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7985B1 -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37985B1 KR101637985B1 KR1020150023214A KR20150023214A KR101637985B1 KR 101637985 B1 KR101637985 B1 KR 101637985B1 KR 1020150023214 A KR1020150023214 A KR 1020150023214A KR 20150023214 A KR20150023214 A KR 20150023214A KR 101637985 B1 KR101637985 B1 KR 1016379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rtable terminal
- button
- case
- push button
- inpu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3—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는, 휴대용 단말기를 수용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써, 상기 휴대용 케이스에 장착되는 입력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버튼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신호를 발생시킨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버튼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스마트폰 등의 휴대 가능한 단말기들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노출된 액정화면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케이스를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폰 보호케이스는 휴대폰의 측면과 후면을 감싸는 형태를 가지며, 또한, 액정화면을 보호하기 위해 액정화면을 덮는 덮개 커버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스마트폰의 경우 휴대가 간편하고 통화 본연의 기능에 충실하도록 작은 크기의 액정이 적용되었으나, 최근 사용자들은 휴대성보다는 넓은 화면에서 더욱 많은 정보를 얻는 것을 선호하는 추세가 계속됨으로써 큰 사이즈의 액정을 구비한 스마트폰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스마트폰의 사이즈 증대로 인하여 사용자의 시각적 쾌적감을 만족시킬수는 있지만, 스마트폰을 한 손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것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하기 선행문헌은 휴대폰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보호하고자 하는 핸드폰의 하면과 측면을 감싸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어느 한 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휴대폰의 상면을 덮는 평판 형태를 갖는 덮개 커버 및 적어도 하나의 발광체가 실장되고 상기 덮개 커버 내부에 배치된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하고, 상기 핸드폰에 전화가 오면 상기 발광체가 동작하는 휴대폰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
큰 사이즈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라도 사용자가 한 손으로 자유롭고 간단히 휴대용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는, 휴대용 단말기를 수용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써, 상기 휴대용 케이스에 장착되는 입력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버튼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입력버튼은, 내측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내측공간에 안착되는 밀기버튼; 상기 밀기버튼의 외측면 또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 중 어느 한 쪽에 구비되는 센서; 및 상기 밀기버튼의 외측면 또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 중 다른 한 쪽에 구비되는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밀기버튼이 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센서 및 상기 접점이 접촉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신호가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력버튼은,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 중 상향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베이스부재; 상기 돌출부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돌출부를 감싸도록 하향측벽이 형성된 밀기버튼; 상기 돌출부의 외측면 또는 상기 하향측벽의 내측면 중 어느 한 쪽에 구비되는 센서; 상기 돌출부의 외측면 또는 상기 하향측벽의 내측면 중 다른 한 쪽에 구비되는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밀기버튼이 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센서 및 상기 접점이 접촉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신호가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기버튼의 상면에는 누름버튼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기버튼을 측방향으로 밀면 마우스 포인팅 신호가 발생하고, 상기 누름버튼을 누르면 클릭 신호가 발생하고, 상기 누름버튼을 누른 채 상기 밀기버튼을 밀면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가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누름버튼을 누른 채 상기 밀기버튼을 밀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누름버튼 및 상기 밀기버튼을 떼고, 다시 밀기버튼을 밀면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의 발생이 해제되지 않고 계속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가 계속 발생한 이후, 누름버튼을 눌렀다가 떼면 상기 스크롤 신호 또는 상기 드래그 신호의 발생이 해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누름버튼을 미리 설정된 시간 미만동안 누르면 클릭 신호가 발생하고, 상기 누름버튼을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동안 누르면 스크롤 또는 드래그 신호가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력버튼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입력버튼 및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입력버튼 간의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터리는 무선충전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덮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부의 일부에는 개방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개방영역은 상기 덮개부가 뒤로 젖혀짐으로써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후면에 배치될 경우 상기 입력버튼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부 중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과 접하는 부분의 일부에는 개방영역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력버튼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중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후면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력버튼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중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력버튼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중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 하측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 버튼을 포함하는 버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튼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중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후면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튼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중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튼부는, 홈(Home) 버튼 또는 백(Back) 버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능 버튼의 특정 기능은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설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기능 버튼에 의하여 수행되는 특정 기능의 추가적인 제어를 상기 입력버튼에 의해 수행될 수 있도록 설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는 휴대용 단말기를 직접 수용하는 제 1케이스; 상기 제 1케이스를 수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 1케이스와 결합되는 제 2케이스; 및 상기 제 2케이스에 장착되는 입력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버튼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신호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는 휴대용 케이스에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버튼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한 손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별도의 입력버튼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가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입력버튼을 밀기버튼 및 누름버튼의 조합에 의한 다양한 신호의 생성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원가 절감 및 휴대용 단말기의 높이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에 적용되는 입력버튼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에 적용되는 입력버튼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에 적용되는 입력버튼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에 적용되는 입력버튼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는 휴대용 단말기를 수용하며,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에는 입력버튼(100)이 장착된다. 이러한 입력버튼(100)은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에 수용된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를 한 손으로 지지한 채로 입력버튼(100)을 조작함으로써 큰 사이즈의 터치 입력 스크린을 장착한 휴대용 단말기를 한 손으로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버튼(100) 이외에 제어부(200) 및 배터리(300)를 구비한다.
