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840Y1 - 헬멧의 윈드 쉴드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헬멧의 윈드 쉴드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840Y1
KR200395840Y1 KR20-2005-0017032U KR20050017032U KR200395840Y1 KR 200395840 Y1 KR200395840 Y1 KR 200395840Y1 KR 20050017032 U KR20050017032 U KR 20050017032U KR 200395840 Y1 KR200395840 Y1 KR 2003958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shield
helmet
opening
magnetic material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70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명
Original Assignee
김진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명 filed Critical 김진명
Priority to KR20-2005-00170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8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8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8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A42B3/06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specially adapted for cycling helmets, e.g. for soft shelled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1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 A42B3/222Attaching visors to helmet shells, e.g. on motorcycle helmets in an articulated manner, e.g. hing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32Collapsible helmets; Helmets made of separable parts ; Helmets with movable parts, e.g. adjustable
    • A42B3/326Helmets with movable or separable chin or jaw guard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3/00Fastening by use of magnet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의 머리부분을 감싸는 헬멧 몸체, 상기 헬멧 본체의 전방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시야를 확보해 주는 개구 및 상기 상기 헬멧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구를 개폐시키는 윈드 쉴드를 포함하는 헬멧에 있어서, 상기 헬멧의 외주면 상에 설치된 제1 자성체; 및 상기 윈드 쉴드 상에 설치되는 제2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 사이의 인력에 의해 상기 개구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윈드 쉴드를 회동시키고, 상기 개구가 완전히 개방된 때 상기 제2 자성체는 상기 제1 자성체에 붙어 상기 윈드 쉴드의 유동을 제한하는 헬멧의 윈드 쉴드 고정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윈드 쉴드 고정 장치는 기어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윈드 쉴드가 헬멧 몸체의 개구를 개방시킨 상태 또는 폐쇄시킨 상태에서, 자성체를 이용하여 윈드 쉴드의 고정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헬멧 몸체와 윈드 쉴드를 결합시키는 과정이 용이하여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절감되고, 윈드 쉴드의 회동이 부드러워지면서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윈드 쉴드의 고정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헬멧의 윈드 쉴드 고정 장치 {FIXATION UNIT FOR WIND SHIELD OF HELMET}
본 고안은 오토바이, 경주용 차량 등의 탑승자가 사용하는 헬멧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시야 확보를 위해 형성된 개구의 윈드 쉴드의 유동을 제한하기 위한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헬멧이라 함은 사용자가 착용하여 만약에 발생될 수 있는 사고에서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장구의 일종으로서, 공사 현장의 작업자, 오토바이나 경주용 차량의 탑승자들이 주로 사용하고 있다.
특히, 오토바이, 경주용 차량의 탑승자들이 사용하는 헬멧은 사용자의 머리부분을 대부분 감쌀 수 있도록 구성되며, 사용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개구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 고속으로 달리는 때 눈을 뜨기 어렵기 때문에 사용자는 방풍안경을 착용하거나, 헬멧 자체에 설치된 윈드 쉴드(wind shield)로 개구를 폐쇄시키게 된다.
일반적으로, 헬멧 자체에 설치된 윈드 쉴드는 주행 시, 헬멧 몸체의 개구를 폐쇄시켜 고속 주행에서도 사용자가 눈을 뜰 수 있게 바람을 막아주며, 주행하지 않을 때에는 헬멧 몸체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회동시켜 다른 사람과의 대화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헬멧의 윈드 쉴드의 구성이 국내 특허 출원번호 제2000-6348호(2000. 2. 11) 등에 개시되고 있다. 개시된 헬멧의 윈드 쉴드는 헬멧 몸체 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킴에 있어서, 걸림돌기가 형성된 회동축과, 일방향 톱니가 형성된 걸림판, 회동축이 결합되는 걸림 격벽, 일방향 톱니와 맞물려 다단계로 이동되는 안내벽 등 기어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윈드 쉴드가 헬멧 몸체의 개구를 개방시킨 상태를 유지시키는 수단, 즉 회동 제한 수단을 제공하면서, 분해 / 조립의 편의성 등을 고려한 구성이다.
