 좌우 한쌍의 통기공(28)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들 통기공(28)은 도 6 및 도 7에서 보인 바와 같이 통기용 공간(34)으로부터 관통공(25a)(25b)까지 연장되어 있다.
메인 라이너부재(22)의 정수리 영역의 후단부근에는, 도 6, 도 7 및 도 10에서 보인 바와 같이, 좌, 우 한쌍의 외측요입선(24a)(24b)에 각각 연통되고 또한 메인 라이너부재(22)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좌우 한쌍의 관통공(31a)(31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측보조라이너부재(23)에는 메인 라이너부재(22)의 좌, 우 한쌍의 관통공(31a)(31b)에 각각 대응하여 외측보조라이너부재(23)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좌, 우 한쌍의 관통공(32a)(32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측보조라이너부재(23)가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메인라이너부재(22)에 취부된 상태에서, 도 6 및 도 7에서 보인 바와 같이 관통공(32a)(32b)이 두부충격흡수라이너(11)의 두께방향으로 관통공(31a)(31b)에 각각 겹치고 서로 연통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관통공(31a)(31b)(32a)(32b)에 의하여, 두부충격흡수라이너(11)를 그 두께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는 좌, 우 한쌍의 조합관통공(31a)(31b)(32a)(32b)이 형성되는 것이다.
외측보조라이너부재(23)의 외주면(23b)에는 좌, 우 한쌍의 외측요입선 (29a)(29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외측요입선(29a)(29b)은 외측보조라이너부재(23)의 전단부근으로부터 중간부분보다 약간 후방(환언컨데, 두부충격흡수라이너 11의 후두영역의 중간위치부근 또는 이 보다 약간 상측)까지 연장된다. 그리고, 두부충격흡수라이너(11)가 외측셀(5)에 취부된 상태에서, 외측보조라이너부재(23)의 외주면(23b)은 외측셀(5)의 내주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이들 외측요입선(29a)(29b)과 외측셀(5)의 내주면에 의하여 도 8 및 도 9에서 보인 바와 같이 두부충격흡수라이너(11)의 외주면에 좌우 한쌍의 통기공(30)이 형성되어 있 다. 그리고, 이들 통기공(30)은 도 8 및 도 9에서 보인 바와 같이 통기용 공간(34)으로부터 외측보조라이너부재(23)의 중간부분 보다 약간 후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좌, 우 한쌍의 통기공(30)(환언컨데, 좌, 우 한쌍의 외측요입선 29a, 29b)은 도 10에서 보인 바와 같이, 좌, 우 방향에서 좌, 우 한쌍의 통기공(28)(환언컨데, 좌, 우 한쌍의 요입선 24a, 24b, 27a, 27b)사이에 위치한다. 그러나, 이것과는 반대로 좌, 우 한쌍의 통기공(28)이 좌, 우 방향에서 좌, 우 한쌍의 통기공(30)사이에 놓일 수도 있다. 또한, 좌우 한쌍의 통기공(30)과 좌우 한쌍의 통기공(28)이 좌우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도 있다.
두부충격흡수라이너(11)(환언컨데, 메인 라이너부재 22)의 내주면은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두부이면커버(도시하지 않았음)로 거의 덮어져 있다. 따라서, 메인 라이너부재(22)의 내주면에 형성된 좌, 우 한쌍의 내측요입선(26a)(26b)과 상기 두부이면커버에 의하여 도 6 및 도 10에서 보인 바와 같이 좌우 한쌍의 통기공(33)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들 통기공(33)은 도 6에서 보인 바와 같이 관통공(25a)(25b)으로부터 두부충격흡수라이너(11)의 하단까지 연장된다. 또한, 상기 두부이면커버는 통기성을 가지므로 이들 통기공(33)은 착용자의 두부를 수용하는 두부수용공간과의 사이에 통기성을 갖도록 한다.
거의 반원환상인 턱부분 및 볼부분 충격흡수라이너(12)에는 그 수평방향의 좌우 양단부를 상측으로 각각 돌출되게 함으로서 좌, 우 한쌍의 돌출부(12a)(12b)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두부충격흡수라이너(11)와 턱부분 및 볼부분충격흡수라이너(12)를 외측셀(5)의 내주면에 접하여 취부한 상태에서는 이들 돌출부(12a)(12b)가 두부충격흡수라이너(11)의 좌우양측 머리부분 영역의 하측면에 접하게 된다.
두부충격흡수라이너(11)의 메인 라이너부재(22), 외측보조라이너부재(23)와 턱부분 및 볼부분 충격흡수라이너(12)는 각각 발포폴리스틸렌 또는 기타 다른 합성수지 등의 적당한 강성과 적당한 소성을 갖는 재료로 하는 것이 좋다.
(3) 이마부분 및 턱부분 벤틸레이터기구
도 2, 도 4 및 도 6에서 보인 이마부분 벤틸레이터기구(9)는 기본적으로 외측셀(5)의 외주면의 이마부분 영역에 접착 등에 의하여 취부되는 통기구형성부재(42)와, 이러한 통기구형성부재(42)에 형성된 통기구(44) 또는 외측셀(5)에 형성된 통기구(37)를 개폐하기 위하여 통기구형성부재(42) 또는 외측셀(5)에 취부되는 셔터부재(43)로 구성된다. 그리고, 셔터부재(43)에 형성된 조작손잡이(43a)를 왕복조작함으로서 셔터부재(43)의 차폐판이 통기구(44) 또는 통기공(37)을 개폐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2 및 도 4에서 보인 턱부분 벤틸레이터기구(10)는 기본적으로 외측셀(5)의 외주면에서 턱부분의 영역에 접착 등으로 취부되는 통기구형성부재(46)와, 이러한 통기구형성부재(46)에 형성된 통기구(48) 또는 외측셀(5)에 형성된 통기공(도시하지 않았음)을 개폐하기 위하여 통기구형성부재(46) 또는 외측셀(5)에 취부되는 셔터부재(47)로 구성된다. 그리고, 셔터부재(47)에 형성된 조작손잡이(47a)를 왕복조작함으로서 셔터부재(47)의 차폐판이 통기구(48) 또는 외측셀(5)의 상기 통기구를 개폐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마부분 벤틸레이터기구(9)의 통기구(44) 및 턱부분 벤틸레이터기구(10)의 통기구(48)를 각각 개방한 상태에서, 착용자가 풀 페이스형 헬멧(1)을 착용하고 자동이륜차에 탑승하여 주행하는 경우, 이마부분 벤틸레이터(9) 및 턱부분 벤틸레이터기구(10)는 다음과 같이 설명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턱부분 벤틸레이터기구(10)의 통기구(즉, 흡기구)(48)로부터 통기구형성부재(46)의 내측으로 상대적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는 외측셀(5)에 형성된 상기 통기구(즉, 흡기구)를 통하여 외측셀(5)과 턱부분 및 볼부분 충격흡수라이너(12) 사이에 형성된 통기용 공간(도시하지 않았음)으로 상대적으로 유입된다. 그래서, 이 외부공기는 상기 통기용 공간으로부터 시일드판(4)의 내측면 하단부근으로 상승하고 이와 같이 상승한 외부공기의 적어도 일부는 그 하단부근으로부터 시일드판(4)의 내주면을 따라서 시일드판(4)의 내측면의 상단부근을 향하여 다시 상승한다. 따라서, 착용자가 숨을 내쉬는 것에 의하여 시일드판(4)에 김이 서리는 것이 상기 외부공기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시일드판(4)의 내측면의 상단부근까지 상승된 외부공기의 일부는 도 6-도 9에서 보인 바와 같이 메인 라이너부재(22)의 머리 앞부분 영역의 하단부분(즉, 이마부분 영역의 하단부분)에 취부되는 결합부재(35)에 형성된 통기구(36)를 통하여 통기용 공간(34)으로 유입된다. 상기 결합부재(35)는 종래로부터 잘 알려진 것으로 두부이면커버(도시하지 않았음)를 두부충격흡수라이너(11)에 취부하는데 이용되는 것이다.
또한, 이마부분 벤틸레이터기구(9)의 통기구(즉, 흡기구)(44)로부터 통기구 형성부재(42)에 내측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는 외측셀(5)에 형성된 통기구(즉, 흡기구)(37)를 통하여 통기용 공간(34)에 유입된다. 그래서, 통기구(36)(37)로부터 통기용 공간(34)에 각각 유입되는 2 종류의 외부공기의 일부분은 통기공(28)에 유입되어 두부충격흡수라이너(11)의 내부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며, 다른 일부는 통기공(30)으로 유입되어 두부충격흡수라이너(11)(환언컨데, 외측보조라이너부재 23)의 외주면을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이마부분 벤틸레이터기구(9)와 같은 형식으로 구성된 두부전측 벤틸레이터기구(도시하지 않았음)를 이마부분 벤틸레이터기구(9)에 대신하거나 또는 이후 설명되는 제2실시형태에서 보인 바와 같이 이마부분 벤틸레이터기구(9)에 부가하여 외측셀(5)의 외주면의 머리 앞부분 영역의 상측부분 및 정수리 영역의 전측부분 및 이들 근방의 적어도 한부분에 설치 할 수 도 있다. 또한, 본문에 있어서, 머리 윗부분, 머리 윗부분 영역의 상측부분은 머리 윗부분 및 머리 윗부분 영역을 상측부분과 하측부분으로 두개로 분할한 경우의 상측부분을 의미한다.
