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1530B1 - 패치형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패치형 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1530B1
KR101861530B1 KR1020160122793A KR20160122793A KR101861530B1 KR 101861530 B1 KR101861530 B1 KR 101861530B1 KR 1020160122793 A KR1020160122793 A KR 1020160122793A KR 20160122793 A KR20160122793 A KR 20160122793A KR 101861530 B1 KR101861530 B1 KR 101861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unit
function
mobile phone
butto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2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3627A (ko
Inventor
김연수
현의섭
Original Assignee
(주)아이티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티버스 filed Critical (주)아이티버스
Priority to KR1020160122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1530B1/ko
Priority to US16/335,681 priority patent/US20210141425A1/en
Priority to CN201790001259.5U priority patent/CN211427312U/zh
Priority to JP2019537731A priority patent/JP2019530123A/ja
Priority to PCT/KR2017/010584 priority patent/WO2018056783A1/ko
Priority to EP17853497.0A priority patent/EP3518084B1/en
Publication of KR20180033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3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ending/receiving arrangement to establish a cordless communication link, e.g. radio or infrared link, integrated cellular pho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4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A63F13/92Video game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be hand-held while play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A63F13/98Accessories, i.e. detachable arrangements optional for the use of the video game device, e.g. grip supports of game cont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enclosures rotating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or with ball-joint coupling, e.g. PDA with display enclosure orientation changeable between portrait and landscape by rotation with respect to a coplanar body encl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4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detachable, e.g. for remote 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3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the transmission of signal or power between the different housings, e.g. details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passage of cab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3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04N5/23206
    • B64C2201/14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는 저면 또는 측면에는 휴대폰, 휴대폰 케이스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도록 형성된 입력부가 구비된 본체;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휴대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패치형 컨트롤러{PATCH TYPE CONTROLLER}
본 발명은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휴대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입력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스마트폰 등의 휴대 가능한 단말기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스마트폰의 경우 휴대가 간편하고 통화 본연의 기능에 충실하도록 작은 크기의 액정이 적용되었으나, 최근 사용자들은 휴대성보다는 넓은 화면에서 더욱 많은 정보를 얻는 것을 선호하는 추세가 계속됨으로써 큰 사이즈의 액정을 구비한 스마트폰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스마트폰의 사이즈 증대로 인하여 사용자의 시각적 쾌적감을 만족시킬 수는 있지만, 스마트폰을 한 손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마트폰의 경우 대부분의 입력은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게임을 할 경우 정교한 조작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 조작 버튼을 손으로 입력하여 조작하는 경우, 조작 버튼이나 손이 디스플레이를 가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하기 선행문헌에는 스마트폰의 응용프로그램 사용으로 동작하는 스마트폰의 블루투스 기능에 의해 실시간으로 무선 원격 제어 및 LED 동작과 관련한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가지는 컨트롤러에 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3-0000875호
본 발명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
큰 사이즈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라도 사용자가 한 손으로 자유롭고 간단히 휴대용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 패치형 컨트롤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는 저면 또는 측면에는 휴대폰, 휴대폰 케이스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도록 형성된 입력부가 구비된 본체;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휴대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의 측면 또는 저면으로부터 상기 본체의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휴대폰, 휴대폰 케이스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거치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는 입력부를 구비하는 적어도 2개의 분체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적어도 2개의 분체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연결부 및 상기 분체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가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는 일측면이 상기 본체의 저면에 배치된 접착부재이고, 상기 접착부재의 타측면은 상기 휴대폰, 휴대폰 케이스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일측에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삽입하여 상기 휴대폰, 휴대폰 케이스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상기 본체의 일측면 및 타측면과 연결되되, 상기 지지부가 상기 몸체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O"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상하 방향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본체로부터 좌우 방향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력부는, 방향키 기능, 마우스 기능 및 스크롤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성 UI(User Interface) 기능을 수행하는 방향 입력부; 및 상기 휴대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구비하고 있는 특정 기능을 구동시키는 기능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 입력부는, 측방향 가압에 기초하여 방향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향 입력 유닛; 및 상기 방향 입력 유닛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하향 가압에 의하여 상기 방향 신호와는 다른 추가 신호를 발생시키는 누름 버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가 신호는 클릭 신호 또는 엔터 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가 신호는 휴대폰의 전화 통화 온/오프 신호 또는 휴대폰의 스피커폰 기능의 온/오프 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 입력부로부터 발생되는 방향 신호의 방향성을 설정할 수 있는 설정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대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는, 상기 방향 입력부로부터 발생되는 방향 신호의 방향성을 설정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능 