제어부(200)는 입력버튼(100)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성으로써, 구체적으로 입력버튼(100)의 조작에 따라 발생된 신호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러한 제어부(200)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에 수용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게 된다. 휴대용 단말기와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 간의 별도의 연결 수단이 필요하지 않도록 양 구성 간에는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무선 통신에 의하여 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터리(300)는 입력버튼(100) 또는 제어부(20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으로써,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의 두께를 고려하여 코인(coin) 형태의 리튬 또는 수은 전지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배터리(300)를 무선 충전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입력버튼(100), 제어부(200) 및 배터리(300)는 상호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연성회로기판 등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2에는 입력버튼(100), 제어부(200) 및 배터리(300)가 노출된 채로 도시되어 있으나, 휴대용 단말기가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에 착탈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로부터 탈락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구성 이외에 휴대용 단말기에 부착된 카메라 렌즈, 발광다이오드 소자 등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중공(500)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나아가 휴대용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 버튼을 포함하는 버튼부(40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 버튼은 휴대용 단말기의 홈(Home) 버튼 또는 백(Back) 버튼으로 기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가 음악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중이라면 재생 버튼, 이전 곡 재생 버튼, 다음 곡 재생 버튼, 멈춤 버튼 등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기능 버튼의 특정 기능은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의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하고,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특정 기능을 각 기능 버튼별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명, 어플레케이션에서 기능 버튼을 특정 앱의 학키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나아가 기능 버튼에 의해 수행된 앱의 세부 기능을 입력버튼(100)을 통해서 제어 가능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앞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의 각 구성들에 대한 내용을 기능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에 포함되는 입력버튼(1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에 적용되는 입력버튼(100)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에 적용되는 입력버튼(100)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에 적용되는 입력버튼(100)의 일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에 적용되는 입력버튼(100)은 크게 하우징(110), 밀기버튼(120), 센서(130) 및 접점(140)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상측이 개방된 내측공간이 마련되도록 형성된다. 밀기버튼(120)은 하우징(100)에 마련된 내측공간에 안착되며, 내측공간에 안착된 상태에서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전후 및 좌우 등 측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센서(130)는 밀기버튼(120)의 외측면 또는 하우징(110)의 내측면 중 어느 한 쪽에 구비되는 구성이고, 접점(130)은 밀기버튼(120)의 외측면 또는 하우징(110)의 내측면 중 다른 한 쪽에 구비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센서(130)는 둘 이상의 단자스위치를 구비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단자스위치가 센서(130)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접점(130)은 도전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결국 밀기버튼(120)을 측방향으로 밀었을 때, 밀기버튼(200)이 움직이는 방향에 위치하는 센서(130)에 접점(130)에 접촉되고, 접촉된 센서(130)에 할당된 입력신호가 발생된다.
