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9891B1 - 토잉 후크 설치구멍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토잉 후크 설치구멍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9891B1
KR100879891B1 KR1020070100751A KR20070100751A KR100879891B1 KR 100879891 B1 KR100879891 B1 KR 100879891B1 KR 1020070100751 A KR1020070100751 A KR 1020070100751A KR 20070100751 A KR20070100751 A KR 20070100751A KR 100879891 B1 KR100879891 B1 KR 100879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wing hook
protrusion
flange
installation hole
bu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0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찬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0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98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9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9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58Auxiliary devices
    • B60D1/60Covers, caps or guards, e.g. comprising anti-thef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48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 B60D1/56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securing to the vehicle bu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01Traction couplings or hitch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60D1/04Hook or hook-and-hasp coup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48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 B60D1/52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removably mounted

Abstract

본 발명은 토잉 후크 설치구멍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토잉 후크 캡(60)의 조립 및 분리 작업시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상기 토잉 후크 캡(60)이 범퍼커버(50)에 형성된 토잉 후크 설치구멍(51)에 끼워져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토잉 후크 캡(60)의 전면에 강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토잉 후크 캡(60)이 상기 토잉 후크 설치구멍(5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토잉 후크 캡(6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토잉 후크, 토잉 후크 캡, 범퍼커버

Description

토잉 후크 설치구멍의 개폐장치{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hole for mounting towing hook}
본 발명은 범퍼커버에 형성된 토잉 후크 설치구멍을 편리하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토잉 후크 설치구멍의 개폐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주행을 하지 못할 정도의 고장이 발생하면 견인조치를 하게 되는 바, 이를 위해 차체의 전후방에는 견인시 사용하게 될 토잉 후크를 조립하여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잉 후크(1)는 그 선단이 원형 고리로 형성되며, 상기 원형 고리에는 견인차량의 후크를 걸어주게 된다.
상기 원형 고리의 반대쪽 끝단에는 외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되며, 이 나사홈을 통해 파이프너트(3)에 나사 체결된다.
상기 파이프너트(3)는 차체의 전후방에 구비된 차체 멤버브라켓(5)에 용접 결합된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토잉 후크(1)는 필요시 상기 파이프너트(3)에 조립하여 사용하게 되며, 사용후에는 상기 파이프너트(3)로부터 분리하여 보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토잉 후크(1)를 파이프너트(3)에 조립하여 사용하는 차량의 범퍼커버(1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잉 후크(1)를 관통시킬 수 있는 토잉 후크 설치구멍(11)이 형성되며, 상기 토잉 후크 설치구멍(11)은 평상시 미관을 고려하여 토잉 후크 캡(20)에 의해 밀폐된다.
한편, 상기 범퍼커버(10)의 안쪽면에는 상기 토잉 후크 설치구멍(11)을 감싸는 범퍼플랜지(12)가 차체쪽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범퍼플랜지(12)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플랜지돌기(13)가 구비되고 동시에 이탈방지홀(14)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토잉 후크 캡(20)의 일면에는 상기 토잉 후크 캡(20)이 상기 토잉 후크 설치구멍(11)으로 끼워졌을 때 상기 플랜지돌기(13)에 걸려져 결합되는 캡후크돌기(21)가 구비되고, 동시에 화살촉고리(22a)를 끝단에 구비하고서 상기 이탈방지홀(14)을 관통하여 설치된 이탈방지띠(22)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토잉 후크 캡(20)이 상기 토잉 후크 설치구멍(11)으로 끼워질 때에는, 상기 캡후크돌기(21)가 상기 플랜지돌기(13)에 걸려지게 됨으로써 상기 토잉 후크 캡(20)이 상기 범퍼커버(10)에 조립되고, 이를 통해 상기 토잉 후크 설치구멍(11)은 밀폐된다.
