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0634A - 헬멧투시창의 쉴드 회전 및 인출장치 - Google Patents

헬멧투시창의 쉴드 회전 및 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0634A
KR20020090634A KR1020010029565A KR20010029565A KR20020090634A KR 20020090634 A KR20020090634 A KR 20020090634A KR 1020010029565 A KR1020010029565 A KR 1020010029565A KR 20010029565 A KR20010029565 A KR 20010029565A KR 20020090634 A KR20020090634 A KR 20020090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helmet
ball
lev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9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3482B1 (ko
Inventor
이영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비씨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비씨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비씨산업
Priority to KR10-2001-0029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3482B1/ko
Publication of KR20020090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0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3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34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1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 A42B3/222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in an articulated manner, e.g. hinge devices
    • A42B3/223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in an articulated manner, e.g. hinge devices with means for locking the visor in a fully open, intermediate or clos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32Collapsible helmets; Helmets made of separable parts ; Helmets with movable parts, e.g. adjustable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토바이나 경주차량용 헬멧의 투시창을 필요에 따라 가려주는 쉴드에 관한 것으로, 헬멧본체(100)의 양측부에, 보울팅됨은 물론, 몸체 전면에, 결합공(28)을 구비한 원통형상의 원형돌기(22)가 형성된 래칫베이스(20)와; 원형돌기 (22)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스프링(S)을 통해 한쪽방향으로 압축됨은 물론, 몸체 전면에, 원통형상의 관통공(31)이 형성된 하우징레버(30)와; 관통공 (31)의 내주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됨은 물론 삽입벽체(41)의 전면에, 쉴드(200)의 회전 축(11)이 삽입되어 볼(46)을 통해 회전되는 회전홈(45)이 형성됨과 더불어 삽입벽체(41)의 저면에, 결합공(28)으로 끼워지는 결합돌기(43)가 형성된 볼하우징 (40)과; 래칫베이스(20)의 몸체에, 경사지게 삽입되어 하우징레버(30)의 작동과정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쉴드(200)의 이탈을 방지함과 더불어 그 상한을 제한하는 쉴드고정레버(50)를 연속적으로 구비하여, 쉴드 회전시 마찰저항을 감소시킴으로서 구성품의 수명을 연장하고, 쉴드의 분해 또는 조립과정의 편의성을 향상시켜 작업효율이 증대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헬멧투시창의 쉴드 회전 및 인출장치 {Device for rotating and separating a shield of helmet}
본 발명은 오토바이나 경주차량용 헬멧의 투시창을 필요에 따라 가려주는 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쉴드의 분해 또는 조립에 따른 작업공수를 절감시킴은 물로 쉴드 회전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수 있도록 된 헬멧 투시창의 쉴드 회전 및 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헬멧(helmet)은 오토바이나 경주차량 등에 탑승한 탑승자의 머리부분을 감싸, 충돌 혹은 추돌과 같은 사고가 발생된 경우 탑승자를 보호하여주는 보호장비로서, 탑승자의 머리부분을 감싸 보호하여주는 헬멧본체와, 헬멧본체의 전방측에 형성되어 전방시야를 확보하여주는 투시창과, 헬멧본체의 양측부에 개폐조절장치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쉴드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투시창의 개폐장치는, 헬멧본체의 양측부에 장착된 쉴드를 회전시킬수 있는 장치로서, 투시창의 완전개방에서 완전폐쇄까지 단계별로 작동됨은 물론 쉴드를 올리거나 내리는 과정에서 목표로하는 지점에서 작동이 확실히 이루어져 운전자의 시야장애를 주지않는 과제가 선결되어야 한다.
