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9965B1 - 조립성과 사용성이 개선된 토잉후크구조 - Google Patents

조립성과 사용성이 개선된 토잉후크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9965B1
KR102339965B1 KR1020200134900A KR20200134900A KR102339965B1 KR 102339965 B1 KR102339965 B1 KR 102339965B1 KR 1020200134900 A KR1020200134900 A KR 1020200134900A KR 20200134900 A KR20200134900 A KR 20200134900A KR 102339965 B1 KR102339965 B1 KR 102339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ss prevention
hole
assembly hole
bumper
hook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4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200134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99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58Auxiliary devices
    • B60D1/60Covers, caps or guards, e.g. comprising anti-theft devices
    • B60D1/605Protection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범퍼의 관통홀에 끼워지거나 덮는 마개부; 상기 마개부와 연결되어 분실방지조립홀에 삽입되어 위치되는 분실방지고리; 를 포함하고 상기 분실방지고리는 상기 마개부와 인접한위치에 형성되어 사다리꼴 단면으로 형성되고 전측이 상기 분실방지조립홀의 삽입부보다 작게 형성되고 후측은 크게 형성되는 범퍼조립부; 를 포함하는 토잉후크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성과 사용성이 개선된 토잉후크구조{Towing Hook structure with improved assemblability and usability}
본 발명은 차량의 토잉후크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래에 비해 조립성과 사용성이 개선된 토잉후크구조에 관한 것이다.
토잉후크는 차량의 구난 또는 견인 시 케이블을 차체에 연결하기 위한 장치로서, 차체에 고리 형상의 후크가 직접 용접 고정되는 것이 보편적이며, 범퍼커버의 전면에 형성된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을 통하여 토잉후크가 범퍼 커버의 내측에 구비된다.
따라서, 토잉후크를 사용할 경우에만 관통구멍을 개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범퍼의 외관미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관통구멍을 폐쇄하는 토잉후크캡이 구비된다.
종래 기술로 도 1과 같은 토잉후크가 종래기술로 적용되고 있으며, 선행문헌으로 공개특허 10-2015-0018064는 자동차의 토잉후크캡이 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토잉후크는 범퍼의 관통홀에 끼워지거나 관통홀을 덮는 캡 바디와, 캡 바디에서 돌출 형성되며, 관통홀의 가장자리 내측에 지지되는 지지돌기와, 지지돌기의 맞은편의 캡 바디의 가장자리에서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관통홀의 가장자리 내측에 걸려서 캡 바디를 관통홀에 록킹시키는 록킹기구를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토잉후크캡이 거치 결합된 부분에서 이탈되는 문제와 탈착성능에 요구되는 강성 약화 구조를 보완을 위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공개 10-2015-0018064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조립성과 사용성이 개선된 토잉후크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범퍼의 관통홀에 끼워지거나 덮는 마개부; 상기 마개부와 연결되어 분실방지조립홀에 삽입되어 위치되는 분실방지고리; 를 포함하고 상기 분실방지고리는 상기 마개부와 인접한위치에 형성되어 사다리꼴 단면으로 형성되고 전측이 상기 분실방지조립홀의 삽입부보다 작게 형성되고 후측은 크게 형성되는 범퍼조립부; 를 포함하는 토잉후크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잉후크구조는 조립이 용이하고 오픈시 고정되어 토잉바의 조립이 용이하게 되도록 활용될 수 있다. 특히, 파손문제가 있는 화살표나 마름모 모양의 분실방지고리를 대체하여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토잉후크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잉후크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분실방지조립홀에 삽입되는 분실방지고리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탈거방지구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토잉후크캡의 이탈 후 고정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분실방지조립홀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잉후크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토잉후크구조는 차량의 범퍼에 형성되는 분실방지조립홀(10)과, 범퍼의 관통홀에 끼워지거나 덮는 마개부(20)와, 마개부(20)와 연결되어 분실방지조립홀(10)에 삽입되어 위치되는 분실방지고리(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잉후크구조는 마개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마개부(20)는 차량의 범퍼에 형성된 관통홀에 끼워지거나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마개부(20)는 수평면이 형성되는 원형판 또는 다각형의 판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마개부(20)의 형태는 차량에 형성된 관통홀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개부(20)는 상부면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보강리브(21)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보강리브(21)가 서로 이격되는 거리는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로 보강리브(21)는 마개부(20)가 관통홀에 겹합될 경우 외측이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개부(20)의 중심에는 외측에 비해 보강리브(21)가 조밀하게 배치되어 강도가 보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보강리브(21)는 마개부(20)의 휨현상을 방지하여 마개부(20)의 수평면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잉후크구조는 분실방지고리(30)를 포함할 수 있다.
