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5138B1 - 점착식 회전형 물품거치대 - Google Patents

점착식 회전형 물품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5138B1
KR101485138B1 KR20130108654A KR20130108654A KR101485138B1 KR 101485138 B1 KR101485138 B1 KR 101485138B1 KR 20130108654 A KR20130108654 A KR 20130108654A KR 20130108654 A KR20130108654 A KR 20130108654A KR 101485138 B1 KR101485138 B1 KR 101485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ounting hole
supporting member
elastic support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8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4204A (ko
Inventor
김용태
Original Assignee
이수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연 filed Critical 이수연
Publication of KR20140134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4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통신기기를 비롯하여 다양한 물품을 세워서 거치시킬 수 있으며, 물품의 거치방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점착식 회전형 물폼거치대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100); 상하로 긴 형상으로 되어 상기 프레임(100)의 전면으로 위치되도록 상단부가 상기 프레임(100)에 결합되며, 좌우 폭방향 단면이 중앙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만곡된 형상을 가져서, 외력이 가해지면 하단부가 외측으로 만곡되도록 탄성변형되는 탄성지지부재(200); 및 상기 프레임(100)에 구비되어, 프레임(100)을 피거치물(2)에 착탈가능하게 부착시키는 부착수단(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부착수단(300)을 이용해 피거치물(2)에 부착시키고 상기 탄성지지부재(200)의 돌출된 중앙부를 가압하면 탄성지지부재(200)의 하단이 외측으로 만곡되어 바닥에 지지됨으로써 피거치물(2)이 바닥에 경사지게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회전형 물품거치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점착식 회전형 물품거치대{Adhesive type goods cradle}
본 발명은 점착식 회전형 물품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통신기기를 비롯하여 다양한 물품을 세워서 거치시킬 수 있으며, 물품의 거치방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점착식 회전형 물폼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와 같은 휴대용 통신기기는 현대인들의 필수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통신기기는 손으로 잡고 사용하기도 하기만, 영화를 보는 경우와 같이, 많은 경우에 테이블에 세워 놓고 사용한다.
한편,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표면에 스크랫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케이스를 씌워서 사용한다. 따라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를 테이블에 세우기 위한 거치수단이 구비된 보호케이스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제품들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의 보호케이스에 거치수단이 구비된 것이기 때문에, 해당 물품마다 거치대 기능을 가지는 보호케이스를 구입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휴대용 통신기기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생활소품들을 테이블 등에 세워두면 사용이 편리한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손거울을 테이블에 세워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수첩이나 소책자를 테이블에 세워두고 보고자 하는 경우 등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물품을 테이블에 세워둘 마땅한 방안이 없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1588호(2011. 02. 16.)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통신기기를 비롯하여 다양한 물품에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거치대를 새로 탈부착시키지 않고도 물품의 거치방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하며, 형태도 콤팩트하여 휴대 및 보관도 용이한 새로운 구성의 점착식 회전형 물품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프레임(100); 상하로 긴 형상으로 되어 상기 프레임(100)의 전면으로 위치되도록 상단부가 상기 프레임(100)에 결합되며, 좌우 폭방향 단면이 중앙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만곡된 형상을 가져서, 외력이 가해지면 하단부가 외측으로 만곡되도록 탄성변형되는 탄성지지부재(200); 및
상기 프레임(100)에 구비되어, 프레임(100)을 피거치물(2)에 착탈가능하게 부착시키는 부착수단(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부착수단(300)을 이용해 피거치물(2)에 부착시키고 상기 탄성지지부재(200)의 돌출된 중앙부를 가압하면 탄성지지부재(200)의 하단이 외측으로 만곡되어 바닥에 지지됨으로써 피거치물(2)이 바닥에 경사지게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회전형 물품거치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탄성지지부재(200)는 금속판으로 된 심재(210)와, 실리콘으로 되어 상기 심재(210)를 감싸는 외피(2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회전형 물품거치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부착수단(300)은 배면이 상기 프레임(100)의 배면으로 노출되도록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원반(310)과, 상기 회전원반(310)의 배면에 부착되는 점착시트(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회전원반(310)이 프레임(100)에 대해 회전됨에 따라, 피거치물(2)에 대한 상기 탄성지지부재(200)의 방향을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회전형 