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0921A -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0921A
KR20140090921A KR1020130052918A KR20130052918A KR20140090921A KR 20140090921 A KR20140090921 A KR 20140090921A KR 1020130052918 A KR1020130052918 A KR 1020130052918A KR 20130052918 A KR20130052918 A KR 20130052918A KR 20140090921 A KR20140090921 A KR 20140090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zel
display
lower cover
display area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2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7754B1 (ko
Inventor
조철용
안대경
현상민
정은빛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90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0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는, 제1디스플레이 영역, 제2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3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1디스플레이 영역의 후면에 상기 제1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설치되며, 접히지 않는 상부 커버;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2디스플레이 영역의 후면에 상기 제2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설치되어 상기 제2디스플레이 영역의 후면의 아래에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접히지 않는 하부 커버;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3디스플레이 영역의 후면에 상기 제3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설치되며, 접을 수 있는 연성 부재; 및 상기 하부 커버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제어기판과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3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접을 수 있다.

Description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Electronic device with foldable display}
본 발명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반으로 접을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술의 발달에 따라, 휴대 전화는 스마트 폰이 대세가 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 폰의 경우는 방송이나, 비디오를 시청하는 것이 편안하고, 게임을 하는데 적합하므로 많은 사용자들이 넓은 화면을 갖는 스마트 폰을 선호하고 있어 화면이 대형화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스마트 폰의 화면을 크게 하면 휴대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스마트 폰의 화면을 크게 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현재의 스마트 폰의 화면 크기에 만족하지 못하는 사용자들은 게임, 비디오 시청, 독서 등을 위해 태블릿 컴퓨터를 들고다니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스마트 폰과 태블릿 컴퓨터를 모두 들고다니는 것은 휴대성이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휴대성을 개선하기 위해, 접을 수 있는 스마트 폰과 같은 전자기기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현재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접을 수 있는 전자기기의 개발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전자기기, 대표적으로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스마트 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를 접을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를 접었을 경우에 접혀진 전자기기의 두께를 최소로 할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한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는, 제1디스플레이 영역, 제2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1 및 제2디스플레이 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1디스플레이 영역의 후면에 설치되며, 접히지 않는 상부 커버;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2디스플레이 영역의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2디스플레이 영역의 후면의 아래에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접히지 않는 하부 커버;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3디스플레이 영역의 후면에 설치되며, 접을 수 있는 연성 부재; 상기 하부 커버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기판; 및 상기 하부 커버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기판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성 부재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3디스플레이 영역의 후면에 융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커버의 두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최소 곡률 반지름과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커버의 두께는 상기 하부 커버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성 부재는 상기 제3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성 부재의 양측 가장자리는 각각 상기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 영역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제1베젤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커버는 상기 제2디스플레이 영역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제2베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베젤은 상기 제2디스플레이 영역의 좌측 가장자리를 덮는 제2베젤 좌측부, 상기 제2디스플레이 영역의 우측 가장자리를 덮는 제2베젤 우측부, 및 상기 제2디스플레이 영역의 하부 가장자리를 덮는 제2베젤 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베젤 좌측부 또는 상기 제2베젤 우측부 중의 어느 한쪽에는 스피커와 제1카메라 렌즈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피커와 상기 제1카메라 렌즈가 설치된 상기 제2베젤 좌측부 또는 제2베젤 우측부의 폭은 상기 스피커와 상기 제1카메라 렌즈가 설치되지 않은 상기 제2베젤 우측부 또는 상기 제2베젤 좌측부의 폭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베젤은 상기 제1디스플레이 영역의 좌측 가장자리를 덮는 제1베젤 좌측부, 상기 제1디스플레이 영역의 우측 가장자리를 덮는 제1베젤 우측부, 및 상기 제1디스플레이 영역의 상부 가장자리를 덮는 제1베젤 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베젤 좌측부 및 상기 제1베젤 우측부는 각각 상기 제2베젤 좌측부 및 상기 제2베젤 우측부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베젤 하부의 폭은 상기 제1베젤 상부의 폭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커버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는 