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8023B1 - 디스플레이 기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기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8023B1
KR101468023B1 KR20120101815A KR20120101815A KR101468023B1 KR 101468023 B1 KR101468023 B1 KR 101468023B1 KR 20120101815 A KR20120101815 A KR 20120101815A KR 20120101815 A KR20120101815 A KR 20120101815A KR 101468023 B1 KR101468023 B1 KR 101468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gonal
ring
hole
display device
body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01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5209A (ko
Inventor
신기수
박지웅
Original Assignee
(주)애니토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애니토이 filed Critical (주)애니토이
Priority to KR20120101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8023B1/ko
Publication of KR20140035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5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8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8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평판의 형상을 가지는 몸체판부재와, 상기 몸체판부재의 표면에 부착되며, 접착제로 이루어져 디스플레이 기기의 뒷면과 접착되는 접착제층과, 상기 몸체판부재로부터 돌출되며,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다각축부재와, 상기 몸체판부재와 결합되되, 상기 몸체판부재에 대해서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다각축부재가 삽입되며 상기 다각축부재보다 적은 수의 다각형 형상을 가지는 축결합다각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축결합다각관통공과 이격되어 위치되며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링결합다각관통공을 가지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링결합다각관통공과 결합되며, 링형상을 가지며, 상기 회전부재에 대해서 상대회동가능하며, 상기 링결합다각관통공에 삽입되는 부위인 다각부는 상기 링결합다각관통공보다 많은 수의 다각형 단면을 가지는 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아이폰이나 스마트폰 등의 디스플레이 기기와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 대해서 회전 및 회동이 자유로워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마음대로 조정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가 사용자가 보기 좋은 각도로 기울어진 위치에서 그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차량에도 거치시킬 수 있으며, 원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 대해서 상대회전이나 상대회동이 방지되며, 일정한 힘을 주어야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 대해서 상대회전이나 상대회동을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기기 거치대{Upholding apparatus of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이폰이나 스마트폰 등의 디스플레이 기기를 원하는 각도에서 그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와 인터넷을 접목시킨 일명 아이폰이나 스마트폰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아이패드나 갤럭스탭 등 태블릿 피씨(PC) 등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아이폰이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피씨 등의 디스플레이 기기는 그 화면을 사용자가 장시간 보아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가 일정한 각도에서 기울어져 그 위치를 고수해야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경우가 종종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와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기울어진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하여, 몇 가지의 안들이 제안된 바 있으나, 종래의 이러한 장치들은 일정한 각도 범위에서만 사용할 수 있어 그 사용이 불편하였다.
또한, 종래의 디스플레이 기기 고정장치는 사용자가 원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 대해서 상대회전 등이 되어버려서 사용 상의 불편함이 가중되는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아이폰이나 스마트폰 등의 디스플레이 기기와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 대해서 회전 및 회동이 자유로워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마음대로 조정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가 사용자가 보기 좋은 각도로 기울어진 위치에서 그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차량에도 거치시킬 수 있으며, 원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 대해서 상대회전이나 상대회동이 방지되며, 일정한 힘을 주어야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 대해서 상대회전이나 상대회동을 시킬 수 있는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기 거치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 거치대는, 평판의 형상을 가지는 몸체판부재와, 상기 몸체판부재의 표면에 부착되며, 접착제로 이루어져 디스플레이 기기의 뒷면과 접착되는 접착제층과, 상기 몸체판부재로부터 돌출되며,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다각축부재와, 상기 몸체판부재와 결합되되, 상기 몸체판부재에 대해서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다각축부재가 삽입되며 상기 다각축부재보다 적은 수의 다각형 형상을 가지는 축결합다각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축결합다각관통공과 