물품거치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100)에는 전후로 관통되는 원형의 장착공(102)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공(102)의 둘레부 전면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걸림돌기(103)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원반(310)의 배면 중앙부에는 상기 장착공(102)에 삽입되는 보스(312)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회전원반(20)의 배면 둘레부에는 상기 걸림돌기(103)가 삽입되는 삽입홈(314)이 방사형으로 배열형성되어, 상기 회전원반(310)을 상기 보스(312)가 장착공(102)에 삽입되도록 상기 프레임(100)의 전면에서 상기 장착공(102)에 끼우면, 상기 회전원반(310)은 상기 탄성지지부재(200)에 의해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장착공(102)에 끼워진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회전원반(310)은 상기 걸림돌기(103)가 삽입홈(314)에 삽탈됨에 따라 프레임(100)에 대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회전형 물품거치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부착수단(300)은 상기 프레임(100)의 배면에 구비되는 제1자성체(330)와, 상기 제1자성체(330)에 부착되며 배면에는 피거치물(2)에 부착되는 점착시트(342)가 구비된 제2자성체(34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2자성체(33,340) 중 적어도 하나는 자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회전형 물품거치대가 제공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프레임(100)에 구비된 부착수단(300)을 이용해 다양한 물품에 탈부착할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하며, 하나의 거치대를 이용하여 여러 물품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이다.
본 발명에 의한 거치대는 탄성지지부재(200)의 돌출된 중앙부를 가압하면 탄성지지부재(200)의 하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바닥에 지지됨으로써, 피거치물(2)이 테이블에 경사지게 세워진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탄성지지부재(200)의 중앙부를 누르기만 하면 되므로, 조작이 간편하다.
또한, 탄성지지부재(200)의 금속제 심재(210)를 실리콘으로 된 외피(220)가 감싸고 있어서, 탄성지지부재(200)의 하단이 바닥에서 미끄러지지 않으므로 물품이 효과적으로 거치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거치대는 피거치물에 부착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거치대를 회전시켜서 피거치물의 거치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피거치물의 거치방향을 바뀌기 위해 거치대를 뗐다가 붙일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또, 상기 부착수단(300)이 회전원반(310)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회전원반(310)이 프레임(100)에 형성된 장착공(102)에 단순히 끼워진 상태로 조립되고, 탄성지지부재(200)에 의해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회전원반(310)의 조립이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상기 장착공(102)의 둘레부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원반(310)의 회전을 제어하는 걸림돌기(103) 양측으로 절취홈(104)이 형성되어 걸림돌기(103)에 전후방향으로 유동성이 부여됨으로써, 걸림돌기(103)가 회전원반(310)의 걸림홈(314)에 좀 더 원활하게 삽탈되기 때문에 회전원반(310)의 회전이 부드럽게 이루어진다.
또, 부착수단(300)이 제1, 2자성체(330,240)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사용자가 프레임(100) 또는 피거치물(2)을 회전시키면, 제1, 2자성체(33,340)가 서로 슬립되어 피거치물(2)의 거치방향이 조절된다.
이와 같이 부착수단(300)이 제1, 2자성체(330,340)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부착수단(300)이 회전원반(310)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비해, 피거치물(2)의 거치방향을 좀 더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정면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조립상태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단면도
도 5는 도 3의 부분확대 측단면도
도 6은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측단면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상단부가 프레임(100)에 결합되는 탄성지지부재(200)와, 상기 프레임(100)에 구비되어 프레임(100)을 피부착물(2)에 착탈가능하게 부착시키는 부착수단(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00)은 합성수지로 성형되는데, 상하로 긴 장방형으로 되어 전면 중앙부에는 상하로 긴 장방형의 오목부(101)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지지부재(200)는 상기 오목부(10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되어, 오목부(101)에 위치되도록 그 상단부가 프레임(100)에 결합된다. 이러한 탄성지지부재(200)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심재(210)와, 이 심재(210)를 커버하는 외피(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심재(210)는 프레임(100)의 오목부(101)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데, 그 상단부에는 프레임(100)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연장부(212)가 상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심재(210)는 폭방향 단면, 즉, 수평방향 단면이 중앙부로 갈수록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만곡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심재(210)는 배면이 지지된 상태에서 돌출된 중앙부에 외력이 가해지면, 폭방향으로의 만곡이 펴지면서 그 반발력에 의해 심재(210)의 길이방향 양단부가 외측으로 만곡되게 절곡된다. 본 발명에서 심재(210)의 상단부가 프레임(100)에 결합된 상태이므로 심재(210)의 하단부만 외측으로 만곡되게 절곡된다.
