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8864B1 - 휴대용 스테레오 스피커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스테레오 스피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8864B1
KR101248864B1 KR1020120003508A KR20120003508A KR101248864B1 KR 101248864 B1 KR101248864 B1 KR 101248864B1 KR 1020120003508 A KR1020120003508 A KR 1020120003508A KR 20120003508 A KR20120003508 A KR 20120003508A KR 101248864 B1 KR101248864 B1 KR 101248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main panel
electronic device
portable electronic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3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Priority to KR1020120003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8864B1/ko
Priority to PCT/KR2013/000228 priority patent/WO201310580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8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8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5/00Details of stereophonic arrangements covered by H04R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5/021Aspects relating to docking-station type assemblies to obtain an acoustical effect, e.g. the type of connection to external loudspeakers or housings, frequency improv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휴대 전자 장치가 수납될 수 있으며 스테레오 음향을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스테레오 스피커 장치가 개시된다. 본 스피커 장치는, 탄성 재료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연성 케이블이 매설된 메인 패널; 상기 연성 케이블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스피커 모듈이 수납되고, 상기 메인 패널의 일단에 고정되되 상기 메인 패널에 대하여 단차지게 형성된 제1 스피커 블럭; 및 상기 연성 케이블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스피커 모듈이 수납되고, 상기 메인 패널의 타단에 고정되되 상기 메인 패널에 대하여 단차지게 형성된 제2 스피커 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 패널 및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 블럭은 휴대 전자 장치가 수납가능한 수납부를 형성하며, 상기 수납부에 휴대 전자 장치가 탈착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스테레오 스피커 장치{PORTABLE STEREO SPEAKER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용 스피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휴대 전자 장치를 수납할 수 있으며 스테레오 음향을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스피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소형의 휴대 전자 장치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디지털 통신 장치 뿐만 아니라, HHP(Hand Held Phone), 셀룰러 폰(Cellular Phone), 엠피쓰리 폰, 카메라 폰, 티브이 폰, 비디오 폰, 게임 폰 등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포함하여 일컫는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 장치는 최근 들어 소형화, 슬립화 및 경량화가 더욱 강조되고, 단순한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멀티 미디어 환경이나 인터넷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목적 기능이 부가되어, 소위 스마트폰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멀티미디어 환경에 더욱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스마트폰은 보다 넓은 스크린을 구비하고 있으며 나아가 사용자의 사용 편의를 위하여 터치 방식으로 구동가능한 터치 스크린을 보편적으로 채용하고 있다.
한편, 멀티미디어 소스를 재생할 수 있는 이러한 휴대 전자 장치는 소형화로 인하여 자체 스피커를 포함하고 있지 않거나 포함하더라도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최소한의 음향만을 제공하는 모노 스피커가 내장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재생하고자 하는 멀티미디어 소스를 충분한 음향으로 감상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스피커 장치를 연결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스피커 장치는 부피가 크기 때문에 사용자가 휴대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특히, 종래의 스피커 장치를 휴대 전자 장치에 연결하기 위하여는 별도의 긴 연결선을 필요로 하며, 따라서 사용자가 충분한 음향으로 멀티미디어 소스를 감상하기 위해서는 그에 적합한 스피커 장치 본체와 연결선을 동시에 휴대해야 하므로 번거로움이 가중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품의 외관을 