상기와 같이 측방향으로 버튼을 밀어 가압함에 따라 입력신호가 발생되는 밀기방식 입력버튼은 이미 다양한 구조로 제안된 바 있는데, 종래의 밀기방식 입력버튼은 측방향 가압을 감지하기 위한 가압센서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바, 신호입력장치의 제조원가가 매우 높아질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버튼을 어느 방향으로 미는지에 따라 상이한 종류의 입력신호가 발생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가압력이 인가되는 각 방향별로 하나씩 가압센서가 장착되어야 하므로, 상기와 같은 제조원가 문제는 더욱 커지게 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에 적용되는 입력버튼(100)의 일 예에 따르면, 각 방향 별 별도의 가압센서 없이도 측방으로 가압력이 인가되었을 때 해당 방향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종류의 입력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밀기버튼(120)이 어느 일측으로 밀려 이동됨에 따라 접점(140)이 어느 하나의 센서(130)를 접속시킨 후 상기 밀기버튼(120)에 인가되어 있던 가압력이 해제되었을 때, 상기 센서(130)가 접속된 상태가 계속 유지되면 사용자의 의도에 반하여 입력신호가 지속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밀기버튼(120)이 측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센서(130)와 상기 접점(140)이 이격되도록 상기 밀기버튼(120)의 위치를 복귀시키는 탄성부재(16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160)가 구비되면, 상기 밀기버튼(120)에 인가되었던 측방향 외력이 해제되었을 때 상기 밀기버튼(120)은 상기 탄성부재(160)의 탄성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되는바, 센서(130)와 접점(130)이 이격된 상태 즉, 어떠한 입력신호도 발생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에 적용되는 입력버튼(100)의 일 예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하단에 배치된 스위치(170)와 밀기버튼(120)의 상면에 배치되는 누름버튼(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누름버튼(150)은 밀기버튼(120)을 상향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하단이 상기 스위치(170)에 안착되어 하향 가압력이 인가될 때 아래로 밀려 상기 스위치(170)를 누름으로써 밀기버튼(120)의 이동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와는 별개의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밀기버튼(120)과 누름버튼(150)의 작동 조합에 기초하여 다양한 신호의 발생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에 적용되는 입력버튼(100)의 다른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에 적용되는 입력버튼(100)은 크게 베이스부재(180), 밀기버튼(120), 센서부(130), 접점(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부재(180)는 바닥면(181) 및 바닥면(181)의 중심부측에 상향 돌출된 돌출부(182)를 포함한다. 밀기버튼(120)은 돌출부(182)의 상측에 배치되는데, 돌출부(182)의 외면을 감싸도록 하향으로 형성된 하향측벽(121)이 형성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82)의 외측면에는 센서부(130)가 구비되고, 하향측벽(121)의 내측면에는 돌출부(182)의 외측면 중 센서부(130)가 배치된 부분과 대응되는 영역에 접점(140)을 구비할 수 있다. 반대로, 하향측벽(121)의 내측면에 센서부(130)가 구비되고, 돌출부(182)의 외측면에는 하향측벽(121)의 내측면 중 센서부(130)가 배치된 부분과 대응되는 영역에 접점(140)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구조 하에서, 밀기버튼(120)이 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센서(130) 및 접점(1400)이 상호 접촉함으로써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는데, 구체적으로 이러한 밀기버튼(120)은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전후 및 좌우 등 측방향으로 일정 거리를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고, 사용자가 밀기버튼(120)을 측방향으로 밀었을 때 접점(140)은 밀기버튼(120)이 움직이는 방향에 위치하는 센서부(130)에 접촉됨으로써 센서부(130) 내에 형성된 복수의 센서 중 해당되는 센서와 관련된 입력신호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밀기버튼(120)은 회전하지 않고 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야 하고, 이는 밀기버튼(120)의 회전이 가능할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해당 센서와 접점이 접촉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원치 않는 입력신호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센서부(130)로서는 터치센서 또는 촉각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제조 원가 절감 및 제품의 경량화 등을 고려할 때, 연성회로기판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연성회로기판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배치시키되, 이러한 센서는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를 포함하는 단자스위치로 형성되게 하고, 접점(140)을 도전체로 형성함으로써, 밀기버튼(120)을 측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단자스위치의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 모두 접점(140)과 접촉하게 함으로써 상기 양극단자와 상기 음극단자가 단락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서 입력신호를 발생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단자스위치는 구체적으로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를 서로 이격시켜 나란히 배치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수평방향으로 교번으로 배열되는 부위를 갖도록 즉, 상하 방향으로 요철패턴을 가지며 요철부위가 엇갈려 맞물리도록 배열되는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로 구성되며, 상기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는 