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6850A -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 Google Patents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6850A
KR20180026850A KR1020160113664A KR20160113664A KR20180026850A KR 20180026850 A KR20180026850 A KR 20180026850A KR 1020160113664 A KR1020160113664 A KR 1020160113664A KR 20160113664 A KR20160113664 A KR 20160113664A KR 20180026850 A KR20180026850 A KR 20180026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center
plate
fixing member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맹용주
Original Assignee
맹용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맹용주 filed Critical 맹용주
Priority to KR1020160113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6850A/ko
Publication of KR20180026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68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기기에 부착되어 휴대용 기기의 거치와 사용자에 의한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하면에서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하면 돌기부가 형성되는 상부 플레이트; 휴대용 기기의 일면에 부착되고, 상기 하면 돌기부에 대응하도록 상면에서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상면 오목부가 형성되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는 링 고정 부재; 및 상기 링 고정 부재에 끼움 결합되어 제1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링 부재를 포함하는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RING ACCESSORY FOR MOBILE DEVICE OF MULTIPLE ROTATING STRUCTURE}
본 발명은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기기에 부착되어 휴대용 기기의 거치와 사용자에 의한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기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PMP, MP3 플레이어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현재 다방면으로 보급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기기(특히, 스마트폰)는 통화, 동영상 및 DMB 시청, 음악 재생, 동영상 및 사진 촬영, 인터넷 사용, 정보 입력 등의 부가적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손에 파지된 상태로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도보할 때 등과 같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움직이면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기기는 후면에 파지 또는 거치를 용이하게 하는 액세서리가 부착됨으로써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어 안정적으로 이용하거나 장시간 동영상을 보는 경우에 책상 등과 같은 바닥면에 거치하여 이용할 수 있다.
현재 휴대용 기기 또는 휴대용 기기를 커버하는 케이스에 부착되어 휴대용 기기의 파지와 거치를 용이하게 하는 다양한 형태의 액세서리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들과 다른 형상으로 제작되어 사용자에 의한 휴대용 기기의 파지와 거치를 용이하게 하는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를 기술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1256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3889호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1256호는 휴대용 기기의 일면에 고정되는 접착판, 일측에 개방부를 갖는 고리 및 고리가 접착판에 대해 다양한 각도를 가지도록 회전 가능하며, 고리가 접착판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고리의 개방부와 접착판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여, 고리를 다양한 각도로 조절 및 유지시킬 수 있어 휴대용 기기의 휴대와 거치를 편리하게 하는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를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3889호는 휴대기기의 낙하방지를 위한 내측 링을 연질의 소재로 형성하고, 휴대기기를 거치하기 위한 외측 링을 경질의 소재로 형성하되, 외측 링을 내측 링의 외측에 배치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휴대기기용 투 링 액세서리를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125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3889호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휴대용 기기에 부착되어 휴대용 기기의 거치와 사용자에 의한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기기에 고정되는 플레이트와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링을 각각 일정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다양한 구조에서 다양한 각도를 가지도록 조절할 수 있는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돌기와 오목홈을 통해 휴대용 기기에 고정되는 플레이트의 회전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는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하면에서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하면 돌기부가 형성되는 상부 플레이트; 휴대용 기기의 일면에 부착되고, 상기 하면 돌기부에 대응하도록 상면에서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상면 오목부가 형성되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는 링 고정 부재; 및 상기 링 고정 부재에 끼움 결합되어 제1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링 부재를 포함하는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하면의 중심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중심에 끼움 결합되는 중심 끼움부 및 둘레를 따라 하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둘레와 맞물리는 둘레 끼움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하면 돌기부 중 하나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내측 둘레를 따라 오목홈이 형성되어 상기 링 고정 부재와 맞물리는 상부 관통부; 및 상면에서 상기 링 부재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링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중심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중심 끼움부가 끼움 결합되는 하부 관통부 및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둘레 끼움부와 맞물리는 둘레 오목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중심 끼움부 또는 상기 둘레 끼움부를 통해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맞물려 상기 제1 축에 수직인 제2 축을 