또한, 통기구형성부재(42)(46) 및 셔터부재(43)(47)은 각각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세탈, ABS, 나이론, 또는 기타 다른 합성수지로서 적당한 탄성과 강성 등을 갖는 재료로 하는 것이 좋다.
(4) 두부후측 벤틸레이터기구
도 1-도 3, 도 5-도 9에서 보인 두부후측 벤틸레이터기구(8)는 기본적으로 스테빌라이저 구성부재 겸용의 통기구형성부재(51)와, 외측셀(5) 또는 통기구형성부재(51)에 취부되는 좌우 한쌍의 셔터기구(56)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들 좌우 한 쌍의 셔터기구(56)는 외측셀(5)에 형성된 좌우 한쌍의 통기구(52a)(52b) 및 좌우 한쌍의 통기구(53a)(53b)를 개폐하든가, 아니면 통기구형성부재(51)에 형성된 좌우 한쌍의 통기구(54a)(54b) 및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일련의 통기구(55a)(55b)(55c)를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셔터기구(56)는 좌우 한쌍의 조작손잡이(57a)(57b)를 갖는다. 그리고, 조작손잡이(57a)(57b)를 왕복작동시켜서 이후 설명되는 셔터기구(56)의 차폐판이 통기구(52a)(53a) 및 통기구(52b)(53b)를 개폐하든가, 아니면 통기구(54a)(54b)(55a-55c)를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통기구형성부재(51) 및 셔터기구(56)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 1 및 도 5-도 9를 참조하여 설명키로 한다.
통기구형성부재(51)는 도 6-도 9에서 보인 바와 같이, 외측셀(5)의 정수리 영역(즉, 그 전측부분 및 후측부분) 및 후두영역의 상측부분과 함께 그 근방 내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외측셀(5)의 외주면에 취부할 수 있으며,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좌, 우 방향의 중앙위치에 취부된다. 그리고, 이 통기구형성부재(51)는 스테빌라이저구성부재를 겸용하는 겻으로, 도 1, 도 3, 도 5-도 7에서 보인 바와 같이, 좌, 우 방향의 중앙부분에 통기구형성부 겸용의 스테빌라이저부(61)를 구비하고, 또한 이 스테빌라이저부(61)의 좌, 우 양측에 각각 인접하고 있는 좌측 기류분할부(62a) 및 우측 기류분할부(62b)를 갖는다. 따라서, 통기구형성부 겸용의 스테빌라이저부(61)과 좌우 한쌍의 기류분할부(62a)(62b)가 일체로 성형된 단일의 통기구형성부재(51)에 공통으로 설치되어 있다.
스테빌라이저부(61)는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외측셀(5)의 외주면의 정수 리 영역과 후두영역의 경계부근으로부터 후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기류편향부 또는 기류편향면(63)과, 이 기류편향면(63)의 하단(즉, 후단)에서 외측셀(5)의 외주면으로 향하여 굴곡시킴으로서 구성시킨 단차부 또는 단차면(64)을 갖는다. 그리고, 기류편향면(63)의 전단의 외주면은 외측셀(5)의 외주면과 거의 한 면을 이룬다. 또한, 이러한 구성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7 및 도 9에서 보인 바와 같이, 요부(74)가 통기구형성부재(51)에 대응하는 외측셀(5)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기류편향면(63)은 그 전단으로부터 후단에 걸쳐 외측셀(5)의 외주면으로부터 점차 멀어지며, 그 후단은 외측셀(5)의 외주면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다. 또한, 단차면(64)은 기류편향면(63)의 후단으로부터 외측셀(5)의 외주면을 향하여 이 외주면부근까지 연장됨과 동시에 좌우방향으로 띠모양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이 단차면(64)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통기구(55a)(55b)(55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통기구의 수가 3개로서, 좌, 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3개의 통기구(55a)(55b)(55c)가 좌우방향으로 일렬이 되게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기류편향면(63)과 단차면(64)이 이루는 평균각도는 실시예에서는 약 75°이지만 실용성의 관점에서 보아 일반적으로 45∼120°범위가 좋으며, 더욱 좋기로는 60∼100°범위이다. 또한, 기류편향면(63)은 거의 장방형을 이루는 것이 좋으며, 그 좌우방향의 평균길이(실제로 기류편향면 63의 좌우양단 사이의 길이) L1(도 3 참조)은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약 120mm이나 실용성의 관점에서 보아 일반적으로 60∼240mm의 범위를 갖는 것이 좋으며 80∼180mm의 범위를 갖는 것이 더욱 좋다. 또한, 기류편향면(63)의 전후방향의 평균길이(실제로 기류편향면 63의 전후양단 사이의 길이) L2(도 6 참조)는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약 60mm이나 실용성의 관점에서 보아 일반적으로 30∼120mm의 범위를 갖는 것이 좋으며 40∼90mm의 범위를 갖는 것이 더욱 좋다. 또한 단차면(64)(단, 전후방향에서 기류편향면 63과 대향하는 부분)의 좌우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는 방향에서 평균길이(즉, 폭) L3(도 3 참조)는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약 10mm이나 실용성의 관점에서 보아 일반적으로 4∼26mm의 범위를 갖는 것이 좋으며 6∼18mm의 범위를 갖는 것이 더욱 좋다.
좌우 한쌍의 기류분할부(62a)(62b)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헬멧(1)의 중심선(실제로는 중심면)(75)(도 3 참조)을 대칭축으로 하여 서로 선대칭을 이루고 있으므로 이후부터 우측기류분할부(62b)에 대하여서만 상세히 설명하고 좌측기류분할부(62a)에 대한 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기류분할부(62b)는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실제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좌우 한쌍의 돌조부(65a)(65b)를 갖는다. 그리고, 이들 돌조부(65a)(65b)는 이들의 전단에서 서로 연장되어 있고 이들의 후단이 거의 후측을 향하여 점점 벌어져 연장됨으로서 전체적으로는 실질적으로 V자 또는 양갈래형의 돌출부(66)를 이룬다. 또한, 본문에 있어서, 상기 중심선(75)측에 위치하는 돌조부에 부호 65a를 붙이고 상기 중심선(75)과는 반대측(즉, 좌우방향에서 외측)에 위치하는 돌조부에는 부호 65b를 붙였다.
기류분할부(65b)는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V자 또는 양갈래형의 돌조부(66)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실질적으로 예각삼각형 형태의 저면(67)을 갖는다. 그래서, 이 저면(67)의 전단부근에는 통기공(54b)(좌측기류분할부 62a의 경우에는 통기공 54a)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실질적으로 중앙에는 조작손잡이용 슬리트(6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기구(54b)는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각 저면(67)에 하나씩만 형성되어 있으나 다수가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통기구(54b)는 V자형 돌조부(66)의 전단부근에 의하여 둘러싸인다. 또한 V자형 돌조부(66)와 저면(67)은 실질적으로 V자 또는 양갈래형의 단차부 또는 단차면(69)을 통하여 연결된다. 그리고, V자형 돌조부(66)의 V자형 단차면(69)과는 반대측의 외측주위부(즉, V자형 주위부)(68)는 외측셀(5)의 외주면으로부터 V자형 단차면(69)에 걸쳐 외측셀(5)의 외주면으로부터 점차 멀어지며, V자형 단차면(69)과의 인접부분에서 가장 멀리 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좌우방향에서 중심측의 돌조부(65a)에 인접하는 V자형 또는 양갈래형 단차면(69)의 한쪽 반부분(즉, 한쪽 단차면부)(69a)는 그 전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하여 상기 중심선(75)에 대해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적당한 각도의 경사를 이루는 것이 좋다. 또한, 그 평균경사각도는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약 15°이나, 실용성의 관점에서 볼 때 일반적으로 -10~40°범위가 좋으며 5~25°범위가 더욱 좋다. 또한, 좌우방향에서 외측의 돌조부(65b)에 인접하는 V자형 또는 양갈래형 단차면(69)의 타측 반부분(즉, 타측의 단차면부)(69b)는 그 전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하여 상기 중심선(75)에 대해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적당한 각도의 경사를 이루는 것이 좋다. 또한, 그 평균경사각도는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약 20°이나, 실용성의 관점에서 볼 때 일반적으로 -5~45°범위가 좋으며 10~30°범위가 더욱 좋다. 따라서, V자형 또는 양갈래형 단차면(69)의 한쌍의 단차면부(69a)(69b)가 이루는 평균적인 각도는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약 35°이나, 실용성의 관점에서 볼 때 일반적으로 15~60°범위가 좋으며 20~50°범위가 더욱 좋다.