입력부는 상기 휴대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 버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능 버튼에 의하여 실행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대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는, 상기 기능 버튼에 의하여 실행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능 입력부는 상기 휴대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특정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능 입력부는 휴대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홈 버튼(Home Button), 백 버튼(Back Button) 및 특정 모드 버튼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능 입력부는 휴대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거나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버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는, 상기 입력부 및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폰 및 상기 휴대폰과 무선 통신을 통하여 구동되는 구동 디바이스를 동시에 제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 디바이스는 드론이고, 상기 입력부에 의하여 상기 드론의 조정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론에 부착된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이 상기 휴대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전송되어 상기 휴대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의 일측면으로부터 바(Bar) 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바; 및 상기 연장바 중 상기 본체와 대향되는 일단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력부는 방향키 기능, 마우스 기능 및 스크롤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성 UI(User Interface) 기능을 수행하는 방향 입력부 및 상기 휴대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구비하고 있는 특정 기능을 구동시키는 기능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 입력부는 측방향 가압에 기초하여 방향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향 입력 유닛 및 상기 방향 입력 유닛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하향 가압에 의하여 상기 방향 신호와는 다른 추가 신호를 발생시키는 누름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 입력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버튼은 상기 누름 버튼 또는 상기 기능 버튼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 버튼이 상기 휴대폰, 휴대폰 케이스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측면에 부착되도록 상기 연장바의 끝단은 휘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대폰이 실장되는 휴대폰 케이스에는 상기 본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홀 또는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대폰 케이스의 홀 또는 홈의 내주면에는 제1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 중 상기 제1 체결부와 대응되는 부분에는 제2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부 및 제2 체결부가 상호 결합되어 상기 본체가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는 휴대폰, 휴대폰 케이스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와 입력부가 구비된 본체 및 휴대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패치형 컨트롤러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한 손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별도의 입력버튼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가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입력버튼을 밀기버튼 및 누름버튼의 조합에 의한 다양한 신호의 생성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원가 절감 및 휴대용 단말기의 높이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가 휴대폰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의 구성 중 방향 입력부로 활용 가능한 스마트 버튼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의 제1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는 크게 본체(1000)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체(1000)는 구체적으로 연결부(100) 및 입력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연결부(100)는 본체(1000)의 저면 또는 측면에 형성되어 휴대폰(10), 휴대폰 케이스 또는 타블렛과 같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제어부는 휴대폰(10)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특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00)가 본체(1000)의 측면 또는 저면으로부터 본체의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이러한 연결부(100)는 휴대폰(10)이나. 휴대폰이 이미 수용된 휴대폰 케이스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거치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의 연결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0)와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의 본체(1000) 상면에는 방향 입력부(210) 및 기능 입력부(220)가 배치되고, 더 나아가 터치패드(230) 등의 추가 입력 수단이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입력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를 휴대폰, 휴대폰 케이스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결합함으로써, 패치형 컨트롤러는 게임 패드와 같이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는 크게 본체(1000)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체(1000)는 구체적으로 연결부(100) 및 입력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연결부(100)는 본체(1000)의 저면 또는 측면에 형성되어 휴대폰(10), 휴대폰 케이스 또는 타블렛과 같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제어부는 휴대폰(10)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와 마찬가지로 연결부(100)가 본체(1000)의 측면 또는 저면으로부터 본체의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이러한 연결부(100)는 휴대폰(10)이나. 휴대폰이 이미 수용된 휴대폰 케이스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거치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의 경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0)는 입력부를 구비하는 2개의 분체로 형성되되, 연결부(100)는 2개의 분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연결부(100) 및 2개의 분체가 연결되게 된다.
도 3 및 도 4의 경우, 2개의 분체가 각각 휴대용 단말기가 가로로 놓여 있는 기준으로 연결부(10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며, 나아가 분체는 2개가 아닌 2개 이상, 예를 들면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의 4개의 분체가 연결부(100)를 중심으로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의 연결부(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체들과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의 분체들 상면에는 각각 방향 입력부(210) 및 기능 입력부(22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입력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를 휴대폰, 휴대폰 케이스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결합함으로써, 사용자가 2개의 분체를 두 손으로 각각 파지할 수 있도록 패치형 컨트롤러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가 휴대폰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는 크게 본체(1000)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체(1000)는 구체적으로 연결부(100) 및 입력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연결부(100)는 그 일측면이 본체(1000)의 저면에 배치된 접착부재이며, 접착부재의 타측면은 휴대폰(10), 휴대폰 케이스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일측에 접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10) 등의 후면에 부착되게 된다.
