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9241A - 아우터 미러 - Google Patents

아우터 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9241A
KR20060069241A KR1020050095976A KR20050095976A KR20060069241A KR 20060069241 A KR20060069241 A KR 20060069241A KR 1020050095976 A KR1020050095976 A KR 1020050095976A KR 20050095976 A KR20050095976 A KR 20050095976A KR 20060069241 A KR20060069241 A KR 20060069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vehicle body
protrusion
auxiliary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5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사야 스즈키
마사아키 마츠우라
마사히로 모토미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카미 가이메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카미 가이메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카미 가이메이도
Publication of KR20060069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92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0Front-view mirror arrangements; Periscope arrangements, i.e. optical devices using combinations of mirrors, lenses, prisms or the like ; Other mirror arrangements giving a view from above or under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러 베이스의 위쪽에 미러 하우징이 지지되는 구조를 채용하면서도, 조수석측의 차체 측방의 전방을 시인하는 아우터 미러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 차체(A)의 측면으로부터 그 측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11A)를 갖는 미러 베이스(10)와, 이 돌출부(11A)에 세워져 설치된 샤프트(10A)와, 샤프트(10A)에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차체(A)의 후방을 비추는 미러(30) 및 차체(A)의 측방의 전방을 비추는 보조미러(40)가 설치된 미러 하우징(20)을 구비하고, 보조미러(40)가 돌출부(11A)의 상면(11A1)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자동차, 사이드 도어, 아우터 미러, 시인성, mirror

Description

아우터 미러{OUTER MIRROR}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아우터 미러가 설치된 자동차 차체 좌측(조수석측)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아우터 미러를 운전석측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모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아우터 미러의 개략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아우터 미러에 의해 비추어지는 영역의 모식 설명도이다.
도 5는 아우터 미러에 의해 비추어지는 영역의 일부를 차체의 측방으로부터 도시한 모식 설명도이다.
도 6은 아우터 미러에 비추어지는 상(像)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통상시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 (b)는 쉬프트 레버(shift lever)를 역전 위치(reverse position)로 이동한 상태(역전시)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
도 7(a),(b)는 본 실시형태의 아우터 미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a),(b)는 주행풍의 흐름을 도시한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아우터 미러의 전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한 아우터 미러의 후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1은 종래 기술의 설명도.
도 12는 종래 기술의 설명도.
도 13은 종래 기술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미러 베이스(mirror base), 10A : 샤프트(shaft)
11 : 베이스 본체, 11A : 돌출부
11A1 : 상면, 12 : 베이스 커버(cover)
12a : 커버부, 12d : 후크(hook)
13 : 씰(seal)부재, 20 : 미러 하우징
20B : 개구. 20a : 측방 상부
30 : 미러, 31 : 구면부(球面部)
32 : 비구면부(非球面部), 40 : 보조미러
41 : 설치부재, 50 : 구동장치
51 : 프레임(frame), 52 : 액츄에이터(actuator)
70 : 후방 보조미러, A : 차체
A1 : 차 외측, P1∼P4 : 시인(視認) 영역
본 발명은, 자동차의 사이드 도어(side door) 부근에 부설(付設)되는 아우터 미러(outer mirror)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아우터 미러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차체(車體)의 측면으로부터 그 측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100)를 갖는 미러 베이스(mirror base, 110)와, 이 돌출부(100) 위에 고정되는 샤프트(shaft, 111)와, 이 샤프트(111)에 구동 유닛(unit, 112)을 통하여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미러 하우징(mirror housing, 113)과, 이 미러 하우징(113)의 후면 개구부에, 경면(鏡面)의 방향을 조절하는 액츄에이터(actuator, 114)를 통하여 설치되는 미러(115)를 주요부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차체의 측방으로 돌출하여 설치하는 아우터 미러를 이용하여, 이것에 조수석측의 차체 측방의 전방을 시인(視認)하기 위한 보조미러를 부설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1, 2 참조).
예컨대, 도 12에 도시하는 특허문헌1에 기재한 아우터 미러는, 미러 베이스(120)의 상단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하는 스테이(stay, 121)의 선단 하부에 미러 하우징(122)이 설치되고, 이 미러 하우징(122)의 후측면에 후방 시인용의 미러(123)가 장착됨과 아울러, 미러 하우징(122)의 도시하지 않은 차체측의 측면에, 보조미러(12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아우터 미러에 의하면, 상기 도 11에 도시하는 아우터 미러처럼, 미러 베 이스(110)의 돌출부(100)의 위쪽에 미러 하우징(113)이 지지되는 구조가 아니라,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테이(121)의 아래쪽에 미러 하우징(122)이 지지되는 구조이므로, 스테이(121)에서 시인 영역이 차단되지 않고, 보조미러(124)에 조수석측의 차체의 측방을 비출 수 있다.
그러나, 이 아우터 미러에서는, 보조미러(124)의 방향을 조절할 수 없으므로, 운전자의 체격 차이에 기인하는 눈의 위치 차이에 대응할 수 없다는 곤란점이 있었다.
