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5565B1 - 스마트폰 링홀더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링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5565B1
KR101965565B1 KR1020170182495A KR20170182495A KR101965565B1 KR 101965565 B1 KR101965565 B1 KR 101965565B1 KR 1020170182495 A KR1020170182495 A KR 1020170182495A KR 20170182495 A KR20170182495 A KR 20170182495A KR 101965565 B1 KR101965565 B1 KR 101965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ring
disk
guide
elastic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2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명환
박지호
김혜미
정진희
Original Assignee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82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55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스마트폰 링홀더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스마트폰 링홀더는, 스마트폰의 후면에 구비되고, 서로 면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요철면을 갖는 베이스; 한 쌍의 요철면 사이에 구비되고, 중앙에 회전축이 돌출 형성된 타원형 디스크; 회전축에 장착되는 링; 요철면과 디스크의 곡면 사이에 각각 개재되는 가이드; 및 요철면과 가이드 사이에 개재되고, 가이드를 디스크의 곡면으로 가압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회전축을 축으로 디스크를 회전시키면 탄성체의 압축률이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링의 위치가 견고하게 유지되면서도, 간단한 조작을 통해 링의 위치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스마트폰 링홀더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스마트폰 링홀더{SMARTPHONE RING HOLDER}
본 발명은 스마트폰 링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링의 위치가 견고하게 유지되면서도, 간단한 조작을 통해 링의 위치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스마트폰 링홀더에 관한 것이다.
링홀더(ring holder)는 스마트폰용 액세서리로서, 파지한 스마트폰의 낙하를 방지하고, 스마트폰을 걸어둘 수 있으며, 화면이 기울어진 상태로 평면에 거치시킬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갖는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7-0111404호에는 스마트폰 거치대가 개시되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2017-0111404호는 중앙에 연결축공을 형성하고, 아랫면에는 스마트폰의 뒷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부착면을 형성한 부착판과, 연결축공에 축 설치되며, 하부에는 연결축공에 삽입되어 단부가 리벳팅되도록 연결축이 형성되며, 이 연결축에 탄성고무링과 와셔가 적층되게 삽입 구성된 연결부와, 연결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중앙에 중공이 형성된 탄성부재가 내입될 수 있도록 전후로 관통된 축공이 형성되며, 전면에 암나사를 형성한 조절볼트공이 형성된 연결몸체와, 조절볼트공에 체결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숫나사가 형성된 조절볼트와, 탄성부재의 중공에 삽입되며, 일단부에 단이진 결합촉이 형성되며, 타단부에 단이진 머리부가 형성된 중심축과, 중심축을 중심으로 각 운동되고, 일측이 개구되게 형성되며, 내부에 손가락삽입공이 형성되고, 일단부에 결합촉이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홈이 형성되며, 타단부에 중심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공이 형성된 거치링과, 삽입공의 내부에 중심축의 머리부가 걸림될 수 있도록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공개특허공보 제2017-0111404호는, 부착판이 양면테이프에 의해 스마트폰에 부착됨에 따라, 거치링의 위치를 변경하기 어려운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7-0111404호 (공개일: 2017.10.12)
본 발명의 목적은, 링의 위치가 견고하게 유지되면서도, 간단한 조작을 통해 링의 위치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스마트폰 링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스마트폰의 후면에 구비되고, 서로 면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요철면을 갖는 베이스; 상기 한 쌍의 요철면 사이에 구비되고, 중앙에 회전축이 돌출 형성된 타원형 디스크;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는 링; 상기 요철면과 상기 디스크의 곡면 사이에 각각 개재되는 가이드; 및 상기 요철면과 상기 가이드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가이드를 상기 디스크의 곡면으로 가압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을 축으로 상기 디스크를 회전시키면 상기 탄성체의 