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3853A - 단말기 케이스 - Google Patents

단말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3853A
KR20140113853A KR1020130028199A KR20130028199A KR20140113853A KR 20140113853 A KR20140113853 A KR 20140113853A KR 1020130028199 A KR1020130028199 A KR 1020130028199A KR 20130028199 A KR20130028199 A KR 20130028199A KR 20140113853 A KR20140113853 A KR 20140113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erminal
groove
coupled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8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환
우람찬
최규봉
최명수
오정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8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3853A/ko
Publication of KR20140113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38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케이블 없이도 단말기를 외부의 전자기기와 연결시키는 것이 가능한 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한다. 단말기 케이스는, 이동 단말기와 결합되어 상기 단말기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홈을 구비하는 바디,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홈에 설치되며 상기 단말기가 상기 바디에 결합시 상기 단말기를 외부의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커넥터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모듈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바디에 결합시 상기 단말기의 연결단자에 접촉되도록 상기 연결단자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커넥터, 및 상기 제1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외부의 전자기기에 연결되도록 상기 홈으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말기 케이스{TERMINAL CASE}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등의 단말기를 보호할 목적으로 상기 단말기에 덧씌워 사용하는 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이동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및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동 단말기가 멀티미디어 기기 형태로 구현됨에 따라 점차 가격이 상승하였고, 사용자들의 대부분은 고가의 이동 단말기를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단말기에 케이스를 덧씌워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단말기 케이스는 단순히 단말기를 보호하는 기능만을 제공하였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케이스의 결합에 따라 단말기의 사용상 두께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단말기 보호 외에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받을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는 사용자 중 단말기 케이스의 사용을 선호하지 않거나, 케이스의 유휴 공간을 낭비하는 결과를 낳았다. 따라서 케이스의 유휴 공간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단말기의 단순 보호 기능을 넘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액세서리로 활용가능한 케이스에 대하여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유휴 공간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추가적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 케이스를 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단말기와 외부의 전자기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단말기 케이스는 이동 단말기와 결합되어 상기 단말기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홈을 구비하는 바디,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홈에 설치되며 상기 단말기가 상기 바디에 결합시 상기 단말기를 외부의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커넥터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모듈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바디에 결합시 상기 단말기의 연결단자에 접촉되도록 상기 연결단자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커넥터, 및 상기 제1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외부의 전자기기에 연결되도록 상기 홈으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바디에 결합시 상기 단말기 외면의 연결단자와 직접 접촉되도록 상기 단말기를 마주하는 면에 노출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외부의 전자기기 외에 또 다른 전자기기와 상기 단말기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상기 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바디의 양면에 노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바디에 결합시 상기 단말기의 인터페이스부에 삽입되어 상기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바디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고 단부에 접속단자를 구비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보호하도록 상기 연결부를 감싸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바디의 외면을 형성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제1커넥터가 삽입되도록 관통홀을 구비하는 탑 커버, 및 상기 연결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탑 커버와 결합되는 베이스 커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커넥터는 벤딩시켜 상기 홈으로부터 인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탄성재료로 형성된다.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제2커넥터의 벤딩에 의해 절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연성인쇄회로기판 또는 케이블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 모듈은 상기 제2커넥터를 회전시켜 상기 홈으로부터 인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힌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단말기 케이스는 상기 힌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커넥터의 회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홈의 양측에는 상기 제2커넥터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가이드홈 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가이드홈 또는 상기 가이드돌기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홈으로부터 인출된다.
상기 단말기 케이스는 서로 대면하는 상기 홈과 상기 제2커넥터의 양측에는 상기 제2커넥터의 슬라이드 이동시 서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접점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바디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무선 충전 안테나, 보조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가 내장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커넥터는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커넥터는 외부의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단말기 케이스를 이용해 별도의 케이블 없이도 단말기와 외부의 전자기기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 케이스의 유휴 공간에 내장된 NFC, 무선 충전, 보조배터리를 이용해 단말기의 활용폭을 넓힐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 케이스의 전면 사시도.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단말기 케이스의 후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말기 케이스의 바디와 커넥터 모듈이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커넥터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단말기 케이스에서 제2커넥터를 인출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단말기 케이스에서 제2커넥터를 인출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단말기 케이스에서 제2커넥터를 인출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6a는 도 1에 도시된 단말기 케이스에 이동 단말기를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
도 6b는 도 6a에 이동 단말기와 단말기 케이스의 후면 사시도.