전원 버튼과 이어폰 잭이 설치되며, 상기 하부 커버의 우측면 또는 좌측면에는 외부 커넥터 연결 잭과 스피커 구멍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커버의 하부 측면에는 음량 버튼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커버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 렌즈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커버의 후면에는 스탠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커버는 중앙의 두께가 좌측면, 우측면 및 상부 측면의 두께보다 두껍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커버는 중앙의 두께가 좌측면, 우측면, 및 하부 측면의 두께보다 두껍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베젤 좌측부와 상기 제2베젤 좌측부 사이에는 좌측 연성 베젤이 설치되며, 상기 제1베젤 우측부와 상기 제2베젤 우측부 사이에는 우측 연성 베젤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 연성 베젤 및 우측 연성 베젤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변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배면도;
도 4는 도 1의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좌측면도;
도 5는 도 1의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우측면도;
도 6은 도 1의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평면도;
도 7은 도 1의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저면도;
도 8의 (a)와 (b)는 도 3의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A-A부분을 절단하여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9는 도 1의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를 접었을 때의 좌측면도;
도 10은 도 1의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를 접었을 때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도 1의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를 대략 90도 정도 접었을 때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도 1의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를 반대 방향으로 접었을 때의 좌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를 스탠드로 지지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a) 및 도 14(b)는 다른 실시 예로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3디스플레이 영역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은 각각 도 1의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의 정면도, 배면도, 좌측면도, 우측면도,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1의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좌측면도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1)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 상부 커버(20), 및 하부 커버(3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는 이미지, 동영상, 문자 등과 같은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으로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부분에서 대략 180도로 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를 중간 부분에서 접을 수 있는 구조인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는 전 부분이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는 일 예로서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를 사용할 수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는 일 측면에 평행하게, 즉 화살표 X 방향과 평행하게 3개의 영역, 즉 제1디스플레이 영역(11), 제2디스플레이 영역(12) 및 제3디스플레이 영역(13)으로 구획될 수 있다. 제3디스플레이 영역(13)은 제1 및 제2디스플레이 영역(11,12)의 사이에 상기 제1 및 제2디스플레이 영역(11,12)과 나란하게 위치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디스플레이 영역(11), 제2디스플레이 영역(12), 및 제3디스플레이 영역(13)은 서로 평행하게 구획되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는 제3디스플레이 영역(13)에서 접을 수 있다. 제3디스플레이 영역(13)의 크기는 가변될 수 있다. 여기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3개의 영역(11,12,13)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후면에 설치되는 상부 커버(20), 하부 커버(30), 및 연성 부재(40)에 대응하는 영역을 가상으로 나눈 것이다.
상부 커버(2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제1디스플레이 영역(11)의 후면에 설치되며, 제1디스플레이 영역(11)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다. 상부 커버(20)는 딱딱한(rigid)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를 접을 때 접히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부 커버(20)는 금속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커버(2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제1디스플레이 영역(11)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제1베젤(21)을 포함한다. 제1베젤(21)은 제1디스플레이 영역(11)의 좌측 가장자리를 덮는 제1베젤 좌측부(22), 제1디스플레이 영역(11)의 우측 가장자리를 덮는 제1베젤 우측부(24), 및 제1디스플레이 영역(11)의 상부 가장자리를 덮는 제1베젤 상부(23)를 포함한다.
제1베젤(21)을 구성하는 제1베젤 좌측부(22), 제1베젤 우측부(24), 및 제1베젤 상부(23)의 폭은 동일하게 형성하거나 또는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하부 커버(3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제2디스플레이 영역(12)의 후면에 설치되며, 제2디스플레이 영역(12)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하부 커버(30)는 딱딱한(rigid)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를 접을 때 접히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하부 커버(30)는 금속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하부 커버(30)는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디스플레이 영역(12)의 후면의 아래에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하부 커버(30)의 내부 공간에는 제어기판(61)과 배터리(62)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커버(3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제2디스플레이 영역(12)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제2베젤(31)을 포함한다. 제2베젤(31)은 제2디스플레이 영역(12)의 좌측 가장자리를 덮는 제2베젤 좌측부(32), 제2디스플레이 영역(12)의 우측 가장자리를 덮는 제2베젤 우측부(34), 및 제2디스플레이 영역(12)의 하부 가장자리를 덮는 제2베젤 하부(33)를 포함한다.