압축률이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링홀더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스마트폰의 후면에서 상기 베이스를 덮고, 상기 회전축이 통과하는 통과홀이 형성된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통과홀을 따라 상기 회전축을 이동시키면, 상기 탄성체가 상기 요철면에 의해 탄성 압축 및 회복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는, 상기 디스크와 상기 요철면이 최소 간격을 형성할 때 상기 디스크의 곡면과 최대 접촉면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링을 이동시키면 탄성체가 요철면에 의해 탄성 압축 및 회복되고, 회전축을 축으로 디스크를 회전시키면 탄성체의 압축률이 변화함으로써, 링의 위치가 견고하게 유지되면서도, 간단한 조작을 통해 링의 위치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스마트폰 링홀더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링홀더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스마트폰 링홀더의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스마트폰 링홀더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폰 링홀더는, 링의 위치가 견고하게 유지되면서도, 간단한 조작을 통해 링의 위치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링홀더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스마트폰 링홀더의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스마트폰 링홀더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링홀더(10)는, 링(300)의 위치가 견고하게 유지되면서도, 간단한 조작을 통해 링(300)의 위치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베이스(100), 디스크(200), 링(300), 가이드(400), 탄성체(500) 및 덮개(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100), 디스크(200), 링(300), 가이드(400), 탄성체(500) 및 덮개(600)는 스마트폰(1)의 후면에 구비되어 링(300)을 통해 파지한 스마트폰(1)의 낙하를 방지하고, 스마트폰(1)을 걸어둘 수 있으며, 화면이 기울어진 상태로 평면에 거치시킬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0)는 디스크(200)의 이동경로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사각형 액자틀 형태를 형성한다. 베이스(100)는 서로 면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요철면(101)을 형성한다.
한 쌍의 요철면(101)은 서로 마주보는 울퉁불퉁한 면으로, 디스크(200)의 이동시 탄성체(500)가 삽입 및 이탈되는 다수의 오목부 및 돌출부를 형성한다. 베이스(100)는 양면테이프(미도시)에 의해 스마트폰(1)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200)는 링(300)과 함께 회전 및 이동하는 구성으로서, 타원 형태로 형성된다. 디스크(200)는 한 쌍의 요철면(101) 사이에 구비되어, 양쪽 요철면(101)과 마주하는 곡면을 형성한다. 디스크(200)의 중앙에는 회전축(210)이 돌출 형성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도 3과 같이 타원의 장축 부분이 요철면(101)을 향하는 상태를 디스크(200)의 '장축회전상태'로 지칭하고, 도 4와 같이 타원의 단축 부분이 요철면(101)을 향하는 상태를 디스크(200)의 '단축회전상태'로 지칭하고자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300)은 사용자가 조작하는 구성으로서, 핀(미도시)을 통해 회전축(2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사용자는 링(300)을 잡고 디스크(200)를 장축회전상태 및 단축회전상태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400)는 요철면(101)과 디스크(200)의 곡면 사이에 각각 개재되는 구성으로서, 디스크(200)를 향하는 면(이하 '지지면')은 장축회전상태(도 3 참조)에서 디스크(200)의 곡면과 전체적으로 밀착된다. 디스크(200)가 단축회전상태(도 4 참조)로 회전되면, 지지면은 디스크(200)의 이동방향 양쪽 단부에서 디스크(200)의 곡면과 밀착된다.
탄성체(500)는 가이드(400)를 디스크(200)의 곡면으로 가압하는 구성으로서, 요철면(101)과 가이드(400) 사이에 각각 개재된다. 가이드(400)에는 탄성체(500)가 장착되는 홈(이하 '장착홈')이 형성된다. 탄성체(500)는 금속판을 호 형태로 휘어 제작될 수 있다. 탄성체(500)는 양단이 장착홈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중간이 요철면(101)을 향해 돌출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600)는 회전축(210)이 통과하는 통과홀(601)이 형성되며, 스마트폰(1)의 후면에서 베이스(100)를 덮는다. 덮개(600)는 양면테이프(미도시)에 의해 베이스(100) 또는 스마트폰(1)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스마트폰 링홀더(10)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고자 한다. 상술한 스마트폰 링홀더(10)의 구성들은 사용상태의 설명을 통해 구체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으로 링(300)을 잡고 회전축(210)을 축으로 디스크(200)를 회전시키면, 디스크(200)는 장축회전상태와 단축회전상태 사이에서 회전하게 된다.