도 7은 도 6a에 도시된 단말기 케이스를 이용하여 외부의 전자기기와 이동 단말기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 8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 케이스의 개념도.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단말기 케이스에서 제2커넥터를 인출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9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 케이스의 개념도.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단말기 케이스에서 제2커넥터를 인출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 케이스의 개념도.
도 11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 케이스의 전면 사시도.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된 단말기 케이스의 후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단말기 케이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 케이스(100)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단말기 케이스(100)의 후면 사시도이다.
단말기 케이스(100)는 이동 단말기 등의 단말기와 결합되어 별도의 커넥터 없이도 외부의 전자기기와 상기 단말기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별도의 케이블 없이도 단말기를 외부의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고 데이터 통신이나 배터리 충전을 할 수 있다.
단말기 케이스(100)는 케이스의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110)와 단말기를 외부의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커넥터 모듈(120)을 포함한다.
바디(110)는 단말기와 결합되어 상기 단말기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동 단말기 중 하나인 스마트폰은 단말기의 전면 대부분을 디스플레이부가 차지하도록 형성되므로,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과 결합되는 단말기 케이스(100)는 바디(110)가 단말기의 전면을 노출시키고 단말기의 측면들과 후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단말기 케이스(100)는 단말기를 외부의 전자기기와 연결시키는 것 외에도 단말기를 보호할 수 있어야 하므로, 단말기 케이스(100)의 형상은 결합되는 단말기의 종류와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커넥터 모듈(120)은 바디(110)에 설치되어 단말기가 상기 바디(110)에 결합되었을 때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단말기를 외부의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커넥터 모듈(120)은 제1커넥터(121)와 제2커넥터(122)를 포함한다.
제1커넥터(121)는 바디(110)에 장착된 단말기의 연결단자와 접촉되도록 상기 연결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커넥터 모듈(120)이 단말기를 외부의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커넥터 모듈(120) 스스로도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제1커넥터(121)는 단말기의 연결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단말기가 바디(110)에 결합됨과 동시에 연결단자와 접촉되어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커넥터(121)의 규격은 5핀, 8핀, 24핀, 30핀 등의 커넥터 또는 마이크로 USB, USB 등이 될 수 있다.
도 1a에는 하단부에 연결단자를 구비하는 단말기와 결합 가능한 단말기 케이스(100)를 도시하였다. 단말기의 연결단자는, 외부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가 될 수 있다. 하단부에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는 단말기가 단말기 케이스(100)에 결합되면, 바디(110)로부터 인터페이스부를 향해 돌출된 제1커넥터(121)가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삽입되어 커넥터 모듈(120)과 단말기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제2커넥터(122)는 제1커넥터(1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의 전자기기와 연결 가능하게 형성된다. 제2커넥터(122)는 바디(110)의 후면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형성되며, 인출된 제2커넥터(122)를 이용하여 외부의 전자기기에 연결함으로써 단말기는 외부의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커넥터(122)의 규격은 마이크로 USB 또는 USB 등이 될 수 있다.
