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6570B1 -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46570B1 KR101446570B1 KR1020130074989A KR20130074989A KR101446570B1 KR 101446570 B1 KR101446570 B1 KR 101446570B1 KR 1020130074989 A KR1020130074989 A KR 1020130074989A KR 20130074989 A KR20130074989 A KR 20130074989A KR 101446570 B1 KR101446570 B1 KR 1014465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mera
- unit
- mobile phone
- sliding cover
- main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 전화가 내부에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부; 및 상기 휴대 전화의 카메라를 작동시키는 실행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는 카메라 동작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휴대 전화의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에 의하여 다양한 전자 장치(예를 들어, 휴대 전화)에 카메라가 설치된다. 이러한 휴대 전화에는 상술한 카메라 외에도, 디스플레이 패널,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와 같은 다양한 부품이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휴대 전화는 충격을 받으면 고장이 발생하게 되어 휴대 전화의 수리 또는 교체 등을 하여야 한다.
이에 사용자는 휴대 전화의 손상을 방지하고 휴대 전화를 외부 충격으로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 케이스를 사용하게 된다. 특히, 유무선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일명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가격이 비싸고 고성능의 부품이 내장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호 케이스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기존의 보호 케이스는 단순히 휴대 전화를 보호하는 역할만을 수행할 뿐 휴대 전화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동작을 수행하지는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고자 할 때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또는 어플레케이션을 동작시켜야 하는 등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휴대 전화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는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 전화가 내부에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부; 및 상기 휴대 전화의 카메라를 동작시키는 실행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카메라 동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에 상기 휴대 전화의 카메라를 노출하는 카메라 노출공이 형성되고, 제1 위치에서 상기 카메라 노출공을 덮고 제2 위치에서 상기 카메라 노출공을 개방하는 슬라이딩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동작부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휴대 전화의 카메라 실행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휴대 전화의 카메라 실행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에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이동하는 레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동작부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위치에 따라 상기 카메라 실행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과 관련된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신호를 상기 휴대 전화에 전달하는 통신 모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동작부는, 상기 카메라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버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 버튼부는, 사진 모드 및 동영상 촬영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버튼, 조리개의 노출 정도를 조절하는 조리개 조절 버튼, 그리고 줌 기능 시 초점 거리를 조절하는 줌 조절 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기능 버튼부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지 않고,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기능 버튼부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동작부는 상기 카메라를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온,오프 버튼부; 상기 온,오프 버튼부에 동작에 따라 상기 카메라 실행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과 관련된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신호를 상기 휴대 전화에 전달하는 통신 모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카메라 동작부를 제어하는 리모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에 의하면, 휴대 전화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이 필요한 경우에는 카메라 동작부에 의하여 자동으로 카메라 실행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를 사용하기 위하여 휴대 전화 내에서 카메라 실행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찾아서 이를 실행하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보호 케이스의 기능 버튼부에 의하여 카메라의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좀더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의 카메라 동작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a는 도 1에 도시한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에 휴대 전화가 위치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커버가 제1 위치에 있을 때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1에 도시한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에 휴대 전화를 위치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커버가 제2 위치가 있을 때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의 카메라 동작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의 카메라 동작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a는 도 1에 도시한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에 휴대 전화가 위치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커버가 제1 위치에 있을 