예컨대, 국내실용신안(공고번호 93-905,1993년 2월 27일)에 의하면, 개폐조절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시창(2)의 양단부측 주면에 형성된 지지판 (3) 중 어느 한쪽 지지판(3)에 걸림돌조(4')가 형성된 괘지판(4)을 탄성스프링(5)으로 탄동되게 유착하고, 쉴드(8)의 양단부에 일방향톱니(9')가 축공(9")주위에 형성된 회동판(9)을 형성하여, 걸림돌조(4')와 일방향톱니(9')끼리 맞물리게 유착한 다음, 지지판(3)과 회동판(9)의 사이에 스프링(7)과 레버(6)를 결접하여 쉴드(8)를 당길 수 있는 구성이다.
그런데, 국내실용신안에 의한 개폐조절장치는, 괘지판(4)을 누르기만 하면 스프링(7)의 탄성력과 레버(6)의 상호작용에 의해 쉴드(8)가 리턴되어 투시창(2)을 원터치식으로 가려주는 장점이 있지만, 쉴드(8)의 반복사용으로 인해 스프링(7)의 탄성력이 감소되거나, 걸림돌조(4')와 톱니(9')가 마모되는 경우 괘지판(4)의 실질적 작동이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개폐조절장치에는 쉴드의 개폐사정이 악화되는 경우에 쉴드를 분해/조립시켜주는 분해조립장치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장치는 고정나사를 별도로 해체하지 않은 상태에서 쉴드의 분해 또는 조립과정을 가능하게 하여 작업편의성이 제공되는 과제가 선결되어야 한다.
예컨대, 분해조립장치는 일본특허(공고번호 92-4856, 1992년 6월 19일)에 의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멧본체(1)의 좌우외측면에 고착한 계지부재에 대하여 쉴드(2)의 좌우측부에 부착한 계지부재를, 쉴드(2)의 완전개방위치보다 상방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지지부(6)와 축지지장치(10)를 감입시키고, 그 상태에서 쉴드(2)를 하부방향으로 회동시키므로써 계지부재의 개폐한정장치가 다른쪽 계지부재의 안내홈(9)에 감입 또는 계합하여 한정개방하는 구성이다.
그런데, 일본특허에 의한 분해조립장치는, 헬멧본체(1)에서 쉴드(2)를 상방향으로 회동시킨 다음 암계지부재(B)를 인장하여 스톱퍼(5)로부터 벗겨내고, 다시방풍체(2)를 회동하여 안내부재(10b)와 입구부(6c)를 합치시키면, 괘합돌출부재 (4b)가 괘지홈(13)에서 벗어나 암계지부재(B)가 숫계지부재(A)로부터 벗어나 분리되는 구성으로서, 분해 또는 조립과정이 번거러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서, 헬멧투시창용 쉴드의 분해 또는 조립에 따른 작업공수를 절감시킴은 물론 쉴드 회전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수 있도록 된 헬멧투시창의 쉴드 회전 및 인출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헬멧투시창의 쉴드 회전 및 인출장치의 실시예,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헬멧투시창의 쉴드 회전 및 인출장치의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헬멧투시창의 쉴드 회전 및 인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a,4b,4c는 본 발명에 따른 헬멧투시창의 쉴드 회전 및 인출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회전축
20 : 래칫베이스22 : 원형돌기
28 : 결합공
30 : 하우징레버31 : 관통공
40 : 볼하우징43 : 결합돌기
45 : 회전홈46 : 볼
50 : 쉴드고정레버
100 : 헬멧본체200: 쉴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헬멧투시창의 쉴드 회전 및 인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4a,4b,4c는 본 발명에 따른 헬멧투시창의 쉴드 회전 및 인출장치의 작동상태도로서, 탑승자의 머리부분을 감싸 보호함과 더불어 몸체전방측에 전방시야확보를 위한 투시창이 형성된 헬멧본체(100)와, 헬멧본체(100)의 양측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됨은 물론 투시창을 필요에 따라 가려주는 쉴드(200)로 구성되어진 헬멧본체의 쉴드 회전 및 인출장치에 있어서, 헬멧본체(100)의 양측부에, 보울팅됨은 물론 몸체 전면에 결합공(28)을 구비한 원통형상의 원형돌기(22)가 형성된 래칫베이스(20)와; 원형돌기(22)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스프링(S)을 통해 일방향으로 압축됨은 물론 몸체 전면에 원통형상의 관통공(31)이 형성된 하우징레버(30)와; 관통공(31)의 내주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됨은 물론 삽입벽체(41)의 전면에, 쉴드(200)의 회전축(11)이 삽입되어 볼(46)을 통해 회전되는 회전홈(45)이 형성됨과 더불어 삽입벽체(41)의 저면에, 결합공(28)으로 끼워지는 결합돌기(43)가 형성된 볼하우징(40)과; 래칫베이스(20)의 몸체에 경사지게 삽입되어 하우징레버(30)의 작동과정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쉴드(200)의 이탈을 방지함과 더불어 그 상한을 제한하는 쉴드고정레버(50)를 연속적으로 구비하여, 래칫베이스 (20)의 하부측을 이루는 슬라이드판(25)을 통해 쉴드(200)를 다단계로 회전시킴은 물론 하우징레버(30)와 쉴드고정레버(50)의 작동과정에서 쉴드(200)를 인출시키는 구조를 이룬다.