V자형 또는 양갈래형 단차면(69)의 저면(67)으로부터 V자형 돌조부(66)까지의 직선길이(즉, 직선폭) L4(도 5 참조)는 통기구(54b)(좌측 기류분할부 62a의 경우에는 통기구 54a)의 주위에서는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약 6.5mm이고, 실용성의 관점에서 볼 때 일반적으로 2.5∼16mm의 범위가 좋으며 4.5∼12mm의 범위가 가장 좋다.
또한, V자형 단차면(69)의 저면(67)측의 단부(즉, 기단부)와 V자형 돌조부(66)측의 단부(즉, 선단부) 사이는 꼭 직선상으로 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V자형 돌조부(66)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되어 있는 것이 좋다. 또한, V자형 단차면(69)의 상기 폭 L4는 돌조부(65a)(65b)의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것이 좋으며, 돌조부(65a)(65b)의 후단에는 상기 폭의 최고값의 1/4 이하 또는 실질적으로 0이라도 좋다.
V자형 또는 양갈래형 단차면(69)의 한쪽 반부분(69a) 및 타측 반부분(69b)의 길이(실제로는 단차면 69를 따른 길이)는 각각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약 80mm 및 90mm이나 실용성의 관점으로 보아 일반적으로 어느 것이나 30∼200mm의 범위가 좋으며 40∼160mm의 범위가 더욱 좋다. 또한, V자형 단차면(69)의 한쪽 반부분(69a) 의 후단과 타측 반부분(69b)의 후단간의 간격(실제로는 저면 67을 따른 길이) L5(도 5참조)는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약 60mm이나 실용성의 관점으로 보아 일반적으로 30∼120mm의 범위가 좋으며 40∼90mm의 범위가 더욱 좋다. 또한, 외측셀(5)의 외주면(단, V자형 돌조부 66에 대향하는 측의 부분)에 대하여 V자형 단차면(69)이 이루는 평균적인 경사각도(특히, 통기구 54b 주위의 평균적인 각도)는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약 60°이나, 실용성의 관점에서 볼 때 일반적으로 35~120°범위가 좋으며 45~100°범위가 더욱 좋다.
기류분할부(62a)(62b)의 저면(67)의 후단은 스테빌라이저부(61)의 단차면(64)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단차면(64)의 폭은 이와 같이 연결되어 있는 부분에서는 좌우방향에서 양쪽외측으로 향하여 점차 작아지게 되어 있다. 또한, 단차면(64)의 후단에는 실질적으로 외측셀(5)의 외주면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띠모양이 되게 연장되는 연결부(7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통기구형성부재(51)에 있어서는 스테빌라이저부(61), 좌우 한쌍의 기류분할부(62a)(62b) 및 연결부(70)가 서로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좌우 한쌍의 셔터기구(56)는 상기 중심선(75)을 대칭축으로 하여 서로 선대칭을 이루는 것이 좋으므로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는 우측의 셔터기구(56)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좌측 셔터기구(56)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우측의 셔터기구(56)는 조작부재겸용 메인 셔터부재(81) 및 보조셔터부재 (82)를 갖는다. 그리고, 이 우측의 셔터기구(56)는 메인셔터부재(81)에 구성되어 있는 조작손잡이(57b)를 제외하고는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으로 그 내주면을 외측 셀(5)의 외주면에 취부되는 통기구형성부재(51)에 의하여 덮혀져 있다. 따라서, 통기구형성부재(51)는 좌우 한쌍의 셔터기구(56)의 커버부재도 겸한다.
도 8 및 도 9에서 보인 바와 같이, 통기구형성부재(51)와 외측셀(5) 사이에는 통기용 공간(7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측셀(5)에 형성된 좌우 한쌍의 통기구(53a)(53b)는 외측보조라이너부재(23)(환언컨데, 두부충격흡수라이너 11)의 외주면(23b)과 외측셀(5)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좌우 한쌍의 통기공(30)의 종단(즉, 후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통기구(53a)(53b) →통기용 공간(71) →통기구(55a)(55b)(55c)로 이루어지는 제1배기통로(72)가 두부보호체(2)에 형성된다.
도 6 및 도 7에서 보인 바와 같이, 외측셀(5)에 형성된 좌우 한쌍의 통기구(52a)(52b)는 외측보조라이너부재(23)(환언컨데, 두부충격흡수라이너 11)에 형성된 좌우 한쌍의 관통공(32a)(32b)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통기구형성부재(51)에 형성된 좌우 한쌍의 통기구(54a)(54b)는 좌우 한쌍의 통기구(52a)(52b) 및 좌우 한쌍의 관통공(32a)(32b)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좌우 한쌍의 통기구(52a)(52b) →통기용 공간(71) →좌우 한쌍의 통기구(54a)(54b)로 이루어지는 좌우 한쌍의 제2배기통로(73)가 두부보호체(2)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좌우 한쌍의 통기구(54a)(54b)는 메인 셔터부재(81)의 두께에 상당하는 간격을 두고 있는 상태에서 좌우 한쌍의 통기구(52a)(52b)에 대향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메인 셔터부재(81)는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V자형 돌조부(66)의 외측돌조부(65a)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기다란 판체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메인 셔터부재(81)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전후 한쌍의 가이드용 슬리트(83)(8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측 슬리트(83)의 일측 가장자리는 이 전측 슬리트(83)를 향하여 횡방향으로 만곡된 탄성변형부(85)를 구성하고 있으므로 전측의 슬리트(83)는 이후 설명되는 가이드용 돌기부(86)의 위치를 고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메인 셔터부재(81)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왕복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손잡이(57b)(우측의 셔터기구 56의 경우에는 조작손잡이 57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외측셀(5)에는 상하 한쌍의 슬리트(83)(84)에 각각 대향하는 상하 한쌍의 가이드용 돌기부(86)(8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돌기부(86)(87)는 가이드용 슬리트(83)(84)에 각각 상대적으로 활동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메인 셔터부재(81)의 한쪽끝 부근에는 보조셔터부재(82)의 한쪽끝 부근이 축(88)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축설되어 있다. 또한, 보조셔터부재(82)는 상기 중심선(75)과 직각을 이루어 연장된 기다란 판체로 구성된다.
외측셀(5)에는 그 보조셔터부재(82)를 지지하기 위하여 전후 한쌍의 지지간부(89)(90)가 그 보조셔터부재(82)의 중간부분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지지간부(89)(90)는 보조셔터부재(82)의 중간부분의 폭에 상당하는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여 있다. 또한, 이들 지지간부(89)(90)의 서로 대향하는 면은 각각 반원주면형의 볼록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용 돌기부(86)(87) 및 지지간부(89)(90)는 필히 외측셀(5)에 직접 설치할 필요는 없고 이들 가이드용 돌기부(86)(87) 및 지지간부(89)(90)의 전부 또는 일부를 공통의 보조판에 구성하고 이 보조판을 외측셀(5)의 외주면에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으로 취부할 수도 있다.
메인셔터부재(81)의 자유단부측에는 외측셀(5)의 통기구(52b)에 대응하여 차폐판부(8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조셔터부재(82)의 자유단부측에도 외측셀(5)의 통기구(53b)에 대응하여 차폐판부(82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외측셀(5)의 통기구(52b)(53b)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통기구형성부재(51)의 조작손잡이용 슬리트(60)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손잡이(57b)(우측의 셔터기구 56의 경우 조작손잡이 57a)를 전방으로 이동조작함으로서 가이드용 슬리트(83)(84) 및 가이드용 돌기부(86)(87)에 의한 직선왕복운동의 가이드 기능에 의하여 메인 셔터부재(81)가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메인 셔터부재(81)의 차폐판부(81a)는 외측셀(5)의 통기구(52b)(우측 셔터기구 56의 경우 통기구 52a)를 그 외주면측으로부터 폐쇄한다. 이 경우, 차폐판부(81a)에 의하여 통기구형성부재(51)의 통기구(54b)(우측의 셔터기구 56의 경우 통기구 54a)가 동시에 폐쇄되도록 하여도 좋다. 따라서, 이 통기구(54b)는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 변화한다. 또한, 메인 셔터부재(81)의 이동에 의하여 보조셔터부재(82)는 그 중간부분을 받침점으로 하여 도 5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써 보조셔터부재(82)의 차폐판부(82a)는 외측셀(5)의 통기구(53b)(우측 셔터기구 56의 경우 통기구 53a)를 그 외주면측으로부터 폐쇄한다. 따라서, 이 통기구(53b)는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 변화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단일의 조작손잡이(57b)의 왕복조작에 따라 통기구(52b)(53b)는 동시에 폐쇄상태 또는 개방상태로 되므로, 상기 제1 및 제2배 기통로(72)(73)의 각 우측 반부분을 동시에 폐쇄상태 또는 개방상태가 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왕복조작에 따라서, 가이드용 돌기부(86)는 탄성변형부(85)를 일시적으로 탄성변형시키면서 가이드용 슬리트(83)내를 상대적으로 전후진한다. 따라서, 가이드용 돌기부(86)가 가이드용 슬리트(83)내를 마음대로 전, 후진하는 염려가 없다. 그리고, 조작손잡이(57b)가 왕복조작되어 어느 위치에 있다 하더라도 조작손잡이용 슬리트(60)는 셔터부재(81)에 의하여 폐쇄된다.