이격되어 위치되며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링결합다각관통공을 가지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링결합다각관통공과 결합되며, 링형상을 가지며, 상기 회전부재에 대해서 상대회동가능하며, 상기 링결합다각관통공에 삽입되는 부위인 다각부는 상기 링결합다각관통공보다 많은 수의 다각형 단면을 가지는 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 거치대에는, 상기 축결합다각관통공에 위치되며, 상기 다각축부재의 외주에 끼워지며, 탄성을 가지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다각축고무링이 더 포함되어, 상기 다각축부재가 상기 축결합다각관통공 내에서 회전될 때 상기 다각축부재의 각이 진 부위에 의해서 압축되었다가, 상기 다각축부재의 일정 범위의 회전이 끝나면 다시 원상태로 회복되면서 상기 다각축부재의 위치를 고정시키며, 상기 링결합다각관통공에 위치되며, 상기 링부재의 다각부의 일면과 접촉되며, 탄성을 가지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다각부고무링이 더 포함되어, 상기 링부재가 상기 링결합다각관통공 내에서 회동될 때 상기 다각부의 각이 진 부위에 의해서 압축되었다가, 상기 다각부의 일정 범위의 회동이 끝나면 다시 원상태로 회복되면서 상기 다각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 거치대는, 상기 회전부재의 축결합다각관통공의 상기 다각축부재가 삽입되는 면의 반대면을 밀폐시키는 캡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 거치대의 상기 다각축부재는 12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축결합다각관통공은 4각형의 단면을 가지되 네 모서리는 라운드 처리되어 있으며, 상기 링결합다각관통공은 4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다각부는 8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 거치대는, 차량 내에 위치되며, 평판의 형상을 가지는 평판부재와, 상기 평판부재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양단돌출부와, 상기 평판부재와 이격되어 평행하게 위치되며 상기 양단돌출부와 결합되는 이격판부재를 가지는 차량거치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양단돌출부에는 원호 형상의 홈인 링부재탈착홈을 가져서, 상기 링부재가 상기 링부재탈착홈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몸체부재와 결합된 디스플레이 기기를 차량 내에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 거치대에 의하면, 아이폰이나 스마트폰 등의 디스플레이 기기와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 대해서 회전 및 회동이 자유로워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마음대로 조정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가 사용자가 보기 좋은 각도로 기울어진 위치에서 그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차량에도 거치시킬 수 있으며, 원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 대해서 상대회전이나 상대회동이 방지되며, 일정한 힘을 주어야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에 대해서 상대회전이나 상대회동을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 거치대의 분리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기기 거치대의 다각축부재가 축결합다각관통공 내에서 회전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기기 거치대의 링부재가 링결합다각관통공 내에서 회동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내지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기기 거치대의 링부재의 회동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기기 거치대가 차량 내에서 사용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 거치대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 거치대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 거치대의 분리 단면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기기 거치대의 다각축부재가 축결합다각관통공 내에서 회전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기기 거치대의 링부재가 링결합다각관통공 내에서 회동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 4 내지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기기 거치대의 링부재의 회동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를, 도 7 내지 도 9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기기 거치대가 차량 내에서 사용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 거치대(100)는 몸체판부재(10)와, 접착제층(20)과, 다각축부재(30)와, 회전부재(40)와, 링부재(5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몸체판부재(10)는 평판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 접착제층(20)은 상기 몸체판부재(10)의 표면에 부착되며, 접착제로 이루어져 디스플레이 기기(3)의 뒷면과 접착되는 것이다.
상기 다각축부재(30)는 상기 몸체판부재(10)로부터 돌출되며,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 회전부재(40)는 상기 몸체판부재(10)와 결합되되, 상기 몸체판부재(10)에 대해서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부재(40)에는 축결합다각관통공(42)과 링결합다각관통공(44)을 가진다.
상기 축결합다각관통공(42)은 상기 다각축부재(30)가 삽입되며 상기 다각축부재(30)보다 적은 수의 다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 링결합다각관통공(44)은 상기 축결합다각관통공(42)과 이격되어 위치되며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 링부재(50)는 상기 회전부재(40)의 링결합다각관통공(44)과 결합되며, 링형상을 가지며, 상기 회전부재(40)에 대해서 상대회동가능한 것이다.
상기 링부재(50)에는 상기 링결합다각관통공(44)에 삽입되는 부위인 다각부(52)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다각부(52)는 상기 링결합다각관통공(44)보다 많은 수의 다각형 단면을 가지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다각축고무링(60)과, 다각부고무링(70)이 더 포함된다.