반대로, 상기 토잉 후크 캡(20)이 상기 토잉 후크 설치구멍(11)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상기 토잉 후크 설치구멍(11)을 개방시킬 때에는, 상기 이탈방지띠(22)의 화살촉고리(22a)가 상기 이탈방지홀(14)에 걸려지게 되며, 이를 통해 상기 토잉 후크 캡(20)이 상기 범퍼커버(1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상기 토 잉 후크 캡(2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조는 상기 플랜지돌기(13)와 상기 캡후크돌기(21)의 결합력이 강하기 때문에 상기 토잉 후크 캡(20)을 상기 토잉 후크 설치구멍(11)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큰 힘이 필요하게 되고, 이로 인해 작업자의 불편함이 수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띠(22)는 통상적으로 두께가 얇은 고무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내구성이 약한 특성이 있는 바, 상기 토잉 후크 캡(20)을 상기 토잉 후크 설치구멍(11)으로부터 분리시킬 때 필요이상의 과도한 힘을 사용하게 되면, 상기 이탈방지띠(22)가 쉽게 파손 및 절단되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 토잉 후크 캡(20)이 상기 토잉 후크 설치구멍(11)에 끼워져 조립된 상태일지라도 상기 토잉 후크 캡(20)의 전면에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토잉 후크 캡(20)이 차체가 있는 안쪽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토잉 후크 설치구멍(11)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분실의 염려가 있는 문제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토잉 후크 캡을 토잉 후크 설치구멍으로 끼워서 조립할 때나 또는 분리시키는 작업을 할 때 작업자가 큰 힘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조립 및 분리 작업이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종래와 같은 이탈방지띠의 사용을 없앨 수 있게 됨으로써 형상의 단순화를 이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토잉 후크 설치구멍의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잉 후크 캡이 토잉 후크 설치구멍에 끼워져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토잉 후크 캡의 전면에 강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토잉 후크 캡이 상기 토잉 후크 설치구멍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상기 토잉 후크 캡의 분실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토잉 후크 설치구멍의 개폐장치는, 범퍼커버를 관통하여 형성된 토잉 후크 설치구멍을 감싸도록 상기 범퍼커버의 안쪽면에서 차체쪽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범퍼플랜지와; 상기 토잉 후크 설치구멍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축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몸통부를 구비한 토잉 후크 캡과; 상기 토잉 후크 설치구멍을 형성하는 상기 범퍼플랜지의 안쪽면 및 상기 몸통부의 바깥 둘레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토잉 후크 설치구멍으로 삽입된 몸통부의 축 회전시 상기 범퍼플랜지와 상기 몸통부를 서로 체결시키는 플랜지체결돌기 및 몸통부체결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토잉 후크 캡의 조립 및 분리 작업시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상기 토잉 후크 캡이 토잉 후크 설치구멍에 끼워져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토잉 후크 캡의 전면에 강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토잉 후크 캡이 상기 토잉 후크 설치구멍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 로써 상기 토잉 후크 캡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원가절감의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토잉 후크를 파이프너트에 조립하여 사용하는 차량에서 범퍼커버에 형성된 토잉 후크 설치구멍을 편리하게 개폐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토잉 후크 설치구멍의 개폐장치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범퍼커버(50)를 관통하여 형성된 토잉 후크 설치구멍(51)을 감싸도록 상기 범퍼커버(50)의 안쪽면에서 차체쪽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범퍼플랜지(52)와, 상기 토잉 후크 설치구멍(51)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축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몸통부(61)를 구비한 토잉 후크 캡(60)과, 상기 토잉 후크 설치구멍(51)을 형성하는 상기 범퍼플랜지(52)의 안쪽면 및 상기 몸통부(61)의 바깥 둘레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토잉 