중시하는 최근의 소비자 성향에 부합하기 위하여, 별도의 연결선을 요구하지 않으면서 휴대 전자 장치에 손쉽게 탈착 가능하고, 또한 휴대가 간편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충분한 음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나아가 그 자체의 디자인뿐만 아니라 휴대 전자 장치에 체결된 경우에도 수려한 심미감을 줄 수 있는 휴대용 스피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피커 장치는, 휴대 전자 장치가 수납될 수 있으며 스테레오 음향을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스테레오 스피커 장치로서, 탄성 재료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연성 케이블이 매설된 메인 패널; 상기 연성 케이블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스피커 모듈이 수납되고, 상기 메인 패널의 일단에 고정되되 상기 메인 패널에 대하여 단차지게 형성된 제1 스피커 블럭; 및 상기 연성 케이블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스피커 모듈이 수납되고, 상기 메인 패널의 타단에 고정되되 상기 메인 패널에 대하여 단차지게 형성된 제2 스피커 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 패널 및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 블럭은 휴대 전자 장치가 수납가능한 수납부를 형성하며, 상기 수납부에 휴대 전자 장치가 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피커 모듈 및 상기 제2 스피커 모듈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휴대 전자 장치에 형성된 헤드폰 소켓에 삽입되는 헤드폰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피커 블럭 및 상기 제2 스피커 블럭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휴대 전자 장치에 형성된 인터페이스 소켓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피커 블럭 및 상기 제2 스피커 블럭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수납부에 상기 휴대 전자 장치가 수납될 때 상기 휴대 전자 장치에 형성된 인터페이스 소켓에 체결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설 인터페이스 단자; 및 상기 부설 인터페이스 단자와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된 부설 인터페이스 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피커 블럭 및 상기 제2 스피커 블럭은 상기 메인 패널을 구부려서 맞대어지는 각각의 대향면에 형성되어 상호 자기력에 의해 탈착되는 제1 자석부 및 제2 자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적으로 굽히거나 신축될 수 있는 메인 패널과, 그 양단에서 메인 패널과 함께 휴대 전자 장치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제1 및 제2 스피커 블럭으로 구성되어, 별도의 연결선을 요구하지 않으면서 휴대 전자 장치에 손쉽게 탈착 가능한 휴대용 스피커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본 스피커 장치만을 독립적으로 휴대하는 경우에, 탄성 재료로 형성된 메인 패널을 구부려서 양측의 스피커 블럭을 포갠 상태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휴대용 스피커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장치는, 적어도 2개의 스피커 모듈이 휴대 전자 장치의 양측에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으므로 스테레오 음향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장치는 그 자체의 디자인 뿐만 아니라 휴대 전자 장치에 체결된 경우에도 미려한 심미감을 줄 수 있으므로, 디자인을 중시하는 최근의 소비자 성향에 부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피커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절개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피커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스피커 장치를 휴대 전자 장치에 체결한 상태에서도 휴대 전자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는 부설 인터페이스 플러그 및 소켓이 형성된 예를 설명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Ⅱ-Ⅱ 절개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피커 장치에 휴대 전자 장치를 체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피커 장치에 휴대 전자 장치를 체결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피커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메인 패널 내에 연성 케이블을 매설한 상태를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스피커 장치를 도시한 도면들으로서, 휴대 전자 장치와 체결된 후 스피커 장치가 경사지게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피커 장치를 개별적으로 휴대하기 위하여 접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피커 장치의 제1 스피커 블럭 내에 각각의 부품들이 수납되는 상태를 개요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테레오 스피커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아울러, 이하에서 "휴대 전자 장치"라 함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디지털 통신 장치 뿐만 아니라, HHP(Hand Held Phone), 셀룰러 폰(Cellular Phone), 엠프쓰리 폰, 카메라 폰, 티브이 폰, 비디오 폰, 게임 폰, 스마트 폰 등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멀티미디어 소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스피커를 부가적으로 필요로 하는 모든 형태의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먼저,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테레오 스피커 장치(100)의 일실시예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하였다. 