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8215B1 - 휴대전화 거치용 홀더 - Google Patents

휴대전화 거치용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8215B1
KR102378215B1 KR1020210047018A KR20210047018A KR102378215B1 KR 102378215 B1 KR102378215 B1 KR 102378215B1 KR 1020210047018 A KR1020210047018 A KR 1020210047018A KR 20210047018 A KR20210047018 A KR 20210047018A KR 102378215 B1 KR102378215 B1 KR 102378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mobile phone
deformed
cellular phone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7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대
최진영
정춘석
Original Assignee
박영대
최진영
정춘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대, 최진영, 정춘석 filed Critical 박영대
Priority to KR1020210047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82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휴대전화 후면에 부착 구비되되 링형 또는 달팽이관 형상으로 말려져 보관되다가 휴대전화 거치시에는 선형으로 변형되어 펼쳐지는 홀더부재가 구비되어 스마트폰이 사용자의 사용목적에 맞게 가로 또는 세로 방향 세워진 상태에서 다양한 각도로 거치될 수 있음은 물론, 선형으로 펼쳐진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울 수 있도록 그 일부가 링 형상으로 변형될 수도 있고, 홀더부재가 구비되는 본체가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됨과 동시에 그 내부에 자성체가 내장됨에 따라 무선충전 및 차량 거치대 장착이 가능하며, 본체의 일면에 소정의 패턴, 그림, 문자, 색상으로 디자인되거나 광고가 표시되는 데코 플레이트가 구비됨에 따라 휴대전화 거치기능 외에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 가능한 휴대전화 거치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전화 거치용 홀더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일면이 휴대전화 후면에 부착 고정되며 타면 양측에는 체결홈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타면에 위치되며 사용여부에 따라 링형 또는 선형으로 변형되되, 보관시에는 그 양단이 상기 체결홈 내에 각각 고정된 상태로 링형으로 변형되어 상기 본체의 일면에 밀착 위치되며, 사용시에는 그 일단은 일측의 상기 체결홈 내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타측의 상기 체결홈 내에서 분리된 상태로 선형으로 펼쳐져 각도조절되는 홀더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전화 거치용 홀더{HOLDER FOR CELLULAR PHONE}
개시된 내용은 휴대전화 후면에 구비되어 동영상 시청 등 그 사용이 용이하도록 휴대전화이 소정 각도로 고정되게 하는 휴대전화 거치용 홀더에 관련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휴대전화는 기본적인 음성통화와 문자송수신 기능뿐만 아니라 인터넷, 금융거래, 사진 및 영상촬영, 영화, 유튜브, 스포츠 중계와 같은 다양한 컨텐츠의 동영상 시청, 게임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5G 통신망을 이용하는 폴더블 폰, 롤러블 폰과 같은 고사양의 다양한 휴대전화가 개발 및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이러한 휴대전화 중에서도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 스마트폰인데, 스마트폰은 기본적으로 터치패널 방식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휴대전화 전면 전체에 구비되어 PC로 하던 작업의 대부분을 할 수 있도록 한 제품으로 휴대가 간편하고 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어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마트폰의 다양한 활용목적 중에서도 영화, 유튜브, 스포츠 중계와 같은 동영상 시청은 다양한 컨텐츠의 공급, OLED와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고급화와 스마트폰의 휴대 및 이동의 용이성 등으로 인해 최근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는 분야 중 하나이다.
그런데 이렇게 스마트폰으로 동영상 컨텐츠를 시청하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손으로 잡고 있거나 테이블 위에 원하는 각도로 고정해야 하는데, 장시간 동영상 컨텐츠를 시청하는 경우 손으로 계속 잡고 있기가 불편한 문제가 있었고, 테이블 위에 원하는 각도로 고정하는 경우 소정의 물체를 사용해야 하는데 각도조절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거치된 상태에서 쉽게 미끄러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최근에서 스마트폰 후면에 부착되는 링 홀더가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링 홀더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어 보다 손쉽게 스마트폰을 손으로 잡을 수 있고, 각도조절 및 회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을 테이블 위에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종래의 링 홀더는 그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스마트폰을 가로로 거치시키는 것은 가능하지만 세로로 거치시키는 것은 불가능한 한계가 있었다. 또한, 스마트폰의 후면에 돌출 위치되기 때문에 무선충전이나 차량의 충전거치대에 스마트폰을 위치시키기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의 홀더 및 거치 기능 외에 추가기능을 갖지 못하는 단점도 있었다.