제2베젤(31)을 구성하는 제2베젤 좌측부(32), 제2베젤 우측부(34), 및 제2베젤 하부(33)의 폭은 동일하게 형성하거나 또는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베젤 좌측부(32)의 폭(W1)이 제2베젤 우측부(34)의 폭(W2)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베젤 좌측부(32) 및 제2베젤 우측부(34)는 각각 상기 제1베젤 좌측부(22) 및 제1베젤 우측부(24)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제2베젤 하부(33)의 폭과 제1베젤 상부(23)의 폭은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베젤 하부(33)의 폭(W3)이 제1베젤 상부(23)의 폭(W4)보다 넓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1베젤 좌측부(22)와 제2베젤 좌측부(32) 사이에는 좌측 연성 베젤(51)이 설치되며, 제1베젤 우측부(24)와 제2베젤 우측부(34) 사이에는 우측 연성 베젤(52)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좌측 연성 베젤(51)은 제1베젤 좌측부(22)와 제2베젤 좌측부(32)의 폭 및 두께와 동일한 폭 및 두께로 형성된다. 또한, 우측 연성 베젤(52)은 제1베젤 우측부(24)와 제2베젤 우측부(34)의 폭 및 두께와 동일한 폭 및 두께로 형성된다. 또한, 좌측 연성 베젤(51) 및 우측 연성 베젤(52)은 유연성 있는 재료, 즉 접을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된다.
좌측 연성 베젤(51) 및 우측 연성 베젤(52)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와 일체로 형성되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와 일체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 연성 베젤(51) 및 우측 연성 베젤(52)은 융착 또는 접착에 의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전자기기(1)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가장자리는 연속된 한 개의 베젤에 의해 둘러싸인 것과 같이 보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좌측 연성 베젤(51) 및 우측 연성 베젤(52)은 융착 또는 접착에 의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상면에 설치된다고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좌측 및 우측 연성 베젤(51,52)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에 고정할 수 있는 한, 좌측 및 우측 연성 베젤(51,52)은 융착 또는 접착 이외의 다양한 방법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에 설치될 수 있다.
연성 부재(4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제3디스플레이 영역(13)의 후면에 설치된다. 연성 부재(40)는 제3디스플레이 영역(13)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며, 고무, 우레탄과 같은 유연성 있는 재료, 즉 접을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된다. 따라서, 연성 부재(40)가 설치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제3디스플레이 영역(13)은 접을 수 있다.
연성 부재(4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연성 부재(40)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후면에 융착하여 연성 부재(40)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와 분리되지 않는 한 개의 몸체로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연성 부재(40)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후면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연성 부재(40)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연성 부재(4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제3디스플레이 영역(13)의 크기보다 큰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8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성 부재(40)의 양측 가장자리의 일정 영역(41,42)은 각각 인접한 상부 커버(20)와 하부 커버(30)의 아래에 위치한다. 도 8(a) 및 도 8(b)는 도 3의 A-A를 절단하여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후면에는 연성 부재(40)가 설치되어 있으며, 연성 부재(40)의 상하에는 상부 커버(20)와 하부 커버(30)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연성 부재(40)의 일부분(41,42)이 상부 커버(20) 및 하부 커버(30)의 일부와 겹치도록 되어 있다. 도 8(a)의 경우에는 연성 부재(40)의 두께가 상부 커버(20) 및 하부 커버(30)의 두께보다 얇은 경우를 나타낸다. 도 8(b)는 다른 예로서, 연성 부재(40)의 두께가 상부 커버(20)와 하부 커버(30)의 두께와 동일한 경우를 나타낸다.