이 점, 도 13에 도시하는 특허문헌2에 기재한 아우터 미러는, 차체(A)의 측방으로 돌출하여 설치된 미러 베이스(돌출부, 130)에 미러 하우징(131)이 회동이 자유롭게 매달려 설치되어 있으므로, 미러 베이스(130)에 대한 미러 하우징(131)의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보조미러(132)의 방향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허문헌1] 일본국 특개평9-150674호 공보(단락 0029∼0030, 도 47∼도 49)
[특허문헌2] 일본국 특개 2004-196206호 공보(단락 0035∼0037, 도 9)
그런데, 상기 도 13에 도시한 아우터 미러는, 미러 하우징(131)이 회동가능한 점이 상기 도 11에 도시한 아우터 미러와 공통되지만, 도 13의 아우터 미러에서는 미러 베이스(130)의 아래쪽에 미러 하우징(131)이 지지되는 구조임에 대하여, 도 11의 아우터 미러에서는 미러 베이스(110)의 돌출부(100)의 위쪽에 미러 하우징(113)이 지지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도 11의 아우터 미러에 의한 구성부품, 예컨대, 회동에 관련되는 구성부품 등을 도 13의 아우터 미러에 채용하는 것이 곤란하 여, 제조상의 합리화를 도모할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미러 베이스의 위쪽에 미러 하우징이 지지되는 구조를 채용하면서도, 조수석측의 차체 측방의 전방을 시인할 수 있는 아우터 미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아우터 미러는, 자동차 차체의 측면으로부터 그 측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는 미러 베이스와, 이 돌출부에 세워져 설치된 샤프트와, 이 샤프트에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상기 차체의 후방을 비추는 미러 및 조수석측의 상기 차체 측방의 전방을 비추는 보조미러가 설치된 미러 하우징을 구비한 아우터 미러에 있어서, 상기 보조미러는 상기 돌출부의 상면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아우터 미러에 의하면, 미러 하우징이 돌출부에 세워져 설치된 샤프트에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된다는 종래의 아우터 미러처럼, 돌출부의 위쪽에 미러 하우징이 지지되는 구조를 채용하면서도, 돌출부의 상면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보조미러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이 보조미러로 차체 측방의 전방을 비출 수 있다. 따라서, 제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음과 아울러, 시인성(視認性)이 뛰어난 아우터 미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보조미러는, 돌출부의 상면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므로, 돌출부의 아래쪽에 형성되는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차체 측방의 전방에 있어서 시야를 양호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돌출부는, 보조미러의 위쪽에 위치하는 것으로 되므로, 보조미러에 대 한 차양의 역할을 하고, 이에 의해, 보조미러에 직사 일광이나 빗물 등이 직접 닿는 것이 차단된다. 이에 의해, 보조미러의 시야가 양호하게 유지된다.
또한, 상기 차체와 상기 보조미러의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아우터 미러에 의하면, 차체와 보조미러의 사이가 간격에 의해 빈 상태로 되므로, 종래의 아우터 미러처럼, 돌출부의 위쪽에 미러 하우징이 지지되는 구조를 채용하면서도, 운전석에서 보조미러를 바라보았을 때의 시야에 돌출부가 겹쳐지는 일이 없어지고, 차체측을 향하여 보조미러가 노출되는 상태가 확보된다. 따라서, 보조미러의 시인성이 높아진다.
또한, 이 간격에 의해, 자동차 주행시에 아우터 미러로 불어오는 주행풍(走行風)의 일부를, 차체 후방을 향하여 부드럽게 통과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아우터 미러에 의한 주행풍의 흩날림이 줄어들어, 바람 가르는 소리의 발생에 의한 소음도 줄어든다. 또한, 간격을 통과하는 주행풍에 의해 보조미러에 붙은 빗물 등을 날려버릴 수 있다. 또한, 간격을 통과한 후의 주행풍에 의해, 자동차의 사이드 윈도우(window)에 부착된 빗물 등도 날려버릴 수 있다. 따라서, 운전석에서 아우터 미러를 보았을 때의 시선(視線)에 들어오는 사이드 윈도우의 영역이 보기 쉽게 된다.
또한, 상기 보조미러는, 상기 돌출부의 선단 아래쪽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아우터 미러에 의하면, 보조미러가 돌출부의 선단 아래쪽에 위치하므 로, 차체의 측면에서 보조미러까지의 거리를, 차체의 측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에 의해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보조미러에 의한 차체 측방의 전방의 양호한 시야가 확보된 아우터 미러를 간단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돌출 방향의 바깥쪽에는, 상기 미러 하우징의 조립 품의 중심이 위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아우터 미러에 의하면, 미러 하우징의 조립품의 중심이 돌출부의 돌출 방향의 바깥쪽에 위치하므로,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예컨대, 종래의 도 11에 도시한 아우터 미러처럼 돌출부의 위쪽에 미러 하우징의 조립품의 전체가 위치하는 아우터 미러에 있어서는, 미러 하우징의 조립품의 중심이, 돌출부의 돌출 방향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일이 없고, 이보다 거리가 멀어지는 윗쪽으로 비스듬하게 위치하는 것으로 된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아우터 미러에서는, 미러 하우징의 조립품의 중심이 돌출부의 돌출 방향(수평방향)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구성이므로, 돌출부에서 중심까지의 거리가, 도 11에 도시한 아우터 미러보다 짧고, 이에 의해, 돌출부에 대하여 미러 하우징이 안정한 상태로 지지되게 된다. 따라서, 자동차 주행시에 있어서 미러 하우징의 조립품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러 하우징의 상기 돌출부의 위쪽에는, 상기 차체 측방의 후방을 비추는 후방 보조미러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아우터 미러에 의하면, 후방 보조미러를 이용하여, 차체 측방의 후방을 확인할 수 있고, 후방 시인용 미러의 사용과 더불어, 차체 후방의, 운전석에서 는 통상적으로 볼 수 없는 범위를 시인할 수 있다. 또한, 후방 보조미러는, 미러 하우징의 돌출부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후방 시인용 미러로부터의 시선의 이동이 최소한에 그쳐, 시인성도 뛰어나다.