상기 다각축고무링(60)은 상기 축결합다각관통공(42)에 위치되며, 상기 다각축부재(30)의 외주에 끼워지며, 탄성을 가지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다각축고무링(60)은, 상기 다각축부재(30)가 상기 축결합다각관통공(42) 내에서 회전될 때 상기 다각축부재(30)의 각이 진 부위에 의해서 압축되었다가, 상기 다각축부재(30)의 일정 범위의 회전이 끝나면 다시 원상태로 회복되면서 상기 다각축부재(3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이다.
상기 다각부고무링(70)은 상기 링결합다각관통공(44)에 위치되며, 상기 링부재(50)의 다각부(52)의 일면과 접촉되며, 탄성을 가지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다각부고무링(70)은, 상기 링부재(50)가 상기 링결합다각관통공(44) 내에서 회동될 때 상기 다각부(52)의 각이 진 부위에 의해서 압축되었다가, 상기 다각부(52)의 일정 범위의 회동이 끝나면 다시 원상태로 회복되면서 상기 다각부(52)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40)의 축결합다각관통공(42)의 상기 다각축부재(30)가 삽입되는 면의 반대면을 밀폐시키는 캡부재(80)가 더 포함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다각축부재(30)는 12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축결합다각관통공(42)은 4각형의 단면을 가지되, 그 네 모서리는 라운드 처리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링결합다각관통공(44)은 4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다각부(52)는 8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 거치대(100)가 차량의 내부에서도 장착되게 하기 위해서 차량거치부재(9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차량거치부재(90)는 평판부재(92)와, 양단돌출부(94)와, 이격판부재(96)를 가진다.
상기 평판부재(92)는 차량 내에 위치되며, 평판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 양단돌출부(94)는 상기 평판부재(92)의 양단으로부터 돌출되는 것이다.
상기 이격판부재(96)는 상기 평판부재(92)와 이격되어 평행하게 위치되며 상기 양단돌출부(94)와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양단돌출부(94)에는 원호 형상의 홈인 링부재탈착홈(98)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링부재(50)가 상기 링부재탈착홈(98)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몸체판부재(10)와 결합된 디스플레이 기기를 차량 내에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 거치대(100)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상기 접착제층(20)을 이용하여 상기 몸체판부재(10)를 원하는 디스플레이 기기(3)의 뒷면에 접착시켜 본 디스플레이 기기 거치대(100)를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부재(40)가 상기 몸체판부재(10)에 대해서 상대회전하는 것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40)의 축결합다각관통공(42)에는 상기 다각축부재(30)가 삽입되어 결합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다각축부재(30)는 12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축결합다각관통공(42)은 4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면서, 그 네 모서리는 라운드 처리가 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의 단면을 도 2a 에 도시하였다.
이어서, 상기 회전부재(40)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다각축부재(30)의 어느 한 각진 부분은 도 2b 의 상태에서 도 2c 의 상태로 변경된다.
이때, 상기 다각축부재(30)의 어느 한 각진 부분이 상기 축결합다각관통공(42)의 일면을 파고들어가듯 상기 다각축부재(30)의 어느 한 각진 부분과 상기 축결합다각관통공(42)의 접촉이 최대점에 이르렀다가, 사용자의 힘으로 계속해서 상기 회전부재(40)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다각축부재(30)의 어느 한 각진 부분과 상기 축결합다각관통공(42)의 접촉은 최대점을 넘어서고 상기 다각축부재(30)는 상기 축결합다각관통공(42) 내에서 일정 범위 회전이 되는 것이다. 이것을 도 2d 에 도시하였다.
따라서, 상기 다각축부재(30)의 어느 한 각진 부분과 상기 축결합다각관통공(42)의 접촉이 어느 최대점을 넘어서야 하므로 원하지 않는 다각축부재(30)의 회전이 방지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어느 일정한 양의 힘을 계속 주지 않으면, 상기 다각축부재(30)는 상기 축결합다각관통공(42) 내에서 회전할 수 없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링부재(50)가 상기 회전부재(40) 및 몸체판부재(10)에 대해서 상대회동하는 것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부재(50)의 다각부(52)는 상기 링결합다각관통공(44)에 삽입되어, 상기 링부재(50)가 상기 회전부재(40)에 결합되어 있다.
그런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다각부(52)는 8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링결합다각관통공(44)은 4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결합의 단면을 도 3a 에 도시하였다.