먼저,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헬멧본체(100)와 쉴드(200)와 래칫장치로 이루어지는데, 특히 래칫장치는 래칫베이스(20)와 하우징레버(30)와 볼하우징(40)과 쉴드고정레버(50)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헬멧본체(100)는 종래기술과 기능상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쉴드(200)와 래칫장치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쉴드(200)는, 헬멧본체(100)의 양측부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것으로서, 몸체의 내벽양측에 이후에 설명하게 되는 볼(46)이 접촉되는 접촉홈(15)을 구비한 회전축(11)이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축(11)의 하측에, 이후에 설명하게 되는 슬라이드판(25)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판(12)이 형성되며, 이동판(12)의 일면에 라운드돌기(13)가 형성되면서 타면에 걸림돌기(14)가 형성된다.
또한, 이동판(12)의 상측에, 그 끝부분이 라운딩형상을 이루는 스톱퍼(16)가형성된다.
한편, 래칫베이스(20)는, 몸체 상하측에 보울트(B)가 체결되는 상하통과공 (21,21')이 형성되고, 상부통과공(21)의 둘레에 원통형상의 원형돌기(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원형돌기(22)의 하측에, 스프링(s)이 폭방향으로 수용됨은 물론 그 내벽일측에 스프링(s)을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고정돌기(23a)가 형성된 수용공(23)이 형성된다.
그리고, 수용공(23)의 측부에, 이후에 설명하게 되는 쉴드고정레버(50)가 장착되는 경사공(24)이 형성되되, 경사공(24)의 상부에 쉴드고정레버(50)가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드홈(24a)이 형성되고, 중간부에 쉴드고정레버(50)의 이탈방지와 상한을 제한하는 제한판(24b)이 교차되게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 쉴드고정레버(50)에 의해 이동판(12)의 상향이 제한될 때 쉴드고정레버(50)를 지지하는 받침돌기(24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용공(23)의 하부측에, 그 일측에 이동판(12)이 삽입되는 삽입면이 형성되면서 그 타측에 이동판(12)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폐쇄면이 형성된 슬라이드판(25)이 꺾임성형되되, 슬라이드판(25)에 라운드돌기(13)와 맞물리는 다수개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판(25)의 하측에, 이동판(12)의 일측면을 이루는 걸림돌기 (14)가 맞물리는 톱니형상의 걸림판(2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원형돌기(22)의 측면에, 이후에 설명하게 되는 하우징레버(30)의 안내홈(34)으로 끼워지는 지지돌기(27)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원형돌기(22)의 바닥면에, 하우징(40)의 결합돌기(43)가 삽입되면서 그 내주면 일측에 결합돌기(43)를 고정하여주는 고정돌기(28a)가 구비된 두 개의 결합공(28)이 형성된다.
