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6396A - 견인용 범퍼커버 개구부의 개폐구조 - Google Patents

견인용 범퍼커버 개구부의 개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6396A
KR20080036396A KR1020060102932A KR20060102932A KR20080036396A KR 20080036396 A KR20080036396 A KR 20080036396A KR 1020060102932 A KR1020060102932 A KR 1020060102932A KR 20060102932 A KR20060102932 A KR 20060102932A KR 20080036396 A KR20080036396 A KR 20080036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ver
bumper cover
cap cover
bu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2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2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36396A/ko
Publication of KR20080036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63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58Auxiliary devices
    • B60D1/60Covers, caps or guards, e.g. comprising anti-thef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48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 B60D1/56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securing to the vehicle bu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01Traction couplings or hitch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60D1/04Hook or hook-and-hasp coup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48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 B60D1/52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removably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견인용 범퍼커버 개구부의 개폐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견인용 케이블이 통과되어 차량의 프레임측에 장착된 견인용 후크에 걸림되도록 원형의 개구부가 형성된 범퍼커버와, 상기 개구부에 착탈되는 원형의 캡커버, 로 구성되고, 상기 캡커버는 회전되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개구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범퍼커버의 전방 외관을 개선시킴은 물론, 비교적 간단하게 회전되는 동작에 의하여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그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범퍼커버, 캡커버, 회전안내부재, 걸림부재, 이탈방지고리

Description

견인용 범퍼커버 개구부의 개폐구조{A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owing bumper cover's opening department}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견인용 범퍼커버 개구부의 개폐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캡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캡커버가 장착된 상태의 범퍼커버 전면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견인용 범퍼커버 개구부의 개폐구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구성 중 캡커버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구성 중 범퍼커버의 개구부의 내측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55: 범퍼커버 57: 회전안내부재
59: 이탈방지고리 슬롯 60: 범퍼커버 개구부
65: 캡커버 67: 걸림부재
69: 이탈방지고리
본 발명은 견인용 범퍼커버 개구부의 개폐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견인용 케이블이 관통되도록 범퍼커버의 개구부를 원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를 회전되는 동작에 의하여 개폐시키는 캡커버로 구성된 범퍼커버 개구부의 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견인용 범퍼커버 개구부의 개폐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캡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캡커버가 장착된 상태의 범퍼커버 전면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최근, 차량이 고장나서 움직이지 않고 견인차 등의 장비가 없는 경우, 정비소 등으로 차량을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다른 차량의 후방과 고장난 차량의 전방에 견인용 케이블(미도시)을 설치하고 앞차량이 고장난 차량을 끌도록 하는 모델이 출시되고 있다.
종래, 상기 견인용 케이블을 설치하기 위한 후크(미도시)는 보통 차량의 범퍼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었으나, 최근 과속 방지턱 등에 의해 후크와 노면이 닿아 노면 및 차량 모두에 충격을 주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범퍼 내측에 후크 구조를 설치하기에 이르렀다.
이와 같은 상기 견인용 케이블이 상기 범퍼의 내측에 설치된 후크 구조에 걸 림되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범퍼(미도시)를 외부에서 차폐시키는 범퍼커버(5)에 개구부(10)가 형성된다.
상기 범퍼커버 개구부(10)는 평상시에는 캡커버(15)에 의하여 차폐된 상태가 되어야 하며, 차량을 견인하여야 할 경우에만 상기 캡커버(15)를 탈거시킬 수 있도록 착탈가능하게 상기 캡커버(15)가 상기 개구부(10)에 장착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종래 기술에 따른 견인용 범퍼커버 개구부의 개폐구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범퍼커버 개구부(10)에는 상기 범퍼커버(5)의 내측단부를 따라 소정의 걸림부(12)가 둘러싸여 있다. 상기 걸림부(12)는 대략 상기 범퍼커버 개구부(1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범퍼커버 개구부(10)는 장방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12)의 일측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이탈방지고리(19)가 삽입되어 걸림되는 이탈방지고리 후크(13)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걸림부(12)가 형성된 상기 범퍼커버 개구부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캡커버(15)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캡커버(15)는 상기 범퍼커버 개구부(1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캡커버(15)에는 상기 범퍼커버 개구부(10)의 걸림부(12)에 걸림되도록 상단부에 2개의 걸림후크(17)와 하단부에 1개의 걸림후크(18), 그리고 상기 캡커버(15)가 상기 범퍼커버 개구부(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이탈방지고리(19)가 형성된다.