상기 탄성변형부(85)를 대신하여, 또는 상기 탄성변형부(85)에 추가하여, 메인 셔터부재(81)의 왕복운동방향을 따라 연장된 홈을 가이드용 돌기부(86)에 형성시킴으로써 가이드용 돌기부(86) 자체에 탄성을 부여해도 좋다. 또한, 통기구형성부재(51) 및 셔터기구(56)의 각 구성부재는 각각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세탈, ABS, 나이론 또는 기타 다른 합성수지 등의 적당한 탄성과 적당한 강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두부후측의 벤틸레이터기구(8)의 통기구(52a)(52b)(53a)(53b)를 각각 개방한 상태에서, 착용자가 풀 페이스형 헬멧(1)을 착용하고 자동이륜차에 탑승하여 주행하면 두부후측의 벤틸레이터기구 (8)가 이후 설명되는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외측셀(5)의 외주면을 따라서 흐르는 주행풍(즉, 외부공기)는 정수리 영역을 지나 후두영역측으로 향하므로 스테빌라이저부(61)의 기류편향면(63)에 의하여 외측셀(5)의 외주면으로부터 강제적으로 분리되어 층상으로 후측을 향하여 이동한다. 따라서, 외측셀(5)의 후두영역의 하부에 급격히 회돌이치는 주행풍의 양이 작아지 므로 두부보호체(2)에 대한 항력(후향력) 및 양력(부상력)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스테빌라이저부(61)의 단차면(64) 부근에는 부압이 발생함으로서 통기용 공간(71)의 공기가 배기구로서 작용하는 통기구(55a)(55b)(55c)로부터 외부로 강제배출된다.
또한, 주행풍은 기류분할부(62a)(62b)의 V자형 돌조부(66)측으로도 향하므로 이들 V자형 돌조부(66)의 각각에 의하여 좌우로 각각분류되어 후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기류분할부(62a)(62b)의 V자형 단차면(69) 및 저면(67)의 부근에는 부압이 발생하여 통기용 공간(71)의 공기가 배기구로서 작용하는 통기구(54a)(54b)로부터 외부로 강제배출된다. 또한,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V자형 돌조부(66) 및 단차면(69)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좌우 한쌍의 기류분할부(62a)(62b)에 의하여 주행풍에 의한 두부보호체(2)의 좌우방향의 흔들림을 어느정도 방지 할 수 있으며 또한, 스테빌라이저부(61)의 경우와 같은 이유로 항력 및 양력을 어느 정도 작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3)항("이마부분 및 턱부분 벤틸레이터기구"의 항)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좌우 한쌍의 통기공(28)으로 유입되어 외측보조라이너부재(23)의 좌우 한쌍의 관통공(32a)(32b)까지 이동되어온 공기는 도 6 및 도 7에서 명확히 보인 바와 같이 두부보호체(2)의 두부수용공간으로부터 메인 라이너부재(22)의 좌우 한쌍의 관통공(31a)(31b)를 통하여 상기 관통공(32a)(32b)까지 이동되어온 공기와 혼합된다. 그래서, 이와 같이 혼합된 공기의 일부는 상기 언급된 좌우 한쌍의 제2배기통로(73)를 통하여 통기구(54a)(54b)로부터 상기 언급된 부압에 의하여 외부로 양 호하게 배출된다. 또한, 다른 일부의 공기는 도 6 및 도 7에서 명확히 보인 바와 같이 좌우 한쌍의 통기공(28)을 통하여 하측으로 이동하고 좌우 한쌍의 관통공(25a)(25b) 및 좌우 한쌍의 통기공(33)을 통하여 두부보호체(2)의 후두영역의 하단부분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3)항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좌우 한쌍의 통기공(30)으로 유입되고 이들 통기공(30)의 종단까지 이동되는 공기는 도 8 및 도 9에서 명확히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언급된 제1배기통로(72)를 통하여 통기구(55a)(55b)(55c)로부터 상기 언급된 부압에 의하여 외부로 양호하게 배출된다.
2. 제2실시예
다음으로, 제2실시예를 도 11∼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제2실시예는 다음의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언급된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1) 두부전측의 벤틸레이터기구(91)가 새롭게 구성되어 있는 점.
(2) 두부후측의 벤틸레이터기구(8)의 셔터기구(56)의 구체적인 구조가 상이한 점.
(3) 스테빌라이저구성부재 겸용의 통기구형성부재(51)의 구체적인 형상이 다소 상이한 점.
(4) 외측셀(5)의 후두영역의 하측부분에 좌, 우 한쌍의 통기구(92a)(92b)가 새롭게 구성되어 있는 점.
(5) 외측셀(5) 및 두부충격흡수라이너(11)에 각각 설치되는 통기구 및 요입선의 구성이 다소 상이한 점.
따라서, 이후의 설명에서는 이들의 상이한 점만을 설명하며 양자의 공통적인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1) 두부전측의 벤틸레이터기구
두부보호체(2)에서 착용자의 머리 앞부분의 상측부분 및 정수리 부분의 전측부분에 대향하는 머리 앞부분 영역의 상측부분 및 정수리 영역의 전측부분 및 그 근방의 적어도 한 부분에는 도 12 및 도 14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정수리부분의 앞쪽에 벤틸레이터기구(91)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두부전측의 벤틸레이터기구 (91)는 이마부분 벤틸레이터기구(9)와 두부후측의 벤틸레이터기구(8)의 전후방향에서 중간에 위치한다.
도 12 및 도 14에서 보인 두부전측의 벤틸레이터기구(91)는 기본적으로 외측셀(5)의 외주면에서 소정의 영역(즉, 머리 앞부분 영역의 상측부분 및 정수리 영역의 전측부분 및 그 근방의 적어도 한 부분)에 접착 등으로 취부되는 통기구형성부재(93)와, 이 통기구형성부재(93)에 형성된 통기구(94) 또는 외측셀(5)에 형성된 통기구(도시하지 않았음)를 개폐하기 위하여 통기구형성부재(93) 또는 외측셀(5)에 취부되는 셔터부재(95)로 구성된다. 그리고, 셔터부재(95)에 형성된 조작손잡이(95a)를 왕복조작함으로서 셔터부재(95)의 차단판부가 통기구(94) 또는 외측셀(5)의 상기 통기구를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외측셀(5)의 통기구는 좌우 한쌍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이들 좌우 한쌍의 통기구는 두부충격흡수라이너(11)(즉, 외측보조라이너부재 23 및 메인 라이너부재 22)를 관통하여 두부충격흡수라이너(11)의 두부수용공간까지 연장되어 있는 좌, 우 한쌍의 관통공(도시하지 않았음)에 연통되는 것이 좋다. 또한, 이들 좌우 한쌍의 통기구 및 좌우 한쌍의 관통공은 통기공(28)(30)과는 연통되어 있지 않고 이들 통기공으로부터 독립하여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셔터부재(95)는 셔터취부부재(도시하지 않았음)를 통하여 외측셀(5)에 취부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셔터취부부재가 외측셀(5)의 외주면에 접착 등으로 취부되고 이 셔터취부부재에 셔터부재(95)를 좌우방향으로 왕복운동가능하게 취부할 수 있다.
따라서, 두부전측의 벤틸레이터기구(91)의 셔터부재(95)가 개방되면 통기구(94)가 두부충격흡수라이너(11)의 두부수용공간에 연통되어 착용자가 풀 페이스 헬멧(1)을 착용하고 자동이륜차에 탑승하고 주행할 때 두부전측의 벤틸레이터기구(91)는 다음의 설명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즉, 두부전측의 벤틸레이터기구(91)의 통기구(즉, 흡기구)(94)로부터 통기구형성부재(93)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외측셀(5)에 형성된 상기 좌우 한쌍의 통기구(즉, 흡기구)로부터 두부충격흡수라이너(11)에 형성된 상기 좌우 한쌍의 관통공을 통하여 두부충격흡수라이너(11)의 두부수용공간으로유입된다.