도 2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단말기 케이스(100)의 바디(110)와 커넥터 모듈(120)이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바디(110)는 커넥터 모듈(12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홈(111)을 구비한다. 홈(111)은 바디(110)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바디(1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홈(111)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단말기 케이스(100)는 별도의 커넥터 없이도 단말기를 외부의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 위한 것이다. 단말기를 외부의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단말기 케이스(100)에서 커넥터 모듈(120)의 일부가 인출되어 상기 외부의 전자기기에 구비된 인터페이스부 등에 삽입되어야 하고, 이때 커넥터 모듈(120)은 외부의 전자기기와 연결되기 위해 적어도 일부가 연장되게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홈(111)은 이러한 커넥터 모듈(120)을 수용하도록 일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 모듈(120)은 상기 홈(1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홈(111)에 설치된다. 단말기 케이스(100)는 단말기의 겉면을 감싸면서 단말기를 보호하므로, 커넥터 모듈(120)이 홈(111)에 설치되었을 때 일부가 단말기 케이스(100)로부터 돌출되면 커넥터 모듈(120)의 파손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커넥터 모듈(120)은,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111)에 삽입되었을 때 바디(110)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 모듈(120)이 단말기 케이스(100)에 설치되었을 때, 제1커넥터(121)는 고정되며 제2커넥터(122)는 홈(111)으로부터 인출가능하게 형성된다. 제1커넥터(121)의 위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케이스(100)의 하단부로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단말기의 인터페이스부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2커넥터(122)의 위치도 제1커넥터(121)와 전기적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만 있으면 되고, 어느 한 위치로 고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커버(123)는 커넥터 모듈(120)을 보호하도록 커넥터 모듈(12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싼다. 제1커넥터(121)는 고정되고 제2커넥터(122)는 인출과 삽입을 반복하므로, 제1커넥터(121)와 제2커넥터(122)를 연결하는 부분은 제2커넥터(122)의 반복적인 인출에 따라 내구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커버(123)는 제1커넥터(121)와 제2커넥터(122)를 연결하는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제2커넥터(122)의 반복적인 인출에도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커버(123)는 탑 커버(123a)와 베이스 커버(123b)를 포함한다. 탑 커버(123a)와 베이스 커버(123b)는 서로 결합되고, 탑 커버(123a)의 상면과 베이스 커버(123b)의 하면은 각각 바디(110)의 외면을 형성한다. 커넥터 모듈(120)과 마찬가지로 커버(123)도 바디(110)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탑 커버(123a)의 상면과 베이스 커버(123b)의 하면은 바디(110)의 외면과 동일한 형태의 외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커넥터 모듈(120)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1커넥터(121)는 단말기의 인터페이스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2커넥터(122)는 외부의 전자기기와의 연결을 위해 일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제1커넥터(121)와 제2커넥터(122)는 각각 단말기 및 외부의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도록 단부에 접속단자(121', 122')를 구비한다.
제1커넥터(121)는 제1커넥터(121)와 제2커넥터(122)를 연결하는 연결부(124)에 연결되고, 연결부(124)는 제2커넥터(122)의 내부로 삽입되는 연성인쇄회로기판 또는 케이블(125)에 연결된다. 연성인쇄회로기판 또는 케이블(125)이 제2커넥터(122)의 내부에 삽입되어 제1커넥터(121)와 제2커넥터(122)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제1커넥터(121)와 제2커넥터(12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제2커넥터(122)의 반복적인 인출과 삽입에 의해 절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연성인쇄회로기판 또는 케이블(125)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124)는 제1커넥터(121)와 제2커넥터(122)를 연결함과 동시에 제1커넥터(121)를 지지한다.탑 커버(123a)는 제1커넥터(121)가 삽입되도록 관통홀(123a')을 구비한다. 상기 관통홀(123a')에 제1커넥터(121)가 삽입되면 탑 커버(123a)는 연결부(124)를 덮게 되고, 베이스 커버(123b)가 연결부(124)를 사이에 두고 탑 커버(123a)와 결합되어 연결부(124)를 보호한다.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단말기 케이스(100)에서 제2커넥터(122)를 인출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단말기 케이스(100)에서 제2커넥터(122)를 인출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2커넥터(122)는 벤딩시켜 홈(111)으로부터 인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탄성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재료는, 예를 들어 러버가 될 수 있다. 제2커넥터(122)가 연장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제2커넥터(122)를 벤딩시키면, 제2커넥터(122)는 홈(111)으로부터 인출되고 외부의 전자기기에 삽입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단말기 케이스(100)에서 제2커넥터(122)를 인출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사용자가 손끝으로 제2커넥터(122)의 단부를 단말기 케이스(100)의 외부로 젖히면, 제2커넥터(122)가 벤딩되면서 홈(111)으로부터 인출된다. 제2커넥터(122)는 탄성재료로 형성되므로, 외부에서 제2커넥터(122)를 잡아당기는 힘이 사라지면 다시 인출되기 전의 상태로 돌아간다. 제2커넥터(122)를 외부의 전자기기에 구비되는 인터페이스부에 삽입하면 인터페이스부가 제2커넥터(122)를 잡아당기므로 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단말기 케이스(100)를 바닥에 놓은 상태에서는 제2커넥터(122)를 홈(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완전히 반대방향까지 인출하여 외부의 전자기기와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케이스(100)를 거치대 등의 다른 물건에 의해 지지될 수 있게 놓은 상태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전히 인출한 것의 절반정도만 인출하여 외부의 전자기기와 연결할 수 있다.