후크 설치구멍(51)으로 삽입된 몸통부(61)의 축 회전시 상기 범퍼플랜지(52)와 상기 몸통부(61)를 서로 체결시키는 플랜지체결돌기(53) 및 몸통부체결돌기(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통부체결돌기(62)는 적어도 한 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두 개 또는 세 개로 구성되어 상기 몸통부(61)의 바깥 둘레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구조이고, 그 형상은 단면이 사각형태인 띠 형상의 돌기이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체결돌기(53)는 상기 몸통부체결돌기(62)와 동일 개수로 구비되며, 각각의 플랜지체결돌기(53)는 상기 몸통부체결돌기(62)의 상하면을 가이드하는 띠형상의 상단돌기(53a) 및 하단돌기(53b)와, 상기 상,하단돌기(53a,53b)의 일단을 연결하는 스토퍼돌기(53c)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돌기(53c)는 상기 몸통부(61)가 상기 토잉 후크 설치구멍(51)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토잉 후크 캡(60)이 축 회전을 할 때 상기 상,하단돌기(53a,53b) 사이로 삽입되어 이동하는 상기 몸통부체결돌기(62)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 토잉 후크 설치구멍의 개폐장치는 상기 상,하단돌기(53a,53b) 사이에 위치한 범퍼플랜지(52)로부터 돌출 형성된 보조돌기(54)와, 상기 보조돌기(54)가 삽입되도록 상기 몸통부체결돌기(62)에 형성된 돌기홈(6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조돌기(54)와 상기 돌기홈(63)은 상기 토잉 후크 캡(60)의 자유로운 축 회전을 방지하고, 아울러 상기 토잉 후크 캡(60)의 조립 및 분해시 작업자에게 조작감을 부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랜지체결돌기(53)는 범퍼플랜지(52)에 구비되고, 상기 몸통부체결돌기(62)는 상기 토잉 후크 캡(60)의 몸통부(61)에 구비된 것을 일례로 제시하였으나, 그 반대로 상기 플랜지체결돌기가 상기 몸통부에 구비되고 상기 몸통부체결돌기가 상기 범퍼플랜지에 구비될 수도 있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조돌기가 상기 몸통부체결돌기에 구비되고, 상기 돌 기홈이 상기 상,하단돌기 사이에 위치한 범퍼플랜지에 구비될 수도 있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상기 범퍼플랜지(52)와 상기 토잉 후크 캡(60)의 몸통부(61)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토잉 후크 캡(60)은, 상기 몸통부(61)의 일단에서 상기 몸통부(61)보다 더 큰 반경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된 원판부(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원판부(64)의 윗면 중앙에는 상기 토잉 후크 캡(60)의 축 회전을 위해 공구가 삽입되는 공구삽입홈(65)이 형성된다.
상기 공구삽입홈(65)으로 삽입되는 공구는 동전을 사용할 수도 있기 때문에 바닥면이 원호형상으로 된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토잉 후크 캡(60)의 몸통부(61)가 상기 토잉 후크 설치구멍(51)으로 삽입되었을 때 상기 토잉 후크 캡(60)의 원판부(64)는 상기 범퍼커버(50)상에 중첩되어 설치될 수 있으나, 이때에는 상기 범퍼커버(50)의 전면으로 상기 원판부(64)가 돌출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미관상 좋지 않게 된다.
이를 예방하고자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범퍼커버(50)와 상기 범퍼플랜지(52)가 연결되는 모서리부에 계단형상 단면을 갖춘 안착면(55)을 형성시킨 구조이다.
이에 따라, 상기 토잉 후크 캡(60)의 몸통부(61)가 상기 토잉 후크 설치구멍(51)으로 삽입되었을 때 상기 토잉 후크 캡(60)의 원판부(64)는 상기 안착면(55) 으로 삽입되어 안착된 구조를 갖게 되므로, 미관을 좋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토잉 후크 캡(60)의 몸통부(61)를 범퍼커버(50)에 형성된 토잉 후크 설치구멍(51)으로 삽입시킨다.
이때, 몸통부체결돌기(62)가 플랜지체결돌기(53)에 걸리지 않도록 몸통부(61)를 삽입하면, 상기 토잉 후크 캡(60)의 원판부(64) 밑면은 상기 범퍼커버(50)의 안착면(55)상에 안착되며, 이에 따라 상기 몸통부체결돌기(62)는 상기 플랜지체결돌기(53)의 상,하단돌기(53a,53b) 사이로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 상태에서 공구삽입홈(65)로 공구를 삽입하고 상기 공구를 이용해 토잉 후크 캡(60)을 일 방향으로 축 회전시켜 주면, 상기 몸통부체결돌기(62)가 상기 상,하단돌기(53a,53b) 사이로 삽입되면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상,하단돌기(53a,53b) 사이로 삽입되어 이동하던 몸통부체결돌기(62)가 스토퍼돌기(53c)와 접촉하기 직전 보조돌기(54)가 돌기홈(63)으로 삽입되며, 작업자는 보조돌기(54)가 돌기홈(63)으로 삽입될 때의 조작감(느낌) 및 소리에 의해 상기 토잉 후크 캡(60)의 조립 완료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작업자가 상기 토잉 후크 캡(60)의 조립 완료상태를 인지하지 못하여 계속해서 상기 토잉 후크 캡(60)을 회전시키더라도 상기 몸통부체결돌기(62)가 스토퍼돌기(53c)와 접촉함으로 인해 상기 토잉 후크 캡(60)을 