제어부는 휴대폰(10)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의 본체(1000)에는 각각 방향 입력부(210) 및 기능 입력부(22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입력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의 본체(1000)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삽입하여 휴대폰(10) 등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지지부(410, 43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지지부(4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일단 및 타단이 각각 본체(1000)의 일측면 및 타측면과 연결되되 지지부(410)가 몸체(1000)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본체(1000)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0)의 상면에는 연결부재(42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O"자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부(430)가 연결부재(420)와 연결되되, 연결부재(420)로부터 상하 방향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상술한 연결부재(420)는 본체(1000)를 중심으로 좌우 방향 회동 가능하도록 본체(1000)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결국 지지부(430)는 본체(1000)를 기준으로 상하좌우 방향으로 모두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의 본체(1000) 상면에는 각각 방향 입력부(210) 및 기능 입력부(22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입력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의 입력부에 대하여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의 구성 중 방향 입력부로 활용 가능한 스마트 버튼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는 본체(1000) 상면에 입력부를 구비하는데, 이러한 입력부는 방향 입력부(210) 및 기능 입력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방향 입력부(210)는 방향키 기능, 마우스 기능 및 스크롤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성 UI(User Interface)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또한, 방향 입력부(210)는 측방향 가압에 기초하여 방향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향 입력 유닛(211) 및 방향 입력 유닛(211)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하향 가압에 의하여 방향 신호와는 다른 추가 신호를 방생시키는 누름 버튼(212)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누름 버튼(212)에 의하여 발생한 추가 신호는 클릭 신호나 엔터 신호일 수 있으며, 또는 휴대폰의 전화 통화 온/오프 신호나 스피커폰 기능의 온/오프 신호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는 방향 입력부(210)로부터 발생되는 방향 신호의 방향성을 설정할 수 있는 설정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의 경우, 방향 입력부(210)는 휴대폰(10)의 디스플레이 방향쪽에 배치되는 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의 경우, 방향 입력부(210)는 휴대폰(10)의 디스플레이와 반대 방향쪽에 배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에서의 방향 입력부(210)에서의 좌/우 방향 설정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의 방향 입력부(210)의 경우와 반대로 설정되어야 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패치 컨트롤러는 이를 설정할 수 있는 설정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휴대폰(10)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는 방향 입력부(210)로부터 발생되는 방향 신호의 방향성을 설정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이 설치되도록 하여,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의하여 방향 신호의 방향성을 설정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방향 신호의 방향성의 설정을 사용자가 수동으로 입력하지 않고 휴대폰(10)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내에서의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등과 연동하여 방향 입력부(210)의 방향 신호의 방향성을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방향 입력부(210)의 경우,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스마트 버튼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방향 입력부(210)의 구조 및 기능의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우선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에 적용되는 방향 입력부(210)의 일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에 적용되는 방향 입력부(210)는 크게 하우징(1110), 밀기버튼(1120), 센서(1130) 및 접점(1140)을 포함한다.
하우징(1110)은 상측이 개방된 내측공간이 마련되도록 형성된다.
밀기버튼(1120)은 하우징(1100)에 마련된 내측공간에 안착되며, 내측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전후 및 좌우 등 측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센서(1130)는 밀기버튼(1120)의 외측면 또는 하우징(1110)의 내측면 중 어느 한 쪽에 구비되는 구성이고, 접점(1130)은 밀기버튼(1120)의 외측면 또는 하우징(1110)의 내측면 중 다른 한 쪽에 구비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센서(1130)는 둘 이상의 단자스위치를 구비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단자스위치가 센서(1130)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접점(1130)은 도전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결국 밀기버튼(1120)을 측방향으로 밀었을 때, 밀기버튼(1200)이 움직이는 방향에 위치하는 센서(1130)에 접점(1130)에 접촉되고, 접촉된 센서(1130)에 할당된 입력신호가 발생된다.