도 1에서 보듯이, 본 스피커 장치(100)는, 메인 패널(110), 제1 스피커 블럭(130) 및 제2 스피커 블럭(1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패널(110)은 탄성적으로 굽힘 또는 신축이 가능한 탄성 재료(Elastic Material)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 패널(110)은, 예컨대 실리콘, 합성 고무 또는 천연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외에도 탄성을 가진 재료라면 어떠한 재료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메인 패널(110)을 탄성 재료로 형성하는 이유는, 도 10에서 보듯이 본 스피커 장치(100)를 접어서 휴대하기 간편하도록 휴대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함이고, 나아가 도 5에서 보듯이 휴대 전자 장치(200)를 수납할 때의 편리성 및 체결의 견고성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 또한, 본 스피커 장치(100)에는 적어도 두개의 스피커 모듈이 휴대 전자 장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스테레오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도 후에 더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메인 패널(110)의 양단은 각각 메인 패널(110)에 대하여 단차지게 형성된 제1 스피커 블럭(130) 및 제2 스피커 블럭(150)이 고정된다. 여기서는 제1 스피커 블럭(130) 및 제2 스피커 블럭(150)을 편의상 메인 패널(110)과 구분하여 설명할 것이며, 이들 구성들은 기능적으로 구분된다. 또한, 제1 스피커 블럭(130) 및 제2 스피커 블럭(150)은, 메인 패널(11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메인 패널(110)의 재질보다 더 견고한 재질로 형성된 후 메인 패널(110)의 양단에 소정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메인 패널(110)의 내부에는 연성 케이블(112)이 매설되어 있고, 이 연성 케이블(112)의 양단은 제1 스피커 모듈(140) 및 제2 스피커 모듈(16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제1 스피커 모듈(140)은 제1 스피커 블럭(130) 내에 수납되며, 제2 스피커 모듈(160)은 제2 스피커 블럭(150) 내에 수납된다. 또한, 제1 스피커 블럭(130) 및 제2 스피커 블럭(150)은, 메인 패널(110)에 대하여 각각 단차지게 형성되며, 그리하여 메인 패널(110), 제1 스피커 블럭(130) 및 제2 스피커 블럭(150)에 의해 수납부(120)가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수납부(120)는 휴대 전자 장치(200)가 수납될 공간을 제공한다. 수납부(120)에 휴대 전자 장치(200)를 수납하면, 도 9에서 보듯이, 메인 패널(110)은 휴대 전자 장치(200)의 배면을 지지하고, 제1 스피커 블럭(130) 및 제2 스피커 블럭(150)은 각각 휴대 전자 장치(200)의 양 가장자리에 체결된다. 이때, 탄성 재료로 형성된 메인 패널(110)은, 제1 스피커 블럭(130) 및 제2 스피커 블럭(150)이 각각 휴대 전자 장치(200)에 대하여 보다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 스피커 모듈(140)에는 헤드폰 단자(142)가 형성된다. 이 헤드폰 단자(142)는 휴대 전자 장치(200)에 형성된 소정의 헤드폰 소켓에 삽입될 수 있다. 아울러, 헤드폰 단자(142)는 스테레오 사운드를 제공하기에 적합한 3P형 스테레오 단자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외에도 사용하고자 하는 휴대 전자 장치가 제공하는 헤드폰 잭에 적합한 헤드폰 단자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헤드폰 단자(142)는 메인 패널(110) 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헤드폰 단자(142)의 구체적인 형상 및 배치는 사용하고자 하는 휴대 전자 장치에서 제공하는 헤드폰 잭의 형상 및 배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아울러, 헤드폰 단자(142)를 휴대 전자 장치의 헤드폰 잭에 삽입하면, 제1 스피커 모듈(140)이 휴대 전자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동시에 제1 스피커 블럭(130)이 휴대 전자 장치의 일측 가장자리에 물리적으로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스피커 모듈(160)은 제2 스피커 블럭(150) 내에 수납된다. 그리고 제2 스피커 모듈(160)은 연성 케이블(112)에 의해 제1 스피커 모듈(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1 스피커 모듈(140) 및 제2 스피커 모듈(160)에 의해 휴대 전자 장치의 양측에서 스테레오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 보듯이, 제2 스피커 블럭(150)에는 휴대 전자 장치에 형성된 소정의 인터페이스 소켓(24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고정돌기(156)가 형성된다. 즉, 고정돌기(156)를 인터페이스 소켓(140)에 삽입함으로써, 제2 스피커 블럭(150)이 휴대 전자 장치에 물리적으로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다.