회전이 불가하게 되므로, 작업자는 이를 통해 상기 토잉 후크 캡(60)의 조립 완료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토잉 후크 캡(60)의 조립 완료한 후 필요시 상기 토잉 후크 캡(60)을 범퍼커버(50)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토잉 후크 캡(60)을 전술한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토잉 후크 캡(60)의 조립 및 분리 작업시 작업자가 과도한 힘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조립 및 분리 작업이 수월하게 진행되며, 이에 따라 작업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토잉 후크 캡(60)이 상기 토잉 후크 설치구멍(51)에 끼워져 조립되면 몸통부체결돌기(62)가 상,하단돌기(53a,53b)에 의해 가이드 된 상태가 되므로, 상기 토잉 후크 캡(60)의 전면에 강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몸통부체결돌기(62)와 상기 상,하단돌기(53a,53b)에 의해 상기 토잉 후크 캡(20)이 차체가 있는 안쪽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예방되며, 이에 따라 상기 토잉 후크 캡(20)이 상기 토잉 후크 설치구멍(11)으로부터 이탈하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토잉 후크 캡(20)의 분실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2의 종래 구조에서 이탈방지띠의 사용을 없앨 수 있는 구조이므로, 형상의 단순화 및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파이프너트에 체결된 토잉 후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구조에 따라 범퍼커버에 형성된 토잉 후크 설치구멍으로 토잉 후크 캡이 조립되어 설치된 상태의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토잉 후크 설치구멍의 개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와 도 5는 도 3의 Ⅳ-Ⅳ 및 Ⅴ-Ⅴ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토잉 후크 3 - 파이프너트
50 - 범퍼커버 51 - 토잉 후크 설치구멍
52 - 범퍼플랜지 53 - 플랜지체결돌기
54 - 보조돌기 55 - 안착면
60 - 토잉 후크 캡 61 - 몸통부
62 - 몸통부체결돌기 63 - 돌기홈
64 - 원판부 65 - 공구삽입홈

Claims (7)

  1. 범퍼커버(50)를 관통하여 형성된 토잉 후크 설치구멍(51)을 감싸도록 상기 범퍼커버(50)의 안쪽면에서 차체쪽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범퍼플랜지(52)와;
    상기 토잉 후크 설치구멍(51)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축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몸통부(61)를 구비한 토잉 후크 캡(60)과;
    상기 토잉 후크 설치구멍(51)을 형성하는 상기 범퍼플랜지(52)의 안쪽면 및 상기 몸통부(61)의 바깥 둘레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토잉 후크 설치구멍(51)으로 삽입된 몸통부(61)의 축 회전시 상기 범퍼플랜지(52)와 상기 몸통부(61)를 서로 체결시키는 플랜지체결돌기(53) 및 몸통부체결돌기(62)를 포함함과 더불어;
    상기 몸통부체결돌기(62)는 상기 몸통부(61)의 바깥 둘레면을 따라 적어도 한 개 이상이 등간격으로 구비된 띠 형상의 돌기이고;
    상기 플랜지체결돌기(53)는, 상기 몸통부체결돌기(62)의 상하면을 가이드하는 띠 형상의 상단돌기(53a) 및 하단돌기(53b)와, 상기 상,하단돌기(53a,53b)의 일단을 연결하여 상기 몸통부체결돌기(62)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돌기(53c)로 구성되며;
    상기 상,하단돌기(53a,53b) 사이에 위치한 범퍼플랜지(52)로부터 돌출 형성된 보조돌기(54) 및;
    상기 보조돌기(54)가 삽입되도록 상기 몸통부체결돌기(62)에 형성된 돌기홈(63);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잉 후크 설치구멍의 개폐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범퍼플랜지(52)와 상기 몸통부(61)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토잉 후크 설치구멍의 개폐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토잉 후크 캡(60)은,
    상기 몸통부(61)의 일단에서 상기 몸통부(61)보다 더 큰 반경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된 원판부(64);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잉 후크 설치구멍의 개폐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원판부(64)의 윗면 중앙에는 상기 토잉 후크 캡(60)의 축 회전을 위해 공구가 삽입되는 공구삽입홈(65)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토잉 후크 설치구멍의 개폐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범퍼커버(50)와 상기 범퍼플랜지(52)가 연결되는 모서리부에는 상기 원판부(64)가 삽입 안착되도록 계단형상 단면을 갖춘 안착면(55)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토잉 후크 설치구멍의 개폐장치.