그러나, 분해 / 조립의 편의성 등을 고려한 구성일지라도, 기어 형태로 구성되어 윈드 쉴드가 헬멧 몸체의 개구를 개방시킨 상태를 유지시키는 윈드 쉴드 고정 장치는 그 구성 요소들의 수가 지나치게 많아 분해 /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또한, 윈드 쉴드가 기어 형태로 헬멧 몸체에 조립되므로, 회동이 원활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걸림돌기, 톱니 등의 마모로 인하여, 윈드 쉴드가 유동하여 헬멧 몸체의 개구를 개방시킨 상태를 정상적으로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헬멧 몸체의 개구를 개방시킨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헬멧의 윈드 쉴드 고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윈드 쉴드를 헬멧 몸체에 조립하기 용이하게 하는 헬멧 몸체의 윈드 쉴드 고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사용자의 머리부분을 감싸는 헬멧 몸체, 상기 헬멧 본체의 전방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시야를 확보해 주는 개구 및 상기 상기 헬멧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구를 개폐시키는 윈드 쉴드를 포함하는 헬멧에 있어서,
상기 헬멧의 외주면 상에 설치된 제1 자성체; 및
상기 윈드 쉴드 상에 설치되는 제2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 사이의 인력에 의해 상기 개구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윈드 쉴드를 회동시키고, 상기 개구가 완전히 개방된 때 상기 제2 자성체는 상기 제1 자성체에 붙어 상기 윈드 쉴드의 유동을 제한하는 헬멧의 윈드 쉴드 고정 장치를 개시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윈드 쉴드 고정 장치를 구비하는 헬멧(100)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헬멧(100)의 윈드 쉴드(102)가 회동하여 개구(115)를 개방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윈드 쉴드 고정 장치를 구비하는 헬멧(100)은 일반적으로 오토바이, 경주용 자동차 등의 탑승자가 주행 시 착용하는 보호 장구의 일종으로, 개구(115)가 형성된 헬멧 몸체(101)와, 상기 헬멧 몸체(10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구(115)를 개폐시키는 윈드 쉴드(102)로 구성된다.
상기 헬멧 몸체(101)는 사용자의 머리를 감싸 주행 중에 부유물이나 사고로부터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헬멧 몸체(101)의 일부분에는 개구(115)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개구(115)가 형성된 방향을 상기 헬멧 몸체(101)의 정면이라 정의할 때, 상기 헬멧 몸체(101)의 양 측면에는 각각 회동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동홀은 상기 윈드 쉴드(102)가 상기 헬멧 몸체(10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회동 수단(103) 중 일부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윈드 쉴드(102)는 상기 헬멧 몸체(10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구(115)를 개폐시키게 된다. 주행 중, 사용자는 상기 윈드 쉴드(102)로 상기 개구(115)를 폐쇄시켜 바람이나 이물질이 자극을 주지 않도록 안면을 보호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윈드 쉴드(102)는 투명 아크릴 등으로 제작되어, 상기 개구(115)가 폐쇄된 상태에서도 충분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윈드 쉴드(102)의 양 측단에는 상기 회동홀과 함께 상기 윈드 쉴드(102)를 상기 헬멧 몸체(101)에 결합시키는 회동 수단(103)의 다른 부분이 제공된다.
가장 간단한 예로써, 상기 윈드 쉴드(102)의 양측 단부 내측면에는 상기 헬멧 몸체(101)의 회동홀에 상응하는 회동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윈드 쉴드(102)는 상기 헬멧 몸체(101)의 정면을 감싸는 형태의 곡면으로 제작되면서, 그 양측 단부 내측면에 각각 형성된 회동 돌기들 사이의 거리는 상기 헬멧 몸체(101)의 회동홀들 사이의 거리보다 좁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 돌기가 상기 회동홀에 결합되는 위치로 상기 윈드 쉴드(102)를 상기 헬멧 몸체(101)에 결합시키면, 상기 윈드 쉴드(102) 자체 탄성력은 상기 윈드 쉴드(102)가 상기 헬멧 몸체(101)의 양 측면을 감싸는 힘으로 작용하면서 상기 회동 돌기는 상기 회동홀에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회돌홀과 회동 돌기가 서로 맞물려 상기 윈드 쉴드(102)를 상기 헬멧 몸체(10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회동 수단(103)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윈드 쉴드(102)를 상기 헬멧 몸체(101)에 결합시키기 위한 회동 수단(103)의 다른 형태로서, 회동축(revolution shaft)(미도시)을 들 수 있다. 이는 상기 회동축을 상기 회동홀로부터 상기 윈드 쉴드(102)까지 관통시키고, 그의 양단에 각각 스크류 등을 체결하여 상기 헬멧 몸체(101)의 내측면과 상기 윈드 쉴드(102)의 외측면을 지지하게 함으로써, 상기 윈드 쉴드(102)를 상기 헬멧 몸체(101) 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킴과 동시에 상기 헬멧 몸체(101)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윈드 쉴드(102)가 회동함에 따라 마찰이 발생되는 부분, 예를 들면 상기 헬멧 몸체(101)의 외측면과 윈드 쉴드(102)의 내측면 사이에는 마찰을 완화시키는 와셔 등을 개재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헬멧 몸체(101)와 같은 고정체와 윈드 쉴드(102)와 같은 회동체를 단순히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구성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종래의 헬멧은 윈드 쉴드를 결합시키면서, 윈드 쉴드의 회동 제한 수단으로 기어 조합을 구비하고 있음은 앞서 언급한 바 있다. 반면에,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헬멧 몸체(101)와 윈드 쉴드(102)를 단순히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은 상기 헬멧(100)에 윈드 쉴드(102)의 고정 장치로서 자성체들(111, 113, 121, 123)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상기 헬멧(100)은 상기 헬멧 몸체(101)의 외주면 상에 설치되는 제1 자성체(111)와, 상기 윈드 쉴드(102) 상에 설치되는 제2 자성체(121)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자성체(111)와 제2 자성체(121)는 영구 자석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윈드 쉴드(102)가 상기 개구(115)를 어느 정도 개방시켜 상기 제1 자성체(111)와 제2 자성체(121) 간의 인력이 작용할 수 있는 거리가 되면, 그들 사이의 인력에 의해 상기 윈드 쉴드(102)는 사용자가 더 개방시키지 않더라도 상기 개구(115)를 완전히 개방시키게 된다.