상기 캡커버(15)가 상기 범퍼커버 개구부(10)에 장착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범퍼커버 개구부(10)의 걸림부(12)에 형성된 상기 이탈방지고리 후크(13)에 상기 캡커버(15)의 이탈방지고리(19)를 삽입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2개의 걸림후크(17)가 형성된 상기 캡커버(15)의 상단부를 상기 범퍼커버 개구부(10)의 상단부의 걸림부(12)에 맞춤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캡커버(15)의 상단부를 중심으로 하단부를 회동시켜 상기 캡커버(15)의 하단부에 소정의 힘을 가하여 미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캡커버(15)의 하단부에 형성된 1개의 걸림후크(18)가 상기 범퍼커버 개구부(10)의 하단부의 걸림부(12)에 걸림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장착된 상기 캡커버(15)를 탈거시킬 때는, 먼저 상기 캡커버(15)와 상기 범퍼커버(5) 사이에 형성된 소정크기의 갭(GAP) 사이로 공구를 삽입시켜 상기 범퍼커버 개구부(10)의 하단부에 걸림된 상기 캡커버(15)의 하단부에 형성된 상기 1개의 걸림후크(18)의 걸림상태를 해제시킨다.
그리고, 상기 캡커버(15)를 장착시킬 때와 반대의 순서로 상기 캡커버(15)를 상기 범퍼커버 개구부(10)로부터 탈거시키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견인용 범퍼커버 개구부의 개폐구조는, 상기 캡커버(15)를 탈거시킬 때 공구가 삽입되는 소정크기의 갭(GAP)이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므로, 외관미를 저하시키며, 상기 캡커버(15)를 탈거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범퍼커버(5)의 도장을 훼손할 우려가 있는 것은 물론, 상기 캡커버(15)의 탈부착, 즉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견인용 케이블의 단면은 보통 원형이 대부분일텐데, 상기 범퍼커버 개구부(10)의 형상은 장방형으로서 불필요하게 크게 형성된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견인용 케이블이 관통되는 범퍼커버 개구부를 원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범퍼커버 개구부에 회전되는 동작에 의하여 착탈되도록 구성된 견인용 범퍼커버 개구부의 개폐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견인용 범퍼커버 개구부의 개폐구조는, 차량의 견인용 케이블이 통과되어 차량의 프레임측에 장착된 견인용 후크에 걸림되도록 원형의 개구부가 형성된 범퍼커버와, 상기 개구부에 착탈되는 원형의 캡커버, 로 구성되고, 상기 캡커버는 회전되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개구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범퍼커버의 개구부에는, 상기 캡커버의 회전을 안내함과 동시에 걸림되도록 하는 회전안내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캡커버에는, 상기 캡커버가 회전될 때, 상기 범퍼커버의 개구부에 형성된 상기 회전안내부재가 일측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안내부재의 끝 단부에서 걸림되는 걸림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안내부재는, 상기 범퍼커버 개구부의 내측방향으로 상기 캡커버의 두께만큼의 단차가 형성되도록 상기 개구부의 내주단부에서 중심방향을 향하여 부채꼴형상으로 소정길이 평행되게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안내부재는 한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캡커버의 걸림부재는, 적어도 상기 회전안내부재의 상기 개구부의 내주단부에서 중심방향을 향하여 연장된 길이보다 크게 상기 캡커버의 외주단부로부터 이격되는 곳에서 상기 범퍼커버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다시 그 선단부가 상기 캡커버의 외주단부측으로 연장되어 "ㄱ"자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캡커버의 걸림부재는 한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캡커버의 걸림부재 중 어느 하나의 걸림부재의 선단부에는, 상기 캡커버와 평행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고, 다시 연장된 그 선단부에서 상기 범퍼커버의 전방 및 후방 양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대략 "T"자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이탈방지고리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범퍼커버 개구부의 내주단부에 인접되는 내측면에는, 상기 범퍼커버의 내측을 향하여 소정길이 돌출되고 상기 이탈방지고리가 삽입되어 상기 캡커버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이탈방지고리의 이동궤적을 따라 이탈방지고리 슬롯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견인용 범퍼커버 개구부의 개폐구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견인용 범퍼커버 개구부의 개폐구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구성 중 캡커버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구성 