장축회전상태에서 요철면(101)과 디스크(200)의 곡면은 최단거리를 형성하고, 단축회전상태에서 요철면(101)과 디스크(200)의 곡면은 최장거리를 형성한다. 장축회전상태와 단축회전상태에서 탄성체(500)의 압축률은 변화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축회전상태에서 요철면(101)과 디스크(200)의 곡면은 최소간격을 형성하므로, 탄성체(500)는 요철면(101)의 오목부에 깊게 삽입된다. 따라서 장축회전상태에서는 링(300)을 잡고 디스크(200)를 이동시키기 어렵다.
또한, 장축회전상태에서 지지면과 디스크(200)의 곡면은 전체적으로 밀착되어 최대 접촉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장축회전상태에서 디스크(200)를 회전시키려면, 탄성체(500)의 탄성 회복력과 가이드(400)의 형상적 구속을 벗어나기 위해 큰 회전력이 요구된다. 여기서 '큰'의 의미는 '단축회전상태에서 디스크(20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과 비교하여 크다는 의미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축회전상태에서 요철면(101)과 디스크(200)의 곡면은 최장거리를 형성하므로, 탄성체(500)는 요철면(101)의 오목부에 얕게 삽입된다. 따라서 단축회전상태에서 사용자가 링(300)을 잡고 통과홀(601)을 따라 회전축(210)을 이동시키면, 탄성체(500)가 요철면(101)의 오목부 및 볼록부에 의해 탄성 압축 및 회복되면서 디스크(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단축회전상태에서 지지면과 디스크(200)의 곡면은 디스크(200)의 이동방향 양쪽 단부에서 밀착된다. 따라서 단축회전상태에서 디스크(200)를 회전시키려면, 탄성체(500)의 탄성 회복력과 가이드(400)의 형상적 구속을 벗어나는데에 작은 회전력이 요구된다. 여기서 '작은'의 의미는 '장축회전상태에서 디스크(200)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과 비교하여 작다는 의미이다.
공개특허공보 제2017-0111404호는, 부착판이 양면테이프에 의해 스마트폰에 부착됨에 따라, 거치링의 위치를 변경하기 어려운 불편함이 있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폰 링홀더(10)는, 손가락으로 링(300)을 잡고 회전축(210)을 축으로 디스크(200)를 회전시키면 디스크(200)는 장축회전상태 및 단축회전상태로 회전되므로,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단축회전상태에서 통과홀(601)을 따라 회전축(210)을 이동시키며 링(300)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장축회전상태(디스크(200)의 회전 및 이동이 어려운 상태)에서 파지한 스마트폰(1)의 낙하를 방지하고, 스마트폰(1)을 걸어둘 수 있으며, 화면이 기울어진 상태로 평면에 거치시킬 수 있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링을 이동시키면 탄성체가 요철면에 의해 탄성 압축 및 회복되고, 회전축을 축으로 디스크를 회전시키면 탄성체의 압축률이 변화함으로써, 링의 위치가 견고하게 유지되면서도, 간단한 조작을 통해 링의 위치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스마트폰 링홀더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스마트폰 링홀더
100 : 베이스 400 : 가이드
101 : 요철면 500 : 탄성체
200 : 디스크 600 : 덮개
210 : 회전축 610 : 통과홀
300 : 링
1 : 스마트폰

Claims (3)

  1. 스마트폰의 후면에 구비되고, 서로 면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요철면을 갖는 베이스;
    상기 한 쌍의 요철면 사이에 구비되고, 중앙에 회전축이 돌출 형성된 타원형 디스크;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는 링;
    상기 요철면과 상기 디스크의 곡면 사이에 각각 개재되는 가이드; 및
    상기 요철면과 상기 가이드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가이드를 상기 디스크의 곡면으로 가압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을 축으로 상기 디스크를 회전시키면 상기 탄성체의 압축률이 변화하며,
    상기 스마트폰의 후면에서 상기 베이스를 덮고, 상기 회전축이 통과하는 통과홀이 형성된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통과홀을 따라 상기 회전축을 이동시키면, 상기 탄성체가 상기 요철면에 의해 탄성 압축 및 회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링홀더.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디스크와 상기 요철면이 최소 간격을 형성할 때 상기 디스크의 곡면과 최대 접촉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링홀더.