1.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72008호(2014.03.24)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817419호(2018.01.04) 3.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965565호(2019.03.29)
휴대전화 후면에 부착 구비되되 링형 또는 달팽이관 형상으로 말려져 보관되다가 휴대전화 거치시에는 선형으로 변형되어 펼쳐지는 홀더부재가 구비되고, 홀더부재가 구비되는 본체가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됨과 동시에 그 내부에 자성체가 내장되며, 본체의 일면에 소정의 패턴, 그림, 문자, 색상으로 디자인되거나 광고가 표시되는 데코 플레이트가 구비된 휴대전화 거치용 홀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하나의 실시 예로서 개시된 내용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일면이 휴대전화 후면에 부착 고정되며 타면 양측에는 체결홈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타면에 위치되며 사용여부에 따라 링형 또는 선형으로 변형되되, 보관시에는 그 양단이 상기 체결홈 내에 각각 고정된 상태로 링형으로 변형되어 상기 본체의 일면에 밀착 위치되며, 사용시에는 그 일단은 일측의 상기 체결홈 내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타측의 상기 체결홈 내에서 분리된 상태로 선형으로 펼쳐져 각도조절되는 홀더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거치용 홀더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개시된 내용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일면이 휴대전화 후면에 부착 고정되며 타면 중앙에는 체결홈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타면에 위치되고 그 일단이 상기 체결홈 내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사용여부에 따라 달팽이관 형상 또는 선형으로 변형되되, 보관시에는 달팽이관 형상으로 변형되어 상기 본체의 타면 측에 밀착 위치되고, 사용사에는 선형으로 펼쳐진 상태로 각도조절되는 홀더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거치용 홀더에 대해서도 기술하고 있다.
개시된 내용에 따른 휴대전화 거치용 홀더는 휴대전화 후면에 부착 구비되되 링형 또는 달팽이관 형상으로 말려져 보관되다가 휴대전화 거치시에는 선형으로 변형되어 펼쳐지는 홀더부재가 구비되어 스마트폰이 사용자의 사용목적에 맞게 가로 또는 세로 방향 세워진 상태에서 다양한 각도로 거치될 수 있음은 물론, 선형으로 펼쳐진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울 수 있도록 그 일부가 링 형상으로 변형될 수도 있고, 홀더부재가 구비되는 본체가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됨과 동시에 그 내부에 자성체가 내장됨에 따라 무선충전 및 차량 거치대 장착이 가능하며, 본체의 일면에 소정의 패턴, 그림, 문자, 색상으로 디자인되거나 광고가 표시되는 데코 플레이트가 구비됨에 따라 휴대전화 거치기능 외에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 가능한 탁월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전화 거치용 홀더의 사시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전화 거치용 홀더의 분해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전화 거치용 홀더의 작동도.
도 4a 및 도 4b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전화 거치용 홀더의 사용상태도.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전화 거치용 홀더의 사시도.
도 6은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전화 거치용 홀더의 작동도.
도 7 및 도 8은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전화 거치용 홀더의 사용상태도.
개시된 내용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개시된 내용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개시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된 내용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개시된 내용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개시된 내용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는 개시된 내용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사시도이고, 도 2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작동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전화 거치용 홀더(1)의 구성부재들과 그 연결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체(10)가 구비된다. 이 본체(10)는 휴대전화 후면에 부착되어 휴대전화 거치용 홀더(1)가 휴대전화 측에 위치 고정되게 하며, 동시에 추후에 설명될 구성부재들이 사용 가능하게 설치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본체(1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일면에는 휴대전화 후면에 부착되기 위한 부착수단(11)이 구비된다. 이 부착수단(11)은 종래기술에 따른 양면테이프가 될 수도 있고, 다수 회에 걸쳐 탈부착 가능하고 물로 세척하여 재사용 가능한 젤 테이프가 될 수도 있다. 그리고 타면에는 추후에 설명 될 홀더부재(20)가 설치되기 위한 체결홈(12)이 구비된다.