중 범퍼커버의 개구부의 내측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견인용 범퍼커버 개구부의 개폐구조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범퍼커버(55)에 견인용 케이블이 관통되도록 원형으로 형성된 범퍼커버 개구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범퍼커버 개구부(60)에는 그 형상에 대응되는 크기의 원형으로 형성된 캡커버(65)가 회전되는 동작에 의하여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종래와는 달리 상기 견인용 케이블이 관통되는 상기 범퍼커버 개구부(60)를 장방형이 아닌 상기 견인용 케이블의 단면 형상에 부합되게 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불필요한 부분을 삭제하였다.
한편, 상기 범퍼커버 개구부(60)에는, 상기 캡커버(65)가 회전되는 동작에 의하여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캡커버(65)의 회전을 안내함과 동시에 걸림되도록 회전안내부재(57)가 형성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또한 종래와는 달리 상기 범퍼커버 개구부(60)에 상기 캡커버(65)가 회전되는 동작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그 조립성이 용이한 한편 소정크기의 갭(GAP)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상기 범퍼커버(55) 전방 외관을 크게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안내부재(57)는,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범퍼커버 개구부(60)의 내측방향으로 상기 캡커버(65)의 두께만큼의 단차가 형성되도록 상기 개구부(60)의 내주단부에서 중심방향을 향하여 부채꼴형상으로 소정길이 평행되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범퍼커버 개구부(60)의 내측방향으로 상기 캡커버(65)의 두께만큼의 단차가 형성시키는 이유는, 상기 캡커버(65)가 상기 범퍼커버 개구부(60)에 결합되면, 상기 범퍼커버의 전방면과 매칭되는 외관면을 이루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회전안내부재(57)는 상기 범퍼커버 개구부(60)의 2군데에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캡커버(65)에는, 상기 캡커버(65)가 회전됨에 의하여 상기 범퍼커버 개구부(60)에 결합될 때, 상기 회전안내부재(57)가 일측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안내부재(57)의 끝단부에서 걸림되도록 구성된 걸림부재(67)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안내부재(57)에 상기 걸림부재(67)가 걸림되는 원리는 도면상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회전안내부재(57)와 밀착되는 캡커버(65)의 걸림부재(67)의 끝단부에 소정의 요홈이 형성시키고, 상기 회전안내부재(57)의 끝단부에 상기 걸림부재(67)의 요홈에 맞춤되는 돌기를 형성시켜 상기 회전안내부재(57)에 상기 걸림부재(67)가 걸림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걸림부재(67) 또한 상기 회전안내부재(57)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도록 한쌍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부재(67)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걸림부재(67)는 적어도 상기 회전안내부재(57)의 폭, 즉 상기 범퍼커버 개구부(60)의 내주단부에서 중심방향을 향하여 연장된 길이보다 크게 상기 캡커버(65)의 외주단부로부터 이격되는 곳에서 상기 범퍼커버(55)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다시 그 선단부가 상기 캡커버(65)의 외주단부측으로 연장되어 대략 "ㄱ"자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캡커버(65)의 걸림부재(67)의 개구된 일측으로는 상기 캡커버(65)가 회전되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범퍼커버 개구부(60)에 결합될 때, 상기 회전안내부재(57)가 삽입되어 상기 캡커버(65)의 회전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캡커버(65)의 걸림부재(67) 중 어느 하나의 걸림부재(67)의 선단부에는, 상기 캡커버(65)와 평행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고, 다시 연장된 그 선단부에서 상기 범퍼커버(55)의 전방 및 후방 양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대략 "T"자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이탈방지고리(69)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이탈방지고리(69)는 상기 캡커버(65)가 상기 범퍼커버 개구부(60)에 결합된 후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범퍼커버 개구부(60)의 내주단부에 인접되는 내측면에는, 상기 범퍼커버의 내측을 향하여 소정길이 돌출되고 상기 이탈방지고리(69)가 삽입되어 상기 캡커버(65)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이탈방지고리(69)의 이동궤적을 따라 이탈방지고리 슬롯(59)이 형성된다.