(2) 두부후측 벤틸레이터기구의 셔터기구
이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13 및 도 15에서 보인 바와 같이, 좌우 한쌍의 제2배기통로(73)를 폐쇄 및 개방할 수 있는 좌, 우 한쌍의 셔터기구(56)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배기통로(72)를 폐쇄 및 개방하는 셔터기구는 구성되어 있지 않고 이 제1배기통로(72)(환언컨데, 좌우 한쌍의 통기구 53a, 53b)는 항시 개방되어 있다. 또한, 이들 통기구(53a)(53b)는 스테빌라이저구성부재 겸용의 통기구형성 부재(51)에 의하여 바깥으로부터 덮혀 있으므로 이들 통기구(53a)(53b)로부터 빗물 등이 외측셀(5)의 내부로 침투될 우려가 없다.
좌우 한쌍의 셔터기구(56)는 상기 중심선(75)을 대칭축으로 하여 상호 선대칭을 이루고 있으므로 이후 우측의 셔터기구(56)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좌측 셔터기구(56)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우측 셔터기구(56)는 도 15에서 보인 바와 같이, 조작부재 겸용의 셔터부재(101)과, 이 셔터부재(101)를 외측셀(5)의 외주면 및/또는 통기구형성부재(51)의 내주면에 취부하기 위한 취부부재(102)를 갖는다. 그리고, 이 우측 셔터기구(56)는 셔터부재(101)에 형성된 조작손잡이(101a)를 제외하고는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으로 그 안쪽 주위를 외측셀(5)의 내주면에 취부한 통기구형성부재(51)에 의하여 덮히어 있다. 따라서, 통기구형성부재(51)는 좌우 한쌍의 셔터기구(56)의 커버부재로서의 기능도 겸한다.
취부부재(102)는 도 15 및 도 16에서 보인 바와 같이 통기구형성부제(51)의 V자형 돌조부(66)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기다란 판체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이 취부부재(102)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전후 한쌍의 관통공(103a)(103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관통공(103a)(103b)에 이들의 내측으로부터 삽입된 전후 한쌍의 취부볼트(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하여 취부부재(102)가 통기구형성부재(51)의 내측면에 체결고정된다. 또한, 취부부재(102)는 상기 체결고정에 부가하여 또는 이러한 체결고정을 대신하여 외측셀(5)의 외주면 및/또는 통구기형성부재(51)의 내측면에 접착제 등에 의하여 접착될 수도 있다.
취부부재(102)의 외측면은 도 16에서 보인 바와 같이 조작손잡이(101a)을 제외하고 셔터부재(101)를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가능하게 수용하는 요부(10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요부(104)의 앞쪽끝 부근에는 통기구(105)가 형성되어 있고, 이 통기구(105)는 외측셀(5)의 통기구(52b) 및 통기구형성부재(51)의 통기구(54b)에 각각 대응한다.
취부부재(102)에는 도 16에서 보인 바와 같이 요부(104)를 따라서 앞쪽 끝으로부터 뒷쪽 끝쪽에 걸쳐 전후진운동시 스토퍼의 돌기부(106), 전진운동시 클릭용 좌우 한쌍의 절결부(107a)(107b), 후진운동시 클릭용 좌우 한쌍의 절결부(108a)(108b) 및 좌우 한쌍의 길이방향 세폭돌출부(109a)(109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세폭돌출부(109a)(109b)는 요부(104)의 주연으로부터 요부(104)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취부부재(102)의 내측면에는 도 18에서 보인 바와 같이 이들 세폭돌출부(109a)(109b)에 대응하여 좌우 한쌍의 요입선(110a)(110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셔터부재(101)는 그 좌우 한쌍의 피안내부(11a)(111b)가 세폭돌출부(109a)(109b)의 내측면(환언컨데, 요입선 110a, 110b의 저면)을 따라서 전후왕복가능하도록 취부부재(102)의 요부(104)에 수용된다.
셔터부재(101)에는 도 17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전진운동시 좌우 한쌍의 절결부(107a)(107b)에 결합하고 또한 후진운동시 좌우 한쌍의 절결부(108a)(108b)에 결합하는 클릭용의 좌우 한쌍의 돌기부(112a)(112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셔터부재(101)에는 이 셔터부재(101)에 대한 취부부재(102)의 스토퍼용 돌기부(106)의 상 대적인 운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셔터부재(10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기다란 절결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셔터부재(101)에는 좌우 한쌍의 돌기부(112)에 탄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이들 돌기부(112)의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관통공의 형태로 구성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슬리트(114a)(114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5에서 보인 바와 같이 외측셀(5)의 통기구(52b) 및 통기구형성부재(51)의 통기구(54b)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통기구형성부재(51)의 조작손잡이용 슬리트(60)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셔터부재(101)의 조작손잡이(101a)를 전방으로 이동조작하면, 셔터부재(101)가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셔터부재(101)의 차폐판부(115)는 외측셀(5)의 통기구(52b) 및/또는 통기구형성부재 (51)의 통기구(54b)를 폐쇄한다. 따라서, 이들 통기구(52b) 및/또는 통기구(54b)는 개방된 상태에서 폐쇄된 상태로 변화한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조작손잡이(101a)의 전후왕복조작에 따라서, 통기구(52b) 및/또는 통기구(54b)가 폐쇄상태 또는 개방상태가 되므로 좌우 한쌍의 제2배기통로(73)를 선택적으로 또는 양자 모두 폐쇄상태 또는 개방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3) 스테빌라이저구성부재 겸용의 통기구형성부재
스테빌라이저구성부재 겸용의 통기구형성부재(51)의 연결부(70)는 도 15에서 보인 바와 같이 그 좌우양단부를 남기고 제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언급된 제1실시예에서 보인 통기구형성부재(51)의 단차면(64)에 형성된 통기구(55a-55c)는 생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단차면(64)의 기류편향면(63)과 반대측의 단부를 따라서 좌 우방향으로 기다란 절결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1-도 13 및 도 15에서 보인 바와 같이, 단차면(64)의 기류편향면(63)과는 반대측의 단부와 외측셀(5)의 외주면 사이에는 상기 통기구(55a∼55c)와 동일한 형태의 배기구로서 작용하는 슬리트(122)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개방면적이 큰 배기구(122)를 비교적 간단한 제조공정으로서 단차면(64)에 형성할 수 있고, 또한, 단차면(64)(또는 통기구형성부재 51)의 강도가 특히 작아지는 일이 없다.
또한 통기구형성부재(51)의 좌우 한쌍의 기류분할부(62a)(62b)의 양갈래형 돌조부(66)는 상기 언급된 제1실시예의 경우와는 다르게 V자형 단차면(69)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이며 비교적 두께가 얇은 V자형의 대판부로 되어 있다.
따라서, 양갈래형 돌조부(66)의 V자형 주위부(68)는 상기 V자형 대판부(66)의 외측주위부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V자형 단차부(69)와는 표리가 바뀐 점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이다.
또한, 기류분할부(62a)(62b)의 저면(67)에는 통기구(54a)(54b)의 직후방에 이들의 통기구(54a)(54b)를 둘러싸도록 외측을 향하여 원호상으로 팽출된 팽출부(12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4)항("두부후측의 벤틸레이터기구"의 항)에 있어서, 상기 언급된 제1실시예에서 기류편향면(63)과 단차면(64)이 이루는 평균적인 각도, 그 이외의 각도, 길이 및 폭에 관하여 도시된 실시예의 수치, 좋은 수치범위 및 더 좋은 수치범위는 이미 언급하였다. 한편, 이 제3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도, 길이 및 폭은 도시된 실시예의 수치에 대하여 상기 언급된 제1실시예의 경우와 다소 또는 어느 정도 다를 수 있으나 좋은 수치범위 또는 더 좋은 수치범위에 대하여서는 상기 언급된 제1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4) 외측셀의 후두영역 배기구
외측셀(5)의 후두영역의 하측부분에는 도 11-도 13에서 보인 바와 같이, 좌우 한쌍의 통기구(92a)(92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좌우 한쌍의 통기구(92a)(92b)는 각각 상단측으로부터 하단측에 걸쳐 좌측방향 외측 및 우측방향 외측으로 경사지고 또한 관통공으로 된 슬리트 형태이어도 좋다. 또한, 두부충격흡수라이너(11)(환언컨데, 메인 라이너부재 22)에는 이들 통기구(92a)(92b)에 가각 대응하는 좌우 한쌍의 통기공(도시하지 않았음)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통기공은 메인 라이너부재(22)의 내주면으로부터 외주면을 향하여 약간 하측과 약간 후측방향으로 각각 경사진 실질적으로 수평인 관통공일 수도 있다. 또한, 이들 통기공과 접하고 있는 메인 라이너부재(22)의 외주면은 다공성 부직포 등의 통기성 직물부재(도시하지 않았음)로 피복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두부충격흡수라이너(11)의 내주면측의 공기는 상기 언급된 좌우 한쌍의 통기공 및 상기 언급된 좌우 한쌍의 통기구(92a)(92b)를 차례로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통기공 및 통기구(92a)(92b)는 각각 배기공 및 배기구로서 작용한다.