상기 미러 하우징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하여 상기 미러 하우징을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가 상기 돌출부의 위쪽 위치에 내장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아우터 미러에 의하면, 돌출부에 대하여 미러 하우징을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가 돌출부의 위쪽 위치에 내장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돌출부의 위쪽에 미러 하우징이 지지되는 아우터 미러와 같은 구조를 채용할 수 있고, 구동장치등의 구성부품의 공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미러는, 상기 차체의 사이드 윈도우의 하단 라인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아우터 미러에 의하면, 보조미러가 사이드 윈도우의 측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되어, 운전석에서 보조미러를 확실하게 바라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위치로 되도록 아우터 미러를 차체에 설치한 경우에, 보조미러의 위쪽에 위치하는 것으로 되는 돌출부는, 상기 도 11에 도시한 종래의 일반적인 아우터 미러에 있어서 돌출부의 형성 위치보다 윗쪽으로 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된다. 이 때문에, 종래의 아우터 미러처럼, 돌출부의 위쪽에 미러 하우징이 지지되는 구조를 채용하면서도, 운전석에서 보조미러를 바라보았을 때의 시야에 돌 출부가 겹쳐지는 일이 더욱 방지되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설명에 있어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방향을 나타내는 「전후」,「좌우」,「상하」등의 용어는, 어느 쪽도 차체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 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한 아우터 미러가 설치된 자동차 차체 좌측의 부분 사시도, 도 2는 아우터 미러를 운전석측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모양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아우터 미러의 개략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우터 미러는, 자동차 차체(A)의 조수석측에 서의 프론트 사이드 도어(front side door, D)에 부설되는, 소위 도어 미러이며, 차체(A)의 측면으로부터 그 측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11A)를 갖는 미러 베이스(10)와, 이 돌출부(11A)의 위쪽에 설치되는 미러 하우징(20)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러 하우징(20)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측면에 후방 시인용 미러(30)가 장착되고, 또한, 미러 하우징(20)의 차체측 측면에, 운전석에서는 직접 볼 수 없는, 조수석측의 차체(A) 측면의 전방을 시인하기 위한 보조미러(4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아우터 미러는 전동 격납식(電動 格納式)이고, 미러 하우징(20)은, 미러 베이스(10)의 돌출부(11A)에 세워져 설치된 샤프트(10A, 도 2 참조)에 대하여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하, 각 구성부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미러 베이스(10)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론트 사이드 도어(D)의 프레임(frame, D1)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고,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 본체(11)와, 이 베이스 본체(11)의 차 외측(A1)의 측면에 덮도록 설치되는 베이스 커버(12)와, 베이스 본체(11)의 차체측 측면에 고정되는 씰부재(13)와, 패킹(packing, 14)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베이스 본체(11)는, 알루미늄 다이 캐스트(aluminium die cast) 등의 주조법으로 제작되고, 판형상의 기부(基部, 11a)와, 이 기부(11a)의 중앙의 약간 아래쪽 위치로부터 측방(차체(A)의 측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11A)를 구비하고 있다. 기부(11a)에는, 베이스 커버(12)가 도시하지 않은 고정 나사로 고정됨과 아울러, 씰부재(13)와의 대향면에, 세로 길이의 프레임 형상의 설치 보스부(boss, 11b)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설치 보스부(11b)의 상부 및 하부, 더욱이 설치 보스부(11b)의 중간부에는, 베이스 본체(11)에 씰부재(13)를 나사 고정할 때의 나사 구멍으로 되는 고정 구멍(11e)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11A)는, 후면 또는 전면에서 바라본 형상이, 기부(11a)측에서 선단부를 향하여 가늘어지는 삼각형상을 보이고 있고, 또한, 평탄하게 형성된 상면에는, 샤프트(10A)를 고정하기 위한 설치 구멍(11c) 및 미러 하우징(20) 안으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와이어 하니스(wire harness)를 차체(A)측으로 배선하기 위한 도출(導出) 구멍(11d)이 개구 형성되어 있다. 한편, 와이어 하니스는, 이 도출 구멍(11d)을 통하여 설치 보스부(11b)의 내측에 형성된 개구(11f)로부터 인출된다.
베이스 커버(12)에는, 베이스 본체(11)의 돌출부(11A)를 적어도 상면측이 노출하는 상태로 덮는 커버부(12a)가 차 외측(A1)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베이스 커버(12)의 베이스 본체(11)와의 설치면에, 이 커버부(12a)로 통하는 삽입 구멍(12b) 및 베이스 본체(11)를 고정할 때의 나사 구멍으로 되는 고정 구멍(12c, 12c)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커버부(12a)의 저부에는, 베이스 본체(11)의 돌출부(11A)의 설치 구멍(11c)을 향하는 삽입 구멍(12e)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베이스 커버(12)를 베이스 본체(11)에 설치하기 위하여는, 베이스 본체(11)의 차체측으로부터 각 고정 구멍(12c)에 도시하지 않은 나사를 삽입하면 좋다. 또한, 고정 구멍(12c, 12c)의 근방에는, 씰부재(13)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결합부와 결합하는 후크(hook, 12d, 12d)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씰부재(13)는 시트(seat)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13a) 및 하부(13b)가 베이스 커버(12)의 차체측 측면에 각각 결합되도록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씰부재(13)의 중앙부에는, 베이스 본체(11)의 설치 보스부(11b)가 수용되는 수용 오목부(凹部, 13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 오목부(13c)에는, 베이스 본체(11)의 각 고정 구멍(11e)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시하지 않은 고정 나사를 삽입하기 위한 나사 구멍(13e)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용 오목부(13c)에는, 상기 와이어 하니스를 차 내측으로 인출하기 위한 인출 구멍(13f)이, 베이스 본체(11)의 개구(11f)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씰부재(13)의 차체측 측면에는, 패킹(14)의 수납을 좋게 하기 위한 접힘부(13g)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씰부재(13)를 베이스 본체(11)에 설치하기 위하여는, 씰부재(13)의 차체측 측면의 각 나사 구멍(13e)을 통하여 베이스 본체(11)의 각 고정 구멍(11e)에 도시하지 않은 나사를 각각 나사박음하면 좋다. 한편, 패킹(14)은, 씰부재(13)와 도시하지 않은 차체측의 설치자리와의 사이에 장착된다.
미러 하우징(20)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샤프트(10A)를 통하여 돌출부(11A)의 위쪽으로 수평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미러 하우징(20)은, 보조미러(40)가 돌출부(11A)의 상면(11A1)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미러 하우징(20)의 차체측 측면의 대략 중앙위치에서 돌출부(11A)에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아우터 미러는, 종래의 일반적인 아우터 미러(도 11 참조)처럼, 돌출부(11A)의 위쪽에 미러 하우징(20)이 지지되는 구조를 채용하면서도, 돌출부(11A)의 상면(11A1)보다 아래쪽에 보조미러(40)가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보조미러(4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러 하우징(20)에 설치된 상태에서, 돌출부(11A)의 선단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고, 이 때, 차체(A)와 보조미러(40)의 경면 사이에는, 간격(S)이 형성된다. 또한, 보조미러(40)는 미러 하우징(20)에 설치된 상태에서, 차체(A)의 사이드 윈도우(SW)의 하단 라인(L)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11A)의 돌출 방향의 바깥쪽으로, 미러 하우징(20)의 조립품의 중심(G)이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미러 하우징(20)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후에 기술하는 설치부재(41)를 통하여 보조미러(40)가 설치되는 부분에, 미러 하우징(20) 안을 향하여 열린 개구(20B)가 형성되어 있다.