KR1020070100751A 2007-10-08 2007-10-08 토잉 후크 설치구멍의 개폐장치 KR100879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751A KR100879891B1 (ko) 2007-10-08 2007-10-08 토잉 후크 설치구멍의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751A KR100879891B1 (ko) 2007-10-08 2007-10-08 토잉 후크 설치구멍의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9891B1 true KR100879891B1 (ko) 2009-01-22

Family

ID=40482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0751A KR100879891B1 (ko) 2007-10-08 2007-10-08 토잉 후크 설치구멍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98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6989B1 (ko) 2009-08-21 2011-11-29 한일이화주식회사 버튼형 토잉 후크 캡
KR101488361B1 (ko) * 2013-11-21 2015-01-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발포패드가 내장된 캡과 상기 캡이 결합된 토잉파이프
KR102339965B1 (ko) * 2020-10-19 2021-12-16 주식회사 서연이화 조립성과 사용성이 개선된 토잉후크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5097A (ko) * 2000-12-07 2002-06-19 이계안 토잉 훅 캡 결합구조
KR20060119522A (ko) * 2005-05-20 2006-1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토잉 훅 캡 구조
KR20070038711A (ko) * 2005-10-06 2007-04-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후크캡
KR20070038722A (ko) * 2005-10-06 2007-04-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견인 후크 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5097A (ko) * 2000-12-07 2002-06-19 이계안 토잉 훅 캡 결합구조
KR20060119522A (ko) * 2005-05-20 2006-1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토잉 훅 캡 구조
KR20070038711A (ko) * 2005-10-06 2007-04-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후크캡
KR20070038722A (ko) * 2005-10-06 2007-04-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견인 후크 캡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6989B1 (ko) 2009-08-21 2011-11-29 한일이화주식회사 버튼형 토잉 후크 캡
KR101488361B1 (ko) * 2013-11-21 2015-01-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발포패드가 내장된 캡과 상기 캡이 결합된 토잉파이프
CN104653941A (zh) * 2013-11-21 2015-05-27 现代自动车株式会社 具有膨胀垫的盖以及具有所述盖的拖拽管
US9604513B2 (en) 2013-11-21 2017-03-28 Hyundai Motor Company Cap having expanded pad and towing pipe mounted to said cap
KR102339965B1 (ko) * 2020-10-19 2021-12-16 주식회사 서연이화 조립성과 사용성이 개선된 토잉후크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43471B1 (en) Vehicle mirror device assembly
CA2441024C (en) Fastener for attaching panels to a vehicle
US9205785B2 (en) Vehicle camera mounting assembly
US20090147388A1 (en) Vehicle exterior rear-view mirror
US6836932B2 (en) Assist grip
US20040189022A1 (en) Post-removable construction of a door lock device
US20060108782A1 (en) Hole cover for motor vehicle
KR100879891B1 (ko) 토잉 후크 설치구멍의 개폐장치
KR101086989B1 (ko) 버튼형 토잉 후크 캡
JP3572450B2 (ja) 開閉体のストッパ取付部構造
JP2011131788A (ja) 自動車のバックドア
JP2008074362A (ja) 自動車用ボディパネルと取付部品との取付構造、及びロッカパネルとロッカプロテクタとの取付構造
JP2002079966A (ja) カウリング付自動二輪車用フラッシャランプ取付構造
JP2008260350A (ja) バックドア
JP4966845B2 (ja) 車両用センサの取付構造
KR102282764B1 (ko) 서브홀딩부를 갖는 패스너 브라켓
JP2000264079A (ja) フィラーキャップの構造
WO2018070068A1 (ja) パーキングブレーキレバー装置
JP2006306330A (ja) シフトレバー装置の組付け構造及び組付け方法
JP6572061B2 (ja) アシストグリップ
JP7077885B2 (ja) タイヤカバーの取付構造
KR20090007986A (ko) 차량 후드 릴리즈핸들장치
JP2014111416A (ja) 車両後部構造
JP4592951B2 (ja) ルーフモールディング装置
JP2000282744A (ja) レギュレータハンドル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