도 6a는 도 1에 도시된 단말기 케이스(100)에 이동 단말기(10)를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전면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에 이동 단말기(10)와 단말기 케이스(100)의 후면 사시도이다.
단말기 케이스(10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와 결합되어 상기 단말기(10)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단말기 케이스(100)는 단말기(10)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여 단말기(10)의 수명을 증가시킨다.
단말기(10)가 단말기 케이스(100)에 결합된 상태는 제1커넥터(미도시)와 단말기(10)가 접촉하여 커넥터 모듈(120)과 단말기(10)가 이미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이다. 제2커넥터(122)는 단말기(10)를 외부의 전자기기와 연결하지 않을 때 바디(110)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홈(111)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제2커넥터(122)는 단말기(10)를 외부의 전자기기와 연결하고자 할 때만 인출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단말기(10)의 보호 및 커넥터 모듈(120)의 내구성 유지를 위해 바람직하다.
도 7은 도 6a에 도시된 단말기 케이스(100)를 이용하여 외부의 전자기기(20)와 이동 단말기(1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단말기 케이스(100)로부터 인출된 제2커넥터(122)를 외부의 전자기기(20)인 컴퓨터, 노트북 등에 구비된 인터페이스부(21)에 삽입함으로써, 커넥터 모듈(120)과 외부의 전자기기(2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동시에, 커넥터 모듈(120)에 의해 단말기(10)와 외부의 전자기기(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를 통해 단말기(10)와 외부의 전자기기(20) 간에 데이터 통신, 단말기 배터리의 충전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10)와 외부의 전자기기(2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거나 충전을 위해 별도의 케이블을 마련하지 않아도 되고, 단말기 케이스(100)를 통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2커넥터(122)에는 가정용 콘센트에 삽입되는 어댑터를 연결함으로써 단말기(10)의 직접적인 충전도 가능하다.
도 8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 케이스(200)의 개념도이고,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단말기 케이스(200)에서 제2커넥터(222)를 인출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바디(210)는 홈의 양측에 제2커넥터(222)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홈 또는 가이드돌기(212)가 형성되고, 제2커넥터(222)는 상기 가이드홈(212)에 삽입되거나 상기 가이드돌기(212)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제2커넥터(222)는 상기 가이드홈 또는 가이드돌기(212)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홈(211)으로부터 인출된다. 제2커넥터(222)가 홈(21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홈(211)의 양측과 제2커넥터(222)에는 각각 걸림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홈(211)의 양측과 제2커넥터(222)는 서로 대면하는 부분이 있고, 상기 대면하는 부분에 제2커넥터(222)의 슬라이드 이동시 서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접점(213, 226)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홈(211)의 양측에 구비되는 연결접점(213)들은 제1커넥터(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2커넥터(222)의 양측에 구비되는 연결접점(226)들은 제2커넥터(222) 단부의 접속단자(222')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2커넥터(222)의 슬라이드 이동 전에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22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나, 제2커넥터(222)가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바디(210)로부터 인출됨에 따라 상기 연결접점(213, 226)들이 서로 접촉함으로써, 제2커넥터(222)는 제1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도 9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 케이스(300)의 개념도이고,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단말기 케이스(300)에서 제2커넥터(322)를 인출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커넥터 모듈(320)은 제2커넥터(322)를 회전에 의해 홈(311)으로부터 인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힌지부(328)를 구비한다. 힌지부(328)는 케이스(300)의 두께방향으로 제2커넥터(322)를 관통하며, 제2커넥터(322)는 힌지부(328)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홈(311)으로부터 인출된다.
