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849U - 휴대단말기용 핑거 홀더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용 핑거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849U
KR20190001849U KR2020180000169U KR20180000169U KR20190001849U KR 20190001849 U KR20190001849 U KR 20190001849U KR 2020180000169 U KR2020180000169 U KR 2020180000169U KR 20180000169 U KR20180000169 U KR 20180000169U KR 20190001849 U KR20190001849 U KR 2019000184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hole
portable terminal
hinge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1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현
Original Assignee
이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현 filed Critical 이지현
Priority to KR20201800001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1849U/ko
Publication of KR201900018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84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단말기 배면이나 케이스 배면에 고정 설치되어 휴대단말기를 손가락으로 지지하고 거치하는 핑거 홀더에 관한 것으로, 일부가 개방된 제1결합공(12)이 형성되고 제1결합공(12) 반대쪽에 일부가 개방된 삽입홈(15)이 형성된 베이스링(11)이 상단 가장자리에 일체 결합되고 중심에 관통공(14)이 형성된 원판 형상의 회전베이스플레이트(10); 중심에 축돌기(21)가 돌출되어 상기 회전베이스플레이트(10) 아래에서 관통공(14)으로 삽입되는 원판 형상의 고정플레이트(20); 하부 중심에 결합홈(23)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14)을 통해 돌출된 축돌기(21)와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재(22); 일부가 개방된 제2결합공(31)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공(12)에 제1힌지(24)로 힌지 결합되는 제1결합돌기(33)가 형성되며 베이스링(11) 내측에 삽입되는 제1링(30); 일부가 개방된 제3결합공(41)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공(31)에 제2힌지(35)로 힌지 결합되는 제2결합돌기(43)가 형성되며 제1링(30)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2링(40); 상기 제3결합공(41)에 제3힌지(45)로 힌지 결합되는 제3결합돌기(51)가 형성되며 제2링(40)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3링(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고안은 핑거 홀더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를 수평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복수의 링끼리 360도 회전 및 고정시킬 수 있어 다양한 방향 및 다양한 구조물에 거치시킬 수 있어 휴대단말기의 이용에 편의를 증대시킨 것이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용 핑거 홀더{Finger Holder for Mobile Device}
본 고안은 휴대단말기를 거치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 배면이나 케이스 배면에 고정 설치되어 휴대단말기를 손가락으로 지지하는 핑거 홀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휴대단말기는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사용하는 동안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손에서 쉽게 미끄러지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고가의 휴대단말기를 파손시키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휴대단말기의 보호를 위하여 케이스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역시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하여 휴대단말기를 떨어뜨려 망실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핑거 홀더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었다. 핑거 홀더는 휴대단말기 배면에 고정 설치되어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 링 형상의 핑거 홀더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휴대단말기를 쉽게 파지할 수 있고, 손가락이 핑거 홀더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이상 휴대단말기를 쉽게 떨어뜨리지 않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핑거 홀더는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단일의 링 구조로 휴대단말기의 다양한 거치가 제한적인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특허문헌1은 휴대단말기(S)의 일면에 부착되어 휴대시 낙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워 사용하는 휴대단말기용 핑거링(1)에 있어서, 상부 중심면에 베이스연결돌기(11)가 돌출된 원판형의 베이스플레이트(1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면에 안착되며 상기 베이스연결돌기(11)에 연통되는 회전연결공(21)이 천공된 원판형의 회전플레이트(20)와; 상기 회전플레이트(20)의 일면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플레이트(20)의 회전 시 외주방향으로 공전하는 원판형의 회전구(30)와; 상기 회전구(30)의 중심면에 축 방향 중심으로 회전가능토록 삽입된 원통형상의 고리연결구(41)와, 상기 고리연결구(41)의 상부에 일측 방향으로 회전가능토록 연결된 링 형상의 고리구(42)로 이루어진 핑거링부(40)와; 상기 회전플레이트(20)의 상부에 안착되며 하부 중심면이 상기 베이스연결돌기(11)와 연결된 원판형상의 상부플레이트(50);로 구성된 것 휴대단말기용 핑거링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04187호(2017.09.15. 