(5) 외측셀 및 두부충격흡수라이너의 통기구 및 요입선
이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1)항("두부전측의 벤틸레이터기구"의 항)에 대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두부전측의 벤틸레이터기구(91)를 위하여 좌우 한쌍 의 통기구가 외측셀(5)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이들 좌우 한쌍의 통기구에 각각 연통되는 좌우 한쌍의 관통공이 두부충격흡수라이너(11)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제2실시예에 있어서, 이마부분 벤틸레이터기구(9)를 위하여, 통기구(37)가 외측셀(5)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통기구(37)와 연통하는 관통공(도시하지 않았음)이 두부충격흡수라이너(11)(환언컨데, 메인 라이너부재 22)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마부분 벤틸레이터기구(9)를 위하여 이들 통기구(37) 및 관통공은 두부전측 벤틸레이터기구(91)를 위한 상기 통기구 및 상기 관통공에 각각 상응하는 것으로서, 통기공(28)(30)과는 연통되지 않고 이들 통기공(28)(30)으로부터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이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이미 언급된 제1실시예에서는 형성되어 있지 않은 좌우 한쌍의 관통공(도시하지 않았음)이 통기공(28)에 연통되게 메인 라이너부재(22)에 각각 형성된다. 즉, 이들 좌우 한쌍의 관통공은 좌우 한쌍의 관통공(31a)(31b) 보다 약간 전방의 위치에서 외측요입선(24a)(24b)에 연통되게 메인 라이너부재(22)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이 제2실시예에 있어서 메인 라이너부재(22)의 좌우 한쌍의 내측요입선(26a)(26b)은 이미 언급된 제1실시예의 경우와는 다르게 두부전측 벤틸레이터기구(91)를 위한 좌우 한쌍의 관통공에 연통하는 위치까지 전방을 향하여 연속하여 연장되어 이들 관통공에 각각 연통한다. 또한, 메인 라이너부재(22)의 좌우 한쌍의 외측요입선(24a)(24b)은 상기 언급된 제1실시예의 경우와는 다르게 메인 라이너부재(22)의 후두영역의 하단까지 연속하여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메인 라이너부재(22)의 좌우 한쌍의 관통공(25a)(25b)은 좌우 한쌍의 외측요입선(24a)(24b)의 종단 보다 약간 전방의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이들 관통공(25a)(25b)는 메인 라이너부재(22)의 내측면에서 요입선(26a)(26b)과는 연통하지 않고 이들 요입선(26a)(26b)으로부터 독립하여 형성되어 있다.
3. 제3실시예
다음으로, 제3실시예를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제3실시예는 두부후측 벤틸레이터기구(8)의 셔터기구(56)의 구체적인 구조가 상이하고 이에 따라서 스테빌라이저구성부재 겸용의 통기구형성부재(51)의 구체적인 형상이 약간 상이한 것을 제외하고는 이미 언급된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는 이들 상이한 점만을 설명하고 양자 공통인 부분에 대하여서는 그 설명을 생략키로 한다.
셔터기구(56)는 단일의 조작부재(131)에 구성되어 있는 조작손잡이(131a)를 왕복조작함으로서 좌우 한쌍의 통기구(52a)(52b) 및 좌우 한쌍의 통기구(53a)(53b)의 전체를 동시에 폐쇄 또는 개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셔터기구(56)는 단일의 조작부재(131), 이 조작부재(131)를 외측셀(5)에 취부하는 취부판 또는 취부부재(즉, 이미 언급된 보조판)(132) 및 좌우 한쌍의 보조셔터부재(133a)(133b)를 갖는다.
조작부재(131)는 메인 셔터부재를 겸용할 수도 있으며, 전방측에 각각 돌출된 좌우 한쌍의 차폐판부(134a)(134b)와, 후방측으로 돌출된 조작손잡이(131a)를 갖는다. 그리고 이 조작부재(131)에는 그것의 좌, 우 방향으로 연장된 좌, 우 한쌍 의 가이드용 슬리트(135a)(135b), 이들 슬리트(135a)(135b)사이에 형성되고 또한 그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위치유지기능을 갖는 보조슬리트(136)와, 이 슬리트(136)와 조작손잡이(131a)사이에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보조슬리트(13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위치유지기능을 갖는 보조슬리트(136)와 보조슬리트(137)사이에는 슬리트(136)측으로 만곡된 탄성변형부(138)가 형성되어 있어 가이드용 슬리트(136)는 이후 설명되는 가이드용 돌기부(142)의 위치를 고정유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취부판(132)은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으로 외측셀(5)의 외주면에 취부된다. 그리고, 이 취부판(132)에는 좌우 한쌍의 슬리트(135a)(135b)에 각각 대향하는 좌우 한쌍의 가이드용 돌기부(141a)(141b)와, 슬리트(136)에 대향하는 위치유지기능을 갖는 가이드용 돌기부(14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기부(142)에는 조작부재(132)의 왕복운동방향으로 연장된 홈(142a)이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부(142)는 자체가 탄성을 가지므로 스스로 위치가 고정되는 위치유지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가이드용 돌기부(141a)(141b)(142)는 슬리트(135a)(135b)(136)에 각각 활동가능하게 삽입된다.
조작부재(131)의 좌, 우 양단부근에는 좌, 우 한쌍의 보조셔터부재 (133a)(133b)의 일측단부 부근이 축(143a)(143b)에 의하여 각각 회전가능하게 축설되어 있다. 또한, 이들 보조셔터부재(133a)(133b)는 전방을 향하여 원호형으로 만곡된 기다란 판체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조작부재(131)에는 축(143a)(143b)의 근방에 좌, 우 한쌍의 슬리트 (144a)(144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가이드용 슬리트(144a)(144b)는 축(143a)(143b)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으로 구성된다. 또한, 이들 원호상 슬리트(144a)(144b)는 좌우 한쌍의 보조셔터부재(133a)(133b)에 형성된 가이드용 돌기부(145a)(145b)가 각각 상대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삽입되어 있다.
외측셀(5)에는 좌, 우 한쌍의 보조셔터부재(133a)(133b)를 지지하기 위한 좌, 우 한쌍씩의 지지간부(146a)(147a)(146b)(147b)가 이들 보조셔터부재 (133a)(133b)의 중간부분에 각각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지지간부(146a)(147a)(146b)(147b)는 보조셔터부재(133a)(133b)의 중간부분의 폭과 같은 간격을 두고 상호 대향되어 있다. 또한, 이들 지지간부 (146a)(147a)(146b)(147b)의 상호 대향하는 면은 반원주상의 볼록면으로 되어 있다.
보조셔터부재(133a)(133b)의 각 자유단부측에는 외측셀(5)의 통기구 (52a)(52b)에 대응하여 차폐판부(148a)(148b)가 배치된다. 또한 보조셔터부재 (133b)에는 차폐판부(148b)에 인접하여 통기구(14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통기구(149)는 도 19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보조셔터부재(133b)가 개방위치로 이동될 때 외측셀(5)의 통기구(52b)에 겹치어 이 통기구(52b)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통기구형성부재(51)의 내측면(단, 통기구 52b의 바깥주위부근)과 외측셀(5)의 외주면사이의 간격을 보조셔터부재(133b)의 통기구(149)의 외주위부근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일치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4)항("두부후측 벤틸레이터기구"의 항)에 기재된우측의 제2배기통로(73)는 우측 통기구(52b), 통기구(109) 및 우측 통기구(54)로 구성되므로 이 제2배기통로(73)를 흐르는 공기가 통기용 공간(71)에 확산될 우려가 없다. 또한, 좌측의 제2배기통로(73)도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좌측의 보조셔터부재(133a)의 자유단을 도 19에서 쇄선으로 보인 바와 같이 차폐판부(148)로부터 연장시켜서 연장부(150)를 형성함과 함께 이 연장부(150)에 통기구(149)에 대응하는 통기구(151)를 형성 할 수 있다.
