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12884A1 - 휴대용 장치 홀더 및 그 홀더 수용 지지체 - Google Patents

휴대용 장치 홀더 및 그 홀더 수용 지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12884A1
WO2018012884A1 PCT/KR2017/007478 KR2017007478W WO2018012884A1 WO 2018012884 A1 WO2018012884 A1 WO 2018012884A1 KR 2017007478 W KR2017007478 W KR 2017007478W WO 2018012884 A1 WO2018012884 A1 WO 201801288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ousing
handle
holder
base
rotata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747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장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텍파츠
주식회사 모비프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20170001174U external-priority patent/KR200489229Y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텍파츠, 주식회사 모비프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텍파츠
Priority to US16/316,907 priority Critical patent/US10554799B2/en
Publication of WO201801288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1288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device holder and a holder receiving support for receiving and supporting the holder.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er accommodating support having a holder capable of holding various portable products and a structure for easily mounting and detaching the holder.
  •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557968 discloses a holder (hanger grip) that can be attached to a mobile phone or a case of a mobile phone and a device for supporting the holder (base holder) is disclosed.
  • the holder disclosed in the patent includes a base 20 to which the mobile phone 80 is attached, and a ring 40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se 20.
  • the base 20 is provided with a permanent magnet.
  • the mobile phone is attached with a thin iron plate to be attached to the base 20 permanent magnet with an adhesive to detach the holder.
  • the ring 40 uses a user's finger to prevent it from being dropped from the hand during use.
  • the ring 40 is connected to the pivot 30, the pivot 30 elastically supports the loop.
  • Mobile phone holder and holder (hanger grip)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2 is a structure to be detachable using a permanent magnet.
  • the holder is provided with a permanent magnet, and the holder is provided with an iron plate for attaching the permanent magnet.
  • a permanent magnet is used to easily attach and detach the holder to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 detachment and detachment using permanent magnets are not robust, and there is a risk that the electronic device attached to the holder may fall off.
  • the permanent magnet is expensive,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lder of a new structure that can be used to prevent falling off by easily support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out using a permanent magnet. Moreover, 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provide the holder accommodating support body of a new structure which can attach / detach a holder easily.
  • the holder can be used alone.
  • the holder may also be used in pairs with the attachment holder receiving support.
  • the attachment holder accommodating support may be installed in a joint terminal of a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holder to easily detach the holder and, when attached, to firmly support the holder.
  • a holder of a portable device includes a base to be fixed to the portable device, a housing rotatably mounted to the base, and elastically locked to both sides of the housing and locked by elasticity in a predetermined rotational position. It has a handle. Handle end connecting means protrud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rotation of the housing, respectively,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and both ends of the elastic handle are provided with housing engaging means for rotatably engaging with the handle end connecting means, respectively.
  • the base may be attached with a gel pad for attach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 the base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a case (mobile phone case) for mount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 the handle end connecting means is cylindrical
  • at least one handle rotating control protrusion is protruded at the distal end
  • the housing engaging means is adapted to receive the cylindrical protrusion so that the cylindrical protrusion is inserted and rotatable.
  • a plurality of angle adjusting grooves which are partitioned and formed in a fan shape so that the rotation control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bottom of the hole.
  • at least one groove of the plurality of angle adjustment grooves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rotation control projection so that the handle flows in the stop position.
  • the handle is formed to flow at a predetermined position so that the holder can be easily mounted to the holder receiving support.
  • the housing may be configured to rotate while being intermittently locked with respect to the base.
  • a sliding guide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center of the housing, and a rotation angle divider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sliding guide of the housing. Concave-convex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angle division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the spring is inserted into the sliding guide of the housing to elastically support the rotation angle segment.
  • the screw is fastened to the sliding guide of the housing so that the spring is not separated.
  • the base has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and has a coupling portion projecting radially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 the engaging portion of the base is dispos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angle of rotation divider.
  • unevenness is formed in the engaging portion of the bas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as to engage with the unevenness of the rotation angle division.
  • a holder receiving support that can easily detach a portable device holder.
  • the holder accommodating support body includes a body having a recess for accommodating the housing of the holder, and an elastic hook projecting to the rear of the recess so that the handle of the holder is accommodated in the state where the housing of the holder is accommodated in the recess and the handle is rotated rearward.
  • the elastic hook may include an elastic arm extending from the body,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elastic arm, and a restriction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arm from the body to limit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elastic arm.