상호 요철부위가 엇갈려 맞물리도록 배치되되 상호 미세하게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동시에, 접점(140)의 경우 상기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 상호간의 견고한 단락을 위하여 접촉 부위만을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밀기버튼(120)을 측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다시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탄성부재(160)로써는 밀기버튼(120)이 측방향으로 이동할 때 압축됨으로써 밀기버튼(120)에 복원탄성력을 인가하는 카본스펀지나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재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에 적용되는 입력버튼(100)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어떠한 신호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제어하는지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밀기버튼(120)을 측방향으로 밀면 마우스 포인팅 신호 또는 방향키 신호가 발생한다. 즉 밀기버튼(200)의 측방향 이동에 의해서 센서부(130)와 접점(140)이 접촉되면서 마우스 포인팅 신호 또는 방향키 신호가 발생하게 되고, 이를 통해 입력버튼(100)에 의해 제어되는 휴대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되는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시키게 되거나, 디스플레이상에 정렬되어 배치된 복수 개의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의 선택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누름버튼(150)을 누르면 클릭 신호가 발생하도록 한다. 이 경우 밀기버튼(120)의 작동으로 인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되는 마우스 포인터를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되는 아이콘 상에 위치시키고, 누름버튼(150)을 누르게 되면, 해당 아이콘을 터치하는 것과 같이 해당 아이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누름버튼(150)을 누른 채 밀기버튼(120)을 밀면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스크롤 신호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 상에서 손가락을 상측에서 하측 또는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움직일때와 마찬가지로 화면을 상, 하 스크롤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드래그 신호에 의해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 상에서 손가락을 좌측에서 우측 또는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움직일때와 마찬가지로, 화면을 좌, 우로 전체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누름버튼(150)을 누른 채로 밀기버튼(120)을 밀게 되면, 사용자는 입력버튼(100)에 아래 방향으로의 압력 및 측 방향으로의 압력을 동시에 인가하여야 하므로, 장기간 이러한 제어 방법으로 스크롤 및 드래그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우 사용자가 피로를 느끼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누름버튼(150)을 누른 채 밀기버튼(120)을 밀게 됨으로써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가 발생한 후,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누름버튼(150) 및 밀기버튼(120)을 떼더라도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의 발생이 중단되지 않은 채로 유지되도록 한다. 이후, 다시 밀기버튼(120)을 밀면 해당 방향에 따라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가 계속 발생하도록 한다. 이 경우,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를 누름버튼(150)을 누르지 않고도 생성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피로도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다만, 이 경우 발생된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의 발생을 해제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가 계속 발생한 이후, 누름버튼(150)을 눌렀다가 떼면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의 발생이 해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누름버튼(150)을 미리 설정된 시간 미만동안 누르면 클릭 신호가 발생하고, 누름버튼(150)을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동안 누르면 스크롤 또는 드래그 신호가 발생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하, 도 6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는 일측면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덮는 커버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휴대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전면을 보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커버부(600)를 뒤로 젖히게 되는데, 이 경우 입력버튼(100)이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 중 휴대용 단말기의 후면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경우, 입력버튼(100)이 커버부(600)에 의하여 가려짐으로써 입력버튼(100)를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600)의 일부에는 개방영역(610)이 형성되고, 상기 개방영역(610)은 커버부(600)가 뒤로 젖혀짐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후면에 배치될 경우 입력버튼(100)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아울러, 개방영역(610)은 버튼부(400) 또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600) 중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과 접하는 부분의 일부에는 