한편, 도 3, 도 4 및 도 6에서 보듯이, 본 스피커 장치(100)를 휴대 전자 장치(200)에 체결한 상태에서 휴대 전자 장치(20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혹은 외부 장치에 연결할 수 있도록, 제2 스피커 블럭(150)에 부설 인터페이스 플러그(172) 및 부설 인터페이스 소켓(174)을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부설 인터페이스 플러그(172)는 휴대 전자 장치에 형성된 메인 인터페이스 소켓(240)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부설 인터페이스 소켓(174)은 부설 인터페이스 플러그(172)에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며, 예컨대 소정의 접속 케이블(176)에 의해 상호 접속될 수 있다. 아울러, 부설 인터페이스 소켓(174)에는 커넥터(262)의 인터페이스 플러그(260)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스피커 블럭(150)에 구비된 부설 인터페이스 플러그(172) 및 부설 인터페이스 소켓(174)에 의해, 휴대 전자 장치(200)를 본 스피커 장치(100)에 수납한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휴대 전자 장치(200)에 전원을 연결하거나 외부 장치에 연결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부설 인터페이스 플러그(172)는, 상술한 고정돌기(156)와 유사하게 휴대 전자 장치(200)에 제2 스피커 블럭(150)을 물리적으로 체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더 나아가, 부설 인터페이스 플러그(172)는, 도면으로 표시하지는 않았으나, 제2 스피커 모듈(1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스피커 모듈(140)에 형성된 헤드폰 단자(142)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10에서 보듯이, 본 스피커 장치(100)는 탄성 재료로 형성된 메인 패널(110)을 구부려서 제1 스피커 블럭(130) 및 제2 스피커 블럭(150)을 서로 맞대어 포갠 상태로 휴대가 가능하다. 이 경우, 제1 스피커 블럭(130) 및 제2 스피커 블럭(150)이 서로 맞대어지는 대향면에는 각각 제1 자석부(132) 및 제2 자석부(15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자석부(132) 및 제2 자석부(152)는 상호 자기력에 의해 탈착 가능하도록 자성의 극성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 및 도 9에서 보듯이, 제1 스피커 블럭(130)의 배면에는 휴대 전자 장치(200)를 본 스피커 장치(100)에 수납한 상태에서 경사지게 거치할 수 있도록 지지대(136)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스피커 블럭(130)의 배면에는, 힌지부(137)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지지대(136)가 설치될 수 있다. 나아가 지지대(136)가 수납되는 지지대 수용홈(138)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대(136)를 사용자가 쉽게 탈거할 수 있도록 소정의 홈(138a)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의 스피커 장치(100)를 휴대 전자 장치(200)에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 도 5 및 도 6에서 보듯이, 먼저 헤드폰 단자(142)를 헤드폰 소켓에 삽입한 상태에서 메인 패널(110)을 다소 구부리거나 늘린 후에, 고정돌기(156) 또는 부설 인터페이스 플러그(172)를 휴대 전자 장치(200)의 인터페이스 소켓(240)에 삽입할 수 있다. 그리하여, 메인 패널(110)의 탄성력에 의해 제1 스피커 블럭(130) 및 제2 스피커 블럭(150)이 휴대 전자 장치(200)의 양 가장자리를 압박함으로써, 본 스피커 장치(100)가 휴대 전자 장치(200)에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스피커 장치(100)를 휴대 전자 장치(200)에 체결할 때, 메인 패널(110)을 다소 신장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제1 및 제2 스피커 모듈(140, 160)에 연결된 연성 케이블(112)의 접속 상태가 손상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7에서 보듯이, 메인 패널(110) 내에 연성 케이블(112)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14)를 충분한 여유 공간을 갖도록 형성하고 동시에 연성 케이블(112)을 팽팽하게 긴장시키지 않고 늘어진 상태로 배치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메인 패널(110)을 충분히 신장시키더라고 연성 케이블(112)과 제1 및 제2 스피커 모듈(140, 160) 사이의 전기적 접속 상태가 손상되지 않게 된다.