  • the hold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be used attached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 the handle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housing to be rotatable and at the same time rotatable while intermittently locking with respect to the housing. Therefore, when the user inserts a finger on the handle and grips and uses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e use position can be freely changed.
  • the handle is locked by elasticity in the rotated or rotated position, thereby keeping the use position stable.
  • a holder receiving support for receiving and supporting a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with the holder.
  • the holder accommodating support is a structure capable of firmly supporting the holder, and can be used by being fixed to the end of a joint such as a holder.
  • variou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an be mounted and used.
  • 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 conventional holder (hanger grip)
  •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holder (hanger grip) of FIG. 1 attached to a holder and used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phone with one embodiment of a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explanatory view of a state of use of the holder of FIG.
  • FIG. 6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housing engaging means of the FIG. Holder handle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lder of FIG.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tation angle split body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using
  • FIG. 11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older and a holder for supporting holder are installed in a holder;
  • FIG.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 FIG.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older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shows an embodiment of a hold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use in attaching to a mobile phone 80.
  •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holder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xed rotating unit 110 and a handle 120 rotat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111 of the fixed rotating unit 110.
  • the fixed rotation unit 110 includes a housing 111, and the handle 120 is rotatably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circular housing 111.
  • the housing 111 and the handle 120 are connected by the rotation connecting means 112, 113, 122, 123.
  • Rotating connecting means (112, 113, 122, 123) is composed of the handle end connecting means 112, 113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111 and the housing coupling means (122, 123) formed at the end of the handle 120 .
  • Handle end connecting means (112, 113) is a pair of cylindrical protrusions 112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housing 111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rotation of the housing 111, and the distal end of each cylindrical protrusion 112 Consists of at least one handle rotation control protrusion 113 formed to protrude from.
  • the housing coupling means 122 and 123 may include a receiving hole 122 for accommodating the cylindrical protrusion 112 so that the cylindrical protrusion 112 is rotatable, and a rotation control protrusion 113 at the bottom of the receiving hole 122. It includes a plurality of angle adjusting groove 123 formed partitioned so that the fan is inserted.
  • FIG. 13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ivotal connection means 112, 114, 122, 124 for connecting the housing 111 and the handle 120.
  • the handle end connecting means 112, 114 includes a pair of cylindrical protrusions 112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housing 111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rotation of the housing 111;
  • Each of the cylindrical protrusions 112 includes a plurality of angle adjusting grooves 114 formed in a sector shape in a sector.
  • the housing coupling means (122, 124) is a receiving hole 122 for receiving the cylindrical protrusion 112 so that the cylindrical protrusion 112 is rotatable, and at least one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receiving hole 122
  • a handle rotation control protrusion 124 is inserted into the angle adjusting groove 124 to provide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rotation angle to rotate and stop at a constant angle when the handle 120 is rotated.
  • the handle 120 is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a synthetic resin.
  • the handle 120 has elasticity, and can be opened to some extent.
  • the handle 120 is opened and the cylindrical protrusion 112 of the housing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hole 122 of the handle 120.
  • the handle rotation control protrusion 113 formed at the end of the cylindrical protrusion 112 is inserted into the angle adjusting groove 123 to lock the rotation of the handle 120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the handle rotation control protrusion 113 when the handle rotation control protrusion 113 is inserted into the angle adjusting groove 123a, the handle 120 rotates with respect to the fixed rotation unit 110, and the handle 120 opens. While the handle rotation control protrusion 113 is separated from the angle adjusting groove 123a, the handle rotation control protrusion 113 moves to the neighboring angle adjusting groove 123b. The handle 120 maintains a locked state by preventing the angle adjusting groove 123b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handle rotation control protrusion 113 by elasticity.
  • the holder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position where the handle 120 is locked, as shown in FIG. In order to allow the handle 120 to be movable in a locked position, as shown in FIG.
  • the size of the angle adjusting grooves 123a, 123b, and 123c may be differently formed.
  • the size of the angle adjusting grooves 123b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angle adjusting grooves 123a and 123c. That is, the angle adjustment groove 123b is formed larger than the rotation control protrusion 113. Therefore, when the handle 120 is locked in the angle adjusting groove 123b, it is possible to flow to some extent.
  • the reason why the handle 120 locked in the position shown in FIG. 5 is movable is that, as shown in FIG. 12, when the holder 100 is mounted on the cradle, the handle 120 is mounted with a flow angle. To facilitate the. When there is no flow angle in the handle 120, when the holder 100 is mounted, if there is interference between the handle 120 and the holder receiving support 200, the handle 120 is kept in a locked position This is because the mounting is cumbersome due to the repulsive force of the handle 120. In the case where the handle 120 has a flow angle, even if the handle 120 is interfered with, the reaction force is not large and can be easily mounted.