개방부(620)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600)를 완전히 뒤로 젖히지 않은 상태에서 커버부(600)와 휴대용 단말기 커버 중 휴대용 단말기를 수용하는 부분 사이에 개방부(620)가 형성되게 되고, 사용자는 상기 개방부(620)에 손가락 일부를 삽입하여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를 지지함과 동시에 입력버튼(100)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는 입력버튼(100)이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 중 휴대용 단말기의 후면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버튼부(400) 또한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버튼(100)을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 중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 하측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는 휴대용 단말기를 직접 수용하는 제 1케이스, 상기 제 1케이스를 수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 1케이스와 결합되는 제 2케이스 및 제 2케이스에 장착되는 입력버튼(10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직접 수용하는 케이스인 제 1케이스를 이미 사용하고 있는 경우, 사용중인 제 1케이스를 굳이 변경하지 않더라도 제 1케이스 위에 부착되거나 결합되며, 입력버튼(100)을 구비하는 제 2케이스를 이용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100: 입력버튼
120: 밀기버튼
130: 센서
140: 접점
150: 누름버튼
200: 제어부
300: 배터리
400: 버튼부
600: 커버부
610: 개방영역
620: 개방부
100: 입력버튼
120: 밀기버튼
130: 센서
140: 접점
150: 누름버튼
200: 제어부
300: 배터리
400: 버튼부
600: 커버부
610: 개방영역
620: 개방부
Claims (24)
- 휴대용 단말기를 수용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케이스(10)에 장착되는 입력버튼(100);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의 일측면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커버부(600);
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버튼(100)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버튼(100)은,
내측공간이 형성된 하우징(110);
상기 내측공간에 안착되는 밀기버튼(120);
상기 밀기버튼(120)의 외측면 또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면 중 어느 한 쪽에 구비되는 센서(130); 및
상기 밀기버튼(120)의 외측면 또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측면 중 다른 한 쪽에 구비되는 접점(140);
을 포함하고,
상기 밀기버튼(120)이 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센서(130) 및 상기 접점(140)이 접촉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신호가 발생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버튼(100)은,
바닥면(181) 및 상기 바닥면(181) 중 상향 돌출된 돌출부(182)를 포함하는 베이스부재(180);
상기 돌출부(182)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돌출부(182)를 감싸도록 하향측벽(121)이 형성된 밀기버튼(120);
상기 돌출부(182)의 외측면 또는 상기 하향측벽(121)의 내측면 중 어느 한 쪽에 구비되는 센서(130); 및
상기 돌출부(182)의 외측면 또는 상기 하향측벽(121)의 내측면 중 다른 한 쪽에 구비되는 접점(140);
을 포함하고,
상기 밀기버튼(120)이 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센서(130) 및 상기 접점(140)이 접촉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신호가 발생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밀기버튼(120)의 상면에는 누름버튼(150)이 배치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밀기버튼(120)을 측방향으로 밀면 마우스 포인팅 신호 또는 방향키 신호가 발생하고,
상기 누름버튼(150)을 누르면 클릭 신호가 발생하고,
상기 누름버튼(150)을 누른 채 상기 밀기버튼(120)을 밀면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가 발생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150)을 누른 채 상기 밀기버튼(120)을 밀고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누름버튼(150) 및 상기 밀기버튼(120)을 떼고, 다시 상기 밀기버튼(120)을 밀면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의 발생이 해제되지 않고 계속 발생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신호 또는 드래그 신호가 계속 발생한 이후, 상기 누름버튼(150)을 눌렀다가 떼면 상기 스크롤 신호 또는 상기 드래그 신호의 발생이 해제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150)을 미리 설정된 시간 미만동안 누르면 클릭 신호가 발생하고,
상기 누름버튼(150)을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동안 누르면 스크롤 또는 드래그 신호가 발생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버튼(1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00); 및
상기 입력버튼(100) 또는 상기 제어부(20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300);
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입력버튼(100) 간의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부;
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300)는 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600)의 일부에는 개방영역(610)이 형성되고,