탄성부재(329)는 힌지부(328)에 설치되어 제2커넥터(322)의 회전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탄성부재(329)는,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부(328)의 일부를 감싸는 코일스프링이 될 수 있으며, 양 단부가 제2커넥터(322)와 바디(310)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냄으로써 제2커넥터(322)의 반자동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
걸림부(313)는 홈(311)으로부터 돌출되어 제2커넥터(322)가 홈(311)으로부터 임의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사용자가 제2커넥터(322)의 단부(314)를 손끝으로 젖히면 걸림부(313)에 의한 걸림이 해제되고, 제2커넥터(322)는 홈(311)으로부터 인출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 케이스(400)의 개념도이다.
단말기 케이스(400)의 바디(410)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무선 충전 안테나(430), 보조배터리(440) 중 적어도 하나가 내장될 수 있다. 단말기 케이스(400)는 제1커넥터(421)를 통해 단말기와 단말기 케이스(4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NFC와 무선 충전 안테나(430), 보조배터리(440)가 단말기 케이스(400)의 유휴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커넥터(421a)는 단말기(미도시)의 인터페이스부에 삽입되도록 바디(410)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제1커넥터(421b)는 단말기 외면의 연결단자와 직접 접촉되도록 상기 단말기를 마주하는 면에 노출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제1커넥터(421)는 형상에 관계없이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것으로, 배치나 형상에 의해 서로 기능이 구분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제1커넥터는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고, 각각 담당하는 기능이 분배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의 외부로 노출된 연결단자와 접촉되는 제1커넥터(421b)는 스위칭IC(450), 보조배터리(440), NFC와 무선 충전 안테나(430)와 연결될 수 있고, 다른 제1커넥터(421a)는 단말기와 외부의 전자기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NFC와 무선 충전 안테나(430)가 단말기 케이스(400)에 구비됨에 따라 더 슬림한 단말기를 구현할 수 있다.
보조배터리(440)는 단말기가 단말기 케이스(400)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단말기와는 별도로 충전될 수 있으며, 단말기가 단말기 케이스(400)에 결합되면, 단말기의 사용 가능 시간은 단말기의 배터리와 단말기 케이스의 보조배터리가 모두 방전될 때까지로 늘어난다. 그리고, On The Go(OTG) 기능을 활용하여 스위칭IC(450)를 통해 필요에 따라 단말기 케이스(400)에 결합된 단말기 이외에 다른 단말기를 충전할 수도 있다.
단말기와 단말기 케이스(4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단말기에 소프트웨어적으로 단말기 케이스의 상태를 알려주고 컨트롤 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NFC 사용 히스토리를 저장하거나, 무선 충전 상태를 알려주거나, OTG 기능을 이용하도록 스위칭IC를 컨트롤할 수 있다.
도 11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단말기 케이스(500)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단말기 케이스(500)의 후면 사시도이다.