공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단말기를 360도 회전시킬 수 있는 핑거 홀더에 복수의 링을 힌지 결합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연출이 가능한 구조로 제작하여 휴대단말기의 다양한 거치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 목적이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부가 개방된 제1결합공이 형성되고 제1결합공 반대쪽에 일부가 개방된 삽입홈이 형성된 베이스링이 상단 가장자리에 일체 결합되고 중심에 관통공이 형성된 원판 형상의 회전베이스플레이트; 중심에 축돌기가 돌출되어 상기 회전베이스플레이트 아래에서 관통공으로 삽입되는 원판 형상의 고정플레이트; 하부 중심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을 통해 돌출된 축돌기와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재; 일부가 개방된 제2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공에 제1힌지로 힌지 결합되는 제1결합돌기가 형성되며 베이스링 내측에 삽입되는 제1링; 일부가 개방된 제3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공에 제2힌지로 힌지 결합되는 제2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제1링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2링; 상기 제3결합공에 제3힌지로 힌지 결합되는 제3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제2링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3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휴대단말기용 핑거 홀더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베이스링, 제1링, 제2링 및 제3링 표면에 실리콘이 코팅 처리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고정플레이트 배면에 점착제 또는 마그네트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고정플레이트와 회전베이스플레이트의 회전 결합으로 휴대단말기를 수평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복수의 링끼리 360도 회전 및 고정시킬 수 있어 다양한 방향 및 다양한 구조물에 거치시킬 수 있어 휴대단말기의 이용에 편의를 증대시킨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로, 휴대단말기용 핑거 홀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핑거 홀더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휴대단말기용 핑거 홀더를 휴대단말기에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휴대단말기용 핑거 홀더를 자전거 핸들프레임에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휴대단말기용 핑거 홀더의 고정플레이트 배면에 점착제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휴대단말기용 핑거 홀더의 고정플레이트 배면에 마그네트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휴대단말기용 핑거 홀더의 다양한 연출을 예시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핑거 홀더에 관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서, 핑거 홀더(1)는 대략 원반 형상으로, 고정플레이트(20) 상부에 회전베이스플레이트(10)가 36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회전베이스플레이트(10)의 베이스링(11) 내측으로 제1링(30), 제2링(40) 및 제3링(50)이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구조이다.
도 2에서, 회전베이스플레이트(10)는 대략 원판 형상의 플레이트 위 가장자리에 베이스링(11)이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일체 결합된 것이다. 베이스링(11)은 일부가 개방된 제1결합공(12)이 형성되고, 제1결합공(12) 반대쪽, 즉, 마주하는 위치에 일부가 개방된 삽입홈(15)이 형성된다. 제1결합공(12) 양단에는 제1힌지(24)가 삽입되는 제1힌지공(13)이 형성된다. 삽입홈(15)은 사용자의 손가락을 삽입하여 제1링(30)을 세우기 위한 것이다. 회전베이스플레이트(10) 중심에는 관통공(14)이 형성된다.
고정플레이트(20)는 중심에 축돌기(21)가 돌출된다. 축돌기(21)는 회전베이스플레이트(10) 아래에서 관통공(14)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고정부재(22)는 하부 중심에 결합홈(23)이 형성되어 관통공(14)을 통해 돌출된 축돌기(21)와 고정 결합된다. 따라서 고정부재(22)와 고정플레이트(20)가 회전베이스플레이트(10)를 사이에 두고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베이스플레이트(10)는 고정플레이트(20)와 수평상태에서 각각 360도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결합된다.
제1링(30)은 베이스링(11) 내측으로 삽입되는 직경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제1링(30)은 일부가 개방된 제2결합공(31)이 제1결합공(12)과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제1결합공(12)에 제1힌지(24)로 힌지 결합되는 통공(34)이 형성된 제1결합돌기(33)가 형성된다. 제2결합공(31) 양단에는 제2힌지(35)가 삽입되는 제2힌지공(32)이 형성된다.
제2링(40)은 제1링(30) 내측으로 삽입되는 직경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제2링(40)은 일부가 개방된 제3결합공(41)이 제2결합공(31)과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제2결합공(31)에 제2힌지(35)로 힌지 결합되는 통공(44)이 형성된 제2결합돌기(43)가 형성된다. 제3결합공(41) 양단에는 제3힌지(45)가 삽입되는 제3힌지공(42)이 형성된다.
제3링(50)은 제2링(40) 내측으로 삽입되는 직경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제3링(50)은 제3결합공(41)에 제3힌지(45)로 힌지 결합되는 통공(52)이 형성된 제3결합돌기(51)가 형성된다. 또한, 제3링(50)은 사용자의 검지나 중지가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직경, 예를 들어, 대략 22mm내외인 것이 좋다.