전술한 본체(10)는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원형의 얇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타면 중앙에는 원통형상의 돌출부(15)가 돌출 형성된다. 이 돌출부(15)는 그 둘레에 링형으로 변형된 홀더부대가 밀착 위치되기 위한 것으로, 이를 통해 홀더부재(20) 형상은 링형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양단이 체결홈(12) 내에 고정된 상태에서 임의로 본체(10)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즉, 돌출부(15)는 본체(10)에 비해 작은 직경의 원통형상을 갖기 때문에 돌출부(15) 둘레에 위치된 링형 홀더부재(20)는 돌출부(15)에 비해 큰 직경의 본체(10)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는 상태로 위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
개시된 내용에서 본체(10)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얇은 플레이트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으로든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링형에서 선형으로 변형되는 홀더부재(20)가 본체(10)의 방해없이 온전한 선형 상태로 변형될 수 있도록 본체(10) 측에 별도의 인출홈 한 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양측 체결홈(12)은 홀더부재(20) 양단 중 일단은 볼조인트와 같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타측은 홀더부재(20) 타단이 탈부착 될 수 있게 형성된다.
그리고 전술한 본체(10)의 일면에는 데코 플레이트(13)가 구비된다. 이 데코 플레이트(13)는 소정의 패턴, 그림, 문자, 색상으로 디자인되거나 광고가 표시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데코 플레이트(13)를 통해 심미적인 미려함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전화 거치 역할 외에도 광고나 홍보 등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10) 내부에는 자성체(14)가 내장되는데, 이 자성체(14)는 휴대전화 거치용 홀더(1)가 구비된 휴대전화가 차량 거치대 등에 자력에 의해 자유롭게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본체(10)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된다. 이는 금속으로 제조된 종래의 휴대전화 링 홀더의 경우 무선충전이 불가하기 때문으로, 개시된 내용에 따른 휴대전화 거치용 홀더(1)는 본체(10) 전체가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됨에 따라 무선충전이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본체(10)의 타면에는 홀더부재(20)가 구비된다. 이 홀더부재(20)는 사용여부에 따라 링형 또는 선형으로 변형되어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휴대전화가 소정 위치에 각도조절 가능하게 거치되게 하거나 손가락에 고정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홀더부재(20)는, 보관시에는 그 양단이 체결홈(12) 내에 각각 고정된 상태로 링형으로 변형되어 본체(10)의 일면에 밀착 위치되며, 사용시에는 그 일단은 일측의 체결홈(12) 내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타측의 체결홈(12) 내에서 분리된 상태로 선형으로 펼쳐져 그 각도가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즉, 휴대전화를 거치하지 않거나 손가락에 고정할 필요가 없을 때에 홀더부재(20)를 본체(10)의 돌출부(15) 측에 링형으로 변형시켜 보관한다. 휴대전화를 테이블 등에 거치시켜야 할 경우에는 도 3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홀더부재(20) 타단을 체결홈(12) 내에서 분리하여 선형으로 변형시켜 휴대전화가 거치되게 한다. 이때 홀더부재(20)는 그 형상과 방향이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도 4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휴대전화가 가로방향으로 거치될 수도 있고 도 4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휴대전화가 세로방향으로 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선형으로 변형된 홀더부재(20) 일측을 링형으로 변형시키고 여기에 손가락을 삽입해 휴대전화가 사용자의 손에 고정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홀더부재(20) 타단 측에는 사용자가 홀더부재(20) 타단을 본체(10)로부터 용이하게 인출해 낼 수 있도록 손잡이(22)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그 양단은 볼 형상의 고정뭉치(21)가 형성되는데, 이중 일단측 고정뭉치(21)는 일측 체결홈(12) 내에 볼조인트 형상으로 체결되고 타단측 고정뭉치(21)는 타측 체결홈(12) 내에 탈부착 가능하게 체결된다. 그리고 홀더부재(20)는 그 형상변형이 자유롭게 될 수 있도록 내부에는 금속와이어(23)가 내장되고 외부는 실리콘 재질의 외피(24)로 코팅 처리되는 것으로 한다.
도 5 내지 도 8은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사시도이고, 도 6은 작동도이며, 도 7 및 도 8은 사용상태도이다. 여기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전화 거치용 홀더(1)와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동일부호가 사용됨을 밝혀둔다.