상기와 같이 측방향으로 버튼을 밀어 가압함에 따라 입력신호가 발생되는 밀기방식 입력버튼은 이미 다양한 구조로 제안된 바 있는데, 종래의 밀기방식 입력버튼은 측방향 가압을 감지하기 위한 가압센서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바, 신호입력장치의 제조원가가 매우 높아질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버튼을 어느 방향으로 미는지에 따라 상이한 종류의 입력신호가 발생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가압력이 인가되는 각 방향별로 하나씩 가압센서가 장착되어야 하므로, 상기와 같은 제조원가 문제는 더욱 커지게 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에 적용되는 방향 입력부(210)의 일 예에 따르면, 각 방향 별 별도의 가압센서 없이도 측방으로 가압력이 인가되었을 때 해당 방향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종류의 입력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밀기버튼(1120)이 어느 일측으로 밀려 이동됨에 따라 접점(1140)이 어느 하나의 센서(1130)를 접속시킨 후 상기 밀기버튼(1120)에 인가되어 있던 가압력이 해제되었을 때, 상기 센서(1130)가 접속된 상태가 계속 유지되면 사용자의 의도에 반하여 입력신호가 지속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밀기버튼(1120)이 측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센서(1130)와 상기 접점(1140)이 이격되도록 상기 밀기버튼(1120)의 위치를 복귀시키는 탄성부재(116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1160)가 구비되면, 상기 밀기버튼(1120)에 인가되었던 측방향 외력이 해제되었을 때 상기 밀기버튼(1120)은 상기 탄성부재(1160)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되는바, 센서(1130)와 접점(1130)이 이격된 상태 즉, 어떠한 입력신호도 발생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에 적용되는 방향 입력부(210)의 일 예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하단에 배치된 스위치(1170)와 밀기버튼(1120)의 상면에 배치되는 누름버튼(1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누름버튼(1150)은 밀기버튼(1120)을 상향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하단이 상기 스위치(1170)에 안착되어 하향 가압력이 인가될 때 아래로 밀려 상기 스위치(1170)를 누름으로써 밀기버튼(1120)의 이동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와는 별개의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밀기버튼(1120)과 누름버튼(1150)의 작동 조합에 기초하여 다양한 신호의 발생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에 적용되는 방향 입력부(210)의 다른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에 적용되는 방향 입력부(210)은 크게 베이스부재(1180), 밀기버튼(1120), 센서부(1130), 접점(1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부재(1180)는 바닥면(1181) 및 바닥면(1181)의 중심부측에 상향 돌출된 돌출부(1182)를 포함한다.
밀기버튼(1120)은 돌출부(1182)의 상측에 배치되는데, 돌출부(1182)의 외면을 감싸도록 하향으로 형성된 하향측벽(1121)이 형성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182)의 외측면에는 센서부(1130)가 구비되고, 하향측벽(1121)의 내측면에는 돌출부(1182)의 외측면 중 센서부(1130)가 배치된 부분과 대응되는 영역에 접점(1140)을 구비할 수 있다.
반대로, 하향측벽(1121)의 내측면에 센서부(1130)가 구비되고, 돌출부(1182)의 외측면에는 하향측벽(1121)의 내측면 중 센서부(1130)가 배치된 부분과 대응되는 영역에 접점(1140)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구조 하에서, 밀기버튼(1120)이 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센서(1130) 및 접점(1400)이 상호 접촉함으로써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는데, 구체적으로 이러한 밀기버튼(1120)은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전후 및 좌우 등 측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고, 사용자가 밀기버튼(1120)을 측방향으로 밀었을 때 접점(1140)은 밀기버튼(1120)이 움직이는 방향에 위치하는 센서부(1130)에 접촉됨으로써 센서부(1130) 내에 형성된 복수의 센서 중 해당되는 센서와 관련된 입력신호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밀기버튼(1120)은 회전하지 않고 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야 하고, 이는 밀기버튼(1120)의 회전이 가능할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해당 센서와 접점이 접촉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원치 않는 입력신호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센서부(1130)로서는 터치센서 또는 촉각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제조 원가 절감 및 제품의 경량화 등을 고려할 때, 연성회로기판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연성회로기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배치시키되, 이러한 센서는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를 포함하는 단자스위치로 형성되게 하고, 접점(1140)을 도전체로 형성함으로써, 밀기버튼(1120)을 측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단자스위치의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 모두 접점(1140)과 접촉하게 함으로써 상기 양극단자와 상기 음극단자가 단락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서 입력신호를 발생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단자스위치는 구체적으로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를 서로 이격시켜 나란히 배치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수평방향으로 교번으로 배열되는 부위를 갖도록 즉, 상하 방향으로 요철패턴을 가지며 요철부위가 엇갈려 맞물리도록 배열되는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로 구성되며, 상기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는 상호 요철부위가 엇갈려 맞물리도록 배치되되 상호 미세하게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동시에, 접점(1140)의 경우 상기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 상호간의 견고한 단락을 위하여 접촉 