도 1 내지 도 10에 기재된 도면부호 중에서, 도면부호 134 및 154는 각각 제1 스피커 모듈(140) 및 제2 스피커 모듈(160)로부터의 음향이 방출되는 스피커 개구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116은 휴대 전자 장치(200)의 배면에 형성된 카메라 렌즈용 개구를 나타내고, 도면부호 210은 휴대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을 나타내고, 도면부호 220은 휴대 전자 장치의 제어 버튼을 나타낸다.
한편, 도 11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를 도시하였으며, 특히 제1 스피커 블럭(130)에 각각의 부품들이 수납되는 상태를 개요적으로 나타내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스피커 모듈(140)은 예컨대, 인쇄회로기판(140a) 상에 실장될 수 있다. 그리고, 인쇄회로기판(140a)의 일측에는 헤드폰 단자(142)를 지지하는 브릿지(142a)가 실장되어 있다. 아울러, 인쇄회로기판(140a)에는 충전용 배터리(141)가 실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스피커 블럭(130) 내부에는 각각의 부품들이 인쇄회로기판(140a)에 실장된 상태로 수납되고, 그 후 마감패널(130a)에 의해 커버된다. 도 11에서는 제1 스피커 블럭(130)을 예로 하여 그 내부에 각각의 부품들이 실장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당업자라면 제2 스피커 블럭(150) 내에도 유사한 방식으로 부품들이 실장될 수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제1 스피커 모듈(140)과 제2 스피커 모듈(160)은 연성 케이블(112)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는 도 11에서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40a)을 개재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를 포함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헤드폰 단자(142), 고정돌기(156), 부설 인터페이스 플러그(172), 부설 인터페이스 소켓(174)의 형성 위치는 사용하고자 하는 휴대 전자 장치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헤드폰 단자(142) 및 부설 인터페이스 플러그(172)는, 필요에 따라 어느 하나만 형성되거나 동시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제1 스피커 블럭 또는 제1 스피커 블럭 각각에 나누어져서 형성되거나 어느 하나의 스피커 블럭에만 병설될 수도 있다. 그리고, 메인 패널(110)은 사용하고자 하는 휴대 전자 장치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적절한 크기 및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여기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탄성 재료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연성 케이블이 매설된 메인 패널;
    상기 연성 케이블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스피커 모듈이 수납되고, 상기 메인 패널의 일단에 고정되되 상기 메인 패널에 대하여 단차지게 형성된 제1 스피커 블럭; 및
    상기 연성 케이블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스피커 모듈이 수납되고, 상기 메인 패널의 타단에 고정되되 상기 메인 패널에 대하여 단차지게 형성된 제2 스피커 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패널 및 상기 제1 및 제2 스피커 블럭은 휴대 전자 장치가 수납가능한 수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테레오 스피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피커 모듈 및 상기 제2 스피커 모듈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휴대 전자 장치에 형성된 헤드폰 소켓에 삽입되는 헤드폰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테레오 스피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피커 블럭 및 상기 제2 스피커 블럭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휴대 전자 장치에 형성된 인터페이스 소켓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테레오 스피커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피커 블럭 및 상기 제2 스피커 블럭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수납부에 상기 휴대 전자 장치가 수납될 때 상기 휴대 전자 장치에 형성된 인터페이스 소켓에 체결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설 인터페이스 단자; 및 상기 부설 인터페이스 단자와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된 부설 인터페이스 소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테레오 스피커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피커 블럭 및 상기 제2 스피커 블럭은 상기 메인 패널을 구부려서 맞대어지는 각각의 대향면에 형성되어 상호 자기력에 의해 탈착되는 제1 자석부 및 제2 자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테레오 스피커 장치.