  • the fixed rotating unit 110 includes a base 114 for fixing a portable device, and a housing 111 rotatably mounted to the base 114.
  • the housing 111 is configured to rotate while being intermittently locked with respect to the base 114.
  • a sliding guide 111a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the housing 111, and a through hole 115e in the center of the sliding guide 111a.
  • the rotation angle division body 115 in which is formed)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sliding guide 111a.
  • Concave and convexities 115a and 115b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angle division body 115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a spring 116 is fitted into the sliding guide 111a of the housing 111, and the spring 116 elastically supports the rotation angle division body 115. Moreover, the screw 117 is fastened to the sliding guide 111a so that the spring 116 may not be isolate
  • the base 114 has a through hole 114a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includes a coupling portion 114e protruding radially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14a.
  • the engaging portion 114e of the base 114 is disposed between the housing 111 and the rotation angle divider 115.
  • the engaging portions 114e of the base 114 are formed with irregularities 114b and 114c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as to engage with the irregularities 115a and 115b of the rotation angle division body 115. Therefore, when the housing 111 rotates with respect to the base 114, the housing 111 is rotated while intermittently locking at a predetermined angle. Locking of the housing 111 is maintained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116.
  • a sliding guide 115d is formed at the rotation angle division body 115, and the sliding guide 115d is engaged with and engaged with the sliding protrusion 111c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wall 111b inside the housing 111. Accordingly, the rotation angle division body 115 may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liding guide 111a while integrally rotating with the housing 111 when the housing 111 rotates.
  • the unevenness 114b, 114c of the base 114 engaged with the unevenness 115a, 115b of the rotation angle division body 115 alternately engages and rotates while intermittently locking. do.
  • the gel pad 130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base 114 in the holder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 the base 111 is fixed to the cas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gel pad 130.
  • an adsorption plate may be attached instead of the gel pad 130, or the base 114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a case (mobile phone case) for mount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 the holder accommodation support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and 12.
  • the holder receiving support 2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ixed to the joint end 310 of the cradle 300 to be rotatable.
  • the holder accommodating support 200 includes a body 260 having a recess 210 for accommodating the housing 111 of the holder 100.
  • the body 260 is formed with an elastic hanger 240 for fixing the holder 100 by hanging the handle 120 of the holder 100.
  • the elastic hook 240 protrudes from the rear of the recess 210 of the body 260.
  • a contact support 230 for contacting the body of the holder 100 is formed around the depression 210, and the handle support groove 220 for receiving the handle 120 is formed in the contact support 230. It is.
  • the elastic hanger 240 includes an elastic arm 241 extending from the body 260, a locking protrusion 242 protruding from the elastic arm 241, and a locking groove 243 formed behind the locking protrusion.
  • the elastic hook 240 further includes a limiting protrusion 245 protruding from the body 260 toward the elastic arm 241 to limit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elastic arm 241.
  • the elastic hanger 240 is elastically deformed in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handle 120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handle 120 to prevent the holder 1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portion 21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장치 홀더 및 그 홀더를 수용하여 지지하기 위한 홀더 수용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휴대용 제품을 파지할 수 있는 홀더 및 그 홀더를 간편하게 장착하고 분리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한 홀더 수용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홀더는, 휴대용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베이스와,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양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정해진 회동 위치에서 탄성에 의해서 로킹되기 위한 탄성을 갖는 핸들을 포함한다. 하우징의 양 측면에는 각각 하우징의 회전 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핸들 말단 접속 수단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탄성 핸들의 양단부에는 각각 핸들 말단 접속 수단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기 하우징 결합 수단을 구비한다. 베이스에는 휴대용 전자장치를 부착하기 위한 겔패드를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는 휴대용 전자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케이스(휴대폰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장치 홀더 및 그 홀더 수용 지지체
본 발명은 휴대용 장치 홀더 및 그 홀더를 수용하여 지지하기 위한 홀더 수용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휴대용 제품을 파지할 수 있는 홀더 및 그 홀더를 간편하게 장착하고 분리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한 홀더 수용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 태블릿과 같은 휴대용 전자장치를 사용할 경우, 한 손으로 휴대용 장치를 잡고서 사용한다. 한 손으로 휴대용 전자장치를 사용 중에, 휴대용 전자장치를 손에서 놓칠 경우 전자장치가 파손되는 위험이 있다.