보조미러(40)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러 하우징(20)과는 별도 부재의 설치부재(41)를 통하여 미러 하우징(20)의 차체측 측면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보조미러(40)는, 넓은 각도의 곡면경(曲面鏡)으로 되어 있어, 미러 하우징(20)의 차체측 측면의 한정된 면적에 있어서, 차체(A) 측방의 전방의 영역을 널리 비출 수 있다. 이 넓은 각도의 곡면경의 경면(鏡面)은, 구면(球面)의 일부를 잘라낸 형상이다. 보조미러(40)의 곡률반경은, 100mm에서 1000mm, 바람직하게는 100mm에서 500mm이다. 곡률반경이 100mm보다 작으면, 보조미러(40)에 비친 상(像)의 비틀림이 지나치게 커서 보기 흉하게 되고, 또한, 곡률반경이 1000mm보다 크면, 평면경에 근접하게 되어 넓은 각도를 갖는 미러의 특징이 작아져 버린다. 이 때문에, 보조미러(40)의 곡률반경을 상기 100mm에서 1000m의 범위로 설정하여, 보조미러(40)에 비친 상의 비틀림을 작게 하면서도, 넓은 영역을 비출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보조미러(40)의 곡률반경을 100mm에서 500mn의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차체(A) 측방의 전방의 영역을 비춤과 아울러, 미러 베이스(10)의 바로 아래의 영역도 포함하여, 조수석측의 차체 측방의 넓은 영역을 비추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설치부재(41)는, 보조미러(40)가 설치되는 면과 반대측의 면에, 결합 후크(41a)가 돌출 설치되어 있고, 이 결합 후크(41a)를 미러 하우징(20)의 차체측 측면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 구멍(20b)에 결합되게 함으로써, 미러 하우징(20)에 설치되 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설치부재(41)는, 상기 바와 같이, 미러 하우징(20)과 별개 부재이므로, 좌우 방향의 두께를 변경하여 형성한 것을 적당히 이용함으로써, 상기 간격(S), 구체적으로는, 보조미러(40)의 경면과 미러 베이스(10)의 베이스 커버(12)의 차 외측 측면과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차종에 따라 변화하는 상의 보이는 쪽을 좌우 방향의 두께가 다른 설치부재(41)로 교환함으로써, 보조미러(40)에 상이 적절하게 비추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간격(S)의 조정은, 설치부재(41)를 교환함으로써 행할 수 있으므로, 미러 하우징(20) 자체를 차종에 따라 교환할 필요가 없게 되어, 공통화를 도모하면서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설치부재(41)는, 미러 하우징(20)의 크기에 대하여 지극히 작은 부품이므로, 교환용으로 제공하는 부품을 따로 챙겨두기 쉽고, 교환도 행하기 쉽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조미러(40)는, 약간 하향으로 되도록, 즉, 보조미러(40)의 경면의 적어도 일부가 미러 베이스(10)의 아래쪽(바로 아래를 포함함)에서 볼 수 있는 방향에서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바와 같이 보조미러(40)의 곡률반경을 100mm에서 500mm의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미러 베이스(10)의 아래쪽에서 차체(A) 측방의 전방의 넓은 영역을 적절하게 비출 수 있게 된다. 또한, 보조미러(40)가 설치되는 미러 하우징(20)의 차체측 측면의 하부는, 통상, 자동차 주행시의 주행풍의 흐름을 고려하여 전후 방향으로 두껍게 형성되는 부분이고, 그 만큼, 그 밖의 부분에 설치하였을 때와 비교하여, 형상이 커진 보조미러(40)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러한 위치에 설치되는 보조미러(40)는, 차체(A) 측방 의 전방의 넓은 영역을 비추는데에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10A)는, 상기 미러 베이스(10)의 베이스 본체(11)에 설치된 돌출부(11A)에 고정용 나사(10B)로 고정되어, 돌출부(11A)의 상면에 세워져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샤프트(10A)의 고정에 있어서는, 베이스 커버(12)의 커버부(12a)의 저부측에서 삽입 구멍(12e)을 통하여 고정용 나사(10B)를 나사박음하는 것에 의해 행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미러 하우징(20)의 하부가 돌출부(11A)의 아래쪽까지 돌출한 형상이면, 커버부(12a)의 삽입 구멍(12e)이 미러 하우징(20)의 하부에 가려져서, 샤프트(10A)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나사(10B)의 나사박음이 불가능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상기와 같이 , 보조미러(40)가 설치부재(41)를 통하여 설치되는 구성에서는, 미러 하우징(20)의 차체측 측면의 하부를,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을 없애고 단면을 평탄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커버부(12a)의 삽입 구멍(12e)이 완전히 노출하게 되어 고정용 나사(10B)의 삽입 및 나사박음이 용이하게 행하여지게 된다.
또한, 미러 하우징(20)에는, 돌출부(11A)의 위쪽으로 되는 위치(측방 상부(20a))에 미러 하우징(20)을 격납 또는 사용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구동장치(50)가 내장되어 있다(도 3에 있어서 일점쇄선으로 도시).