분실방지고리(30)는 마개부(20)의 일 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분실방지고리(30)는 마개부(20)의 수평면에 수직한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분실방지고리(30)의 길이는 토잉바(미도시)의 조립이 용이할 수 있도록 충분히 마개부(20)가 차량의 범퍼에 형성된 관통홀에서 이탈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분실방지고리(30)는 분실방지조립홀(10)에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분실방지고리(30)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마개부(20)의 탈착동작이 원활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분실방지조립홀에 삽입되는 분실방지고리(30)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분실방지고리(30)는 마개부(20)와 인접한 일측에 범퍼조립부(31)가 형성될 수 있다. 범퍼조립부(31)는 분실방지고리(30)에서 소정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범퍼조립부(31)의 범위는 후술할 분실방지조립홀(10)의 두께와 대응되어 같거나 소정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범퍼조립부(31)는 사다리꼴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범퍼조립부(31)의 전측의 폭(31a)은 분실방지조립홀(10)의 후술할 삽입부(11)보다 소정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폭(31a)은 범퍼조립부(31)의 분실방지조립홀(10) 삽입이 용이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범퍼조립부(31)의 후측의 폭(31b)은 후술할 분실방지조립홀(10)의 후술할 삽입부(11)보다 소정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폭(31b)은 범퍼조립부(31)가 후측으로 분실방지조립홀(10)에서 탈락되는 않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범퍼조립부(31)의 분실방지조립홀(10)에 도 3과 같은 삽입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분실방지고리(30)의 범퍼조립부(31)의 반대측면에는 탈거방지구(3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탈거방지구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탈거방지구(32)는 분실방지조립홀(10)에 삽입되는 결합으로 토잉후크캡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탈거방지구(32)는 원통형의 형태로 형성되어 분실방지조립홀(10)보다 소정 크게 형성되어 분실방지조립홀(10)을 통과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되는 지지단(32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탈거방지구(32)는 상기 지지단(32a)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분실방지조립홀(10)에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는 삽입단(32b)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단(32b)은 분실방지조립홀(10)의 후술할 고정걸림홀(12)과 대응되는 단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단(32b)은 고정걸림홀(12)과 소정 면적이 접촉되어 삽입되는 삽입면(A)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면(A)은 양측이 대칭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면(A)은 테이퍼형태로 형성되어 삽입단(32b)이 지지단측에서 멀어질수록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단(32b)의 분실방지조립홀(10) 삽입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단(32b)의 삽입이 완료되는 지점에서는 삽입면(A)의 크기가 분실방지조립홀(10)과 같거나 소정 크게 형성되어 접촉 및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삽입면(A)과 수직하게 형성된 외측면에는 고정걸림돌기(32c)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걸림돌기(32c)는 부분구체의 형태로 상기 삽입면(A)과 수직한 면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걸림돌기(32c)는 삽입단(32b)과 함께 구획되는 외주면이 분실방지조립홀(10)의 후술할 고정걸림홀(12)보다 소정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토잉후크캡의 고정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정걸림돌기(32c)의 위치까지 삽입되는 탈거방지구(32)는 고정걸림홀(12)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지지 및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고정걸림돌기(32c)는 소정의 연신율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걸림돌기(32c)는 실리콘, 고무재질 등의 재질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걸림돌기(32c)는 고정걸림홀(12)의 내측면과 접촉될 경우 내측면으로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수축될 수 있다. 또한, 고정걸림돌기(32c)는 고정걸림홀(12) 내측부분의 중심위치 또는 실시예를 구현하기위해 요구되는 지지위치까지 삽입될 경우 탄성력에 의해 이완되어 탈거방지구(32)는 고정걸림홀(12)에 접촉 및 지지될 수 있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분실방지조립홀(1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잉후크구조는 분실방지조립홀을 포함할 수 있다. 분실방지조립홀(10)은 삽입단(32b)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걸림홀(12)과 연통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범퍼조립부(31)의 전측의 폭(31a)보다 소정 크기 후측의 폭(31b)보다 소정 작게 형성되는 삽입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측은 고정걸림홀(12)방향이 될 수 있으며, 후측은 삽입방향이 될 수 있다. 또한, 삽입공간(S)을 형성하는 양측의 삽입부(11)는 삽입각α를 형성하여 삽입공간(S)의 폭이 내측방향에 위치될수록 좁아지는 형태를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삽입각α는 3˚~ 6˚가 될 수 있다.
또한, 삽입부(11)는 돌출각β를 형성하여 고정걸림홀(12)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각β는 3˚~ 6˚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실방지조립홀(10)에 결합되는 범퍼조립부(31) 내지 탈거방지구(32)는 접속이 용이하도록 삽입각α를 형성하는 삽입부(11)에 의해 삽입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삽입부(11)의 돌출각β로 인해 진동 및 충격에 의해 탈락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잉후크는 조립이 용이하고 오픈시 고정되어 토잉바의 조립이 용이하게 되도록 활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토잉후크캡은 파손문제가 있는 화살표나 마름모 모양의 분실방지고리를 대체하여 활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분실방지조립홀 11 : 삽입부
20 : 마개부 30 : 분실방지고리
31 : 범퍼조립부 32 : 탈거방지구
32a : 지지단 32b : 삽입단
32c : 고정걸림돌기 A : 삽입면