상기 개방영역(610)은 상기 커버부(600)가 뒤로 젖혀짐으로써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후면에 배치될 경우, 상기 입력버튼(10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600) 중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과 접하는 부분의 일부에는 개방부(620)가 형성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버튼(100)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 중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후면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버튼(100)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 중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측면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버튼(100)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 중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면 하측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휴대용 단말기를 수용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케이스(10)에 장착되는 입력버튼(100);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 버튼을 포함하는 버튼부(400);
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버튼(100)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버튼부(4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 중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후면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삭제
- 삭제
- 휴대용 단말기를 수용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케이스(10)에 장착되는 입력버튼(100);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 버튼을 포함하는 버튼부(400);
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버튼(100)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버튼부(400)는 홈(Home) 버튼 또는 백(Back) 버튼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휴대용 단말기를 수용하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10)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케이스(10)에 장착되는 입력버튼(100);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능 버튼을 포함하는 버튼부(400);
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버튼(100)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기능 버튼의 특정 기능은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설정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기능 버튼에 의하여 수행되는 특정 기능의 추가적인 제어를 상기 입력버튼(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도록 설정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휴대용 단말기를 직접 수용하는 제 1케이스;
상기 제 1케이스를 수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 1케이스와 결합되는 제 2케이스; 및
상기 제 2케이스에 장착되는 입력버튼;
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버튼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23214A KR101637985B1 (ko) | 2015-02-16 | 2015-02-16 |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EP16752645.8A EP3260009B1 (en) | 2015-02-16 | 2016-02-15 | Portable terminal case |
CN201680010311.3A CN107249380A (zh) | 2015-02-16 | 2016-02-15 | 便携式终端盒 |
PCT/KR2016/001467 WO2016133315A1 (ko) | 2015-02-16 | 2016-02-15 |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JP2017561221A JP6557364B2 (ja) | 2015-02-16 | 2016-02-15 | 携帯用端末ケース |
US15/551,355 US10812127B2 (en) | 2015-02-16 | 2016-02-15 | Portable terminal cas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23214A KR101637985B1 (ko) | 2015-02-16 | 2015-02-16 |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37985B1 true KR101637985B1 (ko) | 2016-07-08 |
Family
ID=56504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23214A KR101637985B1 (ko) | 2015-02-16 | 2015-02-16 |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0812127B2 (ko) |
EP (1) | EP3260009B1 (ko) |
JP (1) | JP6557364B2 (ko) |
KR (1) | KR101637985B1 (ko) |
CN (1) | CN107249380A (ko) |
WO (1) | WO2016133315A1 (ko)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37410A1 (en) * | 2016-08-24 | 2018-03-01 | Nir Geva | Jacket for medical module |
WO2018110721A1 (ko) * | 2016-12-13 | 2018-06-21 | 주식회사 랜티스 | 리모컨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용 백커버 및 이를 이용한 전자제품 제어방법 |
WO2018212615A1 (ko) * | 2017-05-19 | 2018-11-22 | (주)아이티버스 | 스마트 컨트롤러 |
KR20190016842A (ko) | 2017-08-09 | 2019-02-19 | 노스타일 주식회사 | 근적외선 휴대폰 케이스 |
KR20190000670U (ko) | 2017-09-06 | 2019-03-14 | (주)한보이앤씨 | 한 손으로 휴대단말기를 용이하게 조작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휴대단말기의 보호케이스. |
JP2019530123A (ja) * | 2016-09-26 | 2019-10-17 | アイティーバース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 パッチ型コントローラ |
WO2019203538A1 (ko) * | 2018-04-17 | 2019-10-24 | (주)아이티버스 | 신호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
