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299U - 모바일 디바이스용 고리형 액세서리 - Google Patents

모바일 디바이스용 고리형 액세서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299U
KR20170002299U KR2020150008352U KR20150008352U KR20170002299U KR 20170002299 U KR20170002299 U KR 20170002299U KR 2020150008352 U KR2020150008352 U KR 2020150008352U KR 20150008352 U KR20150008352 U KR 20150008352U KR 20170002299 U KR20170002299 U KR 2017000229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body
ring
mobile device
coupling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83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4442Y1 (ko
Inventor
손태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앤비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앤비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앤비츠
Priority to KR20201500083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442Y1/ko
Publication of KR201700022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2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4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4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의 일면에 접착되는 접착판(100); 및 상기 접착판(100)에 결합부(200)에 의해 결합되는 고리(300);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200)는, 상기 고리(300)의 결합축(310)를 감싸는 탄성체(210); 및 상기 탄성체(210)가 상기 결합축(310)를 감싸며 삽입되는 내부공간(221)이 구비된 하우징(220);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210)의 외면은 각형이며, 상기 내부공간(221)의 형상은 상기 탄성체(210)의 형상에 대응되는 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고리형 액세서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모바일 디바이스용 고리형 액세서리{Ring Accessories for mobile divice}
본 고안은 모바일 디바이스용 고리형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일면에 부착되어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 및 거치를 용이하게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고리형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폰, PMP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 장비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스트랩(strap) 또는 링 형태의 액세서리나 거치 기능이 적용된 케이스 등의 다양한 액세서리가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액세서리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거치 기능을 수행하기 어려운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거치 기능이 존재하더라도 반복되는 사용에 의해 거치력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본 고안은 상술된 종래의 모바일 디바이스용 액세서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 및 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고리형 액세서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반복되는 사용에도 고리를 고정하는 고정력이 약해지지 않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고리형 액세서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의 일면에 접착되는 접착판(100); 및 상기 접착판(100)에 결합부(200)에 의해 결합되는 고리(300);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200)는, 상기 고리(300)의 결합축(310)를 감싸는 탄성체(210); 및 상기 탄성체(210)가 상기 결합축(310)를 감싸며 삽입되는 내부공간(221)이 구비된 하우징(220);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210)의 외면은 각형이며, 상기 내부공간(221)의 형상은 상기 탄성체(210)의 형상에 대응되는 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고리형 액세서리가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탄성체(210)는 상기 내부공간(221)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압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고리형 액세서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판(100)의 일면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결합을 위한 접착면(110)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착판(100)의 타면은 상기 하우징(22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면(120)으로 형성되되, 상기 결합면(120)에는 상기 내부공간(221)에 삽입된 상기 결합축(310)을 상향 지지하는 지지부(1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고리형 액세서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체(210)에는 상기 결합축(310)이 관통되는 관통공(211)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체(210)는, 상기 관통공(211)이 개방되는 개방부(2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고리형 액세서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면(120)에는 상기 탄성체(210)의 하부가 거치되는 거치부(122)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체(210)의 하부에는 상기 탄성체(210)의 하부가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거치부(122)의 상면에 고정되는 걸림돌기(21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고리형 액세서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체(210)는 POM(Ploy Oxy Methylene)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고리형 액세서리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 및 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반복되는 사용에도 고리를 고정하는 고정력이 약해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용 고리형 액세서리의 전체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용 고리형 액세서리의 분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용 고리형 액세서리의 하우징, 탄성체 및 접착판의 하부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용 고리형 액세서리의 하우징, 탄성체 및 접착판의 상부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의 단면도.