휴대용 전자장치를 한 손으로 잡고서 사용할 때, 휴대용 전자장치를 손에서 떨어뜨려서 파손될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홀더가 발명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557968호(발명의 명칭, 행거 그립을 이용한 휴대폰 거치대)에는 휴대폰이나 휴대폰의 케이스에 부착할 수 있는 홀더(행거 그립)와 홀더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거치대)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 개시된 홀더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휴대폰(80)이 부착되기 위한 베이스(20)와, 베이스(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고리(40)를 구비한다. 베이스(20)에는 영구자석이 설치되어 있다. 휴대폰에는 베이스(20) 영구자석에 부착되기 위한 얇은 철판을 접착제로 부착하여 홀더를 착탈하도록 한다. 고리(40)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끼우고 사용하여, 사용 중에 휴대폰이 손에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한다. 고리(40)는 회동부(30)에 연결되고, 회동부(30)는 고리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도 2에는 홀더를 거치대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휴대폰 거치대와 홀더(행거 그립)는 영구자석을 이용하여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홀더에는 영구 자석이 설치되어 있고, 거치대에는 영구자석이 부착되기 위한 철판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홀더를 휴대폰과 같은 전자장치에 용이하게 탈부착을 하기 위하여 영구자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영구자석을 이용한 탈부착은 견고하지 못하여, 홀더에 부착된 전자장치가 탈락 될 위험이 있다. 또한, 영구자석의 자기장이 휴대용 전자장치의 성능을 저해할 염려도 있다. 또한, 영구자석은 고가여서 제조 비용이 높아지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영구자석을 사용하지 않고, 휴대용 전자장치를 견고하게 지지하여 탈락을 방지하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홀더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홀더 수용 지지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홀더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홀더는 부착홀더 수용 지지체와 쌍으로 사용될 수 있다. 부착홀더 수용 지지체는, 휴대폰 거치대와 같은 장치의 관절 단말에 설치되어 홀더를 용이하게 탈 부착할 수 있고, 부착된 경우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휴대용 장치의 홀더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장치 홀더는, 휴대용 장치에 고정되기 위한 베이스와,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양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정해진 회동 위치에서 탄성에 의해서 로킹되기 위한 탄성을 갖는 핸들을 포함한다. 하우징의 양 측면에는 각각 하우징의 회전 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핸들 말단 접속 수단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탄성 핸들의 양단부에는 각각 핸들 말단 접속 수단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하우징 결합 수단을 구비한다. 베이스에는 휴대용 전자장치를 부착하기 위한 겔패드를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는 휴대용 전자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케이스(휴대폰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장치 홀더에 있어서, 핸들 말단 접속 수단은 원통형이고, 말단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핸들 회전 제어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 결합 수단은 원통형 돌기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원통형 돌기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과, 구멍의 바닥에 회전 제어 돌기가 삽입되도록 부채꼴 형상으로 구획되어 형성된 복수의 각도 조절 홈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각도 조절 홈 중 적어도 하나의 홈은 핸들이 정지한 위치에서 유동하도록 회전 제어 돌기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핸들을 정해진 위치에서 유동하도록 형성하여, 홀더를 홀더 수용 지지체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하우징이 베이스에 대하여 간헐적으로 로킹이 되면서 회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홀더의 하우징이 로킹이 되면서 간헐적으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하여, 하우징의 중심부에 슬라이딩 가이드를 돌출 형성하고, 중심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회전각 분할체를 하우징의 슬라이딩 가이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한다. 회전각 분할체의 상부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의 슬라이딩 가이드에 스프링을 끼워서 회전각 분할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한다. 또한, 스프링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우징의 슬라이딩 가이드에 나사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베이스는, 중심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구멍의 내주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부를 구비한다. 베이스의 결합부는 하우징과 회전각 분할체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의 결합부에는 회전각 분할체의 요철과 맞물리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우징이 베이스에 대하여 회전할 때, 하우징이 일정한 각도로 간헐적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휴대용 장치 홀더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홀더 수용 지지체가 제공된다. 홀더 수용 지지체는 홀더의 하우징을 수용하기 위한 함몰부가 형성된 바디와, 홀더의 하우징이 함몰부에 수용되어 핸들이 후방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핸들이 걸리도록 함몰부의 후방에 돌출된 탄성 걸이를 포함한다. 