바람직하게는 심재(210)의 성형시에, 롤을 이용해 심재(210)를 폭방향으로 밴딩시킨 다음, 길이방향으로도 밴딩시켜서 열처리하는데, 이와 같이 하면, 심재(210)의 길이방향으로의 절곡이 좀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심재(210)는 외피(220)에 의해 커버된다. 금속판으로 된 심재(210)가 제품에 그대로 노출되면, 외관상으로도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심재(210)에 의해 사용자가 손을 다칠 우려도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심재(210)를 외피(220)로 커버시킨다.
이러한 외피(220)는 심재(210)의 탄성변형을 감소시키지 않도록 연질의 탄성소재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외피(220)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진다. 심재(210)가 외피(220)로 커버됨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탄성지지부재(200)의 하단이 바닥에서 미끄러지지 않아서 물품이 효과적으로 거치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심재(210)와 외피(220)로 이루어지는 탄성지지부재(200)는 프레임(100)의 오목부(101)에 위치되도록 심재(210)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연장부(212)에 의해 프레임(100)에 결합된다. 미 설명부호 208은 탄성지지부재(200)를 프레임(100)에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캡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목부(101)의 상측 둘레면에는 프레임(100)의 배면으로 연통되도록 개방된 개방부(108)가 형성되고, 이 개방부(108)에 상기 심재(210)의 결합연장부(212)가 끼워진다. 프레임(100)의 배면에는 결합돌기(109)가 형성되고, 심재(210)의 결합연장부(212)와 고정캡(208)에는 상기 결합돌기(109)가 삽입되는 결합공(217)과 결합홈(209)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심재(210)의 결합공(217)과 고정캡(208)의 결합홈(209)이 상기 결합돌기(109)에 끼워서 탄성지지부재(200)가 프레임(100)에 결합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착수단(300)은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원반(310)과, 이 회전원반(310)의 배면에 구비되는 점착시트(320)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00)에는 회전원반(310)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공(102)이 형성되는데, 장착공(102)의 둘레부 전면에는 상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103)가 소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원반(310)은 직경이 상기 장착공(102)보다 다소 크게 형성되어, 그 배면 중앙부에는 장착공(102) 내부로 삽입되는 보스(312)가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원반(310)의 배면 둘레부에는 상기 걸림돌기(103)가 삽탈되는 삽입홈(314)이 방사형태로 배열형성된다.
따라서 회전원반(310)의 보스(312)가 장착공(102)에 삽입되도록 회전원반(310)을 프레임(1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끼우면, 상기 걸림돌기(103)가 회전원반(310)의 임의의 삽입홈(314)에 삽입되는데, 회전원반(310)이 프레임(100)의 장착공(102)에 단순히 끼워진 상태이므로 회전원반(310)과 프레임(100)은 상호 회전가능하다. 이와 같이 장착공(102)에 끼워진 회전원반(310)은 탄성지지부재(200)에 의해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장착공(102)에 끼워진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프레임(100) 또는 회전원반(310)에 회전력이 작용되면, 상기 걸림돌기(103)가 회전원반(310)의 삽입홈(314)에 삽탈되면서 프레임(100)과 회전원반(310)이 상호 회전되고, 회전된 위치가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공(102)의 둘레부에는 상기 걸림돌기(103) 양측으로 절취홈(104)이 형성된다. 이 절취홈(104)에 의해 걸림돌기(103)에 전후방향으로의 유동성이 부여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돌기(103)가 삽입홈(314)에 용이하게 삽탈되어, 프레임(100)과 회전원반(310)의 회전이 좀 더 부드럽게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회전원반(310)의 배면에는 점착시트(320)가 구비된다. 점착시트(320)는 본 발명을 피거치물에 부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점착시트(320)는 반복사용이 가능한 점착면을 제공한다. 반복사용이 가능한 점착면을 형성하는 다양한 접착제들이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점착시트(320)는 이러한 점착제에 의해 형성된 다. 상기 점착시트(320)는 먼지 등에 의해 오염되어 점착력이 저하된 경우에 물로 세척하여 먼지를 제거하면 점착력이 복원되므로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회전원반(310)의 배면에 점착시트(320)를 부착시키기 전에, 회전원반(310)의 배면을 코로나처리 또는 프라이머처리하여 점착시트(320)와 회전원반(3130)의 부착력을 향상시킨다.