하부 커버(30)의 내부 공간에는 제어기판(61)과 배터리(62)가 설치된다. 제어기판(61)은 일반적인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컴퓨터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제어기판(61)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를 제어하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에 이미지, 동영상, 문자와 같은 다양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제어기를 형성한다.
또한, 제어기판(61)은 일반적인 스마트 폰과 동일하게 전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판(61)은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컴퓨터와 와이파이(WiFi), 3G, LTE, 등과 같은 무선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판(61)은 사진과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 렌즈와 관련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기능을 하는 제어기판(61)의 구성요소들은 하부 커버(30)의 내부에 적절하게 배치된다. 또한, 제어기판(61)을 제어하거나, 카메라 촬영, 이어폰 연결 등과 같은 동작을 위한 구성요소들이 하부 커버(30)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기판(61)에 연결되는 스피커(71), 카메라 렌즈(72), 전원 버튼(76), 이어폰 잭(75), 외부 커넥터 연결 잭(77) 등이 하부 커버(30)에 적절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1)에서 스피커(71), 카메라 렌즈(72) 등의 부품들이 하부 커버(30)에 배치된 예를 설명한다.
제2베젤 좌측부(32)에는 스피커(71)와 제1카메라 렌즈(72)가 설치된다. 스피커(71)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를 접었을 경우에 전면에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영역(12), 즉 제2디스플레이 영역(12)의 제2베젤 좌측부(32)의 대략 중앙에 설치된다. 제1카메라 렌즈(72)는 스피커(71)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된다. 이때, 스피커(71)와 제1카메라 렌즈(72)가 설치된 제2베젤 좌측부(32)의 폭(W1)은 스피커(71)와 제1카메라 렌즈(72)가 설치되지 않은 제2베젤 우측부(34)의 폭(W2)보다 넓게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스피커(71)와 제1카메라 렌즈(72)가 제2베젤 좌측부(32)에 설치된 경우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스피커(71)와 제1카메라 렌즈(72)는 제2베젤 우측부(34)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스피커(71)와 제1카메라 렌즈(72)가 설치된 제2베젤 우측부(34)의 폭(W2)이 스피커(71)와 제1카메라 렌즈(72)가 설치되지 않은 제2베젤 좌측부(32)의 폭(W1)보다 넓게 형성된다.
하부 커버(30)의 좌측면(35)에는 전원 버튼(76)과 이어폰 잭(75)이 설치된다. 이때, 전원 버튼(76)과 이어폰 잭(75)은 하부 커버(30)의 좌측면(35)의 양쪽 끝단에 설치된다. 그러나, 이는 일 예일 뿐이며, 전원 버튼(76)과 이어폰 잭(75)은 하부 커버(30) 좌측면(35)의 어디에도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여기서, 전원 버튼(76)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화면을 온/오프시키거나 본 발명에 의한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1)의 전원을 온/오프시킬 수 있다. 이어폰 잭(75)은 이어폰(미도시)을 연결할 수 있는 곳이다.
하부 커버(30)의 우측면(36)에는 외부 커넥터 연결 잭(77)과 스피커 구멍(78)이 설치된다. 외부 커넥터 연결 잭(77)은 하부 커버 우측면(36)의 대략 중앙에 설치되고, 스피커 구멍(78)은 하부 커버(30)의 우측면(36) 하단에 설치된다. 그러나, 이는 일 예일 뿐이며, 외부 커넥터 연결 잭(77)과 스피커 구멍(78)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여기서, 외부 커넥터 연결 잭(77)은 배터리 충전을 위한 충전기나 USB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는 곳이다. 스피커 구멍(78)은 하부 커버(30)의 내부에 설치된 스피커(미도시)의 소리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구멍이다.