상기 윈드 쉴드(102)가 상기 개구(115)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 자성체(121)는 상기 제1 자성체(111)에 붙게 된다. 이는 상기 제1 자성체(111)와 제2 자성체(121)들 서로 간에 작용하는 인력에 기인한 것이다. 상기 제2 자성체(121)는 상기 윈드 쉴드(102)의 상단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자성체(111)는 상기 윈드 쉴드(102)가 사용자의 안면을 완전히 개방시킬 수 있을 정도로 상기 개구(115)를 충분히 개방시켰을 때 상기 제2 자성체(121)와 붙을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자성체(111)는 상기 헬멧 몸체(101)의 개구(115)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2 자성체(121)가 상기 제1 자성체(111)에 붙어 있는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머리를 움직이거나 고개를 숙이더라도 상기 제1, 제2 자성체(111, 121)들 서로 간에 작용하는 인력에 의해 상기 윈드 쉴드(102)가 상기 개구(115)를 다시 폐쇄시키지 않고 안정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자성체(111)와 제2 자성체(121)를 설치함에 있어서, 그 수와 위치는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윈드 쉴드(102)의 일측 단부로부터 타측 단부 사이의 중앙부에 상기 제2 자성체(121)가 설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자성체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헬멧(100)은 상기 윈드 쉴드(102)가 상기 개구(115)를 폐쇄시킨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자성체(113, 123)들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윈드 쉴드(102)가 상기 개구(115)를 폐쇄시킨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헬멧 몸체(101)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제3 자성체(113)가 설치되고, 상기 윈드 쉴드(102)의 일측단에 제4 자성체(123)가 설치된다. 상기 제3 자성체(113)와 제4 자성체(123)도 영구 자석으로 제작된다.
상기 제3 자성체(113)는 상기 개구(115)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윈드 쉴드(102)가 상기 개구(115)를 완전히 폐쇄시킨 때 상기 제4 자성체(123)는 상기 제3 자성체(113)에 붙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개구(115)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상기 윈드 쉴드(102)는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면서, 상기 개구(115)를 폐쇄시킨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3 자성체(113)는 상기 헬멧 몸체(101)의 양 측면에 모두 설치될 수 있으며, 그에 상응하도록 상기 제4 자성체(123)도 상기 윈드 쉴드(102)의 양측단에 각각 설치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헬멧의 윈드 쉴드 고정 장치는 윈드 쉴드가 헬멧 몸체의 개구를 개방시킨 상태 또는 폐쇄시킨 상태에서, 자성체를 이용하여 윈드 쉴드의 고정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헬멧의 일시적 유동이나, 사용자가 머리를 숙이더라도 윈드 쉴드는 헬멧 몸체의 개구를 개방시킨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기어 등을 이용한 헬멧 몸체와 윈드 쉴드를 결합시키는 회동 수단 및 회동 제한 수단을 구성하기 위하여 다수의 구성요소와 복잡한 조립 과정을 거칠 필요가 없으므로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회동 수단 및 회동 제한 수단으로서 기어를 사용하지 않고, 홀과 돌기 또는 회동축(revolution shaft)를 사용함으로써 윈드 쉴드의 회동이 부드러워지고,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일정 위치에서 윈드 쉴드의 고정 상태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윈드 쉴드 고정 장치를 구비하는 헬멧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헬멧의 윈드 쉴드가 회동하여 개구를 개방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헬멧 101 : 헬멧 몸체
102 : 윈드 쉴드 103 : 회동축부
111 : 제1 자성체 115 : 개구
121 : 제2 자성체 113 : 제3 자성체
123 : 제4 자성체

Claims (2)

  1. 사용자의 머리부분을 감싸는 헬멧 몸체, 상기 헬멧 본체의 전방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시야를 확보해 주는 개구 및 상기 상기 헬멧 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개구를 개폐시키는 윈드 쉴드를 포함하는 헬멧에 있어서,
    상기 헬멧의 외주면 상에 설치된 제1 자성체; 및
    상기 윈드 쉴드 상에 설치되는 제2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성체와 상기 제2 자성체 사이의 인력에 의해 상기 개구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윈드 쉴드를 회동시키고, 상기 개구가 완전히 개방된 때 상기 제2 자성체는 상기 제1 자성체에 붙어 상기 윈드 쉴드의 유동을 제한함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의 윈드 쉴드 고정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의 외주면 상에 설치되는 제3 자성체; 및
    상기 윈드 쉴드 상에 설치되는 제4 자성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윈드 쉴드가 상기 개구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3, 제4 자성체 간의 인력에 의해 상기 제4 자성체가 상기 제3 자성체에 붙어 상기 윈드 쉴드의 유동을 제한함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의 윈드 쉴드 고정 장치.