이러한 제3실시예에서 통기구형성부재(51)는 좌우 한쌍의 조작손잡이용 슬리트(60)를 대신하여 조작손잡이(131a)를 위한 슬리트(139)가 통기구(55a)(55b)(55c)와 연결부(70)사이의 단차면(64)에 형성된는 것을 제외하고는 이미 언급된 제1실시예의 통기구형성부재(5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도 19에서 보인 바와 같이, 외측셀(5)의 통기구(52a)(52b) (53a)(53b)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통기구형성부재(51)의 조작손잡이용 슬리트(139)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조작부재(131)의 조작손잡이(131a)를 좌측방향(도 19에서는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가이드용 슬리트(135a)(135b)(136) 및 가이드용 돌기부(151a)(151b)(142)에 의한 직선이동의 안내기능에 의해 조작부겸용의 메인 셔터부재(131)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메인 셔터부재(131)의 차폐판부(134a)(134b)는 외측셀(5)의 통기구(53a)(53b)를 그 외주면측으로부터 폐쇄한다. 이와 같이, 이들 통기구(53a)(53b)는 개방상태에서 폐쇄상태로 변화한다. 또한, 메인 셔터부재(131)에 의하여, 보조셔터부재(133a)(133b)는 이들의 중간부분을 지지간부(146a)(147a)(146b)(147b)에 의해 지지되고 또한 가이드용 슬리트(144a)(144b) 및 가이드용 돌기부(145a)(145b)에 의하여 안내되어 축(143a)(143b)를 받침점으로 하여 도 19의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각각 약간 회전한다. 이로써, 보조셔터부재(133a)(133b)의 차폐판부(148a)(148b)는 외측셀(5)의 통기구(52a)(52b)를 각각 외주면측으로부터 폐쇄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이들 통기구(52a)(52b)는 개방상태에서 폐쇄상태로 변화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단일의 조작손잡이(131a)의 왕복이동조작에 따라서, 통기구(52a)(52b)(53a)(53b)는 동시에 폐쇄상태 또는 개방상태가 되므로 상기 제1배기통로(72) 및 상기 좌우 한쌍의 제2배기통로(73)가 모두 동시에 폐쇄상태 또는 개방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언급된 제3실시예는 두부후측의 벤틸레이터기구(8)의 셔터기구(56)의 구체적인 구조가 상이하고 이에 따라서 스테빌라이저구성부재 겸용의 통기구형성부재(51)의 구체적인 형상이 약간 상이한 점을 제외하고는 이미 언급된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상기 언급된 제3실시예는 두부후측의 벤틸레이터기구(8)의 셔터기구(56)의 구체적인 구조가 상이하고 이에 따라서 스테빌라이저구성부재 겸용의 통기구형성부재(51)의 구체적인 형상이 약간 상이한 점을 제외하고는 이미 언급된 제2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좋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제1, 제2 및 제3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취지에 기초하여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언급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스테빌라이저구성부재 겸용의 통 기구형성부재(51)의 좌, 우 방향에서의 중앙부분에 단일의 통기구형성부재 겸용의 스테빌라이저부(61)를 형성함과 동시에 좌우방향에서 양측부분에 좌우 한쌍의 기류분할부(62a)(62b)를 형성한다. 그러나, 이와는 반대로 스테빌라이저구성부재 겸용의 통기구형성부재(51)의 좌우방향에서 중앙부분에 단일의 기류분할부를 형성하고 좌우방향에서 양측부분에 좌우 한쌍의 통기구형성부재 겸용의 스테빌라이저부를 형성할수도 있다.
또한, 상기 언급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두부충격흡수라이너(11)의 외주면(23b)과 외측셀(5)의 내주면사이에 형성된 좌우 한쌍의 통기공(30)을 상기 제1배기통로(72)에 각각 연통시킴과 동시에, 메인 라이너부재(22)와 외측보조라이너부재(23)사이에 형성된 좌우 한쌍의 통기공(28)과 두부충격흡수라이너(11)의 좌우 한쌍의 관통공(31a)(31b)(32a)(32b)를 상기 좌우 한쌍의 제2배기통로(73)에 각각 연통시킨다. 그러나, 이와는 반대로, 좌우 한쌍의 통기공(30)을 상기 좌우 한쌍의 제2배기통로(73)에 각각 연통되게 하고 좌우 한쌍의 통기공(28) 및 좌우 한쌍의 관통공(31a)(31b)(32a)(32b)를 상기 제1배기통로(72)에 연통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언급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통기구형성부재 겸용의 스테빌라이저부(61)의 단차면(64)이 기류편향면(63)의 후단으로부터 외측셀(5)의 외주면으로 연장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단차면(64)은 기류편향면(63)의 후단부근으로부터 외측셀(5)의 외주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것이 좋은 바, 예를 들어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기류편향면(63)이 단차면(64)의 상측으로 차양의 형태가 되게 돌출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언급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좌우 한쌍의 기류분할부(62a)(62b)에 실질적으로 V자형의 돌조부(66)를 각각 형성한다. 그러나, 돌조부(66)는 필히 V자형일 필요는 없고 U자형과 같이 다른 양갈래형일 수도 있다. 그리고, 실질적으로 V자형의 돌조부(66)에 대하여 이미 언급된 좋은 치수범위 및 더 좋은 치수범위는 돌조부(66)가 이와 다른 양갈래형상인 경우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언급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1배기통로(72) 및 상기 좌우 한쌍의 제2배기통로(73)를 셔터기구(56)에 의하여 폐쇄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하여 외측셀(5)에 형성된 통기구(52a)(52b)(53a)(53b)를 셔터기구(56)에 의하여 각각 폐쇄되게 한 구성이다. 그러나, 필히 이와 같이 구성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통기구형성부재(51)에 형성된 통기구(54a)(54b)(55a-55c)를 셔터기구(56)에 의하여 폐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언급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을 풀 페이스형 헬멧(1)에 적용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젯트형, 세미-젯트형, 턱부분이 상승가능한 젯트형 겸용의 풀 페이스형 등 다른 형태의 헬멧에도 적용될 수 있다.

Claims (3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헬멧착용자가 두부에 착용하는 두부보호체를 구비하고, 이 두부보호체에 벤틸레이터기구를 배치한 헬멧에 있어서, 스테빌라이저부를 갖는 스테빌라이저구성부재가 상기 두부보호체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테빌라이저부는 그 전단으로부터 후단에 걸쳐 상기 두부보호체의 외부면으로부터 점차 멀어지는 기류편향면과 상기 기류편향면의 후단부근으로부터 상기 두부보호체의 외주면을 향하여 연장된 단차면을 가지며, 상기 벤틸레이터기구의 배기구로서 작용하는 통기구가 상기 단차면에 형성되고, 상기 스테빌라이저구성부재가 상기 헬멧착용자의 정수리부분에 대향하는 상기 두부보호체의 정수리 영역과, 상기 헬멧착용자의 후두부의 상측부분에 대향하는 상기 두부보호체의 후두영역 상측부분과, 상기 정수리영역의 근방 또는 상기 후두영역 상측부분의 근방 중 적어도 한 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벤틸레이터기구로서의 상기 벤틸레이터기구와는 별도로, 제2 벤틸레이터기구로서의 턱부분 벤틸레이터기구, 제3 벤틸레이터기구로서의 이마부분 벤틸레이터기구 및 제4 벤틸레이터기구로서의 두부전측의 벤틸레이터기구가 상기 두부보호체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4 벤틸레이터기구로서의 상기 두부전측의 벤틸레이터기구는 상기 제3 벤틸레이터기구로서의 상기 이마부분 벤틸레이터기구와 상기 제1 벤틸레이터기구로서의 상기 벤틸레이터기구의 전후방향의 중간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벤틸레이터기구로서의 상기 턱부분 벤틸레이터기구, 상기 제3 벤틸레이터기구로서의 상기 이마부분 벤틸레이터기구 및 상기 제4 벤틸레이터기구로서의 상기 두부전측의 벤틸레이터기구는 급기구의 기능을 하는 통기구를 각각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32. 헬멧착용자가 두부에 착용하는 두부보호체를 구비하고, 이 두부보호체에 벤틸레이터기구를 설치한 헬멧에 있어서, 스테빌라이저부와, 이 스테빌라이저부와는 별도로 설치된 기류분할부를 공통으로 구비하고 있는 스테빌라이저구성부재가 상기 두부보호체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테빌라이저부가 그 전단으로부터 후단에 걸쳐 상기 두부보호체의 외부면으로부터 점차 멀어지는 기류편향면을 가지며, 상기 기류분할부는 양갈래형의 돌조부와, 상기 양갈래형 돌조부에 둘러싸여서 상기 벤틸레이터기구의 배기구로서 작용하는 통기구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빌라이저부는 상기 기류편향면의 후단부근으로부터 상기 두부보호체의 외주면을 향하여 연장된 단차면을 가지고, 상기 벤틸레이터기구의 제2배기구로서 작용하는 제2통기구가 상기 단차면에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34. 헬멧착용자가 두부에 착용하는 두부보호체를 구비하고, 이 두부보호체에 벤틸레이터기구를 배치한 헬멧에 있어서, 통기구형성부와, 이 통기구형성부와는 별도로 형성된 기류분할부를 공통으로 구비하는 통기구형성부재가 상기 두부보호체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통기구형성부재는 그 전단으로부터 후단에 걸쳐 상기 두부보호체의 외부면으로부터 점차 멀어지는 기류편향면과, 이 기류편향면의 후단부근으로부터 상기 두부보호체의 외주면을 향하여 연장된 단차면을 가지며, 상기 기류분할부가 양갈래형의 돌조부와, 이러한 양갈래형 돌조부에 둘러싸여 상기 벤틸레이터기구의 제1 배기구로서 작용하는 제1 통기구를 가지고, 상기 벤틸레이터기구의 제2배기구로서 작용하는 제2통기구가 상기 단차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보호체의 외측셀에 제3 및 제4 통기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측셀의 상기 제3 통기구로부터 상기 단차면의 제2 통기구까지 적어도 하나의 제1배기통로와, 상기 외측셀의 상기 제4 통기구로부터 상기 기류분할부의 상기 제1 통기구까지 적어도 하나의 제2 배기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1 배기통로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배기통로를 함께 개폐시킬 수 있는 셔터기구가 구비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기통로를 좌우 한쌍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제2배기통로를 좌우 한쌍 구비하고, 상기 셔터기구는 상기 좌우 한쌍의 제1배기통로와 상기 좌우 한쌍의 제2배기통로를 함께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