이상에서는 하부 커버(30)의 좌측면(35)에는 전원 버튼(76)과 이어폰 잭(75)이 설치되고, 하부 커버(30)의 우측면(36)에는 외부 커넥터 연결 잭(77)과 스피커 구멍(78)이 설치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일 예일 뿐이며, 이와 반대로 하부 커버(30)의 좌측면(35)에 외부 커넥터 연결 잭(77)과 스피커 구멍(78)이 설치되고, 하부 커버(30)의 우측면(36)에 전원 버튼(76)과 이어폰 잭(75)이 설치될 수도 있다. 또는, 다른 배치 예로서, 전원 버튼(76)이 외부 커넥터 연결 잭(77) 또는 스피커 구멍(78)과 동일한 측면에 설치되고, 이어폰 잭(75)이 스피커 구멍(78) 또는 외부 커넥터 연결 잭(77)과 동일한 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하부 커버(30)의 하부 측면(37)에는 음량 버튼(79)이 설치되고, 하부 커버(30)의 후면(39)에는 제2카메라 렌즈(74) 및 플래시(73)가 설치된다. 하부 커버(30)에 설치되는 음량 버튼(79), 제2카메라 렌즈(74), 플래시(73)는 종래의 스마트 폰에 사용되는 음량 버튼, 제2카메라 렌즈, 플래시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배터리(62)는 하부 커버(3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제어기판(61)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에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62)는 충전 배터리가 사용될 수 있다. 충전 배터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배터리(62)는 하부 커버(30)에 설치된 외부 커넥터 연결 잭(77)을 통해 충전기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1)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제3디스플레이 영역(13)을 중심으로 접을 수 있다.
즉, 도 1과 같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가 펼쳐져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제1디스플레이 영역(11)의 상단에 힘을 가하여 상부 커버(20)의 후면(29)이 하부 커버(30)의 후면(39)과 접촉하도록 접을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제1디스플레이 영역(11)의 후면에 설치된 상부 커버(20)가 제3디스플레이 영역(13)을 중심으로 대략 180도 회전하여 제2디스플레이 영역(12)의 후면에 설치된 하부 커버(30)와 접촉하도록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와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전자기기(1)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를 도 1의 상태에서 도 10의 상태로 접는 도중에 제1디스플레이 영역(11)이 제2디스플레이 영역(12)에 대해 대략 90도 정도 굽혀진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상태에서 제1디스플레이 영역(11)에 계속 힘을 가하면, 제1디스플레이 영역(11)이 완전히 접혀 도 10과 같은 상태가 된다. 도 10과 같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가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는 외부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만이 노출되고, 하부 커버(30)의 후면(39)과 상부 커버(20)의 후면(29)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도 9 및 도 10과 같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를 접었을 때, 전자기기(1)의 두께(T)를 최소로 하기 위해, 전자기기(1)의 두께(T)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를 완전히 접어 하부 커버(30)의 후면(39)과 상부 커버(20)의 후면(29)이 접촉하였을 때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제3디스플레이 영역(13)의 곡률 반지름(R)(이하, 최대 곡률 반지름이라 함)의 2배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T ≤ 2R로 하는 것이다. 이때, 제3디스플레이 영역(13)의 후면의 곡률 반지름(r)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최소 곡률 반지름이라한다. 이를 위해, 하부 커버(30)의 두께(T2)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최대 곡률 반지름(R)과 최소 곡률 반지름(r)의 합(R+r) 이하로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9에서, 하부 커버(30)의 두께(T2), 즉 하부 커버(30)의 전면에서 후면(39)까지의 거리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제3디스플레이 영역(13)의 곡률 반지름(R)과 제3디스플레이 영역(13)의 후면의 곡률 반지름(r)의 합(R+r)과 동일하거나 작도록 형성하는 것이다(즉, T2 ≤ R + r). 또한, 상부 커버(20)의 두께(T1)는 하부 커버(30)의 두께(T2)보다 얇게 형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제1디스플레이 영역(11)을 도 9 및 도 10과 반대의 방향으로 접을 수 있다. 도 12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를 반대 방향으로 접은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하부 커버(30)의 후면(39)과 상부 커버(20)의 후면(29)이 외부로 노출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제1디스플레이 영역(11)과 제2디스플레이 영역(12)이 서로 마주하는 상태가 된다. 도 12와 같이 접은 경우에는 하부 커버(30)의 두께(T2)와 상부 커버(20)의 두께(T1) 외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최소 곡률 반지름(r)(즉,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제3디스플레이 영역(13)의 곡률 반지름)의 대략 2배가 되는 두께(T3)가 더해지기 때문에, 도 9 및 도 10과 같이 접어 하부 커버(30)의 후면 부분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를 접을 때 생기는 공간 내에 수용되도록 하는 경우에 비해 두께(T')가 두꺼워진다. 따라서, 도 12와 같이 상부 커버(20)와 하부 커버(30)의 후면(29,39)이 노출되도록 접은 경우에는 도 10과 같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접은 경우에 비해 전체 두께가 두꺼워져(T'>T) 사용하기가 불편하게 된다.