KR20-2005-0017032U 2005-06-14 2005-06-14 헬멧의 윈드 쉴드 고정 장치 KR2003958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032U KR200395840Y1 (ko) 2005-06-14 2005-06-14 헬멧의 윈드 쉴드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032U KR200395840Y1 (ko) 2005-06-14 2005-06-14 헬멧의 윈드 쉴드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840Y1 true KR200395840Y1 (ko) 2005-09-14

Family

ID=43696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7032U KR200395840Y1 (ko) 2005-06-14 2005-06-14 헬멧의 윈드 쉴드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84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701B1 (ko) * 2014-07-04 2015-03-12 주식회사 제이텍 스포츠용 헬멧
KR20200068372A (ko) * 2018-12-05 2020-06-15 주식회사 기도스포츠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헬멧
KR102210718B1 (ko) * 2020-04-07 2021-02-02 주식회사 기도스포츠 쉴드 개폐 조절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헬멧
WO2023214692A3 (ko) * 2022-05-03 2024-04-11 (주)에이치제이씨 두부 보호 장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701B1 (ko) * 2014-07-04 2015-03-12 주식회사 제이텍 스포츠용 헬멧
WO2016003050A1 (ko) * 2014-07-04 2016-01-07 주식회사 제이텍 스포츠용 헬멧
KR20200068372A (ko) * 2018-12-05 2020-06-15 주식회사 기도스포츠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헬멧
KR102587766B1 (ko) * 2018-12-05 2023-10-12 주식회사 기도스포츠 턱 보호대 위치결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헬멧
KR102210718B1 (ko) * 2020-04-07 2021-02-02 주식회사 기도스포츠 쉴드 개폐 조절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헬멧
WO2023214692A3 (ko) * 2022-05-03 2024-04-11 (주)에이치제이씨 두부 보호 장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5840Y1 (ko) 헬멧의 윈드 쉴드 고정 장치
US8458822B2 (en) Helmet
KR970016448A (ko) 모터식 댐퍼장치
JPH10168638A (ja) ヘルメットの回動板取付け機構
JPS6024201B2 (ja) 安全ヘルメツト
KR20060101199A (ko) 헬멧용 실딩 장치
KR20060069241A (ko) 아우터 미러
EP1702527A1 (en) Shielding device for helmet
KR101589297B1 (ko) 헬멧 부착형 고글
KR200379709Y1 (ko) 문 보호대 조립체
JP3593073B2 (ja) シールド板開閉式ヘルメット
CN207241575U (zh) 用于无边框内后视镜的保护罩以及内后视镜组件
KR200433301Y1 (ko) 헬멧의 실드 고정부
KR930000239Y1 (ko) 헬 멧
JP3114361U (ja) 自動車のサンバイザーに取り付ける視認装置
KR200382698Y1 (ko) 차량용 도어가드
US20130036532A1 (en) Dual lens helmet
TWI421194B (zh) Used for the bike&#39;s gearbox
JP3127412U (ja) 日除け付きチャイルドシート
CN215685150U (zh) 带简易织带安装结构的头盔
JP4124340B2 (ja) オペレーター滑車用の滑車カバー
CN213370222U (zh) 一种具有镜片固定机构的头盔
JPS62156303A (ja) 車両用ヘルメツトの風防装置
JP3157447U (ja) 自動車用サンバイザー
KR200442027Y1 (ko) 오토바이 헬멧용 선바이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