제1커넥터(521b)는 단말기(미도시)가 바디(510)에 결합된 채로 외부의 충전 거치대 등 단자간의 접속이 필요한 기기에 사용이 가능하도록 바디(510)를 관통하여 상기 바디(510)의 양면에 노출되게 형성된다. 단말기는 두 개의 제1커넥터(521a, 521b)를 통해 적어도 두 개의 외부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단말기 케이스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2)

  1. 이동 단말기와 결합되어 상기 단말기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홈을 구비하는 바디;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홈에 설치되며, 상기 단말기가 상기 바디에 결합시 상기 단말기를 외부의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커넥터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모듈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바디에 결합시 상기 단말기의 연결단자에 접촉되도록 상기 연결단자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커넥터; 및
    상기 제1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외부의 전자기기에 연결되도록 상기 홈으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바디에 결합시 상기 단말기 외면의 연결단자와 직접 접촉되도록 상기 단말기를 마주하는 면에 노출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외부의 전자기기 외에 또 다른 전자기기와 상기 단말기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상기 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바디의 양면에 노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케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바디에 결합시 상기 단말기의 인터페이스부에 삽입되어 상기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바디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고 단부에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케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보호하도록 상기 연결부를 감싸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바디의 외면을 형성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제1커넥터가 삽입되도록 관통홀을 구비하는 탑 커버; 및
    상기 연결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탑 커버와 결합되는 베이스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케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는 벤딩시켜 상기 홈으로부터 인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탄성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케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제2커넥터의 벤딩에 의해 절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연성인쇄회로기판 또는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케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모듈은 상기 제2커넥터를 회전시켜 상기 홈으로부터 인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힌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케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커넥터의 회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케이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양측에는 상기 제2커넥터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가이드홈 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가이드홈 또는 상기 가이드돌기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홈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케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서로 대면하는 상기 홈과 상기 제2커넥터의 양측에는 상기 제2커넥터의 슬라이드 이동시 서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접점을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케이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무선 충전 안테나, 보조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케이스.
KR1020130028199A 2013-03-15 2013-03-15 단말기 케이스 KR201401138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199A KR20140113853A (ko) 2013-03-15 2013-03-15 단말기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199A KR20140113853A (ko) 2013-03-15 2013-03-15 단말기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853A true KR20140113853A (ko) 2014-09-25

Family

ID=51757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8199A KR20140113853A (ko) 2013-03-15 2013-03-15 단말기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385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796Y1 (ko) * 2014-10-16 2015-04-08 박효원 셀프 촬영을 위한 카메라를 구비하는 단말 케이스
KR101637985B1 (ko) * 2015-02-16 2016-07-08 (주)아이티버스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KR20170000162U (ko) * 2015-07-03 2017-01-11 세파전자(소주)유한공사 휴대용기기용 연결팁 및 보호케이스
KR101728616B1 (ko) * 2015-12-17 2017-04-19 정병우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기능 확장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796Y1 (ko) * 2014-10-16 2015-04-08 박효원 셀프 촬영을 위한 카메라를 구비하는 단말 케이스
KR101637985B1 (ko) * 2015-02-16 2016-07-08 (주)아이티버스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WO2016133315A1 (ko) * 2015-02-16 2016-08-25 (주)아이티버스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US10812127B2 (en) 2015-02-16 2020-10-20 Itvers Co., Ltd. Portable terminal case
KR20170000162U (ko) * 2015-07-03 2017-01-11 세파전자(소주)유한공사 휴대용기기용 연결팁 및 보호케이스
KR101728616B1 (ko) * 2015-12-17 2017-04-19 정병우 모바일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기능 확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47882B2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8260382B2 (en) Portable sliding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EP2053493B1 (en) Input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587138B1 (ko) 이동 단말기
US8284568B2 (en) Key button mechanism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US8903459B2 (en) Connecting terminal for a battery of a mobile terminal
EP2056483A2 (en) Mobile terminal
US7458826B1 (en) Compression connector for connecting electrical components
CN101141502B (zh) 用于便携通讯设备的键盘输入装置及其滑动模块
EP2665240B1 (en) Mobile terminal including a sliding door for a socket
KR20020002265A (ko) 접힘식 스크린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9609098B2 (en) Button-type connector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100279694A1 (en) Display panel structur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and mobile information equipment
KR101242439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시스템 및 그를 위한외부 연결 장치
US7494360B2 (en) Surface contact card holder
KR20140113853A (ko) 단말기 케이스
US6424842B1 (en) Dual function connector for cellular phones
US7054670B2 (en) Cellular phone structure an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JP2018504826A (ja) ボタン構造及びそれを備える端末
CN210183362U (zh) 移动终端
KR101248864B1 (ko) 휴대용 스테레오 스피커 장치
US8073507B2 (en) Communication device
KR101376610B1 (ko) 휴대 단말기
CN219020426U (zh) 移动终端保护壳及电子设备
CN213636366U (zh) 电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