사용성을 높이기 위해서, 하부 커버(30)의 후면(39)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1)를 펼친 상태에서 지지할 수 있는 스탠드(91)가 설치될 수 있다. 하부 커버(30)의 후면(39)에 스탠드(91)가 설치된 경우의 예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커버(30)의 후면(39)에는 스탠드(91)와 스탠드 홈(92)이 설치되어 있다. 스탠드(91)의 일단은 스탠드 홈(92)에 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스탠드(91)는 사용할 경우에는 스탠드 홈(92)에서 빼서 도 13과 같이 하부 커버(30)의 후면(39)을 지지하도록 세우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스탠드 홈(92)에 넣을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본 발명에 의한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1)를 도 13과 같이 스탠드(91)로 지지하는 경우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가 외력에 의해 제3디스플레이 영역(13)에서 굽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부재(100)를 설치할 수 있다. 도 14(a)와 도 14(b)는 이러한 지지부재(100)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1)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제3디스플레이 영역(13)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100)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a) 및 도 14(b)에서는 도시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지지부재(100)의 구조와 동작을 설명하는데 불필요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 등의 구성요소는 개략적으로 형태만 도시하였다.
도 14(a)를 참조하면, 지지부재(100)는 상부 커버(20')에 마련된 지지부재 수용부(101)에 수납되어 있다. 하부 커버(30)에는 지지부재(100)의 일단이 삽입되는 지지부재 삽입홈(103)이 마련된다. 지지부재(100)는 강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되며, 외부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에 힘을 가하는 경우에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가 제3디스플레이 영역(13)에서 굽혀지지 않도록 지지한다. 지지부재(100)는 지지부재 수용부(101)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도 14(a)와 같이 지지부재(100)가 지지부재 수용부(101)에 수용된 경우에는 전자기기(1)는 제3디스플레이 영역(13)을 중심으로 접을 수 있다.
만일, 도 13과 같이 스탠드(91)로 전자기기(1)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를 편 상태로 세워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14(b)와 같이 지지부재(100)를 지지부재 수용부(101)에서 꺼내어 지지부재(100)의 선단을 하부 커버(30')의 상단에 마련된 지지부재 삽입홈(103)에 삽입한다. 그러면, 지지부재(100)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제3디스플레이 영역(13)의 후면의 연성부재(40)가 설치된 부분을 지지하게 된다. 이 경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후면이 모두 강체로 된 상부 커버(20'), 하부 커버(30') 및 지지부재(100)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에 힘을 가하여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가 제3디스플레이 영역(13)을 중심으로 변형되지 않는다.