기준으로 상기 하부 플레이트로부터 회전하고, 상기 하면 돌기부와 상기 상면 오목부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상기 회전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링 고정 부재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외측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 관통부의 오목홈에 맞물려 상기 제1 축에 수직인 제2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끼움 연장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끼움 연장부의 하부 중심부터 상기 헤드부의 중심까지 링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링 부재는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링 관통홀을 통해 상기 링 고정 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링 수용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휴대용 기기에 부착되어 휴대용 기기의 거치와 사용자에 의한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휴대용 기기에 고정되는 플레이트와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링을 각각 일정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다양한 구조에서 다양한 각도를 가지도록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돌기와 오목홈을 통해 휴대용 기기에 고정되는 플레이트의 회전을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를 휴대용 기기에 부착하여 링 부재의 각도를 조절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를 휴대용 기기에 부착하여 링 부재의 각도를 조절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100)는, 하면에서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하면 돌기부(112)가 형성되는 상부 플레이트(110), 휴대용 기기의 일면에 부착되고, 하면 돌기부(112)에 대응하도록 상면에서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상면 오목부(122)가 형성되는 하부 플레이트(120), 상부 플레이트(110)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는 링 고정 부재(130), 및 링 고정 부재(130)에 끼움 결합되어 제1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링 부재(140)를 포함한다.
상부 플레이트(110)는 일정 두께를 가지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부에서 링 고정 부재(130)와 연결되어 링 고정 부재(130)의 회전을 지지하며, 하부에서 하부 플레이트(120)와 연결되어 하부 플레이트(130)로부터 회전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플레이트(110)는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하부에서 사각형의 하부 플레이트(1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부 플레이트(110)는 하부 플레이트(120)로부터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110)의 회전을 위하여, 상부 플레이트(110)는 하면에서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하면 돌기부(112), 하면 돌기부(112) 중 하나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상부 관통부(118), 및 상면에서 링 부재(140)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링 수용부(119)를 포함하고, 하면의 중심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중심 끼움부(114)와 둘레를 따라 하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둘레 끼움부(11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하면 돌기부(112)는 상부 플레이트(110)의 하면에서 둘레를 따라 볼록한 돌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하부 플레이트(120)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면 오목부(122)와 맞닿을 수 있다.
하면 돌기부(112)는 상부 플레이트(110)의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맞닿는 상면 오목부(122)가 달라지게 되며, 상면 오목부(122)와 맞닿아 있는 상태에서 상부 플레이트(110)의 회전에 따라 이웃한 상부 오목부(122)와 맞닿을 수 있다.
하면 돌기부(112)는 일정 간격으로 상부 플레이트(11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됨에 따라 상부 플레이트(110)가 하부 플레이트(120)로부터 일정 각도씩 회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중심 끼움부(114)는 상부 플레이트(110)의 하면 중심에 형성되고, 하부 플레이트(120)의 중심에 형성되는 하부 관통부(124)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중심 끼움부(114)는 중공형의 원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부 플레이트(110)의 하면과 연결되지 않는 끝단에서 상부 플레이트(110)의 하면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둘레가 수직으로 절단되어 원기둥의 중심을 기준으로 내측과 외측으로 일부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끝단이 외측으로 일부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중심 끼움부(114)는 외측으로 일부 돌출된 끝단이 하부 플레이트(120)의 하부 관통부(124)에 수용될 때 일정 간격으로 수직 절단된 부분에 의해 내측으로 오므라들고, 외측으로 일부 돌출된 끝단이 하부 플레이트(120)의 하면까지 끼워지면 다시 외측으로 펴져 원 상태로 되돌아와 하부 관통부(124)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심 끼움부(114)는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20)의 중심에서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2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둘레 끼움부(116)는 상부 플레이트(110)의 둘레를 따라 절곡 형성되어 하부 플레이트(120)의 둘레에 형성되는 둘레 오목부(126)와 맞물릴 수 있다. 둘레 끼움부(116)는 상부 플레이트(110)의 하부 방향으로 단면이 ㄴ 형상을 가지도록 절곡 형성되고, 하부 플레이트(120)의 둘레 오목부(126)에 끼워져 상부 플레이트(110)의 회전시 둘레 오목부(126)의 둘레를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둘레 끼움부(116)는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20)의 외측 둘레에서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2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부 플레이트(110)와 하부 플레이트(120)는 중심 끼움부(114)와 하부 관통부(124) 및 둘레 끼움부(116)와 둘레 오목부(126)가 모두 형성되어 서로 연결되거나, 중심 끼움부(114)와 하부 관통부(124)만 형성되어 서로 연결되거나, 둘레 끼움부(116)와 둘레 오목부(126)만 형성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 따른 도면에서는 중심 끼움부(114)와 하부 관통부(124) 및 둘레 끼움부(116)와 둘레 오목부(126)가 모두 형성되어 서로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상부 관통부(118)는 상부 플레이트(110)의 하면 돌기부(112) 중 하나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관통된 내측 둘레를 따라 오목홈이 형성되어 링 고정 부재(130)에 형성되는 돌기와 맞물릴 수 있다.