부위만을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밀기버튼(1120)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부재(116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탄성부재(1160)로써는 밀기버튼(1120)이 측방향으로 이동할 때 압축됨으로써 밀기버튼(1120)에 복원탄성력을 인가하는 카본스펀지나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재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방향 입력부(210) 및 기능 입력부(220)를 구비하는데, 이하 기능 입력부(22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기능 입력부(2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폰(10)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구비하고 있는 특정 기능을 구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러한 기능 입력부(220)는 휴대폰(10) 도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특정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 버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패치형 컨트롤러에 기능 버튼이 3개가 구비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3개의 기능 버튼은 각각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음악 어플리케이션, 웹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버튼에 의하여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는 기능 버튼에 의하여 실행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휴대폰(10)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는, 기능 버튼에 의하여 실행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기능 입력부(220)는 휴대폰(10)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홈 버튼(Home Button), 백 버튼(Back Button) 및 특정 모드 버튼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 입력부(220)는 휴대폰(10)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거나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버튼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의 본체(1000)에는 입력부 및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포함한다.
특히, 이러한 배터리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써 본체(100)에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커넥터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 단자는 패치형 컨트롤러가 수용 또는 부착하고 있는 휴대폰(10)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커넥터 단자와 같은 것을 적용함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의 제어부는, 휴대폰(10) 및 휴대폰과 무선 통신을 통하여 구동되는 구동 디바이스를 동시에 제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디바이스가 드론일 경우, 사용자는 패치형 컨트롤러의 입력부를 조작하여 드론을 조정한다.
이때, 드론에 설치된 카메라가 영상을 촬영하는데, 촬영된 영상 데이터는 휴대폰(10)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전송되어 휴대폰(10)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해당 영상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는 본체(1000)의 일측면으로부터 바(Bar) 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바 및 연장바 중 본체(1000)와 대향되는 일단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버튼은 앞서 설명한 누름 버튼 또는 기능 버튼의 기능을 수행하며, 보조 버튼이 휴대폰(10), 휴대폰 케이스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측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연장바의 끝단은 휘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컨트롤러가 부착된 휴대폰(10)의 휴대폰 케이스에는 패치형 컨트롤러의 본체(100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홀 또는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치형 컨트롤러가 휴대폰(10)의 저면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 이 상태에서 휴대폰(10)을 휴대폰 케이스에 실장하게 되면 패치형 컨트롤러의 높이 때문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휴대폰 케이스 중 패치형 컨트롤러와 대응되는 영역에 홈 또는 홀을 형성시키게 됨으로써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휴대폰 케이스의 홀 또는 홈의 내주면에는 제1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10) 중 상기 제1 체결부와 대응되는 부분에는 제2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부 및 제2 체결부가 상호 결합되어 상기 본체가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휴대폰
100: 연결부
210: 방향 입력부
211: 방향 입력 유닛
212: 누름 버튼
220: 기능 입력부
300: 커넥터
410: U자형 지지부
420: 연결부재
430: O자형 지지부
1000: 몸체

Claims (30)

  1. 본체;
    상기 본체 저면에 배치되고, 휴대폰, 휴대폰 케이스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저면에 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연결부;
    상기 본체 상면 일측 또는 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사용자가 손가락을 삽입하여 상기 휴대폰, 휴대폰 케이스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지지부;
    사용자가 상기 지지부에 손가락을 삽입한 채로 조작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 상면 타측에 형성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의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패치형 컨트롤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상기 본체의 일측면 및 타측면과 연결되되,