WO2020204656A1 (ko) * | 2019-04-04 | 2020-10-08 | (주)아이티버스 |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 및 센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KR102390911B1 (ko) * | 2020-12-18 | 2022-04-26 |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 모바일 디바이스 케이스 인터랙션 장치 |
KR102594438B1 (ko) * | 2022-08-26 | 2023-10-26 | 주식회사 지아소프트 | 구조요청버튼을 포함하는 구조요청 휴대폰 액세서리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299553B1 (en) * | 2016-09-06 | 2019-05-28 | Apple Inc. | Features of a camera opening and buttons for an accessory case of an electronic device |
CN207612285U (zh) * | 2017-11-24 | 2018-07-13 | 南昌黑鲨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智能终端的输入设备 |
CN207612322U (zh) * | 2017-11-24 | 2018-07-13 | 南昌黑鲨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智能终端的输入设备、外壳及一种智能终端 |
JP7259581B2 (ja) * | 2019-06-18 | 2023-04-18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 |
CN117369624A (zh) * | 2022-06-30 | 2024-01-09 | 华为技术有限公司 | 交互装置、电子设备以及交互方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91627B1 (ko) * | 2008-04-22 | 2010-11-04 | 김연수 | 전자제품용 복합 버튼 |
KR20130002421U (ko) * | 2013-02-01 | 2013-04-23 | 정인수 | 이동통신단말기 케이스 |
KR20140113853A (ko) * | 2013-03-15 | 2014-09-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단말기 케이스 |
KR101446570B1 (ko) * | 2013-06-28 | 2014-10-07 | 주식회사 바이오쉴드 |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 |
KR20140120013A (ko) | 2013-04-01 | 2014-10-13 | 주식회사 미성포리테크 | 휴대폰 보호케이스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348268B2 (ja) * | 2004-09-29 | 2009-10-21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多方向入力装置 |
CN101743605B (zh) * | 2007-06-22 | 2014-11-05 | 英迪股份有限公司 | 用于电子产品的按钮 |
KR200464126Y1 (ko) | 2010-10-11 | 2012-12-12 | 크레신 주식회사 | 분리형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
US9335793B2 (en) * | 2011-01-31 | 2016-05-10 | Apple Inc. | Cover attachment with flexible display |
US20130050164A1 (en) * | 2011-08-23 | 2013-02-28 | Nicholaus R. Rericha | Electronic device cases and covers having a reflective display, and methods thereof |
IN2014MN01674A (ko) * | 2012-03-05 | 2015-05-29 | Qualcomm Inc | |
KR20140016098A (ko) * | 2012-07-30 | 2014-02-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입력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와 이의 구동방법 |
US20140049469A1 (en) * | 2012-08-14 | 2014-02-20 | Oleksiy Bragin | External support system for mobile devices |
KR101425949B1 (ko) * | 2012-08-24 | 2014-08-05 | (주)아이티버스 | 밀기방식 신호입력장치 |
US9741509B2 (en) * | 2012-10-19 | 2017-08-22 | Apple Inc. | Slide input component assemblies of a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
KR101398141B1 (ko) * | 2013-02-08 | 2014-05-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JP2014160971A (ja) * | 2013-02-20 | 2014-09-04 | Masayoshi Koyama | 携帯通信端末用カバーおよび携帯通信端操作支援システム |
US9307129B2 (en) * | 2013-05-07 | 2016-04-05 | Lg Electronics Inc. | Terminal case,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assembly including the terminal case and the mobile terminal |
US9170659B2 (en) * | 2013-05-23 | 2015-10-27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
-
2015
- 2015-02-16 KR KR1020150023214A patent/KR10163798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
- 2016-02-15 JP JP2017561221A patent/JP6557364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6-02-15 CN CN201680010311.3A patent/CN107249380A/zh active Pending
- 2016-02-15 WO PCT/KR2016/001467 patent/WO2016133315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02-15 EP EP16752645.8A patent/EP3260009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16-02-15 US US15/551,355 patent/US10812127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91627B1 (ko) * | 2008-04-22 | 2010-11-04 | 김연수 | 전자제품용 복합 버튼 |
KR20130002421U (ko) * | 2013-02-01 | 2013-04-23 | 정인수 | 이동통신단말기 케이스 |
KR20140113853A (ko) * | 2013-03-15 | 2014-09-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단말기 케이스 |
KR20140120013A (ko) | 2013-04-01 | 2014-10-13 | 주식회사 미성포리테크 | 휴대폰 보호케이스 |