이어서, 상기 링부재(50)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다각부(52)의 어느 한 각진 부분은 도 3b 의 상태에서 도 3c 의 상태로 변경된다.
이때, 상기 다각부(52)의 어느 한 각진 부분이 상기 링결합다각관통공(44)의 일면을 파고들어가듯 상기 다각부(52)의 어느 한 각진 부분과 상기 링결합다각관통공(44)의 접촉이 최대점에 이르렀다가, 사용자의 힘으로 계속해서 상기 링부재(50)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다각부(52)의 어느 한 각진 부분과 상기 링결합다각관통공(44)의 접촉은 최대점을 넘어서고 상기 다각부(52)는 상기 링결합다각관통공(44) 내에서 일정 범위 회전이 되는 것이다. 이것을 도 3d 에 도시하였다.
따라서, 상기 다각부(52)의 어느 한 각진 부분과 상기 링결합다각관통공(44)의 접촉이 어느 최대점을 넘어서야 하므로 원하지 않는 다각부(52)의 회전이 방지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어느 일정한 양의 힘을 계속 주지 않으면, 상기 링부재(50)는 상기 링결합다각관통공(44) 내에서 회동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상기 링부재(50)를 원하는 만큼 회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링부재(50)의 끝단을 지면이나 책상 등의 바닥면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3)를 보기 좋은 각도에서 기울인 상태에서 그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링부재(50)가 상기 회전부재(40) 및 몸체판부재(10)에 대해서 회동되는 모습을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기 거치대(100)는 상기 평판부재(92)와, 양단돌출부(94)와 이격판부재(96)를 포함하는 차량거치부재(90)의 구성만 있으면, 차량의 내부에서도 장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3)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3)가 길 안내를 하는 네이게이션으로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양단돌출부(94)에는 원호 형상으로 파여진 링부재탈착홈(98)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링부재탈착홈(98)에 상기 링부재(50)를 사용자가 힘을 주면서 끼워 넣으면, 상기 링부재(50)는 억지 끼워 맞춤의 형식와 유사하게 상기 링부재탈착홈(98)에 억지로 끼워져서 상기 링부재탈착홈(98)에 수용된다.
그러므로, 일정한 힘을 주지 않으면, 상기 링부재(50)는 상기 링부재탈착홈(98)으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므로 충격의 발생 등 원치않는 상황에서는 상기 링부재(50)는 상기 링부재탈착홈(98)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3)가 상기 차량거치부재(9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10. 몸체판부재 20. 접착제층
30. 다각축부재 40. 회전부재
42. 축결합다각관통공 44. 링결합다각관통공
50. 링부재 52. 다각부
60. 다각축고무링 70. 다각부고무링
80. 캡부재 90. 차량거치부재
92. 평판부재 94. 양단돌출부
96. 이격판부재 98. 링부재탈착홈

Claims (5)

  1. 평판의 형상을 가지는 몸체판부재(10);
    상기 몸체판부재(10)의 표면에 부착되며, 접착제로 이루어져 디스플레이 기기(3)의 뒷면과 접착되는 접착제층(20);
    상기 몸체판부재(10)로부터 돌출되며,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다각축부재(30);
    상기 몸체판부재(10)와 결합되되, 상기 몸체판부재(10)에 대해서 상대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다각축부재(30)가 삽입되며 상기 다각축부재(30)보다 적은 수의 다각형 형상을 가지는 축결합다각관통공(42)을 가지며, 상기 축결합다각관통공(42)과 이격되어 위치되며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링결합다각관통공(44)을 가지는 회전부재(40);
    상기 회전부재(40)의 링결합다각관통공(44)과 결합되며, 링형상을 가지며, 상기 회전부재(40)에 대해서 상대회동가능하며, 상기 링결합다각관통공(44)에 삽입되는 부위인 다각부(52)는 상기 링결합다각관통공(44)보다 많은 수의 다각형 단면을 가지는 링부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결합다각관통공(42)에 위치되며, 상기 다각축부재(30)의 외주에 끼워지며, 탄성을 가지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다각축고무링(60)이 더 포함되어, 상기 다각축부재(30)가 상기 축결합다각관통공(42) 내에서 회전될 때 상기 다각축부재(30)의 각이 진 부위에 의해서 압축되었다가, 상기 다각축부재(30)의 일정 범위의 회전이 끝나면 다시 원상태로 회복되면서 상기 다각축부재(30)의 위치를 고정시키며,
    상기 링결합다각관통공(44)에 위치되며, 상기 링부재(50)의 다각부(52)의 일면과 접촉되며, 탄성을 가지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다각부고무링(70)이 더 포함되어, 상기 링부재(50)가 상기 링결합다각관통공(44) 내에서 회동될 때 상기 다각부(52)의 각이 진 부위에 의해서 압축되었다가, 상기 다각부(52)의 일정 범위의 회동이 끝나면 다시 원상태로 회복되면서 상기 다각부(52)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거치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의 축결합다각관통공의 상기 다각축부재가 삽입되는 면의 반대면을 밀폐시키는 캡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거치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축부재(30)는 12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축결합다각관통공(42)은 4각형의 단면을 가지되 네 모서리는 라운드 처리가 되어 있으며,
    상기 링결합다각관통공(44)은 4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다각부(52)는 8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거치대.