KR1020120003508A 2012-01-11 2012-01-11 휴대용 스테레오 스피커 장치 KR101248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508A KR101248864B1 (ko) 2012-01-11 2012-01-11 휴대용 스테레오 스피커 장치
PCT/KR2013/000228 WO2013105803A1 (ko) 2012-01-11 2013-01-11 휴대용 스테레오 스피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508A KR101248864B1 (ko) 2012-01-11 2012-01-11 휴대용 스테레오 스피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8864B1 true KR101248864B1 (ko) 2013-04-02

Family

ID=48442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508A KR101248864B1 (ko) 2012-01-11 2012-01-11 휴대용 스테레오 스피커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48864B1 (ko)
WO (1) WO201310580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7368B1 (ko) * 2016-11-29 2018-02-08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스피커 장치
KR101837389B1 (ko) * 2016-11-25 2018-03-12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 도어트림에 탈부착 되는 다용도 스피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535B1 (ko) * 2004-05-17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의 스피커 겸용 교체성 거치/충전 장치
KR20080087620A (ko) * 2007-03-26 2008-10-01 파코전자(주) 스피커가 장착된 휴대용 디지털음향 기기 케이스
KR100891770B1 (ko) * 2006-09-19 2009-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테레오 스피커 시스템을 구비한 푸쉬 업 타입 휴대 충전 거치대
KR20110100078A (ko) * 2010-03-03 2011-09-09 그린파워전자(주) 휴대단말기용 스피커 및 배터리 팩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535B1 (ko) * 2004-05-17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의 스피커 겸용 교체성 거치/충전 장치
KR100891770B1 (ko) * 2006-09-19 2009-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테레오 스피커 시스템을 구비한 푸쉬 업 타입 휴대 충전 거치대
KR20080087620A (ko) * 2007-03-26 2008-10-01 파코전자(주) 스피커가 장착된 휴대용 디지털음향 기기 케이스
KR20110100078A (ko) * 2010-03-03 2011-09-09 그린파워전자(주) 휴대단말기용 스피커 및 배터리 팩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389B1 (ko) * 2016-11-25 2018-03-12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 도어트림에 탈부착 되는 다용도 스피커
KR101827368B1 (ko) * 2016-11-29 2018-02-08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스피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05803A1 (ko) 201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88174C2 (ru) Многоцелев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KR100663535B1 (ko) 휴대 장치의 스피커 겸용 교체성 거치/충전 장치
US8867770B2 (en) Speaker-connector module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20150026082A (ko) 휘어지는 전자 장치
US8610398B2 (en) Wireless charging receiv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276628B1 (en) Photovoltaic cell and E-ink display on the front side of a cell phone case
CN105637574A (zh) 具有弯曲的显示模块的电子设备
KR20110136327A (ko) 보호케이스와 착탈이 가능한 휴대용단말기 보조 전원공급 장치
KR20120001903U (ko) 휴대용 통신 장치의 도킹 스테이션
KR101668461B1 (ko) 전자기기의 인터페이스용 디바이스
KR20140089754A (ko) 스타일러스 펜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140090921A (ko)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US20160323662A1 (en) Peripheral audio output device
US10321587B2 (en) Integrated connector receptacle device
KR101248864B1 (ko) 휴대용 스테레오 스피커 장치
KR101976464B1 (ko) 이동단말기 및 이에 구비된 배터리를 성형하는 프레스 금형 장치
CN206042527U (zh) 电路板组件与移动终端
KR20120108395A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충전, 통신용 거치 모듈
KR20140113853A (ko) 단말기 케이스
JP3168386U (ja) 携帯端末の充電用アダプタ装置
CN110417943A (zh) 一种电子设备
CN205017751U (zh) 用于移动设备的壳体及移动设备
TWM431612U (en) Electronic facility protection cover with charge cable
WO2019014986A1 (zh) 电子设备保护壳组件
KR101516321B1 (ko) 스마트폰용 전원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