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용 고리형 액세서리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핸드폰, PDA, 태블릿 PC 등의 일면에 부착되어 사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고리형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모바일 디바이스를 파지하도록 하는 파지부를 형성시킬 뿐만 아니라, 모바일 디바이스가 바닥면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를 갖고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고리(300)에 대응되는 거치부와 결합되어 자동차나 집 등에서 소정의 위치에 모바일 디바이스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에 표현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용 고리형 액세서를 기준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용 고리형 액세서리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일면에 접착되는 접착판(100) 및 접착판(100)에 결합부(200)에 의해 결합되는 고리(300)를 포함한다(도 1).
결합부(200)는 고리(300)와 접착판(100)을 결합시키는 구성으로서, 고리(300)의 결합축(310)를 감싸는 탄성체(210) 및 탄성체(210)가 결합축(310)를 감싸며 삽입되는 내부공간(221)이 구비된 하우징(220)을 포함한다(도 2).
탄성체(210)는 내부공간(221)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압을 받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데, 이 경우 고리(300)가 결합축(310)을 축으로 하는 회전 구동을 함에 있어, 소정의 각도에서 고정되는 것이 가능한 고정력을 제공한다.
즉, 탄성체(210)가 가압되어 결합축(310)에 압력을 제공하게 되므로 결합축(310)은 탄성체(210)가 제공하는 압력에 의한 고정력에 의해 고리(300)를 소정의 각도에서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도 5).
다만, 이러한 고정력은 고리(300)의 반복적인 거동에 따라 약해지는데 이는 탄성체(210)와 고리(300) 사이의 마찰력과 탄성체(210)와 내부공간(221) 사이의 마찰력이 약해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마찰력 감소의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210)의 외면을 각형으로 형성하고, 내부공간(221)의 형상 역시 탄성체(210)에 대응되는 각형으로 형성시켜 탄성체(210) 자체의 회전을 방지하여 마찰력이 감소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도 2, 도 3).
탄성체(210)에는 결합축(310)이 관통되는 관통공(211)이 형성되며, 결합축(310)이 관통공(2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탄성체(210)의 하부는 관통공(211)이 개방되는 개방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취하는 경우 결합축(310)이 고리(300)에 일체로 형성된 경우에도 개방부(212)를 통해 관통공(211)으로 삽입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접착판(100)은 결합부(200)에 의해 결합된 고리(300)를 모바일 디바이스의 일면에 접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접착판(100)의 일면은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결합을 위한 접착면(110)으로 형성되고 접착판(100)의 타면은 하우징(22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면(120)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2).
또한, 결합면(120)에는 관통공(211)에 삽입된 상태에서 내부공간(221)에 삽입된 결합축(310)을 상향 지지하는 지지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도 4).
결합축(310)은 지지부(121)에 의한 상향 지지력을 제공받으므로, 탄성체(210)와 결합축(310) 사이의 마찰력이 더 강해질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결합면(120)에는 탄성체(210)의 하부가 거치되는 거치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체(210)의 하부에는 탄성체(210)의 하부가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거치부(122)의 상면에 고정되는 걸림돌기(213)가 형성될 수 있다(도 4).
이러한 구조를 취하는 경우 내부공간(221)에 삽입된 탄성체(210)가 고리(300)의 사용에 따라 제공되는 회전 하중(토크)에도 불구하고 내부공간(221)에서 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력을 추가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종합하면, 탄성체(210)는 내부공간(221)에 삽입된 상태에서 탄성체(210)의 부피가 내부공간(221)의 부피보다 더 작은 상태이므로 내부공간(221)의 내면에 의해 가압되어 발생되는 고정력을 획득함과 아울러, 거치부(122)와 걸림돌기(213)의 결합구조에 따른 추가적인 고정력을 획득하므로, 고리(300)의 사용에 따라 고정력이 저하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탄성체(210)는 탄성을 갖는 재질이면 어떤 재질이라도 무방하나, 탄성 및 경성을 모두 갖는 TPU(Thermoplastic Poly Urethane) 재질 또는 POM(Ploy Oxy Methylen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POM(Ploy Oxy Methylene) 재질은 플라스틱과 같은 경성 및 탄성의 성질을 모두 구비하고 있으므로, POM(Ploy Oxy Methylene) 재질을 이용하여 탄성체(210)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술된 2 가지 고정력을 획득할 수 있는 최선의 형상을 취득할 수 있다.
즉, 내부공간(221)이 제공하는 가압력을 탄성적 특성에 따라 결합축(310)에 전달하고, 내부공간(221)과의 형상적 대응관계에 따른 고정력 및 걸림돌기(213)의 고정력을 제공하기 위한 경성이 구비될 수 있다.
고리(300)는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를 구비시키며, 고리(300)의 외주면을 평평하게 형성시키는 경우(도 2), 모바일 디바이스가 평평한 평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갖고 거치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은 본 고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접착판
200 : 결합부
300 : 탄성체