그리고, 경사홈(24)의 상부에, 쉴드(200)의 스톱퍼(16)가 걸려 쉴드(200)의 하측 회전을 제한하는 제한돌기(29)가 형성된다.
한편, 하우징레버(30)는, 원형돌기(22)의 내주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것으로서, 몸체중앙에 이후에 설명하게 되는 볼하우징(40)의 삽입벽체(41)가 수용되는 관통공(3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관통공(31)의 하측에 스프링(S)과 접촉되어 탄성력을 받는 압력돌기 (32a)가 구비된 압력판(32)이 형성되며, 관통공(31)의 측면에 지지돌기(27)가 끼워지는 안내홈(34)과 쉴드고정레버(50)의 끼움돌기(51)가 끼워지는 끼움홈(35)이 구비된 조절판(36)이 형성된다.
그리고, 관통공(31)의 내주면에, 압력판(32)이 스프링(S)을 압축할 때 이후에 설명하게 되는 볼하우징(40)의 볼삽입공(47)으로 삽입된 볼(46)이 이동되는 분리홈(37)이 형성된다.
한편, 볼하우징(40)은, 관통공(31)에 삽입되어 하우징레버(30)의 유동을 방지하여주는 것으로서, 몸체의 둘레면에 관통공(31)으로 삽입되는 삽입벽체(4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삽입벽체(41)의 전방둘레면에 볼하우징(40)의 회전과정에서 조작을용이하게 하기 위한 플렌지부(42)가 형성되고, 삽입벽체(41)의 후면에 결합공(28)으로 삽입되는 두 개의 결합돌기(43)가 형성된다.
그리고, 삽입벽체(41)의 몸체중앙에 보울트(B)가 체결되는 고정홈(44)이 형성되고, 고정홈(44)의 외주면과 플랜지부(42)의 사이에 쉴드(200)의 회전축(11)이 삽입되는 회전홈(45)이 형성되고, 삽입벽체(41)의 둘레면에 볼(46)이 삽입되는 볼삽입공(47)이 형성된다.
한편, 쉴드고정레버(50)는, 경사공(24)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삽입되어 쉴드 (200)를 이루는 이동판(12)의 상측이동을 제한하여주는 것으로서, 몸체상부에 끼움홈(35)으로 끼워지는 끼움돌기(51)가 형성되고, 몸체하부에 이동판(12)이 삽입되어 정지되는 정지홈(52a)이 구비된 정지돌기(52)가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된 구성요소를 헬멧본체(100)에 장착하려면, 먼저 래칫베이스(20)의 경사공(24)에 쉴드고정레버(50)를 삽입시킨다.
그리고, 원형돌기(22)의 내주면에 하우징레버(30)을 장착함과 동시에 안내홈 (34)과 끼움홈(35)에 지지돌기(27)와 끼움돌기(51)를 각각 끼우고 나서, 스프링고정돌기(23a)와 압력돌기(32a)의 사이에 스프링(S)을 장착시킨다.
그런 다음, 볼하우징(40)의 볼삽입공(47)에 볼(46)을 삽입시킨 후, 래칫베이스(20)의 결합공(28)에 볼하우징(40)의 결합돌기(43)를 삽입시키고, 볼하우징(40)을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결합돌기(43)가 결합공(28)의 고정돌기(28a)에 고정된다.
그리고, 래칫베이스(20)의 하부통과공(21')과 볼하우징(40)의 고정홈(44)에 보울트(B)를 사용하여 래칫장치를 헬멧본체(100)에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하우징레버(30)의 압력판(32)에 힘을 가하여 스프링(S)이 밀착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관통공(31)의 내주면에 형성된 분리홈(37)이 일측으로 회전되어 볼삽입공(47)과 같은 지점에 위치하게 되어 볼(46)이 분리홈(37) 쪽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끼움홈(35)에 끼워진 끼움돌기(51)가 상측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쉴드고정레버(50)도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쉴드(200)를 투시창의 상측에 위치시키고, 회전축(11)을 볼하우징 (40)의 회전홈(45)에 삽입한다.