Claims (5)

  1. 차량의 범퍼에 형성되는 분실방지조립홀(10);
    범퍼의 관통홀에 끼워지거나 덮는 마개부(20); 및
    상기 마개부(20)와 연결되어 분실방지조립홀(10)에 삽입되어 위치되는 분실방지고리(30); 를 포함하고
    상기 분실방지고리(30)는
    상기 마개부(20)와 인접한위치에 형성되어 사다리꼴 단면으로 형성되고 전측이상기 분실방지조립홀(10)의 삽입부(11)보다 소정 작게 형성되고 후측은 삽입부(11)보다 소정 크게 형성되는 범퍼조립부(31); 를 포함하는 토잉후크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실방지고리(30)는
    상기 마개부(20)의 반대측면에 상기 분실방지조립홀(10)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탈거방지구(32); 를 포함하며
    상기 탈거방지구(32)는
    원통형의 형태로 형성되어 분실방지조립홀(10)보다 소정 크게 형성되어 분실방지조립홀(10)에 통과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되는 지지단(32a); 과
    상기 지지단(32a)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분실방지조립홀(10)에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는 삽입단(32b); 을 포함하는 토잉후크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삽입단(32b)은
    상기 분실방지조립홀(10)에 삽입되어 접촉되어 지지되는 삽입면(A); 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면(A)은
    테이퍼진 형태로 형성되어 삽입이 용이하게 형성되는 토잉후크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탈거방지구(32)는
    상기 삽입면(A)의 수직하게 형성된 외측에 부분구체의 형태로 돌출되어 양측에 대칭형태로 형성되는 고정걸림돌기(32c); 가 포함되고
    상기 고정걸림돌기(32c)가 위치되는 외주면은 상기 분실방지조립홀(10)보다 소정 크게 형성되는 토잉후크구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분실방지조립홀(10)은
    상기 삽입단(32b)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걸림홀(12); 및
    상기 고정걸림홀(12)과 연통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범퍼조립부(31)의 전측의 폭(31a)보다 소정 크게 형성되고 후측의 폭(31b)보다 소정 작게 형성되며 삽입각α를 형성하여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삽입부(11); 를 포함하는 토잉후크구조.
KR1020200134900A 2020-10-19 2020-10-19 조립성과 사용성이 개선된 토잉후크구조 KR102339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900A KR102339965B1 (ko) 2020-10-19 2020-10-19 조립성과 사용성이 개선된 토잉후크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900A KR102339965B1 (ko) 2020-10-19 2020-10-19 조립성과 사용성이 개선된 토잉후크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9965B1 true KR102339965B1 (ko) 2021-12-16

Family

ID=79033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4900A KR102339965B1 (ko) 2020-10-19 2020-10-19 조립성과 사용성이 개선된 토잉후크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99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6396A (ko) * 2006-10-23 2008-04-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견인용 범퍼커버 개구부의 개폐구조
KR100879891B1 (ko) * 2007-10-08 2009-01-22 한일이화주식회사 토잉 후크 설치구멍의 개폐장치
KR20120065125A (ko) * 2010-12-10 2012-06-20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차량의 다기능 러기지 네트 후크
KR20150018064A (ko) 2013-08-09 2015-02-23 한일이화 주식회사 자동차의 토잉 후크 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6396A (ko) * 2006-10-23 2008-04-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견인용 범퍼커버 개구부의 개폐구조
KR100879891B1 (ko) * 2007-10-08 2009-01-22 한일이화주식회사 토잉 후크 설치구멍의 개폐장치
KR20120065125A (ko) * 2010-12-10 2012-06-20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차량의 다기능 러기지 네트 후크
KR20150018064A (ko) 2013-08-09 2015-02-23 한일이화 주식회사 자동차의 토잉 후크 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3780B1 (ko) 차량의 인테리어부의 장착구조체
JP5937147B2 (ja) アンテナユニット
JP2006266239A (ja) 車両用吸気ダクト
JP5880457B2 (ja) グロメット
US10530138B2 (en) Protective member, tube mounting structure, and method for mounting a tube
KR102127062B1 (ko) 그로밋
KR101455866B1 (ko) 도어 커넥터
KR102339965B1 (ko) 조립성과 사용성이 개선된 토잉후크구조
KR20200001041U (ko) 차량번호판 부착장치
JP2006336743A (ja) グロメットを用いた構造物の固定構造
JP6621438B2 (ja) グロメット
EP3299525B1 (en) Step unit for industrial vehicle and industrial vehicle
US10960931B2 (en) Attachment and connecting structure for vehicle component
JP6653288B2 (ja) グロメット
JP5437116B2 (ja) 防振装置
JP7064331B2 (ja) 駆動装置の取付構造
JP6975023B2 (ja) グロメットおよびグロメット取付構造
KR101926964B1 (ko)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
KR102056422B1 (ko) 마운팅 유닛
JP7243502B2 (ja) グロメット
KR102120309B1 (ko) 와이퍼장치
KR100705052B1 (ko) 연료탱크용 패드
JP2000303244A (ja) ヘルメットの内装体取付具
JP7068232B2 (ja) 電気接続箱
JP3972515B2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