때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1에 도시한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에 휴대 전화를 위치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커버가 제2 위치가 있을 때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의 카메라 동작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설명을 좀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 넓이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하였는바, 본 발명의 두께, 넓이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의 카메라 동작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4a는 도 1에 도시한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에 휴대 전화가 위치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커버가 제1 위치에 있을 때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1에 도시한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에 휴대 전화를 위치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커버가 제2 위치가 있을 때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이하 "보호 케이스")(100)는, 휴대 전화가 내부에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부(10)와, 본체부(10)의 후면에 위치하는 슬라이딩부(20)와, 휴대 전화의 카메라(200)의 동작과 관련되는 카메라 동작부(30)를 포함한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체부(10)는 휴대 전화가 내부에 수납되도록 휴대 전화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휴대 전화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본체부(10)가 휴대 전화의 측면 및 후면을 감싸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체부(10)가 휴대 전화의 측면 및 후면을 감싸는 본체 부분과, 상기 본체 부분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 덮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본체부(10)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이러한 본체부(10)는 슬라이딩부(20)의 이동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수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본체부(10)는 휴대 전화가 쉽게 장착 또는 탈착될 수 있도록 연성을 가지는 고무 재질로 구성되고, 슬라이딩부(20)의 이동을 위한 재료로 구성되는 별도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체부(10)는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에는 휴대 전화가 본체부(10) 내에 수납될 때 휴대 전화의 카메라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카메라 노출공(12)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부(10)에는 휴대 전화의 카메라 이외의 다양한 부품(예를 들어, 스피커 등), 버튼(전원 버튼, 음량 조절 버튼), 이어폰 잭 결합공, 외장 안테나 등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복수의 노출공(1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10)에는 슬라이딩부(20)가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레일부(16)가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레일부(16)가 본체부(10)에 형성되는 홈 형상을 가지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체부(10)에는 슬라이딩부(20)가 이동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 방식의 레일부(16)가 형성될 수 있다. 레일부(16) 상에서 슬라이딩부(2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되는 구조는 알려진 다양한 방식, 구조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20)는, 본체부(10)의 후면에서 레일부(16)에 안착되는 슬라이딩 커버(22)를 포함한다. 슬라이딩부(20)는 슬라이딩 커버(22)와 본체부(10)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고정부(24a, 24b), 그리고 탄성 부재(24)를 더 포함하여 슬라이딩 커버(22)가 쉽게 슬라이딩되면서 원하는 위치에서 위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슬라이딩 커버(22)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1 위치에서는 카메라 노출공(12)을 덮도록 위치하고,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2 위치에서는 카메라 노출공(12)을 노출하도록 위치한다.
제1 고정부(24a)는 본체부(10)에 고정되고, 제2 고정부(24b)는 본체부(10)에 고정되며, 탄성 부재(24)의 양 단부는 각기 제1 고정부(24a)와 제2 고정부(24b)에 고정된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1 위치에서는 탄성 부재(24)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 위치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슬라이딩 커버(22)에 힘을 가하여 탄성 부재(24)의 탄성력보다 더 큰 힘으로 슬라이딩 커버(22)를 내려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탄성 부재(24)의 길이가 짧아지면서 전체적으로 휘어져서 압축 상태로 변형된다. 이와 같이 탄성 부재(24)가 압축 상태를 가지면 탄성 부재(24)의 탄성력에 의하여 최초의 상태로 복귀하려고 하는 복원력이 작용하게 되어, 슬라이딩 커버(22)가 쉽게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2 위치로 이동하게 되어 제2 위치에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제2 위치에 있는 슬라이딩 커버(22)에 힘을 가하여 탄성 부재(24)의 탄성력보다 더 큰 힘으로 슬라이딩 커버(22)를 올리면 탄성 부재(24)가 압축된 후에 다시 복원되면서 제1 위치로 쉽게 이동하여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탄성 부재(24)를 이용하여 슬라이딩 커버(22)를 제1 또는 제2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탄성 부재(24)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고, 또는, 탄성 부재(24) 외의 다양한 구조,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슬라이딩 커버(22)를 슬라이딩할 수 있는 구조, 방식 등은 알려진 다양한 구조,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 전화의 카메라를 동작시키는 실행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기 위한 카메라 동작부(30)는 배터리부(31), 센서부(33), 기능 버튼부(35), 제어부(37), 통신 모듈부(39) 등을 구비하여 보호 케이스(100)의 위치에 따른 신호 등을 휴대 전화에 전달하여 휴대 전화가 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배터리부(31), 센서부(33), 기능 버튼부(35), 제어부(37), 통신 모듈부(39) 등에 의하여 휴대 전화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한다.