  5. 삭제
KR20120101815A 2012-09-13 2012-09-13 디스플레이 기기 거치대 KR101468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01815A KR101468023B1 (ko) 2012-09-13 2012-09-13 디스플레이 기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01815A KR101468023B1 (ko) 2012-09-13 2012-09-13 디스플레이 기기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209A KR20140035209A (ko) 2014-03-21
KR101468023B1 true KR101468023B1 (ko) 2015-01-29

Family

ID=50645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01815A KR101468023B1 (ko) 2012-09-13 2012-09-13 디스플레이 기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80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856B1 (ko) 2014-08-29 2021-06-16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단말기 거치대
KR101861530B1 (ko) * 2016-09-26 2018-05-28 (주)아이티버스 패치형 컨트롤러
KR101992297B1 (ko) * 2018-02-28 2019-06-24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 충전 케이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754Y1 (ko) 2006-08-07 2006-10-27 엠앤드엠 주식회사 체결작업의 편리성을 증진시킨 디스플레이장치용 거치대
JP2009166756A (ja) 2008-01-18 2009-07-30 Yupiteru Corp 車載機器用支持具
KR20100129880A (ko) * 2009-06-02 2010-12-10 김현섭 휴대기기용 거치대
JP2013039919A (ja) 2012-10-26 2013-02-28 Yupiteru Corp 車載機器用支持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754Y1 (ko) 2006-08-07 2006-10-27 엠앤드엠 주식회사 체결작업의 편리성을 증진시킨 디스플레이장치용 거치대
JP2009166756A (ja) 2008-01-18 2009-07-30 Yupiteru Corp 車載機器用支持具
KR20100129880A (ko) * 2009-06-02 2010-12-10 김현섭 휴대기기용 거치대
JP2013039919A (ja) 2012-10-26 2013-02-28 Yupiteru Corp 車載機器用支持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209A (ko) 2014-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40009B (zh) 铰链结构及应用该铰链结构的折叠式电子装置
US20130127308A1 (en) Multifunctional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1684840B (zh) 磁性铰链结构
US9179565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lder
US20170285688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8950715B2 (en) Support apparatus
KR101468023B1 (ko) 디스플레이 기기 거치대
US8534634B2 (en) Support mechanism
US9753497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necting device
CN102606858A (zh) 支撑架及带有支撑架的电子设备
CN101515109B (zh) 具有投影功能的便携式电子装置
US9720308B2 (en) Electronic device
CN101988618A (zh) 显示器及其支撑装置
CN108870018B (zh) 一种显示设备
US20160143167A1 (en) Support device for a display
CN103871322A (zh) 显示器
US20170298982A1 (en) Hinge assembly with compressible sleeve
TWI692236B (zh) 頭戴顯示裝置
KR101555235B1 (ko) 다양한 두께를 갖는 휴대기기용 마운트
US20130053145A1 (en) Supplementary game controller for tablet computer
CN104075083A (zh) 阻尼转动轴装置及电器设备
CN105691320B (zh) 行车记录仪及支架
CN103604031A (zh) 固持机构
EP4166838A1 (en) Rotation base and all-in-one apparatus
KR200477914Y1 (ko) 디스플레이와 결합 가능한 우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