링 수용부(119)는 상부 플레이트(110)의 상면에서 링 부재(140)의 둘레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링 부재(140)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링 수용부(119)는 내측 둘레가 완만한 곡선을 이루는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110)는 중심 끼움부(114)와 둘레 끼움부(116)를 통해 하부 플레이트(120)의 하부 관통부(124) 및 둘레 오목부(126) 각각에 맞물려 링 부재(140)가 링 고정 부재(130)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1 축에 수직인 제2 축을 기준으로 하부 플레이트(120)로부터 회전할 수 있다.
즉, 상부 플레이트(110)의 하면과 하부 플레이트(120)의 상면이 마주보는 상태에서 상부 플레이트(110)가 하부 플레이트(120)로부터 360도 회전할 수 있으며, 하면 돌기부(112)와 상면 오목부(122)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회전이 조절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120)는 하면에 접착 물질이 구비되어 휴대용 기기의 일면에 부착되고, 상부에서 상부 플레이트(110)와 연결되어 상부 플레이트(110)의 회전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플레이트(120)는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상부에서 사각형의 하부 플레이트(1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부 플레이트(110)는 하부 플레이트(120)로부터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120)는 상부 플레이트(110)의 하면 돌기부(112)에 대응하도록 상면에 형성되는 상면 오목부(122)를 포함하고, 중심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하부 관통부(124) 및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둘레 오목부(12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면 오목부(122)는 하부 플레이트(120)의 상면에서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부 플레이트(110)의 하면에 형성되는 하면 돌기부(112)와 맞닿을 수 있다.
상면 오목부(122)는 하면 돌기부(112)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하면 돌기부(112)보다 큰 반경을 가지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부 플레이트(110)의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라 맞닿는 하면 돌기부(112)가 달라질 수 있다.
하부 관통부(124)는 하부 플레이트(120)의 중심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부 플레이트(110)의 중심 끼움부(114)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하부 관통부(124)는 하단(즉, 접착 물질이 구비되는 부분)이 상단보다 큰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중심 끼움부(114)의 외측으로 일부 돌출된 끝단이 하단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관통부(124)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단의 반경보다 하단의 반경이 커질 수 있다.
둘레 오목부(126)는 하부 플레이트(12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부 플레이트(110)의 둘레에 절곡 형성되는 둘레 끼움부(116)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둘레 오목부(126)는 둘레 끼움부(116)와 끼움 결합됨으로써 상부 플레이트(110)의 회전시 상부 플레이트(110)가 하부 플레이트(12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링 고정 부재(130)는 상부 플레이트(110)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상부 관통부(118)에 끼움 결합된다. 이때 링 고정 부재(130)는 상부 플레이트(110)의 상부 관통부(118)에 결합되기 전에, 링 부재(140)가 끼워질 수 있다.