배터리부(31)는 통신 모듈부(39) 등의 동작에 필요한 에너지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배터리부(31)는 본체부(10)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거나 내장될 수 있다. 배터리부(31)가 보호 케이스(100)에 내장된 경우에는 배터리부(31)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 단자(31a)가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부(31)는 배터리부의 용량, 크기 등을 고려하여 본체부(10)의 측면 또는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배터리부(31)가 후면에 위치할 경우에는 폴리머 이차 전지를 넓고 얇게 형성하여 전기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배터리부(31)의 종류, 위치, 형상 등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센서부(33)는 슬라이딩부(20)(좀더 정확하게는, 슬라이딩 커버(22))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센서부(33)로는 접촉 여부에 따라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센서일 수 있고, 센싱 원리에 따라 기계식, 전자식, 광학식 센서일 수 있다. 즉, 센서부(33)는 슬라이딩 커버(22)의 위치를 센싱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기능 버튼부(35)는 휴대 전화의 카메라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버튼일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기능 버튼부(35)는, 사진 모드 및 동영상 촬영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버튼(351)과, 조리개의 노출 정도를 조절하는 조리개 조절 버튼(353)과, 줌 기능 시 초점 거리를 조절하는 줌 조절 버튼(35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카메라의 동작에 관련되는 다양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7)는 센서부(33)에 의한 슬라이딩 커버(22)의 위치, 또는 기능 버튼부(35)에 의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휴대 전화의 카메라의 동작에 관련되는 신호를 생성한다. 즉, 슬라이딩 커버(22)가 제2 위치에 위치하여 카메라 노출공(12)을 개방하는 경우에 카메라 실행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슬라이딩 커버(22)가 제1 위치에 위치하여 카메라 노출공(12)을 덮는 경우에는 카메라 실행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모드 선택 버튼(351)에 의하여 사진 모드 및 동영상 촬영 모드 중 하나가 선택되면 이에 해당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조리개 조절 버튼(353) 및 줌 조절 버튼(355) 등에 의하여 선택된 조리개 노출 정도, 초점 거리 정도에 해당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통신 모듈부(39)는 휴대 전화와 통신하여 제어부(37)에서 생성된 신호를 휴대 전화로 전달한다. 통신 모듈부(39)는 휴대 전화와의 통신만을 수행하면 되므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일례로, 통신 모듈부(39)는 블루투스 모듈로 이루어져서 휴대 전화 내에 블루투스 모듈과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부(39)는 블루투스 4.0으로 휴대 전화와 페어링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 모듈부(39)가 휴대 전화와 유선에 의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일례로, 통신 모듈부(39)는 연결 잭 등에 의하여 이어폰 잭 결합공 등에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보호 케이스(100)의 동작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자가 도 4a와 같이 제1 위치에 위치하는 슬라이딩 커버(22)를 아래로 밀면,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부재(24)에 의하여 슬라이딩 커버(22)가 제2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센서부(33)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37)에 전달하고, 제어부(37)는 카메라 실행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이를 통신 모듈부(39)를 이용하여 휴대 전화로 전송하여 카메라 실행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기능 버튼부(35)에 의하여 버튼 조작이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37)가 이에 해당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휴대 전화로 전송하여 원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도 4b와 같이 제2 위치에 위치하는 슬라이딩 커버(22)를 위로 밀면,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부재(24)에 의하여 슬라이딩 커버(22)가 제1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센서부(33)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37)에 전달하고, 제어부(37)는 카메라 실행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중단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이를 통신 모듈부(39)를 이용하여 휴대 전화로 전송하여 카메라 실행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한다. 이 상태에서는, 기능 버튼부(35)에 의하여 버튼 조작이 있더라도 제어부(37)가 관련된 신호를 생성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호 케이스(100)에 따르면, 슬라이딩부(20)가 카메라 노출공(12)을 덮고 있는 경우에는 카메라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을 필요한 경우에는 슬라이딩부(20)를 이동하여 카메라 노출공(12)을 개방하면, 카메라 동작부(30)에 의하여 자동으로 카메라 실행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이에 따라 카메라를 사용하기 위하여 휴대 전화 내에서 카메라 실행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찾아서 이를 실행하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할 수 있다. 특히, 스마트폰에서는 아주 많은 어플리케이션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일반적이므로 카메라 실행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찾고 실행하는 데 많은 시간 및 노력이 들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때, 기존 카메라의 동작과 유사한 방식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외관상 심미감 및 개성을 가져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보호 케이스(100)의 기능 버튼부(35)에 의하여 카메라의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좀더 향상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를 설명함에 있어,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한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의 카메라 동작부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는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와 다른 카메라 동작부를 구비한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와 같이 슬라이딩부를 구비하지 않고, 본체부(10)에 휴대 전화의 카메라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카메라 노출공(12)이 형성되는 간단한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본체부(10)에 수용되는 휴대 전화의 카메라는 카메라 노출공(12)을 통해 항상 노출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의 카메라 동작부(30)는 카메라를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온,오프 버튼부(34); 온,오프 버튼부(34)에 동작에 따라 상기 카메라 실행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과 관련된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37); 및 제어부(37)에서 생성된 신호를 상기 휴대 전화에 전달하는 통신 모듈부(39)를 구비한다.