상기 이탈방지고리(69)의 선단부는 상기 이탈방지고리 슬롯(59)의 길이방향 에 대하여 대략 직교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캡커버(65)를 상기 개구부(60)에 결합시킬 때에 상기 이탈방지고리(69)의 선단부를 상기 이탈방지고리 슬롯(59)에 삽입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캡커버(65)를 전체적으로 상기 이탈방지고리(69)의 선단부가 상기 이탈방지고리 슬롯(59)에 삽입되도록 기울여 삽입시킨 다음 상기 범퍼커버 개구부(60)에 상기 캡커버(65)를 끼워 회전시킴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견인용 범퍼커버 개구부에 캡커버가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캡커버(65)의 걸림부재(67)에 형성된 상기 이탈방지고리(69)의 선단부를 상기 캡커버(65) 전체를 기울이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범퍼커버(55)의 이탈방지고리 슬롯(59)에 삽입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캡커버(65)를 상기 범퍼커버 개구부(60)에 끼워 맞춘 후 시계방향으로 상기 캡커버(65)를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캡커버(65)에 형성된 상기 걸림부재(67)의 개구된 일측으로 상기 범퍼커버(55)의 회전안내부재(57)가 삽입되면서 상기 캡커버(65)의 회전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캡커버(65)가 완전히 회전되면 상기 걸림부재(67)와 상기 회전안내부재(57)의 끝단부에 형성된 요홈 및 돌기에 의하여 상기 캡커버(65)가 회전을 정지함과 동시에 걸림되면 그 결합이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캡커버(65)를 상기 범퍼커버 개구부(60)로부터 탈거시킬 때는 상 기한 순서의 역순으로 탈거시키는 과정을 진행시키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견인용 범퍼커버 개구부의 개폐구조는, 범퍼커버에 원형의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범퍼커버 개구부에 캡커버가 회전되는 동작에 의하여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범퍼커버의 외관을 개선할 수 있고, 비교적 간단한 회전동작에 의하여 결합시킬 수 있게 되므로 그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차량의 견인용 케이블이 통과되어 차량의 프레임측에 장착된 견인용 후크에 걸림되도록 원형의 개구부가 형성된 범퍼커버와;
    상기 개구부에 착탈되는 원형의 캡커버; 로 구성되고,
    상기 캡커버는 회전되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개구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용 범퍼커버 개구부의 개폐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커버의 개구부에는,
    상기 캡커버의 회전을 안내함과 동시에 걸림되도록 하는 회전안내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용 범퍼커버 개구부의 개폐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캡커버에는,
    상기 캡커버가 회전될 때, 상기 범퍼커버의 개구부에 형성된 상기 회전안내부재가 일측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안내부재의 끝단부에서 걸림되는 걸림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용 범퍼커버 개구부의 개폐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안내부재는,
    상기 범퍼커버 개구부의 내측방향으로 상기 캡커버의 두께만큼의 단차가 형성되도록 상기 개구부의 내주단부에서 중심방향을 향하여 부채꼴형상으로 소정길이 평행되게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용 범퍼커버 개구부의 개폐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안내부재는 한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용 범퍼커버 개구부의 개폐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캡커버의 걸림부재는,
    적어도 상기 회전안내부재의 상기 개구부의 내주단부에서 중심방향을 향하여 연장된 길이보다 크게 상기 캡커버의 외주단부로부터 이격되는 곳에서 상기 범퍼커버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다시 그 선단부가 상기 캡커버의 외주단부측으로 연장되어 "ㄱ"자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용 범퍼커버 개구부의 개폐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캡커버의 걸림부재는 한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용 범퍼커 버 개구부의 개폐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캡커버의 걸림부재 중 어느 하나의 걸림부재의 선단부에는,
    상기 캡커버와 평행되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고, 다시 연장된 그 선단부에서 상기 범퍼커버의 전방 및 후방 양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대략 "T"자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이탈방지고리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용 범퍼커버 개구부의 개폐구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범퍼커버 개구부의 내주단부에 인접되는 내측면에는, 상기 범퍼커버의 내측을 향하여 소정길이 돌출되고 상기 이탈방지고리가 삽입되어 상기 캡커버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이탈방지고리의 이동궤적을 따라 이탈방지고리 슬롯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견인용 범퍼커버 개구부의 개폐구조.