구동장치(5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샤프트(10A)에 장착되는 감속기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구비하고, 모터의 구동력은 감속기를 통하여 샤프트(10A)에 전달된다. 그리고, 이 모터를 구동시키면 미러 하우징(20)이 샤프트(10A)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고, 모터의 회전방향을 적당히 제어하는 것으로 미러 하우징 (20)의 격납과 사용위치로의 복귀가 행하여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동장치(50)가, 미러 하우징(20)의 내부(미러(30)의 전방위치)에 설치 고정되는 프레임(51)의 차체측 측방에 형성된 유지부(51a)에 수용되어 유지되도록 되고 있다. 이 프레임(51)의 후면측 측부에는, 미러(3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액츄에이터(52)를 통하여 미러 홀더(holder, 53)가 설치되고, 이 미러 홀더(53)에 미러(3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미러 홀더(53)와 미러(30)의 사이에는, 미러(30)의 서리를 제거하는 시트형상의 히터(heater, 54)가 개재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51)의 차체측 측면의 하부에는, 나사 구멍(51b)이 개구를 차체측으로 향하여 형성되어 있어 미러 하우징(20) 안에 형성된 설치 구멍(20c)을 통하여 나사를 나사박음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미러 하우징(20)의 치수·형상 등은, 디자인 등에 따라 변경가능하고,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상기 바와 같이, 미러 하우징(20)의 차체측 측면의 하부를 전후 방향으로 두껍게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형상이 커진 보조미러(40)를 설치할 수 있도록 되고, 이에 의해 더욱 넓은 영역을 보조미러(40)에서 비출 수 있다.
또한, 구동장치(50) 및 액츄에이터(5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와이어 하니스는, 샤프트(10A)의 내부를 이용하여 배선된다. 즉, 와이어 하니스는, 샤프트(10A)의 내부를 통과하여, 돌출부(11A)의 도출 구멍(11d)으로부터 미러 베이스(10)의 내부(베이스 본체(11))로 도출되고, 또한, 미러 베이스(10)의 씰 부재(13)의 인출 구멍(13f)을 통과하여 차체(A)의 내부로 도출되어, 도시하지 않은 운전석 주변의 컨트롤 유닛(control unit)에 접속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아우터 미러의 조립 순서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프레임(51)에 구동장치(50) 및 액츄에이터(52)를 조립한 후에, 프레임(51)을 미러 하우징(20)의 후면측의 개구(20A)로부터 내부로 삽입하고, 도시하지 않은 고정 나사로 프레임(51)을 미러 하우징(20)에 고정한다. 이 때, 프레임(51)의 고정은, 미러 하우징(20)의 후면측의 개구(20A)로부터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미러 하우징(20)의 차체측 측면의 개구(20B)를 통하여 행하여진다. 즉, 프레임(51)은, 상기 두 개의 개구(20A, 20B)를 이용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삽입되어 나사박음되는 나사에 의해 미러 하우징(20)에 고정되는 것으로 된다. 이 개구(20B)를 이용한 고정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20B)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나사를 삽입하여, 이 나사를 미러 하우징(20)의 설치 구멍(20c)으로 통과하게 한 후에, 프레임(51)의 나사 구멍(51b)에 나사박음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미러 하우징(20)에 고정되는 구동장치(50)에는, 미리 샤프트(10A)를 조립하여 두고, 와이어 하니스는 샤프트(10A)를 이용하여 외부로 도출시켜 둔다. 따라서, 프레임(51)을 미러 하우징(20)에 조립하면, 미러 하우징(20)의 측 측방 상부(20a)로부터 샤프트(10A)의 하부가 노출한다.
다음에, 액츄에이터(52)에, 도시하지 않은 고리부와 걸이부 구조로 미러 홀더(53)를 설치하고, 또한, 이 미러 홀더(53)의 후면에, 점착 테이프 등에 의해 히 터(54)를 부착한다. 그 후, 히터(54)의 후면에, 점착 테이프 등에 의해 미러(30)를 부착한다.
그리고, 베이스 본체(11)에 베이스 커버(12)를 씌우고, 베이스 본체(11)의 차체측에서 베이스 커버(12)의 각 고정 구멍(12c)에 도시하지 않은 나사를 나사박음하여 베이스 본체(11)와 베이스 커버(12)를 일체로 한다.
계속하여, 상기 바와 같이 하여 조립한 미러 하우징(20)의 샤프트(10A)를 베이스 본체(11)의 돌출부(11A)에 근접시키고, 돌출부(11A)의 도출 구멍(11d)에 와이어 하니스를 삽입시킨 후에, 샤프트(10A)를 돌출부(11A)에 맞추고, 베이스 커버(12)의 커버부(12a)의 저부측에서 돌출부(11A)의 설치 구멍(11c)을 통하여, 샤프트(10A)에 고정용 나사(10B)를 나사박음하여, 샤프트(10A)를 돌출부(11A)에 고정한다.
그리고, 미러 하우징(20)의 차체측 측면의 하부에 설치부재(41)를 설치하고, 설치부재(41)에 보조미러(40)를 점착 테이프 등에 의해 부착한다. 한편, 설치부 재료(41)에 미리 보조미러(40)를 설치하여 둠으로써, 조립 작업을 보다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계속하여, 씰부재(13)의 나사 구멍(13e)을 통하여 베이스 본체(11)의 고정 구멍(11e)에 나사를 고정하여, 베이스 본체(11)에 씰부재(13)를 설치한다. 이 때, 씰부재(13)의 인출 구멍(13f)으로부터 와이어 하니스를 인출하여 둔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패킹(14)을 통하여 씰부재(13)의 차체측을 차체(A)의 프론트 사이드 도어(D)의 프레임(D1)에 설치한, 도시하지 않은 고정 나사 등을 이 용하여 고정한다. 이에 의해, 차체(A)에의 아우터 미러의 설치가 완료된다.
다음에, 도 4∼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아우터 미러를 장착한 자동차에 있어서 운전석으로부터의 시인 영역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아우터 미러에 의해 비추어지는 영역의 모식 설명도, 도 5는 아우터 미러에 의해 비추어지는 영역의 일부를 차체의 측방에게 도시한 모식 설명도, 도 6은 아우터 미러에 비추어지는 상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통상시의 모양을 도시한 도면, (b)는 쉬프트 레버(shift lever)를 역전 위치(reverse position)로 이동한 상태(역전시(逆轉蒔))의 모양을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아우터 미러의 후방 시인용 미러(30)는, 상부에 곡률반경 700mm의 구면부(球面部, 31), 하부에 비구면부(非球面部, 32)를 구비한 것을 사용하고, 또한,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운전석 측방의 쉬프트 레버를 역전 위치로 이동한 때에, 조수석 측방의 후방의 노면을 향하여 경면 전체가 소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설정된 것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보조미러(40)는, 곡률반경 200mm이고 면적이 약 55㎠ 인 것을 사용하였다.