이는 점착시트(320)를 이용해 본 발명에 의한 거치대를 피거치물에 부착시킨 후, 거치대를 피거치물에서 떼어 낼 때, 점착시트(320)가 회전원반(310)에서 박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점착시트(320)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점착시트(320)에는 별도의 보호시트가 부착되어 제공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도 6과 7은 본 발명을 이용해 스마트폰을 거치시킨 것을 보인 도면이다.
상기 점착시트(320)를 이용해 본 발명을 피거치물(2)인 스마트폰의 배면에 부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탄성지지부재(200)의 돌출된 중앙부를 가압한다.
탄성지지부재(200)의 돌출된 중앙부를 가압하면, 가압되는 부분이 프레임(100)의 오목부(101) 바닥면에 지지되어 눌려지면서 탄성지지부재(200)의 폭방향으로의 만곡이 펴지게 되는데, 이때 발생되는 반발력에 의해 탄성지지부재(200)의 하단부가 외측으로 구부려져서 탄성지지부재(200)의 하단이 바닥에 지지된다. 따라서 스마트폰이 탄성지지부재(200)에 지지되어 바닥에 경사지게 세워진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거치대를 부착시킨 태블릿PC의 배면을 보인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태블릿PC를 세로로 길게 세워서 사용하다가, 태블릿PC를 가로로 길게 세울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프레임(100)을 손으로 잡고 태블릿PC를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태블릿PC와 함께 회전원반(310)이 회전되어, 태블릿PC에 대한 탄성지지부재(200)의 방향이 변경되어, 태블릿PC의 거치방향이 바뀐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태블릿PC의 거치방향을 바뀌기 위해 거치대를 뗐다가 다시 붙이지 않고, 태블릿PC을 회전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사용이 편리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효과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로서, 상기 부착수단(300)은 프레임(100)의 배면에 부착되는 제1자성체(330)와, 제1자성체(330)에 탈부착되는 제2자성체(34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2자성체(340)의 제1자성체(330)에 부착되는 면에 대향되는 면에는 점착시트(342)가 부착된다.
상기 제1, 2자성체(330,340) 중의 적어도 하나는 자석으로 이루어지고, 나머지 자성체는 자성을 갖는 금속편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제1, 2자성체(33,340)가 모두 자석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상기 제1자성체(330)는 일면이 프레임(100)의 배면으로 노출되도록 프레임(100)의 성형시에 인서트성형되거나 프레임(100)의 배면에 접착제로 부착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사용하고자 하는 피거치물(2)에 상기 제2자성체(340)를 점착시트(342)를 이용해 부착시킨다. 그리고 기 제1자성체(330)를 제2자성체(340)에 부착하여 프레임(100)을 피거치물(2)에 부착시킨다.
