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737Y1 - 스마트폰 거치대의 탈부착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거치대의 탈부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737Y1
KR200495737Y1 KR2020210001843U KR20210001843U KR200495737Y1 KR 200495737 Y1 KR200495737 Y1 KR 200495737Y1 KR 2020210001843 U KR2020210001843 U KR 2020210001843U KR 20210001843 U KR20210001843 U KR 20210001843U KR 200495737 Y1 KR200495737 Y1 KR 2004957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groove
attachment
smart phon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8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현태
Original Assignee
홍현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현태 filed Critical 홍현태
Priority to KR20202100018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7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7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7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마트폰 거치대가 자성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배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한 스마트폰 거치대의 탈부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스마트폰의 배면에 부착되어 고정된 금속 재질로 된 링 형태의 고정부; 후면에 자석이 삽입되어 장착되고, 전면에는 스마트폰 거치대가 부착되는 부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에 후면이 자성에 의해 탈부착되는 부착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스마트폰 거치대의 탈부착 장치{Attaching/Detaching Aapparatus of the Smart phone holder}
본 고안은 스마트폰 거치대의 탈부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마트폰의 배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한 스마트폰 거치대의 탈부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거치대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손에 쥐고 휴대하거나 사용할 때 손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적인 파지는 물론 이탈에 의한 추락 등으로 스마트폰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스마트폰 거치대의 예로서, 등록디자인 제30-0816405호(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에서는 도1 및 도2에서와 같이 자바라 방식으로 포개어지거나 늘어나는 몸체(100)를 가지게 되는데, 그 일측에는 스마트폰의 배면에 부착되기 위한 부착부(11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걸림부(130)가 형성되며, 부착부(110)와 걸림부(130) 사이에는 포개어지거나 늘어나도록 자바라부(120)가 구비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스마트폰(200)의 배면에 부착부(110)가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 등에 의해 부착된 상태에서 자바라부(120)가 포개어지도록 하면, 부착부(110)와 걸림부(130)가 서로 맞닿아 납작하게 되므로 휴대가 간편하게 되고,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3에서와 같이 걸림부(130)를 잡아당겨 자바라부(120)가 늘어나도록 하여 그 자바라부(120)의 양측으로 손가락을 끼워서 파지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는 스마트폰(200)의 배면에 부착되어 고정되므로, 이를 제거한 경우에는 새로운 거치대를 부착하거나 또는 새로운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하여야 하므로 대단히 번거롭다.
특히, 최근에는 무선충전기를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충전하는 경우가 많지만, 이러한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두께 때문에 충전전원이 스마트폰(200)으로 원할히 공급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1. 등록디자인 제30-0816405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마트폰 거치대가 자성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의 배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한 스마트폰 거치대의 탈부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탈부착 장치는,
스마트폰의 배면에 부착되어 고정된 금속 재질로 된 링 형태의 고정부;
후면에 자석이 삽입되어 장착되고, 전면에는 스마트폰 거치대가 부착되는 부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에 후면이 자성에 의해 탈부착되는 부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착홈은 바닥부에 내경이 가장 작은 제1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홈의 상측으로 내경이 더 큰 제2홈이 단턱을 형성하면서 다단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스마트폰의 배면에 스마트폰 거치대가 부착부를 매개로 하여 자성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스마트폰 거치대를 쉽게 교체할 수 있음과 아울러 무선충전시에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거하여 무선충전기에 밀착된 상태로 위치시켜 웡활한 무선충전이 가능하도록 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1 및 도2는 종래기술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구조를 보인 도.
도3은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거치대의 탈부착 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
도5는 스마트폰 거치대가 부착부를 매개로 하여 스마트폰의 배면에 부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고안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고안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스마트폰 거치대의 탈부착 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이고, 도5는 스마트폰 거치대가 부착부를 매개로 하여 스마트폰의 배면에 부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4에서와 같이, 부착부(300)와 고정부(400)로 구성되는데, 상기 부착부(300)는 금속재질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된 원통형의 몸체를 가지고, 후측에는 후면 둘레를 따라서 링 형태로 자석(330)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자석(320)은 부착부(300)의 후면에 링 형태로 된 장착홈(320)에 삽입된다.
이때 자석(330)은 부착부(300)의 후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장착홈(320)에 삽입되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자석(330)과 부착부(300)의 후면이 서로 평평하도록 자석(330)이 장착되어야 한다.
상기 부착부(300)의 전면에는 원형의 부착홈(310)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부착홈(310)에는 스마트폰 거치대(100)의 일측이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며, 부착홈(310)의 내경은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의 일측 내경과 동일하거나 0.5~1mm 정도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는 종래 기술에서 언급한 구조를 가지거나, 또는 손가락에 링 형태로 끼울 수 있는 핑거링 등의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상기 고정부(400)는 자석(330)에 부착될 수 있는 얇은 금속 재질에 의해 링 형태로 형성되고, 후면에는 양면테이프가 부착되어 있어서, 스마트폰(200)의 후면부위 또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의 후면부위에 부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링 형태의 고정부(400)를 양면테이프에 의해 스마트폰(200) 또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의 후면에 부착시켜 고정시키고, 스마트폰 거치대(100)를 부착부(300)의 부착홈(310)에 부착하여 고정시킨 다음, 부착부(300)의 후면을 고정부(400)에 자성에 의해 부착시키게 되면, 스마트폰 거치대(100)가 스마트폰(200)의 후면부위에 부착부(300)와 고정부(400)를 매개로 하여 부착되는 것이다.
무선충전 또는 스마트폰 거치대(100)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부착부(300)를 고정부(400)로부터 이탈시키게 되면, 고정부(400)만 스마트폰(200)의 후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부착부(300)만 이탈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고정부(400)는 얇은 금속판 형태이므로, 스마트폰(100)의 후면으로 돌출되는 두께가 매우 얇아 무선충전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100)는 그 크기가 모두 다르기 때문에, 이를 위하여 다양한 크기의 부착홈(310)이 형성된 부착부(300)가 각각 구비되어야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 다수의 금형을 제작하여야 하므로 제조비용이 크게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부착홈(310)을 다양한 내경을 가지도록 다단으로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부착홈(310)의 가장 저면에는 가장 작은 내경을 갖는 제1홈(311)이 형성되고, 상기 제1홈(311)의 상측으로는 제1홈(311)보다 큰 내경을 갖는 제2홈(312)이 형성되어 제1홈(311)과 제2홈(312)에는 단턱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홈(312)의 상측으로는 제2홈(312)보다 내경이 큰 제3홈(313)이 형성되어 이 또한 단턱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홈(312)에는 부착부위가 작은 외경을 갖는 스마트폰 거치대(100)가 부착될 수 있으며, 제2홈(312) 또는 제3홈(313)에 형성되는 단턱부위에는 비교적 부착부위가 큰 외경을 갖는 스마트폰 거치대의 저면의 가장자리 부위가 부착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스마트폰 거치대(100)의 부착부위가 다양한 외경을 가지더라도 부착홈(310)이 다단으로 형성된 하나의 부착부(300)에 모두 수용되어 부착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고안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예일뿐이며, 이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스마트폰 거치대
200 : 스마트폰
300 : 부착부
310 : 부착홈
311 : 제1홈
312 : 제2홈
313 : 제3홈
320 : 장착홈
330 : 자석
400 : 고정부