KR1020170182495A 2017-12-28 2017-12-28 스마트폰 링홀더 KR101965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495A KR101965565B1 (ko) 2017-12-28 2017-12-28 스마트폰 링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495A KR101965565B1 (ko) 2017-12-28 2017-12-28 스마트폰 링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5565B1 true KR101965565B1 (ko) 2019-04-04

Family

ID=66105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495A KR101965565B1 (ko) 2017-12-28 2017-12-28 스마트폰 링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55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215B1 (ko) 2021-04-12 2022-03-24 박영대 휴대전화 거치용 홀더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675B1 (ko) * 2014-03-24 2015-01-14 김중영 손목 시계형 스마트 단말기
KR20160001449U (ko) * 2014-10-24 2016-05-04 양재혁 가변적 휴대폰 장착 위치 조절 구조의 착탈식 범용 휴대폰 케이스
KR20170060805A (ko) * 2015-11-25 2017-06-02 신우수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20170083333A (ko) * 2016-01-08 2017-07-18 (주)에이프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KR20170111404A (ko) 2016-03-28 2017-10-12 박승찬 스마트폰 거치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675B1 (ko) * 2014-03-24 2015-01-14 김중영 손목 시계형 스마트 단말기
KR20160001449U (ko) * 2014-10-24 2016-05-04 양재혁 가변적 휴대폰 장착 위치 조절 구조의 착탈식 범용 휴대폰 케이스
KR20170060805A (ko) * 2015-11-25 2017-06-02 신우수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KR20170083333A (ko) * 2016-01-08 2017-07-18 (주)에이프로 휴대단말기용 액세서리
KR20170111404A (ko) 2016-03-28 2017-10-12 박승찬 스마트폰 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215B1 (ko) 2021-04-12 2022-03-24 박영대 휴대전화 거치용 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3203Y1 (ko) 모바일 기기용 액세서리
KR200489229Y1 (ko) 휴대용 장치 홀더 및 그 홀더 수용 지지체
EP2831485B1 (en) Mobile device docking station
US20070099673A1 (en) Communications headset
KR101777505B1 (ko) 휴대단말기용 악세사리
TWM455309U (zh) 電話機
KR101965565B1 (ko) 스마트폰 링홀더
WO2013175694A1 (ja) ヘッドホーン装置
JP3973558B2 (ja) 調整可能マイクロホンブームを有するヘッドセット
KR101753520B1 (ko) 스마트폰 거치대
US20080178435A1 (en) Personal audio listening device
KR200483647Y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101738615B1 (ko)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TWI510389B (zh) 電子裝置支架及帶有電子裝置支架之電子設備
KR20180006044A (ko)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KR101120774B1 (ko) 조작된 자세 및 방향을 유지하는 헤드 셋
KR101738616B1 (ko)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US20080137897A1 (en) Wireless earphone retained by helix of ear
KR200488704Y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JP5707285B2 (ja) ヘッドホン
JP3164996U (ja) バックレーダ感知器の固定装置
KR200261133Y1 (ko) 휴대폰걸이
JP5986772B2 (ja) インターホン
JP6583976B1 (ja) ピアス
JP3214844U (ja) スマートフォン保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