베이스링(11)의 제1결합공(12)에 삽입되어 제1링(30)의 제1결합돌기(33)와 제1힌지(24)로 통공(34) 및 제1힌지공(13)에 힌지 결합될 때에 사용자가 일정한 힘으로 회전시켜 구부리거나 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힌지 결합이 작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제1링(30)의 제2결합공(31)에 삽입되어 제2링(40)의 제2결합돌기(43)와 제2힌지(35)로 통공(44) 및 제2힌지공(32)에 힌지 결합될 때에 사용자가 일정한 힘으로 회전시켜 구부리거나 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힌지 결합이 작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제2링(40)의 제3결합공(41)에 삽입되어 제3링(50)의 제3결합돌기(51)와 제3힌지(45)로 통공(52) 및 제3힌지공(42)에 힌지 결합될 때에 사용자가 일정한 힘으로 회전시켜 구부리거나 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힌지 결합이 작용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베이스링(11), 제1링(30), 제2링(40) 및 제3링(50)은 각각의 힌지 결합상태가 일정의 유지력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베이스링(11), 제1링(30), 제2링(40) 및 제3링(50) 표면에 천연고무나 합성고무 또는 실리콘 등이 코팅 처리되어 인체나 다른 물체와의 접촉에도 미끄러짐이 방지되도록 하는 부재가 적용되는 것이 좋다.
도 3에서, 휴대단말기(100) 배면에 핑거 홀더(1)가 결합된 것으로, 휴대단말기(100) 배면에서 핑거 홀더(1)의 제1링(30) 내지 제3링(50)을 인출하거나 삽입할 수 있다. 더욱이 회전베이스플레이트(10)를 고정플레이트(20)로부터 360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4에서, 핑거 홀더(1)가 결합된 휴대단말기(100)를 자전거의 핸들프레임(101)에 결합하여 자전거를 타는 동안 휴대단말기(100)로부터 각종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핑거 홀더(1)에서 힌지 결합된 제1링(30) 내지 제3링(50)의 적절한 구부림과 폄 등의 유연한 구조로 인하여 다양한 기구, 기계 또는 장치 등의 프레임에 휴대단말기(100)를 고정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5에서, 핑거 홀더(1)의 고정플레이트(20) 배면에 점착제(60)가 적용된 경우에는 휴대단말기(100)의 배면에 점착제(60)를 통해 탈착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도 6에서, 핑거 홀더(1)의 고정플레이트(20) 배면에 마그네트(61)가 일체 결합되거나 삽입된 경우에는 휴대단말기(100) 배면 또는 케이스(102) 내측에 삽입된 마그네트(62)와의 자력에 의하여 쉽게 탈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에서, 핑거 홀더(1)의 베이스링(11)에 제1결합돌기(33)로 힌지 결합된 제1링(30)을 180도로 펼치고, 또, 제1링(30)에 제2결합돌기(43)로 힌지 결합된 제2링(40)을 180도로 펼치며, 다시 제2링(40)에 제3결합돌기(51)로 힌지 결합된 제3링을 180도로 펼쳐 보인 것이다.