이상에서는 지지부재(100)가 슬라이드 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지지부재(100)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의 제3디스플레이 영역(13)이 굽혀지지 않을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인한 다양한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양단이 단단한 재질로 된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에 의해 지지되고, 그 중앙부만 접힐 수 있도록 연성 부재에 의해 지지되므로, 접는 동작이 용이하며, 사용시 파지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중앙부에서 접을 수 있는 구조이므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접은 상태에서는 스마트 폰과 같이 사용할 수 있으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펼친 상태에서는 태블릿 컴퓨터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접은 경우에는 제품의 앞뒤로 디스플레이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1.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10;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11; 제1디스플레이 영역
12; 제2디스플레이 영역 13; 제3디스플레이 영역
20; 상부 커버 21; 제1베젤
30; 하부 커버 31; 제2베젤
40; 연성 부재 51; 좌측 연성 베젤
52; 우측 연성 베젤 61; 제어 기판
62; 배터리 71; 스피커
72; 제1카메라 렌즈 73; 플래시
74; 제2카메라 렌즈 75; 이어폰 잭
76; 전원 버튼 77; 외부 커넥터 연결 잭
78; 스피커 구멍 91; 스탠드
92; 스탠드 홈

Claims (19)

  1. 제1디스플레이 영역, 제2디스플레이 영역 및 상기 제1 및 제2디스플레이 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3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1디스플레이 영역의 후면에 설치되며, 접히지 않는 상부 커버;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2디스플레이 영역의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2디스플레이 영역의 후면의 아래에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접히지 않는 하부 커버;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3디스플레이 영역의 후면에 설치되며, 접을 수 있는 연성 부재;
    상기 하부 커버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기판; 및
    상기 하부 커버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기판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부재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3디스플레이 영역의 후면에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의 두께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최소 곡률 반지름과 동일하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의 두께는 상기 하부 커버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부재는 상기 제3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부재의 양측 가장자리는 각각 상기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의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제1디스플레이 영역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제1베젤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커버는 상기 제2디스플레이 영역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제2베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베젤은 상기 제2디스플레이 영역의 좌측 가장자리를 덮는 제2베젤 좌측부, 상기 제2디스플레이 영역의 우측 가장자리를 덮는 제2베젤 우측부, 및 상기 제2디스플레이 영역의 하부 가장자리를 덮는 제2베젤 하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베젤 좌측부 또는 상기 제2베젤 우측부 중의 어느 한쪽에는 스피커와 제1카메라 렌즈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와 상기 제1카메라 렌즈가 설치된 상기 제2베젤 좌측부 또는 제2베젤 우측부의 폭은 상기 스피커와 상기 제1카메라 렌즈가 설치되지 않은 상기 제2베젤 우측부 또는 상기 제2베젤 좌측부의 폭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젤은 상기 제1디스플레이 영역의 좌측 가장자리를 덮는 제1베젤 좌측부, 상기 제1디스플레이 영역의 우측 가장자리를 덮는 제1베젤 우측부, 및 상기 제1디스플레이 영역의 상부 가장자리를 덮는 제1베젤 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베젤 좌측부 및 상기 제1베젤 우측부는 각각 상기 제2베젤 좌측부 및 상기 제2베젤 우측부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베젤 하부의 폭은 상기 제1베젤 상부의 폭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는 전원 버튼과 이어폰 잭이 설치되며, 상기 하부 커버의 우측면 또는 좌측면에는 외부 커넥터 연결 잭과 스피커 구멍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의 하부 측면에는 음량 버튼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 렌즈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의 후면에는 스탠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는 중앙의 두께가 좌측면, 우측면 및 상부 측면의 두께보다 두껍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는 중앙의 두께가 좌측면, 우측면, 및 하부 측면의 두께보다 두껍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젤 좌측부와 상기 제2베젤 좌측부 사이에는 좌측 연성 베젤이 설치되며, 상기 제1베젤 우측부와 상기 제2베젤 우측부 사이에는 우측 연성 베젤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연성 베젤 및 우측 연성 베젤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KR1020130052918A 2013-01-10 2013-05-10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KR1018577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751244P 2013-01-10 2013-01-10
US61/751,244 2013-0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0921A true KR20140090921A (ko) 2014-07-18
KR101857754B1 KR101857754B1 (ko) 2018-05-15

Family