그런 다음, 쉴드(200)를 하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동판(12)이 쉴드고정레버(50)의 하측을 통과하면서 슬라이드판(25)의 하측으로 끼워지고, 라운드돌기(13)는 슬라이드판(25)과 맞물리게 된다.
그리고, 하우징레버(30)에 가한 힘을 제거하면, 하우징레버(30)가 스프링(S)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되는 과정에서 쉴드고정레버(50)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쉴드 (200)가 헬멧본체(100)에 장착된다.
한편, 헬멧본체(100)의 투시창을 개방하기 위해 쉴드(200)를 상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볼하우징(40)의 회전홈(45)에 삽입된 회전축(11)이 볼삽입공(47)에 삽입된 볼(46)과 접촉되면서 회전된다.
이때, 이동판(12)은 톱니형상의 슬라이드판(25)의 하측에서 슬라이드되면서회전되며, 이동판(12) 내측의 라운드돌기(13)는 슬라이드판(25)의 톱니와 맞물리며 다단계로 회전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쉴드(200)가 위치하게 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쉴드(200)가 상측방향으로 계속해서 회전되게 되면, 이동판(12)은 쉴드고정레버(50)의 정지홈(52a)에 삽입되어 정지되고, 스톱퍼(16)는 제한돌기 (29)에 걸려 쉴드(200)의 하측회전이 제한되므로 쉴드(200)가 상위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반대로, 투시창을 폐쇄하기 위해 최상위점에 위치된 쉴드(200)를 하측으로 회전시키면, 쉴드(200)의 스톱퍼(16)가 제한돌기(29)와 분리되어 쉴드(200)가 하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라운드돌기(13)는 톱니형상의 슬라이드판(25)과 맞물리며 하측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과정에서, 쉴드(200)가 하측방향으로 계속해서 회전되게 되면, 이동판 (12)이 슬라이드판(25)의 폐쇄된 부분과 맞닿으면서 쉴드(200)가 정지되어, 투시창이 쉴드(200)에 의해 폐쇄된다.
한편, 쉴드(200)의 파손이나 구성품의 마모등의 원인으로 개폐사정이 악화되어 쉴드(200)를 분리할 경우, 쉴드(200)를 상위점으로 회전시킨다.
이 과정에서, 쉴드(200)의 하측에 나타난 하우징레버(30)의 압력판(33)을 스프링(s)이 밀착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관통공(31)의 내주면에 형성된 분리홈 (37)이 회전되면서, 회전축(11)의 접촉홈(15)과 접촉되있던 볼(46)이 분리홈(37)으로 이동이 가능해진다.
이때, 안내홈(34)은 지지돌기(27)를 따라 회전되면서 상한이 제한되고, 끼움홈(35)에 끼워진 끼움돌기(51)가 상부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쉴드고정레버(50)가 상부측으로 이동된다.
그런 다음, 쉴드(200)을 상부측으로 회전시켜 이동판(12)이 슬라이드판(25)에서 분리시킨 후, 회전축(11)을 축방향으로 잡아당겨 회전홈(44)에서 분리시키면, 쉴드(200)가 헬멧본체(100)에서 분리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헬멧본체의 양측부에 장착되는 쉴드는 상측으로 회전된 쉴드의 외측으로 노출된 압력판에 힘을 가한 후, 분해 또는 조립된다.
즉, 쉴드는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손쉽게 작업이 쉴드의 분해 또는 조립이 이루어지므로 쉴드의 분해 또는 조립에 따른 작업의 편이성이 향상되어 작업효율이 향상된다.