도 8에서, 핑거 홀더(1)의 베이스링(11)에 제1결합돌기(33)로 힌지 결합된 제1링(30)을 둔각으로 펼친 상태에서 제1링(30)에 제2결합돌기(43)로 힌지 결합된 제2링(40)을 제1링(30) 일정 각도로 펴고, 다시 제2링(40)에 제3결합돌기(51)로 힌지 결합된 제3링을 일정 각도로 펼쳐 보인 것이다. 도 9는 도 8에서, 제1링(30)과 제2링(40) 및 제3링(50)이 대략 삼각형이 되도록 펼쳐 보인 것이다. 도 10은 제1링(30)과 제2링(40) 및 제3링(50)이 호 형상으로 펼쳐 보인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핑거 홀더(1)는 베이스링(11)으로부터 제1링(30) 내지 제3링(50)의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나 방향 또는 높이로 휴대단말기(1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핑거 홀더 10: 회전베이스플레이트 11: 베이스링 12: 제1결합공 13: 제1힌지공 14: 관통공 15: 삽입홈 20: 고정플레이트 21: 축돌기 22: 고정부재 23: 결합홈 24: 제1힌지 30: 제1링 31: 제2결합공 32: 제2힌지공 33: 제1결합돌기 34: 통공 35: 제2힌지 40: 제2링 41: 제3결합공 42: 제3힌지공 43: 제2결합돌기 44: 통공 45: 제3힌지 50: 제3링 51: 제3결합돌기 52: 통공 60: 점착제 61, 62: 마그네트 100: 휴대단말기 101: 핸들프레임 102: 케이스

Claims (3)

  1. 일부가 개방된 제1결합공(12)이 형성되고 제1결합공(12) 반대쪽에 일부가 개방된 삽입홈(15)이 형성된 베이스링(11)이 상단 가장자리에 일체 결합되고 중심에 관통공(14)이 형성된 원판 형상의 회전베이스플레이트(10);
    중심에 축돌기(21)가 돌출되어 상기 회전베이스플레이트(10) 아래에서 관통공(14)으로 삽입되는 원판 형상의 고정플레이트(20);
    하부 중심에 결합홈(23)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14)을 통해 돌출된 축돌기(21)와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재(22);
    일부가 개방된 제2결합공(31)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공(12)에 제1힌지(24)로 힌지 결합되는 제1결합돌기(33)가 형성되며 베이스링(11) 내측에 삽입되는 제1링(30);
    일부가 개방된 제3결합공(41)이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공(31)에 제2힌지(35)로 힌지 결합되는 제2결합돌기(43)가 형성되며 제1링(30)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2링(40);
    상기 제3결합공(41)에 제3힌지(45)로 힌지 결합되는 제3결합돌기(51)가 형성되며 제2링(40)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3링(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휴대단말기용 핑거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링(11), 제1링(30), 제2링(40) 및 제3링(50) 표면에 실리콘이 코팅 처리된, 휴대단말기용 핑거 홀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레이트(20) 배면에 점착제(60) 또는 마그네트(61)가 고정 결합된, 휴대단말기용 핑거 홀더.
KR2020180000169U 2018-01-12 2018-01-12 휴대단말기용 핑거 홀더 KR2019000184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169U KR20190001849U (ko) 2018-01-12 2018-01-12 휴대단말기용 핑거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169U KR20190001849U (ko) 2018-01-12 2018-01-12 휴대단말기용 핑거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849U true KR20190001849U (ko) 2019-07-22

Family

ID=67439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169U KR20190001849U (ko) 2018-01-12 2018-01-12 휴대단말기용 핑거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184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043B1 (ko) * 2020-07-10 2020-12-24 조정대 스마트폰용 3단 링 엑세서리
KR200495737Y1 (ko) * 2021-06-14 2022-08-08 홍현태 스마트폰 거치대의 탈부착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4187A (ko) 2016-03-07 2017-09-15 김영세 휴대단말기용 핑거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4187A (ko) 2016-03-07 2017-09-15 김영세 휴대단말기용 핑거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5043B1 (ko) * 2020-07-10 2020-12-24 조정대 스마트폰용 3단 링 엑세서리
KR200495737Y1 (ko) * 2021-06-14 2022-08-08 홍현태 스마트폰 거치대의 탈부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4799B2 (en) Portable device holder and support for containing same
KR101493023B1 (ko)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
US9772064B2 (en) Display with a supporting mechanism
EP2249074B1 (en) Holder
US20130279098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lder
JP2023514759A (ja) 脱着手段が備えられた携帯端末機用アクセサリーモジュール
CN212086241U (zh) 手机摄影连接装置及手机摄影装置
JP6684232B2 (ja) 装置の保持構造
KR20190001849U (ko) 휴대단말기용 핑거 홀더
US20090008518A1 (en) Monitor with adjustable screen in highness and inclination
JP2008010134A (ja) ターンテーブル組立体
KR101777505B1 (ko) 휴대단말기용 악세사리
JP2012256891A (ja) 挟持装置
US7110802B1 (en) Belt clip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nit
US20150239404A1 (en) Mount for mobile
KR20160063599A (ko)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
WO2018012884A1 (ko) 휴대용 장치 홀더 및 그 홀더 수용 지지체
CN107466490B (zh) 转轴组件、转动连接机构、夹持装置及手持设备
US20050224674A1 (en) Cup holder for an automobile
KR101963517B1 (ko) 휴대 단말기용 핑거 홀더
TW201418771A (zh) 附有支架之放大鏡
KR101738615B1 (ko)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KR101856447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지지장치
KR101384372B1 (ko) 모바일 단말기용 파지구
KR101880109B1 (ko)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