ID=51738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2918A KR101857754B1 (ko) 2013-01-10 2013-05-10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775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33883B2 (en) 2015-02-24 2017-08-15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US10331173B2 (en) 2016-10-19 2019-06-25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WO2020171599A1 (en) * 2019-02-19 2020-08-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content thereon
WO2020101815A3 (en) * 2018-11-13 2020-10-29 Google Llc Cover for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WO2020231072A1 (en) * 2019-05-14 2020-1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foldable electronic device
US11016531B2 (en) 2019-05-09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ing by using plurality of cameras
US11516325B2 (en) * 2018-03-19 2022-11-29 Huawei Technologies Co., Ltd. Electronic device
CN116804420A (zh) * 2022-03-14 2023-09-26 王希哲 一种折页结构、折叠架、显示器、键盘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76535B2 (en) * 2011-06-03 2015-11-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lexible display flexure assembly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33883B2 (en) 2015-02-24 2017-08-15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US10082996B2 (en) 2015-02-24 2018-09-25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US10514879B2 (en) 2015-02-24 2019-12-24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US11385854B2 (en) 2015-02-24 2022-07-12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US10963204B2 (en) 2015-02-24 2021-03-30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US10331173B2 (en) 2016-10-19 2019-06-25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US11797055B2 (en) 2016-10-19 2023-10-24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US10817023B2 (en) 2016-10-19 2020-10-27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US11269380B2 (en) 2016-10-19 2022-03-08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US11516325B2 (en) * 2018-03-19 2022-11-29 Huawei Technologies Co., Ltd. Electronic device
CN113170588A (zh) * 2018-11-13 2021-07-23 谷歌有限责任公司 具有柔性显示器的电子设备的盖
WO2020101815A3 (en) * 2018-11-13 2020-10-29 Google Llc Cover for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CN113170588B (zh) * 2018-11-13 2023-03-17 谷歌有限责任公司 具有柔性显示器的电子设备的盖
US11609611B2 (en) 2018-11-13 2023-03-21 Google Llc Cover for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US11231895B2 (en) 2019-02-19 2022-01-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content thereon
US11442684B2 (en) 2019-02-19 2022-09-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content thereon
WO2020171599A1 (en) * 2019-02-19 2020-08-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content thereon
US11016531B2 (en) 2019-05-09 2021-05-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ing by using plurality of cameras
US11178264B2 (en) 2019-05-14 2021-1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foldable electronic device
WO2020231072A1 (en) * 2019-05-14 2020-1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foldable electronic device
CN116804420A (zh) * 2022-03-14 2023-09-26 王希哲 一种折页结构、折叠架、显示器、键盘及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7754B1 (ko) 201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7754B1 (ko)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US9986072B2 (en) Mobile terminal
US9258396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rolled-up screen and display method thereof
US8380264B2 (en) Case for electrical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same
US20190320048A1 (en) Mobile terminal
US20150233162A1 (en) Hinge device and foldabl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0613589B2 (en) Electronic device
KR102194305B1 (ko) 곡형 디스플레이 모듈을 갖는 전자 장치
US20160033996A1 (en) Mobile terminal
JP2005084955A (ja) 携帯情報端末
KR101801192B1 (ko) 이동 단말기
JP2013176051A (ja) 移動端末機
US20190289108A1 (en) Key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same, and method of assembling key module
JP2005244679A (ja) 携帯情報端末
US20220182476A1 (en) Mobile terminal
KR102255710B1 (ko) 이동단말기
KR20120135978A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겸용 케이스
KR20160018306A (ko) 휴대 전자기기용 커버
KR101562585B1 (ko) 이동 단말기
JP2014107714A (ja) 携帯端末装置
KR102201749B1 (ko) 이동 단말기
CN212435738U (zh) 抽板式折叠屏手机
KR101769941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단말기
KR101921623B1 (ko) 가상현실 체험기능이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KR101919784B1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