도 4에 있어서, 굵은 파선으로 도시하는 시인 영역 P1은, 보조미러(40)에 의해 비추어지는 시인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이 시인 영역 P1은, 도 6(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조미러(40)상에 비추어진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굵은 실선으로 도시하는 시인 영역 P2은, 미러(30)에 의한 역전시의 시인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이 시인 영역 P2는,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러(30)의 구면부(31) 및 비구면부(32)에 걸쳐 비추어진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가는 실선으로 도시하는 시인 영역 P3은, 미러(30)의 비구면부(32)에 의한 역전시의 시인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이 시인 영역 P3은,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러(30)의 비구면부(32) 위에 비추어진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가는 파선으로 도시하는 시인 영역 P4은, 미러(30)의 비구면부(32)에 의한 통상시의 시인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이 시인 영역 P4는,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러(30)의 비구면부(32)에 비추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아우터 미러를 장착함으로써, 차체(A)의 조수석측의 전방 및 후방의 넓은 영역을, 보조미러(40) 및 미러(30)로 동시에 비추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4,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수석측의 아우터 미러의 바로 아래에, 차체(A)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높이가 1m, 직경이 30cm인 물체(B)를 배치하였던 바,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러(30)와 보조미러(40)의 양쪽의 모서리 부분 P5, P6에 걸치는 상태로, 이 물체(B)가 비추어졌다. 이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물체(B)의 상단부의 모서리부가, 보조미러(40)에 의해 비추어지는 시인 영역 P1의 상(像) 및 미러(30)의 비구면부(32)에 의해 비추어지는 시인 영역 P3의 상(像)에 각각 걸리는 상태로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아우터 미러에서는 아우터 미러의 바로 아래의 사각(死角)으로 되기 쉬운 영역에 있는 물체(B)도 인식이 가능하다.
도 7(a),(b)는 본 실시형태의 아우터 미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에 도시한 아우터 미러에서는, 설치부재(41)가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대략 디귿자 형으로 형성되고, 상면측 및 미러 하우징(20)에 대한 설치면측에 연속하는 개구부(41b, 41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조미러(40)의 설치면측에 개구부(41d)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41d)의 입구 가장자리에 형성된 단부(段部)에 보조미러(40)가 끼워 넣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아우터 미러에 의하면, 설치부재(41)에 개구부(41b, 41c, 41d)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들의 개구부(41b, 41c, 41d)를 유효하게 이용한 아우터 미러의 조립을 행할 수 있다. 즉, 미러 하우징(20)의 샤프트(10A, 도 3 참조)를 미러 베이스(10)의 베이스 본체(11)에 형성된 돌출부(11A)에 고정할 때, 상기 실시형태의 조립 순서에서는, 실시형태에 도시한 설치부재(41)의 두께에 의해, 설치부재(41)가 고정용 나사(10B)의 삽입의 방해로 될 경우가 있으므로, 고정용 나사(10B)의 나사박음후에 설치부재(41)를 부착할 필요가 있었지만, 이 변형예의 설치부재(41)에서는, 먼저 이것을 미러 하우징(20)에 부착하여 두어도, 개구부(41b, 41d)를 이용하여, 고정용 나사(10B)의 삽입 및 나사박음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 공정의 자유도가 높아지게 된다. 한편, 설치부재(41)을 미러 하우징(20)에 설치한 후라도, 보조미러(40)을 설치하기 전의 단계이면, 개구부(41d)가 개구되어 있으므로, 개구부(41d)로부터 미러 하우징(20)의 개구(20B)를 통하여 미러 하우징(20) 안을 향할 수 있어, 프레임(51) 등의 고정도 이 개구부(41d), 개구(20B)를 통하여 삽입하는 체결공구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한, 보조미러(40)의 설치 후도, 보조미러(40)를 분리하여 개구부(41d)를 노출시키는 것에 의해, 간단히 분해를 행할 수 있다.
도 7(b)에 도시한 아우터 미러에서는, 미러 하우징(20)의 차체측 측면의 하부가 돌출부(11A)의 아래쪽에 일체적으로 돌출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아우터 미러에서는, 미러 하우징(20)에 대하여 상기 도 7(a)에 도시한 설치부재(41)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아우터 미러에 의하면, 돌출한 부분에 형성된 개구부(41b, 41d)를 이용한 상기와 같은 조립 순서에 의해 아우터 미러의 조립을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이 설치부재(41)를 설치하는 공정이 필요하지 않게 되므로, 그 만큼 조립공정이 간략화된다.
이상 설명한 아우터 미러에 의하면, 미러 하우징(20)이, 돌출부(11A)에 세워져 설치된 샤프트(10A)에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종래의 아우터 미러처럼, 돌출부(11A)의 위쪽에 미러 하우징(20)이 지지되는 구조를 채용하면서도, 돌출부(11A)의 상면(11A1)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보조미러(40)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보조미러(40)에 차체(A)의 측방의 전방을 비출 수 있다. 따라서, 제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음과 아울러, 시인성이 뛰어난 아우터 미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보조미러(40)는, 돌출부(11A)의 상면(11A1)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므로, 돌출부(11A)의 아래쪽에 형성되는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고, 차체(A)의 측방의 전방에 있어서 시야를 양호에 얻을 수 있다.
또한, 돌출부(11A)는, 보조미러(40)의 위쪽에 위치하는 것으로 되므로, 보조미러(40)에 대한 차양의 역할을 하고, 이에 의해, 보조미러(40)에 직사 일광이나 빗물 등이 직접 닿는 것이 차단된다. 이에 의해, 보조미러(40)의 시야가 양호하게 유지된다.