그리고, 헬멧의 투시창을 쉴드를 사용하여 상하로 개폐할 때, 볼삽입공에 삽입된 볼의 일측은 회전축의 접촉홈과 접촉되고, 타측은 하우징레버의 관통공의 내주면과 접촉됨으로써, 쉴드의 상하 회전시, 쉴드와 구성품간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마찰로 인한 마모를 줄여줌으로써 쉴드와 구성품의 사용기간이 연장되어, 쉴드와 구성품의 교체에 소요되는 작업공수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탑승자의 머리부분을 감싸 보호함과 더불어 몸체전방측에 전방시야확보를 위한 투시창이 형성된 헬멧본체(100)와, 헬멧본체(100)의 양측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됨은 물론 투시창을 필요에 따라 가려주는 쉴드(200)로 구성되어진 헬멧본체의 쉴드 회전 및 인출장치에 있어서,
    헬멧본체(100)의 양측부에 보울팅됨은 물론 몸체 전면에, 결합공(28)을 구비한 원통형상의 원형돌기(22)가 형성된 래칫베이스(20)와; 원형돌기(22)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스프링(S)을 통해 일방향으로 압축됨은 물론 몸체 전면에, 원통형상의 관통공(31)이 형성된 하우징레버(30)와; 관통공(31)의 내주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됨은 물론 삽입벽체(41)의 전면에, 쉴드(200)의 회전축(11)이 삽입되어 볼(46)을 통해 회전되는 회전홈(45)이 형성됨과 더불어 삽입벽체(41)의 저면에, 결합공(28)으로 끼워지는 결합돌기(43)가 형성된 볼하우징(40)과; 래칫베이스(20)의 몸체에, 경사지게 삽입되어 하우징레버(30)의 작동과정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쉴드(200)의 이탈을 방지함과 더불어 그 상한을 제한하는 쉴드고정레버(50)를 연속적으로 구비하여, 래칫베이스(20)의 하부측을 이루는 슬라이드판(25)을 통해 쉴드(200)를 다단계로 회전시킴은 물론 하우징레버(30)와 쉴드고정레버(50)의 작동과정에서 쉴드(200)를 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투시창의 쉴드 회전 및 인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래칫베이스(20)를 이루는 원형돌기(22)의 측부에, 하우징레버(30)의 측부 저면에 형성된 안내홈(34)으로 끼워져 하우징레버(30)의 상하한을 제한하여주는 지지돌기(2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투시창의 쉴드 회전 및 인출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하우징레버(30)를 이루는 안내홈(34)의 하부에, 쉴드고정레버(50)의 선단부에 형성된 끼움돌기(51)가 걸려져 결합되는 끼움홈 (3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투시창의 쉴드 회전 및 인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래칫베이스(20)의 바닥면을 이루는 결합공(28)의 내주면에, 결합공(28)으로 끼워진 결합돌기(43)를 고정하여주는 고정돌기(28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투시창의 쉴드 회전 및 인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볼하우징(40)의 둘레면을 이루는 삽입벽체(41)와 회전홈 (45) 사이에, 회전저항 감소용 볼(46)이 삽입되는 볼삽입공(4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투시창의 쉴드 회전 및 인출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쉴드(200)를 이루는 회전축(11)의 둘레면에, 볼삽입공(47)으로 삽입되어진 볼(46)과 접촉되면서 회전되는 접촉홈(1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투시창의 쉴드 회전 및 인출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하우징레버(30)를 이루는 관통공(31)의 내벽에, 접촉홈 (15)으로 접촉되어진 볼(46)을 수용하여 쉴드(200)를 분리가능하게 하는 분리홈 (3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투시창의 쉴드 회전 및 인출 장치.