탄성 걸이는 바디에서 연장된 탄성 아암과, 탄성 아암에 돌출된 잠금돌기와, 탄성 아암의 탄성 변형을 제한하도록 바디에서 아암을 향하여 돌출된 제한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홀더는 휴대용 전자장치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핸들은 회전가능하도록 하우징에 연결되어 회전이 가능하고 동시에 하우징에 대하여 간헐적으로 로킹이 되면서 회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핸들에 손가락을 끼우고 휴대용 전자장치를 파지하여 사용할 때, 자유롭게 사용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핸들은 회전 또는 회동된 위치에서 탄성에 의한 로킹되어 있어서 사용 위치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홀더를 수용하여 지지하기 위한 홀더 수용 지지체는 홀더와 함께 사용된다. 홀더 수용 지지체는 홀더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서, 거치대와 같은 관절의 말단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휴대폰 거치대에 홀더와 홀더 수용 지지체를 고정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다양한 휴대용 전자 장치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홀더(행거 그립)의 개략도
도 2는 도 1의 홀더(행거 그립)을 거치대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홀더의 일실시예와 휴대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홀더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홀더의 사용 상태의 설명도
도 6은 도 홀더 핸들의 하우징 결합 수단의 설명도
도 7은 도 4의 홀더의 단면도
도 8은 회전각 분할체의 사시도
도 9는 베이스의 사시도
도 10은 하우징의 사시도
도 11은 홀더와 홀더수용 지지체가 거치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홀더의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과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3에는 휴대폰(80)에 부착하여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홀더(100)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의 홀더(100)는 고정회전유닛(110)과 고정회전유닛(110)의 하우징(11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핸들(120)을 포함한다. 고정회전유닛(110)은 하우징(111)을 구비하고, 원형의 하우징(111) 양측에 핸들(120)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111)과 핸들(120)은 회동접속수단(112, 113, 122, 123)에 의해서 접속된다. 회동접속수단(112, 113, 122, 123)은 하우징(111)의 양측에 형성된 핸들 말단 접속수단(112, 113)과 핸들(120)의 말단에 형성된 하우징 결합수단(122, 123)으로 구성된다. 핸들 말단 접속 수단(112, 113)은 하우징(111)의 회전 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하우징(111)의 양측면에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원통형 돌기(112)와, 각각의 원통형 돌기(112)의 말단부에서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핸들 회전 제어 돌기(113)로 구성된다. 하우징 결합수단(122, 123)은 원통형 돌기(112)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원통형 돌기(112)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구멍(122)과, 수용 구멍(122)의 바닥에 회전 제어 돌기(113)가 삽입되도록 부채꼴 형상으로 구획되어 형성된 복수의 각도 조절 홈(123)을 포함한다.
도 13에는 하우징(111)과 핸들(120)을 접속시키기 위한 회동접속수단(112, 114, 122, 124)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핸들 말단 접속 수단(112, 114)은 하우징(111)의 회전 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하우징(111)의 양측면에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원통형 돌기(112)와, 각각의 원통형 돌기(112)의 말단부에 부채꼴 형상으로 구획되어 형성된 복수의 각도 조절홈(114)을 포함한다. 또한, 하우징 결합수단(122, 124)은 원통형 돌기(112)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원통형 돌기(112)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구멍(122)과, 수용 구멍(122)의 바닥에서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핸들 회전 제어 돌기(124)를 포함한다. 핸들 회전 제어 돌기(124)는 각도 조절홈(124)에 삽입되어 핸들(120)을 회동시킬 때, 일정한 각도 회전하고 정지하도록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핸들(120)은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제조한다. 핸들(120)은 탄성을 구비하여, 어느 정도 벌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핸들(120)과 고정회전유닛(110)을 결합하기 위하여, 핸들(120)을 벌리고, 핸들(120)의 수용구멍(122)에 하우징의 원통형 돌기(112)를 삽입한다. 원통형 돌기(112)의 단부에 형성된 핸들 회전 제어 돌기(113)가 각도 조절 홈(123)에 삽입되어 일정한 위치에서 핸들(120)의 회동을 로킹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핸들 회전 제어 돌기(113)가 각도 조절 홈(123a)에 삽입되어 있을 때 핸들(120)을 고정회전유닛(110)에 대하여 회동시키면, 핸들(120)이 벌어지면서 핸들 회전 제어 돌기(113)가 각도 조절 홈(123a)에서 이탈하여 이웃한 각도 조절 홈(123b)으로 이동하게 된다. 핸들(120)은 탄성에 의해서 각도 조절 홈(123b)이 핸들 회전 제어 돌기(11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해하여 로킹된 상태를 유지한다. 본 실시예의 홀더(100)는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핸들(120)이 로킹된 위치에서 유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핸들(120)이 로킹된 특정한 위치에서 유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도 조절 홈들(123a, 123b, 123c)의 크기를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도 조절 홈(123b)의 크기가 각도 조절 홈들(123a, 123c)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즉, 각도 조절 홈(123b)은 회전 제어 돌기(113)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핸들(120)이 각도 조절 홈(123b)에서 로킹된 경우에는 어느 정도 유동이 가능하다.