이때에도 휴대 전화의 카메라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 버튼부(35)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에서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온,오프 버튼부(34)를 온시킴으로써 카메라 실행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 전화가 내장된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를 세운 상태에서 온,오프 버튼부(34)의 조작만으로 간단하게 휴대 전화에 구비되는 카메라를 실행시킬 수 있으며, 기능 버튼부(35)를 조작함으로써 사진 모드 및 동영상 촬영 모드, 조리개 조절 및 줌 조절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는 본체부(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카메라 동작부(30)를 제어하는 리모컨(5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체부(10)에는 리모컨이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홈(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리모컨(50)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리모컨(50)이 본체부(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컨(50)이 자석에 의해 본체부(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본체부(10)에 형성된 수용홈(11)에 리모컨(50)이 수용홈(11)에 수용되었을 때 리모컨(5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돌기 등이 형성됨으로써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의 본체부(10)에 리모컨(50)이 구비됨으로써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를 삼각대로 고정시켜 놓은 상태에서 리모컨(50)을 조작하여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상술한 바에 따른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 10: 본체부
12: 카메라 노출공 22: 슬라이딩 커버
30: 카메라 동작부 33: 센서부
35: 기능 버튼부 37: 제어부
39: 통신 모듈부
12: 카메라 노출공 22: 슬라이딩 커버
30: 카메라 동작부 33: 센서부
35: 기능 버튼부 37: 제어부
39: 통신 모듈부
Claims (10)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 전화가 내부에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부; 및
상기 휴대 전화의 카메라를 동작시키는 실행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카메라 동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에 상기 휴대 전화의 카메라를 노출하는 카메라 노출공이 형성되고,
제1 위치에서 상기 카메라 노출공을 덮고 제2 위치에서 상기 카메라 노출공을 개방하는 슬라이딩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동작부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휴대 전화의 카메라 실행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휴대 전화의 카메라 실행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상기 카메라 동작부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된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위치에 따라 상기 카메라 실행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과 관련된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신호를 상기 휴대 전화에 전달하는 통신 모듈부; 및
상기 카메라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버튼부를 포함하는 보호 케이스.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버튼부는, 사진 모드 및 동영상 촬영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버튼, 조리개의 노출 정도를 조절하는 조리개 조절 버튼, 그리고 줌 기능 시 초점 거리를 조절하는 줌 조절 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기능 버튼부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지 않고, 상기 슬라이딩 커버가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기능 버튼부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는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 -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 전화가 내부에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부; 및
상기 휴대 전화의 카메라를 동작시키는 실행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카메라 동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동작부는
상기 카메라를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온,오프 버튼부;
상기 온,오프 버튼부에 동작에 따라 상기 카메라 실행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과 관련된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신호를 상기 휴대 전화에 전달하는 통신 모듈부를 포함하는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카메라 동작부를 제어하는 리모콘을 더 포함하는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74989A KR101446570B1 (ko) | 2013-06-28 | 2013-06-28 |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74989A KR101446570B1 (ko) | 2013-06-28 | 2013-06-28 |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46570B1 true KR101446570B1 (ko) | 2014-10-07 |
Family