Claims (2)

  1. 스마트폰의 배면에 부착되어 고정된 금속 재질로 된 링 형태의 고정부;
    후면에 자석이 삽입되어 장착되고, 전면에는 스마트폰 거치대가 부착되는 부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에 후면이 자성에 의해 탈부착되는 부착부;로 구성되고,
    상기 부착홈은 바닥부에 내경이 가장 작은 제1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홈의 상측으로 내경이 더 큰 제2홈이 단턱을 형성하면서 다단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의 탈부착 장치.
  2. 삭제
KR2020210001843U 2021-06-14 2021-06-14 스마트폰 거치대의 탈부착 장치 KR2004957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843U KR200495737Y1 (ko) 2021-06-14 2021-06-14 스마트폰 거치대의 탈부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843U KR200495737Y1 (ko) 2021-06-14 2021-06-14 스마트폰 거치대의 탈부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737Y1 true KR200495737Y1 (ko) 2022-08-08

Family

ID=82803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843U KR200495737Y1 (ko) 2021-06-14 2021-06-14 스마트폰 거치대의 탈부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737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849U (ko) * 2018-01-12 2019-07-22 이지현 휴대단말기용 핑거 홀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849U (ko) * 2018-01-12 2019-07-22 이지현 휴대단말기용 핑거 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1667B1 (ko) 휴대 단말기용 거치 장치
US9366383B2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KR101629434B1 (ko) 매직 스트랩
US20140117177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ring-holder
US20220116491A1 (en) Magnetic grip accessory
US20160286944A1 (en) Magnetic attachment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JP2020028512A (ja) ホルダー
US20240148131A1 (en) Protective case with device grip storage
KR200495737Y1 (ko) 스마트폰 거치대의 탈부착 장치
KR20140017142A (ko) 탈부착 가능한 손가락 끼움고리를 갖는 휴대폰용 케이스
KR20210090838A (ko) 무선충전기능을 갖는 스마트폰 거치대
KR20210087794A (ko) 탈부착 가능한 휴대용단말기의 고리형 손잡이 구조체
CN217985135U (zh) 一种可磁吸的指环旋转式手机支架及手机壳
KR200491272Y1 (ko) 탈부착 사용 구조를 갖는 휴대폰 보조 배터리
US20220095815A1 (en) Watch stand
KR20230091718A (ko) 돋보기가 구비된 휴대폰용 그립톡
CN210670193U (zh) 超薄指环扣手机支架
US9052058B1 (en) Jewelry holder
CN212305410U (zh) 手机壳
CN206850847U (zh) 一种腰带式磁性吸附手机支架
CN212163422U (zh) 一种手机指环扣
CN206712888U (zh) 一种指环扣保护壳一体化的手机壳
KR101848989B1 (ko) 스프링이 구비되는 휴대폰 케이스
CN217590877U (zh) 一种手机壳
CN210999993U (zh) 一种贴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