다른 실시 예로서 개시된 내용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일면이 휴대전화 후면에 부착 고정되며 타면 중앙에는 체결홈(12)이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타면에 위치되고 그 일단이 상기 체결홈(12) 내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사용여부에 따라 달팽이관 형상 또는 선형으로 변형되되, 보관시에는 달팽이관 형상으로 변형되어 상기 본체(10)의 타면 측에 밀착 위치되고, 사용사에는 선형으로 펼쳐진 상태로 각도조절되는 홀더부재(2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전술한 휴대전화 거치용 홀더(1')는 휴대전화 후면에 한 개 이상이 부착되어 사용된다.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전화 거치용 홀더(1')는, 홀더부재(20)가 휴대전화 방향이 아닌 외부로 노출되는 반대방향에 위치된다는 점과, 홀더부재(20)가 링형이 아닌 달팽이관 형상으로 변형되어 보관된다는 점과, 홀더부재(20) 양단이 체결홈(12) 측에 연결되는 것이 아닌 일단만 체결홈(12) 측에 연결된다는 점과, 본체(10) 측에 데코 플레이트(13)가, 홀더부재(20) 측에 손잡이(22)가 구비되지 않는다는 점만 다를 뿐 전체적인 발명의 구성 및 연결관계는 전술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전화 거치용 홀더(1)와 동일 유사하여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유추될 수 있으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서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휴대전화 거치용 홀더에 의하면, 휴대전화 후면에 부착 구비되되 링형 또는 달팽이관 형상으로 말려져 보관되다가 휴대전화 거치시에는 선형으로 변형되어 펼쳐지는 홀더부재가 구비되어 스마트폰이 사용자의 사용목적에 맞게 가로 또는 세로 방향 세워진 상태에서 다양한 각도로 거치될 수 있음은 물론, 선형으로 펼쳐진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손가락에 끼울 수 있도록 그 일부가 링 형상으로 변형될 수도 있고, 홀더부재가 구비되는 본체가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됨과 동시에 그 내부에 자성체가 내장됨에 따라 무선충전 및 차량 거치대 장착이 가능하며, 본체의 일면에 소정의 패턴, 그림, 문자, 색상으로 디자인되거나 광고가 표시되는 데코 플레이트가 구비됨에 따라 휴대전화 거치기능 외에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 가능하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자라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1' : 휴대전화 거치용 홀더
10 : 본체
11 : 부착수단
12 : 체결홈
13 : 데코 플레이트
14 : 자성체
15 : 돌출부
20 : 홀더부재
21 : 고정뭉치
22 : 손잡이
23 : 금속와이어
24 : 외피

Claims (9)

  1.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일면이 휴대전화 후면에 부착 고정되며 타면 양측에는 체결홈이 구비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타면에 위치되며 사용여부에 따라 링형 또는 선형으로 변형되되, 보관시에는 그 양단이 상기 체결홈 내에 각각 고정된 상태로 링형으로 변형되어 상기 본체의 일면에 밀착 위치되며, 사용시에는 그 일단은 일측의 상기 체결홈 내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타측의 상기 체결홈 내에서 분리된 상태로 선형으로 펼쳐져 각도조절되는 홀더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거치용 홀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타면 중앙은 원통형상의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둘레에 링형으로 변형된 상기 홀더부재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거치용 홀더.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면에는 소정의 패턴, 그림, 문자, 색상으로 디자인되거나 광고가 표시되는 데코 플레이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거치용 홀더.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재의 타단 측에는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돌출 위치되는 손잡이가 돌출 구비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거치용 홀더.
  5.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일면이 휴대전화 후면에 부착 고정되며 타면 중앙에는 체결홈이 구비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타면에 위치되고 그 일단이 상기 체결홈 내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사용여부에 따라 달팽이관 형상 또는 선형으로 변형되되, 보관시에는 달팽이관 형상으로 변형되어 상기 본체의 타면 측에 밀착 위치되고, 사용사에는 선형으로 펼쳐진 상태로 각도조절되는 홀더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거치용 홀더.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휴대전화 거치용 홀더는 휴대전화 후면에 한 개 이상이 부착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거치용 홀더.
  7.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는 자성체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거치용 홀더.
  8.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거치용 홀더.
  9.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재는 그 형상변형이 자유롭게 될 수 있도록 내부에는 금속와이어가 내장되고 외부는 실리콘 재질의 외피로 코팅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 거치용 홀더.