KR10-2001-0029565A 2001-05-29 2001-05-29 헬멧투시창의 쉴드 회전 및 인출장치 KR100403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9565A KR100403482B1 (ko) 2001-05-29 2001-05-29 헬멧투시창의 쉴드 회전 및 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9565A KR100403482B1 (ko) 2001-05-29 2001-05-29 헬멧투시창의 쉴드 회전 및 인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0634A true KR20020090634A (ko) 2002-12-05
KR100403482B1 KR100403482B1 (ko) 2003-10-30

Family

ID=27706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9565A KR100403482B1 (ko) 2001-05-29 2001-05-29 헬멧투시창의 쉴드 회전 및 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348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720B1 (ko) * 2006-09-21 2007-08-22 주식회사 기도스포츠 헬멧
KR100951343B1 (ko) * 2008-01-21 2010-04-08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헬멧
KR101465079B1 (ko) * 2013-06-03 2014-11-26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CN113331528A (zh) * 2021-06-01 2021-09-03 上海和汇安全用品有限公司 头盔镜片的微开机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8946B1 (ko) 2004-11-25 2006-04-10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
EP2762022A4 (en) * 2011-09-30 2016-03-09 Hjc Corp COUPLING DEVICE FOR A HELMET AND HELMET THEREWITH
KR101402613B1 (ko) 2013-06-24 2014-06-03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오토바이용 헬멧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3642B2 (ja) * 1990-05-23 1994-06-08 昭栄化工株式会社 ヘルメットにおけるシールド板取付構造
JPH0621370B2 (ja) * 1991-05-31 1994-03-23 昭栄化工株式会社 ヘルメットにおけるシールド板取付構造
JPH086202B2 (ja) * 1993-06-18 1996-01-24 昭栄化工株式会社 ヘルメットにおけるシールド板取付構造
KR100344674B1 (ko) * 1998-11-13 2002-07-19 주식회사 홍진크라운 헬멧용 시일드의 결합장치
KR200210272Y1 (ko) * 2000-07-31 2001-01-15 엄주성 헬멧의 실드 결합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720B1 (ko) * 2006-09-21 2007-08-22 주식회사 기도스포츠 헬멧
WO2008035927A1 (en) * 2006-09-21 2008-03-27 Kido Sports Co., Ltd. Helmet
US8458822B2 (en) 2006-09-21 2013-06-11 Seoung-Woo Lee Helmet
KR100951343B1 (ko) * 2008-01-21 2010-04-08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헬멧
KR101465079B1 (ko) * 2013-06-03 2014-11-26 주식회사 홍진에이치제이씨 헬멧용 실드 결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헬멧
CN113331528A (zh) * 2021-06-01 2021-09-03 上海和汇安全用品有限公司 头盔镜片的微开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3482B1 (ko) 200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0669B2 (en) Safety helmet with supplemental inner visor
US8360130B2 (en) Active tension device for a window covering
KR100750720B1 (ko) 헬멧
KR100403482B1 (ko) 헬멧투시창의 쉴드 회전 및 인출장치
JP5032925B2 (ja) 回転可能なケースを有する腕時計
JP5855301B1 (ja) フィルタ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フィルタ押付ユニット
JPH04163306A (ja) ヘルメットにおけるシールド板取付構造
EP0502272A1 (en) Helmet with visor
KR101086989B1 (ko) 버튼형 토잉 후크 캡
CN1096372C (zh) 机动两轮车的灯装置
DE102008033298B4 (de) Steuerungsvorrichtung für eine Fahrzeug-Klimaanlage
EP4023851A1 (en) Screen wire regulation and control device with easy disassembly and assembly structure
CN110973756A (zh) 摩托车头盔镜片安装结构
KR200395840Y1 (ko) 헬멧의 윈드 쉴드 고정 장치
CN115227183A (zh) 牵引轮、牵引绳调节机构、操作手柄及内窥镜
KR100879891B1 (ko) 토잉 후크 설치구멍의 개폐장치
KR20080010153A (ko) 차량용 도어 핸들 장치
CN108756463B (zh) 一种具有防猫眼开锁和左右换向功能的门锁
KR20010081199A (ko) 헬멧투시창의 쉴드 회동 및 인출 장치
KR102605686B1 (ko) 낚시용 릴
JPH0434004A (ja) ヘルメットにおけるシールド板取付構造
KR102399068B1 (ko) 헬멧투시창의 쉴드 회전 및 인출장치
CN219158647U (zh) 一种门窗执手
KR200433301Y1 (ko) 헬멧의 실드 고정부
CN212938208U (zh) 一种头盔风镜的连接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1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