도 5에 도시된 위치에서 로킹된 핸들(120)이 유동 가능하게 하는 이유는,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홀더(100)를 거치대에 장착할 때, 핸들(120)에 유동각을 주어서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핸들(120)에 유동각이 없는 경우에, 홀더(100)를 장착할 때, 핸들(120)과 홀더 수용 지지체(200) 사이에 간섭이 있을 경우, 핸들(120)이 로킹된 위치를 유지하여 핸들(120)의 반발력에 의해서 장착이 번거롭기 때문이다. 핸들(120)에 유동각이 있는 경우에는, 핸들(120)이 간섭되더라도 반반력이 크지 않아서 용이하게 장착 가능하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고정회전유닛(110)은, 휴대용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베이스(114)과, 베이스(114)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하우징(111)을 포함한다. 하우징(111)은 베이스(114)에 대하여 간헐적으로 로킹이 되면서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111)을 베이스(114)에 대하여 간헐적으로 로킹되면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하여, 하우징(111)의 중심부에는 슬라이딩 가이드(111a)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딩 가이드(111a)에는 중심에 관통구멍(115e)이 형성된 회전각 분할체(115)가 슬라이딩 가이드(111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회전각 분할체(115)의 상부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요철(115a, 115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11)의 슬라이딩 가이드(111a)에 스프링(116)을 끼워져 있고, 스프링(116)은 회전각 분할체(115)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또한, 스프링(116)이 분리되지 않도록 나사(117)가 슬라이딩 가이드(111a)에 체결되어 있다.
베이스(114)는, 중심부에 관통구멍(114a)이 형성되어 있고, 관통구멍(114a)의 내주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부(114e)를 구비한다. 베이스(114)의 결합부(114e)는 하우징(111)과 회전각 분할체(115)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114)의 결합부(114e)에는 회전각 분할체(115)의 요철(115a, 115b)과 맞물리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요철(114b, 114c)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우징(111)이 베이스(114)에 대하여 회전할 때, 하우징(111)이 일정한 각도로 간헐적으로 로킹되면서 회전되도록 한다. 하우징(111)의 로킹은 스프링(116)의 탄성에 의해서 유지된다. 회전각 분할체(115)에는 슬라이딩 가이드(115d)가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딩 가이드(115d)는 하우징(111) 내부의 지지벽(111b) 내주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돌기(111c)와 맞물려 결합되어 조립된다. 따라서, 회전각 분할체(115)는 하우징(111)이 회전할 때 하우징(111)과 일체로 회전하면서 슬라이딩 가이드(111a)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회전각 분할체(115)가 회전할 때, 회전각 분할체(115)의 요철(115a, 115b)과 맞물린 베이스(114)의 요철(114b, 114c)이 교대로 맞물리면서, 간헐적으로 로킹되면서 회전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홀더(100)에는 베이스(114)의 일측면에 겔패드(130)가 부착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홀더(100)를 사용할 때, 겔패드(130)를 이용하여 베이스(111)를 휴대용 전자장치의 케이스에 고정한다. 필요에 따라서, 겔패드(130) 대신에 흡착판을 부착하거나, 베이스(114)를 휴대용 전자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케이스(휴대폰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홀더 수용 지지체(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홀더 수용 지지체(200)는 거치대(300)의 관절 말단(310)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홀더 수용 지지체(200)는 홀더(100)의 하우징(111)을 수용하기 위한 함몰부(210)가 형성된 바디(260)를 포함한다. 바디(260)에는 홀더(100)의 핸들(120)을 걸어서 홀더(100)를 고정하기 위한 탄성 걸이(240)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 걸이(240)는 바디(260)의 함몰부(210)의 후방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함몰부(210)의 주위에 홀더(100)의 바디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 지지부(230)가 형성되어 있고, 접촉 지지부(230)에는 핸들(120)을 수용하기 위한 핸들 수용홈(220)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 걸이(240)는, 바디(260)에서 연장된 탄성 아암(241)과 탄성 아암(241)에 돌출된 잠금돌기(242)와 잠금돌기 후방에 형성된 잠금홈(243)을 포함한다. 또한, 탄성 걸이(240)는 탄성 아암(241)의 탄성 변형을 제한하도록 바디(260)에서 탄성 아암(241)을 향하여 돌출된 제한 돌기(245)를 더 포함한다. 탄성 걸이(240)는 핸들(120)의 내측과 접촉하여 탄성 변형되어 핸들(120)에 탄성력을 가하여 홀더(100)가 수용부(2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홀더(100)의 하우징(111)이 바디(260)의 함몰부(210)에 수용된 상태에서, 핸들(120)을 하방으로 누르면, 핸들(120)은 회전하게 되고, 회전하는 핸들(120)은 탄성 아암(241)을 탄성 변형시키면서 잠금 돌기(242)를 타고 넘어가서 잠금홈(243)에 안착된다. 홀더(100)를 홀더 수용 지지체(200)로부터 분리할 경우에는 핸들(120)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탄성 아암(241)을 변형시키고 핸들(120)이 잠금 돌기(242)를 타고 넘어와 탄성 걸이(240)로부터 분리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7)