    상기 지지부가 상기 본체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와 연결되는 패치형 컨트롤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면에 배치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O"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상하 방향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되는 패치형 컨트롤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본체로부터 좌우 방향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패치형 컨트롤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방향키 기능, 마우스 기능 및 스크롤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성 UI(User Interface) 기능을 수행하는 방향 입력부; 및
    상기 휴대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구비하고 있는 특정 기능을 구동시키는 기능 입력부;
    를 포함하는 패치형 컨트롤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입력부는,
    측방향 가압에 기초하여 방향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향 입력 유닛; 및
    상기 방향 입력 유닛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하향 가압에 의하여 상기 방향 신호와는 다른 추가 신호를 발생시키는 누름 버튼;
    을 포함하는 패치형 컨트롤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신호는 클릭 신호 또는 엔터 신호인 패치형 컨트롤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신호는 휴대폰의 전화 통화 온/오프 신호 또는 휴대폰의 스피커폰 기능의 온/오프 신호인 패치형 컨트롤러.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입력부로부터 발생되는 방향 신호의 방향성을 설정할 수 있는 설정 버튼;을 더 포함하는 패치형 컨트롤러.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는, 상기 방향 입력부로부터 발생되는 방향 신호의 방향성을 설정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패치형 컨트롤러.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입력부는 상기 휴대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 버튼인 패치형 컨트롤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버튼에 의하여 실행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버튼;을 더 포함하는 패치형 컨트롤러.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는, 상기 기능 버튼에 의하여 실행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설정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패치형 컨트롤러.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입력부는 휴대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홈 버튼(Home Button), 백 버튼(Back Button) 및 특정 모드 버튼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을 포함하는 패치형 컨트롤러.
  2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입력부는 휴대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서 음성을 문자로 변환하거나 문자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버튼을 포함하는 패치형 컨트롤러.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입력부 및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패치형 컨트롤러.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커넥터 단자를 포함하는 패치형 컨트롤러.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폰 및 상기 휴대폰과 무선 통신을 통하여 구동되는 구동 디바이스를 동시에 제어 가능한 패치형 컨트롤러.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디바이스는 드론이고, 상기 입력부에 의하여 상기 드론의 조정이 가능한 패치형 컨트롤러.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에 부착된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이 상기 휴대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로 전송되어 상기 휴대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패치형 컨트롤러.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면으로부터 바(Bar) 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바; 및
    상기 연장바 중 상기 본체와 대향되는 일단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버튼;
    을 더 포함하는 패치형 컨트롤러.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방향키 기능, 마우스 기능 및 스크롤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성 UI(User Interface) 기능을 수행하는 방향 입력부 및 상기 휴대폰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가 구비하고 있는 특정 기능을 구동시키는 기능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 입력부는 측방향 가압에 기초하여 방향 신호를 발생시키는 방향 입력 유닛 및 상기 방향 입력 유닛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하향 가압에 의하여 상기 방향 신호와는 다른 추가 신호를 발생시키는 누름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 입력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버튼은 상기 누름 버튼 또는 상기 기능 버튼의 기능을 수행하는 패치형 컨트롤러.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버튼이 상기 휴대폰, 휴대폰 케이스 또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측면에 부착되도록 상기 연장바의 끝단은 휘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는 패치형 컨트롤러.
  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이 실장되는 휴대폰 케이스에는 상기 본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홀 또는 홈이 형성되는 패치형 컨트롤러.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케이스의 홀 또는 홈의 내주면에는 제1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 중 상기 제1 체결부와 대응되는 부분에는 제2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부 및 제2 체결부가 상호 결합되어 상기 본체가 상기 휴대폰으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패치형 컨트롤러.