또한, 차체(A)와 보조미러(40)의 사이가 간격(S)에 의해 빈 상태로 되므로, 종래의 아우터 미러처럼, 돌출부(11A)의 위쪽에 미러 하우징(20)이 지지되는 구조를 채용하면서도, 운전석에서 보조미러(40)을 바라보았을 때의 시야에 돌출부(11A)가 겹치는 일이 없어져, 차체 측면을 향하여 보조미러(40)가 노출되는 상태가 확보된다. 따라서, 보조미러(40)의 시인성이 높아진다.
또한, 이 간격(S)에 의해, 도 8(a),(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동차 주행시에 아우터 미러로 불어오는 주행풍의 일부를, 차체 후방을 향하여 부드럽게 통과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아우터 미러에 의한 주행풍의 흩날림이 줄어들어, 바람 가르는 소리의 발생에 의한 소음도 줄어든다. 또한, 간격(S)을 통과하는 주행풍에 의해 보조미러(40)에 설치된 빗물 등을 날려버릴 수 있다. 또한, 간격(S)을 통과한 후의 주행풍에 의해, 자동차의 사이드 윈도우(SW)에 설치된 빗물 등도 날려버릴 수 있다. 따라서, 운전석에서 아우터 미러를 시인하였을 때의 시선에 들어오는 사이드 윈도우(SW)의 영역이 보기 쉬워진다.
또한, 보조미러(40)는, 차체(A)의 사이드 윈도우(SW)의 하단 라인(L)보다 위쪽에 위치하므로, 보조미러(40)가 사이드 윈도우(SW)의 측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되어, 운전석에서 보조미러(40)를 확실하게 바라볼 수 있다. 한편, 운전석에서 보조미러(40)을 볼 수 있는 범위이면, 보조미러(40)는, 하단 라인(L)보다 아래쪽의 위치에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이러한 위치로 되도록 아우터 미러를 차체(A)에 부착한 경우에, 보조미러(40)의 위쪽에 위치하게 되는 돌출부(11A)는, 상기 도 11에 도시한 종래의 일반적인 아우터 미러에 있어서 돌출부(100)의 형성 위치보다 윗쪽으로 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된다. 이 때문에, 종래의 아우터 미러처럼, 돌출부(11A)의 위쪽에 미러 하우징(20)이 지지되는 구조를 채용하면서도, 운전석에서 보조미러(40)를 바라보았을 때의 시야에 돌출부(11A)가 겹치는 일이 더욱 방지되게 된다.
또한, 보조미러(40)는, 돌출부(11A)의 선단 아래쪽에 위치하는 구성이므로, 차체(A)의 측면에서 보조미러(40)까지의 거리(간격(S))을, 차체(A)의 측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1A)에 의해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보조미러(40)에 의한 차체(A)의 측방의 전방의 양호한 시야가 확보된 아우터 미러를 간단히 얻을 수 있다.
또한, 돌출부(11A)의 돌출 방향의 바깥쪽에, 미러 하우징(20)의 조립품의 중심(G)이 위치하므로,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예컨대, 종래의 도 11에 도시한 아우터 미러처럼 돌출부(100)의 위쪽에 미러 하우징(113)의 조립품의 전체가 위치하는 아우터 미러에 있어서는, 미러 하우징(113)의 조립품의 중심이, 돌출부(100)의 돌출 방향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일이 없고, 이보다 거리가 길게(멀게)되는 위쪽으로 비스듬하게 위치하는 것으로 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의 아우터 미러에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러 하우징(20)의 조립품의 중심(G)이 돌출부(11A)의 돌출 방향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구성에서는, 돌출부(11A, 고정부)로부터 중심(G)까지의 거리(LG)가, 도 11에 도시한 아우터 미러보다 짧게( 가깝게)되어, 그 만큼 돌출부(11A)에 대하여 미러 하우징(20)이 안정한 상태로 지지되게 된다. 따라서, 자동차 주행시에 있어서 미러 하우징(20)의 조립품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미러 하우징(20)에는, 돌출부(11A)의 위쪽 위치에 구동장치(50)가 내장되어 있으므로, 종래의 도 11에 도시한 아우터 미러와 같은 구조를 채용할 수 있어, 구동장치(50) 등의 구성부품의 공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에 의한 아우터 미러는, 도 9,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러 하우징(60)에 후방 보조미러(70)를 설치한 것이다.
후방 보조미러(70)는, 미러 하우징(60)의 돌출부(11A)의 위쪽으로 되는 위치(측방 상부(60a))에, 경면이 노면측으로 향하도록 하향 경사시킨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후방 보조미러(70)를 이용함으로써, 차체(A) 측방의 후방 중, 차체측면에 가까운 쪽을 비출 수 있다.
이러한 아우터 미러에 의하면, 후방 보조미러(70)를 사용하여, 차체(A) 측방의 후방을 확인할 수 있고, 후방 시인용 미러(30)의 사용과 더불어, 차체(A)의 후방 중, 운전석에서는 통상 볼 수 없는 영역을 간단히 시인할 수 있다. 또한, 후방 보조미러(70)는, 미러 하우징(60)의 돌출부(11A)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후방 시인용 미러(30)로부터의 시선의 이동이 최소한에 그쳐, 시인성도 뛰어나다.
한편, 이 아우터 미러에 있어서, 보조미러(40)는, 미러 하우징(60)의 차체측 측면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20B)을 폐쇄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개구(20B)를 보조미러(40)로 폐쇄하기 전의 상태이면, 상기 제1 실시형태의 아우터 미러처럼, 개구(20B)를 통하여 미러 하우징(20) 안을 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에 관련되는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들을 더욱 여러거지 변경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보조미러(40)를 조수석측의 차체(A) 측방의 전방을 비추는 미러로서 기능시키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예컨대 도시하지 않았지만, 미러 하우징(20)에 대한 설치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조수석측의 전륜(前輪) 부근을 비추는 미러로서 기능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보조미러(40)를 미러 하우징(20)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재(41)를 복수 종류 준비하여 두어, 적당히 교체함으로써, 운전자의 기호에 맞춘 상이 비추어지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이러한 설치부재(41)의 형상이나 보조미러(40)의 곡률반경 등은, 아우터 미러가 설치되는 차종에 따라 적당히 설정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미러 하우징(20)이 미러 베이스(10)의 베이스 본체(11)로부터 돌출된 돌출부(11A)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돌출부(11A)만으로 미러 베이스를 구성하여도 좋다. 즉, 돌출부(11A)가 차체(A)의 필러(pillar)나 설치자리에 직접 설치되도록 구성하여도 좋고, 사이드 윈도우(SW)의 삼각 모서리부 등으로부터 차체(A)의 측방으로 돌출하도록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조수석측에 설치되는 아우터 미러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운전석측에 설치하여도 지장이 없다. 이 경우, 도시하지 않았지만 보조미러(40)가 차체(A)의 후방을 비추도록 미러 하우징(20)에 대하여 설치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 의한 아우터 미러는, 전동 격납식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없고, 수동 격납식이나 고정식인 것으로 하여도 지장이 없다.