  1. 휴대용 장치에 고정되기 위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양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정해진 회동 위치에서 탄성에 의해서 로킹되기 위한 탄성을 갖는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양 측면에는 각각 하우징의 회전 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핸들 말단 접속 수단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 핸들의 양단부에는 각각 상기 핸들 말단 접속 수단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하우징 결합 수단을 구비하는 휴대용 장치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말단 접속 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회전 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하우징의 양측면에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원통형 돌기와, 각각의 원통형 돌기의 말단부에서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핸들 회전 제어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결합 수단은, 상기 원통형 돌기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수용구멍과, 상기 수용구멍의 바닥에 상기 회전 제어 돌기가 삽입되도록 부채꼴 형상으로 구획되어 형성된 복수의 각도 조절 홈을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 홀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말단 접속 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회전 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원통형 돌기와, 각각의 원통형 돌기의 말단부에 부채꼴 형상으로 구획되어 형성된 복수의 각도 조절홈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결합 수단은, 상기 원통형 돌기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기 위한 수용구멍과, 상기 수용 구멍의 바닥에서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핸들 회전 제어 돌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장치 홀더.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각도 조절 홈 중 적어도 하나의 홈은 상기 회전 제어 돌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핸들이 정지한 위치에서 유동하도록 형성된 휴대용 장치 홀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중심부에 슬라이딩 가이드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중심에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상부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요철이 형성된 회전각 분할체와,
    상기 하우징의 슬라이딩 가이드에 삽입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이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의 슬라이딩 가이드에 체결된 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중심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멍의 내주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회전각 분할체 사이에 배치되도록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의 결합부에는 상기 회전각 분할체의 요철과 맞물리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요철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이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회전할 때, 일정한 각도로 간헐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 휴대용 장치 홀더.
  6. 일면에 접착 겔 패드가 부착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양 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정해진 회동 위치에서 탄성에 의해서 로킹되기 위한 탄성을 갖는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양 측면에는 각각 하우징의 회전 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핸들 말단 접속 수단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 핸들의 양단부에는 각각 상기 핸들 말단 접속 수단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하우징 결합 수단을 구비하는 휴대용 장치 홀더의 상기 하우징을 수용하기 위한 함몰부가 형성된 바디와,
    상기 홀더의 하우징이 상기 함몰부에 수용되어 핸들이 후방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이 걸리도록 상기 함몰부의 후방에 돌출된 탄성 걸이를 포함하는 홀더 수용 지지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걸이는, 상기 바디에서 연장된 탄성 아암과, 상기 탄성 아암에 돌출된 잠금돌기와, 상기 탄성 아암의 탄성 변형을 제한하도록 상기 바디에서 상기 아암을 향하여 돌출된 제한돌기를 포함하는 홀더 수용 지지체.