KR1020160122793A 2016-09-26 2016-09-26 패치형 컨트롤러 KR101861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793A KR101861530B1 (ko) 2016-09-26 2016-09-26 패치형 컨트롤러
US16/335,681 US20210141425A1 (en) 2016-09-26 2017-09-26 Patch type controller
CN201790001259.5U CN211427312U (zh) 2016-09-26 2017-09-26 贴片型控制器
JP2019537731A JP2019530123A (ja) 2016-09-26 2017-09-26 パッチ型コントローラ
PCT/KR2017/010584 WO2018056783A1 (ko) 2016-09-26 2017-09-26 패치형 컨트롤러
EP17853497.0A EP3518084B1 (en) 2016-09-26 2017-09-26 Patch type control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793A KR101861530B1 (ko) 2016-09-26 2016-09-26 패치형 컨트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3627A KR20180033627A (ko) 2018-04-04
KR101861530B1 true KR101861530B1 (ko) 2018-05-28

Family

ID=61690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2793A KR101861530B1 (ko) 2016-09-26 2016-09-26 패치형 컨트롤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141425A1 (ko)
EP (1) EP3518084B1 (ko)
JP (1) JP2019530123A (ko)
KR (1) KR101861530B1 (ko)
CN (1) CN211427312U (ko)
WO (1) WO20180567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75932A4 (en) * 2017-06-21 2019-05-29 SZ DJI Technology Co., Ltd. METHOD AND DEVICES RELATED TO TRANSFORMABLE REMOTE CONTROLS
USD937933S1 (en) * 2019-02-07 2021-12-07 Razer (Asia-Pacific) Pte. Ltd. Controller
KR102468942B1 (ko) * 2019-10-16 2022-11-21 (주)아이티버스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
US11717746B1 (en) * 2022-10-12 2023-08-08 T2M, Inc. Video gaming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727B1 (ko) * 2006-09-29 2007-08-28 주식회사 뉴빛 휴대폰 기능을 겸비한 휴대폰 케이스
KR200472008Y1 (ko) * 2013-03-08 2014-04-01 김봉철 다양한 크기의 링으로 교체 가능한 휴대폰 홀더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0070U (ja) * 1992-01-10 1993-08-06 日本電気ホーム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ワイヤレスコントローラ
JP3086041U (ja) * 2001-11-14 2002-05-31 昭彦 米谷 携帯情報機器に装着する脱着式データ入力操作部
JP4887244B2 (ja) * 2007-09-04 2012-02-29 株式会社タイトー 携帯電話機
US20090090750A1 (en) * 2007-10-03 2009-04-09 Wendell Alcenat Finger holder for electronic accessories
KR101106775B1 (ko) * 2010-04-15 2012-01-18 남윤영 휴대용 전자기기를 위한 입력장치
KR101468023B1 (ko) * 2012-09-13 2015-01-29 (주)애니토이 디스플레이 기기 거치대
BR102013007815A2 (pt) * 2012-11-01 2016-07-12 Wikipad Inc controlador de dispositivo móvel
US8858335B2 (en) * 2013-01-18 2014-10-14 Microsoft Corporation Reconfigurable clip-on modules for mobile computing devices
US9421920B2 (en) * 2013-04-12 2016-08-23 Aauxx Korea Co., Ltd Mobile device accessory and apparatus for mounting the same on an automotive
KR20150025754A (ko) * 2013-08-30 2015-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37985B1 (ko) * 2015-02-16 2016-07-08 (주)아이티버스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727B1 (ko) * 2006-09-29 2007-08-28 주식회사 뉴빛 휴대폰 기능을 겸비한 휴대폰 케이스
KR200472008Y1 (ko) * 2013-03-08 2014-04-01 김봉철 다양한 크기의 링으로 교체 가능한 휴대폰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56783A1 (ko) 2018-03-29
JP2019530123A (ja) 2019-10-17
KR20180033627A (ko) 2018-04-04
CN211427312U (zh) 2020-09-04
US20210141425A1 (en) 2021-05-13
EP3518084B1 (en) 2021-05-19
EP3518084A4 (en) 2020-05-27
EP3518084A1 (en) 2019-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7985B1 (ko)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102180169B1 (ko) 스마트 컨트롤러
KR101861530B1 (ko) 패치형 컨트롤러
US8260382B2 (en) Portable sliding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JP3191644U (ja) 外掛け式コントロールハンドル
EP2120425B1 (en) Portable terminal
US8060165B2 (en) Portable terminal
JP713188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00018389A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090038300A (ko) 조그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US7505797B2 (en) Joystick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KR20150087259A (ko) 모바일 디바이스 컨트롤러
KR20140113853A (ko) 단말기 케이스
KR20130091208A (ko) 리모트 컨트롤러 및 텔레비전
CN213462200U (zh) 一种多功能无线耳机盒
KR101900385B1 (ko) 모바일 기기용 게임 컨트롤러
CN108594938B (zh) 移动终端的扩展设备及移动组合设备
KR20100025413A (ko) 휴대 단말기
KR10064380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리모컨 장치
KR101789536B1 (ko) 이동 단말기
KR20150136384A (ko) 카메라 제어 기능을 갖는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
KR101553951B1 (ko) 휴대 단말기
KR101415767B1 (ko) 신호발생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CN111385385A (zh) 一种分体式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计算机存储介质
KR20050080361A (ko)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보조 입력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