필요에 따라 피거치물(2)의 거치방향을 바꾸고자 하는 경우에는 피거치물(2)과 프레임(100)을 양 손에 잡고, 프레임(100) 또는 피거치물(2)을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제1, 2자성체(330,340)가 서로 슬립되어 프레임(100)에 대한 피거치물(2)의 방향이 변경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삽입홈(314)의 간격에 따라 피거치물(2)의 거치되는 방향이 제한을 받을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1, 2자성체(33,340)가 슬립되어 프레임(100)과 피거치물(2)이 회전되기 때문에, 피거치물(2)이 거치되는 방향을 좀 더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전후로 관통되는 장착공(102)이 형성된 프레임(100);
    상하로 긴 형상으로 되어 상기 프레임(100)의 전면으로 위치되도록 상단부가 상기 프레임(100)에 결합되며, 좌우 폭방향 단면이 중앙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만곡된 형상을 가져서, 외력이 가해지면 하단부가 외측으로 만곡되도록 탄성변형되는 탄성지지부재(200); 및
    상기 장착공(102)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원반(310)과, 상기 회전원반(310)의 배면에 부착되는 점착시트(320)로 이루어져서, 상기 프레임(100)을 피거치물(2)에 착탈가능하게 부착시키는 부착수단(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장착공(102)의 둘레부 전면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걸림돌기(103)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원반(310)의 배면 중앙부에는 상기 장착공(102)에 삽입되는 보스(312)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회전원반(310)의 배면 둘레부에는 상기 걸림돌기(103)가 삽입되는 삽입홈(314)이 방사형으로 배열형성되어,
    상기 회전원반(310)을 상기 보스(312)가 장착공(102)에 삽입되도록 상기 프레임(100)의 전면에서 상기 장착공(102)에 끼우면, 상기 회전원반(310)은 상기 탄성지지부재(200)에 의해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장착공(102)에 끼워진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회전원반(310)은 상기 걸림돌기(103)가 삽입홈(314)에 삽탈됨에 따라 프레임(100)에 대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회전형 물품거치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130108654A 2013-05-13 2013-09-10 점착식 회전형 물품거치대 KR1014851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3758 2013-05-13
KR1020130053758 2013-05-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204A KR20140134204A (ko) 2014-11-21
KR101485138B1 true KR101485138B1 (ko) 2015-01-28

Family

ID=52455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8654A KR101485138B1 (ko) 2013-05-13 2013-09-10 점착식 회전형 물품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51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272Y1 (ko) * 2017-02-03 2020-03-11 주식회사 엘투엠에이 탈부착 사용 구조를 갖는 휴대폰 보조 배터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555Y1 (ko) 1999-10-25 2000-04-15 강용식 휴대폰의 휴대구조
KR200316345Y1 (ko) 2003-03-05 2003-06-18 최영민 휴대폰 거치대
KR101042534B1 (ko) * 2010-07-06 2011-06-21 김현수 핸드폰 거치대
KR20120118275A (ko) * 2011-04-18 2012-10-26 배동기 받침대가 장착된 핸드폰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555Y1 (ko) 1999-10-25 2000-04-15 강용식 휴대폰의 휴대구조
KR200316345Y1 (ko) 2003-03-05 2003-06-18 최영민 휴대폰 거치대
KR101042534B1 (ko) * 2010-07-06 2011-06-21 김현수 핸드폰 거치대
KR20120118275A (ko) * 2011-04-18 2012-10-26 배동기 받침대가 장착된 핸드폰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204A (ko) 2014-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1686B1 (ko) 점착식 물품거치대
US8706175B2 (en) Phone and tablet stand
TWI575820B (zh) 用於可攜式電子裝置的殼體結構
US11320089B2 (en) Expandable magnetic holder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US5765683A (en) Mirrored lipstick case attachment
KR101066162B1 (ko) 바-타입 휴대폰용 케이스
WO2013010397A1 (zh) 移动设备的保护壳
US20140191099A1 (en) Mobile Holder
KR101485138B1 (ko) 점착식 회전형 물품거치대
KR101146442B1 (ko) 휴대용 단말기 커버
KR200462821Y1 (ko) 캐릭터 형상의 휴대 전자기기 보호 케이스
WO1999049584A1 (en) Device made of plastic material for mobile fixation of cellular telephones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KR200483942Y1 (ko)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세트
KR200461030Y1 (ko) 휴대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KR101856447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지지장치
KR101738616B1 (ko) 이동통신기기 거치대
KR20140004981U (ko) 모바일기기용 보호케이스
CN209105256U (zh) 电子设备保护壳
CN213817879U (zh) 一种与钢化膜结合的手机保护壳
KR20160048736A (ko) 차량용 휴대폰 거치대 세트
KR20160003392A (ko) 휴대 단말기용 홀더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케이스
CN210899242U (zh) 用于移动终端的装饰件固定结构、套件及移动终端保护套
CN220775881U (zh) 电子设备支架
JP2020088560A (ja) 携帯端末用アクセサリー
KR101636059B1 (ko) 전자기기용 액세서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