PCT/KR2017/007478 2016-07-13 2017-07-12 휴대용 장치 홀더 및 그 홀더 수용 지지체 WO2018012884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316,907 US10554799B2 (en) 2016-07-13 2017-07-12 Portable device holder and support for contain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04047 2016-07-13
KR20-2016-0004047 2016-07-13
KR2020170001174U KR200489229Y1 (ko) 2016-07-13 2017-03-13 휴대용 장치 홀더 및 그 홀더 수용 지지체
KR20-2017-0001174 2017-03-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12884A1 true WO2018012884A1 (ko) 2018-01-18

Family

ID=60951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7478 WO2018012884A1 (ko) 2016-07-13 2017-07-12 휴대용 장치 홀더 및 그 홀더 수용 지지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8012884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74403A1 (en) * 2018-03-08 2019-09-12 Pegatron Corporation Case
WO2020042698A1 (zh) * 2018-08-27 2020-03-05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手持装置及拍摄设备
CN111929909A (zh) * 2020-07-28 2020-11-13 李永烽 一种骨科医疗拍片观看器
CN114598343A (zh) * 2022-01-25 2022-06-07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 基于北斗卫星通信的移动作业终端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9450A (ko) * 2011-05-20 2012-11-28 송순영 흡착 거치대
KR20130142853A (ko) * 2012-06-20 2013-12-30 (주)하이텍파츠 장치 거치대
KR20140123837A (ko) * 2013-04-15 2014-10-23 백광현 스마트폰 거치대
KR20150033835A (ko) * 2013-09-25 2015-04-02 조성목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및 시스템
US20160039357A1 (en) * 2013-04-12 2016-02-11 Aauxx Korea Co., Ltd Mobile device accessory and apparatus for mounting the same on an automotiv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9450A (ko) * 2011-05-20 2012-11-28 송순영 흡착 거치대
KR20130142853A (ko) * 2012-06-20 2013-12-30 (주)하이텍파츠 장치 거치대
US20160039357A1 (en) * 2013-04-12 2016-02-11 Aauxx Korea Co., Ltd Mobile device accessory and apparatus for mounting the same on an automotive
KR20140123837A (ko) * 2013-04-15 2014-10-23 백광현 스마트폰 거치대
KR20150033835A (ko) * 2013-09-25 2015-04-02 조성목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 및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74403A1 (en) * 2018-03-08 2019-09-12 Pegatron Corporation Case
US10786056B2 (en) * 2018-03-08 2020-09-29 Pegatron Corporation Case
WO2020042698A1 (zh) * 2018-08-27 2020-03-05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手持装置及拍摄设备
CN111929909A (zh) * 2020-07-28 2020-11-13 李永烽 一种骨科医疗拍片观看器
CN111929909B (zh) * 2020-07-28 2022-03-29 贾培万 一种骨科医疗拍片观看器
CN114598343A (zh) * 2022-01-25 2022-06-07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 基于北斗卫星通信的移动作业终端
CN114598343B (zh) * 2022-01-25 2023-05-19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 基于北斗卫星通信的移动作业终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9229Y1 (ko) 휴대용 장치 홀더 및 그 홀더 수용 지지체
WO2018012884A1 (ko) 휴대용 장치 홀더 및 그 홀더 수용 지지체
KR101986914B1 (ko)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
US20190198212A1 (en) Personal electronic device case and mounting system
US9083111B2 (en) Magnetic docking base for handset
TWI630340B (zh) 固持裝置
US20140355200A1 (en) Mounting system for electronic device
US11770470B2 (en) Portable terminal accessory module having detachable means
US20060243845A1 (en) Wire-winding device for earphones, especially hands free kits for mobile phones
KR101777505B1 (ko) 휴대단말기용 악세사리
WO2017111422A1 (ko) 매직 스트랩
KR101753520B1 (ko) 스마트폰 거치대
CN218482886U (zh) 电子设备支架保护壳
KR200411628Y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홀더의 거치구조
KR20190001849U (ko) 휴대단말기용 핑거 홀더
CN210016507U (zh) 手机固定装置
KR101965565B1 (ko) 스마트폰 링홀더
JPH10200614A (ja) 器具装着装置
CN217153600U (zh) 便携电子设备支架
KR200488704Y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200495673Y1 (ko) 거치대와 도구 홀더를 포함하는 홀딩 장치
KR102348146B1 (ko) 탈부착이 용이한 디지털 디바이스 거치대
WO2017131460A1 (ko) 라인 고정구
CN210416829U (zh) 可摘取的模块化固定装置
CN215956803U (zh) 卡扣组件、壳体组件、电子设备、保护壳及电子设备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2795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25.06.2019)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2795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