KR1020210047018A 2021-04-12 2021-04-12 휴대전화 거치용 홀더 KR102378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018A KR102378215B1 (ko) 2021-04-12 2021-04-12 휴대전화 거치용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7018A KR102378215B1 (ko) 2021-04-12 2021-04-12 휴대전화 거치용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8215B1 true KR102378215B1 (ko) 2022-03-24

Family

ID=80935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018A KR102378215B1 (ko) 2021-04-12 2021-04-12 휴대전화 거치용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8215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5934U (ko) * 2013-09-17 2013-10-11 강신철 순간변형 외장형 거치대
KR20130007175U (ko) * 2013-01-18 2013-12-13 윤임식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KR200472008Y1 (ko) 2013-03-08 2014-04-01 김봉철 다양한 크기의 링으로 교체 가능한 휴대폰 홀더
KR200478291Y1 (ko) * 2015-02-10 2015-09-30 박진우 휴대폰 거치대
KR101817419B1 (ko) 2016-03-28 2018-01-11 박승찬 스마트폰 거치대
KR20180006044A (ko) * 2016-07-08 2018-01-17 김성준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KR20180026850A (ko) * 2016-09-05 2018-03-14 맹용주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KR101957480B1 (ko) * 2017-09-21 2019-03-12 임영찬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
KR101965565B1 (ko) 2017-12-28 2019-04-04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 링홀더
KR200488765Y1 (ko) * 2017-12-13 2019-07-04 박경호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2157957B1 (ko) * 2019-03-28 2020-09-18 주식회사 맥스컴코리아 핸드폰 홀더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7175U (ko) * 2013-01-18 2013-12-13 윤임식 모바일 단말기의 휴대용 고리
KR200472008Y1 (ko) 2013-03-08 2014-04-01 김봉철 다양한 크기의 링으로 교체 가능한 휴대폰 홀더
KR20130005934U (ko) * 2013-09-17 2013-10-11 강신철 순간변형 외장형 거치대
KR200478291Y1 (ko) * 2015-02-10 2015-09-30 박진우 휴대폰 거치대
KR101817419B1 (ko) 2016-03-28 2018-01-11 박승찬 스마트폰 거치대
KR20180006044A (ko) * 2016-07-08 2018-01-17 김성준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KR20180026850A (ko) * 2016-09-05 2018-03-14 맹용주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KR101957480B1 (ko) * 2017-09-21 2019-03-12 임영찬 모바일 기기 거치장치
KR200488765Y1 (ko) * 2017-12-13 2019-07-04 박경호 악세사리용 스마트폰 거치대
KR101965565B1 (ko) 2017-12-28 2019-04-04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 링홀더
KR102157957B1 (ko) * 2019-03-28 2020-09-18 주식회사 맥스컴코리아 핸드폰 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2562B1 (ko) 교체형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US20140049851A1 (en) Devic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ng accessories to hand held electronic devices
CN102084315A (zh) 带有支架的电子装置夹持器
KR101825404B1 (ko) 휴대용 단말기 파지 및 거치링
KR20100082758A (ko) 휴대 단말기용 외장케이스
CA2407756C (en) Stationary camera device
KR101960354B1 (ko) 파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용 액세서리
KR20160063599A (ko) 휴대단말기용 손가락 지지대
KR20140123837A (ko) 스마트폰 거치대
KR102378215B1 (ko) 휴대전화 거치용 홀더
KR200471009Y1 (ko) 휴대폰 보호 케이스
KR20080032818A (ko) 휴대용 단말기
KR20130007167U (ko) 휴대폰용 접이식 받침구
KR20140002951U (ko) 거치대 일체형 휴대폰 케이스
KR20120103831A (ko) 기능성 휴대폰 케이스
KR101717074B1 (ko) 밴드 타입 휴대폰 스탠드
GB2474048A (en) Personal media player support device
US10750624B2 (en) Display device and frame member
KR101424938B1 (ko) 다용도 거치대
CN201982913U (zh) 支撑结构
KR101537576B1 (ko) 휴대형 전자기기용 거치대
KR20140005390U (ko) 화면 거치가 편리한 모바일 기기용 보호 케이스
CN214197836U (zh) 便携支架及电子产品支撑组件
CN216643721U (zh) 用于电子设备的保护套及电子设备组件
JP2005167949A (ja) 携帯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