KR1020027017374A 2001-06-12 2002-05-31 헬멧 KR1008712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77205 2001-06-12
JPJP-P-2001-00177205 2001-06-12
PCT/JP2002/005384 WO2002100204A1 (fr) 2001-06-12 2002-05-31 Cas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7231A KR20030037231A (ko) 2003-05-12
KR100871285B1 true KR100871285B1 (ko) 2008-11-28

Family

ID=19018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7374A KR100871285B1 (ko) 2001-06-12 2002-05-31 헬멧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10228B2 (ko)
EP (1) EP1396200B1 (ko)
JP (1) JP4222933B2 (ko)
KR (1) KR100871285B1 (ko)
DE (1) DE60216587T2 (ko)
WO (1) WO20021002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64873A1 (en) * 2002-05-29 2004-04-08 Muskovitz David T. In-mold protective helmet having integrated ventilation system
US20050278834A1 (en) * 2004-03-31 2005-12-22 Lee Troy M Helmet
US7140049B2 (en) * 2004-08-03 2006-11-28 Bell Sports, Inc. Helmet protection system
US20060031978A1 (en) * 2004-08-10 2006-02-16 Pierce Brendan E Ventilated helmet system
JP2006299456A (ja) 2005-04-20 2006-11-02 Arai Helmet Ltd ヘルメット
JP4848155B2 (ja) * 2005-08-19 2011-12-28 株式会社Shoei ヘルメット
JP4125761B2 (ja) * 2006-04-10 2008-07-30 株式会社アライヘルメット ヘルメット
US8127375B2 (en) * 2006-05-15 2012-03-06 Fox Racing, Inc. Low profile helmet vents and venting system
US9494388B2 (en) 2006-11-03 2016-11-15 Lineweight Llc Vented ballistic combat helmet
US7987525B2 (en) * 2007-04-13 2011-08-02 Klim Helmet
US8661572B2 (en) * 2007-09-06 2014-03-04 Artisent, Llc Helmet edge band
JP4533922B2 (ja) * 2007-10-04 2010-09-01 株式会社アライヘルメット ヘルメット
US8117676B1 (en) 2008-12-01 2012-02-21 Jefferson Cardoso Hardhat with vent strip and lighting configuration
US9364041B2 (en) * 2010-01-14 2016-06-14 Smith Optics, Inc. Helmet comprising surface reinforcing component with embedded anchors
US8683617B2 (en) 2011-01-19 2014-04-01 Smith Optics, Inc. Multi-component helmet with ventilation shutter
ITMI20130978A1 (it) * 2013-06-13 2014-12-14 Kask S R L Casco a ventilazione selettiva per uso ciclistico
WO2014210398A1 (en) * 2013-06-26 2014-12-31 SERE Industries Inc. Shovel head counterweight
JP6163366B2 (ja) * 2013-06-27 2017-07-12 株式会社Shoei ヘルメット
USD744169S1 (en) * 2013-09-05 2015-11-24 SERE Industries Inc. Helmet counterweight shovel head
JP2015098660A (ja) * 2013-11-19 2015-05-28 株式会社アライヘルメット ヘルメット
JP6282491B2 (ja) * 2014-03-05 2018-02-21 株式会社Shoei 留め機構及びヘルメット
WO2016016710A1 (en) * 2014-08-01 2016-02-04 Albani Ivan Matteo Safety helmet
JP6602605B2 (ja) * 2015-09-01 2019-11-06 株式会社Shoei 空力制御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ヘルメット
US11202482B2 (en) * 2017-04-18 2021-12-21 Kimpex Inc. Ventilated helmet preventing deposition of fog on a protective eyewear, and a method and use of the same
US10786027B1 (en) * 2017-06-29 2020-09-29 Bell Sports, Inc. Helmet vent bezel
FR3069418B1 (fr) * 2017-07-26 2019-11-29 Skis Rossignol - Club Rossignol Casque de sport a capacites d’aeration et de desembuage renforcees
JP2020023774A (ja) * 2018-07-31 2020-02-13 株式会社オージーケーカブト ヘルメット
JP7017532B2 (ja) * 2019-02-22 2022-02-08 株式会社Shoei ヘルメット用気流制御部材、および、ヘルメット
FR3125685B1 (fr) 2021-07-30 2024-05-31 Shark Casque de protection avec déflecteur aérodynamique optimis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06288B1 (en) * 1982-10-09 1986-08-27 Sanden Corporation Scroll type compressor
JPH10245712A (ja) * 1997-02-28 1998-09-14 Shoei Kako Kk ヘルメ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96854A (en) * 1968-03-05 1970-02-24 Ilc Ind Inc Ventilated helmet
IT207008Z2 (it) * 1986-06-30 1987-10-26 Nava & C Spa Casco integrale, per motociclisti, dotato di un dispositivo di estrazione dell'aria, montato sulla sua sommita'.
JPH057212Y2 (ko) * 1987-08-14 1993-02-24
IT1223434B (it) * 1987-12-15 1990-09-19 Nolan Spa Casco protettivo per motociclisti e simili provvisto di mezzi di ventilazione, regolabili manualmente
JPH0441138Y2 (ko) * 1988-12-24 1992-09-28
JPH0444591Y2 (ko) * 1990-03-22 1992-10-21
JPH0663125B2 (ja) 1990-08-31 1994-08-17 昭栄化工株式会社 乗車用ヘルメット
US5165116A (en) * 1990-09-10 1992-11-24 Simpson Elwood J B Anti buffeting safety-racing helmet
DE9212247U1 (de) * 1992-09-11 1993-04-08 F. M. Fallert Motor GmbH & Co, Motorrad-Sport KG, 7590 Achern Sturzhelm mit einer körpergerechten Polsterung und Vorrichtung zu deren Herstellung
CA2089102C (en) * 1992-05-20 1996-12-17 Haruo Tanaka Ventilated vehicle helmet with modular duct forming lining
JP3675976B2 (ja) * 1996-07-30 2005-07-27 株式会社Shoei ヘルメット
US5996128A (en) * 1998-12-31 1999-12-07 Korea Ogk Co., Ltd. Air flow adjusting rear member of the helmet
JP3046820B1 (ja) * 1999-05-25 2000-05-29 オージーケー販売株式会社 換気機能を有するヘルメット及び換気用シャッター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06288B1 (en) * 1982-10-09 1986-08-27 Sanden Corporation Scroll type compressor
JPH10245712A (ja) * 1997-02-28 1998-09-14 Shoei Kako Kk ヘルメ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158914A1 (en) 2004-08-19
WO2002100204A1 (fr) 2002-12-19
DE60216587D1 (en) 2007-01-18
JP4222933B2 (ja) 2009-02-12
US6910228B2 (en) 2005-06-28
EP1396200A4 (en) 2004-09-01
EP1396200B1 (en) 2006-12-06
EP1396200A1 (en) 2004-03-10
DE60216587T2 (de) 2007-04-05
JPWO2002100204A1 (ja) 2004-09-24
KR20030037231A (ko) 2003-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1285B1 (ko) 헬멧
JP4592871B2 (ja) ヘルメット
JP3675976B2 (ja) ヘルメット
JP4895544B2 (ja) フルフェイス型ヘルメット
US5212843A (en) Helmet
EP0571065B1 (en) Helmet
EP0474939B1 (en) Helmet
US5170510A (en) Integral motorcyclist helmet provided with means for preventing fogging of the visor thereof
JP2002069738A (ja) ヘルメット用チンカバーおよびこのチンカバーが取り付けられたヘルメット
JP3934727B2 (ja) ヘルメット
JP2610795B2 (ja) ヘルメットの換気装置
JPH026609A (ja) ヘルメット
JP2001089926A (ja) ヘルメットの通風構造
JPH0441135Y2 (ko)
JPH0216971Y2 (ko)
JPH0414420Y2 (ko)
JPH057212Y2 (ko)
JPH07243115A (ja) ヘルメットの通風構造
JPH027844Y2 (ko)
JPH0437858Y2 (ko)
JP3047226U (ja) ゴーグル
JPH06240508A (ja) ヘルメットの帽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