ID=51996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74989A KR101446570B1 (ko) | 2013-06-28 | 2013-06-28 |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46570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92956B1 (ko) * | 2015-05-11 | 2016-02-11 | 티에스트레이드 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및 그 사용방법 |
KR101637985B1 (ko) * | 2015-02-16 | 2016-07-08 | (주)아이티버스 |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WO2018110721A1 (ko) * | 2016-12-13 | 2018-06-21 | 주식회사 랜티스 | 리모컨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용 백커버 및 이를 이용한 전자제품 제어방법 |
KR101984622B1 (ko) * | 2017-12-01 | 2019-05-30 | (주)하배런메디엔뷰티 | 모바일기기 장착이 가능한 미용 케이스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63471B1 (ko) | 2005-08-26 | 2007-01-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촬영방법 |
KR100970982B1 (ko) * | 2008-06-03 | 2010-07-20 |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용 슬라이드 모듈 |
-
2013
- 2013-06-28 KR KR1020130074989A patent/KR10144657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63471B1 (ko) | 2005-08-26 | 2007-01-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촬영방법 |
KR100970982B1 (ko) * | 2008-06-03 | 2010-07-20 | 주식회사 한빛티앤아이 |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보호용 슬라이드 모듈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37985B1 (ko) * | 2015-02-16 | 2016-07-08 | (주)아이티버스 |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WO2016133315A1 (ko) * | 2015-02-16 | 2016-08-25 | (주)아이티버스 |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
EP3260009A4 (en) * | 2015-02-16 | 2018-09-19 | Itvers Co., Ltd. | Portable terminal case |
US10812127B2 (en) | 2015-02-16 | 2020-10-20 | Itvers Co., Ltd. | Portable terminal case |
KR101592956B1 (ko) * | 2015-05-11 | 2016-02-11 | 티에스트레이드 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 및 그 사용방법 |
WO2018110721A1 (ko) * | 2016-12-13 | 2018-06-21 | 주식회사 랜티스 | 리모컨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용 백커버 및 이를 이용한 전자제품 제어방법 |
KR101984622B1 (ko) * | 2017-12-01 | 2019-05-30 | (주)하배런메디엔뷰티 | 모바일기기 장착이 가능한 미용 케이스 |
KR101985180B1 (ko) * | 2017-12-01 | 2019-05-31 | (주)하배런메디엔뷰티 | 모바일기기 장착이 가능한 미용 케이스 |
CN109864411A (zh) * | 2017-12-01 | 2019-06-11 | 超一派有限公司 | 可安装移动设备的化妆盒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21125505A1 (en) | Roll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learance compensation structure | |
KR20190086305A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에 적용되는 전자 부품 배치 구조 | |
KR101801192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728387B1 (ko) | 휴대 단말기 | |
KR20160019145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101783773B1 (ko) | 듀얼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 |
CN216144291U (zh) | 用于确定相对位置的传感器装置以及包括其的电子装置 | |
KR102242715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446570B1 (ko) | 휴대 전화용 보호 케이스 | |
CN112637483B (zh) | 电子设备及其拍摄控制方法、控制装置 | |
KR101560389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제어방법 | |
KR20220079396A (ko) | 보호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US20180288201A1 (en) | Mobile terminal | |
KR20160098871A (ko) | 방수 케이스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 |
KR20160004129A (ko) | 글래스 타입 단말기 | |
KR101659020B1 (ko) | 이동 단말기 | |
WO2022103021A1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
WO2022102999A1 (ko)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 |
KR101575053B1 (ko) | 이동 단말기 | |
CN109962995B (zh) | 功能组件、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 |
KR102052972B1 (ko) | 와치형 이동단말기 | |
KR20200019412A (ko) | 이동 단말기 | |
WO2022211559A1 (ko) | 스위퍼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 |
KR20220079220A (ko) |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KR20150136384A (ko) | 카메라 제어 기능을 갖는 모바일 단말용 케이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0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6 |