Claims (6)

  1. 모바일 디바이스의 일면에 접착되는 접착판(100); 및
    상기 접착판(100)에 결합부(200)에 의해 결합되는 고리(300);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200)는,
    상기 고리(300)의 결합축(310)를 감싸는 탄성체(210); 및
    상기 탄성체(210)가 상기 결합축(310)를 감싸며 삽입되는 내부공간(221)이 구비된 하우징(220);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210)의 외면은 각형이며, 상기 내부공간(221)의 형상은 상기 탄성체(210)의 형상에 대응되는 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고리형 액세서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210)는 상기 내부공간(221)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압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고리형 액세서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판(100)의 일면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결합을 위한 접착면(110)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착판(100)의 타면은 상기 하우징(220)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면(120)으로 형성되되,
    상기 결합면(120)에는 상기 내부공간(221)에 삽입된 상기 결합축(310)을 상향 지지하는 지지부(12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고리형 액세서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210)에는 상기 결합축(310)이 관통되는 관통공(211)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체(210)는,
    상기 관통공(211)이 개방되는 개방부(2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고리형 액세서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면(120)에는 상기 탄성체(210)의 하부가 거치되는 거치부(122)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체(210)의 하부에는 상기 탄성체(210)의 하부가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거치부(122)의 상면에 고정되는 걸림돌기(21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고리형 액세서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210)는 POM(Ploy Oxy Methylene)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용 고리형 액세서리.
KR2020150008352U 2015-12-18 2015-12-18 모바일 디바이스용 고리형 액세서리 KR2004844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352U KR200484442Y1 (ko) 2015-12-18 2015-12-18 모바일 디바이스용 고리형 액세서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352U KR200484442Y1 (ko) 2015-12-18 2015-12-18 모바일 디바이스용 고리형 액세서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299U true KR20170002299U (ko) 2017-06-28
KR200484442Y1 KR200484442Y1 (ko) 2017-09-06

Family

ID=59239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8352U KR200484442Y1 (ko) 2015-12-18 2015-12-18 모바일 디바이스용 고리형 액세서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44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973Y1 (ko) * 2016-03-30 2018-07-19 주식회사 앤비츠 고리형 액세서리가 부착된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
KR101944626B1 (ko) * 2017-08-08 2019-01-31 이진우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4563A (ko) * 2011-09-28 2013-04-05 조성목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
KR20140123649A (ko) * 2013-04-12 2014-10-23 주식회사 억스코리아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4563A (ko) * 2011-09-28 2013-04-05 조성목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
KR20140123649A (ko) * 2013-04-12 2014-10-23 주식회사 억스코리아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973Y1 (ko) * 2016-03-30 2018-07-19 주식회사 앤비츠 고리형 액세서리가 부착된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
KR101944626B1 (ko) * 2017-08-08 2019-01-31 이진우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442Y1 (ko) 201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3203Y1 (ko) 모바일 기기용 액세서리
EP3429085B1 (en) Apparatus for mounting a mobile device on an automotive
KR101481256B1 (ko)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
KR101542196B1 (ko) 휴대용 기기의 크래들
US20170135233A1 (en) Remote control unit with lanyard attachment mechanism
TW201633274A (zh) 卷軸裝置及應用該卷軸裝置的電子裝置
CA2769915A1 (en) Assembly for mounting an inductive charger base station to a furniture work surface
US10428997B2 (en) Mounting member
KR200484442Y1 (ko) 모바일 디바이스용 고리형 액세서리
JP2019091985A (ja) 携帯端末保持具
KR101629434B1 (ko) 매직 스트랩
US20210075256A1 (en) Electronic-device holding apparatus and electronic-device holding suction apparatus
CN116367753A (zh) 用于电子设备的多功能附件附接系统
KR101650766B1 (ko) 마운팅 부재
KR200486973Y1 (ko) 고리형 액세서리가 부착된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
KR101880109B1 (ko)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KR101856447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지지장치
KR20180026850A (ko) 다중회전 구조의 휴대용 기기 링 액세서리
KR200487926Y1 (ko) 자석 거치대
KR20160125056A (ko) 모바일기기 파지용 액세서리
KR20160003392A (ko) 휴대 단말기용 홀더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케이스
KR101756172B1 (ko) 마운팅 부재
KR101856445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지지장치
CN220775895U (zh) 带支架的电子设备配件
KR101485138B1 (ko) 점착식 회전형 물품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