KR1020060102932A 2006-10-23 2006-10-23 견인용 범퍼커버 개구부의 개폐구조 KR200800363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2932A KR20080036396A (ko) 2006-10-23 2006-10-23 견인용 범퍼커버 개구부의 개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2932A KR20080036396A (ko) 2006-10-23 2006-10-23 견인용 범퍼커버 개구부의 개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6396A true KR20080036396A (ko) 2008-04-28

Family

ID=39574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2932A KR20080036396A (ko) 2006-10-23 2006-10-23 견인용 범퍼커버 개구부의 개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3639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55054A1 (fr) * 2010-01-08 2011-07-15 Faurecia Bloc Avant Ensemble d'habillage de vehicule automobile muni d'une trappe d'occultation.
KR102339965B1 (ko) * 2020-10-19 2021-12-16 주식회사 서연이화 조립성과 사용성이 개선된 토잉후크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55054A1 (fr) * 2010-01-08 2011-07-15 Faurecia Bloc Avant Ensemble d'habillage de vehicule automobile muni d'une trappe d'occultation.
KR102339965B1 (ko) * 2020-10-19 2021-12-16 주식회사 서연이화 조립성과 사용성이 개선된 토잉후크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06913A1 (en) Mounting for a radiator casing in a motor vehicle
US20120085766A1 (en) Waterproof box
US3982413A (en) King pin lock for semi-trailers
ITRM940595A1 (it) Antifurto per il bloccaggio del volante di qualsiasi tipo di autoveicolo.
KR20080036396A (ko) 견인용 범퍼커버 개구부의 개폐구조
KR101264484B1 (ko) 토잉 후크 캡
TR201807701T4 (tr) Bir brandaya yonelik sabitleme duzeneği
KR20070038722A (ko) 차량의 견인 후크 캡
KR102020919B1 (ko) 차량도어용 보호패드의 고정장치
CN110593317A (zh) 防盗井盖及井盖系统
KR20120041363A (ko) 자동차의 견인고리
JP2014000904A (ja) 自動車用牽引フック
JP5460623B2 (ja) 施錠装置
US10358112B2 (en) Immobilizer device for a wheel
KR101724509B1 (ko) 후드 세이프티 후크 유닛
KR20130089018A (ko) 차량용 번호판의 도난방지장치
KR200411026Y1 (ko) 휠타입 건설장비의 머드가드 자동 고정장치
JPH0396449A (ja) 自動車用屋根部載置具の盗難防止装置
JP2009101753A (ja) 車輪拘束装置
KR20220081219A (ko) 토잉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범퍼 커버
JP2011178356A (ja) ホーム柵装置
JP2018138482A (ja) 滑車用巻込み防止具
KR20110096719A (ko) 자동차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 및 록버튼의 케이블 고정장치
JP7047648B2 (ja) 建設機械のロック装置及びロック装置の位置決め方法
KR100211579B1 (ko) 자동차 견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