또한, 미러 하우징(20)의 차체측 측면은, 개구(20B)가 없는 평면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러 베이스의 위쪽에 미러 하우징이 지지되는 구조를 채용하면서도, 조수석측의 차체 측방의 전방을 시인할 수 있는 아우터 미러를 얻을 수 있다.

Claims (7)

  1. 자동차 차체의 측면으로부터 그 측방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는 미러 베이스(mirror base)와, 이 돌출부에 세워져 설치된 샤프트(shaft)와, 이 샤프트에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상기 차체의 후방을 비추는 미러 및 상기 차체 측방의 전방을 비추는 보조미러가 설치된 미러 하우징(mirror housing)을 구비한 아우터 미러(outer mirror)에 있어서,
    상기 보조미러는 상기 돌출부의 상면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우터 미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와 상기 보조미러의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우터 미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미러는 상기 돌출부의 선단 아래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우터 미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돌출 방향의 바깥쪽에는, 상기 미러 하우징의 조립품의 중심 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우터 미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하우징의 상기 돌출부의 위쪽에는, 상기 차체 측방의 후방을 비추는 후방 보조미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우터 미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하우징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하여 상기 미러 하우징을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가 상기 돌출부의 위쪽 위치에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우터 미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미러는 상기 차체의 사이드 윈도우의 하단 라인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우터 미러.
KR1020050095976A 2004-12-17 2005-10-12 아우터 미러 KR200600692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66845 2004-12-17
JP2004366845A JP4378275B2 (ja) 2004-12-17 2004-12-17 アウターミラ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9241A true KR20060069241A (ko) 2006-06-21

Family

ID=36002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5976A KR20060069241A (ko) 2004-12-17 2005-10-12 아우터 미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132943A1 (ko)
EP (1) EP1674340A1 (ko)
JP (1) JP4378275B2 (ko)
KR (1) KR20060069241A (ko)
CN (1) CN1789034A (ko)
TW (1) TW20062155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65446B2 (ja) * 2005-07-13 2011-09-0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ミラー
US7400235B2 (en) * 2006-02-28 2008-07-15 Nissan Technical Center North America, Inc. Lane departure warning mirror
KR100930705B1 (ko) 2008-10-29 2009-1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사이드 미러
EP2441620B1 (en) * 2009-06-09 2014-05-07 Honda Motor Co., Ltd. Device for viewing front-lateral area of vehicle
CN102673477A (zh) * 2011-03-10 2012-09-19 李晓亮 带有乘客可观看的后视镜的汽车
US9358928B2 (en) * 2014-05-15 2016-06-07 Kevin Anthony Smith Forward and rearward viewing mirror device
US9449390B1 (en) * 2015-05-19 2016-09-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tecting an extended side view mirror
US10623294B2 (en) * 2015-12-07 2020-04-14 Uptake Technologies, Inc. Local analytics device
JP6802713B2 (ja) * 2017-01-10 2020-12-16 株式会社ミツバ ドアミラー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0674A (ja) 1995-01-23 1997-06-10 Masahiro Murakawa フロントサイドミラー並びにリヤアウトミラー及びフロントアウトミラー
US6916100B2 (en) * 2001-06-27 2005-07-12 Donnelly Corporation Vehicle ex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EP1445149B1 (en) * 2002-12-20 2006-01-18 Murakami Corporation Outer mirror
US20040129853A1 (en) * 2002-12-20 2004-07-08 Murakami Corporation Outer mirror assembly
JP2004196206A (ja) 2002-12-20 2004-07-15 Murakami Corp アウターミラー
DE10319881B4 (de) * 2003-05-03 2007-01-11 Daimlerchrysler Ag Außenspiegelvorrichtung
JP2005007998A (ja) * 2003-06-18 2005-01-13 Murakami Corp アウターミラ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378275B2 (ja) 2009-12-02
US20060132943A1 (en) 2006-06-22
JP2006168647A (ja) 2006-06-29
TW200621550A (en) 2006-07-01
CN1789034A (zh) 2006-06-21
EP1674340A1 (en) 2006-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69242A (ko) 아우터 미러
KR20060069241A (ko) 아우터 미러
CN103802672A (zh) 车辆用信息显示装置的安装构造
EP1640215B1 (en) Outside rear-view mirror assembly for vehicle, which is designed to support an image-detector device
EP1939042B1 (en) Integrated mirror device for vehicle
US5563620A (en) Head up display installation arrangement
EP1433659A1 (en) Outer mirror assembly
JP4263658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ミラーユニット
JP4793188B2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US6595670B2 (en) Mirror assembly for vehicle
CN106794801B (zh) 侧后视镜装置
JP4034257B2 (ja) リヤビューカメラ取付け構造
JP4031731B2 (ja) アウターミラー
KR20110068078A (ko) 차량용 감시 장치
JP2004196218A (ja) 車体側部視認構造
JP2006111128A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2004196219A (ja) アウターミラー
JP2002096683A (ja) 車両用ミラー
JP2518179Y2 (ja) 光学式コーナーポール装置
KR20050018103A (ko) 차량용 사이드 미러
CN2424967Y (zh) 组合式无盲区车用反光镜
JP2004196206A (ja) アウターミラー
JPH082324A (ja) 可倒式ドアミラー
JP2004196224A (ja) アウターミラー
JP4680731B2 (ja) 車両用統合ミラ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