링 고정 부재(130)는 헤드부(132) 및 헤드부(132)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끼움 연장부(134)로 이루어지고, 끼움 연장부(134)부터 헤드부(132)까지 링 관통홀(136)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헤드부(132)는 단면이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하부에서 끼움 연장부(134)와 연결되며, 끼움 연장부(134)에서 연장 형성되는 링 관통홀(136)에 링 부재(140)가 끼워져 중심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링 부재(140)와 결합될 수 있다.
헤드부(132)는 상부 관통부(118)의 반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끼움 연장부(134)가 상부 플레이트(110)의 상부 관통부(118)에 끼워짐에 따라 상부 플레이트(1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헤드부(132)는 중심에 제1 축 방향(즉, 링 부재(140)가 링 관통홀(136)에 끼워지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링 관통홀(136)이 관통하면서 형성되어 제1 축을 기준으로 링 부재(14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끼움 연장부(134)는 헤드부(132)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외측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돌기(134-1, 134-2)가 형성되어 상부 관통부(118)의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오목홈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끼움 연장부(134)는 링 관통홀(136)에 의해 하부 중심부터 반으로 나눠질 수 있으며, 나눠진 틈 사이로 링 부재(140)가 수용되어 헤드부(132)까지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끼움 연장부(134)는 상부 관통부(118)에 수용될 때 나눠진 틈에 의해 내측으로 오므라들고, 적어도 하나의 돌기(134-1, 134-2)와 상부 관통부(118)의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오목홈이 맞물리면 다시 외측으로 펴져 원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다.
끼움 연장부(134)는 상부 관통부(118)에 수용된 상태로 제1 축에 수직인 제2 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에서, 끼움 연장부(134)의 회전축은 상부 플레이트(110)의 회전축과 동일한 제2 축으로 이루어지며, 끼움 연장부(134)의 회전은 상부 플레이트(110)의 회전과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링 부재(140)는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대략 링 형상을 가지고, 링 고정 부재(130)에 끼움 결합되어 제1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거나 또는 상부 플레이트(110)의 링 수용부(119)에 수용된다. 예를 들어, 링 부재(140)는 사용자에 의해서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강도가 높은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링 부재(140)는 중공부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고, 링 고정 부재(130)로부터 회전하여 일정 각도로 휴대용 기기를 바닥면에 거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링 부재(140)의 외측 둘레는 실리콘과 같은 재질의 미끄럼 방지 부재로 이루어져 휴대용 기기의 거치시 바닥면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링 부재(140)의 수용부(142)는 링 부재(140)의 다른 부분보다 얇게 형성되어 링 고정 부재(130)의 끼움 연장부(134)부터 헤드부(132)까지 연장 형성되는 링 관통홀(136)을 따라 링 고정 부재(130)에 수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링 부재(140)의 수용부(142)는 외측 둘레를 따라 탄성 부재가 구비되고, 탄성 부재에 의해 헤드부(132)에 형성되는 링 관통홀(136) 사이에서 압력 및 마찰력이 발생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힘(즉, 마찰력보다 큰 힘)이 가해져야 회전할 수 있으며, 제1 축을 기준으로 특정 각도로 회전된 후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특정 각도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고하면,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100)는 휴대용 기기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한 일정 크기 이상의 힘에 따라 상부 플레이트(110)로부터 링 고정 부재(130)를 회전하거나, 링 고정 부재(130)로부터 링 부재(140)를 회전할 수 있으며((a)->(b)), 하부 플레이트(120)로부터 상부 플레이트(110)를 회전할 수 있다((a)->(c)).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100)는 상부 플레이트(110), 링 고정 부재(130) 및 링 부재(140) 각각의 회전이 가능하여, 다양한 구조에서 다양한 각도를 구현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한 파지 및 휴대용 기기의 거치를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100)는 상부 플레이트(110), 하부 플레이트(120), 링 고정 부재(130) 및 링 부재(140)가 모두 끼움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사용자 스스로 조립할 수 있어 조립에 따른 작업자의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110: 상부 플레이트
120: 하부 플레이트
130: 링 고정 부재
140: 링 부재

Claims (6)

  1. 하면에서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하면 돌기부가 형성되는 상부 플레이트;
    휴대용 기기의 일면에 부착되고, 상기 하면 돌기부에 대응하도록 상면에서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상면 오목부가 형성되는 하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는 링 고정 부재; 및
    상기 링 고정 부재에 끼움 결합되어 제1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링 부재를 포함하는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하면의 중심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중심에 끼움 결합되는 중심 끼움부 및 둘레를 따라 하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둘레와 맞물리는 둘레 끼움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하면 돌기부 중 하나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내측 둘레를 따라 오목홈이 형성되어 상기 링 고정 부재와 맞물리는 상부 관통부; 및