KR101446570B1 (ko) * | 2013-06-28 | 2014-10-07 | 주식회사 바이오쉴드 |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 |
Cited By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37410A1 (en) * | 2016-08-24 | 2018-03-01 | Nir Geva | Jacket for medical module |
EP3518084A4 (en) * | 2016-09-26 | 2020-05-27 | Itvers Co., Ltd. | PATCH-TYPE CONTROL DEVICE |
JP2019530123A (ja) * | 2016-09-26 | 2019-10-17 | アイティーバース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 パッチ型コントローラ |
WO2018110721A1 (ko) * | 2016-12-13 | 2018-06-21 | 주식회사 랜티스 | 리모컨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용 백커버 및 이를 이용한 전자제품 제어방법 |
WO2018212615A1 (ko) * | 2017-05-19 | 2018-11-22 | (주)아이티버스 | 스마트 컨트롤러 |
KR20180126923A (ko) * | 2017-05-19 | 2018-11-28 | (주)아이티버스 | 스마트 컨트롤러 |
US11150744B2 (en) | 2017-05-19 | 2021-10-19 | Itvers Co., Ltd. | Smart controller |
KR102180169B1 (ko) * | 2017-05-19 | 2020-11-18 | (주)아이티버스 | 스마트 컨트롤러 |
KR20190016842A (ko) | 2017-08-09 | 2019-02-19 | 노스타일 주식회사 | 근적외선 휴대폰 케이스 |
KR200489139Y1 (ko) | 2017-09-06 | 2019-05-07 | (주)한보이앤씨 | 한 손으로 휴대단말기를 용이하게 조작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휴대단말기의 보호케이스. |
KR20190000670U (ko) | 2017-09-06 | 2019-03-14 | (주)한보이앤씨 | 한 손으로 휴대단말기를 용이하게 조작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휴대단말기의 보호케이스. |
WO2019203538A1 (ko) * | 2018-04-17 | 2019-10-24 | (주)아이티버스 | 신호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
US11269423B2 (en) | 2018-04-17 | 2022-03-08 | Itvers Co., Ltd. | Signal input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including same |
WO2020204656A1 (ko) * | 2019-04-04 | 2020-10-08 | (주)아이티버스 |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 및 센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KR20200117422A (ko) * | 2019-04-04 | 2020-10-14 | (주)아이티버스 |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 및 센서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KR102353510B1 (ko) * | 2019-04-04 | 2022-01-21 | (주)아이티버스 |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 컨트롤러 |
US20220192602A1 (en) * | 2019-04-04 | 2022-06-23 | Itvers Co.,Ltd | Smart controller including sensor, and portable terminal case including sensor |
KR102390911B1 (ko) * | 2020-12-18 | 2022-04-26 |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 모바일 디바이스 케이스 인터랙션 장치 |
KR102594438B1 (ko) * | 2022-08-26 | 2023-10-26 | 주식회사 지아소프트 | 구조요청버튼을 포함하는 구조요청 휴대폰 액세서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8511897A (ja) | 2018-04-26 |
EP3260009B1 (en) | 2020-04-01 |
US20180034495A1 (en) | 2018-02-01 |
JP6557364B2 (ja) | 2019-08-07 |
CN107249380A (zh) | 2017-10-13 |
EP3260009A4 (en) | 2018-09-19 |
WO2016133315A1 (ko) | 2016-08-25 |
US10812127B2 (en) | 2020-10-20 |
EP3260009A1 (en) | 2017-12-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37985B1 (ko) |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
KR20180126923A (ko) | 스마트 컨트롤러 | |
US8116831B2 (en) |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with auxiliary input apparatus, and method | |
CN105556433B (zh) | 用于电子设备的触觉开关 | |
US8260382B2 (en) | Portable sliding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1463821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301521B1 (ko) | 휴대 단말기 | |
US20060164383A1 (en) | Remote controller ring for user interaction | |
CN107181973B (zh) | 远程控制器 | |
KR20150004714A (ko) |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 |
JPH02105663A (ja) | 情報機器 | |
EP3518084B1 (en) | Patch type controller | |
KR20130076450A (ko) | 이동 단말기 | |
KR20180080151A (ko) | 탈착식 물리키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 |
KR20130091208A (ko) | 리모트 컨트롤러 및 텔레비전 | |
KR20100111139A (ko) | 입력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 |
KR100632114B1 (ko) | 이동통신단말기용 방향입력장치 | |
JP4648846B2 (ja) | 位置入力装置、および、リモコン装置 | |
JP6257830B2 (ja) | 入力装置 | |
CN218215073U (zh) | 一种按键组件及电子设备 | |
KR101409872B1 (ko) | 휴대 단말기 | |
KR20080006272A (ko) | 엘씨디 윈도우를 이용한 키버튼 장치 | |
JP2022528135A (ja) | センサー付きスマートコントローラー及びセンサー付き携帯型端末ケース | |
KR101427274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415767B1 (ko) | 신호발생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