    상면에서 상기 링 부재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링 수용부를 포함하는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중심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중심 끼움부가 끼움 결합되는 하부 관통부 및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둘레 끼움부와 맞물리는 둘레 오목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중심 끼움부 또는 상기 둘레 끼움부를 통해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맞물려 상기 제1 축에 수직인 제2 축을 기준으로 상기 하부 플레이트로부터 회전하고,
    상기 하면 돌기부와 상기 상면 오목부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상기 회전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 고정 부재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외측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 관통부의 오목홈에 맞물려 상기 제1 축에 수직인 제2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끼움 연장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끼움 연장부의 하부 중심부터 상기 헤드부의 중심까지 링 관통홀이 형성되는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링 부재는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링 관통홀을 통해 상기 링 고정 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링 수용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KR1020160113664A 2016-09-05 2016-09-05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KR201800268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664A KR20180026850A (ko) 2016-09-05 2016-09-05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664A KR20180026850A (ko) 2016-09-05 2016-09-05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909A Division KR101880109B1 (ko) 2017-11-20 2017-11-20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850A true KR20180026850A (ko) 2018-03-14

Family

ID=61660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664A KR20180026850A (ko) 2016-09-05 2016-09-05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685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9521B1 (ko) * 2021-01-20 2021-06-02 김재성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
CN114043912A (zh) * 2021-12-15 2022-02-15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集成桌板的扶手结构、后排座椅及汽车
KR102378215B1 (ko) * 2021-04-12 2022-03-24 박영대 휴대전화 거치용 홀더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9521B1 (ko) * 2021-01-20 2021-06-02 김재성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
WO2022158823A1 (ko) * 2021-01-20 2022-07-28 김재성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
KR102378215B1 (ko) * 2021-04-12 2022-03-24 박영대 휴대전화 거치용 홀더
CN114043912A (zh) * 2021-12-15 2022-02-15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集成桌板的扶手结构、后排座椅及汽车
CN114043912B (zh) * 2021-12-15 2023-03-14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集成桌板的扶手结构、后排座椅及汽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79565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lder
US10274814B2 (en) Accessory for portable electric/electronic device
KR200483203Y1 (ko) 모바일 기기용 액세서리
US20150122852A1 (en) Portable support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80026850A (ko)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CN106896867B (zh) 用于保持装置的适配器
KR101880109B1 (ko)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US20180146078A1 (en) Terminal support stand, terminal case, and terminal assembly
KR20130121794A (ko)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
US20130127308A1 (en) Multifunctional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40123649A (ko)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
JP2020528710A (ja) 端末ホルダー及び端末ケース
KR101931304B1 (ko)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KR101903232B1 (ko)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JP2024070218A (ja) 携帯端末用アクセサリ
KR200483647Y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102259520B1 (ko) 휴대 전자기기용 홀더
KR101726179B1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링
KR101468023B1 (ko) 디스플레이 기기 거치대
CN204062396U (zh) 吸盘式支撑装置
KR20170002299U (ko) 모바일 디바이스용 고리형 액세서리
KR101944626B1 (ko)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KR20200031224A (ko) 스킨링
JP2020174356A (ja) 携帯電子端末保持具
KR101537576B1 (ko) 휴대형 전자기기용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017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115

Effective date: 2019061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